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6346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계통분류학


1. 콩꼬투리에 해당되는 염래의 주된 종류는?(2011년 06월)
     1. 취과(aggregate)
     2. 협과(legume)
     3. 삭과(capsule)
     4. 시과(samara)

     정답 : []
     정답률 : 89%

2. 다음 중 곤충강이 가지는 형질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키틴으로 된 외골격을 가진다.
     2. 좌우대칭이고 체절적 구조를 가진다.
     3. 배설기는 불꽃세포로 구성된다.
     4. 성체에서 체강은 퇴화하고 혈액으로 충만한 혈강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곤충강의 배설기는 말피기관
[해설작성자 : 구상나무]

3. 삼엽충아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화석생물로 캠브리아기와 오르도비스기에 번성했다가 고생대 말기에 절멸되었다.
     2. 삼엽충의 체제는 두부, 흉부, 즉 체간과 미부의 3부위로 나뉘어진다.
     3. 두부는 4개의 유합된 체절로 되어 있고, 1쌍의 촉각을 가지며, 납작한 방패모양의 갑각으로 덮여있다.
     4. 두부에는 입 뒤쪽에 1쌍의 부속지가 있으며, 체간과 미부에는 부속지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삼엽충의 부속지는 입 앞쪽에 한쌍의 촉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는 모두 동일한 이분지형 다리를 가지고 있다.
머리에는 2, 3 혹은 4 쌍, 그리고 가슴 마디마다 각 한 쌍, 꼬리에 몇 쌍이 존재한다.
[해설작성자 : 유서준]

4. Wittaker의 5계 분류체계에 따를 때 식물(Plantae)계에 속하지 않은 것이 포함된 것은?(2010년 05월)
     1. 다세포 홍조류, 다세포 갈조류, 선태식물
     2. 다세포 녹조류, 버섯류, 와편모조류
     3. 선태식물, 유관속식물, 양치식물
     4. 종자식물, 현화식물, 단자엽식물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버섯: 균계
와편모조류: 원생생물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절지동물의 발생학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원장으로부터 중배엽이 형성된다.
     2. 입은 원구로부터 발생한다.
     3. 방사난할을 한다.
     4. 조정란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절지동물(節肢動物, arthropod)
    -. 절지동물은 외골격과 체절, 관절이 있는 무척추동물이다
    -. 몸은 머리·가슴·배로 구분되며, 각 체절에 부속지가 한 쌍씩이 있다
    -. 지구상 동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 절지동물은 탈피를 하는 특징이 있다
    -. 곤충·거미·갑각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 식물의 일반적인 진화 경향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배가 작고, 배유가 있는 종자는 배유가 없는 종자보다 원시적이다.
     2. 씨방의 위치는 상위가 하위보다 원시적이다.
     3. 수술은 수가 적고 합쳐진 것이 수가 많고 떨어진 것보다 원시적이다.
     4. 꽃은 방사대칭형이 좌우대칭형보다 원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7. 동물계 종의 3/4 이상을 차지하는 큰 분류군으로 호흡색소로는 헤모글로빈 또는 헤모시아닌 등이 혈장 속에 들어 있고 대체로 무색이며, 순환계는 개방혈관계를 가진 것은?(2011년 06월)
     1. 중생동물문
     2. 윤형동물문
     3. 절지동물문
     4. 해면동물문

     정답 : []
     정답률 : 94%

8. 다음의 관속식물 속(genus) 중에서 한반도에 분포하는 종수가 가장 많은 것은?(2006년 09월)
     1. 마디풀속(Polygonum)
     2. 참나무속(Quercus)
     3. 사초속(Carex)
     4. 벚나무속(Prunus)

     정답 : []
     정답률 : 71%

9. 다윈의 진화론에 담긴 내용과 관계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과잉번식
     2. 돌연변이
     3. 자연선택
     4. 집단 내 개체간의 변이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다윈의 진화론에서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못한 것이 한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티록신]

10. 도관요소의 진화경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천공판은 계문이 많고 유연벽공인 것에서 계문이 적고 무연벽공인 것으로 변하였다.
     2. 도관요소의 길이가 점점 짧아졌다.
     3. 천공의 크기가 점점 커졌다.
     4. 도관요소가 겹치는 부분이 적고 각도가 작은 타원내지 원형에서 겹치는 부분이 많고 각도가 큰 타원으로 변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8%

11. 국화아강에 속하는 식물 중 자방상위이며, 잎은 대생 또는 윤생, 내사부가 있으며, 꽃은 방사상칭, 수술수는 꽃잎수와 동일한 특징을 보이는 목은?(2017년 05월)
     1. 용담목
     2. 칼리세라목
     3. 초롱꽃목
     4. 국화목

     정답 : []
     정답률 : 65%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표본은 무엇인가?(2006년 09월)

    

     1. 부모식(paratype)
     2. 총모식(syntype)
     3. 후모식(lectotype)
     4. 신모식(neotype)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부모식(paratype); 종기준표본
- 기재문에 인용한 정기준표본과 동기준표본 이외의 모든 인용된 표본
- 모식계열 중에서 완모식을 제외한 모든 표본을 말함. 이들은 명명법상의 가치는 없다.
[해설작성자 : 구상나무]

13. 박벽포자낭을 갖는 양치식물은?(2021년 09월)
     1. 속새
     2. 음양고비
     3. 석송
     4. 물부추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박벽포장낭군 : 벽이 한 층으로 얇고 자루가 있는 포자낭을 만드는 식물
고사리류의 발달한 대부분의 식물
[해설작성자 : 모현]

14. 다음 중 각 학자들의 이론에 대한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2006년 09월)
     1. 에이머(Eimer)의 정향진화설(orthorenesis theory) : 생물은 내재적인 힘에 의하여 환경의 영향과는 관계없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화한다.
     2. 다윈(Darwin)의 자연선택설(natural selection theory) : 생물들은 생육 장소나 환경의 영향을 받아 사용 정도에 따라 기본적인 체형에 변화를 받게 되어 자연 속에서 살아 남는다.
     3. 드브리스(Ee Vries)의 돌연변이설(mutation theory) : 돌연변이가 진화의 원인이 된다.
     4. 헤켈(Haekel)의 반복설(recapitulation theory) : 생물의 계통발생은 개체발생 도중에 반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다윈의 자연선택설:자연계에서 환경에 적합한 종이 더 잘 살아남는다.
상세내용 : 주어진 환경에서 번식하지 못하는 종은 자연스럽게 도태되고, 주어진 환경에서의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성질을 가진 종들이 자신의 성질을 후대로 전달하며 생태계에 널리 퍼진다는 원리
[해설작성자 : lucy]

15. 동물의 경우 과의 명칭은 모식속 명칭의 어간에 접미사를 이용한다. 명명법상 과군의 접미사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idae
     2. -ini
     3. -inae
     4. -oidea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상과(superfamily)명의 어미에 사용 : -oidea
* 족 : -ini
* 과 : -idae
* 아과 : -inae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6. 식물종에 있어서 종의 학명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속명
     2. 과명
     3. 종소명
     4. 명명자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속명(대문자)(단수명사) + 종소명(소문자/인명,과거속명,통상명은 예외)(형용사) + (명명자(대문자)(동명이인 구별, 약자도 가능, 처음 명명자는 괄호 처리)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17. 다음 중 환형동물의 일부 특징과 절지동물의 일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2015년 05월)
     1. 발톱벌레
     2. 혀벌레
     3. 곰벌레
     4. 끈벌레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발톱벌레 : 유조동물문
유조동물로 이름처럼 다리끝에 발톱이 나있는 것이 특징
혀벌레 : ? ? ? ?
곰벌레 : 완보동물문 (절지동물과 연관이 있지만 환형동물과는 연관이 없다.)
끈벌레 : 유형동물문 (환형동물과는 연관이 있지만 절지동물과는 연관이 없다.)
[해설작성자 : 찬초]

18. 식물의 분류체계는 학자에 따라 다르다. 그 중에서 가능한 모든 분류학적 증거를 이용하여 친소성을 체계에 반영시켰고, 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피자식물군들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는?(2016년 05월)
     1. Takhtajan
     2. Cronquist
     3. Thorne
     4. Dahlgren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타크타잔(Takhtajan) 분류체계 : 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피자식물군들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이다
    -. 목련강에 속하는 아강
    -. 백합강에 속하는 아강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9. 다음 중 연체동물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5월)
     1. 골격은 규질이나 석회질의 골편으로 되어 있다.
     2. 산만신경계를 가지며, 폐쇄혈관계를 가진다.
     3. 체강은 퇴화하여 심장의 주위에 국한되어 있다.
     4. 방사형 난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0. Whittaker는 1969년에 생물계를 모네라, 원생생물, 식물, 균류, 동물계로 구분하였다. 다음 중 각 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원생생물은 진핵세포로 되어 있으며, 일차적으로 단세포 또는 단세포의 군체를 이룬다.
     2. 균류는 색소체는 가지나 광합성 색소는 가지지 않으며 종속영양생물이다.
     3.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은 세포벽이 있는 진핵세포를 가지는 다세포 생물이다.
     4. 모네라는 핵막을 가지며 단세포의 단체 또는 군체로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2과목 : 환경생태학


21. 다음의 표는 각각 5종과 100개체로 이루어진 2개의 군집이다. 종 풍부도와 종 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군집 A의 종 풍부도는 군집 B에 비하여 낮다.
     2. 군집 B의 종 풍부도는 군집 A에 비하여 낮다.
     3. 군집 A의 종 다양성이 군집 B에 비하여 낮다.
     4. 군집 B의 종 다양성이 군집 A에 비하여 낮다.

     정답 : []
     정답률 : 80%

22. 다음은 툰드라의 식생형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방석형
     2. 덤불형
     3. 광엽초본형
     4. 협엽초본형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방석식물 (cushion plant) : 단괴 식물이라고도 함. 가지나 줄기가 밀생하며 조밀하고 견고한 단괴상이 되는 식물. 증산속도가 낮고 수분 유지도 잘 되기 때문에 건조지의 생활에 유리, 저온이나 강풍에 대한 저온성이 큼. 건조지나 고산에 많이 나타남.

* 광엽 초본(forb) : 잎이 넓은 초본식물

* 협엽초본(grass) : 줄기가 연하고 나무의 성질을 띠지 않는 초본식물

[출처] [환경 생태학] 육상군집 및 생물군계의 분포 - 생물군계의 분포 유형별 특성|작성자 몽실언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석식물은 로제트 식물을 말한다.
사초과는 벼목의 과이다. 즉 잎이 길 형태를 말한다.
협엽초본이라고 하는데 보통은 화본과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23. 호소 및 하천주변의 식생대에 있어서 침수식물에 해당하는 것은?(2006년 09월)
     1. 개구리밥
     2. 검정말
     3. 택사
     4. 부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침수식물: 검정말, 물수세미, 붕어마름 등
부유식물: 개구리밥, 생이가래 부레옥잠 등
부엽식물: 가시연, 마름, 개연꽃, 물양귀비 등
정수식물: 줄풀, 부들, 갈대, 물옥잠 등

수생식물은 깊이에 따라 사는 방식을 달리하고 있는데 물에 떠서 살면 부유식물, 물 밑 흙에 뿌리를 내리고 잎은 물 표면에 띄우고 살면 부엽식물, 물이 많은 흙에 뿌리를 내리고 잎과 줄기는 물 밖으로 자라면 정수식물, 전 식물체가 물에 잠겨 있으면 침수식물이다.

