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25479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 이론


1. 5[Ω], 10[Ω], 15[Ω]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하고 전압을 가하였더니 10[Ω]의 저항 양단에 30[V]의 전압이 측정 되었다. 이 회로에 공급되는 전전압은 몇 [V]인가?(2012년 07월)
     가. 30[V]
     나. 60[V]
     다. 90[V]
     라. 120[V]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0옴에 30V V=IR 30=I*10    I=3 (5*3)+(30)+(15*3) = 15+30+45 =90
[해설작성자 : 원]

I=V/R=30/10=3
V=IR=3×(R1+R2+R3)=3×30=90[V]

2. 저항 2Ω과 3Ω을 직렬로 접속했을 때의 합성컨덕턴스는?(2010년 07월)
     가. 0.2[℧]
     나. 1.5[℧]
     다. 5[℧]
     라. 6[℧]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컨덕턴스 G=1/R
합성저항
R=R1+R2
=2+3=5
G=1/5=0.2

컨덕턴스 G=1/R
합성저항
R은 R1+R2
=2+3=5
G=1/5
=2/10
=0.2[℧]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이수윤]

[추가 해설]
HOXY나 식으로 읽기 귀찮거나 어려운 분들을 위해 해설 추가해 놓습니다.

컨덕턴스는 저항의 역수 입니다. 그러니깐 저 위에 식처럼 (컨덕턴스=1/저항) 이렇게 되는 것이죠. HOXY나 전기에 대한 기초지식이 부족한 분들을 위한 추가 해설입니다.

쉽게 외우려면 모양을 보시면 됩니다. 컨덕턴스의 기호는 (옴)의 반대인 (모)입니다. 기호가 거꾸로니깐 역수를 취한다 이렇게 외우시면 간단합니다!
[해설작성자 : 경기공 주술사]

쉽게 2+3=5
컨덕턴스는 역수로 취해서 계산해야함
1/5=0.2
[해설작성자 : 내일 전기기능사 합격 기원]

3. 진공 중의 두 점전하 Q1(C), Q2(C)가 거리 r(m)사이에서 작용하는 정전력(N)의 크기를 옳게 나타낸 것은?(2014년 04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자석에서의 쿨롱의 법칙은 6.33*10^4 * m1m2/r제곱
[해설작성자 : 김김]

9×10^9=1/4×3.14×€

[추가 해설]
Q전하 나오면 이공식
F=9*10^9*Q1Q2/r^2 [N]

M자하 나오면 이공식
F=6.33*10^4*m1m2/r^2 [N]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이수윤 ]

4. 권수 200회의 코일에5A의 전류가 흘러서 0.025Wb의 자속이 코일을 지난다고 하면, 이 코일의 자체 인덕턴스는 몇 H 인가?(2007년 07월)
     가. 2
     나. 1
     다. 0.5
     라. 0.1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유도기전력(e)=N*자속/t = L*I/t => N*자속 = LI => 인덕턴스(L)=N*자속/I = 200*0.025/5= 5/5 = 1
[해설작성자 : 이광희]

5. 100V에서 5A가 흐르는 전열기에 120V를 가하면 흐르는 전류는?(2010년 10월)
     가. 4.1[A]
     나. 6.0[A]
     다. 7.2[A]
     라. 8.4[A]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I=V/R
100V 5A R=20
120V ?A R=20
?=6.0A
[해설작성자 : 알빠여]

전열기가 나오는 모든 문제는 저항값을 구해야하기 때문에 무조건 저항값을 구하면 됩니다.

저항값 R= V/I 로 저항값을 구하고 전류 공식인 I=V/R 를 이용하면 전열기 문제는 아주 쉽게 푸실 수 있습니다.

6. 0.02[㎌], 0.03[㎌] 2개의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할 때의 합성용량은 몇 [㎌] 인가?(2009년 03월)
     가. 0.05
     나. 0.012
     다. 0.06
     라. 0.016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콘덴서를 병렬연결하면 다 더하면 됨.
[해설작성자 : 손인성]

콘덴서
병렬일때는 다 더하면 되고
직렬일때는 곱/합 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업과학고 이수윤]

7. 자체 인덕턴스가 40mH와 90mH인 두 개의 코일이 있다. 두 코일 사이에 누설자속이 없다고 하면 상호 인덕턴스는?(2010년 10월)
     가. 50[mH]
     나. 60[mH]
     다. 65[mH]
     라. 130[mH]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상호인덕턴스 M=k루트L1×L2=루트40×90=60

[추가 해설]
M=K루트L1L2 에서 K값이 없다고 했으니 루트L1L2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박수훈]

8. 4×10-5 C과 6×10-5 C의 두 전하가 자유공간에 2m의 거리에 있을 때 그사이에 작용하는 힘은?(2014년 01월)
     가. 5.4 N, 흡입력이 작용한다.
     나. 5.4 N, 반발력이 작용한다.
     다. 7/9 N 흡인력이 작용한다.
     라. 7/9 N, 반발력이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쿨롱의 법칙사용

Q1=4x10^-5 Q2=6x10^-5 r=2

9x10^9xQ1xQ2/r^2[N]

=9×10^9 x 4x10^-5 x 6x10^-5 / 2^2
=5.4[N]
결과값이 +이므로 반발력이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나그네]

9×10^9×4×10^-5×6×10^-5÷2^2 =5.4
[해설작성자 : 안녕하세요 ]

두 전하가 같은 극성이르로 서로 반발력이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경북기계금속고]

9. 부하의 결선방식에서 Y 결선에서 △ 결선으로 변환 하였을 때의 임피던스는?(2011년 04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임피던스, 전류상에서 △ = 3Y 입니다 헷갈리지 마세용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Y ㅡ> (델타) 각 상의 3배
(델타)ㅡ> Y 뒤바뀌니까 각 상의 1/3
[해설작성자 :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오한길]

10. 1W·sec와 같은 것은?(2006년 07월)
     가. 1J
     나. 1F
     다. 1kca
     라. 860kWh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W.sce는 1초에 1w
1J은 초 단위+w 합쳐진겨
[해설작성자 : 아몰랑맞겠지]

11. 기전력이 V0 , 내부저항이 r[Ω]인 n개의 전지를 직렬 연결하였다. 전체 내부저항은 얼마인가?(2012년 04월)
     가. r/n
     나. nr
     다. r/n2
     라. nr2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내부저항 r[Ω], 전지 n개를 직렬로 접속하면 전체 내부저항 R=nr
[해설작성자 : 종로에서 전기배우는 학생]

직렬로 전지 연결시 전체 내부저항= R=nr
병렬 연결시 = R= r/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결선인 3상 유도 전동기의 상전압(Vp)과 상전류(Ip) 를 측정하였더니 각각 200[V], 30[A]이었다. 이 3상 유도 전동기의 선간전압(Vl)과 선전류(Il)의 크기는 각각 얼마인가? (2012년 04월)
     가. Vl = 200[V], Il = 30[A]
     나. Vl = 200√3[V], Il = 30[A]
     다. Vl = 200√3[V], Il = 30√3[A]
     라. Vl = 200[V], Il = 30√3[A]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결선일 때는 전압이 같기때문에 Vl = 200[V] 이고 전류는 선전류(Il)가 상전류(Ip) 보다 √3 만큼 크므로
답은 Vl = 200[V], Il = 30√3[A]
4번이다.
[해설작성자 : 짭박사]

13. Y결선에서 상전압이 220V이면 선간전압은 약 몇 V인가?(2006년 07월)
     가. 110
     나. 220
     다. 380
     라. 44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Y결선
선간전압=루트3×상전압
220×루트3=381이므로 답:380
[해설작성자 : Ji]

항상 상놈이 루트3만큼 낮다고 외웠습니다 ㅋㅋㅋ
선간전압:루트3상전압 (Y)
선간전류:루트3상전(델타)
[해설작성자 : 쿠쿠다스]

14. 200[V]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열기를 100[V]에서 사용하면 소비전력은 몇 [W]인가?(2008년 07월)
     가. 150
     나. 250
     다. 400
     라. 1000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r=v^2/p    200^2/1000=40 100v 소비전력 100^2/40=250
[해설작성자 : 므싯네]

15. 정상상태에서의 원자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6년 07월)
     가. 양성자와 전자의 극성은 같다.
     나. 원자는 전체적으로 보면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다. 원자를 이루고 있는 양성자의 수는 전자의 수와 같다.
     라. 양성자 1개가 지니는 전기량은 전자 1개가 지니는 전기량과 크기가 같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양성자는 +극을 가졌고 전자는 -극을 가졌죠. 아주 기본적인 문제이에요 틀리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덕배]

양성자 → +
전자     → -
[해설작성자 : 7/15 합격하길]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 양성자의 수는 1개이므로 전자의 수와 항상 같을 수가 없다
[해설작성자 : 니코철망]

[오류신고 반론]
위에 양성자수는 1개라 되어있는데 1개가 아닙니다 전자의 수와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킬러]

[오류신고 반론]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음. 따라서 원자핵은 1개이나 전자는 양성자수와 동일
[해설작성자 : 과객]

16. v=100√2·sin(120πt+π/4)[V], i=100sin(120πt+π/2)[A]인 경우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어떻게 되는가?(2006년 07월)
     가. π/2[rad] 만큼 앞선다.
     나. π/2[rad] 만큼 뒤진다.
     다. π/4[rad] 만큼 앞선다.
     라. π/4[rad] 만큼 뒤진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전압은 정현파 그래프에서 45도 앞선 상태이고, 전류는 90도 앞선 상태입니다. 90-45=45 위상차 45도는 맞지만, 전류가 더 먼저 출발하는 그래프이므로 답은 3번 전류가 π/4 앞선다입니다.
[해설작성자 : 징징이]

