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53532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하역 기계에서 무거운 것은 저속으로, 가벼운 것은 고속으로 작업하여 고속이나 저속에서 다같이 동일한 동력이 요구되는 부하는?(2015년 05월)
     1. 정토크 부하
     2. 제곱토크 부하
     3. 정동력 부하
     4. 정속도 부하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문제에서 동일한 동력이 요구되는 부하'라고 하였으므로
정답을 "정동력 부하"로 쉽게 쉽게 가봅시다.

나머지 보기에 대한 설명을 하자면

①정토크 부하 : 속도에 관계 없이 일정한 토크를 가지는 것
    Ex) 인쇄기, 압연기, 권상기, 선반 등
②제곱토크 부하 : 토크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
    Ex) 유체기계 : 펌프, 송풍기 등
③정속도 부하 : 부하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가지는 것
[해설작성자 : AAA]

2. 조도를 구하는 식은? (단, 면적은 A, 광속은 F이다.)(2012년 05월)
     1. 2F×A
     2. F×A
     3. A/F
     4. F/A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조도 : 단위 면적 당 입사광속
E = F/S [lm/m2][lx]
[해설작성자 : D2]

3. 다음 중 일반적으로 휘도가 가장 높은 램프는?(2012년 09월)
     1. 백열전구
     2. 고압 수은등
     3. 탄소 아크등
     4. 형광등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탄소아크등은 영환관 영사기로 사용할 만큼 빛이 밝음

4. 다음 중 시감도가 가장 좋은 광색은?(2022년 03월)
     1. 적색
     2. 등색
     3. 청색
     4. 황록색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최대 시감도 : 680 [lm/W]
최대 시감도의 파장 : 555 [nm], 황록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조명에서 칸델라[cd]는 무엇의 단위인가?(2006년 09월)
     1. 휘도
     2. 조도
     3. 광도
     4. 광속발산도

     정답 : []
     정답률 : 79%

6. 다음 전기 차량의 대차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4륜차
     2. 전동차
     3. 보기차
     4. 연결차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륜차, 4륜차, 보기차, 연결차
[해설작성자 : 갓기]

7. 양수량 40[m3/min], 총 양정 13[m]의 양수펌프용 전동기의 소요출력은 약 몇[kW]인가? (단, 펌프의 효율은 80[%]이다.)(2011년 03월)
     1. 68
     2. 106
     3. 136
     4. 212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 40×13 / 6.12×0.8 = 520 / 4.896 = 106.21
[해설작성자 : 다람쥐]

9.8*Q(uantity)*H(eight)/효율=9.8*(40/60->분을초로변환)*13/0.8=106.167

[추가 해설]
9.8*(40/60->분을 시(h)로 변환)*13/0.8=106.16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 = 40 * 13 / 6.12 * 0.8 = 106.209[k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8. 전동기의 회생제동이란?(2015년 09월)
     1. 전동기의 기전력을 저항으로써 소비시키는 방법이다.
     2. 전동기에 붙인 제동화에 전자력으로 가압하는 방법이다.
     3. 전동기를 발전제동으로 하여 발생전력을 선로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4. 와전류손으로 회전체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전동기를 발전기로 동작시켜 그 발생 전력을 전원에 되돌려서 하는 제동방법. 직류 전동기에서는 무부하 속도 이상일 때, 유도 전동기에서는 동기속도 이상일 때 이 방식이 적용된다. 직권 전동기의 경우는 보통 계자를 타려(他勵)로 전환하여 타려자 발전기로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회생제동 [regenerative breaking, regenerative braking, 回生制動] (용어해설)
[해설작성자 : 2017년 4회차 도전]

9. 열차가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운행할 경우 또는 정해진 신호에 따른 속도 이상으로 운행할 경우 설정시간 이내에 제동 또는 지정속도로 감속조작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열차를 안전하게 정지 시키는 장치는?(2017년 03월)
     1. ATC
     2. ATS
     3. ATO
     4. CTC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 정지신호의 신호기에 접근하면 경보를 발하고 운전사가 일정시간내에 제동조작과 확인취급을 하지않으면 자동적으로 비상제동이 걸리는 장치.
[해설작성자 : KENT]

Automatic Train Stop
[해설작성자 : 박찬영]

10. 유전가열의 용도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목재의 건조
     2. 목재의 접착
     3. 염화비닐막의 접착
     4. 금속 표면처리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유전가열 : 비닐, 목재
유도가열 : 금속
[해설작성자 : 한*봉]

11. COS 설치에서 사용재료가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소켓아이
     2. 브라켓트
     3. 퓨즈링크
     4. 내오손결합애자

     정답 : []
     정답률 : 67%

12. 가공 배전선로 및 인입선에서 인류애자를 설치하기위해 사용하는 금구류는 어는 것인가?(2007년 05월)
     1. 볼아이
     2. 소켓아이
     3. 인류스트랍
     4. 볼쇄클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인류애자-[인류스트랩]-데드엔드클램프-인입선으로 결합!!
[해설작성자 : 은둔자]

13. 비포장 퓨즈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실퓨즈
     2. 핀퓨즈
     3. 고리퓨즈
     4. 플러그퓨즈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플러그퓨즈는 포장퓨즈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14. 폴리머애자의 설치 부속자재를 옳게 나열한 것은?(2016년 10월)

    

     1. ㉠ 경완철, ㉡ 볼쇄클, ㉢ 소켓 아이, ㉣ 폴리머 애자, ㉤ 데드앤드 크램프
     2. ㉠ 볼쇄클, ㉡ 소켓 아이, ㉢ 폴리머 애자, ㉣ 경완철, ㉤ 데드앤드 크램프
     3. ㉠ 소켓 아이, ㉡ 볼 쇄클, ㉢ 데드앤드 크램프, ㉣ 폴리머 애자, ㉤ 경완철
     4. ㉠ 경완철, ㉡ 폴리머 애자, ㉢ 소켓 아이, ㉣ 데드앤트 크램프, ㉤ 볼쇄클

     정답 : []
     정답률 : 80%

15. 배선용 차단기에서 최대 정격 전류로 제품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는?(2005년 09월)
     1. 암페어 프레임
     2. 암페어 트립
     3. 전압 트립
     4. 개방 투입

     정답 : []
     정답률 : 68%

16. 특고압 지중전선로에 사용되는 케이블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미네럴 인슈레이션 케이블
     2. 알루미늄피 케이블
     3. 폴리에틸렌 혼합물 케이블
     4. 파이프형 압력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저압 옥내배선
⦁ 단면적 2.5[mm2]의 연동선
⦁ 단면적이 1[mm2] 이상의 MI 케이블(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배선용 차단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과부하 및 단락사고 차단 후 재투입이 가능하다.
     2. 개폐기구 및 트립장치 등이 절연물인 케이스에 내장되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3. 각 극을 동시에 차단하므로 결상의 우려가 없다.
     4. 별도장치 없이도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조작, 전기신호 등의 부속장치를 사용하여야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18. 금속을 아우트랫 박스의 로크아웃에 취부할 때 로크아웃의 구멍이 관의 구멍보다 클 때 보조적으로 사용 되는 것은?(2010년 03월)
     1. 링 리듀서
     2. 엔트런스 캡
     3. 부싱
     4. 엘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로크아웃의 구멍이 관의 구멍보다 클때
→ 구멍을 줄여야함 = 링리듀서(ring reducer)
[해설작성자 : 부라보두식]

19. 고압 차단기 중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차단기는?(2013년 06월)
     1. 공기차단기
     2. 극소유량차단기
     3. 유입차단기
     4. 진공차단기

     정답 : []
     정답률 : 79%

20. 조명기구나 소형전기기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점이나 백화점, 전시장 등에서 조명기구의 위치를 빈번하게 바꾸는 곳에 사용되는 것은?(2020년 09월)
     1. 라이팅덕트
     2. 다운라이트
     3. 코퍼라이트
     4. 스포트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흔히 볼 수 있는 레일등의 레일이 바로 라이팅덕트이다.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2과목 : 전력공학


21.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 검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전기는?(2011년 03월)
     1. 역상계전기
     2. 비율차동계전기
     3. 과전압계전기
     4. 과전류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23%

22. 가공선로에 사용하는 전선의 구비조건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비중(밀도)이 클 것
     2. 도전율이 높을 것
     3. 신장률이 클 것
     4. 기계적인 강도가 클 것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비중이 크다는 것은 무게가 무거워 진다는 뜻
[해설작성자 : 바박건]

23. 송전단 전압이 100V, 수전단 전압이 90V인 단거리 배전선로의 전압강하율(%)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5
     2. 11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00-90)/90}*100=11.1
[해설작성자 : onze]

전압강하율[%] = ( 송전단 전압 - 수전단 전압 / 수전단 전압 ) * 100 ▶ ( 100 - 90 / 90 ) * 100 = 11.111[%]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4. 배전선로의 고장 또는 보수 점검 시 정전구간을 축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2020년 08월)
     1. 단로기
     2. 컷아웃스위치
     3. 계자저항기
     4. 구분개폐기

     정답 : []
     정답률 : 36%

25. 전원이 양단에 있는 환상선로의 단락보호에 사용되는 계전기는?(2009년 05월)
     1. 방향거리계전기
     2. 부족전압계전기
     3. 선택접지계전기
     4. 부족전류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22%

26. 직류 2선식 대비 전선 1가닥 당 송전 전력이 최대가 되는 전송 방식은? (단, 선간전압, 전송전류, 역률 및 전송거리가 같고 중성선은 전력선과 동일한 굵기이며 전선은 같은 재료를 사용하고, 교류 방식에서 cosθ=1로 한다.)(2011년 03월)
     1. 단상 2선식
     2. 단상 3선식
     3. 3상 3선식
     4. 3상 4선식

