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567152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사회복지 실천론


1. 사회복지실천의 전문화 과정에서 기능주의와 진단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1월)
     1. 기능주의의 대표적인 학자는 메리 리치몬드(M. Richmond)이다.
     2. 기능주의는 과거의 심리사회적 문제가 현재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갖는다.
     3. 기능주의는 인간의 성장가능성과 자유의지를 강조한다.
     4. 진단주의는 시간 제한적이고 과제중심적인 단기개입을 선호한다.
     5. 진단주의는 기관의 기능과 서비스를 최대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선호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사회진단이라는 저서로써 리치몬드는 프로이드 학파, 즉 정신분석학 개념과 방법을 도입한 진단주의 학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과거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고려하는 학파는 진단주의 학파입니다.
4) 기능주의에 대한 설명입니다.
5) 기능주의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방랑자]

4. 과제중심모델 특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서의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슈퍼바이저는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문제가 클라이언트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경우 그를 직접 치료하여 해결해야 한다.
     2.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판단과 실천이 미흡하여 문제를 야기했을 때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보호해야 한다.
     3. 슈퍼바이저는 전문직 기준에 의해 공정히 책임을 수행하며, 사회복지사ㆍ수련생 및 실습생에 대한 평가는 저들과 공유해야 한다.
     4.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이익과 권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동료와 협력해야 한다.
     5. 슈퍼바이저는 개인적인 이익의 추구를 위해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슈퍼바이저는 해당 경우 다른 사회복지사로 교체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소취]

3. 특정 문제에 대해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 결정할 때, 클라이언트의 의사를 존중해 주는 것을 의미하는 윤리적 쟁점은?(2024년 01월)
     1. 비밀보장
     2. 진실성 고수와 알 권리
     3. 제한된 자원의 공정한 분배
     4. 전문적 관계 유지
     5.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정답 : []
     정답률 : 93%

4. 임파워먼트모델의 각 단계와 실천과업을 연결한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2.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2%

5. 생태도 작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1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오답: ㄹ
가족이 일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련된 주변 환경체계는 중심원 주변에 각각의 원으로 표시
가족과 환경체계의 관계를 다양한 선으로 표현(실선은 긍정적 관계, 실선이 굵을수록 진하게, 점선은 미약한 관계, 사선이나 지그재그선은 긴장이 많거나 갈등적인 관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1960년대와 1970년대 외원단체 활동이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에 미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사회복지가 종교와 밀접한 관련 하에 전개되도록 하였다.
     2. 전문 사회복지의 시작을 촉발하였다.
     3. 시설 중심보다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가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4. 사회복지가 거시적인 사회정책보다는 미시적인 사회사업 위주로 발전하게 하였다.
     5. 사람들이 사회복지를 구호사업 또는 자선사업과 같은 것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960년대와 1970년대 외원단체 활동은 한국전쟁 이후 선교적ㆍ구호적 활동으로, 물자지원 및 시설수용 등을 위주로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이 좋아지면서 위원기관의 비중이 감소하고 정부가 사회복지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이후 사회복지기관들의 증가 및 지역사회개발사업으로서 새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해설작성자 : 이동]

7. 사회복지 실천현장 중 1차 현장이면서 동시에 이용시설로만 구성된 것은?(2015년 01월)
     1. 노인복지관, 아동상담소, 종합병원
     2. 보호관찰소, 사회복지관, 정신보건센터
     3. 학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지관
     4. 부랑인시설, 청소년쉼터, 보건소
     5. 지역자활센터, 지역아동센터, 장애인복지관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차 현장 :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기관 Ex) 노인복지관, 사회복지관, 부랑인시설 등
2차 현장 : 기관의 주된 기능은 따로 존재, 필요 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Ex) 병원, 학교, 보건소, 보호관찰소 등

생활시설 : 주거서비스를 포함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Ex)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쉼터, 부랑인시설 등
이용시설 : 자신의 집에 거주하는 CT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 주거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음. Ex) 노인복지관 등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8. 사회복지실천현장 분류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1차 현장: 노인복지관
     2. 이용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3. 생활시설: 장애인거주시설
     4. 2차 현장: 교정시설
     5. 생활시설: 노인요양원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아동보호치료시설은 이용시설이 아니라 생활시설임. (아동을 치료와 함께 보호해주는 생활시설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표적문제의 우선순위 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긴급성
     2. 변화가능성
     3. 측정가능성
     4. 해결가능성
     5. 클라이언트의 선택

     정답 : []
     정답률 : 74%

10. 다음의 질문 중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1월)
     1. “결혼하셨습니까?”
     2. “무엇이 가장 힘드십니까?”
     3. “남편의 성격은 어떤가요?”
     4. “지난 일주일은 어떻게 지내셨습니까?”
     5. “무슨 일로 남편과 다투셨나요?”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번 폐쇄형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초점을 제한하고 확실한 사실에 대해서만 묻는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예”“아니오“ 대답만 요구하거나 간단한 단답형 질문만을 하는 것이다.

1번은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며
2 3 4 5 는 개방형 질문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사회복지 실천현장 중 생활시설로만 구성된 것은?(2018년 01월)
     1. 재가노인복지시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2.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3. 노인의료복지시설, 자립지원시설
     4. 정신요양시설, 자활지원센터
     5.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이용시설 : 주거 서비스 제공하지 않는 사회복지기관
                    
                     지역사회복지관, 양로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지역아동센터, 노인복지센터(주간보호센터,가정봉사원파견센터),
                     자원봉사센터, 지역자활센터 등

생활시설 : 주거서비스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기관
                    
                     노인복지주택,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장애인거주시설, 아동양육시설, 정신요양시설, 모자복지시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등



① 장애인지역사회 재활시설, ② 장애인직업재활시설, ④자활지원센터, ⑤장애인주간보호시설은 이용시설

12. 임파워먼트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병리적 관점에 기초를 둔다.
     2. 어떤 경우에도 환경의 변화를 추구하지 않는다.
     3. 클라이언트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한다.
     4. 전문성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통제한다.
     5.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최우선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임파워먼트모델 -> 역량강화모델
1. 강점 관점임(<-> 병리적 관점 비교!)
2. 추구함
3. 강점관점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클라이언트임. 클라이언트 참여 강조.
4. 클라이언트를 통제X 사회복지사 자신을 통제O (투사 안하기 등)
5. 진단은 병리적 관점. 진단X, 사정 O. 강점발굴활용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13. 다음 내용을 모두 충족하는 원조관계의 기본 요소는?(2019년 01월)

    

     1. 수용
     2. 존중
     3. 일치성
     4. 헌신과 의무
     5. 권위와 권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수용: CT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
2.존중: CT의 다양성(개인의 독특함)을 인정하고 인간 존중을 해야한다
        CT의 (자기결정권, 알권리,사생활)등을 존중해야 한다
3.진실성과 일치성:    자신의 감정을 속이거나 꾸미지 말아야하며, CT를 정직하게 대하고 위선적태도를 가지면 안된다
4.책임감이 키포인트
책임감→ 단어가 등장하면 (헌신과 의무)로 암기
5.권위한권한: 사회복지사는 →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보유해야 → 영향력을 미칠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
[해설작성자 : 공식답변]

14. 콤튼과 갤러웨이(B. Compton & B. Galaway)의 사회복지실천 구성체계 중 '사회복지사협회'가 해당되는 체계는?(2023년 01월)
     1. 변화매개체계
     2. 클라이언트체계
     3. 표적체계
     4. 행동체계
     5. 전문가체계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전문가 체계(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체계, 전문가 단체를 말함 ex 사회복지사협회, 교육협회)
[해설작성자 : 쥬쥬]

15. 면접에서 피해야 할 질문 기술이 아닌 것은?(2021년 02월)
     1. 개방형 질문
     2. 모호한 질문
     3. 유도 질문
     4. '왜?'라는 질문
     5. 복합 질문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상황에 맞게 개방형과 폐쇄형 질문을 적절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16. 접수단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해야 할 과제를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ㄱ, ㄷ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ㄱ 계약 및 개입
ㄴ 사정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17.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문적 관계의 기본 요소는?(2025년 01월)

    

     1. 공감
     2. 진실성
     3. 문화적 민감성
     4. 자기를 관찰하는 능력
     5. 헌신

     정답 : []
     정답률 : 84%

18. 세대 간 반복된 가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사정도구는?(2022년 01월)
     1. 가계도
     2. 생태도
     3. 소시오그램
     4. 생활력 도표
     5. 사회적 관계망 그리드

     정답 : []
     정답률 : 85%

19. 사례관리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2. 공적 부담의 확대 추구
     3. 개인 및 환경의 변화를 위한 노력
     4.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자원의 연계 및 조정
     5.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개인의 자원 획득 및 활용 능력 강화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사례관리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개별화된 개입으로, 공적 부담의 확대를 추구하는 것은 사례관리의 목적이 아닙니다. 오히려, 사례관리는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공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해설작성자 : 갑]

20. 사정단계에서 클라이언트가 제시한 ‘남편의 일중독’ 문제를 ‘자신이 남편에게 중요한 존재임을 느끼고 싶어 하는’ 욕구로 바꾸어 진술하는 것은?(2019년 01월)
     1. 문제발견
     2. 문제형성
     3. 정보발견
     4. 자료수집
     5. 목표설정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사정은 문제발견, 자료수집, 문제형성의 단계(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해설작성자 : 폴짝]