[추가]
전압은 45도 앞선 상태고 전류는 90도 앞선 상태입니다. 전류가 전압보다 45도 더 앞서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3번일 수 밖에 없습니다.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뿡빵씨]

전압은 +45, 전류는 +90이고 문제는 전류가 전압보다 어떻냐를 물어봤기때문에 3번 45도 앞선게 답이지요
[해설작성자 : 답을 남길때는 신중히]

17. 자기 저항의 단위는 어느 것인가?(2006년 10월)
     가. [AT/m]
     나. [AT]
     다. [H/m]
     라. [AT/Wb]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자기저항 공식
R=NI/Φ[AT/Wb]
=권수*전류/파이
R=l/μ0A[AT/Wb]
=길이/진공의 투자율*면적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이수윤]

18. 기본파의 3%인 제3고조파와 4%인 제5고조파, 1%인 제7고조파를 포함하는 전압파의 왜율은?(2011년 02월)
     가. 약 2.7[%]
     나. 약 5.1[%]
     다. 약 7.7[%]
     라. 약 14.1[%]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루트(3의제곱+4의제곱+1의제곱)=루트26입니다.
루트26=5.0990195135927848300282241090228 이므로 소수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5.1이됩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루트3^2+4^2+1^2=5.09901.... 약 5.1% 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정태]

정석 공식은 루트 각 고조파 제곱의 덧셈/기본고조파
기본일 경우 1로 보아서 분모가 1인 것입니다. 만약 다른게 주어지면 그걸 대입해서 풀어야함!
[해설작성자 : 추가설명맨]

19. 자기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횡축과 종축은 어느 것을 나타내는가?(2008년 10월)
     가. 자기장의 크기와 자속밀도
     나. 투자율과 자속밀도
     다. 투자율과 잔류자기
     라. 자기장의 크기와 보자력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종축(가로축)은 자속밀도를 나타내며,
횡축(세로축)은 자계의 세기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꿀꿀이]

종축(세로축)이 자속밀도이고 횡축(가로축)이 자기장의 크기 또는 세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천안공고 전기과]

20. 어떤 도체에 10[V]의 전위를 주었을 때 1[C]의 전하가 축적 되었다면 이 도체의 정전용량  C는?(2008년 02월)
     가. 0.1[㎌]
     나. 0.1[F]
     다. 0.1[pF]
     라. 10[F]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Q=CV
1=?*10
?=1/10 [F]
[해설작성자 : 동채]

2과목 : 전기 기기


21. 직류기의 손실 중 기계손에 속하는 것은?(2012년 04월)
     가. 풍손
     나. 와전류손
     다. 히스테리시스손
     라. 표유 부하손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직류기의 기계손=마찰손+베어링손+풍손
[해설작성자 : 꿀꿀이]

손실 - 고정손(무부하손),가변선(부하손)

고정손(무부하손) - 철손, 기계손
가변손(부하손) - 동손, 표루부하손

철손 - 와류손, 히스테리시스손
기계손 - 풍손, 마찰손

꼭 외우세요! CBT문제 풀면서 두번중 한번꼴로 자주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박수훈]

22. 단락비가 큰 동기 발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7월)
     가. 단락 전류가 크다.
     나.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다. 전기자 반작용이 크다.
     라. 공극이 크고 전압 변동률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단락비가 큰 기계 특징
(1)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2)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3) 전압 변동률이 작다.
(4) 안정도가 좋다.
(5) 공극이 크다.

쉬워 보이는 문제로 보이지만 위의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5개 항목을 숙지하지 않으면 절대풀수 없는 문제입니다.
저도 열심히 외우고 외우고 있으니 여러분도 꼭 숙지하셔야 됩니다.
[해설작성자 : 이광희]

저는 이렇게 암기했습니다
큰동전 =공정을 한 동전이 작다                
[해설작성자 : 김성용]

단락비가 크다 = 무조건 큰 게 좋은 거라고 생각하세요.
전류 등 좋은 건 크고 저항, 임피던스 등 방해되는 물질은 작은 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해바여]

[추가 해설]

1. 공극이 크다
2. 단락 전류가 크다
3. 안정도가 좋다
4.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5.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6. 전압 변동률이 작다.

앞글자를 따서 공단안은 크고 동전은 작다
[해설작성자 : YT]

23. 동기 전동기의 용도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가. 송풍기
     나. 압축기
     다. 크레인
     라. 분쇄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레인은 직류직권전동기가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jiye]

24. 3상 전원에서 2상 전원을 얻기 위한 변압기의 결선 방법은?(2011년 02월)
     가.
     나. Y
     다. V
     라. T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상-->6상 변환 : 포크결선
3상-->2상 변환 : 스코트결선
[해설작성자 : YD 더 크로스]

스코트(T) 결선은 3상에서 2상을 얻는 결선이다.
[해설작성자 : 부평공고 고인물]

25. 변압기의 1차 권회수 80회, 2차 권회수 320회 일 때 2차측의 전압이 100V이면 1차 전압(V)은?(2014년 07월)
     가. 15
     나. 25
     다. 50
     라. 10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권수비=V2/V1=320/80=4
1차측전압=2차측전압/권수비=100/4
[해설작성자 : 삼마고학생]

권수비 a = E1/E2 = N1/N2 = e1/e2 = V1/V2 = √(Z1/Z2) = √(R1/R2) = I2/I1 입니다.
권수비 a = N1/N2 = 80/320 = 0.25    
권수비 a = 0.25 = V1/V2 = V1/100
1차측 전압 = 권수비*2차측전압 = 0.25*100 = 25 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사 직업학교 학생]

비례식으로 풀면 쉽게 풀립니다

80:320 = x:100 으로 놓고
320x = 8000 이 되면
약분해서 x=25 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GLaDOS]

2차 권회수가 320이고    2차측 전압이 100볼트랍니다 문제에서 물어보는 건 1차측 전압인데 1차측 권회수는 80으로    2차측과 4배 차이가 나죠 따라서 2차측의 100볼트 나누기 4를 하면 25가 됩니다 엄청 쉽죠
[해설작성자 : 아는 척 하는 준영이]

26. 급정지 하는데 가장 좋은 제동법은?(2007년 07월)
     가. 발전제동
     나. 회생제동
     다. 단상제동
     라. 역전제동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역전제동은 전기자 회로의 극성을 반대로하여 발생하는 역토크를 이용하여 전동기를 급제동시키는방법
[해설작성자 : 2년째 전기 35개]

27. 동기발전기를 회전계자형으로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2014년 07월)
     가. 고전압에 견딜수 있게 전기자 권선을 절연하기가 쉽다.
     나. 전기자 단자에 발생한 고전압을 슬립링 없이 간단하게 외부회로에 인가할 수 있다.
     다. 기계적으로 튼튼하게 만드는데 용이하다.
     라. 전기자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에서는 전기자는 고정되어 있고 계자가 회전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jkh5.15]

28. 1차 전압 13200V, 무부하 전류 0.2A, 철손 100W일 때 여자 어드미턴스는 약 몇 [℧] 인가?(2010년 01월)
     가. 1.5 × 10-5[℧]
     나.  3 × 10-5[℧]
     다. 1.5 × 10-3[℧]
     라.  3 × 10-3[℧]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어드미턴스(Y)=임피던스(Z)의 역수
Z=V/I=13200/0.2
Y=0.2/13200=1.5x10^-5
[해설작성자 : 청주고생]

29. 어떤 변압기에서 임피던스 강하가 5[%]인 변압기가 운전중 단락되었을 때 그 단락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인가?(2014년 07월)
     가. 5
     나. 20
     다. 50
     라. 2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00/%Z=Is(단락전류)/In(정격정류)

단락전류/정격전류 = 단락비 = 100/%임피던스
Is/In = k = 100/%z
[해설작성자 : 전기 왜 만든거냐]

30.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가. 유도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나. 동기발전기의 용량이 같을 것
     다. 유도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라. 유도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은 유도 기전력의 크기, 위상, 주파수, 파형이 같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sung316]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1.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2.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3.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4.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것
5. 상회전 방향이 같을것
[해설작성자 : 서울북부기술교육원]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파)형, (크)기, (주)파수, (위)상 → 파크주위 라고 외우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2018 삼마고 1학년 여신]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 크위주파
크기가 다른 경우, 무효순환전류 발생
위상이 다른 경우, 유효순환전류 발생 (동기화 전류, 동기화력)
주파수가 다른 경우, 난조 발생
파형이 다른 경우, 고조파에 무효순환전류 발생

출력, 전류, 용량은 달라도 무방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주위파크 난동고무 로 외웠습니다

다른 경우
주파수 - 난조발생
위상차 - 동기화전류
파형 - 고조파 무효순환전류
크기 - 무효순환전류
[해설작성자 : .]

