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12월 05일(6899013)


1과목 : 리눅스 운영 및 관리


1. 다음 중 ⓐ, ⓑ, ⓒ가 의미하는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허가권(Permission), 사용자 소유권(User Ownership), 그룹 소유권(Group Ownership)
     2. 허가권(Permission), 그룹 소유권(Group Ownership), 사용자 소유권(User Ownership)
     3. 사용자 소유권(User Ownership), 허가권(Permission), 그룹 소유권(Group Ownership)
     4. 그룹 소유권(Group Ownership), 허가권(Permission), 사용자 소유권(User Ownershi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rw-r--r--.
    [r = 읽기 권한] [w = 쓰기 권한] [x = 실행 권한] 즉 권한을 의미 합니다.
    -{rw-}{r--}{r--}각 구간은 User, Group, Other을 나타내며
    User에게는 읽기, 쓰기권한을 나머지에게는 읽기 권한을 준것을 뜻하게 됩니다.
    또한, r=4, w=2, x=1 로 나타내어
    #chmod 777 파일명 : 해당파일의 허가권을 -rwxrwxrwx. 로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설작성자 : 명진우]

2. 다음 중 허가권 및 소유권과 관련 명령어로 틀린 것은?
     1. chmod
     2. chgrp
     3. chkdsk
     4. chown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8%
     <문제 해설>
chkdsk 명령어는 디스크에 오류를 체크하고 수정해주는 명령어이다
[해설작성자 : ggoke]

3. 다음 중 심볼릭 링크(Symbolic Link) 파일의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R 755 nanuminfo
     2. chown –R root nanuminfo
     3. chmod –h 755 nanuminfo
     4. chgrp –h root nanuminfo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chgrp = change group
[해설작성자 : 슬짱]

그룹 소유권을 변경하는 문제이므로 허가권을 변경하는 chmod명령어는 답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2,4번 중 답이 있는데 -R 옵션은 하위 개체들 까지 소유권을 변경하는 옵션이므로 심볼릭 링크와 관련이 없어 4번이 답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넷린이]

4. 다음 중 보안상 가장 안전한 umask 설정값으로 알맞은 것은?
     1. umask 066
     2. umask 077
     3. umask 022
     4. umask 002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umask 명령어는 새로운 파일이나 허가권 지정 명령어로
일반 파일인 경우 666 , 디렉토리인 경우 777에서 umask 값을 뺀 값을
기본 허가권으로 조정

예를들어 umask 가 022 인 경우
파일 666 - 022 = 644 , 디렉토리 777 - 022 = 755 의 방식으로 계산된다.

그러므로 umask 077로 설정하면 루트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는 0 0 의 권한을 가지기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어 보안상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5. 다음 중 data 디렉터리를 공유 모드로 설정할 때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mod o+s data/
     2. chmod u+s data/
     3. chmod o+t data/
     4. chmod g+s data/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5%
     <문제 해설>
s 는 SetUID, SetGID 권한 파일 소유자(SetUID), 그룹 소유자(SetGID)의 권한으로 실행함
t 는 Sticky Bit 권한 공유 디렉토리로 사용됨
그러므로 공유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t 옵션을 사용하기 때문에 3번이 정답이 된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6. 다음중 리눅스의 파일시스템 관련명령어로틀린 것은?
     1. convert
     2. fsck
     3. mkfs
     4. mount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리눅스에서 convert는 이미지 파일 변환을 위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jk502]

7. 다음 중 SGI에서 개발한 저널링 파일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
     1. EXT3
     2. XFS
     3. JFS
     4. NTF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검색해 본 결과 ext3는 SGI에서 개발한 게 아니라 리눅스 공동체에서 개발중이라 하네요
SGI에서 개발한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 XFS이고
리눅스 공동체에서 개발한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 ext3인 듯 합니다
정확한 건 아니니 직접 찾아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다가..]

jfs는 ibm사에서 위키백과보니 만든거라 하내요 ntfs는 주로 윈도우에서 쓰는 파일시스템이구요.
[해설작성자 : 길가던분]

8. 다음 중 /dev/hda2를 ext3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하려고 할 때 명령으로 틀린 것은?
     1. mkfs –t ext3 /dev/hda2
     2. mke2fs –t ext3 /dev/hda2
     3. mke2fs –j /dev/hda2
     4. fsck –t ext3 /dev/hda2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fsck 명령어는 파일시스템을 체크할때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ggoke]

9. /etc/fstab 파일 4번째 필드의 주요 옵션 중 로컬(Local) 시스템에서 일반 사용자가 마운트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defaults
     2. grpquota
     3. user
     4. usrquota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7%
     <문제 해설>
Mount Option(마운트옵션)---> 파일시스템에 맞게 사용되는 옵션들을 설정하는 필드

default - rw, nouser, auto, exec, suid속성을 모두 설정
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
noauto  - 부팅시 자동마운트를 하지않음
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것을 허용
noexec  - 실행파일이 실행되는것을 불허용
suid    - SetUID, SetGID 사용을 허용
nosuid  - SetUID, SetGID 사용을 불허용
ro      - 읽기전용의 파일시스템으로 설정
rw      - 읽시/쓰기전용의 파일시스템으로 설정
user    - 일반사용자 마운트 가능
nouser  - 일반사용자 마운트불가능, root만 가능
quota   - Quota설정이 가능
noquota - Quota설정이 불가능