문제발견- 클라이언트가 제시한 문제에 초점을 둠
문제형성-수집한 정보를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판단하는 것
자료수집- CT를 이해하고 분석하며,해결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모으는 가정
[해설작성자 : 공식답변자]

21. 사례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단편적인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증가로 등장하였다.
     2.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을 중요시한다.
     3. 계획-사정-개입-종결의 순으로 진행된다.
     4. 공식적인 자원체계만을 중요시한다.
     5. 서비스의 획일적 제공을 중요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증가로 등장함
3. 사례발견-사정-계획-개입-점검-재사정
4. 비공식적인 자원체계도 중요시함
5.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중요시함
[해설작성자 : 고양이덕후]

22. 클라이언트의 혼합된 정서적 반응을 정리하고 사후관리를 계획하는 단계는?(2021년 02월)
     1. 접수
     2. 사정
     3. 계획
     4. 개입
     5. 종결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접수: 클라이언트의 문제확인, 적격여부 판단 및 의뢰, 참여유도
사정: 문제발견, 정보수집, 문제규정, 문제형성
계획: 표적문제 선정, 목적 및 목표 설정, 계약
개입: 변화전략수립, 점검, 변화창출
종결 및 평가: 종결시점 정하기, 종결에 대한 감정적 반응 다루기, 사후관리계획
[해설작성자 : 김왕자]

23. 사례관리의 등장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복합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가 증가하였다.
     2. 복지국가 재정위기로 정책방향을 저비용ㆍ고효율로 전환하였다.
     3. 시설중심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4. 지역사회에서 서비스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5. 서비스 공급주체가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변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번, 틀린이유: 사례관리는 시설중심이 아닌 탈시설화에 더 가까움

[사례관리 등장배경]
- 탈시설화의 영향
- 민영화 및 지방분권화의 영향
-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책임
- 복합적인 문제와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 증가
- 서비스 비용 억제와 서비스 전달의 효과 극대화 필요
- 사회적 자원체계와 지원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가
- 클라이언트에게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필요성
- 지역사회 중심의 재가복지서비스 활성화의 영향
[해설작성자 : 김왕자]

24. 사례관리의 등장배경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2%

25. 생태도를 통하여 파악할 수 없는 것은?(2025년 01월)
     1. 클라이언트 가족의 세대 간 반복되는 정서적 유형
     2.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체계
     3. 클라이언트와 환경 간 자원교환의 정도
     4. 클라이언트가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
     5. 클라이언트에게 유용한 자원이나 환경

     정답 : []
     정답률 : 70%

2과목 :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26. 문제해결모델의 개입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클라이언트의 동기부여를 위해 자아방어기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2. 문제를 위험으로 보지 않고 도전으로 인식하도록 돕는다.
     3.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대안을 스스로 모니터링하도록 돕는다.
     4. 변화의 동기나 의지가 약한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하지 않은 모델이다.
     5. 문제해결의 주된 초점은 클라이언트의 대처능력 강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번은 정신역동모델 입니당

27.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ㄹ은 종결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ㄴ.탐색과 시험단계(Northen)-중간1단계 해당(sarri,gailnsky)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28. 정신역동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현재의 문제를 과거의 경험에서 찾는다.
     2. 자유연상, 훈습, 직면의 기술을 사용한다.
     3. 자기분석이 가능한 클라이언트일수록 효과적이다.
     4. 클라이언트의 무의식적 충동과 미래의 의지를 강조한다.
     5. 전이의 분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통찰력을 증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미래의 "의지"를 강조한 것은 기능주의
[해설작성자 : 여봉아사랑해]

29. 집단성원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사정도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2월)
     1. 소시오메트리 : 성원 간의 상호작용 빈도를 기록한다.
     2. 상호작용차트 : 집단성원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인식 정도를 평가한다.
     3. 소시오그램 : 성원 간의 관계를 표현한 것으로 하위집단의 유무를 알 수 있다.
     4. 목적달성척도 : 목적달성을 위한 집단성원들의 협력과 지지정도를 측정한다.
     5. 의의차별척도 : 가장 호감도가 높은 성원과 호감도가 낮은 성원을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상호작용차트
2. 의의차별척도
5. 소시오메트리
[해설작성자 : Dada]

2.소시오메트리
4.목적달성척도 : 개입의 목표를 달성한 정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이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1.소시오메트리 : 집단 내 대인 간의 관계에 대한 매력을 기술하고 측정하기 위한 방법
2.상호작용차트 : 집단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또는 사회복지사 간의 상호작용 빈도를 기록하는 방법
4.목적달성척도 : 목표를 설정한 후 목표달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도구
5.의의차별척도 : 두 개의 상반된 입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척도(의미분화척도)
[해설작성자 : 지훈]

30. 사회복지실천모델과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행동주의모델: 소거
     2. 해결중심모델: 대처질문
     3. 과제중심모델: 유형-역동에 관한 고찰
     4. 인지행동모델: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5. 위기개입모델: 자살의 위험성 평가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과제중심모델: 클라이언트의 심리내적 역동보단 현재 활동을 강조함
[해설작성자 : 강아지는왜귀여울까요]

유형-역동에 관한 고철은 심리사회모델.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31. 해결지향적 질문 유형 중 ‘관계성 질문’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1월)
     1.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때는 언제인가요?”
     2. “문제와 가장 관련이 있는 상황은 어떤 경우였나요?”
     3. “문제가 해결되면 당신의 생활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4. “이런 문제는 누구와의 관계에서 더 심각하게 느껴지나요?”
     5. “당신 아버지께서는 문제가 해결된 상황에 대해 어떤 말씀을 하실까요?”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관계성 질문은 클라이언트에게 중요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질문이다.
[해설작성자 : 밍]

32.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단일사례설계의 유형은?(2020년 02월)

    

     1. AB
     2. BAB
     3. ABA
     4. ABAB
     5. ABAC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선행개입(정서),후개입(명상) 각기다른 개입이므로, 다중요소설계(ABCD,ABAC)..
[해설작성자 : door27]

프로그램 시작 전 참여하는 어르신들의 심리검사는 기초선설계 A에 해당된다.
2주간의 정서지원 프로그램 실시 개입 B에 해당되며 후 변화를 측정하였다는 다시 A에 해당된다.
일주일 후 같은 대상자에게 명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은 C에 해당되므로
ABAC
[해설작성자 : sonny]

33. 위기개입모델에서 개입단계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1월)
     1. 위기와 선행 사건에 관한 이해
     2. 부정적 감정 표현 지지
     3. 과거의 문제 경험과 대처기술 평가
     4. 지지적 자원에 대한 분석
     5. 클라이언트의 자해 위험성 파악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부정적 감정 표현 지지: 위기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갑]

34. 과정기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문제를 목록화한다.
     2.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3. 사회복지 실습이나 교육수단으로 유용하다.
     4. 클라이언트와의 면담 내용을 요약체로 기록한다.
     5. 면담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가 분석한 내용을 기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과정기록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에 있었던 모든 대화 및 내용을 그대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느낌이나 침묵, 직접화법, 간접화법 등의 사소한 내용까지 세세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슈퍼비전이나 교육적 도구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고, 비현실적이다.
[해설작성자 : 은경]

35. 위기개입모델의 개입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장기적인 개입방법을 사용한다.
     2. 개입목표는 가능한 한 포괄적으로 설정한다.
     3. 사회복지사는 비지시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4. 위기 이전의 기능수준으로 회복하도록 돕는다.
     5. 문제의 원인에 대한 이해를 위해 클라이언트의 과거 탐색에 초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장기 > 단기
2. 포괄적 > 구체적
3. 비지시적 > 지시적
5. 과거 탐색 초점 > 문제 해결 자체에 초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는 가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항상성: 가족구성원들이 현재 상태를 유지
     2. 경직된 경계: 가족이 다수의 복지서비스를 이용
     3. 하위체계: 가족구성원들이 경계를 가지고 각자의 기능을 수행
     4. 피드백: 가족이 사회환경과 환류를 주고 받으며 변화를 도모
     5. 순환적 인과관계: 가족 한 사람의 행동이 다른 구성원에게 영향을 주어 가족 전체를 변화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 설명대로면 개방된 경계임.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37. 치료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ㄱ이 정답인 이유
치료집단의 특성상,본인에 대한 최대한의 개방이 되어야 진행이 됩니다.

ㄴ이 정답인 이유
'치료집단' 이라는 명칭처럼, 본인에게 문제가 있음을 인지한 성원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입니다.

ㄷ이 정답인 이유.
ㄴ에서 서술하였듯, '개인의 문제점'을 인지한 사람들로 구성이 된 곳이기에, 행동 변화 및 재활이 목표가 되는 것이 맞습니다.