31.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 ns 회전속도 n 일때 슬립은?(2008년 02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유도기의 슬립은
        Ns - n                                동기속도-회전자속도
s=ㅡㅡㅡㅡㅡ    즉,     슬립=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입니다.
            Ns                                            동기속도
[해설작성자 : 대구일마고 (강신호)]

32. 변압기 명판에 나타내는 정격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6년 07월)
     가. 변압기의 정격출력 단위는 kW이다.
     나. 변압기 정격은 2차측을 기준으로 한다.
     다. 변압기의 정격은 용량, 전류, 전압, 주파수 등으로 결정된다.
     라. 정격이란 정해진 규정에 적합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win-q 문제집에 나오는 말로는 변압기의 정격출력은 [VA]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재민]

변압기의 출력은 [VA] 피상전력으로 나타냅니다.
부하의 용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상전력으로 계산해서 설치한다고 하더군요.
[해설작성자 : 불곰탱이]

33. 단상 전파 사이리스터 정류회로에서 부하가 큰 인덕턴스가 있는 경우, 점호각이 60° 일 때의 정류 전압은 약 몇 [V]인가?(단, 전원측 전압의 실효값은 100[V]이고 직류측 전류는 연속이다.)(2012년 04월)
     가. 141
     나. 100
     다. 85
     라. 45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단상전파 0.9 V
100V * 0.9V = 90V
90 * cos(60) = 45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자동차과]

단상반파 0.45
단상전파 0.9
3상반파 1.17
3상전파 1.35
외우세여
[해설작성자 : 광주자동화설비마이스터고 15기 화이팅!!]

34. 직류 전동기의 출력이 50kW, 회전수가 1800rpm일 때 토크는 약 몇 kg·m 인가?(2014년 04월)
     가. 12
     나. 23
     다. 27
     라. 31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T=9.55×P/N[N·m]=0.975×P/N[kg·m]
단위가 [kg·m]이므로 0.975×50×10^3/1800=27.08333···
[해설작성자 : 수원공고학생]

35. 직류 전동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1월)
     가. 직권전동기는 가변 속도 전동기이다.
     나. 분권전동기에서는 계자 회로에 퓨즈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 분권전동기는 정속도 전동기이다.
     라. 가동 복권전동기는 기동시 역회전할 염려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역회전할 염려가 있는 복권전동기는 차동복권전동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전기과 휴학생]

36. 변압기 절연내력 시험 중 권선의 층간 절연시험은?(2013년 04월)
     가. 충격전압 시험
     나. 무부하 시험
     다. 가압 시험
     라. 유도 시험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변압기는 유도 시험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캠프로육군으로]

변압기의 층간 절연을 시험하기 위하여 권선의 단자 사이에 정상 유도전압의 2배의 전압을 유도시키기 때문에 '유도절연시험'임

추가로 시험 시간은 (정격주파수/시험주파수)x120 임.
[해설작성자 : 현재]

37. 60[Hz] 3상 반파 정류 회로의 맥동 주파수 [Hz]는?(2008년 07월)
     가. 360
     나. 180
     다. 120
     라. 6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문제는 사람들이 일반적인 단상반파나 3상반파 구하는 걸로 오해하시고 0.45나 1.35를 곱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맥동 주파수가 함정입니다.
단상 반파 정류 f(전원주파수)그대로 사용
단상 전파 정류 2f(위에 문제 대입해보면 60*2)
3상 반파 정류 3f(60*3)
3상 전파 정류 6f(6*60)
[해설작성자 : 설명충]

38. 3[kW], 1500[rpm] 유도 전동기의 토크[N˙m]는 약 얼마인가?(2009년 07월)
     가. 1.91[Nㆍm]
     나. 19.1[Nㆍm]
     다. 29.1[Nㆍm]
     라. 114.6[Nㆍm]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T=P/w[N`m]
각속도 w=2파이(N/60)
기계적동력 P= EI
역기전력 E=(P/a)Z파이(N/60)
T=3000/2파이(1500/60)=19.09859317[N`m]
T=0.975(EI/N)=0.975(P/N)[kg`m]
[해설작성자 : 수험생]

이해가 잘안되어서
T=Pm/w(오메가)
W=2파이N/60
공식을 다시 대입하면
T=60×Pm÷2파이N
여기에 대입해서 풀면
60×3000÷2×3.14×1500
=19.1
[해설작성자 : 대산전기 조파도수험생]

T = 0.975 x P / N [Kg/m]
        0.975 x 3000/1500 =1.95
Kg/m --> N.m로 환산 9.8 X kg/m = N.m
        9.8 x 1.95 = 19.11[N.m]

[추가 해설]
ㅇ 토크 T = 0.975 * (P/N).    [Kg.m].     =. 9.55 *. (P/N).    [N.m]
    -    9.55 *. (3000 / 1500) =    19.1
[해설작성자 : 준비생. hyun]

39. 트라이악[TRIAC]의 기호는?(2011년 02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번-DIAC(교류제어용,쌍방향가능)
2번-SCR(1방향,역저지 3극 사이리스터)
3번-TRIAC(교류제어용,쌍방향가능)
[해설작성자 : 수원공고학생]

40. 교류 발전기의 동기 임피던스는 철심이 포화하면?(2009년 09월)
     가. 증가한다.
     나. 진동한다.
     다. 포화된다.
     라.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동기기에서 철심이 포화하면 동기 임피던스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박인범]

41. 피시 테이프(fish tape)의 용도는?(2010년 10월)
     가. 전선을 테이핑하기 위해서 사용
     나. 전선관의 끝마무리를 위해서 사용
     다. 전선관에 전선을 넣을 때 사용
     라. 합성수지관을 구부릴 때 사용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피시테이프: 전선관 전선 삽입 시 사용하는 평각 강철선
[해설작성자 : 최규현 전떨이]

피시테이프니까 전선관안쪽으로 낚싯줄 넣는다고 생각하고 하심 쉬워요
암기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진주기공 이동관]

42. 케이블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7월)
     가. 0.5
     나. 1
     다. 1.5
     라. 2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면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내선규정 제2275절)
케이블을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지지점간 거리는 2M 이하, 수직으로 시설시 6M이하 새들 또는 스텝플로 지지.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1M이하마다 새들 또는 스템플로 지지.
[해설작성자 : 도우밍]

케이블 지지점 간의 거리는
조영재의 수직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2[m] 이하 (단, 캡타이어 케이블 1[m])
조영재의 수평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1[m] 이하
출처 -    전기기술이론1    영남검정연구회 p294    (5번) 문항 참조

전기설비 기술기준 213조에 의하면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 것.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도우밍님이 하신 내용도 약간 부족한게 있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 틀려서 작성함 필기 또 떨어지면 우짜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4번이라고 나와 있는데 답은 2번 입니다.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데 어느 수업듣는 분이 교수님께 이 문제에 대해 교수님 답이 틀린 거 아니냐고 물어봐서 답을 주셨는데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이런말이 문제에 나와있다면 수직 6m,수평 2m가 맞는데 문제에 그런말 자체가 안나와 있다면 수직 2m, 수평 1m가 맞다고 합니다 그러니 답은 2번 1m가 맞다고 합니다. 4번의 2m는 틀린 거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교수님의 답을 듣고 정답이 잘못된 거 같아 제보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학교선생님이 1m라고하십니다
[해설작성자 : 허민균]

[오류신고 반론]
하면, 측면 수평배선시 1m인데 수평배선이라는 말이 안나왔으니 2m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추가 오류 신고]
1m가 답인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추가 오류 신고]
합격하자 님, 그렇게 치면 수직배선 이라는 말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 이라고 써있으니 수평과 수직 둘 다 말하는게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문제 잘 읽으세요]

[오류신고 반론]
케이블 공사
- 케이블의 지지
(가) 케이블을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따라 지지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2M 이하로 하면서 클리트, 새들, 스테이플 등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단 케이블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는 6M 이하로 할 수 있다.)
(나)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을 노출장소에서 조영재에 따라 시설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다음사항에 의한다.
-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시설하는것 : 1m이하
-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 : 1m이하
- 케이블 상호 및 박스, 기구와의 접속개소 : 접속개소에서 0.3m이하
- 기타의 장소 : 2m이하

문제에서는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이라는 말이 안나와있으므로 (가)에 해당하는 2m이하가 정답입니다.
문제집- 20년최신판 전기기능사 필기 최근7년간 기출문제 참고.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오류신고 반론]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것
그래서 정답은 4번 2m 이다 어떤 교수고 선생님께서 잘 못알고 가르치셨네요
[해설작성자 : 삐삐]

43. 폭발성 분진이 있는 위험장소의 금속관 공사에 있어서 관 상호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분속품이나 풀발스 또는 전기기계기구는 몇 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시공하여야 하는가?(2008년 10월)
     가. 2턱
     나. 3턱
     다. 4턱
     라. 5턱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금속관 배선으로 할 경우 관 상호 및 관과 박스는 5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견고하게 접속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휴지]

기능사에선 5턱만 기억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하묭]

44.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에는 어떤 접지 공사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07월)
     가. 제1종
     나. 제2종
     다. 제3종
     라. 특별 제3종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접지공사
-제1종:피뢰기,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
-제2종:주상변압기 2차
-제3종:400V미만의 저압 기계 기구,네온변압기 외함 등
-특별 제3종:400V이상의 저압 기계기구의 외함 또는 수영장 물속 조명등 등
[해설작성자 : 수도일렉트릭하이스쿨]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45. 합성수지제 전선관의 호칭은 관 굵기의 무엇으로 표시 하는가?(2013년 04월)
     가. 홀수인 안지름
     나. 짝수인 바깥지름
     다. 짝수인 안지름
     라. 홀수인 바깥지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합성수지관의 호칭은 관단의 짝수 안지름으로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꿀꿀이]

46. 사용전압이 440[V]인 3상 유도전동기의 외함접지 공사시 접지선의 굵기는 공칭단면적 몇[mm2] 이상의 연동선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2014년 01월)
     가. 2.5
     나. 6
     다. 10
     라. 16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각 공사의 접지선 굵기
1종접지공사 6[mm2]
2종접지공사 16(고압,저압변성일때는 6)[mm2]
3종접지공사 2.5[mm2]
특별3종접지공사 2.5[mm2]
[해설작성자 : 현재]

(2021년 변경된 KEC 규정에 따라서 종별 접지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47. 티탄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먼지가 쌓여진 상태에서 착화된 때에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 저압 옥내배선을 설치 하고자 한다. 알맞은 공사 방법은?(2012년 10월)
     가. 합성수지 몰드공사
     나. 라이팅 덕트공사
     다. 금속몰드공사
     라. 금속관공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폭발할 우려가 있는 분진이 있는 장소의 전기 배선공사
폭발할 우려가 있는 먼지가 착화되어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저압 옥내배선의 경우
금속관 공사와 케이블 공사를 시행한다.
[해설작성자 : 꿀꿀이]

48. 접지저항 측정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5년 07월)
     가. 절연 저항계
     나. 전력계
     다. 교류의 전압, 전류계
     라. 콜라우시 브리지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접지측정방법2가지 1)어스테스터 2)콜라우시브릿지.
[해설작성자 : 그르지마.]

