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48072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에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보를 사용 하지 않고, 지판에 의해 기둥이 직접 바닥을 지지하므로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는?(2008년 04월)
     1. 합성슬래브 구조
     2. 프리캐스트 슬래브 구조
     3. 중공슬래브 구조
     4. 플랫슬래브 구조

     정답 : []
     정답률 : 85%

2. 보에서 생기는 부재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4월)
     1. 전단력은 수직전단력과 수평전단력이 있다.
     2.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구간에서의 전단력의 분포형태는 1차 직선이 된다.
     3. 휨모멘트는 전단력이 0인 곳 중에서 최대값을 나타낸다.
     4. 지점의 전단력의 크기는 지점반력보다 항상 크다.

     정답 : []
     정답률 : 64%

3. 여러 개의 직선부재를 강절로 연결한 구조는?(2022년 04월)
     1. 라멘 구조
     2. 케이블 구조
     3. 입체트러스 구조
     4. 트러스 구조

     정답 : []
     정답률 : 64%

4. 조적식 구조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대린벽은 두께방향으로 단위 조적개체로 구성된 벽체이다.
     2. 세로줄눈은 수직으로 평면을 교차하는 모르타르 접합부이다.
     3. 테두리보는 조적조에 보강근으로 보강된 수평부재이다.
     4. 프리즘은 그라우트 또는 모르타르가 포함된 단위조적의 개체로 조적조의 성질을 규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험체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겹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 대린벽은 내력벽을 교차하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시켜줘]

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부재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4월)
     1.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처짐은 균열환산단면해석에 기초하여 2개의 직선으로 구성되는 모멘트-처짐 관계나 유효단면2차 모멘트를 적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2. 구조설계에서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집중을 고려하여야 한다.
     3. 휨부재는 미리 압축을 가한 인장구역에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응력에 따라 비균열등급과 부분균열등급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4.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비균열단면을 사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6. 철근콘크리트 기초판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4월)
     1. 조적조 벽체를 지지하는 기초판의 최대 계수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위험단면은 벽체 중심과 단부 사이의 1/4 지점으로 한다.
     2. 휨모멘트에 대한 설계 시 1방향 기초판 또는 2방향 정사각형 기초판에서 철근은 기초판 전체 폭에 걸쳐 균등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3. 말뚝기초의 기초판 설계에서 말뚝의 반력은 각 말뚝의 중심에 집중된다고 가정하여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계산할 수 있다.
     4. 기초판 윗면부터 하부철근까지 깊이는 직접기초의 경우는 150mm 이상, 말뚝기초의 경우는 3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조적조 벽체를 지지하는 기초판의 최대 계수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위험단면은 벽체 중심과 단부 사이의 1/2 지점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민디]

7. 폭이 3 cm이고 높이가 4 cm인 직사각형 단면에 있어서 단면 중심에 대한 단면극2차모멘트(Ip) 값은?(2008년 04월)
     1. 0 cm4
     2. 9 cm4
     3. 16 cm4
     4. 25 cm4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단면극2차모멘트:Ix+Iy
(3*4^3)/12+(4*3^3)/12=16+9=25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8. 다음 그림과 같은 인장재의 순단면적[mm2]은? (단, 사용된 볼트의 구멍직경은 18mm이고 판의 두께는 5mm이다)(2014년 04월)

   

