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 현금 : 주화, 지폐를 말하며 당좌예금 , 보통예금이 있음(통화대용증권: 거래처가 발행한 당좌수표, 자기앞수표, 가계수표, 우편환증서, 만기도래 국.공사채이자표, 배당금지급통지표, 송금수표, 개인수표, 은행환어음, 일람출급어음 등 -현금성 자산 : 큰 거래비용 없이 현금으로 전환이 쉽고 이자율 변동에 딸 가치가 쉽게 변하지 않는 금융상품으로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인 것을 말함(예: ①취득 당시 만기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채권, ②취득 당시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이내인 상환우선주, ③취득 당시 3개월 이내에 환매조건인 환매채, ④초단기 수익증권(MMF포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
다음은 회계상 거래의 결합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①
2.
②
3.
③
4.
④
정답 : [
4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매입 전에 미리 지급한 계약금은 선급금(자산)으로서, “(선급금)자산의 증가-(현금)자산의 감소”가 올바른 표시이다.
3.
다음 중 일반기업회계기준에 의한 수익 인식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선적지 인도조건 재화의 판매:판매회사가 재화를 선적하는 시점
2.
상품권 판매:상품권을 판매한 시점
3.
위탁판매:수탁자가 제3자에게 판매한 시점
4.
할부판매:재화가 인도되는 시점
정답 : [
2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상품권 판매 시 여전히 A사는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제공할 의무가 있으므로, 상품권 판매 시점이 아니라 해당 재화나 용역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다음 중 감가상각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구축물
2.
기계장치
3.
차량운반구
4.
건설중인자산
정답 : [
4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건설중인 자산(완공 전) -> 감가상각 x 건설 완료 후(완공 시) -> 건물 (사용 가능한 때부터 감가상각) [해설작성자 : 한번에 끝]
<문제 해설> 제조간접원가 예정배부금액(예산)=예정배부율×실제조업도(작업시간) 이를 토대로 계산하면 10,000원/시간×200시간=2,000,000(원) 2백만 원을 예정배부하였고 200,000원만큼 과다하게 배부했으므로 실제 발생한 금액은 1,800,000원임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연슨생]
10.
㈜창현은 단일 제품을 대량 생산한다. 원재료는 공정 초기에 전량 투입되고, 가공비는 공정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발생한다. 당기 완성분 700개, 기말재공품은 300개(완성도 50%)이다. 다음 자료를 참조하여 선입선출법에 의한 가공비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