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4425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사회복지 정책론


1. 선별주의 정책과 보편주의 정책의 특징을 옳게 연결한 것은?(2015년 01월)
     1. 선별주의 - 모든 국민 대상
     2. 선별주의 - 간편한 행정 업무
     3. 보편주의 - 빈곤의 덫 유발
     4. 보편주의 - 사회적 통합 효과
     5. 보편주의 - 사회적 낙인 유발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선별주의
ㅡ 공공부조제도
ㅡ 목표효율성이 높다.
ㅡ 사회통합에 불리
ㅡ 운영효율성이 낮다.
ㅡ 빈곤의 덫을 유발한다
ㅡ 낙인효과 발생
ㅡ 자산조사를 위한 복잡한 조사
2. 보편주의
ㅡ 시장실패
ㅡ 사회수당과 사회보험
ㅡ 사회통합에 유리
ㅡ 높은 운영 효율성
ㅡ 낙인효과가 거의 없다
ㅡ 소득 재분배 효과가 크지 않다
[해설작성자 : 파사랑 왕눈이]

2. 우리나라 사회복지제도 중에서 보편주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2019년 01월)
     1. 의료급여
     2. 생계급여
     3. 주거급여
     4. 실업급여
     5. 기초연금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공부조 (선별주의)-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급여, 생계급여, 주거급여
                                - 기초연금

사회보험 (보편주의): 고용보험: 실업급여(구작급여, 취업촉진수당(조기재취업수당, 직업능력개발수당, 광역구직활동비, 이주비)
[해설작성자 : 120바이트]

3. 1942년 베버리지보고서에서 구상한 복지국가 모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7년 01월)
     1. 빈곤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선별적 복지를 강조한다.
     2. 정액부담과 정액급여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3. 베버리지는 결핍(궁핍), 질병, 무지, 불결, 나태를 5대 악으로 규정한다.
     4. 정액부담의 원칙은 보험료의 징수와 관련한 행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 노령, 장애, 실업, 질병 등과 같은 사회적 위험들을 하나의 국민보험에서 통합적으로 운영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베버리지는 보편적 복지를 강조했다.
[해설작성자 : 이효]

4. 신빈민법(New Poor Law)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1832년 왕립위원회(Royal Commission)의 조사를 토대로 1834년에 제정되었다.
     2. 국가의 도움을 받는 사람의 처우는 스스로 벌어서 생활하는 최하위 노동자의 생활수준보다높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3. 원외구제를 인정하였다.
     4. 구빈행정체계를 통일시키고자 하였다.
     5. 빈민을 가치 있는 빈민과 가치 없는 빈민으로 분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원외구제는 길버트 법, 신빈민법에서는 원외구제를 금지하였다.
[해설작성자 : 쭌]

5. 베버리지 보고서에 나타난 사회보험체계의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소극 수준과 상관없이 동일한 부담료 부담.
동일한 급여를 제공한다면, 정액보험료○정액급여
[해설작성자 : 백두]

6. 평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보험료 수준에 따라 급여를 차등하는 것은 비례적 평등으로 볼 수 있다.
     2. 드림스타트(Dream Start) 사업은 기회의 평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공공부조의 급여는 산술적 평등을, 열등처우의 원칙은 비례적 평등을 반영하는 것이다.
     4.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영국의 국민보건서비스(NHS)는 결과의 평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 비례적 평등은 결과의 평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5. 비례적 평등과 결과의 평등은 다르다.
[해설작성자 : 피즈치자]

수량적 평등(결과의 평등)
- 가장 적극적인 평등으로서 모든 사람들을 똑같이 취급하여 사람들의 욕구나 능력의 차이에는 관계없이 사회적 자원을 똑같이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례적 평등
- 개인의 욕구, 노력, 능력, 기여에 따라 사회적 자원을 상이하게 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공평'이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비례적 평등과 결과의 평등은 다른 의미입니다.
[해설작성자 : 웃지]

7. 조지와 윌딩(George & Wilding)이 말한 '신우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970년대 후반부터 서구의 지식계와 정치계에는 국가활동을 비난하는 고정적 자유주의 부활 -> 신우파
신우파: 정부의 개입은 유해하다. 이상적 복지국가는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시장이 더 많은 역할을 수행,결과적 불평등을 옹호하는 입장
[해설작성자 : 인천대SSUM]

8. 빈곤의 기준을 정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전(全)물량 방식은 식료품비를 계산하고 엥겔수의 역을 곱해서 빈곤선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방식이다.
     2.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자 선정기준은 상대적 빈곤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3. 라이덴 방식은 상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4. 반물량 방식은 소득분배 분포 상에서 하위 10%나 20%를 빈곤한 사람들로 간주한다.
     5. 중위소득 또는 평균소득을 근거로 빈곤선을 측정하는 것은 절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빈곤측정방식은
1) 식료품비를 계산하고 엥겔수의 역을 곱해서 빈곤선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방식은 반물량 방식이다.
3) 라이덴 방식은 주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4) 소득분배 분포 상에서 하위 10%나 20%를 빈곤한 사람들로 간중하는 것은 상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5) 중위소득 또는 평균소득을 근거로 빈곤선을 측정하는 것은 상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여기는 왜 해설이 없는가]

전물량방식(라운트리 방식)은 식료품비를 포함한 모든 생활 필수품 목록과 양을 정하고, 그것을 구매하는 시장가격을 곱해서 생활비를 계측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사회복지사1급화이팅]

9.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급여가 아닌 것은?(2022년 01월)
     1. 요양급여
     2. 상병수당
     3. 유족급여
     4. 장례비
     5. 직업재활급여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상병급여: 실업급여
상병수당: 건강보험 부가급여
상병보상연금: 산업재해보상급여
[해설작성자 : 이번엔붙자]

10.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의료급여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100분의 50 이상으로 한다.
     2. 교육급여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100분의 40 이상으로 한다.
     3. “수급권자”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급여를 받는 사람을 말한다.
     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의 “보장기관”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기관을 말한다.
     5.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은 수급권자의 동의를 받아 수급권자에 대한 급여를 직권으로 신청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번. 중위소득의 100분의 40 이상임.
2번. 중위소득의 100분의 50 이상임.
3번. 수급자에 대한 설명임.
4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의 보장기관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급여를 실시하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해설작성자 : 나는 예비 사회복지사]

11. 복지국가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케인즈(J. M. Keynes) 경제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고용이 증가하면 소득이 증가하고, 소득이 증가하면 유효수요가 증가한다.
     2. 유효수요가 감소하면 경기불황을 가져오고, 소득이 감소한다.
     3. 저축이 증가하면 투자가 감소하고, 고용의 감소로 이어진다.
     4. 유효수요가 증가하면 경기호황을 가져와 투자의 증가로 이어진다.
     5. 소득이 증가하면 저축이 감소하고, 투자의 감소로 이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소득이 증가하면 투자도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베버리지(W. Beveridge)가 사회보장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 제시한 전제조건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베버리지 보고서
- 2차세계대전 전후 영국에서 부흥계획의 일환으로 전후에 사회보장제도를 실시할 것을 예상하여 사회보험과 관련된 관련서비스에 관한 조사 위원회를 실시
- 1942년 '사회보험과 관련서비스' 보고서 발간
-사회보장제도의 근간은 강제적 사회보험, 사회보험이 보장받지 못하면 공공부조, 이는 국가가 제공하는 사회보장의 목표로 국민최전선 달성에 두었다.
- 사회보험은 미래의 결핍에 대한 공약일뿐 불결,나태,무지,빈곤,질병(불나무빈질)까지 해결할 수 있지는 않다.
- 사회보장은 정부와 민간의 협력 하에 집행 되어야 한다.
★3가지 전제조건: 가족수당, 포괄적인 보건서비스. 완전고용★

▶6가지 전제조건
1)포괄성 원칙: "보편주의"에 근거, 모든 국미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보장 특성에 맞는 적용대상이나 욕구보장에 대한 포괄적인 범위가 있어야 함
2)급여적절성 원칙: 급여수준이 일생생활을 하는데 적절해야 함
3)정액갹출의 원칙: 소득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보험료를 납부해야 함
4)정액급여의 원칙: 소득이 달라도 동일한 급여를 받음
5)행정통일의 원칙: 효율성 차원에서 지방사무소를 둔 하나의 "사회보험금고"가 관리와 운영을 하고, 개인은 통일된 갹출료를 납부한다.
6)피보험자분류의 원칙: 사회보장 대상 인구를 취업연령을 중심으로 고용노동자, 자영업자, 전업주부, 임시직, 시간제 도동자 등으로 분류, 미취업연령을 기준으로 미성년자, 노인 등 두가지로 나누어 이들의 모든 욕구를 보장한다. 모든 인구층이 대상이다.

*1944년 사회보장청 설치
*영국 1945년 가족수당법, 1946년 산업재해법+국민보험법+국민보건서비스법
*1948년 아동법과 국민부조법 등 실시
*베버리지 보고서는 포괄적인 사회보장제도를 확립
*영국 뿐만 아니라 유럽 국가들에게 영향을 미쳐 복지국가의 청사진을 마련함.
[해설작성자 : 뽀로로]

13. 사회적 기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사회적 목적 달성을 위하여 시장에서 영리활동을 하는 조직이다.
     2. 사회적 기업에는 자활공동체, 협동조합, 사회적 회사 등이 있다.
     3. 사회적기업육성법 에 따라 사회적 기업을 인증한다.
     4. 사회적 기업은 사회복지사업법 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이다.
     5.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창출 방안의 하나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사회적기업육성법" 2007.1.3. 재정
1) 개념: 사회적 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사회 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으로서 인증받은 자를 말한다(법 제 2조)
[해설작성자 : 모두합격]

14. 국가가 주도적으로 사회복지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역선택
     2. 도덕적 해이
     3. 규모의 경제
     4. 능력에 따른 분배
     5. 정보의 비대칭

     정답 : []
     정답률 : 71%

15. 현물급여를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4%

16.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의 확대에 따른 정책변화를 분석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5%

17. 복지혼합경제(mixed economy of welfare)의 예가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시립사회복지관의 민간 위탁
     2.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적 기업 운영
     3. 바우처 방식을 이용한 보육서비스 제공
     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통합급여에서 개별급여로의 전환
     5. 노인장기요양보험을 활용한 노인요양병원 운영