     1. 400
     2. 420
     3. 600
     4. 62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파단선이 정열배치일 경우 인장재 순단면적 산정
An=Ag-ndt
    =160*5-(2*(18+2)*5)
    =600mm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9. 철근콘크리트조에서 철근의 가공과 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db는 철근, 철선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연선의 공칭지름(mm)을 의미한다)(2013년 07월)
     1. 철근조립을 위해 교차되는 철근은 용접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책임기술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용접할 수 있다.
     2. 스터럽 또는 띠철근으로 사용되는 용접철망(원형 또는 이형)에 대한 표준갈고리의 구부림 내면반지름은 지름이 7mm 이상인 이형철선은 db, 그 밖의 철선은 2 db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부재단에서 프리텐셔닝 긴장재의 중심간격은 강선에서 5 db, 강연선에서 4db 이상이어야 한다.
     4. 동일 평면에서 평행하는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25mm이상, 또한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또한 굵은 골재의 공칭 최대치수에 대한 제한규정도 만족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10. 길이 L인 봉에 축하중 P가 작용할 때 봉의 늘어난 길이 ΔL은? (단, 봉의 단면적은 A이며, 하중 P는 단면의 도심에 가해지고 자중은 무시한다. 봉을 구성하는 재료의 응력(σ)-변형도(ϵ) 관계가 σ=E√ϵ이며, E는 봉의 탄성계수이다)(2017년 04월)

    

     1. PL/AE
     2. P2L2/A2E2
     3. P2L/A2E2
     4. PL/A2E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시그마 = p/a
엡실론 = 델타L/L
결국 정답인 델타L = (P제곱*L)/(A제곱*E제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에서,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 두께[mm]는?(2021년 02월 개정된 규정 적용됨)(2020년 07월)
     1. 100
     2. 75
     3. 60
     4. 4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00 = 수중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60 = 흙에 접하거나 옥외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d29 이상
40 = 옥외 또는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의 슬래브 벽체 장선 d35 초과, 보 기둥의 모든 철근, 흙에 접하거나 옥외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d16이하
[해설작성자 : 다뿌니]

2021.02에 개정    [KDS 14 20 40] 콘크리트 구조 철근 상세기준과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에서 변경되어 영구히 흙은 75mm 피복두께로 변경되었다!

12. 슬럼프시험(slump te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4월)
     1. 비빈 콘크리트를 3회로 나누어 넣고 매회 다짐막대로 20회 다진다.
     2. 상부직경 150 mm, 하부직경 250 mm, 높이 300 mm의 철제 형틀을 평평한 수밀판 위에 놓고 측정한다.
     3.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고 워커빌리티를 비교하는데 이용된다.
     4. 콘크리트의 성형성이나 마무리의 용이성 판단에 이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3%

13. 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x축과 y축이 도심을 지날 때, x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x와 y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y의 비(Ix : Iy)는?(2013년 07월)

    

     1. 2 : 1
     2. 1 : 2
     3. 4 : 1
     4. 1 : 4

     정답 : []
     정답률 : 63%

14. 조적식 구조에서 테두리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4월)
     1. 벽체를 일체화 시킨다.
     2. 벽면의 수평균열을 방지한다.
     3. 건물 전체의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4. 지붕이나 바닥의 하중을 균등하게 벽체에 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15. 밑변이 b이고 높이가 h인 직사각형 단면의 수평 도심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I1이라 하고, 밑변이 b이고 높이가 h인 삼각형 단면의 수평 도심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I2라고 할 때, I1/I2의 값은?(2015년 04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직사각형 단면2차모멘트:bh^3/12
삼각형 단면2차모멘트:bh^3/36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6. 지진하중 산정 및 내진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4월)
     1.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유효 건물 중량이 작을수록 밑면 전단력은 감소한다.
     2. 임의층의 층전단력은 그 층 하부의 층지진력의 누적합계이다.
     3. 지반의 주기와 구조물의 기본 진동주기가 비슷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4. 고차진동모드의 영향이 클수록 등가정적해석법보다는 동적 해석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7.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골조의 부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면의 도심을 지나는 직선상에서 잰 최소단면치수는 300 mm이상이어야 한다.
     2. 횡방향철근의 연결철근이나 겹침후프철근은 부재의 단면 내에서 중심간격이 350 m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3. 축방향철근의 철근비는 0.01 이상, 0.08 이하이어야 한다.
     4. 최소단면치수의 직각방향 치수에 대한 길이비는 0.4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일반 철근콘크리트의 축방향의 철근비가 0.01이상 0.08이하
특수모멘트골조의 축방향 철근비는 0.01이상 0.06이하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8. 그림과 같이 압축력을 받는 기둥의 오일러 좌굴하중에 가장 가까운 값[MN]은? (단, 압축부재의 휨강성 EI는 1MNㆍm2으로 한다)(2013년 07월)

