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977760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유니코드(Unicod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국제 표준으로 16비트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 부호 체제이다.
     2. 6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소문자를 구별할 수 없다.
     3. 미국 표준국에서 통신을 위해 최근에 개발된 7비트 문자 부호 체제이다.
     4. 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하며 BCD 코드에서 확장된 8비트 체제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유니코드는 국제 표준으로 16비트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 부호 체제이다.
2번은 BCD 코드에 대한 설명이다
3번은 ASCII 코드에 대한 설명이다.
4번은 EBCDIC 코드(확장2진화 10진) 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4수만에 합격]

1. 유니코드는 국제 표준으로 16비트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 부호 체제이다.
+전세계의 모든 문자를 2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국제표준코드로 정보처리, 정보교환용으로 사용된다
데이터의 교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문자 1개에 부여되는 값을 16비트(2바이트)로 통일했다.
[해설작성자 : 컴활은 넘나 어렵네요]

2. BCD 코드 - 하나의 문자를 2개의 Zone 비트,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
2^6=64가지의 문자 표현 가능
대소문자 구별 불가

3. ASCII 코드 - 하나의 문자를 3개의 Zone 비트,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
2^7=128가지의 문자 표현 가능
데이터 통신용이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

4. EBCDIC 코드 - 하나의 문자를 4개의 Zone 비트,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
2^8=256가지의 문자 표현 가능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몽이야 힘을 줘]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3JxC7G-r1W8?t=00]

2. 다음 중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정된 OSI 7 Layer 통신 구조에서 하위 세 개 계층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물리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계층
     4. 데이터 링크 계층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OSI 7 계층은 물리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네트워크 계층,전송계층,세션계층,표현 계층,응용 계층 순서입니다.
[해설작성자 : 리즈나인]

OSI 7계층과 관련된 네트워크 장비
-물리 계층: 리피터, 허브
-데이터링크 계층: 브리지, 스위치, 랜카드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해설작성자 : Raina]

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 하드웨어를 추가하려는 경우 중 잘못된 것은?(2007년 05월)
     1.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은 반드시 ‘새 하드웨어 추가’에서만 작업해야 한다.
     2. 플러그 앤 플레이가 지원되지 않는 장치를 추가할 때에는 제어판의 ‘새 하드웨어 추가’를 더블클릭하고,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의 지시를 따른다.
     3. 플러그 앤 플레이가 지원되는 하드웨어를 컴퓨터에 새로 장착하고 윈도우 XP를 실행하면, 새로 장착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가 실행된다.
     4. 새 하드웨어 추가에서는 하드웨어를 검색하고 장치 제어기(드라이버)를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은 [시작]-[모든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도구]에서 필요한 도구를 선택하며,
"반드시", "만" 오답의 가능이 큼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4. 다음 중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감염 부위에 따라 부트 바이러스와 파일 바이러스로 구분한다.
     2. 사용자 몰래 스스로 복제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고, 정상적인 프로그램이나 다른 데이터 파일 등을 파괴한다.
     3. 주로 복제품을 사용하거나 통신 매체를 통하여 다운받은 프로그램에 의해 감염된다.
     4. 컴퓨터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소프트웨어에만 영향을 미친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바이러스 특징 :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려고 작성]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GQdAEvFi0rA?t=307]

5. 다음 중 Windows 7의 [Windows 작업 관리자]에서 실행 가능한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6년 06월)
     1.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2.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둘 이상의 사용자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된 사용자 및 작업 상황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4.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 및 CPU 리소스의 양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응용 프로그램 탭 :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 확인, 프로그램 종료, 전환, 새 프로그램 실행
프로세스 탭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 프로세스 종료
성능 탭 : CPU와 메모리 사용 현황 확인
사용자 탭 : 현재 컴퓨터에 로그인 되어있는 사용자 확인, 로그오프, 메시지 보내기
[해설작성자 : 만덕사랑]

'Windows 작업 관리자' 대화상자에서 네트워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수정할 수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낼 시험본다...]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3JxC7G-r1W8?t=399]

6. 다음 중 시스템 보안과 관련한 불법적인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피싱(Phishing)은 거짓 메일을 보내서 가짜 금융기관 등의 가짜 웹 사이트로 유인하여 정보를 빼내는 행위이다.
     2. 스푸핑(Spoofing)은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이다.
     3.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DOS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불법적으로 접속하는 행위이다.
     4. 키로거(Key Logger)는 키 입력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를 알아내는 행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분산 서비스(DDOS)공격은 많은 수의 pc를 원격 조종해 특정한 웹 사이트에 동시에 접속시킴으로써 과부하가 되게 하는 공격입니다.
[해설작성자 : 컴활 대박]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oS) 또는 디디오에스/디도스(DDoS)는 여러 대의 공격자를 분산적으로 배치해 동시에 서비스 거부 공격을 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해설]
스니핑(Sniffing) : 사용자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훔쳐보는 것으로 네트워크의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낸다.
[해설작성자 : 인생노잼]

[추가 해설]
1. 피싱(phishing): 거짓 메일을 발송하여 가짜 웹사이트로 유인한 후 정보를 빼내는 기법
2. 스푸핑(spoofing): 검증된 사람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침입형태
3. 분산서비스거부공격(DDOS):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다량의 데이터를 한 곳의 서버에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특정 서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것
4. 키로거(key logger):키 입력 패치 프로그램을 통해 ID나 암호와 같은 개인정보를 빼내어 악용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정은이 화이팅]

7. 다음 중 시스템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방화벽(Firewa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IP주소 및 포트번호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기반으로 접속을 차단하여 네트워크의 출입로를 단일화 함으로써 보안 관리 범위를 좁히고 접근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2. ‘명백히 금지되지 않은 것은 허용한다’는 소극적 방어 개념이 아니라 ‘명백히 허용되지 않은 것은 금지한다’라는 적극적 방어 개념을 가지고 있다.
     3. 방화벽을 운영하면 네트워크의 부하가 감소되며, 네트워크 트래픽이 게이트웨이로 집중된다.
     4. 로그 정보를 통해 누가 외부에서 침입을 시도했는지 그 흔적을 찾아 역추적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네트워크 부하가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평민]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qlfueECg-A?t=75]

8. 인터넷상에서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면서 동시에 재생하는 기술 용어는?(2007년 10월)
     1. Messenger
     2. Streaming
     3. Chatting
     4. Networking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스트리밍이 지원하는 확장자는 ASF, WMV, WMA, RAM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9. 다음 중 무선 근거리 통신네트워크(WLA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현재 개발 및 상용중인 고속 무선 LAN은 2.4GHz대에서 운용된다.
     2. 고속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무선 전송방식에는 CDMA, TDMA, 적외선 방식이 있다.
     3.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직접 연결하는 기술이다.
     4. 무선 LAN은 인위적으로 전자기 신호를 유도하는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WLAN 또한 무선 LAN으로 LAN과 같이 회사 내부 또는 학교 내부용 네트워크 망으로 사용되며 외부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 학교의 대표 인터넷 경로(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하여 접속하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0. 일반적으로 음악은 MIDI 형식과 WAVE 형식으로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7년 02월)
     1. WAVE 형식의 음악이 MP3 형식의 음악에 비해 음질이 월등히 좋다.
     2. 같은 음악을 저장할 경우 MIDI 형식이 WAVE 형식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3. WAVE 형식은 소리의 파장을 아날로그 형식으로 컴퓨터에 저장시키는 방법이다.
     4. MIDI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악기 소리의 개수는 최대 4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Wave : 아날로그 형태의 소리를 디지털로 변형한 데이터
                실제소리가 저장되어 재생이 쉽지만, 용량이 큼
midi : 16개 이상의 악기를 동시에 연주 가능
mp3    : 음반 cd수준의 음질을 유지, 1/12정도까지 압축가능
[해설작성자 : 상명대 국통]

11. 다음 중 오디오 파일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MP3 : 소리에 대한 사람의 청각 특성을 잘 살려 압축하는 기법으로 CD 수준의 음질을 들을 수 있는 고음질 오디오 압축 표준 형식이다.
     2. MIDI : 실시간으로 사운드를 보내기 위해 만들어진 압축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계속 받으면서 동시에 이미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재생한다.
     3. AIFF : 비압축 무손실 압축 포맷으로 Mac OS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오디오 파일 형식이다.
     4. WAVE : 마이크로소프트사와 IBM이 개발한 PC용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낮은 레벨의 모노에서부터 CD 수준의 스테레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해당 설명은 스트리밍기술을 말한다.
MIDI는 전자악기 간의 디지털신호에 의한 통신이나 컴퓨터와 전자악기 간의 통신규약을 말하는 오디오데이터이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연주정보만 저장되므로 크기가 작다. 시퀸싱작업을 통해 작성되며, 16개이상의 악기를 동시에 연주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호디]

(추가) 2. ASF/WMV: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통합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용량이 작고 음질이 뛰어나 스트리밍을 위한 표준 기술 규격. 따라서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인터넷 방송국에서 사용됨
[해설작성자 : 설연휴 바로 다음날 신청해놓은 내가 바보]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입니다.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입니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저장하기에 용량이 작습니다.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의 특성을 기호로 정의하여 이의 내용을 정의합니다.

[스트리밍(Streaming)]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구현할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인터넷 웹상에서 음성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것으로 파일을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다운로드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사용자 계정 메뉴를 이용하여 계정 변경과 새 계정 만들기가 가능하다.
     2. 사용자 계정은 크게 관리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으로 구분한다.
     3. 변경할 사용자 계정을 실행하여 사용자를 전환할 수 있다.
     4. 사용자 로그온 및 로그오프 옵션을 이용하여 새로운 시작화면 사용과 빠른 사용자 전환 사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관리자 계정과 제한된 계정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window 10기준
관리자계정과 표준사용자계정
[해설작성자 : 치치]

13. 다음 중 인터넷 사용과 관련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WAP: Wireless Access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6월)
     1. 무선 LAN을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2. WAP은 라우터 기능은 없으나 방화벽, 스위치 기능을 가지고 있다.
     3. WAP이 도달할 수 있는 거리는 안테나와 장애물의 영향을 받는다.
     4. 더 많은 사용자를 처리하기 위해 확장 포인트(extension points)가 추가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WAP에 라우터 기능이 포함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영]

14.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펌웨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하드웨어의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2. 컴퓨터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전자적 장치이다.
     3. 주로 캐시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 또는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4. 컴퓨터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요즘 펌웨어는 플래시 롬에 저장되기 때문에 내용을 업그레이드 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15. 다음 중 파일 확장자를 종류별로 올바르게 모아놓은 것은?(2007년 05월)
     1. 실행 파일 : COM, EXE
     2. 그림 파일 : BMP, BAK, JPG, GIF
     3. 음악 파일 : HWP, WAV, MP3, MID
     4. 압축 파일 : ZIP, ARJ, AVI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BAK-백업파일
HWP-한글문서파일
AVI-동영상파일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16. 다음 중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못한 것은?(2008년 10월)
     1. MPEG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동영상 압축에 관하여 연구하는 그룹의 이름이다.
     2. MPEG 종류는 MPEG-1, MPEG-2, MPEG-4, MPEG-7, MPEG-21 등이 있다.
     3. MPEG는 손실/무손실 압축 기법 중 무손실 압축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4. MPEG에서는 정지영상 압축 기술인 JPEG 기술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MPEG는 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MPEG는 동영상 압축기술의 국제표준규격 (오디오도 가능함)
프레임간 연관성을 고려해서 중복되는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손실압축기법)
[해설작성자 : 2일만에 컴활뿌수기]

17. 다음 중 동영상 압축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08년 05월)
     1. 주파수 영역처리 기법은 3차원 평면의 픽셀을 색깔별로 정하여 압축한 것이다.
     2. 동작 보상 기법은 움직이는 물체의 이동 위치만을 표시하여 벡터 정보로 기록해서 압축하는 방법이다.
     3. 델타 프레임 기법은 새로운 화면의 정보를 모두 기록하지 않고 앞 화면과 뒤 화면의 차이점을 기록해서 압축하는 방법이다.
     4. 서브 샘플링 기법은 주어진 정보의 일부분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주파수 영역처리 기법은 2차원 평면의 픽셀을 색깔별로 정하여 압축한 것이다.

