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970735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지적측량에 사용하는 평면직각좌표의 기준인 직각좌표계 원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6년 06월)
     1. 서해좌표계 원점(북위 38°, 동경 123°)
     2. 서부좌표계 원점(북위 38°, 동경 125°)
     3. 동부좌표계 원점(북위 38°, 동경 129°)
     4. 동해좌표계 원점(북위 38°, 동경 131°)

     정답 : []
     정답률 : 95%

2.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의 명칭과 그 적용구역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2022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는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다.(서부, 중부, 동부, 동해)
서부 좌표계는 동경 125도(적용범위 124-126도), 북위 38도, 중부 좌표계는 동경 127도(적용범위 126-128도), 북위 38도
동부 좌표계는 동경 129도(적용범위 128-130도), 북위 38도, 동해 좌표계는 동경 131도(적용범위 130-132도), 북위 38도이다.
[해설작성자 : 999급공무원]

3. 지적도근점측량을 배각법으로 실시했을 때, 각 종선차의 절대치의 합이 500m, 종선오차가 +0.2m이었다. 어떤 측선의 종선차가 +100.00m일 경우, 오차배분된 종선차 값은?(2015년 06월)
     1. +99.92m
     2. +99.96m
     3. +100.04m
     4. +100.08m

     정답 : []
     정답률 : 79%

4. 측선장 45.0 m, 방위 S 45° 30′ E일 때, 그 측선의 위거(x)와 경거(y)는? (단, sin 45° 30′=0.71325, cos 45° 30′=0.70090이다)(2010년 05월)
     1. 위거(x): -32.10 m, 경거(y): -31.54m
     2. 위거(x): -32.10 m, 경거(y): +31.54m
     3. 위거(x): -31.54 m, 경거(y): -32.10m
     4. 위거(x): -31.54 m, 경거(y): +32.10m

     정답 : []
     정답률 : 66%

5. 「지적재조사측량규정」상 정지측위 위성측량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위성의 최저 고도각은 15°를 기준으로 한다.
     2. 측정 중 위성수신기 인근에서 무전기 등 전파발신기를 부득이하게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안테나로부터 10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사용해야 한다.
     3. GPS 측정 중 수신기 표시장치 등을 통하여 측정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4. 동시 수신 위성수는 4개 이상 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6.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수평각 관측 및 허용범위 이내의 오차 배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 지역에서는 배각법에 따르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방위각법으로만 관측한다.
     2. 방위각법에 따를 경우 3회 측정하고, 배각법에 따를 경우 2회 측정한다.
     3.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오차 배분은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4. 방위각법에 따르는 경우 오차 배분은 변의 수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방위각에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실시할 경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지적삼각보조점은 교회망 또는 교점다각망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2. 수평각관측은 1회 측정각과 3회 측정각의 평균치에 대한 교차가 40초 이내로 한다.
     3. 1도선의 거리는 기지점과 교점 또는 교점과 교점사이의 점간거리 총합계를 말한다.
     4. 관측을 실시할 때에는 각 노선에서의 공통시준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0초임
[해설작성자 : 떵민]

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측량기기의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성능검사대행자로 등록한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성능검사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2.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측량기기는 자체적으로 성능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3. 트랜싯, 레벨 등은 5년의 범위에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실시하는 성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4. 성능검사의 기준, 방법 및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측량을 수반하는 토지이동으로만 묶은 것은?(2017년 06월)
     1. 등록전환, 지번변경
     2. 건축물 등록, 지목변경
     3. 축척변경, 토지분할
     4. 토지합병, 경계변동

     정답 : []
     정답률 : 88%

10. 도면 재작성에 관한 규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소관청은 도면이 훼손ㆍ마모 등으로 그 효용을 다할 수 없는 때에는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얻어 다시 작성할 수 있다.
     2. 도면의 재작성은 직접자사법ㆍ간접자사법 또는 전자자동제도법에 의한다.
     3. 도곽선의 신축량이 0.5mm 이상인 경우에는 전자자동제도법에 의하여 신축을 보정한다.
     4. 도면의 경계가 불분명할 경우에는 대장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도면의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 - 측량결과도 기준
지번 또는 지목이 불분명한 경우 - 대장 기준
[해설작성자 : Z]

