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279786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교통계획


1. 내부수익률(IRR)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사업의 수익성을 측정할 수 있다.
     2. 평가과정과 결과를 이해하기 쉽다.
     3. 다른 대안과 비교하기 쉽다.
     4. 사업의 절대적인 규모를 고려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2.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단계에서 사용하는 회귀분석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결정계수(R2)가 1에 가까울수록 좋은 회귀모형이라 할 수 있다.
     2. 모든 독립변수들은 서로 독립적이며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좋은 모형이다.
     3. 너무 많은 독립변수를 사용한 회귀모형은 통계적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통행발생량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독립변수의 예로 가구 수, 자동차 보유대수를 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회귀분석에서 모든 독립변수들은 서로 독립적이어야하며, 상관관계가 낮을수록 좋은 모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의 통행특성 분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통행자 분석을 위해 대상이 되는 통행자란 일정거리 이상의 보행이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하루에 1회 이상 움직인 사람을 말한다.
     2. 통행자 분석은 비통행이유 중 통행으로 전환이 가능한 비통행자가 있기 때문에 비통행자 분석과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3. 목적통행이란 한쌍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가지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행수단을 이용하여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사람이 1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4. 목적통행을 수단통행으로 나눈 비는 일반적으로 갈아타는 환승비율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단계에서 사용하는 회귀 분석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결정계수(R2)가 1에 가까울수록 좋은 회귀모형이라 할 수 있다.
     2. 모든 독립변수들은 서로 독립적이며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좋은 모형이다.
     3. 너무 많은 독립변수를 사용한 회귀모형은 통계적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통행발생량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독립변수의 예로 가구수, 자동차 보유대수를 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9%

5. 다음 중 교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승객과 화물을 일정한 시간에 목적지까지 운송시킨다.
     2. 도시화를 촉진시키고, 대도시와 주변도시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3. 산업활동 구조의 변화를 억제하고, 생산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4. 문화 ㆍ 사회활동 및 교육 등의 활동을 수행하는데에 이동성을 부여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6. 교통수요 관리방안 중 차량수요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재택근무
     2. 램프미터링
     3. 도심통행료 징수
     4. 대중교통이용의 편리화

     정답 : []
     정답률 : 89%

7. 평균 운행속도가 20km/h로서 20km의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가 60명을 최대로 수송할 수 있다. 배차 간격이 5분인 경우 시간당 최대 승객수는?(2004년 05월)
     1. 760명/시간
     2. 720명/시간
     3. 550명/시간
     4. 480명/시간

     정답 : []
     정답률 : 62%

8. 통행비용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경로를 택한다는 기본 전제를 이론의 배경으로 한 통행배분(traffic assignment) 모델은?(2008년 05월)
     1. All-or-Nothing Model
     2. Entropy Model
     3. Flow-independent
     4. OD pair Model

     정답 : []
     정답률 : 89%

9. 지하철과 버스에 대한 효용함수 및 통행특성자료가 아래와 같을 때, 로짓모형을 이용한 교통수단별 선택확률이 모두 옳은 것은? (단, 효용함수 V = -0.06(0.5X1 + 0.002X2) 이다.)(2009년 03월)

   

     1. 버스 : 57.9%, 지하철 : 42.1%
     2. 버스 : 42.1%, 지하철 : 57.9%
     3. 버스 : 47.9%, 지하철 : 52.1%
     4. 버스 : 52.1%, 지하철 : 47.9%

     정답 : []
     정답률 : 82%

10. 교통대안들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효율(efficiency) 평가방법과 효과(effectiveness)평가방법이 있다. 다음 중 두 범주의 방법론이 옳게 연결된 것은?(2005년 03월)
     1. 효과평가방법 : B/C 분석
     2. 효과평가방법 : 순현재가치법
     3. 효율평가방법 : 순위기법
     4. 효율평가방법 : 수익율법

     정답 : []
     정답률 : 78%

11. 시간가치(value of Time)는 교통시설 투자의 타당성 분석에서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시간가치를 산출하는 접근방법에서 근로와 여가활동중에서 선택의 문제로 접근하는 방법은?(2004년 09월)
     1. 소득접근방법
     2. 비용접근방법
     3. 기회비용 접근방법
     4. 여가비용 접근방법

