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624980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보관하역론


1. 보관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중량특성의 원칙: 중량에 따라 보관장소를 하층부와 상층부로 나누어 보관한다.
     2. 회전대응의 원칙: 입ㆍ출하 빈도가 높은 물품은 출입구 가까이에 보관한다.
     3. 동일성ㆍ유사성의 원칙: 동일 품종은 동일 장소에 보관하며, 유사품은 인접 장소에 보관한다.
     4. 통로대면의 원칙: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보관물품의 장소와 선반 번호 위치를 표시하여 보관한다.
     5. 선입선출의 원칙: 먼저 입고한 것을 먼저 출고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보관기능과 항목이 옳게 연결된 것은?(2012년 08월)

   

     1. ㄱ: 고객서비스 기능, ㄴ: 수급조정 기능, ㄷ: 모달쉬프트 기능
     2. ㄱ: 수급조정 기능, ㄴ: 물류거점적 기능, ㄷ: 고객서비스 기능
     3. ㄱ: 수급조정 기능, ㄴ: 고객서비스 기능, ㄷ: 물류거점적 기능
     4. ㄱ: 고객서비스 기능, ㄴ: 모달쉬프트 기능, ㄷ: 물류거점적 기능
     5. ㄱ: 고객서비스 기능, ㄴ: 수급조정 기능, ㄷ: 물류거점적 기능

     정답 : []
     정답률 : 70%

3. 단일물품을 생산하는 A 회사는 신규 물류센터에 대한 두 가지 운영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첫째는 수요지 인근에 단일 대규모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집중형 방식이고, 둘째는 각 수요지별로 소규모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분산형 방식이다. 동일한 여건에서 운영된다고 가정할 때 두 가지 운영방식의 비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집중형 방식이 생산지에서 수요지까지의 총운송비용이 적다.
     2. 분산형 방식이 고객과의 거리가 가까워 고객요구 대응이 유리하다.
     3. 분산형 방식이 물류센터의 총운영비용이 많다.
     4. 물류센터별 고객서비스 수준이 동일하다면 분산형 방식의 안전재고 수준이 낮다.
     5. 집중형 방식은 관리공간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정보와 현품의 대응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방식은 안벽과 야드간의 컨테이너 이송에 사용되는 장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무엇인가?(2008년 08월)
     1. 샤시 방식(Chassis System)
     2.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Straddle Carrier System)
     3.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4. 혼합 방식(Mixed System)
     5. 무인이송차량 방식(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화물의 권상, 권하, 횡방향 끌기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장치의 총칭은?(2012년 08월)
     1. 엘리베이터(Elevator)
     2. 모노레일(Monorail)
     3. 호이스트(Hoist)
     4. 트롤리(Trolley)
     5. 포크 리프트(Fork Lift)

     정답 : []
     정답률 : 20%

6. 물류단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물류센터는 운송비와 생산비의 절충점을 찾아 총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공동집배송단지는 참여업체들의 공동구매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3. 중계센터는 제품의 보관보다는 단순중계가 주요한 기능으로 크로스도킹(Cross docking)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4. 물류단계의 축소를 위해 물류터미널의 소형화 및 분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5. 복합물류터미널은 소규모 화물의 로트화를 통해 혼재기능을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7. 다음 설명 중 하역장비의 명칭으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1년 08월)

   

     1. ㄱ: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ㄴ: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2. ㄱ: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ㄴ: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3. ㄱ: 오더 피킹 트럭(Order Picking Truck), ㄴ: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4. ㄱ: 탑 핸들러 (Top Handler), ㄴ: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5. ㄱ: 탑 핸들러(Top Handler), ㄴ: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크레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크레인은 천정크레인(Ceiling Crane), 갠트리크레인(Gantry Crane), 집크레인(Jib Crane), 기타 크레인 등으로 구분된다.
     2. 갠트리크레인은 레일 위를 주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나, 레일 대신 타이어로 주행하는 크레인도 있다.
     3. 스태커크레인(Stacker Crane)은 고층랙 창고 선반에 화물을 넣고 꺼내는 크레인의 총칭이다.
     4. 언로더(Unloader)는 천정에 설치된 에이치빔(H-beam)의 밑 플랜지에 전동 체인 블록 등을 매단 구조이며, 소규모 하역작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5. 집크레인은 고정식과 주행식이 있으며, 아파트 등의 건설공사에도 많이 쓰이고 수평방향으로 더 넓은 범위 안에서 작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4. 천정크레인에 관한 설명
* 언로더는 항구에서 사용하는 기중기이다.
[해설작성자 : Yadon_]

언로더는 철광석, 석탄 및 석회석과 같은 벌크 화물 하역
[해설작성자 : 요구르트다 녀석들]

9. A사는 현재 2곳의 공장에서 다른 제품을 생산하여 3곳의 수요처에 각각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물류센터 한 곳을 신축하여 각 공장에서는 물류센터로 운송을 하고, 물류센터에서 3곳의 수요처로 운송할 계획이다. 물류센터와 기존시설과의 예상되는 1일 운송빈도는 아래 표와 같으며, 거리는 직각거리(Rectilinear Distance)로 가정한다. 총 이동거리( )를 최소화시키는 신규 물류센터의 최적 위치는?(2019년 07월)

   

     1. (x, y) = (6.0, 4.0)
     2. (x, y) = (6.2, 3.6)
     3. (x, y) = (7.0, 2.0)
     4. (x, y) = (7.0, 5.0)
     5. (x, y) = (7.8, 3.7)

     정답 : []
     정답률 : 25%

10. 다음과 같은 작업 조건하에서 물류센터가 필요로 하는 포크리프트 대수는?(2011년 08월)

    

     1. 10대
     2. 15대
     3. 20대
     4. 25대
     5. 30대

     정답 : []
     정답률 : 40%

11. 컨테이너 전용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 또는 이송장비가 아닌 것은?(2010년 08월)
     1. 언로더(Unloader)
     2.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3.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4.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
     5. 탑 핸들러(Top Handler)

     정답 : []
     정답률 : 60%

12. 화물의 취급표시(화인)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레이블링(Labeling)은 종이나 직포 등에 필요한 내용을 미리 인쇄해 두었다가 일정한 위치에 붙이는 것으로 통조림병, 유리병 등에 적용된다.
     2. 스탬핑(Stamping)은 고무인이나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찍는 방법으로 종이상자, 골판지상 자 등에 적용된다.
     3. 카빙(Carving)은 금속제품에 사용하며, 못으로 박거나 특정 방법에 의해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4. 태그(Tag)는 종이, 플라스틱판 등에 표시내용을 기재한 후 철사, 끈 등으로 매다는 방법이다.
     5. 스텐실(Stencil)은 시트에 문자를 파두었다가 붓, 스프레이 등으로 칠하는 방법으로 나무상자, 드럼 등에 적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13. 화물의 취급표시(화인) 방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2년 08월)

    

     1. ㄱ: 스탬핑(Stamping), ㄴ: 라벨링(Labeling), ㄷ: 스텐실(Stencil), ㄹ: 스티커(Sticker)
     2. ㄱ: 스탬핑(Stamping), ㄴ: 라벨링(Labeling), ㄷ: 스텐실(Stencil), ㄹ: 태그(Tag)
     3. ㄱ: 라벨링(Labeling), ㄴ: 스탬핑(Stamping), ㄷ: 스텐실(Stencil), ㄹ: 스티커(Sticker)
     4. ㄱ: 라벨링(Labeling), ㄴ: 스탬핑(Stamping), ㄷ: 스텐실(Stencil), ㄹ: 태그(Tag)
     5. ㄱ: 라벨링(Labeling), ㄴ: 카빙(Carving), ㄷ: 스텐실(Stencil), ㄹ: 태그(Tag)

     정답 : []
     정답률 : 77%

14.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에 적합한 오더피킹(Order Picking)의 출고형태(보관단위-피킹단위)는?(2017년 07월)
     1. 파렛트-파렛트
     2. 파렛트-케이스
     3. 케이스-케이스
     4. 케이스-단품
     5. 단품-단품

     정답 : []
     정답률 : 62%

15. 다음 내용에 맞는 오더피킹 방법은?(2011년 08월)

    

     1. 릴레이방법
     2. 총량피킹방법
     3. 1인 1건 방법
     4. 파종방법
     5. 어소트 방법

     정답 : []
     정답률 : 82%

16. 집중구매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자주적 구매가 가능하고 사업장 특수요구가 반영된다.
     2. 자재 수입 등 절차가 복잡한 구매에 유리하다.
     3. 시장조사나 거래처의 조사, 구매효과의 측정 등이 유리하다.
     4. 대량구매로 가격과 거래 조건이 유리하다.
     5. 공통자재의 표준화, 단순화가 가능하며 재고를 줄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17. 다음 창고보관 장비 중 포크리프트가 랙 내부에 진입하여 하역작업을 할 수 있고, 보관장소와 통로를 겸하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소품종대량의 제품이며 회전율이 적은 제품에 적합하고, 계절적인 수요가 있는 화물의 보관에 매우 경제적인 랙은 무엇인가?(2008년 08월)
     1. 모빌 랙
     2. 파렛트 랙
     3. 드라이브 인 랙
     4. 암 랙
     5. 적층 랙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물류단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8월)
     1. DP(Depot) : 재고품의 보관거점으로 상품의 배송거점인 동시에 예상수요에 대한 보관거점을 의미하며 일명 하치장이라 부른다.
     2. ICD(Inland Container Depot) : 산업단지와 항만 사이를 연결하여 화물의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대규모 물류단지이다.
     3. CY(Container Yard) :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화물을 모아서 FCL(Full Container Load)화물로 만드는 취급장이다.
     4. SP(Stock Point) : 수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갖추어진 집배중계지 및 배송처에 컨테이너가 CY에 반입되기 전 야적된 상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장소이다.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 컨테이너 보세장치장, 마샬링 야드 등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DP(Depot) → SP(Stock Point)
2. 정답
3. CY(Container Yard) →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4. SP(Stock Point) → DP(Depot)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 CY(Container Yard)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19. 수요예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시계열분석법은 기존 제품과 관련된 과거의 자료를 분석하여 신제품의 미래수요를 정성적으로 예측하는 방법이다.
     2. 가중이동평균법은 각 실적치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과거의 실적치에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3. 지수평활법은 관찰된 실제수요와 이전 예측치에 상대적인 가중치를 두어 새로운 예측치를 구한다.
     4. 시장조사법은 설문지, 현장인터뷰 등을 통해 소비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5. 전문가조사법을 활용할 경우, 타협이나 절충에 의해 예측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오더피킹(Order Picking)의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1인 1건 방법은 1인의 피커(Picker)가 1건의 주문전표에 명기된 물품을 피킹하는 방법이다.
     2. 릴레이 방법은 여러 사람의 피커가 각각 자기가 분담하는 종류나 선반의 작업범위를 정해 두고서 피킹전표 속에서 자기가 맡은 종류의 물품만을 피킹해서 릴레이식으로 다음의 피커에게 넘겨주는 방법이다.
     3. 존피킹(Zone Picking) 방법은 릴레이 방법과 똑같이 여러 사람의 피커가 각각 자기가 분담하는 종류의 선반의 작업 범위를 정해 두고서 피킹 전표 속의 자기가 맡은 종류의 물품만을 피킹한다.
     4. 일괄오더피킹 방법은 여러 건의 주문전표를 모아서 한번에 피킹하는 방법으로, 주문별로 분류할 필요가 없다.
     5. 총량피킹 방법은 한나절이나 하루의 주문전표를 모아서 피킹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다음 중 정성적 수요예측기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ㅁ, ㅂ
     4. ㄴ, ㄹ, ㅂ
     5.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82%

22. 포장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공업포장은 최소의 경비로 그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상업포장은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적정포장을 하는 것이다.
     3. 공업포장의 제1의 목적은 보호기능이며, 상업포장의 제1의 목적은 판매촉진기능이다.
     4. 상업포장에서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면 포장비용의 상승도 무방하다.
     5. 공업포장은 물품의 보호기능과 취급의 편리성을 추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23. 아래와 같은 조건일 때 요구되는 트럭 도크(Dock)의 수는?(2012년 08월)

    

     1. 40 개
     2. 44 개
     3. 48 개
     4. 52 개
     5. 56 개

     정답 : []
     정답률 : 40%

24. 다음은 어느 제품의 주문량 실적치이다. 이 회사에서는 3개월 이동평균법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5월의 예측치와 실제 주문량의 차이는 얼마이며, 6월의 예측치는 얼마인가?(단위 : 개)(2008년 08월)

