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444815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형설계


1. 앵귤러핀에 의하여 언더컷을 처리할 때, 슬라이드 코어의 운동량(M)을 구하는 관계식은?(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2. 공기압 이젝터 방식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일반적으로 금형구조가 간략화 된다.
     2. 코어형, 캐비티형 어느 것이도 사용된다.
     3. 형개 공정 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밀어내가기 된다.
     4. 성형품의 형상에 제약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3. 다음은 사출금형의 에어 이젝션(air ejection)방식의 특징을 적은 것이다. 이 중에서 잘못된 것은?(2003년 05월)
     1. 성형품과 코어 사이의 진공에 의한 트러블을 해소해준다.
     2. 압축공기가 성혐품에 직접 작용하므로 백화현상이 남는 결점이 있다.
     3. 형개 공정 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밀어내기가 가능하다.
     4. 압축공기가 금형속을 지남으로서 금형의 냉각작용도 겸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88%

4. 성형품의 이젝터 기구에서 스트리퍼 플레이트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2008년 05월)
     1. 국부적으로 큰 밀어내기 힘을 필요로 할 경우에 유리하다.
     2. 밀어낼 때 측벽에 큰 저항이 있는 상자 모양이나 원통모양의 성형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살 두께가 얇고, 외관상 이젝터 자국이 거의 남지 않으므로 투명 성형품에 적합하다.
     4. 성형품에 크랙, 백화, 변형이 생기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6%

5. 펀치 플레이트를 열처리한 경우 펀치 삽입부 허용차를 m5로 하는 경우 펀치플레이트의 구멍 허용차는 얼마로 선정해야 하는가?(2004년 05월)
     1. H4
     2. H6
     3. H8
     4. H9

     정답 : []
     정답률 : 86%

6. 수지의 수축률이 큼으로 수축현상(Sink mark)이 발생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개선방법은?(2003년 05월)
     1. 사출압력을 높인다.
     2. 수지온도를 높인다.
     3. 냉각시간을 줄인다.
     4. 이형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77%

7. 언더컷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구조가 복잡하다.
     2. 이형이 어렵게 된다.
     3. 성형사이클이 단축된다.
     4. 성형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성형사이클은 단축될 수 없습니다.
언더 컷은 통상적이고 일반적인 제품 빼기 구조보다, 형상이 하나 추가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모래쌓기 할 때 사용하던 종이컵을 생각하시고
그 종이컵에 모래를 넣고 Z방향으로 빼면 쉽게 빠지는데 반하여, 그 종이안쪽에
수평 방향의 특정한 모양을 만들어 놓은채 모래를 똑같이 넣고

Z방향으로 빼려고 한다면, Z방향으로 바로 빠지지 않고 걸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언더컷은 먼저 언더 컷 형상을 먼저 취출하고, 언더 컷 형상을 제외한 형상을 취출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성형사이클은 단축보다 더 늘어나게(복잡하게)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홍긜동]

8. 성형품의 호칭치수 200㎜이며, 성형 수지의 수축률이 15/1000일 때, 상온의 금형치수는 약 얼마인가?(2016년 05월)
     1. 200.30㎜
     2. 203.05㎜
     3. 215.16㎜
     4. 230.0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상온에서 금형치수 = 상온에서 성형품 치수 / (1-성형품 수축률)
                                         = 200 / (1 - 0.015)
                                         = 203.045685279 ≒ 203.05

9. 러너리스 금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자동화 성형 작업을 할 수 있다.
     2.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성형재료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4.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수지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2%

10. 수지의 수축률이 커서 발생한 수축현상(sink mark)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사출압력을 높인다.
     2. 수지온도를 높인다.
     3. 냉각시간을 줄인다.
     4. 이형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86%

11. 블랭킹가공으로 두께가 2mm이고, 직경이 30mm인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펀치의 직경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편측 클리어런스(C)는 3%로 한다.)(2010년 05월)
     1. 28.02mm
     2. 29.88mm
     3. 30.00mm
     4. 30.02mm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 블랭킹 가공 : 다이치수 = 제품 치수, 펀치치수 = 제품치수(다이치수) - 클리어런스
     ※ 피어싱 가공 : 다이치수 = 제품 치수 + 클리어런스, 펀치치수 = 제품치수
     ※ 클리어런스 = {( D - d ) / 2t} × 100
            3    = {(30 - d) / 4 } × 100
            0.03 × 4 = 30 - d
            D = 30 - 0.12 = 29.88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12. 두께가 3㎜이고, 직경이 30㎜인 제품의 블랭킹 가공을 하기 위한 펀치와 다이의 직경은? (단, 소재의 편측 클리어런스는 4%이다.)(2016년 05월)
     1. 펀치직경 : 29.76㎜, 다이직경 : 30㎜
     2. 펀치직경 : 29.88㎜, 다이직경 : 30㎜
     3. 펀치직경 : 30㎜, 다이직경 : 29.76㎜
     4. 펀치직경 : 30㎜, 다이직경 : 29.88㎜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클리어런스는 블랭킹 금형은 펀치에 적용, 피어싱 금형은 다이에 적용
    C = (D-d / 2t) × 100 (C : 클리어런스 , D : 다이의 지름 , t : 소재의 두께, d : 펀치의 지름)
    4 = {(30 - χ) / 2ㆍ3} × 100
    χ = 29.76

13. 다음 설명은 트랜스퍼 프레스 가공의 장점을 나열한 것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안전성이 높다.
     2. 생산성이 높다.
     3. 프레스 작업에 숙련이 필요하다.
     4.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트랜스퍼 금형의 장점 :
① 딥드로잉 제품의 성형에 적합하다.
② 제품의 완성을 위한 시운전시 금형의 수정이 용이하다
③ 일정시간 무인 운전이 가능하다
④ 제품의 치수 안정성이 높다.
※ 트랜스퍼 금형의 단점 :
① 프레스 기계의 가격이 고가여서 제품의 생산 단가가 높다.
② 금형의 제작 비용이 많이 들어 간다.
③ 2차원 이하의 제품 생산에 부적합하다.
④ 금형이 대형화하여 보관장소가 많이 소요된다.

14. 한번의 블랭킹 공정에서 100% 정도의 전단면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2014년 05월)
     1. 노칭
     2. 블랭킹
     3. 파인블랭킹
     4. 피어싱

     정답 : []
     정답률 : 88%

15. 원형,각형 드로잉의 코너부 수직벽에 미세한 주름 발생의 불량 대책으로 가장 적합치 못한 것은?(2003년 05월)
     1. 제품의 깊이를 얕게 한다.
     2. 다이각 반지름을 크게 한다.
     3. 각형의 코너각 반지름을 크게 한다.
     4. 제품의 깊이를 깊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6. 다음 중 평행정도가 우수하며, 높은 강성과 펀치·다이의 정밀한 안내가 되므로 클리어런스가 적거나, 대량생산의 경우 적합한 다이 세트의 종류는?(2008년 05월)
     1. BB형
     2. CB형
     3. DB형
     4. FB형

     정답 : []
     정답률 : 84%

17. 가공할 소재의 전단강도 τ = 35 kgf/mm2, 두께 5mm이고, 펀치의 압축강도 σp= 140 kgf/mm2일 때, 펀치의 최소 직경은?(2013년 06월)
     1. 5㎜
     2. 2㎜
     3. 3㎜
     4. 1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 d = 4·t·τ / σp ( σp : 펀치의 파괴응력, t : 소재의 두께, d : 펀치의 지름, τ : 소재의 전단강도)

     d = ( 4 × 5 × 35 ) / 140 = 5

18. 트랜스퍼금형의 펀치설계에서 가공할 소재의 두께 t=4㎜, 전단강도τ= 50 kgf/mm2일 때 펀치의 최소 직경은? (단, 압축강도 σp = 100kgf/mm2으로 한다.)(2005년 05월)
     1. 2 ㎜
     2. 4 ㎜
     3. 6 ㎜
     4. 8 ㎜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D = 4·t·τ / σp ( σp : 펀치의 파괴응력, t : 소재의 두께, d : 펀치의 지름, τ : 소재의 전단강도)
     D = ( 4 × 4 × 50 ) / 100 = 8

19. 두께 1.5㎜, 전단강도 35 kgf/mm2의 냉간압연강판을 사용하여 직경 30㎜의 제품을 블랭킹 하고자 할 때, 다이블록의 두께는 약 얼마인가? (단, 다이 두께 보정계수 = 1.25, 금형의 재연삭 가공여주=2㎜ 이다.)(2013년 06월)
     1. 13.6㎜
     2. 15.6㎜
     3. 21.3㎜
     4. 23.3㎜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다이 두께    t = K 3√P (P : 전단력 , K : 보정 계수)

     전단력    P = ℓ × t × τ(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2 × π × r) × 1.5 × 35 = 2 × 3.14 × 15 × 1.5 × 35 = 4945.5
    
     t = 1.25 × 3√4945.5 = 21.3

※ 21.3 에서 재연삭 가공여유 2mm를 더해 주어야 한다.