절연저항 측정은 메거
[해설작성자 : 한국나노]

49. 실내 면적 100m2인 교실에 전광속이 2500lm인 40W 형광등을 설치하여 평균조도를 150lx로 하려면 몇 개의 등을 설치하면 되겠는가? (단, 조명률은 50%, 감광 보상률은 1.25로 한다.)(2016년 04월)
     가. 15개
     나. 20개
     다. 25개
     라. 30개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FUN = EAD     F:광속, U:조명률, N:등의 수, E:조도, A:면적, D:감광 보상률(빛의 능력이 저하되는 것까지 고려하여 약간 크게 계산)
N = EAD/FU = (150x100x1.25)/(2500x0.5) = 15(개)
[해설작성자 : sung316]

설비에서 공식외우기 싫어 하시는 분..
약간 억지스럽지만..
공식은 "펀이다" FUN(펀)=EDA(이다)
공식을 필요없고 내용만 알면 되는데
광명수=조보면
-----------------
광 : 광속
명 : 명률(조명률)
수 : 갯수
-----------------
조 : 조도
보 : 보상률
면 : 면적
---------------
이렇게 외우고 문제에서 하나씩 대입하시면 됩니다...제가 개인적으로 광명시 근처 살고..조보연 이라고 가족분이 계셔서..
저는 이렇게 했네요^^
일단 붙고 봅시다..!
[해설작성자 : 고박사]

50. 금속 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절연피복의 단면적 포함)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몇 [%]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단, 전광표시장시ㆍ출퇴표시등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가 아니다.)(2010년 03월)
     가. 20[%]
     나. 40[%]
     다. 60[%]
     라. 8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어회로 전선 50
기타 혼용일때는 20
-> 유사장치 및 제어회로등 배산이기 때문에 20
[해설작성자 : 모두들 화이팅]

51. 400V 미만인 저압 옥내배선을 가요전선관공사에 의한다고 할 때 전선관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단, 관의 길이는 4m를 초과한다고 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1월)
     가. 제 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 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400V미만은 제3종
400V이상은 특3종
[해설작성자 : ㅇㅅㅇ]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52. 단선의 굵기가 6[mm2] 이하인 전선을 직선접속할 때 주로 사용하는 접속법은?(2013년 01월)
     가. 트위스트 접속
     나. 브리타니아 접속
     다. 쥐꼬리 접속
     라. T형 커넥터 접속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는 단선의 직선 접속에서..
트위스트 접속:가는 단선(단면적 6 이하)의 직선 접속
브라타니어 접속:10이상 굵은 단선의 접속
(단, 브라타니어의 접속선, 조인트선, 첨가선 또는 침선을 이용할때, 굵기는 1.0~1.2 연동 나선을 이용.
[해설작성자 : 정확하게아세용]

53. 조명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4년 04월)
     가. 적당한 조도일 것
     나. 휘도 대비가 높을 것
     다. 균등한 광속 발산도 분포일 것
     라. 적당한 그림자가 있을 것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조명을 설계 할 때에는 적당한 조도와 균등한 빛의 발산이 중요 합니다.
또한 조명설계 시에는 그림자가 아예 없을 수는 없기에 적당한 그림자가 이상적입니다.
휘도 대비가 높다는 것은 한 쪽은 밝고 한 쪽은 어두운 차이가 심하다는 것인데 전체적으로 균등하기 위해서는 휘도 대비가 낮아야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고효율 등기구 채택
1.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택
3. 국부조명과 전반조명의 적절한 병용
4. 적당한 그림자를 가질것
5. 균일한 광속 발산도 분포일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접지극에 대한 설명 중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2006년 07월)
     가.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 0.7㎜이상, 면적 900cm2 편면 이상이어야 한다.
     나. 동봉, 동피복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8㎜이상, 길이 0.9㎜이상이어야 한다.
     다. 철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12㎜이상, 길이 0.9㎜ 이상의 아연 도금한 것을 사용한다.
     라. 접지선과 접지극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땜하여 접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접지선과 접지극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은으로 땜하여 접속한다.
[해설작성자 : 너무 간단해서 다시 올림]

55. 펜치로 절단하기 힘든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하는 공구는?(2006년 07월)
     가. 스패너
     나. 프레셔 툴
     다. 파이프 바이스
     라. 클리퍼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절단하기 힘든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 : 클리퍼
[해설작성자 : 수훈]

56.   플로어덕트 공사에서 금속제 박스는 강판의 몇[㎜] 이상 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2011년 04월)
     가. 2.0
     나. 1.5
     다. 1.2
     라. 1.0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플로어 덕트는 2.0mm 이상의 강판을 사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플로어 덕트에 대해 더 알아보기-
바닥덕트 라고도 불리며 사무실 바닥에 있는 코드 같은거 보신적 있으실겁니다.
사용전압은 400V미만 이므로 제3종 입니다.
[해설작성자 : 추가해설 수훈]

57. 접지전극의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인가?(2016년 01월)
     가. 0.6
     나. 0.65
     다. 0.7
     라. 0.75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접지는 75 cm입니다.
m로 바꾸면 0.75m
[해설작성자 : 인간]

이해하기 쉽게 설명.
우리나라 땅속에 겨울에 어는 깊이가 있는데 그걸 동결심도라고 하며
그 깊이가 0.75m. 즉 0.75cm이며 그 위로 하면 겨울에 땅속에 얼어있는 수분
등으로 인해 지락이 할생함. 옛날에 김장해서 김장용 큰 항아리 뭍으면 그게
75cm정도 된다고 하네요.    선조들의 지혜~

58. 화약고 등의 위험장소의 배선 공사에 전로의 대지 전압을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4월)
     가. 300
     나. 400
     다. 500
     라. 6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가연성, 폭발성 등의 위험 요소가 있는 곳의 공사는 공사를 하기위한 불빛(220V 전구)만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220V보다 높으면서 가장 낮은 전압인 300V 이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박건욱]

59. 차량, 기타 중량물의 하중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지중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매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2014년 01월)
     가. 30cm 이상
     나. 60cm 이상
     다. 100cm 이상
     라. 120cm 이상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직접매설식 : 1.2[m] → 1[m] (중량에 의한 압력우려 없을 시 0.6[m])
※ 직접매설식/관로식/암거식 모두 동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60. 저압 옥배내선 시설 시 캡타이어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4년 04월)
     가. 1
     나. 1.5
     다. 2
     라. 2.5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케이블 지지점 2m
캡 타이어 케이블 1m
[해설작성자 : 광주공고]

외우기 쉽게
케이블은 2m인데 폐타이어 재생해서 쓰는 캡타이어는
약하니까 1m로 더 촘촘히~
[해설작성자 : 고박사]

캡 타이어 케이블..1m    빈출문제네요. 캡(cap : 대장, 반장)이니까 1(일).. 이렇게 기억하는 것도...
[해설작성자 : 길위에서]


정 답 지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254791)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전기 이론


1. 5[Ω], 10[Ω], 15[Ω]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하고 전압을 가하였더니 10[Ω]의 저항 양단에 30[V]의 전압이 측정 되었다. 이 회로에 공급되는 전전압은 몇 [V]인가?(2012년 07월)
     가. 30[V]
     나. 60[V]
     다. 90[V]
     라. 120[V]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0옴에 30V V=IR 30=I*10    I=3 (5*3)+(30)+(15*3) = 15+30+45 =90
[해설작성자 : 원]

I=V/R=30/10=3
V=IR=3×(R1+R2+R3)=3×30=90[V]

2. 저항 2Ω과 3Ω을 직렬로 접속했을 때의 합성컨덕턴스는?(2010년 07월)
     가. 0.2[℧]
     나. 1.5[℧]
     다. 5[℧]
     라. 6[℧]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컨덕턴스 G=1/R
합성저항
R=R1+R2
=2+3=5
G=1/5=0.2

컨덕턴스 G=1/R
합성저항
R은 R1+R2
=2+3=5
G=1/5
=2/10
=0.2[℧]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이수윤]

[추가 해설]
HOXY나 식으로 읽기 귀찮거나 어려운 분들을 위해 해설 추가해 놓습니다.