    

     1. 2
     2. 2
     3. 2
     4. 2

     정답 : []
     정답률 : 50%

19. 내진설계를 위한 등가정적해석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밑면전단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진응답계수를 계산해야 한다.
     2. 반응수정계수는 건축물의 구조시스템별로 내구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이다.
     3. 건축물의 고유주기는 건축물의 전체 높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4. 밑면전단력은 유효 건물 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반응수정계수는 건축물의 구조시스템별로 내진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20. 지반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4월)
     1. 예비조사는 기초형식을 구상하고 본조사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개략적인 지반구성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2. 본조사는 기초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제반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의 지지력 및 부근 건축물 등의 기초에 관한 제조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3. 평판재하시험의 재하판은 지름 300mm를 표준으로 하고 최대 재하하중은 지반의 극한 지지력 또는 예상 장기 설계하중의 3배로 하며 재하는 5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시행한다.
     4. 말뚝박기 시험은 필요 한 깊이에서 매회 말뚝의 관입량과 리바운드량 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정 답 지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48072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에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보를 사용 하지 않고, 지판에 의해 기둥이 직접 바닥을 지지하므로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는?(2008년 04월)
     1. 합성슬래브 구조
     2. 프리캐스트 슬래브 구조
     3. 중공슬래브 구조
     4. 플랫슬래브 구조

     정답 : []
     정답률 : 85%

2. 보에서 생기는 부재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4월)
     1. 전단력은 수직전단력과 수평전단력이 있다.
     2.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구간에서의 전단력의 분포형태는 1차 직선이 된다.
     3. 휨모멘트는 전단력이 0인 곳 중에서 최대값을 나타낸다.
     4. 지점의 전단력의 크기는 지점반력보다 항상 크다.

     정답 : []
     정답률 : 64%

3. 여러 개의 직선부재를 강절로 연결한 구조는?(2022년 04월)
     1. 라멘 구조
     2. 케이블 구조
     3. 입체트러스 구조
     4. 트러스 구조

     정답 : []
     정답률 : 64%

4. 조적식 구조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대린벽은 두께방향으로 단위 조적개체로 구성된 벽체이다.
     2. 세로줄눈은 수직으로 평면을 교차하는 모르타르 접합부이다.
     3. 테두리보는 조적조에 보강근으로 보강된 수평부재이다.
     4. 프리즘은 그라우트 또는 모르타르가 포함된 단위조적의 개체로 조적조의 성질을 규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험체이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겹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 대린벽은 내력벽을 교차하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벽이다.
[해설작성자 : 합격시켜줘]

5.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부재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4월)
     1.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처짐은 균열환산단면해석에 기초하여 2개의 직선으로 구성되는 모멘트-처짐 관계나 유효단면2차 모멘트를 적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2. 구조설계에서는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집중을 고려하여야 한다.
     3. 휨부재는 미리 압축을 가한 인장구역에서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연단응력에 따라 비균열등급과 부분균열등급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4. 부분균열등급 휨부재의 사용하중에 의한 응력은 비균열단면을 사용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6. 철근콘크리트 기초판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4월)
     1. 조적조 벽체를 지지하는 기초판의 최대 계수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위험단면은 벽체 중심과 단부 사이의 1/4 지점으로 한다.
     2. 휨모멘트에 대한 설계 시 1방향 기초판 또는 2방향 정사각형 기초판에서 철근은 기초판 전체 폭에 걸쳐 균등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3. 말뚝기초의 기초판 설계에서 말뚝의 반력은 각 말뚝의 중심에 집중된다고 가정하여 휨모멘트와 전단력을 계산할 수 있다.
     4. 기초판 윗면부터 하부철근까지 깊이는 직접기초의 경우는 150mm 이상, 말뚝기초의 경우는 3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조적조 벽체를 지지하는 기초판의 최대 계수휨모멘트를 계산할 때 위험단면은 벽체 중심과 단부 사이의 1/2 지점으로 한다.
[해설작성자 : 민디]

