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7월)
가.
0.5
나.
1
다.
1.5
라.
2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면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내선규정 제2275절) 케이블을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지지점간 거리는 2M 이하, 수직으로 시설시 6M이하 새들 또는 스텝플로 지지.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1M이하마다 새들 또는 스템플로 지지. [해설작성자 : 도우밍]
케이블 지지점 간의 거리는 조영재의 수직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2[m] 이하 (단, 캡타이어 케이블 1[m]) 조영재의 수평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1[m] 이하 출처 - 전기기술이론1 영남검정연구회 p294 (5번) 문항 참조
전기설비 기술기준 213조에 의하면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 것.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도우밍님이 하신 내용도 약간 부족한게 있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 틀려서 작성함 필기 또 떨어지면 우짜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4번이라고 나와 있는데 답은 2번 입니다.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데 어느 수업듣는 분이 교수님께 이 문제에 대해 교수님 답이 틀린 거 아니냐고 물어봐서 답을 주셨는데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이런말이 문제에 나와있다면 수직 6m,수평 2m가 맞는데 문제에 그런말 자체가 안나와 있다면 수직 2m, 수평 1m가 맞다고 합니다 그러니 답은 2번 1m가 맞다고 합니다. 4번의 2m는 틀린 거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교수님의 답을 듣고 정답이 잘못된 거 같아 제보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학교선생님이 1m라고하십니다 [해설작성자 : 허민균]
[오류신고 반론] 하면, 측면 수평배선시 1m인데 수평배선이라는 말이 안나왔으니 2m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추가 오류 신고] 1m가 답인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추가 오류 신고] 합격하자 님, 그렇게 치면 수직배선 이라는 말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 이라고 써있으니 수평과 수직 둘 다 말하는게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문제 잘 읽으세요]
[오류신고 반론] 케이블 공사 - 케이블의 지지 (가) 케이블을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따라 지지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2M 이하로 하면서 클리트, 새들, 스테이플 등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단 케이블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는 6M 이하로 할 수 있다.) (나)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을 노출장소에서 조영재에 따라 시설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다음사항에 의한다. -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시설하는것 : 1m이하 -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 : 1m이하 - 케이블 상호 및 박스, 기구와의 접속개소 : 접속개소에서 0.3m이하 - 기타의 장소 : 2m이하
문제에서는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이라는 말이 안나와있으므로 (가)에 해당하는 2m이하가 정답입니다. 문제집- 20년최신판 전기기능사 필기 최근7년간 기출문제 참고.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오류신고 반론]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것 그래서 정답은 4번 2m 이다 어떤 교수고 선생님께서 잘 못알고 가르치셨네요 [해설작성자 : 삐삐]
43.
폭발성 분진이 있는 위험장소의 금속관 공사에 있어서 관 상호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분속품이나 풀발스 또는 전기기계기구는 몇 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시공하여야 하는가?(2008년 10월)
가.
2턱
나.
3턱
다.
4턱
라.
5턱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금속관 배선으로 할 경우 관 상호 및 관과 박스는 5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견고하게 접속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휴지]
기능사에선 5턱만 기억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하묭]
44.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에는 어떤 접지 공사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07월)
가.
제1종
나.
제2종
다.
제3종
라.
특별 제3종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접지공사 -제1종:피뢰기,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 -제2종:주상변압기 2차 -제3종:400V미만의 저압 기계 기구,네온변압기 외함 등 -특별 제3종:400V이상의 저압 기계기구의 외함 또는 수영장 물속 조명등 등 [해설작성자 : 수도일렉트릭하이스쿨]
실내 면적 100m2인 교실에 전광속이 2500lm인 40W 형광등을 설치하여 평균조도를 150lx로 하려면 몇 개의 등을 설치하면 되겠는가? (단, 조명률은 50%, 감광 보상률은 1.25로 한다.)(2016년 04월)
가.
15개
나.
20개
다.
25개
라.