     정답 : []
     정답률 : 65%

18.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보충성의 원칙에 기반하고 있다.
     2.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의 북한이탈주민과 그 가족은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에 속한다.
     3. 급여는 개별가구 단위로 실시하되,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개인 단위로 실시할 수 있다.
     4. 수급권자와 그 친족, 그 밖의 관계인은 관할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수급권자에 대한 급여를 신청할 수 있다.
     5. 생계급여는 수급자의 소득인정액 등을 고려하여 차등지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의 북한이탈주민과 그 가족은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고양이덕후]

19. 정책결정 이론모형과 설명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합리모형은 인간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주어진 상황을 고려해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는 정책결정 모형입니다.
2. 만족모형은 합리모형을 비판하면서 나타낸 모형인데요. 인간이 모든 상황을 다 고려할 수 없다(제한된 합리성)라는 가정으로 탐색된 대안 중 가장 만족스러운 대안을 선택한다는 정책결정 모형입니다.
3. 최적모형은 드롤이라는 학자가 주장한 것인데, 정책결정을 체계론적 시각에서 파악하고 정책성과를 최적화하려는 정책결정 모형입니다.
4. 점증모형은 인간의 비합리성을 전제로 초기에 집행한 정책을 조금씩 조금씩 수정해가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자 라는 정책결정 모형입니다
[해설작성자 : 인천대SSUM]

20. 우리나라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전자바우처 방식의 사회서비스는 2007년에 최초로 도입되었다.
     2.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도입으로 인해 공급자 지원방식에서 수요자 직접지원방식으로 전환이 가능해졌다.
     3. 2012년 4개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이 지정제에서 등록제로 전환되었다.
     4. 임신출산 진료비지원사업은 전자바우처 사회서비스사업 중 하나이다.
     5. 전자바우처 도입에 의한 지불ㆍ정산업무 전산화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서비스 행정부담이 대폭 증가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사회서비스 행정부담이 대폭 감소하였다.
[해설작성자 : 합격!]

21. 재분배와 파레토(Pareto) 효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파레토 개선이란 다른 사람들의 효용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어떤 사람들의 효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2. 파레토 효율의 정의상 소득재분배는 매우 효율적이다.
     3. 재분배를 통하여 빈곤층의 소득이 늘어나도 개인의 효용은 증가할 수 있다.
     4. 파레토 개선의 예로 민간의 자선활동을 들 수 있다.
     5. 파레토 효율은 완전경쟁시장에서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을 전제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파레토 효율의 정의는 사회 구성원 중 어느 누구의 효용을 줄이지 않고는 다른 사람의 효용을 늘릴 수 없는 상태로 자원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이다.
즉, 가장 적합한 배분 상태에서의 소득재분배는 매우 효율적이지 않다.
[해설작성자 : 유느저르]

22. 국민건강보험료 경감대상자를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65세 이상 노인이 있는 세대에 대해서 보험료를 경감해주고 있습니다.
경감 요건은 연간소득이 360만원 이하이며,
재산 과표금액 13,500만원 이하인 세대를 대상으로 10~30%를 경감합니다.
여기서 소득금액이라 함은 이자·배당·사업·근로·연금·기타소득이며
단, 연금소득 중 장애연금 및 유족연금은 제외됩니다.
아울러 경감적용은 소득금액과 재산과표 요건을 동시에 충족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지식IN by국민건강보험공단]

23. 최저임금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우리나라에서는 최저임금제가 2000년부터 실시되었다.
     2. 최저임금제는 정신장애로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은 사람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3.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에게 최저한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임금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4. 최저임금제는 저임금 근로자의 증가를 억제하는 장치로 작용할 수 있다.
     5. 최저임금제는 사회보장 급여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최저임금제는 1953년 제정된 「근로기준법」에 근거가 처음 마련되었으나 시행되지 못하였음.
이후 1986년 「최저임금법」이 제정되어 1988년부터 시행
[해설작성자 : 최저만 넘기자]

24. 사회보장 급여 중 현물급여가 아닌 것은?(2024년 01월)
     1.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요양급여
     2. 고용보험의 상병급여
     3.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급여
     4. 국민기초생활보장의 의료급여
     5. 국민건강보험의 건강검진

     정답 : []
     정답률 : 67%

25.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보험료 부담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각각 절반씩 부담한다.
     2. 5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3. 급여의 종류로는 요양급여, 구직급여 및 간병급여 등이 있다.
     4. 근로자의 고의ㆍ과실에 의해 발생한 부상ㆍ질병ㆍ장애도 업무상의 재해에 포함된다.
     5. 60세 이상인 부모 또는 조부모는 유족보상연금의 수급자격자가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전액 보험가입자(사업주) 부담
2. 2000년 이후 1인 이상 고용 사업장 해당
3. 구직급여는 해당 없음.
4. 고의나 과실은 적용 x (무과실책임원칙과 구분하세요)
5. 유족급여 대상자
     - 배우자
     - 부모 또는 조부모로서 각각 60세 이상인 자
     - 자녀 또는 손자녀로서 각각 19세 미만인 자
     - 형제자매로서 19세 미만이거나 60세 이상인 자
     - 위에 해당되지 않는 자녀, 부모, 손자녀, 조부모, 형제자매로서 「장해인복지법」 제2조에 따른 장애인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 장애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자(시각장애인인 경우 제3급인자도 해당됨)
[해설작성자 : ㅎ]

2과목 : 사회복지 행정론


26.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에서 공통적으로 중시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15년 01월)
     1. 합리성
     2. 지속성
     3. 참여성
     4. 목적성
     5. 현재지향성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기획은 미래지향성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27. 사회복지행정의 실행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2년 01월)

    

     1. ㄱ - ㄷ - ㄹ - ㅁ - ㄴ
     2. ㄷ - ㄱ - ㄹ - ㄴ - ㅁ
     3. ㄷ - ㄹ - ㅁ - ㄴ - ㄱ
     4. ㄹ - ㄴ - ㄷ - ㄱ - ㅁ
     5. ㄹ - ㄷ - ㄴ - ㄱ - 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ㄹ-ㄷ-ㄴ-ㄱ-ㅁ
기획-조직화-촉진-평가-환류
[해설작성자 : 남소엉국]

28.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ㄱ: 직원, ㄴ: 책임, ㄷ: 직원, ㄹ: 과업
     2. ㄱ: 관리자, ㄴ: 책임, ㄷ: 직원, ㄹ: 참여
     3. ㄱ: 관리자, ㄴ: 과업, ㄷ: 관리자, ㄹ: 참여
     4. ㄱ: 직원, ㄴ: 과업, ㄷ: 직원, ㄹ: 과업
     5. ㄱ: 직원, ㄴ: 과업, ㄷ: 관리자, ㄹ: 참여

     정답 : []
     정답률 : 84%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조직이론은?(2018년 01월)

    

     1.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이론
     2. 신제도(New Institutional)이론
     3. 과학적 관리(Scientific Managemet)이론
     4. 의사결정(Decision-Making)이론
     5. 조직군생태(Organizational Ecology)이론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조직환경에 적응하는 방식에 대한 조직이론>
-상황적합이론: 불확실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불확실성을 줄이고 환경 특성에 적합한 조직 구조를 갖출 수 있다고 주장.
-조직군생태이론: 변이(Variation), 선택(Selection), 보전(Retention)의 조직변동과정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악.
-정치경제이론: 외부환경적 요소가 조직의 내부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조직 내부의 권력관계와 조직 외부의 이익집단 간의 역학관계에 의해 영향.
-(신)제도이론: 제도적 환경을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원천으로 간주하여 조직이 제도적 규칙을 받아들이며 수용하는 것으로 보는 것.
[해설작성자 : 보이지마]

30. 책임성이 있는 관리자의 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해집단에 대하여 정확하게 파악한다.
     2. 클라이언트 집단의 관점이 배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개별 서비스제공자의 활동을 통제하지 않는다.
     4. 조직 내 서비스 제공자의 업무수행을 파악한다.
     5. 동원된 자원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공개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31. 현대조직운영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1월)
     1.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중복사업을 통합하여 조직 경쟁력 확보
     2.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업무시간을 간소화시켜 서비스 시간 단축
     3. 벤치마킹(benchmarking): 특수분야에서 우수한 대상을 찾아 뛰어난 부분 모방
     4. 아웃소싱(outsourcing): 계약을 통해 외부전문가에게 조직기능 일부 의뢰
     5.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 card): 공정한 직원채용을 위해서 만든 면접평가표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균형 성과표는 공정한 직원평가를 위해서 성과평가를 위한 균형적인 기준을 둔 성과 평가표이다.
[해설작성자 : 나혼자푼다]

32. 1950년대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외국민간원조기관협의회(KAVA, Korea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는 구호물자의 배분을 중심으로 사회복지행정 활동을 하였다.
     2. KAVA는 구호 활동과 관련된 조직관리 기술을 도입했다.
     3. 사회복지기관들은 수용ㆍ보호에 바탕을 둔 행정관리 기술을 사용하였다.
     4. KAVA는 서비스 중복, 누락, 서비스 제공자 간의 협력체계 구축에 초점을 두었다.
     5. KAVA는 지역사회 조직화나 공동체 형성을 위한 조직관리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KAVA는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전쟁 난민 및 고아를 돕기 위한 시설보호 사업을 비롯해 보건사업, 교육, 지역개발사업, 전문 사회복지사업 등을 전개
하지만 지역사회 조직화나 공동체 형성을 위한 활동 전개 X
[해설작성자 : 의문의합격기원]

33. 허츠버그(F.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에 따른 동기유발요인에 해당하는 것은?(2025년 01월)
     1. 성취에 대한 인정(recognition)
     2. 기술적 감독(technical supervision)
     3. 급여(salary)
     4. 근로조건(working condition)
     5. 인간관계(interpersonal relations)

     정답 : []
     정답률 : 81%

34. 동기부여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인간관계이론: 구성원들 간에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는 조직은 생산성이 높다.
     2. 동기-위생이론: 책임성이나 성취에 대한 인정은 동기유발요인에 해당된다.
     3. Z이론: 인간은 통제와 강제의 대상이다.
     4. Y이론: 인간은 자율성과 창조성을 지닌다.
     5. 성취동기이론: 인간의 동기부여 욕구를 권력욕구, 친화욕구, 성취욕구로 구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인간을 통제와 강제의 대상으로 보는 이론은 x이론이다.
[해설작성자 : ㅇㄱㅎㄱㅇㅅㅁ]

z이론 : 관리자가 분위기만 조성하는 자율적인 분위기 강조
[해설작성자 : 수락산 김세국]

