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안녕하십니까.
전자문제집 CBT 관리자
좋은아빠되기입니다.

아래 표시된 2025년 08월 29일 10시 56분 전자문제집 CBT 자료를 이용하여
출력용(해설집) HWP, PDF 자료를 생성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출력용 파일을 이용하시는 분들께서는 참고하시어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인터넷으로 바로 문제를 풀어 보실수 있습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정보처리 상설검정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 [다운로드]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6월 27일


1과목 : 컴퓨터 일반


1. 다음 중 컴퓨터의 발전 과정으로 3세대 이후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
     2. 전문가 시스템
     3. 일괄처리 시스템
     4. 집적회로의 사용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3세대 : 집적 회로(IC), OMR OCR MICR을 도입했고, 시분할 처리와 다중 처리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4세대 : 고밀도 집적 회로(LSI) : C언어와 같은 문제 중심 지향언어가 등장하였고 개인용 컴퓨터 사용, 슈퍼 컴퓨터 개발, 가상 기억 장치 등이 등장하였다.
- 5세대 : 초고밀도 집적회로(VLSI) : 비주얼 C++, 자바언어 등 객체 지향언어가 등장하였고, 인공지능, 전문가 시스템, 퍼지이론 등이 등장하였다.

3번 일괄처리 시스템은 1세대에 등장했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이중찬]

일괄처리가 아닌 다중처리, 대화형, 실시간, 거래지향형 처리 형태로 발전하고있다.
[해설작성자 : dev]

1세대: 일괄 처리 시스템
2세대: 온라인 실시간 처리
3세대: 집적 회로 사용
4세대: 개인용 컴퓨터 사용
5세대: 전문가 시스템
[해설작성자 : 4회차 컴활]

[일괄처리 시스템(Batch Processing System)]
초기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된 형태로 일정량 또는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를 모아 한번에 처리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 측면에서 반환 시간이 늦습니다.
하나의 작업이 모든 자원을 독점하므로 CPU 유휴 시간이 줄어 듭니다.
(급여 계산, 지불 계산, 세금, 연말 결산 등의 업무에 적합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 다음 중 Windows 탐색기에서 [보기] 메뉴의 [내용]을 선택 했을 때 각 파일이나 폴더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수정한 날짜
     2. 디스크 여유 공간
     3. 파일의 크기
     4. 파일의 유형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Windows 탐색기에서 '보기'방식을    [내용]으로 변경하면
파일의 유형, 파일의 크기, 수정한날짜 & 만든날짜가 나옵니다.


*[보기]: 아주 큰 아이콘, 큰아이콘, 보통 아이콘, 작은아이콘,
                목록, 자세히 보기, 나란히 보기, 내용
[해설작성자 : 한방에합격 ♥]

디스크 여유 공간의 경우 탐색기의 보기의 내용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디스크 여유 공간을 확인하려면 파일 탐색기 '내 PC' 또는 '디스크 속성'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 다음 중 Windows 7의 [Windows 작업 관리자] 창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사용자 계정의 추가와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2.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다.
     3. 시스템의 CPU 사용 내용이나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다.
     4.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보고 네트워크 이용률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windows 작업관리자 실행은 ctrl+shift+esc 키로 수행하며,
컴퓨터에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응답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종료할 때 사용한다.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대해 cpu리소스 및 메모리 사용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
2) cpu와 메모리 사용현황을 막대 그래프와 곡선 그래프로 표시
3)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닫지 않고 사용자 전환
4) 컴퓨터에 연결된 사용자 및 작업상황을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음
5) [옵션] 메뉴를 이용하면, 항상 위에 표시, 전환할 때 최소화, 최소화할 때 숨기기 등을 지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신의 아들]

사용자 계정의 추가는 [제어판]-[사용자 계정]이나 [시작 메뉴]-[설정]-[계정]에서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darkhorse]

4. 다음 중 웹 프로그래밍 언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DHTML
     2. COBOL
     3. SGML
     4. WML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DHTML - HTML에 비해 애니메이션 강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좀 더 민감한 동적인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게 하는 언어
WML - 휴대폰, PDA, 양방향 호출기와 같은 무선 단말기에서 텍스트 기반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언어

COBOL :    사무용 프로그래밍 언어(웹기반 아님)
웹기반 프로그래밍언어ㅡHTML,CGI,JAVA,Applet,XML,UML,VRML,ASP,JSP,PHP등이 있음
[해설작성자 : 악 짜증 ㅜㅜ]

HTML과 XML은 SGML에근거하여 만들어진 것
[해설작성자 : 옆에 사람이 괴롭혀요]

1)언어번역 프로그램
-컴파일러 : COBOL, C, ALGOL, FORTRAN 등
-인터프리터 : BASIC, LISP, APL, SNO-BOL 등

2)웹프로그래밍 언어
DHTML : HTML에 비해 애니메이션이 강화됨
SGML : 멀티미디어 전자문서들을 다른 기종의 시스템들과 정보 손실없이 효율적으로 전송, 저장 및 자동처리 하기 위한 언어
WML : XML에 기반을 둠, 휴대폰 등과 같은 무선 단말기에서 텍스트 기반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언어
[해설작성자 : 펭수로로]

5. 다음 중 인터넷 통신 장비인 게이트웨이(Gateway)의 기본적인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현재 위치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할 때 사용된다.
     2. 인터넷 신호를 증폭하며 먼 거리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된다.
     3. 네트워크 계층의 연동장치로 경로 설정에 사용된다.
     4. 문자로 된 도메인 이름을 숫자로 이루어진 실제 IP 주소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허브 - 한꺼번에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치로 각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
리피터 - 디지털 신호의 장거리 전송을 위해 수신한 신호를 재생시키거나 출력 전압을 높여 전송하는 장치
브리지 - 물리적으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할 때 사용
라우터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을 연결할 때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 가장 최적의 IP경로를 설정하여 전송함
게이트 웨이 -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을 함
DNS서버 - 문자로 된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IP(인터넷프로토콜)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버

[추가 해설]
2번 - 리피터
3번 - 라우터
4번 - DNS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게이트 웨이(Gate Way)]
통신 네트워크의 출입문으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과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로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등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사이에 IP패킷을 라우팅하거나 전달하는 장치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 다음 중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바로 가기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윈도우키 + L : 컴퓨터 잠금 또는 사용자 전환
     2. 윈도우키 + R : 실행 대화상자 열기
     3. 윈도우키 + Pause : 제어판의 [시스템] 창 표시
     4. 윈도우키 + E : 장치 및 프린터 추가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윈도우키 + E 키는 Windows 탐색기를 실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장치 및 프린터는 따로 단축키가 없습니다.
윈도우키 + I로 윈도우설정창을 띄워서
장치 > Bluetooth및 기타 디바이스 > 장치 및 프린터로 들어가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상반기 합격]

7. 다음 중 인터넷 보안을 위한 해결책으로 사용되는 암호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복호화한다.
     2. 비밀키 암호화 기법은 대칭키 암호화 기법 또는 단일키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으로 DES(Data Encryption Standard)가 있다.
     3. 공개키 암호화 기법은 비대칭 암호화 기법이라고도 하며, 대표적인 암호화 방식으로 RSA(Rivest, Shamir, Adleman)가 있다.
     4.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서는 암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는 비밀로 하고, 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는 공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개키 암호화 기법에서는 암호화 할때 사용하는 키는 공개하고(공개키) 복호화 할때의 키는 비밀로함(비밀키)
[해설작성자 : Ssu]

비밀키 암호화 기법 - 동일한 키로 암호화함. 대칭암호화 기법,
공개키 암호화 기법 - 공개키와 비밀키가 따로있는 비대칭 암호화기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비밀키 VS 공개키★
비밀키 : 알고리즘 단순, 암호화/복호화 빠름, 파일크기 작음, 사용자 up → 관리할 키 수 up, 동일키, 대칭키(단일키)
공개키 : 알고리즘 복잡, 암호화/복호화 느림, 파일크기 큼, 키분배 용이 → 관리할 키 수 적음, 서로다른키, 비대칭키

※ 비밀키 특징 : 복호화 키만 알면 누구든지 복호화 가능 ∴ 복호화 키 비밀성 유지 important
※ 공개키 특징 : 암호화 키는 공개, 복호화 키는 비밀    (복 ㅂ 비 ㅂ)
[해설작성자 : 2021.02.15 합격자 나야나]

8. 다음 중 소프트웨어의 사용권에 따른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애드웨어 : 배너 광고를 보는 대가로 무료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다.
     2. 셰어웨어 : 정식 버전이 출시되기 전에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인의 평가를 받기 위해 제작된 소프트웨어이다.
     3. 번들 : 특정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였을 때 포함하여 주는 소프트웨어이다.
     4. 프리웨어 : 돈을 내지 않고도 사용가능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셰어웨어는 기능 혹은 사용 기간에 제한을 두어 배포하는 것, 오답인 2번 설명은 베타버전에 해당됩니다.
[해설작성자 : 직도각이]

