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3942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가연성물질의 연소범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산소농도가 증가할수록 연소범위가 넓어진다.
     2. 불활성가스를 첨가할수록 연소범위가 좁아진다.
     3. 연소범위가 넓을수록 위험성이 증가한다.
     4. 연소범위 하한계가 낮을수록 위험성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는 당해 소방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 수평거리를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1년 11월)
     1. 25
     2. 30
     3. 35
     4. 40

     정답 : []
     정답률 : 84%

3. 연기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연기농도가 증가할수록 감광계수는 커진다.
     2. 감광계수란 연기농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3. 일반적으로 감광계수가 커지면 가시거리가 길어진다.
     4. 연기농도의 측정방법은 중량농도법, 입자농도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감광계수가 커지면 가시거리는 짧아진다.
감광계수 0.1 일때 가시거리 20~30M
감광계수 0.3 일때 가시거리 5M
감광계수 0.5 일때 가시거리 3M
감광계수     1 일때 가시거리 1~2M
[해설작성자 : 나그네]

4.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2023년 11월)
     1. 생리적 영향
     2. 시각적 영향
     3. 촉각적 영향
     4. 심리적 영향

     정답 : []
     정답률 : 83%

5. 건축법령상 소방안전에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구조 및 재료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 및 재료이다.)(2017년 11월)
     1. 내화구조: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2. 난연재료: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능을 가진 재료
     3. 불연재료: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4. 준불연재료: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정답 : []
     정답률 : 90%

6. 다음 중 메탄(CH4)과 산소의 완전연소에서 최종 생성되는 물질의 종류를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1월)

   

     1.
     2. ㄱ, ㄹ
     3. ㄷ, ㄹ, ㅁ
     4.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86%

7. 연소반응 및 연소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11월)
     1. 공기 중에 장시간 방치된 철(Fe)의 표면에 녹이 생기는 것은 연소반응이다.
     2. 나트륨과 마그네슘분말은 점화원을 제공하여도 공기중에서 연소하지 않는다.
     3. 모든 가연물은 대기 중에 산소가 없으면 절대 연소하지 않는다.
     4. 연소반응은 빛과 열을 동반한 산화반응이다.

     정답 : []
     정답률 : 100%

8.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불연성ㆍ불활성기체혼합가스인 IG-541의 구성 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11월)
     1. 헬륨
     2. 아르곤
     3. 질소
     4. 이산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94%

9. 일반적으로 고층건축물 화재 시에 발생한 연기를 이동시키는 주요인자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11월)
     1. 부력
     2. 표면장력
     3. 굴뚝효과
     4. 바람

     정답 : []
     정답률 : 70%

1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소화방법은?(2018년 11월)

    

     1. 제거소화
     2. 질식소화
     3. 냉각소화
     4. 부촉매소화

     정답 : []
     정답률 : 97%

11. 포소화약제 중 저발포형과 고발포형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은?(2012년 11월)
     1. 단백포소화약제
     2. 불화단백포소화약제
     3.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
     4. 알코올형포소화약제

     정답 : []
     정답률 : 86%

12. 가연성가스의 분출화재 시 주 밸브를 닫아서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소화방법은?(2020년 11월)
     1. 냉각소화
     2. 제거소화
     3. 억제소화
     4. 질식소화

     정답 : []
     정답률 : 86%

13.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외의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소는?(2017년 11월)
     1. 제조소
     2. 저장소
     3. 취급소
     4. 주유소

     정답 : []
     정답률 : 90%

14. 분말소화약제 중 일반화재(A급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것은?(2018년 11월)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제4종

     정답 : []
     정답률 : 89%

15. 밀폐된 공간의 화재 현장에서 진화를 위하여 출입문 등을 개방할 때 신선한 공기의 유입으로 순간적으로 폭발 연소함으로써 화재가 실외로 분출되는 현상은?(2021년 11월)
     1. 보일오버(Boil over)
     2. 슬롭오버(Slop over)
     3. 플래시오버(Flash over)
     4. 백드래프트(Back draft)

