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51548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폐기물 개론


1. 함수율 50%인 쓰레기를 함수율 20%로 감소시킨다면 전체중량은? (단, 쓰레기 비중은 1.0으로 가정함)(2012년 03월)
     1. 처음의 약 52%로 된다.
     2. 처음의 약 57%로 된다.
     3. 처음의 약 63%로 된다.
     4. 처음의 약 68%로 된다.

     정답 : []
     정답률 : 88%

2. 최소 크기가 10cm인 폐기물을 2cm로 파쇄하고자 할 때 Kick's 법칙에 의한 소요 동력은 동일 폐기물을 4cm로 파쇄할 때 소요되는 동력의 몇 배 인가? (단, n=1로 가정한다.)(2010년 09월)
     1. 1.38배
     2. 1.52배
     3. 1.76배
     4. 1.92배

     정답 : []
     정답률 : 65%

3. 도시폐기물을 X90=2.5cm로 파쇄하고자 할 때 Rosin-Rammler 모델에 의한 특성입자크기(X0, cm)는?(단, n=1로 가정)(2018년 04월)
     1. 1.09
     2. 1.18
     3. 1.22
     4. 1.34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0.9=1-exp(2.5/X○)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0.9가 아니라 (1-0.9)=0.1 입니다
[해설작성자 : 강해린렛츠고]

4. 함수율 40%인 쓰레기를 건조시켜 함수율이 10%인 쓰레기로 만들려면 쓰레기 톤당 얼마의 수분을 증발시켜야 하는가?(2010년 03월)
     1. 221kg
     2. 254kg
     3. 312kg
     4. 333kg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처리전 량 (1000kg) x (1- 전 함수율) = 처리후 량 x (1 - 후 함수율)
→ 처리후 량 = 666.6666

제거 수분량 = 처리전 량 - 처리후 량 = 333
[해설작성자 : 고등어]

5. 적환 및 적환장에 관한 내용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수송차량 종류에 따라 직접적환,간접적환,저장적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적환을 시행하는 주된 이유는 폐기물 운반거리가 연장되었기 때문이다.
     3. 적환장 설계시는 사용하고자 하는 적환작업의 종류, 용량 소요량, 환경요건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적환장 설치장소는 수거하고자 하는 개별적 고형물 발생지역의 하중중심에 되도록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전과정평가(LCA)를 구성하는 4부분 중, 조사분석과정에서 확정된 자원요구 및 환경부하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기술적, 정량적, 정성적 과정인 것은?(2018년 09월)
     1. impact analysis
     2. initiation analysis
     3. inventory analysis
     4. improvement analysis

     정답 : []
     정답률 : 83%

7. 3,000,000ton/year의 쓰레기 수거에 4500명의 인부가 종사한다면 MHT값은? (단, 수거인부의 1일 작업시간은 8시간이고 1년 작업일수는 300일이다.)(2010년 05월)
     1. 2.4
     2. 3.6
     3. 4.5
     4. 5.6

     정답 : []
     정답률 : 69%

8. 어느 도시의 폐기물 수거량이 2,500,000톤/년, 수거인부 3,000명, 1일 작업시간 8시간, 연간 작업일 수 340일 일 때 MHT는?(2013년 03월)
     1. 약 2.38
     2. 약 2.83
     3. 약 3.26
     4. 약 3.62

     정답 : []
     정답률 : 83%

9. 쓰레기의 발생량과 성상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9월)
     1. 대체로 생활수준이 높아지면 쓰레기 발생량도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수집빈도가 낮고 쓰레기통이 클수록 쓰레기 발생량은 증가한다.
     3. 가정의 부엌에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시설이 있으면 음식쓰레기 발생량이 감소한다.
     4. 재활용품의 회수 및 재이용률이 증가할수록 쓰레기 발생량은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폐기물 파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파쇄기의 작용력은 충격, 압축, 전단으로 분류한다.
     2. 파쇄의 목적은 감용과 질의 균등화이다.
     3. 취성도가 적은 물질의 파쇄방법은 전단파쇄가 유효하다.
     4. 취성도가 큰 물질의 파쇄방법은 전단파쇄가 유효하다.

     정답 : []
     정답률 : 20%

11. 0.5ton/m3의 밀도를 갖는 쓰레기 시료를 압축하여 밀도를 0.75ton/m3으로 증가시켰다. 이 때의 부피 감소율은?(2010년 09월)
     1. 24%
     2. 33%
     3. 42%
     4. 50%

     정답 : []
     정답률 : 67%

12. 자연상태의 쓰레기 밀도가 200㎏/m3 이었던 것을 적환장에 설치된 압축기에 넣어 압축시킨 결과 800㎏/m3 으로 증가하였다. 이때 부피의 감소율은?(2004년 09월)
     1. 65%
     2. 70%
     3. 75%
     4. 8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폐기물의 파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파쇄하면 부피가 커지는 경우도 있다.
     2. 파쇄를 통해 조성이 균일해 진다.
     3. 매립작업 시 고밀도 매립이 가능하다.
     4. 압축 시 밀도 증가율이 감소하므로 운반비가 감소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압축 시 밀도증가
[해설작성자 : 22년 환경직 합격자]

14. 폐기물의 운송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파이프라인(pipe-line) 수송은 폐기물의 발생 빈도가 높은 곳에서는 현실성이 있다.
     2. 모노레일(mono-rail) 수송은 가설이 곤란하고 설치비가 고가이다.
     3. 컨베이어(conveyor) 수송은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고 사용 후 세정에 많은 물을 사용해야 한다.
     4. 파이프라인(pipe-line) 수송은 장거리 이송이 곤란하고 투입구를 이용한 범죄나 사고의 위험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3번은 컨테이너 수송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k-곤죽]

15. 퇴비화 하기 위해 함수율 97%인 분뇨와 함수율 30%인 쓰레기를 무게비 1:3으로 혼합했을 때의 함수율은?(2010년 09월)
     1. 30%
     2. 47%
     3. 52%
     4. 57%

     정답 : []
     정답률 : 56%

16. 쓰레기 발생량 및 성상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일반적으로 도시의 규모가 커질수록 쓰레기의 발생량이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수집빈도가 높을수록 발생량이 증가한다.
     3.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이 작을수록 발생량이 증가한다.
     4. 생활수준이 높아지면 발생량이 증가하며 다양화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쓰레기 발생량 예측방법 중 모든 인자를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낸 후 시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 각 영향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수식화하는 방법은?(2004년 03월)
     1. 경향법
     2. 다중회귀모델
     3. 회귀직선모델
     4. 동적모사모델

     정답 : []
     정답률 : 54%

18. 폐기물의 화학적 성분에는 3성분이 있다. 3성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가연분
     2. 무기물질
     3. 수분
     4. 회분

     정답 : []
     정답률 : 87%

19. Pipeline 수송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가설 후에 경로변경이 곤란하고 설치비가 높다.
     2. 쓰레기의 발생밀도가 높은 인구밀집지역 및 아파트지역 등에서 현실성이 있다.
     3. 조대쓰레기의 압축, 파쇄 등의 전처리가 필요없다.
     4. 잘못 투입된 물건은 회수가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조대쓰레기의 압축, 파쇄 등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국화]

20. 인구 200,000의 도시에서 폐기물 발생량이 1.1kg/인·일 이라고 한다. 폐기물 수거 밀도 0.8kg/ℓ, 수거 차량의 적재용랴이 10m3라면, 1일 2회 수거하기 위한 수거차량의 대수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2010년 05월)
     1. 14대
     2. 15대
     3. 16대
     4. 17대

     정답 : []
     정답률 : 58%

2과목 : 폐기물 처리 기술


21. 슬러지 소화(sluge digestion)의 목적에 대한 설명중 가장 타당한 내용은?(2003년 08월)
     1. 혐기성 또는 호기성 처리공법으로 슬러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2. 혐기성 또는 호기성 처리공법으로 이용 가능한 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3. 혐기성 처리공법으로 온도가 높은 cake을 생산할 수있다.
     4. 혐기성 처리공법으로 비료가치가 높은 슬러지를 생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연직차수막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2004년 05월)
     1. 수직방향 차수층 존재시에 사용한다.
     2.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불필요하다.
     3. 지하매설로서 차수성확인이 어렵다.
     4. 차수막 보강시공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매립장에서 침출된 침출수가 다음과 같은 점토로 이루어진 90 cm 의 차수층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2015년 05월)

    

     1. 약 8년
     2. 약 10년
     3. 약 12년
     4. 약 14년

     정답 : []
     정답률 : 72%

24. 진공여과기로 슬러지를 탈수하여 cake의 함수율을 85%로 할 때 여과속도는 20kg/m2ㆍh(고형물기준), 여과면적은 50m2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cake 발생량은? (단, 비중은 1.0으로 가정한다.)(2010년 03월)
     1. 약 13.4ton
     2. 약 16.6ton
     3. 약 22.8ton
     4. 약 26.7ton

     정답 : []
     정답률 : 53%

25. 포도당(C6H12O6)으로 구성된 유기물 3 kg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어 생성되는 메탄의 용적(Sm3)은?(2015년 09월)
     1. 1.12
     2. 1.37
     3. 1.52
     4. 1.83

     정답 : []
     정답률 : 59%

26. 매립지내의 물의 이동을 나타내는 Darcy의 법칙을 기준으로 침출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3년 03월)
     1. 투수계수는 감소, 수두차는 증가시킨다
     2. 투수계수는 증가, 수두차는 감소시킨다
     3. 투수계수 및 수두차를 증가시킨다
     4. 투수계수 및 수두차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시멘트 고형화 방법 중 연소가스 탈황 시 발생된 슬러지 처리에 주로 적용되는 것은?(2021년 05월)
     1. 시멘트기초법
     2. 석회기초법
     3. 포졸란첨가법
     4. 자가시멘트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탈황'이라고 했으므로 많은 황화물을 가지는 폐기물에 적합한 자가시멘트법
[해설작성자 : 소소]

28. 고농도 액상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 중 중온소화와 고온소화의 비교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부하능력은 고온소화가 우수하다.
     2. 탈수여액의 수질은 고온소화가 우수하다.
     3. 병원균의 사멸은 고온소화가 유리하다.
     4. 중온소화에서 미생물의 활성이 쉽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고온소화는 중온소화보다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유기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여액에 N,P 많아짐
[해설작성자 : jjang]