ㄹ이 정답인 이유
치료집단, 즉 '진단'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본인이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로 인지가 되어있습니다.
이런 '인지'가 가능하게 하는 요인은, 집단지도자의 '전문작 권위'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Heka]

38. 정신역동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초자아는 내부세계와 외부세계의 기능이 잘 집행되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2. 항문보유적 성격은 의타심이 많고 타인을 지배하려는 성향이 있다.
     3. 기능주의 학파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4. 클라이언트의 꿈, 자유연상의 의미를 해석하는 목적은 통찰력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5.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갖는 전이를 치료기법으로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초자아x 자아o
2. 항문보유적x -> 반대 성격.. 기억안남)
3. 진단주의학파
5.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에게 갖는 전이 (5 - 역전이)
[해설작성자 : 시험 하루남은 꾸보]

39. 행동수정모델의 개입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부적처벌(소극적처벌)-불쾌 자극을 제거해 줌으로써 행동의 발생빈도와 정도를 증가 시킨다.
[해설작성자 : 2018년 합격을 위하여 ]

처벌 = 행동의 감소 // 부적 = 자극의 제거
따라서 부적 처벌은 "긍정적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대상 행동의 빈도와 감소를 일으키는 학습방법"이다.
[ㄹ]의 경우 "부적 처벌은 긍정적인 것을 제거함으로써 대상의 행동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킨다."가 올바른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2018년 합격 기원]

40. 사회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가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가족 형태가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다.
     2. 저출산 시대에는 무자녀 부부가 증가한다.
     3. 세대구성이 단순화되면서 확대가족의 의미가 약화된다.
     4. 단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는 가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5. 양육, 보호, 교육, 부양 등에서 사회 이슈가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4. "1인 가구"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41. 집단을 활용한 사회복지실천의 치료적 효과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고유성
     2. 이타성 향상
     3. 실존적 요인
     4. 재경험의 기회 제공
     5. 희망고취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얄롬의 치료적 효과 요인
일반화, 사회적 지지(이타성), 감정의 정화(희망주기) 등등
[해설작성자 : 폴짝]

얄롬의 집단치료효과
2.이타성 향상(이타심): 집단 성원끼리 서로 돕는 과정을 통해 아! 나도 가치있는 존재구나라고 느끼게 됨.
3.실존적 요인: 다른 사람에게 아무리 도움을 받는다해도 자신의 인생은 스스로의 책임임을 알게됨.
4.재경험의 기회 제공:
5.희망고취(희망의 부여)

+) 보편성, 정보공유 및 전달, 가족집단의 교정적 재현, 사회화기술의 학습, 카타르시스(감정정화), 모방행동, 대인관계학습을 통한 감정의 교정, 집단응집력이 있음.
[해설작성자 :    쌀숲]

42. 토스랜드와 리바스(R. Toseland & R. Rivas)가 분류한 집단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치료모델은 집단의 사회적 목표를 강조한다.
     2. 상호작용모델은 개인 치료를 위한 수단으로 집단을 강조한다.
     3. 상호작용모델은 개인의 역기능 변화가 목적이다.
     4. 사회적 목표모델은 민주시민의 역량 개발에 초점을 둔다.
     5. 사회적 목표모델은 집단성원 간 투사를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사회적 목표를 강조하는건 사회적 목표 모델임.
2. 치료를 강조하는건 치료 모델
3. 역기능 변화 -> 치료 -> 치료모델
4. 맞음 민주, 자주 이런거 좋아함
5. 사람 사이 상호작용 활용 -> 상호작용모델.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43. 집단 대상 실천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타인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공감하면서 이타심이 커진다.
     2. 유사 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면서 문제의 보편성을 경험한다.
     3. 다양한 성원들로부터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면서 정화 효과를 얻는다.
     4. 사회복지사나 성원의 행동을 모방하면서 사회기술이 향상된다.
     5. 성원간 관계를 통해 원가족과의 갈등을 탐색하는 기회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정화 - 억압된 여러 감정과 생각을 집단 활동을 통해 노출하여, 노출된 감정과 생각들이 다른 집단 구성원들에게 수용되면 내담자에게 감정의 정화가 생김
[해설작성자 : 뱀뱀]

44. 가족 실천기술과 예시의 연결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1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ㄷ- 재구성
[해설작성자 : 2nong]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ㄷ - 재구성이 아니고 재명명이다.
[해설작성자 : 수지]

[오류신고 반론]
재구성과 재명명은 같은 말이다
[해설작성자 : 수지]

45.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사회복지실천모델은?(2018년 01월)

    

     1. 해결중심모델
     2. 심리사회모델
     3. 임파워먼트모델
     4. 과제중심모델
     5. 위기모델

     정답 : []
     정답률 : 76%

46. 집단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집단이 개방적일 경우, 발달단계를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다.
     2. 하위집단의 발생은 필연적이기 때문에 전체집단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집단의 규범은 집단 내부를 통제하기 때문에 외적 통제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4. 집단 내 공동지도자의 참여는 집단지도자의 역전이를 막을 수 있다.
     5. 자기애적 성향을 가진 성원의 경우 집단에 적절한 행동과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개방적인 집단은 폐쇄적 집단과 달리 구성원의 탈퇴나 가입이 자유로워서,
한꺼번에 나가거나 들어오거나 하면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구성원들의 발달단계를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겨울에서봄으로]

47. 철수는 무단결석과 친구를 괴롭히는 문제로 담임선생님에 의해 학교사회복지사에게 의뢰 되었다. 철수와의 상담을 과제중심모델로 진행할 때 그 개입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1월)
     1. 철수의 성격유형과 심리역동을 탐색한다.
     2. 지역사회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한다.
     3. 담임선생님이 제시한 문제를 확인한다.
     4. 철수의 노력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를 선정한다.
     5. 제시된 문제가 철수의 욕구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번의 유형 역동성 고찰은 심리사회모델의 기법
[해설작성자 : ㅇㅈ!]

48. 보웬(Bowen)의 가족치료기법의 적용사례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재구성 - 간섭하는 부모와 갈등하는 자녀
     2. 경계만들기 - 서로 무관심한 남편과 아내
     3. 역설적 지시 - 끊임없이 잔소리하는 시어머니
     4. 탈삼각화 - 남편보다 장남인 아들에 집착하는 엄마
     5. 균형깨뜨리기 - 독단적으로 자녀문제를 결정하는 아버지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재구성, 경계만들기, 균형깨뜨리기 =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기법
역설적 지시 = 전략적 가족치료에 해당한다. (EX, 밤마다 오줌싸는 아이에게 밤에 오줌을 꼭싸라고 지시한다.)
[해설작성자 : Wize Slow]

49. 단일사례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동시에 여러 문제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2. 개입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반복측정을 한다.
     3. 기초선 자료수집은 개입 이전이나 이후에도 가능하다.
     4. 개입과정에서 개입의 강도나 방식을 바꿀 수 있다.
     5. 조사대상은 개인뿐 아니라 가족, 집단, 기관도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50. 부인이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을 강요하는 아버지로 인해 대화가 단절된 가족이 의뢰되었다. 타인을 무시하고 탓하는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을 일치형으로 변화시키는 데 적합한 방법은?(2014년 01월)
     1. 전략적 접근
     2. 구조적 접근
     3. 경험적 접근
     4. 이야기치료
     5. 해결중심모델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해당 지문에서 "부인이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을 강요하는 아버지로 인해 대화가 단절된 가족이 의뢰되었다"만 보면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균형깨기가 해당하지만, 이후 지문에서 비난형, 일치형과 같이
의사소통 유형에 대하여 묻고 있습니다.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내용이고 사티어는 경험적 가족치료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야로나]

51. 지역사회(commun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기능적 지역사회는 이념, 사회계층, 직업유형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 지리적 지역사회는 이웃, 마을, 도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3. 던햄(A. Dunham)은 지역사회를 인구크기, 경제적 기반, 행정구역, 사회적 특수성으로 유형화했다.
     4. 퇴니스(F. Tonnies)는 지역사회를 공동사회와 이익사회로 구분했다.
     5. 길버트와 스펙트(N. Gilbert & Specht)는 지역사회의 사회통합기능이 현대의 사회복지제도로 정착되었다고 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길버트(Gilbert)와 스펙트(Specht)의 지역사회 기능
    ① 생산, 분배, 소비의 기능: 1차적 분배 기능으로서 경제제도와 연관
    ② 상부상조의 기능: 2차적 분배 기능으로서 사회복지제도와 연관
    ③ 사회화의 기능: 가족제도와 연관
    ④ 사회통제의 기능: 정치제도와 연관    
    ⑤ 사회통합의 기능: '사회참여의 기능'이라고도 하며 종교제도와 연관
[해설작성자 : 보이지마]

52. 지역사회복지 관련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지역사회조직(community organization)은 전통적인 전문 사회복지실천방법 중 하나이다.
     2. 지역사회개발(community development)은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에 의한 주도적 개입을 강조한다.
     3. 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는 가정 또는 그와 유사한 지역사회 내의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돌봄의 형태이다.
     4. 지역사회복지실천(community practice)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개념이다.
     5. 재가보호(domiciliary care)는 대상자의 가정에서 서비스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지역사회조직(community organization): 공공 및 민간 사회복지기관의 전문사회복지사에 의해 계획적, 조직적으로 이루어진다.
2.지역사회개발(community development): 지역사회 변화를 강조하므로 지역사회실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 기존의 시설보호 위주의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지역사회와 상호보완하여 서비스를 개선시키고자 한다.
4.지역사회복지실천(community practice): 지역사회의 복지증진을 위한 모든 전문적, 비전문적 활동을 포함한다.
[해설작성자 : 보이지마]

2. 지역사회개발은 전문가에 의한 주도적 개입이 아닌, 주민들의 참여를 중시함
[해설작성자 : 뽀로리]