[셰어웨어(Shareware)]
정식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먼저 체험할 수 있는 샘플 프로그램으로 기능 혹은 사용 기간에 제한을 두어 배포 되어지며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저작권에 따라 정식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베타 테스트(Beta Test) ≒ 베타 버전]
정식으로 프로그램이나 출판물을 일반인이나 사용자(회사 외부 인원)에게 공개하여 테스트 하는 것입니다.
베타 버전을 테스트 중 이를 통하여 문제가 발생할 경우 수정하고 보완하게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9. 다음 중 동영상 데이터 파일 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VI
     2. DVI
     3. ASF
     4. DXF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AVI: Windows의 표준 동영상 파일형식.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없이 재생가능.
[해설작성자 : 민지디ㅎ]

2.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비디오 영상을 압축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했다가, 컴퓨터로 재생할 수 있는 동화상 압축, 복원 처리 기술이다
[해설작성자 : soon]

3. ASF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스트리밍을 위한 표준 기술 규격
[해설작성자 : 크크크78]

4. DXF는 벡터 파일 형식 중 하나로, 오토 캐드에서 사용되는 자료 교환 형식이다.
즉, 동영상이 아닌 그래픽 파일 형식이다.
[해설작성자 : 맞춰야 한다.]

1. 그래픽 데이터: BMP, WMF, TIF, GIF, JPEG, PNG, PCX, DXF 등
2. 오디오 데이터: WAVE, MIDI, MP3 등
3. 비디오 데이터: AVI, DVI, MOV, MPEG, ASF, DivX 등
[해설작성자 : 2021 1급 확정!]

4. DXF
     = Drawing(Data) eXchange Format
     즉, 비디오, 동영상이 아닌 Drawing이다.
[해설작성자 : 상반기 합격]

10. 다음 중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의 모든 동작 상태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제어프로그램의 핵심 프로그램을 슈퍼바이저(Supervisor)라 부른다.
     2. 운영체제는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하드디스크 내에 위치하여 여러 종류의 자원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3. 키보드, 모니터,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필수적인 주변장치들을 관리하는 BIOS를 포함한다.
     4. 운영체제는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사용하고, 하드웨어의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2. 운영체제는 컴퓨터가 동작하는 동안 주기억장치에 위치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너무 하기 싫지만 해야한다]

운영체제
: 시스템 메모리 관리,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고자하는 사용자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역할 수행
응용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프로세스, 기억장치, 파일, 주변장치 ,설치된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유틸리티를 제공함
[해설작성자 : 2019 하반기 취직기원]

11. 다음 중 시스템의 정보 보안을 위한 기본 충족 요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은 인가된 사용자만 접근이 허용되어야 한다.
     2.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저작권에 관한 내용이 인증되어야 한다.
     3.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변경되지 않고 전달되어야 한다.
     4. 사용자를 식별하고 접근 권한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시스템 및 정보의 보안의 요건은 아래와 같음

1)기밀성(비밀성): 시스템 내의 정보와 자원은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이 허용, 정보가 전송 중에 노출되더라도 데이터를 읽을 수 없음

2)무결성: 시스템 내의 정보는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할 수 있음, 정보의 내용이 전송 중에 수정되지 않고 전달되는 것을 의미

3) 가용성: 인가받은 사용자는 언제라도 사용할 수 있음

4) 인증: 정보를 보내오는 사람의 신원 확인,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접근권한을 검증

5) 부인방지 : 데이터를 송수신한 자가 송수신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송수신 증거를 제공
[해설작성자 : 신의 아들]

보기 2번은 정보 보안이 아닌 컴퓨터프로그램 보호에 관한 내용
[해설작성자 : bbonari]

12. 다음 중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펌웨어(Firmwa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하드웨어의 일부분으로도 볼 수 있는 제품을 말한다.
     2. 하드웨어 교체 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3. 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RAM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4. 기계어 처리, 데이터 전송, 부동 소수점 연산, 채널 제어 등의 처리 루틴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RAM이 아니라 ROM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최근에는 플래시 롬(Flash ROM)에 저장되기에 내용을 변경 추가 삭제 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치킨먹고싶다]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으로 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화 한 것입니다.
하드웨어의 동작을 지시하는 소프트웨어로 주로 ROM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어 하드웨어를 제어 관리 합니다.
펌웨어로 만들어져 있는 프로그램을 마이크로 프로그램이라 하며 컴퓨터에서는 대표적으로 BIOS가 있습니다.
근래에는 플래시 롬(Flash ROM)에 저장되어 수정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3. 다음 중 멀티미디어와 관련하여 JPG 파일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진과 같은 정지 영상을 표현하기 위한 국제 표준 압축 방식이다.
     2. 24비트 컬러를 사용하여 트루컬러로 이미지를 표현 한다.
     3. 사용자가 압축률을 지정해서 이미지를 압축하는 압축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4. 이미지를 확대해도 테두리가 거칠어지지 않고 매끄럽게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그래픽 데이터의 표현 방식으로는 비트맵 형식과 벡터 형식이 있는데
그 중 JPG(JPEG)는 비트맵 형식으로 비트맵 형식의 특징은 거칠고 계단현상이 있음
[해설작성자 : 웨건]

[추가]
4번설명은 벡터표현방식임
[해설작성자 : 5시간후시험]

JPG 파일은 대표적인 비트맵 파일로 확대시 테두리가 거칠어지는 '앨리어싱'현상이 발생됩니다.
확대시에도 테두리가 거칠어지지 않는 파일은 '벡터' 방식입니다.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 JPG]
정지 영상을 표현하기위한 국제 표준 압축 방식으로 24bit(트루컬러 : True Color)를 사용하며 손실 압축과 무손실 압축 기법을 사용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진(그림)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4. 다음 중 어떤 장치가 다른 장치의 일을 잠시 중단시키고 자신의 상태변화를 알려주는 것을 뜻하는 용어로 옳은 것은?
     1. 클라이언트/서버
     2. 인터럽트
     3. DMA
     4. 채널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인터럽트 : 프로그램 실행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인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 처리하는 것

클라이언트 :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나 서버에 연결하여 파일/프린터 등의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DMA : 중앙처리장치의 간섭없이 입,출력장치와 메모리가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

채널 : 주변장치에 대한 제어 권한을 중앙처리장치로(CPU)로부터 넘겨받아 CPU 대신 입,출력을 관리하는 것으로, CPU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속도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정현승]

[인터럽트(Interrupt)]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실행 중이던 명령어까지는 처리)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계속처리하는 과정입니다. (돌발상황, 끼어들기라고도 합니다.)
인터럽트 종류로는 외부(External), 내부(Internal), 소프트웨어(Software)가 있습니다.
인터럽트 처리후 복귀주소는 Stack(스택)의 가장 하단부분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5. 다음 중 DNS가 가지고 있는 특정 도메인의 IP Address를 검색해 주는 서비스로 옳은 것은?
     1. Gopher
     2. Archie
     3. IRC
     4. Nslookup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4.Nslookup
이 명령어는 인터넷 도메인 이름 서버(DNS)에게 특정 호스트에 대한 네임이나 IP를 문의할 수 있는 대화식 프로그램이다.
[해설작성자 : 꺄아아아>.<]

Gopher : 메뉴방식을 이용해 손쉽게 정보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Archie : 익명의 FTP 사이트에 있는 FTP 서버와 그 안의 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었다가 FTP서버의 리스트와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쉽게 검색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IRC : 인터넷상에서 채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해설작성자 : 합격]

gopher - 메뉴기능을 이용하여 정보검색
archie - 익명의 ftp 사이트에 잇는 ftp서버와 그 안의 파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었다가 ftp서버의 리스트와 파일을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쉽게 찾음
irc - 채팅을 할 수 있도록함
nslookup - dns를 가지고 있는 ip adress를 찾아줌

[추가 해설]

1.Gopher: 쉽게 정보를 검색 할 수 있는서비스
2.Archie: 파일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두었다가 정보를 쉽게 검색

16. 다음 중 PC 업그레이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RAM이나 ODD를 설치할 때 접근 속도의 수치는 작은 것이 좋다.
     2. 하드디스크를 교체할 때에는 연결방식의 종류와 버전을 확인한다.
     3. CPU 클럭 속도는 높은 것이 좋다.
     4. RAM을 추가할 때에는 기존의 것 보다 더 많은 핀 수의 RAM으로 추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PC upgrade>

*하드웨어적 업그레이드 : 컴퓨터 처리 성능의 개선
1) CPU 업그레이드
- 기존 메인보드의 지원여부를 확인한 후 지원하지 않으면 메인보드와 함께 교체
- CPU의 핀 수나 크기를 확인 한 후 교체
2) RAM 업그레이드
- 램은 접근 속도의 단위인 ns의 수치가 작을 수록 좋음
- 램의 형태, 속도, 핀 수, 용량, 꽂을자리,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메모리의 최대 크기 등을 확인 후 추가