     정답 : []
     정답률 : 17%

27. 전력계통의 전압조정과 무관한 것은?(2008년 03월)
     1. 발전기의 조속기
     2. 발전기의 전압조정장치
     3. 전력용콘덴서
     4. 전력용 분로리액터

     정답 : []
     정답률 : 14%

28. 그림과 같이 전력선과 통신선 사이에 차폐선을 설치하였다. 이 경우에 통신선의 차폐계수(K)를 구하는 관계식은? (단, 차폐선을 통신선에 근접하여 설치한다.)(201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0%

29. 출력 30000㎾h의 화력발전소에서 6000kcal/㎏의 석탄을 매시간 15톤의 비율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 발전소의 종합효율은 약 몇 %인가?(2018년 09월)
     1. 28.7
     2. 31.7
     3. 33.7
     4. 36.7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η = (860W/mH) * 100 (W:전력량[kWh], m:공급된 연료량[kg], H:발열량[kcal]
    = (860*30000/6000*15*1000)*100 = 28.66 ≒ 28.7%
[해설작성자 : 끝까지간다]

30. 전력선에 영상전류가 흐를 때 통신선로에 발생되는 유도장해는?(2011년 03월)
     1. 고조파유도장해
     2. 전력유도장해
     3. 정전유도장해
     4. 전자유도장해

     정답 : []
     정답률 : 22%

31. 전력선과 통신선간의 상호 정전용량 및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장해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정전유도장해 및 전자유도장해
     2. 전력유도장해 및 전자유도장해
     3. 정전유도장해 및 고조파유도장해
     4. 전자유도장해 및 고조파유도장해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정전유도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 간의 상호 정전용량에 의해 발생.
전자유도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 간의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발생.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화이팅]

32. 전력선에 의한 통신선로의 전자유도장해의 주된 발생요인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05월)
     1. 전력선의 연가가 충분하기 때문에
     2. 전력선의 전압이 통신선로보다 높기 때문에
     3. 영산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4. 전력선과 통신선로 사이의 차폐효과가 충분하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12%

33. 계전기의 반한시 특성이란?(2007년 09월)
     1. 동작전류가 클수록 동작시간이 길어진다.
     2. 동작전류가 흐르는 순간에 동작한다.
     3. 동작전류에 관계없이 동작시간은 일정하다.
     4. 동작전류가 크면 동작시간은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17%

34. 이상 전압에 대한 방호장치로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1. 피뢰기
     2. 방전코일
     3. 서지흡수기
     4. 가공지선

     정답 : []
     정답률 : 24%

35. 그림과 같은 단거리 배전선로의 송전단 전압 6600[V], 역률은 0.9이고, 수전단 전압 6100[V], 역률 0.8 일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 I[A]는? (단, Es 및 ET은 송ㆍ수전단 대지전압이며, r=20[Ω], x=10[Ω]이다.)(2016년 03월)

    

     1. 20
     2. 35
     3. 53
     4. 65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6600*0.9-6100*0.8/20

36. 용량 20kVA인 단상 주상 변압기에 걸리는 하루 동안의 부하가 처음 14시간 동안은 20kW, 다음 10시간 동안은 10kW일 때, 이 변압기에 의한 하루 동안의 손실량(Wh)은? (단, 부하의 역률은 1로 가정하며, 변압기의 전 부하동손은 300W, 철손은 100W이다.)(2021년 03월)
     1. 6,850
     2. 7,200
     3. 7,350
     4. 7,8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4*100+14*1*300+10*0.5^2*300=7350
손실=24Pi+Tm^2Pc 14시간동안 m=20/20=1, 10시간 동안 m=10/20=0.5, -     m= 부하율 = 부하용량/변압기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합격자 5293]

세부설명
전력손실 PL = Pi + Pc로 이뤄진다. (총 철손 + 총 동손)
여기서 철손은 24시간 내내 발생하는 손실로써
총 철손 Pi = 24*100W = 2400W 가 된다.
동손의 경우 시간당 부하율 즉 용량비제곱을 동손에 곱하게 된다.
Pc = 14간동안 20KW로 용량 20KVA를 최대로 사용하여 용량비 1 이된다.
         10시간동안 10KW로 용량 20KVA에 절반을 사용해 10/20 0.5의 부하율을 가진다.
14시간 동안 동손 Pc = 14 * 1^2 * 300W = 4200W
10시간 동안 동손 Pc = 10 * 0.5^2 * 300W = 750W
총 동손 4200W + 750W = 4950W가된다.
따라서 총 전려손실 Pl = Pc + Pi = 4950W + 2400W = 7350W가된다.
[해설작성자 : www.comcbt.com]

37. 그림과 같이 각 도체와 연피간의 정전용량이 Co, 각 도체간의 정전용량이 Cm인 3심 케이블의 도체 1조당의 작용 정전용량은?(2014년 05월)

    

     1. Co+Cm
     2. 3Co+3Cm
     3. 3Co+Cm
     4. Co+3Cm

     정답 : []
     정답률 : 30%

38. 부하전력 및 역률이 같을 때 전압을 n배 승압하면 전압 강하율과 전력손실은 어떻게 되는가?(2021년 09월)
     1. 전압강하율 : 1/n, 전력손실 : 1/n2
     2. 전압강하율 : 1/n2, 전력손실 : 1/n
     3. 전압강하율 : 1/n, 전력손실 : 1/n
     4. 전압강하율 : 1/n2, 전력손실 : 1/n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전압과 비례하는 공식으로는
1. 전압강하는 전압에 비례
2. 전력, 선로의 길이 전압의 제곱에 비례
3. 전압강하율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전압 강하만 전압의 반비례)
4. 전력손실,단면적, 전력손실률도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합성 임피던스 0.20[%]의 개소에 시설해야 할 차단기의 차단 용량으로 적당한 것은? (단, 합성 인피던스는 10[MVA]를 기준으로 환산한 값이다)(2010년 09월)
     1. 4200[MVA]
     2. 4500[MVA]
     3. 4800[MVA]
     4. 5000[MVA]

     정답 : []
     정답률 : 19%

40. 어느 발전소에서 40000kAh를 발전하는데 발열량 5000kcal/kg의 석탄을 20톤 사용하였다. 이 화력발전소의 열효율은 약 몇 [%] 인가?(2008년 05월)
     1. 27.5%
     2. 30.4%
     3. 34.4%
     4. 38.5%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열효율 = (860 * 40000 / 20*10^3*5000) * 100 = 34.4%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과목 : 전기기기


41. 직류발전기를 병렬운전 할 때 균압모선이 필요한 직류기는?(2020년 09월)
     1. 직권발전기, 분권발전기
     2. 복권발전기, 직권발전기
     3. 복권발전기, 분권발전기
     4. 분권발전기, 단극발전기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균압모선은 직권 발전기에 필요하다.
직권발전기, 복권발전기(분권+직권)
[해설작성자 : 빙구없다]

42. 그림과 같은 단상브리지 정류회로(혼합브리지)에서 직류 평균전압[V]은? (단, E는 교류측 실효치전압, α는 점호제어각이다.)(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5%

43. 함수 P1, P2의 두 3상 유도전동기를 종속접속 하였을 때의 이 전동기의 동기속도는? (단, 전원 주파수는 f1(Hz)이고 직렬종속이다.)(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2%

44. 누설변압기의 설명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9월)
     1. 2차 전류가 증가하면 누설자속이 증가한다.
     2. 리액턴스가 크기 때문에 전압변동률이 크다.
     3. 2차 전류가 증가하면 2차 전압강하가 증가한다.
     4. 누설자속이 증가하면 주자속은 증가하여 2차 유도기전력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누설자속이 증가하면 주자속은 증가하여 2차 유도기전력이 감소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누설자속이 증가하면 주자속이 감소해 2차 유도기전력이 감소합니다
[해설작성자 : 알고좀하자]

45. 동기 발전기 전기자 권선의 층간 단락 보호 계전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3월)
     1. 온도 계전기
     2. 접지 계전기
     3. 차동 계전기
     4. 과부하 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15%

46. 변압기 결선방식 중 3상에서 6상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것은?(2018년 03월)
     1. 2중 성형
     2. 환상 결선
     3. 대각 결선
     4. 2중 6각 결선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3상-2상간 상수변환
1. 스코트 결선(T결선) 2.메이어 결선 3.우드브리지 결선

3상-6상간 상수의 변환
1. 환상결선 2. 대각결선 3. 2중 성형결선
4. 2중 3각 결선 5. 포크결선
[해설작성자 : 쥬거따]

47. 50Hz로 설계된 3상 유도전동기를 60Hz에 사용하는 경우 단자전압을 110%로 높일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철손 불변
     2. 여자전류 감소
     3. 출력이 일정하면 유효전류 감소
     4. 온도상승 증가

     정답 : []
     정답률 : 24%

48. 교류 직류 양용전동기(Universal motor), 또는 만능 전동기라고 하는 전동기는?(2006년 03월)
     1. 단상반발전동기
     2. 3상직권전동기
     3. 단상직권정류자전동기
     4. 3상분권정류자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12%

49. 부흐홀츠 계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오동작의 가능성이 많다.
     2. 전기적 신호로 동작한다.
     3. 변압기의 보호에 사용된다.
     4. 변압기의 주탱크와 콘서베이터를 연결하는 관중에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부흐홀츠 계전기: 변압기의 기름탱크 안에 발생된 가스 또는 여기에 수반되는 유류를 검출하는 접점을 가지는 변압기보호용 계전기이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부흐홀쯔 계전기는 변압기의 내부 고장으로 발생하는 기름의 분해 가스 증기 또는 유류를 이용하여 부저를 움직여 계전기의 접점을 닫는 것이므로 변압기의 주 탱크와 콘거베이터와의 연결관 도중에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부흐홀쯔는전기가아닌유류로동작]

50. 스탭 모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가속과 감속이 용이하다.
     2. 정역전 및 변속이 용이하다.
     3. 위치제어 시 각도 오차가 작다.
     4. 브러시 등 부품수가 많아 유지보수 필요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스탭 모터는 브러시 수가 적다.