7. 폭이 3 cm이고 높이가 4 cm인 직사각형 단면에 있어서 단면 중심에 대한 단면극2차모멘트(Ip) 값은?(2008년 04월)
     1. 0 cm4
     2. 9 cm4
     3. 16 cm4
     4. 25 cm4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단면극2차모멘트:Ix+Iy
(3*4^3)/12+(4*3^3)/12=16+9=25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8. 다음 그림과 같은 인장재의 순단면적[mm2]은? (단, 사용된 볼트의 구멍직경은 18mm이고 판의 두께는 5mm이다)(2014년 04월)

   

     1. 400
     2. 420
     3. 600
     4. 62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파단선이 정열배치일 경우 인장재 순단면적 산정
An=Ag-ndt
    =160*5-(2*(18+2)*5)
    =600mm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9. 철근콘크리트조에서 철근의 가공과 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db는 철근, 철선 또는 프리스트레싱 강연선의 공칭지름(mm)을 의미한다)(2013년 07월)
     1. 철근조립을 위해 교차되는 철근은 용접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책임기술자가 승인한 경우에는 용접할 수 있다.
     2. 스터럽 또는 띠철근으로 사용되는 용접철망(원형 또는 이형)에 대한 표준갈고리의 구부림 내면반지름은 지름이 7mm 이상인 이형철선은 db, 그 밖의 철선은 2 db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부재단에서 프리텐셔닝 긴장재의 중심간격은 강선에서 5 db, 강연선에서 4db 이상이어야 한다.
     4. 동일 평면에서 평행하는 철근 사이의 수평 순간격은 25mm이상, 또한 철근의 공칭지름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또한 굵은 골재의 공칭 최대치수에 대한 제한규정도 만족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10. 길이 L인 봉에 축하중 P가 작용할 때 봉의 늘어난 길이 ΔL은? (단, 봉의 단면적은 A이며, 하중 P는 단면의 도심에 가해지고 자중은 무시한다. 봉을 구성하는 재료의 응력(σ)-변형도(ϵ) 관계가 σ=E√ϵ이며, E는 봉의 탄성계수이다)(2017년 04월)

    

     1. PL/AE
     2. P2L2/A2E2
     3. P2L/A2E2
     4. PL/A2E2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시그마 = p/a
엡실론 = 델타L/L
결국 정답인 델타L = (P제곱*L)/(A제곱*E제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프리스트레스하지 않는 부재의 현장치기콘크리트에서,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 두께[mm]는?(2021년 02월 개정된 규정 적용됨)(2020년 07월)
     1. 100
     2. 75
     3. 60
     4. 40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100 = 수중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60 = 흙에 접하거나 옥외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d29 이상
40 = 옥외 또는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의 슬래브 벽체 장선 d35 초과, 보 기둥의 모든 철근, 흙에 접하거나 옥외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d16이하
[해설작성자 : 다뿌니]

2021.02에 개정    [KDS 14 20 40] 콘크리트 구조 철근 상세기준과 콘크리트 내구성 설계기준에서 변경되어 영구히 흙은 75mm 피복두께로 변경되었다!