35. 다음에 해당하는 리더십 유형은?(2021년 02월)

    

     1. 지시적 리더십
     2. 참여적 리더십
     3. 방임적 리더십
     4. 과업형 리더십
     5. 위계적 리더십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리더십의 유형
- 참여적 리더십 : 민주적 리더십으로 성원들의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한다. 장점으로는 동기부여, 사명감 향상, 정보교환 촉진이 있고, 단점으로는 시간소요, 책임분산으로 효율성과 활동성이 떨어진다.
- 지시적 리더십 : 독선적 리더십으로 명령과 복족을 강조한다. 장점으로는 통제, 조정, 정책집행의 일관성, 신속한 결정이있고, 단점으로는 직원들의 사기 저하, 적대감, 소외감, 경직성을 유발한다.
[해설작성자 : 당당몬]

36. 총체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Manag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욕구조사 실시
     2. 기획 단계부터 서비스 품질을 고려
     3. 서비스의 변이(variation) 가능성을 예방하는 노력
     4. 최고 관리자를 품질의 최종 결정자로 간주
     5. 투입과 과정에 대한 지속적 개선 노력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품질의 최종 결정자는 고객
[해설작성자 : 웃지]

37. 직무를 통한 연수(OJ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ㄱ,ㄹ은 Off-JT방식이며
ㄴ,ㄷ이 OJT이다
[해설작성자 : 내사랑이옹심]

38. 인사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직무분석 이전에 직무명세서와 직무기술서를 작성한다.
     2. 직무기술서는 직무 자체에 대한 기술이다.
     3. 직무명세서는 직무수행자의 요건에 대한 기술이다.
     4. 인사관리는 성과관리, 개발관리, 보상관리 등을 포함한다.
     5. OJT(on-the-job training)는 일상업무를 수행하면서 훈련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모집의 절차
충원계획 수립 - 직무분석 - 직무기술서 - 직무명세서
[해설작성자 : 째]

39. 목표설정(Goal Setting)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위계적 욕구이론이다.
     2. 인지에 초점을 둔 이론이다.
     3. 동기 형성을 위한 목표설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4. 목표가 구체적일수록 효과적이라고 본다.
     5. 의미 있는 목표는 동기유발을 일으켜 조직성과 달성에 기여한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로크의 목표설정이론은 인지에 초점을 둔 이론이다. 위계적 욕구이론은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이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40. 예산집행의 통제 기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개별 기관의 제약조건, 요구사항 및 기대사항에 맞게 고안되어야 한다.
     2. 예외적 상황에 적용되는 규칙을 명시해야 한다.
     3. 보고의 규정을 두어야 한다.
     4. 강제성을 갖는 규정은 두지 않는다.
     5. 필요할 경우 규칙은 새로 개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41. 패러슈라만 등(A. Parasuraman, V. A. Zeithaml & L. L. Berry)의 SERVQUAL 구성차원에 해당하는 질문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01월)

    

     1. ㄱ, ㄹ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ㄱ. 약속대로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신뢰성)
ㄴ. 틀림
ㄷ. 자신감을 가지고 정확하게 서비스를 제공 했는가? (확신성)
ㄹ. 위생적이고 정돈된 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유연성)에 관한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우리나라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1년 02월)

    

     1. ㄱ - ㅁ - ㄷ - ㄹ – ㄴ
     2. ㄴ - ㄱ - ㄹ - ㅁ – ㄷ
     3. ㄷ - ㄴ - ㅁ - ㄹ - ㄱ
     4. ㄹ - ㅁ - ㄱ - ㄷ – ㄴ
     5. ㅁ - ㄱ - ㄹ - ㄷ - ㄴ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1995)
-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2004)
-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 개통(2010)
- 읍면동 복지허브화(2016)
- 지역사회 통합돌봄(2019)
[해설작성자 : 1급시험파이팅]

43. 다음에 해당하는 평가기준은?(2014년 01월)

    

     1. 노력성(effort)
     2. 효율성(efficiency)
     3. 효과성(effectiveness)
     4. 질(quality)
     5. 영향(impact)

     정답 : []
     정답률 : 56%

44. 프로그램의 목표와 활동 간 관계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PERT-목표달성의 기간 설정 후 설정된 주요 목표나 활동의 상호관계와 시간계획을 연결하여 도표로 표현.
MBO-조직의 공동목표를 설정하고, 지표를 통해 부서 운용 및 구성원 공헌도 평가. 양적, 단기적 목표 강조.
Gantt Chart-계획 완성을 위한 행동 및 수행ㅊ연황을 표시한 도표.
아웃소싱-업무 외부위탁.

45. 쓰레기통 모형(Garbage can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문제 진단과 의사결정 과정이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이루어진다.
     2. 결정자의 행동보다는 객관적인 상황적 조건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인다.
     3. 가장 합리적인 대안을 선택하는 모형이다.
     4.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절충한 모형이다.
     5. 조직화된 무질서 속에서 우연히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7%

46. 일반행정과 비교하여 사회복지행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을 기본으로 한다.
     2. 인간의 가치와 관계성을 기반으로 한다.
     3. 자원의 외부의존도가 높다.
     4. 전문인력인 사회복지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5. 실천표준기술의 확립으로 효과성 측정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사회복지행정은 휴먼서비스를 주로 하기때문에 효과성을 측정하기 쉽지않다.
[해설작성자 : jh]

47.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1월)
     1. 구조ㆍ기능 차원에서 행정체계와 집행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2. 운영주체에 따라서 공공체계와 민간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3. 전달체계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 이용의 장애요인을 줄여야 한다.
     4. 사회복지서비스 급여의 유형과 전달체계 특성은 관련이 없다.
     5. 서비스 제공기관을 의도적으로 중복해서 만드는 것이 전달체계를 개선해 줄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48. 최근 사회복지행정환경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기업경영 방식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2. 국가가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3. 성과(outcome) 중심 평가에서 산출(output) 중심 평가로 전환되고 있다.
     4. 사회복지행정의 이론적 준거틀이 필요 없게 되었다.
     5. 사회복지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전문가 활용이 감소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49. 사회복지재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1월)

    

     1.
     2.
     3. ㄱ,ㄴ
     4. ㄱ,ㄷ
     5. ㄴ,ㄷ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ㄴ:현금급여와 현물급여의 단점을 보완한 바우처제도가 증가하고 있다.

50. 사회복지마케팅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생산과 소비의 동시성을 고려한다.
     2. 세분화(segmentation)는 시장을 임의로 구분한다.
     3. 클라이언트 집단은 마케팅전략의 대상이 될 수 없다.
     4. 시장조사를 하지 않는다.
     5. 영리마케팅에 비하여 상품의 내구성을 고려한 전략을 수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51.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헌법상의 생존권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법이 사회복지법이다.
     2. 사회복지법은 단일 법전 형식이 아니라 개별법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3. 최저임금법은 실질적 의미의 사회복지법에 포함된다.
     4. 사회복지법은 사회법으로서 과실책임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5. 사회복지법에는 공법과 사법의 요소들이 공존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사회복지법은 무과실의 원칙을 중시한다.

52. 헌법 제34조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국가는 사회보장ㆍ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2. 국가는 여자의 복지와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3. 국가는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의무를 진다.
     4. 국가는 장애인 및 질병ㆍ연령의 사유로 근로능력이 없는 모든 국민을 경제적으로 보호할 의무를 진다.
     5.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신체장애자 및 질병·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해설작성자 : 거석]

헌법 제34조는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
①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
②국가는 사회보장ㆍ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③국가는 여자의 복지와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④국가는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의무를 진다.
⑤신체장애자 및 질병ㆍ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⑥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티모시리]

53. 자치법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조례는 지방의회에서 제정하는 자치법규이다.
     2. 지방자치단체는 법령의 범위와 무관하게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
     3. 규칙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법령이나 조례가 위임한 범위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에 관하여 제정할 수 있는 자치법규이다.
     4. 시ㆍ군 및 자치구의 조례나 규칙은 시ㆍ도의 조례나 규칙을 위반하여서는 아니 된다.
     5. 조례안이 지방의회에서 의결되면 의장은 의결된 날부터 5일 이내에 그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이를 이송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방자치단체는 법률에 의하여 인정된 자치권의 범위내에서 제정하는 자치법규이다.
[해설작성자 : 영]

54.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1월)
     1. 사회보장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으로 둔다.
     2. 부위원장은 기획재정부장관, 법무부장관 및 보건복지부장관이 된다.
     3. 보궐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4. 공무원인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한다.
     5. 사회보장위원회는 위원장 1명, 부위원장 3명과 행정안전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사회보장위원회>
-국무총리 소속으로 둔다.
-위원장은 국무총리, 부위원장은 기획재정부장관, 교육부장관 및 보건복지부장관이 된다.
[해설작성자 : 보이지마]

- 보궐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남은 임기 기간이다.
- 실무협의체의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공무원인 위원의 임기는 그 재직기간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55.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에 명시되어 있는 사회보장 관련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사회보장 기본계획은 7년 주기로 수립된다.
     2. 보건복지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사회보장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 사회보장 기본계획은 사회보장위원회의 심의사항이 아니다.
     4.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역사회보장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한다.
     5. 시ㆍ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위원회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심의ㆍ의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56. 사회보장기본법상 다음은 어떤 용어에 대한 정의인가?(2016년 01월)

    

     1. 맞춤 복지제도
     2. 사회복지서비스
     3. 평생사회안전망
     4. 맞춤 사회보험제도
     5. 맞춤형 복지서비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평생사회안전망
생애주기에 걸쳐 보편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기본욕구와 특정한 사회위험에 의하여 발생하는 특수욕구를 동시에 고려하여
소득,서비스를 보장하는 맞춤형 사회보장제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체어킹]

57.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사회보장에 관한 주요시책을 심의ㆍ조정하기 위해 국무총리 소속으로 두고 있다.
     2. 실무위원회를 두며 실무위원회에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다.
     3. 위원은 30명 이내로 구성한다.
     4. 위원의 임기는 4년이다.
     5.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위원회의 심의ㆍ조정 사항을 반영하여 사회보장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사회보장기본법에 의하면
'위원회는 위원장 1명, 부위원장 3명과 행정안전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다만, 공무원인 위원의 임기는 그 재임 기간으로 한다.' 고 명시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최저만 넘기자]

58.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법인(이하“법인”이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법인은 대표이사를 포함한 이사 5명 이상을 두어야 한다.
     2. 해산한 법인의 남은 재산은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된다.
     3. 5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법인의 임원이 될 수 없다.
     4. 이사는 법인이 설치한 사회복지시설의 장을 겸할 수 없다.
     5. 법인 이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연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대표이사를 포함한 이사 7명과 감사 2며 이상.
4.이사는 사회복지시설의 장을 제외한 그 시설의 직원을 겸할 수 없음.
5.이사 임기 3년, 감사 임기 2년.