    

     1. 5월의 예측 차이= 8, 6월의 예측치=260
     2. 5월의 예측 차이= 8, 6월의 예측치=265
     3. 5월의 예측 차이=15, 6월의 예측치=260
     4. 5월의 예측 차이=15, 6월의 예측치=265
     5. 5월의 예측 차이=20, 6월의 예측치=26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C기업의 공장은 JIT(Just In Time)를 도입하고 있다. 공장 내부의 A작업장에서 가공된 M부품은 B작업장으로 보내져 여기서 또 다른 공정을 거친다. B작업장은 시간당 200개의 M부품을 필요로 한다. 용기 하나에는 20개의 M부품을 담을 수 있다. 용기의 1회 순회시간은 0.8시간이다. 물류담당자는 시스템 내에 다소의 불안요인이 있어 10%의 안전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A작업장과 B작업장간에 필요한 M부품용기의 수는 최소 몇 개인가?(2008년 08월)
     1. 7
     2. 8
     3. 9
     4. 10
     5. 11

     정답 : []
     정답률 : 70%

26. 다음은 K기업의 A제품의 자재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에 관한 정보이다. 부품 X와 Y의 순 소요량은?(2025년 07월)

    

     1. X: 150, Y: 210
     2. X: 160, Y: 210
     3. X: 180, Y: 240
     4. X: 210, Y: 150
     5. X: 240, Y: 18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K기업은 제품 판매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지수평활법을 사용하고 있다. 6월 제품 판매량은 94,000개로 예측하였으나 실제 판매량은 98,000개이었고, 7월 실제 판매량은 92,000개이었다. 8월의 제품 판매량 예측치(개)는? (단, 평활상수(α) 는 0.3을 사용한다.)(2025년 07월)
     1. 93,880
     2. 94,000
     3. 94,240
     4. 95,200
     5. 96,16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하역의 원칙이 아닌 것은?(2024년 08월)
     1. 경제성 원칙
     2. 이동거리 최소화 원칙
     3. 동일성 원칙
     4. 단위화 원칙
     5. 운반 활성화 원칙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하역의 원칙
경제성 원칙, 중력이용의 원칙, 기계화의 원칙, 운반 활성화 원칙, 이동거리 및 시간의 최소화 원칙, 유닛화의 원칙(단위화 원칙), 인터페이스의 원칙, 시스템화의 원칙
[해설작성자 : 망고]

29. 다음은 항만하역장비의 종류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2013년 06월)

    

     1.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2.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3.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4. 탑 핸들러(Top Handler)
     5.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정답 : []
     정답률 : 25%

30.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아웃리치(Out-reach)란 스프레더가 바다 쪽으로 최대로 진행되었을 때, 바다 측레일의 중심에서 스프레더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2. 백리치(Back-reach)란 트롤리가 육지 측으로 최대로 나갔을 때, 육지 측 레일의 중심에서 스프레더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3. 호이스트(Hoist)란 스프레더가 최대로 올라갔을 때 지상에서 스프레더 컨테이너코너 구멍 접촉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4. 타이다운(Tie-down)이란 크레인이 넘어졌을 때의 육지 측 레일의 중심에서 붐상단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5. 헤드블록(Head Block)이란 스프레더를 달아매는 리프팅 빔으로서 아래 면에는 스프레더 소켓을 잡는 수동식 연결핀이 있으며 윗면은 스프레더 급전용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 타이다운(Tie-down)은 캔트리 크레인의 바닥 고정용 장치임.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31. 다음 중 재고를 줄이기 위한 기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2007년 08월)
     1. BSC(Balanced Score Card)
     2. JIT(Just In Time)
     3.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4. SCM(Supply Chain Management)
     5. DRP(Distribution Requirement Plannin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BSC는 균형성과표로서 성과를 관리하는 성과관리 시스템이지,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Hoon]

32.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물류관리의 시스템화가 용이하여 하역과 수송의 일관화를 가능하게 한다.
     2.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요 없고 유닛로드용의 자재를 관리하기가 쉬워진다.
     3. 수송 및 보관업무의 효율적인 운영과 수송포장의 간이화를 가능하게 한다.
     4. 하역작업의 혁신을 통해 수송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5. 호환성이 증대되어 다른 회사와 공동으로 파렛트를 사용하는 등 시스템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33. 어느 상점에서 판매되는 제품과 관련된 자료는 아래와 같다. 경제적 주문량 모형(EOQ)에 의한 정량발주 재고정책을 취할 때 연간 최적 주문주기는? (단, 1년은 365일로 계산한다.)(2019년 07월)

    

     1. 32.5일
     2. 36.5일
     3. 40.5일
     4. 44.5일
     5. 48.5일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연간 최적주문횟수 : 연간 수요량 / EOQ
연간 최적주문주기 : 365 / 연간 최적주문횟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EOQ공식: √2SD/H
S:2,000
D:2,000
H:200

- EOQ: √((2*2,000*2,000)/200) = 200
- 연간 최적주문횟수: 2,000(D)/200(EOQ) = 10
- 연간 최적주문주기: 365/10 = 36.5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34. 아래와 같은 조건 일 때, 필요한 트럭 도크(Dock)의 수는?(2011년 08월)

    

     1. 44개
     2. 46개
     3. 48개
     4. 50개
     5. 52개

     정답 : []
     정답률 : 64%

35. 합리적인 하역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활성화의 원칙: 운반활성 지수의 최대화를 지향함
     2. 인터페이스의 원칙: 공정간의 접점을 원활히 함
     3. 중력이용의 원칙: 인력작업을 기계화로 대체함
     4. 이동거리(시간) 최소화의 원칙: 하역작업의 이동거리(시간)를 최소화함
     5. 시스템화의 원칙: 시스템 전체의 밸런스를 염두에 두고 시너지 효과를 올리기 위함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중력이용의 원칙 : 중력의 법칙에 따라 화물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것이 용이하다는 원칙
보기 3의 내용은 기계화의 원칙

36. 하역작업과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더니지(Dunnage): 운송기기에 실려진 화물이 손상, 파손되지 않도록 밑바닥에 까는 물건을 말한다.
     2. 래싱(Lashing): 운송기기에 실려진 화물을 줄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3. 스태킹(Stacking): 화물을 보관시설 또는 장소에 쌓는 작업을 말한다.
     4. 피킹(Picking): 보관 장소에서 화물을 꺼내는 작업을 말한다.
     5. 배닝(Vanning): 파렛트에 화물을 쌓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Vanning은 컨테이너에 화물 적입하는거
[해설작성자 : ^^]

37.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는 장비의 회전 없이 붐에 달린 스프레더만을 회전하여 컨테이너를 이적 또는 하역하는 장비이다.
     2. 무인운반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은 무인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비이다.
     3. 야드 트랙터(Yard Tractor, Y/T)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이동ㆍ운송하는데 사용되는 이동장비로서 일반 도로 운행이 가능한 장비이다.
     4.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마샬링 야드로부터 에이프런 또는 CY지역으로 운반 및 적재할 경우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5. 윈치크레인(Winch Crane)은 차체를 이동 및 회전시키면서 컨테이너트럭이나 플랫 카(Flat Car)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장비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컨테이너 부두 내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문악]

38. 연속된 5개의 화물분류 공정별(A~E) 공정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이 중 공정 1개의 공정시간을 변경하였을 때 공정효율(Balance Efficiency)이 80%가 되는 공정명과 공정시간은?(2016년 07월)

    

     1. 공정 A, 9분
     2. 공정 B, 10분
     3. 공정 C, 11분
     4. 공정 D, 8분
     5. 공정 E, 8분

     정답 : []
     정답률 : 27%

39. 제품 X는 2개의 부품 Y와 3개의 부품 Z로 조립된다. 이때, 부품 Y는 1개의 부품 A와 2개의 부품 B로 조립되고, 부품 Z는 2개의 부품 A와 4개의 부품 C로 조립된다. 각 제품 및 부품의 리드타임이 아래 표와 같을 때, 제품 X가 10주차에 100개가 필요하다면 부품 C를 몇 주차에 몇 개를 주문해야 하는가? (단, 제품 X 및 각 부품의 초기재고는 없음)(2010년 08월)

    

     1. 2주차, 600개
     2. 3주차, 400개
     3. 3주차, 1,200개
     4. 6주차, 300개
     5. 7주차, 1,200개

     정답 : []
     정답률 : 70%

40. 하역 합리화의 기본 및 보조 원칙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기계화의 원칙은 인력작업을 기계작업으로 대체하여 하역작업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원칙이다.
     2. 전산화의 원칙은 자재운반 및 보관활동 전반에 걸친 전산화 작업을 고려한다.
     3. 인터페이스의 원칙은 하역작업의 여러 공정 간의 계면 또는 접점이 원활히 연계되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4. 단순화의 원칙은 복잡한 시설과 관리체계를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의 이해와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표준화의 원칙은 하역 작업을 표준화하여 작업의 공정한 배분과 평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역작업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원칙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물류인력의 양성 및 물류기술개발에 관한 사항
     2. 물류표준화ㆍ공동화ㆍ정보화 등 물류체계의 효율화에 관한 사항
     3. 지역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사항
     4. 국제물류의 촉진ㆍ지원에 관한 사항
     5. 국내외 물류환경의 변화와 전망

     정답 : []
     정답률 : 64%

42.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서비스업으로 분류되지 않는 사업은?(2011년 08월)
     1. 화물운송의 주선
     2. 물류장비의 임대
     3. 물류정보의 처리
     4. 물류컨설팅
     5. 물류시설의 운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기본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8월)
     1. 국가물류기본계획은 20년 단위로 수립한다.
     2. 국가물류기본계획은 교통체계효율화법에 따라 수립된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우선한다.
     3. 국토종합계획 등 다른 계획의 변경으로 인한 사항을국가물류기본계획에반영하는경우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4. 국가물류기본계획을 시행하기 위하여 5년마다 연도별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5. 국가물류기본계획의 연도별시행계획은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물류정책기본법 제6조, 국가물류기본계획은 10년단위로 수립한다
2. 국가물류기본계획은 다른 상위 계획과의 정합성을 유지, 국가기간교통망계획과 조화를 이루도록해야함. 우선하지않음
3. 물류정책기본법 제6조 제4항에 명시됨 <- 정답
4. 연도별 시행계획은 매년 수립해야함
5. 연도별 시행계획은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받는것이 원칙.    물류정책분과위원회는 실무 지원역할을 함
[해설작성자 : 인앤민]

44.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화주기업이 제3자물류를 자가물류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2. 물류사업을 종합적ㆍ복합적으로 영위하는 자는 자신이 영위하는 물류사업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의 장으로부터 종합물류기업인증을 받을 수 있다.
     3. 종합물류기업 인증센터에 대한 지도ㆍ감독권은 국토교통부장관이 가진다.
     4. 국토교통부장관 및 해양수산부장관은 물류사업에 관련된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외국물류대학의 국내유치활동 지원사업을 할 수 있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관리사를 고용한 물류관련사업자에 대하여 다른 사업자에 우선하여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45. 화물유통촉진법상 물류표준화에 대한 사항을 열거한 것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건설교통부장관은 물류표준의 보급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행정기관ㆍ정부투자기관ㆍ물류사업자 또는 물류에 관련된 장비의 사용자 및 제조업자에 대하여 물류표준에 적합한 장비를 제조ㆍ사용하게 하거나 포장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권고할 수 있다.
     2. 물류표준화의 기준은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에 의한다.
     3. 건설교통부장관은 물류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산업자원부장관에게 한국산업표준의 제정ㆍ개정 또는 폐지를 요청할 수 있다.
     4. 건설교통부장관은 물류표준화에 대한 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문기관을 설치할 수 있다.
     5. 건설교통부장관은 물류회계의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물류사업자등에게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화물유통촉진법상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인증종합물류업자가 물류와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소요자금의 일부를 융자하거나 부지의 확보를 위한 지원 등을 할 수 있다. 다음 중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7년 08월)
     1. 물류업무의 자동화 및 물류장비의 표준화
     2. 물류시설의 확충
     3. 첨단물류기술의 개발 및 적용
     4. 해외로부터 물류 관련 장비의 도입
     5. 해외시장의 개척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물류정책기본법령상 종합물류정보망을 구축ㆍ운영할 자로 지정받을 수 있는 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있는 공공기관이 아닌 것은?(2010년 08월)
     1. 인천국제공항공사
     2. 한국수자원공사
     3. 한국도로공사
     4. 한국철도공사
     5. 한국토지주택공사