51. 다음중 SCR의 기호가 맞는 것은? (단, A는 anode의 약자, K는 cathode의 약자이며 G는 gate의 약자이다.)(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1%

52. 직류발전기의 유기기전력이 230[V], 극수가 4, 정류자 편수가 162인 정류자 편간 평균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권선법은 중권이다.)(2013년 03월)
     1. 5.68
     2. 6.28
     3. 9.42
     4. 10.2

     정답 : []
     정답률 : 21%

53. 직류발전기가 90% 부하에서 최대효율이 된다면 이 발전기의 전부하에 있어서 고정손과 부하손의 비는?(2022년 03월)
     1. 0.81
     2. 0.9
     3. 1.0
     4. 1.1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최대 효율 발생 시 부하 1/m = sqrt(고정손 / 부하손)이므로 고정손 / 부하손 = (1/m)^2입니다.
문제에서 1/m = 90% = 0.9라고 제시되어 있으므로 0.9^2인 0.81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S.Yeon]

54. 3상 유도전동기에서 회전자사 슬립 s로 회전하고 있을 때 2차 유기전압 E2s 및 2차 주파수 f2s와 s와의 관계는? (단, E2 는 회전자가 정지하고 있을 때 2차 유기기전력이며 f1은 1차 주파수이다.)(2014년 05월)
     1. E2s=sE2, f2s=sf1
     2. E2s=sE2, f2s=f1/s
     3. E2s=E2/s, f2s=f1/s
     4. E2s=(1-s)E2, f2s=(1-s)f1

     정답 : []
     정답률 : 29%

55. 직류 분권발전기의 극수 4, 전기자 총 도체수 600으로 매분 600회전할 때 유기기전력이 220V라 한다. 전기자 권선이 파권일 때 매극당 자속은 약 몇 Wb인가?(2018년 04월)
     1. 0.0154
     2. 0.0183
     3. 0.0192
     4. 0.0199

     정답 : []
     정답률 : 38%

56. 직류기발전기에서 양호한 정류(整流)를 얻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정류주기를 크게 할 것
     2. 리액턴스 전압을 크게 할 것
     3. 브러시의 접촉저항을 크게 할 것
     4. 전기자 코일의 인덕턴스를 작게 할 것

     정답 : []
     정답률 : 33%

57. 8극 60[Hz], 500[KW]의 3상 유도 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2.5[%]라 한다. 이때의 회전수[rps]는?(2003년 03월)
     1. 877
     2. 900
     3. 14.6
     4. 15.0

     정답 : []
     정답률 : 7%
     <문제 해설>
rps=Ns-N/N*100=2.5 N구하고 NS구해서 Ns/60
[해설작성자 : 병아리콩계란밥]

동기속도 Ns[rpm] = 120 * f / p ▶ 120 * 60 / 8 = 900[rpm]
동기속도 Ns[rpm] = 900 * ( 1 - 0.025 ) = 877.5[rpm]
877.5 / 60 = 14.625[rps]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8. 3상 교류 동기 발전기를 정격 속도로 운전하고 무부하 정격전압을 유기하는 계자전류를 i1, 3상 단락에 의하여 정격전류 I를 유기하는 계자전류를 i2라 할때 단락비는?(2004년 03월)
     1. I/i1
     2. i2/i1
     3. I/i2
     4. i1/i2

     정답 : []
     정답률 : 11%

59.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5[%], 2차1상의 저항 1[Ω]이다. 이 전동기의 기동토크를 전부하 토크와 같도록 하려면 외부에서 2차에 삽입할 저항[Ω]은?(2004년 05월)
     1. 20
     2. 19
     3. 18
     4. 17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r2/s = (r2+R)/s' ▶ 1 / 0.05 = ( 1 + R ) / 1 ▶ R = (1 / 0.05) - 1 = 19[Ω]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0. 3,300/200V의 단상 변압기 3대를 △ - Y 결선하고 2차측 선간에 15kW의 단상 전열기를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다. 결선을 △ - △ 로 변경하는 경우 이 전열기의 소비전력은 몇 kW로 되는가?(2021년 03월)
     1. 5
     2. 12
     3. 15
     4. 21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3 * 15 =5
[해설작성자 : 해깔려 죽겠어유 ㅠㅠ]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각 상의 전류가 다음과 같을 때 영상 대칭분 전류[A]는?(2016년 10월)

    

     1. 10sinwt
     2. 30sinwt
     3.
     4.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i0 = 1/3 x (ia + ib + ic) = 1/3 x 30·sinωt[A] = 10·sinωt[A]

sinA + sinB = 0.5 x sin(A+B / 2)·cos(A-B / 2)에서,
ib + ic = 0.5 x {30·sinωt x 30·cos(-90˚)} = 0
[해설작성자 : 나대로]

62. 다음과 같은 상태방정식으로 표현되는 제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2차 제어계이다.
     2. x는 (2×1)의 벡터이다.
     3. 특성방정식은 (s+1)(s+2)=0이다.
     4. 제어계는 부족제동(under damped)된 상태에 있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특성방정식이 (s+1)(s+2)=0 으로써,
s'' + 3s' + 2 = 0 이니까,

제동의 형태에 대해 파악해보려면,
s'' + 2δs' + ω^2 = 0 에서,

감쇠지수 δ = 1.5 이고, 공진주파수 ω = √2 = 1.414 이므로,
δ > ω, 즉 감쇠시키는 지수가 공진시키는 주파수보다 더 크므로,
부족제동이 아니고, 과제동임!
[해설작성자 : 나대로]

63. 폐루프 시스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정확성이 증가한다.
     2. 감쇠폭이 증가한다.
     3. 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갈 가능성이 있다.
     4.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폐루프 시스템 특징
1. 정확성 증가
2. 대역폭 증가
3. 시스템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 감소
4. 비선형선과 왜형에 대한 효과의 감소
5. 시스템의 전체 이득 감소
[해설작성자 : DoubleM2]

64. 그림과 같은 T형 회로에서 4단자정수 중 D 값은?(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A = 1 + Z1/Z3
B = Z1 + Z2 + Z1*Z2/Z3
C = 1/Z3
D = 1 + Z2/Z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Z = 8+j6[Ω] 평형 Y부하에 선간전압 200[V]인 대칭 3상 전압을 인가할 때 선전류[A]는?(2004년 03월)
     1. 5.5
     2. 7.5
     3. 10.5
     4. 11.5

     정답 : []
     정답률 : 16%

66. 분포정수 회로가 무왜선로로 되는 조건은? (단, 선로의 단위 길이당 저항은 R, 인덕턴 스는 L, 정전용량은 C, 누설 콘덕턴스는 G이다.)(2017년 09월)
     1. RL=CG
     2. RC=LG
     3. R=L/C
     4. R=√LC

     정답 : []
     정답률 : 39%

67. 대칭 5상 기전력의 선간전압과 상간전압의 위상차는 얼마인가?(2013년 09월)
     1. 27°
     2. 36°
     3. 54°
     4. 72°

     정답 : []
     정답률 : 25%

68. 에서 근궤적의 개수는?(2015년 03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37%

69. 파형이 톱니파 일 경우 파형률은?(2013년 03월)
     1. 1.155
     2. 1.732
     3. 1.414
     4. 0.577

     정답 : []
     정답률 : 19%

70. 와 등가인 논리식은?(202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A'+B'C')''와 같으므로
(A(B+C))' 이다
1번

71. 다음 회로를 블록선도로 그림 것 중 옳은 것은?(2006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4%

72. T를 샘플주기라고 할때 Z-변환은 라프라스 변환 함수의 S대신 어느것을 대입하여야 하는가?(2003년 05월)
     1.
     2.
     3. T1nZ
     4.

     정답 : []
     정답률 : 11%

73. 의 역 z 변환은?(2022년 04월)
     1. t·e-at
     2. at·e-at
     3. 1+e-at
     4. 1-e-at

     정답 : []
     정답률 : 41%

74. 특성방정식 s3+Ks2+2s+K+1=0으로 주어진 제어계가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2015년 09월)
     1. K > 0
     2. K > 1
     3. -1 < K < 1
     4. K > -1

     정답 : []
     정답률 : 27%

75. 다음 중 Z 변환함수 에 대응되는 라플라스 변환 함수는?(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3%

76. 에서 w=10[rad/s]일 때의 이득 및 위상각은?(2006년 05월)
     1. 20dB, 180°
     2. 20dB, -90°
     3. 40dB, -180°
     4. 40dB, -90°

     정답 : []
     정답률 : 5%

77. 단위 피드백제어계에서 개루프 전달함수 G(s)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단위계단 입력에 대한 정상상태 편차는?(2020년 06월)

    

     1. 0
     2. 1
     3. 2
     4. 3

     정답 : []
     정답률 : 29%

78. 보드 선도에서 이득여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2019년 04월)
     1. 위상곡선 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2. 위상곡선 18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3. 위상곡선 -9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4. 위상곡선 -18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정답 : []
     정답률 : 41%

79. 주어진 계통의 특성방정식이 s4+6s3+11s2+6s+K=0이다.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2016년 10월)
     1. K < 20
     2. 0 < K < 20
     3. 0 < K < 10
     4. 0 >K, k > 20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s^4 │ 1                        11                     K
s^3 │ 6                        6                        0
s^2 │ (66-6)/6         (6K-0)/6
             = 10                 = K
s^1 │ (60-6K)/10
s^0 │ K

