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14334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크레인 작업 표준 신호지침에서 그림과 같이 집게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수신호는?(2013년 07월)

   

     1. 수평 이동
     2. 운전자 호출
     3. 천천히 이동
     4. 운전방향 지시

     정답 : []
     정답률 : 80%

2. 트랜스퍼크레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2년 07월)
     1. 트랜스퍼크레인은 타이어식으로 디젤엔진에 의해서만 가동된다.
     2. 트랜스퍼크레인은 ISO 20, 40, 45피트의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다.
     3. 호이스트, 트롤리, 갠트리 운전속도는 한국공업규격에 정해져 있어 어느 장비나 동일하다.
     4. 레일 위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장비를 RTTC라고 부른다.

     정답 : []
     정답률 : 94%

3. 운전실 내부 조작반에서 동시에 운전할 수 없는 동작은?(2015년 04월)
     1. 횡행동작과 권상동작
     2. 권하동작과 주행동작
     3. 주행동작과 횡행동작
     4. 횡행동작과 트림/리스트/스큐 동작

     정답 : []
     정답률 : 78%

4. 컨테이너크레인에서 트롤리 트래블 스피드(Trolly travel speed) 120m/min이 의미하는 것은?(2013년 07월)
     1. 크레인의 주행속도가 1분에 120m라는 의미이다.
     2. 크레인의 횡행속도가 1분에 120m라는 의미이다.
     3. 크레인의 호이스트 속도가 1분에 120m라는 의미이다.
     4. 크레인의 최대 인양 높이가 120m라는 의미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5. 컨테이너크레인의 트롤리의 여관이 가장 적은 것은?(2014년 07월)
     1. 감속기(Decelerator)
     2. 로프텐셔너(Rope tensioner)
     3. 틸팅 디바이스(Tilting device)
     4. 브레이크(Brake) 장치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틸팅 디바이스는 작업 중 스프레더가 화물의 편중 등으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백 리치 끝단 부에 설치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횡행(트롤리) 동작과 가장 거리가 먼 리미트 스위치는?(2016년 04월)
     1. 운전실 출입 게이트 리미트 스위치
     2. 전진 저속 리미트 스위치
     3. 후진 저속 리미트 스위치
     4. 웨이트 리미트 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70%

7. 엔진식 트랜스퍼크레인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블록간의 이동이 자유롭다.
     2.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하역 및 적재한다.
     3. RTTC(Rubber Tired Transfer Crane)로 불린다.
     4. 야드와 크레인 스팬사이를 왕복하면서 컨테이너 운반작업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8. 컨테이너 하역 작업용 장비가 아닌 것은?(2014년 07월)
     1. RMGC(Rail Mounted Gantry Crane)
     2. RTGC(Rubber Tired Gantry Crane)
     3. R/S(Reach Stacker)
     4. CSU(Continuous Ship Unloader)

     정답 : []
     정답률 : 84%

9. “레일 클램프는 ( )에 의해 해제되며, ( )에 의해 제동(Clamping)된다.”에서 ( ) 안에 들어갈 단어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2013년 07월)
     1. 전기, 관성력
     2. 관성력, 전기
     3. 유압, 스프링의 힘
     4. 스프링 힘, 유압

     정답 : []
     정답률 : 74%

10. 트롤리만을 와이어로프로 작동시키고, 호이스트 장치를 별도로 장치하는 방식은?(2015년 07월)
     1. 맨(Man) 트롤리
     2. 크랩(Crab) 트롤리
     3. 세미로프(Semi-rope) 트롤리
     4. 와이어로프(Wire rope) 트롤리

     정답 : []
     정답률 : 69%

11. 와이어로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비 침투성 윤활류로 정기적인 도포를 해준다.
     2. 와이어로프의 주요 구성품은 Wire, Strand, Core이다.
     3. 파단소선의 수량, 파단소선의 위치는 교환기준이 된다.
     4. 정기적인 직경 측정 및 외관검사를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12. 컨테이너크레인의 설계검사에서 지역별 최대순간풍속으로 맞는 것은? (단, 휴지상태(태풍)에 해당하는 경우로 지면상에서 20미터 높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이다.)(2016년 04월)
     1. 서해안 : 초당 40미터 이상
     2. 목포 : 초당 50미터 이상
     3. 동해안, 남해안 : 초당 60미터 이상
     4. 울릉도 : 초당 70미터 이상

     정답 : []
     정답률 : 85%

13. 컨테이너크레인에서 작업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열(Row)과 크레인 아웃 리치(Out reach)가 가장 바르게 연결된 것은?(2012년 07월)
     1. 13열 - 30m
     2. 16열 - 45m
     3. 22열 - 50m
     4. 25열 - 60m