     정답 : []
     정답률 : 82%

16.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기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6년 11월)
     1. 피난교
     2. 간이완강기
     3. 무선통신보조설비
     4. 미끄럼대

     정답 : []
     정답률 : 96%

17. 1급 방화관리대상물의 방화관리자로 선임될 수 없는 자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1년 11월)
     1. 소방기술사 자격을 가진 자
     2. 소방공무원으로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3. 소방설비기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6개월 이상 방화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있는 자
     4. 산업안전기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1년 이상 방화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있는 자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022.9.현재 1급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자격은

1.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 자격이 있는 사람
2. 산업안전기사(산업기사) 자격취득 후 2년 이상 2급 또는 3급 소방안전관리자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공무원으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
8. 특급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이 있는 사람
[해설작성자 : gwonwoon kim]

18.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신호와 타종신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경계신호 - 1타와 연3타를 반복
     2. 발화신호 - 난타
     3. 해제신호 - 상당한 간격을 두고 1타씩 반복
     4. 훈련신호 - 연3타 반복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경계신호-1타와 연2타를 반복

19. 화재 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산소의 농도를 10vol%로 낮추어 소화하려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약 몇 vol%가 되어야 하는가?(2012년 11월)
     1. 32
     2. 42
     3. 52
     4. 62

     정답 : []
     정답률 : 84%

20. 다음은 화재안전기준(NFSC)상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7년 11월)

    

     1. ㄱ: 15°, ㄴ: 10m
     2. ㄱ: 20°, ㄴ: 15m
     3. ㄱ: 25°, ㄴ: 20m
     4. ㄱ: 30°, ㄴ: 25m

     정답 : []
     정답률 : 93%

21. 건축법령상 주요구조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11월)
     1. 기둥
     2. 옥외 계단
     3.
     4. 주계단

     정답 : []
     정답률 : 92%

22. 다음 중 분진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것은?(2015년 11월)
     1. 밀가루
     2. 석탄가루
     3. 산화칼슘(생석회) 분말
     4. 알루미늄 분말

     정답 : []
     정답률 : 92%

23. 화재안전기준(NFSC)상 전기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구의 소화약제는?(2018년 11월)
     1. 마른모래
     2. 팽창질석
     3. 팽창진주암
     4. 이산화탄소소화약제

     정답 : []
     정답률 : 95%

24. 다음은 류별 위험물에 대한 대표적 성질이다. 잘못 짝지어진 것은?(2004년 11월)
     1. 1류 - 산화성 고체
     2. 2류 - 가연성 고체
     3. 3류 -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4. 5류 - 인화성 액체

     정답 : []
     정답률 : 100%

25. 화재안전기준(NFSC)상 누전경보기의 주요 구성부는?(2013년 11월)
     1. 변류기, 수신부
     2. 탐지부, 경보부
     3. 탐지부, 수신부
     4. 전원부, 차단부

     정답 : []
     정답률 : 85%

26.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옥외소화전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 및 방수량의 기준은?(2012년 11월)
     1. 0.35MPa 이상, 300ℓ/min 이상
     2. 0.17MPa 이상, 130ℓ/min 이상
     3. 0.25MPa 이상, 350ℓ/min 이상
     4. 0.10MPa 이상, 80ℓ/min 이상

     정답 : []
     정답률 : 92%

27. 화재시 건물내 연기이동에 대하여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11월)
     1. 연기의 이동은 건물내외의 온도차에 영향을 받는다.
     2. 연기는 공기보다 고온이기 때문에 기류를 교반하지 않는다면 천정의 하면을 따라 이동한다.
     3. 연기는 수직공간에서 확산속도가 빠르고 그 흐름에 따라 화재 직상층 부터 차례로 충만해 간다.
     4. 수평방향 이동의 경우 진행방향 하부에 역방향으로 흐르는 신선한 공기의 2층류를 형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2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 제1석유류의 인화점 기준은?(2014년 11월)
     1. -20℃ 이하
     2. 21℃ 미만
     3. 21 ℃이상 70 ℃미만
     4. 70℃ 이상 200℃ 미만