[추가 해설]

3. 이 법을 위반하여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은 법인의 임원이 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땅미체고]

59. 기초노령연금법령상 수급권자의 권리의 소멸시효는?(2014년 01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5. 10년

     정답 : []
     정답률 : 61%

60.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관이 실시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우선제공대상자로 명시되지 않은 자는?(2016년 01월)
     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차상위계층
     2. 다문화가족
     3. 사회복지관의 후원자
     4. 직업 및 취업 알선이 필요한 사람
     5. 보호와 교육이 필요한 유아

     정답 : []
     정답률 : 71%

61.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복지시설 운영위원회는 심의ㆍ의결기구이다.
     2. 사회복지시설은 손해배상책임의 면책사업자이다.
     3. 사회복지시설의 장은 비상근으로 근무할 수 있다.
     4. 사회복지시설은 둘 이상의 사회복지사업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5.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복지시설을 설치ㆍ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사회복지시설 운영위원회는 심의기구이지 의결기구가 아니다.
2. 사회복지시설은 손해배상책임의 면책사업자가 아니다.
3. 사회복지시설의 장은 상근하여야 한다.
5.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복지시설을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당연히다현이]

62. 기초연금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보건복지부장관은 선정기준액을 정하는 경우 65세 이상인 사람 중 수급자가 100분의 60 수준이 되도록 한다.
     2. 소득인정액은 본인의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을 말한다.
     3. 본인과 그 배우자가 모두 기초연금 수급권자인 경우에는 기초연금액의 100분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산하여 지급한다.
     4. 기초연금 수급권자는 국외로 이주한 때에 수급권을 상실한다.
     5. 기초연금의 지급에 드는 비용은 전부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가 나누어 부담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100분의 70수준
2. 본인 및 배우자의 소득평가액과 소득환산액을 합한 금액
3. 가산이 아닌 감액하여 지급
5. 국가는 100분의 40에서 100분의 90이하의 범위에서 비용을 부담하고 나머지 금액은 지자체에서 분담
[해설작성자 : 하이]

63. 아동복지법령상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업무가 아닌 것은?(2025년 01월)
     1. 아동학대 신고접수, 현장조사 및 응급보호
     2. 피해아동, 피해아동의 가족 및 아동학대행위자를 위한 상담ㆍ치료 및 교육
     3. 아동학대예방 교육 및 홍보
     4. 피해아동 및 피해아동 가정의 기능 회복 서비스 제공
     5. 피해아동 가정의 사후관리

     정답 : []
     정답률 : 70%

64. 사회복지법령에서 조례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조직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
     2. 장애인에게 공공시설 안의 매점이나 자동판매기 운영을 우선적으로 위탁하는 데 필요한 사항
     3. 복지위원의 자격, 직무, 위촉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
     4. 사회복지위원회의 조직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
     5. 자활기금의 설치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장애인에게 공공시설 안의 매점이나 자동판매기 운영을 우선적으로 위탁하는 데 필요한 사항은 장애인복지법에 규정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급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2월)
     1. 예방ㆍ재활
     2. 이송(移送)
     3. 요양병원간병비
     4. 처치ㆍ수술 및 그 밖의 치료
     5. 약제(藥劑)ㆍ치료재료의 지급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요양병원간병비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 특별현금급여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Dada]

66. 사회복지사업법령상 기본이념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ㄹ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목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67. 사회복지사업법령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와 인권증진의 책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의 인권을 옹호할 책임을 진다.
     2. 사회복지서비스와 보건의료서비스를 함께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이들 서비스가 연계되어 제공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3.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자를 고려하여 사회복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사회복지서비스의 실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5. 시설 거주자의 희망을 반영하여 지역사회보호체계에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 하여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번. 공급자를 고려하는 것보다는 수요자를 고려하여 사회복지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술향]

68. 국민건강보험법상 가입자가 자격을 상실하는 시기로 옳은 것은?(2019년 01월)
     1. 사망한 날의 다음 날
     2. 국적을 잃은 날
     3. 국내에 거주하지 아니하게 된 날
     4.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가 된 다음 날
     5. 수급권자가 된 다음 날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국적을 잃은 날의 다음 날
3. 국내에 거주하지 아니하게 된 다음 날
4.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가 된 날
5. 수급권자가 된 날
[해설작성자 : 땅미체고]

69. 고용보험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고용보험기금은 기획재정부장관이 관리ㆍ운용한다.
     2. 국가는 매년 보험사업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일반회계에서 부담하여야 한다.
     3. 취업촉진 수당의 종류로는 구직급여, 직업능력개발 수당 등이 있다.
     4. “실업”이란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없어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5. “일용근로자”란 6개월 미만 동안 고용되는 사람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번- 고용보험기금은 고용노동부장관이 관리, 운용
2번- 정답
3번- 취업촉진수당의 종류로는 조기 재취업 수당, 직업능력개발 수당, 광역 구직활동비, 이주비가 있음
4번- "실업"이란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
5번- "일용근로자"란 1개월 미만 동안 고용되는 사람을 말함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한다]

70. 실태조사의 주체와 조사주기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9년 01월)
     1.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실태조사: 보건복지부장관, 5년
     2. 아동복지법상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장관, 3년
     3. 한부모가족지원법상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장관, 3년
     4. 노인복지법상 노인실태조사: 여성가족부장관, 3년
     5. 다문화가족지원법상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보건복지부장관, 5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3년
2. 아동복지법상 아동종합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5년
4. 노인복지법상 노인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3년
5. 다문화가족지원법상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 여성가족부장관, 3년
+ 영유아보육법상 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3년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5년
[해설작성자 : 땅미체고]

보건복지부 : 아동, 장애인 ,노인 - 여성가족부 : 청소년, 여성, 가족 , 성폭력
실태조사 5년 : 정신건강, 아동학대, 노숙인, 자살 외 3년
한부모가족이니 여가부, 위 4가지 해당 안되니 3년.
[해설작성자 : 2021년 갑시당.....]

아동복지법상 아동종합실태조사는 3년으로 개정되었습니다 (2021년 12월 명부하에)
[해설작성자 : 평균80점, 날 모욕하는 사람들은 불합격이니~잘 가시게 나는 합격!!!! ]

71. 장애인복지법상 벌칙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2019년 01월)

    

     1. 1, 1
     2. 3, 3
     3. 5, 5
     4. 7, 7
     5. 10, 7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장애인의 신체에 폭행을 가한 사람: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장애인의 신체에 상해를 입힌 사람: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상 공동모금재원 배분기준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배분한도액
     2. 배분심사기준
     3. 배분신청자의 재산
     4. 공동모금재원의 배분대상
     5. 배분신청기간 및 배분신청서 제출 장소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제20조(배분기준) ① 모금회는 매년 8월 31일까지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다음 회계연도의 공동모금재원 배분기준을 정하여 공고하여야 한다.

1. 공동모금재원의 배분대상
2. 배분한도액
3. 배분신청기간 및 배분신청서 제출 장소
4. 배분심사기준
5. 배분재원의 과부족(過不足) 시 조정방법
6. 배분신청 시 제출할 서류
7. 그 밖에 공동모금재원의 배분에 필요한 사항
② 모금회는 재난구호 및 긴급구호 등 긴급히 지원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1항에 준하여 별도의 배분기준에 따라 지원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햅삐정콩]

73. 아동복지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지방자치단체는 아동이 항상 이용할 수 있는 아동전용시설을 설치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2.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보호조치 중인 보호대상아동의 양육상황을 분기별로 점검하여야 한다.
     3. 아동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된다.
     4. 아동위원은 명예직으로 하되, 아동위원에 대하여는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5. 보건복지부장관은 아동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5년마다 아동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 분기별로→매년 (제15조의3 ①)
[해설작성자 : 햅삐정콩]

74.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단기보호시설은 피해자등을 6개월의 범위에서 보호하는 시설이다.
     2. 국가는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의 설치ㆍ운영에 드는 경비의 전부를 보조하여야 한다.
     3. 여성가족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긴급전화센터를 설치ㆍ운영하여야 한다.
     4. 가정폭력의 예방과 방지에 관한 교육 및 홍보는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의 업무에 해당한다.
     5. 사회복지법인은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인가를 받아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을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조하여야 한다 → 할 수 있다.
강행규정                → 임의규정        
[해설작성자 : 횽이]

75.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 기본계획에 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1
     2. 2
     3. 3
     4. 4
     5. 5

     정답 : []
     정답률 : 61%


정 답 지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4425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사회복지 정책론


1. 선별주의 정책과 보편주의 정책의 특징을 옳게 연결한 것은?(2015년 01월)
     1. 선별주의 - 모든 국민 대상
     2. 선별주의 - 간편한 행정 업무
     3. 보편주의 - 빈곤의 덫 유발
     4. 보편주의 - 사회적 통합 효과
     5. 보편주의 - 사회적 낙인 유발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 선별주의
ㅡ 공공부조제도
ㅡ 목표효율성이 높다.
ㅡ 사회통합에 불리
ㅡ 운영효율성이 낮다.
ㅡ 빈곤의 덫을 유발한다
ㅡ 낙인효과 발생
ㅡ 자산조사를 위한 복잡한 조사
2. 보편주의
ㅡ 시장실패
ㅡ 사회수당과 사회보험
ㅡ 사회통합에 유리
ㅡ 높은 운영 효율성
ㅡ 낙인효과가 거의 없다
ㅡ 소득 재분배 효과가 크지 않다
[해설작성자 : 파사랑 왕눈이]