     정답 : []
     정답률 : 92%

14. 컨테이너크레인의 붐 인양장치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확인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7월)
     1. 붐 래치 핀(Latch pin)이 혹(Hook)에서 걸려있는지 확인한다.
     2. 붐 와이어로프가 활차에서 탈선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트롤리가 주차(정지)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4. 레일 클램프가 잠겨있는지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5. 트롤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7월)
     1. 맨(Man) 트롤리
     2. 크랩(Crab) 트롤리
     3. 하프로프(Half rope) 트롤리
     4. 와이어로프(Wire rope) 트롤리

     정답 : []
     정답률 : 76%

16. 하나의 전기회로에 자력선의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를 방해하려고 다른 전기회로에 기전력을 발생되는 현상은?(2015년 07월)
     1. 전류 유도 작용
     2. 저항 유도 작용
     3. 상호 유도 작용
     4. 자기 유도 작용

     정답 : []
     정답률 : 56%

17.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틸팅 디바이스 장치의 홈포지션(Home position) 스위치를 동작시키면?(2015년 04월)
     1. 기억된 량으로 스프레더가 틸팅된다.
     2. 스프레더가 기억된 열(Row)에 위치한다.
     3. 트롤리가 주차위치(Parking position)에 위치한다.
     4. 기울어진 스프레더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18. 선박의 기울기에 따라 컨테이너크레인의 스프레더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는?(2016년 04월)
     1. 횡행 장치
     2. 붐 호이스트 장치
     3. 틸팅 디바이스 장치
     4. 주행 장치

     정답 : []
     정답률 : 83%

19. 아날로그 량이 아닌 것은?(2012년 07월)
     1. 전압
     2. 전류
     3. 압력
     4. 비트(0, 1)

     정답 : []
     정답률 : 87%

20. 붐 호이스트 운전 실행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5년 04월)
     1. 호이스트가 작동하지 않을 때
     2. 주행이 작동하지 않을 때
     3. 트롤리가 작동하지 않을 때
     4. 붐 래치 핀이 풀려지있지 않을 때

     정답 : []
     정답률 : 76%

2과목 : 임의 구분


21. 컨테이너 크레인의 횡행과 권상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기는?(2013년 07월)
     1. 타코 제너레이터
     2. 엔코더
     3. 결상계전기
     4. 차단기

     정답 : []
     정답률 : 81%

22. 도체의 저항 값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R : 저항, ρ : 고유저항, A : 도체의 단면적, ℓ : 도체의 길이)(2014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23. 컨테이너크레인에서 헤드블록과 스프레더를 연결하는 장치는?(2012년 07월)
     1. 틸팅 디바이스
     2. 로프 텐션너
     3. 트위스트 록
     4. 레일 클램프

     정답 : []
     정답률 : 65%

24. 컨테이너 크레인의 모니터링 시스템인 CMS(Crane monitering system) 기능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스프레더의 트림, 리스트, 스큐에 대한 각도를 알 수 있다.
     2. 컨테이너전용선의 입, 출항 시간을 알 수 있다.
     3. 컨테이너의 생산성을 확인 할 수 있다.
     4. 고장에 대한 통계와 실시간 고장을 파악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8%

25. 컨테이터크레인이 옆에 있는 다른 컨테이너크레인으로 근접 이동을 감지하는 안전장치는?(2016년 07월)
     1. 주행 충돌방지센서
     2. 주행 좌·우측 정지센서
     3. 선박충돌 방지센서
     4. 케이블 완전 풀림센서

     정답 : []
     정답률 : 81%

26. 동일 레일 상에 있는 크레인끼리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센서는?(2014년 04월)
     1. 풀림확인센서
     2. 폭주방지센서
     3. 충돌방지센서
     4. 트롤리센서

     정답 : []
     정답률 : 96%

27.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방법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계자 제어법
     2. 저항 제어법
     3. 전압 제어법
     4. 전력 제어법

     정답 : []
     정답률 : 52%

28. 컨테이너 크레인 운전 중 안전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비정상 소리, 소음, 진동, 속도
     2. 계기류 지시값 이상 및 경보
     3. 연기, 냄새, 불꽃
     4. 비상정지 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86%

29. 트롤리 운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7월)
     1. 화물의 중량과 관계없이 속도를 가감할 수 있다.
     2. 주행운전과 연동할 수 있다.
     3. 주행운전과 같이 조작레버의 편향각도에 따라 변속된다.
     4. 엔코더로 중량을 측정하여 감속구간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30. 전선 및 기계 기구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로에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 개소로 틀린 것은?(2016년 07월)
     1. 인입구
     2. 분기점
     3. 간선의 전원측
     4. 접지공사의 접지선

     정답 : []
     정답률 : 59%

31. 컨테이너선의 크기에서 5,000TEU의 의미를 잘못 표현한 것은?(2016년 07월)
     1. 20피트 컨테이너 5,000개
     2. 40피트 컨테이너 2,500개
     3. 20피트 컨테이너 2,000개, 40피트 컨테이너 1,500개
     4. 20피트 컨테이너 2,000개, 40피트 컨테이너 3,000개