     정답 : []
     정답률 : 54%

48.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제물류주선업의 사업승계 및 휴지ㆍ폐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지ㆍ폐지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사업의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 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법인의 합병신고서의 첨부서류에는 합병당사자인 법인의 최근 1년 이내의 사업용고정자산의 명세서가 포함된다.
     4. 사업을 폐지하려는 자가 법인인 경우에는 폐지신고서에 사업폐지에 관한 법인의 의사결정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5. 법인의 합병외의 사유로 해산 신고를 하려는 자는 해산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해산신고서를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49.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철도사업법」에 따른 철도사업자가 그 사업에 사용하는 화물운송ㆍ하역 및 보관 시설은 일반물류단지 안에 설치하더라도 일반물류단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다.
     2.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른 공동집배송센터를 경영하는 사업은 물류터미널사업에서 제외된다.
     3. 「주차장법」에 따른 주차장에서 자동차를 보관하는 사업은 물류창고업에서 제외된다.
     4. 화물의 집화ㆍ하역과 관련된 가공ㆍ조립 시설의 전체 바닥면적 합계가 물류터미널의 전체 바닥면적 합계의 4분의 1을 넘는 경우에는 물류터미널에 해당하지 않는다.
     5. 물류단지시설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물류단지 안에 설치되는 금융ㆍ보험ㆍ의료 시설은 지원시설에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화물운송&하역 및 보관 시설은 그 자체로 일반물류단지시설이다.
[해설작성자 : 김빌런]

1. 철도사업자가 그 사업에 사용하는 화물운송·하역 및 보관시설은 일단물류단지시설로 본다.(정답)
+ 2. 공동집배송센터운영업은 물류시설운영업 중 창고업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Yadon_]

+ 이 문제가 어려웠던 이유는 물류터미널사업 문제에 갑자기 일반물류단지시설이 나와서 어려웠던 문제입니다.
철도사업자가 그 사업에 사용하는 화물 운송 하역 및 보관시설은 일반물류단지시설은 맞지만, 물류터미널 사업으로 인정이 되지 않는 범위입니다.
문제를 참..., 어럽게 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Hoon]

<물류 터미널사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 그러나 <일반 물류단지 시설>인 것
1. 항만법의 항만 시설 중 항만 구역 안에 있는 화물 하역 시설 및 화물 보관 처리 시설
2. 공항시설법의 공항시설 중 공항 구역 안에 있는 화물 운송을 위한 시설과 그 부대시설
3. 철도 사업법에 따른 철도 사업자가 그 사업에 사용하는 화물 운송 하역 및 보관 시설
4. 유통산업 발전법의 집배송시설 및 공동집배송센터
[해설작성자 : 고양이]

50.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상 물류터미널사업협회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2년 08월)

    

     1. ㄱ: 2분의 1, ㄴ: 3분의 1
     2. ㄱ: 3분의 1, ㄴ: 3분의 1
     3. ㄱ: 3분의 1, ㄴ: 2분의 1
     4. ㄱ: 5분의 1, ㄴ: 3분의 1
     5. ㄱ: 5분의 1, ㄴ: 4분의 1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물류터미널사업협회
회원의 자격이 있는 자 중 5분의 1이상의 발기인이 정관 작성
회원의 자격이 있는 자의 3분의 1이상이 출석한 창립총회 의결
국토교통부장관의 설립인가
<물류터미널 5131>
[해설작성자 : Yadon_]

5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기반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예산을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할 수 없는 경우는?(2018년 07월)
     1. 「도로법」제2조제1호에 따른 도로의 설치
     2. 「철도산업발전기본법」제3조제1호에 따른 철도의 설치
     3. 「수도법」제3조제17호에 따른 수도시설의 설치
     4. 「폐기물관리법」제2조제8호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5. 「물환경보전법」제2조제12호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설치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물류시설법 시행령 (12조의 2) 4개 항목!
- 도로법에 따른 도로
- 철도산업발전기본법에 따른 철도
- 수도법에 따른 수도시설
-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
4번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에 대한 내용은 없음
[해설작성자 : 부들부들맨의 든든한BAG]

5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이란 두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 간의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물류터미널사업을 말한다.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3.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하거나 폐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다른 사람에게 등록증을 대여한 때에는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등록을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이거보면합격]

5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이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의 수립
     2. 물류단지관리계획의 수립
     3. 물류단지의 지정
     4. 물류단지개발지침의 작성
     5. 물류단지관리지침의 작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터미널 개발의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물류터미널의 건설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분의 50% 이상을 확보하는 조건으로 소요자금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도로ㆍ철도ㆍ용수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반시설의 설치 또는 개량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다.
     3.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물류터미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소요자금 전부의 예치를 조건으로 부지의 확보를 위한 행정지원을 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도로ㆍ철도ㆍ용수시설 등 기반시설의 설치 또는 개량에 필요한 예산을 전액 부담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사업의 필요에 의하여 부지확보 및 도시ㆍ군계획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5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100만 제곱미터의 일반물류단지를 지정하는 경우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2. 일반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할 때까지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가 확정되지 아니하였다면 일반물류단지를 지정할 수 없다.
     3. 국토교통부장관이 일반물류단지개발계획 중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를 변경하려는 경우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4. 물류단지개발지침의 내용에는 '문화재의 보존을 위하여 고려할 사항'이 포함되지 않는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무분별한 물류단지 개발을 방지하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시ㆍ도지사와 협의하여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을 실시하여야 하고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자문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1. 국가물류정책위원회 -> 시도지사
단 , 대상 지역의 2개 이상 특별 자치시도에 걸쳐 있는 경우 -> 국토부장관
2.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지정 후 계획에 포함 가능
4. 고려할 사항
     - 문화재 보존
     - 토지가격 안정
     - 분양가격 결정
     - 토지 시설 등 공급
5. 시도지사 협의 -> 관련 행정기관 협의
[해설작성자 : 고양이]

56.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개발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물류단지지정권자는 준공검사를 한 결과 실시계획대로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보완시공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하여야 한다.
     2.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주자 또는 인근지역의 주민을 우선적으로 고용하여야 한다.
     3. 물류단지지정권자는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에게 물류단지의 진입도로 및 간선도로를 설치하게 할 수 있다.
     4.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는 물류단지개발사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 물류단지개발특별회계를 설치할 수 있다.
     5.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는 물류단지 안에 있는 기존의 시설을 철거하지 아니하여도 물류단지개발사업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이를 남겨두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시행자(x) 입주기업체 및 지원기관(o)
[해설작성자 : 똘딴]

시행자 : 물류단지개발사업으로 인하여 생활의 근거를 상실하게 되는 자("이주자")에 대한 이주대책 등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입주기업체 및 지원기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주자 또는 인근지역의 주민을 우선적으로 고용하여야 한다.
시행자 - 이주대책
입주기업체 - 고용
[해설작성자 : Yadon_]

57.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공영차고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은 공영차고지를 설치하여 직접 운영할 수 있다.
     2. 도지사는 공영차고지를 설치하여 운송사업자에게 운영을 위탁할 수 있다.
     3. 군수는 공영차고지를 설치하여 운송가맹사업자에게 임대할 수 있다.
     4.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사가 공영차고지의 설치ㆍ운영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는 미리 시ㆍ도지사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5. 시ㆍ도지사를 제외한 차고지설치자가 인가받은 공영차고지의 설치ㆍ운영에 관한 계획을 변경하려면 미리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신고'가 아닌 '인가' 필요.

시ㆍ도지사를 제외한 차고지설치자가 설치ㆍ운영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는 미리 시ㆍ도지사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인가받은 계획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해설작성자 : fff]

58.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안전운행의 확보, 운송질서의 확립 및 화주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운송가맹사업자에 대하여 발령될 수 있는 개선명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7월)
     1. 감차 조치
     2. 화물자동차의 구조변경
     3. 운송시설의 개선
     4. 운송약관의 변경
     5. 화물의 안전운송을 위한 조치

     정답 : []
     정답률 : 50%

59.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약관에 기재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사업의 종류
     2. 운임 및 요금의 환급에 관한 사항
     3. 화물의 인도ㆍ인수에 관한 사항
     4. 책임보험계약에 관한 사항
     5. 면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운송사업자의 준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운송사업자는 허가 받은 사항의 범위에서 사업을 성실하게 수행하여야 하며, 부당한 운송조건을 제시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운송계약의 인수를 거부하거나 그 밖에 화물운송 질서를 현저하게 해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운송사업자는 둘 이상의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점에 가입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운송사업자는 위ㆍ수탁계약으로 차량을 현물출자 받은 경우에는 위ㆍ수탁차주를「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자동차등록원부에 현물출자자로 기재하여야 한다.
     4. 운송사업자는 위ㆍ수탁차주가 다른 운송사업자와 동시에 1년 이상의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제한 하거나 이를 이유로 불이익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5. 위ㆍ수탁차주가 현물출자한 차량에 대하여 보험료 납부 등 위ㆍ수탁차주가 이행하여야 하는 차량관리 의무의 해태로 인하여 운송사업자의 채무가 발생하였을 경우, 운송사업자는 재량으로 그 차량에 대하여 채무액을 초과하여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위ㆍ수탁차주가 현물출자한 차량에 대하여 보험료 납부 등 위ㆍ수탁차주가 이행하여야 하는 차량관리 의무의 해태로 인하여 운송사업자의 채무가 발생하였을 경우, 운송사업자는 재량으로 그 차량에 대하여 채무액을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61.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사업자의 준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운송사업자는 택시 요금미터기의 장착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운송사업자는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양도ㆍ양수하는 경우에 양도ㆍ양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위ㆍ수탁차주에게 부담시켜서는 아니 된다.
     3. 최대적재량 1.5톤을 초과하는 화물자동차를 밤샘주차하는 경우 차고지에서만 하여야 한다.
     4. 화주로부터 부당한 운임 및 요금의 환급을 요구받았을 때에는 환급하여야 한다.
     5. 밴형 화물자동차를 사용해서 화주와 화물을 함께 운송하는 사업자는 화물자동차 바깥쪽에 “화물”이라는 표기를 한국어 및 외국어(영어, 중국어 및 일어)로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5t 초과하는 화물자동차에만 해당
[해설작성자 : 한국항만물류고]

최대적재량 1.5통 이하 화물자동차의 경우에는 주차장, 차고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시설 및 장소에서만 밤샘주차할 것
[해설작성자 : 더 먼 세상으로]

62.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차량충당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신규등록에 충당되는 화물자동차는 차령이 2년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연한 이내여야 한다.
     2. 제작연도에 등록된 화물자동차의 차량충당 연한의 기산일은 제작연도의 말일이다.
     3.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한 대폐차 변경신고를 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대폐차하여야 한다.
     4. 대폐차의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하여 국토교통부령으로 규정한 사항 외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차량충당조건에 대하여 2014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5년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2년 -> 3년의 범위
2. 삭제
3. 30일 -> 15일 이내 대폐차,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6개월 이내
5. 5년 -> 3년마다 검토
[해설작성자 : Yadon_]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제작연도의말일 >>> 최초의 신규 등록일
[해설작성자 : 시대 보고 적는]

63.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양도와 양수 및 상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8월)
     1.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양도ㆍ양수하려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양수인은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운송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그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계속하려면 피상속인이 사망한 후 30일 이내에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운송사업자인 법인이 서로 합병하려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합병으로 존속하거나 신설되는 법인은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운송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이 법령에 의한 신고를 하면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부터 신고한 날까지 피상속인에 대한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는 상속인에 대한 허가로 본다.
     5. 합병 이후에 존속되는 법인은 합병으로 소멸되는 법인의 운송사업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하지 못하고 신규로 설립된 법인만이 지위를 승계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시도지사 → 국토교통부장관
2. 30일 →    90일
3. 시도지사 → 국토교통부장관
5. 승계하지 못하고 신규로 설립된 법인만이 지위를 승계한다. → 승계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6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최대 적재량이 5톤 이상이거나 총 중량이 10톤 이상인 화물자동차 중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화물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운송사업자는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2. 보험업법에 따른 보험회사는 적재물배상보험 등에 가입하여야 하는 자가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려고 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 외에는 적재물배상보험등의 계약의 체결을 거부할 수 없다.
     3. 운송가맹사업자는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4. 보험회사등은 자기와 책임보험계약등을 체결하고 있는 보험등 의무가입자에게 그 계약종료일 30일 전까지 그 계약이 끝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
     5. 운송사업자는 각 사업자별로 3천만원 이상의 금액을 지급할 책임을 지는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5.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08월)
     1. 항만안에서 화물을 선박에 적하하거나 선박으로부터 양하하는 일
     2. 선박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공급을 위해 운송하는 일
     3. 선적화물을 적하 또는 양하하는 경우에 그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의 계산 또는 증명을 행하는 일
     4. 항만안에서 선박 또는 부선에 의하여 운송된 화물을 창고 또는 하역장에 반입하는 일
     5. 항만안또는지정구간에있어서뗏목으로 편성하여 목재를 운송하는 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관할관청이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임시허가 신청을 받았을 때 확인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24년 08월)
     1. 화물자동차의 등록 여부
     2. 차고지 설치 여부 등 허가기준에 맞는지 여부
     3. 화물운송 종사자격 보유 여부
     4. 화물운송사업자의 채권ㆍ채무 여부
     5. 적재물배상보험등의 가입 여부

