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986504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밑줄 친 어휘가 표준어가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내 친구는 맨날 컴퓨터 게임만 해서 걱정이야.
     2. 운동을 많이 했더니 장단지가 뭉쳐서 아프네.
     3. 철수는 짜장면을 즐겨 먹어.
     4. 영수가 칠판에 글을 개발새발 그려놓았어.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장단지 >장딴지

2. 다음 중 띄어쓰기가 가장 적절한 것은?(2019년 08월)
     1. 가지∨말라는∨데는∨가지∨말아야지∨왜∨그런∨곳에∨간∨거야?
     2. 너∨만큼∨나도∨그∨사람을∨보고∨싶어.
     3. 그∨일을∨왜∨해야∨하는∨지를∨잘∨모르겠어.
     4. 나도∨그곳에서∨보다∨이곳에서의∨생활이∨더∨좋아.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2. 너만큼 나도 그 사람을 보고 싶어
3. 그 일을 왜 해야 하는지를 잘 모르겠어
4. 나도 그곳에서보다 이곳에서의 생활이 더 좋아
[해설작성자 : 창일]

3. 다음 단어의 로마자 표기나 외래어 표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2016년 09월)
     1. 수락산 ⇒ Suraksan
     2. 오죽헌 ⇒ Ojukheon
     3. ambulance ⇒ 앰뷸란스
     4. 毛澤東 ⇒ 마오쩌둥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3.앰뷸런스.

4.장제스 마오쩌뚱 덩샤오핑 베이징은 물론 장개석 모택동 등소평 북경 모두 사용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국어의 발음 및 표기와 관련하여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찾을 도리'는 [차즐또리]로 발음하면 된다.
     2. '맑고 맑다'를 [말꼬]와 [막따]로 소리 내어 읽었다.
     3. 김희혜 씨의 이름을 글자대로 발음하기 어려워서 「표준 발음법」에 따라 [김히헤]로 호명하였다.
     4. 현대 국어의 종성으로 발음되는 자음은 7가지이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keik]로 발음되는 외래어를 '케잌'이라 적지 않고 '케익'으로 적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케이크.

1.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점미사와 결합되는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 찾을->차즐
관형사형 -ㄹ/-을 다음에서는 ㄱㄷㅂㅅㅈ는 예외없이 된소리로 발음. 차즐또리

2.겹받침 ㄺ은 ㄱ으로 발음하나, ㄱ앞에서 ㄹ로 발음. 막따 말꼬.

3.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있는 음절의 ㅢ는 ㅣ 로 발음. 따라서 희는 히로 발음.
예 례 이외의 ㅖ는 ㅖ로 발음하되 ㅔ로도 발음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청주시 Cheongju', '함평군 Hampyeong', '순창읍 Sunchang'처럼 '시, 군, 읍'의 행정 구역 단위는 생략할 수 있다.
     2. '묵호 Mukho', '집현전 Jiphyeonjeon'처럼 체언에서 'ㄱ, ㄷ, ㅂ' 뒤에 'ㅎ'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적는다.
     3. '홍빛나 Hong Bitna', '한복남 Han Boknam'처럼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4. '남산 Namsan', '독도 Dokdo'처럼 자연 지명물,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3.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쓰는것을 원칙.
음절 사이에 붙임표 쓰는것을 예외적으로 허용.

han boknam, han bok-na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형용사는 '그츨ᄊᆡ'이다.
     2. 조사는 '이', '은', '애'이다.
     3. 명사는 'ᄉᆡᆷ', '믈', 'ᄀᆞᄆᆞᆯ'이다.
     4. 모두 9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0%

7. 다음 자료를 토대로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3월)

   

     1. 중세 국어의 '-오/우-'는 대상법 및 인칭법 선어말어미로서 '定ᄒᆞ샨', '아ᄅᆞ쇼셔' 등에 쓰였으나 근대 국어 시기에 이르러 기능이 소실되고 이후 점차 소멸되었다.
     2. 설명 의문문을 만드는 의문형 어미 '-니ᅌᅵᆺ가'와 판정 의문문을 만드는 의문형 어미 '-니ᅌᅵᆺ고'가 있었고 '미드니ᅌᅵᆺ가'는 상대 높임법의 ᄒᆞ쇼셔체에 해당한다.
     3. '-시/샤-'(주체 높임법), '-ᄉᆞᆸ/ᅀᆞᆸ/ᄌᆞᆸ-'(객체 높임법), '-ᅌᅵ/ᅌᅵᆺ-'(상대 높임법) 등 높임법이 발달해 있었고 높임의 호격 조사 '아'는 ㅎ종성 체언 다음에 쓰였다.
     4. 주격 조사 '이'는 '이'뿐만 아니라 'ㅣ'로 나타나거나 생략되기도 하였고 부사격 조사 '애'는 '에, 예'나 'ᄋᆡ, 의' 등 다양한 형태로 쓰였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2.설명 의무문은 고.오 // 판정 의무문은 가.아. 보기 뒤바뀜.
3.높임 호격조사는 '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설명을 참고할 때, 높임 표현의 방식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2018년 12월)