첫 번째 열의 요소들이 모두 같은 양(positive)의 부호(+)를 가지려면,
(60-6K)/10 > 0 에서 6 - 0.6K > 0 => 0.6K < 6 => K < 10

그리고 K > 0 이어야 하는 이 두 조건을 만족해야 하므로,
종합하면 0 < K < 10
[해설작성자 : 나대로]

80. ω가 0에서 ∞까지 변화하였을 때 G(jω)의 크기와 위상각을 극좌표에 그린 것으로 이 궤적을 표시하는 선도는?(2008년 09월)
     1. 근궤적도
     2. 나이퀴스트선도
     3. 니콜스선도
     4. 보드선도

     정답 : []
     정답률 : 12%

81. 사용전압이 30kV 이하인 울타리·담 등과 고압 및 특고압의 충전부분이 접근하는 경우에는 울타리·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는 최소 몇 [m]이상이어야 하는가?(2013년 09월)
     1. 4
     2. 5
     3. 6
     4. 7

     정답 : []
     정답률 : 24%

82. 사용전압 66000V인 특별고압 가공전선에 고압 가공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별고압 가공선로의 보안 공사로 알맞은 것은?(2008년 09월)
     1. 고압보안공사
     2. 제1종 특별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별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별고압 보안공사

     정답 : []
     정답률 : 11%

83.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지선의 안전율을 2.5 이상으로 할 것
     2. 소선은 최소 5가닥 이상의 강심 알루미늄연선을 사용할 것
     3.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지표상 5m 이상으로 할 것
     4. 지중부분 및 지표상 30cm까지의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것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지선의 시설기준
1. 안전율 2.5
2. 지선 지름 2.6
3. 소선가닥수 3
4. 인장강도 4.31
5. 도로횡단시 지선 높이 5
6. 내식성을 위한 아연도금화는 지표상 30cm

84. 전기철도용 변전소 이외의 변전소의 주요 변압기에 계측 장치가 꼭 필요하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전압
     2. 전류
     3. 주파수
     4. 전력

     정답 : []
     정답률 : 27%

85.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 안의 배선(전기기계기구 안의 배선, 관등회로의 배선, 소세력 회로의 전선 및 출퇴 표시등 회로의 전선은 제외)의 시설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단, 사용전압이 저압의 것에 한한다.)(2020년 09월)
     1. 합성수지관 공사로 시설하였다.
     2. 공칭단면적 2.5mm2 의 연동선을 사용하였다.
     3. 애자사용공사 시 전선의 높이는 노면상 2m로 시설하였다.
     4. 전로에는 터널의 입구 가까운 곳에 전용개폐기를 시설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터널내 전선로
저압
- 전선의 굴기 : 2.6mm이상
- 시공방법 : 합성수지관공사/금속관공사/가요전선관공사/케이블공사/애자사용공사
- 애자사용시 높이 : 노면상 2.5m 이상
고압
- 전선의 굴기 : 4mm이상
- 시공방법 : 케이블공사/애자사용공사
- 애자사용시 높이 : 노면상 3m 이상
[해설작성자 : 날라리아74]

86. 지중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중함은 폭발성 또는 연소성의 가스가 침입할 우려가 있는 것에 시설하는 지중함으로서 그 크기가 최소 몇 m3이상인 것에는 통풍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2016년 10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42%

87. 합성수지관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합성수지관 안에 전선의 접속점이 있어도 된다.
     2. 전선은 반드시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한다.
     3.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4. 관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3m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88. 사용전압이 몇 V 이상의 중성점 직접접지식 전로에 접속하는 변압기를 설치하는 곳에는 절연유의 구외 유출 및 지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유 유출 방지설비를 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4월)
     1. 25000
     2. 50000
     3. 75000
     4. 100000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Kicc]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PYR]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21.1.1 삭제된 기준임
출처:한솔아카데미 5주완성
[해설작성자 : 갸갸햐뱌]

89. 전로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이고, 대지전압이 220V인 옥내전로에서 분기회로의 절연저항 값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8년 04월)
     1. 0.1
     2. 0.2
     3. 0.4
     4. 0.5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KEC 개정으로 인한 법규삭제
[해설작성자 : 아리랑]

90. 내부피뢰시스템 중 금속제 설비의 등전위본딩에 대한 설명 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 0.5, ⓑ 15
     2. ⓐ 0.5, ⓑ 20
     3. ⓐ 1.0, ⓑ 15
     4. ⓐ 1.0, ⓑ 20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KEC 153.2.2 금속제 설비의 등전위본딩]
3. 건축물·구조물에는 지하 0.5 m와 높이 20 m 마다 환상도체를 설치한다. 다만 철근콘크리트, 철골구조물의 구조체에 인하도선을 등전위본딩하는 경우 환상도체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해설작성자 : 담벼락]

91.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공사 시설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덕트에 제 3종 접지공사를 한다.
     2. 금속 턱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가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20[%]이하가 되도록 한다.
     3. 금속 덕트는 두께 1.0[mm] 이상인 철판으로 제작하고 덕트 상호간에 완전하게 접속한다.
     4.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 덕트 지지점간의 거리를 3[m] 이하로 견고하게 붙인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금속 덕트 공사
- 옥외용 비닐 절연 전선(OW)이외의 절연 전선
-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에는 접속점은 쉽게 점검 할 수 있는 접속점을 마련
- 지지점 간 거리는 3m 이하,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6m
- 두께 1.2mm 이상의 철판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금속제
-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 : 제 3종 접지공사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 : 특별 제 3종 접지공사
[해설작성자 : DoubleM]

92.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80A 퓨즈는 수평으로 붙일 경우 정격전류의 1.6배 전류를 통한 경우에 몇 분 안에 용단되어야 하는가?(2009년 05월)
     1. 30분
     2. 60분
     3. 120분
     4. 180분

     정답 : []
     정답률 : 16%

93. 전압이 22900V로서 중성선에 다중접지하는 전선로의 절연 내력 시험전압은 최대사용전압의 몇 배인가?(2004년 09월)
     1. 0.72
     2. 0.92
     3. 1.1
     4. 1.25

     정답 : []
     정답률 : 15%

94. 특별고압 가공전선로를 제2종 특별고압 보안공사에 의해서 시설할 수 있는 경우는?(2006년 09월)
     1.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가공 약전류전선 등과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2.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가장 약전류전선의 위쪽에서 교차하여 시설되는 경우
     3.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도로 등과 제1차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4.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철도 등과 제1차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9%

95.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지선의 안전율은 2.2 이상이어야 한다.
     2.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素線) 3가닥 이상이어야 한다.
     3.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지표상 4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지중부분 및 지표상 20cm 까지의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것 또는 아연도금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96.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의 강도계산에 적용하는 풍압하중은 빙설이 많은 지방이외의 지방에서 저온계절에는 어떤 풍압하중을 적용하는가? (단, 인가가 연접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2020년 06월)
     1. 갑종풍압하중
     2. 을종풍압하중
     3. 병종풍압하중
     4. 을종과 병종풍압하중을 혼용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갑종: 고온계절
을종: 저온계절, 빙설이 많은 지방
병좀: 저온계절, 빙설이 적은 지방(인가 밀집)
→ 빙설이 많은 지방 이외의 지방에서의 저온계절: 병종
[해설작성자 : ㅅㅁ]

고온        저온
1.빙설많(지방)        갑            병
2.빙설많(일반)        갑            을
2-1빙설많(그외)     갑         갑or을
3. 인가밀집            병             병

고온 : 갑갑갑병    
저온 :(마법천자문마냥 한자 외우듯이) : 병을 갚(갑)을 병!
[해설작성자 : 전기]

97. 발전기의 보호장치로서 사고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발전기에 과전류나 과전압이 생긴 경우
     2. 용량이 50[kV] 이상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수차의 압유장치의 유압이 현저하게 저하한 경우
     3. 용량 100[kVA] 이상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풍차의 압유장치의 유압이 현저하게 저하한 경우
     4. 용량이 10,000[kVA]이상인 발전기의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정답 : []
     정답률 : 19%

98. 사용전압이 특고압인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을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방식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몇 종 접지공사로 할 수 있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0년 09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9.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에는 전동기가 소손될 우려가 있는 과전류가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이를 저지하거나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하여야 하는데, 단상 전동기인 경우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차단기의 정격 전류가 몇 [A] 이하이면 이 과부하 보호 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가? (단, 단상 전동기는 KS C 4204(2008)의 표준정격의 것을 말한다.)(2010년 05월)
     1. 10A
     2. 15A
     3. 30A
     4. 50A

     정답 : []
     정답률 : 16%

100. 고압 가공인입선이 케이블 이외의 것으로서 그 전선의 아래쪽에 위험표시를 하였다면 전선의 지표상 높이는 몇 m 까지로 감할 수 있는가?(2018년 04월)
     1. 2.5
     2. 3.5
     3. 4.5
     4. 5.5

     정답 : []
     정답률 : 33%


정 답 지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53532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하역 기계에서 무거운 것은 저속으로, 가벼운 것은 고속으로 작업하여 고속이나 저속에서 다같이 동일한 동력이 요구되는 부하는?(2015년 05월)
     1. 정토크 부하
     2. 제곱토크 부하
     3. 정동력 부하
     4. 정속도 부하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문제에서 동일한 동력이 요구되는 부하'라고 하였으므로
정답을 "정동력 부하"로 쉽게 쉽게 가봅시다.