     정답 : []
     정답률 : 77%

12. 택시요금의 변화에 따라 버스의 수요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은?(2007년 05월)
     1. 가격탄성력
     2. 교차탄성력
     3. 공급탄성력
     4. 소득탄성력

     정답 : []
     정답률 : 85%

13. 도시가로의 기능별 배치에서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의 배치간격으로 가장 적절한 기준은?(2006년 03월)
     1. 3,000m 내외
     2. 1,000m 내외
     3. 500m 내외
     4. 100m 내외

     정답 : []
     정답률 : 89%

14. 다음 중 제한속도를 다시 결정하고자 진행하는 차량의 속도 조사시 속도의 표준편차를 24km/h, 허용오차를 2km/h로 하고자 할 때 필요한 표본의 수는? (단, 신뢰도는 95% 이다.)(2010년 09월)
     1. 390
     2. 400
     3. 480
     4. 560

     정답 : []
     정답률 : 78%

15. 교통수단선택(Modal Split)과정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프로빗(Probit)모형
     2. 로짓(Logit)모형
     3. 판별분석(Discriminant)모형
     4. 중력(Gravity)모형

     정답 : []
     정답률 : 72%

16. 도로를 확장하기 전 교통량은 1일 1만대로 운행비가 대당 200원이었던 것이, 도로의 확장 후 교통량은 1만 5천대, 운행비는 대당 150원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른 소비자 잉여는?(2012년 09월)
     1. 62.5만원
     2. 125만원
     3. 437.5만원
     4. 875만원

     정답 : []
     정답률 : 67%

17. 통행단 모형의 적용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3월)
     1. 통행발생-노선배정-수단분담-통행배분
     2. 통행발생-수단분담-노선배정-통행배분
     3. 통행발생-수단분담-통행배분-노선배정
     4. 통행발생-통행배분-수단분담-노선배정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통행교차모형 : 통행발생 - 통행배분 - 수단분담 - 노선배정)
통행단 모형 : 통행발생 - 수단분담 - 통행배분 - 노선배정
[해설작성자 : 행운은 내에것]

18. 어느 도시에서 한 방향 노선길이가 20km인 버스노선을 왕복운행속도 20km/h, 배차간격 10분으로 운행하고자 한다. 이 노선의 운행을 위한 최소필요 버스대수는?(2003년 08월)
     1. 6대
     2. 8대
     3. 10대
     4. 12대

     정답 : []
     정답률 : 72%

19. 버스요금을 1050원에서 850원으로 내리고자 한다. 요금을 내리기 전의 승객은 시간당 120명이었고, 요금 인하 후 시간당 버스 승객수가 130명 일 때 소비자 잉여(consumer's surplus)는 얼마인가?(2013년 06월)
     1. 1000원
     2. 12500원
     3. 25000원
     4. 50000원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비자 잉여 공식 = (Q1+Q2)/2 *(C1-C2) 이다. 대입하면 (120+130)/2 * (1050-850) 이므로 답은 25000원이다.
[해설작성자 : 잉어]

20. 교통망의 구성요소로서 도로망의 교차점이나 인터체인지, 철도망의 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실제 교통망에서 교차로 또는 도로구간에서 도로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의 지점을 무엇이라 하는가?(2020년 09월)
     1. 결절점(node)
     2. 경로(path)
     3. 수송로(route)
     4. 링크(link)

     정답 : []
     정답률 : 86%

2과목 : 교통공학


21. 다음 중 속도-밀도 모형에 대한 설명이 가장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Greenshield의 직선모형은 사용하기가 간편하며 밀도가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직선관계가 나타낸다.
     2. Greenberg의 로그모형은 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정확한 관계를 추출할 수 있으나, 밀도가 낮은 경우 속도를 밀도로 설명하기 힘들어진다.
     3. Underwood의 지수모형은 밀도가 높은 경우의 속도를 정확히 산출하기 때문에 고속에서의 속도 추정값이 현장 측정값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4. Greenberg의 식에 의하면 밀도가 최대가 되면 속도는 최대 속도의 1/2 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22. 20/2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80m의 거리에서 글자 크기가 15cm인 교통표지판을 읽을 수 있다면,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글자 크기가 동일한 표지판을 읽기 위해 필요한 거리는?(2021년 05월)
     1. 32m
     2. 36m
     3. 40m
     4. 48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20 : 80m = 20/50 : xm이다.
80X(20/50)=32m
[해설작성자 : 나는 도시]

