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사학12도 중 하나로 최충이 세웠다. 2.향교 3.고려시대 향교(향학) 4.국자감 [해설작성자 : 죽창맨]
12.
다음 건의를 받아들인 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2011년 05월)
1.
서경을 중시하여 천도를 추진하였다.
2.
5도 양계의 지방 제도를 확립하였다.
3.
국자감을 설치하여 유학 교육 진흥에 힘썼다.
4.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 세력을 억제하였다.
5.
연등회, 팔관회 등 불교 행사를 적극 장려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고려 성종때 최승로가 제안한 시무 28조 내용의 일부입니다. 성종은 최승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교 정치 이념 확립, 중앙 정치 기구 정비(당의 2성 6부제), 12목 설치 - 지방관 파견, 국자감 정비, 의창 설치 하였습니다. [해설작성자 : Myles Kennedy]
1. 태조 2. 현종 3. 성종 4. 광종 5. 태조 [해설작성자 : 68받음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보기는 정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1 - 인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가)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3년 01월)
1.
농민에게 토지를 지급하였다.
2.
노동력의 징발 권리까지 주었다.
3.
직역의 대가로 수조권을 지급하였다.
4.
수신전, 휼양전의 명목으로 세습되었다.
5.
경기 지역에 한정하여 토지를 지급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 고려 전시과 제도 고려는 국가에 봉사하는 대가로 관료에게 토지를 나누어 주는 전시과 제도를 운영. 전시과 제도는 경종 때 처음 만들어졌다. 관료에게 줄 토지가 부족해지면서 지급량을 줄이고, 문종 때에는 지급 대상을 현직 관료로 제한하였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1.정전 지급 4.과전법 5.과전법 [해설작성자 : ㅈㅅㅈㅅㅋ]
14.
(가)~(다)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2023년 06월)
1.
(가)-(나)-(다)
2.
(가)-(다)-(나)
3.
(나)-(가)-(다)
4.
(나)-(다)-(가)
5.
(다)-(가)-(나)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가)는 무신정변 (나)는 이자겸의 난 (다)는 묘청의 서경천도의 운동 묘청의 서경천도의 운동은 금나라에 대한 사대에 반발하여 일으킨 난으로, 무신정변은 몽골(원)시대의 일이므로 (나) 이후에 (가)가 일어났고, 이자겸의 난 직후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이 일어났으므로 나 다 가 [해설작성자 : 2주만에1급달리는중]
이자겸의 난 1126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135 무신정변 1170
15.
(가)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8년 02월)
1.
원 간섭기에 첨의부로 격하되었다.
2.
고려 말에 도평의사사로 명칭이 바뀌었다.
3.
소속 관원이 낭사와 함께 대간으로 불렸다.
4.
공민왕 때 내정 개혁의 일환으로 운영되었다.
5.
최씨 무신 정권의 최고 권력 기구로 활용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공민왕때의 업적을 말하는것이며, 내정개혁의 일환으로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권문세족의 불법으로 빼았았던 토지와 노비를 돌려주어 권문세족의 기반을 약화시켰던 제도이다.
[추가 해설] 1.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원 간섭기 고려때 첨의부로 격하. 2. 고려 전기의 도병마사가 고려 말에 도평의사사로 변경. 3. 중서문하성의 3품 이하 관원의 이름 : 중서문하성낭사를 줄여서 낭사라고 부름. or 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관원과 합칭할 때는 대간이라고 부름. 4. 정답(전민변정도감) 5. 교정도감. 최씨 정권의 반대세력을 제거하는데 이용된 기구.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전민변정도감 설치(공민왕의 개혁 정치) 공민왕은 신돈을 등용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문세족이 부당하게 빼앗은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되돌려 주고,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을 양민으로 되돌려 주어 국가 재정을 확충하려 하였어요. (왕권 강화 정책)
다음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3년 10월)
1.
전국적으로 장시가 널리 확산되었다.
2.