20. 다음 중 드로잉 금형에서 용기의 형상이 원통이고 일정한 두께로 아이어닝 할 경우 일반적인 클리어런스(CP)의 값으로 적합한 것은? (단, t = 소재의 두께이다.)(2015년 05월)
     1. Cp ≒ ( 1.1 ~ 1.2 ) t
     2. Cp ≒ ( 1.4 ~ 2.0 ) t
     3. Cp ≒ ( 0.1 ~ 0.5 ) t
     4. Cp ≒ ( 2.5 ~ 2.8 ) t

     정답 : []
     정답률 : 77%

2과목 : 기계제작법


21. 진공 중에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일반 금속의 접합뿐만 아니라 내화성 금속, 매우 산화되기 쉬운 금속에 적합한 용접법은?(2017년 05월)
     1. 레이저용접
     2. 전자빔용접
     3. 초음파용접
     4. TIG 용접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전자빔용접 : 용접부를 포함하여 매우 제한된 부분만을 진공으로 유지하면서 실시하는 전자빔 용점법을 말한다. 용접할 소재의 크기가 커서 이동하기 어렵거나 용접기의 진공실에 장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용접할 최소한의 부분만을 진공으로 만들어 전자빔 용접을 실시할수 있으며, 대형 구조물의 고품위 용접에 사용된다.

22. 숏피닝(shot pee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숏피닝은 얇은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
     2. 가공물 표면에 작은 헤머와 같은 작용을 하는 형태로 일종의 열간 가공법이다.
     3. 가공물 표명에 가공경화 된 잔류압축응력층이 형성된다.
     4.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파괴에 큰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종 스프링에 널리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쇼트피닝 : 쇼트 볼을 가공면에 고속으로 강하게 두드려 금속 표면층의 경도와 강도 증가로 피로한계를 높여주는 가공법. 스프링, 기어, 축등 반복 하중을 받는 기계 부품에 효과적이다. 냉간가공.

23. 쾌속조형기술(rapid prototyping)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비 숙련자에 의한 운용이 가능하다.
     2. 적층에 따른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3. 어떠한 재료로도 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4. 시제품 형상에 따른 재료만 있으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쾌속조형기술 : 컴퓨터를 이용해 설계(CAD)된 3차원 도면으로부터 직접 고형화된 물리적 모델을 제작하는 공정을 말한다. 오늘날에는 시제품 제작에만 국한되지 않고 대량생산 기술로의 적용이 모색되는 등 그 응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3D 프린터 기술'이라는 이름으로 대중화됨
① 장점
    ⓐ 모든 형상의 시제품 가공이 용이
    ⓑ 비숙련자에 의한 운용이 용이
    ⓒ 시제품형상에 따른 제료만 소모
    ⓓ 매우 빠른 제작속도
    ⓔ 작업을 위한 별도의 셋팅 및 작업물의 방향성 변환이 불필요
② 단점
    ⓐ 장비 도입비가 높다
    ⓑ 적층에 따른 단차가 발생(0.1mm)
    ⓒ 재료비가 높다.

24. 8각 또는 6각형의 상자속에 공작물과 미디어(media)와 공작액을 넣어 장 시간 저속회전 시켜서 공작물 표면의 미세한 요철부분과 산화피막 등을 제거하여 매끈한 가공면을 얻는 가공방법은?(2004년 05월)
     1. 배럴
     2. 버니싱
     3. 쇼트피닝
     4. 호우닝

     정답 : []
     정답률 : 80%

25. 머니싱 센터에서 사용되는 NC 지령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G는 보조기능으로 NC 공작기계의 여러 가지 동작을 위한 서보모터 구동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2. M은 준비기능으로 NC 지령 블록의 제어기능을 준비시키기 위한 것이다.
     3. T는 이송기능이라 하며 NC 공작기계에서 가공물과 공구와의 상대속도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4. S는 주축기능이라 하며 주축의 회전속도를 지령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26. 전주 가공 작업 공정으로 올바른 것은?(2013년 06월)
     1. 모형제작 →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2.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 모형제작
     3.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 모형제작
     4. 모형제작 →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정답 : []
     정답률 : 55%

27. 절삭공구로 공작물을 가공 시 유동형 칩이 발생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절삭깊이가 클 때
     2. 연성재료를 가공할 때
     3. 경사각이 클 때
     4. 절삭속도가 빠를 때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유동형칩 - 공구가 진행함에 따라 일감이 미세한 간격으로 미끄럼 변형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며 공구경사면을 따라 흘러가는 모양의 칩
※ 발생원인 - 연강, 구리, 알루미늄등의 연성과 인성이 많은 재질을 고속으로 절삭할 때
                            공구의 윗면 경사각이 클 때
                            절삭깊이가 작을 때
                            절삭량이 적고 절삭제를 사용할 때

28. 다음 중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2016년 05월)
     1. 쏘잉(sawing)
     2. 호닝(honing)
     3. 펀칭(punching)
     4. 드릴링(drilling)

     정답 : []
     정답률 : 87%

29. 방전가공에 있어서 가공칩의 배출을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2008년 05월)
     1. 분출법
     2. 흡인법
     3. 분사법
     4. 혼합법

     정답 : []
     정답률 : 78%

30.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세컨드 컷 가공의 용도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가공면 연화층의 보강
     2. 다이 형상에서의 돌기 제거
     3. 내부 응력에 의한 변형의 수정
     4. 코너부 형상 에러 및 가공면의 직진정도 수정

     정답 : []
     정답률 : 88%

31. 전해 연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숫돌이나 숫돌입자를 사용한다.
     2. 전기 도금법을 말한다.
     3. 교류를 사용하여 연마한다.
     4. 인산이나 황산 등의 전해액 속에서 전기도금의 반대방법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32. 지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알맞는 것은?(2005년 05월)
     1. 밀링, 세이퍼 및 조립에 사용하는 취부공구
     2. 안전을 기하기 위하여 사용 하는 공구
     3. 절삭공구와 조립공구를 총괄한 용어
     4. 절삭공구의 경로를 제한 하든지,또는 제어 및 안내하는 장치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지그(jig) : 가공이나 조립시에 제품과 공구의 작업위치를 지시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의 총칭.공작물을 고정과 함께 절삭 공구등의 고정과 절삭공구등의 제어, 안내를 위한 장치. 주로 기계가공, 용접등에 쓰인다.
※ 제조 작업에서 제품생산의 한 보조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가공물 혹은 조립물을 소정의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하는 동시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스페셜 툴이다.

33. 다음 래핑(lapping)작업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래핑의 압력설정시 랩제의 입자가 크면 압력을 낮추고, 랩제의 입자가 고우면 압력을 높인다.
     2. 래핑가공방법에는 손으로 하는 수가공래핑과 기계를 이용하는 기계래핑이 있다.
     3. 래핑유는 경유, 물, 올리브유 등을 사용한다.
     4. 랩은 가공물의 재질보다 연한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34. 플라스틱 금형의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수축
     2. 유동
     3. 전단각
     4. 거스러미

     정답 : []
     정답률 : 88%

35. 압출공정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5월)
     1. 표면균열
     2. 파이프 결함
     3. 플래시
     4. 내부균열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③ 플래시 : 금형의 파팅 라인(parting line), 코어 분할면, 이젝터 핀의 주위, 슬라이드 코어 경계면 등의 틈새에 용융된 수지가 흘러 들어가 생기는 불필요한 부분을 말한다.

36. 주물을 제작할 때 생사형 주형의 경우, 주물 중량 500kg, 주물의 두께에 따른 계수를 2.2라 할 때 주입시간은 약 몇 초인가?(2017년 05월)
     1. 33.8
     2. 49.2
     3. 52.8
     4. 56.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주입시간 D = S√W (S : 주물계수, W : 주물 중량)
                        D = 2.2 √ 500 = 49.1934

37. 연삭 가공시 숫돌차 표면의 기공에 칩이 끼어 연삭성이 나빠지는 형상은?(2010년 05월)
     1. 로우딩 현상
     2. 세딩 현상
     3. 드레싱 현상
     4. 트루잉 현상

     정답 : []
     정답률 : 87%

38. 아베의 원리에 적합한 게이지는?(2004년 05월)
     1. 버니어캘리퍼스
     2. 하이트게이지
     3. 공구현미경
     4. 단체형 내측 마이크로미터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아베의 원리 : 아베가 제창한 정밀측정의 원리. 물체의 길이를 기준척도와 비교해 측정할 때는 물체와 척도를 일직선 위에 나란히 나열해야 한다는 것이며 콤퍼레이터의 원리라고도 한다

39. 다음 중 탭(TAP)이 부러지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드릴 구멍이 일정하지 않을 때
     2. 소재보다 경도가 높을 때
     3. 핸들에 과도한 힘을 주었을 때
     4. 탭이 구멍 밑바닥에 부딪쳤을 때

     정답 : []
     정답률 : 88%

40. 다음 중 레이저 가공기의 특징으로 바르게 설명한 것은?(2008년 05월)
     1. 접축 가공이므로 공구의 마모가 있다.
     2. 금속 및 비금속 가공이 가능하다.
     3. 열에 의한 변형이 심하다.
     4. 자동가공이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92%