2. 우리나라 사회복지제도 중에서 보편주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2019년 01월)
     1. 의료급여
     2. 생계급여
     3. 주거급여
     4. 실업급여
     5. 기초연금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공공부조 (선별주의)-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급여, 생계급여, 주거급여
                                - 기초연금

사회보험 (보편주의): 고용보험: 실업급여(구작급여, 취업촉진수당(조기재취업수당, 직업능력개발수당, 광역구직활동비, 이주비)
[해설작성자 : 120바이트]

3. 1942년 베버리지보고서에서 구상한 복지국가 모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7년 01월)
     1. 빈곤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선별적 복지를 강조한다.
     2. 정액부담과 정액급여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3. 베버리지는 결핍(궁핍), 질병, 무지, 불결, 나태를 5대 악으로 규정한다.
     4. 정액부담의 원칙은 보험료의 징수와 관련한 행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 노령, 장애, 실업, 질병 등과 같은 사회적 위험들을 하나의 국민보험에서 통합적으로 운영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베버리지는 보편적 복지를 강조했다.
[해설작성자 : 이효]

4. 신빈민법(New Poor Law)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1832년 왕립위원회(Royal Commission)의 조사를 토대로 1834년에 제정되었다.
     2. 국가의 도움을 받는 사람의 처우는 스스로 벌어서 생활하는 최하위 노동자의 생활수준보다높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3. 원외구제를 인정하였다.
     4. 구빈행정체계를 통일시키고자 하였다.
     5. 빈민을 가치 있는 빈민과 가치 없는 빈민으로 분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원외구제는 길버트 법, 신빈민법에서는 원외구제를 금지하였다.
[해설작성자 : 쭌]

5. 베버리지 보고서에 나타난 사회보험체계의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소극 수준과 상관없이 동일한 부담료 부담.
동일한 급여를 제공한다면, 정액보험료○정액급여
[해설작성자 : 백두]

6. 평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보험료 수준에 따라 급여를 차등하는 것은 비례적 평등으로 볼 수 있다.
     2. 드림스타트(Dream Start) 사업은 기회의 평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공공부조의 급여는 산술적 평등을, 열등처우의 원칙은 비례적 평등을 반영하는 것이다.
     4. 모든 사람에게 동등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영국의 국민보건서비스(NHS)는 결과의 평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 비례적 평등은 결과의 평등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5. 비례적 평등과 결과의 평등은 다르다.
[해설작성자 : 피즈치자]

수량적 평등(결과의 평등)
- 가장 적극적인 평등으로서 모든 사람들을 똑같이 취급하여 사람들의 욕구나 능력의 차이에는 관계없이 사회적 자원을 똑같이 분배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례적 평등
- 개인의 욕구, 노력, 능력, 기여에 따라 사회적 자원을 상이하게 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공평'이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비례적 평등과 결과의 평등은 다른 의미입니다.
[해설작성자 : 웃지]

7. 조지와 윌딩(George & Wilding)이 말한 '신우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970년대 후반부터 서구의 지식계와 정치계에는 국가활동을 비난하는 고정적 자유주의 부활 -> 신우파
신우파: 정부의 개입은 유해하다. 이상적 복지국가는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시장이 더 많은 역할을 수행,결과적 불평등을 옹호하는 입장
[해설작성자 : 인천대SSUM]

8. 빈곤의 기준을 정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전(全)물량 방식은 식료품비를 계산하고 엥겔수의 역을 곱해서 빈곤선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방식이다.
     2.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수급자 선정기준은 상대적 빈곤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3. 라이덴 방식은 상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4. 반물량 방식은 소득분배 분포 상에서 하위 10%나 20%를 빈곤한 사람들로 간주한다.
     5. 중위소득 또는 평균소득을 근거로 빈곤선을 측정하는 것은 절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빈곤측정방식은
1) 식료품비를 계산하고 엥겔수의 역을 곱해서 빈곤선을 기준으로 측정하는 방식은 반물량 방식이다.
3) 라이덴 방식은 주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4) 소득분배 분포 상에서 하위 10%나 20%를 빈곤한 사람들로 간중하는 것은 상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5) 중위소득 또는 평균소득을 근거로 빈곤선을 측정하는 것은 상대적 빈곤 측정방식이다.
[해설작성자 : 여기는 왜 해설이 없는가]

전물량방식(라운트리 방식)은 식료품비를 포함한 모든 생활 필수품 목록과 양을 정하고, 그것을 구매하는 시장가격을 곱해서 생활비를 계측하는 방식
[해설작성자 : 사회복지사1급화이팅]

9. 우리나라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급여가 아닌 것은?(2022년 01월)
     1. 요양급여
     2. 상병수당
     3. 유족급여
     4. 장례비
     5. 직업재활급여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상병급여: 실업급여
상병수당: 건강보험 부가급여
상병보상연금: 산업재해보상급여
[해설작성자 : 이번엔붙자]

10.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의료급여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100분의 50 이상으로 한다.
     2. 교육급여 선정기준은 기준 중위소득의 100분의 40 이상으로 한다.
     3. “수급권자”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급여를 받는 사람을 말한다.
     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의 “보장기관”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기관을 말한다.
     5.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은 수급권자의 동의를 받아 수급권자에 대한 급여를 직권으로 신청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번. 중위소득의 100분의 40 이상임.
2번. 중위소득의 100분의 50 이상임.
3번. 수급자에 대한 설명임.
4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의 보장기관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급여를 실시하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해설작성자 : 나는 예비 사회복지사]

11. 복지국가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케인즈(J. M. Keynes) 경제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고용이 증가하면 소득이 증가하고, 소득이 증가하면 유효수요가 증가한다.
     2. 유효수요가 감소하면 경기불황을 가져오고, 소득이 감소한다.
     3. 저축이 증가하면 투자가 감소하고, 고용의 감소로 이어진다.
     4. 유효수요가 증가하면 경기호황을 가져와 투자의 증가로 이어진다.
     5. 소득이 증가하면 저축이 감소하고, 투자의 감소로 이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소득이 증가하면 투자도 증가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베버리지(W. Beveridge)가 사회보장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 제시한 전제조건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베버리지 보고서
- 2차세계대전 전후 영국에서 부흥계획의 일환으로 전후에 사회보장제도를 실시할 것을 예상하여 사회보험과 관련된 관련서비스에 관한 조사 위원회를 실시
- 1942년 '사회보험과 관련서비스' 보고서 발간
-사회보장제도의 근간은 강제적 사회보험, 사회보험이 보장받지 못하면 공공부조, 이는 국가가 제공하는 사회보장의 목표로 국민최전선 달성에 두었다.
- 사회보험은 미래의 결핍에 대한 공약일뿐 불결,나태,무지,빈곤,질병(불나무빈질)까지 해결할 수 있지는 않다.
- 사회보장은 정부와 민간의 협력 하에 집행 되어야 한다.
★3가지 전제조건: 가족수당, 포괄적인 보건서비스. 완전고용★

▶6가지 전제조건
1)포괄성 원칙: "보편주의"에 근거, 모든 국미이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보장 특성에 맞는 적용대상이나 욕구보장에 대한 포괄적인 범위가 있어야 함
2)급여적절성 원칙: 급여수준이 일생생활을 하는데 적절해야 함
3)정액갹출의 원칙: 소득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보험료를 납부해야 함
4)정액급여의 원칙: 소득이 달라도 동일한 급여를 받음
5)행정통일의 원칙: 효율성 차원에서 지방사무소를 둔 하나의 "사회보험금고"가 관리와 운영을 하고, 개인은 통일된 갹출료를 납부한다.
6)피보험자분류의 원칙: 사회보장 대상 인구를 취업연령을 중심으로 고용노동자, 자영업자, 전업주부, 임시직, 시간제 도동자 등으로 분류, 미취업연령을 기준으로 미성년자, 노인 등 두가지로 나누어 이들의 모든 욕구를 보장한다. 모든 인구층이 대상이다.

*1944년 사회보장청 설치
*영국 1945년 가족수당법, 1946년 산업재해법+국민보험법+국민보건서비스법
*1948년 아동법과 국민부조법 등 실시
*베버리지 보고서는 포괄적인 사회보장제도를 확립
*영국 뿐만 아니라 유럽 국가들에게 영향을 미쳐 복지국가의 청사진을 마련함.
[해설작성자 : 뽀로로]

13. 사회적 기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사회적 목적 달성을 위하여 시장에서 영리활동을 하는 조직이다.
     2. 사회적 기업에는 자활공동체, 협동조합, 사회적 회사 등이 있다.
     3. 사회적기업육성법 에 따라 사회적 기업을 인증한다.
     4. 사회적 기업은 사회복지사업법 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이다.
     5.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일자리 창출 방안의 하나이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사회적기업육성법" 2007.1.3. 재정
1) 개념: 사회적 기업이란 취약계층에게 사회 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으로서 인증받은 자를 말한다(법 제 2조)
[해설작성자 : 모두합격]

14. 국가가 주도적으로 사회복지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역선택
     2. 도덕적 해이
     3. 규모의 경제
     4. 능력에 따른 분배
     5. 정보의 비대칭

     정답 : []
     정답률 : 71%

15. 현물급여를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1월)

    

     1.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4%

16. 우리나라 사회서비스의 확대에 따른 정책변화를 분석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5%

17. 복지혼합경제(mixed economy of welfare)의 예가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시립사회복지관의 민간 위탁
     2.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적 기업 운영
     3. 바우처 방식을 이용한 보육서비스 제공
     4.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통합급여에서 개별급여로의 전환
     5. 노인장기요양보험을 활용한 노인요양병원 운영

     정답 : []
     정답률 : 65%

18.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보충성의 원칙에 기반하고 있다.
     2.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의 북한이탈주민과 그 가족은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에 속한다.
     3. 급여는 개별가구 단위로 실시하되,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개인 단위로 실시할 수 있다.
     4. 수급권자와 그 친족, 그 밖의 관계인은 관할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수급권자에 대한 급여를 신청할 수 있다.
     5. 생계급여는 수급자의 소득인정액 등을 고려하여 차등지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의 북한이탈주민과 그 가족은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고양이덕후]

19. 정책결정 이론모형과 설명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1. 합리모형은 인간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주어진 상황을 고려해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한다는 정책결정 모형입니다.
2. 만족모형은 합리모형을 비판하면서 나타낸 모형인데요. 인간이 모든 상황을 다 고려할 수 없다(제한된 합리성)라는 가정으로 탐색된 대안 중 가장 만족스러운 대안을 선택한다는 정책결정 모형입니다.
3. 최적모형은 드롤이라는 학자가 주장한 것인데, 정책결정을 체계론적 시각에서 파악하고 정책성과를 최적화하려는 정책결정 모형입니다.
4. 점증모형은 인간의 비합리성을 전제로 초기에 집행한 정책을 조금씩 조금씩 수정해가면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내자 라는 정책결정 모형입니다
[해설작성자 : 인천대SSUM]

20. 우리나라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전자바우처 방식의 사회서비스는 2007년에 최초로 도입되었다.
     2.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도입으로 인해 공급자 지원방식에서 수요자 직접지원방식으로 전환이 가능해졌다.
     3. 2012년 4개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이 지정제에서 등록제로 전환되었다.
     4. 임신출산 진료비지원사업은 전자바우처 사회서비스사업 중 하나이다.
     5. 전자바우처 도입에 의한 지불ㆍ정산업무 전산화로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서비스 행정부담이 대폭 증가했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사회서비스 행정부담이 대폭 감소하였다.
[해설작성자 : 합격!]

