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Nm3의 메탄가스를 공기를 사용하여 연소시킬 때 이론 연소온도는 약 몇 ℃ 인가? (단, 대기 온도는 15℃이고, 메탄가스의 고발열량은 39767 kJ/Nm3 이고, 물의 증발잠열은 2017.7 kJ/Nm3 이고, 연소가스의 평균정압비열은 1.423 kJ/Nm3℃ 이다.)
<문제 해설> 2법칙 = 열은 고온도의 물질로부터 저온도의 물질로 옮겨질 수 있지만, 그 자체는 저온도의 물질로부터 고온도의 물질로 옮겨갈 수 없다 또 일이 열로 바뀌는것은 쉽지만 반대로 열이 일로 바뀌는것은 힘을 빌리지않는 한 불가능한 ㅇ리이다 이와같이 열역학 제2법칙은 에너지변환의 방향성을 명시한 것으로 방향성의 법칙이라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32.
1.5 MPa, 250℃의 공기 5kg이 폴리트로픽 지수 1.3인 폴리트로픽 변화를 통해 팽창비가 5가 될 때까지 팽창하였다. 이 때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약 몇 kJ 인가? (단, 공기의 정적비열은 0.72 kJ/(kg·K) 이다.)
화학적 가스 분석계의 고체 흡수제에는 아래와 같다. KOH 30% 수용액(CO2) 차아황산소다, 황인, 알칼리성 피로갈롤(O2) 암모니아성 염화제1동 용액(CO) [해설작성자 : 파모부]
화학은 물질의 성질, 조성, 구조, 변화 및 그에 수반하는 에너지의 변화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해설작성자 : 격한과도]
49.
다음 중 차압식 유량계가 아닌 것은?
1.
플로우 노즐
2.
로터미터
3.
오리피스미터
4.
벤투리미터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부자형 면적 유량계 로터미터라는 면적 유량계 [해설작성자 : SONG SUNGBUM]
50.
용적식 유량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유체의 맥동에 의한 영향이 적다.
2.
점도가 높은 유량의 측정은 곤란하다.
3.
고형물의 혼입을 막기 위해 입구 측에 여과기가 필요하다.
4.
종류에는 오벌식, 루트식, 로터리피스톤식 등이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용적식 유량계의 일반적인 특징 1. 정도가 높아 상거래용(적산용)으로 사용 2. 유체의 물성치(온도,압력 등)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않는다 3. 외부 에너지의 공급이 없어도 측정할 수 있다 4. 고점도의 유체나 점도변화가 있는 유체에 적합 5. 맥동의 영향을 적게받고 압력손실도 적다 6.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입구에 여과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높은 정밀도(액체의 경우 ±0.1% 수준)로 계측 가능 [해설작성자 : 격한과도]
51.
전자유량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유속검출에 지연시간이 없다.
2.
유체의 밀도와 점성의 영향을 받는다.
3.
유로에 장애물이 없고 압력손실, 이물질 부착의 염려가 없다.
4.
다른 물질이 섞여있거나 기포가 있는 액체도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전자유량계의 특징 1. 측정원리는 패러데이법칙(전자유도법칙)으로 도전성 액체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순간유량 측정 2. 측정관내에 장애물이 없으명 압력손실이 거의없다 3. 액체의 "온도 압력 밀도 점도의 영향이 적으며" 체적유량의 측정이 가능 4. 유량계의 출력이 유량에 비례하며 응답이 매우 빠르다 5. 관내에 적절한 라이닝 재질을 선정하면 슬러리나 부식성의 액체의 측정이 용이하다 6. 고가 [해설작성자 : 박진호]
액체의 압력, 온도, 점도, 도전율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격한과도]
52.
다음 중 파스칼의 원리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밀폐 용기 내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은 모든 부분에 동일하게 전달된다.
2.
밀폐 용기 내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은 가한 점에만 전달된다.
3.
밀폐 용기 내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은 가한 반대편으로만 전달된다.
4.
밀폐 용기 내의 액체에 압력을 가하면 압력은 가한 점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차등적으로 전달된다.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파스칼의 원리 = 밀폐된 용기속에 있는 정지유체에 가한 압력은 유체 중의 모든 방향에 같은 크기로 전달된다 F1/A1 = F2/A2 [해설작성자 : 박진호]
53.
다음 중 자동제어에서 미분동작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조절계의 출력 변화가 편차에 비례하는 동작
2.
조절계의 출력 변화의 크기와 지속시간에 비례하는 동작
3.
조절계의 출력 변화가 편차의 변화속도에 비례하는 동작
4.
조작량이 어떤 동작 신호의 값을 경계로 하여 완전히 전개 또는 전폐되는 동작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미분(D)동작 = 조작량이 동작신호의 미분치에 비례하는 동작으로 비례동작과 함께 쓰이며 일반적으로 진동이 제어되어 빨리 안정된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미분 동작은 편차의 변화 속도를 고려하여 조작량을 결정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미편변비]
단자의 +, -를 보상도선의 -, +와 일치하도록 연결하여 감온부의 열팽창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4.