컨덕턴스는 저항의 역수 입니다. 그러니깐 저 위에 식처럼 (컨덕턴스=1/저항) 이렇게 되는 것이죠. HOXY나 전기에 대한 기초지식이 부족한 분들을 위한 추가 해설입니다.

쉽게 외우려면 모양을 보시면 됩니다. 컨덕턴스의 기호는 (옴)의 반대인 (모)입니다. 기호가 거꾸로니깐 역수를 취한다 이렇게 외우시면 간단합니다!
[해설작성자 : 경기공 주술사]

쉽게 2+3=5
컨덕턴스는 역수로 취해서 계산해야함
1/5=0.2
[해설작성자 : 내일 전기기능사 합격 기원]

3. 진공 중의 두 점전하 Q1(C), Q2(C)가 거리 r(m)사이에서 작용하는 정전력(N)의 크기를 옳게 나타낸 것은?(2014년 04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자석에서의 쿨롱의 법칙은 6.33*10^4 * m1m2/r제곱
[해설작성자 : 김김]

9×10^9=1/4×3.14×€

[추가 해설]
Q전하 나오면 이공식
F=9*10^9*Q1Q2/r^2 [N]

M자하 나오면 이공식
F=6.33*10^4*m1m2/r^2 [N]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이수윤 ]

4. 권수 200회의 코일에5A의 전류가 흘러서 0.025Wb의 자속이 코일을 지난다고 하면, 이 코일의 자체 인덕턴스는 몇 H 인가?(2007년 07월)
     가. 2
     나. 1
     다. 0.5
     라. 0.1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유도기전력(e)=N*자속/t = L*I/t => N*자속 = LI => 인덕턴스(L)=N*자속/I = 200*0.025/5= 5/5 = 1
[해설작성자 : 이광희]

5. 100V에서 5A가 흐르는 전열기에 120V를 가하면 흐르는 전류는?(2010년 10월)
     가. 4.1[A]
     나. 6.0[A]
     다. 7.2[A]
     라. 8.4[A]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I=V/R
100V 5A R=20
120V ?A R=20
?=6.0A
[해설작성자 : 알빠여]

전열기가 나오는 모든 문제는 저항값을 구해야하기 때문에 무조건 저항값을 구하면 됩니다.

저항값 R= V/I 로 저항값을 구하고 전류 공식인 I=V/R 를 이용하면 전열기 문제는 아주 쉽게 푸실 수 있습니다.

6. 0.02[㎌], 0.03[㎌] 2개의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할 때의 합성용량은 몇 [㎌] 인가?(2009년 03월)
     가. 0.05
     나. 0.012
     다. 0.06
     라. 0.016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콘덴서를 병렬연결하면 다 더하면 됨.
[해설작성자 : 손인성]

콘덴서
병렬일때는 다 더하면 되고
직렬일때는 곱/합 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업과학고 이수윤]

7. 자체 인덕턴스가 40mH와 90mH인 두 개의 코일이 있다. 두 코일 사이에 누설자속이 없다고 하면 상호 인덕턴스는?(2010년 10월)
     가. 50[mH]
     나. 60[mH]
     다. 65[mH]
     라. 130[mH]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상호인덕턴스 M=k루트L1×L2=루트40×90=60

[추가 해설]
M=K루트L1L2 에서 K값이 없다고 했으니 루트L1L2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박수훈]

8. 4×10-5 C과 6×10-5 C의 두 전하가 자유공간에 2m의 거리에 있을 때 그사이에 작용하는 힘은?(2014년 01월)
     가. 5.4 N, 흡입력이 작용한다.
     나. 5.4 N, 반발력이 작용한다.
     다. 7/9 N 흡인력이 작용한다.
     라. 7/9 N, 반발력이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쿨롱의 법칙사용

Q1=4x10^-5 Q2=6x10^-5 r=2

9x10^9xQ1xQ2/r^2[N]

=9×10^9 x 4x10^-5 x 6x10^-5 / 2^2
=5.4[N]
결과값이 +이므로 반발력이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나그네]

9×10^9×4×10^-5×6×10^-5÷2^2 =5.4
[해설작성자 : 안녕하세요 ]

두 전하가 같은 극성이르로 서로 반발력이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경북기계금속고]

9. 부하의 결선방식에서 Y 결선에서 △ 결선으로 변환 하였을 때의 임피던스는?(2011년 04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임피던스, 전류상에서 △ = 3Y 입니다 헷갈리지 마세용
[해설작성자 : 전기 6번 떨어진 저력을 보여주지]

Y ㅡ> (델타) 각 상의 3배
(델타)ㅡ> Y 뒤바뀌니까 각 상의 1/3
[해설작성자 :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오한길]

10. 1W·sec와 같은 것은?(2006년 07월)
     가. 1J
     나. 1F
     다. 1kca
     라. 860kWh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1W.sce는 1초에 1w
1J은 초 단위+w 합쳐진겨
[해설작성자 : 아몰랑맞겠지]

11. 기전력이 V0 , 내부저항이 r[Ω]인 n개의 전지를 직렬 연결하였다. 전체 내부저항은 얼마인가?(2012년 04월)
     가. r/n
     나. nr
     다. r/n2
     라. nr2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내부저항 r[Ω], 전지 n개를 직렬로 접속하면 전체 내부저항 R=nr
[해설작성자 : 종로에서 전기배우는 학생]

직렬로 전지 연결시 전체 내부저항= R=nr
병렬 연결시 = R= r/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결선인 3상 유도 전동기의 상전압(Vp)과 상전류(Ip) 를 측정하였더니 각각 200[V], 30[A]이었다. 이 3상 유도 전동기의 선간전압(Vl)과 선전류(Il)의 크기는 각각 얼마인가? (2012년 04월)
     가. Vl = 200[V], Il = 30[A]
     나. Vl = 200√3[V], Il = 30[A]
     다. Vl = 200√3[V], Il = 30√3[A]
     라. Vl = 200[V], Il = 30√3[A]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결선일 때는 전압이 같기때문에 Vl = 200[V] 이고 전류는 선전류(Il)가 상전류(Ip) 보다 √3 만큼 크므로
답은 Vl = 200[V], Il = 30√3[A]
4번이다.
[해설작성자 : 짭박사]

13. Y결선에서 상전압이 220V이면 선간전압은 약 몇 V인가?(2006년 07월)
     가. 110
     나. 220
     다. 380
     라. 440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Y결선
선간전압=루트3×상전압
220×루트3=381이므로 답:380
[해설작성자 : Ji]

항상 상놈이 루트3만큼 낮다고 외웠습니다 ㅋㅋㅋ
선간전압:루트3상전압 (Y)
선간전류:루트3상전(델타)
[해설작성자 : 쿠쿠다스]

14. 200[V]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전열기를 100[V]에서 사용하면 소비전력은 몇 [W]인가?(2008년 07월)
     가. 150
     나. 250
     다. 400
     라. 1000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r=v^2/p    200^2/1000=40 100v 소비전력 100^2/40=250
[해설작성자 : 므싯네]

15. 정상상태에서의 원자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6년 07월)
     가. 양성자와 전자의 극성은 같다.
     나. 원자는 전체적으로 보면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다. 원자를 이루고 있는 양성자의 수는 전자의 수와 같다.
     라. 양성자 1개가 지니는 전기량은 전자 1개가 지니는 전기량과 크기가 같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양성자는 +극을 가졌고 전자는 -극을 가졌죠. 아주 기본적인 문제이에요 틀리면 안됩니다
[해설작성자 : 덕배]

양성자 → +
전자     → -
[해설작성자 : 7/15 합격하길]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3번 양성자의 수는 1개이므로 전자의 수와 항상 같을 수가 없다
[해설작성자 : 니코철망]

[오류신고 반론]
위에 양성자수는 1개라 되어있는데 1개가 아닙니다 전자의 수와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킬러]

[오류신고 반론]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음. 따라서 원자핵은 1개이나 전자는 양성자수와 동일
[해설작성자 : 과객]

16. v=100√2·sin(120πt+π/4)[V], i=100sin(120πt+π/2)[A]인 경우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어떻게 되는가?(2006년 07월)
     가. π/2[rad] 만큼 앞선다.
     나. π/2[rad] 만큼 뒤진다.
     다. π/4[rad] 만큼 앞선다.
     라. π/4[rad] 만큼 뒤진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전압은 정현파 그래프에서 45도 앞선 상태이고, 전류는 90도 앞선 상태입니다. 90-45=45 위상차 45도는 맞지만, 전류가 더 먼저 출발하는 그래프이므로 답은 3번 전류가 π/4 앞선다입니다.
[해설작성자 : 징징이]

[추가]
전압은 45도 앞선 상태고 전류는 90도 앞선 상태입니다. 전류가 전압보다 45도 더 앞서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3번일 수 밖에 없습니다.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뿡빵씨]

전압은 +45, 전류는 +90이고 문제는 전류가 전압보다 어떻냐를 물어봤기때문에 3번 45도 앞선게 답이지요
[해설작성자 : 답을 남길때는 신중히]

17. 자기 저항의 단위는 어느 것인가?(2006년 10월)
     가. [AT/m]
     나. [AT]
     다. [H/m]
     라. [AT/Wb]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자기저항 공식
R=NI/Φ[AT/Wb]
=권수*전류/파이
R=l/μ0A[AT/Wb]
=길이/진공의 투자율*면적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이수윤]