광작과 상품 작물의 재배가 확대되었다.
3.
상업 장려를 위해 관영 상점이 개설되었다.
4.
전문적으로 광산을 경영하는 덕대가 출현하였다.
5.
정률 지대에서 정액 지대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3. 고려시대 [해설작성자 : 이번엔합격ㅠㅠ]
5번은 도조법에 대한 설명인 듯 합니다.. 3번과 5번이 헷갈려 5번을 했는데 틀렸네요.. [해설작성자 : 헷갈리지 맙시다]
28.
다음과 같이 주장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12년 10월)
1.
안정복, 이중환 등이 그의 사상을 계승하였다.
2.
상공업 진흥을 위하여 화폐 유통을 강조하였다.
3.
사회의 폐단을 여섯 가지 좀으로 규정하여 비판하였다.
4.
조선의 3대 도적으로 임꺽정, 장길산, 홍길동을 들었다.
5.
붕당의 폐해를 지적하고, 사농 합일론(士農合一論)을 주장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중농적 실학자 이익(1681~1763)
조선 후기 농업 중심 개혁론을 더욱 발전시키고 이를 대표하는 사람은 18세기 전반에 주로 활약한 이익이었다.
그는 유형원의 실학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으며, 많은 제자를 길러 내 학파를 형성하였고(성호 학파: 안정복, 권철신 등), 이중환, 정약용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그는 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제도 개혁론으로 성호사설의 곽우록에서 한전론(限田論: 한 가정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규모의 토지를 영업전으로 정한 다음, 영업전은 법으로 매매를 금지하고, 나머지 토지만 매매를 허용)을 주장하고, 나라를 좀먹는 여섯 가지의 폐단(6좀: 노비 제도, 과거 제도, 양반 문벌 제도, 사치와 미신, 승려, 게으름)을 지적 [해설작성자 : 부엉이]
29.
다음 사건 이후 추진된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2021년 10월)
1.
과거제를 폐지하였다.
2.
태양력을 시행하였다.
3.
육영 공원을 설립하였다.
4.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였다.
5.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자료 속 사건은 을미사변(1895)으로 을미사변 이후에 추진된 개혁은 을미개혁이다. 을미개혁의 내용에는 단발령, 태양력 채택, 종두법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1차 갑오개혁 2. 3차 갑오개혁(을미개혁) 3. 1886 4. 1차 갑오개혁 5. 개항 시 (1880) [해설작성자 : ㅋ]
30.
(가)~(라)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22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가_ 삼국의 역사를 적은 김부식의 삼국사기 나_ 동국통감 다_ 삼국유사 라_ 유득공의 발해고
- 재판소를 설치하여 사법권 독립 → 2차 갑오개혁 (1895) - 미국과 합작하여 한성 전기 회사 설립(1898) → 고종과 황실 -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백전 주조->고종 때 경복궁 중건(흥선대원군 정권) -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하고 외국어 학교 관제를 마련 → 2차 갑오개혁 [해설작성자 : 고급4수;;]
32.
다음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8년 10월)
1.
양곡의 무제한 유출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2.
외국 상인의 내지 통상권을 최초로 규정하였다.
3.
청의 알선으로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조약이다.
4.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부임하는 계기가 되었다.
5.
부산, 원산, 인천에 개항장이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만약 타국이 불공평하게...잘 조정해서 ->거중조정 82년 조미 수호 통상조약에 관한 내용이다
[추가 해설]
1. 조일무역규칙 (1876) 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1883) 3. 조미수호조규 (1882) 4. 제 1차 한일협약 (1904) 5. 조일수호조규 (1876) [해설작성자 : 양대경]
청의 알선 - 황쭌쉔의 조선책략에 의해 방러하려면 : 친중,결일,연미 해야한다해서 한듯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배설은 베델의 이름을 음차한 것이다. 베델이 참여한 신문은 대한매일신보. 대한매일신보 - 1904년 창간 일간신문, 한글과 영어로 작성, 양기탁 총무, 일제에 비판적, 국채 보상 운동 지원 [해설작성자 : 목표는 1급]
1. 한성순보, 강화도 조약 이후 박문국 2. 동아일보, 1930년대 일제 강점기 3. 황성신문, 대한제국기 (황성 황국 나오면 대한제국) 5. 독립신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다음 책이 유포된 이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17년 08월)
1.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2.