보호관의 선택에 주의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열전대 온도계 취급시 주의사항 1. "단자와 보상도선의 + - 가 바뀌지않도록 연결" 2. 충격을 피하고 습기 먼지 직사광선 등에 노출적게 3. 온도계 사용 한계를 넘지않기 4. 측정전에 지시계로 도선접촉선에 영점보정할것 5. 표준계기와 정기적으로 비교검정하여 지시차를 굦어할것 6. 측정할 장소에 열전대를 바르게설치 7. 열전대를 삽입하는 구멍으로 찬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8. 열전대를 배선할때에는 접속에 의한 절연불량을 고려하기 [해설작성자 : 박진호]
오르자트 화학적 분석계의 가스분석 순서 CO2, O2, CO 순이다. [해설작성자 : 측정거리]
59.
색온도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방사율의 영향이 크다.
2.
광흡수에 영향이 적다.
3.
응답이 빠르다.
4.
구조가 복잡하여 주위로부터 빛 반사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색온도계 1. 고온물체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밝고어두움을 이용한 비접촉식 온도계 2. 휴대 및 취급간편, 측정이 힘들다 3. 구조가 복잡, 주위로부터 빛반사의 영향을 받는다 4. 연기나 먼지 등의 영향을 받지않는다 5. 응답이 빠르며 연속지시가 가능하다 6. 광흡수, 방사율의 영향이 적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방사율의 영향이 적어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색온방사]
60.
국제단위계(SI)를 분류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단위
2.
유도단위
3.
보조단위
4.
응용단위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기본단위 = 길이m 질량kg 시간s 전류A 온도K 물질량mol 광도cd 유도단위 = 기본단위의 조합 또는 기본단위 및 다른유도단위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위 특수단위 = 특수한 계량의 용도에 쓰이는 단위 *보조단위 = 국제단위계의 보조단위는 라디안rad 스테라디안sr의 2개로 기하학적인 양이고 무차원 [해설작성자 : 박진호]
유도 단위: 면적: 제곱 미터(m2) 체적: 세제곱 미터(m3) 속도: 미터 매 초(m/s) 가속도: 미터 매 초 제곱(m/s2) 힘: 뉴턴(N) (1kg*m/s2) 압력: 파스칼(Pa) (1 N/m2) 에너지: 줄(J) (1 N*m) 전기저항: 옴(Ω) (1 V/A) 주파수: 헤르츠(Hz) (1/s) 전력: 와트(W) (1 J/s) 전하량: 쿨롱(C) (1 A*s) 전압: 볼트(V) (1 W/A) 자기유도: 테슬라(T) (1 N*m/A2/s2) 자기유동량: 웨버(Wb) (1 V*s) 자기장 세기: 암페어 매 미터(A/m) 피복량: 시버트(Sv) (1 J/kg) 방사성 활동량: 베크렐(Bq) (1/s) [해설작성자 : 기유보]
4과목 :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61.
에너지법에 따른 지역에너지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해당 지역에 대한 에너지 수급의 추이와 전망에 관한 사항
2.
해당 지역에 대한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3.
해당 지역에 대한 에너지 효율적 사용을 위한 기술개발에 관한 사항
4.
해당 지역에 대한 미활용 에너지원의 개발·사용을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3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지역에너지계획 포함사항 1. 해당지역에 대한 에너지수급의 추이와 전망에 관한 사항 2. 해당지역에 대한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3. 해당지역에 대한 미활용 에너지원의 개발 사용을 위한 대책에 관한 사항 4. 신재생에너지 등 환경친화적 에너지 사용을 위한 ㅐ책에 관한 사항 5. 에너지사용의 합리화와이를통한 온실가스의 배출감소를 위한 대책에관한사항 6. 집단에너지사업법에 따라 집단에너지공급대상지역으로지정된 지역의경우 그지역의 집단에너지공급을 위한 대책에관한사항 7. 그밖에 에너지시책 및 관련사업을 위하여 시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사항 [해설작성자 : 박진호]
62.
노통연관보일러에서 파형노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도가 크다.
2.
제작비가 비싸다.
3.
스케일의 생성이 쉽다.
4.
열의 신축에 의한 탄력성이 나쁘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파형노통의 특징 ↑탄력 강도 면적 저항 비용 ↓ 열에 의한 "신축탄력성이 크다" 외압에 대하여 강도가 크다 평형노통보다 전열면적이 크다 내부청소 및 검사가 어렵다 평형노통에 비해 통풍저항이 크다 스케일이 부착하기 쉽다 제작이 어려우며 가격이 비싸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
파형 노통이 아닌 평형 노통의 경우 열의 신축에 의한 탄력성이 나쁘다. [해설작성자 : 화실]
63.
제강 평로에서 채용되고 있는 배열회수방법으로서 배기가스의 현열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1.
축열실
2.
환열기
3.
폐열 보일러
4.