10. 다음 중 nanuminfo 사용자의 디스크 용량을 Soft 10MB, Hard 11MB로 설정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setquota –u nanuminfo 10M 11M 0 0 /home/nanuminfo
     2. setquota –u nanuminfo 11M 10M 0 0 /home/nanuminfo
     3. setquota –u nanuminfo 10M 11M 0 0 /home
     4. setquota –u nanuminfo 11M 10M 0 0 /hom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쿼터 설정 시 soft hard 순이며 디렉토리는 /home 이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11. 다음 중 셸(Shel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커널(Kernel)과 사용자간의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받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은 한다.
     2. 셸은 커널에 포함된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종류의 셸이 존재하고 현재까지 개발되고 있다.
     3.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login)시 각 사용자에게 설정된 셸이 부여된다.
     4.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셸은 bash, ksh,tcsh, zsh 등이 있다.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리눅스/유닉스 구조

응용 프로그램
↑   ↓
셸(shell) = [명령어 해석기]
↑   ↓
커널(kenel)
↑   ↓
H / W
[해설작성자 : 모야]

12. 다음 중 본 셸(Bourne Shell)을 기반으로 GNU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된 리눅스의 표준 셸로 알맞은 것은?
     1. bash
     2. csh
     3. ksh
     4. tcsh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bash 셸을 기반으로 하여 GNU 프로젝트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GNU 운영체제, 리눅스, 맥 OS 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중이다.
현재 리눅스의 표준 셸이다.
[해설작성자 : 우영하]

유닉스에서는 csh이 표준 셸이다.
[해설작성자 : 모야]

13. 다음 중 AT&T 사의 데이비드 콘(David Korn)이 개발하였고 명령어 완성 기능, 히스토리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는 셸로 알맞은 것은?
     1. bash
     2. csh
     3. ksh
     4. tcsh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콘 쉘은 1986년 AT&T 사의 벨 연구소 직원인 데이비드 콘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콘 쉘은 본 쉘의 직계 혈통으로 거의 완벽한 본쉘 호환을 자랑한다.  본 쉘의 명령어를 모두 인식하며, 명령어 히스토리(history) 기능과 앨리어스(alias), 작업 제어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닉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쉘입니다.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합니다.
[해설작성자 : IoT]

추가로 데이비드 콘=ksh(콘쉘) 로 외우자
콘의 K를 생각하자

14. 다음 중 리눅스시스템에 로그인 후 사용 중인 셸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명령 프롬프트 상에서 ‘echo $SHELL’ 을 실행하여 확인한다.
     2. 명령 프롬프트 상에서 ‘chsh –l’ 을 실행하여 확인한다.
     3. 명령 프롬프트 상에서 ‘cat /etc/shells’ 을 실행하여 확인한다.
     4. 명령 프롬프트 상에서 ‘chsh’ 을 실행하여 확인한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echo $SHELL : 현재 사용자의 쉘을 출력 ($SHELL은 대문자로 입력해야된다)
chsh -l : 쉘이 설치된 경로 리스트를 출력
cat /etc/shells : 쉘이 설치된 경로 리스트를 출력
chsh : 지정된 쉘 변경하기
[해설작성자 : 황상연]

15. 다음 중 사용자가 로그인한 후 일정시간 동안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로그아웃 시킬 때 사용하는 환경변수로 알맞은 것은?
     1. TERM
     2. PS1
     3. TMOUT
     4. DISPLAY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7%
     <문제 해설>
TMOUT - 사용자가 로그인한 후 일정 시간동안 작업하지 않을 경우에 로그아웃시키는 시간
TERM - 로그인한 터미널 종류
PS1 - 프로프트의 변수
[해설작성자 : winner]

16. 다음 중 프롬프트 형식을 현재 사용자 이름 및 맨 마지막 작업 디렉터리만 표시하려고 할 때 관련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1. PS1=‘[\h@ \w]\$ ’
     2. PS1=‘[\h@ \W]\$ ’
     3. PS1=‘[\u@ \w]\$ ’
     4. PS1=‘[\u@ \W]\$ ’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u = 사용자명 표시, h = 서버의 호스트명 표시
w =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절대경로를 모두 표시, W =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절대 경로명 중 마지막 디렉토리명만을 표시
[해설작성자 : 박명수]

17. 다음 중 가장 마지막에 실행한 명령을 재실행 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
     1. history
     2. !!
     3. !100
     4. !a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 가장 마지막에 실행한 명령을 재실행/마지막에 사용한 명령 실행
[해설작성자 : Tim]

18. 다음 중 일반사용자가 PATH와 같은 환경변수를 변경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파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etc/profile
     2. ~/.bashrc
     3. ~/.bash_history
     4. ~/.bash_profil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만일 패스를 추가해주고 싶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의 .bash_profile을 에디트하면 된다.
vi ~/.bash_profile
[해설작성자 : 박명수]

/etc/profile : 시스템 전체에 적용되는 환경변수와 시작관련 프로그램 설정.
~/.bashrc : 시스템 전체에 적용되는 alias와 함수를 설정
[해설작성자 : 백상아리]

자신의 HOME Directory에서 ls -al 명령어를 쳐보면 기본 쉘인 bash의 .bash_profile이 있습니다. 그 파일에 개인적인 계정으로 사용할 환경변수를 설정하면 자신의 계정에서만 환경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180609]

19. 다음 그림과 가장 관련 있는 프로세스 생성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fork
     2. exec
     3. standalone
     4. inet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fork와 exec는 프로세스 생성 방식이며 standalone과 inetd는 서버 프로그램 생성 방식이다.