53. 지역아동센터 사업에 대한 평가를 한다고 할 때 속성이 다른 하나는?(2014년 01월)
     1. 투입 예산
     2. 자원봉사자 수
     3. 센터 종사자 수
     4. 아동의 학교 출석률
     5. 센터 규모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2,3,5는 투입 4는 산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사회적 자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지역사회 문제해결 능력과는 무관하다.
     2. 네트워크는 사회적 자본의 전제가 된다.
     3. 지역사회의 집합적 자산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4. 한 번 형성된 후에도 소멸될 수 있다.
     5. 신뢰는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원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55. 영국의 그리피스 보고서(Griffiths Report, 1988)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사회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1월)

    

     1. ㄱ,ㄴ
     2. ㄱ,ㄹ
     3. ㄴ,ㄷ
     4. ㄱ,ㄷ,ㄹ
     5. ㄴ,ㄷ,ㄹ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ㄴ. 지방정부는 사회서비스의 직접적인 제공자가 아닌 계획, 조정, 구매자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해설작성자 :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추가 해설]
그리피스 보고서는 지방정부의 공급자 역할의 아닌 (지방정부의 재량권강화)에 초점을 둠.
[해설작성자 : 겨울에서봄으로]

56. 다음 A지역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이론은?(2023년 01월)

    

     1. 생태학이론
     2. 사회학습이론
     3. 엘리트주의이론
     4. 교환이론
     5. 다원주의이론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생태학 이론(생태학적 관점)]
-지역사회의 변환 과정을 역동적 진화 과정으로 설명하며, 이를 위해 경쟁, 중심화, 분산, 집결, 분리, 우세, 침입, 계승 등 다양한 개념을 사용
예) 외국인 노동자 유입에 따른 특정 국적의 외국인 주거 공동체 형성과 그로 인한 원주민과의 갈등 -> 집결과 침입에 따른 사회적 층화 현상
[해설작성자 : 룰루]

57.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ㄱ. 개입방향과 수준을 정하는 것은 목적 및 목표 설정 단계입니다
ㄴ. 실행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자원과 수혜자의 만족입니다 그러므로 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ㄷ. 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프로그램 또는 대안의 선택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58.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지역사회 기관 간 협력관계 구축
     2.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계획 수립
     3. 지역사회 문제 인식의 획일화
     4. 욕구 가변성에 따른 실천과정의 변화 이해
     5. 지역사회 변화에 초점을 둔 개입

     정답 : []
     정답률 : 85%

59.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옹호(advocacy)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2월)
     1.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을 조정하고 연계한다.
     2. 시의원 등에게 정치적 압력을 행사한다.
     3. 피케팅으로 해당 기관을 난처하게 한다.
     4. 행정기관에 증언 청취를 요청한다.
     5. 지역주민으로부터 탄원서에 서명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을 조정하고 연계하는 것은 중개자 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시험열공자]

60. 웨일과 갬블(M. Weil & D. Gamble)의 근린지역사회조직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조직화를 위한 구성원의 능력개발에 초점을 둔다.
     2. 일차적 구성원은 지역사회 이웃주민이다.
     3. 사회복지사의 주요 역할은 조직가, 교육자, 촉진자, 코치이다.
     4. 지방정부, 외부개발자, 지역주민을 변화의 표적체계로 본다.
     5. 관심영역은 공통 관심사나 특정 이슈에 대한 정책, 행위, 인식의 변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61. 테일러와 로버츠(S. Taylor & R. Roberts)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프로그램 개발과 조정: 지역주민의 역량강화 및 지도력 개발에 관심
     2. 계획: 구체적 조사전략 및 기술 강조
     3. 지역사회연계: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관계망 구축 강조
     4. 지역사회개발: 지역주민의 참여와 자조 중시
     5. 정치적 역량강화: 상대적으로 권력이 약한 시민의 권한 강화에 관심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지역사회변화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정해 나가는 모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지역사회개발 : 지역주민의 역량강화 및 지도력 개발에 관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실행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1월)
     1. 재정자원 집행
     2. 참여자 간의 갈등 관리
     3. 클라이언트의 적응 촉진
     4. 실천계획의 목표 설정
     5. 협력과 조정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실천계획의 목표 설정은 계획단계이다
[해설작성자 : 동글]

63.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지역사회문제 해결과정으로 볼 수 있다.
     2. 지역사회 사정은 지역사회의 욕구와 자원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3. 지역사회 문제나 욕구는 지역사회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4. 자원동원, 재정집행, 네트워크는 실행단계에서 수행된다.
     5. 총괄평가는 수행과정 중에 실시되어 실천과정의 문제점을 수정하는데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64. 지방자치가 지역사회복지에 미친 긍정적 영향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8%

65. 사회계획 모델에서 샌더스(I. T. Sanders)가 주장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아닌 것은?(2024년 01월)
     1. 분석가
     2. 조직가
     3. 계획가
     4. 옹호자
     5. 행정가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 옹호자는 그로서가 제시한 사회행동모델에서의 역할 중 하나임.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66. 지방자치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민주주의 사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2.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선거로 선출한다.
     3. 지역문제에 대한 자기통치 원리를 담고 있다.
     4.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에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5.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사무가 주민참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995년 시작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4. 최초의 지방자치제는 1952년 시행되었다가,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지방자치단체 폐지
     이후 1987년 지방자치법 제정으로 인해 1991년 지방의회 의원 선출,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을 선출하여 오늘날의 형태를 갖춤
[해설작성자 : 양처럼 온순]

67. 지방분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보험제도의 지방분권이 확대되고 있다.
     2. 주민참여로 권력의 재분배가 이루어진다.
     3. 지역주민의 욕구에 대한 민감성이 약화된다.
     4. 복지수준의 지역 간 균형이 이루어진다.
     5. 중앙정부의 사회적 책임성이 강화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방분권 -주민참여- 권력재분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1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 시,도 사회보장위원회의 심의 + 해당 시.도 의회 보고
[해설작성자 : 짜요]

ㄱ: 시 군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심의와 의회의 보고를 거쳐야 한다.
ㄷ: 시 군 구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시행연도의 전년도 9월 30일 까지 연차별 시행계획을 시행연도의 전년도 11월 30일 까지 각각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24년도 1급 자격증은 내 꺼!]

69.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심의ㆍ자문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2월)
     1. 시ㆍ군ㆍ구 사회보장 추진
     2. 시ㆍ군ㆍ구 사회보장급여 제공
     3.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시행 및 평가
     4. 읍ㆍ면ㆍ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5. 특별자치시의 사회보장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계 기관ㆍ법인ㆍ단체ㆍ시설과의 연계ㆍ협력 강화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5. 시군구보다 상위기구임. 특별자치시의 경우 시도사회보장위원회에서 심의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70.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대표협의체는 사회보장급여 제공과 관련된 조례를 제정한다.
     2. 대표협의체 위원에는 공무원이 포함되지 않는다.
     3. 실무협의체는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자문한다.
     4. 실무협의체 위원은 10명 이상 40명 이하로 구성한다.
     5. 읍ㆍ면ㆍ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시행결과를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71.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지방분권의 부정적 측면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사회복지 행정업무와 재정을 지방에 이양함으로써 중앙정부의 사회적 책임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2. 지방정부가 사회개발정책에 우선을 두는 경우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이 감소될 수 있다.
     3. 복지의 분권화를 통해 효율적인 복지집행체계의 구축이 용이해질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복지서비스의 지역 간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
     5. 지방정부간의 재정력 격차로 복지수준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 지방분권의 장점에 관한 내용이다.

72. 사회적 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1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ㄷ.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권익 향상과 지역사회 공헌을 목적으로 하며, 그 중 사회적 협동조합은 지역주민들의 권익, 복리증진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거나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협동조합이다.
[해설작성자 : 2023년도 합격자]

73. 지역사회복지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1월)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계층적 기반은 노동운동이나 여성운동과 같이 뚜렷하다.
     2.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된 관심사는 주민 삶의 질과 관련된 생활영역에 있다.
     3.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 활용 및 조직 간 유기적 협력이 이루어진다.
     4. 지역사회복지운동에는 다양한 이념이 사용될 수 있다.
     5.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는 사회복지전문가, 지역활동가, 지역사회복지이용자 등 다양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노동운동이나 민중운동 등 짖역사회주민 전체를 기반으로 대상자가 포괄적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옹호(advocacy) 기술의 특성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옹호 기술 : 사회정의를 지키고 유지하려는 목적. 지역 입장에서 직접 대변,보호,개입, 지지하는 행동들.
[해설작성자 : 초시가자]

75. 최근 복지전달체계의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복지 전담인력의 확충
     2. 수요자 중심 복지서비스 제공
     3. 통합사례관리의 축소
     4. 민ㆍ관 협력의 활성화
     5. 보건과 연계한 서비스의 통합성 강화

     정답 : []
     정답률 : 86%


정 답 지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567152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사회복지 실천론


1. 사회복지실천의 전문화 과정에서 기능주의와 진단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1월)
     1. 기능주의의 대표적인 학자는 메리 리치몬드(M. Richmond)이다.
     2. 기능주의는 과거의 심리사회적 문제가 현재의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을 갖는다.
     3. 기능주의는 인간의 성장가능성과 자유의지를 강조한다.
     4. 진단주의는 시간 제한적이고 과제중심적인 단기개입을 선호한다.
     5. 진단주의는 기관의 기능과 서비스를 최대한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선호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사회진단이라는 저서로써 리치몬드는 프로이드 학파, 즉 정신분석학 개념과 방법을 도입한 진단주의 학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과거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고려하는 학파는 진단주의 학파입니다.
4) 기능주의에 대한 설명입니다.
5) 기능주의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방랑자]