18. 다음 중 TCP/IP를 구성하는 각 계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응용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2. 전송 계층은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을 지원한다.
     3. 인터넷 계층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지정 및 경로 설정을 지원한다.
     4. 링크 계층은 사용자가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링크 계층이 아니라 응용 계층 설명이다.

응용 계층 : 사용자(응용 프로그램)가 OSI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함
전송 계층 : 종단 시스템(End - to - End) 간의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기능.
링크 계층 :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의 교환 및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함.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하며 링크의 확립, 유지, 단절의 수단을 제공함.
[해설작성자 : 0321]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
전송 계층: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
인터넷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 경로 설정을 제공
링크 계층: 실제 데이터(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역할
[해설작성자 : 너무안외워져서 작성함]

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전송 계층 : 호스트간의 신뢰성있는 통신을 제공
인터넷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 경로 설정을 제공
링크 계층 :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

순서는 물리-데이터링크-네트워크-전송-세션-표현-응용
[해설작성자 : 넌나만바라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1dQKzwkaFY?t=1561]

19. 다음 중 아래의 그림과 같은 종류의 폰트 파일을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폰트 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한다.
     2. 마우스 더블 클릭하여 나타나는 대화상자의 지시에 따른다.
     3. 폰트 파일을 선택하고 C:\WINDOWS\FONTS 폴더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설치한다.
     4.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클릭하여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어판에 글꼴에다가 복사하셔도 됩니다. 또한 글꼴은 삭제도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0. 다음 중 Windows 7에서 [사용자 계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5년 03월)
     1. Guest 계정은 암호가 없다.
     2. Guest 계정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설치할 수 없다.
     3. 관리자 계정은 다른 사용자 계정의 이름, 그림, 암호 및 계정 유형을 변경할 수 있다.
     4. 표준 사용자 계정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설치 및 보안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Guest 계정 : 암호 없음.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설치 불가능, 폴더 및 파일 액세스 불가능
관리자계정 : 제한 없이 컴퓨터 설정 변경 가능. 다른 사용자 계정의 액세스 권한을 가짐
표준 사용자 계정 :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설치 및 보안 설정, 파일 삭제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미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테마 설정, 계정에 대한 암호는 설정 가능
[해설작성자 : 이번주시험인데]

Guest 계정은 표준 사용자가 계정의 일종이지만 암호가 없는 형태입니다.
[해설작성자 : 우현]

[사용자 계정]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시에 사용자마다 설정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게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계정에는 관리자 계정, 표준 사용자 계정이 있습니다.
관리자 계정 : PC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모든 설정을 변경하고 PC에 저장된 모든 파일 및 프로그램(앱)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컴퓨터의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표준 사용자 계정 :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나 이 pc의 보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로 자신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나 설치된 앱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과목 :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배열 수식 및 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배열 수식에서 사용되는 상수의 숫자로는 정수, 실수, 지수 형식의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2. MDETERM 함수는 배열로 저장된 행렬에 대한 역행렬을 산출한다.
     3. PERCENTILE 함수는 범위에서 k번째 백분위수 값을 구하며, 이때 K는 0에서 1까지 백분위수 값 범위이다.
     4. FREQUENCY 함수는 값의 범위 내에서 해당 값의 발생 빈도를 계산하여 세로 배열 형태로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인수로 주어지는 배열의 역행렬을 구하는 함수는 MINVERSE입니다.
MDETERM은 배열의 행렬식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2. 다음 중 매크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 매크로를 기록한 후에는 Visual Basic Editor를 사용하여 오류를 고치거나 매크로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2. 매크로 기록을 시작하면 사용자가 일련의 명령을 수행함에 따라 각 단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매크로를 실행하면 해당 명령들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3. 매크로를 사용하면 Microsoft Excel에서 자주 수행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매크로는 해당 작업이 필요할 때마다 실행할 수 있도록 일련의 명령과 함수를 Microsoft Visual Basic 모듈로 저장해 놓은 것이다.
     4. 매크로 이름의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이어야 하며 나머지는 문자, 숫자, 밑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백을 사용할 수 없고 밑줄로 단어를 구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Visual Basic Editor을 사용하여 오류를 고치거나 매크로 내용을 변경할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Visual Basic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3. 다음 중 자동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날짜가 입력된 열에서 요일로 필터링하려면 '날짜필터' 목록에서 필터링 기준으로 사용할 요일을 하나 이상 선택하거나 취소한다.
     2. 두 개 이상의 필드에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필드 간에는 AND 조건으로 결합되어 필터링된다.
     3. 열 머리글에 표시되는 드롭다운 화살표에는 해당 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데이터 형식에 해당하는 필터 목록이 표시된다.
     4. 검색 상자를 사용하여 텍스트와 숫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배경 또는 텍스트에 색상 서식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 셀의 색상을 기준으로 필터링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요일은 필터링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붓싼아조씨]

① 날짜에 대해 [날짜 필터]이용시 <요일>로 필터는 불가능하며, <년/분기/월/주/일, 연간 누계> 등을 이용하여 필터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27X5OL61NkE?t=374]

24. 다음 중 Excel 데이터를 웹페이지로 저장하거나 게시 될 때 유지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2009년 04월)
     1. 공유 통합 문서 정보
     2. 무늬 채우기
     3. 글자 크기
     4. 셀 메모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웹페이지로 저장할때 변하지 않는것은 글자 크기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5. 다음 시트에서 [A2:C6] 영역을 선택한 후 응시인원수가 10 이상이고, 평균점수가 80 이상이면 글꼴 스타일 : ‘기울임꼴’, 무늬 : ‘노랑’으로 설정하는 [조건부 서식]을 지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조건부 서식]의 수식 입력란에 입력해야 할 수식으로 옳은 것은?(2008년 10월)

    

     1. =AND(B$2>=10,C$2>=80)
     2. =AND($B2>=10,$C2>=80)
     3. =AND($B$2>=10,$C$2>=80)
     4. =AND(B2>=10,C2>=8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체 행에 서식이 적용이 되었기 때문에 조건에서 항상 열은 절대값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열이 절대값이 된것은 $B2, $C2 이므로 2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6. 다음 중 표를 복사한 후 복사한 표의 크기에 변화 없이 그림 형태로 붙여넣기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붙여넣기 해야 되는가?(2009년 07월)
     1. 복사한 셀 삽입
     2. 연결하여 그림 붙여넣기
     3. 선택하여 붙여넣기
     4. 하이퍼링크로 붙여넣기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그림 형태로 붙여넣기 = 연결하여 그림 붙여넣기
Shift를 누르면서 편집을 누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7. 다음 중 매크로 이름 정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09년 02월)
     1. 매크로 이름의 첫 번째 글자는 숫자가 아닌 문자여야만 한다.
     2. 매크로 이름의 두 번째부터는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3. 매크로 이름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4. 매크로 이름에는 밑줄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매크로 이름 정할때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여야만 하고, 두 번째부터는 숫자, 문자, 밑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수문자, 공백은 매크로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와정이]

28. 다음 중 셀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셀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편집하려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을 두 번 클릭한다.
     2. 편집하려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을 클릭하고 수식 입력줄을 클릭한다.
     3. 편집하려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셀 편집]을 클릭한다.
     4. 편집하려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을 클릭하고 <F2>키를 누른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③ 셀 내용 편집 방법은 <F2>, 셀에서 더블 클릭, 수식 입력줄에서 클릭 방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다음 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29. 다음 중 아래의 피벗 테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보고서 필터로 사용된 필드는 '구분'과 '차종'이다.
     2. 행 레이블로 사용된 필드는 '이름'과 '입사'이다.
     3. 이지원은 '총무부'이며 통근거리는 '25'이다.
     4. 값 영역에 사용된 필드는 '부서'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값 영역에 사용된 필드는 '통근거리'이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추가 해설]
- 각각 피벗테이블 목록에 위치한 필드들이 다음과 같습니다.

보고서 필터 : 구분, 차종
행 레이블 : 이름, 입사
열 레이블 : 부서
∑값 (값 영역) : 통근거리 (함수는 합계로 지정한 상태입니다.)

김연희는 부서가 영업부 이고 통근거리는 16 입니다.
박은지는 부서가 영업부 이고 통근거리는 24 입니다.
배철수는 부서가 총무부 이고 통근거리는 24 입니다.
이지원은 부서가 총무부 이고 통근거리는 25 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kL7EdNXcik?t=1473]

30. 다음 중 수식 작성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셀 범위를 참조할 때에는 시작 셀 이름과 마지막 셀 이름 사이에 콜론(:)이 입력된다.
     2. 다른 워크시트의 값을 참조하는 경우 해당 워크시트의 이름에 사이 띄우기가 포함되어 있으면 워크시트의 이름은 큰 따옴표(“”)로 묶인다.
     3. 수식에 숫자를 입력할 때 화폐단위나 천 단위 구분 기호와 같은 서식 문자는 입력하지 않는다.
     4. 외부 참조를 하는 경우 통합 문서의 이름과 경로가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② 시트명이 숫자로 시작하거나(중간에 숫자가 있으면 상관없음) 중간에 공백이 있는 경우는 작은 따옴표(' ')로 묶는다.
[해설작성자 : 은서내]

다른 파일 및 시트 참조시 형식 : ='[파일이름]워크시트이름!셀주소'
[해설작성자 : 신한국컴퓨터학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4y6eOTSL9vA?t=449]

31. 다음 중 매크로 편집에 사용되는 Visual Basic Edit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Visual Basic Editor는 단축키 <Alt>+<F11>키를 누르면 실행된다.
     2. 작성된 매크로는 한 번에 실행되며, 한 단계씩 실행될 수는 없다.
     3. Visual Basic Editor는 프로젝트 탐색기, 속성 창, 모듈 시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실행하고자 하는 매크로 구문 내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F5>키를 누르면 매크로가 바로 실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작성된 매크로는 한 번에 실행되며, 한 단계씩 실행될 수는 없다.(x)
->한단계 실행시 <F8>
    커서위치까지 매크로 실행시 <Ctrl>+ <F8>
    매크로 바로실행 <F5>
[해설작성자 : 다음주 시험임ㅋㅋㅋ]

매크로편집 : Alt + F11
[해설작성자 : 커말시러]