문제에서는 프로세스 생성 방식에 대해 물었으므로 fork 또는 exec 인데 위 그림의 방법은 fork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20. 다음 중 [Ctrl]+[c] 입력 시 전송되는 시그널의 번호로 알맞은 것은?
     1. 1
     2. 2
     3. 3
     4. 9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 시그널번호와 시그널이름

번호     이름          설명
1       SIGHUP(HUP)   hang up의 약자로 프로세스를 재시작 시키는 시그널
2       SIGINT(INT)   인터럽트 실행을 중지시킴. [CTRL] + [C]를 눌렀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과 동일함
3       QUIT          실행 중지
9       SIGKILL(KILL) 강제 종료시키는 시그널, 가장 많이 사용함
15      SIGTERM(TERM) Terminate의 약자로 가능한 정상 종료시키는 시그널,
                      kill 명령과 PID값만 주었다면 시그널 번호는 15가 기본으로 시그널을 보냄
18      CONT          일시 정지와 같은 정지된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 시킴
19      STOP          무조건적, 즉각적 정지
20      TSTP          실행 정지후 다시 실행을 계속하기 위하여 대기시키는 시그널. [CTRL] + [Z]를 눌렀을 때 보내지는 시그널과 동일함


※ 참고
kill -l 이라고 써주면 signal_number에 보내줄 수 있는 시그널의 종류들을 보여주며,
signal_number에 숫자 대신에 직접 이름을 입력하여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

21. 하루에 발생하는 서비스별 요청이 아래와 같다. 다음 중 데몬 실행을 단독 실행(standalone) 방식으로 변경 할 경우에 가장 효율적인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

    

     1. ssh
     2. httpd
     3. telnet
     4. sendmail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데몬 실행을 단독 실행(standalone)방식으로 실행 했을 때,
가장 사용 횟수가 많은 방식으로 변경하는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므로 답은 1000회인 httpd 가 된다.
[해설작성자 : 마정현]

22.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inetd
     2. daemon
     3. cron
     4. atd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2%
     <문제 해설>
daemon 은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하기위해 계속 실행되는 프로세스임
[해설작성자 : NakJun]

23. 다음 중 리눅스 커널 2.4 버전부터 inetd의 역할을 대신해 수행하는 데몬명으로 알맞은 것은?
     1. crond
     2. xinetd
     3. acpid
     4. xinit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일단 inetd(xinetd) 데몬이 구동중에다가 외부에서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경우,
자신에게 종속된 데몬중 해당하는 데몬을 구동시킨 후에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해준다.

데몬 실행 스크립트 파일은 /etc/xientd.d
xinetd데몬이 서비스하는 포트는 /etc/services
[해설작성자 : 미래대통령]

24. 다음에 제시된 NI 값 중에서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값으로 알맞은 것은? (단, 리눅스에서 지정 가능한 NI 값만을 대상으로 한다.)
     1. -21
     2. -19
     3. 0
     4. 19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리눅스에서 전체 우선순위는 -20부터 +19까지 부여될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세스들은 대부분 우선순위 0의 값을 가지며 값이 낮을 수록(-20쪽에 가까울 수록)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게 된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수정:추다영]

25. 다음 명령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우선순위를 낮춘 것이다.
     2. 우선순위를 높인 것이다.
     3. 위의 명령은 일반사용자는 실행할 수 없다.
     4. 사용법 오류로 인해 실행되지 않는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nice명령은 NI값을 변경하는 것이다. root계정은 -20~19까지 user계정은 0~20까지 변경 가능하다. 기본값은 0.
nice명령은 해당 옵션 값 -n을 사용한다. 예) nice -n -10 bash  결과값 NI -10
이것은 ni값을 -10으로 변경하여 우선순위를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위처럼 -n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그냥 +10을 입력하라는 것이다. 예)nice -10 bash  결과값 NI 10
그러므로 해당 문제의 답은 기본값 0에서 10을 입력한 값이 되니 우선순위를 낮춘 것이다.
[해설작성자 : 출제오류킬러]

26. 다음 중 top 명령어 실행 상태에서 NI 값을 조정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k
     2. n
     3. I
     4. r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38%
     <문제 해설>
top정렬 단축키
- r :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 N : pid정보를 기준으로 정렬
- A : age 정보를 기준으로 정렬
- P : CPU사용량을 기준으로 정렬
- M : 적재된 메모리 사용량을 기준으로 정렬
- T : 시간/누적시간을 기준으로 정렬
- u : 지정한 사용자의 정보만 출력

NI값은 -20~+19 입니다.