11. 도선 AB에 대한 방위각 150°와 관련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2011년 06월)
     1. 3상한에 해당하며 위거와 경거 모두 (-)값이다.
     2. A점에서 B점에 대한 역방위각은 180°를 빼서 구한다.
     3. 역방위로 나타내면 N60°W이다.
     4. 도북을 기준하여 시계방향으로 30°의 수평각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12. 광파기측량방법으로 지적삼각점간의 거리를 5회 측정하여 평균거리 2401.234m를 얻었다. 이때 평균거리를 측정거리로 채택하기 위한 측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허용 교차[m]는?(2009년 05월)
     1. 0.024
     2. 0.240
     3. 2.401
     4. 24.012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5회 측정 평균거리*1/10만
[해설작성자 : 하이]

13. 다음 그림의 지적도근점 측량에서 측선 의 방위각과 방위는? (단, 측선 의 방위각은 125°이다) (순서대로 방위각, 방위)(2019년 06월)

    

     1. 130°, S 50° E
     2. 130°, N 40° E
     3. 120°, S 60° E
     4. 120°, N 30° E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ab 125
bc = 125' - 180' + 135' = 80'
cd = bc + 180' - 130' = 130'
130'는 2사분면
180' - 130' = 50' 따라서 방위는    S 50' E
[해설작성자 : 가나다라]

14.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의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승인한 측량방법에 따른다.
     2.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방법에 따르되, 위성측량방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3. 계산은 교회법 또는 다각망도선법에 의한다.
     4. 교회법으로 측량할 경우에는 반드시 2방향 교회에 따른다.

     정답 : []
     정답률 : 84%

15. 앨리데이드자의 가장자리와 시준선의 간격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외심오차를 도상의 오차크기로 나타내면? (단, 앨리데이드자의 가장자리와 시준선의 간격은 30mm, 도면축척은 1 : M이다)(2009년 05월)
     1. 1.5/M mm
     2. 3.0/M mm
     3. 15/M mm
     4. 30/M mm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외심오차= E×Q
1/M ×30mm = 30/M
[해설작성자 : 길가당]

16. 평지를 축척 1:20,000으로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다. 초점거리는 10cm, 사진의 크기가 20cm×20cm이며, 종중복도 70%, 횡중복도 30%의 조건일 경우, 기선고도비는?(2019년 06월)
     1. 1.67
     2. 0.96
     3. 0.69
     4. 0.60

     정답 : []
     정답률 : 65%

17. 「지적재조사측량규정」상 지적위성측량 중 이동측량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만을 고른 것은?(2017년 06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ㄹ, ㅁ

     정답 : []
     정답률 : 81%

18. 장애물(담장)이 있어 다음과 같이 측량하였다. C점의 표고[m]는? (단, 표척 눈금 읽음의 단위는 m이고, A점의 표고는 25.00m이다)(2010년 05월)

    

     1. 25.02
     2. 26.01
     3. 27.22
     4. 29.12

     정답 : []
     정답률 : 88%

19.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전자평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에서 도면의 축척이 1/500일 때,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2017년 06월)
     1. 1mm
     2. 5mm
     3. 10mm
     4. 50m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M/10 [mm]
[해설작성자 : 짹짹]

20.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지적도근측량 또는 세부측량을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Network-RTK)으로 실시할 경우 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GNSS측량기 안테나를 기준으로 고도각 15°이상에 정상 작동중인 GNSS위성이 5개 이상이어야 한다.
     2. GNSS측량기에 표시하는 PDOP이 3이상이거나 위치정밀도가 수평 ± 3 cm 이상 또는 수직 ± 5 cm 이상인 경우 관측을 중지하여야 한다.
     3. 지역좌표를 구하고자 할 경우에는 GNSS측량기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좌표변환 계산방법에 따른다.
     4. 도근측량인 경우 데이터 취득간격은 1초, 관측시간(고정해) 15초 이상, 관측간격 60분 이상, 관측횟수는 2회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970735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상 지적측량에 사용하는 평면직각좌표의 기준인 직각좌표계 원점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6년 06월)
     1. 서해좌표계 원점(북위 38°, 동경 123°)
     2. 서부좌표계 원점(북위 38°, 동경 125°)
     3. 동부좌표계 원점(북위 38°, 동경 129°)
     4. 동해좌표계 원점(북위 38°, 동경 131°)