Alt + F8    -> 매크로
Alt + F11 -> Visual Basic Editor
F11 -> 새 시트에 차트 생성
Alt + F1 -> 기존시트에 차트 생성
[해설작성자 : 헷갈려 진쫘루...]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urZ7viJrcQQ?t=1]

32. 다음 중 [데이터]-[레코드 관리] 메뉴를 이용한 레코드의 검색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레코드의 찾기 조건에는 와일드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 찾기 조건은 문자 단위로 지정하더라도 검색 결과는 레코드 단위로 표시된다.
     3. 찾기 조건을 지정하지 않고 검색을 실행하면 현재 이하(이전)의 전체 레코드가 검색된다.
     4. 조건에 맞는 레코드를 표시하는 동안 [다음 찾기]를 계속 누르면, 레코드 찾기가 반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마지막 까지 찾기를 마치면 더 이상 찾지를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3. 다음 중 아래 시트에서 각 수식을 실행했을 때의 결과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EOMONTH(A1,-3) → 2016-12-05
     2. DAYS360(A1,A3) → 35
     3. NETWORKDAYS(A1,A2) → 11
     4. WORKDAY(A1,10) → 2017-03-17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EOMONTH(날짜,월수) - 지정한 날짜 기준으로 몇개월 이전(음수), 몇개월 이후(양수)달의 마지막 날짜 구함. 즉, 2016-12-31
[해설작성자 : 날짜함수]

3. networkdays - 공휴일과 주말을 제외한 순수 작업 일수

4. WORKDAY(A1, n)- A1로부터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n일이 지난 날짜

2.DAYS360 - 1년을 360일로 하여 두 날짜 사이의 일 수 계산
[해설작성자 : minseung]

1번의 보기처럼 될려면 EDATE(날짜,월수)를 사용
[해설작성자 : 내일모래시험]

1. EOMONTH= End Of Month의 줄임말입니다. 그러니 달의 마지막 날짜가 나와야겠지요~
[해설작성자 : Miss K]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urZ7viJrcQQ?t=624]

34. 다음은 엑셀의 차트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2년 09월)

    

     1. [F11] → 새로운 차트 시트 → 묶은 세로 막대형
     2. [F11] → 현재 통합문서에 있는 워크시트 → 묶은 가로 막대형
     3. [F8] → 새로운 차트 시트 → 묶은 가로 막대형
     4. [F8] → 현재 통합문서에 있는 워크시트 → 묶은 가로 막대형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F11] > 새로운 차트 시트가 생성 됩니다.
[Alt] + [F1] > 현재 시트에 차트가 생성 됩니다.
[해설작성자 : 지성과미모]

F11 : 새로운 차트 시트 생성 단축키 입니다.
Alt + F1 : 현재 시트에 차트 생성 단축키 입니다.
F8 : 선택 영역 확장 단축키 입니다.
※f8을 누르고 영역(셀범위)을    확장하고
다시 f8을 누르면 영역확장이 끝납니다.
f8하고는 차트 생성하고는 관계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아아빠]

35. 다음 중 엑셀에서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로 가져올 수 없는 형식의 파일은?(2007년 07월)
     1. 쿼리 파일(.dav)
     2. 텍스트 파일(.txt)
     3. 데이터베이스 파일(.mdb)
     4. 아래아 한글 파일(.hwp)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한글 파일은 가져 올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6. 다음의 공유 통합 문서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도구]-[통합 문서 공유]-[편집] 탭을 선택하여 수행한다.
     2.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변경할 수 있으며 ‘통합 문서 병합도 가능’ 확인란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3. 공유 통합 문서를 네트워크 위치에 복사해도 다른 통합 문서나 문서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되며, [편집] 메뉴에서 연결 명령으로 연결 대상을 고칠 수 있다.
     4. Microsoft Excel 97 이후 버전에서 만든 공유 통합 문서를 Microsoft Excel 95 이전 버전에서 바꿀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최신 버전에서는 구 버전을 다 사용할수 있지만 구 버전에서는 최신버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7. 다음 중 아래 그림과 같이 [A1:C19] 영역을 복사하여 부분합의 요약된 결과만 [A23:C27] 영역에 붙여넣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A1:C19] 영역 선택 → [홈]-[편집]-[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에서 '화면에 보이는 셀만'을 선택한 후 [확인] 클릭 → 복사 → 붙여넣기
     2. [A1:C19] 영역 선택 → [홈]-[편집]-[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에서 '현재 셀이 있는 영역'을 선택한 후 [확인] 클릭 → 복사 → 붙여넣기
     3. [A1:C19] 영역 선택 → 복사 → 선택하여 붙여넣기 → '내용이 있는 셀만 붙여넣기'를 선택한 후 [확인] 클릭
     4. [A1:C19] 영역 선택 → 복사 → 선택하여 붙여넣기 →‘값’을 선택한 후 [확인] 클릭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열을 보면 1,9,14,18,19 로 진행되는 걸 볼수있다.
화면에 보이는 셀만 붙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취업성공하자]

2 - '현재 셀이 있는 영역'은 붙여넣기 했을 때 숨겨져 있던 표들도 다 나온다
3 - '내용이 있는 셀만 붙여넣기' 표에 공백이 있다고 가정하면 공백은 제외, 값이 있는(즉 내용이 있는) 부분만 붙여넣어진다
4 - '값'을 선택한 후 [확인] 엑셀은 기본적으로 수식이 복사가 되는데 이 것은 수식을 복사하지 않고 수식의 결과값만 복사
[해설작성자 : 내가 이해하려고 썼다]

38. 다음 중 차트의 페이지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 4번을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06년 09월)
     1. 차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페이지 설정을 선택하면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 시트 탭 대시 차트 탭이 나타나다.
     2. 전체 페이지 사용을 선택하면 여백을 포함한 페이지 크기에 맞게 차트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차트 너비와 높이는 비례적으로 확대된다.
     3. 사용자 정의를 선택하면 지정한 크기에 맞게 화면에서 차트 시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4. 시험 출력을 선택하면 그림과 셀 눈금 선을 인쇄하지 않도록 하여 인쇄 시간을 단축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 4번을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39. 다음 중 입력자료에 지정된 표시 형식에 따른 결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컴활컴활컴활
2.10,000
3.50.0%
4.Mar-01
[해설작성자 : 직접 입력해 보고 결과를 확인했어요.]

@: 문자 데이터의 표시 위치 지정
#: 유효한 자릿수만 표시하고, 유효하지 않은(불필요한) 0은 표시하지 않음
0: 유효하지 않은 자릿수는 0으로 표시함
[해설작성자 : 가띠]

40. 다음 중 엑셀 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Workbooks(“BOOK1”).Activate : 열려있는 통합 문서 BOOK1.XLS를 활성화 한다.
     2. Workbooks.Open “LARGE.XLS” : 통합 문서 LARGE.XLS 파일을 연다.
     3. Workbooks(“Sheet1”).Activate : Sheet1을 활성화한다.
     4. Workbooks(1).Visible = False : 현재 통합 문서에서 워크시트1을 삭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Visible : 워크시트의 표시 여부를 지정합니다.
- Workbooks(1).Visible = False : False 이기 때문에 워크시트1을 표시하지 말라는 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1. 다음 중 Access를 이용한 폼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2010년 10월)
     1. 폼 마법사를 이용하여 작성된 폼도 디자인 보기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2. 폼은 테이블의 데이터를 보기 편한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활용된다.
     3. 폼 마법사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필드를 사용하여 폼을 생성할 수 있다.
     4. 마법사를 사용하지 않고 디자인보기를 이용해서 폼을 만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폼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체이다.
출력은 보고서를 이용합니다.

42. 다음 중 탭 순서(Tab Ord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탭]키나 [엔터] 키 등을 누를 때 컨트롤에 포커스가 옮겨가는 순서를 지정하는 것이다.
     2. 탭 이동시에 '탭 정지' 속성을 '예'로 설정한 컨트롤에만 포커스가 옮겨간다.
     3. 선이나 레이블, 명령 단추와 같은 컨트롤에는 탭 순서를 지정할 수 없다.
     4. 개별 컨트롤의 '탭 인덱스' 속성 값을 변경하여 탭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선이나 레이블은 탭 순서를 정할수 없으나 명령 단추는 탭순서를 지정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3. <수강> 테이블의 "학점" 필드에 1, 2, 3 만을 값으로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 >0 Or < 4
     2. in(1, 2, 3)
     3. Like < > 0 And < 4
     4. Between < > 0 And < 4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 3가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or 2 or 3
in(1, 2, 3)
Between 1 And 3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1,3,4번 보기는 1.2, 2.5 등 소수점도 가능합니다.
1~3 사이의 값이 아닌 정수만 이용하기 위해서는 범위를 정확히 정해줘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평균60넘어도 자꾸 과락뜸 ㅜ]

44. 다음 중 [관계 편집] 대화 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관계를 구성하는 어느 한쪽의 테이블 또는 필드 및 쿼리를 변경할 수 있다.
     2. 조인 유형을 내부 조인, 왼쪽 우선 외부 조인, 오른쪽 우선 외부 조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3. '항상 참조 무결성 유지'를 선택한 경우 '관련 필드 모두 업데이트'와 '관련 레코드 모두 삭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4. 관계의 종류를 일대다, 다대다, 일대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관계 편집] 대화상자에서는 관계의 종류는 나오지만 종류를 선택하진 못한다.
열려 있는 테이블에는 관계를 설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인데 이제야 공부함;;]

4. 관계의 종류는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구성하는 테이블 간의 기본키와 외래키 설정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됨.
[해설작성자 : 곧 셤]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vhZqRcRzy1M?t=687]

45. 다음 중 데이터 보안 및 회복, 무결성,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2016년 06월)
     1. 데이터 제어어(DCL)
     2. 데이터 부속어(DSL)
     3. 데이터 정의어(DDL)
     4. 데이터 조작어(DML)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정의어 : 데이터베이스 생성, 수정하는데 사용하는 언어
- 조작어 : 데이터 실질적으로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데이터 처리는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변경 등을 말함
- 제어어 : 데이터의 보안, 무결성, 데이터 회복,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데이터 관리 목적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HYJW]

데이터 제어어: 데이터 보안, 무결성, 회복,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할 때 사용됨. 데이터관리를 목적으로 사용한다.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 생성/수정시 사용되는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나 설계자가 사용함.
데이터 조작어: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할 때 사용됨. 검색, 삽입, 삭제, 변경을 통해 데이터 처리.
[해설작성자 : 4수만에 합격]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jIaLm74Ufio?t=500]

46. 다음 중 하나의 테이블로만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쿼리 마법사를 이용하여 만들 수 없는 쿼리는?(2017년 09월)
     1. 단순 쿼리
     2. 중복 데이터 검색 쿼리
     3. 크로스탭 쿼리
     4. 불일치 검색 쿼리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 불일치 검색 쿼리
: 2개의 테이블이나 쿼리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레코드를 추출함
[해설작성자 : 앙앙이]

3. 크로스탭 쿼리 (주로 나오기때문에 설명을 덧붙임)
크로스탭 쿼리는 행, 열, 값이 필수로 입력되어야하며
열 머리글은 1개만 입력해야하고
행 머리글은 여러개 가능하다(최대 3개)
[해설작성자 : 1급바로통과]