27. 다음 결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fg
     2. bg
     3. jobs
     4. p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bg =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 작업으로 전환하는 명령이다.
fg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전환하는 명령이다.
jobs =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나 현재중지된 프로세스의 목록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ps = 현재 프로세스 상태를 PID와 함께 보여준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28. 다음 중 crontab 명령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작업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e
     2. -c
     3. -s
     4. -r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0%
     <문제 해설>
crontab은 사용자가 주기적인 작업을 등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이다.
-l crontab 에 설정된 내용을 출력.
-e crontab 의 내용을 작성(등록),수정
-r crontab 의 내용을 삭제
-u root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다룰 때 사용

문제는 스케줄링 작업을 등록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니 등록 -e 가 답이된다.
[해설작성자 : 기묘]

29. 다음 중 pico 편집기에서 커서의 위치를 해당 줄의 시작부분으로 이동하는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Ctrl]+[a]
     2. [Ctrl]+[e]
     3. [Ctrl]+[s]
     4. [Ctrl]+[c]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1%
     <문제 해설>
Ctrl + a : 현재 행의 맨 앞으로 이동하는 기능이 있다.
Ctrl + e : 현재 행의 맨 뒤끝으로 이동하는 기능이 있다.
Ctrl + s :
Ctrl + c : 현재 커서에서 이 키를 누르면 하단에 현재 라인이 몇 번째 라인인지,전체 몇 글자중에 몇 번째글자인지, 전체 문서의 몇 퍼센트에 위치하는지도 알려준다.
[해설작성자 : 안녕영웅]

30.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gedit
     2. pico
     3. emacs
     4. nano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맥스(Emacs)는 사용자가 많은 부분을 설정할 수 있는 고성능 문서 편집기이다. 특히 프로그래머들이 많이 쓴다. 이맥스는 단순한 편집기를 넘어서는 텍스트 처리를 위한 포괄적인 통합환경, 또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맥스는 매우 오랜 역사를 갖고 있고, 바탕부터 새롭게 짜는 개선을 거쳐, 많은 친족을 낳으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의 GNU 이맥스의 개발은 유닉스 환경(과 VMS)을 주된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등 다양한 환경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이맥스는 처음에 리처드 스톨만이 TECO의 매크로로서 개발했다. 이맥스는 Editor MACroS의 약자이다.
[해설작성자 : 황상연]

31. 다음 중 pico 편집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ico 편집기는 GPL 라이선스를 따른다.
     2. pico의 복제 프로그램에는 nano가 있다.
     3. 워싱턴대학의 Aboil Kasar가 개발한 텍스트 편집기이다.
     4. Pine이라는 E-mail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같이 배포되었다.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유닉스 계열 텍스트 편집기
Pine 이메일 클라이언트 연동 가능
GNU 프로젝트에 nano라는 pico의 클론이 있음
Aboil Kasar가 개발한 텍스트 편집기
[해설작성자 : 황상연]

32. vi 편집기로 작업 중인 posein.txt 파일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 다음 중 작업 중이던 파일 내용을 불러오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vi -c posein.txt
     2. vi -C posein.txt
     3. vi -r posein.txt
     4. vi -R posein.txt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r = 시스템이 다운된 후에 파일 되살리기, R = 읽기전용으로 불러오기
[해설작성자 : 박명수]

33. 다음 중 vi 명령모드에서 커서가 위치한 줄부터 5줄을 삭제하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
     1. 5dd
     2. dd5
     3. 5yy
     4. yy5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9%
     <문제 해설>
dd - 라인 삭제
[해설작성자 : y는모름]

yy는 복사기능으로 5yy는 커서기준 아래 5줄을 통째로 복사한다.

34. vi 편집기 실행할 때 줄 번호를 나타나도록 설정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exrc (ㄴ) set nu
     2. (ㄱ) .exrc (ㄴ) set nu
     3. (ㄱ) exrc (ㄴ) :set nu
     4. (ㄱ) .exrc (ㄴ) :set nu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exrc 파일에 .은 원래 붙어있는 것이며 set nu 에는 아무것도 붙이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도 답
[해설작성자 : 임현성]

[추가 신고]
4번도 맞는거 같네요 직접 해보니까 됩니다.

[추가 오류 신고]
4번도 실제로 같은 환경해서 해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인력 귀요미 준혁]

[추가 오류 신고]
4번도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아닙니다 아니에요!]

[추가 오류 신고]
4번도 해봤는데 됩니다.

[오류신고 반론]
:set nu 도 되기는 하지만 시험에서는 set nu가 정석 답안입니다.
(시험정답과 되는것과는 별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은 시험]

35. 다음 중 수세 리눅스의 패키지 관리 기법으로 알맞은 것은?
     1. alien
     2. dselect
     3. YaST
     4. yu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수세미(SUSE)는 야스트(YaST)라고 외우자.
[해설작성자 : 그럼 좀 쉽다]

36. 다음 중 압축 명령과 압축 해제 명령 조합으로 틀린 것은?
     1. gzip, ungzip
     2. xz, unxz
     3. bzip2, bunzip2
     4. compress, uncompress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압축 gzip
압축풀기 gunzip
[해설작성자 : 정네]

37. 다음 중 vim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 목록을 확인하려고 할 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l
     2. -L
     3. --list
     4. --install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1%
     <문제 해설>
dpkg 옵션
-l 설치된 패키지의 목록을 보여줌
-L 패키지가 설치한 파일 목록을 보여줌
-P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보여줌
-S 파일명 또는 경로가 포함된 패키지 검색
[해설작성자 : T.T]