     정답 : []
     정답률 : 70%

32.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벽에 접한 부분으로 하역장비(Gantry crane등)가 설치되어 있는 곳은?(2012년 07월)
     1. 컨테이너 화물조작장(CFS)
     2. 마샬링 야드(Marshaling yard)
     3. 에이프론(Apron)
     4. 컨테이너 야드(Container yard)

     정답 : []
     정답률 : 77%

33. 수입 컨테이너의 본선 하역에 있어서, 현장(포맨, 신호수, 언더맨 등)에 전달되는 서류가 아닌 것은?(2012년 07월)
     1. 본선 적부계획도(Stoage Plan)
     2. G/C 작업계획도(Working Schedule)
     3. 작업진행표(Sequence List)
     4. 컨테이너 선적목록(Container Loading List)

     정답 : []
     정답률 : 79%

34. 컨테이너에서 컨테이너 일련번호가 부착되지 않는 곳은?(2015년 07월)
     1. 옆면
     2. 윗면
     3. 밑면
     4. 앞면(Door 반대쪽)

     정답 : []
     정답률 : 83%

35. Hub Port(중심항)의 전략적 가치 결정요소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5년 07월)
     1. 기간항로의 편입성, 연계운송의 지리적 접근성, 화물이동 방향의 수용성 및 자연적 안정성 등은 중요한 전략적 가치 결정요소이다.
     2. 대형선박의 수용성(수심, 안벽길이)과 연계운송시설(도로, 철도, 해상) 및 항만 면적/하역시설 등으로 전략적 가치를 결정한다.
     3. 항만운영제도(작업시간, 화물장치 허용기간) 등의 서비스 질과 항만서비스 가격 및 비용이 주요 요소이다.
     4. 정보통제와 정치, 사회, 경제적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며, 해운환경의 변화와 국제 해운관행 등은 전략적 가치 결정대상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75%

36. 컨테이너 터미널의 본선 작업계획 수립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장척화물 및 벌크화물은 장비교체의 문제로 인해 작업시간을 별도 계산하여 계획한다.
     2. 중량화물이 아래쪽에 적재(Bottom Heavy)되도록 하여야 한다.
     3. 화물창(Hold)내에 20피트 전용 셀 가이드가 없을 때에는 Stacking Cone 제거작업 시가을 고려해야 한다.
     4. 안벽크레인과 본선의 충돌 시 하역생산성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37. 프론트 엔드 탑픽 로더 방식의 장·단점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야드 내에서 컨테이너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2. 야드 내 어느 곳에서나 운영할 수 있다.
     3. 최상의 유지비만 소요되며 쉬는 시간이 매우 짧다.
     4. 무인자동화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8%

38.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Bay Plan에 표시되지 않은 사항은?(2012년 07월)
     1. 선적항
     2. 컨테이너 번호
     3. 선사명
     4. 화주명

     정답 : []
     정답률 : 80%

39. 레버의 편향각도에 비례하여 속도조절을 할 수 있는 스위치의 명칭은?(2015년 04월)
     1. 마스트 컨트롤러 스위치(Master controller switch)
     2. 비상정지 스위치(Emergency stop switch)
     3. 누름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4.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정답 : []
     정답률 : 81%

40. 컨테이너 터미널의 위치 선정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4월)
     1. 기술수준이 높은 근로자의 확보가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
     2. 내륙운송이 용이하여 물류비용이 저렴한 지점이어야 한다.
     3. 컨테이너선의 접안이 용이하도록 수심이 낮은 곳이어야 한다.
     4. 컨테이너선의 기항이 용이하고, 각 해상의 항로망이 집중되는 곳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41. 컨테이너 크레인 안전운전을 위한 필요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7월)
     1. 항만시설장비 검사기준상 풍속 20m/sec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을 중지하고 타이다운을 체결한다.
     2. 스프레더를 규정된 인양고도보다 높이 올리지 않는다.
     3. 트롤리나 호이스트를 연장시키기 위해 리미트 스위치를 이동시킨다.
     4. 브레이크 상태를 점검하여 브레이크 슈를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42. 컨테이너크레인의 작업 중 조치사항에 해당되는 것은?(2012년 07월)
     1. 컨테이너크레인의 주변 점검
     2. 윤활 상태 점검
     3. 각종 스위치 확인
     4. 규정된 양정 이상 감아올리기 금지

     정답 : []
     정답률 : 74%

43. 사고 시 신속한 응급처리를 위해 준비해야할 일반적인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4년 07월)
     1. 응급처치 상자는 필요 시 내용물을 재빨리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놓아두어야 한다.
     2. 응급처치 상자가 있다는 것을 알리는 표지판을 붙여 놓아야 한다.
     3. 응급처치 훈련은 관리자 만 받으면 된다.
     4. 응급처치 상자의 내용물은 그 지역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부상을 고려해서 준비해 두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44. 위험화물 하역시의 일반적인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위험물을 적재작업 시 주간에는 D기를 게양하고, 야간에는 적색 전주 등을 켠다.
     2. 화약류 화물은 타 화물에 우선하여 양화하고, 마지막에 선적한다.
     3. 선정 및 관할지역 경찰청장은 긴급조치반이 접근할 수 있도록 도로 및 접근로를 확보한다.
     4. 선장은 선원안전교육, 화주는 하역작업원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5. IMO가 제정한 위험물의 분류(IMDG Code)에서 Class 2에 해당하는 위험물은?(2014년 04월)
     1. 화약류(Explosives)
     2. 가스류(Gases)
     3. 독물 및 전염성 물질류(Poisonous and Infectious)
     4. 부식성 물질류(Corrosive)