4. 과제중심모델 특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한국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서의 동료에 대한 윤리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슈퍼바이저는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문제가 클라이언트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경우 그를 직접 치료하여 해결해야 한다.
     2.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판단과 실천이 미흡하여 문제를 야기했을 때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보호해야 한다.
     3. 슈퍼바이저는 전문직 기준에 의해 공정히 책임을 수행하며, 사회복지사ㆍ수련생 및 실습생에 대한 평가는 저들과 공유해야 한다.
     4.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이익과 권익을 증진시키기 위해 동료와 협력해야 한다.
     5. 슈퍼바이저는 개인적인 이익의 추구를 위해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슈퍼바이저는 해당 경우 다른 사회복지사로 교체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합격소취]

3. 특정 문제에 대해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 결정할 때, 클라이언트의 의사를 존중해 주는 것을 의미하는 윤리적 쟁점은?(2024년 01월)
     1. 비밀보장
     2. 진실성 고수와 알 권리
     3. 제한된 자원의 공정한 분배
     4. 전문적 관계 유지
     5.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정답 : []
     정답률 : 93%

4. 임파워먼트모델의 각 단계와 실천과업을 연결한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2.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2%

5. 생태도 작성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1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오답: ㄹ
가족이 일상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련된 주변 환경체계는 중심원 주변에 각각의 원으로 표시
가족과 환경체계의 관계를 다양한 선으로 표현(실선은 긍정적 관계, 실선이 굵을수록 진하게, 점선은 미약한 관계, 사선이나 지그재그선은 긴장이 많거나 갈등적인 관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1960년대와 1970년대 외원단체 활동이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에 미친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사회복지가 종교와 밀접한 관련 하에 전개되도록 하였다.
     2. 전문 사회복지의 시작을 촉발하였다.
     3. 시설 중심보다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가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4. 사회복지가 거시적인 사회정책보다는 미시적인 사회사업 위주로 발전하게 하였다.
     5. 사람들이 사회복지를 구호사업 또는 자선사업과 같은 것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960년대와 1970년대 외원단체 활동은 한국전쟁 이후 선교적ㆍ구호적 활동으로, 물자지원 및 시설수용 등을 위주로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제 상황이 좋아지면서 위원기관의 비중이 감소하고 정부가 사회복지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 이후 사회복지기관들의 증가 및 지역사회개발사업으로서 새마을운동이 시작되면서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해설작성자 : 이동]

7. 사회복지 실천현장 중 1차 현장이면서 동시에 이용시설로만 구성된 것은?(2015년 01월)
     1. 노인복지관, 아동상담소, 종합병원
     2. 보호관찰소, 사회복지관, 정신보건센터
     3. 학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지관
     4. 부랑인시설, 청소년쉼터, 보건소
     5. 지역자활센터, 지역아동센터, 장애인복지관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차 현장 :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기관 Ex) 노인복지관, 사회복지관, 부랑인시설 등
2차 현장 : 기관의 주된 기능은 따로 존재, 필요 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Ex) 병원, 학교, 보건소, 보호관찰소 등

생활시설 : 주거서비스를 포함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Ex) 아동양육시설, 청소년쉼터, 부랑인시설 등
이용시설 : 자신의 집에 거주하는 CT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 주거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음. Ex) 노인복지관 등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8. 사회복지실천현장 분류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1차 현장: 노인복지관
     2. 이용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3. 생활시설: 장애인거주시설
     4. 2차 현장: 교정시설
     5. 생활시설: 노인요양원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아동보호치료시설은 이용시설이 아니라 생활시설임. (아동을 치료와 함께 보호해주는 생활시설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표적문제의 우선순위 결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긴급성
     2. 변화가능성
     3. 측정가능성
     4. 해결가능성
     5. 클라이언트의 선택

     정답 : []
     정답률 : 74%

10. 다음의 질문 중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1월)
     1. “결혼하셨습니까?”
     2. “무엇이 가장 힘드십니까?”
     3. “남편의 성격은 어떤가요?”
     4. “지난 일주일은 어떻게 지내셨습니까?”
     5. “무슨 일로 남편과 다투셨나요?”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번 폐쇄형 질문은 클라이언트의 초점을 제한하고 확실한 사실에 대해서만 묻는 방식으로서 일반적으로 “예”“아니오“ 대답만 요구하거나 간단한 단답형 질문만을 하는 것이다.

1번은 폐쇄형 질문에 해당하며
2 3 4 5 는 개방형 질문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사회복지 실천현장 중 생활시설로만 구성된 것은?(2018년 01월)
     1. 재가노인복지시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2.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아동보호치료시설
     3. 노인의료복지시설, 자립지원시설
     4. 정신요양시설, 자활지원센터
     5.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이용시설 : 주거 서비스 제공하지 않는 사회복지기관
                    
                     지역사회복지관, 양로시설, 노인여가복지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지역아동센터, 노인복지센터(주간보호센터,가정봉사원파견센터),
                     자원봉사센터, 지역자활센터 등

생활시설 : 주거서비스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기관
                    
                     노인복지주택,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장애인거주시설, 아동양육시설, 정신요양시설, 모자복지시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 등



① 장애인지역사회 재활시설, ② 장애인직업재활시설, ④자활지원센터, ⑤장애인주간보호시설은 이용시설

12. 임파워먼트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병리적 관점에 기초를 둔다.
     2. 어떤 경우에도 환경의 변화를 추구하지 않는다.
     3. 클라이언트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한다.
     4. 전문성을 기반으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통제한다.
     5.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최우선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임파워먼트모델 -> 역량강화모델
1. 강점 관점임(<-> 병리적 관점 비교!)
2. 추구함
3. 강점관점은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클라이언트임. 클라이언트 참여 강조.
4. 클라이언트를 통제X 사회복지사 자신을 통제O (투사 안하기 등)
5. 진단은 병리적 관점. 진단X, 사정 O. 강점발굴활용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13. 다음 내용을 모두 충족하는 원조관계의 기본 요소는?(2019년 01월)

    

     1. 수용
     2. 존중
     3. 일치성
     4. 헌신과 의무
     5. 권위와 권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수용: CT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
2.존중: CT의 다양성(개인의 독특함)을 인정하고 인간 존중을 해야한다
        CT의 (자기결정권, 알권리,사생활)등을 존중해야 한다
3.진실성과 일치성:    자신의 감정을 속이거나 꾸미지 말아야하며, CT를 정직하게 대하고 위선적태도를 가지면 안된다
4.책임감이 키포인트
책임감→ 단어가 등장하면 (헌신과 의무)로 암기
5.권위한권한: 사회복지사는 →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보유해야 → 영향력을 미칠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
[해설작성자 : 공식답변]

14. 콤튼과 갤러웨이(B. Compton & B. Galaway)의 사회복지실천 구성체계 중 '사회복지사협회'가 해당되는 체계는?(2023년 01월)
     1. 변화매개체계
     2. 클라이언트체계
     3. 표적체계
     4. 행동체계
     5. 전문가체계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전문가 체계(전문가를 육성하는 교육체계, 전문가 단체를 말함 ex 사회복지사협회, 교육협회)
[해설작성자 : 쥬쥬]

15. 면접에서 피해야 할 질문 기술이 아닌 것은?(2021년 02월)
     1. 개방형 질문
     2. 모호한 질문
     3. 유도 질문
     4. '왜?'라는 질문
     5. 복합 질문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상황에 맞게 개방형과 폐쇄형 질문을 적절하게 한다.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16. 접수단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해야 할 과제를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ㄱ, ㄷ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ㄱ 계약 및 개입
ㄴ 사정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17.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문적 관계의 기본 요소는?(2025년 01월)

    

     1. 공감
     2. 진실성
     3. 문화적 민감성
     4. 자기를 관찰하는 능력
     5. 헌신

     정답 : []
     정답률 : 84%

18. 세대 간 반복된 가족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사정도구는?(2022년 01월)
     1. 가계도
     2. 생태도
     3. 소시오그램
     4. 생활력 도표
     5. 사회적 관계망 그리드

     정답 : []
     정답률 : 85%

19. 사례관리의 특성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서비스의 접근성 향상
     2. 공적 부담의 확대 추구
     3. 개인 및 환경의 변화를 위한 노력
     4.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자원의 연계 및 조정
     5.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개인의 자원 획득 및 활용 능력 강화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사례관리는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개별화된 개입으로, 공적 부담의 확대를 추구하는 것은 사례관리의 목적이 아닙니다. 오히려, 사례관리는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공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해설작성자 : 갑]

20. 사정단계에서 클라이언트가 제시한 ‘남편의 일중독’ 문제를 ‘자신이 남편에게 중요한 존재임을 느끼고 싶어 하는’ 욕구로 바꾸어 진술하는 것은?(2019년 01월)
     1. 문제발견
     2. 문제형성
     3. 정보발견
     4. 자료수집
     5. 목표설정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사정은 문제발견, 자료수집, 문제형성의 단계(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해설작성자 : 폴짝]

문제발견- 클라이언트가 제시한 문제에 초점을 둠
문제형성-수집한 정보를 사회복지사가 전문적인 시각으로 문제를 판단하는 것
자료수집- CT를 이해하고 분석하며,해결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모으는 가정
[해설작성자 : 공식답변자]