★ 업그레이드 고려사항

1) 수치가 클수록 좋은것
- CPU 클럭 속도 : MHz / GHz
- 모뎀의 전송속도 : bps / cps
- CD-ROM 드라이브 전송 속도 : 배속
- 하드디스크 용량 : GB
- 하드디스크 회전 수 : RPM
- 하드디스크 전송 속도 : MB/s
2)수치가 작을 수록 좋은 것
- RAM 접근 속도 : ns


* CPU와 RAM의 핀(fin) 갯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원샷원킬 ㅋㅋ]

4. RAM을 추가할 때에는 기존의 것과 같은 핀 수의 RAM으로 추가해야 된다. 왜냐하면 기존의 것보다 적거나 많은 핀 수의 RAM은 기존의 컴퓨터 본체에 꽂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해설작성자 : 노량진 KSB]

17. 다음 중 Windows 7의 [글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글꼴 파일은 .rtf 또는 .inf 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
     2.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글꼴은 C:\Windows\Fonts 폴더에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3. TrueType 글꼴과 OpenType 글꼴을 제공하며, 프린터 및 프로그램에서 작동한다.
     4. 글꼴에는 기울임꼴, 굵게, 굵게 기울임꼴과 같은 글꼴 스타일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inf 는 드라이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 이고
.rtf 는 리치 텍스트 포멧의 줄임말로 문서 형식 파일입니다.
[해설작성자 : Cheoro]

글꼴 파일은 TTC, TTF 또는 FON의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
[해설작성자 : 공부좀하자]

[RTF(Rich Text Format)]
마이크로 소프트가 개발한 문서 파일 형식으로 서식이 포함된 텍스트를 저장합니다.
글꼴, 색상 단락 스타일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다양한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호환됩니다.

[INF(Setup Information File)]
윈도우에서 소프트웨어 설치와 관련된 설정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파일입니다.
드라이버 파일, 레지스트리 정보, 버전 정보 등 설치할 디바이스와 파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8. 다음 중 인터넷 주소 체계에서 IPv6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28 비트의 주소를 사용하여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였다.
     2. IPv4와 비교하였을때 자료 전송 속도가 늦지만, 주소의 확장성과 융통성이 우수하다.
     3.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기능을 포함한다.
     4. IPv4와 호환성이 있으며, 실시간 흐름제어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 IPv4와 비교했을 때 자료 전송 속도는 더 빠릅니다.
[해설작성자 : 신교대 서무]

IPv6 주소체계는 128비트를 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콜론(:)으로 구분함.
IPv6 은 IPv4와 호환이 되며 16진수로 표기.
인증 서비스, 비밀성 서비스, 데이터 무결성 서비스를 제공.
주소체계는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등 세가지로 나뉨.
[해설작성자 : 바리스타]

IPv4와 비교하여 IPv6는 구조적 효율성으로 속도가 동일하거나 더 빠릅니다.

[IPv6]
128bit 주소로 16bit씩 8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6진수로 표시합니다.
각 부분을 : 콜론으로 구분합니다.
유니, 애니, 멀티 캐스트 3종류로 분류합니다.
[IPv6 특징]
IPv4의 주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IPv4와 호환성이 좋아 현재 v4와 v6를 함께 사용 중입니다.
각 부분이 0으로 연속된 경우 ::와 같이 표시하여 생략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9. 다음 중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의 활용 분야에 속하는 것은?
     1. 테더링
     2. 텔레매틱스
     3. 블루투스
     4. 고퍼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유비쿼터스 - 모든 사물에 부착된 RFID태그 또는 센서를 통해 탐지된 사물의 인식 정보는 물론 주변의 온도 습도 위치정보, 압력, 오염 및 균열 정도 등과 같은 환경 정보를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텔레매틱스 - 자동차에 정보 통신 기술과 정보처리 기술을 융합하여 운전자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해설작성자 : 사과나무]

유비쿼터스: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
1. 테더링: 스마트폰에서 인터넷 신호를 내보내줌
2. 텔레매틱스: 원격 검침 / 탤레매틱스를 사용하려면 유비쿼터스 환경이 필요하다
3. 블루투스 : 근접 장치의 무선연결
4. 고퍼 : 메뉴방식/ 옛날방식으로 인터넷 메뉴를 번호로 입력해서 누르는 방식
[해설작성자 : 제바루 합격하자]

[텔레매틱스(Telematics)]
텔레매틱스는 차량과 정보통신 기술을 결합한 시스템으로, 차량의 위치, 주행 데이터,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차량 관제, 보험, 유지보수, 운전 습관 분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0. 다음 중 Windows 7의 [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윈도우 10 검증 완료)
     1. Windows에 설치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변경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2. 게임, 인쇄 및 문서 서비스, 인터넷 정보 서비스 등 Windows 7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3. 설치된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업데이트 목록에서 업데이트를 제거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4. [온라인으로 추가 테마보기]를 선택하여 Microsoft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테마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온라인으로 추가 테마보기]는 [제어판]-[개인 설정]에 대한 설명입니다.
[해설작성자 : 빈둥빈둥]

윈도우 10의 경우 [설정]-[개인설정] 으로 이동시 테마를 변경할수 있습니다.

2과목 : 스프레드시트 일반


21. 다음 중 아래 그림에서의 각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트 보호]를 설정하면 기본적으로 셀의 선택만 가능하다.
     2. 시트 보호 시 특정 셀의 내용만 수정 가능하도록 하려면 해당 셀의 [셀 서식]에서‘잠금’설정을 해제한다.
     3. [통합 문서 보호]를 설정하면 포함된 차트, 도형 등의 그래픽 개체를 변경할 수 없다.
     4. [범위 편집 허용]을 이용하면 보호된 워크시트에서 특정 사용자가 범위를 편집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번. [통합 문서 보호]가 아닌 [공유된 통합 문서]이다

[공유된 통합 문서]는 데이터 입력 및 편집은 가능하나 조건부 서식, 차트, 시나리오, 부분합, 데이터 표, 피벗 테이블 보고서 등에 대한 작업은 추가 및 변경이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컴퓨터 활용능력 1급 합격하셨습니다.]

통합 문서 보호를 설정하면 데이터의 이름수정,시트위치이동등이 불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컴활1급 제발 합격!!!!!!!]

3번은 [공유된 통합 문서 보호]의 내용이다.
[통합 문서 보호]: 가능) 셀 수정/삭제, 그래픽개체(차트, 도형) 이동 가능
[통합 문서 보호]: 불가능) 시트 삭제, 이동, 숨기기, 이름 바꾸기, 창 이동/크기 조절, 새 창, 창 나누기, 틀 고정
[공유된 통합 문서 보호]: 가능) 데이터 입력 및 편집, 불가능) 그 외(조건부 서식, 차트 도형 등)
[해설작성자 : 치킨]

3. [통합 문서 보호]가 아니라 [통합 문서 보호와 공유]에 대한 설명이다. [통합 문서 보호와 공유]를 설정하면 포함된 차트, 도형 등의 그래픽 개체를 변경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노량진 KSB]

[통합 문서 보호]
통합 문서의 시트에 대하여 삽입, 삭제, 이동, 숨김, 이름 바꾸기 등을 할 수 없도록 보호하는 기능으로 암호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시트 보호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 워크시트에 데이터, 차트, 도형 등 입력, 삭제 및 수정이 가능하고 데이터 분석 작업도 할 수 있습니다.(부분합, 피벗 테이블)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2. 다음 중 자동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데이터에 필터를 적용하면 지정한 조건에 맞는 행만 표시되고 나머지 행은 숨겨지며, 필터링된 데이터는 다시 정렬하거나 이동하지 않고도 복사, 찾기, 편집 및 인쇄를 할 수 있다.
     2. ‘상위 10 자동 필터’는 숫자 데이터 필드에서만 설정 가능하고, 텍스트 데이터 필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한 열에 숫자 입력 셀이 5개 있고, 텍스트 입력 셀이 3개 있는 경우 자동 필터는 셀의 수가 적은‘텍스트 필터’명령으로 표시된다.
     4. 날짜 데이터는 연, 월, 일의 계층별로 그룹화되어 계층에서 상위 수준을 선택하거나 선택을 취소하는 경우 해당 수준 아래의 중첩된 날짜가 모두 선택되거나 선택 취소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3. 한 열에 숫자 입력 셀이 5개, 텍스트 입력셀이 3개 있는 경우 숫자필터 명령으로 표시된다.
[해설작성자 : 담주에난합격]

순서 상관없이 가장 많이 입력된 방식 순으로 표시됩니다.
[해설작성자 : 힘내용]

3.    한 열에 숫자 입력 셀이 5개 있고, 텍스트 입력 셀이 3개 있는 경우 자동 필터는 셀의 수가 많은‘숫자 필터’명령으로 표시된다.
CF> 자동 필터에서는 입력된 셀의 수가 많은 필터의 명령으로 표시됨.
[해설작성자 : 노량진 KSB]

23. 다음 중 [셀 서식] 대화상자의 [맞춤] 탭에‘텍스트 방향’에서 설정할 수 없는 항목은?
     1. 텍스트 방향대로
     2. 텍스트 반대방향으로
     3. 왼쪽에서 오른쪽
     4. 오른쪽에서 왼쪽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텍스트 방향 목록으로는 텍스트 방향대로, 왼쪽에서 오른쪽, 오른쪽에서 왼쪽 3가지가 있다.
[해설작성자 : 밥차빕치라이스카]

24. 아래 시트에서 [표1]의 할인율[B3]을 적용한 할인가 [B4]를 이용하여 [표2]의 각 정가에 해당하는 할인가 [E3:E6]를 계산하고자 한다. 다음 중 이때 가장 적합한 데이터 도구는?