29.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혐기성 소화조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구성비에 대하여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1. CH4 > CO2 > H2 > O2
     2. CH4 > CO2 > O2 > H2
     3. CH4 > H2 > CO2 > O2
     4. CH4 > O2 > CO2 > H2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메이수산
[해설작성자 : 1]

30.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30%, 메탄 함량이 70% 라고 할 때 소화조의 작동상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10월)
     1. 불안정한 정상 상태이다.
     2. 비정상적인 상태이다.
     3. 평균적인 정상 상태이다.
     4. 소화로 인하여 가스발생량이 증가한 상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31. 분뇨를 호기성 소화 방식으로 일 500m3 부피를 처리하고자 한다. 1차 처리에 필요한 산기관수는? (단, 분뇨 BOD 20,000mg/L, 1차 처리효율 60%, 소요 공기량 50m3/BODkg, 산기관 통풍량 0.5m3/min·개)(2020년 08월)
     1. 347
     2. 417
     3. 694
     4. 1,157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처리해야할 부하(kg/day) = 농도(mg/L)*유량(m3/day)*10^-3 = 20000*500*10^-3 = 10000kg/day
10000*0.6 = 6000kg/day
2) 이것을 처리하기 위한 공기량 = 50m3/BODkg*6000kg/day = 300000m3/day
3) 산기관 1개가 하루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기량
(0.5m3/min·개)*{(24*60min)/day} = 720m3/개·day
따라서 필요한 산기관수는 (300000m3/day)/(720m3/개·day) = 417
[해설작성자 : 해대 윈터]

32. 퇴비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10월)
     1. 퇴비가 완성된 후에도 부피가 크게 감소하지는 않아 통상 50% 이하이다.
     2. 퇴비화 후에는 C/N비 값이 70~85 정도로 높아진다.
     3.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므로 퇴비제품의 품질표준화가 어렵다.
     4. 운영시 소요되는 에너지가 낮고, 생산품인 퇴비는 토양 개량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95%

33. 시료의 성분분석결과 수분 10%, 회분 44%, 고정 탄소 36%, 휘발분 10%이고, 원소분석 결과 휘발분 중 수소 20%, 황 10%, 산소 30%, 탄소 40%일 때 저위발열량(kcal/kg)은? (단, 각 원소의 단위질량당 열량은 C 8100, H:34000, S:2500kcal/kg이다.)(2020년 09월)
     1. 2650
     2. 3650
     3. 4650
     4. 556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Hh= 8100*(0.36+0.1*0.4)+34000(0.1*0.2-0.1*0.3/8)+2500*0.1*0.1
=3817.5
HL=3817.5-600(9*0.1*0.2+0.1)= 3650
[해설작성자 : 국화]

34. 다음 조건의 중금속 슬러지를 시멘트 고형화할 때 부피 변화율(VCF)은?(2011년 03월)

    

     1. 약 1.12
     2. 약 1.18
     3. 약 1.21
     4. 약 1.26

     정답 : []
     정답률 : 41%

35. 유해성 물질별로 처리가 가능한 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납-응집
     2. 비소-침전
     3. 수은-흡착
     4. 시안-용매추출

     정답 : []
     정답률 : 68%

36. 점토가 매립지의 차수막으로 적합하기 위한 기준으로 알맞는 것은?(2004년 09월)
     1. 점토 및 미사토함유량: 10% 이상
     2. 소성지수: 10% 이하
     3. 액성한계: 30% 이상
     4. 직경이 2.5cm 이상인 입자 함유량: 5% 이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습식산화(Zimmerman Process)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2004년 03월)
     1. 산화범위에 융통성이 적고 슬러지의 질에 따른 영향이 크다.
     2. 냄새가 발생하며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3. 최종물질이 소량이다.
     4. 처리된 슬러지의 침전성 및 탈수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시설이 작은 장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17%

38. 38,000m3/d 의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의 1차 침전지에서 침전으로 제거되는 BODL은 0.14BODL/m3 이며, 발생되는 생슬러지는 혐기성 소화조로 유입된다. 혐기성 소화공정의 처리효율은 80%이며 소화슬러지의 일 생성량이 150kg VSS/d 이라고 한다면 소화공정의 안정화율(BODL기준)은?(2002년 03월)
     1. 76%
     2. 80%
     3. 85%
     4. 91%

     정답 : []
     정답률 : 58%

39. 소각처리에 가장 부적합한 폐기물은?(2020년 06월)
     1. 폐종이
     2. 폐유
     3. 폐목재
     4. PVC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PVC는 소각 시 염소 발생 등 환경문제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껍던씸]

PVC는 다이옥신 등의 오염물질이 많이 배출된다
[해설작성자 : 김태진]

40. 쓰레기 수거차의 적재능력은 10 m3이고 또한 8톤을 적재할 수 있다. 밀도가 0.7 ton/m3 인 폐기물 3000 m3을 동시에 수거하려고 할 때 필요한 수거차(대)는?(2017년 09월)
     1. 200
     2. 250
     3. 300
     4. 35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폐기물의 양]
* M^3 일 경우 : 3000m^3
    - M^3으로 필요한 수거차 계산시 : 3000m^3/10m^3 = 300(대)
* Ton 일 경우 : 0.7ton/m^3 x 3000m^3 = 2100ton
    - Ton으로 필요한 수거차 계산시 : 2100ton / 8ton = 262.5 = 263(대)
300(대)와 263(대) 중 더 많은 차량 대수 채택
= 300대
[해설작성자 : 킹크랩]

3과목 : 폐기물 소각 및 열회수


41. 다음 연소실 내 가스와 폐기물의 흐름에 따른 구분 중 폐기물의 이송방향과 연소가스의 흐름방향이 같은 형식으로 폐기물의 발열량이 상당히 높은 경우에 적합한 형식은?(2011년 06월)
     1. 향류식
     2. 병류식
     3. 교류식
     4. 회류식

     정답 : []
     정답률 : 63%

42. 매시간 4ton의 폐유를 소각하는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을 접촉산화법으로 탈황하고 부산물로 60%의 황산을 회수한다면 회수되는 부산물량(kg/hr)은? (단, 폐유 중 황성분 3%, 탈황율 95%라 가정함)(2010년 09월)
     1. 약 428
     2. 약 482
     3. 약 538
     4. 약 582

     정답 : []
     정답률 : 62%

43. 이론적으로 순수한 탄소 3㎏을 완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은?(2008년 05월)
     1. 6㎏
     2. 8㎏
     3. 10㎏
     4. 1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어떤 1차 반응에서 1000초 동안 반응물의 1/2이 분해되었다면 반응물이 1/10 남을 때까지는 얼마의 시간이 소요되겠는가?(2014년 03월)
     1. 3923초
     2. 3623초
     3. 3323초
     4. 3023초

     정답 : []
     정답률 : 67%

45. 액주입식 소각로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2003년 05월)
     1. 소각로의 가장 핵심은 폐기물의 미분사장치인 노즐 버너이다.
     2. 형식은 수평점화방식,상방점화,하방점화가 있다.
     3. 수평점화방식 소각로의 재(ash)배출 설비는 연소실과 집진시설 하부에 설치한다
     4. 하방점화 방식의 경우에는 염이나 입상물질을 포함한 폐기물의 소각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4%

46. 로타리 킬른식(Rotary Kiln)소각로의 단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2007년 09월)
     1. 처리량이 적은 경우 설치비가 높다.
     2. 용융상태의 물질에 대하여 방해를 받는다.
     3. 로에서의 공기유출이 크므로 종종 대향의 과잉공기가 필요하다.
     4. 대기오염 제어시스템에 분진부하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다음 중 폐기물의 발열량을 계산하는 공식은?(2015년 05월)
     1. 듀롱(Dulong)의 식
     2. 보상케-사툰(Bosanquet-Sutton)의 식
     3. 브리그(Briggs)의 식
     4. 베르누이(Bernoulli)의 식

     정답 : []
     정답률 : 88%

48. 폐기물의 연소 및 열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7년 03월)
     1. 열분해는 무산소 또는 저산소 상태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방법이다.
     2. 습식산화는 젖은 폐기물이나 슬러지를 고온, 고압하에서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3. Steam Reforming은 산화 시에 스팀을 주입하여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다.
     4. 가스화는 완전연소에 필요한 양보다 과잉 공기 상태에서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가스화는 무산소, 산소부족상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연소실의 부피를 결정하려고 한다. 연소실의 부하율은 3.6×105 kcal/m3 · hr 이고 발열량이 1600 kcal/kg 인 쓰레기를 1일 400ton 소각시킬 때 소각로의 연소실 부피(m3)는? (단, 소각로는 연속가동 한다.)(2014년 05월)
     1. 104 m3
     2. 974 m3
     3. 84 m3
     4. 74 m3

     정답 : []
     정답률 : 72%

50. 도시쓰레기 1톤을 소각처리하고자 한다. 쓰레기의 조성이 C:70%, H:20%, O:10%일 때 이론 공기량은?(2013년 03월)
     1. 약 6300Sm3
     2. 약 8300Sm3
     3. 약 9300Sm3
     4. 약 11300Sm3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조성이 있을 때 이론공기량(Sm^3/kg) = (1.867C + 5.6H + 0.7S - 0.7O)/0.21
따라서 (1.867*0.7+5.6*0.2-0.7*0.1)/0.21 = 11223.33(Sm^3/kg)인데 1ton을 소각하므로 10^3kg을 곱해줘서 단위환산 해주면
11223Sm^3, 약 11300Sm^3 이다.
[해설작성자 : 아해설왜없지아그냥책살까고민하는당신을위해]

51. 다음의 집진장치 중 압력손실이 가장 큰 것은?(2014년 03월)
     1. 벤튜리 스크러버(Venturi Scrubber)
     2. 사이클론 스크러버(Cyclone Scrubber)
     3. 팩킹 타워(Packing Tower)
     4. 제트 스크러버(Jet Scrubber)

     정답 : []
     정답률 : 65%

52. 옥탄(C8H18)이 완전연소할 때 AFR은? (단, kgmol air/kg mol fuel)(2013년 03월)
     1. 15.1
     2. 29.1
     3. 32.5
     4. 59.5

     정답 : []
     정답률 : 69%

53. 백필터를 통과한 가스의 분진농도가 8mg/Sm3이고 분진의 통과율이 10%라면 백필터를 통과하기 전 가스중의 분진농도는?(2013년 03월)
     1. 0.08g/m3
     2. 0.80g/m3
     3. 8.8g/m3
     4. 0.88g/m3