나머지 보기에 대한 설명을 하자면

①정토크 부하 : 속도에 관계 없이 일정한 토크를 가지는 것
    Ex) 인쇄기, 압연기, 권상기, 선반 등
②제곱토크 부하 : 토크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가지는 것
    Ex) 유체기계 : 펌프, 송풍기 등
③정속도 부하 : 부하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가지는 것
[해설작성자 : AAA]

2. 조도를 구하는 식은? (단, 면적은 A, 광속은 F이다.)(2012년 05월)
     1. 2F×A
     2. F×A
     3. A/F
     4. F/A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조도 : 단위 면적 당 입사광속
E = F/S [lm/m2][lx]
[해설작성자 : D2]

3. 다음 중 일반적으로 휘도가 가장 높은 램프는?(2012년 09월)
     1. 백열전구
     2. 고압 수은등
     3. 탄소 아크등
     4. 형광등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탄소아크등은 영환관 영사기로 사용할 만큼 빛이 밝음

4. 다음 중 시감도가 가장 좋은 광색은?(2022년 03월)
     1. 적색
     2. 등색
     3. 청색
     4. 황록색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최대 시감도 : 680 [lm/W]
최대 시감도의 파장 : 555 [nm], 황록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조명에서 칸델라[cd]는 무엇의 단위인가?(2006년 09월)
     1. 휘도
     2. 조도
     3. 광도
     4. 광속발산도

     정답 : []
     정답률 : 79%

6. 다음 전기 차량의 대차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4륜차
     2. 전동차
     3. 보기차
     4. 연결차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륜차, 4륜차, 보기차, 연결차
[해설작성자 : 갓기]

7. 양수량 40[m3/min], 총 양정 13[m]의 양수펌프용 전동기의 소요출력은 약 몇[kW]인가? (단, 펌프의 효율은 80[%]이다.)(2011년 03월)
     1. 68
     2. 106
     3. 136
     4. 212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P= 40×13 / 6.12×0.8 = 520 / 4.896 = 106.21
[해설작성자 : 다람쥐]

9.8*Q(uantity)*H(eight)/효율=9.8*(40/60->분을초로변환)*13/0.8=106.167

[추가 해설]
9.8*(40/60->분을 시(h)로 변환)*13/0.8=106.167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 = 40 * 13 / 6.12 * 0.8 = 106.209[kW]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8. 전동기의 회생제동이란?(2015년 09월)
     1. 전동기의 기전력을 저항으로써 소비시키는 방법이다.
     2. 전동기에 붙인 제동화에 전자력으로 가압하는 방법이다.
     3. 전동기를 발전제동으로 하여 발생전력을 선로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4. 와전류손으로 회전체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전동기를 발전기로 동작시켜 그 발생 전력을 전원에 되돌려서 하는 제동방법. 직류 전동기에서는 무부하 속도 이상일 때, 유도 전동기에서는 동기속도 이상일 때 이 방식이 적용된다. 직권 전동기의 경우는 보통 계자를 타려(他勵)로 전환하여 타려자 발전기로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회생제동 [regenerative breaking, regenerative braking, 回生制動] (용어해설)
[해설작성자 : 2017년 4회차 도전]

9. 열차가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운행할 경우 또는 정해진 신호에 따른 속도 이상으로 운행할 경우 설정시간 이내에 제동 또는 지정속도로 감속조작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열차를 안전하게 정지 시키는 장치는?(2017년 03월)
     1. ATC
     2. ATS
     3. ATO
     4. CTC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 정지신호의 신호기에 접근하면 경보를 발하고 운전사가 일정시간내에 제동조작과 확인취급을 하지않으면 자동적으로 비상제동이 걸리는 장치.
[해설작성자 : KENT]

Automatic Train Stop
[해설작성자 : 박찬영]

10. 유전가열의 용도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목재의 건조
     2. 목재의 접착
     3. 염화비닐막의 접착
     4. 금속 표면처리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유전가열 : 비닐, 목재
유도가열 : 금속
[해설작성자 : 한*봉]

11. COS 설치에서 사용재료가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소켓아이
     2. 브라켓트
     3. 퓨즈링크
     4. 내오손결합애자

     정답 : []
     정답률 : 67%

12. 가공 배전선로 및 인입선에서 인류애자를 설치하기위해 사용하는 금구류는 어는 것인가?(2007년 05월)
     1. 볼아이
     2. 소켓아이
     3. 인류스트랍
     4. 볼쇄클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인류애자-[인류스트랩]-데드엔드클램프-인입선으로 결합!!
[해설작성자 : 은둔자]

13. 비포장 퓨즈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실퓨즈
     2. 핀퓨즈
     3. 고리퓨즈
     4. 플러그퓨즈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플러그퓨즈는 포장퓨즈
[해설작성자 : 합격가즈아]

14. 폴리머애자의 설치 부속자재를 옳게 나열한 것은?(2016년 10월)

    

     1. ㉠ 경완철, ㉡ 볼쇄클, ㉢ 소켓 아이, ㉣ 폴리머 애자, ㉤ 데드앤드 크램프
     2. ㉠ 볼쇄클, ㉡ 소켓 아이, ㉢ 폴리머 애자, ㉣ 경완철, ㉤ 데드앤드 크램프
     3. ㉠ 소켓 아이, ㉡ 볼 쇄클, ㉢ 데드앤드 크램프, ㉣ 폴리머 애자, ㉤ 경완철
     4. ㉠ 경완철, ㉡ 폴리머 애자, ㉢ 소켓 아이, ㉣ 데드앤트 크램프, ㉤ 볼쇄클

     정답 : []
     정답률 : 80%

15. 배선용 차단기에서 최대 정격 전류로 제품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는?(2005년 09월)
     1. 암페어 프레임
     2. 암페어 트립
     3. 전압 트립
     4. 개방 투입

     정답 : []
     정답률 : 68%

16. 특고압 지중전선로에 사용되는 케이블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미네럴 인슈레이션 케이블
     2. 알루미늄피 케이블
     3. 폴리에틸렌 혼합물 케이블
     4. 파이프형 압력 케이블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저압 옥내배선
⦁ 단면적 2.5[mm2]의 연동선
⦁ 단면적이 1[mm2] 이상의 MI 케이블(미네랄 인슈레이션 케이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배선용 차단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과부하 및 단락사고 차단 후 재투입이 가능하다.
     2. 개폐기구 및 트립장치 등이 절연물인 케이스에 내장되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3. 각 극을 동시에 차단하므로 결상의 우려가 없다.
     4. 별도장치 없이도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배선용 차단기는 전기조작, 전기신호 등의 부속장치를 사용하여야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18. 금속을 아우트랫 박스의 로크아웃에 취부할 때 로크아웃의 구멍이 관의 구멍보다 클 때 보조적으로 사용 되는 것은?(2010년 03월)
     1. 링 리듀서
     2. 엔트런스 캡
     3. 부싱
     4. 엘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로크아웃의 구멍이 관의 구멍보다 클때
→ 구멍을 줄여야함 = 링리듀서(ring reducer)
[해설작성자 : 부라보두식]

19. 고압 차단기 중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차단기는?(2013년 06월)
     1. 공기차단기
     2. 극소유량차단기
     3. 유입차단기
     4. 진공차단기

     정답 : []
     정답률 : 79%

20. 조명기구나 소형전기기구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점이나 백화점, 전시장 등에서 조명기구의 위치를 빈번하게 바꾸는 곳에 사용되는 것은?(2020년 09월)
     1. 라이팅덕트
     2. 다운라이트
     3. 코퍼라이트
     4. 스포트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흔히 볼 수 있는 레일등의 레일이 바로 라이팅덕트이다.
[해설작성자 : 창전동피카츄]

2과목 : 전력공학


21.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 검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전기는?(2011년 03월)
     1. 역상계전기
     2. 비율차동계전기
     3. 과전압계전기
     4. 과전류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23%

22. 가공선로에 사용하는 전선의 구비조건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비중(밀도)이 클 것
     2. 도전율이 높을 것
     3. 신장률이 클 것
     4. 기계적인 강도가 클 것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비중이 크다는 것은 무게가 무거워 진다는 뜻
[해설작성자 : 바박건]

23. 송전단 전압이 100V, 수전단 전압이 90V인 단거리 배전선로의 전압강하율(%)은 약 얼마인가?(2022년 03월)
     1. 5
     2. 11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00-90)/90}*100=11.1
[해설작성자 : onze]

전압강하율[%] = ( 송전단 전압 - 수전단 전압 / 수전단 전압 ) * 100 ▶ ( 100 - 90 / 90 ) * 100 = 11.111[%]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24. 배전선로의 고장 또는 보수 점검 시 정전구간을 축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2020년 08월)
     1. 단로기
     2. 컷아웃스위치
     3. 계자저항기
     4. 구분개폐기

     정답 : []
     정답률 : 36%

25. 전원이 양단에 있는 환상선로의 단락보호에 사용되는 계전기는?(2009년 05월)
     1. 방향거리계전기
     2. 부족전압계전기
     3. 선택접지계전기
     4. 부족전류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22%

26. 직류 2선식 대비 전선 1가닥 당 송전 전력이 최대가 되는 전송 방식은? (단, 선간전압, 전송전류, 역률 및 전송거리가 같고 중성선은 전력선과 동일한 굵기이며 전선은 같은 재료를 사용하고, 교류 방식에서 cosθ=1로 한다.)(2011년 03월)
     1. 단상 2선식
     2. 단상 3선식
     3. 3상 3선식
     4. 3상 4선식

     정답 : []
     정답률 : 17%

27. 전력계통의 전압조정과 무관한 것은?(2008년 03월)
     1. 발전기의 조속기
     2. 발전기의 전압조정장치
     3. 전력용콘덴서
     4. 전력용 분로리액터

     정답 : []
     정답률 : 14%

28. 그림과 같이 전력선과 통신선 사이에 차폐선을 설치하였다. 이 경우에 통신선의 차폐계수(K)를 구하는 관계식은? (단, 차폐선을 통신선에 근접하여 설치한다.)(201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0%