38. 다음 중 apt-get 명령으로 nautilus라는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apt-get install nautilus
     2. apt-get nautilus install
     3. apt-get build nautilus
     4. apt-get nautilus build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무조건 install 이 앞입니다. 뒤로가는 경우가 없어요.
이건뭐 거의 꽁으로준 문제;;;;
[해설작성자 : 난 틀린문제]

39. 다음 중 yum을 이용하여 업데이트가 필요한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yum info updates
     2. yum list updates
     3. yum update
     4. yum update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yum - info  는 해당 패키지의 정보를 출력
yum - list  는 패키지의 목록을 출력한다
지문에서 업데이트가 필요한 패키지에대한 정보 출력 = 패키지의 목록출력 (헷갈림주의)
[해설작성자 : 훈민정음]

40. 다음 중 yum 명령으로 play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를 찾으려고 할 때 알맞은 것은?
     1. yum info play
     2. yum list play
     3. yum search play
     4. yum find play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yum은 search
[해설작성자 : jailrer]

41. 다음은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중에 mail 이라는 문자열이 들어있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a
     2. -qi
     3. -ql
     4. -q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모든 명령어에 q가 붙어있으니 제외하고,
a(all , 모든) 패키지를 출력하라 그 후 grep mail -> mail 문자열만 검색.
[해설작성자 : 장샤미]

42. 다음은 httpd 패키지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d
     2. -e
     3. -r
     4. -f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레드햇 계열 rpm 삭제 옵션은 e임
[해설작성자 : 그냥]

43. 다음 중 애플이 개발한 오픈 소스 프린팅 시스템으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의 시스템을 프린터 서버로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시스템으로 알맞은 것은?
     1. LPRng
     2. CUPS
     3. LPRM
     4. IPP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CUPS - 문제와 같음.
LPRng - BSD계열로 리눅스 및 유닉스 운영체제를 지원.
[해설작성자 : 천재]

44. 다음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ALSA
     2. CUPS
     3. OSS
     4. SANE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45. 다음 중 평판 스캐너, 핸드 스캐너, 비디오 캠 등 이미지 관련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API로 알맞은 것은?
     1. ALSA
     2. CUPS
     3. OSS
     4. SANE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2%

46.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프린트 관련 명령어로 틀린 것은?
     1. lpp
     2. lpq
     3. lpr
     4. lpr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리눅스에서 프린터 관련 명령어는 lpq, lpr, lprm 세가지이며 lpp 는 linux progress patch 의 약자로 부팅시 정보들을 제공하기 위한 커널패치를 뜻합니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47. 다음 중 오디오 CD로부터 음악 파일을 추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alsactl
     2. alsamixer
     3. cdparanoia
     4. xcam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alsactl : ALSA 사운드카드를 제어하는 명령입니다.
cdparanoia : 오디오 CD에서 음악 파일을 추출할 때 사용하는 명령입니다.
[해설작성자 : ㅈㄴㄱㄷ]

48. 다음 중 USB 및 SCSI 스캐너와 관련 장치 파일을 찾아주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sane-find-scanner
     2. scanimage
     3. scanadf
     4. xcam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81%


2과목 : 리눅스 활용


49. 다음 중 GNOME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GPL 라이선스만 따른다.
     2. 대표적인 윈도우 매니저이다.
     3. GNU 프로젝트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4. Qt 라이브러리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인하여 1번 보기 내용을 변경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변경전 : GPL 라이선스만 따른다.
변경후 : GPL 과 LGPL 라이센스를 따른다

GPL 과 LGPL 라이센스를 따른다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학교 김냄규]

50. 다음 중 부팅 관련 런레벨(runlevel)이 5인 경우에만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윈도 매니저
     2. 데스크톱 환경
     3. 사용자 인터페이스
     4. 디스플레이 매니저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부팅관련 런레벨 5인경우 GUI 모드로 부팅되므로
CLI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매니저는 ....당연하것쥬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전문학교 하이에나 김병우]

51. 다음 그림의 디스플레이 매니저로 알맞은 것은?

    

     1. XDM
     2. KDM
     3. QDM
     4. GD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리눅스 로그인창이 나오면 무조건 GDM
[해설작성자 : 수원공고 정보네트워크과 모용일]

52. 다음 중 리눅스 부팅 시에 X 윈도를 실행하기 위해 설정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xdm
     2. /etc/fstab
     3. /etc/inittab
     4. /etc/xdisplay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부팅 = init
[해설작성자 : 공릉대우직업능력개발원3반대장조명준]

53. 다음 중 LibreOffice 패키지에서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LibreOffice Impress
     2. LibreOffice Draw
     3. LibreOffice Calc
     4. LibreOffice Writer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7%
     <문제 해설>
LibreOffice Writer: 워드프로세서 (MS 워드에 대응)
LibreOffice Calc: 스프레드시트 (엑셀에 대응)
LibreOffice Impress: 프리젠테이션 (파워포인트에 대응)
LibreOffice Draw: 벡터 이미지 그리기
LibreOffice Base: 데이터베이스
LibreOffice Math: 수학 수식 표현
[해설작성자 : 박명수]

54. 다음 중 사운드 및 비디오 재생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dolphin
     2. gimp
     3. Okular
     4. totem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dolphin = 에뮬레이터
gimp = 이미지 편집기
totem = 사운드 및 비디오 재생 프로그램
[해설작성자 : 박명수]

okular :  PDF 뷰어
[해설작성자 : GG]

55. 다음 조건으로 실행하려고 할 때 관련 설정으로 알맞은 것은?