24. 다음은 현존식생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자연식생(natural vegetation)
     2. 이차식생(secondary vegetation)
     3. 대상식생(substitute vegetation)
     4. 고식생(paleotic vegetation)

     정답 : []
     정답률 : 86%

25. 생태계의 천이 및 안정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1차천이에서 개척자 식물들은 뒤이어 오는 식물들의 정착을 용이하게 한다.
     2. 타생천이는 자생천이보다 변화예측이 어려운 편이다.
     3. 천이가 생물군집 내부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타생천이라 하며, 대부분의 경우 천이는 타생천이에 해당한다.
     4. 야산이 되어 버려진 농토나 개벌(皆伐)된 삼림군집 등은 2차천이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천이가 생물군집 내부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자생천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율잇]

자생천이 유기체가 토양을 변화시킴으로 일어나는 천이
타생천이는 식생이 아닌 외부 환경의 영향에 의해 유발. 물의 침식,용탈,점토등의 변화등
[해설작성자 : 단교배]

●3번 : 천이가 생물군집 내부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자생천이라 하며, 대부분의 경우 천이는 자생천이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6. 다음 중 해수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ph는 약 8.2로서 약칼칼리성을 가진다.
     2. 해수의 주요 성분 농도비는 일정하다.
     3. 해수의 Mg/Ca는 10 정도로 담수의 2∼3에 비해 크다.
     4. 해수의 강전해질로서 1L당 35g 정도의 염분을 함유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해수의 Mg/Ca는 3-4

27. 다음 중 수질오염으로 인한 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부영양화 현상
     2. 용존산소의 고갈
     3. 적조현상
     4. 열섬현상(heat island)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열섬현상은 인구의 증가·각종 인공 시설물의 증가·콘크리트 피복의 증가·자동차 통행의 증가·인공열의 방출·온실 효과 등의 영향으로 도시 중심부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벽력일섬]

<수질오염으로 인한 현상>.....(빈출입니다)
1. 부영양화(영양염류 과다로 인해 발생하며, 질소와 인이 풍부한 폐수 유입이 주요 원인)
2. 적조현상(플랑크톤이 과다 증식해 수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주로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
3. 용존산소의 고갈
4. 생활하수, 비료, 공장 폐수 등으로 인한 영양염류 증가
5. 플랑크톤이 산소를 소비해 수중 생물이 폐사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8. 물의 순환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해양, 육상과 대기 간의 물의 이동현상을 말한다.
     2. 순환경로의 기본은 비의 형태로 떨어지는 강수현상과 증발산이다.
     3. 토양의 일부에 흡수된 물의 일부는 아래로 이동하여 지하수에 이르는데 이를 흡습수라 한다
     4. 지하수위는 그 지역의 지형을 반영하는데, 지하수위보다 지형이 낮은 곳에서 개울 및 호소가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흡습수 : 토양입자 표면에 피막 상을 흡착된 수분을 말한다. 흙 알갱이의 표면에 흡수되거나 보존되어 있으면서 식물생육에는 이용되지 아니하는 토양 수분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찬초]

29. 다음 두 군집 사이의 유사도 지수(S)는?(2010년 05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S= 2C÷(A+B)
2×10÷(40+60)=0.2
[해설작성자 : 굴뚝새]

30. 다음 오염물질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납화합물
     2. 비소화합물
     3. 수은화합물
     4. 크롬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79%

31. 생물학적 수질평가방법에 이용되는 수서곤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담수생태계에 다양한 종들이 풍부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수질평가에 적합하다.
     2. 대부분의 종이 이동성이 적기 때문에 수질평가에 적합하다.
     3. 다양한 오염원에 대하여 분별적인 민감성이 높아 수질평가에 적합하다.
     4. 수서곤충은 단순한 생활사로 알려져 있으며, 공간적인 분포의 동일성으로 인해 수질평가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32. 총면적 10km2인 어느 지역 중 산지 면적이 2km2 이다. 이 산지 내에 50본의 소나무와 100본의 참나무가 있을 때, 참나무의 생태밀도(ecological density)는?(2009년 05월)
     1. 10본/ km2
     2. 25본/ km2
     3. 50본/ km2
     4. 100본/ km2

     정답 : []
     정답률 : 76%

33. 생태계에서의 영양소 순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인과 칼슘의 순환은 물과 관련되어 일어난다.
     2. 암모니아 이온은 Nitrosomonas와 같은 박테리아에 의해 아질산염 형태로 전환된다.
     3. 질소고정 박테리아를 제외한 지구의 생물들은 대기 속의 질소를 직접 이용한다.
     4. 인산염은 수용성이므로 즉시 재순환하지만, 뼈, 이빨, 패각물질로 결합된 인산염은 풍화작용으로 서서히 방출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질소고정 박테리아를 제외한 지구상 대부분 생물들은 대기 중의 질소를 직접 이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율잇]

34. 다음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물리적 처리시설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5월)
     1. 침사시설
     2. 포기시설
     3. 침전물 개량시설
     4. 이온교환시설

     정답 : []
     정답률 : 85%

35. 다음 중 해양생물의 서식지로서 연안천해역(연안역:neritic)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조간대
     2. 심해대
     3. 상부천해대
     4. 하부천해대

     정답 : []
     정답률 : 87%

36. 개체군의 밀도를 측정하려면 먼저 개체군을 형성하는 개체수를 파악하여야 한다. 개체군의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전수조사(total count)
     2. 조밀도법(crude density)
     3. 방형구법(quadrat sampling)
     4. 비구획법(poltless)

     정답 : []
     정답률 : 74%

37. 다음 중 폐기물의 해양투기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협약(의정서)은?(2020년 09월)
     1. 몬트리올의정서
     2. 리우협약
     3. 도쿄의정서
     4. 런던협약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몬트리올의정서 : 오존층 파괴물질의 규제에 관한 국제협약
리우협약 : 자연과 인간, 환경보존과 개발의 양립을 목표
교토의정서 : 기후변화협약 온실가스 감축목표
[해설작성자 : 찬초]

[관리자 입니다.
전공자가 아닌 제가 봐도.. 그리고 검색을 해봐도
교토의정사가 맞는 말인거 같은데....
실제 시험지 사진상으로는 3번 보기가 "도쿄의정서"라고 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제 시험에서 오타가 있었던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정답과 무관하므로
저희는 원본에 충실하기 위해서 그대로 두겠습니다.
오류신고는 자제 부탁 드립니다.]

런던협약 : 폐기물의 해양 투기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국제 협약.
1972년 채택 1975년부터 발효. 우리나라 1992년 12월 가입.
1994년 1월부터 효력이 발효 되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순 일차 생산성(net primary productivity; NPP)에 관한 가장 적합한 설명인 것은?(2014년 05월)
     1. 어떤 지역에서 생산자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의 생산율을 의미하며, 측정기간 동안 독립영양생물이 스스로의 생장을 위해 사용한 유기물의 양도 포함한다.
     2. 스스로의 생장에 사용한 유기물의 양은 고려하지 않고 독립영양생물 내에 축적됨으로써 다른 종속영양생물의 먹이로 섭취 가능한 형태의 유기물의 양을 가리킨다.
     3. 독립 및 종속영양생물이 사용하고 남은 유기물의 축적량을 가리킨다.
     4.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계에서 먹이사슬을 통해 다음 단계의 소비자에게 먹이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에너지 저장량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39. 해양환경 중 용승(upwelling)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페루의 광대한 멸치어장은 주로 용승현상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2. 용승은 영양소를 가진 차가운 심해의 물이 수면으로 올라오는 현상이다.
     3. 용승은 계절적 현상으로 연안풍이 육지쪽 또는 연안과 수직으로 부는 곳에서 일어난다.
     4. 뒤섞여 위로 올라온 영양소는 해양먹이사슬의 기초를 제공하는 광합성 생물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40. 생태적 천이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천이는 방향성이 있어서 예측할 수 있다.
     2. 천이 초기 보다는 진행된 단계에서 종의 변화가 빠르게 나타난다.
     3. 초기에 보였던 식물종들이 단계가 진행하면서 사라질 수 있다.
     4. 총 생산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극상단계에서는 최고에 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3과목 : 형태학


41. 식물의 지상부(shoot)에 있는 눈(bud)으로부터 새로 생길 수 있는 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잎, 가지(작은 줄기) 또는 꽃이 될 수 있다.
     2. 가지(작은 줄기)와 꽃은 될 수 있어도 잎은 될 수 없다.
     3. 꽃과 잎은 될 수 있어도 가지(작은 줄기)는 될 수 없다.
     4. 꽃만 될 수 있으며 가지(작은 줄기)와 잎은 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0%

42. 다음 중 조류(Aves)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피부는 얇고 땀샘이 없다.
     2. 몸은 표피성 깃털로 덮여 있다.
     3. 발은 보통 5개의 발가락을 가진다.
     4. 다리에 비늘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3. 발은 보통 앞 세가락, 뒤 한 가락의 4개의 발가락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43. 인간의 호르몬 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여포자극호르몬은 남성의 정자형성을 자극한다.
     2. 배아에서 여성의 발달을 유도하는데 안드로겐이 필요하다.
     3. 여성은 황체형성호르몬에 의해 배란이 촉진된다.
     4. 자궁내막의 발달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조절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안드로겐은 남성 생식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을 모두 총칭하는 것으로 통상 남성호르몬이라고 불린다.
(여성의 발달을 유도하는 호르몬은 에스트로겐)
[해설작성자 : 유서준]

44. 극피동물이 가지고 있는 내골격은 무엇인가?(2021년 09월)
     1. 큐티클
     2. 연골
     3. 소골편
     4. 유체골격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극피동물이란 고슴도치의 피부를 가진 동물이라는 뜻이며(불가사리, 성게, 해삼 등), 피하에는 진피성의 석회성 소골편으로 이루어진 내골격이 있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45. 절지동물문의 협각아문(Chelicerata)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9월)
     1. 자유생활을 하며, 모두 육서종이다.
     2. 다리는 네쌍이며, 배는 6~14절이다.
     3. 거미류, 전갈류, 응애(진드기)류 등이 이에 속한다.
     4. 몸은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더듬이는 두 쌍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절지동물문의 협각아문
    -. 몸 앞부분에 한 쌍의 가위 모양의 다리가 있다
    -. 더듬이는 없고 부속지는 종류에 따라 다르다
    -. 투국계,전갈,진드기,거미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 자유생활을 하며, 모두 육서종이다.-투구게등이 해양종
4. 몸은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더듬이는 두 쌍이 있다.-곤충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46. 쌍자엽식물의 배발생의 유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가지형
     2. 국화형
     3. 마디풀형
     4. 십자화형

     정답 : []
     정답률 : 66%

47. 다음은 신경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 중추신경계, ㉡ 소뇌
     2. ㉠ 중추신경계, ㉡ 척수
     3. ㉠ 자율신경계, ㉡ 소뇌
     4. ㉠ 자율신경계, ㉡ 척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는 신경계의 일부로 뇌(brain)와 척수(spinal)를 합쳐 일컫는 말

소뇌는 운동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행동을 개시하기 전 학습된 미세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움직임을 시작하지는 않지만 운동 중 몸의 조정, 정확성 및 움직임의 정확한 타이밍에 기여한다
[해설작성자 : 찬초]

48. 배를 먹을 때 그 과육에서 모래와 같은 것이 씹히는데 이것은 어떤 조직의 무슨 세포인가?(2010년 05월)
     1. 후벽조직 - 보강세포
     2. 후강조직 - 섬유세포
     3. 후각조직 - 보강세포
     4. 후벽조직 - 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79%