    

     1. 통합
     2. 데이터 표
     3. 부분합
     4. 시나리오 관리자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1. 통합 : 비슷한 형식의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표로 요약, 통합하여 표시하여 주는 도구이다. 사용할 데이터의 형태가 다르더라도 같은 이름표 사용시의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통합 가능하다.
2. 데이터 표 : 특정 값의 변화에 따라 결과 값의 변화 과정을 표의 형태로 표시해 주는 도구이다.
3. 부분합 : 많은 양의 데이터 목록을 그룹별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계산을 수행하는 데이터 분석 도구이다. 반드시 첫 행에는 열 이름표가, 기준이 되는 필드는 반드시 오름 또는 내림차순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세찡]

4.시나리오 : 참조되는 값을 변경할 경우 수식의 결과를 가상분석한다.
[해설작성자 : 붙을수있겠지]

[데이터 표]
특정 값의 변화에 따른 결과값의 변화 과정을 표의 형태로 표시하는 도구입니다.
결과값은 반드시 변화하는 특정 값을 포함한 수식으로 작성되어 있어야 하며 결과는 일부분만 수정 및 삭제가 불가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5. 다음 중 Excel과 Access 간의 데이터 교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Excel 통합 문서를 열 때 Access 데이터에 연결하려면 보안 센터 표시줄을 사용하거나 통합 문서를 신뢰할 수 있는 위치에 둠으로써 데이터 연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 해야 한다.
     2. Excel의 [데이터] 탭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그룹에서 [기타 원본]-[Microsoft Query] 기능을 이용하면 외부 Access 원본 데이터와 동기화할 수 있다.
     3. Excel의 [외부 데이터 가져오기] 기능을 이용하면 Access 파일의 특정 테이블만 선택하여 가져올 수 있다.
     4. Excel의 [데이터] 탭 [연결] 그룹에서 [속성]을 클릭하면 기존 Access 파일의 연결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4번은    속성이 아니고 연결을 클릭해야    추가나 제거할수 있어요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나그네]

4. [데이터]탭 [연결]그룹에서 [속성]을 클릭하면 나타나는'연결 속성' 대화상자에서는 기존 Access 파일의 연결은 변경할 수는 있어도 새로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는 없다.
[해설작성자 : 으아아아ㅏㅏ]

26. 다음 중 바닥글 영역에 페이지 번호를 인쇄하도록 설정된 여러 개의 시트를 출력하면서 전체 출력물의 페이지 번호가 일련번호로 이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쇄] 대화상자에서‘인쇄 대상’을‘전체 통합 문서’로 선택하여 인쇄한다.
     2. 전체 시트를 그룹으로 설정한 후 인쇄한다.
     3. 각 시트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일련번호로 출력’을 선택한 후 인쇄한다.
     4. 각 시트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시작 페이지 번호’를 일련번호에 맞게 설정한 후 인쇄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각 시트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 '일련번호로 출력'이라는 문구는 없다.
[해설작성자 : 정현승]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서 '일련번호로 출력' 메뉴가 없습니다.
페이지 설정의 머리글/바닥글 탭에서 '페이지 번호 삽입'과 '전체 페이지 수 삽입' 처럼 2가지가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7. 다음 중 아래의 시트에서 수식 =DSUM(A1:D7, 4, B1:B2)을 실행했을 때의 결과 값으로 옳은 것은?

    

     1. 10
     2. 15
     3. 40
     4. 55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DSUM함수는 DSUM(표전체, 합계를 구할 열제목, 조건범위) 이렇게 사용합니다.
합계를 구할 열제목이 4이므로 D열 영역에서 조건범위가 부서 영업 1부이기 때문에
D열 영역에서    영업 1부의 합계를 계산하시면 됩니다
15+20+20=55
[해설작성자 : 내일시험ㅠㅠ]

DSUM (범위, 열번호, 조건) : 해당 '범위'에서 '조건'에 맞는 자료를 대상으로 지정된 '열번호'에서 합계를 계산함
=DSUM(A1:D7[범위],4[합계를 구할 열번호],B1:B2[조건]
A1:D7에서 B1:B2 즉 부서는 영업1부의 '4'번째 열을 합산한다.
[해설작성자 : 옆에 사람이 괴롭혀요 ㅠㅠ]

database는 데이터 베이스러 설정할 범위로 A1:D7을 선택하였습니다.
filed 는 계산할 열로 해당 범위에서 '4' 열에 대하여 SUM(합계)를 구하는 것입니다.    범위에서 4열은 '2/4분기'에 해당됩니다.
criteria는 조건이 있는 셀 범위로 B1:B2의 범위르로 보면 '부서' , '영업 1부'입니다. 즉, 부서중 영업 1부가 조건이 되네요
최종적으로 영업 1부의 '2/4분기'의 합계를 구하는 것으로 15+20+20 = 55가 되네요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8. 텍스트 파일의 데이터를 워크시트로 가져올 때 사용하는 [텍스트 마법사]에서 각 필드의 너비(열 구분선)를 지정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앞 단계에서 원본 데이터 형식을 ‘구분 기호로 분리됨’을 선택한 경우 열 구분선을 지정할 수 없다.
     2. 구분선을 넣으려면 원하는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한다.
     3. 열 구분선을 옮기려면 구분선을 삭제한 후 다시 넣어야 한다.
     4. 구분선을 삭제하려면 구분선을 마우스로 두 번 클릭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열 구분선은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범위 밖으로 드래그하면 구분선을 해제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29. 다음 중 아래 프로시저의 실행 결과로 옳은 것은?

    

     1. [A2]셀에 10이 입력된다.
     2. [A1]셀과 [A3]셀에 10이 입력된다.
     3. [B2]셀에 10이 입력된다.
     4. [B1]셀과 [B3]셀에 10이 입력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k의 초기값 0.

A1.offset(0,1) = 10     // A1셀을 기준으로 아래로 0칸, 오른쪽으로 1칸 (B1) = 10
A1.offset(2,1) = 10     // A1셀을 기준으로 아래로 2칸, 오른쪽으로 1칸 (B3) = 10

반복문 종료.
[해설작성자 : 영구랑 5시간 뒤 시험임...하아..]

k의 초기값이 0이 되는 이유는
k<3에서 시작하는 값이 설정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자동으로 0이 설정된다.
[해설작성자 : 흠..]

Dim k As Integer
→ Dim은 해당 프로시저 내에서만 사용가능한 변수 k를 정수형 으로 선언 했습니다.

Do while k [3
→ 반복을 진행합니다. K의 값이 3보다 작은 경우만 진행을 합니다.

[A1].offset (k,1) = 10
→ Offset(범위, 행, 열, 높이, 너비) 구조로 선택한 범위에서 지정한 행과 열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를 표시합니다. 즉 [A1]셀에서 k행, 1열 만큼 떨어진 곳에 10을 넣은 후 표시합니다.

k = k + 2
→ k의 변수에 2를 더 가산한 후 k 변수에 저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0. 다음 중 여러 워크시트를 선택하여 그룹으로 설정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엑셀 창의 맨 위 제목 표시줄에 [그룹]이라고 표시된다.
     2. 그룹 상태에서 도형이나 차트 등의 그래픽 개체는 삽입되지 않는다.
     3. 그룹으로 설정된 임의의 시트에서 입력하거나 편집한 데이터는 그룹으로 설정된 모든 시트에 반영된다.
     4. 그룹 상태에서 여러 개의 시트에 정렬 및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그룹 상태에서 여러 개의 시트에 정렬 및 필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그룹하면 제목 표시줄에 [그룹]표시됨
-그룹상태에서는 도형 ,차트 등의 그래픽 개체 삽입하거나 정력, 필터등의 데이터 관리 작업을 실행 할 수 없음
-여러개의 시트를 선택 하고 데이터를 입력하면 선택한 모든 시트에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됨
[해설작성자 : 다들틀리고썼구나]

31. 아래의 시트에서 [I2:I5] 영역에 [B2:F14] 영역의 표를 참조하는 배열수식을 사용하여 지점별 총대출금액을 구하였다. 다음 중 [I2] 셀의 수식 입력줄에 표시된 함수식으로 옳은 것은?