21. 재분배와 파레토(Pareto) 효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파레토 개선이란 다른 사람들의 효용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어떤 사람들의 효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2. 파레토 효율의 정의상 소득재분배는 매우 효율적이다.
     3. 재분배를 통하여 빈곤층의 소득이 늘어나도 개인의 효용은 증가할 수 있다.
     4. 파레토 개선의 예로 민간의 자선활동을 들 수 있다.
     5. 파레토 효율은 완전경쟁시장에서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을 전제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파레토 효율의 정의는 사회 구성원 중 어느 누구의 효용을 줄이지 않고는 다른 사람의 효용을 늘릴 수 없는 상태로 자원 배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상태이다.
즉, 가장 적합한 배분 상태에서의 소득재분배는 매우 효율적이지 않다.
[해설작성자 : 유느저르]

22. 국민건강보험료 경감대상자를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1월)

    

     1.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65세 이상 노인이 있는 세대에 대해서 보험료를 경감해주고 있습니다.
경감 요건은 연간소득이 360만원 이하이며,
재산 과표금액 13,500만원 이하인 세대를 대상으로 10~30%를 경감합니다.
여기서 소득금액이라 함은 이자·배당·사업·근로·연금·기타소득이며
단, 연금소득 중 장애연금 및 유족연금은 제외됩니다.
아울러 경감적용은 소득금액과 재산과표 요건을 동시에 충족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지식IN by국민건강보험공단]

23. 최저임금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우리나라에서는 최저임금제가 2000년부터 실시되었다.
     2. 최저임금제는 정신장애로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은 사람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3. 최저임금제는 근로자에게 최저한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임금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4. 최저임금제는 저임금 근로자의 증가를 억제하는 장치로 작용할 수 있다.
     5. 최저임금제는 사회보장 급여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최저임금제는 1953년 제정된 「근로기준법」에 근거가 처음 마련되었으나 시행되지 못하였음.
이후 1986년 「최저임금법」이 제정되어 1988년부터 시행
[해설작성자 : 최저만 넘기자]

24. 사회보장 급여 중 현물급여가 아닌 것은?(2024년 01월)
     1. 산업재해보상보험의 요양급여
     2. 고용보험의 상병급여
     3.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급여
     4. 국민기초생활보장의 의료급여
     5. 국민건강보험의 건강검진

     정답 : []
     정답률 : 67%

25.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보험료 부담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각각 절반씩 부담한다.
     2. 5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3. 급여의 종류로는 요양급여, 구직급여 및 간병급여 등이 있다.
     4. 근로자의 고의ㆍ과실에 의해 발생한 부상ㆍ질병ㆍ장애도 업무상의 재해에 포함된다.
     5. 60세 이상인 부모 또는 조부모는 유족보상연금의 수급자격자가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전액 보험가입자(사업주) 부담
2. 2000년 이후 1인 이상 고용 사업장 해당
3. 구직급여는 해당 없음.
4. 고의나 과실은 적용 x (무과실책임원칙과 구분하세요)
5. 유족급여 대상자
     - 배우자
     - 부모 또는 조부모로서 각각 60세 이상인 자
     - 자녀 또는 손자녀로서 각각 19세 미만인 자
     - 형제자매로서 19세 미만이거나 60세 이상인 자
     - 위에 해당되지 않는 자녀, 부모, 손자녀, 조부모, 형제자매로서 「장해인복지법」 제2조에 따른 장애인 중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한 장애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자(시각장애인인 경우 제3급인자도 해당됨)
[해설작성자 : ㅎ]

2과목 : 사회복지 행정론


26.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에서 공통적으로 중시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2015년 01월)
     1. 합리성
     2. 지속성
     3. 참여성
     4. 목적성
     5. 현재지향성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기획은 미래지향성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

27. 사회복지행정의 실행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2년 01월)

    

     1. ㄱ - ㄷ - ㄹ - ㅁ - ㄴ
     2. ㄷ - ㄱ - ㄹ - ㄴ - ㅁ
     3. ㄷ - ㄹ - ㅁ - ㄴ - ㄱ
     4. ㄹ - ㄴ - ㄷ - ㄱ - ㅁ
     5. ㄹ - ㄷ - ㄴ - ㄱ - 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ㄹ-ㄷ-ㄴ-ㄱ-ㅁ
기획-조직화-촉진-평가-환류
[해설작성자 : 남소엉국]

28. 다음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ㄱ: 직원, ㄴ: 책임, ㄷ: 직원, ㄹ: 과업
     2. ㄱ: 관리자, ㄴ: 책임, ㄷ: 직원, ㄹ: 참여
     3. ㄱ: 관리자, ㄴ: 과업, ㄷ: 관리자, ㄹ: 참여
     4. ㄱ: 직원, ㄴ: 과업, ㄷ: 직원, ㄹ: 과업
     5. ㄱ: 직원, ㄴ: 과업, ㄷ: 관리자, ㄹ: 참여

     정답 : []
     정답률 : 84%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조직이론은?(2018년 01월)

    

     1.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이론
     2. 신제도(New Institutional)이론
     3. 과학적 관리(Scientific Managemet)이론
     4. 의사결정(Decision-Making)이론
     5. 조직군생태(Organizational Ecology)이론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조직환경에 적응하는 방식에 대한 조직이론>
-상황적합이론: 불확실하고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불확실성을 줄이고 환경 특성에 적합한 조직 구조를 갖출 수 있다고 주장.
-조직군생태이론: 변이(Variation), 선택(Selection), 보전(Retention)의 조직변동과정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악.
-정치경제이론: 외부환경적 요소가 조직의 내부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조직 내부의 권력관계와 조직 외부의 이익집단 간의 역학관계에 의해 영향.
-(신)제도이론: 제도적 환경을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 원천으로 간주하여 조직이 제도적 규칙을 받아들이며 수용하는 것으로 보는 것.
[해설작성자 : 보이지마]

30. 책임성이 있는 관리자의 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해집단에 대하여 정확하게 파악한다.
     2. 클라이언트 집단의 관점이 배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3. 개별 서비스제공자의 활동을 통제하지 않는다.
     4. 조직 내 서비스 제공자의 업무수행을 파악한다.
     5. 동원된 자원의 사용에 관한 정보를 공개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31. 현대조직운영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1월)
     1. 리스트럭처링(restructuring): 중복사업을 통합하여 조직 경쟁력 확보
     2.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업무시간을 간소화시켜 서비스 시간 단축
     3. 벤치마킹(benchmarking): 특수분야에서 우수한 대상을 찾아 뛰어난 부분 모방
     4. 아웃소싱(outsourcing): 계약을 통해 외부전문가에게 조직기능 일부 의뢰
     5.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 card): 공정한 직원채용을 위해서 만든 면접평가표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균형 성과표는 공정한 직원평가를 위해서 성과평가를 위한 균형적인 기준을 둔 성과 평가표이다.
[해설작성자 : 나혼자푼다]

32. 1950년대 우리나라 사회복지행정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외국민간원조기관협의회(KAVA, Korea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는 구호물자의 배분을 중심으로 사회복지행정 활동을 하였다.
     2. KAVA는 구호 활동과 관련된 조직관리 기술을 도입했다.
     3. 사회복지기관들은 수용ㆍ보호에 바탕을 둔 행정관리 기술을 사용하였다.
     4. KAVA는 서비스 중복, 누락, 서비스 제공자 간의 협력체계 구축에 초점을 두었다.
     5. KAVA는 지역사회 조직화나 공동체 형성을 위한 조직관리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KAVA는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전쟁 난민 및 고아를 돕기 위한 시설보호 사업을 비롯해 보건사업, 교육, 지역개발사업, 전문 사회복지사업 등을 전개
하지만 지역사회 조직화나 공동체 형성을 위한 활동 전개 X
[해설작성자 : 의문의합격기원]

33. 허츠버그(F.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에 따른 동기유발요인에 해당하는 것은?(2025년 01월)
     1. 성취에 대한 인정(recognition)
     2. 기술적 감독(technical supervision)
     3. 급여(salary)
     4. 근로조건(working condition)
     5. 인간관계(interpersonal relations)

     정답 : []
     정답률 : 81%

34. 동기부여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인간관계이론: 구성원들 간에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는 조직은 생산성이 높다.
     2. 동기-위생이론: 책임성이나 성취에 대한 인정은 동기유발요인에 해당된다.
     3. Z이론: 인간은 통제와 강제의 대상이다.
     4. Y이론: 인간은 자율성과 창조성을 지닌다.
     5. 성취동기이론: 인간의 동기부여 욕구를 권력욕구, 친화욕구, 성취욕구로 구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인간을 통제와 강제의 대상으로 보는 이론은 x이론이다.
[해설작성자 : ㅇㄱㅎㄱㅇㅅㅁ]

z이론 : 관리자가 분위기만 조성하는 자율적인 분위기 강조
[해설작성자 : 수락산 김세국]

35. 다음에 해당하는 리더십 유형은?(2021년 02월)

    