     정답 : []
     정답률 : 76%

67.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관련사업자의 등록취소 또는 사업정지 사유 중 반드시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6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9%

68.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유통산업발전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7월)
     1.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10년마다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에는 유통산업의 지역별ㆍ종류별 발전방안이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3. 시ㆍ도지사는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에 따라 2년마다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는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의 집행실적을 다음 연도 1월 말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5. 지역별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은 유통전문인력ㆍ부지 및 시설 등의 수급방안을 포함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10년 -> 5년
2.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 포함되어야 한다.
3. 시도지사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4. 시도지사 ->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1.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5년마다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한다.
2. 포함되어야 한다.
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시행계획의 집행실적을 "다음 연도 2월 말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Yadon_]

69. 유통산업발전법상 대규모점포등에 대한 영업시간의 제한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7월)
     1.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건전한 유통질서 확립, 근로자의 건강권 및 대규모점포등과 중소유통업의 상생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에 대하여 영업시간제한 또는 의무휴업을 명하여야 한다.
     2. 연간 총매출액 중「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따른 농수산물의 매출액 비중이 50퍼센트 이상인 대규모점포등으로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대규모점포등에 대하여는 영업시간제한 또는 의무휴업을 명하여서는 아니 된다.
     3.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영업시간을 제한할 경우 오전 0시부터 오전 11시까지의 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다.
     4.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의무휴업일을 지정할 경우 매월 이틀을 지정하여야 한다.
     5.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의무휴업일을 지정할 경우 공휴일 중에서 지정하여야 하고, 이해당사자와 합의를 거치더라도 공휴일이 아닌 날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할 수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명해야 한다 > 명할 수 있다.
2. 50->55퍼센트
3. 오전0시부터 오전11시까지->오전 0시부터 오전10시까지
5. 할 수 없다 ->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고양이]

70. 유통산업발전법의 적용이 배제되는 시장ㆍ사업장 및 매장이 아닌 것은?(2019년 07월)
     1.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농수산물도매시장
     2.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제2조에 따른 전통시장
     3. 「축산법」제34조에 따른 가축시장
     4.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민영농수산물도매시장
     5.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농수산물도매시장/농수산물공판장/민영농수산물도매시장 및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축산법에 따른가축시장은 적용배제
[해설작성자 : 뚜밥]

71. 유통산업발전법상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재래시장의 활성화
     2. 전문상가단지의 건립
     3. 비영리법인의 판매사업 활성화
     4.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의 건립 및 운영
     5. 중소유통기업의 창업 지원 등 중소유통기업의 구조개선 및 경쟁력 강화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 15조 3항
2 - 20조 1항
4 - 17조의 2
5 - 15조 4항
[해설작성자 : 진심]

72.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2021년 07월)
     1. 선적화물을 실을 때 그 화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일
     2. 통선(通船)으로 본선과 육지 간의 연락을 중계하는 행위
     3. 항만에서 선박 또는 부선(艀船)을 이용하여 운송될 화물을 하역장[수면(水面) 목재 저장소는 제외]에서 내가는 행위
     4.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될 화물을 화물주의 위탁을 받아 항만에서 화물주로부터 인수하는 행위
     5. 선적화물 및 선박에 관련된 증명ㆍ조사ㆍ감정을 하는 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항만운송사업 -> 항만하역, 검수, 감정, 검량사업
1번 검수
3번 하역
4번 하역
5번 감정 등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2번은 "항만 용역업", 항만용역업은 아래의 행위들로 이뤄짐
-통선으로 본선과 육지 사이에서 사람이나 문서 등을 운송하는 행위
-본선을 경비하는 행위나 본선의 이안 및 접안을 보조하기 우하여 줄잡이 역무를 제공하는 행위
-선박의 청소, 오물 제거 소득 폐기물 의 수집, 운반, 화물 고정, 칠등을 하는 행위
-선박에서 사용하는 맑은 물을 공급하는 행위
[해설작성자 : 고양이]

73.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와 관련된 분쟁의 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시ㆍ군ㆍ구의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조정신청을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조정안을 작성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의결로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2. 시ㆍ도의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시ㆍ군ㆍ구의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안에 불복이 있는 자의 조정신청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조정안을 작성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의결로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3. 시ㆍ군ㆍ구의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안에 불복이 있는 자는 조정안을 제시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시ㆍ도의 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할 수 있다.
     4. 조정안을 제시받은 당사자는 그 제시를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수락여부를 유통분쟁조정위원회에 통보하여야 한다.
     5.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유통분쟁조정신청을 받은 경우에는 신청일부터 7일 이내에 신청인과 관련당사자에게 조정신청사실과 그 내용을 통보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74.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산물(축산물 및 임산물을 포함)의 원활한 수급과 가격안정을 도모하고 유통구조의 개선을 촉진하기 위하여 설치한 농산물가격안정기금에서 지출할 수 있는 대상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7월)
     1. 식량작물과 축산물의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생산자의 공동이용시설에 대한 지원
     2. 종자산업의 진흥과 관련된 우수 종자의 품종육성ㆍ개발, 우수 유전자원의 수집 및 조사ㆍ연구
     3. 농산물의 가공ㆍ포장 및 저장기술의 개발, 브랜드 육성, 저온유통, 유통정보화 및 물류 표준화의 촉진
     4. 농산물의 유통구조 개선 및 가격안정사업과 관련된 조사ㆍ연구ㆍ홍보ㆍ지도ㆍ교육훈련 및 해외시장개척
     5. 농산물 가격안정을 위한 안전성 강화와 관련된 조사ㆍ연구ㆍ홍보ㆍ지도ㆍ교육훈련 및 검사ㆍ분석시설 지원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식량작물과 축산물을 "제외한" 농산물의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생산자의 공동이용시설에 대한 지원
[해설작성자 : Yadon_]

75.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약관 및 사업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7월)
     1. 철도사업자는 철도사업약관을 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철도사업약관의 변경신고를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신고수리여부를 신고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3. 철도사업자는 여객열차의 운행구간을 변경하려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4. 철도사업자는 사업용철도노선별로 여객열차의 정차역의 10분의 2를 변경하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철도사업자가 사업계획 중 인가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사업계획을 변경하려는 날 1개월 전까지 사업계획변경인가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허가 -> 신고
2. 10일 이내 -> 3일 이내 신고수리여부 통지
4. 국토부장관에게 신고 -> 인가를 받아야 한다.
5. 사업계획을 변경하려는 날 1개월 전까지(변경하려는 사항이 인가사항인 경우에는 2개월 전까지)
     사업계획변경신고서 또는 사업계획변경인가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Yadon_]

76.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의 휴업 또는 폐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철도사업자가 그 사업의 전부를 폐업하려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철도사업자가 선로 또는 교량의 파괴, 철도시설의 개량, 그 밖의 정당한 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철도사업자의 휴업기간은 선로 또는 교량의 파괴, 철도시설의 개량, 그 밖의 정당한 사유로 휴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3개월을 넘을 수 없다.
     4. 철도사업자는 그 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려는 경우에는 휴업하는 사업의 내용과 그 기간 등을 인터넷 홈페이지, 관계 역ㆍ영업소 및 사업소 등 일반인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5. 철도사업자가 휴업에 대하여 허가를 받거나 신고한 휴업기간 중이라도 휴업 사유가 소멸된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고 사업을 재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1%

77.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관련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 ) 안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권한위임에 관한 규정은 고려하지 않음)(2016년 07월)

    

     1. ㄱ: 해양수산부장관, ㄴ: 등록, ㄷ: 신고
     2. ㄱ: 해양수산부장관, ㄴ: 신고, ㄷ: 등록
     3. ㄱ: 지방해양항만청장, ㄴ: 등록, ㄷ: 신고
     4. ㄱ: 지방해양항만청장, ㄴ: 신고, ㄷ: 등록
     5. ㄱ: 국토교통부장관, ㄴ: 신고, ㄷ: 등록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지문에 [항만별·업종별]이 힌트.
항만운송관련사업은 지방해양항만청장에게 등록 및 신고
물품공급업만 신고, 나머지는 등록
[해설작성자 : Yadon_]

78.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자에 대한 사업 개선 명령의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운임ㆍ요금의 인하
     2. 철도사업약관의 변경
     3. 철도차량 및 철도사고에 관한 손해보상을 위한 보험에의 가입
     4. 사업계획의 변경
     5. 공동운수협정의 체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도매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시가 지방도매시장을 개설하려면 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도매시장법인이 다른 도매시장법인을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경우에는 해당 도매시장 개설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중앙도매시장의 개설자는 양곡부류와 수산부류에 대하여는 도매시장법인을 두어야 한다.
     4. 시가 개설하는 지방도매시장의 개설구역에 인접한 구역으로서 그 지방도매시장이 속한 도의 일정 구역에 대하여는 해당 도지사가 그 지방도매시장의 개설구역으로 편입하게 할 수 있다.
     5. 지방도매시장의 개설자인 시가 업무규정을 변경하는 때에는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공판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농림수협등, 생산자단체 또는 공익법인이 공판장을 개설하려면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공판장에는 중도매인, 매매참가인, 산지유통인 및 경매사를 둘 수 있다.
     3. 공판장의 경매사는 공판장의 개설자가 임면한다.
     4. 공판장의 중도매인은 공판장의 개설자가 지정한다.
     5. 공익법인이 운영하는 공판장의 개설승인 신청서에는 해당 공판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장 또는 자치구의 구청장의 의견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임면권은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는"권한을 의미합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의견서 제출 X -> 업무규정,계획서 첨부 O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공판장 개설승인 절차(서류 첨부하여 시·도지사에게 제출)
1. 공판장의 업무규정 (다만, 도매시장의 업무규정에서 이를 정하는 도매시장공판장의 경우는 제외)
2. 운영관리계획서
[해설작성자 : Yadon_]


정 답 지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624980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보관하역론


1. 보관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중량특성의 원칙: 중량에 따라 보관장소를 하층부와 상층부로 나누어 보관한다.
     2. 회전대응의 원칙: 입ㆍ출하 빈도가 높은 물품은 출입구 가까이에 보관한다.
     3. 동일성ㆍ유사성의 원칙: 동일 품종은 동일 장소에 보관하며, 유사품은 인접 장소에 보관한다.
     4. 통로대면의 원칙: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보관물품의 장소와 선반 번호 위치를 표시하여 보관한다.
     5. 선입선출의 원칙: 먼저 입고한 것을 먼저 출고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보관기능과 항목이 옳게 연결된 것은?(2012년 08월)

   

     1. ㄱ: 고객서비스 기능, ㄴ: 수급조정 기능, ㄷ: 모달쉬프트 기능
     2. ㄱ: 수급조정 기능, ㄴ: 물류거점적 기능, ㄷ: 고객서비스 기능
     3. ㄱ: 수급조정 기능, ㄴ: 고객서비스 기능, ㄷ: 물류거점적 기능
     4. ㄱ: 고객서비스 기능, ㄴ: 모달쉬프트 기능, ㄷ: 물류거점적 기능
     5. ㄱ: 고객서비스 기능, ㄴ: 수급조정 기능, ㄷ: 물류거점적 기능