    

     1. {=SUMIF($D$2:$D$14=H2))}
     2. {=SUMIF($D$2:$D$14=H2,$E$2:$E$14,1))}
     3. {=SUM(IF($D$2:$D$14=H2,1,0))}
     4. {=SUM(IF($D$2:$D$14=H2,$E$2:$E$14,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SUM 을 이용하여 합계를 구하는데 IF 절을 이용한 조건을 줍니다.
if(조건식, true일때, false일때) 조건에 따라,
D2에서 D14까지의 값이 H2인 서울 값이면 E2에서 E14까지의 값을 더하고 서울이 아니라면 0을 더하게 됩니다.
즉, D2는 서울이기 때문에 E2 값인 7500
D3은 경기이기 때문에 E3의 값이 아닌 0 의 값을 더하게 됩니다.
그래서 식이
{=SUM(IF($D$2:$D$14=H2, $E$2:$E$14, 0))}
[해설작성자 : 오늘부터 시작]

sum은 합계를 if는 조건에 따른 값을주는 함수이다.
if(조건식,맞을때,틀릴때)
D2에서 D14 중 H2인 서울과 같은 값을 가진 것들 즉, D2:D14=H2 가 나와야 한다.
값을 계산하는 과정중 드래그를 할 때 식도 같이 내려가면 안되기에 F4로 고정해준다.
그래서 $D$2:$D$14=H2 가 조건식이 된다.
D2:D14중 서울인 대출금액을 합한 값이 맞는 값이 되고 서울이 아닌 경우 값을 0을 준다.
마찬가지로 값을 계산하는 과정중 드래그를 할 때 식도 같이 내려가면 안되기에 F4로 고정해준다.
그래서 $E$2:$E$14 가 맞는 값이 된다.
E2:E14중 앞의 조건식에 맞는 지점이 서울인 대출금액이 맞는 값이 되는 것이다.
sum함수로 다 더해져 결과값이 나온다.
틀린값은 아예 나오지 않는 형식이므로 0으로 끝낸다.
함수가 2가지가 쓰였기 때문에 괄호를 두번 닫아주고 배열수식이기에 Ctrl+Shift+Enter을 하면 {}괄호가 생긴다.
그러므로 답은 {=SUM(IF($D$2:$D$14=H2,$E$2:$E$14,0))} 4번이 된다.
[해설작성자 : 미친곰탱이]

SUMIF 함수는 SUMIF(조건에 맞는지 검사할 범위,조건,합을 구할 실제 셀)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SUMIF 함수를 사용하고 싶다면
{=SUMIF($D$2:$D$14,H2,$E$2:$E$14)}
라고 작성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삼시오끼]

32. 다음 중 공유된 통합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유된 통합문서에서는 조건부 서식, 차트, 시나리오 등을 추가하거나 편집할 수 없다.
     2. 암호로 보호된 공유 통합 문서에서 보호를 해제 하여도 통합 문서의 공유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3. 공유 통합 문서를 네트워크 위치에 복사해도 다른 통합 문서와의 연결은 그대로 유지된다.
     4. 공유 통합 문서는 사용자의 엑셀 버전과 관련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암호로 보호된 공유 통합 문서의 보호를 해제하려면 먼저 통합 문서의 공유를 해제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가즈아ㅏㅏㅏㅏㅏ]

2. 통합문서 공유는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 입력과 편집을 하기위한 목적이며, 암호로 보호된 공유 통합 문서에서 보호를 해제 할 (우 통합문서의 공유 상태도 해제된다.(공유를 하게되면 12시쪽에 (제목).xlsx (공유)라고뜨는데 암호해제시 (공유)가 사라져서 (제목).xlsx라고만 뜬다.)
참고
통합 문서를 공유한 후에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 입력과 편집은 가능하나 조건부서식 차트 시나리오 부분합 데이터테이블 피벗테이블보고서 메크로 등은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23년도에서 왔습니다.]

33. 다음 중 연이율 4.5%로 2년 만기로 매월 말 400,000원씩 저축할 경우, 복리 이자율로 계산하여 만기에 찾을 수 있는 금액을 구하기 위한 수식으로 옳은 것은?
     1. =FV(4.5%/12, 2*12,-400000)
     2. =FV(4.5%/12, 2*12,-400000,,1)
     3. =FV(4.5%, 2*12, -400000,,1)
     4. =FV(4.5%, 2*12, -400000)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FV(이자, 기간, 금액, 현재가치, 납입시점)
일단 모든 재무함수는 월단위를 기준으로 합니다. 그리하여 2년을 곱하기 12하여 개월수를 구하고,
연이율이 4.5% 이므로 월 이율을 구하기 위하여 나누기 12를 합니다. 그리고 현재가치는 일반적으로 생략하며, 납입시점은 생략 또는 0은 월말을 뜻하고 1은 월초를 뜻합니다. 위의 문제에서는
"매월 말" 이라고 하였으므로 생략 또는 0이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Cheoro]

FV(이자,기간,납입금액,현재가치,납입시점)입니다.

미래가치를 구하는데 미래가치가 나오면 안되겠지요?
[해설작성자 : 이번꺼 너무 어려움]

재무함수는 월 단위기준이니깐 년수에 곱하기 12를 해줘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뽀개버리자]

[FV 함수]
주기적이고 고정적인 지급액과 고정적인 이율에 의거한 투자의 미래 가치를 산출합니다.
구조 : FV(rate, nper, pmt, pv, type)
rate : 기간별 이자율입니다. 예를 들어, 연 이율 6% 분기 지급 시에는 6%/4를 사용합니다.
nper : 투자의 총 지급 기간 수입니다.
pmt : 각 기간마다의 지급액입니다. 이것은 투자 기간 동안 변할 수 없습니다.
pv : 일련의 미래 지급액에 상응하는 현재 가치 또는 총합계입니다. 생략하면 pv는 0입니다.
type : 지급 시기를 나타내며 1은 투자주기 초를, 0 또는 생략 시에는 투자 주기의 말을 의미합니다.

문제를 풀면
rate = 연이율 4.5% 를 월이율로 계산해야 하므로 나누기 12를 합니다. = 4.5%/12
nper = 납입 기간은 2년이므로 2 * 12
pmt = 납입 금액은 400,000
pv = 생략
type = 문제에서 '매월 말' 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0 또는 생략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4. 아래의 왼쪽 차트를 수정하여 오른쪽 차트로 변환하였다. 다음 중 변환된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본 가로 눈금선으로 보조 눈금선을 표시하였다.
     2. 보조 세로 (값) 축의 주 눈금을 ‘500’으로 설정하였다.
     3. 매출액 계열을 보조 축으로 설정하였다.
     4. 보조 세로 (값) 축의 축 레이블을 ‘없음’으로 설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2) 보조 세로축 값이 아니라 기본 세로 축의 주 눈금을 '500'으로 설정
[해설작성자 : 필기합격하자 아자]

3. 판매수량 계열을 보조 축으로 설정하였다.
[해설작성자 : 내일이 시험인데 해설이나 쓰고잇다]

4.레이블없음=>오른쪽 작은 눈금은 있지만 값(레이블)이 보이지 않음.
[해설작성자 : 죽어라 풀자.]

1. 보조 세로 눈금선
2. 가로 500 과 비교해 봤을 경우 세로 눈금선이 500 단위가 아닌것을 알 수 있음
3. 판매수량이 보조축으로 바뀌었다.
4. 보조 눈금선에 레이블 없음
[해설작성자 : dev]

35. 다음 중 배열 수식과 배열 상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열 수식에서 잘못된 인수나 피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VALUE!’의 오류값이 발생한다.
     2. 배열 상수는 숫자, 논리값, 텍스트, 오류값 외에 수식도 사용할 수 있다.
     3. 배열 상수에서 다른 행의 값은 세미콜론(;), 다른 열의 값은 쉼표(,)로 구분한다.
     4. <Ctrl>+<Shift>+<Enter>키를 누르면 중괄호({ }) 안에 배열 수식이 표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배열 상수의 값은 수식이 아닌 상수이어야 합니다.
수식을 사용하는 것은 배열 수식 입니다.
[해설작성자 : Cheoro]

$, 괄호,%, 길이가 다른 행이나 열, 셀 참조는 배열상수로 사용 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이번에 꼭 붙자]

[배열 상수]
수식에서 한 번에 여러 값을 처리하거나 특정 계산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기능으르 중괄호 ({ })로 묶여 있는 값들의 집합입니다.
배열 상수를 입력시 행방향 배열은 쉼표( , )로 구분하고 열 방향 배열은 세미 콜론 ( ; )으로 구분합니다.
배열 상수의 값은 숫자(정수, 실수, 상수(e)), 텍스트, 또는 True/False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배열 상수는 직접 입력해야 하며 셀 범위를 참조 할 수 없고 수식이 아닌 상수이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6. 다음 중 아래 시트의 [A1:C8] 영역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조건부 서식을 적용한 경우 서식이 적용되는 셀의 개수로 옳은 것은?