     정답 : []
     정답률 : 81%

46. 컨테이너 크레인의 가동 전 점검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7월)
     1. 크레인 주요부위의 비파괴 검사
     2. 윤활 상태 점검
     3. 와이어로프 점검
     4. 각종 스위치 점검

     정답 : []
     정답률 : 79%

47. 선박 출입수단인 현문 사다리의 기울기는 몇 도 이하여야 하는가?(2012년 07월)
     1. 40
     2. 50
     3. 60
     4. 70

     정답 : []
     정답률 : 83%

48. 레일 클램프의 종류로 틀린 것은?(2014년 07월)
     1. 타이다운 형식
     2. 레일 클램핑 형식
     3. 휠 브레이크 형식
     4. 휠 초크 형식

     정답 : []
     정답률 : 69%

49. 컨테이너 터미널 내 안전운전 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타이어가 설치된 모든 장비는 코너에서 감속 운전해야 한다.
     2. 부두 내에는 장비에 대한 제한 속도가 없으므로 일반도로 규정에 따른다.
     3. 부두 내에서는 추락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운전자 이외의 승객을 태워서는 안 된다.
     4. 부두 내의 각종 안전표지를 준수하고 진행방향을 주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50. 컨테이너 크레인을 가동 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2015년 07월)
     1. 붐을 올리고 래치의 해지를 확인한다.
     2. 레일 클램프의 제동상태를 확인한다.
     3. 스토웨지 핀을 잠근다.
     4. 트롤리를 정지 위치에 정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5%

51. 유압장치에서 일일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16년 07월)
     1. 필터의 오염여부 점검
     2. 탱크의 오일량 점검
     3. 호스의 손상여부 점검
     4. 이음 부분의 누유 점검

     정답 : []
     정답률 : 66%

52. 유압장치의 단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관로를 연결하는 곳에서 작동유가 누출될 수 있다.
     2. 고압 사용으로 인한 위험성이 존재한다.
     3. 작동유 누유로 인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4. 전기, 전자의 조합으로 자동제어가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53. 유압유의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가 아닌 것은?(2016년 07월)
     1. 릴리프 밸브
     2. 체크 밸브
     3. 리듀싱 밸브
     4. 시퀀스 밸브

     정답 : []
     정답률 : 50%

54. 유압모터의 용량을 나타내는 것은?(2014년 07월)
     1. 입구압력(kgf/cm2)당 토크
     2. 유압작동부 압력(kgf/cm2)당 토크
     3. 주입된 동력(HP)
     4. 체적(cm3)

     정답 : []
     정답률 : 67%

55. 작동유에서 점도의 단위로 맞는 것은?(2012년 07월)
     1. kg
     2. cm
     3. P
     4. s

     정답 : []
     정답률 : 87%

56. 유압장치의 일상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7월)
     1. 유압탱크의 유량 점검
     2. 오일누설 여부 점검
     3. 소음 및 호스 누유 여부 점검
     4. 릴리프 밸브 작동시험 점검

     정답 : []
     정답률 : 76%

57. 유압장치에서 기어모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5년 04월)
     1. 내부 누설이 적어 효율이 높다.
     2.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3. 일반적으로 스퍼기어를 사용하나 헬리컬 기어도 사용된다.
     4. 유압유에 이물질이 혼입되어도 고장 발생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49%

58. 유압퍼프 중 토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2013년 07월)
     1. 가변 토출량형
     2. 고정 토출량형
     3. 회전 토출량형
     4. 수평 토출량형

     정답 : []
     정답률 : 82%

59. 내경이 작은 파이프에서 미세한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는?(2013년 07월)
     1. 압력보상 밸브
     2. 니들 밸브
     3. 바이패스 밸브
     4. 스로틀 밸브

     정답 : []
     정답률 : 71%

60. 난연성 작동유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4월)
     1. 석유계 작동유
     2. 유중수형 작동유
     3. 물-글리콜형 작동유
     4. 인산 에스텔형 작동유

     정답 : []
     정답률 : 67%


정 답 지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14334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크레인 작업 표준 신호지침에서 그림과 같이 집게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수신호는?(2013년 07월)

   

     1. 수평 이동
     2. 운전자 호출
     3. 천천히 이동
     4. 운전방향 지시

     정답 : []
     정답률 : 80%

2. 트랜스퍼크레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2년 07월)
     1. 트랜스퍼크레인은 타이어식으로 디젤엔진에 의해서만 가동된다.
     2. 트랜스퍼크레인은 ISO 20, 40, 45피트의 컨테이너를 처리할 수 있다.
     3. 호이스트, 트롤리, 갠트리 운전속도는 한국공업규격에 정해져 있어 어느 장비나 동일하다.
     4. 레일 위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장비를 RTTC라고 부른다.