김기수를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하였다.
3.
어재연 장군이 광성보에서 항전하였다.
4.
박규수의 건의로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5.
홍경래가 난을 일으켜 정주성 등을 장악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차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왔던 김홍집(1880)이 수입한 '조선책략'으로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서는 친중,결일,방미 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국과의 수교가 주장되었으나 이만손을 중심으로 하는 영남지역 위정척사파들로부터 저항을 받아 '영남 만인소'(1881) 사건이 발생하였다.
<문제 해설> 신흥무관학교,안창호,비밀결사단체 - 신민회 1. 조선어학회 2. 의열단 3. 동아일보 4. 대한민국임시정부 5. 신민회 (대성 학교 - 안창호,오산 학교 - 이승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가)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24년 10월)
1.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중단되었다.
2.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저지하였다.
3.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삼아 추진되었다.
4.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5.
성진회와 각 학교 독서회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민족 최대의 독립 운동: 3.1 운동 1.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중단: 애국 계몽 운동 2.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 독립협회 3. 순종의 인산일: 6.10 만세 운동 4.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계기: 3.1 운동 5. 성진회, 독서회로 전국적 확산: 광주학생항일운동 [해설작성자 : 최태성완강]
37.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2년 12월)
1.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났다.
2.
임병찬이 독립 의군부를 조직하였다.
3.
독립군이 봉오동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4.
도쿄 유학생들이 2·8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5.
조선 민족 전선 연맹 산하에 조선 의용대가 창설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가) 1926년 (나) 1927년 키워드로 등장하는 신간회는 6.10만세운동의 영향을 받아 등장하였고, 광주항일학생운동에 도움을 주었다. 순서 : 6.10만세운동 > 신간회결성 > 광주항일학생운동
1. [정답] 1927년 2. 1912년 (가)이전 3. 1920년 (가)이전 4 1919년 (가)이전 5. 1938년 (나)이후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가) 정우회 선언 1926 (나) 신간회 해소 1931 1.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9
그래프와 관련된 일제의 경제 정책이 시행된 결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3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
ㄴ.토지조사사업 ㄹ.토지조사사업 [해설작성자 : 죽창맨]
40.
(가) 종교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08월)
1.
개벽과 신여성 등의 잡지를 발간하였다.
2.
중광단의 무장 항일 투쟁을 주도하였다.
3.
위정 척사를 내세워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4.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하였다.
5.
경향신문을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기여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대종교
1.천도교 3.유교 4.기독교 5.천주교 [해설작성자 : 죽창맨]
신문과 엮어서도 자주 나옴. 천도교 - 만세보(1906-1907) 천주교 - 경향신문(1906-19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1.
밑줄 그은‘이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2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대한제국과 광무개혁(1897~1904)
러시아 공사관에서 환궁(1897) 후 고종은 연호를 광무라 고친 후 환구단을 쌓아 황제 즉위식을 하고 국호를 대한 제국이라 선포하였다. 대한 제국은 ‘만국공법’에 기초하여 건국된 국가로, 고종은 국내외에 대한 제국이 자주 독립 국가임을 분명히 하였다.
1899년에는 헌법이라 할 수 있는 ‘대한국 국제’를 제정하여 황제가 군대 통수권, 입법권, 행정권 등 모든 권한을 장악한 전제 군주임을 강조하였다.