     정답 : []
     정답률 : 82%

29. 휘발유의 지정수량은?(2008년 11월)
     1. 50리터
     2. 200리터
     3. 400리터
     4. 1,000리터

     정답 : []
     정답률 : 90%

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1월)
     1.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2. 노대 및 부속실에는 계단실외의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창문등(출입구를 제외 한다)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3. 계단실에는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부분외에는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창문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4.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7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4. 0.9m이상

3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주유취급소에 설치하는 “주유중 엔진정지" 게시판의 바탕 및 문자의 색상으로 옳은 것은?(2017년 11월)
     1. 황색바탕, 흑색문자
     2. 흑색바탕, 황색문자
     3. 적색바탕, 백색문자
     4. 백색바탕, 적색문자

     정답 : []
     정답률 : 80%

32. 특정소방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를 설치하고자 한다. 부착높이가 바닥으로부터 25m인 경우 적합한 감지기는?(2012년 11월)
     1.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2. 열복합형 감지기
     3. 연기복합형 감지기
     4. 불꽃감지기

     정답 : []
     정답률 : 100%

33. 소방시설 중 피난구조설비가 아닌 것은?(2021년 11월)
     1. 구조대
     2. 공기호흡기
     3. 통로유도등
     4. 무선통신보조설비

     정답 : []
     정답률 : 80%

34. 다음 중 위험물취급소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11월)
     1. 저장취급소
     2. 주유취급소
     3. 이송취급소
     4. 판매취급소

     정답 : []
     정답률 : 64%

35.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고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는?(2010년 11월)
     1. 차동식 스포트형감지기
     2. 정온식 스포트형감지기
     3. 단독경보형감지기
     4. 광전식 분리형감지기

     정답 : []
     정답률 : 90%

36. 다음 중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관하여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2004년 11월)
     1. 건축법에 의하여 연면적이 1000m2을 넘는 것은 갑종방화문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2. 물품을 제조ㆍ가공ㆍ보관 및 운반 등에 필요한 대형기기설비의 설치ㆍ운영을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3. 복층형인 공동주택의 세대안의 층간 바닥부분
     4.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로 된 주차장 부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소방자동차의 우선통행 등 및 소방대의 긴급통행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1월)
     1. 소방자동차가 구조, 구급훈련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사이렌을 사용할 수 있다.
     2. 소방자동차가 화재진압을 위하여 출동할 때에는 모든 차와 사람은 방해하면 안된다.
     3. 소방자동차의 우선통행에 관하여는 도로교통법이 정하는 기준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4. 소방대는 화재현장에 신속한 출동을 위하여 긴급한 때에는 일반적인 통행에 쓰이지 아니하는 도로, 빈터로 통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38. 위험물의 저장ㆍ운반 및 취급에 대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은?(2009년 11월)
     1. 선박
     2. 화물자동차
     3. 항공기
     4. 철도 및 궤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소방기본법상 관계인에 관한 정의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2011년 11월)
     1. 소유자
     2. 점유자
     3. 관리자
     4. 감리자

     정답 : []
     정답률 : 100%

40. 옥내소화전설비에서 자연낙차를 이용하여 소화수를 공급하는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2023년 11월)
     1. 고가수조방식
     2. 펌프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가압수조방식

     정답 : []
     정답률 : 95%


정 답 지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3942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가연성물질의 연소범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산소농도가 증가할수록 연소범위가 넓어진다.
     2. 불활성가스를 첨가할수록 연소범위가 좁아진다.
     3. 연소범위가 넓을수록 위험성이 증가한다.
     4. 연소범위 하한계가 낮을수록 위험성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는 당해 소방대상물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 수평거리를 몇 m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2011년 11월)
     1. 25
     2. 30
     3. 35
     4. 40