3과목 : 금속재료학


41. 주철(Fe-C계)에 규소(Si)가 첨가되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2013년 06월)
     1. 유동성 저하
     2. 백선화 촉진
     3. 흑연화 촉진
     4. 편상입자 조대화

     정답 : []
     정답률 : 71%

42. 다음 중 순철의 자기변태온도는 약 몇 도 인가?(2010년 05월)
     1. 210℃
     2. 768℃
     3. 910℃
     4. 1410℃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① 210℃ : 강의 자기 변태점    A0
② 768℃ : 순철의 자기 변태점 A2
③ 910℃ : 순철의 동소 변태점 A3
④ 1410℃ : 순철의 동소 변태점 A4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3. 조선 압연판으로 쓰이는 것으로 편석과 불순물이 적은 균질의 강은?(2014년 05월)
     1. 세미킬드강
     2. 림드강
     3. 캡트강
     4. 킬드강

     정답 : []
     정답률 : 90%

44. 일반적으로 금속의 가공성이 가장 좋은 격자는?(2010년 05월)
     1. 체심입방격자
     2. 조밀육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정방격자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① 체심입방격자(B.C.C) : 특징(전연성이 적다, 융점이 높다, 강도가 크다.)
     원소(Fe(α-Fe, δ-Fe), Cr, W, Mo, V, Li, Na, Ta, K), 귀속원자수(2), 배위수(8), 원자충전율(68%)
     순철의 경우 1400℃ 이상과 910℃이하에서 이 구조를 갖는다.
② 조밀육방격자(H.C.P) : 특징(전연성이 불량하다, 접착성이 적다, 가공성이 좋지 않다.)
     원소(Mg, Zn, Ti, Be, Hg, Zr, Cd, Ce, Os), 귀속원자수(2), 배위수(12), 원자충전율(70.45%)
③ 면심입방격자(F.C.C) : 특징(많이 사용된다, 전연성과 전기 전도도가 크다, 가공이 우수하다)
     원소(Al, Ag, Au, Fe(r), Cu, Ni, Pb, Pt, Ca, β-Co, Rh, Pd, Ce, Th), 귀속원자수(4), 배위수(12), 원자충전율(74%)
     순철에는 γ구역(1400℃~900℃)에서 생긴다.
④ 단순입방격자(S.C) :정육면체의 꼭지점이 바로 격자점이 되고, 그런 정육면체를 계속 쌓아올린 구조
     원소(플로늄), 귀속원자수(1), 배위수(6)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5. 지름 15mm의 연강봉에 500kgf의 인장하중이 적용할 때 여기에 생기는 응력은 약 몇 kgf/cm2 인가?(2010년 05월)
     1. 11.3
     2. 128
     3. 283
     4. 1132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인장강도(σs) = 최대하중 / 원단면적 = Pmax / Ao [N/mm2 or MPa]
     원의 단면적 = π × r2 = π × D2 / 4
     σs = 500 / (3.141592 × 0.75 × 0.75) = 282.942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6.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ABS 수지
     2. 페놀 수지
     3. 폴리에틸렌
     4. 폴리스티렌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①열가소성 수지 : 열을 가할 때 마다 녹거나 유연하게 되지만, 냉각되면 다시 딱딱하게 굳어지는 플라스틱
ⓐ 종류 : 아크릴(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염화비닐, 불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PA), 초산비닐, 메틸아크릴, 스티롤, 아세탈(Acetal), ABS
②열경화성 수지 : 열에 의해 한번 굳어지면 열을 가해도 녹거나 유동성이 있는 물질로 되돌아 가지 않는 플라스틱
ⓐ 종류 : 페놀(PE), 멜라민, 실리콘(SI), 요소, 에폭시(EP), 아미노, 폴리에스테르, 프란

47. Al - Cu - Si계 합금으로서 Si를 넣어 주조성을 개선하고 Cu를 첨가하여 피삭성을 향상시킨 합금은?(2017년 05월)
     1. Y합금
     2. 라우탈(Lautal)
     3. 로엑스(Lo-Ex)합금
     4. 하이드로날륨(Hydronalium)

     정답 : []
     정답률 : 68%

48. 마텐자이트(martensite)를 400℃에서 뜨임(tempering)하면 어떻게 변하는가?(2014년 05월)
     1. 펄라이트가 된다.
     2. 트루스타이트가 된다.
     3. 솔바이트가 된다.
     4. 오스테나이트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49. 연강의 용도로 가장 부적합 것은?(2010년 05월)
     1. 형강
     2. 리벳
     3. 레일
     4. 철골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연강(C: 0.13~0.20%, 인장강도: 370~430, 연신률: 22%)의 용도 : 강관, 강봉, 강판, 볼트, 리벳
※ 최경강(C: 0.50~0.70%, 인장강도: 590~690, 연신률: 10~7%)의 용도 : 축, 기어, 레일, 스프링, 단조 공구, 피아노선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50. Roll이나 Gear 같은 제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2013년 06월)
     1. 로크웰 경도
     2. 브리넬 경도
     3. 비커즈 경도
     4. 쇼어 경도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① 로크웰 경도 : 압입자에 하중을 걸어 홈의 깊이로 측정한다. 예비 하중은 10kg이고, B 스케일(압입자 강구)은 하중이 100kg, C 스케일(압입자 다이아몬드)은 하중이 150kg 이다.
② 브리넬 경도 : 압입자(강구)에 하중을 걸어 자국의 크기로 경도를 조사한다.
③ 비커스 경도 : 압입자(선단이 4각뿔인 다이아몬드)에 하중을 작용시켜 자국의 대각선 길이로서 조사한다.
④ 쇼어 경도 : 추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켜, 이때 반발한 높이로 측정한다.

51. 금형용 합성수지에 있어서 기어, 등산용 부품, 뛰어난 전기 특성을 이용한 코드 코넥터 등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재료는?(2005년 05월)
     1. PVC
     2. EPOXY
     3. PUR
     4. PBT

     정답 : []
     정답률 : 71%

52. Mg의 용융점은 약 몇 도 인가?(2015년 05월)
     1. 700℃
     2. 650℃
     3. 600℃
     4. 550℃

     정답 : []
     정답률 : 76%

53. 전율고용체형 상태도에서 70A - 30B합금을 냉각할 때 온도 To 에서 고체 S 의 양은 몇 % 인가?(2014년 05월)

    

     1. 25
     2. 30
     3. 70
     4. 75

     정답 : []
     정답률 : 74%

54. 다음중 비교적 높은 하중을 받는 냉간 단조용 금형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고크롬 합금 공구강
     2. 고속도 공구강
     3. 초경 합금
     4. 주철

     정답 : []
     정답률 : 85%

55. 열간 단조용 금형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닌 건은?(2013년 06월)
     1. 인성 및 피로 강도가 클 것
     2. 가공성이 좋을 것
     3. 내열성이 클 것
     4. 열전도도가 작을 것

     정답 : []
     정답률 : 83%

56. 열간 단조용 금형 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인성 및 피로 강도가 클 것
     2. 가공성이 좋을 것
     3. 내열성이 클 것
     4. 열전도도가 작을 것

     정답 : []
     정답률 : 89%

57. 6:4황동에 주석을 첨가한 것으로 판ㆍ봉 등으로 가공되어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2016년 05월)
     1. 델타 메탈(delta metal)
     2. 네이벌 브라스(navel brass)
     3. 두라나 메탈(durana metal)
     4. 애드미럴티 메탈(admiralty metal)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① 델타메탈 : 철황동, 6.4황동에 Fe 1~2% 첨가. 강도, 내식성 우수(광산, 선박, 화학 기계에 사용)
② 네이벌 황동 : 6.4황동에 Sn 1%첨가한 것이며, 내해수성이 강해 선박 기계에 사용.
③ 두라나 메탈 : 7.3황동에 Fe1~2% 첨가시킨 황동
④ 에드미럴티 황동 : 7.3황동에 Sn1%를 첨가한 것이며, 콘덴서 튜브에 사용

58. 노 내에서 페로실리콘, 알루미늄 등의 탈산제로 충분히 탈산 시킨 강은?(2008년 05월)
     1. 림드강
     2. 킬드강
     3. 세미킬드강
     4. 캡드강

     정답 : []
     정답률 : 89%

59.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C) 함량은 약 몇 %인가?(2016년 05월)
     1. 0.027wt%C
     2. 0.8wt%C
     3. 2.0wt%C
     4. 6.67wt%C

     정답 : []
     정답률 : 74%

60.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C 및 Si의 양을 적게 한다.
     2. 구상흑연을 편성화시킨다.
     3. 흑연의 미세화로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4. Cr, Mo, V 등을 첨가하여 펄라이트 중의 Fe3C 분해를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54%

61. 바깥지름, 길이, 두께 등을 검사하기 위한 평행, 평면의 내측면을 가지는 한계 게이지는?(2014년 05월)
     1. 봉 게이지
     2. 스냅 게이지
     3. 판형 게이지
     4. 테보 게이지