18. 기본파의 3%인 제3고조파와 4%인 제5고조파, 1%인 제7고조파를 포함하는 전압파의 왜율은?(2011년 02월)
     가. 약 2.7[%]
     나. 약 5.1[%]
     다. 약 7.7[%]
     라. 약 14.1[%]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루트(3의제곱+4의제곱+1의제곱)=루트26입니다.
루트26=5.0990195135927848300282241090228 이므로 소수 두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5.1이됩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하자]

루트3^2+4^2+1^2=5.09901.... 약 5.1% 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정태]

정석 공식은 루트 각 고조파 제곱의 덧셈/기본고조파
기본일 경우 1로 보아서 분모가 1인 것입니다. 만약 다른게 주어지면 그걸 대입해서 풀어야함!
[해설작성자 : 추가설명맨]

19. 자기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횡축과 종축은 어느 것을 나타내는가?(2008년 10월)
     가. 자기장의 크기와 자속밀도
     나. 투자율과 자속밀도
     다. 투자율과 잔류자기
     라. 자기장의 크기와 보자력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종축(가로축)은 자속밀도를 나타내며,
횡축(세로축)은 자계의 세기를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꿀꿀이]

종축(세로축)이 자속밀도이고 횡축(가로축)이 자기장의 크기 또는 세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천안공고 전기과]

20. 어떤 도체에 10[V]의 전위를 주었을 때 1[C]의 전하가 축적 되었다면 이 도체의 정전용량  C는?(2008년 02월)
     가. 0.1[㎌]
     나. 0.1[F]
     다. 0.1[pF]
     라. 10[F]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Q=CV
1=?*10
?=1/10 [F]
[해설작성자 : 동채]

2과목 : 전기 기기


21. 직류기의 손실 중 기계손에 속하는 것은?(2012년 04월)
     가. 풍손
     나. 와전류손
     다. 히스테리시스손
     라. 표유 부하손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직류기의 기계손=마찰손+베어링손+풍손
[해설작성자 : 꿀꿀이]

손실 - 고정손(무부하손),가변선(부하손)

고정손(무부하손) - 철손, 기계손
가변손(부하손) - 동손, 표루부하손

철손 - 와류손, 히스테리시스손
기계손 - 풍손, 마찰손

꼭 외우세요! CBT문제 풀면서 두번중 한번꼴로 자주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충북산과고 박수훈]

22. 단락비가 큰 동기 발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7월)
     가. 단락 전류가 크다.
     나.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다. 전기자 반작용이 크다.
     라. 공극이 크고 전압 변동률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단락비가 큰 기계 특징
(1)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2)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3) 전압 변동률이 작다.
(4) 안정도가 좋다.
(5) 공극이 크다.

쉬워 보이는 문제로 보이지만 위의 선생님께서 작성하신 5개 항목을 숙지하지 않으면 절대풀수 없는 문제입니다.
저도 열심히 외우고 외우고 있으니 여러분도 꼭 숙지하셔야 됩니다.
[해설작성자 : 이광희]

저는 이렇게 암기했습니다
큰동전 =공정을 한 동전이 작다                
[해설작성자 : 김성용]

단락비가 크다 = 무조건 큰 게 좋은 거라고 생각하세요.
전류 등 좋은 건 크고 저항, 임피던스 등 방해되는 물질은 작은 게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열심히해바여]

[추가 해설]

1. 공극이 크다
2. 단락 전류가 크다
3. 안정도가 좋다
4. 동기 임피던스가 작다
5. 전기자 반작용이 작다.
6. 전압 변동률이 작다.

앞글자를 따서 공단안은 크고 동전은 작다
[해설작성자 : YT]

23. 동기 전동기의 용도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가. 송풍기
     나. 압축기
     다. 크레인
     라. 분쇄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크레인은 직류직권전동기가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jiye]

24. 3상 전원에서 2상 전원을 얻기 위한 변압기의 결선 방법은?(2011년 02월)
     가.
     나. Y
     다. V
     라. T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3상-->6상 변환 : 포크결선
3상-->2상 변환 : 스코트결선
[해설작성자 : YD 더 크로스]

스코트(T) 결선은 3상에서 2상을 얻는 결선이다.
[해설작성자 : 부평공고 고인물]

25. 변압기의 1차 권회수 80회, 2차 권회수 320회 일 때 2차측의 전압이 100V이면 1차 전압(V)은?(2014년 07월)
     가. 15
     나. 25
     다. 50
     라. 100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권수비=V2/V1=320/80=4
1차측전압=2차측전압/권수비=100/4
[해설작성자 : 삼마고학생]

권수비 a = E1/E2 = N1/N2 = e1/e2 = V1/V2 = √(Z1/Z2) = √(R1/R2) = I2/I1 입니다.
권수비 a = N1/N2 = 80/320 = 0.25    
권수비 a = 0.25 = V1/V2 = V1/100
1차측 전압 = 권수비*2차측전압 = 0.25*100 = 25 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사 직업학교 학생]

비례식으로 풀면 쉽게 풀립니다

80:320 = x:100 으로 놓고
320x = 8000 이 되면
약분해서 x=25 가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GLaDOS]

2차 권회수가 320이고    2차측 전압이 100볼트랍니다 문제에서 물어보는 건 1차측 전압인데 1차측 권회수는 80으로    2차측과 4배 차이가 나죠 따라서 2차측의 100볼트 나누기 4를 하면 25가 됩니다 엄청 쉽죠
[해설작성자 : 아는 척 하는 준영이]

26. 급정지 하는데 가장 좋은 제동법은?(2007년 07월)
     가. 발전제동
     나. 회생제동
     다. 단상제동
     라. 역전제동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역전제동은 전기자 회로의 극성을 반대로하여 발생하는 역토크를 이용하여 전동기를 급제동시키는방법
[해설작성자 : 2년째 전기 35개]

27. 동기발전기를 회전계자형으로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2014년 07월)
     가. 고전압에 견딜수 있게 전기자 권선을 절연하기가 쉽다.
     나. 전기자 단자에 발생한 고전압을 슬립링 없이 간단하게 외부회로에 인가할 수 있다.
     다. 기계적으로 튼튼하게 만드는데 용이하다.
     라. 전기자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제작비용이 저렴하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회전계자형 동기발전기에서는 전기자는 고정되어 있고 계자가 회전하는 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jkh5.15]

28. 1차 전압 13200V, 무부하 전류 0.2A, 철손 100W일 때 여자 어드미턴스는 약 몇 [℧] 인가?(2010년 01월)
     가. 1.5 × 10-5[℧]
     나.  3 × 10-5[℧]
     다. 1.5 × 10-3[℧]
     라.  3 × 10-3[℧]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어드미턴스(Y)=임피던스(Z)의 역수
Z=V/I=13200/0.2
Y=0.2/13200=1.5x10^-5
[해설작성자 : 청주고생]

29. 어떤 변압기에서 임피던스 강하가 5[%]인 변압기가 운전중 단락되었을 때 그 단락전류는 정격전류의 몇 배인가?(2014년 07월)
     가. 5
     나. 20
     다. 50
     라. 2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100/%Z=Is(단락전류)/In(정격정류)

단락전류/정격전류 = 단락비 = 100/%임피던스
Is/In = k = 100/%z
[해설작성자 : 전기 왜 만든거냐]

30.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가. 유도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나. 동기발전기의 용량이 같을 것
     다. 유도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라. 유도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은 유도 기전력의 크기, 위상, 주파수, 파형이 같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sung316]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1.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2.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3. 기전력의 주파수가 같을 것
4. 기전력의 파형이 같을것
5. 상회전 방향이 같을것
[해설작성자 : 서울북부기술교육원]

동기 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파)형, (크)기, (주)파수, (위)상 → 파크주위 라고 외우시면 편합니다.
[해설작성자 : 2018 삼마고 1학년 여신]

동기발전기의 병렬운전 조건 : 크위주파
크기가 다른 경우, 무효순환전류 발생
위상이 다른 경우, 유효순환전류 발생 (동기화 전류, 동기화력)
주파수가 다른 경우, 난조 발생
파형이 다른 경우, 고조파에 무효순환전류 발생

출력, 전류, 용량은 달라도 무방합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주위파크 난동고무 로 외웠습니다

다른 경우
주파수 - 난조발생
위상차 - 동기화전류
파형 - 고조파 무효순환전류
크기 - 무효순환전류
[해설작성자 : .]

31.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 ns 회전속도 n 일때 슬립은?(2008년 02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유도기의 슬립은
        Ns - n                                동기속도-회전자속도
s=ㅡㅡㅡㅡㅡ    즉,     슬립=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입니다.
            Ns                                            동기속도
[해설작성자 : 대구일마고 (강신호)]

32. 변압기 명판에 나타내는 정격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6년 07월)
     가. 변압기의 정격출력 단위는 kW이다.
     나. 변압기 정격은 2차측을 기준으로 한다.
     다. 변압기의 정격은 용량, 전류, 전압, 주파수 등으로 결정된다.
     라. 정격이란 정해진 규정에 적합한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win-q 문제집에 나오는 말로는 변압기의 정격출력은 [VA]입니다
[해설작성자 : 김재민]

변압기의 출력은 [VA] 피상전력으로 나타냅니다.
부하의 용량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피상전력으로 계산해서 설치한다고 하더군요.
[해설작성자 : 불곰탱이]

33. 단상 전파 사이리스터 정류회로에서 부하가 큰 인덕턴스가 있는 경우, 점호각이 60° 일 때의 정류 전압은 약 몇 [V]인가?(단, 전원측 전압의 실효값은 100[V]이고 직류측 전류는 연속이다.)(2012년 04월)
     가. 141
     나. 100
     다. 85
     라. 45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단상전파 0.9 V
100V * 0.9V = 90V
90 * cos(60) = 45
[해설작성자 : 광주폴리텍자동차과]

단상반파 0.45
단상전파 0.9
3상반파 1.17
3상전파 1.35
외우세여
[해설작성자 : 광주자동화설비마이스터고 15기 화이팅!!]