   

     1. 혜정아, 선생님께 여쭤 보고 결정해라.
     2. 혜정아, 아버지께 전화를 드리고 나가니?
     3. 영수야, 주말에 할머닐 모시고 동물원에 가자.
     4. 영수야, 새벽만 되면 할아버지께서는 어디에 가실까?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선생님+께 여쭤-> 객체높임
2. 아버지+께 드리고 -> 객체높임
3. 할머니+모시고 -> 객체높임

4. 서술어 가실까의 해당하는 할아버지는 주체. 따라서 주체높임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밑줄 친 부분이 <보기>의 ㉠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형은 아빠와 많이 닮았다.
     2. 누나는 동생에게 선물을 주었다.
     3. 나는 종일 집에서 동생과 놀았다.
     4. 그녀는 자신의 행운을 당연하게 여겼다.

     정답 : []
     정답률 : 73%

10. <보기>와 같은 의미 관계로 짝지어진 것은?(2020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5%

11. 다음은 A국의 여성 경제 활동 인구 및 참가율을 나타낸 표이다. 표를 보고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15세 이상 여성 인구의 수가 해마다 조금씩 늘고 있다.
     2. 여성 경제 활동 인구의 수가 해마다 조금씩 늘고 있다.
     3. 여성 경제 활동 참가율은 2009년까지 감소했다가 그 이후로 증가하고 있다.
     4. 여성들이 어떠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 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7%

12. 다음과 같은 글을 읽을 때, 유의할 점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핵심 내용을 확인하며 읽는다.
     2. 사실과 주장을 주의하며 읽는다.
     3. 정서적이거나 공감이 되는 부분을 찾아 읽는다.
     4. 자료의 출처가 믿을 만한 것인지를 생각하며 읽는다.

     정답 : []
     정답률 : 70%

13.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균여전(均如傳)」에 실려 있다.
     2. 민요적 성격이 강하다.
     3. 첫 번째 구의 밑줄 친 ‘隱’은 음독(音讀)한다.
     4. 형식상 <헌화가>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1 삼국유사에 실려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14.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임을 그리는 여인의 심정을 월령체 형식에 맞추어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2. 고려 시대부터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 시대에 문자로 정착되어 「악장가사」에 전한다.
     3. 후렴구를 사용하여 연을 구분하고 음악적 흥취를 고조시켰다.
     4. 1연은 서사(序詞)로서 송축(頌祝)의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민간의 노래가 궁중으로 유입되면서 덧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동동.
고려 속요
전 13연의 달거리 노래(월령체. 서사+12달)
이별의 노래. 민요풍. 송도가
서사와 본사인 1월~12월까지의 달거리로 구성
악학궤범 5권에서 출전.

답 2번.

해석.
덕은 뒷잔에 바치옵고 복은 앞잔에 비치옵고
덕이라 복이라 하는 것을 진상하러 오세요.

정월 시냇물이 아아 얼려 녹으려 하면서 봄이 다가오는데
세상 가운데 태어나서 이 몸이여 홀로 살아가는구나

이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켜 놓은 연등 등불과 같은 임이여,
만인을 비추실 모습이시도다.

삼월이 지나며 피어난 아아 늦봄의 진달래꽃 같은 임이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고 태어나셨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가 출판한 백과사전과 집단지성을 활용한 백과사전의 장단점을 비교한 다음 표의 내용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마지막 단락에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개별 누리꾼이 나타난다고 하여 집단지성이 더 좋아질 수 있다고 설명.
장점에 들어갈 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윗글에서 글쓴이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8월)
     1. 지방 인재를 선발하여야 한다.
     2. 명문 벌족의 인재를 선발하여야 한다.
     3. 인재 선발 절차를 체계화하여야 한다.
     4. 지역과 신분을 차별하지 말고 고르게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신분, 지역, 붕당 등 각종 차별 때문에 버려지는 인재들이 많으므로 이러한 차별없이 고르게 인재를 등용하자는 4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 ㉠, ㉡의 한자 표기가 올바르게 짝 지어진 것은?(2014년 03월)

    