     정답 : []
     정답률 : 85%

62. 지름 20㎜, 길이 1m의 연강봉의 길이를 측정할 때 0.6㎛의 압축이 있었다고 할 경유, 측정력은 몇 N인가? (단, 봉의 굽힘은 없으며, 세로탄성계수는 210Gpa 이다.)(2017년 05월)
     1. 5.6
     2. 39.6
     3. 134.6
     4. 205.6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원의 단면적 = π × r2 = π × D2 / 4

     측정력 = 단면적·계수·압축량 / 길이 = 3.141592 × 10 × 10 × 210 × 0.0006 = 39.58

63. 다음 중 나사의 유효경을 측정할 때 가장 정밀도가 높은 측정법은?(2010년 05월)
     1. 삼침법
     2. 공구 현미경
     3. 투영기
     4. 나사 마이크로미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하는 방법
① 나사마이크로미터에 의한 방법
② 3개의 지름이 같은 선을 이용하는 삼선법
③ 공구 현미경 등의 광학적 측정기로 사용하는 방법

※ 투영기 : 광학적으로 물체의 형상을 투영하여 측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64. 측장기에 있어서 아베(Abbe) 원리의 적용이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측미현미경이 고정되고 표준척이 이동하는 경우이다.
     2. 표준척이 고정되고, 측미현미경이 이동하는 경우이다.
     3. 표준척과 측정물이 직선상에 배치되고 있는 경우이다.
     4. 길이측정 오차가 경사각 ?의 자승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65. 다음 중 간접 측정에 속하는 것은?(2016년 05월)
     1. 하이트 마이크로미터에 의한 금형부품의 높이 측정
     2. 삼점식 내측마이크로미터에 의한 내경의 측정
     3.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한 외경의 측정
     4. 3침에 의한 나사 유효지름 측정

     정답 : []
     정답률 : 82%

66. 다음 중 금속 재질의 기계부품의 길이측정에서 측정오차의 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3년 06월)
     1. 측정물의 온도
     2. 측정자의 버릇
     3. 측정환경의 습도
     4. 측정물의지지 방법

     정답 : []
     정답률 : 64%

67. 내경 단차 가공된 공작물의 홈과 폭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보이지 않는 내측의 홈폭, 측정하기 힘든 곳의 홈간거리 등의 측정에 편리한 구조로 된 마이크로미터는?(2005년 05월)
     1. 파나 마이크로미터(Pana micrometer)
     2. 그루부 마이크로미터(Groove micrometer)
     3. 포인트 마이크로미터(Point micrometer)
     4. 튜브 마이크로미터(Tube micrometer)

     정답 : []
     정답률 : 68%

68. 다음과 같은 원심원상의 간섭무늬가 5개 있을 때, 사용광파의 파장 λ가 0.6㎛이면, 중심부와 원 모서리부 사이의 높이차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2.0㎛
     2. 1.8㎛
     3. 1.5㎛
     4. 1.0㎛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평면도( F) = n × λ / 2 ( λ : 파장, n : 간섭무늬 수 )
                        F = 5 × 0.6 / 2 = 1.5

69. 다음과 같은 측정치의 분포곡선 중 “정확성은 좋지 않으나 정밀성이 좋은” 경우는?(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8%

70. 석(石) 정반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녹이 슬지 않는다.
     2. 온도 변화에 민감하다.
     3. 자성체의 측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4. 상처 발생 시 돌기가 생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7%

71. 미터나사의 유효경을 삼침 게이지로 측정하고자 한다. 피치가 1.50mm인 나사에 사용될 삼침 게이지의 최적 선경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0.845535 mm
     2. 0.866025 mm
     3. 1.299037 mm
     4. 1.447365 mm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유효지름 de = M - 3dm + 0.866025 × P (단, dm : 3칭지름, P : 피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확하게는 삼침게이지 최적선경 = 0.57735*p 해서 0.86602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두 점을 지지하여 200 ㎜의 전길이를 이용하는 표준자의 양끝에서 지지점까지의 위치는?(2003년 05월)
     1. 42.26 ㎜
     2. 44.06 ㎜
     3. 44.64 ㎜
     4. 47.72 ㎜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베셀점(bessel point) : H형 X형 단면의 표준자와 같이 중립면에 눈금을 만든 눈금자를 지지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고 눈금면에 따라 측정한 길이와 눈금선사이의 직선거리와의 차가 최소로 되는 지지방법이다.
     a = 0.2203 × L = 0.2203 × 200 = 44.06

73. 사인 바를 사용할 때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해 몇도 이하로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가?(2004년 05월)
     1. 45° 이하
     2. 25° 이하
     3. 35° 이하
     4. 55° 이하

     정답 : []
     정답률 : 87%

74. 광선정반(optical flat)으로 평면도를 검사한 간섭무늬수가 5개일 때 평면도는 몇 ㎛ 인가?(단, 사용한 빛의 파장은 0.2㎛ 이고, 간섭무늬는 원형이다.) (2013년 06월)
     1. 2.5
     2. 1
     3. 0.5
     4. 0.25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평면도( F) = n × λ / 2 ( λ : 파장, n : 간섭무늬 수 )
         F = 5 × 0.2 / 2 = 0.5

75. 그린 도형에 대하여 같은 중심을 공유(共有)해서 도형의 내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경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한다는 진원도 측정방법은?(2013년 06월)
     1. 최소 자승 중심법
     2. 최소 외접 중심법
     3. 최대 내접 중심법
     4. 최소 영역 중심법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① 최소 자승중심법(LSC) : 구할 평균원과 실측단면과의 반경의 차를 제곱하여 그 제곱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그런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을 최소자승원이라 하고 그 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 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긁힘,먼지등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② 최소 외접중심법(MOC) : 실측단면에 외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외접원을 그렸을 때 이 외접원을 최소외접원이라 하고, 이 외접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축에 꼭 끼는 최소의 링 게이지)
③ 최대 내접중심법(MIC) : 실측단면에 내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큰 내접원을그렸을 때 이 내접원을 최대내접원이라 하고 이 내접원의 중심에서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에서 최소반경을 뺀 값으로 진원도를 정의한다.(축에 유용한 평가법,플러그 게이지,긁힘,먼지등에 영향 받기 쉽다.)
④ 최소 영역중심법(MZC) : 실측단면에 동일 중심을 갖는 내접원과 외접원을 그려 그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그런 내,외접원의 중심을 구했을 때 이 내,외접원을 최소영역원이라 하고 내외접원의 반경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긁힘,먼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시간이 길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에도 써있듯이 문제에 외측에 접하는 원과 내측에 접하는 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라고 써야 한다.
즉, 문제에 외측에 접하는 원에 대한 내용이 누락됐다.

76. 게이지류에 사용되는 IT 기본 공차는?(2015년 05월)
     1. IT5 ~ IT10
     2. IT10 ~ IT15
     3. IT01 ~ IT4
     4. IT11 ~ IT18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IT01 ~ IT4 : 주로 게이지류( 초정밀 가공 부품)
     IT5    ~ IT10    : 주로 끼워맞춤을 하는 부품(절삭 가공 부품)
     IT11 ~ IT18    : 끼워맞춤이 아닌 경우

77. 6.50 X 103 측정값의 유효 숫자는 몇 자리인가?(2016년 05월)
     1. 2자리
     2. 3자리
     3. 5자리
     4. 6자리

     정답 : []
     정답률 : 74%

78. 전기 마이크로미터에서 출력전압과 변위와의 관계가 직선적이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출기는?(2003년 05월)
     1. 인덕턴스식 검출기
     2. 차동 변압식 검출기
     3. 요한슨식 검출기
     4. 포텐셔미터식 검출기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차동변압기형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1차 코일에 일정한 교류전압이 입력 되면 두개의 2차 코일에 전압이 유도된다. 이때 철심(Core)이 중앙에 위치하면 전압차가 Zero이나 철심의 위치가 변하면 전위차가 생겨서 변위를 나타내도록 된 구조다.