49. 사람의 몸에 기생하는 간디스토마(Chlonorchis sinensis)의 생활사에서 감염된 물고기를 사람이 먹게 되었을 때 부화되는 유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미라시디움(miracidium)
     2. 레디아(redia)
     3. 세르카리아(cercaria)
     4. 메타세르카리아(meracercaria)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물속의 미라시디움(miracidium)가 패류에 먹힘 그 체내에서 레디아(redia) - 세르카리아(cercaria) 성장
[해설작성자 : 찬초]

50. 다음 중 메뚜기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1년 09월)
     1. 베짱이
     2. 방아깨비
     3. 사마귀
     4. 풀무치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사마귀는 사마귀목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서준♥]

51. 다음 중 나이테가 형성되는 부위는?(2009년 05월)
     1. 1기 물관부
     2. 2기 물관부
     3. 원생물관부
     4. 후생물관부

     정답 : []
     정답률 : 82%

52. 동물의 조직을 결합조직, 상피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으로 구분할 때, 결합조직에 해당되는 것은?(2020년 09월)
     1. 내피
     2. 뉴런
     3. 혈액
     4. 평활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내피        - 상피조직
뉴런        - 신경조직
혈액        - 결합조직
평활근    - 근육조직
[해설작성자 : 유서준]

53. 다음은 오래된 줄기의 목재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환재
     2. 심재
     3. 추재
     4. 춘재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심재(죽은 세포 : 수액 운반 기능 없음)
    -. 나무의 중심부에 위치한 짙은 색의 단단한 조직이다
    -. 변재보다 내구성과 강도 면에서 우수해 건축·가구 재료로 적합하다
    -. 나무를 지탱하는 기계적 지지 기능을 수행하며,
         고목의 경우 심재가 썩어도 나무가 생존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4. 벼과식물의 배반(scutellum)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2011년 06월)
     1. 배유
     2. 자엽
     3. 배축
     4. 배생근

     정답 : []
     정답률 : 60%

55. 딱총나무속, 등골나무속, 갈매나무속 식물의 엽병에서 볼 수 있는 후각조직으로서, 세포벽 물질의 축적이 절선단면벽에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두꺼우며, 방사단면 벽은 절산단면 벽보다 얇게 비후되어 있는 것은?(2011년 06월)
     1. 간우후각조직
     2. 환상후각조직
     3. 간극후각조직
     4. 판상후각조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각우후각조직
    후각세포들에서 세포벽 물질이 주로 세포들이 만나는 모서리에 집적되어 두꺼워지면 이를 각우후각조직이라고 한다.근대속, 무화과속, 베고니아속, 뽕나무속, 삼속, 포도속, 호박속식물 등의 잎자루에서 그리고 감자속식물의 줄기등에서 볼 수 있다.
2) 판상후각조직
    후각세포에서 세포벽 물질이 주로 접선면에 집적되어 두꺼워질 경우, 이를 판상후각조직이라고 한다. 이런 유형의 후각조직은 갈매나무속, 딱총나무속, 코스모스속 식물 등의 줄기의 피층에서, 그리고 등골나물속, 머위속, 쑥속 식물 등의 잎자루에서 볼 수 있다.
3) 간극후각조직
    후각세포들의 세포벽물질이 세포간극을 향한 쪽의 세포벽에 집적되어 두꺼워질 때, 이를 간극후각조직이라고 한다. 간극후각조직은 국화과, 살비아속, 아욱속, 접시꽃속 식물 등의 잎자루에서 볼 수 있다.

56. 다음은 소나무과 식물의 잎 단면이다.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분의 명칭은?(2011년 06월)

    

     1. 유관속 조직
     2. 내피
     3. 수지도
     4. 기공

     정답 : []
     정답률 : 66%

57. 뿌리의 끝부분(근단)에 있는 분열조직의 가운데에 있는 분열지연(또는 생장정지) 중심부 (quiescent cen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500~1,000개 정도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반구형 또는 원반형이다.
     2. 상처를 입은 근단분열조직 및 근관 세포들을 대체하는 작용을 한다.
     3. 방사선과 독성물질 등의 환경교란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갖고 있다.
     4. 세포들은 세포주기 중에서 G2 시기에 오랫동안 머물며 하루에 1번 이상 분열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분열지연(또는 생장정지)은
    세포 분열이나 기관의 생장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늦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 분열정지중심설 : 근단에서 가장 끝에 있는 분열조직 중심부에서는
                                     세포분열이 약간 또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는 학설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8. 통수요소 (도관절 및 가도관)의 측벽에 2차벽 물질이 두껍게 쌓이면 세포벽이 더 튼튼하게 보강되어 붕괴의 위험에 대처할 수 있다. 다음 중 측벽의 비후 유형이 튼튼해지는 순서되로 나열된 건은?(2009년 05월)
     1. 환상-계단상-나선상-벽공상-망상
     2. 환상-나선상-계단상-망상-벽공상
     3. 환상-벽공상-나선상-계단상-망상
     4. 환상-망상-계단상-나선상-벽공상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통수요소 : 초성만 따서 ㅎㄴㄱㅁㅂ 하나고모부로 외웠더니 외워졌습니다.
[해설작성자 : 찬초]

59. 다음 중 식물의 기본분열조직(ground meristem)이 분화되어 만들어지는 것은?(2021년 09월)
     1. guard cell
     2. parenchyma
     3. root hair
     4. xylem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parenchyma : 유조직, 식물의 기본조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세포로 된 조직이다.
[해설작성자 : 유서준조직]

guard cell:공변세포
parenchyma:엽육세포
root hair:모근
xylem:물관부
[해설작성자 : 단교배]

60. 배유(배젖)를 형성하기 위해서 융합하는 핵들은?(2014년 05월)
     1. 2개의 극핵(2n)과 1개의 정세포핵(n)
     2. 1개의 난자핵(n)과 1개의 정세포핵(n)
     3. 1개의 난자핵(n)과 2개의 정세포핵(2n)
     4. 2개의 조세포핵(2n)과 1개의 정세포핵(n)

     정답 : []
     정답률 : 74%

4과목 :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중추를 이루는 분야(학문)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genetics
     2. taxonomy
     3. ecology
     4. physics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유전학
2. 분류학
3. 생태학
4. 물리학
보전생물학은 생물학의 영역 중 계통분류학 및 생태학과 가장 밀접하며,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 또는 희귀종을 대상으로 개체군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 및 변화를 연구하는 개체군 생태학(개체군 유전학)은 보전생물학의 가장 대표적인 연구이다.
[해설작성자 : 유서준]

62. 핵심종(중추종, keystone species)을 구분해 내는 것은 보전생물학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중요성을 지니는데, 이 핵심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핵심종의 멸종은 연쇄적으로 여러 다른 종의 소멸과 연계되어 있다.
     2. 생물 서식지가 개발될 때 일차적으로 핵심종은 구분되어 사전 이식 또는 이주를 통한 서식지와 보전을 추진해야 한다
     3. 생태계 내에서 어느 특정 종의 보호를 위해서는 그와 연관된 핵심종의 보호가 동시에 필요하다.
     4. 핵심종이 제거되면 생태계의 거의 모든 영양 단계에서 생물다양성이 감소되어 궁극적으로 생태계가 붕괴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63.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주된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6년 09월)
     1. 군집 및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활동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2. 종의 절멸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보전방법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3. 절멸의 위험에 처해 있는 종들이 다시 생태계에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건하는 것이다.
     4.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만 이해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64. 식물보전센터에서 위험종의 유전변이 보존을 위한 표본 추출지침 중 종의 수준에서 수집하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수집하여야 할 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절멸의 위험이 있는 종
     2. 특정 군집에서의 우점종
     3. 자연으로 재도입될 수 있는 종
     4. 진화적 및 분류학적으로 유일한 종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우점종
    -. 군집 환경 내에서 가장 수가 많거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군집(종)의 상태를 말한다.
    -. 어떤 환경에서 우점 상태를 이룬 종을 가리켜 우점종(dominant species)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5. 생물다양성의 3가지 고려수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종 다양성
     2. 군집 및 생태계 다양성
     3. 야생작물의 다양성
     4. 유전적 다양상

     정답 : []
     정답률 : 91%

66. 생물다양성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 중 단일 군집내의 종주를 의미하며, 종 풍부도 개념에 가장 가까운 측정방법은?(2010년 05월)
     1. delta diversity
     2. gamma diversity
     3. beta diversity
     4. alpha diversity

     정답 : []
     정답률 : 72%

67. 생물종과 군집 보호를 위한 우선순위의 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차별성(distinctiveness)
     2. 위험성(endangerment)
     3. 발전성(development)
     4. 유용성(utility)

     정답 : []
     정답률 : 69%

68. 도로개설, 초지조성, 택지개발, 도시형성 및 광범위한 인간의 건설 활동으로 서식처 자체가 분할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5년 05월)
     1. habitat assessment
     2. habitat modelazation
     3. habitat infusion
     4. habitat fragmentation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서식지 보편화? (habitat assessment)
2. 서식지 모형화? habitat modelazation
3. 서식직 투입? (habitat infusion)
4. 서식지 단편화 (habitat fragmentation)
[해설작성자 : 찬초]

69. 종 다양성 비교를 위해 고안된 수학적 지수 중 알파다양성(alpha diversit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종 조성이 다양한 환경기울기에 따라 얼마나 변하는지 그 정도를 나타낸다.
     2. 각기 다른 생태계에 서식하는 군집 간 종수를 비교할 때 흔히 사용된다.
     3. 어떤 종들이 지리적으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종류의 서식처를 만날 확률을 말한다.
     4. 이끼군집에 고도에 따라 계속 변한다면 알파다양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70. 다음 중 생물다양성 위협요인으로 다양성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2011년 06월)
     1. 개발에 의한 서식처 파괴
     2. 환경오염
     3. 인가감소
     4. 외래종의 도입

     정답 : []
     정답률 : 91%

71.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5월)
     1. 보전생물학은 단기간에 걸친 생물보호를 기본 관심사로 삼는다.
     2. 보전생물학은 종, 군집 및 생태계에 미치는 인간의 활동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3. 보전생물학은 생물다양성 붕괴의 위협에 대응하여 발전한 종합적인 과학이다.
     4. 보전생물학은 경제적인 요인들을 일차적으로 고려하고, 일반화된 이론접근에 중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85%

72. 먹이사슬을 거치며 발생하는 생물 농축현상을 유발하는 물질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독성물질
     2. 산성도가 큰 화합물
     3. 소화가 되지 않는 물질
     4. 체내에 오래 잔류하는 물질

     정답 : []
     정답률 : 86%

73. 다음 습지 중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신안 장도습지
     2. 순천만 갯벌·보성벌교 갯벌
     3. 회양습지
     4. 물영아리오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회양습지 : 회양댐 상류에 조성된 생태습지로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지 않았다.전 세계를 대상으로 습지로서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우리나라의 람사르 습지로는 대암산 용늪, 창녕 우포늪, 신안 장도 산지습지 등 24개...
[해설작성자 : 찬초]

74. 소개체군의 절멸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2016년 05월)
     1. 유전적 변이의 증가
     2. 출생율과 사망률의 변동에 따른 개체수 증가
     3. 공생관계를 일으키는 환경변화
     4.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

     정답 : []
     정답률 : 71%

75. 소개체군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유전적 부동(genetic drift)과 가장 관련이 먼 것은?(2014년 05월)
     1. 근교약세
     2. 진화적 유연성 소실
     3. 타식약세
     4. 가장자리효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전적 부동과 관련이 있는것은 bottleneck effect, founder effect. 근교약세, 진화적 유연성 소실, 가장자리 효과는 소규모개체군에서의 무작위적 우연에 의해 발생하는 조건에 해당됨. 타식약세는 우연한 유전적 빈도 변화가 아니라 유전적 거리의 문제에 더 가까우므로 답은 3번 타식약세.
[해설작성자 : 굴뚝새]