4.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서로 비교해서 불일치 값을 도출하므로 비교 대상이 없는 1개의 테이블로 구성된 경우, 불일치 검색 쿼리를 만들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VZ4pyfiuXs?t=1]

47. [제품] 테이블의 '제품명' 필드는 기본 키(PK)가 아니면서도 동일한 값이 두 번 이상 입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자 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2010년 06월)
     1. 해당 필드에 '중복불가능' 색인(index)을 설정한다.
     2. 해당 필드에 '입력 마스크' 속성을 설정한다.
     3. 해당 필드에 '유효성 검사 규칙'을 지정한다.
     4. 해당 필드에 '빈 문자열 허용'을 '아니오'로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말그대로 '중복불가능'색인(index)을 설정하면 동일한 값이 두 번 이상 입력되지 않도록 설정됩니다.
[해설작성자 : )]

48. 다음 중 보고서 마법사로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정할 수 있는 요약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텍스트 속성인 필드만으로 구성된 테이블에는 요약 옵션을 사용 할 수 없다.
     2. 요약 옵션은 정렬 순서 지정 단계에서 지정하는 것으로 그룹 수준과는 무관하다.
     3. 요약 옵션으로 지정된 필드의 합계, 평균, 최대값, 최소값을 구할 수 있다.
     4. 테이블 간의 관계를 미리 지정해 둔 경우 둘 이상의 테이블에 있는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그룹수준을 지정해야만 요약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1급 아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VZ4pyfiuXs?t=422]

49. 다음 중 레이블 보고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레이블은 표준 레이블 또는 사용자 지정 레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2. 여러 개의 열로 이루어지고, 그룹 머리글과 그룹 바닥글, 세부 구역이 각 열마다 나타난다.
     3. 레이블 형식에서 낱장 용지와 연속 용지를 선택할 수 있다.
     4. 레이블에서 이름 필드의 값에 ‘귀하’를 붙여 출력하려면 ‘{이름}귀하’로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크로스탭 보고서에 관한 설명.
*크로스탭 보고서 : 보고서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모두 그룹화하고, 그룹화한 데이터에 대해 합, 개수, 평균 등의 계산을 수행한것.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하고 싶다]

레이블보고서:우편 발송용 레이블을 만드는 기능
                     레이블 크기,레이블 형식,텍스트모양,사용가능한필드,정렬기준,보고서 이름등을 지정함
크로스탭보고서:보고서를가로,세로방향으로 모두 그룹화하고,그룹화한 데이터에 대한 합,개수,평균 등의 계산을 수행한 것
                        여러개의 열로 이루어지고,그룹 머리글과 그룹바닥글,세부 구역이 각 열마다 나타나는 형태임
[해설작성자 : 이번엔 합격하자!]

2. 메뉴-만들기-레이블만들기로 들어가면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가 열림
우편물 레이블은 받는 사람의 주소와 이름 정도의 간단한 업무작성을 하기 위함이므로 정렬은 줄 수 있지만
그룹이라는 개념이 없음. 그룹 머리/바닥글 및 그룹화는 일반적인 보고서에 있는 것임
[해설작성자 : 내일필기한방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5SnwjHlh_rM?t=673]

50. 다음 중 텍스트 상자(text box) 컨트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어떤 값을 입력받거나 표시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컨트롤이다.
     2. 컨트롤 원본에 '='로 시작하는 수식을 지정하여 계산 컨트롤을 만들 수 있다
     3. 계산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면 관련 필드의 값이 변경된다.
     4. 테이블의 필드에 바운드된 경우, 컨트롤의 값을 수정하면 필드의 값도 수정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계산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면 그 값이 입력이 됩니다. 관련 필드의 값이 변경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1. 테이블의 필드에 데이터형식을 지정하려고 한다. 주민등록번호 필드의 데이터형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주민등록번호는 ‘-’을 포함하여 저장하려고 한다. (주민등록번호 예 : 123456-1234567)(2007년 07월)
     1. 텍스트
     2. 메모
     3. 숫자
     4. 통화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주민등록번호는 - 가 있기 때문에 텍스트로 저장을 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2.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데이터 유실시 파일 회복이 쉽다.
     2. 데이터를 여러 사람이나 응용프로그램이 공유할 수 있다.
     3.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데이터의 일관성 및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데이터베이스의 단점이 백업과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 유실시 파일 회복이 어렵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3. 다음 중 포커스가 임의의 레코드로 이동되어 그 레코드가 현재 레코드가 되거나 폼이 새로 고쳐지거나 다시 질의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Focus
     2. Event
     3. Current
     4. Click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Current 가 현재라는 뜻이므로 현재 레코드가 되거나 라는 말을 잘 기억하세요.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4. 다음 중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하여 테이블에 데이터를 가져 올 때 적절하지 않은 파일 형식은?(2015년 10월)
     1. 텍스트 파일
     2. Excel 파일
     3. Word 파일
     4. XML 파일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외부데이터로 가져올수 있는 파일형식: Access의 데이터베이스파일, dBASE, Paradox, Lotus 1-2-3파일, Excel파일, 텍스트파일, XML, HTML파일 등
가져올수 없는 형식: Word, 한글파일
[해설작성자 : 동의대 09학번 BJY]

55. [도서] 테이블은 도서번호, 도서명, 출판사코드, 대여료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의 필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도서명'은 항상 입력되지만 '도서번호'는 입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출판사코드'는 [출판사] 테이블의 '출판사' 필드의 외래키임)(2010년 06월)
     1. '도서번호' 필드의 데이터 형식을 문자형으로 하고 기본 키(PK)로 설정하였다.
     2. '도서명' 필드는 반드시 값을 입력하도록 '필수'로 지정하였다.
     3. '출판사코드' 필드는 [출판사] 테이블의 '출판사' 필드와 데이터 형식을 일치시켰다.
     4. '대여료' 필드는 숫자나 통화 형식으로 지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문제에서“도서번호는 입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라고 하였으므로 ① '도서번호' 필드는 기본키(PK)로 설정할 수 없다. 기본 키(PK)는 필수 항목으로 반드시 입력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도우미 정익종]

56. 다음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테이블에는 동일한 필드명이 두 개 이상 존재할 수 없다.
     2. 속성들 간의 순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도메인을 벗어나는 값을 가진 튜플(레코드)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
     4. 레코드들 간의 순서는 의미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속성들 간의 순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대성]

57. [관계 편집] 대화상자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설정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2월)

    

     1. [과목] 테이블에 존재하는 ‘과목코드’ 값을 갖는 [성적]테이블을 삭제해도 참조무결성을 해치지 않는다.
     2. [과목] 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것은 참조 무결성을 해치지 않는다.
     3. [과목] 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성적] 테이블의 레코드는 삭제할 수 있다.
     4. [과목] 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 값을 변경하면 이를 참조하는 [성적]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 값도 모두 변경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성적]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과목] 테이블의 레코드는 삭제할수 없습니다. 관련 레코드 모두 삭제에 체크가 안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8. 다음 중 Access의 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쿼리는 폼이나 보고서의 원본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2. 폼은 테이블이나 쿼리 데이터의 입출력 화면을 작성한다.
     3. 매크로는 모듈에 비해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다.
     4. 테이블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개체로, 레코드 및 필드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Access에서 매크로란 테이블,쿼리,폼,보고서 등 엑세스 각 개체들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기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매크로:반복적인 작업 수행 시 간단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능)
[해설작성자 : 해설자]

액세스 4가지 개체 :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
테이블 : 자료 저장소    /    쿼리 : 테이블을 기반으로 가공한 것
폼 : (쿼리와 테이블의 자료를 기반으로) 화면출력    
보고서 : (폼이나 테이블의 자료를 기반으로)인쇄설계

2.-> 폼은 입출력 모두 가능하지만, 보고서는 출력만 가능하다.
3.-> 모듈 : 비주얼베이직 코드    //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 아닌 툴을 이용해서 제작한다.
단순한 작업은 매크로라는 툴을 이용해서 쉽게 작성 가능    / 복잡한 작업은 모듈(=비주얼베이직)을 사용해서 작성한다.
4.-> 레코드 : 행 / 필드 : 열
[해설작성자 : 이틀남음 ]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Iu6ALCIp4MY?t=3110]

59. 아래 그림의 반 필드와 같이 데이터 입력 시 목록 상자에서 원하는 값을 선택하려고 할 때 설정해야 하는 필드 속성은?(2012년 06월)

    

     1. 입력 마스크
     2. 캡션
     3. 유효성 검사 규칙
     4. 조회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엑셀에서는 '데이터유효성검사'를 하면 위와같이 표시되지만 엑세스에서는 테이블 디자인보기의 필드의 데이터형식을 반드시 텍스트로 설정한후 '조회'에 들어가서 컨트롤을 목록상자로, 행원본유형을 값목록이라고 설정후 , 행원본에 A,B,C라고 타이핑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대구 네트컴퓨터학원]

60. 다음 중 액세스에서 색인(index)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는 것은?(2008년 08월)
     1. 인덱스 이름을 공통적으로 부여하면 여러 개의 필드를 하나의 인덱스로 구성할 수 있다.
     2. 메모, 하이퍼링크, OLE개체 데이터 형식 필드는 인덱스를 설정할 수 없다.
     3. 색인을 설정하면 테이블이 변경될 때 인덱스도 함께 변경되므로 자료의 갱신 속도가 빨라진다.
     4. 중복불가능(unique) 색인을 설정하면 중복된 자료의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인덱스를 하면 검색, 정렬 속도는 빨라지지만 갱신 속도는 느려집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정 답 지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977760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유니코드(Unicode)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국제 표준으로 16비트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 부호 체제이다.
     2. 6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소문자를 구별할 수 없다.
     3. 미국 표준국에서 통신을 위해 최근에 개발된 7비트 문자 부호 체제이다.
     4. 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하며 BCD 코드에서 확장된 8비트 체제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1. 유니코드는 국제 표준으로 16비트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 부호 체제이다.
2번은 BCD 코드에 대한 설명이다
3번은 ASCII 코드에 대한 설명이다.
4번은 EBCDIC 코드(확장2진화 10진) 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4수만에 합격]

1. 유니코드는 국제 표준으로 16비트의 만국 공통의 국제 문자 부호 체제이다.
+전세계의 모든 문자를 2바이트로 표현할 수 있는 국제표준코드로 정보처리, 정보교환용으로 사용된다
데이터의 교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문자 1개에 부여되는 값을 16비트(2바이트)로 통일했다.
[해설작성자 : 컴활은 넘나 어렵네요]

2. BCD 코드 - 하나의 문자를 2개의 Zone 비트,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
2^6=64가지의 문자 표현 가능
대소문자 구별 불가

3. ASCII 코드 - 하나의 문자를 3개의 Zone 비트,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
2^7=128가지의 문자 표현 가능
데이터 통신용이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사용

4. EBCDIC 코드 - 하나의 문자를 4개의 Zone 비트, 4개의 Digit 비트로 표현
2^8=256가지의 문자 표현 가능
대형 컴퓨터에서 사용
[해설작성자 : 몽이야 힘을 줘]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3JxC7G-r1W8?t=00]