    

     1. 0개
     2. 2개
     3. 14개
     4. 24개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고유 또는 중복 값만 서식 지정 : 지정된 셀 값중에 고유한 값이나 중복된 값에 서식을 지정
-중복값 서식 지정이므로 합격, 불합격이라고 표시된 B2:C8 범위의 셀이 서식 지정 된다
[해설작성자 : ㅋㅋ]

37. 다음 중 작업에 필요한 여러 개의 통합 문서를 한 화면에 함께 표시하여 비교하면서 작업하기에 편리한 기능은?
     1. 창 나누기
     2. 창 정렬
     3. 틀 고정
     4. 페이지 나누기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통합문서'라는 단어에 주의합시다.
보기-> 모두 정렬-> 창 정렬 대화 상자 -> 바둑판식/가로/세로/계단식 중 선택

'한 화면에 표시' 라는 단어에 주의해야해요
창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해주어 메모장을 켜놓고 워드를 입력하듯이 두는 방법이므로 창정렬이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줄이면 창렬]

1. 창 나누기 : 서로 떨어져 있는 데이터를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 즉, 하나의 시트를 2개, 4개의 영역으로 나눔.
3. 틀 고정 : 특정 범위의 열 또는 행을 고정시켜 셀 포인터의 이동과 상관없이 화면에 항상 표시할 경우 사용.
[해설작성자 : 컴활재도전]

[창 정렬]
동일한 통합 문서나 다른 통합 문서에 있는 두 개의 워크시트를 나란히 표시하여 빠르게 비교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여러 워크시트를 정렬하여 동시에 모두 볼 수도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8. 다음 중 엑셀의 틀 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면에 표시되는 틀 고정 형태는 인쇄 시 적용되지 않는다.
     2. 틀 고정 구분선의 위치는 지우고 새로 만들기 전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없다.
     3. 틀 고정을 수행하면 셀 포인터의 왼쪽과 위쪽으로 고정선이 표시되므로 고정하고자 하는 행의 아래쪽, 열의 오른쪽에 셀 포인터를 놓고 틀 고정을 수행해야 한다.
     4. 틀 고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나중에 복구할 수 있도록 모든 창의 현재 레이아웃이 작업 영역으로 저장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페이지레이아웃 상태에서는 틀 고정을 설정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스프레드시트가 젤 어려워]

작업 영역 파일은 열려 있는 모든 통합 문서의 위치와 창의 크기, 화면 위치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로 틀 고정 형태는 저장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빠팅!]

오피스 21 버전에서는 '작업 영역'의 기능이 없어졌습니다.
과거    여러 개의 엑셀 창 배치를 저장하는 기능이었습니다. 지금은 '틀 고정' 기능에 대해서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9. 다음 중 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하는 VBA 모듈로 옳지 않은 것은?
     1. no = 0
sum = 0
Do While no <= 10
   sum = sum + no
   no = no + 1
Loop
MsgBox sum
     2. no = 0
sum = 0
Do
   sum = sum + no
   no = no + 1
Loop While no <= 10
MsgBox sum
     3. no = 0
sum = 0
Do While no < 10
   sum = sum + no
   no = no + 1
Loop
MsgBox sum
     4. sum = 0
For no = 1 To 10
   sum = sum + no
Next
MsgBox sum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3번은 <10 가 아니라 <= 가 되어야한다
<10 은 10 이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ssr]

no = 0 ← no라는 이름의 변수에 0을 저장합니다.
sum = 0    ← sum이라는 번수에 0을 저장합니다.
Do While no<10 ← Do로 반복을 알리고 no변수 값이 10보다 작을때 까지만 반복됩니다.
sum=sum+no ← sum변수에 sum+no의 값을 저장합니다.
no=no+1 ← no변수에 no+1의 값을 저장합니다.
Loop ← 조건에 만족하지 못하면 다시 돌아가는 지점 입니다.
MsgBox sum ← 메시지 박스에 sum변수값을 출력합니다.

no 의 값이 0부터 no = no +1 이 처리됩니다.
no < 10은 no 값이 10 미만인 경우만 지행되므로 no는 10이 되지 않아 0 ~ 9까지의 합계를 구하게 됩니다.
no <= 10으로 처리해야만 10까지 합계가 구해집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0. 다음 중 아래 워크시트의 표와 표의 데이터를 이용한 차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표 전체를 원본 데이터로 사용하고 있다.
     2. 분기가 데이터 계열로 사용되고 있다.
     3. 세로 (값) 축의 축 서식에서 최소값을 ‘500’으로 설정 하였다.
     4. 차트의 종류는 표식이 있는 꺾은선형이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분기는 기본 가로축(=항목축)에서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앙큼상큼망고베리유_내일 컴활 1급 합격 고고씽]

영업1팀, 영업2팀이 '데이터 계열'이며 '1사분기'… 는 기본 가로축이다.
[해설작성자 : Raf Simons Girl]

41. 다음 중 Access의 보고서 개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고서는 테이블이나 쿼리의 내용을 화면이나 프린터로 인쇄하기 위한 개체이다.
     2. 보고서의 레코드 원본으로 테이블, 쿼리, SQL 문을 사용한다.
     3. 보고서에도 조건부 서식을 적용할 수 있다.
     4. 보고서의 컨트롤을 이용하여 레코드 원본으로 사용된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보고서는 폼과 동일하게 여러 유형의 컨트롤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으나
데이터 입력, 추가, 삭제 등의 작업은 불가하다
[해설작성자 : 넘 지겨워ㅜㅜㅜㅜㅜ]

보고서는 보려고 만들었기 때문에 '수정'은 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오늘 난 시험]

[보고서]
테이블이나 쿼리 등의 데이터를 요약 및 그룹화하여 출력하기 위한 개체입니다.
여러 컨트롤을 활용해 데이터를 표시 및 이벤트 프로시저 작성은 가능하나 데이터 입력, 추가 삭제 등은 불가합니다.
레코드 원본으로 테이블, 쿼리, SQL문 등을 지정하며 평균, 합계, 개수 등의 통계를 표시할 수 있고 외부 데이터 연결도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 중 아래의 SQL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객 테이블의 구조적인 변경이 발생한다.
     2. 취미 필드를 고객 테이블로부터 삭제한다.
     3. CASCADE는 해당 필드와 연관된 다른 테이블의 내용도 삭제하는 옵션이다.
     4. 고객 테이블이 수정되면 취미 테이블의 내용도 같이 수정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ALTER는 테이블을 변경한다는 명령어
DROP 은 테이블을 삭제한다는 명령어
CASCADE는 삭제된 행을 가르키는Foreign key(외래키)를 포함한 모든 행도 함께 삭제한다는 명령어 ( 연관된 것도 삭제한다)

즉 고객 테이블을 변경하여 취미뿐만 아니라 다른 것들도 삭제한다는 명령이 실행된다.
삭제하고만 관련한 명령어를 취하였으므로 고객의 테이블의 수정과는 무관하다
[해설작성자 : 걸어서 히늘까지]

ALTER문의 경우 테이블을 수정하는 것으로 '고객'테이블을 수정한다 입니다.
DROP은 테이블을 삭제하는 것으로 '취미' 테이블을 삭제한다가 됩니다.
DROP에서 CASCADE문은 다른 개체에서 참조 중일 때 참조하는 모든 개체들까지 모두 삭제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4번은 위의 SQL문과 관련이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3. 다음 중 DoCmd 개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로 옳지 않은 것은?
     1. Close
     2. Undo
     3. OpenForm
     4. Quit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액세스 개체에 대한 문제입니다.

Control : Requery, SetFocus, Undo, SizeToFit(메서드)
DoCmd : Close, Quit(종료), OpenForm(명령의 실행)
[해설작성자 : 뚜꾸]

Control : Requery (원본 데이터 갱신), SetFocus(포커스가 지정된 컨트롤로 옮김)
Undo (변경된 값을 원래대로 되돌림), SizeToFit(컨트롤 크기를 텍스트나 이미지에 맞게 조정)
[해설작성자 : ㅇ]

'Undo'의 경우 DoCmd 개체에서 사용할 수 없는 메서드로 '폼'이나 '컨트롤' 개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Undo]
폼(Form)이나 컨트롤(Control)에서 변경된 데이터를 취소하고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4. 다음 중 DBMS의 단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드웨어나 DBMS 구입 비용, 전산화 비용 등이 증가함
     2. DBMS와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조작할 수 있는 고급 프로그래머가 필요함
     3. 데이터를 통합하는 중앙 집중 관리가 어려움
     4. 데이터의 백업과 복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1) 운영비의 증대 : DBMS 는 고가의 소프트웨어 제품임. 컴퓨터 자원을 많이 사용함(메인 메모리)
2)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복잡화 : 응용 프로그램 작성시 여러 제한점을 가지게 되고 이는 응용프로그램 설계시간이 증가, 복잡, 기술적이 되야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3) 복잡한 백업과 회복 : 데이터베이스는 구조가 복잡하고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장애가 일어났을때 원인 파악이 쉽지 않다.    백업이나 회복에 있어서도 정교하지 않으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4) 시스템의 취약성 : 통합해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때문에 그 일부에 장애가 일어날 경우 전체 시스템이 정지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삼천동철주먹]

[추가 해설]
DBMS의 장점 : 중앙 집중 관리로 데이터의 불일치성을 제거
[해설작성자 : 코로나 땜에 시험취소...]