76. 다음 중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05월)
     1.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유익하지 못한 종
     2.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종
     3. 서식지 조건이 까다로운 종
     4.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종

     정답 : []
     정답률 : 86%

77. 현재의 생물다양성 감소의 가장 큰 위협요인인 것은?(2020년 09월)
     1. 서식지 손실
     2. 외래종 도입
     3. 질병의 확산
     4. 사냥(수렵, 어렵 등)

     정답 : []
     정답률 : 85%

78. 과거 인간활동에 의한 멸종은 척추동물의 종 다양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군의 종합적인 목록을 선정해서 작성 발간하여 멸종 방지를 위한 사전적 예방관리에 노력하고 있는데, 이 자료집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5월)
     1. 세계 멸종위기경고종 인식집(Inventory of Endangered Warning Species in the World)
     2. 세계동물명집(Checklist of Fauna)
     3. 적색자료집(Red Data Book)
     4. 멸종현황자료집(Inventory of Endangered Species)

     정답 : []
     정답률 : 80%

79. 세계자연보호재단에서 정의한 생물다양성 범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유전적 다양성
     2. 형태적 다양성
     3. 군집 및 생태계 다양성
     4. 종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80%

80. 종다양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종다양도는 종의 이질성이라고도 말한다.
     2. 종다양도는 군집의 구성성분이 외부의 압력에 영향을 적게 받는 군집구조의 능력의 척도로 이용된다.
     3. 종다양도는 종풍부도와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타내는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이다.
     4. 한 군집내에 다수의 종들이 비슷한 개체수로 출현하면 종다양도가 낮고, 소수의 종이 출현하거나 소수의 종이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는 군집은 종다양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종다양도는 종의 이질성이라고도 말한다.
→ 종다양도(species diversity)는 한 군집 안에 여러 종이 얼마나 ‘다르고 다양한지(heterogeneity)’를 나타냄.

종다양도는 군집의 구성성분이 외부의 압력에 영향을 적게 받는 군집구조의 능력의 척도로 이용된다.
→ 일반적으로 종다양도가 높으면 군집이 안정적이고 외부 교란에 대한 저항성과 회복력이 크다고 평가.

종다양도는 종풍부도와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타내는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이다.
→    종다양도 = 종풍부도(species richness) + 균등도(evenness).

한 군집 내에 다수의 종들이 비슷한 개체수로 출현하면 종다양도가 낮고, 소수의 종이 출현하거나 소수의 종이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는 군집은 종다양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다수의 종이 균등하게 존재 → 종다양도 높음

소수 종만 있거나 특정 종이 개체 수를 많이 차지 → 종다양도 낮음
[해설작성자 : 단교배]

81.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환경부장관이 환경정보망의 효율적인 구축·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환경현황조사를 의뢰하거나 환경정보망의 구축·운영을 위탁할 수 있는 전문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국립환경과학원
     2. 보건환경연구원
     3. 한국농어촌공사
     4. 한국수자원공사

     정답 : []
     정답률 : 73%

82. 자연공원법상 공원관리청이 자연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구분한 용도지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공원자연환경지구
     2. 공원마을지구
     3. 공원자연보존지구
     4. 공원자연생태지구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자연공원법」 제18조, 「문화재보호법」 제2조
「자연공원법」에 의하면 공원관리청은 자연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마을지구, 공원문화유산지구의 용도지구를 공원계획으로 결정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고구마]

●자연공원법상 용도지구
    * 공원자연환경지구
    * 공원자연보존지구
    * 공원문화유산지구
    * 공원마을지구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3.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관리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 자연경관 및 지형여건 등을 고려한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9월)
     1. 핵심구역
     2. 완충구역
     3. 관리구역
     4. 전이구역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자연환경보전법 제 12조
②환경부장관은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ㆍ관리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 자연경관 및 지형여건 등을 고려하여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지정ㆍ관리할 수 있다.
1. 생태ㆍ경관핵심보전구역(이하 “핵심구역”이라 한다) :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훼손방지를 위하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호하고자 하는 지역
2. 생태ㆍ경관완충보전구역(이하 “완충구역”이라 한다) : 핵심구역의 연접지역으로서 핵심구역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생태ㆍ경관전이(轉移)보전구역(이하 “전이구역”이라 한다) : 핵심구역 또는 완충구역에 둘러싸인 취락지역으로서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해설작성자 : 도오트]

8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중앙 및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1회에 한하여 2년 이내의 기간 동안 개발행위허가의 제한을 연장할 수 있는 지역은?(2020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지역
     2. 녹지지역으로 수목이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지역
     3. 계획관리지역으로 조수류 등이 집단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지역
     4. 개발행위로 인하여 주변의 환경, 경관, 미관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60%

85. 습지보전법상 용어의 뜻 또는 습지보전을 위한 국가의 책무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습지라 함은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말한다.
     2. 연안습지라 함은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수 또는 하구 등의 지역을 말한다.
     3. 특별시장은 내륙습지에 대하여 습지보호지역·습지주변관리지역 또는 습지개선지역의 지정 및 보전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연안습지에 대하여 습지개선지역 지정 및 보전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86. 산지관리법상 보전산지 중 공익용산지에 포함되지 않는 산지는?(2015년 05월)
     1.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자연휴양림의 산지
     2.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임업진흥권역의 산지
     3.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의 산지
     4.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구역의 산지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공익용산지: 임업생산과 함께 재해 방지, 수원 보호, 자연생태계 보전, 산지경관 보전, 국민보건휴양 증진 등의 공익 기능을 위하여 필요한 산지로서 다음의 산지를 대상으로 산림청장이 지정하는 산지
[해설작성자 : swim]

87. 산지관리법에 의해 산지전용제한지역이 될 수 없는 산지는?(2006년 09월)
     1. 주요 산줄기의 농선부로서 자연경관 및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필요한 산지
     2. 지역주민의 임산물 소득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산지
     3. 명승지, 유적지 그 밖의 역사적·문화적으로 보전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
     4.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산지

     정답 : []
     정답률 : 83%

88.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09년 05월)

    

     1. ① 5만분의 1 이상, ② 7일 이상
     2. ① 5만분의 1 이상, ② 14일 이상
     3. ① 2만5천분의 1 이상, ② 7일이상
     4. ① 2만5천분의 1 이상, ② 14일 이상

     정답 : []
     정답률 : 76%

89.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자연도의 작성·활용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0년 05월)

    

     1. ① 2만5천분의 1. ② 실선
     2. ① 2만5천분의 1. ② 점선
     3. ① 5만분의 1. ② 실선
     4. ① 5만분의 1. ② 점선

     정답 : []
     정답률 : 79%

90. 산지관리법상 산지전용·일시사용제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산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요 산줄기의 능선부로서 자연경관 및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산지
     2. 명승지, 유적지, 그 밖에 역사적·문화적으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
     3.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
     4. 송이버섯과 같은 중요한 임산물 생산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산지로서 산림청장이 정하는 산지

     정답 : []
     정답률 : 85%

91. 농지법규상 실습지 등으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공공단체 등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의료기관(의료법인에 한정)
     2.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에 관한 국민선택법」에 따른 국민신탁법인(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
     3. 「폐수배출시설설치관리법」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폐수의 영향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
     4. 「축산법」에 따른 가축 등록기관 및 가축 검정기관

     정답 : []
     정답률 : 61%

92. 습지보전법상 “연안습지”의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습지수면으로부터 수심 10m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2. 광합성이 가능한 수심(조류의 번식에 한한다.)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3.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4. 지하수위가 높고 다습한 곳으로서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면 내에서 광합성이 가능한 수심지역까지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93.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시·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할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마을 지정실적”의 보고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 : []
     정답률 : 73%

94. 국토기본법상의 국토종합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하는가?(2006년 09월)
     1. 1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 : []
     정답률 : 73%

95. 다음 중 야생동물을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기준 및 방법 등에 의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인공증식하고자 하는 경우 포획허가대상 야생동물에 해당하는 것은?(2006년 09월)
     1. 줄장지뱀
     2. 구렁이
     3. 먹대가리바다뱀
     4. 아무르산개구리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현재는 아무르산개구리도 포획금자
[해설작성자 : 도담]

96. 국토기본법에 명시된 국토종합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안을 작성하였을 때에는 공청회를 열어 일반 국민과 관계 전문가 등으로부터 의견을 들어야 하며, 공청회를 개최하고자 하는 때에는 공청회 개최 7일전까지 개최에 필요한 사항을 일간신문에 공고하여야 한다.
     2.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을 수립하거나 확정된 계획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국토정책위원회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국토 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의 성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사회적, 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5년마다 국토종합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하면 정비하여야 한다.
     4. 심의안을 받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심의안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의견을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공청회를 개최하려면 공청회 개최 14일 전까지 일간신문, 관보,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방송 등의 방법으로 1회 이상 공고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구상나무]

97.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습지를 연구하기 위한 시설
     2. 습지를 준설 및 복원하기 위한 시설
     3. 습지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
     4. 습지생태를 관찰하기 위한 시설

     정답 : []
     정답률 : 76%

98. 습지보전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에 알맞은 것은?(2016년 05월)

    

     1. 경계습지
     2. 연안습지
     3. 조석습지
     4. 하천습지

     정답 : []
     정답률 : 85%

99.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법상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지역으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자연유보지역
     2. 자연경관보호지역
     3. 생태.경관보전지역
     4. 생태계변화관찰지역

     정답 : []
     정답률 : 74%

100.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뜻 중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아니하는 무인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역과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하는 것은?(2017년 09월)
     1. 생태축
     2. 생태서식지
     3. 대체서식지
     4. 자연유보지역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자연유보지역>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 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무인도와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한다.

자연유보지역은 생태.경관보전지역안에서의 행위제한에 준하는 제한을 받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연유보지역 (토지이용 용어사전)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정 답 지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6346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계통분류학


1. 콩꼬투리에 해당되는 염래의 주된 종류는?(2011년 06월)
     1. 취과(aggregate)
     2. 협과(legume)
     3. 삭과(capsule)
     4. 시과(samara)

     정답 : []
     정답률 : 89%

2. 다음 중 곤충강이 가지는 형질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키틴으로 된 외골격을 가진다.
     2. 좌우대칭이고 체절적 구조를 가진다.
     3. 배설기는 불꽃세포로 구성된다.
     4. 성체에서 체강은 퇴화하고 혈액으로 충만한 혈강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곤충강의 배설기는 말피기관
[해설작성자 : 구상나무]

3. 삼엽충아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화석생물로 캠브리아기와 오르도비스기에 번성했다가 고생대 말기에 절멸되었다.
     2. 삼엽충의 체제는 두부, 흉부, 즉 체간과 미부의 3부위로 나뉘어진다.
     3. 두부는 4개의 유합된 체절로 되어 있고, 1쌍의 촉각을 가지며, 납작한 방패모양의 갑각으로 덮여있다.
     4. 두부에는 입 뒤쪽에 1쌍의 부속지가 있으며, 체간과 미부에는 부속지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삼엽충의 부속지는 입 앞쪽에 한쌍의 촉수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는 모두 동일한 이분지형 다리를 가지고 있다.
머리에는 2, 3 혹은 4 쌍, 그리고 가슴 마디마다 각 한 쌍, 꼬리에 몇 쌍이 존재한다.
[해설작성자 : 유서준]