21. 사례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단편적인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증가로 등장하였다.
     2. 클라이언트의 기능향상을 중요시한다.
     3. 계획-사정-개입-종결의 순으로 진행된다.
     4. 공식적인 자원체계만을 중요시한다.
     5. 서비스의 획일적 제공을 중요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의 증가로 등장함
3. 사례발견-사정-계획-개입-점검-재사정
4. 비공식적인 자원체계도 중요시함
5.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중요시함
[해설작성자 : 고양이덕후]

22. 클라이언트의 혼합된 정서적 반응을 정리하고 사후관리를 계획하는 단계는?(2021년 02월)
     1. 접수
     2. 사정
     3. 계획
     4. 개입
     5. 종결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접수: 클라이언트의 문제확인, 적격여부 판단 및 의뢰, 참여유도
사정: 문제발견, 정보수집, 문제규정, 문제형성
계획: 표적문제 선정, 목적 및 목표 설정, 계약
개입: 변화전략수립, 점검, 변화창출
종결 및 평가: 종결시점 정하기, 종결에 대한 감정적 반응 다루기, 사후관리계획
[해설작성자 : 김왕자]

23. 사례관리의 등장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복합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가 증가하였다.
     2. 복지국가 재정위기로 정책방향을 저비용ㆍ고효율로 전환하였다.
     3. 시설중심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4. 지역사회에서 서비스 조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5. 서비스 공급주체가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변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3번, 틀린이유: 사례관리는 시설중심이 아닌 탈시설화에 더 가까움

[사례관리 등장배경]
- 탈시설화의 영향
- 민영화 및 지방분권화의 영향
- 클라이언트와 그 가족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책임
- 복합적인 문제와 욕구를 가진 클라이언트 증가
- 서비스 비용 억제와 서비스 전달의 효과 극대화 필요
- 사회적 자원체계와 지원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증가
- 클라이언트에게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필요성
- 지역사회 중심의 재가복지서비스 활성화의 영향
[해설작성자 : 김왕자]

24. 사례관리의 등장배경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2%

25. 생태도를 통하여 파악할 수 없는 것은?(2025년 01월)
     1. 클라이언트 가족의 세대 간 반복되는 정서적 유형
     2.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체계
     3. 클라이언트와 환경 간 자원교환의 정도
     4. 클라이언트가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
     5. 클라이언트에게 유용한 자원이나 환경

     정답 : []
     정답률 : 70%

2과목 :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26. 문제해결모델의 개입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클라이언트의 동기부여를 위해 자아방어기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2. 문제를 위험으로 보지 않고 도전으로 인식하도록 돕는다.
     3.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대안을 스스로 모니터링하도록 돕는다.
     4. 변화의 동기나 의지가 약한 클라이언트에게 적합하지 않은 모델이다.
     5. 문제해결의 주된 초점은 클라이언트의 대처능력 강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번은 정신역동모델 입니당

27.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ㄹ은 종결단계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ㄴ.탐색과 시험단계(Northen)-중간1단계 해당(sarri,gailnsky)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28. 정신역동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현재의 문제를 과거의 경험에서 찾는다.
     2. 자유연상, 훈습, 직면의 기술을 사용한다.
     3. 자기분석이 가능한 클라이언트일수록 효과적이다.
     4. 클라이언트의 무의식적 충동과 미래의 의지를 강조한다.
     5. 전이의 분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통찰력을 증진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미래의 "의지"를 강조한 것은 기능주의
[해설작성자 : 여봉아사랑해]

29. 집단성원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사정도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2월)
     1. 소시오메트리 : 성원 간의 상호작용 빈도를 기록한다.
     2. 상호작용차트 : 집단성원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인식 정도를 평가한다.
     3. 소시오그램 : 성원 간의 관계를 표현한 것으로 하위집단의 유무를 알 수 있다.
     4. 목적달성척도 : 목적달성을 위한 집단성원들의 협력과 지지정도를 측정한다.
     5. 의의차별척도 : 가장 호감도가 높은 성원과 호감도가 낮은 성원을 파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상호작용차트
2. 의의차별척도
5. 소시오메트리
[해설작성자 : Dada]

2.소시오메트리
4.목적달성척도 : 개입의 목표를 달성한 정도를 측정하는 평가도구이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1.소시오메트리 : 집단 내 대인 간의 관계에 대한 매력을 기술하고 측정하기 위한 방법
2.상호작용차트 : 집단성원들 간의 상호작용 또는 사회복지사 간의 상호작용 빈도를 기록하는 방법
4.목적달성척도 : 목표를 설정한 후 목표달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도구
5.의의차별척도 : 두 개의 상반된 입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척도(의미분화척도)
[해설작성자 : 지훈]

30. 사회복지실천모델과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행동주의모델: 소거
     2. 해결중심모델: 대처질문
     3. 과제중심모델: 유형-역동에 관한 고찰
     4. 인지행동모델: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5. 위기개입모델: 자살의 위험성 평가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과제중심모델: 클라이언트의 심리내적 역동보단 현재 활동을 강조함
[해설작성자 : 강아지는왜귀여울까요]

유형-역동에 관한 고철은 심리사회모델.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31. 해결지향적 질문 유형 중 ‘관계성 질문’에 해당하는 것은?(2016년 01월)
     1.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때는 언제인가요?”
     2. “문제와 가장 관련이 있는 상황은 어떤 경우였나요?”
     3. “문제가 해결되면 당신의 생활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4. “이런 문제는 누구와의 관계에서 더 심각하게 느껴지나요?”
     5. “당신 아버지께서는 문제가 해결된 상황에 대해 어떤 말씀을 하실까요?”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관계성 질문은 클라이언트에게 중요한 다른 사람들에 대한 질문이다.
[해설작성자 : 밍]

32.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단일사례설계의 유형은?(2020년 02월)

    

     1. AB
     2. BAB
     3. ABA
     4. ABAB
     5. ABAC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선행개입(정서),후개입(명상) 각기다른 개입이므로, 다중요소설계(ABCD,ABAC)..
[해설작성자 : door27]

프로그램 시작 전 참여하는 어르신들의 심리검사는 기초선설계 A에 해당된다.
2주간의 정서지원 프로그램 실시 개입 B에 해당되며 후 변화를 측정하였다는 다시 A에 해당된다.
일주일 후 같은 대상자에게 명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은 C에 해당되므로
ABAC
[해설작성자 : sonny]

33. 위기개입모델에서 개입단계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1월)
     1. 위기와 선행 사건에 관한 이해
     2. 부정적 감정 표현 지지
     3. 과거의 문제 경험과 대처기술 평가
     4. 지지적 자원에 대한 분석
     5. 클라이언트의 자해 위험성 파악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부정적 감정 표현 지지: 위기 상황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갑]

34. 과정기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문제를 목록화한다.
     2. 시간 및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3. 사회복지 실습이나 교육수단으로 유용하다.
     4. 클라이언트와의 면담 내용을 요약체로 기록한다.
     5. 면담에 대하여 클라이언트가 분석한 내용을 기록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과정기록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에 있었던 모든 대화 및 내용을 그대로 기록하는 방식으로 느낌이나 침묵, 직접화법, 간접화법 등의 사소한 내용까지 세세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슈퍼비전이나 교육적 도구로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고, 비현실적이다.
[해설작성자 : 은경]

35. 위기개입모델의 개입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장기적인 개입방법을 사용한다.
     2. 개입목표는 가능한 한 포괄적으로 설정한다.
     3. 사회복지사는 비지시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4. 위기 이전의 기능수준으로 회복하도록 돕는다.
     5. 문제의 원인에 대한 이해를 위해 클라이언트의 과거 탐색에 초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장기 > 단기
2. 포괄적 > 구체적
3. 비지시적 > 지시적
5. 과거 탐색 초점 > 문제 해결 자체에 초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는 가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항상성: 가족구성원들이 현재 상태를 유지
     2. 경직된 경계: 가족이 다수의 복지서비스를 이용
     3. 하위체계: 가족구성원들이 경계를 가지고 각자의 기능을 수행
     4. 피드백: 가족이 사회환경과 환류를 주고 받으며 변화를 도모
     5. 순환적 인과관계: 가족 한 사람의 행동이 다른 구성원에게 영향을 주어 가족 전체를 변화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2. 설명대로면 개방된 경계임.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37. 치료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ㄱ이 정답인 이유
치료집단의 특성상,본인에 대한 최대한의 개방이 되어야 진행이 됩니다.

ㄴ이 정답인 이유
'치료집단' 이라는 명칭처럼, 본인에게 문제가 있음을 인지한 성원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입니다.

ㄷ이 정답인 이유.
ㄴ에서 서술하였듯, '개인의 문제점'을 인지한 사람들로 구성이 된 곳이기에, 행동 변화 및 재활이 목표가 되는 것이 맞습니다.