     1. 지시적 리더십
     2. 참여적 리더십
     3. 방임적 리더십
     4. 과업형 리더십
     5. 위계적 리더십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리더십의 유형
- 참여적 리더십 : 민주적 리더십으로 성원들의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한다. 장점으로는 동기부여, 사명감 향상, 정보교환 촉진이 있고, 단점으로는 시간소요, 책임분산으로 효율성과 활동성이 떨어진다.
- 지시적 리더십 : 독선적 리더십으로 명령과 복족을 강조한다. 장점으로는 통제, 조정, 정책집행의 일관성, 신속한 결정이있고, 단점으로는 직원들의 사기 저하, 적대감, 소외감, 경직성을 유발한다.
[해설작성자 : 당당몬]

36. 총체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Manag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욕구조사 실시
     2. 기획 단계부터 서비스 품질을 고려
     3. 서비스의 변이(variation) 가능성을 예방하는 노력
     4. 최고 관리자를 품질의 최종 결정자로 간주
     5. 투입과 과정에 대한 지속적 개선 노력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품질의 최종 결정자는 고객
[해설작성자 : 웃지]

37. 직무를 통한 연수(OJ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2월)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ㄱ,ㄹ은 Off-JT방식이며
ㄴ,ㄷ이 OJT이다
[해설작성자 : 내사랑이옹심]

38. 인사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직무분석 이전에 직무명세서와 직무기술서를 작성한다.
     2. 직무기술서는 직무 자체에 대한 기술이다.
     3. 직무명세서는 직무수행자의 요건에 대한 기술이다.
     4. 인사관리는 성과관리, 개발관리, 보상관리 등을 포함한다.
     5. OJT(on-the-job training)는 일상업무를 수행하면서 훈련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모집의 절차
충원계획 수립 - 직무분석 - 직무기술서 - 직무명세서
[해설작성자 : 째]

39. 목표설정(Goal Setting)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1월)
     1. 위계적 욕구이론이다.
     2. 인지에 초점을 둔 이론이다.
     3. 동기 형성을 위한 목표설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4. 목표가 구체적일수록 효과적이라고 본다.
     5. 의미 있는 목표는 동기유발을 일으켜 조직성과 달성에 기여한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로크의 목표설정이론은 인지에 초점을 둔 이론이다. 위계적 욕구이론은 매슬로의 욕구계층이론이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40. 예산집행의 통제 기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개별 기관의 제약조건, 요구사항 및 기대사항에 맞게 고안되어야 한다.
     2. 예외적 상황에 적용되는 규칙을 명시해야 한다.
     3. 보고의 규정을 두어야 한다.
     4. 강제성을 갖는 규정은 두지 않는다.
     5. 필요할 경우 규칙은 새로 개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41. 패러슈라만 등(A. Parasuraman, V. A. Zeithaml & L. L. Berry)의 SERVQUAL 구성차원에 해당하는 질문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01월)

    

     1. ㄱ, ㄹ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ㄱ. 약속대로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신뢰성)
ㄴ. 틀림
ㄷ. 자신감을 가지고 정확하게 서비스를 제공 했는가? (확신성)
ㄹ. 위생적이고 정돈된 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했는가? (유연성)에 관한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2. 우리나라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1년 02월)

    

     1. ㄱ - ㅁ - ㄷ - ㄹ – ㄴ
     2. ㄴ - ㄱ - ㄹ - ㅁ – ㄷ
     3. ㄷ - ㄴ - ㅁ - ㄹ - ㄱ
     4. ㄹ - ㅁ - ㄱ - ㄷ – ㄴ
     5. ㅁ - ㄱ - ㄹ - ㄷ - ㄴ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보건복지사무소 시범사업(1995)
- 사회복지사무소 시범사업(2004)
-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 개통(2010)
- 읍면동 복지허브화(2016)
- 지역사회 통합돌봄(2019)
[해설작성자 : 1급시험파이팅]

43. 다음에 해당하는 평가기준은?(2014년 01월)

    

     1. 노력성(effort)
     2. 효율성(efficiency)
     3. 효과성(effectiveness)
     4. 질(quality)
     5. 영향(impact)

     정답 : []
     정답률 : 56%

44. 프로그램의 목표와 활동 간 관계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기법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PERT-목표달성의 기간 설정 후 설정된 주요 목표나 활동의 상호관계와 시간계획을 연결하여 도표로 표현.
MBO-조직의 공동목표를 설정하고, 지표를 통해 부서 운용 및 구성원 공헌도 평가. 양적, 단기적 목표 강조.
Gantt Chart-계획 완성을 위한 행동 및 수행ㅊ연황을 표시한 도표.
아웃소싱-업무 외부위탁.

45. 쓰레기통 모형(Garbage can Model)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문제 진단과 의사결정 과정이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이루어진다.
     2. 결정자의 행동보다는 객관적인 상황적 조건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인다.
     3. 가장 합리적인 대안을 선택하는 모형이다.
     4. 합리성과 비합리성을 절충한 모형이다.
     5. 조직화된 무질서 속에서 우연히 의사결정이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77%

46. 일반행정과 비교하여 사회복지행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클라이언트의 욕구충족을 기본으로 한다.
     2. 인간의 가치와 관계성을 기반으로 한다.
     3. 자원의 외부의존도가 높다.
     4. 전문인력인 사회복지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5. 실천표준기술의 확립으로 효과성 측정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사회복지행정은 휴먼서비스를 주로 하기때문에 효과성을 측정하기 쉽지않다.
[해설작성자 : jh]

47.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1월)
     1. 구조ㆍ기능 차원에서 행정체계와 집행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2. 운영주체에 따라서 공공체계와 민간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3. 전달체계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 이용의 장애요인을 줄여야 한다.
     4. 사회복지서비스 급여의 유형과 전달체계 특성은 관련이 없다.
     5. 서비스 제공기관을 의도적으로 중복해서 만드는 것이 전달체계를 개선해 줄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48. 최근 사회복지행정환경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기업경영 방식 활용이 늘어나고 있다.
     2. 국가가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3. 성과(outcome) 중심 평가에서 산출(output) 중심 평가로 전환되고 있다.
     4. 사회복지행정의 이론적 준거틀이 필요 없게 되었다.
     5. 사회복지서비스가 다양화되면서 전문가 활용이 감소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49. 사회복지재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1월)

    

     1.
     2.
     3. ㄱ,ㄴ
     4. ㄱ,ㄷ
     5. ㄴ,ㄷ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ㄴ:현금급여와 현물급여의 단점을 보완한 바우처제도가 증가하고 있다.

50. 사회복지마케팅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생산과 소비의 동시성을 고려한다.
     2. 세분화(segmentation)는 시장을 임의로 구분한다.
     3. 클라이언트 집단은 마케팅전략의 대상이 될 수 없다.
     4. 시장조사를 하지 않는다.
     5. 영리마케팅에 비하여 상품의 내구성을 고려한 전략을 수립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51. 우리나라 사회복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헌법상의 생존권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법이 사회복지법이다.
     2. 사회복지법은 단일 법전 형식이 아니라 개별법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3. 최저임금법은 실질적 의미의 사회복지법에 포함된다.
     4. 사회복지법은 사회법으로서 과실책임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5. 사회복지법에는 공법과 사법의 요소들이 공존하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 사회복지법은 무과실의 원칙을 중시한다.

52. 헌법 제34조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국가는 사회보장ㆍ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2. 국가는 여자의 복지와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3. 국가는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의무를 진다.
     4. 국가는 장애인 및 질병ㆍ연령의 사유로 근로능력이 없는 모든 국민을 경제적으로 보호할 의무를 진다.
     5.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신체장애자 및 질병·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해설작성자 : 거석]

헌법 제34조는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
①모든 국민은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가진다.
②국가는 사회보장ㆍ사회복지의 증진에 노력할 의무를 진다.
③국가는 여자의 복지와 권익의 향상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④국가는 노인과 청소년의 복지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의무를 진다.
⑤신체장애자 및 질병ㆍ노령 기타의 사유로 생활능력이 없는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⑥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티모시리]

53. 자치법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조례는 지방의회에서 제정하는 자치법규이다.
     2. 지방자치단체는 법령의 범위와 무관하게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
     3. 규칙은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법령이나 조례가 위임한 범위에서 그 권한에 속하는 사무에 관하여 제정할 수 있는 자치법규이다.
     4. 시ㆍ군 및 자치구의 조례나 규칙은 시ㆍ도의 조례나 규칙을 위반하여서는 아니 된다.
     5. 조례안이 지방의회에서 의결되면 의장은 의결된 날부터 5일 이내에 그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이를 이송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방자치단체는 법률에 의하여 인정된 자치권의 범위내에서 제정하는 자치법규이다.
[해설작성자 : 영]

54.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1월)
     1. 사회보장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으로 둔다.
     2. 부위원장은 기획재정부장관, 법무부장관 및 보건복지부장관이 된다.
     3. 보궐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4. 공무원인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한다.
     5. 사회보장위원회는 위원장 1명, 부위원장 3명과 행정안전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사회보장위원회>
-국무총리 소속으로 둔다.
-위원장은 국무총리, 부위원장은 기획재정부장관, 교육부장관 및 보건복지부장관이 된다.
[해설작성자 : 보이지마]

- 보궐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남은 임기 기간이다.
- 실무협의체의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되, 공무원인 위원의 임기는 그 재직기간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55. 사회보장기본법과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에 명시되어 있는 사회보장 관련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1월)
     1. 사회보장 기본계획은 7년 주기로 수립된다.
     2. 보건복지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사회보장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3. 사회보장 기본계획은 사회보장위원회의 심의사항이 아니다.
     4.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지역사회보장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한다.
     5. 시ㆍ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와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위원회는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심의ㆍ의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56. 사회보장기본법상 다음은 어떤 용어에 대한 정의인가?(2016년 01월)

    

     1. 맞춤 복지제도
     2. 사회복지서비스
     3. 평생사회안전망
     4. 맞춤 사회보험제도
     5. 맞춤형 복지서비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평생사회안전망
생애주기에 걸쳐 보편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기본욕구와 특정한 사회위험에 의하여 발생하는 특수욕구를 동시에 고려하여
소득,서비스를 보장하는 맞춤형 사회보장제도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체어킹]

57.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사회보장에 관한 주요시책을 심의ㆍ조정하기 위해 국무총리 소속으로 두고 있다.
     2. 실무위원회를 두며 실무위원회에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둘 수 있다.
     3. 위원은 30명 이내로 구성한다.
     4. 위원의 임기는 4년이다.
     5.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위원회의 심의ㆍ조정 사항을 반영하여 사회보장제도를 운영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사회보장기본법에 의하면
'위원회는 위원장 1명, 부위원장 3명과 행정안전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다만, 공무원인 위원의 임기는 그 재임 기간으로 한다.' 고 명시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최저만 넘기자]

58.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법인(이하“법인”이라 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법인은 대표이사를 포함한 이사 5명 이상을 두어야 한다.
     2. 해산한 법인의 남은 재산은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된다.
     3. 5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받은 사람은 법인의 임원이 될 수 없다.
     4. 이사는 법인이 설치한 사회복지시설의 장을 겸할 수 없다.
     5. 법인 이사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연임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1.대표이사를 포함한 이사 7명과 감사 2며 이상.
4.이사는 사회복지시설의 장을 제외한 그 시설의 직원을 겸할 수 없음.
5.이사 임기 3년, 감사 임기 2년.