4. Wittaker의 5계 분류체계에 따를 때 식물(Plantae)계에 속하지 않은 것이 포함된 것은?(2010년 05월)
     1. 다세포 홍조류, 다세포 갈조류, 선태식물
     2. 다세포 녹조류, 버섯류, 와편모조류
     3. 선태식물, 유관속식물, 양치식물
     4. 종자식물, 현화식물, 단자엽식물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버섯: 균계
와편모조류: 원생생물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절지동물의 발생학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원장으로부터 중배엽이 형성된다.
     2. 입은 원구로부터 발생한다.
     3. 방사난할을 한다.
     4. 조정란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절지동물(節肢動物, arthropod)
    -. 절지동물은 외골격과 체절, 관절이 있는 무척추동물이다
    -. 몸은 머리·가슴·배로 구분되며, 각 체절에 부속지가 한 쌍씩이 있다
    -. 지구상 동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 절지동물은 탈피를 하는 특징이 있다
    -. 곤충·거미·갑각류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 식물의 일반적인 진화 경향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배가 작고, 배유가 있는 종자는 배유가 없는 종자보다 원시적이다.
     2. 씨방의 위치는 상위가 하위보다 원시적이다.
     3. 수술은 수가 적고 합쳐진 것이 수가 많고 떨어진 것보다 원시적이다.
     4. 꽃은 방사대칭형이 좌우대칭형보다 원시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7. 동물계 종의 3/4 이상을 차지하는 큰 분류군으로 호흡색소로는 헤모글로빈 또는 헤모시아닌 등이 혈장 속에 들어 있고 대체로 무색이며, 순환계는 개방혈관계를 가진 것은?(2011년 06월)
     1. 중생동물문
     2. 윤형동물문
     3. 절지동물문
     4. 해면동물문

     정답 : []
     정답률 : 94%

8. 다음의 관속식물 속(genus) 중에서 한반도에 분포하는 종수가 가장 많은 것은?(2006년 09월)
     1. 마디풀속(Polygonum)
     2. 참나무속(Quercus)
     3. 사초속(Carex)
     4. 벚나무속(Prunus)

     정답 : []
     정답률 : 71%

9. 다윈의 진화론에 담긴 내용과 관계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과잉번식
     2. 돌연변이
     3. 자연선택
     4. 집단 내 개체간의 변이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다윈의 진화론에서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못한 것이 한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티록신]

10. 도관요소의 진화경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천공판은 계문이 많고 유연벽공인 것에서 계문이 적고 무연벽공인 것으로 변하였다.
     2. 도관요소의 길이가 점점 짧아졌다.
     3. 천공의 크기가 점점 커졌다.
     4. 도관요소가 겹치는 부분이 적고 각도가 작은 타원내지 원형에서 겹치는 부분이 많고 각도가 큰 타원으로 변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8%

11. 국화아강에 속하는 식물 중 자방상위이며, 잎은 대생 또는 윤생, 내사부가 있으며, 꽃은 방사상칭, 수술수는 꽃잎수와 동일한 특징을 보이는 목은?(2017년 05월)
     1. 용담목
     2. 칼리세라목
     3. 초롱꽃목
     4. 국화목

     정답 : []
     정답률 : 65%

12. 다음에서 설명하는 표본은 무엇인가?(2006년 09월)

    

     1. 부모식(paratype)
     2. 총모식(syntype)
     3. 후모식(lectotype)
     4. 신모식(neotype)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 부모식(paratype); 종기준표본
- 기재문에 인용한 정기준표본과 동기준표본 이외의 모든 인용된 표본
- 모식계열 중에서 완모식을 제외한 모든 표본을 말함. 이들은 명명법상의 가치는 없다.
[해설작성자 : 구상나무]

13. 박벽포자낭을 갖는 양치식물은?(2021년 09월)
     1. 속새
     2. 음양고비
     3. 석송
     4. 물부추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박벽포장낭군 : 벽이 한 층으로 얇고 자루가 있는 포자낭을 만드는 식물
고사리류의 발달한 대부분의 식물
[해설작성자 : 모현]

14. 다음 중 각 학자들의 이론에 대한 설명이 잘못 연결된 것은?(2006년 09월)
     1. 에이머(Eimer)의 정향진화설(orthorenesis theory) : 생물은 내재적인 힘에 의하여 환경의 영향과는 관계없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화한다.
     2. 다윈(Darwin)의 자연선택설(natural selection theory) : 생물들은 생육 장소나 환경의 영향을 받아 사용 정도에 따라 기본적인 체형에 변화를 받게 되어 자연 속에서 살아 남는다.
     3. 드브리스(Ee Vries)의 돌연변이설(mutation theory) : 돌연변이가 진화의 원인이 된다.
     4. 헤켈(Haekel)의 반복설(recapitulation theory) : 생물의 계통발생은 개체발생 도중에 반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다윈의 자연선택설:자연계에서 환경에 적합한 종이 더 잘 살아남는다.
상세내용 : 주어진 환경에서 번식하지 못하는 종은 자연스럽게 도태되고, 주어진 환경에서의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성질을 가진 종들이 자신의 성질을 후대로 전달하며 생태계에 널리 퍼진다는 원리
[해설작성자 : lucy]

15. 동물의 경우 과의 명칭은 모식속 명칭의 어간에 접미사를 이용한다. 명명법상 과군의 접미사로 옳은 것은?(2016년 05월)
     1. -idae
     2. -ini
     3. -inae
     4. -oidea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상과(superfamily)명의 어미에 사용 : -oidea
* 족 : -ini
* 과 : -idae
* 아과 : -inae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6. 식물종에 있어서 종의 학명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속명
     2. 과명
     3. 종소명
     4. 명명자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속명(대문자)(단수명사) + 종소명(소문자/인명,과거속명,통상명은 예외)(형용사) + (명명자(대문자)(동명이인 구별, 약자도 가능, 처음 명명자는 괄호 처리)
[해설작성자 : 고먐미최고]

17. 다음 중 환형동물의 일부 특징과 절지동물의 일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은?(2015년 05월)
     1. 발톱벌레
     2. 혀벌레
     3. 곰벌레
     4. 끈벌레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발톱벌레 : 유조동물문
유조동물로 이름처럼 다리끝에 발톱이 나있는 것이 특징
혀벌레 : ? ? ? ?
곰벌레 : 완보동물문 (절지동물과 연관이 있지만 환형동물과는 연관이 없다.)
끈벌레 : 유형동물문 (환형동물과는 연관이 있지만 절지동물과는 연관이 없다.)
[해설작성자 : 찬초]

18. 식물의 분류체계는 학자에 따라 다르다. 그 중에서 가능한 모든 분류학적 증거를 이용하여 친소성을 체계에 반영시켰고, 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피자식물군들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는?(2016년 05월)
     1. Takhtajan
     2. Cronquist
     3. Thorne
     4. Dahlgren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타크타잔(Takhtajan) 분류체계 : 피자식물을 단계원으로 하여 목련목을 원시형군으로 두고 이 노선에서 다른 여러 피자식물군들이 진화한 것으로 본 분류체계이다
    -. 목련강에 속하는 아강
    -. 백합강에 속하는 아강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9. 다음 중 연체동물의 특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5월)
     1. 골격은 규질이나 석회질의 골편으로 되어 있다.
     2. 산만신경계를 가지며, 폐쇄혈관계를 가진다.
     3. 체강은 퇴화하여 심장의 주위에 국한되어 있다.
     4. 방사형 난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0. Whittaker는 1969년에 생물계를 모네라, 원생생물, 식물, 균류, 동물계로 구분하였다. 다음 중 각 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원생생물은 진핵세포로 되어 있으며, 일차적으로 단세포 또는 단세포의 군체를 이룬다.
     2. 균류는 색소체는 가지나 광합성 색소는 가지지 않으며 종속영양생물이다.
     3.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동물은 세포벽이 있는 진핵세포를 가지는 다세포 생물이다.
     4. 모네라는 핵막을 가지며 단세포의 단체 또는 군체로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2과목 : 환경생태학


21. 다음의 표는 각각 5종과 100개체로 이루어진 2개의 군집이다. 종 풍부도와 종 다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군집 A의 종 풍부도는 군집 B에 비하여 낮다.
     2. 군집 B의 종 풍부도는 군집 A에 비하여 낮다.
     3. 군집 A의 종 다양성이 군집 B에 비하여 낮다.
     4. 군집 B의 종 다양성이 군집 A에 비하여 낮다.

     정답 : []
     정답률 : 80%

22. 다음은 툰드라의 식생형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방석형
     2. 덤불형
     3. 광엽초본형
     4. 협엽초본형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방석식물 (cushion plant) : 단괴 식물이라고도 함. 가지나 줄기가 밀생하며 조밀하고 견고한 단괴상이 되는 식물. 증산속도가 낮고 수분 유지도 잘 되기 때문에 건조지의 생활에 유리, 저온이나 강풍에 대한 저온성이 큼. 건조지나 고산에 많이 나타남.

* 광엽 초본(forb) : 잎이 넓은 초본식물

* 협엽초본(grass) : 줄기가 연하고 나무의 성질을 띠지 않는 초본식물

[출처] [환경 생태학] 육상군집 및 생물군계의 분포 - 생물군계의 분포 유형별 특성|작성자 몽실언니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방석식물은 로제트 식물을 말한다.
사초과는 벼목의 과이다. 즉 잎이 길 형태를 말한다.
협엽초본이라고 하는데 보통은 화본과라고도 한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23. 호소 및 하천주변의 식생대에 있어서 침수식물에 해당하는 것은?(2006년 09월)
     1. 개구리밥
     2. 검정말
     3. 택사
     4. 부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침수식물: 검정말, 물수세미, 붕어마름 등
부유식물: 개구리밥, 생이가래 부레옥잠 등
부엽식물: 가시연, 마름, 개연꽃, 물양귀비 등
정수식물: 줄풀, 부들, 갈대, 물옥잠 등

수생식물은 깊이에 따라 사는 방식을 달리하고 있는데 물에 떠서 살면 부유식물, 물 밑 흙에 뿌리를 내리고 잎은 물 표면에 띄우고 살면 부엽식물, 물이 많은 흙에 뿌리를 내리고 잎과 줄기는 물 밖으로 자라면 정수식물, 전 식물체가 물에 잠겨 있으면 침수식물이다.