     정답 : []
     정답률 : 94%

3. 운전실 내부 조작반에서 동시에 운전할 수 없는 동작은?(2015년 04월)
     1. 횡행동작과 권상동작
     2. 권하동작과 주행동작
     3. 주행동작과 횡행동작
     4. 횡행동작과 트림/리스트/스큐 동작

     정답 : []
     정답률 : 78%

4. 컨테이너크레인에서 트롤리 트래블 스피드(Trolly travel speed) 120m/min이 의미하는 것은?(2013년 07월)
     1. 크레인의 주행속도가 1분에 120m라는 의미이다.
     2. 크레인의 횡행속도가 1분에 120m라는 의미이다.
     3. 크레인의 호이스트 속도가 1분에 120m라는 의미이다.
     4. 크레인의 최대 인양 높이가 120m라는 의미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5. 컨테이너크레인의 트롤리의 여관이 가장 적은 것은?(2014년 07월)
     1. 감속기(Decelerator)
     2. 로프텐셔너(Rope tensioner)
     3. 틸팅 디바이스(Tilting device)
     4. 브레이크(Brake) 장치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틸팅 디바이스는 작업 중 스프레더가 화물의 편중 등으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 백 리치 끝단 부에 설치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횡행(트롤리) 동작과 가장 거리가 먼 리미트 스위치는?(2016년 04월)
     1. 운전실 출입 게이트 리미트 스위치
     2. 전진 저속 리미트 스위치
     3. 후진 저속 리미트 스위치
     4. 웨이트 리미트 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70%

7. 엔진식 트랜스퍼크레인의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블록간의 이동이 자유롭다.
     2. 야드에서 컨테이너를 하역 및 적재한다.
     3. RTTC(Rubber Tired Transfer Crane)로 불린다.
     4. 야드와 크레인 스팬사이를 왕복하면서 컨테이너 운반작업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8. 컨테이너 하역 작업용 장비가 아닌 것은?(2014년 07월)
     1. RMGC(Rail Mounted Gantry Crane)
     2. RTGC(Rubber Tired Gantry Crane)
     3. R/S(Reach Stacker)
     4. CSU(Continuous Ship Unloader)

     정답 : []
     정답률 : 84%

9. “레일 클램프는 ( )에 의해 해제되며, ( )에 의해 제동(Clamping)된다.”에서 ( ) 안에 들어갈 단어가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2013년 07월)
     1. 전기, 관성력
     2. 관성력, 전기
     3. 유압, 스프링의 힘
     4. 스프링 힘, 유압

     정답 : []
     정답률 : 74%

10. 트롤리만을 와이어로프로 작동시키고, 호이스트 장치를 별도로 장치하는 방식은?(2015년 07월)
     1. 맨(Man) 트롤리
     2. 크랩(Crab) 트롤리
     3. 세미로프(Semi-rope) 트롤리
     4. 와이어로프(Wire rope) 트롤리

     정답 : []
     정답률 : 69%

11. 와이어로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비 침투성 윤활류로 정기적인 도포를 해준다.
     2. 와이어로프의 주요 구성품은 Wire, Strand, Core이다.
     3. 파단소선의 수량, 파단소선의 위치는 교환기준이 된다.
     4. 정기적인 직경 측정 및 외관검사를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1%

12. 컨테이너크레인의 설계검사에서 지역별 최대순간풍속으로 맞는 것은? (단, 휴지상태(태풍)에 해당하는 경우로 지면상에서 20미터 높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이다.)(2016년 04월)
     1. 서해안 : 초당 40미터 이상
     2. 목포 : 초당 50미터 이상
     3. 동해안, 남해안 : 초당 60미터 이상
     4. 울릉도 : 초당 70미터 이상

     정답 : []
     정답률 : 85%

13. 컨테이너크레인에서 작업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열(Row)과 크레인 아웃 리치(Out reach)가 가장 바르게 연결된 것은?(2012년 07월)
     1. 13열 - 30m
     2. 16열 - 45m
     3. 22열 - 50m
     4. 25열 - 60m

     정답 : []
     정답률 : 92%

14. 컨테이너크레인의 붐 인양장치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확인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2년 07월)
     1. 붐 래치 핀(Latch pin)이 혹(Hook)에서 걸려있는지 확인한다.
     2. 붐 와이어로프가 활차에서 탈선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트롤리가 주차(정지)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4. 레일 클램프가 잠겨있는지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5. 트롤리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2년 07월)
     1. 맨(Man) 트롤리
     2. 크랩(Crab) 트롤리
     3. 하프로프(Half rope) 트롤리
     4. 와이어로프(Wire rope) 트롤리