    

     1. export DISPLAY=“203.247.51.100:0.1”
     2. export DISPLAY=“203.247.51.100:0.2”
     3. export DISPLAY=“203.247.51.100:1.1”
     4. export DISPLAY=“203.247.51.100:1.2”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export DISPLAY=“203.247.51.100:0.1”
                                0부터 첫번째로 치며 문제에서 첫번째 x 서버 라고 했으므로 0 두번째 모니터라고 했으므로 1이 된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56.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xauth
     2. xhost
     3. xmodmap
     4. xwininfo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Xhost - x서버에서 접근 가능한 IP 주소 및 호스트 명을 확인하는 역할.
Xauth - x서버에서 x클라이언트 허가를 위해 생성한 키 값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역할.
[해설작성자 : 천재]

57. 다음 중 T568B의 배열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흰녹, 녹, 흰주, 파, 흰파, 주, 흰갈, 갈
     2. 흰주, 주, 흰녹, 파, 흰파, 녹, 흰갈, 갈
     3. 흰주, 주, 흰녹, 녹, 흰파, 파, 흰갈, 갈
     4. 흰녹, 녹, 흰파, 파, 흰주, 주, 흰갈, 갈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8%
     <문제 해설>
UTP 케이블하고 색갈이 같습니다, UTP 케이블이라고 생각하시면 더 쉬우실껍니다.
T568A - 흰녹, 녹, 흰주, 파, 흰파, 주, 흰갈, 갈
T568B - 흰주, 주, 흰녹, 파, 흰파, 녹, 흰갈, 갈

T568A 를 "크로스 케이블" T568B 를 "다이렉트"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Tim]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T568A 를 왜 크로스라고 하고 B를 왜 다이렉트라고 하는건가요
제가 알기로는 양 끝단 따라서 바뀌는걸로 아는데 A-A B-B 모두 다이렉트케이블이고
A-B B-A 모두 크로스케이블로 알고 있는데
[해설작성자 : 무자돌이]

B-B : 다이렉트
A-B : 크로스
A-A : 라는건 없음
[해설작성자 : 물어보길래]

58. LAN 구성 방식 중 장애 발생 시에도 다른 시스템에 영향이 적고,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여 가장 신뢰성이 높은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링형
     2. 망형
     3. 버스형
     4. 스타형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링형 : 네트워크 전송 충돌 X, 네트워크 숫자가 늘어도 전체적인 성능 저하에 영향 X
버스형 : 연결된 컴퓨터 성능에 따라 네트워크 성능 좌우, 단말기 추가 및 제거에 용이, 설치비용 저렴
스타형 : 일부 장애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 X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 행인]

59.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X.25
     2. Ethernet
     3. FDDI
     4. Token Ring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2.Ethernet : CSMA/CD 방식 사용

[추가 해설]
Ethernet은 802.3
[해설작성자 : 홍해장]

60.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더넷 매체로 알맞은 것은?

    

     1. 1000BASE-FX
     2. 1000BASE-SX
     3. 1000BASE-LX
     4. 1000BASE-CX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SX = 최대 길이 550m
LX = 멀티모드에서 550m, 싱글모드에서 5000m
CX = 5 ~ m
T = 100m
http://ecomputernotes.com/computernetworkingnotes/communication-networks/gigabit-ethernet
[해설작성자 : 박명수]

61. 다음에서 설명하는 OSI 계층으로 알맞은 것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프레임을 전달한다고 했으므로 프레임이 전달 단위인 '데이터링크 계층'이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Fresh Flesh]

62. 다음 중 국제인터넷 주소자원 관리기관에서 인터넷 초창기에 만든 7개의 일반 최상위 도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edu
     2. int
     3. biz
     4. mil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인터넷 초창기에 생성된 COM, NET, ORG(등록시 별다른 제한 없음), EDU, GOV, INT, MIL(등록시 제한 있음) 등 7개의 TLD와 2001~2002년에 걸쳐 새롭게 생성된 BIZ, INFO, NAME, PRO(이상 Unsponsored TLD), AERO, COOP, MUSEUM(이상 Sponsored TLD) 등 7개, 2005년에 생성된 CAT, JOBS, MOBI, TEL, TRAVEL(이상 Sponsored TLD) 등 5개의 TLD를 합쳐 현재 총 19개의 gTLD가 있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63.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IP
     2. ARP
     3. TCP
     4. ICMP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0%
     <문제 해설>
IP-MAC = ARP
MAC->IP = RARP

64. NFS는 RPC(Remote Procedure Call)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로서 관련 데몬을 먼저 실행해야 한다. 다음 중 관련 데몬명으로 알맞은 것은?
     1. bind
     2. rpcinfo
     3. rpcbind
     4. bindinfo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2%
     <문제 해설>
bind - Berkeley Internet Name Domin  DNS란 이름과 IP주소를 맵핑
rpcinfo - RPC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전문학교 떡디션 하이에나 김병우]