24. 다음은 현존식생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5월)

    

     1. 자연식생(natural vegetation)
     2. 이차식생(secondary vegetation)
     3. 대상식생(substitute vegetation)
     4. 고식생(paleotic vegetation)

     정답 : []
     정답률 : 86%

25. 생태계의 천이 및 안정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1차천이에서 개척자 식물들은 뒤이어 오는 식물들의 정착을 용이하게 한다.
     2. 타생천이는 자생천이보다 변화예측이 어려운 편이다.
     3. 천이가 생물군집 내부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타생천이라 하며, 대부분의 경우 천이는 타생천이에 해당한다.
     4. 야산이 되어 버려진 농토나 개벌(皆伐)된 삼림군집 등은 2차천이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천이가 생물군집 내부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자생천이'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율잇]

자생천이 유기체가 토양을 변화시킴으로 일어나는 천이
타생천이는 식생이 아닌 외부 환경의 영향에 의해 유발. 물의 침식,용탈,점토등의 변화등
[해설작성자 : 단교배]

●3번 : 천이가 생물군집 내부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경우 자생천이라 하며, 대부분의 경우 천이는 자생천이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6. 다음 중 해수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ph는 약 8.2로서 약칼칼리성을 가진다.
     2. 해수의 주요 성분 농도비는 일정하다.
     3. 해수의 Mg/Ca는 10 정도로 담수의 2∼3에 비해 크다.
     4. 해수의 강전해질로서 1L당 35g 정도의 염분을 함유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해수의 Mg/Ca는 3-4

27. 다음 중 수질오염으로 인한 현상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부영양화 현상
     2. 용존산소의 고갈
     3. 적조현상
     4. 열섬현상(heat island)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열섬현상은 인구의 증가·각종 인공 시설물의 증가·콘크리트 피복의 증가·자동차 통행의 증가·인공열의 방출·온실 효과 등의 영향으로 도시 중심부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벽력일섬]

<수질오염으로 인한 현상>.....(빈출입니다)
1. 부영양화(영양염류 과다로 인해 발생하며, 질소와 인이 풍부한 폐수 유입이 주요 원인)
2. 적조현상(플랑크톤이 과다 증식해 수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주로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
3. 용존산소의 고갈
4. 생활하수, 비료, 공장 폐수 등으로 인한 영양염류 증가
5. 플랑크톤이 산소를 소비해 수중 생물이 폐사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28. 물의 순환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해양, 육상과 대기 간의 물의 이동현상을 말한다.
     2. 순환경로의 기본은 비의 형태로 떨어지는 강수현상과 증발산이다.
     3. 토양의 일부에 흡수된 물의 일부는 아래로 이동하여 지하수에 이르는데 이를 흡습수라 한다
     4. 지하수위는 그 지역의 지형을 반영하는데, 지하수위보다 지형이 낮은 곳에서 개울 및 호소가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흡습수 : 토양입자 표면에 피막 상을 흡착된 수분을 말한다. 흙 알갱이의 표면에 흡수되거나 보존되어 있으면서 식물생육에는 이용되지 아니하는 토양 수분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찬초]

29. 다음 두 군집 사이의 유사도 지수(S)는?(2010년 05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S= 2C÷(A+B)
2×10÷(40+60)=0.2
[해설작성자 : 굴뚝새]

30. 다음 오염물질 중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20년 09월)

    

     1. 납화합물
     2. 비소화합물
     3. 수은화합물
     4. 크롬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79%

31. 생물학적 수질평가방법에 이용되는 수서곤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담수생태계에 다양한 종들이 풍부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수질평가에 적합하다.
     2. 대부분의 종이 이동성이 적기 때문에 수질평가에 적합하다.
     3. 다양한 오염원에 대하여 분별적인 민감성이 높아 수질평가에 적합하다.
     4. 수서곤충은 단순한 생활사로 알려져 있으며, 공간적인 분포의 동일성으로 인해 수질평가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32. 총면적 10km2인 어느 지역 중 산지 면적이 2km2 이다. 이 산지 내에 50본의 소나무와 100본의 참나무가 있을 때, 참나무의 생태밀도(ecological density)는?(2009년 05월)
     1. 10본/ km2
     2. 25본/ km2
     3. 50본/ km2
     4. 100본/ km2

     정답 : []
     정답률 : 76%

33. 생태계에서의 영양소 순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인과 칼슘의 순환은 물과 관련되어 일어난다.
     2. 암모니아 이온은 Nitrosomonas와 같은 박테리아에 의해 아질산염 형태로 전환된다.
     3. 질소고정 박테리아를 제외한 지구의 생물들은 대기 속의 질소를 직접 이용한다.
     4. 인산염은 수용성이므로 즉시 재순환하지만, 뼈, 이빨, 패각물질로 결합된 인산염은 풍화작용으로 서서히 방출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질소고정 박테리아를 제외한 지구상 대부분 생물들은 대기 중의 질소를 직접 이용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율잇]

34. 다음 수질오염방지시설 중 물리적 처리시설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5월)
     1. 침사시설
     2. 포기시설
     3. 침전물 개량시설
     4. 이온교환시설

     정답 : []
     정답률 : 85%

35. 다음 중 해양생물의 서식지로서 연안천해역(연안역:neritic)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조간대
     2. 심해대
     3. 상부천해대
     4. 하부천해대

     정답 : []
     정답률 : 87%

36. 개체군의 밀도를 측정하려면 먼저 개체군을 형성하는 개체수를 파악하여야 한다. 개체군의 밀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06년 09월)
     1. 전수조사(total count)
     2. 조밀도법(crude density)
     3. 방형구법(quadrat sampling)
     4. 비구획법(poltless)

     정답 : []
     정답률 : 74%

37. 다음 중 폐기물의 해양투기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협약(의정서)은?(2020년 09월)
     1. 몬트리올의정서
     2. 리우협약
     3. 도쿄의정서
     4. 런던협약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몬트리올의정서 : 오존층 파괴물질의 규제에 관한 국제협약
리우협약 : 자연과 인간, 환경보존과 개발의 양립을 목표
교토의정서 : 기후변화협약 온실가스 감축목표
[해설작성자 : 찬초]

[관리자 입니다.
전공자가 아닌 제가 봐도.. 그리고 검색을 해봐도
교토의정사가 맞는 말인거 같은데....
실제 시험지 사진상으로는 3번 보기가 "도쿄의정서"라고 되어 있습니다.
아무래도 실제 시험에서 오타가 있었던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정답과 무관하므로
저희는 원본에 충실하기 위해서 그대로 두겠습니다.
오류신고는 자제 부탁 드립니다.]

런던협약 : 폐기물의 해양 투기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국제 협약.
1972년 채택 1975년부터 발효. 우리나라 1992년 12월 가입.
1994년 1월부터 효력이 발효 되었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순 일차 생산성(net primary productivity; NPP)에 관한 가장 적합한 설명인 것은?(2014년 05월)
     1. 어떤 지역에서 생산자에 의해 저장된 에너지의 생산율을 의미하며, 측정기간 동안 독립영양생물이 스스로의 생장을 위해 사용한 유기물의 양도 포함한다.
     2. 스스로의 생장에 사용한 유기물의 양은 고려하지 않고 독립영양생물 내에 축적됨으로써 다른 종속영양생물의 먹이로 섭취 가능한 형태의 유기물의 양을 가리킨다.
     3. 독립 및 종속영양생물이 사용하고 남은 유기물의 축적량을 가리킨다.
     4.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의 단계에서 먹이사슬을 통해 다음 단계의 소비자에게 먹이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의 에너지 저장량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39. 해양환경 중 용승(upwelling)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페루의 광대한 멸치어장은 주로 용승현상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2. 용승은 영양소를 가진 차가운 심해의 물이 수면으로 올라오는 현상이다.
     3. 용승은 계절적 현상으로 연안풍이 육지쪽 또는 연안과 수직으로 부는 곳에서 일어난다.
     4. 뒤섞여 위로 올라온 영양소는 해양먹이사슬의 기초를 제공하는 광합성 생물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40. 생태적 천이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천이는 방향성이 있어서 예측할 수 있다.
     2. 천이 초기 보다는 진행된 단계에서 종의 변화가 빠르게 나타난다.
     3. 초기에 보였던 식물종들이 단계가 진행하면서 사라질 수 있다.
     4. 총 생산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극상단계에서는 최고에 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3과목 : 형태학


41. 식물의 지상부(shoot)에 있는 눈(bud)으로부터 새로 생길 수 있는 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잎, 가지(작은 줄기) 또는 꽃이 될 수 있다.
     2. 가지(작은 줄기)와 꽃은 될 수 있어도 잎은 될 수 없다.
     3. 꽃과 잎은 될 수 있어도 가지(작은 줄기)는 될 수 없다.
     4. 꽃만 될 수 있으며 가지(작은 줄기)와 잎은 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0%

42. 다음 중 조류(Aves)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피부는 얇고 땀샘이 없다.
     2. 몸은 표피성 깃털로 덮여 있다.
     3. 발은 보통 5개의 발가락을 가진다.
     4. 다리에 비늘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3. 발은 보통 앞 세가락, 뒤 한 가락의 4개의 발가락을 가진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43. 인간의 호르몬 작용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5월)
     1. 여포자극호르몬은 남성의 정자형성을 자극한다.
     2. 배아에서 여성의 발달을 유도하는데 안드로겐이 필요하다.
     3. 여성은 황체형성호르몬에 의해 배란이 촉진된다.
     4. 자궁내막의 발달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조절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안드로겐은 남성 생식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을 모두 총칭하는 것으로 통상 남성호르몬이라고 불린다.
(여성의 발달을 유도하는 호르몬은 에스트로겐)
[해설작성자 : 유서준]

44. 극피동물이 가지고 있는 내골격은 무엇인가?(2021년 09월)
     1. 큐티클
     2. 연골
     3. 소골편
     4. 유체골격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극피동물이란 고슴도치의 피부를 가진 동물이라는 뜻이며(불가사리, 성게, 해삼 등), 피하에는 진피성의 석회성 소골편으로 이루어진 내골격이 있다.
[해설작성자 : 도오트]

45. 절지동물문의 협각아문(Chelicerata)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0년 09월)
     1. 자유생활을 하며, 모두 육서종이다.
     2. 다리는 네쌍이며, 배는 6~14절이다.
     3. 거미류, 전갈류, 응애(진드기)류 등이 이에 속한다.
     4. 몸은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더듬이는 두 쌍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절지동물문의 협각아문
    -. 몸 앞부분에 한 쌍의 가위 모양의 다리가 있다
    -. 더듬이는 없고 부속지는 종류에 따라 다르다
    -. 투국계,전갈,진드기,거미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1. 자유생활을 하며, 모두 육서종이다.-투구게등이 해양종
4. 몸은 머리, 가슴, 배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더듬이는 두 쌍이 있다.-곤충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단교배]

46. 쌍자엽식물의 배발생의 유형으로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가지형
     2. 국화형
     3. 마디풀형
     4. 십자화형

     정답 : []
     정답률 : 66%

47. 다음은 신경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 중추신경계, ㉡ 소뇌
     2. ㉠ 중추신경계, ㉡ 척수
     3. ㉠ 자율신경계, ㉡ 소뇌
     4. ㉠ 자율신경계, ㉡ 척수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는 신경계의 일부로 뇌(brain)와 척수(spinal)를 합쳐 일컫는 말

소뇌는 운동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행동을 개시하기 전 학습된 미세 움직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움직임을 시작하지는 않지만 운동 중 몸의 조정, 정확성 및 움직임의 정확한 타이밍에 기여한다
[해설작성자 : 찬초]

48. 배를 먹을 때 그 과육에서 모래와 같은 것이 씹히는데 이것은 어떤 조직의 무슨 세포인가?(2010년 05월)
     1. 후벽조직 - 보강세포
     2. 후강조직 - 섬유세포
     3. 후각조직 - 보강세포
     4. 후벽조직 - 섬유세포

     정답 : []
     정답률 : 79%

49. 사람의 몸에 기생하는 간디스토마(Chlonorchis sinensis)의 생활사에서 감염된 물고기를 사람이 먹게 되었을 때 부화되는 유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미라시디움(miracidium)
     2. 레디아(redia)
     3. 세르카리아(cercaria)
     4. 메타세르카리아(meracercaria)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물속의 미라시디움(miracidium)가 패류에 먹힘 그 체내에서 레디아(redia) - 세르카리아(cercaria) 성장
[해설작성자 : 찬초]

50. 다음 중 메뚜기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1년 09월)
     1. 베짱이
     2. 방아깨비
     3. 사마귀
     4. 풀무치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사마귀는 사마귀목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서준♥]

51. 다음 중 나이테가 형성되는 부위는?(2009년 05월)
     1. 1기 물관부
     2. 2기 물관부
     3. 원생물관부
     4. 후생물관부