     정답 : []
     정답률 : 76%

16. 하나의 전기회로에 자력선의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를 방해하려고 다른 전기회로에 기전력을 발생되는 현상은?(2015년 07월)
     1. 전류 유도 작용
     2. 저항 유도 작용
     3. 상호 유도 작용
     4. 자기 유도 작용

     정답 : []
     정답률 : 56%

17.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틸팅 디바이스 장치의 홈포지션(Home position) 스위치를 동작시키면?(2015년 04월)
     1. 기억된 량으로 스프레더가 틸팅된다.
     2. 스프레더가 기억된 열(Row)에 위치한다.
     3. 트롤리가 주차위치(Parking position)에 위치한다.
     4. 기울어진 스프레더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18. 선박의 기울기에 따라 컨테이너크레인의 스프레더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는?(2016년 04월)
     1. 횡행 장치
     2. 붐 호이스트 장치
     3. 틸팅 디바이스 장치
     4. 주행 장치

     정답 : []
     정답률 : 83%

19. 아날로그 량이 아닌 것은?(2012년 07월)
     1. 전압
     2. 전류
     3. 압력
     4. 비트(0, 1)

     정답 : []
     정답률 : 87%

20. 붐 호이스트 운전 실행 조건으로 틀린 것은?(2015년 04월)
     1. 호이스트가 작동하지 않을 때
     2. 주행이 작동하지 않을 때
     3. 트롤리가 작동하지 않을 때
     4. 붐 래치 핀이 풀려지있지 않을 때

     정답 : []
     정답률 : 76%

2과목 : 임의 구분


21. 컨테이너 크레인의 횡행과 권상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기는?(2013년 07월)
     1. 타코 제너레이터
     2. 엔코더
     3. 결상계전기
     4. 차단기

     정답 : []
     정답률 : 81%

22. 도체의 저항 값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R : 저항, ρ : 고유저항, A : 도체의 단면적, ℓ : 도체의 길이)(2014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6%

23. 컨테이너크레인에서 헤드블록과 스프레더를 연결하는 장치는?(2012년 07월)
     1. 틸팅 디바이스
     2. 로프 텐션너
     3. 트위스트 록
     4. 레일 클램프

     정답 : []
     정답률 : 65%

24. 컨테이너 크레인의 모니터링 시스템인 CMS(Crane monitering system) 기능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스프레더의 트림, 리스트, 스큐에 대한 각도를 알 수 있다.
     2. 컨테이너전용선의 입, 출항 시간을 알 수 있다.
     3. 컨테이너의 생산성을 확인 할 수 있다.
     4. 고장에 대한 통계와 실시간 고장을 파악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8%

25. 컨테이터크레인이 옆에 있는 다른 컨테이너크레인으로 근접 이동을 감지하는 안전장치는?(2016년 07월)
     1. 주행 충돌방지센서
     2. 주행 좌·우측 정지센서
     3. 선박충돌 방지센서
     4. 케이블 완전 풀림센서

     정답 : []
     정답률 : 81%

26. 동일 레일 상에 있는 크레인끼리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센서는?(2014년 04월)
     1. 풀림확인센서
     2. 폭주방지센서
     3. 충돌방지센서
     4. 트롤리센서

     정답 : []
     정답률 : 96%

27. 직류 전동기의 속도 제어방법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계자 제어법
     2. 저항 제어법
     3. 전압 제어법
     4. 전력 제어법

     정답 : []
     정답률 : 52%

28. 컨테이너 크레인 운전 중 안전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비정상 소리, 소음, 진동, 속도
     2. 계기류 지시값 이상 및 경보
     3. 연기, 냄새, 불꽃
     4. 비상정지 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86%

29. 트롤리 운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7월)
     1. 화물의 중량과 관계없이 속도를 가감할 수 있다.
     2. 주행운전과 연동할 수 있다.
     3. 주행운전과 같이 조작레버의 편향각도에 따라 변속된다.
     4. 엔코더로 중량을 측정하여 감속구간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정답 : []
     정답률 : 49%

30. 전선 및 기계 기구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로에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 개소로 틀린 것은?(2016년 07월)
     1. 인입구
     2. 분기점
     3. 간선의 전원측
     4. 접지공사의 접지선

     정답 : []
     정답률 : 59%

31. 컨테이너선의 크기에서 5,000TEU의 의미를 잘못 표현한 것은?(2016년 07월)
     1. 20피트 컨테이너 5,000개
     2. 40피트 컨테이너 2,500개
     3. 20피트 컨테이너 2,000개, 40피트 컨테이너 1,500개
     4. 20피트 컨테이너 2,000개, 40피트 컨테이너 3,000개

     정답 : []
     정답률 : 70%

32. 컨테이너 터미널의 안벽에 접한 부분으로 하역장비(Gantry crane등)가 설치되어 있는 곳은?(2012년 07월)
     1. 컨테이너 화물조작장(CFS)
     2. 마샬링 야드(Marshaling yard)
     3. 에이프론(Apron)
     4. 컨테이너 야드(Container yard)