     정답 : []
     정답률 : 84%

3. 연기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연기농도가 증가할수록 감광계수는 커진다.
     2. 감광계수란 연기농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3. 일반적으로 감광계수가 커지면 가시거리가 길어진다.
     4. 연기농도의 측정방법은 중량농도법, 입자농도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감광계수가 커지면 가시거리는 짧아진다.
감광계수 0.1 일때 가시거리 20~30M
감광계수 0.3 일때 가시거리 5M
감광계수 0.5 일때 가시거리 3M
감광계수     1 일때 가시거리 1~2M
[해설작성자 : 나그네]

4.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2023년 11월)
     1. 생리적 영향
     2. 시각적 영향
     3. 촉각적 영향
     4. 심리적 영향

     정답 : []
     정답률 : 83%

5. 건축법령상 소방안전에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구조 및 재료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 및 재료이다.)(2017년 11월)
     1. 내화구조: 화염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
     2. 난연재료: 불에 잘 타지 아니하는 성능을 가진 재료
     3. 불연재료: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4. 준불연재료: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

     정답 : []
     정답률 : 90%

6. 다음 중 메탄(CH4)과 산소의 완전연소에서 최종 생성되는 물질의 종류를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1월)

   

     1.
     2. ㄱ, ㄹ
     3. ㄷ, ㄹ, ㅁ
     4.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86%

7. 연소반응 및 연소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11월)
     1. 공기 중에 장시간 방치된 철(Fe)의 표면에 녹이 생기는 것은 연소반응이다.
     2. 나트륨과 마그네슘분말은 점화원을 제공하여도 공기중에서 연소하지 않는다.
     3. 모든 가연물은 대기 중에 산소가 없으면 절대 연소하지 않는다.
     4. 연소반응은 빛과 열을 동반한 산화반응이다.

     정답 : []
     정답률 : 100%

8.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불연성ㆍ불활성기체혼합가스인 IG-541의 구성 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11월)
     1. 헬륨
     2. 아르곤
     3. 질소
     4. 이산화탄소

     정답 : []
     정답률 : 94%

9. 일반적으로 고층건축물 화재 시에 발생한 연기를 이동시키는 주요인자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11월)
     1. 부력
     2. 표면장력
     3. 굴뚝효과
     4. 바람

     정답 : []
     정답률 : 70%

10.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소화방법은?(2018년 11월)

    

     1. 제거소화
     2. 질식소화
     3. 냉각소화
     4. 부촉매소화

     정답 : []
     정답률 : 97%

11. 포소화약제 중 저발포형과 고발포형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은?(2012년 11월)
     1. 단백포소화약제
     2. 불화단백포소화약제
     3.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
     4. 알코올형포소화약제

     정답 : []
     정답률 : 86%

12. 가연성가스의 분출화재 시 주 밸브를 닫아서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소화방법은?(2020년 11월)
     1. 냉각소화
     2. 제거소화
     3. 억제소화
     4. 질식소화

     정답 : []
     정답률 : 86%

13.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제조외의 목적으로 취급하기 위한 대통령령이 정하는 장소는?(2017년 11월)
     1. 제조소
     2. 저장소
     3. 취급소
     4. 주유소

     정답 : []
     정답률 : 90%

14. 분말소화약제 중 일반화재(A급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것은?(2018년 11월)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제4종

     정답 : []
     정답률 : 89%

15. 밀폐된 공간의 화재 현장에서 진화를 위하여 출입문 등을 개방할 때 신선한 공기의 유입으로 순간적으로 폭발 연소함으로써 화재가 실외로 분출되는 현상은?(2021년 11월)
     1. 보일오버(Boil over)
     2. 슬롭오버(Slop over)
     3. 플래시오버(Flash over)
     4. 백드래프트(Back draft)

     정답 : []
     정답률 : 82%

16.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기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6년 11월)
     1. 피난교
     2. 간이완강기
     3. 무선통신보조설비
     4. 미끄럼대

     정답 : []
     정답률 : 96%

17. 1급 방화관리대상물의 방화관리자로 선임될 수 없는 자는?(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1년 11월)
     1. 소방기술사 자격을 가진 자
     2. 소방공무원으로 5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3. 소방설비기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6개월 이상 방화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있는 자
     4. 산업안전기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1년 이상 방화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있는 자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2022.9.현재 1급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자격은