     정답 : []
     정답률 : 82%

52. 동물의 조직을 결합조직, 상피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으로 구분할 때, 결합조직에 해당되는 것은?(2020년 09월)
     1. 내피
     2. 뉴런
     3. 혈액
     4. 평활근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내피        - 상피조직
뉴런        - 신경조직
혈액        - 결합조직
평활근    - 근육조직
[해설작성자 : 유서준]

53. 다음은 오래된 줄기의 목재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환재
     2. 심재
     3. 추재
     4. 춘재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심재(죽은 세포 : 수액 운반 기능 없음)
    -. 나무의 중심부에 위치한 짙은 색의 단단한 조직이다
    -. 변재보다 내구성과 강도 면에서 우수해 건축·가구 재료로 적합하다
    -. 나무를 지탱하는 기계적 지지 기능을 수행하며,
         고목의 경우 심재가 썩어도 나무가 생존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4. 벼과식물의 배반(scutellum)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2011년 06월)
     1. 배유
     2. 자엽
     3. 배축
     4. 배생근

     정답 : []
     정답률 : 60%

55. 딱총나무속, 등골나무속, 갈매나무속 식물의 엽병에서 볼 수 있는 후각조직으로서, 세포벽 물질의 축적이 절선단면벽에 균일하게 이루어져서 두꺼우며, 방사단면 벽은 절산단면 벽보다 얇게 비후되어 있는 것은?(2011년 06월)
     1. 간우후각조직
     2. 환상후각조직
     3. 간극후각조직
     4. 판상후각조직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각우후각조직
    후각세포들에서 세포벽 물질이 주로 세포들이 만나는 모서리에 집적되어 두꺼워지면 이를 각우후각조직이라고 한다.근대속, 무화과속, 베고니아속, 뽕나무속, 삼속, 포도속, 호박속식물 등의 잎자루에서 그리고 감자속식물의 줄기등에서 볼 수 있다.
2) 판상후각조직
    후각세포에서 세포벽 물질이 주로 접선면에 집적되어 두꺼워질 경우, 이를 판상후각조직이라고 한다. 이런 유형의 후각조직은 갈매나무속, 딱총나무속, 코스모스속 식물 등의 줄기의 피층에서, 그리고 등골나물속, 머위속, 쑥속 식물 등의 잎자루에서 볼 수 있다.
3) 간극후각조직
    후각세포들의 세포벽물질이 세포간극을 향한 쪽의 세포벽에 집적되어 두꺼워질 때, 이를 간극후각조직이라고 한다. 간극후각조직은 국화과, 살비아속, 아욱속, 접시꽃속 식물 등의 잎자루에서 볼 수 있다.

56. 다음은 소나무과 식물의 잎 단면이다. 화살표가 지시하는 부분의 명칭은?(2011년 06월)

    

     1. 유관속 조직
     2. 내피
     3. 수지도
     4. 기공

     정답 : []
     정답률 : 66%

57. 뿌리의 끝부분(근단)에 있는 분열조직의 가운데에 있는 분열지연(또는 생장정지) 중심부 (quiescent cent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500~1,000개 정도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반구형 또는 원반형이다.
     2. 상처를 입은 근단분열조직 및 근관 세포들을 대체하는 작용을 한다.
     3. 방사선과 독성물질 등의 환경교란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갖고 있다.
     4. 세포들은 세포주기 중에서 G2 시기에 오랫동안 머물며 하루에 1번 이상 분열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분열지연(또는 생장정지)은
    세포 분열이나 기관의 생장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늦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 분열정지중심설 : 근단에서 가장 끝에 있는 분열조직 중심부에서는
                                     세포분열이 약간 또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는 학설이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58. 통수요소 (도관절 및 가도관)의 측벽에 2차벽 물질이 두껍게 쌓이면 세포벽이 더 튼튼하게 보강되어 붕괴의 위험에 대처할 수 있다. 다음 중 측벽의 비후 유형이 튼튼해지는 순서되로 나열된 건은?(2009년 05월)
     1. 환상-계단상-나선상-벽공상-망상
     2. 환상-나선상-계단상-망상-벽공상
     3. 환상-벽공상-나선상-계단상-망상
     4. 환상-망상-계단상-나선상-벽공상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통수요소 : 초성만 따서 ㅎㄴㄱㅁㅂ 하나고모부로 외웠더니 외워졌습니다.
[해설작성자 : 찬초]

59. 다음 중 식물의 기본분열조직(ground meristem)이 분화되어 만들어지는 것은?(2021년 09월)
     1. guard cell
     2. parenchyma
     3. root hair
     4. xylem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parenchyma : 유조직, 식물의 기본조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유세포로 된 조직이다.
[해설작성자 : 유서준조직]

guard cell:공변세포
parenchyma:엽육세포
root hair:모근
xylem:물관부
[해설작성자 : 단교배]

60. 배유(배젖)를 형성하기 위해서 융합하는 핵들은?(2014년 05월)
     1. 2개의 극핵(2n)과 1개의 정세포핵(n)
     2. 1개의 난자핵(n)과 1개의 정세포핵(n)
     3. 1개의 난자핵(n)과 2개의 정세포핵(2n)
     4. 2개의 조세포핵(2n)과 1개의 정세포핵(n)

     정답 : []
     정답률 : 74%

4과목 : 보존 및 자원생물학


61.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중추를 이루는 분야(학문)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genetics
     2. taxonomy
     3. ecology
     4. physics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유전학
2. 분류학
3. 생태학
4. 물리학
보전생물학은 생물학의 영역 중 계통분류학 및 생태학과 가장 밀접하며,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 또는 희귀종을 대상으로 개체군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 및 변화를 연구하는 개체군 생태학(개체군 유전학)은 보전생물학의 가장 대표적인 연구이다.
[해설작성자 : 유서준]

62. 핵심종(중추종, keystone species)을 구분해 내는 것은 보전생물학적 측면에서 여러 가지 중요성을 지니는데, 이 핵심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핵심종의 멸종은 연쇄적으로 여러 다른 종의 소멸과 연계되어 있다.
     2. 생물 서식지가 개발될 때 일차적으로 핵심종은 구분되어 사전 이식 또는 이주를 통한 서식지와 보전을 추진해야 한다
     3. 생태계 내에서 어느 특정 종의 보호를 위해서는 그와 연관된 핵심종의 보호가 동시에 필요하다.
     4. 핵심종이 제거되면 생태계의 거의 모든 영양 단계에서 생물다양성이 감소되어 궁극적으로 생태계가 붕괴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63.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주된 목적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6년 09월)
     1. 군집 및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활동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다.
     2. 종의 절멸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보전방법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3. 절멸의 위험에 처해 있는 종들이 다시 생태계에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재건하는 것이다.
     4.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만 이해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8%

64. 식물보전센터에서 위험종의 유전변이 보존을 위한 표본 추출지침 중 종의 수준에서 수집하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수집하여야 할 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절멸의 위험이 있는 종
     2. 특정 군집에서의 우점종
     3. 자연으로 재도입될 수 있는 종
     4. 진화적 및 분류학적으로 유일한 종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우점종
    -. 군집 환경 내에서 가장 수가 많거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군집(종)의 상태를 말한다.
    -. 어떤 환경에서 우점 상태를 이룬 종을 가리켜 우점종(dominant species)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65. 생물다양성의 3가지 고려수준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종 다양성
     2. 군집 및 생태계 다양성
     3. 야생작물의 다양성
     4. 유전적 다양상

     정답 : []
     정답률 : 91%

66. 생물다양성 측정에 사용되는 방법 중 단일 군집내의 종주를 의미하며, 종 풍부도 개념에 가장 가까운 측정방법은?(2010년 05월)
     1. delta diversity
     2. gamma diversity
     3. beta diversity
     4. alpha diversity

     정답 : []
     정답률 : 72%

67. 생물종과 군집 보호를 위한 우선순위의 기준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5년 05월)
     1. 차별성(distinctiveness)
     2. 위험성(endangerment)
     3. 발전성(development)
     4. 유용성(utility)

     정답 : []
     정답률 : 69%

68. 도로개설, 초지조성, 택지개발, 도시형성 및 광범위한 인간의 건설 활동으로 서식처 자체가 분할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15년 05월)
     1. habitat assessment
     2. habitat modelazation
     3. habitat infusion
     4. habitat fragmentation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 서식지 보편화? (habitat assessment)
2. 서식지 모형화? habitat modelazation
3. 서식직 투입? (habitat infusion)
4. 서식지 단편화 (habitat fragmentation)
[해설작성자 : 찬초]

69. 종 다양성 비교를 위해 고안된 수학적 지수 중 알파다양성(alpha diversity)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종 조성이 다양한 환경기울기에 따라 얼마나 변하는지 그 정도를 나타낸다.
     2. 각기 다른 생태계에 서식하는 군집 간 종수를 비교할 때 흔히 사용된다.
     3. 어떤 종들이 지리적으로 다른 지역에서 같은 종류의 서식처를 만날 확률을 말한다.
     4. 이끼군집에 고도에 따라 계속 변한다면 알파다양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7%

70. 다음 중 생물다양성 위협요인으로 다양성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2011년 06월)
     1. 개발에 의한 서식처 파괴
     2. 환경오염
     3. 인가감소
     4. 외래종의 도입

     정답 : []
     정답률 : 91%

71. 다음 중 보전생물학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5월)
     1. 보전생물학은 단기간에 걸친 생물보호를 기본 관심사로 삼는다.
     2. 보전생물학은 종, 군집 및 생태계에 미치는 인간의 활동에 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3. 보전생물학은 생물다양성 붕괴의 위협에 대응하여 발전한 종합적인 과학이다.
     4. 보전생물학은 경제적인 요인들을 일차적으로 고려하고, 일반화된 이론접근에 중점을 둔다.

     정답 : []
     정답률 : 85%

72. 먹이사슬을 거치며 발생하는 생물 농축현상을 유발하는 물질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독성물질
     2. 산성도가 큰 화합물
     3. 소화가 되지 않는 물질
     4. 체내에 오래 잔류하는 물질

     정답 : []
     정답률 : 86%

73. 다음 습지 중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신안 장도습지
     2. 순천만 갯벌·보성벌교 갯벌
     3. 회양습지
     4. 물영아리오름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회양습지 : 회양댐 상류에 조성된 생태습지로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지 않았다.전 세계를 대상으로 습지로서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우리나라의 람사르 습지로는 대암산 용늪, 창녕 우포늪, 신안 장도 산지습지 등 24개...
[해설작성자 : 찬초]

74. 소개체군의 절멸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2016년 05월)
     1. 유전적 변이의 증가
     2. 출생율과 사망률의 변동에 따른 개체수 증가
     3. 공생관계를 일으키는 환경변화
     4.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

     정답 : []
     정답률 : 71%

75. 소개체군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유전적 부동(genetic drift)과 가장 관련이 먼 것은?(2014년 05월)
     1. 근교약세
     2. 진화적 유연성 소실
     3. 타식약세
     4. 가장자리효과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유전적 부동과 관련이 있는것은 bottleneck effect, founder effect. 근교약세, 진화적 유연성 소실, 가장자리 효과는 소규모개체군에서의 무작위적 우연에 의해 발생하는 조건에 해당됨. 타식약세는 우연한 유전적 빈도 변화가 아니라 유전적 거리의 문제에 더 가까우므로 답은 3번 타식약세.
[해설작성자 : 굴뚝새]

76. 다음 중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05월)
     1.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유익하지 못한 종
     2.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종
     3. 서식지 조건이 까다로운 종
     4.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종

     정답 : []
     정답률 : 86%

77. 현재의 생물다양성 감소의 가장 큰 위협요인인 것은?(2020년 09월)
     1. 서식지 손실
     2. 외래종 도입
     3. 질병의 확산
     4. 사냥(수렵, 어렵 등)

     정답 : []
     정답률 : 85%

78. 과거 인간활동에 의한 멸종은 척추동물의 종 다양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군의 종합적인 목록을 선정해서 작성 발간하여 멸종 방지를 위한 사전적 예방관리에 노력하고 있는데, 이 자료집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4년 05월)
     1. 세계 멸종위기경고종 인식집(Inventory of Endangered Warning Species in the World)
     2. 세계동물명집(Checklist of Fauna)
     3. 적색자료집(Red Data Book)
     4. 멸종현황자료집(Inventory of Endangered Species)

     정답 : []
     정답률 : 80%

79. 세계자연보호재단에서 정의한 생물다양성 범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0년 05월)
     1. 유전적 다양성
     2. 형태적 다양성
     3. 군집 및 생태계 다양성
     4. 종 다양성

     정답 : []
     정답률 : 80%

80. 종다양도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1년 09월)
     1. 종다양도는 종의 이질성이라고도 말한다.
     2. 종다양도는 군집의 구성성분이 외부의 압력에 영향을 적게 받는 군집구조의 능력의 척도로 이용된다.
     3. 종다양도는 종풍부도와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타내는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이다.
     4. 한 군집내에 다수의 종들이 비슷한 개체수로 출현하면 종다양도가 낮고, 소수의 종이 출현하거나 소수의 종이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는 군집은 종다양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종다양도는 종의 이질성이라고도 말한다.
→ 종다양도(species diversity)는 한 군집 안에 여러 종이 얼마나 ‘다르고 다양한지(heterogeneity)’를 나타냄.