     정답 : []
     정답률 : 95%

2.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의 명칭과 그 적용구역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2022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우리나라 평면직각좌표계는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다.(서부, 중부, 동부, 동해)
서부 좌표계는 동경 125도(적용범위 124-126도), 북위 38도, 중부 좌표계는 동경 127도(적용범위 126-128도), 북위 38도
동부 좌표계는 동경 129도(적용범위 128-130도), 북위 38도, 동해 좌표계는 동경 131도(적용범위 130-132도), 북위 38도이다.
[해설작성자 : 999급공무원]

3. 지적도근점측량을 배각법으로 실시했을 때, 각 종선차의 절대치의 합이 500m, 종선오차가 +0.2m이었다. 어떤 측선의 종선차가 +100.00m일 경우, 오차배분된 종선차 값은?(2015년 06월)
     1. +99.92m
     2. +99.96m
     3. +100.04m
     4. +100.08m

     정답 : []
     정답률 : 79%

4. 측선장 45.0 m, 방위 S 45° 30′ E일 때, 그 측선의 위거(x)와 경거(y)는? (단, sin 45° 30′=0.71325, cos 45° 30′=0.70090이다)(2010년 05월)
     1. 위거(x): -32.10 m, 경거(y): -31.54m
     2. 위거(x): -32.10 m, 경거(y): +31.54m
     3. 위거(x): -31.54 m, 경거(y): -32.10m
     4. 위거(x): -31.54 m, 경거(y): +32.10m

     정답 : []
     정답률 : 66%

5. 「지적재조사측량규정」상 정지측위 위성측량의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위성의 최저 고도각은 15°를 기준으로 한다.
     2. 측정 중 위성수신기 인근에서 무전기 등 전파발신기를 부득이하게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안테나로부터 10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사용해야 한다.
     3. GPS 측정 중 수신기 표시장치 등을 통하여 측정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없다.
     4. 동시 수신 위성수는 4개 이상 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6.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도근점측량에서 수평각 관측 및 허용범위 이내의 오차 배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경계점좌표등록부 시행 지역에서는 배각법에 따르고, 그 밖의 지역에서는 방위각법으로만 관측한다.
     2. 방위각법에 따를 경우 3회 측정하고, 배각법에 따를 경우 2회 측정한다.
     3. 배각법에 따르는 경우 오차 배분은 측선장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관측각에 배분한다.
     4. 방위각법에 따르는 경우 오차 배분은 변의 수에 반비례하여 각 측선의 방위각에 배분한다.

     정답 : []
     정답률 : 82%

7.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다각망도선법으로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을 실시할 경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지적삼각보조점은 교회망 또는 교점다각망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2. 수평각관측은 1회 측정각과 3회 측정각의 평균치에 대한 교차가 40초 이내로 한다.
     3. 1도선의 거리는 기지점과 교점 또는 교점과 교점사이의 점간거리 총합계를 말한다.
     4. 관측을 실시할 때에는 각 노선에서의 공통시준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3점 이상의 기지점을 포함한 결합다각방식에 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30초임
[해설작성자 : 떵민]

8.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상 측량기기의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성능검사대행자로 등록한 자는 국토교통부장관의 성능검사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2.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측량기기는 자체적으로 성능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3. 트랜싯, 레벨 등은 5년의 범위에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실시하는 성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4. 성능검사의 기준, 방법 및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8%

9.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령상 지적측량을 수반하는 토지이동으로만 묶은 것은?(2017년 06월)
     1. 등록전환, 지번변경
     2. 건축물 등록, 지목변경
     3. 축척변경, 토지분할
     4. 토지합병, 경계변동

     정답 : []
     정답률 : 88%

10. 도면 재작성에 관한 규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5월)
     1. 소관청은 도면이 훼손ㆍ마모 등으로 그 효용을 다할 수 없는 때에는 시ㆍ도지사의 승인을 얻어 다시 작성할 수 있다.
     2. 도면의 재작성은 직접자사법ㆍ간접자사법 또는 전자자동제도법에 의한다.
     3. 도곽선의 신축량이 0.5mm 이상인 경우에는 전자자동제도법에 의하여 신축을 보정한다.
     4. 도면의 경계가 불분명할 경우에는 대장을 기준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도면의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 - 측량결과도 기준
지번 또는 지목이 불분명한 경우 - 대장 기준
[해설작성자 : Z]