79. 진직도(眞直度) 또는 평명도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나이프 에지(knife edge)
     2. 울트라 옵티미터(ultra optimeter)
     3. 오토콜리메이터(autocollimator)
     4. 옵티컬 플랫(optical flat)

     정답 : []
     정답률 : 57%

80. 표준형 마이크로미터의(75mm ~ 100mm)의 지시범위는?(2010년 05월)
     1. 25mm
     2. 75mm
     3. 100mm
     4. 75mm ~ 100mm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지시 범위 : 측정기의 눈금상에서 나타나는 측정량의 범위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정 답 지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444815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형설계


1. 앵귤러핀에 의하여 언더컷을 처리할 때, 슬라이드 코어의 운동량(M)을 구하는 관계식은?(2014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2%

2. 공기압 이젝터 방식에 대한 장점이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일반적으로 금형구조가 간략화 된다.
     2. 코어형, 캐비티형 어느 것이도 사용된다.
     3. 형개 공정 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밀어내가기 된다.
     4. 성형품의 형상에 제약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78%

3. 다음은 사출금형의 에어 이젝션(air ejection)방식의 특징을 적은 것이다. 이 중에서 잘못된 것은?(2003년 05월)
     1. 성형품과 코어 사이의 진공에 의한 트러블을 해소해준다.
     2. 압축공기가 성혐품에 직접 작용하므로 백화현상이 남는 결점이 있다.
     3. 형개 공정 중의 임의의 위치에서 밀어내기가 가능하다.
     4. 압축공기가 금형속을 지남으로서 금형의 냉각작용도 겸하는 효과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88%

4. 성형품의 이젝터 기구에서 스트리퍼 플레이트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2008년 05월)
     1. 국부적으로 큰 밀어내기 힘을 필요로 할 경우에 유리하다.
     2. 밀어낼 때 측벽에 큰 저항이 있는 상자 모양이나 원통모양의 성형품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3. 살 두께가 얇고, 외관상 이젝터 자국이 거의 남지 않으므로 투명 성형품에 적합하다.
     4. 성형품에 크랙, 백화, 변형이 생기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6%

5. 펀치 플레이트를 열처리한 경우 펀치 삽입부 허용차를 m5로 하는 경우 펀치플레이트의 구멍 허용차는 얼마로 선정해야 하는가?(2004년 05월)
     1. H4
     2. H6
     3. H8
     4. H9

     정답 : []
     정답률 : 86%

6. 수지의 수축률이 큼으로 수축현상(Sink mark)이 발생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개선방법은?(2003년 05월)
     1. 사출압력을 높인다.
     2. 수지온도를 높인다.
     3. 냉각시간을 줄인다.
     4. 이형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77%

7. 언더컷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구조가 복잡하다.
     2. 이형이 어렵게 된다.
     3. 성형사이클이 단축된다.
     4. 성형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성형사이클은 단축될 수 없습니다.
언더 컷은 통상적이고 일반적인 제품 빼기 구조보다, 형상이 하나 추가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모래쌓기 할 때 사용하던 종이컵을 생각하시고
그 종이컵에 모래를 넣고 Z방향으로 빼면 쉽게 빠지는데 반하여, 그 종이안쪽에
수평 방향의 특정한 모양을 만들어 놓은채 모래를 똑같이 넣고

Z방향으로 빼려고 한다면, Z방향으로 바로 빠지지 않고 걸리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와 같이, 언더컷은 먼저 언더 컷 형상을 먼저 취출하고, 언더 컷 형상을 제외한 형상을 취출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성형사이클은 단축보다 더 늘어나게(복잡하게)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홍긜동]

8. 성형품의 호칭치수 200㎜이며, 성형 수지의 수축률이 15/1000일 때, 상온의 금형치수는 약 얼마인가?(2016년 05월)
     1. 200.30㎜
     2. 203.05㎜
     3. 215.16㎜
     4. 230.04㎜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상온에서 금형치수 = 상온에서 성형품 치수 / (1-성형품 수축률)
                                         = 200 / (1 - 0.015)
                                         = 203.045685279 ≒ 203.05

9. 러너리스 금형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자동화 성형 작업을 할 수 있다.
     2.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성형재료의 손실을 절감할 수 있다.
     4. 성형품의 형상 및 사용수지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2%

10. 수지의 수축률이 커서 발생한 수축현상(sink mark)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0년 05월)
     1. 사출압력을 높인다.
     2. 수지온도를 높인다.
     3. 냉각시간을 줄인다.
     4. 이형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86%

11. 블랭킹가공으로 두께가 2mm이고, 직경이 30mm인 제품을 만들려고 할 때, 펀치의 직경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편측 클리어런스(C)는 3%로 한다.)(2010년 05월)
     1. 28.02mm
     2. 29.88mm
     3. 30.00mm
     4. 30.02mm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 블랭킹 가공 : 다이치수 = 제품 치수, 펀치치수 = 제품치수(다이치수) - 클리어런스
     ※ 피어싱 가공 : 다이치수 = 제품 치수 + 클리어런스, 펀치치수 = 제품치수
     ※ 클리어런스 = {( D - d ) / 2t} × 100
            3    = {(30 - d) / 4 } × 100
            0.03 × 4 = 30 - d
            D = 30 - 0.12 = 29.88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12. 두께가 3㎜이고, 직경이 30㎜인 제품의 블랭킹 가공을 하기 위한 펀치와 다이의 직경은? (단, 소재의 편측 클리어런스는 4%이다.)(2016년 05월)
     1. 펀치직경 : 29.76㎜, 다이직경 : 30㎜
     2. 펀치직경 : 29.88㎜, 다이직경 : 30㎜
     3. 펀치직경 : 30㎜, 다이직경 : 29.76㎜
     4. 펀치직경 : 30㎜, 다이직경 : 29.88㎜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 클리어런스는 블랭킹 금형은 펀치에 적용, 피어싱 금형은 다이에 적용
    C = (D-d / 2t) × 100 (C : 클리어런스 , D : 다이의 지름 , t : 소재의 두께, d : 펀치의 지름)
    4 = {(30 - χ) / 2ㆍ3} × 100
    χ = 29.76

13. 다음 설명은 트랜스퍼 프레스 가공의 장점을 나열한 것이다. 설명이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안전성이 높다.
     2. 생산성이 높다.
     3. 프레스 작업에 숙련이 필요하다.
     4.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트랜스퍼 금형의 장점 :
① 딥드로잉 제품의 성형에 적합하다.
② 제품의 완성을 위한 시운전시 금형의 수정이 용이하다
③ 일정시간 무인 운전이 가능하다
④ 제품의 치수 안정성이 높다.
※ 트랜스퍼 금형의 단점 :
① 프레스 기계의 가격이 고가여서 제품의 생산 단가가 높다.
② 금형의 제작 비용이 많이 들어 간다.
③ 2차원 이하의 제품 생산에 부적합하다.
④ 금형이 대형화하여 보관장소가 많이 소요된다.

14. 한번의 블랭킹 공정에서 100% 정도의 전단면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2014년 05월)
     1. 노칭
     2. 블랭킹
     3. 파인블랭킹
     4. 피어싱

     정답 : []
     정답률 : 88%

15. 원형,각형 드로잉의 코너부 수직벽에 미세한 주름 발생의 불량 대책으로 가장 적합치 못한 것은?(2003년 05월)
     1. 제품의 깊이를 얕게 한다.
     2. 다이각 반지름을 크게 한다.
     3. 각형의 코너각 반지름을 크게 한다.
     4. 제품의 깊이를 깊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6. 다음 중 평행정도가 우수하며, 높은 강성과 펀치·다이의 정밀한 안내가 되므로 클리어런스가 적거나, 대량생산의 경우 적합한 다이 세트의 종류는?(2008년 05월)
     1. BB형
     2. CB형
     3. DB형
     4. FB형

     정답 : []
     정답률 : 84%

17. 가공할 소재의 전단강도 τ = 35 kgf/mm2, 두께 5mm이고, 펀치의 압축강도 σp= 140 kgf/mm2일 때, 펀치의 최소 직경은?(2013년 06월)
     1. 5㎜
     2. 2㎜
     3. 3㎜
     4. 1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 d = 4·t·τ / σp ( σp : 펀치의 파괴응력, t : 소재의 두께, d : 펀치의 지름, τ : 소재의 전단강도)

     d = ( 4 × 5 × 35 ) / 140 = 5

18. 트랜스퍼금형의 펀치설계에서 가공할 소재의 두께 t=4㎜, 전단강도τ= 50 kgf/mm2일 때 펀치의 최소 직경은? (단, 압축강도 σp = 100kgf/mm2으로 한다.)(2005년 05월)
     1. 2 ㎜
     2. 4 ㎜
     3. 6 ㎜
     4. 8 ㎜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D = 4·t·τ / σp ( σp : 펀치의 파괴응력, t : 소재의 두께, d : 펀치의 지름, τ : 소재의 전단강도)
     D = ( 4 × 4 × 50 ) / 100 = 8

19. 두께 1.5㎜, 전단강도 35 kgf/mm2의 냉간압연강판을 사용하여 직경 30㎜의 제품을 블랭킹 하고자 할 때, 다이블록의 두께는 약 얼마인가? (단, 다이 두께 보정계수 = 1.25, 금형의 재연삭 가공여주=2㎜ 이다.)(2013년 06월)
     1. 13.6㎜
     2. 15.6㎜
     3. 21.3㎜
     4. 23.3㎜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다이 두께    t = K 3√P (P : 전단력 , K : 보정 계수)

     전단력    P = ℓ × t × τ(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2 × π × r) × 1.5 × 35 = 2 × 3.14 × 15 × 1.5 × 35 = 4945.5
    
     t = 1.25 × 3√4945.5 = 21.3

※ 21.3 에서 재연삭 가공여유 2mm를 더해 주어야 한다.