     정답 : []
     정답률 : 78%

54. 유동층 소각로(Fluidized Bed Incinerator)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미연소분 배출이 많아 2차 연소실이 필요하다.
     2. 반응시간이 빨라 소각시간이 짧다.
     3. 기계적 구동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어 고장률이 낮다.
     4. 소량의 과잉공기량으로도 연소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차 연소실이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국화]

55. 로타리 킬른식(rotary kiln)소각로의 특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습식가스 세정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2. 넓은 범위의 액상 및 고상 폐기물을 소각 할 수 있다.
     3. 용융상태의 물질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
     4. 예열, 혼합, 파쇄 등 전처리 후 주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56. 연소시키는 물질의 발화온도, 함수량, 공급공기량, 연소기의 형태에 따라 연소온도가 변화된다. 연소온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연소온도가 낮아지면 불완전 연소로 HC나 CO 등이 생성되며 냄새가 발생된다.
     2. 연소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NOx나 SOx가 생성되며 냉각공기의 주입량이 많아지게 된다.
     3. 소각로의 최소온도는 650℃ 정도이지만 스팀으로 에너지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연소온도를 870℃ 정도로 높인다.
     4. 함수율이 높으면 연소온도가 상승하며, 연소물질의 입자가 커지면 연소시간이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함수율이 높으면 연소온도가 하강하며, 연소물질의 입자가 커지면 연소시간이 길어진다.
[해설작성자 : 법규면]

57. 탄소함유율이 50wt% 와 불연분 50wt%인 고형 폐기물 100kg을 완전연소 시킬 때 필요한 이론 공기량(Sm3)은?(2014년 05월)
     1. 약 93
     2. 약 256
     3. 약 445
     4. 약 577

     정답 : []
     정답률 : 66%

58. 평균 발열량이 8,000kcal/㎏인 P시의 폐기물을 소각하여, 그 지역 난방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얻고자 한다. 이 때 지역난방에 필요한 난방수를 하루에 400ton 얻기 위하여 필요한 폐기물의 양(㎏/d)은? (단, 난방보일러의 효율은 65%, 급수온도는 12℃,보일러 출구 수온도 92℃, 물의 비열은 1.0 kcal/㎏℃이다)(2003년 03월)
     1. 약 4250
     2. 약 6150
     3. 약 7610
     4. 약 907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소각로에 폐기물을 투입하는 1시간 중에 투입작업시간을 20분, 나머지 40분은 정리시간과 휴식시간으로 한다. 크레인 바켓트 용량 4m3, 1회에 투입하는 시간을 120초, 바켓트로 폐기물을 짚었을 때 용적중량은 최대 0.4ton/m3으로 본다면 폐기물의 1일 최대 공급능력은? (단, 소각로는 24시간 연속가동)(2009년 05월)
     1. 324ton/day
     2. 384ton/day
     3. 434ton/day
     4. 474ton/day

     정답 : []
     정답률 : 40%

60. 황성분이 0.8%인 폐기물을 20t/hr 소각하는 소각로에서 배기가스 중의 SO2를 CaCO3로 완전히 탈황하는 경우 이론상 하루에 필요한 CaCO3의 양은? (단, 폐기물 중의 S는 모두 SO2로 전환되면, 소각로의 1일 가동시간은 16시간, Ca 원자량:40)(2013년 09월)
     1. 1.0t/day
     2. 2.0t/day
     3. 4.0t/day
     4. 8.0t/day

     정답 : []
     정답률 : 52%

4과목 : 폐기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함수율 85%인 시료인 경우, 용출시험결과에 시료중의 수분함량 보정을 위하여 곱하여야 하는 값은?(2012년 03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64%

62. 다음은 흡광 광도계 특수형 흡수셀에 관한 내용이다. 모양과 용도로 맞는 것은?(2007년 03월)
     1. 원통형셀-저농도 시료를 측정할 때 사용
     2. 마개가 있는 셀-유독성 시료를 측정할 때 사용
     3. 유동셀-겔(gel)상 시료를 측정할 때 사용
     4. 마이크로셀-액량이 적은 시료를 흘려보내며 측정할 때 사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총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 중 옳은 내용은?(2017년 09월)
     1. '약' 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5%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2. '정밀히 단다'라 함은 규정된 양의 시료를 취하여 화학저울 또는 미량저울로 칭량함을 말한다.
     3. '정확히 취하여'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액체를 메스플라스크로 눈금까지 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정량적으로 씻는다'라 함은 사용된 용기 등에 남은 대상성분을 수돗물로 씻어냄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
3. 홀피펫으로 눈굼까지 취하는 것
4. 사용한 용매로 씻어냄
[해설작성자 : rrs]

64. 원자흡광광도 분석법에서 화학적 간섭 제거법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2004년 03월)
     1. 목적원소의 용매추출
     2. 이온교환 등에 의한 방해물질의 제거
     3. 분석시료와 표준시료의 용매조성을 거의 같도록 함
     4. 간섭을 피하는 양이온, 음이온 또는 은폐제, 킬레이트제 등의 첨가

     정답 : []
     정답률 : 37%

65. 다음은 시안-이온전극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2014년 03월)

    

     1. pH 2 이하의 산성
     2. pH 4.5~5.3의 산성
     3. pH 10의 알칼리성
     4. pH 12~13의 알칼리성

     정답 : []
     정답률 : 68%

66. 다음 시료의 용출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중 적절한 것은?(2003년 03월)
     1. 용출액으로는 묽은황산(pH 4.5 - 5.5)으로 된 것을 사용한다.
     2. 용출조작은 진폭이 4 - 5cm인 진탕기로 200회/min로 6시간 연속 진탕한다.
     3. 여과가 어려운 경우에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00회/min 이상 5분이상 원심분리 후 용출 검액으로 한다.
     4. 함수율이 90% 이상인 시료에 한하여 10/100-D(여기서 D는 시료의 함수율)을 곱하여 계산된 값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환원기화법(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수은을 측정할 때 시료 중에 염화물이 존재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시료 중의 염소는 산화조작 시 유리염소를 발생시켜 253.7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낸다.
     2. 시료 중의 염소는 과망간산칼륨으로 분해 후 헥산으로 추출 제거한다.
     3. 유리염소는 과량의 염산하이드록실 아민 용액으로 환원시킨다.
     4. 용액 중에 잔류하는 염소는 질소가스를 통기시켜 축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 시료 중의 VOCs는 과망간산칼륨으로 분해 후 헥산으로 추출 제거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68. 다음에 표시된 농도 중 가장 낮은 것은?(2005년 09월)
     1. 0.005ppm
     2. 0.05g/m3
     3. 0.05mg/ℓ
     4. 0.5μg/ℓ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중량법에 의해 기름성분을 측정할 때 필요한 기구 또는 기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전기열판 또는 전기멘틀
     2. 분액깔대기
     3. 회전증발농축기
     4. 리비히 냉각관

     정답 : []
     정답률 : 54%

70.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밖으로부터의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는 어떤 용기인가?(2014년 05월)
     1. 기밀용기
     2. 밀폐용기
     3. 밀봉용기
     4. 차광용기

     정답 : []
     정답률 : 69%

71. 폐기물 시료 20g에 고형물 함량이 1.2g이었다면 다음 중 어떤 폐기물에 속하는가? (단, 폐기물의 비중=1.0)(2019년 04월)
     1. 액상폐기물
     2. 반액상폐기물
     3. 반고상폐기물
     4. 고상폐기물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2/20 * 100% = 6%, 반고상폐기물
액상폐기물: 15% 이상
반고상폐기물: 5% 이상 15% 미만
고상폐기물: 5% 미만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액상폐기물 고형물 함량 : 5%미만
반고상폐기물 고형물 함량 : 5%이상 15%미만
고형물폐기물 고형물 함량 : 15%
[해설작성자 : 목해대피바다]

72. 폐기물 시료의 용출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지정폐기물의 판정이나 매립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에 적용한다.
     2. 시료 100g이상을 정확히 달아 정제수에 염산을 넣어 pH를 4.5~5.3으로 맞춘 용매와 1:5의 비율로 혼합한다.
     3. 진탕여과한 액을 검액으로 사용하나 여과가 어려운 경우 원심분리기를 이용한다.
     4. 용출시험 결과는 수분함량 보정을 위해 함수율 85% 이상인 시료에 한하여 [15/(100-시료의 함수율(%))]을 곱하여 계산된 값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 시료 100g이상을 정확히 달아 정제수에 염산을 넣어 pH를 5.8~6.3(4.5~5.3 X)으로 맞춘 용매와 1:10(1:5 X)의 비율로 혼합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73. 원자흡광 광도법에 의한 비소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유료 측정농도는 0.005mg/L 이상으로 한다.
     2. 운반가스는 알곤, 연소가스는 알곤-수소를 사용한다.
     3. 알곤-수소 불꽃에서 원자화시켜 340nm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소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4. 염화제일주석으로 시료 중 비소를 3가 비소로 환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흡광광도법에서 석영흡수셀만의 사용이 요구되는 흡수 파장은?(2005년 05월)
     1. 370nm 이하
     2. 370nm 이상
     3. 550nm 이상
     4. 550nm 이하

     정답 : []
     정답률 : 80%

75. 수산화나트륨(NaOH) 40%(무게 기준) 용액을 조제한 후 100mL를 취하여 다시 물에 녹여 2000mL로 하였을 때 수산화나트륨의 농도(N)는? (단, Na 원자량 = 23)(2019년 03월)
     1. 0.1
     2. 0.5
     3. 1
     4. 2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eq/2L=0.5N
[해설작성자 : 국화]

76. 다음 중 유기인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분석할 때 고정상 담체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크로마토그래피용 크로모솔브 W
     2. 크로마토그래피용 크로모솔브 G
     3. 크로마토그래피용 가스크롬 Q
     4. 크로마토그래피용 실리콘 DC-2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자외선/가시선 분광법(흡광광도법)에 의하여 폐기물내 크롬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발색시 황산의 최적 농도는 0.5N이다. 만일 황산의 양이 부족하면 황산(1+9) 5mL을 넣어 시험한다.
     2. 시료 중에 철이 2.5mg 이하로 공존할 경우에는 다이페닐카바자이드 용액을 넣기전에 5% 피로인산나트륨10수화물 용액 2mL를 넣는다.
     3. 적자색의 착화합물을 흡광도 460nm에서 측정한다.
     4. 총 크롬을 과망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6가 크롬으로 산화시킨 다음 알칼리성에서 다이페닐카바자이드와 반응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35%