30개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FUN = EAD F:광속, U:조명률, N:등의 수, E:조도, A:면적, D:감광 보상률(빛의 능력이 저하되는 것까지 고려하여 약간 크게 계산) N = EAD/FU = (150x100x1.25)/(2500x0.5) = 15(개) [해설작성자 : sung316]
설비에서 공식외우기 싫어 하시는 분.. 약간 억지스럽지만.. 공식은 "펀이다" FUN(펀)=EDA(이다) 공식을 필요없고 내용만 알면 되는데 광명수=조보면 ----------------- 광 : 광속 명 : 명률(조명률) 수 : 갯수 ----------------- 조 : 조도 보 : 보상률 면 : 면적 --------------- 이렇게 외우고 문제에서 하나씩 대입하시면 됩니다...제가 개인적으로 광명시 근처 살고..조보연 이라고 가족분이 계셔서.. 저는 이렇게 했네요^^ 일단 붙고 봅시다..! [해설작성자 : 고박사]
50.
금속 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절연피복의 단면적 포함)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몇 [%]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단, 전광표시장시ㆍ출퇴표시등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가 아니다.)(2010년 03월)
가.
20[%]
나.
40[%]
다.
60[%]
라.
80[%]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어회로 전선 50 기타 혼용일때는 20 -> 유사장치 및 제어회로등 배산이기 때문에 20 [해설작성자 : 모두들 화이팅]
51.
400V 미만인 저압 옥내배선을 가요전선관공사에 의한다고 할 때 전선관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단, 관의 길이는 4m를 초과한다고 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1월)
가.
제 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 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400V미만은 제3종 400V이상은 특3종 [해설작성자 : ㅇㅅㅇ]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52.
단선의 굵기가 6[mm2] 이하인 전선을 직선접속할 때 주로 사용하는 접속법은?(2013년 01월)
가.
트위스트 접속
나.
브리타니아 접속
다.
쥐꼬리 접속
라.
T형 커넥터 접속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는 단선의 직선 접속에서.. 트위스트 접속:가는 단선(단면적 6 이하)의 직선 접속 브라타니어 접속:10이상 굵은 단선의 접속 (단, 브라타니어의 접속선, 조인트선, 첨가선 또는 침선을 이용할때, 굵기는 1.0~1.2 연동 나선을 이용. [해설작성자 : 정확하게아세용]
53.
조명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4년 04월)
가.
적당한 조도일 것
나.
휘도 대비가 높을 것
다.
균등한 광속 발산도 분포일 것
라.
적당한 그림자가 있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조명을 설계 할 때에는 적당한 조도와 균등한 빛의 발산이 중요 합니다. 또한 조명설계 시에는 그림자가 아예 없을 수는 없기에 적당한 그림자가 이상적입니다. 휘도 대비가 높다는 것은 한 쪽은 밝고 한 쪽은 어두운 차이가 심하다는 것인데 전체적으로 균등하기 위해서는 휘도 대비가 낮아야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철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12㎜이상, 길이 0.9㎜ 이상의 아연 도금한 것을 사용한다.
라.
접지선과 접지극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땜하여 접속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접지선과 접지극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은으로 땜하여 접속한다. [해설작성자 : 너무 간단해서 다시 올림]
55.
펜치로 절단하기 힘든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하는 공구는?(2006년 07월)
가.
스패너
나.
프레셔 툴
다.
파이프 바이스
라.
클리퍼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절단하기 힘든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 : 클리퍼 [해설작성자 : 수훈]
56.
플로어덕트 공사에서 금속제 박스는 강판의 몇[㎜] 이상 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2011년 04월)
가.
2.0
나.
1.5
다.
1.2
라.
1.0
정답 : [
1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플로어 덕트는 2.0mm 이상의 강판을 사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플로어 덕트에 대해 더 알아보기- 바닥덕트 라고도 불리며 사무실 바닥에 있는 코드 같은거 보신적 있으실겁니다. 사용전압은 400V미만 이므로 제3종 입니다. [해설작성자 : 추가해설 수훈]
57.