20. 다음 중 드로잉 금형에서 용기의 형상이 원통이고 일정한 두께로 아이어닝 할 경우 일반적인 클리어런스(CP)의 값으로 적합한 것은? (단, t = 소재의 두께이다.)(2015년 05월)
     1. Cp ≒ ( 1.1 ~ 1.2 ) t
     2. Cp ≒ ( 1.4 ~ 2.0 ) t
     3. Cp ≒ ( 0.1 ~ 0.5 ) t
     4. Cp ≒ ( 2.5 ~ 2.8 ) t

     정답 : []
     정답률 : 77%

2과목 : 기계제작법


21. 진공 중에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일반 금속의 접합뿐만 아니라 내화성 금속, 매우 산화되기 쉬운 금속에 적합한 용접법은?(2017년 05월)
     1. 레이저용접
     2. 전자빔용접
     3. 초음파용접
     4. TIG 용접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 전자빔용접 : 용접부를 포함하여 매우 제한된 부분만을 진공으로 유지하면서 실시하는 전자빔 용점법을 말한다. 용접할 소재의 크기가 커서 이동하기 어렵거나 용접기의 진공실에 장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용접할 최소한의 부분만을 진공으로 만들어 전자빔 용접을 실시할수 있으며, 대형 구조물의 고품위 용접에 사용된다.

22. 숏피닝(shot peen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숏피닝은 얇은 공작물일수록 효과가 크다.
     2. 가공물 표면에 작은 헤머와 같은 작용을 하는 형태로 일종의 열간 가공법이다.
     3. 가공물 표명에 가공경화 된 잔류압축응력층이 형성된다.
     4.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파괴에 큰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각종 스프링에 널리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쇼트피닝 : 쇼트 볼을 가공면에 고속으로 강하게 두드려 금속 표면층의 경도와 강도 증가로 피로한계를 높여주는 가공법. 스프링, 기어, 축등 반복 하중을 받는 기계 부품에 효과적이다. 냉간가공.

23. 쾌속조형기술(rapid prototyping)가공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비 숙련자에 의한 운용이 가능하다.
     2. 적층에 따른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3. 어떠한 재료로도 제품 제작이 가능하다.
     4. 시제품 형상에 따른 재료만 있으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쾌속조형기술 : 컴퓨터를 이용해 설계(CAD)된 3차원 도면으로부터 직접 고형화된 물리적 모델을 제작하는 공정을 말한다. 오늘날에는 시제품 제작에만 국한되지 않고 대량생산 기술로의 적용이 모색되는 등 그 응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3D 프린터 기술'이라는 이름으로 대중화됨
① 장점
    ⓐ 모든 형상의 시제품 가공이 용이
    ⓑ 비숙련자에 의한 운용이 용이
    ⓒ 시제품형상에 따른 제료만 소모
    ⓓ 매우 빠른 제작속도
    ⓔ 작업을 위한 별도의 셋팅 및 작업물의 방향성 변환이 불필요
② 단점
    ⓐ 장비 도입비가 높다
    ⓑ 적층에 따른 단차가 발생(0.1mm)
    ⓒ 재료비가 높다.

24. 8각 또는 6각형의 상자속에 공작물과 미디어(media)와 공작액을 넣어 장 시간 저속회전 시켜서 공작물 표면의 미세한 요철부분과 산화피막 등을 제거하여 매끈한 가공면을 얻는 가공방법은?(2004년 05월)
     1. 배럴
     2. 버니싱
     3. 쇼트피닝
     4. 호우닝

     정답 : []
     정답률 : 80%

25. 머니싱 센터에서 사용되는 NC 지령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3년 06월)
     1. G는 보조기능으로 NC 공작기계의 여러 가지 동작을 위한 서보모터 구동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2. M은 준비기능으로 NC 지령 블록의 제어기능을 준비시키기 위한 것이다.
     3. T는 이송기능이라 하며 NC 공작기계에서 가공물과 공구와의 상대속도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4. S는 주축기능이라 하며 주축의 회전속도를 지령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26. 전주 가공 작업 공정으로 올바른 것은?(2013년 06월)
     1. 모형제작 →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2. 전주 → 기계 가공 → 이형 → 모형제작
     3.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 모형제작
     4. 모형제작 → 전주 → 이형 → 기계 가공

     정답 : []
     정답률 : 55%

27. 절삭공구로 공작물을 가공 시 유동형 칩이 발생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절삭깊이가 클 때
     2. 연성재료를 가공할 때
     3. 경사각이 클 때
     4. 절삭속도가 빠를 때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유동형칩 - 공구가 진행함에 따라 일감이 미세한 간격으로 미끄럼 변형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며 공구경사면을 따라 흘러가는 모양의 칩
※ 발생원인 - 연강, 구리, 알루미늄등의 연성과 인성이 많은 재질을 고속으로 절삭할 때
                            공구의 윗면 경사각이 클 때
                            절삭깊이가 작을 때
                            절삭량이 적고 절삭제를 사용할 때

28. 다음 중 구멍의 내면을 가장 정밀하게 가공하는 방법은?(2016년 05월)
     1. 쏘잉(sawing)
     2. 호닝(honing)
     3. 펀칭(punching)
     4. 드릴링(drilling)

     정답 : []
     정답률 : 87%

29. 방전가공에 있어서 가공칩의 배출을 위한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2008년 05월)
     1. 분출법
     2. 흡인법
     3. 분사법
     4. 혼합법

     정답 : []
     정답률 : 78%

30. 와이어 컷 방전가공에서 세컨드 컷 가공의 용도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14년 05월)
     1. 가공면 연화층의 보강
     2. 다이 형상에서의 돌기 제거
     3. 내부 응력에 의한 변형의 수정
     4. 코너부 형상 에러 및 가공면의 직진정도 수정

     정답 : []
     정답률 : 88%

31. 전해 연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숫돌이나 숫돌입자를 사용한다.
     2. 전기 도금법을 말한다.
     3. 교류를 사용하여 연마한다.
     4. 인산이나 황산 등의 전해액 속에서 전기도금의 반대방법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32. 지그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알맞는 것은?(2005년 05월)
     1. 밀링, 세이퍼 및 조립에 사용하는 취부공구
     2. 안전을 기하기 위하여 사용 하는 공구
     3. 절삭공구와 조립공구를 총괄한 용어
     4. 절삭공구의 경로를 제한 하든지,또는 제어 및 안내하는 장치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지그(jig) : 가공이나 조립시에 제품과 공구의 작업위치를 지시 유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의 총칭.공작물을 고정과 함께 절삭 공구등의 고정과 절삭공구등의 제어, 안내를 위한 장치. 주로 기계가공, 용접등에 쓰인다.
※ 제조 작업에서 제품생산의 한 보조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가공물 혹은 조립물을 소정의 위치에 신속 정확하게 위치를 결정하는 동시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스페셜 툴이다.

33. 다음 래핑(lapping)작업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래핑의 압력설정시 랩제의 입자가 크면 압력을 낮추고, 랩제의 입자가 고우면 압력을 높인다.
     2. 래핑가공방법에는 손으로 하는 수가공래핑과 기계를 이용하는 기계래핑이 있다.
     3. 래핑유는 경유, 물, 올리브유 등을 사용한다.
     4. 랩은 가공물의 재질보다 연한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34. 플라스틱 금형의 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수축
     2. 유동
     3. 전단각
     4. 거스러미

     정답 : []
     정답률 : 88%

35. 압출공정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과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5월)
     1. 표면균열
     2. 파이프 결함
     3. 플래시
     4. 내부균열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③ 플래시 : 금형의 파팅 라인(parting line), 코어 분할면, 이젝터 핀의 주위, 슬라이드 코어 경계면 등의 틈새에 용융된 수지가 흘러 들어가 생기는 불필요한 부분을 말한다.

36. 주물을 제작할 때 생사형 주형의 경우, 주물 중량 500kg, 주물의 두께에 따른 계수를 2.2라 할 때 주입시간은 약 몇 초인가?(2017년 05월)
     1. 33.8
     2. 49.2
     3. 52.8
     4. 56.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주입시간 D = S√W (S : 주물계수, W : 주물 중량)
                        D = 2.2 √ 500 = 49.1934

37. 연삭 가공시 숫돌차 표면의 기공에 칩이 끼어 연삭성이 나빠지는 형상은?(2010년 05월)
     1. 로우딩 현상
     2. 세딩 현상
     3. 드레싱 현상
     4. 트루잉 현상

     정답 : []
     정답률 : 87%

38. 아베의 원리에 적합한 게이지는?(2004년 05월)
     1. 버니어캘리퍼스
     2. 하이트게이지
     3. 공구현미경
     4. 단체형 내측 마이크로미터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아베의 원리 : 아베가 제창한 정밀측정의 원리. 물체의 길이를 기준척도와 비교해 측정할 때는 물체와 척도를 일직선 위에 나란히 나열해야 한다는 것이며 콤퍼레이터의 원리라고도 한다

39. 다음 중 탭(TAP)이 부러지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드릴 구멍이 일정하지 않을 때
     2. 소재보다 경도가 높을 때
     3. 핸들에 과도한 힘을 주었을 때
     4. 탭이 구멍 밑바닥에 부딪쳤을 때

     정답 : []
     정답률 : 88%

40. 다음 중 레이저 가공기의 특징으로 바르게 설명한 것은?(2008년 05월)
     1. 접축 가공이므로 공구의 마모가 있다.
     2. 금속 및 비금속 가공이 가능하다.
     3. 열에 의한 변형이 심하다.
     4. 자동가공이 불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92%