29. 출력 30000㎾h의 화력발전소에서 6000kcal/㎏의 석탄을 매시간 15톤의 비율로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 발전소의 종합효율은 약 몇 %인가?(2018년 09월)
     1. 28.7
     2. 31.7
     3. 33.7
     4. 36.7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η = (860W/mH) * 100 (W:전력량[kWh], m:공급된 연료량[kg], H:발열량[kcal]
    = (860*30000/6000*15*1000)*100 = 28.66 ≒ 28.7%
[해설작성자 : 끝까지간다]

30. 전력선에 영상전류가 흐를 때 통신선로에 발생되는 유도장해는?(2011년 03월)
     1. 고조파유도장해
     2. 전력유도장해
     3. 정전유도장해
     4. 전자유도장해

     정답 : []
     정답률 : 22%

31. 전력선과 통신선간의 상호 정전용량 및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장해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정전유도장해 및 전자유도장해
     2. 전력유도장해 및 전자유도장해
     3. 정전유도장해 및 고조파유도장해
     4. 전자유도장해 및 고조파유도장해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정전유도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 간의 상호 정전용량에 의해 발생.
전자유도장해 : 전력선과 통신선 간의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발생.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화이팅]

32. 전력선에 의한 통신선로의 전자유도장해의 주된 발생요인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8년 05월)
     1. 전력선의 연가가 충분하기 때문에
     2. 전력선의 전압이 통신선로보다 높기 때문에
     3. 영산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4. 전력선과 통신선로 사이의 차폐효과가 충분하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12%

33. 계전기의 반한시 특성이란?(2007년 09월)
     1. 동작전류가 클수록 동작시간이 길어진다.
     2. 동작전류가 흐르는 순간에 동작한다.
     3. 동작전류에 관계없이 동작시간은 일정하다.
     4. 동작전류가 크면 동작시간은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17%

34. 이상 전압에 대한 방호장치로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3월)
     1. 피뢰기
     2. 방전코일
     3. 서지흡수기
     4. 가공지선

     정답 : []
     정답률 : 24%

35. 그림과 같은 단거리 배전선로의 송전단 전압 6600[V], 역률은 0.9이고, 수전단 전압 6100[V], 역률 0.8 일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 I[A]는? (단, Es 및 ET은 송ㆍ수전단 대지전압이며, r=20[Ω], x=10[Ω]이다.)(2016년 03월)

    

     1. 20
     2. 35
     3. 53
     4. 65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6600*0.9-6100*0.8/20

36. 용량 20kVA인 단상 주상 변압기에 걸리는 하루 동안의 부하가 처음 14시간 동안은 20kW, 다음 10시간 동안은 10kW일 때, 이 변압기에 의한 하루 동안의 손실량(Wh)은? (단, 부하의 역률은 1로 가정하며, 변압기의 전 부하동손은 300W, 철손은 100W이다.)(2021년 03월)
     1. 6,850
     2. 7,200
     3. 7,350
     4. 7,8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4*100+14*1*300+10*0.5^2*300=7350
손실=24Pi+Tm^2Pc 14시간동안 m=20/20=1, 10시간 동안 m=10/20=0.5, -     m= 부하율 = 부하용량/변압기
[해설작성자 : 전기기사합격자 5293]

세부설명
전력손실 PL = Pi + Pc로 이뤄진다. (총 철손 + 총 동손)
여기서 철손은 24시간 내내 발생하는 손실로써
총 철손 Pi = 24*100W = 2400W 가 된다.
동손의 경우 시간당 부하율 즉 용량비제곱을 동손에 곱하게 된다.
Pc = 14간동안 20KW로 용량 20KVA를 최대로 사용하여 용량비 1 이된다.
         10시간동안 10KW로 용량 20KVA에 절반을 사용해 10/20 0.5의 부하율을 가진다.
14시간 동안 동손 Pc = 14 * 1^2 * 300W = 4200W
10시간 동안 동손 Pc = 10 * 0.5^2 * 300W = 750W
총 동손 4200W + 750W = 4950W가된다.
따라서 총 전려손실 Pl = Pc + Pi = 4950W + 2400W = 7350W가된다.
[해설작성자 : www.comcbt.com]

37. 그림과 같이 각 도체와 연피간의 정전용량이 Co, 각 도체간의 정전용량이 Cm인 3심 케이블의 도체 1조당의 작용 정전용량은?(2014년 05월)

    

     1. Co+Cm
     2. 3Co+3Cm
     3. 3Co+Cm
     4. Co+3Cm

     정답 : []
     정답률 : 30%

38. 부하전력 및 역률이 같을 때 전압을 n배 승압하면 전압 강하율과 전력손실은 어떻게 되는가?(2021년 09월)
     1. 전압강하율 : 1/n, 전력손실 : 1/n2
     2. 전압강하율 : 1/n2, 전력손실 : 1/n
     3. 전압강하율 : 1/n, 전력손실 : 1/n
     4. 전압강하율 : 1/n2, 전력손실 : 1/n2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전압과 비례하는 공식으로는
1. 전압강하는 전압에 비례
2. 전력, 선로의 길이 전압의 제곱에 비례
3. 전압강하율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전압 강하만 전압의 반비례)
4. 전력손실,단면적, 전력손실률도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9. 합성 임피던스 0.20[%]의 개소에 시설해야 할 차단기의 차단 용량으로 적당한 것은? (단, 합성 인피던스는 10[MVA]를 기준으로 환산한 값이다)(2010년 09월)
     1. 4200[MVA]
     2. 4500[MVA]
     3. 4800[MVA]
     4. 5000[MVA]

     정답 : []
     정답률 : 19%

40. 어느 발전소에서 40000kAh를 발전하는데 발열량 5000kcal/kg의 석탄을 20톤 사용하였다. 이 화력발전소의 열효율은 약 몇 [%] 인가?(2008년 05월)
     1. 27.5%
     2. 30.4%
     3. 34.4%
     4. 38.5%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열효율 = (860 * 40000 / 20*10^3*5000) * 100 = 34.4%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3과목 : 전기기기


41. 직류발전기를 병렬운전 할 때 균압모선이 필요한 직류기는?(2020년 09월)
     1. 직권발전기, 분권발전기
     2. 복권발전기, 직권발전기
     3. 복권발전기, 분권발전기
     4. 분권발전기, 단극발전기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균압모선은 직권 발전기에 필요하다.
직권발전기, 복권발전기(분권+직권)
[해설작성자 : 빙구없다]

42. 그림과 같은 단상브리지 정류회로(혼합브리지)에서 직류 평균전압[V]은? (단, E는 교류측 실효치전압, α는 점호제어각이다.)(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5%

43. 함수 P1, P2의 두 3상 유도전동기를 종속접속 하였을 때의 이 전동기의 동기속도는? (단, 전원 주파수는 f1(Hz)이고 직렬종속이다.)(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2%

44. 누설변압기의 설명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9월)
     1. 2차 전류가 증가하면 누설자속이 증가한다.
     2. 리액턴스가 크기 때문에 전압변동률이 크다.
     3. 2차 전류가 증가하면 2차 전압강하가 증가한다.
     4. 누설자속이 증가하면 주자속은 증가하여 2차 유도기전력이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누설자속이 증가하면 주자속은 증가하여 2차 유도기전력이 감소한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누설자속이 증가하면 주자속이 감소해 2차 유도기전력이 감소합니다
[해설작성자 : 알고좀하자]

45. 동기 발전기 전기자 권선의 층간 단락 보호 계전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8년 03월)
     1. 온도 계전기
     2. 접지 계전기
     3. 차동 계전기
     4. 과부하 계전기

     정답 : []
     정답률 : 15%

46. 변압기 결선방식 중 3상에서 6상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것은?(2018년 03월)
     1. 2중 성형
     2. 환상 결선
     3. 대각 결선
     4. 2중 6각 결선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3상-2상간 상수변환
1. 스코트 결선(T결선) 2.메이어 결선 3.우드브리지 결선

3상-6상간 상수의 변환
1. 환상결선 2. 대각결선 3. 2중 성형결선
4. 2중 3각 결선 5. 포크결선
[해설작성자 : 쥬거따]

47. 50Hz로 설계된 3상 유도전동기를 60Hz에 사용하는 경우 단자전압을 110%로 높일 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철손 불변
     2. 여자전류 감소
     3. 출력이 일정하면 유효전류 감소
     4. 온도상승 증가

     정답 : []
     정답률 : 24%

48. 교류 직류 양용전동기(Universal motor), 또는 만능 전동기라고 하는 전동기는?(2006년 03월)
     1. 단상반발전동기
     2. 3상직권전동기
     3. 단상직권정류자전동기
     4. 3상분권정류자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12%

49. 부흐홀츠 계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오동작의 가능성이 많다.
     2. 전기적 신호로 동작한다.
     3. 변압기의 보호에 사용된다.
     4. 변압기의 주탱크와 콘서베이터를 연결하는 관중에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부흐홀츠 계전기: 변압기의 기름탱크 안에 발생된 가스 또는 여기에 수반되는 유류를 검출하는 접점을 가지는 변압기보호용 계전기이다.
[해설작성자 : DoubleM2]

부흐홀쯔 계전기는 변압기의 내부 고장으로 발생하는 기름의 분해 가스 증기 또는 유류를 이용하여 부저를 움직여 계전기의 접점을 닫는 것이므로 변압기의 주 탱크와 콘거베이터와의 연결관 도중에 설치한다.
[해설작성자 : 부흐홀쯔는전기가아닌유류로동작]

50. 스탭 모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3월)
     1. 가속과 감속이 용이하다.
     2. 정역전 및 변속이 용이하다.
     3. 위치제어 시 각도 오차가 작다.
     4. 브러시 등 부품수가 많아 유지보수 필요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스탭 모터는 브러시 수가 적다.