     정답 : []
     정답률 : 70%

3. 단일물품을 생산하는 A 회사는 신규 물류센터에 대한 두 가지 운영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첫째는 수요지 인근에 단일 대규모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집중형 방식이고, 둘째는 각 수요지별로 소규모 물류센터를 운영하는 분산형 방식이다. 동일한 여건에서 운영된다고 가정할 때 두 가지 운영방식의 비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집중형 방식이 생산지에서 수요지까지의 총운송비용이 적다.
     2. 분산형 방식이 고객과의 거리가 가까워 고객요구 대응이 유리하다.
     3. 분산형 방식이 물류센터의 총운영비용이 많다.
     4. 물류센터별 고객서비스 수준이 동일하다면 분산형 방식의 안전재고 수준이 낮다.
     5. 집중형 방식은 관리공간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정보와 현품의 대응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방식은 안벽과 야드간의 컨테이너 이송에 사용되는 장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은 무엇인가?(2008년 08월)
     1. 샤시 방식(Chassis System)
     2. 스트래들 캐리어 방식(Straddle Carrier System)
     3. 트랜스테이너 방식(Transtainer System)
     4. 혼합 방식(Mixed System)
     5. 무인이송차량 방식(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화물의 권상, 권하, 횡방향 끌기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장치의 총칭은?(2012년 08월)
     1. 엘리베이터(Elevator)
     2. 모노레일(Monorail)
     3. 호이스트(Hoist)
     4. 트롤리(Trolley)
     5. 포크 리프트(Fork Lift)

     정답 : []
     정답률 : 20%

6. 물류단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물류센터는 운송비와 생산비의 절충점을 찾아 총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공동집배송단지는 참여업체들의 공동구매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3. 중계센터는 제품의 보관보다는 단순중계가 주요한 기능으로 크로스도킹(Cross docking)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4. 물류단계의 축소를 위해 물류터미널의 소형화 및 분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5. 복합물류터미널은 소규모 화물의 로트화를 통해 혼재기능을 수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7. 다음 설명 중 하역장비의 명칭으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1년 08월)

   

     1. ㄱ: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ㄴ: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2. ㄱ: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ㄴ: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3. ㄱ: 오더 피킹 트럭(Order Picking Truck), ㄴ: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4. ㄱ: 탑 핸들러 (Top Handler), ㄴ: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5. ㄱ: 탑 핸들러(Top Handler), ㄴ: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크레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크레인은 천정크레인(Ceiling Crane), 갠트리크레인(Gantry Crane), 집크레인(Jib Crane), 기타 크레인 등으로 구분된다.
     2. 갠트리크레인은 레일 위를 주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나, 레일 대신 타이어로 주행하는 크레인도 있다.
     3. 스태커크레인(Stacker Crane)은 고층랙 창고 선반에 화물을 넣고 꺼내는 크레인의 총칭이다.
     4. 언로더(Unloader)는 천정에 설치된 에이치빔(H-beam)의 밑 플랜지에 전동 체인 블록 등을 매단 구조이며, 소규모 하역작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5. 집크레인은 고정식과 주행식이 있으며, 아파트 등의 건설공사에도 많이 쓰이고 수평방향으로 더 넓은 범위 안에서 작업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4. 천정크레인에 관한 설명
* 언로더는 항구에서 사용하는 기중기이다.
[해설작성자 : Yadon_]

언로더는 철광석, 석탄 및 석회석과 같은 벌크 화물 하역
[해설작성자 : 요구르트다 녀석들]

9. A사는 현재 2곳의 공장에서 다른 제품을 생산하여 3곳의 수요처에 각각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물류센터 한 곳을 신축하여 각 공장에서는 물류센터로 운송을 하고, 물류센터에서 3곳의 수요처로 운송할 계획이다. 물류센터와 기존시설과의 예상되는 1일 운송빈도는 아래 표와 같으며, 거리는 직각거리(Rectilinear Distance)로 가정한다. 총 이동거리( )를 최소화시키는 신규 물류센터의 최적 위치는?(2019년 07월)

   

     1. (x, y) = (6.0, 4.0)
     2. (x, y) = (6.2, 3.6)
     3. (x, y) = (7.0, 2.0)
     4. (x, y) = (7.0, 5.0)
     5. (x, y) = (7.8, 3.7)

     정답 : []
     정답률 : 25%

10. 다음과 같은 작업 조건하에서 물류센터가 필요로 하는 포크리프트 대수는?(2011년 08월)

    

     1. 10대
     2. 15대
     3. 20대
     4. 25대
     5. 30대

     정답 : []
     정답률 : 40%

11. 컨테이너 전용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 또는 이송장비가 아닌 것은?(2010년 08월)
     1. 언로더(Unloader)
     2.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3.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4.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
     5. 탑 핸들러(Top Handler)

     정답 : []
     정답률 : 60%

12. 화물의 취급표시(화인)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레이블링(Labeling)은 종이나 직포 등에 필요한 내용을 미리 인쇄해 두었다가 일정한 위치에 붙이는 것으로 통조림병, 유리병 등에 적용된다.
     2. 스탬핑(Stamping)은 고무인이나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찍는 방법으로 종이상자, 골판지상 자 등에 적용된다.
     3. 카빙(Carving)은 금속제품에 사용하며, 못으로 박거나 특정 방법에 의해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4. 태그(Tag)는 종이, 플라스틱판 등에 표시내용을 기재한 후 철사, 끈 등으로 매다는 방법이다.
     5. 스텐실(Stencil)은 시트에 문자를 파두었다가 붓, 스프레이 등으로 칠하는 방법으로 나무상자, 드럼 등에 적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3%

13. 화물의 취급표시(화인) 방법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2012년 08월)

    

     1. ㄱ: 스탬핑(Stamping), ㄴ: 라벨링(Labeling), ㄷ: 스텐실(Stencil), ㄹ: 스티커(Sticker)
     2. ㄱ: 스탬핑(Stamping), ㄴ: 라벨링(Labeling), ㄷ: 스텐실(Stencil), ㄹ: 태그(Tag)
     3. ㄱ: 라벨링(Labeling), ㄴ: 스탬핑(Stamping), ㄷ: 스텐실(Stencil), ㄹ: 스티커(Sticker)
     4. ㄱ: 라벨링(Labeling), ㄴ: 스탬핑(Stamping), ㄷ: 스텐실(Stencil), ㄹ: 태그(Tag)
     5. ㄱ: 라벨링(Labeling), ㄴ: 카빙(Carving), ㄷ: 스텐실(Stencil), ㄹ: 태그(Tag)

     정답 : []
     정답률 : 77%

14.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에 적합한 오더피킹(Order Picking)의 출고형태(보관단위-피킹단위)는?(2017년 07월)
     1. 파렛트-파렛트
     2. 파렛트-케이스
     3. 케이스-케이스
     4. 케이스-단품
     5. 단품-단품

     정답 : []
     정답률 : 62%

15. 다음 내용에 맞는 오더피킹 방법은?(2011년 08월)

    

     1. 릴레이방법
     2. 총량피킹방법
     3. 1인 1건 방법
     4. 파종방법
     5. 어소트 방법

     정답 : []
     정답률 : 82%

16. 집중구매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자주적 구매가 가능하고 사업장 특수요구가 반영된다.
     2. 자재 수입 등 절차가 복잡한 구매에 유리하다.
     3. 시장조사나 거래처의 조사, 구매효과의 측정 등이 유리하다.
     4. 대량구매로 가격과 거래 조건이 유리하다.
     5. 공통자재의 표준화, 단순화가 가능하며 재고를 줄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2%

17. 다음 창고보관 장비 중 포크리프트가 랙 내부에 진입하여 하역작업을 할 수 있고, 보관장소와 통로를 겸하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소품종대량의 제품이며 회전율이 적은 제품에 적합하고, 계절적인 수요가 있는 화물의 보관에 매우 경제적인 랙은 무엇인가?(2008년 08월)
     1. 모빌 랙
     2. 파렛트 랙
     3. 드라이브 인 랙
     4. 암 랙
     5. 적층 랙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물류단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8월)
     1. DP(Depot) : 재고품의 보관거점으로 상품의 배송거점인 동시에 예상수요에 대한 보관거점을 의미하며 일명 하치장이라 부른다.
     2. ICD(Inland Container Depot) : 산업단지와 항만 사이를 연결하여 화물의 유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대규모 물류단지이다.
     3. CY(Container Yard) : LCL(Less than Container Load) 화물을 모아서 FCL(Full Container Load)화물로 만드는 취급장이다.
     4. SP(Stock Point) : 수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갖추어진 집배중계지 및 배송처에 컨테이너가 CY에 반입되기 전 야적된 상태에서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장소이다.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 컨테이너 보세장치장, 마샬링 야드 등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1. DP(Depot) → SP(Stock Point)
2. 정답
3. CY(Container Yard) →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4. SP(Stock Point) → DP(Depot)
5.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 CY(Container Yard)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19. 수요예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시계열분석법은 기존 제품과 관련된 과거의 자료를 분석하여 신제품의 미래수요를 정성적으로 예측하는 방법이다.
     2. 가중이동평균법은 각 실적치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고, 과거의 실적치에 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3. 지수평활법은 관찰된 실제수요와 이전 예측치에 상대적인 가중치를 두어 새로운 예측치를 구한다.
     4. 시장조사법은 설문지, 현장인터뷰 등을 통해 소비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5. 전문가조사법을 활용할 경우, 타협이나 절충에 의해 예측 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오더피킹(Order Picking)의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8월)
     1. 1인 1건 방법은 1인의 피커(Picker)가 1건의 주문전표에 명기된 물품을 피킹하는 방법이다.
     2. 릴레이 방법은 여러 사람의 피커가 각각 자기가 분담하는 종류나 선반의 작업범위를 정해 두고서 피킹전표 속에서 자기가 맡은 종류의 물품만을 피킹해서 릴레이식으로 다음의 피커에게 넘겨주는 방법이다.
     3. 존피킹(Zone Picking) 방법은 릴레이 방법과 똑같이 여러 사람의 피커가 각각 자기가 분담하는 종류의 선반의 작업 범위를 정해 두고서 피킹 전표 속의 자기가 맡은 종류의 물품만을 피킹한다.
     4. 일괄오더피킹 방법은 여러 건의 주문전표를 모아서 한번에 피킹하는 방법으로, 주문별로 분류할 필요가 없다.
     5. 총량피킹 방법은 한나절이나 하루의 주문전표를 모아서 피킹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다음 중 정성적 수요예측기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ㅁ, ㅂ
     4. ㄴ, ㄹ, ㅂ
     5.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82%

22. 포장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8월)
     1. 공업포장은 최소의 경비로 그 기능을 만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상업포장은 상품의 파손을 방지하고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적정포장을 하는 것이다.
     3. 공업포장의 제1의 목적은 보호기능이며, 상업포장의 제1의 목적은 판매촉진기능이다.
     4. 상업포장에서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다면 포장비용의 상승도 무방하다.
     5. 공업포장은 물품의 보호기능과 취급의 편리성을 추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23. 아래와 같은 조건일 때 요구되는 트럭 도크(Dock)의 수는?(2012년 08월)

    

     1. 40 개
     2. 44 개
     3. 48 개
     4. 52 개
     5. 56 개

     정답 : []
     정답률 : 40%

24. 다음은 어느 제품의 주문량 실적치이다. 이 회사에서는 3개월 이동평균법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5월의 예측치와 실제 주문량의 차이는 얼마이며, 6월의 예측치는 얼마인가?(단위 : 개)(2008년 08월)

    

     1. 5월의 예측 차이= 8, 6월의 예측치=260
     2. 5월의 예측 차이= 8, 6월의 예측치=265
     3. 5월의 예측 차이=15, 6월의 예측치=260
     4. 5월의 예측 차이=15, 6월의 예측치=265
     5. 5월의 예측 차이=20, 6월의 예측치=26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C기업의 공장은 JIT(Just In Time)를 도입하고 있다. 공장 내부의 A작업장에서 가공된 M부품은 B작업장으로 보내져 여기서 또 다른 공정을 거친다. B작업장은 시간당 200개의 M부품을 필요로 한다. 용기 하나에는 20개의 M부품을 담을 수 있다. 용기의 1회 순회시간은 0.8시간이다. 물류담당자는 시스템 내에 다소의 불안요인이 있어 10%의 안전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A작업장과 B작업장간에 필요한 M부품용기의 수는 최소 몇 개인가?(2008년 08월)
     1. 7
     2. 8
     3. 9
     4. 10
     5. 11

     정답 : []
     정답률 : 70%

26. 다음은 K기업의 A제품의 자재소요계획(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에 관한 정보이다. 부품 X와 Y의 순 소요량은?(2025년 07월)

    