3과목 : 금속재료학


41. 주철(Fe-C계)에 규소(Si)가 첨가되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2013년 06월)
     1. 유동성 저하
     2. 백선화 촉진
     3. 흑연화 촉진
     4. 편상입자 조대화

     정답 : []
     정답률 : 71%

42. 다음 중 순철의 자기변태온도는 약 몇 도 인가?(2010년 05월)
     1. 210℃
     2. 768℃
     3. 910℃
     4. 1410℃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① 210℃ : 강의 자기 변태점    A0
② 768℃ : 순철의 자기 변태점 A2
③ 910℃ : 순철의 동소 변태점 A3
④ 1410℃ : 순철의 동소 변태점 A4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3. 조선 압연판으로 쓰이는 것으로 편석과 불순물이 적은 균질의 강은?(2014년 05월)
     1. 세미킬드강
     2. 림드강
     3. 캡트강
     4. 킬드강

     정답 : []
     정답률 : 90%

44. 일반적으로 금속의 가공성이 가장 좋은 격자는?(2010년 05월)
     1. 체심입방격자
     2. 조밀육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정방격자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① 체심입방격자(B.C.C) : 특징(전연성이 적다, 융점이 높다, 강도가 크다.)
     원소(Fe(α-Fe, δ-Fe), Cr, W, Mo, V, Li, Na, Ta, K), 귀속원자수(2), 배위수(8), 원자충전율(68%)
     순철의 경우 1400℃ 이상과 910℃이하에서 이 구조를 갖는다.
② 조밀육방격자(H.C.P) : 특징(전연성이 불량하다, 접착성이 적다, 가공성이 좋지 않다.)
     원소(Mg, Zn, Ti, Be, Hg, Zr, Cd, Ce, Os), 귀속원자수(2), 배위수(12), 원자충전율(70.45%)
③ 면심입방격자(F.C.C) : 특징(많이 사용된다, 전연성과 전기 전도도가 크다, 가공이 우수하다)
     원소(Al, Ag, Au, Fe(r), Cu, Ni, Pb, Pt, Ca, β-Co, Rh, Pd, Ce, Th), 귀속원자수(4), 배위수(12), 원자충전율(74%)
     순철에는 γ구역(1400℃~900℃)에서 생긴다.
④ 단순입방격자(S.C) :정육면체의 꼭지점이 바로 격자점이 되고, 그런 정육면체를 계속 쌓아올린 구조
     원소(플로늄), 귀속원자수(1), 배위수(6)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5. 지름 15mm의 연강봉에 500kgf의 인장하중이 적용할 때 여기에 생기는 응력은 약 몇 kgf/cm2 인가?(2010년 05월)
     1. 11.3
     2. 128
     3. 283
     4. 1132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인장강도(σs) = 최대하중 / 원단면적 = Pmax / Ao [N/mm2 or MPa]
     원의 단면적 = π × r2 = π × D2 / 4
     σs = 500 / (3.141592 × 0.75 × 0.75) = 282.942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6.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ABS 수지
     2. 페놀 수지
     3. 폴리에틸렌
     4. 폴리스티렌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①열가소성 수지 : 열을 가할 때 마다 녹거나 유연하게 되지만, 냉각되면 다시 딱딱하게 굳어지는 플라스틱
ⓐ 종류 : 아크릴(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염화비닐, 불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PA), 초산비닐, 메틸아크릴, 스티롤, 아세탈(Acetal), ABS
②열경화성 수지 : 열에 의해 한번 굳어지면 열을 가해도 녹거나 유동성이 있는 물질로 되돌아 가지 않는 플라스틱
ⓐ 종류 : 페놀(PE), 멜라민, 실리콘(SI), 요소, 에폭시(EP), 아미노, 폴리에스테르, 프란

47. Al - Cu - Si계 합금으로서 Si를 넣어 주조성을 개선하고 Cu를 첨가하여 피삭성을 향상시킨 합금은?(2017년 05월)
     1. Y합금
     2. 라우탈(Lautal)
     3. 로엑스(Lo-Ex)합금
     4. 하이드로날륨(Hydronalium)

     정답 : []
     정답률 : 68%

48. 마텐자이트(martensite)를 400℃에서 뜨임(tempering)하면 어떻게 변하는가?(2014년 05월)
     1. 펄라이트가 된다.
     2. 트루스타이트가 된다.
     3. 솔바이트가 된다.
     4. 오스테나이트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49. 연강의 용도로 가장 부적합 것은?(2010년 05월)
     1. 형강
     2. 리벳
     3. 레일
     4. 철골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 연강(C: 0.13~0.20%, 인장강도: 370~430, 연신률: 22%)의 용도 : 강관, 강봉, 강판, 볼트, 리벳
※ 최경강(C: 0.50~0.70%, 인장강도: 590~690, 연신률: 10~7%)의 용도 : 축, 기어, 레일, 스프링, 단조 공구, 피아노선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50. Roll이나 Gear 같은 제품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경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2013년 06월)
     1. 로크웰 경도
     2. 브리넬 경도
     3. 비커즈 경도
     4. 쇼어 경도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① 로크웰 경도 : 압입자에 하중을 걸어 홈의 깊이로 측정한다. 예비 하중은 10kg이고, B 스케일(압입자 강구)은 하중이 100kg, C 스케일(압입자 다이아몬드)은 하중이 150kg 이다.
② 브리넬 경도 : 압입자(강구)에 하중을 걸어 자국의 크기로 경도를 조사한다.
③ 비커스 경도 : 압입자(선단이 4각뿔인 다이아몬드)에 하중을 작용시켜 자국의 대각선 길이로서 조사한다.
④ 쇼어 경도 : 추를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켜, 이때 반발한 높이로 측정한다.

51. 금형용 합성수지에 있어서 기어, 등산용 부품, 뛰어난 전기 특성을 이용한 코드 코넥터 등에 사용되는 가장 적합한 재료는?(2005년 05월)
     1. PVC
     2. EPOXY
     3. PUR
     4. PBT

     정답 : []
     정답률 : 71%

52. Mg의 용융점은 약 몇 도 인가?(2015년 05월)
     1. 700℃
     2. 650℃
     3. 600℃
     4. 550℃

     정답 : []
     정답률 : 76%

53. 전율고용체형 상태도에서 70A - 30B합금을 냉각할 때 온도 To 에서 고체 S 의 양은 몇 % 인가?(2014년 05월)

    

     1. 25
     2. 30
     3. 70
     4. 75

     정답 : []
     정답률 : 74%

54. 다음중 비교적 높은 하중을 받는 냉간 단조용 금형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2005년 05월)
     1. 고크롬 합금 공구강
     2. 고속도 공구강
     3. 초경 합금
     4. 주철

     정답 : []
     정답률 : 85%

55. 열간 단조용 금형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닌 건은?(2013년 06월)
     1. 인성 및 피로 강도가 클 것
     2. 가공성이 좋을 것
     3. 내열성이 클 것
     4. 열전도도가 작을 것

     정답 : []
     정답률 : 83%

56. 열간 단조용 금형 재료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인성 및 피로 강도가 클 것
     2. 가공성이 좋을 것
     3. 내열성이 클 것
     4. 열전도도가 작을 것

     정답 : []
     정답률 : 89%

57. 6:4황동에 주석을 첨가한 것으로 판ㆍ봉 등으로 가공되어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2016년 05월)
     1. 델타 메탈(delta metal)
     2. 네이벌 브라스(navel brass)
     3. 두라나 메탈(durana metal)
     4. 애드미럴티 메탈(admiralty metal)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① 델타메탈 : 철황동, 6.4황동에 Fe 1~2% 첨가. 강도, 내식성 우수(광산, 선박, 화학 기계에 사용)
② 네이벌 황동 : 6.4황동에 Sn 1%첨가한 것이며, 내해수성이 강해 선박 기계에 사용.
③ 두라나 메탈 : 7.3황동에 Fe1~2% 첨가시킨 황동
④ 에드미럴티 황동 : 7.3황동에 Sn1%를 첨가한 것이며, 콘덴서 튜브에 사용

58. 노 내에서 페로실리콘, 알루미늄 등의 탈산제로 충분히 탈산 시킨 강은?(2008년 05월)
     1. 림드강
     2. 킬드강
     3. 세미킬드강
     4. 캡드강

     정답 : []
     정답률 : 89%

59.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C) 함량은 약 몇 %인가?(2016년 05월)
     1. 0.027wt%C
     2. 0.8wt%C
     3. 2.0wt%C
     4. 6.67wt%C

     정답 : []
     정답률 : 74%

60.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C 및 Si의 양을 적게 한다.
     2. 구상흑연을 편성화시킨다.
     3. 흑연의 미세화로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4. Cr, Mo, V 등을 첨가하여 펄라이트 중의 Fe3C 분해를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54%

61. 바깥지름, 길이, 두께 등을 검사하기 위한 평행, 평면의 내측면을 가지는 한계 게이지는?(2014년 05월)
     1. 봉 게이지
     2. 스냅 게이지
     3. 판형 게이지
     4. 테보 게이지