45. 다음 중 쿼리를 실행할 때마다 메시지 상자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조건 값을 입력받아 쿼리를 실행하는 유형은?
     1. 크로스탭 쿼리
     2. 매개 변수 쿼리
     3. 통합 쿼리
     4. 실행 쿼리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크로스탭 쿼리 = 테이블의 특정 필드의 요약값(합계, 개수, 평균 등)을 표시하는 쿼리
매개 변수 쿼리 = 실행할 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대화상자를 표시하는 쿼리
실행 쿼리 = 기존 테이블 내용을 수정(업데이트), 삭제, 추가 등의 작업을 통해 실제 자료를 변화시키는 쿼리
[해설작성자 : 합격!ㅜㅜ]

통합쿼리 = 성격이 유사한 두 개의 테이블이나 질의의 내용을 합쳐서 하나의 테이블로 만들기 위한 질의
[해설작성자 : 알빠여?]

[매개 변수 쿼리]
쿼리 실행 시 매개 변수를 입력받는 대화상자가 표시되는 쿼리입니다.
검색할 값이나 삽입할 값을 입력받아 쿼리를 수행하게되며 2가지 이상의 정보를 입력 받는 매개 변수 쿼리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매개 변수 대화상자에 표시할 텍스트는 ’[ ]‘와 같은 대괄호를 사용하여 적용할 필드의 조건에 작성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6. 다음 중 폼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트롤 마법사]를 이용하여 ‘폼 닫기’ 매크로를 실행시키는 명령 단추를 삽입할 수 있다.
     2. 폼 속성 시트에서 그림을 설정하면 폼의 배경 그림으로 표시된다.
     3. 사각형, 직선 등의 도형 컨트롤을 삽입할 수 있다.
     4. [그룹화 및 정렬] 기능으로 레코드를 그룹화하여 표시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보고서는 그룹화 및 정렬기능으로 레코드를 그룹화하여 표시할 수 있으나
폼은 그룹화 및 정렬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한 시간뒤 시험]

47. 다음 중 [속성 시트] 창에서 하위 폼의 제목(레이블)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형식] 탭의 ‘캡션’을 수정한다.
     2. [데이터] 탭의 ‘표시’를 수정한다.
     3. [이벤트] 탭의 ‘제목’을 수정한다.
     4. [기타] 탭의 ‘레이블’을 수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속성시트 창에서 하위폼의 제목레이블을 변경하려면 형식 탭의 캡션을 수정한다
[해설작성자 : 당연한소리]

48. 다음 중 보고서의 [페이지 설정] 대화상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열로 구성된 보고서를 인쇄할 때에는 [열] 탭에서 열의 개수와 행 간격, 열의 너비, 높이 등을 설정한다.
     2. [인쇄 옵션] 탭에서 보고서의 위쪽, 아래쪽, 왼쪽, 오른쪽 여백을 밀리미터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3. [페이지] 탭에서 보고서의 인쇄할 범위로 인쇄할 페이지를 지정할 수 있다.
     4. [인쇄 옵션] 탭의 ‘데이터만 인쇄’를 선택하여 체크 표시하면 컨트롤의 테두리, 눈금선 및 선이나 상자 같은 그래픽을 표시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페이지'탭
-용지 방향 ( 세로 또는 가로 선택)
-용지 (크기와 공급 방법 선택)
-프린터 (프린터 유형 선택)
[해설작성자 : 빈둥빈둥]

3. 인쇄할 범위로 인쇄할 페이지 지정은 [오피스 단추]-[인쇄]에서 ‘인쇄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나도 5시간 후 시험]

49. 다음 중 텍스트 상자 컨트롤의 [속성 시트] 창에 표시 되는 각 탭에서 설정 가능한 속성으로 옳은 것은?
     1. [형식] 탭 - 유효성 검사 규칙, 중복 내용 숨기기
     2. [이벤트] 탭 - IME 모드, 하이퍼링크
     3. [기타] 탭 - 상태 표시줄 텍스트, 탭 인덱스
     4. [데이터] 탭 - 데이터시트 캡션, 기본 값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유효성 검사규칙 : 데이터 탭
중복내용 숨기기 : 형식 탭
IME 모드 : 기타 탭
기본값 : 데이터탭
[해설작성자 : ㄴㄴ]

하이퍼링크 : 형식 탭
데이터시트 캡션 : 기타 탭
[해설작성자 : 삼시오끼]

형식탭: 형식, 소수자릿수, 표시, 특수효과, 텍스트맞춤, 줄간격, 열 개수, 열 너비, 중복내용 숨기기, 확장가능, 축소가능

데이터탭: 컨트롤원본, 기본값, 입력마스크, 유효성검사규칙, 사용가능, 잠금, 행원본유형, 행원본, 바운드열, 목록값만허용

기타/탭순서: 이름, IME모드, <enter>키기능, 상태표시줄텍스트, 컨트롤팁태스트, 탭정지, 탭인덱스, 여러항목선택
[해설작성자 : 합뽀]

유효성 검사 규칙 : 데이터 탭
중복 내용 숨기기 = 형식 탭(보고서에만 있음)
IME 모드 : 기타 탭(폼에만 있음)
하이퍼 링크 : 형식 탭
데이터시트 캡션 : 기타 탭
기본 값 : 데이터 탭(폼에만 있음)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0. 다음 중 테이블에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식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유효성 검사 규칙을 설정하여 필드에 입력되는 데이터 값의 범위를 설정한다.
     2. 입력 마스크를 이용하여 필드의 각 자리에 입력되는 값의 종류를 제한한다.
     3. 색인(index)을 이용하여 해당 필드에 중복된 값이 입력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4. 기본 키(Primary Key) 속성을 이용하여 레코드 추가 시 기본으로 입력되는 값을 설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4번 '기본키'가 아닌 '기본값' 속성
[해설작성자 : 아어렵다]

데이터베이스 설계자나 관리자는 여러 후보키 중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할 키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것이 기본키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청린]

기본 키 - 여러 후보키 중 선택한 주 키
기본 값 - 레코드 추가 시 기본으로 입력되는 값
[해설작성자 : 풍뎅이궁뎅이빤딱빤딱]

[기본 값]
새 레코드를 추가할 때 자동으로 기본(자동)으로 입력되는 값을 지정하는 속성입니다.

[기본키(Primary Key)]
후보키들 중에서 선택된 메인 키(Main Key)입니다.
한 릴레이션에서 특정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어야하며 NULL(정보의 부재)값을 가질 수 없습니다.
기본키로 정의된 속성에는 동일한 값이 중복되어 저장할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1. 다음 중 콤보 상자의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컨트롤 원본 : 목록으로 표시할 데이터를 SQL문이나 테이블명 등을 통해 지정한다.
     2. 행 원본 유형 : 목록으로 표시할 데이터 제공 방법을 ‘테이블/쿼리’, ‘값 목록’, '필드 목록' 중 선택한다.
     3. 바운드 열 : 선택한 항목에서 몇 번째 열을 컨트롤에 저장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4. 목록 값만 허용 : ‘예’로 설정하면 목록에 제공된 데이터 이외의 값을 추가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컨트롤 원본은 목록으로 표시할 데이터를 SQL문이나 필드명 등을 통해 지정할 수 있지만 테이블명으로는 지정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끼룩]

컨트롤 원본 : 해당 개체가 출력하는 값
[해설작성자 : 목요일이 시험이다]

컨트롤 원본에서 문자는 큰따옴표"" 필드명은 대괄호[]로 표시
[해설작성자 : 모두들 통과하세요]

52. 다음 중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정보 구조를 표현한 관계도(ERD)를 생성하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는?
     1. 데이터베이스 기획
     2. 개념적 설계
     3. 논리적 설계
     4. 물리적 설계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첫번째, 개념적 설계 - 클라이언트 요구사항 분석
두번째, 논리적 설계 - 테이블 구조로 표현
세번째, 물리적 설계 - 직접 생성, 하드웨어적인 사용계획..
핵심단어만 적었음..
[해설작성자 : 돌가리]

1.개념적 설계: 전체적인 구조
2.논리적 설계: 테이블구조로 표현
3.물리적 설계: 하드웨어적 관점

ERD : 데이터를 마치 현실세계의 개체들인 것처럼 표현
[해설작성자 : 광맨]

[개념적 설계(정보 모델링, 개념화)]
정보의 구조를 얻기 위하여 현실 세계의 무한성과 계속성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통신하기 위하여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스키마 모델링을 하고 요구 조건 명세를 E-R 다이어 그램으로 작성합니다.
개념적 스키마를 설계하며 스키마 모델링과 트랜잭션 모델링을 병행 수행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3. 다음 중 보고서 페이지 번호를 표시하는 컨트롤에 입력된 컨트롤 원본과 그 결과가 맞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것은? (단, 전체 페이지는 5페이지임, 순서대로 컨트롤 원본, 결과)

    

     1. ⓐ, ⓑ, ⓒ
     2. ⓑ, ⓒ, ⓓ
     3. ⓐ, ⓒ
     4. ⓑ, ⓓ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a. Page1/5
b. 1페이지
c. 1/5Page
[해설작성자 : 뀨짱]

d. 01
[해설작성자 : 군인입니다.]

a. "page" = 문구 그대로 page , [page] = 단수(1) , [pages] = 전체 페이지(5)
b. [page] = 단수(1) , "페이지" = 문자 그대로 페이지
c. 위 방식과 똑같이 도출
d. 형식을 "00"로 맞출 것. [page]=1 이므로 01이 도출됨.
[해설작성자 : 진짜 하기 싫다아아아]

[page] : 현재 페이지를 나타냅니다.
[pages] : 전체 페이지를 나타냅니다.
& = ampersand 는 and를 나타내는 기호로 연결 연산자라고도 합니다.
format = 함수로 format([입력값], [문자 형식]을 입력받습니다.