78. 흡광광도법에서 램버어트 비어의 법칙을 나타내는 식은 ? (단, Io: 입사강도, ℓ : 셀의 두께, It: 투과강도 ε : 상수, C: 농도)(2004년 03월)
     1. It = Io 10-ε Cℓ
     2. IO = It 10-ε Cℓ
     3. It = C Io 10-ε Cℓ
     4. IO = ℓ It 10-ε C

     정답 : []
     정답률 : 46%

79.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크롬을 측정할 대 시료 중 총 크롬을 6가 크롬으로 산화시키는데 사용하는 시약은?(2013년 09월)
     1. 과망간산칼륨
     2. 이염화주석
     3. 시안화칼륨
     4. 디티오황산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68%

80. pH 측정(유리전극법)의 내부정도관리 주기 및 목표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시료를 측정하기 전에 표준용액 2개 이상으로 보정한다.
     2. 시료를 측정하기 전에 표준용액 3개 이상으로 보정한다.
     3. 정도관리 목표(정도관리 항목: 정밀도)는 ±0.01이내 이다.
     4. 정도관리 목표(정도관리 항목: 정밀도)는 ±0.03이내 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81.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간마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인 경우의 검사기간 기준으로 ( )에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 3년, ㉡ 3년
     2. ㉠ 1년, ㉡ 3년
     3. ㉠ 3개월, ㉡ 3개월
     4. ㉠ 1년, ㉡ 1년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41조(폐기물처리시설 사용신고 및 검사)
(1)소각 및 소각열회수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 2회 이후 정기검사는 최초 정기검사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 3-3
(2)매립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 2회 이후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3년이 되는 날 1-3
(3)멸균분쇄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개월,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3개월 3-3
(4)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1년이 되는 날 1-1
(5)시멘트 소성로: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 3-3
[해설작성자 : k-곤죽]

82. 과징금의 사용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2002년 03월)
     1. 폐기물처리시설 기술 개발비
     2.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의 확충
     3. 페기물처리시설의 지도,점검에 필요한 시설,장비의 구입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
     4. 페기물처리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처리한 폐기물 중 그 폐기물을 처리한 자를 확인 할 수 없는 폐기물로 안하여 예상되는 환경상 위해의 제거를 위한 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83. 소각시설의 측정대상 오염물질인 다이옥신의 측정주기 기준은? (단, 시간당 처리능력이 25킬로그램 이상 200킬로그램 미만인 소각시설인 경우)(2006년 03월)
     1. 6월에 1회 이상
     2. 12월에 1회 이상
     3. 18월에 1회 이상
     4. 24월에 1회 이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잔류성오염물질 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6] 잔류성오염물질의 측정주기 등(제14조제3항 관련)
시간당 처리 능력이 2톤 이상인 시설의 경우 : 6개월 마다 1회 이상
시간당 처리 능력이 200킬로그램 이상 2톤 미만인 시설의 경우 : 12개월마다 1회 이상
시간당 처리 능력이 25킬로그램 이상 200킬로그램 미만인 시설의 경우 : 24개월마다 1회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폐기물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자는 신고서를 재활용 개시 몇일 전까지 누구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2003년 03월)
     1. 15일, 시,도지사
     2. 15일, 지방환경청장
     3. 30일, 시,도지사
     4. 30일, 지방환경청장

     정답 : []
     정답률 : 17%

85. 폐기물처리업의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으로 옳지않는 것은?(2012년 03월)
     1. 폐기물종합재활용업 :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중간재활용업과 최종재활용업을 함께하는 영업
     2. 폐기물최종재활용업 :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최종재활용품을 만드는 영업
     3. 폐기물중간재활용업 :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중간 가공 폐기물을 만드는 영업
     4. 폐기물 수집, 운반업 : 폐기물을 수집하여 재활용 또는 처분 장소로 운반하거나 폐기물을 수출하기 위하여 수집, 운반하는 영업

     정답 : []
     정답률 : 41%

86. 폐기물관리법 벌칙 중에서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자는?(2018년 09월)
     1.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업을 한 자
     2.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한 자
     3. 대행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고 종량제 봉투 등을 제작ㆍ유통한 자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2.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한 자 >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해설작성자 : cookie]

87. 다음은 청정지역에서의 매립시설의 침출수 배출허용기준을 나열한 것이다. 이중 잘못된 것은?(2002년 03월)
     1. 암모니아성 질소 - 30mg/L이하
     2. 총인 - 4mg/L이하
     3. 대장균 균수 - 100개/mL 이하
     4. 페놀류 - 1mg/L이하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1]
폐기물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의 관리기준(제42조제1항 관련)
- 암모니아성 질소 - 50mg/L 이하(9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사후관리항목 및 방법에 따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매립시설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보고서를 매립시설의 사용종료신고 후 몇 년마다 작성하여야 하는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2년 03월)
     1. 2년 마다
     2. 3년 마다
     3. 5년 마다
     4. 10년 마다

     정답 : []
     정답률 : 80%

89. [폐기물처리시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하되,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 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위의 조항을 위반하여 설치가 금지되는 폐기물소각시설을 설치, 운영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2010년 03월)
     1.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50%

90. 지정 폐기물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폐농약:농약의 제조, 판매업소에서 발생되는 것에 한한다.
     2. 폐알칼리:pH 12.5 이상의 액체상태 폐기물인 것에 한한다.(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 포함)
     3. 광재:환경부령이 정하는 물질을 함유한 것에 한한다. (철광원석의 사용으로 인한 고로슬래그 포함)
     4.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함유 폐기물:액체상태의 것 ( 1리터당 2밀리그램이상 함유한 것)에 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1. 폐기물처리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폐기물의 기본관리여건 및 전망
     2. 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 및 그 장비·용기 등의 개선에 관한 사항
     3. 재원의 확보 계획
     4. 폐기물의 감량화와 재활용 등 자원화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 폐기물 종류별 발생량과 장래 발생예상량
폐기물의 수집, 운반 보관 및 그 장비 용기 등의 개선에 관한 사항
재원의 확보계획
폐기물 감량화재활용 등 자원화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5일컷해보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규 개정으로 삭제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가즈ㅏ]

92. 폐기물관리법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용기에 들어 있지 아니한 기체 및 고체상태의 물질
     2. 원자력법에 따른 방사성 물질과 이로 인하여 오염된 물질
     3. 하수도법에 따른 하수
     4.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수질 오염방지시설에 유입되거나 공공 수역으로 배출되는 폐수

     정답 : []
     정답률 : 59%

93. 동물성 잔재물 및 감염성 폐기물중 부패·변질의 우려가 있는 폐기물의 방치시 폐기물의 처리명령대상이 되는 조업중단기간기준은?(2005년 03월)
     1. 3일
     2. 7일
     3. 10일
     4. 15일

     정답 : []
     정답률 : 73%

94.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간마다 검사기관으로부터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멸균분쇄시설 기준)의 정기검사 기간 기준으로 ( )에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 1개월, ㉡ 3개월
     2. ㉠ 3개월, ㉡ 3개월
     3. ㉠ 3개월, ㉡ 6개월
     4. ㉠ 6개월, ㉡ 6개월

     정답 : []
     정답률 : 52%

95. 폐기물처리리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하되,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를 위반하여 설치가 금지되는 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운영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2022년 04월 26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3년 09월)
     1.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022년 04월 26일 개정된 규정]
폐기물관리법
[시행 2023. 4. 27.] [법률 제18853호, 2022. 4. 26., 타법개정]
제29조(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① 폐기물처리시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하되,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 시설을 설치ㆍ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66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07. 8. 3., 2010. 7. 23., 2014. 1. 21., 2015. 1. 20., 2015. 7. 20., 2017. 4. 18., 2019. 4. 16., 2019. 11. 26., 2021. 1. 5.>
- 중간 생략 -
10. 제29조제1항을 위반하여 설치가 금지되는 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ㆍ운영한 자

96. 폐기물처리법의 사업계획의 적정통보를 받은 자가 시설장비, 기술능력을 갖추어 사업계획의 적정통보를 받은 날로부터 얼마 기간 이내에 허가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단, 폐기물처리업 중 매립시설 또는 소각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2002년 03월)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가 변경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업의 허가사항을 변경한 경우에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49%

98. 폐기물발생량 억제지침 준수의무대상 배출자의 규모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을 1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2.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을 2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3.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250톤 이상 배출하는 자
     4.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5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행령 별표 5(폐기물 발생 억제 지침 준수의무 대상 배출자 규모): 최근 3년간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100톤 이상 or 지정폐기물 외 폐기물을 1000톤 이상 배출하는 자(건설폐기물 제외)
[해설작성자 : k-곤죽]

99. 다음 중 폐기물 관리 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폐기물 관리 여건 및 전망
     2. 부문별 폐기물 관리 정책
     3. 재원 조달 계획
     4. 폐기물 처리현황 및 향후 처리계획

     정답 : []
     정답률 : 12%

100. 생활폐기물의 처리대행자로 적절치 못한 것은?(2002년 03월)
     1. 폐기물재활용신고를 한 자
     2. 음식물류, 폐기물을 수거하여 가축의 먹이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자
     3. 폐기물 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
     4. 한국자원재생공사(폐가구 및 폐가전제품을 재활용하는 경우는 제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51548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폐기물 개론


1. 함수율 50%인 쓰레기를 함수율 20%로 감소시킨다면 전체중량은? (단, 쓰레기 비중은 1.0으로 가정함)(2012년 03월)
     1. 처음의 약 52%로 된다.
     2. 처음의 약 57%로 된다.
     3. 처음의 약 63%로 된다.
     4. 처음의 약 68%로 된다.