65. 다음은 특정 명령을 이용해서 웹 서비스 동작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telnet
     2. ftp
     3. ssh
     4. ping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동작여부 확인하는 것이니까 telnet으로 접속해야 한다.

ssh로도 접속은 가능하지만 80번 포트로 접속하기 위해선
ssh -p 80 www.ihd.or.kr와 같이 접속하여야 한다.

telnet은 맨 뒤에 포트 번호를 넣으면 해당 포트로 접속되지만 ssh는 -p 기능을 이용해 포트 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이재근]

66. FTP는 2개의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다음 중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FTP 관련 포트 번호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20번과 21번
     2. 21번과 22번
     3. 21번과 23번
     4. 22번과 23번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0 포트 - FTP 데이터 포트 (파일전송)
21 포트 - FTP 제어 포트 (접속)
22 포트 - SSH
23 포트 - Telnet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전문학교 떡디션 하이에나 김병우]

67. 다음 중 메일 서비스와 가장 관련이 없는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AUTH
     2. SMTP
     3. POP3
     4. IMAP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8%
     <문제 해설>
2.SMTP : 발신
3.POP3 : 수신
4.IMAP : 수신 (POP프로토콜과 비슷)
[해설작성자 : 나그네]

68. 다음에서 설명하는 인터넷 서비스로 알맞은 것은?

    

     1. ssh
     2. rsync
     3. rlogin
     4. telnet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76%
     <문제 해설>
ssh - 텔넷의 보안이 강화되어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안전 (22port/TCP)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전문학교 떡디션 하이에나 김병우]

Telnet에 비해 비교적 안정
[해설작성자 : 수박이좋아]

69. IP 주소가 192.168.5.3인 시스템의 ssh 서비스 포트번호가 180번이다. 다음 중 해당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ssh 192.168.5.3 180
     2. ssh –s 180 192.168.5.3
     3. ssh –l 180 192.168.5.3
     4. ssh –p 180 192.168.5.3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8%
     <문제 해설>
ssh -1 : 서버 접속
ssh -I : 서버에 로그인 할 사용자 계정을 지정.
ssh -p : ssh서버의 포트 번호를 지정.
[해설작성자 : 천재]

70. 다음 설명일 때 나타나는 netstat 명령의 상태값(State)으로 알맞은 것은?

    

     1. LISTEN
     2. SYS-SENT
     3. ESTABLISHED
     4. SYN_RECEIVED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6%
     <문제 해설>
netstat 상태값 옵션

CLOSED - 연결이 완전히 종료된 상태
CLOSING - 확인메세지가 전송중 유실된 상태
CLOSE_WAIT - TCP연결이 상위레벨로부터 종료를 기다리는 단계
ESTABLISHED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세션연결이되어 통신이 되는 단계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된상태 의미)
FIN_WAIT 1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을 끊고자 요청하는 상태
FIN_WAIT 2 -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결종료를 기다리는 상태
LAST_ACK - 호스트가 원격지호스트의 연결종료 요구승인을 기다리는 상태
LISTEN - 서버의 데몬이 떠있어서 클라이언트 접속요청을 기다리는 상태
SYN_SEN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을 요청한 상태
SYN_RECEIVED -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부터 접속요구를 받아 클라이언트에 응답했지만 클라이언트로 부터 확인 메세지는 못받은상태
TIME_WAIT  - 연결은 종료되었지만 소켓을 당분간 열어둔 상태

단골출제문제입니다 핵심을 외워두면좋겟죠?
[해설작성자 : 초코님]

71. 다음 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arp
     2. ifconfig
     3. ethtool
     4. route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 arp - 논리적주소 -> 물리적주소 (OSI 네트워크 3계층)
2. ifconfig - 네트워크 설정
3. ethtool - 케이블의 종류 및 속도 등의 정보 표시
4. route - 네트워크 라우팅 테이블 조작시 설정

72. 다음 중 시스템에 설정된 게이트웨이 주소값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oute
     2. ifconfig
     3. mii-tool
     4. ethtool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게이트웨이 주소값 확인 명령어]
1. route : 확인도가능하고 값설정(route add default gw 292.168.0.1)도 할 있습니다.
2. ip route :
3. netstate -rn
4. cat /etc/sysconfig/network

[해설작성자 : speedjung]

73. 다음 조건 일 때 생성되는 서브네트워크의 개수로 알맞은 것은?