23. 다음 중 도시부 간선도로(신호교차로로 구성)의 시공도(time-space diagram)로부터 일반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2012년 03월)
     1. 차량진행대폭(bandwidth)
     2. 차량통행시간(travel time)
     3. 옵셋(offset)
     4. 개별 차량의 자유속도(free-flow speed)

     정답 : []
     정답률 : 83%

24. 어느 도로 구간의 자유속도가 100km/h, 혼잡밀도는 150대/km, 밀도가 60대/km일 때, 속도는 얼마인가? (단, Greenshields 모형에 따른다.)(2021년 05월)
     1. 40km/h
     2. 49km/h
     3. 60km/h
     4. 90km/h

     정답 : []
     정답률 : 54%

25. 시공도(Time-Space Diagram)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2012년 05월)
     1. 신호 옵셋
     2. 개별차량 속도
     3. 진행대폭
     4. 신호교차로 용량

     정답 : []
     정답률 : 52%

26. 교통량, 속도, 밀도의 관계식에서 사용되는 속도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5년 03월)
     1. 공간평균속도
     2. 시간평균속도
     3. 지점속도
     4. 운행속도

     정답 : []
     정답률 : 92%

27. 다음 중 감응식 신호기(Traffic Actuated Signal)에 비해 고정식 신호기(Pretimed Signal)가 갖는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보행자 교통량이 일정하면서 많은 곳에는 감응식 신호기보다 고정식 신호가 좋다.
     2.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편이다.
     3. 인접한 교차로간의 연동이 용이하다.
     4. 교통량의 시간대별 변동이 클 경우 대응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100%

28. 다음 중 도심부 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할 때 고려하는 지체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균일지체(uniform delay)
     2. 증분지체(incremental delay)
     3. 추가지체(initial queue delay)
     4. 상관지체(interaction delay)

     정답 : []
     정답률 : 73%

29. 다음 중 보행자 횡단시간의 결정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자동차의 교통량
     2. 교차로의 폭원
     3. 횡단 보행자수
     4. 보행자의 속도

     정답 : []
     정답률 : 69%

30. 다음 중 시공도(time-space diagram)의 작성에 필요하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교차로간의 거리
     2. 차로수
     3. 연속진행속도
     4. 신호주기 및 현시길이

     정답 : []
     정답률 : 69%

31. 다음 그림은 Greenshields의 속도-밀도 모형에서 유도된 교통량(q)과 밀도(K)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μf=자유류의 속도)(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32. 정지한 상태에서 30 ㎞/h로 가속하는데 승용차는 2.3초가 걸리고, 레미콘 트럭은 7.1초가 걸렸다. 이때 레미콘 트럭이 가속기간 동안 주행한 거리는 승용차의 가속기간 동안 주행한 거리의 약 몇 배인가?(2007년 05월)
     1. 3배
     2. 6배
     3. 9배
     4. 12배

     정답 : []
     정답률 : 59%

33. 신호체계의 구성요소 중 차량출현 여부, 교통량, 속도 및 점유율 등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2008년 03월)
     1. 관제센터
     2. 신호등
     3. 제어기
     4. 검지기

     정답 : []
     정답률 : 83%

34. 노면과 타이어 상태에 따른 미끄럼 마찰계수가 가장 큰 상태는?(2019년 09월)
     1. 습윤-마모된 타이어
     2. 건조-양호한 타이어
     3. 건조-마모된 타이어
     4. 습윤-양호한 타이어

     정답 : []
     정답률 : 61%

35. 다음 중 신호교차로의 이상적인 조건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경사가 없는 접근부
     2. 접근부 정지선의 삼류부 75m 이내에 노상 주ㆍ정차시설 없음
     3. 차로폭 3.5m 이상
     4. 교통류는 승용차로만 구성