     정답 : []
     정답률 : 88%

2. 최소 크기가 10cm인 폐기물을 2cm로 파쇄하고자 할 때 Kick's 법칙에 의한 소요 동력은 동일 폐기물을 4cm로 파쇄할 때 소요되는 동력의 몇 배 인가? (단, n=1로 가정한다.)(2010년 09월)
     1. 1.38배
     2. 1.52배
     3. 1.76배
     4. 1.92배

     정답 : []
     정답률 : 65%

3. 도시폐기물을 X90=2.5cm로 파쇄하고자 할 때 Rosin-Rammler 모델에 의한 특성입자크기(X0, cm)는?(단, n=1로 가정)(2018년 04월)
     1. 1.09
     2. 1.18
     3. 1.22
     4. 1.34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0.9=1-exp(2.5/X○)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0.9가 아니라 (1-0.9)=0.1 입니다
[해설작성자 : 강해린렛츠고]

4. 함수율 40%인 쓰레기를 건조시켜 함수율이 10%인 쓰레기로 만들려면 쓰레기 톤당 얼마의 수분을 증발시켜야 하는가?(2010년 03월)
     1. 221kg
     2. 254kg
     3. 312kg
     4. 333kg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처리전 량 (1000kg) x (1- 전 함수율) = 처리후 량 x (1 - 후 함수율)
→ 처리후 량 = 666.6666

제거 수분량 = 처리전 량 - 처리후 량 = 333
[해설작성자 : 고등어]

5. 적환 및 적환장에 관한 내용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3년 08월)
     1. 수송차량 종류에 따라 직접적환,간접적환,저장적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적환을 시행하는 주된 이유는 폐기물 운반거리가 연장되었기 때문이다.
     3. 적환장 설계시는 사용하고자 하는 적환작업의 종류, 용량 소요량, 환경요건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적환장 설치장소는 수거하고자 하는 개별적 고형물 발생지역의 하중중심에 되도록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전과정평가(LCA)를 구성하는 4부분 중, 조사분석과정에서 확정된 자원요구 및 환경부하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기술적, 정량적, 정성적 과정인 것은?(2018년 09월)
     1. impact analysis
     2. initiation analysis
     3. inventory analysis
     4. improvement analysis

     정답 : []
     정답률 : 83%

7. 3,000,000ton/year의 쓰레기 수거에 4500명의 인부가 종사한다면 MHT값은? (단, 수거인부의 1일 작업시간은 8시간이고 1년 작업일수는 300일이다.)(2010년 05월)
     1. 2.4
     2. 3.6
     3. 4.5
     4. 5.6

     정답 : []
     정답률 : 69%

8. 어느 도시의 폐기물 수거량이 2,500,000톤/년, 수거인부 3,000명, 1일 작업시간 8시간, 연간 작업일 수 340일 일 때 MHT는?(2013년 03월)
     1. 약 2.38
     2. 약 2.83
     3. 약 3.26
     4. 약 3.62

     정답 : []
     정답률 : 83%

9. 쓰레기의 발생량과 성상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5년 09월)
     1. 대체로 생활수준이 높아지면 쓰레기 발생량도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수집빈도가 낮고 쓰레기통이 클수록 쓰레기 발생량은 증가한다.
     3. 가정의 부엌에서 음식쓰레기를 분쇄하는 시설이 있으면 음식쓰레기 발생량이 감소한다.
     4. 재활용품의 회수 및 재이용률이 증가할수록 쓰레기 발생량은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폐기물 파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파쇄기의 작용력은 충격, 압축, 전단으로 분류한다.
     2. 파쇄의 목적은 감용과 질의 균등화이다.
     3. 취성도가 적은 물질의 파쇄방법은 전단파쇄가 유효하다.
     4. 취성도가 큰 물질의 파쇄방법은 전단파쇄가 유효하다.

     정답 : []
     정답률 : 20%

11. 0.5ton/m3의 밀도를 갖는 쓰레기 시료를 압축하여 밀도를 0.75ton/m3으로 증가시켰다. 이 때의 부피 감소율은?(2010년 09월)
     1. 24%
     2. 33%
     3. 42%
     4. 50%

     정답 : []
     정답률 : 67%

12. 자연상태의 쓰레기 밀도가 200㎏/m3 이었던 것을 적환장에 설치된 압축기에 넣어 압축시킨 결과 800㎏/m3 으로 증가하였다. 이때 부피의 감소율은?(2004년 09월)
     1. 65%
     2. 70%
     3. 75%
     4. 8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폐기물의 파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4월)
     1. 파쇄하면 부피가 커지는 경우도 있다.
     2. 파쇄를 통해 조성이 균일해 진다.
     3. 매립작업 시 고밀도 매립이 가능하다.
     4. 압축 시 밀도 증가율이 감소하므로 운반비가 감소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압축 시 밀도증가
[해설작성자 : 22년 환경직 합격자]

14. 폐기물의 운송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3월)
     1. 파이프라인(pipe-line) 수송은 폐기물의 발생 빈도가 높은 곳에서는 현실성이 있다.
     2. 모노레일(mono-rail) 수송은 가설이 곤란하고 설치비가 고가이다.
     3. 컨베이어(conveyor) 수송은 넓은 지역에서 사용되고 사용 후 세정에 많은 물을 사용해야 한다.
     4. 파이프라인(pipe-line) 수송은 장거리 이송이 곤란하고 투입구를 이용한 범죄나 사고의 위험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3번은 컨테이너 수송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k-곤죽]

15. 퇴비화 하기 위해 함수율 97%인 분뇨와 함수율 30%인 쓰레기를 무게비 1:3으로 혼합했을 때의 함수율은?(2010년 09월)
     1. 30%
     2. 47%
     3. 52%
     4. 57%

     정답 : []
     정답률 : 56%

16. 쓰레기 발생량 및 성상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5월)
     1. 일반적으로 도시의 규모가 커질수록 쓰레기의 발생량이 증가한다.
     2. 일반적으로 수집빈도가 높을수록 발생량이 증가한다.
     3.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이 작을수록 발생량이 증가한다.
     4. 생활수준이 높아지면 발생량이 증가하며 다양화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쓰레기 발생량 예측방법 중 모든 인자를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낸 후 시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 각 영향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수식화하는 방법은?(2004년 03월)
     1. 경향법
     2. 다중회귀모델
     3. 회귀직선모델
     4. 동적모사모델

     정답 : []
     정답률 : 54%

18. 폐기물의 화학적 성분에는 3성분이 있다. 3성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가연분
     2. 무기물질
     3. 수분
     4. 회분

     정답 : []
     정답률 : 87%

19. Pipeline 수송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3년 06월)
     1. 가설 후에 경로변경이 곤란하고 설치비가 높다.
     2. 쓰레기의 발생밀도가 높은 인구밀집지역 및 아파트지역 등에서 현실성이 있다.
     3. 조대쓰레기의 압축, 파쇄 등의 전처리가 필요없다.
     4. 잘못 투입된 물건은 회수가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조대쓰레기의 압축, 파쇄 등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국화]

20. 인구 200,000의 도시에서 폐기물 발생량이 1.1kg/인·일 이라고 한다. 폐기물 수거 밀도 0.8kg/ℓ, 수거 차량의 적재용랴이 10m3라면, 1일 2회 수거하기 위한 수거차량의 대수는? (단,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2010년 05월)
     1. 14대
     2. 15대
     3. 16대
     4. 17대

     정답 : []
     정답률 : 58%

2과목 : 폐기물 처리 기술


21. 슬러지 소화(sluge digestion)의 목적에 대한 설명중 가장 타당한 내용은?(2003년 08월)
     1. 혐기성 또는 호기성 처리공법으로 슬러지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2. 혐기성 또는 호기성 처리공법으로 이용 가능한 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3. 혐기성 처리공법으로 온도가 높은 cake을 생산할 수있다.
     4. 혐기성 처리공법으로 비료가치가 높은 슬러지를 생산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연직차수막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2004년 05월)
     1. 수직방향 차수층 존재시에 사용한다.
     2.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불필요하다.
     3. 지하매설로서 차수성확인이 어렵다.
     4. 차수막 보강시공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매립장에서 침출된 침출수가 다음과 같은 점토로 이루어진 90 cm 의 차수층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2015년 05월)

    

     1. 약 8년
     2. 약 10년
     3. 약 12년
     4. 약 14년

     정답 : []
     정답률 : 72%

24. 진공여과기로 슬러지를 탈수하여 cake의 함수율을 85%로 할 때 여과속도는 20kg/m2ㆍh(고형물기준), 여과면적은 50m2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cake 발생량은? (단, 비중은 1.0으로 가정한다.)(2010년 03월)
     1. 약 13.4ton
     2. 약 16.6ton
     3. 약 22.8ton
     4. 약 26.7ton

     정답 : []
     정답률 : 53%

25. 포도당(C6H12O6)으로 구성된 유기물 3 kg이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어 생성되는 메탄의 용적(Sm3)은?(2015년 09월)
     1. 1.12
     2. 1.37
     3. 1.52
     4. 1.83

     정답 : []
     정답률 : 59%

26. 매립지내의 물의 이동을 나타내는 Darcy의 법칙을 기준으로 침출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3년 03월)
     1. 투수계수는 감소, 수두차는 증가시킨다
     2. 투수계수는 증가, 수두차는 감소시킨다
     3. 투수계수 및 수두차를 증가시킨다
     4. 투수계수 및 수두차를 감소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시멘트 고형화 방법 중 연소가스 탈황 시 발생된 슬러지 처리에 주로 적용되는 것은?(2021년 05월)
     1. 시멘트기초법
     2. 석회기초법
     3. 포졸란첨가법
     4. 자가시멘트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탈황'이라고 했으므로 많은 황화물을 가지는 폐기물에 적합한 자가시멘트법
[해설작성자 : 소소]

28. 고농도 액상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공정 중 중온소화와 고온소화의 비교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부하능력은 고온소화가 우수하다.
     2. 탈수여액의 수질은 고온소화가 우수하다.
     3. 병원균의 사멸은 고온소화가 유리하다.
     4. 중온소화에서 미생물의 활성이 쉽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고온소화는 중온소화보다 같은 시간에 더 많은 유기물이 제거되기 때문에 여액에 N,P 많아짐
[해설작성자 : jjang]

29.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 혐기성 소화조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구성비에 대하여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1. CH4 > CO2 > H2 > O2
     2. CH4 > CO2 > O2 > H2
     3. CH4 > H2 > CO2 > O2
     4. CH4 > O2 > CO2 > H2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메이수산
[해설작성자 : 1]

30. 슬러지의 혐기성 소화 가스 중의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30%, 메탄 함량이 70% 라고 할 때 소화조의 작동상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1년 10월)
     1. 불안정한 정상 상태이다.
     2. 비정상적인 상태이다.
     3. 평균적인 정상 상태이다.
     4. 소화로 인하여 가스발생량이 증가한 상태이다.