     정답 : []
     정답률 : 85%

62. 지름 20㎜, 길이 1m의 연강봉의 길이를 측정할 때 0.6㎛의 압축이 있었다고 할 경유, 측정력은 몇 N인가? (단, 봉의 굽힘은 없으며, 세로탄성계수는 210Gpa 이다.)(2017년 05월)
     1. 5.6
     2. 39.6
     3. 134.6
     4. 205.6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 원의 단면적 = π × r2 = π × D2 / 4

     측정력 = 단면적·계수·압축량 / 길이 = 3.141592 × 10 × 10 × 210 × 0.0006 = 39.58

63. 다음 중 나사의 유효경을 측정할 때 가장 정밀도가 높은 측정법은?(2010년 05월)
     1. 삼침법
     2. 공구 현미경
     3. 투영기
     4. 나사 마이크로미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하는 방법
① 나사마이크로미터에 의한 방법
② 3개의 지름이 같은 선을 이용하는 삼선법
③ 공구 현미경 등의 광학적 측정기로 사용하는 방법

※ 투영기 : 광학적으로 물체의 형상을 투영하여 측정하는 방법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64. 측장기에 있어서 아베(Abbe) 원리의 적용이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측미현미경이 고정되고 표준척이 이동하는 경우이다.
     2. 표준척이 고정되고, 측미현미경이 이동하는 경우이다.
     3. 표준척과 측정물이 직선상에 배치되고 있는 경우이다.
     4. 길이측정 오차가 경사각 ?의 자승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65. 다음 중 간접 측정에 속하는 것은?(2016년 05월)
     1. 하이트 마이크로미터에 의한 금형부품의 높이 측정
     2. 삼점식 내측마이크로미터에 의한 내경의 측정
     3. 버니어캘리퍼스에 의한 외경의 측정
     4. 3침에 의한 나사 유효지름 측정

     정답 : []
     정답률 : 82%

66. 다음 중 금속 재질의 기계부품의 길이측정에서 측정오차의 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2013년 06월)
     1. 측정물의 온도
     2. 측정자의 버릇
     3. 측정환경의 습도
     4. 측정물의지지 방법

     정답 : []
     정답률 : 64%

67. 내경 단차 가공된 공작물의 홈과 폭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보이지 않는 내측의 홈폭, 측정하기 힘든 곳의 홈간거리 등의 측정에 편리한 구조로 된 마이크로미터는?(2005년 05월)
     1. 파나 마이크로미터(Pana micrometer)
     2. 그루부 마이크로미터(Groove micrometer)
     3. 포인트 마이크로미터(Point micrometer)
     4. 튜브 마이크로미터(Tube micrometer)

     정답 : []
     정답률 : 68%

68. 다음과 같은 원심원상의 간섭무늬가 5개 있을 때, 사용광파의 파장 λ가 0.6㎛이면, 중심부와 원 모서리부 사이의 높이차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2.0㎛
     2. 1.8㎛
     3. 1.5㎛
     4. 1.0㎛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 평면도( F) = n × λ / 2 ( λ : 파장, n : 간섭무늬 수 )
                        F = 5 × 0.6 / 2 = 1.5

69. 다음과 같은 측정치의 분포곡선 중 “정확성은 좋지 않으나 정밀성이 좋은” 경우는?(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8%

70. 석(石) 정반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녹이 슬지 않는다.
     2. 온도 변화에 민감하다.
     3. 자성체의 측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4. 상처 발생 시 돌기가 생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7%

71. 미터나사의 유효경을 삼침 게이지로 측정하고자 한다. 피치가 1.50mm인 나사에 사용될 삼침 게이지의 최적 선경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0.845535 mm
     2. 0.866025 mm
     3. 1.299037 mm
     4. 1.447365 mm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유효지름 de = M - 3dm + 0.866025 × P (단, dm : 3칭지름, P : 피치)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정확하게는 삼침게이지 최적선경 = 0.57735*p 해서 0.86602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두 점을 지지하여 200 ㎜의 전길이를 이용하는 표준자의 양끝에서 지지점까지의 위치는?(2003년 05월)
     1. 42.26 ㎜
     2. 44.06 ㎜
     3. 44.64 ㎜
     4. 47.72 ㎜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베셀점(bessel point) : H형 X형 단면의 표준자와 같이 중립면에 눈금을 만든 눈금자를 지지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고 눈금면에 따라 측정한 길이와 눈금선사이의 직선거리와의 차가 최소로 되는 지지방법이다.
     a = 0.2203 × L = 0.2203 × 200 = 44.06

73. 사인 바를 사용할 때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해 몇도 이하로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가?(2004년 05월)
     1. 45° 이하
     2. 25° 이하
     3. 35° 이하
     4. 55° 이하

     정답 : []
     정답률 : 87%

74. 광선정반(optical flat)으로 평면도를 검사한 간섭무늬수가 5개일 때 평면도는 몇 ㎛ 인가?(단, 사용한 빛의 파장은 0.2㎛ 이고, 간섭무늬는 원형이다.) (2013년 06월)
     1. 2.5
     2. 1
     3. 0.5
     4. 0.25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평면도( F) = n × λ / 2 ( λ : 파장, n : 간섭무늬 수 )
         F = 5 × 0.2 / 2 = 0.5

75. 그린 도형에 대하여 같은 중심을 공유(共有)해서 도형의 내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경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한다는 진원도 측정방법은?(2013년 06월)
     1. 최소 자승 중심법
     2. 최소 외접 중심법
     3. 최대 내접 중심법
     4. 최소 영역 중심법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① 최소 자승중심법(LSC) : 구할 평균원과 실측단면과의 반경의 차를 제곱하여 그 제곱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그런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을 최소자승원이라 하고 그 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 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긁힘,먼지등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② 최소 외접중심법(MOC) : 실측단면에 외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외접원을 그렸을 때 이 외접원을 최소외접원이라 하고, 이 외접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축에 꼭 끼는 최소의 링 게이지)
③ 최대 내접중심법(MIC) : 실측단면에 내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큰 내접원을그렸을 때 이 내접원을 최대내접원이라 하고 이 내접원의 중심에서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에서 최소반경을 뺀 값으로 진원도를 정의한다.(축에 유용한 평가법,플러그 게이지,긁힘,먼지등에 영향 받기 쉽다.)
④ 최소 영역중심법(MZC) : 실측단면에 동일 중심을 갖는 내접원과 외접원을 그려 그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그런 내,외접원의 중심을 구했을 때 이 내,외접원을 최소영역원이라 하고 내외접원의 반경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긁힘,먼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시간이 길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해설에도 써있듯이 문제에 외측에 접하는 원과 내측에 접하는 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라고 써야 한다.
즉, 문제에 외측에 접하는 원에 대한 내용이 누락됐다.

76. 게이지류에 사용되는 IT 기본 공차는?(2015년 05월)
     1. IT5 ~ IT10
     2. IT10 ~ IT15
     3. IT01 ~ IT4
     4. IT11 ~ IT18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IT01 ~ IT4 : 주로 게이지류( 초정밀 가공 부품)
     IT5    ~ IT10    : 주로 끼워맞춤을 하는 부품(절삭 가공 부품)
     IT11 ~ IT18    : 끼워맞춤이 아닌 경우

77. 6.50 X 103 측정값의 유효 숫자는 몇 자리인가?(2016년 05월)
     1. 2자리
     2. 3자리
     3. 5자리
     4. 6자리

     정답 : []
     정답률 : 74%

78. 전기 마이크로미터에서 출력전압과 변위와의 관계가 직선적이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출기는?(2003년 05월)
     1. 인덕턴스식 검출기
     2. 차동 변압식 검출기
     3. 요한슨식 검출기
     4. 포텐셔미터식 검출기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차동변압기형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1차 코일에 일정한 교류전압이 입력 되면 두개의 2차 코일에 전압이 유도된다. 이때 철심(Core)이 중앙에 위치하면 전압차가 Zero이나 철심의 위치가 변하면 전위차가 생겨서 변위를 나타내도록 된 구조다.

79. 진직도(眞直度) 또는 평명도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2013년 06월)
     1. 나이프 에지(knife edge)
     2. 울트라 옵티미터(ultra optimeter)
     3. 오토콜리메이터(autocollimator)
     4. 옵티컬 플랫(optical flat)

     정답 : []
     정답률 : 57%

80. 표준형 마이크로미터의(75mm ~ 100mm)의 지시범위는?(2010년 05월)
     1. 25mm
     2. 75mm
     3. 100mm
     4. 75mm ~ 100mm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지시 범위 : 측정기의 눈금상에서 나타나는 측정량의 범위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444815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9 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2
1238 폐기물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4
»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4448154)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36 TAT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35 네트워크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3
1234 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10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4
1233 텔레마케팅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7
1232 자기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0
1231 귀금속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6076880)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6
1230 경영지도사 1차 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7
1229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직선거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21
1228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9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8
1227 침투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8
1226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6
1225 건설기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6
1224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6
1223 9급 국가직 공무원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8일)(7915463)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6
1222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8
1221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6
1220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8 14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