2. 다음 중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 원활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정된 OSI 7 Layer 통신 구조에서 하위 세 개 계층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물리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계층
     4. 데이터 링크 계층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OSI 7 계층은 물리 계층,데이터 링크 계층,네트워크 계층,전송계층,세션계층,표현 계층,응용 계층 순서입니다.
[해설작성자 : 리즈나인]

OSI 7계층과 관련된 네트워크 장비
-물리 계층: 리피터, 허브
-데이터링크 계층: 브리지, 스위치, 랜카드
-네트워크 계층: 라우터
[해설작성자 : Raina]

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 하드웨어를 추가하려는 경우 중 잘못된 것은?(2007년 05월)
     1.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은 반드시 ‘새 하드웨어 추가’에서만 작업해야 한다.
     2. 플러그 앤 플레이가 지원되지 않는 장치를 추가할 때에는 제어판의 ‘새 하드웨어 추가’를 더블클릭하고, ‘하드웨어 추가 마법사’의 지시를 따른다.
     3. 플러그 앤 플레이가 지원되는 하드웨어를 컴퓨터에 새로 장착하고 윈도우 XP를 실행하면, 새로 장착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새 하드웨어 검색 마법사’가 실행된다.
     4. 새 하드웨어 추가에서는 하드웨어를 검색하고 장치 제어기(드라이버)를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은 [시작]-[모든프로그램]-[보조프로그램]-[시스템도구]에서 필요한 도구를 선택하며,
"반드시", "만" 오답의 가능이 큼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4. 다음 중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감염 부위에 따라 부트 바이러스와 파일 바이러스로 구분한다.
     2. 사용자 몰래 스스로 복제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고, 정상적인 프로그램이나 다른 데이터 파일 등을 파괴한다.
     3. 주로 복제품을 사용하거나 통신 매체를 통하여 다운받은 프로그램에 의해 감염된다.
     4. 컴퓨터 하드웨어와 무관하게 소프트웨어에만 영향을 미친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바이러스 특징 :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의 성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공부하려고 작성]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GQdAEvFi0rA?t=307]

5. 다음 중 Windows 7의 [Windows 작업 관리자]에서 실행 가능한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6년 06월)
     1.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다.
     2.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둘 이상의 사용자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된 사용자 및 작업 상황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4. 컴퓨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메모리 및 CPU 리소스의 양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응용 프로그램 탭 :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 확인, 프로그램 종료, 전환, 새 프로그램 실행
프로세스 탭 :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확인, 프로세스 종료
성능 탭 : CPU와 메모리 사용 현황 확인
사용자 탭 : 현재 컴퓨터에 로그인 되어있는 사용자 확인, 로그오프, 메시지 보내기
[해설작성자 : 만덕사랑]

'Windows 작업 관리자' 대화상자에서 네트워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는 있지만 수정할 수는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낼 시험본다...]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3JxC7G-r1W8?t=399]

6. 다음 중 시스템 보안과 관련한 불법적인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피싱(Phishing)은 거짓 메일을 보내서 가짜 금융기관 등의 가짜 웹 사이트로 유인하여 정보를 빼내는 행위이다.
     2. 스푸핑(Spoofing)은 검증된 사람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행위이다.
     3.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DOS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컴퓨터에 네트워크를 통해 불법적으로 접속하는 행위이다.
     4. 키로거(Key Logger)는 키 입력 캐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D나 암호를 알아내는 행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분산 서비스(DDOS)공격은 많은 수의 pc를 원격 조종해 특정한 웹 사이트에 동시에 접속시킴으로써 과부하가 되게 하는 공격입니다.
[해설작성자 : 컴활 대박]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istributed DoS) 또는 디디오에스/디도스(DDoS)는 여러 대의 공격자를 분산적으로 배치해 동시에 서비스 거부 공격을 하는 방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추가 해설]
스니핑(Sniffing) : 사용자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훔쳐보는 것으로 네트워크의 패킷을 엿보면서 계정과 패스워드를 알아낸다.
[해설작성자 : 인생노잼]

[추가 해설]
1. 피싱(phishing): 거짓 메일을 발송하여 가짜 웹사이트로 유인한 후 정보를 빼내는 기법
2. 스푸핑(spoofing): 검증된 사람이 데이터를 보낸 것처럼 데이터를 변조하여 접속을 시도하는 침입형태
3. 분산서비스거부공격(DDOS): 여러 대의 장비를 이용하여 다량의 데이터를 한 곳의 서버에 집중적으로 전송함으로써, 특정 서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것
4. 키로거(key logger):키 입력 패치 프로그램을 통해 ID나 암호와 같은 개인정보를 빼내어 악용하는 기법
[해설작성자 : 정은이 화이팅]

7. 다음 중 시스템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방화벽(Firewa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IP주소 및 포트번호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인증을 기반으로 접속을 차단하여 네트워크의 출입로를 단일화 함으로써 보안 관리 범위를 좁히고 접근제어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2. ‘명백히 금지되지 않은 것은 허용한다’는 소극적 방어 개념이 아니라 ‘명백히 허용되지 않은 것은 금지한다’라는 적극적 방어 개념을 가지고 있다.
     3. 방화벽을 운영하면 네트워크의 부하가 감소되며, 네트워크 트래픽이 게이트웨이로 집중된다.
     4. 로그 정보를 통해 누가 외부에서 침입을 시도했는지 그 흔적을 찾아 역추적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네트워크 부하가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평민]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qlfueECg-A?t=75]

8. 인터넷상에서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면서 동시에 재생하는 기술 용어는?(2007년 10월)
     1. Messenger
     2. Streaming
     3. Chatting
     4. Networking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스트리밍이 지원하는 확장자는 ASF, WMV, WMA, RAM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9. 다음 중 무선 근거리 통신네트워크(WLA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현재 개발 및 상용중인 고속 무선 LAN은 2.4GHz대에서 운용된다.
     2. 고속 무선 LAN에서 사용되는 무선 전송방식에는 CDMA, TDMA, 적외선 방식이 있다.
     3.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직접 연결하는 기술이다.
     4. 무선 LAN은 인위적으로 전자기 신호를 유도하는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WLAN 또한 무선 LAN으로 LAN과 같이 회사 내부 또는 학교 내부용 네트워크 망으로 사용되며 외부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 학교의 대표 인터넷 경로(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를 통하여 접속하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0. 일반적으로 음악은 MIDI 형식과 WAVE 형식으로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7년 02월)
     1. WAVE 형식의 음악이 MP3 형식의 음악에 비해 음질이 월등히 좋다.
     2. 같은 음악을 저장할 경우 MIDI 형식이 WAVE 형식에 비해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3. WAVE 형식은 소리의 파장을 아날로그 형식으로 컴퓨터에 저장시키는 방법이다.
     4. MIDI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악기 소리의 개수는 최대 4개이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Wave : 아날로그 형태의 소리를 디지털로 변형한 데이터
                실제소리가 저장되어 재생이 쉽지만, 용량이 큼
midi : 16개 이상의 악기를 동시에 연주 가능
mp3    : 음반 cd수준의 음질을 유지, 1/12정도까지 압축가능
[해설작성자 : 상명대 국통]

11. 다음 중 오디오 파일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MP3 : 소리에 대한 사람의 청각 특성을 잘 살려 압축하는 기법으로 CD 수준의 음질을 들을 수 있는 고음질 오디오 압축 표준 형식이다.
     2. MIDI : 실시간으로 사운드를 보내기 위해 만들어진 압축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계속 받으면서 동시에 이미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를 재생한다.
     3. AIFF : 비압축 무손실 압축 포맷으로 Mac OS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오디오 파일 형식이다.
     4. WAVE : 마이크로소프트사와 IBM이 개발한 PC용 오디오 파일 형식으로 낮은 레벨의 모노에서부터 CD 수준의 스테레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준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해당 설명은 스트리밍기술을 말한다.
MIDI는 전자악기 간의 디지털신호에 의한 통신이나 컴퓨터와 전자악기 간의 통신규약을 말하는 오디오데이터이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연주정보만 저장되므로 크기가 작다. 시퀸싱작업을 통해 작성되며, 16개이상의 악기를 동시에 연주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호디]

(추가) 2. ASF/WMV: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통합 멀티미디어 형식으로, 용량이 작고 음질이 뛰어나 스트리밍을 위한 표준 기술 규격. 따라서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인터넷 방송국에서 사용됨
[해설작성자 : 설연휴 바로 다음날 신청해놓은 내가 바보]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입니다.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입니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저장하기에 용량이 작습니다.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의 특성을 기호로 정의하여 이의 내용을 정의합니다.

[스트리밍(Streaming)]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구현할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인터넷 웹상에서 음성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것으로 파일을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다운로드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제어판]-[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사용자 계정 메뉴를 이용하여 계정 변경과 새 계정 만들기가 가능하다.
     2. 사용자 계정은 크게 관리자 계정과 사용자 계정으로 구분한다.
     3. 변경할 사용자 계정을 실행하여 사용자를 전환할 수 있다.
     4. 사용자 로그온 및 로그오프 옵션을 이용하여 새로운 시작화면 사용과 빠른 사용자 전환 사용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관리자 계정과 제한된 계정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window 10기준
관리자계정과 표준사용자계정
[해설작성자 : 치치]

13. 다음 중 인터넷 사용과 관련하여 무선 액세스 포인트(WAP: Wireless Access Poi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6월)
     1. 무선 LAN을 구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2. WAP은 라우터 기능은 없으나 방화벽, 스위치 기능을 가지고 있다.
     3. WAP이 도달할 수 있는 거리는 안테나와 장애물의 영향을 받는다.
     4. 더 많은 사용자를 처리하기 위해 확장 포인트(extension points)가 추가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WAP에 라우터 기능이 포함되어 있음
[해설작성자 : 영]

14.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펌웨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9년 07월)
     1. 하드웨어의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으로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2. 컴퓨터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기, 전자적 장치이다.
     3. 주로 캐시 메모리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 또는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4. 컴퓨터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요즘 펌웨어는 플래시 롬에 저장되기 때문에 내용을 업그레이드 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15. 다음 중 파일 확장자를 종류별로 올바르게 모아놓은 것은?(2007년 05월)
     1. 실행 파일 : COM, EXE
     2. 그림 파일 : BMP, BAK, JPG, GIF
     3. 음악 파일 : HWP, WAV, MP3, MID
     4. 압축 파일 : ZIP, ARJ, AVI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BAK-백업파일
HWP-한글문서파일
AVI-동영상파일
[해설작성자 : 인천미래컴]

16. 다음 중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못한 것은?(2008년 10월)
     1. MPEG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동영상 압축에 관하여 연구하는 그룹의 이름이다.
     2. MPEG 종류는 MPEG-1, MPEG-2, MPEG-4, MPEG-7, MPEG-21 등이 있다.
     3. MPEG는 손실/무손실 압축 기법 중 무손실 압축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4. MPEG에서는 정지영상 압축 기술인 JPEG 기술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MPEG는 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MPEG는 동영상 압축기술의 국제표준규격 (오디오도 가능함)
프레임간 연관성을 고려해서 중복되는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손실압축기법)
[해설작성자 : 2일만에 컴활뿌수기]

17. 다음 중 동영상 압축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08년 05월)
     1. 주파수 영역처리 기법은 3차원 평면의 픽셀을 색깔별로 정하여 압축한 것이다.
     2. 동작 보상 기법은 움직이는 물체의 이동 위치만을 표시하여 벡터 정보로 기록해서 압축하는 방법이다.
     3. 델타 프레임 기법은 새로운 화면의 정보를 모두 기록하지 않고 앞 화면과 뒤 화면의 차이점을 기록해서 압축하는 방법이다.
     4. 서브 샘플링 기법은 주어진 정보의 일부분만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주파수 영역처리 기법은 2차원 평면의 픽셀을 색깔별로 정하여 압축한 것이다.