1. 소방설비기사(산업기사) 자격이 있는 사람
2. 산업안전기사(산업기사) 자격취득 후 2년 이상 2급 또는 3급 소방안전관리자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공무원으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4. ....
8. 특급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이 있는 사람
[해설작성자 : gwonwoon kim]

18. 소방기본법령상 소방신호와 타종신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1월)
     1. 경계신호 - 1타와 연3타를 반복
     2. 발화신호 - 난타
     3. 해제신호 - 상당한 간격을 두고 1타씩 반복
     4. 훈련신호 - 연3타 반복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경계신호-1타와 연2타를 반복

19. 화재 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산소의 농도를 10vol%로 낮추어 소화하려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약 몇 vol%가 되어야 하는가?(2012년 11월)
     1. 32
     2. 42
     3. 52
     4. 62

     정답 : []
     정답률 : 84%

20. 다음은 화재안전기준(NFSC)상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7년 11월)

    

     1. ㄱ: 15°, ㄴ: 10m
     2. ㄱ: 20°, ㄴ: 15m
     3. ㄱ: 25°, ㄴ: 20m
     4. ㄱ: 30°, ㄴ: 25m

     정답 : []
     정답률 : 93%

21. 건축법령상 주요구조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11월)
     1. 기둥
     2. 옥외 계단
     3.
     4. 주계단

     정답 : []
     정답률 : 92%

22. 다음 중 분진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것은?(2015년 11월)
     1. 밀가루
     2. 석탄가루
     3. 산화칼슘(생석회) 분말
     4. 알루미늄 분말

     정답 : []
     정답률 : 92%

23. 화재안전기준(NFSC)상 전기화재에 적응성이 있는 소화기구의 소화약제는?(2018년 11월)
     1. 마른모래
     2. 팽창질석
     3. 팽창진주암
     4. 이산화탄소소화약제

     정답 : []
     정답률 : 95%

24. 다음은 류별 위험물에 대한 대표적 성질이다. 잘못 짝지어진 것은?(2004년 11월)
     1. 1류 - 산화성 고체
     2. 2류 - 가연성 고체
     3. 3류 - 자연발화성물질 및 금수성물질
     4. 5류 - 인화성 액체

     정답 : []
     정답률 : 100%

25. 화재안전기준(NFSC)상 누전경보기의 주요 구성부는?(2013년 11월)
     1. 변류기, 수신부
     2. 탐지부, 경보부
     3. 탐지부, 수신부
     4. 전원부, 차단부

     정답 : []
     정답률 : 85%

26. 옥외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상 옥외소화전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 및 방수량의 기준은?(2012년 11월)
     1. 0.35MPa 이상, 300ℓ/min 이상
     2. 0.17MPa 이상, 130ℓ/min 이상
     3. 0.25MPa 이상, 350ℓ/min 이상
     4. 0.10MPa 이상, 80ℓ/min 이상

     정답 : []
     정답률 : 92%

27. 화재시 건물내 연기이동에 대하여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11월)
     1. 연기의 이동은 건물내외의 온도차에 영향을 받는다.
     2. 연기는 공기보다 고온이기 때문에 기류를 교반하지 않는다면 천정의 하면을 따라 이동한다.
     3. 연기는 수직공간에서 확산속도가 빠르고 그 흐름에 따라 화재 직상층 부터 차례로 충만해 간다.
     4. 수평방향 이동의 경우 진행방향 하부에 역방향으로 흐르는 신선한 공기의 2층류를 형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2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4류 위험물 제1석유류의 인화점 기준은?(2014년 11월)
     1. -20℃ 이하
     2. 21℃ 미만
     3. 21 ℃이상 70 ℃미만
     4. 70℃ 이상 200℃ 미만

     정답 : []
     정답률 : 82%

29. 휘발유의 지정수량은?(2008년 11월)
     1. 50리터
     2. 200리터
     3. 400리터
     4. 1,000리터