     1. ㉠科擧 ㉡及第
     2. ㉠過擧 ㉡扱濟
     3. ㉠科擧 ㉡扱濟
     4. ㉠過擧 ㉡及第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과정 과, 들 거 科擧
미칠 급 차례 제 及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보기 시의 괄호 안에 들어갈 시어가 적절하게 짝 지어진 것은?(2017년 09월)

    

     1. 땅 - 국화 - 영웅(英雄)
     2. 하늘 - 매화 - 영웅(英雄)
     3. 땅 - 국화 - 초인(超人)
     4. 하늘 - 매화 - 초인(超人)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보기 시는 이육사 광야.
1~3연 : 하늘이 열리고 그곳에 광야가 형성
4 연 : 눈 속에서 굳은 독립의지(매화)를 갖고 미래를 준비
5 연 : 위대한 후손(초인)이 와서 미래를 노래하게 하겠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중 어법에 맞게 고친 문장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인간은 운명에 복종할 수도 있고, 지배할 수도 있다.
→ 인간은 운명에 복종도 하고 지배도 한다.
     2. 이 차는 사람이나 짐을 싣고 다닌다.
→ 이 차는 사람을 태우거나 짐을 싣고 다닌다.
     3. 나는 철수에 선물을 주었다.
→ 나는 철수에게 선물을 주었다.
     4. 나는 결코 이 일을 해야 해.
→ 나는 반드시 이 일을 해야 해.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인간은 운명에 복종도 하고, 운명을 지배할 수도 있다.
두개의 서술어를 수식하는 복종하다에 필요한 부사어로서 운명.
목적어가 필요한 지배하다에 사용한 운명.
각각 써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중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바르게 표기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대관령 : Daegwallyeong
     2. 세종로 : Sejong-ro
     3. 샛별 : saetbyeol
     4. 오죽헌 : Ojukeon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4.Ojukheon
체언에서는 자음축약 현상을 반영하지 않아서 h 표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986504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밑줄 친 어휘가 표준어가 아닌 것은?(2019년 08월)
     1. 내 친구는 맨날 컴퓨터 게임만 해서 걱정이야.
     2. 운동을 많이 했더니 장단지가 뭉쳐서 아프네.
     3. 철수는 짜장면을 즐겨 먹어.
     4. 영수가 칠판에 글을 개발새발 그려놓았어.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장단지 >장딴지

2. 다음 중 띄어쓰기가 가장 적절한 것은?(2019년 08월)
     1. 가지∨말라는∨데는∨가지∨말아야지∨왜∨그런∨곳에∨간∨거야?
     2. 너∨만큼∨나도∨그∨사람을∨보고∨싶어.
     3. 그∨일을∨왜∨해야∨하는∨지를∨잘∨모르겠어.
     4. 나도∨그곳에서∨보다∨이곳에서의∨생활이∨더∨좋아.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2. 너만큼 나도 그 사람을 보고 싶어
3. 그 일을 왜 해야 하는지를 잘 모르겠어
4. 나도 그곳에서보다 이곳에서의 생활이 더 좋아
[해설작성자 : 창일]

3. 다음 단어의 로마자 표기나 외래어 표기가 바르지 않은 것은?(2016년 09월)
     1. 수락산 ⇒ Suraksan
     2. 오죽헌 ⇒ Ojukheon
     3. ambulance ⇒ 앰뷸란스
     4. 毛澤東 ⇒ 마오쩌둥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3.앰뷸런스.

4.장제스 마오쩌뚱 덩샤오핑 베이징은 물론 장개석 모택동 등소평 북경 모두 사용 가능.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국어의 발음 및 표기와 관련하여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찾을 도리'는 [차즐또리]로 발음하면 된다.
     2. '맑고 맑다'를 [말꼬]와 [막따]로 소리 내어 읽었다.
     3. 김희혜 씨의 이름을 글자대로 발음하기 어려워서 「표준 발음법」에 따라 [김히헤]로 호명하였다.
     4. 현대 국어의 종성으로 발음되는 자음은 7가지이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keik]로 발음되는 외래어를 '케잌'이라 적지 않고 '케익'으로 적었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케이크.

1.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점미사와 결합되는 경우.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 찾을->차즐
관형사형 -ㄹ/-을 다음에서는 ㄱㄷㅂㅅㅈ는 예외없이 된소리로 발음. 차즐또리

2.겹받침 ㄺ은 ㄱ으로 발음하나, ㄱ앞에서 ㄹ로 발음. 막따 말꼬.