18. 다음 중 TCP/IP를 구성하는 각 계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응용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2. 전송 계층은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을 지원한다.
     3. 인터넷 계층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지정 및 경로 설정을 지원한다.
     4. 링크 계층은 사용자가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링크 계층이 아니라 응용 계층 설명이다.

응용 계층 : 사용자(응용 프로그램)가 OSI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함
전송 계층 : 종단 시스템(End - to - End) 간의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함. 전송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기능.
링크 계층 : 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정보의 교환 및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함. 송신 측과 수신 측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하며 링크의 확립, 유지, 단절의 수단을 제공함.
[해설작성자 : 0321]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 제공
전송 계층: 호스트들 간의 신뢰성 있는 통신 제공
인터넷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 경로 설정을 제공
링크 계층: 실제 데이터(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역할
[해설작성자 : 너무안외워져서 작성함]

응용 계층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전송 계층 : 호스트간의 신뢰성있는 통신을 제공
인터넷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 경로 설정을 제공
링크 계층 : 실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

순서는 물리-데이터링크-네트워크-전송-세션-표현-응용
[해설작성자 : 넌나만바라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1dQKzwkaFY?t=1561]

19. 다음 중 아래의 그림과 같은 종류의 폰트 파일을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폰트 파일을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보내기]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한다.
     2. 마우스 더블 클릭하여 나타나는 대화상자의 지시에 따른다.
     3. 폰트 파일을 선택하고 C:\WINDOWS\FONTS 폴더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설치한다.
     4.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클릭하여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제어판에 글꼴에다가 복사하셔도 됩니다. 또한 글꼴은 삭제도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0. 다음 중 Windows 7에서 [사용자 계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2015년 03월)
     1. Guest 계정은 암호가 없다.
     2. Guest 계정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설치할 수 없다.
     3. 관리자 계정은 다른 사용자 계정의 이름, 그림, 암호 및 계정 유형을 변경할 수 있다.
     4. 표준 사용자 계정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설치 및 보안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Guest 계정 : 암호 없음.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설치 불가능, 폴더 및 파일 액세스 불가능
관리자계정 : 제한 없이 컴퓨터 설정 변경 가능. 다른 사용자 계정의 액세스 권한을 가짐
표준 사용자 계정 :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설치 및 보안 설정, 파일 삭제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미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테마 설정, 계정에 대한 암호는 설정 가능
[해설작성자 : 이번주시험인데]

Guest 계정은 표준 사용자가 계정의 일종이지만 암호가 없는 형태입니다.
[해설작성자 : 우현]

[사용자 계정]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시에 사용자마다 설정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게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계정에는 관리자 계정, 표준 사용자 계정이 있습니다.
관리자 계정 : PC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모든 설정을 변경하고 PC에 저장된 모든 파일 및 프로그램(앱)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컴퓨터의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표준 사용자 계정 :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나 이 pc의 보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로 자신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나 설치된 앱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과목 :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배열 수식 및 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배열 수식에서 사용되는 상수의 숫자로는 정수, 실수, 지수 형식의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2. MDETERM 함수는 배열로 저장된 행렬에 대한 역행렬을 산출한다.
     3. PERCENTILE 함수는 범위에서 k번째 백분위수 값을 구하며, 이때 K는 0에서 1까지 백분위수 값 범위이다.
     4. FREQUENCY 함수는 값의 범위 내에서 해당 값의 발생 빈도를 계산하여 세로 배열 형태로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인수로 주어지는 배열의 역행렬을 구하는 함수는 MINVERSE입니다.
MDETERM은 배열의 행렬식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2. 다음 중 매크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 매크로를 기록한 후에는 Visual Basic Editor를 사용하여 오류를 고치거나 매크로 내용을 변경할 수 없다.
     2. 매크로 기록을 시작하면 사용자가 일련의 명령을 수행함에 따라 각 단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매크로를 실행하면 해당 명령들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3. 매크로를 사용하면 Microsoft Excel에서 자주 수행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으며, 매크로는 해당 작업이 필요할 때마다 실행할 수 있도록 일련의 명령과 함수를 Microsoft Visual Basic 모듈로 저장해 놓은 것이다.
     4. 매크로 이름의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이어야 하며 나머지는 문자, 숫자, 밑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백을 사용할 수 없고 밑줄로 단어를 구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Visual Basic Editor을 사용하여 오류를 고치거나 매크로 내용을 변경할수 있습니다. 엑셀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Visual Basic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3. 다음 중 자동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날짜가 입력된 열에서 요일로 필터링하려면 '날짜필터' 목록에서 필터링 기준으로 사용할 요일을 하나 이상 선택하거나 취소한다.
     2. 두 개 이상의 필드에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필드 간에는 AND 조건으로 결합되어 필터링된다.
     3. 열 머리글에 표시되는 드롭다운 화살표에는 해당 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데이터 형식에 해당하는 필터 목록이 표시된다.
     4. 검색 상자를 사용하여 텍스트와 숫자를 검색할 수 있으며, 배경 또는 텍스트에 색상 서식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 셀의 색상을 기준으로 필터링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요일은 필터링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붓싼아조씨]

① 날짜에 대해 [날짜 필터]이용시 <요일>로 필터는 불가능하며, <년/분기/월/주/일, 연간 누계> 등을 이용하여 필터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정익종 컴활]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27X5OL61NkE?t=374]

24. 다음 중 Excel 데이터를 웹페이지로 저장하거나 게시 될 때 유지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2009년 04월)
     1. 공유 통합 문서 정보
     2. 무늬 채우기
     3. 글자 크기
     4. 셀 메모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웹페이지로 저장할때 변하지 않는것은 글자 크기 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5. 다음 시트에서 [A2:C6] 영역을 선택한 후 응시인원수가 10 이상이고, 평균점수가 80 이상이면 글꼴 스타일 : ‘기울임꼴’, 무늬 : ‘노랑’으로 설정하는 [조건부 서식]을 지정하려고 한다. 다음 중 [조건부 서식]의 수식 입력란에 입력해야 할 수식으로 옳은 것은?(2008년 10월)

    

     1. =AND(B$2>=10,C$2>=80)
     2. =AND($B2>=10,$C2>=80)
     3. =AND($B$2>=10,$C$2>=80)
     4. =AND(B2>=10,C2>=8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전체 행에 서식이 적용이 되었기 때문에 조건에서 항상 열은 절대값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열이 절대값이 된것은 $B2, $C2 이므로 2번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6. 다음 중 표를 복사한 후 복사한 표의 크기에 변화 없이 그림 형태로 붙여넣기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붙여넣기 해야 되는가?(2009년 07월)
     1. 복사한 셀 삽입
     2. 연결하여 그림 붙여넣기
     3. 선택하여 붙여넣기
     4. 하이퍼링크로 붙여넣기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그림 형태로 붙여넣기 = 연결하여 그림 붙여넣기
Shift를 누르면서 편집을 누르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27. 다음 중 매크로 이름 정하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09년 02월)
     1. 매크로 이름의 첫 번째 글자는 숫자가 아닌 문자여야만 한다.
     2. 매크로 이름의 두 번째부터는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3. 매크로 이름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4. 매크로 이름에는 밑줄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매크로 이름 정할때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여야만 하고, 두 번째부터는 숫자, 문자, 밑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수문자, 공백은 매크로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와정이]

28. 다음 중 셀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셀 편집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편집하려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을 두 번 클릭한다.
     2. 편집하려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을 클릭하고 수식 입력줄을 클릭한다.
     3. 편집하려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셀 편집]을 클릭한다.
     4. 편집하려는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셀을 클릭하고 <F2>키를 누른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③ 셀 내용 편집 방법은 <F2>, 셀에서 더블 클릭, 수식 입력줄에서 클릭 방법이 있다.
[해설작성자 : 다음 카페 한방합격 정익종]

29. 다음 중 아래의 피벗 테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보고서 필터로 사용된 필드는 '구분'과 '차종'이다.
     2. 행 레이블로 사용된 필드는 '이름'과 '입사'이다.
     3. 이지원은 '총무부'이며 통근거리는 '25'이다.
     4. 값 영역에 사용된 필드는 '부서'이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값 영역에 사용된 필드는 '통근거리'이다.
[해설작성자 : 화이팅]

[추가 해설]
- 각각 피벗테이블 목록에 위치한 필드들이 다음과 같습니다.

보고서 필터 : 구분, 차종
행 레이블 : 이름, 입사
열 레이블 : 부서
∑값 (값 영역) : 통근거리 (함수는 합계로 지정한 상태입니다.)

김연희는 부서가 영업부 이고 통근거리는 16 입니다.
박은지는 부서가 영업부 이고 통근거리는 24 입니다.
배철수는 부서가 총무부 이고 통근거리는 24 입니다.
이지원은 부서가 총무부 이고 통근거리는 25 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skL7EdNXcik?t=1473]

30. 다음 중 수식 작성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셀 범위를 참조할 때에는 시작 셀 이름과 마지막 셀 이름 사이에 콜론(:)이 입력된다.
     2. 다른 워크시트의 값을 참조하는 경우 해당 워크시트의 이름에 사이 띄우기가 포함되어 있으면 워크시트의 이름은 큰 따옴표(“”)로 묶인다.
     3. 수식에 숫자를 입력할 때 화폐단위나 천 단위 구분 기호와 같은 서식 문자는 입력하지 않는다.
     4. 외부 참조를 하는 경우 통합 문서의 이름과 경로가 포함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② 시트명이 숫자로 시작하거나(중간에 숫자가 있으면 상관없음) 중간에 공백이 있는 경우는 작은 따옴표(' ')로 묶는다.
[해설작성자 : 은서내]

다른 파일 및 시트 참조시 형식 : ='[파일이름]워크시트이름!셀주소'
[해설작성자 : 신한국컴퓨터학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4y6eOTSL9vA?t=449]

31. 다음 중 매크로 편집에 사용되는 Visual Basic Edit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Visual Basic Editor는 단축키 <Alt>+<F11>키를 누르면 실행된다.
     2. 작성된 매크로는 한 번에 실행되며, 한 단계씩 실행될 수는 없다.
     3. Visual Basic Editor는 프로젝트 탐색기, 속성 창, 모듈 시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실행하고자 하는 매크로 구문 내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F5>키를 누르면 매크로가 바로 실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작성된 매크로는 한 번에 실행되며, 한 단계씩 실행될 수는 없다.(x)
->한단계 실행시 <F8>
    커서위치까지 매크로 실행시 <Ctrl>+ <F8>
    매크로 바로실행 <F5>
[해설작성자 : 다음주 시험임ㅋㅋㅋ]

매크로편집 : Alt + F11
[해설작성자 : 커말시러]