11. 도선 AB에 대한 방위각 150°와 관련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2011년 06월)
     1. 3상한에 해당하며 위거와 경거 모두 (-)값이다.
     2. A점에서 B점에 대한 역방위각은 180°를 빼서 구한다.
     3. 역방위로 나타내면 N60°W이다.
     4. 도북을 기준하여 시계방향으로 30°의 수평각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12. 광파기측량방법으로 지적삼각점간의 거리를 5회 측정하여 평균거리 2401.234m를 얻었다. 이때 평균거리를 측정거리로 채택하기 위한 측정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허용 교차[m]는?(2009년 05월)
     1. 0.024
     2. 0.240
     3. 2.401
     4. 24.012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5회 측정 평균거리*1/10만
[해설작성자 : 하이]

13. 다음 그림의 지적도근점 측량에서 측선 의 방위각과 방위는? (단, 측선 의 방위각은 125°이다) (순서대로 방위각, 방위)(2019년 06월)

    

     1. 130°, S 50° E
     2. 130°, N 40° E
     3. 120°, S 60° E
     4. 120°, N 30° E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ab 125
bc = 125' - 180' + 135' = 80'
cd = bc + 180' - 130' = 130'
130'는 2사분면
180' - 130' = 50' 따라서 방위는    S 50' E
[해설작성자 : 가나다라]

14.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지적삼각보조점측량의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승인한 측량방법에 따른다.
     2. 전파기 또는 광파기측량방법에 따르되, 위성측량방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3. 계산은 교회법 또는 다각망도선법에 의한다.
     4. 교회법으로 측량할 경우에는 반드시 2방향 교회에 따른다.

     정답 : []
     정답률 : 84%

15. 앨리데이드자의 가장자리와 시준선의 간격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외심오차를 도상의 오차크기로 나타내면? (단, 앨리데이드자의 가장자리와 시준선의 간격은 30mm, 도면축척은 1 : M이다)(2009년 05월)
     1. 1.5/M mm
     2. 3.0/M mm
     3. 15/M mm
     4. 30/M mm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외심오차= E×Q
1/M ×30mm = 30/M
[해설작성자 : 길가당]

16. 평지를 축척 1:20,000으로 촬영한 항공사진이 있다. 초점거리는 10cm, 사진의 크기가 20cm×20cm이며, 종중복도 70%, 횡중복도 30%의 조건일 경우, 기선고도비는?(2019년 06월)
     1. 1.67
     2. 0.96
     3. 0.69
     4. 0.60

     정답 : []
     정답률 : 65%

17. 「지적재조사측량규정」상 지적위성측량 중 이동측량에 대한 기준으로 옳은 것만을 고른 것은?(2017년 06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ㄹ, ㅁ

     정답 : []
     정답률 : 81%

18. 장애물(담장)이 있어 다음과 같이 측량하였다. C점의 표고[m]는? (단, 표척 눈금 읽음의 단위는 m이고, A점의 표고는 25.00m이다)(2010년 05월)

    

     1. 25.02
     2. 26.01
     3. 27.22
     4. 29.12

     정답 : []
     정답률 : 88%

19. 「지적측량 시행규칙」상 전자평판측량방법에 의한 세부측량에서 도면의 축척이 1/500일 때, 도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지상거리의 허용범위는?(2017년 06월)
     1. 1mm
     2. 5mm
     3. 10mm
     4. 50m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M/10 [mm]
[해설작성자 : 짹짹]

20. 「GNSS에 의한 지적측량규정」상 지적도근측량 또는 세부측량을 다중기준국 실시간 이동측량(Network-RTK)으로 실시할 경우 기준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GNSS측량기 안테나를 기준으로 고도각 15°이상에 정상 작동중인 GNSS위성이 5개 이상이어야 한다.
     2. GNSS측량기에 표시하는 PDOP이 3이상이거나 위치정밀도가 수평 ± 3 cm 이상 또는 수직 ± 5 cm 이상인 경우 관측을 중지하여야 한다.
     3. 지역좌표를 구하고자 할 경우에는 GNSS측량기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좌표변환 계산방법에 따른다.
     4. 도근측량인 경우 데이터 취득간격은 1초, 관측시간(고정해) 15초 이상, 관측간격 60분 이상, 관측횟수는 2회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970735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07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06 지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4
905 F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904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17
903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02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11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901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5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8
900 가구제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10월0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899 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898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9월16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897 9급 지방직 공무원 간호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96 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6
895 리눅스마스터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2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3
894 축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7
893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892 9급 국가직 공무원 무선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7일)(9707355) 좋은아빠되기 2025.11.07 3
890 9급 국가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889 금속재료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5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5
888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7 10
Board Pagination Prev 1 ...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73 Next
/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