     정답 : []
     정답률 : 50%

31. 분뇨를 호기성 소화 방식으로 일 500m3 부피를 처리하고자 한다. 1차 처리에 필요한 산기관수는? (단, 분뇨 BOD 20,000mg/L, 1차 처리효율 60%, 소요 공기량 50m3/BODkg, 산기관 통풍량 0.5m3/min·개)(2020년 08월)
     1. 347
     2. 417
     3. 694
     4. 1,157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1) 처리해야할 부하(kg/day) = 농도(mg/L)*유량(m3/day)*10^-3 = 20000*500*10^-3 = 10000kg/day
10000*0.6 = 6000kg/day
2) 이것을 처리하기 위한 공기량 = 50m3/BODkg*6000kg/day = 300000m3/day
3) 산기관 1개가 하루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기량
(0.5m3/min·개)*{(24*60min)/day} = 720m3/개·day
따라서 필요한 산기관수는 (300000m3/day)/(720m3/개·day) = 417
[해설작성자 : 해대 윈터]

32. 퇴비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10월)
     1. 퇴비가 완성된 후에도 부피가 크게 감소하지는 않아 통상 50% 이하이다.
     2. 퇴비화 후에는 C/N비 값이 70~85 정도로 높아진다.
     3.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므로 퇴비제품의 품질표준화가 어렵다.
     4. 운영시 소요되는 에너지가 낮고, 생산품인 퇴비는 토양 개량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95%

33. 시료의 성분분석결과 수분 10%, 회분 44%, 고정 탄소 36%, 휘발분 10%이고, 원소분석 결과 휘발분 중 수소 20%, 황 10%, 산소 30%, 탄소 40%일 때 저위발열량(kcal/kg)은? (단, 각 원소의 단위질량당 열량은 C 8100, H:34000, S:2500kcal/kg이다.)(2020년 09월)
     1. 2650
     2. 3650
     3. 4650
     4. 5560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Hh= 8100*(0.36+0.1*0.4)+34000(0.1*0.2-0.1*0.3/8)+2500*0.1*0.1
=3817.5
HL=3817.5-600(9*0.1*0.2+0.1)= 3650
[해설작성자 : 국화]

34. 다음 조건의 중금속 슬러지를 시멘트 고형화할 때 부피 변화율(VCF)은?(2011년 03월)

    

     1. 약 1.12
     2. 약 1.18
     3. 약 1.21
     4. 약 1.26

     정답 : []
     정답률 : 41%

35. 유해성 물질별로 처리가 가능한 기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9월)
     1. 납-응집
     2. 비소-침전
     3. 수은-흡착
     4. 시안-용매추출

     정답 : []
     정답률 : 68%

36. 점토가 매립지의 차수막으로 적합하기 위한 기준으로 알맞는 것은?(2004년 09월)
     1. 점토 및 미사토함유량: 10% 이상
     2. 소성지수: 10% 이하
     3. 액성한계: 30% 이상
     4. 직경이 2.5cm 이상인 입자 함유량: 5% 이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습식산화(Zimmerman Process)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2004년 03월)
     1. 산화범위에 융통성이 적고 슬러지의 질에 따른 영향이 크다.
     2. 냄새가 발생하며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3. 최종물질이 소량이다.
     4. 처리된 슬러지의 침전성 및 탈수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시설이 작은 장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17%

38. 38,000m3/d 의 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장의 1차 침전지에서 침전으로 제거되는 BODL은 0.14BODL/m3 이며, 발생되는 생슬러지는 혐기성 소화조로 유입된다. 혐기성 소화공정의 처리효율은 80%이며 소화슬러지의 일 생성량이 150kg VSS/d 이라고 한다면 소화공정의 안정화율(BODL기준)은?(2002년 03월)
     1. 76%
     2. 80%
     3. 85%
     4. 91%

     정답 : []
     정답률 : 58%

39. 소각처리에 가장 부적합한 폐기물은?(2020년 06월)
     1. 폐종이
     2. 폐유
     3. 폐목재
     4. PVC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PVC는 소각 시 염소 발생 등 환경문제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해설작성자 : 껍던씸]

PVC는 다이옥신 등의 오염물질이 많이 배출된다
[해설작성자 : 김태진]

40. 쓰레기 수거차의 적재능력은 10 m3이고 또한 8톤을 적재할 수 있다. 밀도가 0.7 ton/m3 인 폐기물 3000 m3을 동시에 수거하려고 할 때 필요한 수거차(대)는?(2017년 09월)
     1. 200
     2. 250
     3. 300
     4. 350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폐기물의 양]
* M^3 일 경우 : 3000m^3
    - M^3으로 필요한 수거차 계산시 : 3000m^3/10m^3 = 300(대)
* Ton 일 경우 : 0.7ton/m^3 x 3000m^3 = 2100ton
    - Ton으로 필요한 수거차 계산시 : 2100ton / 8ton = 262.5 = 263(대)
300(대)와 263(대) 중 더 많은 차량 대수 채택
= 300대
[해설작성자 : 킹크랩]

3과목 : 폐기물 소각 및 열회수


41. 다음 연소실 내 가스와 폐기물의 흐름에 따른 구분 중 폐기물의 이송방향과 연소가스의 흐름방향이 같은 형식으로 폐기물의 발열량이 상당히 높은 경우에 적합한 형식은?(2011년 06월)
     1. 향류식
     2. 병류식
     3. 교류식
     4. 회류식

     정답 : []
     정답률 : 63%

42. 매시간 4ton의 폐유를 소각하는 소각로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을 접촉산화법으로 탈황하고 부산물로 60%의 황산을 회수한다면 회수되는 부산물량(kg/hr)은? (단, 폐유 중 황성분 3%, 탈황율 95%라 가정함)(2010년 09월)
     1. 약 428
     2. 약 482
     3. 약 538
     4. 약 582

     정답 : []
     정답률 : 62%

43. 이론적으로 순수한 탄소 3㎏을 완전 연소시키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은?(2008년 05월)
     1. 6㎏
     2. 8㎏
     3. 10㎏
     4. 1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어떤 1차 반응에서 1000초 동안 반응물의 1/2이 분해되었다면 반응물이 1/10 남을 때까지는 얼마의 시간이 소요되겠는가?(2014년 03월)
     1. 3923초
     2. 3623초
     3. 3323초
     4. 3023초

     정답 : []
     정답률 : 67%

45. 액주입식 소각로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2003년 05월)
     1. 소각로의 가장 핵심은 폐기물의 미분사장치인 노즐 버너이다.
     2. 형식은 수평점화방식,상방점화,하방점화가 있다.
     3. 수평점화방식 소각로의 재(ash)배출 설비는 연소실과 집진시설 하부에 설치한다
     4. 하방점화 방식의 경우에는 염이나 입상물질을 포함한 폐기물의 소각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4%

46. 로타리 킬른식(Rotary Kiln)소각로의 단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2007년 09월)
     1. 처리량이 적은 경우 설치비가 높다.
     2. 용융상태의 물질에 대하여 방해를 받는다.
     3. 로에서의 공기유출이 크므로 종종 대향의 과잉공기가 필요하다.
     4. 대기오염 제어시스템에 분진부하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다음 중 폐기물의 발열량을 계산하는 공식은?(2015년 05월)
     1. 듀롱(Dulong)의 식
     2. 보상케-사툰(Bosanquet-Sutton)의 식
     3. 브리그(Briggs)의 식
     4. 베르누이(Bernoulli)의 식

     정답 : []
     정답률 : 88%

48. 폐기물의 연소 및 열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2017년 03월)
     1. 열분해는 무산소 또는 저산소 상태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방법이다.
     2. 습식산화는 젖은 폐기물이나 슬러지를 고온, 고압하에서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3. Steam Reforming은 산화 시에 스팀을 주입하여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다.
     4. 가스화는 완전연소에 필요한 양보다 과잉 공기 상태에서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가스화는 무산소, 산소부족상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연소실의 부피를 결정하려고 한다. 연소실의 부하율은 3.6×105 kcal/m3 · hr 이고 발열량이 1600 kcal/kg 인 쓰레기를 1일 400ton 소각시킬 때 소각로의 연소실 부피(m3)는? (단, 소각로는 연속가동 한다.)(2014년 05월)
     1. 104 m3
     2. 974 m3
     3. 84 m3
     4. 74 m3

     정답 : []
     정답률 : 72%

50. 도시쓰레기 1톤을 소각처리하고자 한다. 쓰레기의 조성이 C:70%, H:20%, O:10%일 때 이론 공기량은?(2013년 03월)
     1. 약 6300Sm3
     2. 약 8300Sm3
     3. 약 9300Sm3
     4. 약 11300Sm3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조성이 있을 때 이론공기량(Sm^3/kg) = (1.867C + 5.6H + 0.7S - 0.7O)/0.21
따라서 (1.867*0.7+5.6*0.2-0.7*0.1)/0.21 = 11223.33(Sm^3/kg)인데 1ton을 소각하므로 10^3kg을 곱해줘서 단위환산 해주면
11223Sm^3, 약 11300Sm^3 이다.
[해설작성자 : 아해설왜없지아그냥책살까고민하는당신을위해]

51. 다음의 집진장치 중 압력손실이 가장 큰 것은?(2014년 03월)
     1. 벤튜리 스크러버(Venturi Scrubber)
     2. 사이클론 스크러버(Cyclone Scrubber)
     3. 팩킹 타워(Packing Tower)
     4. 제트 스크러버(Jet Scrubber)

     정답 : []
     정답률 : 65%

52. 옥탄(C8H18)이 완전연소할 때 AFR은? (단, kgmol air/kg mol fuel)(2013년 03월)
     1. 15.1
     2. 29.1
     3. 32.5
     4. 59.5

     정답 : []
     정답률 : 69%

53. 백필터를 통과한 가스의 분진농도가 8mg/Sm3이고 분진의 통과율이 10%라면 백필터를 통과하기 전 가스중의 분진농도는?(2013년 03월)
     1. 0.08g/m3
     2. 0.80g/m3
     3. 8.8g/m3
     4. 0.88g/m3

     정답 : []
     정답률 : 78%

54. 유동층 소각로(Fluidized Bed Incinerator)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미연소분 배출이 많아 2차 연소실이 필요하다.
     2. 반응시간이 빨라 소각시간이 짧다.
     3. 기계적 구동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어 고장률이 낮다.
     4. 소량의 과잉공기량으로도 연소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차 연소실이 필요없다.
[해설작성자 : 국화]