ⓐ 의 경우 page1/5 결과값이 나옵니다.
ⓑ 의 경우 1페이지 결과값이 나옵니다.
ⓒ 의 경우 1/5page 결과값이 나옵니다.
ⓓ 의 경우 01 결과값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4. [직원] 테이블의 ‘급여’필드는 데이터 형식이 숫자이고, 필드 크기가 정수(Long)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 중 ‘급여’ 필드에 입력 가능한 숫자를 백만원 이상, 오백만원 이하로 설정하기 위한 유효성 검사 규칙으로 옳은 것은?
     1. <= 1000000 Or <= 5000000
     2. >= 1000000 And <= 5000000
     3. >= 1000000, <= 5000,000
     4. 1,000,000 <= And <= 5,000,00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000000 이상, 5000000 이하 이기 때문에
or(또는) 이 아닌 And(1000000 이상이면서 5000000 이하 두조건 모두 만족) 연산자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데이터 형식이 숫자라고 했기 때문에 ',' 가 없는
>= 1000000 And <= 5000000 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오늘부터시작]

문제는 백만원 이상 오백만원 이하이므로 AND연산자를 사용해야 한다
1.or이기 때문에 백만원 이상이거나 오백만원 이하
3.,는 or이랑 같은 의미
4.부호는 숫자 앞에 와야한다
[해설작성자 : 떄려칠까 1000번째 고민중]

55. 다음 중 프로시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시저는 연산을 수행하거나 값을 계산하는 일련의 명령문과 메서드로 구성된다.
     2. 명령문은 대체로 프로시저나 선언 구역에서 한 줄로 표현되며 명령문의 끝에는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한다.
     3. 이벤트 프로시저는 특정 객체에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실행되나 다른 프로시저에서도 이를 호출하여 실행할 수 있다.
     4. Function 프로시저는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선언하고 End Function 문으로 함수를 끝낸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VBA 프로시저에서 사용하는 명령문은 한줄 이상으로도 가능하며
끝에 세미콜론을 찍어 구분하지 않습니다.

VBA는 비쥬얼 베이직 문법을 사용하며

끝에 세미콜론을 찍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C, C++, JAVA등에서 사용하는 형식입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6. 다음 중 특정 필드에 입력 마스크를 ‘09#L’로 설정 하였을 때의 입력 데이터로 옳은 것은?
     1. 123A
     2. A124
     3. 12A4
     4. 12AB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엑세스 사용자 지정 기호 설명
- 0: 숫자만 입력 가능(필수)
- 9: 숫자 또는 공백 입력 가능(선택)
- #: 숫자, 공백, 기호 입력 가능(선택)
- L: 영문자와 한글만 입력 가능(필수)
[해설작성자 : 우리 힘내요 ㅋㅋㅋ]

57. 다음 중 액세스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의 종류 -크기 - 특징에 대한 연결이 옳은 것은?
     1. 메모 - 65,535자 이내 - 참고나 설명과 같이 긴 문자열이나 문자열과 숫자의 조합
     2. 예/아니요 - 1바이트 - 두 값 중 하나만을 선택할 때 사용
     3. 통화 - 8비트 - 소수점 왼쪽으로 7자리, 오른쪽으로 4자리까지 표시 가능
     4. 숫자 - 2바이트 - 산술 계산에 이용되는 숫자 데이터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2. 예/아니요
-기본 필드 크기는 1비트
- yes/no, true/false, on/off등 두 값 중 하나만 입력하는 경우 사용하는 형식
3. 통화
- 8바이트
- 화폐 계산에 사용될 자료를 저장할 때 사용되는 형식,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지정함
4. 숫자
- 숫자 형식에는 바이트형(1Byte), 정수형(Integer, 2Byte), 정수형(Log, 4Byte), 실수형(Single, 4Byte), 실수형(Double, 8Byte)
- 산술 계산에 사용되는 각종 크기의 숫자를 입력 할 수 있는 형식, 숫자 형식에는
[해설작성자 : 하하]

예/아니오 = 두 값 중 하나만 입력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형식으로, 기본 필드의 크기는 1bit 입니다.
통화 = 화폐 계산에 사용될 자료를 저장할 때 사용되는 형식 기본 필드 8Byte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저장함
숫자 = 산술 계산에 사용되는 각종 크기의 숫자를 입력 할 수 있는 형식 <기본값 정수(Long)형>
(1Byte형, 정수형(Integer : 2Byte), 정수형(Long : 4Byte) 실수형(Single : 4Byte), 실수형(Dubble : 8Byte)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8. 다음 중 SELECT 문의 선택된 필드에서 중복 데이터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제외시키는 조건자로 옳은 것은?
     1. DISTINCT
     2. UNIQUE
     3. ONLY
     4. *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DISTINCT 가 중복제거 조건자 입니다.
* 은 모두
[해설작성자 : 오늘부터시작]

59. 사원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부서정보] 테이블과 실적 정보를 포함한 [사원정보] 테이블이 관계로 연결되어 있다. 다음 중 아래의 SQL문의 실행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부서에는 여러 사원이 있으며, 한 사원은 하나의 부서에 소속되는 1 대 다 관계임)

    

     1. 두 테이블에서 부서번호가 일치되는 레코드의 부서번호, 부서명, 번호, 이름, 실적 필드를 표시한다.
     2. [부서정보] 테이블의 레코드는 모두 포함하고, [사원정보] 테이블에서는 실적이 있는 레코드만 포함하여 결과를 표시한다.
     3. [부서정보] 테이블의 레코드는 [사원정보] 테이블의 부서번호와 일치되는 것만 포함하고, [사원정보] 테이블에서는 실적이 있는 레코드만 포함하여 결과를 표시한다.
     4. [부서정보] 테이블의 레코드는 [사원정보] 테이블의 부서번호와 일치되는 것만 포함하고, [사원정보] 테이블에서는 모든 레코드가 포함하여 결과를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 LEFT/RIGHT JOIN ~on 조건.
테이블1 LEFT JOIN 테이블2 on 조건 = 테이블1 모두 표시 + 조건에 맞는 테이블2 표시
테이블1 RIGHT JOIN 테이블2 on 조건 = 테이블2 모두 표시 + 조건에 맞는 테이블1 표시

가리키는 방향의 테이블을 모두 표시하고, 남은 테이블은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표시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힘내용]

[RIGHT(LEFT) JOIN]
오른쪽(왼쪽) 테이블에서는 모든 레코드를 포함하게 되고 왼쪽(오른쪽) 테이블에서는 조인된 필드가 일치하는 레코드만 쿼리에 포함 됩니다.
구조 : SELECT 필드 FROM 테이블1 RIGHT(LEFT) JOIN 테이블2 ON 테이블1.필드 = 테이블2.필드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60. 폼 바닥글에 [사원] 테이블의 '직급'이 '과장'인 레코드들의 '급여' 합계를 구하고자 한다. 다음 중 폼 바닥글의 텍스트 상자 컨트롤에 입력해야 할 식으로 옳은 것은?
     1. =DHAP("[사원]", "[급여]", "[직급]='과장'")
     2. =DHAP("[급여]", "[사원]", "[직급]='과장'")
     3. =DSUM("[사원]", "[급여]", "[직급]='과장'")
     4. =DSUM("[급여]", "[사원]", "[직급]='과장'")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필드 테이블 레코드 조건 순으로 입력되기 때문에
("[급여]" "[사원]" "[직급]"="과장")이 되어야함
[해설작성자 : 이 정도는 기본이다]

=DSUM("필드","도메인(테이블/쿼리)","조건")
필드-급여, 테이블-사원, 조건-직급"과장"
[해설작성자 : 이번에 꼭 붙자]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6월 27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컴퓨터활용능력, 컴활1급필기, 컴활1급,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히스토리 게시판 안내 좋은아빠되기 2025.08.28 2
92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 10월 18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4
91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 04월 19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3
90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3월 07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3
89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 02월 15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1
88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 10월 12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2
87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 08월 03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1
86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 05월 18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3
85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 02월 24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2
»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6월 27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2
83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 10월 07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1
82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 07월 01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2
81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10월 17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1
80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 05월 06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3
79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 02월 11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3
78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 09월 24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4
77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 03월 05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2
76 컴활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 07월 23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3
75 컴퓨터활용능력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 06월 25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3
74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 05월 14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3
73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 02월 19일(해설집 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08.29 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