     정답 : []
     정답률 : 62%

36. PIEV 시간은 교통시설 설계에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도로 설계에 사용되는 기준으로서 PIEV 시간은 얼마인가?(2006년 09월)
     1. 2.5초
     2. 2.0초
     3. 1.5초
     4. 1.0초

     정답 : []
     정답률 : 50%

37. 다음 중 용량산정에 앞지르기시거가 적용되는 도로시설은?(2022년 03월)
     1. 간선도로
     2. 오르막차로
     3. 고속도로
     4. 2차로 도로

     정답 : []
     정답률 : 62%

38. 교통류의 특성에서 평균 가속도에 관한 가속도의 표준편차를 무엇이라 하는가?(2017년 05월)
     1. 교통강도
     2. 충격편차
     3. 수락편차
     4. 가속소음

     정답 : []
     정답률 : 70%

39. 다음 중 이동측정법(Moving Vehicle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양방향 도로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
     2. 교통량과 통행시간 자료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다.
     3. 교통량이 아주 많은 다차로 도로 구간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4. 조사 구간은 물리적ㆍ교통적 여건에서 유사한 연속성을 지니도록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교통량이 아주 많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는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수와 시험차량을 앞지르기 한 차량, 시험차량이 앞지르기 한 차량의 숫자파악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소요현시율의 합이 0.85, 총 손실시간이 16초일 때, Webster 방식에 의한 적정 주기는?(2012년 05월)
     1. 136초
     2. 152초
     3. 174초
     4. 193초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웹스터 방식 공식에 의하면 (1.5×16+5)÷(1-0.85)=193.33
[해설작성자 : 하압격]

3과목 : 교통시설


41. 버스의 최대운행속도가 16.7m/sec, 차량가속도 2.0m/sec2, 차량감속도는 0.5m/sec2, 정류장당 승객수가 3명, 탑승 소요시간이 3초일 경우 적정 버스 정류장 간격을 최적 재차인원에 의한 방법으로 구하면?(2006년 03월)
     1. 647.5m
     2. 747.5m
     3. 847.5m
     4. 947.5m

     정답 : []
     정답률 : 54%

42. 교차로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의 최소폭은?(2005년 03월)
     1. 2m
     2. 3m
     3. 4m
     4. 6m

     정답 : []
     정답률 : 69%

43. 시거에 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2016년 05월)

    

     1. 정지시거
     2. 앞지르기시거
     3. 피주시거
     4. 가각시거

     정답 : []
     정답률 : 88%

44. 어느 건물의 주차용량이 60대, 주차이용대수가 일일 300대이고, 평균주차시간이 3시간이다. 주차장이 하루 20시간 개방된다고 한다면 이 주차장의 주차효율은?(2021년 05월)
     1. 0.65
     2. 0.75
     3. 0.85
     4. 0.95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주차가능횟수 20시간/3시간 = 6.667번
최대주차가능횟수 60대*6.667번 = 400대
주차효율 300대/400대 = 0.75
[해설작성자 : 주]

45. 도로의 기능별 구분에 따른 최소 설계속도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도시지역 국지도로 : 50km/h 이상
     2. 도시지역 집산도로 : 50km/h 이상
     3. 지방지역 산지 고속도로 : 100km/h 이상
     4. 지방지역 평지 고속도로 : 120km/h 이상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국지도로는 40km이다
[해설작성자 : 광주대 전줭]

46. 다음 중 시선유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설치 높이는 노면에서 반사제의 중심까지 90cm를 표준으로 한다.
     2. 시선유도표지는 반사체, 반사체 틀 및 지주로 이루어진다.
     3. 반사체의 색은 노란색만을 사용한다.
     4. 설치간격은 직선부에서 최대 50m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반사체의 색은 백색과 황색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지방지역의 고속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의 최소 폭 기준은? (단,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2009년 05월)
     1. 1.0m
     2. 1.5m
     3. 2.0m
     4. 3.0m

     정답 : []
     정답률 : 83%

48. 다음 중 도로의 구분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설치 최소 폭 기준(m)으로 ㉠과 ㉡에 들어갈 내용이 모두 옳은 것은? (단,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2017년 09월)

    