3.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있는 음절의 ㅢ는 ㅣ 로 발음. 따라서 희는 히로 발음.
예 례 이외의 ㅖ는 ㅖ로 발음하되 ㅔ로도 발음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청주시 Cheongju', '함평군 Hampyeong', '순창읍 Sunchang'처럼 '시, 군, 읍'의 행정 구역 단위는 생략할 수 있다.
     2. '묵호 Mukho', '집현전 Jiphyeonjeon'처럼 체언에서 'ㄱ, ㄷ, ㅂ' 뒤에 'ㅎ'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적는다.
     3. '홍빛나 Hong Bitna', '한복남 Han Boknam'처럼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4. '남산 Namsan', '독도 Dokdo'처럼 자연 지명물,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3.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쓰는것을 원칙.
음절 사이에 붙임표 쓰는것을 예외적으로 허용.

han boknam, han bok-nam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다음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8월)

   

     1. 형용사는 '그츨ᄊᆡ'이다.
     2. 조사는 '이', '은', '애'이다.
     3. 명사는 'ᄉᆡᆷ', '믈', 'ᄀᆞᄆᆞᆯ'이다.
     4. 모두 9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0%

7. 다음 자료를 토대로 중세 국어의 문법적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3월)

   

     1. 중세 국어의 '-오/우-'는 대상법 및 인칭법 선어말어미로서 '定ᄒᆞ샨', '아ᄅᆞ쇼셔' 등에 쓰였으나 근대 국어 시기에 이르러 기능이 소실되고 이후 점차 소멸되었다.
     2. 설명 의문문을 만드는 의문형 어미 '-니ᅌᅵᆺ가'와 판정 의문문을 만드는 의문형 어미 '-니ᅌᅵᆺ고'가 있었고 '미드니ᅌᅵᆺ가'는 상대 높임법의 ᄒᆞ쇼셔체에 해당한다.
     3. '-시/샤-'(주체 높임법), '-ᄉᆞᆸ/ᅀᆞᆸ/ᄌᆞᆸ-'(객체 높임법), '-ᅌᅵ/ᅌᅵᆺ-'(상대 높임법) 등 높임법이 발달해 있었고 높임의 호격 조사 '아'는 ㅎ종성 체언 다음에 쓰였다.
     4. 주격 조사 '이'는 '이'뿐만 아니라 'ㅣ'로 나타나거나 생략되기도 하였고 부사격 조사 '애'는 '에, 예'나 'ᄋᆡ, 의' 등 다양한 형태로 쓰였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2.설명 의무문은 고.오 // 판정 의무문은 가.아. 보기 뒤바뀜.
3.높임 호격조사는 '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설명을 참고할 때, 높임 표현의 방식이 나머지와 다른 것은?(2018년 12월)

   

     1. 혜정아, 선생님께 여쭤 보고 결정해라.
     2. 혜정아, 아버지께 전화를 드리고 나가니?
     3. 영수야, 주말에 할머닐 모시고 동물원에 가자.
     4. 영수야, 새벽만 되면 할아버지께서는 어디에 가실까?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 선생님+께 여쭤-> 객체높임
2. 아버지+께 드리고 -> 객체높임
3. 할머니+모시고 -> 객체높임

4. 서술어 가실까의 해당하는 할아버지는 주체. 따라서 주체높임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밑줄 친 부분이 <보기>의 ㉠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형은 아빠와 많이 닮았다.
     2. 누나는 동생에게 선물을 주었다.
     3. 나는 종일 집에서 동생과 놀았다.
     4. 그녀는 자신의 행운을 당연하게 여겼다.

     정답 : []
     정답률 : 73%

10. <보기>와 같은 의미 관계로 짝지어진 것은?(2020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5%

11. 다음은 A국의 여성 경제 활동 인구 및 참가율을 나타낸 표이다. 표를 보고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15세 이상 여성 인구의 수가 해마다 조금씩 늘고 있다.
     2. 여성 경제 활동 인구의 수가 해마다 조금씩 늘고 있다.
     3. 여성 경제 활동 참가율은 2009년까지 감소했다가 그 이후로 증가하고 있다.
     4. 여성들이 어떠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 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7%

12. 다음과 같은 글을 읽을 때, 유의할 점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핵심 내용을 확인하며 읽는다.
     2. 사실과 주장을 주의하며 읽는다.
     3. 정서적이거나 공감이 되는 부분을 찾아 읽는다.
     4. 자료의 출처가 믿을 만한 것인지를 생각하며 읽는다.