대한 제국은 구본신참의 원칙 아래 점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였다. 대한 제국은 국가의 자주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물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군사력 강화와 재정 확충, 상공업 육성에 주력하였다. 원수부를 설치하여 황제가 군사권을 장악하고 황제 호위 부대를 증강하였으며, 장교 양성을 위해 무관 학교를 설립하였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보기 해설 ㄴ. 정부의 개화 정책 - 근대식 무기 제조 기술 도입을 위해 청에 파견된 사절단으로, 김윤식 등이 청의 무기 제조 기술을 습득하였다. 귀국 후 무기 제조 공장인 기기창 설립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ㄹ. 제 2차 갑오개혁 - 근대 교육 제도 마련의 방안으로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함. [해설작성자 : 감사한 마음에..]
1. 3.1운동과 6.10 만세운동을 거치면서 민족운동 활발,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의 결합 3. 민립 대학 설립 운동 4. 제 4차 조선 교육령은 학교가 학생 동원 기관으로 전환됨. 5. 전국적인 모금 운동은 민립 대학 설립 운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브나로드 운동(1931-1934) 동아일보 민립대학설립운동(1922-1924) 제4차 조선 교육령(1943)
해당 한글원본 자료는 문자 보급 운동입니다 문자보급 운동(1929-1934) 조선일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가) 부대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3점](2021년 02월)
1.
흥경성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2.
호가장 전투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3.
대전자령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4.
중국 팔로군에 편제되어 항일 전선에 참여하였다.
5.
연합군과 함께 인도·미얀마 전선에서 활동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영릉가 전투, 양세봉, 흥경성 전투, 조선혁명군, 남간도 (cf. 지청천, 한국독립군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북간도, 대전자령 전투, 쌍성보 전투) 이렇게 인물-전투-지역명 등을 매칭할 수 있으면 좋음
1.사학12도 중 하나로 최충이 세웠다. 2.향교 3.고려시대 향교(향학) 4.국자감 [해설작성자 : 죽창맨]
12.
다음 건의를 받아들인 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2점](2011년 05월)
1.
서경을 중시하여 천도를 추진하였다.
2.
5도 양계의 지방 제도를 확립하였다.
3.
국자감을 설치하여 유학 교육 진흥에 힘썼다.
4.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 세력을 억제하였다.
5.
연등회, 팔관회 등 불교 행사를 적극 장려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고려 성종때 최승로가 제안한 시무 28조 내용의 일부입니다. 성종은 최승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교 정치 이념 확립, 중앙 정치 기구 정비(당의 2성 6부제), 12목 설치 - 지방관 파견, 국자감 정비, 의창 설치 하였습니다. [해설작성자 : Myles Kennedy]
1. 태조 2. 현종 3. 성종 4. 광종 5. 태조 [해설작성자 : 68받음ㅠ]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보기는 정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오류 신고] 1 - 인종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가)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3년 01월)
1.
농민에게 토지를 지급하였다.
2.
노동력의 징발 권리까지 주었다.
3.
직역의 대가로 수조권을 지급하였다.
4.
수신전, 휼양전의 명목으로 세습되었다.
5.
경기 지역에 한정하여 토지를 지급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 고려 전시과 제도 고려는 국가에 봉사하는 대가로 관료에게 토지를 나누어 주는 전시과 제도를 운영. 전시과 제도는 경종 때 처음 만들어졌다. 관료에게 줄 토지가 부족해지면서 지급량을 줄이고, 문종 때에는 지급 대상을 현직 관료로 제한하였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1.정전 지급 4.과전법 5.과전법 [해설작성자 : ㅈㅅㅈㅅㅋ]
14.
(가)~(다)를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3점](2023년 06월)
1.
(가)-(나)-(다)
2.
(가)-(다)-(나)
3.
(나)-(가)-(다)
4.
(나)-(다)-(가)
5.