[추가 해설]

3. 이 법을 위반하여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5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은 법인의 임원이 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땅미체고]

59. 기초노령연금법령상 수급권자의 권리의 소멸시효는?(2014년 01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5. 10년

     정답 : []
     정답률 : 61%

60.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관이 실시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우선제공대상자로 명시되지 않은 자는?(2016년 01월)
     1.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차상위계층
     2. 다문화가족
     3. 사회복지관의 후원자
     4. 직업 및 취업 알선이 필요한 사람
     5. 보호와 교육이 필요한 유아

     정답 : []
     정답률 : 71%

61.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복지시설 운영위원회는 심의ㆍ의결기구이다.
     2. 사회복지시설은 손해배상책임의 면책사업자이다.
     3. 사회복지시설의 장은 비상근으로 근무할 수 있다.
     4. 사회복지시설은 둘 이상의 사회복지사업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5.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복지시설을 설치ㆍ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 사회복지시설 운영위원회는 심의기구이지 의결기구가 아니다.
2. 사회복지시설은 손해배상책임의 면책사업자가 아니다.
3. 사회복지시설의 장은 상근하여야 한다.
5.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복지시설을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당연히다현이]

62. 기초연금법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보건복지부장관은 선정기준액을 정하는 경우 65세 이상인 사람 중 수급자가 100분의 60 수준이 되도록 한다.
     2. 소득인정액은 본인의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을 말한다.
     3. 본인과 그 배우자가 모두 기초연금 수급권자인 경우에는 기초연금액의 100분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을 가산하여 지급한다.
     4. 기초연금 수급권자는 국외로 이주한 때에 수급권을 상실한다.
     5. 기초연금의 지급에 드는 비용은 전부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가 나누어 부담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100분의 70수준
2. 본인 및 배우자의 소득평가액과 소득환산액을 합한 금액
3. 가산이 아닌 감액하여 지급
5. 국가는 100분의 40에서 100분의 90이하의 범위에서 비용을 부담하고 나머지 금액은 지자체에서 분담
[해설작성자 : 하이]

63. 아동복지법령상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업무가 아닌 것은?(2025년 01월)
     1. 아동학대 신고접수, 현장조사 및 응급보호
     2. 피해아동, 피해아동의 가족 및 아동학대행위자를 위한 상담ㆍ치료 및 교육
     3. 아동학대예방 교육 및 홍보
     4. 피해아동 및 피해아동 가정의 기능 회복 서비스 제공
     5. 피해아동 가정의 사후관리

     정답 : []
     정답률 : 70%

64. 사회복지법령에서 조례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조직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
     2. 장애인에게 공공시설 안의 매점이나 자동판매기 운영을 우선적으로 위탁하는 데 필요한 사항
     3. 복지위원의 자격, 직무, 위촉절차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
     4. 사회복지위원회의 조직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
     5. 자활기금의 설치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장애인에게 공공시설 안의 매점이나 자동판매기 운영을 우선적으로 위탁하는 데 필요한 사항은 장애인복지법에 규정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급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2월)
     1. 예방ㆍ재활
     2. 이송(移送)
     3. 요양병원간병비
     4. 처치ㆍ수술 및 그 밖의 치료
     5. 약제(藥劑)ㆍ치료재료의 지급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요양병원간병비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 특별현금급여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Dada]

66. 사회복지사업법령상 기본이념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ㄹ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목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67. 사회복지사업법령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와 인권증진의 책임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의 인권을 옹호할 책임을 진다.
     2. 사회복지서비스와 보건의료서비스를 함께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이들 서비스가 연계되어 제공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3.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자를 고려하여 사회복지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4. 사회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사회복지서비스의 실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5. 시설 거주자의 희망을 반영하여 지역사회보호체계에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 하여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3번. 공급자를 고려하는 것보다는 수요자를 고려하여 사회복지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해설작성자 : 술향]

68. 국민건강보험법상 가입자가 자격을 상실하는 시기로 옳은 것은?(2019년 01월)
     1. 사망한 날의 다음 날
     2. 국적을 잃은 날
     3. 국내에 거주하지 아니하게 된 날
     4.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가 된 다음 날
     5. 수급권자가 된 다음 날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국적을 잃은 날의 다음 날
3. 국내에 거주하지 아니하게 된 다음 날
4. 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가 된 날
5. 수급권자가 된 날
[해설작성자 : 땅미체고]

69. 고용보험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01월)
     1. 고용보험기금은 기획재정부장관이 관리ㆍ운용한다.
     2. 국가는 매년 보험사업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일반회계에서 부담하여야 한다.
     3. 취업촉진 수당의 종류로는 구직급여, 직업능력개발 수당 등이 있다.
     4. “실업”이란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없어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5. “일용근로자”란 6개월 미만 동안 고용되는 사람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번- 고용보험기금은 고용노동부장관이 관리, 운용
2번- 정답
3번- 취업촉진수당의 종류로는 조기 재취업 수당, 직업능력개발 수당, 광역 구직활동비, 이주비가 있음
4번- "실업"이란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것
5번- "일용근로자"란 1개월 미만 동안 고용되는 사람을 말함
[해설작성자 : 한번에 합격한다]

70. 실태조사의 주체와 조사주기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9년 01월)
     1.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실태조사: 보건복지부장관, 5년
     2. 아동복지법상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장관, 3년
     3. 한부모가족지원법상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장관, 3년
     4. 노인복지법상 노인실태조사: 여성가족부장관, 3년
     5. 다문화가족지원법상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보건복지부장관, 5년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3년
2. 아동복지법상 아동종합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5년
4. 노인복지법상 노인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3년
5. 다문화가족지원법상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 여성가족부장관, 3년
+ 영유아보육법상 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3년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실태조사 : 보건복지부장관, 5년
[해설작성자 : 땅미체고]

보건복지부 : 아동, 장애인 ,노인 - 여성가족부 : 청소년, 여성, 가족 , 성폭력
실태조사 5년 : 정신건강, 아동학대, 노숙인, 자살 외 3년
한부모가족이니 여가부, 위 4가지 해당 안되니 3년.
[해설작성자 : 2021년 갑시당.....]

아동복지법상 아동종합실태조사는 3년으로 개정되었습니다 (2021년 12월 명부하에)
[해설작성자 : 평균80점, 날 모욕하는 사람들은 불합격이니~잘 가시게 나는 합격!!!! ]

71. 장애인복지법상 벌칙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가 순서대로 옳은 것은?(2019년 01월)

    

     1. 1, 1
     2. 3, 3
     3. 5, 5
     4. 7, 7
     5. 10, 7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장애인의 신체에 폭행을 가한 사람: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장애인의 신체에 상해를 입힌 사람: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상 공동모금재원 배분기준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배분한도액
     2. 배분심사기준
     3. 배분신청자의 재산
     4. 공동모금재원의 배분대상
     5. 배분신청기간 및 배분신청서 제출 장소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제20조(배분기준) ① 모금회는 매년 8월 31일까지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다음 회계연도의 공동모금재원 배분기준을 정하여 공고하여야 한다.

1. 공동모금재원의 배분대상
2. 배분한도액
3. 배분신청기간 및 배분신청서 제출 장소
4. 배분심사기준
5. 배분재원의 과부족(過不足) 시 조정방법
6. 배분신청 시 제출할 서류
7. 그 밖에 공동모금재원의 배분에 필요한 사항
② 모금회는 재난구호 및 긴급구호 등 긴급히 지원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1항에 준하여 별도의 배분기준에 따라 지원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햅삐정콩]

73. 아동복지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지방자치단체는 아동이 항상 이용할 수 있는 아동전용시설을 설치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2.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보호조치 중인 보호대상아동의 양육상황을 분기별로 점검하여야 한다.
     3. 아동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된다.
     4. 아동위원은 명예직으로 하되, 아동위원에 대하여는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5. 보건복지부장관은 아동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하여 5년마다 아동정책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 분기별로→매년 (제15조의3 ①)
[해설작성자 : 햅삐정콩]

74.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단기보호시설은 피해자등을 6개월의 범위에서 보호하는 시설이다.
     2. 국가는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의 설치ㆍ운영에 드는 경비의 전부를 보조하여야 한다.
     3. 여성가족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는 긴급전화센터를 설치ㆍ운영하여야 한다.
     4. 가정폭력의 예방과 방지에 관한 교육 및 홍보는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의 업무에 해당한다.
     5. 사회복지법인은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의 인가를 받아 가정폭력피해자 보호시설을 설치ㆍ운영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보조하여야 한다 → 할 수 있다.
강행규정                → 임의규정        
[해설작성자 : 횽이]

75.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 기본계획에 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1
     2. 2
     3. 3
     4. 4
     5. 5

     정답 : []
     정답률 : 6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44256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복지사, 1급, 3교시,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1 국내여행안내사 1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8467337)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100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99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121412)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98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6669154)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97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96 수능(세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1823786) 좋은아빠되기 2025.10.31 4
95 9급 국가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9327438)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94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93 표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9월27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0.31 0
» 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4442560) 좋은아빠되기 2025.10.31 1
91 9급 지방직 공무원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 06월 27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90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 06월 13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89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 06월 15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0.31 2
88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 05월 19일(업데이트)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87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9064028)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86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1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85 DIAT 정보통신상식(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0.31 3
84 정보처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1일 좋은아빠되기 2025.10.31 5
83 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1일)(3574781) 좋은아빠되기 2025.10.31 4
82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0월 30일)(913587) 좋은아빠되기 2025.10.30 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