     정답 : []
     정답률 : 70%

13.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1년 03월)

    

     1. 「균여전(均如傳)」에 실려 있다.
     2. 민요적 성격이 강하다.
     3. 첫 번째 구의 밑줄 친 ‘隱’은 음독(音讀)한다.
     4. 형식상 <헌화가>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1 삼국유사에 실려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14. 이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임을 그리는 여인의 심정을 월령체 형식에 맞추어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2. 고려 시대부터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 시대에 문자로 정착되어 「악장가사」에 전한다.
     3. 후렴구를 사용하여 연을 구분하고 음악적 흥취를 고조시켰다.
     4. 1연은 서사(序詞)로서 송축(頌祝)의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민간의 노래가 궁중으로 유입되면서 덧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동동.
고려 속요
전 13연의 달거리 노래(월령체. 서사+12달)
이별의 노래. 민요풍. 송도가
서사와 본사인 1월~12월까지의 달거리로 구성
악학궤범 5권에서 출전.

답 2번.

해석.
덕은 뒷잔에 바치옵고 복은 앞잔에 비치옵고
덕이라 복이라 하는 것을 진상하러 오세요.

정월 시냇물이 아아 얼려 녹으려 하면서 봄이 다가오는데
세상 가운데 태어나서 이 몸이여 홀로 살아가는구나

이월 보름에 아아 높이 켜 놓은 연등 등불과 같은 임이여,
만인을 비추실 모습이시도다.

삼월이 지나며 피어난 아아 늦봄의 진달래꽃 같은 임이여,
남이 부러워할 모습을 지니고 태어나셨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가가 출판한 백과사전과 집단지성을 활용한 백과사전의 장단점을 비교한 다음 표의 내용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가)
     2. (나)
     3. (다)
     4. (라)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마지막 단락에서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는 개별 누리꾼이 나타난다고 하여 집단지성이 더 좋아질 수 있다고 설명.
장점에 들어갈 내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윗글에서 글쓴이의 입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4년 08월)
     1. 지방 인재를 선발하여야 한다.
     2. 명문 벌족의 인재를 선발하여야 한다.
     3. 인재 선발 절차를 체계화하여야 한다.
     4. 지역과 신분을 차별하지 말고 고르게 인재를 등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신분, 지역, 붕당 등 각종 차별 때문에 버려지는 인재들이 많으므로 이러한 차별없이 고르게 인재를 등용하자는 4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다음 ㉠, ㉡의 한자 표기가 올바르게 짝 지어진 것은?(2014년 03월)

    

     1. ㉠科擧 ㉡及第
     2. ㉠過擧 ㉡扱濟
     3. ㉠科擧 ㉡扱濟
     4. ㉠過擧 ㉡及第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과정 과, 들 거 科擧
미칠 급 차례 제 及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 보기 시의 괄호 안에 들어갈 시어가 적절하게 짝 지어진 것은?(2017년 09월)

    

     1. 땅 - 국화 - 영웅(英雄)
     2. 하늘 - 매화 - 영웅(英雄)
     3. 땅 - 국화 - 초인(超人)
     4. 하늘 - 매화 - 초인(超人)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보기 시는 이육사 광야.
1~3연 : 하늘이 열리고 그곳에 광야가 형성
4 연 : 눈 속에서 굳은 독립의지(매화)를 갖고 미래를 준비
5 연 : 위대한 후손(초인)이 와서 미래를 노래하게 하겠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중 어법에 맞게 고친 문장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인간은 운명에 복종할 수도 있고, 지배할 수도 있다.
→ 인간은 운명에 복종도 하고 지배도 한다.
     2. 이 차는 사람이나 짐을 싣고 다닌다.
→ 이 차는 사람을 태우거나 짐을 싣고 다닌다.
     3. 나는 철수에 선물을 주었다.
→ 나는 철수에게 선물을 주었다.
     4. 나는 결코 이 일을 해야 해.
→ 나는 반드시 이 일을 해야 해.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1.인간은 운명에 복종도 하고, 운명을 지배할 수도 있다.
두개의 서술어를 수식하는 복종하다에 필요한 부사어로서 운명.
목적어가 필요한 지배하다에 사용한 운명.
각각 써야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0. 다음 중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바르게 표기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대관령 : Daegwallyeong
     2. 세종로 : Sejong-ro
     3. 샛별 : saetbyeol
     4. 오죽헌 : Ojukeon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4.Ojukheon
체언에서는 자음축약 현상을 반영하지 않아서 h 표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986504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54 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53 수능(세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1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852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9865042)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50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49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2964601)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848 소방공무원(경력)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47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46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8907796)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45 변리사 1차(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2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44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8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43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842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41 ERP 회계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40 9급 국가직 공무원 노동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839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38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1837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836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3
1835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179 Next
/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