접지전극의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인가?(2016년 01월)
가.
0.6
나.
0.65
다.
0.7
라.
0.75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접지는 75 cm입니다. m로 바꾸면 0.75m [해설작성자 : 인간]
이해하기 쉽게 설명. 우리나라 땅속에 겨울에 어는 깊이가 있는데 그걸 동결심도라고 하며 그 깊이가 0.75m. 즉 0.75cm이며 그 위로 하면 겨울에 땅속에 얼어있는 수분 등으로 인해 지락이 할생함. 옛날에 김장해서 김장용 큰 항아리 뭍으면 그게 75cm정도 된다고 하네요. 선조들의 지혜~
58.
화약고 등의 위험장소의 배선 공사에 전로의 대지 전압을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4월)
가.
300
나.
400
다.
500
라.
600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가연성, 폭발성 등의 위험 요소가 있는 곳의 공사는 공사를 하기위한 불빛(220V 전구)만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220V보다 높으면서 가장 낮은 전압인 300V 이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박건욱]
59.
차량, 기타 중량물의 하중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지중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매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2014년 01월)
가.
30cm 이상
나.
60cm 이상
다.
100cm 이상
라.
120cm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직접매설식 : 1.2[m] → 1[m] (중량에 의한 압력우려 없을 시 0.6[m]) ※ 직접매설식/관로식/암거식 모두 동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60.
저압 옥배내선 시설 시 캡타이어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4년 04월)
가.
1
나.
1.5
다.
2
라.
2.5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케이블 지지점 2m 캡 타이어 케이블 1m [해설작성자 : 광주공고]
외우기 쉽게 케이블은 2m인데 폐타이어 재생해서 쓰는 캡타이어는 약하니까 1m로 더 촘촘히~ [해설작성자 : 고박사]
케이블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7월)
가.
0.5
나.
1
다.
1.5
라.
2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면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내선규정 제2275절) 케이블을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지지점간 거리는 2M 이하, 수직으로 시설시 6M이하 새들 또는 스텝플로 지지.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1M이하마다 새들 또는 스템플로 지지. [해설작성자 : 도우밍]
케이블 지지점 간의 거리는 조영재의 수직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2[m] 이하 (단, 캡타이어 케이블 1[m]) 조영재의 수평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1[m] 이하 출처 - 전기기술이론1 영남검정연구회 p294 (5번) 문항 참조
전기설비 기술기준 213조에 의하면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 것.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도우밍님이 하신 내용도 약간 부족한게 있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 틀려서 작성함 필기 또 떨어지면 우짜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4번이라고 나와 있는데 답은 2번 입니다.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데 어느 수업듣는 분이 교수님께 이 문제에 대해 교수님 답이 틀린 거 아니냐고 물어봐서 답을 주셨는데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이런말이 문제에 나와있다면 수직 6m,수평 2m가 맞는데 문제에 그런말 자체가 안나와 있다면 수직 2m, 수평 1m가 맞다고 합니다 그러니 답은 2번 1m가 맞다고 합니다. 4번의 2m는 틀린 거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교수님의 답을 듣고 정답이 잘못된 거 같아 제보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학교선생님이 1m라고하십니다 [해설작성자 : 허민균]
[오류신고 반론] 하면, 측면 수평배선시 1m인데 수평배선이라는 말이 안나왔으니 2m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추가 오류 신고] 1m가 답인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추가 오류 신고] 합격하자 님, 그렇게 치면 수직배선 이라는 말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 이라고 써있으니 수평과 수직 둘 다 말하는게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문제 잘 읽으세요]
[오류신고 반론] 케이블 공사 - 케이블의 지지 (가) 케이블을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따라 지지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2M 이하로 하면서 클리트, 새들, 스테이플 등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단 케이블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는 6M 이하로 할 수 있다.) (나)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을 노출장소에서 조영재에 따라 시설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다음사항에 의한다. -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시설하는것 : 1m이하 -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 : 1m이하 - 케이블 상호 및 박스, 기구와의 접속개소 : 접속개소에서 0.3m이하 - 기타의 장소 : 2m이하
문제에서는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이라는 말이 안나와있으므로 (가)에 해당하는 2m이하가 정답입니다. 문제집- 20년최신판 전기기능사 필기 최근7년간 기출문제 참고.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오류신고 반론]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것 그래서 정답은 4번 2m 이다 어떤 교수고 선생님께서 잘 못알고 가르치셨네요 [해설작성자 : 삐삐]
43.