     정답 : []
     정답률 : 77%

33. 수입 컨테이너의 본선 하역에 있어서, 현장(포맨, 신호수, 언더맨 등)에 전달되는 서류가 아닌 것은?(2012년 07월)
     1. 본선 적부계획도(Stoage Plan)
     2. G/C 작업계획도(Working Schedule)
     3. 작업진행표(Sequence List)
     4. 컨테이너 선적목록(Container Loading List)

     정답 : []
     정답률 : 79%

34. 컨테이너에서 컨테이너 일련번호가 부착되지 않는 곳은?(2015년 07월)
     1. 옆면
     2. 윗면
     3. 밑면
     4. 앞면(Door 반대쪽)

     정답 : []
     정답률 : 83%

35. Hub Port(중심항)의 전략적 가치 결정요소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2015년 07월)
     1. 기간항로의 편입성, 연계운송의 지리적 접근성, 화물이동 방향의 수용성 및 자연적 안정성 등은 중요한 전략적 가치 결정요소이다.
     2. 대형선박의 수용성(수심, 안벽길이)과 연계운송시설(도로, 철도, 해상) 및 항만 면적/하역시설 등으로 전략적 가치를 결정한다.
     3. 항만운영제도(작업시간, 화물장치 허용기간) 등의 서비스 질과 항만서비스 가격 및 비용이 주요 요소이다.
     4. 정보통제와 정치, 사회, 경제적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며, 해운환경의 변화와 국제 해운관행 등은 전략적 가치 결정대상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75%

36. 컨테이너 터미널의 본선 작업계획 수립시 고려사항이 아닌 것은?(2015년 04월)
     1. 장척화물 및 벌크화물은 장비교체의 문제로 인해 작업시간을 별도 계산하여 계획한다.
     2. 중량화물이 아래쪽에 적재(Bottom Heavy)되도록 하여야 한다.
     3. 화물창(Hold)내에 20피트 전용 셀 가이드가 없을 때에는 Stacking Cone 제거작업 시가을 고려해야 한다.
     4. 안벽크레인과 본선의 충돌 시 하역생산성을 고려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37. 프론트 엔드 탑픽 로더 방식의 장·단점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야드 내에서 컨테이너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2. 야드 내 어느 곳에서나 운영할 수 있다.
     3. 최상의 유지비만 소요되며 쉬는 시간이 매우 짧다.
     4. 무인자동화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68%

38.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사용되는 Bay Plan에 표시되지 않은 사항은?(2012년 07월)
     1. 선적항
     2. 컨테이너 번호
     3. 선사명
     4. 화주명

     정답 : []
     정답률 : 80%

39. 레버의 편향각도에 비례하여 속도조절을 할 수 있는 스위치의 명칭은?(2015년 04월)
     1. 마스트 컨트롤러 스위치(Master controller switch)
     2. 비상정지 스위치(Emergency stop switch)
     3. 누름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4.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정답 : []
     정답률 : 81%

40. 컨테이너 터미널의 위치 선정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04월)
     1. 기술수준이 높은 근로자의 확보가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
     2. 내륙운송이 용이하여 물류비용이 저렴한 지점이어야 한다.
     3. 컨테이너선의 접안이 용이하도록 수심이 낮은 곳이어야 한다.
     4. 컨테이너선의 기항이 용이하고, 각 해상의 항로망이 집중되는 곳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41. 컨테이너 크레인 안전운전을 위한 필요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7월)
     1. 항만시설장비 검사기준상 풍속 20m/sec를 초과하는 경우 작업을 중지하고 타이다운을 체결한다.
     2. 스프레더를 규정된 인양고도보다 높이 올리지 않는다.
     3. 트롤리나 호이스트를 연장시키기 위해 리미트 스위치를 이동시킨다.
     4. 브레이크 상태를 점검하여 브레이크 슈를 조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42. 컨테이너크레인의 작업 중 조치사항에 해당되는 것은?(2012년 07월)
     1. 컨테이너크레인의 주변 점검
     2. 윤활 상태 점검
     3. 각종 스위치 확인
     4. 규정된 양정 이상 감아올리기 금지

     정답 : []
     정답률 : 74%

43. 사고 시 신속한 응급처리를 위해 준비해야할 일반적인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4년 07월)
     1. 응급처치 상자는 필요 시 내용물을 재빨리 이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놓아두어야 한다.
     2. 응급처치 상자가 있다는 것을 알리는 표지판을 붙여 놓아야 한다.
     3. 응급처치 훈련은 관리자 만 받으면 된다.
     4. 응급처치 상자의 내용물은 그 지역에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부상을 고려해서 준비해 두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3%