     1. ㉠ 2.0, ㉡ 1.0
     2. ㉠ 2.0, ㉡ 1.5
     3. ㉠ 1.5, ㉡ 1.0
     4. ㉠ 1.5, ㉡ 1.5

     정답 : []
     정답률 : 72%

49.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른 차도의 최소 평면곡선반지름으로 옳은 것은? (단, 편경사가 6%인 경우이다.)(2014년 05월)
     1. 설계속도 120 km/h, 최소평면곡선반지름 640m
     2. 설계속도 100 km/h, 최소평면곡선반지름 460m
     3. 설계속도 80 km/h, 최소평면곡선반지름 380m
     4. 설계속도 60 km/h, 최소평면곡선반지름 200m

     정답 : []
     정답률 : 66%

50. 평면교차로 선형 설계의 기본원칙 중 도로의 교차하는 각도를 직각에 가깝게 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8월)
     1. 교차로의 면적을 최소화시킨다.
     2. 회전 교통량이 줄어든다.
     3. 교차로에 진입한 운전자나 보행자들이 최소한의 시간을 가지고 교차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4. 예각이나 둔각으로 교차하는 경우보다 운전자의 시야가 확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51. 차도의 차로수 결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교통량이 적은 경우에도 2차로 이상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차로수의 결정은 원칙적으로 설계시간교통량과 설계서비스 수준을 고려한 설계시간교통량에 의하여 결정한다.
     3. 지방지역의 차로수는 홀수 차로를 원칙으로 한다.
     4. 도시지역의 차로수는 그 도로의 여건에 따라 홀수 차로로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K30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K30이 높을수록 교통량의 변화가 심하다.
     2. 도시부 도로가 지방부 도로보다 K30이 크다.
     3. K30은 설계시간교통량을 계산할 때 사용한다.
     4. 연평균 일교통량이 큰 도로일수록 K30은 일반적으로 작다.

     정답 : []
     정답률 : 71%

53. 완화곡선에 있어서 속도가 일정할 때 원심가속도 변화율과 파라메타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2003년 08월)
     1. 원심가속도 변화율에 상관없이 파라메타는 일정하다.
     2. 원심가속도 변화율이 커지면 파라메타는 비례하여 커진다.
     3. 원심가속도 변화율이 커지면 파라메타는 반비례하여 적어진다.
     4. 원심가속도 변화율에 상관없이 파라메타는 커지기도 하고, 적어지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교차로의 좌회전 차로 길이의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2003년 03월)
     1. 좌회전 교통량
     2. 차량의 감속도
     3. 차량길이
     4. 차로폭

     정답 : []
     정답률 : 58%

55. 도로의 평면 선형을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하고, 완화곡선을 클로소이드곡선으로 적용할 경우, 완화곡선의 길이가 100m, 원곡선부의 반경이 400m라면 직선부와의 교점에서 완화곡선상의 50m 떨어진 지점의 곡선반경은?(2010년 03월)

    

     1. 800m
     2. 700m
     3. 633m
     4. 600m

     정답 : []
     정답률 : 46%

56. 버스터미널의 입지선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도심부에 설치하는 경우 도심의 교통수요가 큰 장소에 설치한다.
     2. 대도시에서는 도심과 철도역 부근에 교통이 과다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도심부에 설치한다.
     3. 중소도시에서는 버스의 승차, 여객의 승강에 이점이 있도록 철도역 부근에 설치한다.
     4. 대도시의 철도역 부근에 설치하는 경우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모든 노선을 함께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모든 노선을 함께 설치할 경우 철도역 부근에 교통이 과다하게 집중되어 문제가 발생될수있다.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57. 다음 중 입체교차의 연결로 설계 시 유출입 유형을 일관성 있게 계획할 때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차로변경을 줄인다.
     2. 직진교통과의 마찰을 줄인다.
     3. 과속운전을 줄인다.
     4. 운전자의 혼란을 줄인다.