Alt + F8    -> 매크로
Alt + F11 -> Visual Basic Editor
F11 -> 새 시트에 차트 생성
Alt + F1 -> 기존시트에 차트 생성
[해설작성자 : 헷갈려 진쫘루...]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urZ7viJrcQQ?t=1]

32. 다음 중 [데이터]-[레코드 관리] 메뉴를 이용한 레코드의 검색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레코드의 찾기 조건에는 와일드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 찾기 조건은 문자 단위로 지정하더라도 검색 결과는 레코드 단위로 표시된다.
     3. 찾기 조건을 지정하지 않고 검색을 실행하면 현재 이하(이전)의 전체 레코드가 검색된다.
     4. 조건에 맞는 레코드를 표시하는 동안 [다음 찾기]를 계속 누르면, 레코드 찾기가 반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마지막 까지 찾기를 마치면 더 이상 찾지를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3. 다음 중 아래 시트에서 각 수식을 실행했을 때의 결과 값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EOMONTH(A1,-3) → 2016-12-05
     2. DAYS360(A1,A3) → 35
     3. NETWORKDAYS(A1,A2) → 11
     4. WORKDAY(A1,10) → 2017-03-17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EOMONTH(날짜,월수) - 지정한 날짜 기준으로 몇개월 이전(음수), 몇개월 이후(양수)달의 마지막 날짜 구함. 즉, 2016-12-31
[해설작성자 : 날짜함수]

3. networkdays - 공휴일과 주말을 제외한 순수 작업 일수

4. WORKDAY(A1, n)- A1로부터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n일이 지난 날짜

2.DAYS360 - 1년을 360일로 하여 두 날짜 사이의 일 수 계산
[해설작성자 : minseung]

1번의 보기처럼 될려면 EDATE(날짜,월수)를 사용
[해설작성자 : 내일모래시험]

1. EOMONTH= End Of Month의 줄임말입니다. 그러니 달의 마지막 날짜가 나와야겠지요~
[해설작성자 : Miss K]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urZ7viJrcQQ?t=624]

34. 다음은 엑셀의 차트 기능을 설명한 것이다. ⓐ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12년 09월)

    

     1. [F11] → 새로운 차트 시트 → 묶은 세로 막대형
     2. [F11] → 현재 통합문서에 있는 워크시트 → 묶은 가로 막대형
     3. [F8] → 새로운 차트 시트 → 묶은 가로 막대형
     4. [F8] → 현재 통합문서에 있는 워크시트 → 묶은 가로 막대형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F11] > 새로운 차트 시트가 생성 됩니다.
[Alt] + [F1] > 현재 시트에 차트가 생성 됩니다.
[해설작성자 : 지성과미모]

F11 : 새로운 차트 시트 생성 단축키 입니다.
Alt + F1 : 현재 시트에 차트 생성 단축키 입니다.
F8 : 선택 영역 확장 단축키 입니다.
※f8을 누르고 영역(셀범위)을    확장하고
다시 f8을 누르면 영역확장이 끝납니다.
f8하고는 차트 생성하고는 관계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수아아빠]

35. 다음 중 엑셀에서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로 가져올 수 없는 형식의 파일은?(2007년 07월)
     1. 쿼리 파일(.dav)
     2. 텍스트 파일(.txt)
     3. 데이터베이스 파일(.mdb)
     4. 아래아 한글 파일(.hwp)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한글 파일은 가져 올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6. 다음의 공유 통합 문서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도구]-[통합 문서 공유]-[편집] 탭을 선택하여 수행한다.
     2.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변경할 수 있으며 ‘통합 문서 병합도 가능’ 확인란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3. 공유 통합 문서를 네트워크 위치에 복사해도 다른 통합 문서나 문서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되며, [편집] 메뉴에서 연결 명령으로 연결 대상을 고칠 수 있다.
     4. Microsoft Excel 97 이후 버전에서 만든 공유 통합 문서를 Microsoft Excel 95 이전 버전에서 바꿀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최신 버전에서는 구 버전을 다 사용할수 있지만 구 버전에서는 최신버전을 사용할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37. 다음 중 아래 그림과 같이 [A1:C19] 영역을 복사하여 부분합의 요약된 결과만 [A23:C27] 영역에 붙여넣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5년 03월)

    

     1. [A1:C19] 영역 선택 → [홈]-[편집]-[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에서 '화면에 보이는 셀만'을 선택한 후 [확인] 클릭 → 복사 → 붙여넣기
     2. [A1:C19] 영역 선택 → [홈]-[편집]-[찾기 및 선택]-[이동 옵션]에서 '현재 셀이 있는 영역'을 선택한 후 [확인] 클릭 → 복사 → 붙여넣기
     3. [A1:C19] 영역 선택 → 복사 → 선택하여 붙여넣기 → '내용이 있는 셀만 붙여넣기'를 선택한 후 [확인] 클릭
     4. [A1:C19] 영역 선택 → 복사 → 선택하여 붙여넣기 →‘값’을 선택한 후 [확인] 클릭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열을 보면 1,9,14,18,19 로 진행되는 걸 볼수있다.
화면에 보이는 셀만 붙여야한다.
[해설작성자 : 취업성공하자]

2 - '현재 셀이 있는 영역'은 붙여넣기 했을 때 숨겨져 있던 표들도 다 나온다
3 - '내용이 있는 셀만 붙여넣기' 표에 공백이 있다고 가정하면 공백은 제외, 값이 있는(즉 내용이 있는) 부분만 붙여넣어진다
4 - '값'을 선택한 후 [확인] 엑셀은 기본적으로 수식이 복사가 되는데 이 것은 수식을 복사하지 않고 수식의 결과값만 복사
[해설작성자 : 내가 이해하려고 썼다]

38. 다음 중 차트의 페이지 설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 4번을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2006년 09월)
     1. 차트를 선택한 상태에서 페이지 설정을 선택하면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 시트 탭 대시 차트 탭이 나타나다.
     2. 전체 페이지 사용을 선택하면 여백을 포함한 페이지 크기에 맞게 차트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다. 차트 너비와 높이는 비례적으로 확대된다.
     3. 사용자 정의를 선택하면 지정한 크기에 맞게 화면에서 차트 시트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4. 시험 출력을 선택하면 그림과 셀 눈금 선을 인쇄하지 않도록 하여 인쇄 시간을 단축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 4번을 정답 처리한 문제 입니다. 여기서는 2번을 정답 처리 합니다.

39. 다음 중 입력자료에 지정된 표시 형식에 따른 결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컴활컴활컴활
2.10,000
3.50.0%
4.Mar-01
[해설작성자 : 직접 입력해 보고 결과를 확인했어요.]

@: 문자 데이터의 표시 위치 지정
#: 유효한 자릿수만 표시하고, 유효하지 않은(불필요한) 0은 표시하지 않음
0: 유효하지 않은 자릿수는 0으로 표시함
[해설작성자 : 가띠]

40. 다음 중 엑셀 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Workbooks(“BOOK1”).Activate : 열려있는 통합 문서 BOOK1.XLS를 활성화 한다.
     2. Workbooks.Open “LARGE.XLS” : 통합 문서 LARGE.XLS 파일을 연다.
     3. Workbooks(“Sheet1”).Activate : Sheet1을 활성화한다.
     4. Workbooks(1).Visible = False : 현재 통합 문서에서 워크시트1을 삭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Visible : 워크시트의 표시 여부를 지정합니다.
- Workbooks(1).Visible = False : False 이기 때문에 워크시트1을 표시하지 말라는 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1. 다음 중 Access를 이용한 폼 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2010년 10월)
     1. 폼 마법사를 이용하여 작성된 폼도 디자인 보기에서 수정이 가능하다.
     2. 폼은 테이블의 데이터를 보기 편한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활용된다.
     3. 폼 마법사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필드를 사용하여 폼을 생성할 수 있다.
     4. 마법사를 사용하지 않고 디자인보기를 이용해서 폼을 만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폼은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체이다.
출력은 보고서를 이용합니다.

42. 다음 중 탭 순서(Tab Ord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탭]키나 [엔터] 키 등을 누를 때 컨트롤에 포커스가 옮겨가는 순서를 지정하는 것이다.
     2. 탭 이동시에 '탭 정지' 속성을 '예'로 설정한 컨트롤에만 포커스가 옮겨간다.
     3. 선이나 레이블, 명령 단추와 같은 컨트롤에는 탭 순서를 지정할 수 없다.
     4. 개별 컨트롤의 '탭 인덱스' 속성 값을 변경하여 탭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선이나 레이블은 탭 순서를 정할수 없으나 명령 단추는 탭순서를 지정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43. <수강> 테이블의 "학점" 필드에 1, 2, 3 만을 값으로 입력하도록 하기 위한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옳은 것은?(2011년 10월)
     1. < >0 Or < 4
     2. in(1, 2, 3)
     3. Like < > 0 And < 4
     4. Between < > 0 And < 4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아래 3가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or 2 or 3
in(1, 2, 3)
Between 1 And 3
[해설작성자 : 다음카페 한방합격]

1,3,4번 보기는 1.2, 2.5 등 소수점도 가능합니다.
1~3 사이의 값이 아닌 정수만 이용하기 위해서는 범위를 정확히 정해줘야합니다
[해설작성자 : 평균60넘어도 자꾸 과락뜸 ㅜ]

44. 다음 중 [관계 편집] 대화 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관계를 구성하는 어느 한쪽의 테이블 또는 필드 및 쿼리를 변경할 수 있다.
     2. 조인 유형을 내부 조인, 왼쪽 우선 외부 조인, 오른쪽 우선 외부 조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3. '항상 참조 무결성 유지'를 선택한 경우 '관련 필드 모두 업데이트'와 '관련 레코드 모두 삭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4. 관계의 종류를 일대다, 다대다, 일대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관계 편집] 대화상자에서는 관계의 종류는 나오지만 종류를 선택하진 못한다.
열려 있는 테이블에는 관계를 설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인데 이제야 공부함;;]

4. 관계의 종류는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구성하는 테이블 간의 기본키와 외래키 설정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됨.
[해설작성자 : 곧 셤]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vhZqRcRzy1M?t=687]

45. 다음 중 데이터 보안 및 회복, 무결성,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이터베이스 언어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데이터 관리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2016년 06월)
     1. 데이터 제어어(DCL)
     2. 데이터 부속어(DSL)
     3. 데이터 정의어(DDL)
     4. 데이터 조작어(DML)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정의어 : 데이터베이스 생성, 수정하는데 사용하는 언어
- 조작어 : 데이터 실질적으로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데이터 처리는 데이터의 검색, 삽입, 삭제, 변경 등을 말함
- 제어어 : 데이터의 보안, 무결성, 데이터 회복,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데이터 관리 목적으로 사용
[해설작성자 : HYJW]

데이터 제어어: 데이터 보안, 무결성, 회복, 병행 수행 제어 등을 정의할 때 사용됨. 데이터관리를 목적으로 사용한다.
데이터 정의어: 데이터베이스 생성/수정시 사용되는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나 설계자가 사용함.
데이터 조작어: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처리할 때 사용됨. 검색, 삽입, 삭제, 변경을 통해 데이터 처리.
[해설작성자 : 4수만에 합격]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jIaLm74Ufio?t=500]