55. 로타리 킬른식(rotary kiln)소각로의 특찡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습식가스 세정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2. 넓은 범위의 액상 및 고상 폐기물을 소각 할 수 있다.
     3. 용융상태의 물질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
     4. 예열, 혼합, 파쇄 등 전처리 후 주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56. 연소시키는 물질의 발화온도, 함수량, 공급공기량, 연소기의 형태에 따라 연소온도가 변화된다. 연소온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4월)
     1. 연소온도가 낮아지면 불완전 연소로 HC나 CO 등이 생성되며 냄새가 발생된다.
     2. 연소온도가 너무 높아지면 NOx나 SOx가 생성되며 냉각공기의 주입량이 많아지게 된다.
     3. 소각로의 최소온도는 650℃ 정도이지만 스팀으로 에너지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연소온도를 870℃ 정도로 높인다.
     4. 함수율이 높으면 연소온도가 상승하며, 연소물질의 입자가 커지면 연소시간이 짧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4. 함수율이 높으면 연소온도가 하강하며, 연소물질의 입자가 커지면 연소시간이 길어진다.
[해설작성자 : 법규면]

57. 탄소함유율이 50wt% 와 불연분 50wt%인 고형 폐기물 100kg을 완전연소 시킬 때 필요한 이론 공기량(Sm3)은?(2014년 05월)
     1. 약 93
     2. 약 256
     3. 약 445
     4. 약 577

     정답 : []
     정답률 : 66%

58. 평균 발열량이 8,000kcal/㎏인 P시의 폐기물을 소각하여, 그 지역 난방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얻고자 한다. 이 때 지역난방에 필요한 난방수를 하루에 400ton 얻기 위하여 필요한 폐기물의 양(㎏/d)은? (단, 난방보일러의 효율은 65%, 급수온도는 12℃,보일러 출구 수온도 92℃, 물의 비열은 1.0 kcal/㎏℃이다)(2003년 03월)
     1. 약 4250
     2. 약 6150
     3. 약 7610
     4. 약 907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9. 소각로에 폐기물을 투입하는 1시간 중에 투입작업시간을 20분, 나머지 40분은 정리시간과 휴식시간으로 한다. 크레인 바켓트 용량 4m3, 1회에 투입하는 시간을 120초, 바켓트로 폐기물을 짚었을 때 용적중량은 최대 0.4ton/m3으로 본다면 폐기물의 1일 최대 공급능력은? (단, 소각로는 24시간 연속가동)(2009년 05월)
     1. 324ton/day
     2. 384ton/day
     3. 434ton/day
     4. 474ton/day

     정답 : []
     정답률 : 40%

60. 황성분이 0.8%인 폐기물을 20t/hr 소각하는 소각로에서 배기가스 중의 SO2를 CaCO3로 완전히 탈황하는 경우 이론상 하루에 필요한 CaCO3의 양은? (단, 폐기물 중의 S는 모두 SO2로 전환되면, 소각로의 1일 가동시간은 16시간, Ca 원자량:40)(2013년 09월)
     1. 1.0t/day
     2. 2.0t/day
     3. 4.0t/day
     4. 8.0t/day

     정답 : []
     정답률 : 52%

4과목 : 폐기물 공정시험기준(방법)


61. 함수율 85%인 시료인 경우, 용출시험결과에 시료중의 수분함량 보정을 위하여 곱하여야 하는 값은?(2012년 03월)
     1. 0.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64%

62. 다음은 흡광 광도계 특수형 흡수셀에 관한 내용이다. 모양과 용도로 맞는 것은?(2007년 03월)
     1. 원통형셀-저농도 시료를 측정할 때 사용
     2. 마개가 있는 셀-유독성 시료를 측정할 때 사용
     3. 유동셀-겔(gel)상 시료를 측정할 때 사용
     4. 마이크로셀-액량이 적은 시료를 흘려보내며 측정할 때 사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3. 폐기물공정시험기준의 총칙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 중 옳은 내용은?(2017년 09월)
     1. '약' 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5%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2. '정밀히 단다'라 함은 규정된 양의 시료를 취하여 화학저울 또는 미량저울로 칭량함을 말한다.
     3. '정확히 취하여'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액체를 메스플라스크로 눈금까지 취하는 것을 말한다.
     4. '정량적으로 씻는다'라 함은 사용된 용기 등에 남은 대상성분을 수돗물로 씻어냄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
3. 홀피펫으로 눈굼까지 취하는 것
4. 사용한 용매로 씻어냄
[해설작성자 : rrs]

64. 원자흡광광도 분석법에서 화학적 간섭 제거법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2004년 03월)
     1. 목적원소의 용매추출
     2. 이온교환 등에 의한 방해물질의 제거
     3. 분석시료와 표준시료의 용매조성을 거의 같도록 함
     4. 간섭을 피하는 양이온, 음이온 또는 은폐제, 킬레이트제 등의 첨가

     정답 : []
     정답률 : 37%

65. 다음은 시안-이온전극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2014년 03월)

    

     1. pH 2 이하의 산성
     2. pH 4.5~5.3의 산성
     3. pH 10의 알칼리성
     4. pH 12~13의 알칼리성

     정답 : []
     정답률 : 68%

66. 다음 시료의 용출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중 적절한 것은?(2003년 03월)
     1. 용출액으로는 묽은황산(pH 4.5 - 5.5)으로 된 것을 사용한다.
     2. 용출조작은 진폭이 4 - 5cm인 진탕기로 200회/min로 6시간 연속 진탕한다.
     3. 여과가 어려운 경우에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00회/min 이상 5분이상 원심분리 후 용출 검액으로 한다.
     4. 함수율이 90% 이상인 시료에 한하여 10/100-D(여기서 D는 시료의 함수율)을 곱하여 계산된 값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환원기화법(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수은을 측정할 때 시료 중에 염화물이 존재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8월)
     1. 시료 중의 염소는 산화조작 시 유리염소를 발생시켜 253.7nm에서 흡광도를 나타낸다.
     2. 시료 중의 염소는 과망간산칼륨으로 분해 후 헥산으로 추출 제거한다.
     3. 유리염소는 과량의 염산하이드록실 아민 용액으로 환원시킨다.
     4. 용액 중에 잔류하는 염소는 질소가스를 통기시켜 축출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 시료 중의 VOCs는 과망간산칼륨으로 분해 후 헥산으로 추출 제거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68. 다음에 표시된 농도 중 가장 낮은 것은?(2005년 09월)
     1. 0.005ppm
     2. 0.05g/m3
     3. 0.05mg/ℓ
     4. 0.5μg/ℓ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중량법에 의해 기름성분을 측정할 때 필요한 기구 또는 기기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전기열판 또는 전기멘틀
     2. 분액깔대기
     3. 회전증발농축기
     4. 리비히 냉각관

     정답 : []
     정답률 : 54%

70.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밖으로부터의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는 어떤 용기인가?(2014년 05월)
     1. 기밀용기
     2. 밀폐용기
     3. 밀봉용기
     4. 차광용기

     정답 : []
     정답률 : 69%

71. 폐기물 시료 20g에 고형물 함량이 1.2g이었다면 다음 중 어떤 폐기물에 속하는가? (단, 폐기물의 비중=1.0)(2019년 04월)
     1. 액상폐기물
     2. 반액상폐기물
     3. 반고상폐기물
     4. 고상폐기물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2/20 * 100% = 6%, 반고상폐기물
액상폐기물: 15% 이상
반고상폐기물: 5% 이상 15% 미만
고상폐기물: 5% 미만
[해설작성자 : 폐기물 3일 컷 도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액상폐기물 고형물 함량 : 5%미만
반고상폐기물 고형물 함량 : 5%이상 15%미만
고형물폐기물 고형물 함량 : 15%
[해설작성자 : 목해대피바다]

72. 폐기물 시료의 용출 시험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지정폐기물의 판정이나 매립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에 적용한다.
     2. 시료 100g이상을 정확히 달아 정제수에 염산을 넣어 pH를 4.5~5.3으로 맞춘 용매와 1:5의 비율로 혼합한다.
     3. 진탕여과한 액을 검액으로 사용하나 여과가 어려운 경우 원심분리기를 이용한다.
     4. 용출시험 결과는 수분함량 보정을 위해 함수율 85% 이상인 시료에 한하여 [15/(100-시료의 함수율(%))]을 곱하여 계산된 값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2. 시료 100g이상을 정확히 달아 정제수에 염산을 넣어 pH를 5.8~6.3(4.5~5.3 X)으로 맞춘 용매와 1:10(1:5 X)의 비율로 혼합한다.
[해설작성자 : k-곤죽]

73. 원자흡광 광도법에 의한 비소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유료 측정농도는 0.005mg/L 이상으로 한다.
     2. 운반가스는 알곤, 연소가스는 알곤-수소를 사용한다.
     3. 알곤-수소 불꽃에서 원자화시켜 340nm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소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4. 염화제일주석으로 시료 중 비소를 3가 비소로 환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흡광광도법에서 석영흡수셀만의 사용이 요구되는 흡수 파장은?(2005년 05월)
     1. 370nm 이하
     2. 370nm 이상
     3. 550nm 이상
     4. 550nm 이하

     정답 : []
     정답률 : 80%

75. 수산화나트륨(NaOH) 40%(무게 기준) 용액을 조제한 후 100mL를 취하여 다시 물에 녹여 2000mL로 하였을 때 수산화나트륨의 농도(N)는? (단, Na 원자량 = 23)(2019년 03월)
     1. 0.1
     2. 0.5
     3. 1
     4. 2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eq/2L=0.5N
[해설작성자 : 국화]

76. 다음 중 유기인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분석할 때 고정상 담체가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크로마토그래피용 크로모솔브 W
     2. 크로마토그래피용 크로모솔브 G
     3. 크로마토그래피용 가스크롬 Q
     4. 크로마토그래피용 실리콘 DC-2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7. 자외선/가시선 분광법(흡광광도법)에 의하여 폐기물내 크롬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발색시 황산의 최적 농도는 0.5N이다. 만일 황산의 양이 부족하면 황산(1+9) 5mL을 넣어 시험한다.
     2. 시료 중에 철이 2.5mg 이하로 공존할 경우에는 다이페닐카바자이드 용액을 넣기전에 5% 피로인산나트륨10수화물 용액 2mL를 넣는다.
     3. 적자색의 착화합물을 흡광도 460nm에서 측정한다.
     4. 총 크롬을 과망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6가 크롬으로 산화시킨 다음 알칼리성에서 다이페닐카바자이드와 반응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35%