(다)-(가)-(나)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가)는 무신정변 (나)는 이자겸의 난 (다)는 묘청의 서경천도의 운동 묘청의 서경천도의 운동은 금나라에 대한 사대에 반발하여 일으킨 난으로, 무신정변은 몽골(원)시대의 일이므로 (나) 이후에 (가)가 일어났고, 이자겸의 난 직후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이 일어났으므로 나 다 가 [해설작성자 : 2주만에1급달리는중]
이자겸의 난 1126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1135 무신정변 1170
15.
(가)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18년 02월)
1.
원 간섭기에 첨의부로 격하되었다.
2.
고려 말에 도평의사사로 명칭이 바뀌었다.
3.
소속 관원이 낭사와 함께 대간으로 불렸다.
4.
공민왕 때 내정 개혁의 일환으로 운영되었다.
5.
최씨 무신 정권의 최고 권력 기구로 활용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공민왕때의 업적을 말하는것이며, 내정개혁의 일환으로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해 권문세족의 불법으로 빼았았던 토지와 노비를 돌려주어 권문세족의 기반을 약화시켰던 제도이다.
[추가 해설] 1.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원 간섭기 고려때 첨의부로 격하. 2. 고려 전기의 도병마사가 고려 말에 도평의사사로 변경. 3. 중서문하성의 3품 이하 관원의 이름 : 중서문하성낭사를 줄여서 낭사라고 부름. or 어사대와 중서문하성의 관원과 합칭할 때는 대간이라고 부름. 4. 정답(전민변정도감) 5. 교정도감. 최씨 정권의 반대세력을 제거하는데 이용된 기구.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전민변정도감 설치(공민왕의 개혁 정치) 공민왕은 신돈을 등용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문세족이 부당하게 빼앗은 토지를 원래 주인에게 되돌려 주고,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을 양민으로 되돌려 주어 국가 재정을 확충하려 하였어요. (왕권 강화 정책)
다음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2013년 10월)
1.
전국적으로 장시가 널리 확산되었다.
2.
광작과 상품 작물의 재배가 확대되었다.
3.
상업 장려를 위해 관영 상점이 개설되었다.
4.
전문적으로 광산을 경영하는 덕대가 출현하였다.
5.
정률 지대에서 정액 지대로 바뀌는 현상이 나타났다.
정답 : [
3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3. 고려시대 [해설작성자 : 이번엔합격ㅠㅠ]
5번은 도조법에 대한 설명인 듯 합니다.. 3번과 5번이 헷갈려 5번을 했는데 틀렸네요.. [해설작성자 : 헷갈리지 맙시다]
28.
다음과 같이 주장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2012년 10월)
1.
안정복, 이중환 등이 그의 사상을 계승하였다.
2.
상공업 진흥을 위하여 화폐 유통을 강조하였다.
3.
사회의 폐단을 여섯 가지 좀으로 규정하여 비판하였다.
4.
조선의 3대 도적으로 임꺽정, 장길산, 홍길동을 들었다.
5.
붕당의 폐해를 지적하고, 사농 합일론(士農合一論)을 주장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중농적 실학자 이익(1681~1763)
조선 후기 농업 중심 개혁론을 더욱 발전시키고 이를 대표하는 사람은 18세기 전반에 주로 활약한 이익이었다.
그는 유형원의 실학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으며, 많은 제자를 길러 내 학파를 형성하였고(성호 학파: 안정복, 권철신 등), 이중환, 정약용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그는 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제도 개혁론으로 성호사설의 곽우록에서 한전론(限田論: 한 가정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규모의 토지를 영업전으로 정한 다음, 영업전은 법으로 매매를 금지하고, 나머지 토지만 매매를 허용)을 주장하고, 나라를 좀먹는 여섯 가지의 폐단(6좀: 노비 제도, 과거 제도, 양반 문벌 제도, 사치와 미신, 승려, 게으름)을 지적 [해설작성자 : 부엉이]
29.
다음 사건 이후 추진된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2점](2021년 10월)
1.
과거제를 폐지하였다.
2.
태양력을 시행하였다.
3.
육영 공원을 설립하였다.
4.
공사 노비법을 혁파하였다.