46. 다음 중 하나의 테이블로만 구성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쿼리 마법사를 이용하여 만들 수 없는 쿼리는?(2017년 09월)
     1. 단순 쿼리
     2. 중복 데이터 검색 쿼리
     3. 크로스탭 쿼리
     4. 불일치 검색 쿼리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 불일치 검색 쿼리
: 2개의 테이블이나 쿼리를 비교하여 불일치하는 레코드를 추출함
[해설작성자 : 앙앙이]

3. 크로스탭 쿼리 (주로 나오기때문에 설명을 덧붙임)
크로스탭 쿼리는 행, 열, 값이 필수로 입력되어야하며
열 머리글은 1개만 입력해야하고
행 머리글은 여러개 가능하다(최대 3개)
[해설작성자 : 1급바로통과]

4.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서로 비교해서 불일치 값을 도출하므로 비교 대상이 없는 1개의 테이블로 구성된 경우, 불일치 검색 쿼리를 만들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VZ4pyfiuXs?t=1]

47. [제품] 테이블의 '제품명' 필드는 기본 키(PK)가 아니면서도 동일한 값이 두 번 이상 입력되지 않도록 설정하고자 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2010년 06월)
     1. 해당 필드에 '중복불가능' 색인(index)을 설정한다.
     2. 해당 필드에 '입력 마스크' 속성을 설정한다.
     3. 해당 필드에 '유효성 검사 규칙'을 지정한다.
     4. 해당 필드에 '빈 문자열 허용'을 '아니오'로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말그대로 '중복불가능'색인(index)을 설정하면 동일한 값이 두 번 이상 입력되지 않도록 설정됩니다.
[해설작성자 : )]

48. 다음 중 보고서 마법사로 보고서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정할 수 있는 요약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텍스트 속성인 필드만으로 구성된 테이블에는 요약 옵션을 사용 할 수 없다.
     2. 요약 옵션은 정렬 순서 지정 단계에서 지정하는 것으로 그룹 수준과는 무관하다.
     3. 요약 옵션으로 지정된 필드의 합계, 평균, 최대값, 최소값을 구할 수 있다.
     4. 테이블 간의 관계를 미리 지정해 둔 경우 둘 이상의 테이블에 있는 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그룹수준을 지정해야만 요약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1급 아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WVZ4pyfiuXs?t=422]

49. 다음 중 레이블 보고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레이블은 표준 레이블 또는 사용자 지정 레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2. 여러 개의 열로 이루어지고, 그룹 머리글과 그룹 바닥글, 세부 구역이 각 열마다 나타난다.
     3. 레이블 형식에서 낱장 용지와 연속 용지를 선택할 수 있다.
     4. 레이블에서 이름 필드의 값에 ‘귀하’를 붙여 출력하려면 ‘{이름}귀하’로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2.크로스탭 보고서에 관한 설명.
*크로스탭 보고서 : 보고서를 가로, 세로 방향으로 모두 그룹화하고, 그룹화한 데이터에 대해 합, 개수, 평균 등의 계산을 수행한것.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하고 싶다]

레이블보고서:우편 발송용 레이블을 만드는 기능
                     레이블 크기,레이블 형식,텍스트모양,사용가능한필드,정렬기준,보고서 이름등을 지정함
크로스탭보고서:보고서를가로,세로방향으로 모두 그룹화하고,그룹화한 데이터에 대한 합,개수,평균 등의 계산을 수행한 것
                        여러개의 열로 이루어지고,그룹 머리글과 그룹바닥글,세부 구역이 각 열마다 나타나는 형태임
[해설작성자 : 이번엔 합격하자!]

2. 메뉴-만들기-레이블만들기로 들어가면 우편물 레이블 마법사가 열림
우편물 레이블은 받는 사람의 주소와 이름 정도의 간단한 업무작성을 하기 위함이므로 정렬은 줄 수 있지만
그룹이라는 개념이 없음. 그룹 머리/바닥글 및 그룹화는 일반적인 보고서에 있는 것임
[해설작성자 : 내일필기한방에!]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5SnwjHlh_rM?t=673]

50. 다음 중 텍스트 상자(text box) 컨트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어떤 값을 입력받거나 표시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 컨트롤이다.
     2. 컨트롤 원본에 '='로 시작하는 수식을 지정하여 계산 컨트롤을 만들 수 있다
     3. 계산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면 관련 필드의 값이 변경된다.
     4. 테이블의 필드에 바운드된 경우, 컨트롤의 값을 수정하면 필드의 값도 수정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계산 컨트롤에 값을 입력하면 그 값이 입력이 됩니다. 관련 필드의 값이 변경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1. 테이블의 필드에 데이터형식을 지정하려고 한다. 주민등록번호 필드의 데이터형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주민등록번호는 ‘-’을 포함하여 저장하려고 한다. (주민등록번호 예 : 123456-1234567)(2007년 07월)
     1. 텍스트
     2. 메모
     3. 숫자
     4. 통화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주민등록번호는 - 가 있기 때문에 텍스트로 저장을 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2.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8년 05월)
     1. 데이터 유실시 파일 회복이 쉽다.
     2. 데이터를 여러 사람이나 응용프로그램이 공유할 수 있다.
     3.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할 수 있다.
     4. 데이터의 일관성 및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데이터베이스의 단점이 백업과 복구가 어렵기 때문에 데이터 유실시 파일 회복이 어렵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3. 다음 중 포커스가 임의의 레코드로 이동되어 그 레코드가 현재 레코드가 되거나 폼이 새로 고쳐지거나 다시 질의될 때 발생하는 이벤트로 옳은 것은?(2008년 05월)
     1. Focus
     2. Event
     3. Current
     4. Click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Current 가 현재라는 뜻이므로 현재 레코드가 되거나 라는 말을 잘 기억하세요.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4. 다음 중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하여 테이블에 데이터를 가져 올 때 적절하지 않은 파일 형식은?(2015년 10월)
     1. 텍스트 파일
     2. Excel 파일
     3. Word 파일
     4. XML 파일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외부데이터로 가져올수 있는 파일형식: Access의 데이터베이스파일, dBASE, Paradox, Lotus 1-2-3파일, Excel파일, 텍스트파일, XML, HTML파일 등
가져올수 없는 형식: Word, 한글파일
[해설작성자 : 동의대 09학번 BJY]

55. [도서] 테이블은 도서번호, 도서명, 출판사코드, 대여료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의 필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단, '도서명'은 항상 입력되지만 '도서번호'는 입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출판사코드'는 [출판사] 테이블의 '출판사' 필드의 외래키임)(2010년 06월)
     1. '도서번호' 필드의 데이터 형식을 문자형으로 하고 기본 키(PK)로 설정하였다.
     2. '도서명' 필드는 반드시 값을 입력하도록 '필수'로 지정하였다.
     3. '출판사코드' 필드는 [출판사] 테이블의 '출판사' 필드와 데이터 형식을 일치시켰다.
     4. '대여료' 필드는 숫자나 통화 형식으로 지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문제에서“도서번호는 입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라고 하였으므로 ① '도서번호' 필드는 기본키(PK)로 설정할 수 없다. 기본 키(PK)는 필수 항목으로 반드시 입력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한방합격 도우미 정익종]

56. 다음 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4월)
     1. 테이블에는 동일한 필드명이 두 개 이상 존재할 수 없다.
     2. 속성들 간의 순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도메인을 벗어나는 값을 가진 튜플(레코드)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
     4. 레코드들 간의 순서는 의미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속성들 간의 순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대성]

57. [관계 편집] 대화상자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설정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2월)

    

     1. [과목] 테이블에 존재하는 ‘과목코드’ 값을 갖는 [성적]테이블을 삭제해도 참조무결성을 해치지 않는다.
     2. [과목] 테이블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것은 참조 무결성을 해치지 않는다.
     3. [과목] 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성적] 테이블의 레코드는 삭제할 수 있다.
     4. [과목] 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 값을 변경하면 이를 참조하는 [성적]테이블의 ‘과목코드’ 필드 값도 모두 변경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성적]테이블에서 참조하고 있는 [과목] 테이블의 레코드는 삭제할수 없습니다. 관련 레코드 모두 삭제에 체크가 안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58. 다음 중 Access의 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쿼리는 폼이나 보고서의 원본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2. 폼은 테이블이나 쿼리 데이터의 입출력 화면을 작성한다.
     3. 매크로는 모듈에 비해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다.
     4. 테이블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 개체로, 레코드 및 필드로 구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Access에서 매크로란 테이블,쿼리,폼,보고서 등 엑세스 각 개체들을 효율적으로 자동화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기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매크로:반복적인 작업 수행 시 간단하게 처리하기 위한 기능)
[해설작성자 : 해설자]

액세스 4가지 개체 : 테이블, 쿼리, 폼, 보고서
테이블 : 자료 저장소    /    쿼리 : 테이블을 기반으로 가공한 것
폼 : (쿼리와 테이블의 자료를 기반으로) 화면출력    
보고서 : (폼이나 테이블의 자료를 기반으로)인쇄설계

2.-> 폼은 입출력 모두 가능하지만, 보고서는 출력만 가능하다.
3.-> 모듈 : 비주얼베이직 코드    //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하는 것이 아닌 툴을 이용해서 제작한다.
단순한 작업은 매크로라는 툴을 이용해서 쉽게 작성 가능    / 복잡한 작업은 모듈(=비주얼베이직)을 사용해서 작성한다.
4.-> 레코드 : 행 / 필드 : 열
[해설작성자 : 이틀남음 ]

[동영상 해설 보기 : https://youtu.be/Iu6ALCIp4MY?t=3110]

59. 아래 그림의 반 필드와 같이 데이터 입력 시 목록 상자에서 원하는 값을 선택하려고 할 때 설정해야 하는 필드 속성은?(2012년 06월)

    

     1. 입력 마스크
     2. 캡션
     3. 유효성 검사 규칙
     4. 조회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엑셀에서는 '데이터유효성검사'를 하면 위와같이 표시되지만 엑세스에서는 테이블 디자인보기의 필드의 데이터형식을 반드시 텍스트로 설정한후 '조회'에 들어가서 컨트롤을 목록상자로, 행원본유형을 값목록이라고 설정후 , 행원본에 A,B,C라고 타이핑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대구 네트컴퓨터학원]

60. 다음 중 액세스에서 색인(index)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는 것은?(2008년 08월)
     1. 인덱스 이름을 공통적으로 부여하면 여러 개의 필드를 하나의 인덱스로 구성할 수 있다.
     2. 메모, 하이퍼링크, OLE개체 데이터 형식 필드는 인덱스를 설정할 수 없다.
     3. 색인을 설정하면 테이블이 변경될 때 인덱스도 함께 변경되므로 자료의 갱신 속도가 빨라진다.
     4. 중복불가능(unique) 색인을 설정하면 중복된 자료의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인덱스를 하면 검색, 정렬 속도는 빨라지지만 갱신 속도는 느려집니다.
[해설작성자 : 한림중앙컴퓨터학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977760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컴퓨터활용능력, 컴활1급필기, 컴활1급,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33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44463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977760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1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30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9 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8 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453532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7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6 잠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5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4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3 경비지도사 2차(경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1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2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4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1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03110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20 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9 9급 국가직 공무원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8 9급 국가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7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1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6 컴퓨터그래픽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0월11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5 9급 지방직 공무원 간호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414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10월05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76 Next
/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