     1. X: 150, Y: 210
     2. X: 160, Y: 210
     3. X: 180, Y: 240
     4. X: 210, Y: 150
     5. X: 240, Y: 18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K기업은 제품 판매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지수평활법을 사용하고 있다. 6월 제품 판매량은 94,000개로 예측하였으나 실제 판매량은 98,000개이었고, 7월 실제 판매량은 92,000개이었다. 8월의 제품 판매량 예측치(개)는? (단, 평활상수(α) 는 0.3을 사용한다.)(2025년 07월)
     1. 93,880
     2. 94,000
     3. 94,240
     4. 95,200
     5. 96,16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하역의 원칙이 아닌 것은?(2024년 08월)
     1. 경제성 원칙
     2. 이동거리 최소화 원칙
     3. 동일성 원칙
     4. 단위화 원칙
     5. 운반 활성화 원칙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하역의 원칙
경제성 원칙, 중력이용의 원칙, 기계화의 원칙, 운반 활성화 원칙, 이동거리 및 시간의 최소화 원칙, 유닛화의 원칙(단위화 원칙), 인터페이스의 원칙, 시스템화의 원칙
[해설작성자 : 망고]

29. 다음은 항만하역장비의 종류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2013년 06월)

    

     1.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
     2.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3.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4. 탑 핸들러(Top Handler)
     5.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

     정답 : []
     정답률 : 25%

30.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아웃리치(Out-reach)란 스프레더가 바다 쪽으로 최대로 진행되었을 때, 바다 측레일의 중심에서 스프레더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2. 백리치(Back-reach)란 트롤리가 육지 측으로 최대로 나갔을 때, 육지 측 레일의 중심에서 스프레더 중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3. 호이스트(Hoist)란 스프레더가 최대로 올라갔을 때 지상에서 스프레더 컨테이너코너 구멍 접촉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4. 타이다운(Tie-down)이란 크레인이 넘어졌을 때의 육지 측 레일의 중심에서 붐상단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5. 헤드블록(Head Block)이란 스프레더를 달아매는 리프팅 빔으로서 아래 면에는 스프레더 소켓을 잡는 수동식 연결핀이 있으며 윗면은 스프레더 급전용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4. 타이다운(Tie-down)은 캔트리 크레인의 바닥 고정용 장치임.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31. 다음 중 재고를 줄이기 위한 기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2007년 08월)
     1. BSC(Balanced Score Card)
     2. JIT(Just In Time)
     3.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4. SCM(Supply Chain Management)
     5. DRP(Distribution Requirement Plannin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BSC는 균형성과표로서 성과를 관리하는 성과관리 시스템이지,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Hoon]

32. 유닛로드 시스템(Unit Load System)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7월)
     1. 물류관리의 시스템화가 용이하여 하역과 수송의 일관화를 가능하게 한다.
     2.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요 없고 유닛로드용의 자재를 관리하기가 쉬워진다.
     3. 수송 및 보관업무의 효율적인 운영과 수송포장의 간이화를 가능하게 한다.
     4. 하역작업의 혁신을 통해 수송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
     5. 호환성이 증대되어 다른 회사와 공동으로 파렛트를 사용하는 등 시스템 연계성을 높일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6%

33. 어느 상점에서 판매되는 제품과 관련된 자료는 아래와 같다. 경제적 주문량 모형(EOQ)에 의한 정량발주 재고정책을 취할 때 연간 최적 주문주기는? (단, 1년은 365일로 계산한다.)(2019년 07월)

    

     1. 32.5일
     2. 36.5일
     3. 40.5일
     4. 44.5일
     5. 48.5일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연간 최적주문횟수 : 연간 수요량 / EOQ
연간 최적주문주기 : 365 / 연간 최적주문횟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EOQ공식: √2SD/H
S:2,000
D:2,000
H:200

- EOQ: √((2*2,000*2,000)/200) = 200
- 연간 최적주문횟수: 2,000(D)/200(EOQ) = 10
- 연간 최적주문주기: 365/10 = 36.5
[해설작성자 : 고대방개]

34. 아래와 같은 조건 일 때, 필요한 트럭 도크(Dock)의 수는?(2011년 08월)

    

     1. 44개
     2. 46개
     3. 48개
     4. 50개
     5. 52개

     정답 : []
     정답률 : 64%

35. 합리적인 하역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활성화의 원칙: 운반활성 지수의 최대화를 지향함
     2. 인터페이스의 원칙: 공정간의 접점을 원활히 함
     3. 중력이용의 원칙: 인력작업을 기계화로 대체함
     4. 이동거리(시간) 최소화의 원칙: 하역작업의 이동거리(시간)를 최소화함
     5. 시스템화의 원칙: 시스템 전체의 밸런스를 염두에 두고 시너지 효과를 올리기 위함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중력이용의 원칙 : 중력의 법칙에 따라 화물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이는 것이 용이하다는 원칙
보기 3의 내용은 기계화의 원칙

36. 하역작업과 관련된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더니지(Dunnage): 운송기기에 실려진 화물이 손상, 파손되지 않도록 밑바닥에 까는 물건을 말한다.
     2. 래싱(Lashing): 운송기기에 실려진 화물을 줄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3. 스태킹(Stacking): 화물을 보관시설 또는 장소에 쌓는 작업을 말한다.
     4. 피킹(Picking): 보관 장소에서 화물을 꺼내는 작업을 말한다.
     5. 배닝(Vanning): 파렛트에 화물을 쌓는 작업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Vanning은 컨테이너에 화물 적입하는거
[해설작성자 : ^^]

37.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하역장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리치 스태커(Reach Stacker)는 장비의 회전 없이 붐에 달린 스프레더만을 회전하여 컨테이너를 이적 또는 하역하는 장비이다.
     2. 무인운반차량(Automated Guided Vehicle)은 무인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장비이다.
     3. 야드 트랙터(Yard Tractor, Y/T)는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이동ㆍ운송하는데 사용되는 이동장비로서 일반 도로 운행이 가능한 장비이다.
     4. 스트래들 캐리어(Straddle Carrier)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를 마샬링 야드로부터 에이프런 또는 CY지역으로 운반 및 적재할 경우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5. 윈치크레인(Winch Crane)은 차체를 이동 및 회전시키면서 컨테이너트럭이나 플랫 카(Flat Car)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장비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컨테이너 부두 내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김문악]

38. 연속된 5개의 화물분류 공정별(A~E) 공정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 이 중 공정 1개의 공정시간을 변경하였을 때 공정효율(Balance Efficiency)이 80%가 되는 공정명과 공정시간은?(2016년 07월)

    

     1. 공정 A, 9분
     2. 공정 B, 10분
     3. 공정 C, 11분
     4. 공정 D, 8분
     5. 공정 E, 8분

     정답 : []
     정답률 : 27%

39. 제품 X는 2개의 부품 Y와 3개의 부품 Z로 조립된다. 이때, 부품 Y는 1개의 부품 A와 2개의 부품 B로 조립되고, 부품 Z는 2개의 부품 A와 4개의 부품 C로 조립된다. 각 제품 및 부품의 리드타임이 아래 표와 같을 때, 제품 X가 10주차에 100개가 필요하다면 부품 C를 몇 주차에 몇 개를 주문해야 하는가? (단, 제품 X 및 각 부품의 초기재고는 없음)(2010년 08월)

    

     1. 2주차, 600개
     2. 3주차, 400개
     3. 3주차, 1,200개
     4. 6주차, 300개
     5. 7주차, 1,200개

     정답 : []
     정답률 : 70%

40. 하역 합리화의 기본 및 보조 원칙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기계화의 원칙은 인력작업을 기계작업으로 대체하여 하역작업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원칙이다.
     2. 전산화의 원칙은 자재운반 및 보관활동 전반에 걸친 전산화 작업을 고려한다.
     3. 인터페이스의 원칙은 하역작업의 여러 공정 간의 계면 또는 접점이 원활히 연계되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4. 단순화의 원칙은 복잡한 시설과 관리체계를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의 이해와 인식을 용이하게 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표준화의 원칙은 하역 작업을 표준화하여 작업의 공정한 배분과 평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하역작업의 효율성을 추구하는 원칙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2년 08월)
     1. 물류인력의 양성 및 물류기술개발에 관한 사항
     2. 물류표준화ㆍ공동화ㆍ정보화 등 물류체계의 효율화에 관한 사항
     3. 지역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사항
     4. 국제물류의 촉진ㆍ지원에 관한 사항
     5. 국내외 물류환경의 변화와 전망

     정답 : []
     정답률 : 64%

42.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서비스업으로 분류되지 않는 사업은?(2011년 08월)
     1. 화물운송의 주선
     2. 물류장비의 임대
     3. 물류정보의 처리
     4. 물류컨설팅
     5. 물류시설의 운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가물류기본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8월)
     1. 국가물류기본계획은 20년 단위로 수립한다.
     2. 국가물류기본계획은 교통체계효율화법에 따라 수립된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우선한다.
     3. 국토종합계획 등 다른 계획의 변경으로 인한 사항을국가물류기본계획에반영하는경우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4. 국가물류기본계획을 시행하기 위하여 5년마다 연도별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5. 국가물류기본계획의 연도별시행계획은 물류정책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물류정책기본법 제6조, 국가물류기본계획은 10년단위로 수립한다
2. 국가물류기본계획은 다른 상위 계획과의 정합성을 유지, 국가기간교통망계획과 조화를 이루도록해야함. 우선하지않음
3. 물류정책기본법 제6조 제4항에 명시됨 <- 정답
4. 연도별 시행계획은 매년 수립해야함
5. 연도별 시행계획은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받는것이 원칙.    물류정책분과위원회는 실무 지원역할을 함
[해설작성자 : 인앤민]

44. 물류정책기본법령상 물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6월)
     1. 국토교통부장관은 화주기업이 제3자물류를 자가물류로 전환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2. 물류사업을 종합적ㆍ복합적으로 영위하는 자는 자신이 영위하는 물류사업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의 장으로부터 종합물류기업인증을 받을 수 있다.
     3. 종합물류기업 인증센터에 대한 지도ㆍ감독권은 국토교통부장관이 가진다.
     4. 국토교통부장관 및 해양수산부장관은 물류사업에 관련된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외국물류대학의 국내유치활동 지원사업을 할 수 있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물류관리사를 고용한 물류관련사업자에 대하여 다른 사업자에 우선하여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45. 화물유통촉진법상 물류표준화에 대한 사항을 열거한 것이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8월)
     1. 건설교통부장관은 물류표준의 보급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관계행정기관ㆍ정부투자기관ㆍ물류사업자 또는 물류에 관련된 장비의 사용자 및 제조업자에 대하여 물류표준에 적합한 장비를 제조ㆍ사용하게 하거나 포장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권고할 수 있다.
     2. 물류표준화의 기준은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에 의한다.
     3. 건설교통부장관은 물류표준화에 관한 업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산업자원부장관에게 한국산업표준의 제정ㆍ개정 또는 폐지를 요청할 수 있다.
     4. 건설교통부장관은 물류표준화에 대한 업무를 추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문기관을 설치할 수 있다.
     5. 건설교통부장관은 물류회계의 표준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물류사업자등에게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권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화물유통촉진법상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인증종합물류업자가 물류와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소요자금의 일부를 융자하거나 부지의 확보를 위한 지원 등을 할 수 있다. 다음 중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7년 08월)
     1. 물류업무의 자동화 및 물류장비의 표준화
     2. 물류시설의 확충
     3. 첨단물류기술의 개발 및 적용
     4. 해외로부터 물류 관련 장비의 도입
     5. 해외시장의 개척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물류정책기본법령상 종합물류정보망을 구축ㆍ운영할 자로 지정받을 수 있는 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고 있는 공공기관이 아닌 것은?(2010년 08월)
     1. 인천국제공항공사
     2. 한국수자원공사
     3. 한국도로공사
     4. 한국철도공사
     5. 한국토지주택공사

     정답 : []
     정답률 : 54%

48. 물류정책기본법령상 국제물류주선업의 사업승계 및 휴지ㆍ폐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지ㆍ폐지하려는 경우에는 미리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사업의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 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법인의 합병신고서의 첨부서류에는 합병당사자인 법인의 최근 1년 이내의 사업용고정자산의 명세서가 포함된다.
     4. 사업을 폐지하려는 자가 법인인 경우에는 폐지신고서에 사업폐지에 관한 법인의 의사결정을 증명하는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5. 법인의 합병외의 사유로 해산 신고를 하려는 자는 해산한 날부터 15일 이내에 해산신고서를 국토해양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49.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철도사업법」에 따른 철도사업자가 그 사업에 사용하는 화물운송ㆍ하역 및 보관 시설은 일반물류단지 안에 설치하더라도 일반물류단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다.
     2.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른 공동집배송센터를 경영하는 사업은 물류터미널사업에서 제외된다.
     3. 「주차장법」에 따른 주차장에서 자동차를 보관하는 사업은 물류창고업에서 제외된다.
     4. 화물의 집화ㆍ하역과 관련된 가공ㆍ조립 시설의 전체 바닥면적 합계가 물류터미널의 전체 바닥면적 합계의 4분의 1을 넘는 경우에는 물류터미널에 해당하지 않는다.
     5. 물류단지시설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물류단지 안에 설치되는 금융ㆍ보험ㆍ의료 시설은 지원시설에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 화물운송&하역 및 보관 시설은 그 자체로 일반물류단지시설이다.
[해설작성자 : 김빌런]