5.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자료 속 사건은 을미사변(1895)으로 을미사변 이후에 추진된 개혁은 을미개혁이다. 을미개혁의 내용에는 단발령, 태양력 채택, 종두법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1차 갑오개혁 2. 3차 갑오개혁(을미개혁) 3. 1886 4. 1차 갑오개혁 5. 개항 시 (1880) [해설작성자 : ㅋ]
30.
(가)~(라)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22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가_ 삼국의 역사를 적은 김부식의 삼국사기 나_ 동국통감 다_ 삼국유사 라_ 유득공의 발해고
- 재판소를 설치하여 사법권 독립 → 2차 갑오개혁 (1895) - 미국과 합작하여 한성 전기 회사 설립(1898) → 고종과 황실 - 재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백전 주조->고종 때 경복궁 중건(흥선대원군 정권) -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하고 외국어 학교 관제를 마련 → 2차 갑오개혁 [해설작성자 : 고급4수;;]
32.
다음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점](2018년 10월)
1.
양곡의 무제한 유출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2.
외국 상인의 내지 통상권을 최초로 규정하였다.
3.
청의 알선으로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조약이다.
4.
스티븐스가 외교 고문으로 부임하는 계기가 되었다.
5.
부산, 원산, 인천에 개항장이 설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만약 타국이 불공평하게...잘 조정해서 ->거중조정 82년 조미 수호 통상조약에 관한 내용이다
[추가 해설]
1. 조일무역규칙 (1876) 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1883) 3. 조미수호조규 (1882) 4. 제 1차 한일협약 (1904) 5. 조일수호조규 (1876) [해설작성자 : 양대경]
청의 알선 - 황쭌쉔의 조선책략에 의해 방러하려면 : 친중,결일,연미 해야한다해서 한듯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배설은 베델의 이름을 음차한 것이다. 베델이 참여한 신문은 대한매일신보. 대한매일신보 - 1904년 창간 일간신문, 한글과 영어로 작성, 양기탁 총무, 일제에 비판적, 국채 보상 운동 지원 [해설작성자 : 목표는 1급]
1. 한성순보, 강화도 조약 이후 박문국 2. 동아일보, 1930년대 일제 강점기 3. 황성신문, 대한제국기 (황성 황국 나오면 대한제국) 5. 독립신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4.
다음 책이 유포된 이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17년 08월)
1.
이만손 등이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2.
김기수를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하였다.
3.
어재연 장군이 광성보에서 항전하였다.
4.
박규수의 건의로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5.
홍경래가 난을 일으켜 정주성 등을 장악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차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왔던 김홍집(1880)이 수입한 '조선책략'으로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서는 친중,결일,방미 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미국과의 수교가 주장되었으나 이만손을 중심으로 하는 영남지역 위정척사파들로부터 저항을 받아 '영남 만인소'(1881) 사건이 발생하였다.
<문제 해설> 신흥무관학교,안창호,비밀결사단체 - 신민회 1. 조선어학회 2. 의열단 3. 동아일보 4. 대한민국임시정부 5. 신민회 (대성 학교 - 안창호,오산 학교 - 이승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가)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점](2024년 10월)
1.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중단되었다.
2.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저지하였다.
3.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삼아 추진되었다.
4.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5.
성진회와 각 학교 독서회에 의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민족 최대의 독립 운동: 3.1 운동 1. 통감부의 방해와 탄압으로 중단: 애국 계몽 운동 2.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 독립협회 3. 순종의 인산일: 6.10 만세 운동 4.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계기: 3.1 운동 5. 성진회, 독서회로 전국적 확산: 광주학생항일운동 [해설작성자 : 최태성완강]
37.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2점](2022년 12월)
1.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났다.
2.
임병찬이 독립 의군부를 조직하였다.
3.
독립군이 봉오동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4.
도쿄 유학생들이 2·8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5.