판형 열교환기
정답 : [
1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축열실(축열기) = 평로에서 연소온도를 높이고 연료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하여 배기가스 현열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될 수 잇도록 한 장치 [해설작성자 : 박진호]
배열 회수 방법을 사용할 때 축열실을 사용하는 것은, 고온의 가스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저장하여 필요할 때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즉, 축열실은 냉각된 열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해설작성자 : 제강배축]
평균에너지소비효율의 개선명령을 받은 자는 개선명령을 받을 날부터 60일 이내에 개선명령 이행계획을 수립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평균에너지소비효율의 개선기간은 개선명령을 받은 날부터 다음해 12월 31일까지로 한다. [해설작성자 : 대협천재]
81.
다음 그림과 같은 V형 용접이음의 인장응력(σ)을 구하는 식은?
1.
2.
3.
4.
정답 : [
1
] 정답률 : 74%
82.
표면응축기의 외측에 증기를 보내며 관속에 물이 흐른다. 사용하는 강관의 내경이 30mm, 두께가 2mm이고 증기의 전열계수는 6000 kcal/m2·h·℃, 물의 전열계수는 2500 kcal/m2·h·℃ 이다. 강관의 열전도도가 35 kcal/m·h·℃ 일 때 총괄전열계수(kcal/m2·h·℃)는?
<문제 해설> 자연통풍 = 연돌에 의한 통풍방식으로 배기가스와 외부공기와의 비중량차(밀도차)에 의해 통풍력이 발생되는것 2. 강제통풍 = 송풍기를 이용하는것 1) 압입통풍 = 송풍기를 연소실 앞에 두고 연소용 공기를 대기압이상의 압력으로 연소실에 밀어넣는방식 2) 흡입통풍 = 송풍기를 연도 중에 설치하여 연소배기가스를 직접흡입하여 강제로 배출시키는 방법 3) "평형통풍" = 압입통풍+흡입통풍, 노앞과 연도끝에 통풍팬을 설치하여 노내의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수있는 방식 [해설작성자 : 박진호]
평형 통풍식은 압입 송풍기(연소용 공기 공급)와 유인 송풍기(연소가스 배출)를 모두 사용하는 통풍 방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통풍평형]
84.
보일러 전열면에서 연소가스가 1000℃로 유입하여 500℃로 나가며 보일러수의 온도는 210℃로 일정하다. 열관류율이 150 kcal/m2·h·℃ 일 때, 단위 면적당 열교환량(kcal/m2·h)은? (단, 대수평균온도차를 활용한다.)
라미네이션의 재료가 외부로부터 강하게 열을 받아 소손되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크랙
2.
압궤
3.
블리스터
4.
만곡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보일러 손상의 종류 1. 팽충(bulge) = 동체 수관 겔로웨이관 등과 같이 인장응력을 받는 부부닝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바깥쪽으로 부풀어오르는 현상 2. 압궤(collapse) = 노통 연소실 연관 관판 등과 같이 압축응력을 받는 부분이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안쪽으로 들어가는현상 3. 라미네이션 = 압연강판이나 관의 두께내부에 가스가 존재한 상태로 가공을 하였을때 판이나 관이 2장의 층을형성하며 분리되는 현상 4. 블리스터(blister) = 라미네이션 부분이 가열로 인하여 부풀어 오르는 현상 [해설작성자 : 박진호]
88.
맞대기 용접은 용접방법에 따라서 그루브를 만들어야 한다. 판의 두께가 50mm 이상인 경우에 적합한 그루브의 형상은? (단, 자동용접은 제외한다.)
1.
V형
2.
H형
3.
R형
4.
A형
정답 : [
2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판의 두께 그루브의형상 6~16mm V R J형 12~38mm X K 양면J U형 19mm이상 H형 [해설작성자 : 박진호]
89.
직경 200mm 철관을 이용하여 매분 1500L의 물을 흘려보낼 때 철관 내의 유속(m/s)은?
PD1 D1 : 내경 α:부식여유 σ:인장강도/안전율 ŋ :이음효율 t = ----------------------- + α 200 Xσ X ŋ- 2p(1-k) 12 x 800 t = ----------------------------------- + 1 k 는 주어지지 않음 200 X(35 x 1/5) X 0.85 - 2 x 1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5.
보일러수에 녹아있는 기체를 제거하는 탈기기가 제거하는 대표적인 용존 가스는?
1.
O2
2.
H2SO4
3.
H2S
4.
SO2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탈기법- 산소, 탄산가스 등의 용존가스를 제겋나느 방법. 진공 혹은 가열방법이 있음. 기폭법 - 헨리의 법칙을 이용하여 탄산가스, 황화수소,암모니아 등의 기체와 철 망간등을 제거하는 방법. 공기중에서 물을 아래로 뿌려 내리는 강수 방식과 급수중에 공기를 혼입시키는 방식이 있다. [해설작성자 : 승현님.]
96.
부식 중 점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기화학적으로 일어나는 부식이다.
2.
국부부식으로서 그 진행상태가 느리다.
3.
보호피막이 파괴되었거나 고열을 받은 수열면 부분에 발생되기 쉽다.
4.
수중 용존산소를 제거하면 점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점식 = 보일러수가 접하는 내면에 좁쌀알, 쌀알, 콩알 크기의 점상태로 생기는 부식으로 공식 또는 점형부식이라 한다 부식의 진행속도가 빨라 위험성이 크다 [해설작성자 : 박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