ㄹ이 정답인 이유
치료집단, 즉 '진단'에 의해 클라이언트는 '본인이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로 인지가 되어있습니다.
이런 '인지'가 가능하게 하는 요인은, 집단지도자의 '전문작 권위'가 됩니다.
[해설작성자 : Heka]

38. 정신역동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초자아는 내부세계와 외부세계의 기능이 잘 집행되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2. 항문보유적 성격은 의타심이 많고 타인을 지배하려는 성향이 있다.
     3. 기능주의 학파의 이론적 기초가 되었다.
     4. 클라이언트의 꿈, 자유연상의 의미를 해석하는 목적은 통찰력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5.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갖는 전이를 치료기법으로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 초자아x 자아o
2. 항문보유적x -> 반대 성격.. 기억안남)
3. 진단주의학파
5. 클라이언트가 사회복지사에게 갖는 전이 (5 - 역전이)
[해설작성자 : 시험 하루남은 꾸보]

39. 행동수정모델의 개입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부적처벌(소극적처벌)-불쾌 자극을 제거해 줌으로써 행동의 발생빈도와 정도를 증가 시킨다.
[해설작성자 : 2018년 합격을 위하여 ]

처벌 = 행동의 감소 // 부적 = 자극의 제거
따라서 부적 처벌은 "긍정적 자극을 제거함으로써 대상 행동의 빈도와 감소를 일으키는 학습방법"이다.
[ㄹ]의 경우 "부적 처벌은 긍정적인 것을 제거함으로써 대상의 행동의 발생가능성을 감소시킨다."가 올바른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2018년 합격 기원]

40. 사회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가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가족 형태가 다양해지는 경향이 있다.
     2. 저출산 시대에는 무자녀 부부가 증가한다.
     3. 세대구성이 단순화되면서 확대가족의 의미가 약화된다.
     4. 단독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경우는 가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5. 양육, 보호, 교육, 부양 등에서 사회 이슈가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4. "1인 가구"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41. 집단을 활용한 사회복지실천의 치료적 효과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고유성
     2. 이타성 향상
     3. 실존적 요인
     4. 재경험의 기회 제공
     5. 희망고취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얄롬의 치료적 효과 요인
일반화, 사회적 지지(이타성), 감정의 정화(희망주기) 등등
[해설작성자 : 폴짝]

얄롬의 집단치료효과
2.이타성 향상(이타심): 집단 성원끼리 서로 돕는 과정을 통해 아! 나도 가치있는 존재구나라고 느끼게 됨.
3.실존적 요인: 다른 사람에게 아무리 도움을 받는다해도 자신의 인생은 스스로의 책임임을 알게됨.
4.재경험의 기회 제공:
5.희망고취(희망의 부여)

+) 보편성, 정보공유 및 전달, 가족집단의 교정적 재현, 사회화기술의 학습, 카타르시스(감정정화), 모방행동, 대인관계학습을 통한 감정의 교정, 집단응집력이 있음.
[해설작성자 :    쌀숲]

42. 토스랜드와 리바스(R. Toseland & R. Rivas)가 분류한 집단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치료모델은 집단의 사회적 목표를 강조한다.
     2. 상호작용모델은 개인 치료를 위한 수단으로 집단을 강조한다.
     3. 상호작용모델은 개인의 역기능 변화가 목적이다.
     4. 사회적 목표모델은 민주시민의 역량 개발에 초점을 둔다.
     5. 사회적 목표모델은 집단성원 간 투사를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1. 사회적 목표를 강조하는건 사회적 목표 모델임.
2. 치료를 강조하는건 치료 모델
3. 역기능 변화 -> 치료 -> 치료모델
4. 맞음 민주, 자주 이런거 좋아함
5. 사람 사이 상호작용 활용 -> 상호작용모델.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43. 집단 대상 실천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타인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공감하면서 이타심이 커진다.
     2. 유사 경험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면서 문제의 보편성을 경험한다.
     3. 다양한 성원들로부터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면서 정화 효과를 얻는다.
     4. 사회복지사나 성원의 행동을 모방하면서 사회기술이 향상된다.
     5. 성원간 관계를 통해 원가족과의 갈등을 탐색하는 기회를 갖는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정화 - 억압된 여러 감정과 생각을 집단 활동을 통해 노출하여, 노출된 감정과 생각들이 다른 집단 구성원들에게 수용되면 내담자에게 감정의 정화가 생김
[해설작성자 : 뱀뱀]

44. 가족 실천기술과 예시의 연결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01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ㄷ- 재구성
[해설작성자 : 2nong]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ㄷ - 재구성이 아니고 재명명이다.
[해설작성자 : 수지]

[오류신고 반론]
재구성과 재명명은 같은 말이다
[해설작성자 : 수지]

45.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사회복지실천모델은?(2018년 01월)

    

     1. 해결중심모델
     2. 심리사회모델
     3. 임파워먼트모델
     4. 과제중심모델
     5. 위기모델

     정답 : []
     정답률 : 76%

46. 집단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집단이 개방적일 경우, 발달단계를 예측하는 것이 용이하다.
     2. 하위집단의 발생은 필연적이기 때문에 전체집단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집단의 규범은 집단 내부를 통제하기 때문에 외적 통제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4. 집단 내 공동지도자의 참여는 집단지도자의 역전이를 막을 수 있다.
     5. 자기애적 성향을 가진 성원의 경우 집단에 적절한 행동과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개방적인 집단은 폐쇄적 집단과 달리 구성원의 탈퇴나 가입이 자유로워서,
한꺼번에 나가거나 들어오거나 하면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구성원들의 발달단계를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
[해설작성자 : 겨울에서봄으로]

47. 철수는 무단결석과 친구를 괴롭히는 문제로 담임선생님에 의해 학교사회복지사에게 의뢰 되었다. 철수와의 상담을 과제중심모델로 진행할 때 그 개입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1월)
     1. 철수의 성격유형과 심리역동을 탐색한다.
     2. 지역사회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한다.
     3. 담임선생님이 제시한 문제를 확인한다.
     4. 철수의 노력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를 선정한다.
     5. 제시된 문제가 철수의 욕구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번의 유형 역동성 고찰은 심리사회모델의 기법
[해설작성자 : ㅇㅈ!]

48. 보웬(Bowen)의 가족치료기법의 적용사례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재구성 - 간섭하는 부모와 갈등하는 자녀
     2. 경계만들기 - 서로 무관심한 남편과 아내
     3. 역설적 지시 - 끊임없이 잔소리하는 시어머니
     4. 탈삼각화 - 남편보다 장남인 아들에 집착하는 엄마
     5. 균형깨뜨리기 - 독단적으로 자녀문제를 결정하는 아버지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재구성, 경계만들기, 균형깨뜨리기 =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기법
역설적 지시 = 전략적 가족치료에 해당한다. (EX, 밤마다 오줌싸는 아이에게 밤에 오줌을 꼭싸라고 지시한다.)
[해설작성자 : Wize Slow]

49. 단일사례설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동시에 여러 문제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2. 개입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반복측정을 한다.
     3. 기초선 자료수집은 개입 이전이나 이후에도 가능하다.
     4. 개입과정에서 개입의 강도나 방식을 바꿀 수 있다.
     5. 조사대상은 개인뿐 아니라 가족, 집단, 기관도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50. 부인이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을 강요하는 아버지로 인해 대화가 단절된 가족이 의뢰되었다. 타인을 무시하고 탓하는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을 일치형으로 변화시키는 데 적합한 방법은?(2014년 01월)
     1. 전략적 접근
     2. 구조적 접근
     3. 경험적 접근
     4. 이야기치료
     5. 해결중심모델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해당 지문에서 "부인이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을 강요하는 아버지로 인해 대화가 단절된 가족이 의뢰되었다"만 보면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균형깨기가 해당하지만, 이후 지문에서 비난형, 일치형과 같이
의사소통 유형에 대하여 묻고 있습니다.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내용이고 사티어는 경험적 가족치료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야로나]

51. 지역사회(commun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기능적 지역사회는 이념, 사회계층, 직업유형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2. 지리적 지역사회는 이웃, 마을, 도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3. 던햄(A. Dunham)은 지역사회를 인구크기, 경제적 기반, 행정구역, 사회적 특수성으로 유형화했다.
     4. 퇴니스(F. Tonnies)는 지역사회를 공동사회와 이익사회로 구분했다.
     5. 길버트와 스펙트(N. Gilbert & Specht)는 지역사회의 사회통합기능이 현대의 사회복지제도로 정착되었다고 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길버트(Gilbert)와 스펙트(Specht)의 지역사회 기능
    ① 생산, 분배, 소비의 기능: 1차적 분배 기능으로서 경제제도와 연관
    ② 상부상조의 기능: 2차적 분배 기능으로서 사회복지제도와 연관
    ③ 사회화의 기능: 가족제도와 연관
    ④ 사회통제의 기능: 정치제도와 연관    
    ⑤ 사회통합의 기능: '사회참여의 기능'이라고도 하며 종교제도와 연관
[해설작성자 : 보이지마]

52. 지역사회복지 관련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지역사회조직(community organization)은 전통적인 전문 사회복지실천방법 중 하나이다.
     2. 지역사회개발(community development)은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에 의한 주도적 개입을 강조한다.
     3. 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는 가정 또는 그와 유사한 지역사회 내의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돌봄의 형태이다.
     4. 지역사회복지실천(community practice)은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을 포괄적으로 일컫는 개념이다.
     5. 재가보호(domiciliary care)는 대상자의 가정에서 서비스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지역사회조직(community organization): 공공 및 민간 사회복지기관의 전문사회복지사에 의해 계획적, 조직적으로 이루어진다.
2.지역사회개발(community development): 지역사회 변화를 강조하므로 지역사회실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3.지역사회보호(community care): 기존의 시설보호 위주의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지역사회와 상호보완하여 서비스를 개선시키고자 한다.
4.지역사회복지실천(community practice): 지역사회의 복지증진을 위한 모든 전문적, 비전문적 활동을 포함한다.
[해설작성자 : 보이지마]

2. 지역사회개발은 전문가에 의한 주도적 개입이 아닌, 주민들의 참여를 중시함
[해설작성자 : 뽀로리]