폭발성 분진이 있는 위험장소의 금속관 공사에 있어서 관 상호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분속품이나 풀발스 또는 전기기계기구는 몇 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시공하여야 하는가?(2008년 10월)
가.
2턱
나.
3턱
다.
4턱
라.
5턱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금속관 배선으로 할 경우 관 상호 및 관과 박스는 5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견고하게 접속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휴지]
기능사에선 5턱만 기억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하묭]
44.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에는 어떤 접지 공사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07월)
가.
제1종
나.
제2종
다.
제3종
라.
특별 제3종
정답 : [
1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접지공사 -제1종:피뢰기,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 -제2종:주상변압기 2차 -제3종:400V미만의 저압 기계 기구,네온변압기 외함 등 -특별 제3종:400V이상의 저압 기계기구의 외함 또는 수영장 물속 조명등 등 [해설작성자 : 수도일렉트릭하이스쿨]
실내 면적 100m2인 교실에 전광속이 2500lm인 40W 형광등을 설치하여 평균조도를 150lx로 하려면 몇 개의 등을 설치하면 되겠는가? (단, 조명률은 50%, 감광 보상률은 1.25로 한다.)(2016년 04월)
가.
15개
나.
20개
다.
25개
라.
30개
정답 : [
1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FUN = EAD F:광속, U:조명률, N:등의 수, E:조도, A:면적, D:감광 보상률(빛의 능력이 저하되는 것까지 고려하여 약간 크게 계산) N = EAD/FU = (150x100x1.25)/(2500x0.5) = 15(개) [해설작성자 : sung316]
설비에서 공식외우기 싫어 하시는 분.. 약간 억지스럽지만.. 공식은 "펀이다" FUN(펀)=EDA(이다) 공식을 필요없고 내용만 알면 되는데 광명수=조보면 ----------------- 광 : 광속 명 : 명률(조명률) 수 : 갯수 ----------------- 조 : 조도 보 : 보상률 면 : 면적 --------------- 이렇게 외우고 문제에서 하나씩 대입하시면 됩니다...제가 개인적으로 광명시 근처 살고..조보연 이라고 가족분이 계셔서.. 저는 이렇게 했네요^^ 일단 붙고 봅시다..! [해설작성자 : 고박사]
50.
금속 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절연피복의 단면적 포함)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몇 [%]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단, 전광표시장시ㆍ출퇴표시등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가 아니다.)(2010년 03월)
가.
20[%]
나.
40[%]
다.
60[%]
라.
80[%]
정답 : [
1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어회로 전선 50 기타 혼용일때는 20 -> 유사장치 및 제어회로등 배산이기 때문에 20 [해설작성자 : 모두들 화이팅]
51.
400V 미만인 저압 옥내배선을 가요전선관공사에 의한다고 할 때 전선관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단, 관의 길이는 4m를 초과한다고 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1월)
가.
제 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 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400V미만은 제3종 400V이상은 특3종 [해설작성자 : ㅇㅅㅇ]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52.
단선의 굵기가 6[mm2] 이하인 전선을 직선접속할 때 주로 사용하는 접속법은?(2013년 01월)
가.
트위스트 접속
나.
브리타니아 접속
다.
쥐꼬리 접속
라.