78. 흡광광도법에서 램버어트 비어의 법칙을 나타내는 식은 ? (단, Io: 입사강도, ℓ : 셀의 두께, It: 투과강도 ε : 상수, C: 농도)(2004년 03월)
     1. It = Io 10-ε Cℓ
     2. IO = It 10-ε Cℓ
     3. It = C Io 10-ε Cℓ
     4. IO = ℓ It 10-ε C

     정답 : []
     정답률 : 46%

79.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크롬을 측정할 대 시료 중 총 크롬을 6가 크롬으로 산화시키는데 사용하는 시약은?(2013년 09월)
     1. 과망간산칼륨
     2. 이염화주석
     3. 시안화칼륨
     4. 디티오황산나트륨

     정답 : []
     정답률 : 68%

80. pH 측정(유리전극법)의 내부정도관리 주기 및 목표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3월)
     1. 시료를 측정하기 전에 표준용액 2개 이상으로 보정한다.
     2. 시료를 측정하기 전에 표준용액 3개 이상으로 보정한다.
     3. 정도관리 목표(정도관리 항목: 정밀도)는 ±0.01이내 이다.
     4. 정도관리 목표(정도관리 항목: 정밀도)는 ±0.03이내 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81.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ㆍ운영하는 자는 환경부령이 정하는 기간마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인 경우의 검사기간 기준으로 ( )에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 3년, ㉡ 3년
     2. ㉠ 1년, ㉡ 3년
     3. ㉠ 3개월, ㉡ 3개월
     4. ㉠ 1년, ㉡ 1년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시행규칙 제41조(폐기물처리시설 사용신고 및 검사)
(1)소각 및 소각열회수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 2회 이후 정기검사는 최초 정기검사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 3-3
(2)매립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 2회 이후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3년이 되는 날 1-3
(3)멸균분쇄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개월,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3개월 3-3
(4)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부터 1년이 되는 날 1-1
(5)시멘트 소성로: 최초 정기검사는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 2회 이후의 정기검사는 최종 정기검사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 3-3
[해설작성자 : k-곤죽]

82. 과징금의 사용용도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2002년 03월)
     1. 폐기물처리시설 기술 개발비
     2.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의 확충
     3. 페기물처리시설의 지도,점검에 필요한 시설,장비의 구입 및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
     4. 페기물처리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처리한 폐기물 중 그 폐기물을 처리한 자를 확인 할 수 없는 폐기물로 안하여 예상되는 환경상 위해의 제거를 위한 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83. 소각시설의 측정대상 오염물질인 다이옥신의 측정주기 기준은? (단, 시간당 처리능력이 25킬로그램 이상 200킬로그램 미만인 소각시설인 경우)(2006년 03월)
     1. 6월에 1회 이상
     2. 12월에 1회 이상
     3. 18월에 1회 이상
     4. 24월에 1회 이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잔류성오염물질 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6] 잔류성오염물질의 측정주기 등(제14조제3항 관련)
시간당 처리 능력이 2톤 이상인 시설의 경우 : 6개월 마다 1회 이상
시간당 처리 능력이 200킬로그램 이상 2톤 미만인 시설의 경우 : 12개월마다 1회 이상
시간당 처리 능력이 25킬로그램 이상 200킬로그램 미만인 시설의 경우 : 24개월마다 1회 이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4. 폐기물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자는 신고서를 재활용 개시 몇일 전까지 누구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2003년 03월)
     1. 15일, 시,도지사
     2. 15일, 지방환경청장
     3. 30일, 시,도지사
     4. 30일, 지방환경청장

     정답 : []
     정답률 : 17%

85. 폐기물처리업의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으로 옳지않는 것은?(2012년 03월)
     1. 폐기물종합재활용업 :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중간재활용업과 최종재활용업을 함께하는 영업
     2. 폐기물최종재활용업 :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최종재활용품을 만드는 영업
     3. 폐기물중간재활용업 :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중간 가공 폐기물을 만드는 영업
     4. 폐기물 수집, 운반업 : 폐기물을 수집하여 재활용 또는 처분 장소로 운반하거나 폐기물을 수출하기 위하여 수집, 운반하는 영업

     정답 : []
     정답률 : 41%

86. 폐기물관리법 벌칙 중에서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자는?(2018년 09월)
     1. 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업을 한 자
     2.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한 자
     3. 대행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고 종량제 봉투 등을 제작ㆍ유통한 자
     4.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2. 승인을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한 자 >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해설작성자 : cookie]

87. 다음은 청정지역에서의 매립시설의 침출수 배출허용기준을 나열한 것이다. 이중 잘못된 것은?(2002년 03월)
     1. 암모니아성 질소 - 30mg/L이하
     2. 총인 - 4mg/L이하
     3. 대장균 균수 - 100개/mL 이하
     4. 페놀류 - 1mg/L이하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1]
폐기물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의 관리기준(제42조제1항 관련)
- 암모니아성 질소 - 50mg/L 이하(9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8. 사후관리항목 및 방법에 따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매립시설이 주변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보고서를 매립시설의 사용종료신고 후 몇 년마다 작성하여야 하는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3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답안 발표시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2년 03월)
     1. 2년 마다
     2. 3년 마다
     3. 5년 마다
     4. 10년 마다

     정답 : []
     정답률 : 80%

89. [폐기물처리시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하되,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 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위의 조항을 위반하여 설치가 금지되는 폐기물소각시설을 설치, 운영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2010년 03월)
     1.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50%

90. 지정 폐기물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2005년 03월)
     1. 폐농약:농약의 제조, 판매업소에서 발생되는 것에 한한다.
     2. 폐알칼리:pH 12.5 이상의 액체상태 폐기물인 것에 한한다.(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나트륨 포함)
     3. 광재:환경부령이 정하는 물질을 함유한 것에 한한다. (철광원석의 사용으로 인한 고로슬래그 포함)
     4.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함유 폐기물:액체상태의 것 ( 1리터당 2밀리그램이상 함유한 것)에 한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1. 폐기물처리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폐기물의 기본관리여건 및 전망
     2. 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 및 그 장비·용기 등의 개선에 관한 사항
     3. 재원의 확보 계획
     4. 폐기물의 감량화와 재활용 등 자원화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 폐기물 종류별 발생량과 장래 발생예상량
폐기물의 수집, 운반 보관 및 그 장비 용기 등의 개선에 관한 사항
재원의 확보계획
폐기물 감량화재활용 등 자원화에 관한 사항
[해설작성자 : 5일컷해보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규 개정으로 삭제 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가즈ㅏ]

92. 폐기물관리법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용기에 들어 있지 아니한 기체 및 고체상태의 물질
     2. 원자력법에 따른 방사성 물질과 이로 인하여 오염된 물질
     3. 하수도법에 따른 하수
     4.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수질 오염방지시설에 유입되거나 공공 수역으로 배출되는 폐수

     정답 : []
     정답률 : 59%

93. 동물성 잔재물 및 감염성 폐기물중 부패·변질의 우려가 있는 폐기물의 방치시 폐기물의 처리명령대상이 되는 조업중단기간기준은?(2005년 03월)
     1. 3일
     2. 7일
     3. 10일
     4. 15일

     정답 : []
     정답률 : 73%

94.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간마다 검사기관으로부터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멸균분쇄시설 기준)의 정기검사 기간 기준으로 ( )에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 1개월, ㉡ 3개월
     2. ㉠ 3개월, ㉡ 3개월
     3. ㉠ 3개월, ㉡ 6개월
     4. ㉠ 6개월, ㉡ 6개월

     정답 : []
     정답률 : 52%

95. 폐기물처리리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하되,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를 위반하여 설치가 금지되는 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운영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2022년 04월 26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3년 09월)
     1.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2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022년 04월 26일 개정된 규정]
폐기물관리법
[시행 2023. 4. 27.] [법률 제18853호, 2022. 4. 26., 타법개정]
제29조(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① 폐기물처리시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하되,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 시설을 설치ㆍ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66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07. 8. 3., 2010. 7. 23., 2014. 1. 21., 2015. 1. 20., 2015. 7. 20., 2017. 4. 18., 2019. 4. 16., 2019. 11. 26., 2021. 1. 5.>
- 중간 생략 -
10. 제29조제1항을 위반하여 설치가 금지되는 폐기물 소각시설을 설치ㆍ운영한 자

96. 폐기물처리법의 사업계획의 적정통보를 받은 자가 시설장비, 기술능력을 갖추어 사업계획의 적정통보를 받은 날로부터 얼마 기간 이내에 허가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하는가? (단, 폐기물처리업 중 매립시설 또는 소각시설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2002년 03월)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7.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가 변경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폐기물처리업의 허가사항을 변경한 경우에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 : []
     정답률 : 49%

98. 폐기물발생량 억제지침 준수의무대상 배출자의 규모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을 1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2.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을 2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3.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250톤 이상 배출하는 자
     4. 최근 3년간의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5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행령 별표 5(폐기물 발생 억제 지침 준수의무 대상 배출자 규모): 최근 3년간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100톤 이상 or 지정폐기물 외 폐기물을 1000톤 이상 배출하는 자(건설폐기물 제외)
[해설작성자 : k-곤죽]

99. 다음 중 폐기물 관리 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폐기물 관리 여건 및 전망
     2. 부문별 폐기물 관리 정책
     3. 재원 조달 계획
     4. 폐기물 처리현황 및 향후 처리계획

     정답 : []
     정답률 : 12%

100. 생활폐기물의 처리대행자로 적절치 못한 것은?(2002년 03월)
     1. 폐기물재활용신고를 한 자
     2. 음식물류, 폐기물을 수거하여 가축의 먹이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자
     3. 폐기물 처리업의 허가를 받은 자
     4. 한국자원재생공사(폐가구 및 폐가전제품을 재활용하는 경우는 제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51548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71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 03월 01일(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3
470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 07월 31일[4회](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2
469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 10월 03일[5회](업데이트)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4
468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4
46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125960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2
466 지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3
465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3
464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679596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2
»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51548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5 3
462 건설기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5141985) 좋은아빠되기 2025.11.05 4
46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5136032) 좋은아빠되기 2025.11.05 2
460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8642702) 좋은아빠되기 2025.11.05 4
459 전파전자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5일)(2361659) 좋은아빠되기 2025.11.05 3
458 영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2월03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5 2
457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4
45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4882311) 좋은아빠되기 2025.11.04 3
455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9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3
45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4 2
453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1월26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4 4
452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4일)(9400325) 좋은아빠되기 2025.11.04 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