44. 위험화물 하역시의 일반적인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7월)
     1. 위험물을 적재작업 시 주간에는 D기를 게양하고, 야간에는 적색 전주 등을 켠다.
     2. 화약류 화물은 타 화물에 우선하여 양화하고, 마지막에 선적한다.
     3. 선정 및 관할지역 경찰청장은 긴급조치반이 접근할 수 있도록 도로 및 접근로를 확보한다.
     4. 선장은 선원안전교육, 화주는 하역작업원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45. IMO가 제정한 위험물의 분류(IMDG Code)에서 Class 2에 해당하는 위험물은?(2014년 04월)
     1. 화약류(Explosives)
     2. 가스류(Gases)
     3. 독물 및 전염성 물질류(Poisonous and Infectious)
     4. 부식성 물질류(Corrosive)

     정답 : []
     정답률 : 81%

46. 컨테이너 크레인의 가동 전 점검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5년 07월)
     1. 크레인 주요부위의 비파괴 검사
     2. 윤활 상태 점검
     3. 와이어로프 점검
     4. 각종 스위치 점검

     정답 : []
     정답률 : 79%

47. 선박 출입수단인 현문 사다리의 기울기는 몇 도 이하여야 하는가?(2012년 07월)
     1. 40
     2. 50
     3. 60
     4. 70

     정답 : []
     정답률 : 83%

48. 레일 클램프의 종류로 틀린 것은?(2014년 07월)
     1. 타이다운 형식
     2. 레일 클램핑 형식
     3. 휠 브레이크 형식
     4. 휠 초크 형식

     정답 : []
     정답률 : 69%

49. 컨테이너 터미널 내 안전운전 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7월)
     1. 타이어가 설치된 모든 장비는 코너에서 감속 운전해야 한다.
     2. 부두 내에는 장비에 대한 제한 속도가 없으므로 일반도로 규정에 따른다.
     3. 부두 내에서는 추락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운전자 이외의 승객을 태워서는 안 된다.
     4. 부두 내의 각종 안전표지를 준수하고 진행방향을 주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50. 컨테이너 크레인을 가동 후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2015년 07월)
     1. 붐을 올리고 래치의 해지를 확인한다.
     2. 레일 클램프의 제동상태를 확인한다.
     3. 스토웨지 핀을 잠근다.
     4. 트롤리를 정지 위치에 정지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55%

51. 유압장치에서 일일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16년 07월)
     1. 필터의 오염여부 점검
     2. 탱크의 오일량 점검
     3. 호스의 손상여부 점검
     4. 이음 부분의 누유 점검

     정답 : []
     정답률 : 66%

52. 유압장치의 단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6년 04월)
     1. 관로를 연결하는 곳에서 작동유가 누출될 수 있다.
     2. 고압 사용으로 인한 위험성이 존재한다.
     3. 작동유 누유로 인해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4. 전기, 전자의 조합으로 자동제어가 곤란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53. 유압유의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가 아닌 것은?(2016년 07월)
     1. 릴리프 밸브
     2. 체크 밸브
     3. 리듀싱 밸브
     4. 시퀀스 밸브

     정답 : []
     정답률 : 50%

54. 유압모터의 용량을 나타내는 것은?(2014년 07월)
     1. 입구압력(kgf/cm2)당 토크
     2. 유압작동부 압력(kgf/cm2)당 토크
     3. 주입된 동력(HP)
     4. 체적(cm3)

     정답 : []
     정답률 : 67%

55. 작동유에서 점도의 단위로 맞는 것은?(2012년 07월)
     1. kg
     2. cm
     3. P
     4. s

     정답 : []
     정답률 : 87%

56. 유압장치의 일상점검 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7월)
     1. 유압탱크의 유량 점검
     2. 오일누설 여부 점검
     3. 소음 및 호스 누유 여부 점검
     4. 릴리프 밸브 작동시험 점검

     정답 : []
     정답률 : 76%

57. 유압장치에서 기어모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5년 04월)
     1. 내부 누설이 적어 효율이 높다.
     2.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3. 일반적으로 스퍼기어를 사용하나 헬리컬 기어도 사용된다.
     4. 유압유에 이물질이 혼입되어도 고장 발생이 적다.

     정답 : []
     정답률 : 49%

58. 유압퍼프 중 토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2013년 07월)
     1. 가변 토출량형
     2. 고정 토출량형
     3. 회전 토출량형
     4. 수평 토출량형

     정답 : []
     정답률 : 82%

59. 내경이 작은 파이프에서 미세한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는?(2013년 07월)
     1. 압력보상 밸브
     2. 니들 밸브
     3. 바이패스 밸브
     4. 스로틀 밸브

     정답 : []
     정답률 : 71%

60. 난연성 작동유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4월)
     1. 석유계 작동유
     2. 유중수형 작동유
     3. 물-글리콜형 작동유
     4. 인산 에스텔형 작동유

     정답 : []
     정답률 : 67%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14334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1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40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339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38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337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5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36 9급 국가직 공무원 직업상담심리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4250099)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35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796617)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334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9559653)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143345)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332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8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331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30 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329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28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27 변리사 1차(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7
1326 방송통신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0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25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24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577825)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323 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4691141)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322 9급 국가직 공무원 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4618860)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10 Next
/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