1. 철도사업자가 그 사업에 사용하는 화물운송·하역 및 보관시설은 일단물류단지시설로 본다.(정답)
+ 2. 공동집배송센터운영업은 물류시설운영업 중 창고업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Yadon_]

+ 이 문제가 어려웠던 이유는 물류터미널사업 문제에 갑자기 일반물류단지시설이 나와서 어려웠던 문제입니다.
철도사업자가 그 사업에 사용하는 화물 운송 하역 및 보관시설은 일반물류단지시설은 맞지만, 물류터미널 사업으로 인정이 되지 않는 범위입니다.
문제를 참..., 어럽게 낸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Hoon]

<물류 터미널사업>에 해당되지 않는 것, 그러나 <일반 물류단지 시설>인 것
1. 항만법의 항만 시설 중 항만 구역 안에 있는 화물 하역 시설 및 화물 보관 처리 시설
2. 공항시설법의 공항시설 중 공항 구역 안에 있는 화물 운송을 위한 시설과 그 부대시설
3. 철도 사업법에 따른 철도 사업자가 그 사업에 사용하는 화물 운송 하역 및 보관 시설
4. 유통산업 발전법의 집배송시설 및 공동집배송센터
[해설작성자 : 고양이]

50.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상 물류터미널사업협회에 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2년 08월)

    

     1. ㄱ: 2분의 1, ㄴ: 3분의 1
     2. ㄱ: 3분의 1, ㄴ: 3분의 1
     3. ㄱ: 3분의 1, ㄴ: 2분의 1
     4. ㄱ: 5분의 1, ㄴ: 3분의 1
     5. ㄱ: 5분의 1, ㄴ: 4분의 1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물류터미널사업협회
회원의 자격이 있는 자 중 5분의 1이상의 발기인이 정관 작성
회원의 자격이 있는 자의 3분의 1이상이 출석한 창립총회 의결
국토교통부장관의 설립인가
<물류터미널 5131>
[해설작성자 : Yadon_]

51.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기반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예산을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할 수 없는 경우는?(2018년 07월)
     1. 「도로법」제2조제1호에 따른 도로의 설치
     2. 「철도산업발전기본법」제3조제1호에 따른 철도의 설치
     3. 「수도법」제3조제17호에 따른 수도시설의 설치
     4. 「폐기물관리법」제2조제8호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5. 「물환경보전법」제2조제12호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설치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물류시설법 시행령 (12조의 2) 4개 항목!
- 도로법에 따른 도로
- 철도산업발전기본법에 따른 철도
- 수도법에 따른 수도시설
-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수질오염방지시설
4번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에 대한 내용은 없음
[해설작성자 : 부들부들맨의 든든한BAG]

52.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복합물류터미널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이란 두 종류 이상의 운송수단 간의 연계운송을 할 수 있는 규모 및 시설을 갖춘 물류터미널사업을 말한다.
     2.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3.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등록에 따른 권리ㆍ의무를 승계한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는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업하거나 폐업하려는 때에는 미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가 다른 사람에게 등록증을 대여한 때에는 등록을 취소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복합물류터미널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등록을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이거보면합격]

53.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국토해양부장관이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듣고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한 후 물류시설분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의 수립
     2. 물류단지관리계획의 수립
     3. 물류단지의 지정
     4. 물류단지개발지침의 작성
     5. 물류단지관리지침의 작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터미널 개발의 지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물류터미널의 건설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지분의 50% 이상을 확보하는 조건으로 소요자금의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도로ㆍ철도ㆍ용수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반시설의 설치 또는 개량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할 수 있다.
     3.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물류터미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소요자금 전부의 예치를 조건으로 부지의 확보를 위한 행정지원을 할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는 물류터미널사업자가 설치한 물류터미널의 원활한 운영에 필요한 도로ㆍ철도ㆍ용수시설 등 기반시설의 설치 또는 개량에 필요한 예산을 전액 부담하여야 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사업의 필요에 의하여 부지확보 및 도시ㆍ군계획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9%

55.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7월)
     1. 100만 제곱미터의 일반물류단지를 지정하는 경우 국가물류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2. 일반물류단지개발계획을 수립할 때까지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가 확정되지 아니하였다면 일반물류단지를 지정할 수 없다.
     3. 국토교통부장관이 일반물류단지개발계획 중 일반물류단지개발사업 시행자를 변경하려는 경우 관할 시ㆍ도지사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4. 물류단지개발지침의 내용에는 '문화재의 보존을 위하여 고려할 사항'이 포함되지 않는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무분별한 물류단지 개발을 방지하고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시ㆍ도지사와 협의하여 물류단지 실수요 검증을 실시하여야 하고 실수요검증위원회의 자문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1. 국가물류정책위원회 -> 시도지사
단 , 대상 지역의 2개 이상 특별 자치시도에 걸쳐 있는 경우 -> 국토부장관
2.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지정 후 계획에 포함 가능
4. 고려할 사항
     - 문화재 보존
     - 토지가격 안정
     - 분양가격 결정
     - 토지 시설 등 공급
5. 시도지사 협의 -> 관련 행정기관 협의
[해설작성자 : 고양이]

56. 물류시설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령상 물류단지개발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8월)
     1. 물류단지지정권자는 준공검사를 한 결과 실시계획대로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보완시공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하여야 한다.
     2.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주자 또는 인근지역의 주민을 우선적으로 고용하여야 한다.
     3. 물류단지지정권자는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에게 물류단지의 진입도로 및 간선도로를 설치하게 할 수 있다.
     4. 시ㆍ도지사 또는 시장ㆍ군수는 물류단지개발사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에 물류단지개발특별회계를 설치할 수 있다.
     5. 물류단지개발사업의 시행자는 물류단지 안에 있는 기존의 시설을 철거하지 아니하여도 물류단지개발사업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이를 남겨두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시행자(x) 입주기업체 및 지원기관(o)
[해설작성자 : 똘딴]

시행자 : 물류단지개발사업으로 인하여 생활의 근거를 상실하게 되는 자("이주자")에 대한 이주대책 등을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입주기업체 및 지원기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주자 또는 인근지역의 주민을 우선적으로 고용하여야 한다.
시행자 - 이주대책
입주기업체 - 고용
[해설작성자 : Yadon_]

57.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공영차고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7월)
     1.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공기관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은 공영차고지를 설치하여 직접 운영할 수 있다.
     2. 도지사는 공영차고지를 설치하여 운송사업자에게 운영을 위탁할 수 있다.
     3. 군수는 공영차고지를 설치하여 운송가맹사업자에게 임대할 수 있다.
     4. 「지방공기업법」에 따른 지방공사가 공영차고지의 설치ㆍ운영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는 미리 시ㆍ도지사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5. 시ㆍ도지사를 제외한 차고지설치자가 인가받은 공영차고지의 설치ㆍ운영에 관한 계획을 변경하려면 미리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신고'가 아닌 '인가' 필요.

시ㆍ도지사를 제외한 차고지설치자가 설치ㆍ운영계획을 수립하는 경우에는 미리 시ㆍ도지사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인가받은 계획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해설작성자 : fff]

58.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안전운행의 확보, 운송질서의 확립 및 화주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경우 운송가맹사업자에 대하여 발령될 수 있는 개선명령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7월)
     1. 감차 조치
     2. 화물자동차의 구조변경
     3. 운송시설의 개선
     4. 운송약관의 변경
     5. 화물의 안전운송을 위한 조치

     정답 : []
     정답률 : 50%

59.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약관에 기재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8월)
     1. 사업의 종류
     2. 운임 및 요금의 환급에 관한 사항
     3. 화물의 인도ㆍ인수에 관한 사항
     4. 책임보험계약에 관한 사항
     5. 면책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상 운송사업자의 준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7월)
     1. 운송사업자는 허가 받은 사항의 범위에서 사업을 성실하게 수행하여야 하며, 부당한 운송조건을 제시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운송계약의 인수를 거부하거나 그 밖에 화물운송 질서를 현저하게 해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운송사업자는 둘 이상의 화물자동차 운송가맹점에 가입하여서는 아니 된다.
     3. 운송사업자는 위ㆍ수탁계약으로 차량을 현물출자 받은 경우에는 위ㆍ수탁차주를「자동차관리법」에 따른 자동차등록원부에 현물출자자로 기재하여야 한다.
     4. 운송사업자는 위ㆍ수탁차주가 다른 운송사업자와 동시에 1년 이상의 운송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제한 하거나 이를 이유로 불이익을 주어서는 아니 된다.
     5. 위ㆍ수탁차주가 현물출자한 차량에 대하여 보험료 납부 등 위ㆍ수탁차주가 이행하여야 하는 차량관리 의무의 해태로 인하여 운송사업자의 채무가 발생하였을 경우, 운송사업자는 재량으로 그 차량에 대하여 채무액을 초과하여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위ㆍ수탁차주가 현물출자한 차량에 대하여 보험료 납부 등 위ㆍ수탁차주가 이행하여야 하는 차량관리 의무의 해태로 인하여 운송사업자의 채무가 발생하였을 경우, 운송사업자는 재량으로 그 차량에 대하여 채무액을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ㅇㅇ]

61.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운송사업자의 준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운송사업자는 택시 요금미터기의 장착을 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운송사업자는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양도ㆍ양수하는 경우에 양도ㆍ양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위ㆍ수탁차주에게 부담시켜서는 아니 된다.
     3. 최대적재량 1.5톤을 초과하는 화물자동차를 밤샘주차하는 경우 차고지에서만 하여야 한다.
     4. 화주로부터 부당한 운임 및 요금의 환급을 요구받았을 때에는 환급하여야 한다.
     5. 밴형 화물자동차를 사용해서 화주와 화물을 함께 운송하는 사업자는 화물자동차 바깥쪽에 “화물”이라는 표기를 한국어 및 외국어(영어, 중국어 및 일어)로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5t 초과하는 화물자동차에만 해당
[해설작성자 : 한국항만물류고]

최대적재량 1.5통 이하 화물자동차의 경우에는 주차장, 차고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시설 및 장소에서만 밤샘주차할 것
[해설작성자 : 더 먼 세상으로]

62.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차량충당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7월)
     1. 신규등록에 충당되는 화물자동차는 차령이 2년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연한 이내여야 한다.
     2. 제작연도에 등록된 화물자동차의 차량충당 연한의 기산일은 제작연도의 말일이다.
     3. 부득이한 사유가 없는 한 대폐차 변경신고를 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대폐차하여야 한다.
     4. 대폐차의 절차 및 방법 등에 관하여 국토교통부령으로 규정한 사항 외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5. 국토교통부장관은 차량충당조건에 대하여 2014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5년마다 그 타당성을 검토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2년 -> 3년의 범위
2. 삭제
3. 30일 -> 15일 이내 대폐차,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6개월 이내
5. 5년 -> 3년마다 검토
[해설작성자 : Yadon_]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제작연도의말일 >>> 최초의 신규 등록일
[해설작성자 : 시대 보고 적는]

63.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양도와 양수 및 상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0년 08월)
     1.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양도ㆍ양수하려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양수인은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운송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그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을 계속하려면 피상속인이 사망한 후 30일 이내에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운송사업자인 법인이 서로 합병하려는 경우에는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합병으로 존속하거나 신설되는 법인은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운송사업자가 사망한 경우 상속인이 이 법령에 의한 신고를 하면 피상속인이 사망한 날부터 신고한 날까지 피상속인에 대한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허가는 상속인에 대한 허가로 본다.
     5. 합병 이후에 존속되는 법인은 합병으로 소멸되는 법인의 운송사업자로서의 지위를 승계하지 못하고 신규로 설립된 법인만이 지위를 승계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1. 시도지사 → 국토교통부장관
2. 30일 →    90일
3. 시도지사 → 국토교통부장관
5. 승계하지 못하고 신규로 설립된 법인만이 지위를 승계한다. → 승계한다.
[해설작성자 : 지나가던 행인]