T형 커넥터 접속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는 단선의 직선 접속에서.. 트위스트 접속:가는 단선(단면적 6 이하)의 직선 접속 브라타니어 접속:10이상 굵은 단선의 접속 (단, 브라타니어의 접속선, 조인트선, 첨가선 또는 침선을 이용할때, 굵기는 1.0~1.2 연동 나선을 이용. [해설작성자 : 정확하게아세용]
53.
조명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4년 04월)
가.
적당한 조도일 것
나.
휘도 대비가 높을 것
다.
균등한 광속 발산도 분포일 것
라.
적당한 그림자가 있을 것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조명을 설계 할 때에는 적당한 조도와 균등한 빛의 발산이 중요 합니다. 또한 조명설계 시에는 그림자가 아예 없을 수는 없기에 적당한 그림자가 이상적입니다. 휘도 대비가 높다는 것은 한 쪽은 밝고 한 쪽은 어두운 차이가 심하다는 것인데 전체적으로 균등하기 위해서는 휘도 대비가 낮아야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철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12㎜이상, 길이 0.9㎜ 이상의 아연 도금한 것을 사용한다.
라.
접지선과 접지극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땜하여 접속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접지선과 접지극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은으로 땜하여 접속한다. [해설작성자 : 너무 간단해서 다시 올림]
55.
펜치로 절단하기 힘든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하는 공구는?(2006년 07월)
가.
스패너
나.
프레셔 툴
다.
파이프 바이스
라.
클리퍼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절단하기 힘든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 : 클리퍼 [해설작성자 : 수훈]
56.
플로어덕트 공사에서 금속제 박스는 강판의 몇[㎜] 이상 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2011년 04월)
가.
2.0
나.
1.5
다.
1.2
라.
1.0
정답 : [
1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플로어 덕트는 2.0mm 이상의 강판을 사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플로어 덕트에 대해 더 알아보기- 바닥덕트 라고도 불리며 사무실 바닥에 있는 코드 같은거 보신적 있으실겁니다. 사용전압은 400V미만 이므로 제3종 입니다. [해설작성자 : 추가해설 수훈]
57.
접지전극의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인가?(2016년 01월)
가.
0.6
나.
0.65
다.
0.7
라.
0.75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접지는 75 cm입니다. m로 바꾸면 0.75m [해설작성자 : 인간]
이해하기 쉽게 설명. 우리나라 땅속에 겨울에 어는 깊이가 있는데 그걸 동결심도라고 하며 그 깊이가 0.75m. 즉 0.75cm이며 그 위로 하면 겨울에 땅속에 얼어있는 수분 등으로 인해 지락이 할생함. 옛날에 김장해서 김장용 큰 항아리 뭍으면 그게 75cm정도 된다고 하네요. 선조들의 지혜~
58.
화약고 등의 위험장소의 배선 공사에 전로의 대지 전압을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4월)
가.
300
나.
400
다.
500
라.
600
정답 : [
1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가연성, 폭발성 등의 위험 요소가 있는 곳의 공사는 공사를 하기위한 불빛(220V 전구)만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220V보다 높으면서 가장 낮은 전압인 300V 이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박건욱]
59.
차량, 기타 중량물의 하중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지중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매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2014년 01월)
가.
30cm 이상
나.
60cm 이상
다.
100cm 이상
라.
120cm 이상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직접매설식 : 1.2[m] → 1[m] (중량에 의한 압력우려 없을 시 0.6[m]) ※ 직접매설식/관로식/암거식 모두 동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60.
저압 옥배내선 시설 시 캡타이어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4년 04월)
가.
1
나.
1.5
다.
2
라.
2.5
정답 : [
1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케이블 지지점 2m 캡 타이어 케이블 1m [해설작성자 : 광주공고]
외우기 쉽게 케이블은 2m인데 폐타이어 재생해서 쓰는 캡타이어는 약하니까 1m로 더 촘촘히~ [해설작성자 : 고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