종다양도는 군집의 구성성분이 외부의 압력에 영향을 적게 받는 군집구조의 능력의 척도로 이용된다.
→ 일반적으로 종다양도가 높으면 군집이 안정적이고 외부 교란에 대한 저항성과 회복력이 크다고 평가.

종다양도는 종풍부도와 각 종에 속하는 개체수가 얼마나 고르게 분포하는가를 나타내는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이다.
→    종다양도 = 종풍부도(species richness) + 균등도(evenness).

한 군집 내에 다수의 종들이 비슷한 개체수로 출현하면 종다양도가 낮고, 소수의 종이 출현하거나 소수의 종이 상대적으로 많은 개체수를 차지하는 군집은 종다양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다수의 종이 균등하게 존재 → 종다양도 높음

소수 종만 있거나 특정 종이 개체 수를 많이 차지 → 종다양도 낮음
[해설작성자 : 단교배]

81. 환경정책기본법령상 환경부장관이 환경정보망의 효율적인 구축·운영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환경현황조사를 의뢰하거나 환경정보망의 구축·운영을 위탁할 수 있는 전문기관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국립환경과학원
     2. 보건환경연구원
     3. 한국농어촌공사
     4. 한국수자원공사

     정답 : []
     정답률 : 73%

82. 자연공원법상 공원관리청이 자연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구분한 용도지구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7년 05월)
     1. 공원자연환경지구
     2. 공원마을지구
     3. 공원자연보존지구
     4. 공원자연생태지구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자연공원법」 제18조, 「문화재보호법」 제2조
「자연공원법」에 의하면 공원관리청은 자연공원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공원자연보존지구, 공원자연환경지구, 공원마을지구, 공원문화유산지구의 용도지구를 공원계획으로 결정하고 있다.
[해설작성자 : 고구마]

●자연공원법상 용도지구
    * 공원자연환경지구
    * 공원자연보존지구
    * 공원문화유산지구
    * 공원마을지구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83.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관리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 자연경관 및 지형여건 등을 고려한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구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9월)
     1. 핵심구역
     2. 완충구역
     3. 관리구역
     4. 전이구역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자연환경보전법 제 12조
②환경부장관은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ㆍ관리를 위하여 생태적 특성, 자연경관 및 지형여건 등을 고려하여 생태ㆍ경관보전지역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지정ㆍ관리할 수 있다.
1. 생태ㆍ경관핵심보전구역(이하 “핵심구역”이라 한다) :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훼손방지를 위하여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거나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특별히 보호하고자 하는 지역
2. 생태ㆍ경관완충보전구역(이하 “완충구역”이라 한다) : 핵심구역의 연접지역으로서 핵심구역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지역
3. 생태ㆍ경관전이(轉移)보전구역(이하 “전이구역”이라 한다) : 핵심구역 또는 완충구역에 둘러싸인 취락지역으로서 지속가능한 보전과 이용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
[해설작성자 : 도오트]

84.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상 중앙 및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고 1회에 한하여 2년 이내의 기간 동안 개발행위허가의 제한을 연장할 수 있는 지역은?(2020년 09월)
     1.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된 지역
     2. 녹지지역으로 수목이 집단적으로 자라고 있는 지역
     3. 계획관리지역으로 조수류 등이 집단적으로 서식하고 있는 지역
     4. 개발행위로 인하여 주변의 환경, 경관, 미관 등이 오염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 지역

     정답 : []
     정답률 : 60%

85. 습지보전법상 용어의 뜻 또는 습지보전을 위한 국가의 책무에 관한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6년 05월)
     1. 습지라 함은 담수, 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서 내륙습지 및 연안습지를 말한다.
     2. 연안습지라 함은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수 또는 하구 등의 지역을 말한다.
     3. 특별시장은 내륙습지에 대하여 습지보호지역·습지주변관리지역 또는 습지개선지역의 지정 및 보전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한다.
     4. 국토교통부장관은 연안습지에 대하여 습지개선지역 지정 및 보전에 관한 시책을 수립·시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86. 산지관리법상 보전산지 중 공익용산지에 포함되지 않는 산지는?(2015년 05월)
     1.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에 따른 자연휴양림의 산지
     2.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임업진흥권역의 산지
     3. 수도법에 따른 상수원보호구역의 산지
     4.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구역의 산지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공익용산지: 임업생산과 함께 재해 방지, 수원 보호, 자연생태계 보전, 산지경관 보전, 국민보건휴양 증진 등의 공익 기능을 위하여 필요한 산지로서 다음의 산지를 대상으로 산림청장이 지정하는 산지
[해설작성자 : swim]

87. 산지관리법에 의해 산지전용제한지역이 될 수 없는 산지는?(2006년 09월)
     1. 주요 산줄기의 농선부로서 자연경관 및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해 필요한 산지
     2. 지역주민의 임산물 소득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산지
     3. 명승지, 유적지 그 밖의 역사적·문화적으로 보전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
     4.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산지

     정답 : []
     정답률 : 83%

88.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ㆍ자연도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09년 05월)

    

     1. ① 5만분의 1 이상, ② 7일 이상
     2. ① 5만분의 1 이상, ② 14일 이상
     3. ① 2만5천분의 1 이상, ② 7일이상
     4. ① 2만5천분의 1 이상, ② 14일 이상

     정답 : []
     정답률 : 76%

89. 다음은 자연환경보전법상 생태·자연도의 작성·활용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2010년 05월)

    

     1. ① 2만5천분의 1. ② 실선
     2. ① 2만5천분의 1. ② 점선
     3. ① 5만분의 1. ② 실선
     4. ① 5만분의 1. ② 점선

     정답 : []
     정답률 : 79%

90. 산지관리법상 산지전용·일시사용제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산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1년 06월)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요 산줄기의 능선부로서 자연경관 및 산림생태계의 보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산지
     2. 명승지, 유적지, 그 밖에 역사적·문화적으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
     3. 산사태 등 재해발생이 특히 우려되는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산지
     4. 송이버섯과 같은 중요한 임산물 생산을 위해 보전이 필요한 산지로서 산림청장이 정하는 산지

     정답 : []
     정답률 : 85%

91. 농지법규상 실습지 등으로 농지를 소유할 수 있는 공공단체 등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0년 05월)
     1. 「정신보건법」에 따른 정신의료기관(의료법인에 한정)
     2.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에 관한 국민선택법」에 따른 국민신탁법인(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의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
     3. 「폐수배출시설설치관리법」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폐수의 영향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해당)
     4. 「축산법」에 따른 가축 등록기관 및 가축 검정기관

     정답 : []
     정답률 : 61%

92. 습지보전법상 “연안습지”의 용어의 정의로 옳은 것은?(2011년 06월)
     1. 습지수면으로부터 수심 10m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2. 광합성이 가능한 수심(조류의 번식에 한한다.)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3.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한다.
     4. 지하수위가 높고 다습한 곳으로서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면 내에서 광합성이 가능한 수심지역까지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93. 자연환경보전법규상 시·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할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생태마을 지정실적”의 보고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0년 05월)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 : []
     정답률 : 73%

94. 국토기본법상의 국토종합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하는가?(2006년 09월)
     1. 1년
     2. 5년
     3. 10년
     4. 20년

     정답 : []
     정답률 : 73%

95. 다음 중 야생동물을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기준 및 방법 등에 의하여 상업적 목적으로 인공증식하고자 하는 경우 포획허가대상 야생동물에 해당하는 것은?(2006년 09월)
     1. 줄장지뱀
     2. 구렁이
     3. 먹대가리바다뱀
     4. 아무르산개구리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현재는 아무르산개구리도 포획금자
[해설작성자 : 도담]

96. 국토기본법에 명시된 국토종합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안을 작성하였을 때에는 공청회를 열어 일반 국민과 관계 전문가 등으로부터 의견을 들어야 하며, 공청회를 개최하고자 하는 때에는 공청회 개최 7일전까지 개최에 필요한 사항을 일간신문에 공고하여야 한다.
     2.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을 수립하거나 확정된 계획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국토정책위원회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친 후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국토 교통부장관은 국토종합계획의 성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사회적, 경제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5년마다 국토종합계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하면 정비하여야 한다.
     4. 심의안을 받은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 및 시·도지사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심의안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의견을 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공청회를 개최하려면 공청회 개최 14일 전까지 일간신문, 관보, 인터넷 홈페이지 또는 방송 등의 방법으로 1회 이상 공고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구상나무]

97. 습지보전법상 습지보전을 위해 설치할 수 있는 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습지를 연구하기 위한 시설
     2. 습지를 준설 및 복원하기 위한 시설
     3. 습지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
     4. 습지생태를 관찰하기 위한 시설

     정답 : []
     정답률 : 76%

98. 습지보전법상 용어의 정의이다. ( )에 알맞은 것은?(2016년 05월)

    

     1. 경계습지
     2. 연안습지
     3. 조석습지
     4. 하천습지

     정답 : []
     정답률 : 85%

99. 다음 중 자연환경보전법상 다음 [보기]가 설명하는 지역으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자연유보지역
     2. 자연경관보호지역
     3. 생태.경관보전지역
     4. 생태계변화관찰지역

     정답 : []
     정답률 : 74%

100. 자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뜻 중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아니하는 무인도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지역과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하는 것은?(2017년 09월)
     1. 생태축
     2. 생태서식지
     3. 대체서식지
     4. 자연유보지역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자연유보지역>
사람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생태계의 훼손이 방지되고 있는 지역 중 군사상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외에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무인도와 관할권이 대한민국에 속하는 날부터 2년간의 비무장지대를 말한다.

자연유보지역은 생태.경관보전지역안에서의 행위제한에 준하는 제한을 받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자연유보지역 (토지이용 용어사전)
[해설작성자 : 어쩌다서울촌놈]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63466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4 미용사(네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673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67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671 에너지관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 생물분류기사(동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63466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669 수능(경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3
668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667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666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665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9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664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663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77252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66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661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66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659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65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657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2
656 항로표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655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전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07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8 Next
/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