    

     1. 2
     2. 4
     3. 64
     4. 128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9%
     <문제 해설>
C클래스의 서브넷은 255.255.255.0 이므로
서브넷 비트 1개를 고정해주어서 2개로 나눠줌
즉 255.255.255. 100000000 과 255.255.255.00000000
0 과 1 2개로 나눠줌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전문학교 떡디션 하이에나 김병우]

74. 다음 그림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arp
     2. route
     3. ethtool
     4. mii-tool

     정답 : [1]☜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논리적 주소(200...)를 물리적 주소(00:22...)를 변경 하는건 arp

75. 모든 소켓의 PID 및 프로그램명을 출력하고, 호스트명 및 포트명은 숫자값으로 출력하려고 한다.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an
     2. -ap
     3. -anp
     4. -aux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9%
     <문제 해설>
netstat 옵션
a = 모든 소켓 보기
n = 도메인 주소를 읽어들이지 않고 숫자로 출력한다.
p = PID와 사용중인 프로그램명이 표시된다.
u = UDP 프로토콜 보기
더 많은 옵션이 있으므로 다른 옵션들은 구글 검색을 통해 공부해봅시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76. 다음 ( 괄호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ip
     2. ifconfig
     3. ethtool
     4. mii-tool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5%
     <문제 해설>
mii-tool(Media Independent Interface(MII) tool)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강제적으로 랜카드의 속도와 duplex 모드(100baseTx-FD 100baseTx-HD 10baseT-FD
10baseT-HD)를 변경하는데 사용하는 툴이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77.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임베디드 시스템
     2. HPC
     3. HA Cluster
     4. 부하분산 클러스터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임베디드 시스템 = 임베디드 시스템(영어: embedded system, 내장형 시스템)은 기계나 기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 대해, 제어를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장치 내에 존재하는 전자 시스템이다.

HPC = 고성능 컴퓨팅(High-Performance Computing, HPC)은 고급 연산 문제를 풀기 위하여 슈퍼컴퓨터 및 컴퓨터 클러스터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HA Cluster = 두대의 시스템이 Active - Active(각각의 노드가 각각 서비스를 수행) 혹은 Active-standby(한 노드가 서비스를 수행하고 다른 노드가 standby 상태로 대기) 형태로 구성되며 서비스중에 문제가 발생하거나(unplanned outges)혹은 서비스 업그레이드 등을 위한 예고된 시스템 정지(planned outages)시 정지된 서버에서 가동되던 서비스가 나머지 노드로 fail over 하도록 구성된 고가용성 클러스터를 말한다.

부하분산 클러스터 =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산 부하량을 여러 노드에서 분담하여 병렬 처리하도록 구성 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78. 다음 중 리눅스 커널을 사용하지 않는 운영체제로 알맞은 것은?
     1. Android
     2. Tizen
     3. QNX
     4. Bada OS

     정답 : [3]☜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2%
     <문제 해설>
QNX는 1982년에 개발한 유닉스 계열의 서버 운영 체제이다.
[해설작성자 : 박명수]

79. 다음 설명하는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NX IVI
     2. Android IVI
     3. Tizen IVI
     4. GENIVI

     정답 : [4]☜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QNX 1982년에 개발한 유닉스 계열의 서버 운영체제
2. Android 휴대 전화를 비롯한 휴대용 장치를 위한 운영체제
3. Tizen 2011년 9월부터 리눅스재단에 의해 발표된 제 3의 모바일 운영체제이며,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TV나 넷북 등 다양한 기기에서 작동하는 표준 기반의 개방형 모바일 운영체제로서, 모든 API는 HTML5와 자바스크립트, CSS와 같은 웹표준을 지원한다
4. GENIVI-  CeBIT에서 8개 회원사(BMW, 델파이, GM, 인텔, 마그네티 마렐리, PSA 푸조-시트로엥, 비스테온, 윈드리버)로 출발한 GENIVI 얼라이언스는 불과 1년 만에 73개 회원사를 둔 카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동맹
[해설작성자 : 연세직업전문학교 떡디션 하이에나]

80. 다음에서 설명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IaaS
     2. PaaS
     3. SaaS
     4. DaaS

     정답 : [2]☜ 블럭 설정하면 보임
     정답률 : 51%
     <문제 해설>
IaaS = 인프라스트럭쳐 레벨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
PaaS =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서비스 하기위해 사용가능한 서비스와 기능들이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의미.
SaaS = 어플리케이션의 소비 관점에서 제공되는 IT의 서비스 방식을 의미.
Daas = 클라우드 기반 데스크톱으로 PaaS와 SaaS를 결합한 데스크톱 서비스.
[해설작성자 : 박명수]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12월 05일(689901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0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7월 12일(4회)(2656022)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4
3669 건축일반시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9월 08일(7621635) 좋은아빠되기 2022.07.06 304
3668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9년 01월 18일(1회)(5839069)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40
3667 잠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07월 19일(4회)(7650960)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64
366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6월 25일(883363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10
3665 비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11월 13일(5264257)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39
3664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1년 04월 29일(2회)(794974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66
3663 의료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7월 31일(4회)(939573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90
3662 유기농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3년 08월 18일(717139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304
3661 철도차량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0년 06월 06일(237589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306
3660 염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5년 07월 17일(4회)(4272450)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42
365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6월 15일(948755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18
3658 물류관리사 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6년 07월 02일(525742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61
3657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1년 02월 13일(1회)(819707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94
3656 9급 국가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9년 04월 06일(103995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94
3655 직업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8년 08월 19일(4428104) 좋은아빠되기 2022.07.06 38
»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15년 12월 05일(6899013)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72
3653 판금제관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4월 07일(8280952)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37
3652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21년 03월 06일(541522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152
3651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전자문제집 CBT 2002년 05월 26일(9772788) 좋은아빠되기 2022.07.06 228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210 Next
/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