     정답 : []
     정답률 : 90%

30.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1월)
     1.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2. 노대 및 부속실에는 계단실외의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창문등(출입구를 제외 한다)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3. 계단실에는 노대 또는 부속실에 접하는 부분외에는 건축물의 내부와 접하는 창문등을 설치하지 아니할 것
     4. 출입구의 유효너비는 0.7미터 이상으로 하고 피난의 방향으로 열 수 있을 것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4. 0.9m이상

31.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주유취급소에 설치하는 “주유중 엔진정지" 게시판의 바탕 및 문자의 색상으로 옳은 것은?(2017년 11월)
     1. 황색바탕, 흑색문자
     2. 흑색바탕, 황색문자
     3. 적색바탕, 백색문자
     4. 백색바탕, 적색문자

     정답 : []
     정답률 : 80%

32. 특정소방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를 설치하고자 한다. 부착높이가 바닥으로부터 25m인 경우 적합한 감지기는?(2012년 11월)
     1.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2. 열복합형 감지기
     3. 연기복합형 감지기
     4. 불꽃감지기

     정답 : []
     정답률 : 100%

33. 소방시설 중 피난구조설비가 아닌 것은?(2021년 11월)
     1. 구조대
     2. 공기호흡기
     3. 통로유도등
     4. 무선통신보조설비

     정답 : []
     정답률 : 80%

34. 다음 중 위험물취급소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8년 11월)
     1. 저장취급소
     2. 주유취급소
     3. 이송취급소
     4. 판매취급소

     정답 : []
     정답률 : 64%

35.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고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는?(2010년 11월)
     1. 차동식 스포트형감지기
     2. 정온식 스포트형감지기
     3. 단독경보형감지기
     4. 광전식 분리형감지기

     정답 : []
     정답률 : 90%

36. 다음 중 건축물의 방화구획에 관하여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2004년 11월)
     1. 건축법에 의하여 연면적이 1000m2을 넘는 것은 갑종방화문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2. 물품을 제조ㆍ가공ㆍ보관 및 운반 등에 필요한 대형기기설비의 설치ㆍ운영을 위하여 불가피한 부분
     3. 복층형인 공동주택의 세대안의 층간 바닥부분
     4.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로 된 주차장 부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소방자동차의 우선통행 등 및 소방대의 긴급통행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11월)
     1. 소방자동차가 구조, 구급훈련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사이렌을 사용할 수 있다.
     2. 소방자동차가 화재진압을 위하여 출동할 때에는 모든 차와 사람은 방해하면 안된다.
     3. 소방자동차의 우선통행에 관하여는 도로교통법이 정하는 기준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4. 소방대는 화재현장에 신속한 출동을 위하여 긴급한 때에는 일반적인 통행에 쓰이지 아니하는 도로, 빈터로 통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2%

38. 위험물의 저장ㆍ운반 및 취급에 대하여 위험물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은?(2009년 11월)
     1. 선박
     2. 화물자동차
     3. 항공기
     4. 철도 및 궤도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9. 소방기본법상 관계인에 관한 정의에 해당되지 않는 자는?(2011년 11월)
     1. 소유자
     2. 점유자
     3. 관리자
     4. 감리자

     정답 : []
     정답률 : 100%

40. 옥내소화전설비에서 자연낙차를 이용하여 소화수를 공급하는 방식에 해당하는 것은?(2023년 11월)
     1. 고가수조방식
     2. 펌프방식
     3. 압력수조방식
     4. 가압수조방식

     정답 : []
     정답률 : 9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39427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경비지도사 2차(소방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2394278)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5 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4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2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3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9323409) 좋은아빠되기 2025.11.06 5
572 용접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2
571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9216950)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70 시각디자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9402485)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69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8313856)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68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67 수능(화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5671589) 좋은아빠되기 2025.11.06 5
566 수능(생활과윤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65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2
564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63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01333)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62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962734)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6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60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559 9급 지방직 공무원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5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170365) 좋은아빠되기 2025.11.06 3
557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6일)(7051856) 좋은아빠되기 2025.11.06 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 Next
/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