51. 다음중 SCR의 기호가 맞는 것은? (단, A는 anode의 약자, K는 cathode의 약자이며 G는 gate의 약자이다.)(200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1%

52. 직류발전기의 유기기전력이 230[V], 극수가 4, 정류자 편수가 162인 정류자 편간 평균전압은 약 몇 [V]인가? (단, 권선법은 중권이다.)(2013년 03월)
     1. 5.68
     2. 6.28
     3. 9.42
     4. 10.2

     정답 : []
     정답률 : 21%

53. 직류발전기가 90% 부하에서 최대효율이 된다면 이 발전기의 전부하에 있어서 고정손과 부하손의 비는?(2022년 03월)
     1. 0.81
     2. 0.9
     3. 1.0
     4. 1.1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최대 효율 발생 시 부하 1/m = sqrt(고정손 / 부하손)이므로 고정손 / 부하손 = (1/m)^2입니다.
문제에서 1/m = 90% = 0.9라고 제시되어 있으므로 0.9^2인 0.81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S.Yeon]

54. 3상 유도전동기에서 회전자사 슬립 s로 회전하고 있을 때 2차 유기전압 E2s 및 2차 주파수 f2s와 s와의 관계는? (단, E2 는 회전자가 정지하고 있을 때 2차 유기기전력이며 f1은 1차 주파수이다.)(2014년 05월)
     1. E2s=sE2, f2s=sf1
     2. E2s=sE2, f2s=f1/s
     3. E2s=E2/s, f2s=f1/s
     4. E2s=(1-s)E2, f2s=(1-s)f1

     정답 : []
     정답률 : 29%

55. 직류 분권발전기의 극수 4, 전기자 총 도체수 600으로 매분 600회전할 때 유기기전력이 220V라 한다. 전기자 권선이 파권일 때 매극당 자속은 약 몇 Wb인가?(2018년 04월)
     1. 0.0154
     2. 0.0183
     3. 0.0192
     4. 0.0199

     정답 : []
     정답률 : 38%

56. 직류기발전기에서 양호한 정류(整流)를 얻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9년 04월)
     1. 정류주기를 크게 할 것
     2. 리액턴스 전압을 크게 할 것
     3. 브러시의 접촉저항을 크게 할 것
     4. 전기자 코일의 인덕턴스를 작게 할 것

     정답 : []
     정답률 : 33%

57. 8극 60[Hz], 500[KW]의 3상 유도 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2.5[%]라 한다. 이때의 회전수[rps]는?(2003년 03월)
     1. 877
     2. 900
     3. 14.6
     4. 15.0

     정답 : []
     정답률 : 7%
     <문제 해설>
rps=Ns-N/N*100=2.5 N구하고 NS구해서 Ns/60
[해설작성자 : 병아리콩계란밥]

동기속도 Ns[rpm] = 120 * f / p ▶ 120 * 60 / 8 = 900[rpm]
동기속도 Ns[rpm] = 900 * ( 1 - 0.025 ) = 877.5[rpm]
877.5 / 60 = 14.625[rps]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58. 3상 교류 동기 발전기를 정격 속도로 운전하고 무부하 정격전압을 유기하는 계자전류를 i1, 3상 단락에 의하여 정격전류 I를 유기하는 계자전류를 i2라 할때 단락비는?(2004년 03월)
     1. I/i1
     2. i2/i1
     3. I/i2
     4. i1/i2

     정답 : []
     정답률 : 11%

59.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5[%], 2차1상의 저항 1[Ω]이다. 이 전동기의 기동토크를 전부하 토크와 같도록 하려면 외부에서 2차에 삽입할 저항[Ω]은?(2004년 05월)
     1. 20
     2. 19
     3. 18
     4. 17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r2/s = (r2+R)/s' ▶ 1 / 0.05 = ( 1 + R ) / 1 ▶ R = (1 / 0.05) - 1 = 19[Ω]
[해설작성자 : 따고싶다 or 어디든 빌런]

60. 3,300/200V의 단상 변압기 3대를 △ - Y 결선하고 2차측 선간에 15kW의 단상 전열기를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다. 결선을 △ - △ 로 변경하는 경우 이 전열기의 소비전력은 몇 kW로 되는가?(2021년 03월)
     1. 5
     2. 12
     3. 15
     4. 21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1/3 * 15 =5
[해설작성자 : 해깔려 죽겠어유 ㅠㅠ]

4과목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각 상의 전류가 다음과 같을 때 영상 대칭분 전류[A]는?(2016년 10월)

    

     1. 10sinwt
     2. 30sinwt
     3.
     4.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i0 = 1/3 x (ia + ib + ic) = 1/3 x 30·sinωt[A] = 10·sinωt[A]

sinA + sinB = 0.5 x sin(A+B / 2)·cos(A-B / 2)에서,
ib + ic = 0.5 x {30·sinωt x 30·cos(-90˚)} = 0
[해설작성자 : 나대로]

62. 다음과 같은 상태방정식으로 표현되는 제어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2차 제어계이다.
     2. x는 (2×1)의 벡터이다.
     3. 특성방정식은 (s+1)(s+2)=0이다.
     4. 제어계는 부족제동(under damped)된 상태에 있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특성방정식이 (s+1)(s+2)=0 으로써,
s'' + 3s' + 2 = 0 이니까,

제동의 형태에 대해 파악해보려면,
s'' + 2δs' + ω^2 = 0 에서,

감쇠지수 δ = 1.5 이고, 공진주파수 ω = √2 = 1.414 이므로,
δ > ω, 즉 감쇠시키는 지수가 공진시키는 주파수보다 더 크므로,
부족제동이 아니고, 과제동임!
[해설작성자 : 나대로]

63. 폐루프 시스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정확성이 증가한다.
     2. 감쇠폭이 증가한다.
     3. 발진을 일으키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갈 가능성이 있다.
     4. 계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폐루프 시스템 특징
1. 정확성 증가
2. 대역폭 증가
3. 시스템의 특성변화에 대한 입력 대 출력비의 감도 감소
4. 비선형선과 왜형에 대한 효과의 감소
5. 시스템의 전체 이득 감소
[해설작성자 : DoubleM2]

64. 그림과 같은 T형 회로에서 4단자정수 중 D 값은?(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A = 1 + Z1/Z3
B = Z1 + Z2 + Z1*Z2/Z3
C = 1/Z3
D = 1 + Z2/Z3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Z = 8+j6[Ω] 평형 Y부하에 선간전압 200[V]인 대칭 3상 전압을 인가할 때 선전류[A]는?(2004년 03월)
     1. 5.5
     2. 7.5
     3. 10.5
     4. 11.5

     정답 : []
     정답률 : 16%

66. 분포정수 회로가 무왜선로로 되는 조건은? (단, 선로의 단위 길이당 저항은 R, 인덕턴 스는 L, 정전용량은 C, 누설 콘덕턴스는 G이다.)(2017년 09월)
     1. RL=CG
     2. RC=LG
     3. R=L/C
     4. R=√LC

     정답 : []
     정답률 : 39%

67. 대칭 5상 기전력의 선간전압과 상간전압의 위상차는 얼마인가?(2013년 09월)
     1. 27°
     2. 36°
     3. 54°
     4. 72°

     정답 : []
     정답률 : 25%

68. 에서 근궤적의 개수는?(2015년 03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37%

69. 파형이 톱니파 일 경우 파형률은?(2013년 03월)
     1. 1.155
     2. 1.732
     3. 1.414
     4. 0.577

     정답 : []
     정답률 : 19%

70. 와 등가인 논리식은?(2021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A'+B'C')''와 같으므로
(A(B+C))' 이다
1번

71. 다음 회로를 블록선도로 그림 것 중 옳은 것은?(2006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14%

72. T를 샘플주기라고 할때 Z-변환은 라프라스 변환 함수의 S대신 어느것을 대입하여야 하는가?(2003년 05월)
     1.
     2.
     3. T1nZ
     4.

     정답 : []
     정답률 : 11%

73. 의 역 z 변환은?(2022년 04월)
     1. t·e-at
     2. at·e-at
     3. 1+e-at
     4. 1-e-at

     정답 : []
     정답률 : 41%

74. 특성방정식 s3+Ks2+2s+K+1=0으로 주어진 제어계가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2015년 09월)
     1. K > 0
     2. K > 1
     3. -1 < K < 1
     4. K > -1

     정답 : []
     정답률 : 27%

75. 다음 중 Z 변환함수 에 대응되는 라플라스 변환 함수는?(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23%

76. 에서 w=10[rad/s]일 때의 이득 및 위상각은?(2006년 05월)
     1. 20dB, 180°
     2. 20dB, -90°
     3. 40dB, -180°
     4. 40dB, -90°

     정답 : []
     정답률 : 5%

77. 단위 피드백제어계에서 개루프 전달함수 G(s)가 다음과 같이 주어졌을 때 단위계단 입력에 대한 정상상태 편차는?(2020년 06월)

    

     1. 0
     2. 1
     3. 2
     4. 3

     정답 : []
     정답률 : 29%

78. 보드 선도에서 이득여유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2019년 04월)
     1. 위상곡선 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2. 위상곡선 18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3. 위상곡선 -9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4. 위상곡선 -180°에서의 이득과 0dB과의 차이

     정답 : []
     정답률 : 41%

79. 주어진 계통의 특성방정식이 s4+6s3+11s2+6s+K=0이다.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2016년 10월)
     1. K < 20
     2. 0 < K < 20
     3. 0 < K < 10
     4. 0 >K, k > 20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s^4 │ 1                        11                     K
s^3 │ 6                        6                        0
s^2 │ (66-6)/6         (6K-0)/6
             = 10                 = K
s^1 │ (60-6K)/10
s^0 │ K