12. 슬럼프시험(slump te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1년 04월)
     1. 비빈 콘크리트를 3회로 나누어 넣고 매회 다짐막대로 20회 다진다.
     2. 상부직경 150 mm, 하부직경 250 mm, 높이 300 mm의 철제 형틀을 평평한 수밀판 위에 놓고 측정한다.
     3. 콘크리트의 반죽질기를 측정하고 워커빌리티를 비교하는데 이용된다.
     4. 콘크리트의 성형성이나 마무리의 용이성 판단에 이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3%

13. 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에서 x축과 y축이 도심을 지날 때, x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x와 y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 Iy의 비(Ix : Iy)는?(2013년 07월)

    

     1. 2 : 1
     2. 1 : 2
     3. 4 : 1
     4. 1 : 4

     정답 : []
     정답률 : 63%

14. 조적식 구조에서 테두리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4월)
     1. 벽체를 일체화 시킨다.
     2. 벽면의 수평균열을 방지한다.
     3. 건물 전체의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4. 지붕이나 바닥의 하중을 균등하게 벽체에 전달한다.

     정답 : []
     정답률 : 65%

15. 밑변이 b이고 높이가 h인 직사각형 단면의 수평 도심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I1이라 하고, 밑변이 b이고 높이가 h인 삼각형 단면의 수평 도심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I2라고 할 때, I1/I2의 값은?(2015년 04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직사각형 단면2차모멘트:bh^3/12
삼각형 단면2차모멘트:bh^3/36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6. 지진하중 산정 및 내진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4월)
     1. 반응수정계수가 클수록, 유효 건물 중량이 작을수록 밑면 전단력은 감소한다.
     2. 임의층의 층전단력은 그 층 하부의 층지진력의 누적합계이다.
     3. 지반의 주기와 구조물의 기본 진동주기가 비슷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4. 고차진동모드의 영향이 클수록 등가정적해석법보다는 동적 해석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17. 휨모멘트와 축력을 받는 특수모멘트골조의 부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면의 도심을 지나는 직선상에서 잰 최소단면치수는 300 mm이상이어야 한다.
     2. 횡방향철근의 연결철근이나 겹침후프철근은 부재의 단면 내에서 중심간격이 350 m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3. 축방향철근의 철근비는 0.01 이상, 0.08 이하이어야 한다.
     4. 최소단면치수의 직각방향 치수에 대한 길이비는 0.4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일반 철근콘크리트의 축방향의 철근비가 0.01이상 0.08이하
특수모멘트골조의 축방향 철근비는 0.01이상 0.06이하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18. 그림과 같이 압축력을 받는 기둥의 오일러 좌굴하중에 가장 가까운 값[MN]은? (단, 압축부재의 휨강성 EI는 1MNㆍm2으로 한다)(2013년 07월)

    

     1. 2
     2. 2
     3. 2
     4. 2

     정답 : []
     정답률 : 50%

19. 내진설계를 위한 등가정적해석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4월)
     1. 밑면전단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진응답계수를 계산해야 한다.
     2. 반응수정계수는 건축물의 구조시스템별로 내구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이다.
     3. 건축물의 고유주기는 건축물의 전체 높이가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4. 밑면전단력은 유효 건물 중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반응수정계수는 건축물의 구조시스템별로 내진성을 고려하기 위한 계수
[해설작성자 : 우주공무원]

20. 지반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4월)
     1. 예비조사는 기초형식을 구상하고 본조사의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것으로 개략적인 지반구성 등을 파악하는 것이다.
     2. 본조사는 기초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제반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의 지지력 및 부근 건축물 등의 기초에 관한 제조사를 시행하는 것이다.
     3. 평판재하시험의 재하판은 지름 300mm를 표준으로 하고 최대 재하하중은 지반의 극한 지지력 또는 예상 장기 설계하중의 3배로 하며 재하는 5단계 이상으로 나누어 시행한다.
     4. 말뚝박기 시험은 필요 한 깊이에서 매회 말뚝의 관입량과 리바운드량 측정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48072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55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454 디지털영상편집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53 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52 유기농업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7822435) 좋은아빠되기 2025.11.09 7
1451 축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7601662)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50 식품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4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4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역사회간호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447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46 9급 국가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445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444 수능(지구과학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43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5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42 사무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225127)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41 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2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440 승강기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143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5
» 9급 국가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09일)(6480728)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1437 가스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4월01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09 4
1436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09 6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24 Next
/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