53. 지역아동센터 사업에 대한 평가를 한다고 할 때 속성이 다른 하나는?(2014년 01월)
     1. 투입 예산
     2. 자원봉사자 수
     3. 센터 종사자 수
     4. 아동의 학교 출석률
     5. 센터 규모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2,3,5는 투입 4는 산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사회적 자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지역사회 문제해결 능력과는 무관하다.
     2. 네트워크는 사회적 자본의 전제가 된다.
     3. 지역사회의 집합적 자산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4. 한 번 형성된 후에도 소멸될 수 있다.
     5. 신뢰는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자원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55. 영국의 그리피스 보고서(Griffiths Report, 1988)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사회보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1월)

    

     1. ㄱ,ㄴ
     2. ㄱ,ㄹ
     3. ㄴ,ㄷ
     4. ㄱ,ㄷ,ㄹ
     5. ㄴ,ㄷ,ㄹ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ㄴ. 지방정부는 사회서비스의 직접적인 제공자가 아닌 계획, 조정, 구매자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해설작성자 :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추가 해설]
그리피스 보고서는 지방정부의 공급자 역할의 아닌 (지방정부의 재량권강화)에 초점을 둠.
[해설작성자 : 겨울에서봄으로]

56. 다음 A지역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지역사회복지 실천이론은?(2023년 01월)

    

     1. 생태학이론
     2. 사회학습이론
     3. 엘리트주의이론
     4. 교환이론
     5. 다원주의이론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생태학 이론(생태학적 관점)]
-지역사회의 변환 과정을 역동적 진화 과정으로 설명하며, 이를 위해 경쟁, 중심화, 분산, 집결, 분리, 우세, 침입, 계승 등 다양한 개념을 사용
예) 외국인 노동자 유입에 따른 특정 국적의 외국인 주거 공동체 형성과 그로 인한 원주민과의 갈등 -> 집결과 침입에 따른 사회적 층화 현상
[해설작성자 : 룰루]

57.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ㄱ. 개입방향과 수준을 정하는 것은 목적 및 목표 설정 단계입니다
ㄴ. 실행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자원과 수혜자의 만족입니다 그러므로 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ㄷ. 문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프로그램 또는 대안의 선택 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58.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지역사회 기관 간 협력관계 구축
     2.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계획 수립
     3. 지역사회 문제 인식의 획일화
     4. 욕구 가변성에 따른 실천과정의 변화 이해
     5. 지역사회 변화에 초점을 둔 개입

     정답 : []
     정답률 : 85%

59.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옹호(advocacy)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2월)
     1.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을 조정하고 연계한다.
     2. 시의원 등에게 정치적 압력을 행사한다.
     3. 피케팅으로 해당 기관을 난처하게 한다.
     4. 행정기관에 증언 청취를 요청한다.
     5. 지역주민으로부터 탄원서에 서명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을 조정하고 연계하는 것은 중개자 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시험열공자]

60. 웨일과 갬블(M. Weil & D. Gamble)의 근린지역사회조직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조직화를 위한 구성원의 능력개발에 초점을 둔다.
     2. 일차적 구성원은 지역사회 이웃주민이다.
     3. 사회복지사의 주요 역할은 조직가, 교육자, 촉진자, 코치이다.
     4. 지방정부, 외부개발자, 지역주민을 변화의 표적체계로 본다.
     5. 관심영역은 공통 관심사나 특정 이슈에 대한 정책, 행위, 인식의 변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61. 테일러와 로버츠(S. Taylor & R. Roberts)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프로그램 개발과 조정: 지역주민의 역량강화 및 지도력 개발에 관심
     2. 계획: 구체적 조사전략 및 기술 강조
     3. 지역사회연계: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관계망 구축 강조
     4. 지역사회개발: 지역주민의 참여와 자조 중시
     5. 정치적 역량강화: 상대적으로 권력이 약한 시민의 권한 강화에 관심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지역사회변화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정해 나가는 모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지역사회개발 : 지역주민의 역량강화 및 지도력 개발에 관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실행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1월)
     1. 재정자원 집행
     2. 참여자 간의 갈등 관리
     3. 클라이언트의 적응 촉진
     4. 실천계획의 목표 설정
     5. 협력과 조정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실천계획의 목표 설정은 계획단계이다
[해설작성자 : 동글]

63. 지역사회복지 실천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지역사회문제 해결과정으로 볼 수 있다.
     2. 지역사회 사정은 지역사회의 욕구와 자원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3. 지역사회 문제나 욕구는 지역사회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4. 자원동원, 재정집행, 네트워크는 실행단계에서 수행된다.
     5. 총괄평가는 수행과정 중에 실시되어 실천과정의 문제점을 수정하는데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64. 지방자치가 지역사회복지에 미친 긍정적 영향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8%

65. 사회계획 모델에서 샌더스(I. T. Sanders)가 주장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아닌 것은?(2024년 01월)
     1. 분석가
     2. 조직가
     3. 계획가
     4. 옹호자
     5. 행정가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4. 옹호자는 그로서가 제시한 사회행동모델에서의 역할 중 하나임.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66. 지방자치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민주주의 사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2.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선거로 선출한다.
     3. 지역문제에 대한 자기통치 원리를 담고 있다.
     4.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에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5.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사무가 주민참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995년 시작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4. 최초의 지방자치제는 1952년 시행되었다가,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인해 지방자치단체 폐지
     이후 1987년 지방자치법 제정으로 인해 1991년 지방의회 의원 선출, 1995년 지방자치단체장을 선출하여 오늘날의 형태를 갖춤
[해설작성자 : 양처럼 온순]

67. 지방분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보험제도의 지방분권이 확대되고 있다.
     2. 주민참여로 권력의 재분배가 이루어진다.
     3. 지역주민의 욕구에 대한 민감성이 약화된다.
     4. 복지수준의 지역 간 균형이 이루어진다.
     5. 중앙정부의 사회적 책임성이 강화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지방분권 -주민참여- 권력재분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1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1. 시,도 사회보장위원회의 심의 + 해당 시.도 의회 보고
[해설작성자 : 짜요]

ㄱ: 시 군 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심의와 의회의 보고를 거쳐야 한다.
ㄷ: 시 군 구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시행연도의 전년도 9월 30일 까지 연차별 시행계획을 시행연도의 전년도 11월 30일 까지 각각 시도지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24년도 1급 자격증은 내 꺼!]

69.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심의ㆍ자문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2020년 02월)
     1. 시ㆍ군ㆍ구 사회보장 추진
     2. 시ㆍ군ㆍ구 사회보장급여 제공
     3.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시행 및 평가
     4. 읍ㆍ면ㆍ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
     5. 특별자치시의 사회보장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계 기관ㆍ법인ㆍ단체ㆍ시설과의 연계ㆍ협력 강화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5. 시군구보다 상위기구임. 특별자치시의 경우 시도사회보장위원회에서 심의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70.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대표협의체는 사회보장급여 제공과 관련된 조례를 제정한다.
     2. 대표협의체 위원에는 공무원이 포함되지 않는다.
     3. 실무협의체는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자문한다.
     4. 실무협의체 위원은 10명 이상 40명 이하로 구성한다.
     5. 읍ㆍ면ㆍ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시행결과를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71.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지방분권의 부정적 측면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사회복지 행정업무와 재정을 지방에 이양함으로써 중앙정부의 사회적 책임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2. 지방정부가 사회개발정책에 우선을 두는 경우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이 감소될 수 있다.
     3. 복지의 분권화를 통해 효율적인 복지집행체계의 구축이 용이해질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복지서비스의 지역 간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
     5. 지방정부간의 재정력 격차로 복지수준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 지방분권의 장점에 관한 내용이다.

72. 사회적 경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01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ㄷ. 협동조합은 조합원의 권익 향상과 지역사회 공헌을 목적으로 하며, 그 중 사회적 협동조합은 지역주민들의 권익, 복리증진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거나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등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협동조합이다.
[해설작성자 : 2023년도 합격자]

73. 지역사회복지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1월)
     1.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계층적 기반은 노동운동이나 여성운동과 같이 뚜렷하다.
     2.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된 관심사는 주민 삶의 질과 관련된 생활영역에 있다.
     3.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 활용 및 조직 간 유기적 협력이 이루어진다.
     4. 지역사회복지운동에는 다양한 이념이 사용될 수 있다.
     5.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는 사회복지전문가, 지역활동가, 지역사회복지이용자 등 다양하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노동운동이나 민중운동 등 짖역사회주민 전체를 기반으로 대상자가 포괄적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4. 옹호(advocacy) 기술의 특성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옹호 기술 : 사회정의를 지키고 유지하려는 목적. 지역 입장에서 직접 대변,보호,개입, 지지하는 행동들.
[해설작성자 : 초시가자]

75. 최근 복지전달체계의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복지 전담인력의 확충
     2. 수요자 중심 복지서비스 제공
     3. 통합사례관리의 축소
     4. 민ㆍ관 협력의 활성화
     5. 보건과 연계한 서비스의 통합성 강화

     정답 : []
     정답률 : 8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567152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복지사, 1급, 2교시,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86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2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85 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84 남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1783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782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6596389)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81 전파전자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1월28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80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9178347)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9 수능(화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435364)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778 F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2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7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6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8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5 보석감정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1774 9급 국가직 공무원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3 경찰공무원(순경)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2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71 의료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1770 9급 국가직 공무원 수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5671529)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68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767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계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76 Next
/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