34. 직류 전동기의 출력이 50kW, 회전수가 1800rpm일 때 토크는 약 몇 kg·m 인가?(2014년 04월)
     가. 12
     나. 23
     다. 27
     라. 31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T=9.55×P/N[N·m]=0.975×P/N[kg·m]
단위가 [kg·m]이므로 0.975×50×10^3/1800=27.08333···
[해설작성자 : 수원공고학생]

35. 직류 전동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1월)
     가. 직권전동기는 가변 속도 전동기이다.
     나. 분권전동기에서는 계자 회로에 퓨즈를 사용하지 않는다.
     다. 분권전동기는 정속도 전동기이다.
     라. 가동 복권전동기는 기동시 역회전할 염려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역회전할 염려가 있는 복권전동기는 차동복권전동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전기과 휴학생]

36. 변압기 절연내력 시험 중 권선의 층간 절연시험은?(2013년 04월)
     가. 충격전압 시험
     나. 무부하 시험
     다. 가압 시험
     라. 유도 시험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변압기는 유도 시험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캠프로육군으로]

변압기의 층간 절연을 시험하기 위하여 권선의 단자 사이에 정상 유도전압의 2배의 전압을 유도시키기 때문에 '유도절연시험'임

추가로 시험 시간은 (정격주파수/시험주파수)x120 임.
[해설작성자 : 현재]

37. 60[Hz] 3상 반파 정류 회로의 맥동 주파수 [Hz]는?(2008년 07월)
     가. 360
     나. 180
     다. 120
     라. 6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이문제는 사람들이 일반적인 단상반파나 3상반파 구하는 걸로 오해하시고 0.45나 1.35를 곱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맥동 주파수가 함정입니다.
단상 반파 정류 f(전원주파수)그대로 사용
단상 전파 정류 2f(위에 문제 대입해보면 60*2)
3상 반파 정류 3f(60*3)
3상 전파 정류 6f(6*60)
[해설작성자 : 설명충]

38. 3[kW], 1500[rpm] 유도 전동기의 토크[N˙m]는 약 얼마인가?(2009년 07월)
     가. 1.91[Nㆍm]
     나. 19.1[Nㆍm]
     다. 29.1[Nㆍm]
     라. 114.6[Nㆍm]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T=P/w[N`m]
각속도 w=2파이(N/60)
기계적동력 P= EI
역기전력 E=(P/a)Z파이(N/60)
T=3000/2파이(1500/60)=19.09859317[N`m]
T=0.975(EI/N)=0.975(P/N)[kg`m]
[해설작성자 : 수험생]

이해가 잘안되어서
T=Pm/w(오메가)
W=2파이N/60
공식을 다시 대입하면
T=60×Pm÷2파이N
여기에 대입해서 풀면
60×3000÷2×3.14×1500
=19.1
[해설작성자 : 대산전기 조파도수험생]

T = 0.975 x P / N [Kg/m]
        0.975 x 3000/1500 =1.95
Kg/m --> N.m로 환산 9.8 X kg/m = N.m
        9.8 x 1.95 = 19.11[N.m]

[추가 해설]
ㅇ 토크 T = 0.975 * (P/N).    [Kg.m].     =. 9.55 *. (P/N).    [N.m]
    -    9.55 *. (3000 / 1500) =    19.1
[해설작성자 : 준비생. hyun]

39. 트라이악[TRIAC]의 기호는?(2011년 02월)
     가.
     나.
     다.
     라.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번-DIAC(교류제어용,쌍방향가능)
2번-SCR(1방향,역저지 3극 사이리스터)
3번-TRIAC(교류제어용,쌍방향가능)
[해설작성자 : 수원공고학생]

40. 교류 발전기의 동기 임피던스는 철심이 포화하면?(2009년 09월)
     가. 증가한다.
     나. 진동한다.
     다. 포화된다.
     라.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동기기에서 철심이 포화하면 동기 임피던스는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박인범]

41. 피시 테이프(fish tape)의 용도는?(2010년 10월)
     가. 전선을 테이핑하기 위해서 사용
     나. 전선관의 끝마무리를 위해서 사용
     다. 전선관에 전선을 넣을 때 사용
     라. 합성수지관을 구부릴 때 사용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피시테이프: 전선관 전선 삽입 시 사용하는 평각 강철선
[해설작성자 : 최규현 전떨이]

피시테이프니까 전선관안쪽으로 낚싯줄 넣는다고 생각하고 하심 쉬워요
암기법입니다
[해설작성자 : 진주기공 이동관]

42. 케이블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에서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 거리는 몇 [m]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7월)
     가. 0.5
     나. 1
     다. 1.5
     라. 2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면에 따라 시설하는 경우(내선규정 제2275절)
케이블을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지지점간 거리는 2M 이하, 수직으로 시설시 6M이하 새들 또는 스텝플로 지지.

캡타이어 케이블 공사시, 조영재의 옆면 아래면 시설시 1M이하마다 새들 또는 스템플로 지지.
[해설작성자 : 도우밍]

케이블 지지점 간의 거리는
조영재의 수직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2[m] 이하 (단, 캡타이어 케이블 1[m])
조영재의 수평방향으로 시설할 경우 : 1[m] 이하
출처 -    전기기술이론1    영남검정연구회 p294    (5번) 문항 참조

전기설비 기술기준 213조에 의하면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 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 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 것.
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도우밍님이 하신 내용도 약간 부족한게 있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해설이 틀려서 작성함 필기 또 떨어지면 우짜지]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정답은 4번이라고 나와 있는데 답은 2번 입니다.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데 어느 수업듣는 분이 교수님께 이 문제에 대해 교수님 답이 틀린 거 아니냐고 물어봐서 답을 주셨는데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이런말이 문제에 나와있다면 수직 6m,수평 2m가 맞는데 문제에 그런말 자체가 안나와 있다면 수직 2m, 수평 1m가 맞다고 합니다 그러니 답은 2번 1m가 맞다고 합니다. 4번의 2m는 틀린 거라고 알려주셨습니다 교수님의 답을 듣고 정답이 잘못된 거 같아 제보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학교선생님이 1m라고하십니다
[해설작성자 : 허민균]

[오류신고 반론]
하면, 측면 수평배선시 1m인데 수평배선이라는 말이 안나왔으니 2m 아닌가요??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추가 오류 신고]
1m가 답인거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합격하고싶다]

[추가 오류 신고]
합격하자 님, 그렇게 치면 수직배선 이라는 말도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 이라고 써있으니 수평과 수직 둘 다 말하는게 아닐까요?
[해설작성자 : 문제 잘 읽으세요]

[오류신고 반론]
케이블 공사
- 케이블의 지지
(가) 케이블을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따라 지지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2M 이하로 하면서 클리트, 새들, 스테이플 등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단 케이블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는 6M 이하로 할 수 있다.)
(나)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을 노출장소에서 조영재에 따라 시설할 경우 지지 점간 거리는 다음사항에 의한다.
- 조영재 측면 또는 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시설하는것 : 1m이하
-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 : 1m이하
- 케이블 상호 및 박스, 기구와의 접속개소 : 접속개소에서 0.3m이하
- 기타의 장소 : 2m이하

문제에서는 단면적 10mm^2이하 케이블이라는 말이 안나와있으므로 (가)에 해당하는 2m이하가 정답입니다.
문제집- 20년최신판 전기기능사 필기 최근7년간 기출문제 참고.
[해설작성자 : 가자고오]

[오류신고 반론]
전선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에는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를 케이블은 2[m](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에는 6[m])이하 캡타이어 케이블은 1[m]이하로 하고 또한 그 피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붙일것
그래서 정답은 4번 2m 이다 어떤 교수고 선생님께서 잘 못알고 가르치셨네요
[해설작성자 : 삐삐]

43. 폭발성 분진이 있는 위험장소의 금속관 공사에 있어서 관 상호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분속품이나 풀발스 또는 전기기계기구는 몇 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시공하여야 하는가?(2008년 10월)
     가. 2턱
     나. 3턱
     다. 4턱
     라. 5턱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금속관 배선으로 할 경우 관 상호 및 관과 박스는 5턱 이상의 나사 조임으로 견고하게 접속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휴지]

기능사에선 5턱만 기억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하묭]

44. 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측에는 어떤 접지 공사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07월)
     가. 제1종
     나. 제2종
     다. 제3종
     라. 특별 제3종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접지공사
-제1종:피뢰기,특고압 계기용 변성기 2차
-제2종:주상변압기 2차
-제3종:400V미만의 저압 기계 기구,네온변압기 외함 등
-특별 제3종:400V이상의 저압 기계기구의 외함 또는 수영장 물속 조명등 등
[해설작성자 : 수도일렉트릭하이스쿨]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45. 합성수지제 전선관의 호칭은 관 굵기의 무엇으로 표시 하는가?(2013년 04월)
     가. 홀수인 안지름
     나. 짝수인 바깥지름
     다. 짝수인 안지름
     라. 홀수인 바깥지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합성수지관의 호칭은 관단의 짝수 안지름으로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꿀꿀이]

46. 사용전압이 440[V]인 3상 유도전동기의 외함접지 공사시 접지선의 굵기는 공칭단면적 몇[mm2] 이상의 연동선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2014년 01월)
     가. 2.5
     나. 6
     다. 10
     라. 16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각 공사의 접지선 굵기
1종접지공사 6[mm2]
2종접지공사 16(고압,저압변성일때는 6)[mm2]
3종접지공사 2.5[mm2]
특별3종접지공사 2.5[mm2]
[해설작성자 : 현재]

(2021년 변경된 KEC 규정에 따라서 종별 접지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이용 부탁 드립니다.)