64.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최대 적재량이 5톤 이상이거나 총 중량이 10톤 이상인 화물자동차 중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화물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운송사업자는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2. 보험업법에 따른 보험회사는 적재물배상보험 등에 가입하여야 하는 자가 적재물배상보험등에 가입하려고 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가 있는 경우 외에는 적재물배상보험등의 계약의 체결을 거부할 수 없다.
     3. 운송가맹사업자는 손해배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4. 보험회사등은 자기와 책임보험계약등을 체결하고 있는 보험등 의무가입자에게 그 계약종료일 30일 전까지 그 계약이 끝난다는 사실을 알려야 한다.
     5. 운송사업자는 각 사업자별로 3천만원 이상의 금액을 지급할 책임을 지는 적재물배상 책임보험 또는 공제에 가입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65.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8년 08월)
     1. 항만안에서 화물을 선박에 적하하거나 선박으로부터 양하하는 일
     2. 선박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공급을 위해 운송하는 일
     3. 선적화물을 적하 또는 양하하는 경우에 그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의 계산 또는 증명을 행하는 일
     4. 항만안에서 선박 또는 부선에 의하여 운송된 화물을 창고 또는 하역장에 반입하는 일
     5. 항만안또는지정구간에있어서뗏목으로 편성하여 목재를 운송하는 일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6.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령상 관할관청이 화물자동차 운송사업의 임시허가 신청을 받았을 때 확인해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2024년 08월)
     1. 화물자동차의 등록 여부
     2. 차고지 설치 여부 등 허가기준에 맞는지 여부
     3. 화물운송 종사자격 보유 여부
     4. 화물운송사업자의 채권ㆍ채무 여부
     5. 적재물배상보험등의 가입 여부

     정답 : []
     정답률 : 76%

67.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관련사업자의 등록취소 또는 사업정지 사유 중 반드시 등록을 취소하여야 하는 것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4년 06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9%

68. 유통산업발전법령상 유통산업발전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7월)
     1.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10년마다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에는 유통산업의 지역별ㆍ종류별 발전방안이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3. 시ㆍ도지사는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에 따라 2년마다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시ㆍ도지사는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의 집행실적을 다음 연도 1월 말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5. 지역별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은 유통전문인력ㆍ부지 및 시설 등의 수급방안을 포함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 10년 -> 5년
2.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 포함되어야 한다.
3. 시도지사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4. 시도지사 ->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1.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5년마다 유통산업발전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한다.
2. 포함되어야 한다.
3.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유통산업발전시행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4.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시행계획의 집행실적을 "다음 연도 2월 말일까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Yadon_]

69. 유통산업발전법상 대규모점포등에 대한 영업시간의 제한 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7월)
     1.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건전한 유통질서 확립, 근로자의 건강권 및 대규모점포등과 중소유통업의 상생발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에 대하여 영업시간제한 또는 의무휴업을 명하여야 한다.
     2. 연간 총매출액 중「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에 따른 농수산물의 매출액 비중이 50퍼센트 이상인 대규모점포등으로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대규모점포등에 대하여는 영업시간제한 또는 의무휴업을 명하여서는 아니 된다.
     3.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영업시간을 제한할 경우 오전 0시부터 오전 11시까지의 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다.
     4.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의무휴업일을 지정할 경우 매월 이틀을 지정하여야 한다.
     5. 특별자치시장ㆍ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의무휴업일을 지정할 경우 공휴일 중에서 지정하여야 하고, 이해당사자와 합의를 거치더라도 공휴일이 아닌 날을 의무휴업일로 지정할 수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명해야 한다 > 명할 수 있다.
2. 50->55퍼센트
3. 오전0시부터 오전11시까지->오전 0시부터 오전10시까지
5. 할 수 없다 -> 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고양이]

70. 유통산업발전법의 적용이 배제되는 시장ㆍ사업장 및 매장이 아닌 것은?(2019년 07월)
     1.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농수산물도매시장
     2.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제2조에 따른 전통시장
     3. 「축산법」제34조에 따른 가축시장
     4.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민영농수산물도매시장
     5.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제2조에 따른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농수산물도매시장/농수산물공판장/민영농수산물도매시장 및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축산법에 따른가축시장은 적용배제
[해설작성자 : 뚜밥]

71. 유통산업발전법상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7월)
     1. 재래시장의 활성화
     2. 전문상가단지의 건립
     3. 비영리법인의 판매사업 활성화
     4.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의 건립 및 운영
     5. 중소유통기업의 창업 지원 등 중소유통기업의 구조개선 및 경쟁력 강화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 - 15조 3항
2 - 20조 1항
4 - 17조의 2
5 - 15조 4항
[해설작성자 : 진심]

72.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은?(2021년 07월)
     1. 선적화물을 실을 때 그 화물의 개수를 계산하는 일
     2. 통선(通船)으로 본선과 육지 간의 연락을 중계하는 행위
     3. 항만에서 선박 또는 부선(艀船)을 이용하여 운송될 화물을 하역장[수면(水面) 목재 저장소는 제외]에서 내가는 행위
     4.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될 화물을 화물주의 위탁을 받아 항만에서 화물주로부터 인수하는 행위
     5. 선적화물 및 선박에 관련된 증명ㆍ조사ㆍ감정을 하는 일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 항만운송사업 -> 항만하역, 검수, 감정, 검량사업
1번 검수
3번 하역
4번 하역
5번 감정 등
[해설작성자 : 비비안지유]

2번은 "항만 용역업", 항만용역업은 아래의 행위들로 이뤄짐
-통선으로 본선과 육지 사이에서 사람이나 문서 등을 운송하는 행위
-본선을 경비하는 행위나 본선의 이안 및 접안을 보조하기 우하여 줄잡이 역무를 제공하는 행위
-선박의 청소, 오물 제거 소득 폐기물 의 수집, 운반, 화물 고정, 칠등을 하는 행위
-선박에서 사용하는 맑은 물을 공급하는 행위
[해설작성자 : 고양이]

73. 유통산업발전법령상 대규모점포와 관련된 분쟁의 조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8월)
     1. 시ㆍ군ㆍ구의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조정신청을 받은 날부터 60일 이내에 조정안을 작성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의결로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2. 시ㆍ도의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시ㆍ군ㆍ구의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안에 불복이 있는 자의 조정신청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조정안을 작성하여야 하며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의결로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3. 시ㆍ군ㆍ구의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안에 불복이 있는 자는 조정안을 제시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시ㆍ도의 위원회에 조정신청을 할 수 있다.
     4. 조정안을 제시받은 당사자는 그 제시를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수락여부를 유통분쟁조정위원회에 통보하여야 한다.
     5. 유통분쟁조정위원회는 유통분쟁조정신청을 받은 경우에는 신청일부터 7일 이내에 신청인과 관련당사자에게 조정신청사실과 그 내용을 통보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74.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산물(축산물 및 임산물을 포함)의 원활한 수급과 가격안정을 도모하고 유통구조의 개선을 촉진하기 위하여 설치한 농산물가격안정기금에서 지출할 수 있는 대상사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7월)
     1. 식량작물과 축산물의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생산자의 공동이용시설에 대한 지원
     2. 종자산업의 진흥과 관련된 우수 종자의 품종육성ㆍ개발, 우수 유전자원의 수집 및 조사ㆍ연구
     3. 농산물의 가공ㆍ포장 및 저장기술의 개발, 브랜드 육성, 저온유통, 유통정보화 및 물류 표준화의 촉진
     4. 농산물의 유통구조 개선 및 가격안정사업과 관련된 조사ㆍ연구ㆍ홍보ㆍ지도ㆍ교육훈련 및 해외시장개척
     5. 농산물 가격안정을 위한 안전성 강화와 관련된 조사ㆍ연구ㆍ홍보ㆍ지도ㆍ교육훈련 및 검사ㆍ분석시설 지원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식량작물과 축산물을 "제외한" 농산물의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생산자의 공동이용시설에 대한 지원
[해설작성자 : Yadon_]

75.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약관 및 사업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7월)
     1. 철도사업자는 철도사업약관을 정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철도사업약관의 변경신고를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신고수리여부를 신고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3. 철도사업자는 여객열차의 운행구간을 변경하려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
     4. 철도사업자는 사업용철도노선별로 여객열차의 정차역의 10분의 2를 변경하는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5. 철도사업자가 사업계획 중 인가사항을 변경하려는 경우에는 사업계획을 변경하려는 날 1개월 전까지 사업계획변경인가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허가 -> 신고
2. 10일 이내 -> 3일 이내 신고수리여부 통지
4. 국토부장관에게 신고 -> 인가를 받아야 한다.
5. 사업계획을 변경하려는 날 1개월 전까지(변경하려는 사항이 인가사항인 경우에는 2개월 전까지)
     사업계획변경신고서 또는 사업계획변경인가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Yadon_]

76.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의 휴업 또는 폐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철도사업자가 그 사업의 전부를 폐업하려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철도사업자가 선로 또는 교량의 파괴, 철도시설의 개량, 그 밖의 정당한 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철도사업자의 휴업기간은 선로 또는 교량의 파괴, 철도시설의 개량, 그 밖의 정당한 사유로 휴업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3개월을 넘을 수 없다.
     4. 철도사업자는 그 사업의 일부를 휴업하려는 경우에는 휴업하는 사업의 내용과 그 기간 등을 인터넷 홈페이지, 관계 역ㆍ영업소 및 사업소 등 일반인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게시하여야 한다.
     5. 철도사업자가 휴업에 대하여 허가를 받거나 신고한 휴업기간 중이라도 휴업 사유가 소멸된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신고하고 사업을 재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31%

77. 항만운송사업법령상 항만운송관련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 ) 안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권한위임에 관한 규정은 고려하지 않음)(2016년 07월)

    

     1. ㄱ: 해양수산부장관, ㄴ: 등록, ㄷ: 신고
     2. ㄱ: 해양수산부장관, ㄴ: 신고, ㄷ: 등록
     3. ㄱ: 지방해양항만청장, ㄴ: 등록, ㄷ: 신고
     4. ㄱ: 지방해양항만청장, ㄴ: 신고, ㄷ: 등록
     5. ㄱ: 국토교통부장관, ㄴ: 신고, ㄷ: 등록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지문에 [항만별·업종별]이 힌트.
항만운송관련사업은 지방해양항만청장에게 등록 및 신고
물품공급업만 신고, 나머지는 등록
[해설작성자 : Yadon_]

78. 철도사업법령상 철도사업자에 대한 사업 개선 명령의 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8월)
     1. 운임ㆍ요금의 인하
     2. 철도사업약관의 변경
     3. 철도차량 및 철도사고에 관한 손해보상을 위한 보험에의 가입
     4. 사업계획의 변경
     5. 공동운수협정의 체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9.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도매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7월)
     1. 시가 지방도매시장을 개설하려면 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2. 도매시장법인이 다른 도매시장법인을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경우에는 해당 도매시장 개설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중앙도매시장의 개설자는 양곡부류와 수산부류에 대하여는 도매시장법인을 두어야 한다.
     4. 시가 개설하는 지방도매시장의 개설구역에 인접한 구역으로서 그 지방도매시장이 속한 도의 일정 구역에 대하여는 해당 도지사가 그 지방도매시장의 개설구역으로 편입하게 할 수 있다.
     5. 지방도매시장의 개설자인 시가 업무규정을 변경하는 때에는 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령상 농수산물공판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7월)
     1. 농림수협등, 생산자단체 또는 공익법인이 공판장을 개설하려면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2. 공판장에는 중도매인, 매매참가인, 산지유통인 및 경매사를 둘 수 있다.
     3. 공판장의 경매사는 공판장의 개설자가 임면한다.
     4. 공판장의 중도매인은 공판장의 개설자가 지정한다.
     5. 공익법인이 운영하는 공판장의 개설승인 신청서에는 해당 공판장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장 또는 자치구의 구청장의 의견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임면권은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는"권한을 의미합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의견서 제출 X -> 업무규정,계획서 첨부 O
[해설작성자 : 광명케이]

공판장 개설승인 절차(서류 첨부하여 시·도지사에게 제출)
1. 공판장의 업무규정 (다만, 도매시장의 업무규정에서 이를 정하는 도매시장공판장의 경우는 제외)
2. 운영관리계획서
[해설작성자 : Yadon_]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624980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6249807)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831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8
830 계리직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8
82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28 식품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27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826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2352767)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2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824 9급 지방직 공무원 조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23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22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21 F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820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19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18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17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8
816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585179)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815 전산세무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83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14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813 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63 Next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