첫 번째 열의 요소들이 모두 같은 양(positive)의 부호(+)를 가지려면,
(60-6K)/10 > 0 에서 6 - 0.6K > 0 => 0.6K < 6 => K < 10

그리고 K > 0 이어야 하는 이 두 조건을 만족해야 하므로,
종합하면 0 < K < 10
[해설작성자 : 나대로]

80. ω가 0에서 ∞까지 변화하였을 때 G(jω)의 크기와 위상각을 극좌표에 그린 것으로 이 궤적을 표시하는 선도는?(2008년 09월)
     1. 근궤적도
     2. 나이퀴스트선도
     3. 니콜스선도
     4. 보드선도

     정답 : []
     정답률 : 12%

81. 사용전압이 30kV 이하인 울타리·담 등과 고압 및 특고압의 충전부분이 접근하는 경우에는 울타리·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거리는 최소 몇 [m]이상이어야 하는가?(2013년 09월)
     1. 4
     2. 5
     3. 6
     4. 7

     정답 : []
     정답률 : 24%

82. 사용전압 66000V인 특별고압 가공전선에 고압 가공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별고압 가공선로의 보안 공사로 알맞은 것은?(2008년 09월)
     1. 고압보안공사
     2. 제1종 특별고압 보안공사
     3. 제2종 특별고압 보안공사
     4. 제3종 특별고압 보안공사

     정답 : []
     정답률 : 11%

83.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기준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지선의 안전율을 2.5 이상으로 할 것
     2. 소선은 최소 5가닥 이상의 강심 알루미늄연선을 사용할 것
     3.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지표상 5m 이상으로 할 것
     4. 지중부분 및 지표상 30cm까지의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것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지선의 시설기준
1. 안전율 2.5
2. 지선 지름 2.6
3. 소선가닥수 3
4. 인장강도 4.31
5. 도로횡단시 지선 높이 5
6. 내식성을 위한 아연도금화는 지표상 30cm

84. 전기철도용 변전소 이외의 변전소의 주요 변압기에 계측 장치가 꼭 필요하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전압
     2. 전류
     3. 주파수
     4. 전력

     정답 : []
     정답률 : 27%

85. 사람이 상시 통행하는 터널 안의 배선(전기기계기구 안의 배선, 관등회로의 배선, 소세력 회로의 전선 및 출퇴 표시등 회로의 전선은 제외)의 시설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단, 사용전압이 저압의 것에 한한다.)(2020년 09월)
     1. 합성수지관 공사로 시설하였다.
     2. 공칭단면적 2.5mm2 의 연동선을 사용하였다.
     3. 애자사용공사 시 전선의 높이는 노면상 2m로 시설하였다.
     4. 전로에는 터널의 입구 가까운 곳에 전용개폐기를 시설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터널내 전선로
저압
- 전선의 굴기 : 2.6mm이상
- 시공방법 : 합성수지관공사/금속관공사/가요전선관공사/케이블공사/애자사용공사
- 애자사용시 높이 : 노면상 2.5m 이상
고압
- 전선의 굴기 : 4mm이상
- 시공방법 : 케이블공사/애자사용공사
- 애자사용시 높이 : 노면상 3m 이상
[해설작성자 : 날라리아74]

86. 지중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중함은 폭발성 또는 연소성의 가스가 침입할 우려가 있는 것에 시설하는 지중함으로서 그 크기가 최소 몇 m3이상인 것에는 통풍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2016년 10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42%

87. 합성수지관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3월)
     1. 합성수지관 안에 전선의 접속점이 있어도 된다.
     2. 전선은 반드시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한다.
     3.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4. 관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3m 이하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88. 사용전압이 몇 V 이상의 중성점 직접접지식 전로에 접속하는 변압기를 설치하는 곳에는 절연유의 구외 유출 및 지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유 유출 방지설비를 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8년 04월)
     1. 25000
     2. 50000
     3. 75000
     4. 100000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Kicc]

[추가 오류 신고]
삭제
[해설작성자 : PYR]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21.1.1 삭제된 기준임
출처:한솔아카데미 5주완성
[해설작성자 : 갸갸햐뱌]

89. 전로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이고, 대지전압이 220V인 옥내전로에서 분기회로의 절연저항 값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8년 04월)
     1. 0.1
     2. 0.2
     3. 0.4
     4. 0.5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KEC 개정으로 인한 법규삭제
[해설작성자 : 아리랑]

90. 내부피뢰시스템 중 금속제 설비의 등전위본딩에 대한 설명 이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 0.5, ⓑ 15
     2. ⓐ 0.5, ⓑ 20
     3. ⓐ 1.0, ⓑ 15
     4. ⓐ 1.0, ⓑ 20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KEC 153.2.2 금속제 설비의 등전위본딩]
3. 건축물·구조물에는 지하 0.5 m와 높이 20 m 마다 환상도체를 설치한다. 다만 철근콘크리트, 철골구조물의 구조체에 인하도선을 등전위본딩하는 경우 환상도체는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해설작성자 : 담벼락]

91. 금속 덕트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공사 시설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2년 05월)
     1.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인 경우에는 덕트에 제 3종 접지공사를 한다.
     2. 금속 턱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의 합계가 덕트의 내부 단면적의 20[%]이하가 되도록 한다.
     3. 금속 덕트는 두께 1.0[mm] 이상인 철판으로 제작하고 덕트 상호간에 완전하게 접속한다.
     4. 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 덕트 지지점간의 거리를 3[m] 이하로 견고하게 붙인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금속 덕트 공사
- 옥외용 비닐 절연 전선(OW)이외의 절연 전선
- 전선을 분기하는 경우에는 접속점은 쉽게 점검 할 수 있는 접속점을 마련
- 지지점 간 거리는 3m 이하,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6m
- 두께 1.2mm 이상의 철판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금속제
-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미만 : 제 3종 접지공사
    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압이 400[V] 이상 : 특별 제 3종 접지공사
[해설작성자 : DoubleM]

92.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80A 퓨즈는 수평으로 붙일 경우 정격전류의 1.6배 전류를 통한 경우에 몇 분 안에 용단되어야 하는가?(2009년 05월)
     1. 30분
     2. 60분
     3. 120분
     4. 180분

     정답 : []
     정답률 : 16%

93. 전압이 22900V로서 중성선에 다중접지하는 전선로의 절연 내력 시험전압은 최대사용전압의 몇 배인가?(2004년 09월)
     1. 0.72
     2. 0.92
     3. 1.1
     4. 1.25

     정답 : []
     정답률 : 15%

94. 특별고압 가공전선로를 제2종 특별고압 보안공사에 의해서 시설할 수 있는 경우는?(2006년 09월)
     1.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가공 약전류전선 등과 제1차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2.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가장 약전류전선의 위쪽에서 교차하여 시설되는 경우
     3.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도로 등과 제1차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4. 특별고압 가공전선이 철도 등과 제1차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9%

95.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지선의 안전율은 2.2 이상이어야 한다.
     2.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素線) 3가닥 이상이어야 한다.
     3.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지표상 4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지중부분 및 지표상 20cm 까지의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것 또는 아연도금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96.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의 강도계산에 적용하는 풍압하중은 빙설이 많은 지방이외의 지방에서 저온계절에는 어떤 풍압하중을 적용하는가? (단, 인가가 연접되어 있지 않다고 한다.)(2020년 06월)
     1. 갑종풍압하중
     2. 을종풍압하중
     3. 병종풍압하중
     4. 을종과 병종풍압하중을 혼용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갑종: 고온계절
을종: 저온계절, 빙설이 많은 지방
병좀: 저온계절, 빙설이 적은 지방(인가 밀집)
→ 빙설이 많은 지방 이외의 지방에서의 저온계절: 병종
[해설작성자 : ㅅㅁ]

고온        저온
1.빙설많(지방)        갑            병
2.빙설많(일반)        갑            을
2-1빙설많(그외)     갑         갑or을
3. 인가밀집            병             병

고온 : 갑갑갑병    
저온 :(마법천자문마냥 한자 외우듯이) : 병을 갚(갑)을 병!
[해설작성자 : 전기]

97. 발전기의 보호장치로서 사고의 종류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로로부터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2011년 03월)
     1. 발전기에 과전류나 과전압이 생긴 경우
     2. 용량이 50[kV] 이상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수차의 압유장치의 유압이 현저하게 저하한 경우
     3. 용량 100[kVA] 이상의 발전기를 구동하는 풍차의 압유장치의 유압이 현저하게 저하한 경우
     4. 용량이 10,000[kVA]이상인 발전기의 내부에 고장이 생긴 경우

     정답 : []
     정답률 : 19%

98. 사용전압이 특고압인 전기집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케이블을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방식 케이블 이외의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몇 종 접지공사로 할 수 있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20년 09월)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99. 옥내에 시설하는 전동기에는 전동기가 소손될 우려가 있는 과전류가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이를 저지하거나 이를 경보하는 장치를 하여야 하는데, 단상 전동기인 경우 전원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차단기의 정격 전류가 몇 [A] 이하이면 이 과부하 보호 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가? (단, 단상 전동기는 KS C 4204(2008)의 표준정격의 것을 말한다.)(2010년 05월)
     1. 10A
     2. 15A
     3. 30A
     4. 50A

     정답 : []
     정답률 : 16%

100. 고압 가공인입선이 케이블 이외의 것으로서 그 전선의 아래쪽에 위험표시를 하였다면 전선의 지표상 높이는 몇 m 까지로 감할 수 있는가?(2018년 04월)
     1. 2.5
     2. 3.5
     3. 4.5
     4. 5.5

     정답 : []
     정답률 : 3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53532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34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433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44463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2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977760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1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0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9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53532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7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6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5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4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3 경비지도사 2차(경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1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2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1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03110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0 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9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8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7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1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6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11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5 9급 지방직 공무원 간호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6 Next
/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