47. 티탄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먼지가 쌓여진 상태에서 착화된 때에 폭발할 우려가 있는 곳에 저압 옥내배선을 설치 하고자 한다. 알맞은 공사 방법은?(2012년 10월)
     가. 합성수지 몰드공사
     나. 라이팅 덕트공사
     다. 금속몰드공사
     라. 금속관공사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폭발할 우려가 있는 분진이 있는 장소의 전기 배선공사
폭발할 우려가 있는 먼지가 착화되어 전기설비가 발화원이 될 우려가 있는 저압 옥내배선의 경우
금속관 공사와 케이블 공사를 시행한다.
[해설작성자 : 꿀꿀이]

48. 접지저항 측정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15년 07월)
     가. 절연 저항계
     나. 전력계
     다. 교류의 전압, 전류계
     라. 콜라우시 브리지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접지측정방법2가지 1)어스테스터 2)콜라우시브릿지.
[해설작성자 : 그르지마.]

절연저항 측정은 메거
[해설작성자 : 한국나노]

49. 실내 면적 100m2인 교실에 전광속이 2500lm인 40W 형광등을 설치하여 평균조도를 150lx로 하려면 몇 개의 등을 설치하면 되겠는가? (단, 조명률은 50%, 감광 보상률은 1.25로 한다.)(2016년 04월)
     가. 15개
     나. 20개
     다. 25개
     라. 30개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FUN = EAD     F:광속, U:조명률, N:등의 수, E:조도, A:면적, D:감광 보상률(빛의 능력이 저하되는 것까지 고려하여 약간 크게 계산)
N = EAD/FU = (150x100x1.25)/(2500x0.5) = 15(개)
[해설작성자 : sung316]

설비에서 공식외우기 싫어 하시는 분..
약간 억지스럽지만..
공식은 "펀이다" FUN(펀)=EDA(이다)
공식을 필요없고 내용만 알면 되는데
광명수=조보면
-----------------
광 : 광속
명 : 명률(조명률)
수 : 갯수
-----------------
조 : 조도
보 : 보상률
면 : 면적
---------------
이렇게 외우고 문제에서 하나씩 대입하시면 됩니다...제가 개인적으로 광명시 근처 살고..조보연 이라고 가족분이 계셔서..
저는 이렇게 했네요^^
일단 붙고 봅시다..!
[해설작성자 : 고박사]

50. 금속 덕트에 넣은 전선의 단면적(절연피복의 단면적 포함)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면적의 몇 [%]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단, 전광표시장시ㆍ출퇴표시등 기타 이와 유사한 장치 또는 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가 아니다.)(2010년 03월)
     가. 20[%]
     나. 40[%]
     다. 60[%]
     라. 80[%]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제어회로 전선 50
기타 혼용일때는 20
-> 유사장치 및 제어회로등 배산이기 때문에 20
[해설작성자 : 모두들 화이팅]

51. 400V 미만인 저압 옥내배선을 가요전선관공사에 의한다고 할 때 전선관에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단, 관의 길이는 4m를 초과한다고 한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7년 01월)
     가. 제 1종 접지공사
     나. 제2종 접지공사
     다. 제 3종 접지공사
     라. 특별 제3종 접지공사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400V미만은 제3종
400V이상은 특3종
[해설작성자 : ㅇㅅㅇ]

(2021년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하여 접지관련 문제는 출제되지 않습니다.)

52. 단선의 굵기가 6[mm2] 이하인 전선을 직선접속할 때 주로 사용하는 접속법은?(2013년 01월)
     가. 트위스트 접속
     나. 브리타니아 접속
     다. 쥐꼬리 접속
     라. T형 커넥터 접속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가는 단선의 직선 접속에서..
트위스트 접속:가는 단선(단면적 6 이하)의 직선 접속
브라타니어 접속:10이상 굵은 단선의 접속
(단, 브라타니어의 접속선, 조인트선, 첨가선 또는 침선을 이용할때, 굵기는 1.0~1.2 연동 나선을 이용.
[해설작성자 : 정확하게아세용]

53. 조명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2014년 04월)
     가. 적당한 조도일 것
     나. 휘도 대비가 높을 것
     다. 균등한 광속 발산도 분포일 것
     라. 적당한 그림자가 있을 것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조명을 설계 할 때에는 적당한 조도와 균등한 빛의 발산이 중요 합니다.
또한 조명설계 시에는 그림자가 아예 없을 수는 없기에 적당한 그림자가 이상적입니다.
휘도 대비가 높다는 것은 한 쪽은 밝고 한 쪽은 어두운 차이가 심하다는 것인데 전체적으로 균등하기 위해서는 휘도 대비가 낮아야겠죠?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고효율 등기구 채택
1. 고조도 저휘도 반사갓 채택
3. 국부조명과 전반조명의 적절한 병용
4. 적당한 그림자를 가질것
5. 균일한 광속 발산도 분포일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접지극에 대한 설명 중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2006년 07월)
     가. 동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 0.7㎜이상, 면적 900cm2 편면 이상이어야 한다.
     나. 동봉, 동피복강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8㎜이상, 길이 0.9㎜이상이어야 한다.
     다. 철봉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름 12㎜이상, 길이 0.9㎜ 이상의 아연 도금한 것을 사용한다.
     라. 접지선과 접지극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땜하여 접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접지선과 접지극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은으로 땜하여 접속한다.
[해설작성자 : 너무 간단해서 다시 올림]

55. 펜치로 절단하기 힘든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하는 공구는?(2006년 07월)
     가. 스패너
     나. 프레셔 툴
     다. 파이프 바이스
     라. 클리퍼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절단하기 힘든 굵은 전선을 절단할 때 사용 : 클리퍼
[해설작성자 : 수훈]

56.   플로어덕트 공사에서 금속제 박스는 강판의 몇[㎜] 이상 되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가?(2011년 04월)
     가. 2.0
     나. 1.5
     다. 1.2
     라. 1.0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플로어 덕트는 2.0mm 이상의 강판을 사용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플로어 덕트에 대해 더 알아보기-
바닥덕트 라고도 불리며 사무실 바닥에 있는 코드 같은거 보신적 있으실겁니다.
사용전압은 400V미만 이므로 제3종 입니다.
[해설작성자 : 추가해설 수훈]

57. 접지전극의 매설 깊이는 몇 m 이상인가?(2016년 01월)
     가. 0.6
     나. 0.65
     다. 0.7
     라. 0.75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접지는 75 cm입니다.
m로 바꾸면 0.75m
[해설작성자 : 인간]

이해하기 쉽게 설명.
우리나라 땅속에 겨울에 어는 깊이가 있는데 그걸 동결심도라고 하며
그 깊이가 0.75m. 즉 0.75cm이며 그 위로 하면 겨울에 땅속에 얼어있는 수분
등으로 인해 지락이 할생함. 옛날에 김장해서 김장용 큰 항아리 뭍으면 그게
75cm정도 된다고 하네요.    선조들의 지혜~

58. 화약고 등의 위험장소의 배선 공사에 전로의 대지 전압을 몇 V 이하이어야 하는가?(2011년 04월)
     가. 300
     나. 400
     다. 500
     라. 600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가연성, 폭발성 등의 위험 요소가 있는 곳의 공사는 공사를 하기위한 불빛(220V 전구)만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220V보다 높으면서 가장 낮은 전압인 300V 이하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박건욱]

59. 차량, 기타 중량물의 하중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지중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매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는?(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적용됨)(2014년 01월)
     가. 30cm 이상
     나. 60cm 이상
     다. 100cm 이상
     라. 120cm 이상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021년 개정된 KEC 규정]
직접매설식 : 1.2[m] → 1[m] (중량에 의한 압력우려 없을 시 0.6[m])
※ 직접매설식/관로식/암거식 모두 동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부 칙(제2020-659호, 2020. 12. 3)
제136조(지중 전선로의 시설)
④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는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60. 저압 옥배내선 시설 시 캡타이어 케이블을 조영재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따라 붙이는 경우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4년 04월)
     가. 1
     나. 1.5
     다. 2
     라. 2.5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케이블 지지점 2m
캡 타이어 케이블 1m
[해설작성자 : 광주공고]

외우기 쉽게
케이블은 2m인데 폐타이어 재생해서 쓰는 캡타이어는
약하니까 1m로 더 촘촘히~
[해설작성자 : 고박사]

캡 타이어 케이블..1m    빈출문제네요. 캡(cap : 대장, 반장)이니까 1(일).. 이렇게 기억하는 것도...
[해설작성자 : 길위에서]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254791)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기기능사, 기출문제, 전기,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552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5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50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88942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9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8 9급 국가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7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6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41574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545 9급 지방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4 수능(한국근ㆍ현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2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3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2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2 금속재료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1 9급 지방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40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8일)(825479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38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5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37 바리스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6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2
23536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35 컬러리스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34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23533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2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8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179 Next
/ 1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