조선 민족 전선 연맹 산하에 조선 의용대가 창설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가) 1926년 (나) 1927년 키워드로 등장하는 신간회는 6.10만세운동의 영향을 받아 등장하였고, 광주항일학생운동에 도움을 주었다. 순서 : 6.10만세운동 > 신간회결성 > 광주항일학생운동
1. [정답] 1927년 2. 1912년 (가)이전 3. 1920년 (가)이전 4 1919년 (가)이전 5. 1938년 (나)이후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애]
(가) 정우회 선언 1926 (나) 신간회 해소 1931 1.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9
그래프와 관련된 일제의 경제 정책이 시행된 결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2013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
ㄴ.토지조사사업 ㄹ.토지조사사업 [해설작성자 : 죽창맨]
40.
(가) 종교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2점](2014년 08월)
1.
개벽과 신여성 등의 잡지를 발간하였다.
2.
중광단의 무장 항일 투쟁을 주도하였다.
3.
위정 척사를 내세워 영남 만인소를 올렸다.
4.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에 기여하였다.
5.
경향신문을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기여하였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대종교
1.천도교 3.유교 4.기독교 5.천주교 [해설작성자 : 죽창맨]
신문과 엮어서도 자주 나옴. 천도교 - 만세보(1906-1907) 천주교 - 경향신문(1906-19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1.
밑줄 그은‘이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3점](2012년 08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대한제국과 광무개혁(1897~1904)
러시아 공사관에서 환궁(1897) 후 고종은 연호를 광무라 고친 후 환구단을 쌓아 황제 즉위식을 하고 국호를 대한 제국이라 선포하였다. 대한 제국은 ‘만국공법’에 기초하여 건국된 국가로, 고종은 국내외에 대한 제국이 자주 독립 국가임을 분명히 하였다.
1899년에는 헌법이라 할 수 있는 ‘대한국 국제’를 제정하여 황제가 군대 통수권, 입법권, 행정권 등 모든 권한을 장악한 전제 군주임을 강조하였다.
대한 제국은 구본신참의 원칙 아래 점진적인 개혁을 추진하였다. 대한 제국은 국가의 자주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물질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군사력 강화와 재정 확충, 상공업 육성에 주력하였다. 원수부를 설치하여 황제가 군사권을 장악하고 황제 호위 부대를 증강하였으며, 장교 양성을 위해 무관 학교를 설립하였다. [해설작성자 : 부엉이]
보기 해설 ㄴ. 정부의 개화 정책 - 근대식 무기 제조 기술 도입을 위해 청에 파견된 사절단으로, 김윤식 등이 청의 무기 제조 기술을 습득하였다. 귀국 후 무기 제조 공장인 기기창 설립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ㄹ. 제 2차 갑오개혁 - 근대 교육 제도 마련의 방안으로 교육의 기본 방향을 제시한 교육 입국 조서를 반포함. [해설작성자 : 감사한 마음에..]
1. 3.1운동과 6.10 만세운동을 거치면서 민족운동 활발,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의 결합 3. 민립 대학 설립 운동 4. 제 4차 조선 교육령은 학교가 학생 동원 기관으로 전환됨. 5. 전국적인 모금 운동은 민립 대학 설립 운동.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브나로드 운동(1931-1934) 동아일보 민립대학설립운동(1922-1924) 제4차 조선 교육령(1943)
해당 한글원본 자료는 문자 보급 운동입니다 문자보급 운동(1929-1934) 조선일보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4.
(가) 부대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3점](2021년 02월)
1.
흥경성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2.
호가장 전투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3.
대전자령 전투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4.
중국 팔로군에 편제되어 항일 전선에 참여하였다.
5.
연합군과 함께 인도·미얀마 전선에서 활동하였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영릉가 전투, 양세봉, 흥경성 전투, 조선혁명군, 남간도 (cf. 지청천, 한국독립군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북간도, 대전자령 전투, 쌍성보 전투) 이렇게 인물-전투-지역명 등을 매칭할 수 있으면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