     정답 : []
     정답률 : 80%

58. 도로의 기능에 따른 구분 중 이동성이 가장 낮은 도로는?(2021년 05월)
     1. 국지도로
     2. 집산도로
     3. 간선도로
     4. 고속국도

     정답 : []
     정답률 : 78%

59.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을 조합할 경우 설계 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도로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할 것
     2. 선형이 시각적 연속성을 확보할 것
     3. 노면의 배수가 적절히 되는 경사를 고려할 것
     4.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곡선 사에 짧은 직선을 삽입할 것

     정답 : []
     정답률 : 82%

60. 노상주차장의 구조·설비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따로 정하거나 기타 사항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2019년 04월)
     1. 주간선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종단경사도(자동차 진행방향의 기울기)가 4%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3.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로 또는 고가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너비 8미터 미만의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너비 6미터미만의 도로에 설치X
[해설작성자 : 빵빵]

4과목 : 도시계획개론


61. 버제스(Burgess)의 동심원이론에서 제4권역에 해당하는 토지이용은?(2014년 03월)
     1. 점이지대
     2. 노동자주택지대
     3. 고급주택지대
     4. 공업지대

     정답 : []
     정답률 : 76%

62.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 지역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용도지구
     2. 자연환경보전지역
     3. 「주택법」에 따른 대지조성사업지구
     4.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관광특구

     정답 : []
     정답률 : 44%

63. 계획이론에 대한 허드슨(Hudson)의 분류에서 린드블룸(Lindblom)이 주창한 것으로 지속적인 조정과 적용을 통해 계획의 목표를 추구하는 접근 방법을 제시한 계획의 목표를 추구하는 접근 방법을 제시한 계획이론은?(2012년 05월)
     1. 종합적 계획(Synoptic Planning)
     2. 점진적 계획(Incremental Planning)
     3. 교류적 계획(Transactive Planning)
     4. 옹호적 계획(Asvocacy Planning)

     정답 : []
     정답률 : 83%

64. 도시의 인구가 처음에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 이후에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다시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인구예측에 적합한 모형은?(2020년 06월)
     1. 지수성장모형(Exponential Growth Model)
     2. 곰페르츠모형(Compertz Model)
     3. 집단생존모델(Cohort-survival Model)
     4. 선형모델(Linerar Model)

     정답 : []
     정답률 : 62%

65.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국지도로는?(2007년 03월)

    

     1. 쿨데삭(cul-de-sac)
     2. 루프(loop)형
     3. 격자형
     4. T자형

     정답 : []
     정답률 : 54%

66. 다음의 토지이용과 교통과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토지이용과 교통간의 관계는 상호의존적으로 작용하며 순환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2. 교통발생의 양은 토지이용 용도배분에 따라 다르다.
     3. 토지이용 체계의 변화는 정태적이기 때문에 교통의 토지이용에 대한 영향을 떼내어 관찰하기 용이하다.
     4. 토지이용이 집약적인 경우 교통시설의 양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67. 근린주구를 물리적 계획의 기본단위로 하여 주구 내의 생활안정을 유지하고 편리성과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6가지 계획원리를 제시한 사람은?(2019년 09월)
     1. 하워드(E. Howard)
     2. 페리(C.A Perry)
     3. 르꼬르뷔제(Le Corbusier)
     4. 랑팡(P.C.L 'Enfant)

     정답 : []
     정답률 : 68%

68. 다음 중 보행자 전용도로의 필요성이 제기된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주거단지의 대규모화
     2. 안전성·쾌적성 확보
     3. 주차공간의 대형화
     4. 외부의 생활공간의 체계화

     정답 : []
     정답률 : 80%

69. 다음은 일반적인 계획과정의 행위 목록이다. 계획과정을 계획단계별로 올바르게 열거한 것은?(2014년 05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57%

70. 도시의 기능분리의 요인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3월)
     1. 도심부의 지가가 지나치게 높다.
     2. 유사한 기능을 집중시킴으로서 집적의 이익에 유리하다.
     3. 도시활동의 중심은 교외와의 교통과 결부되는 경우가 있다.
     4. 도시의 기능분화는 교통 축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28%

71. 다음 중 도시내부공간구조의 진화과정을 설명하는 이론과 특성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선형이론-교통축
     2. 동심원이론-단핵구조
     3. 다핵이론-부도심
     4. 중심지이론-시장원리

     정답 : []
     정답률 : 52%

72. 과거 두 시점의 국가경제ㆍ지역경제ㆍ산업구조를 분석하여 당해 지역의 어떤 산업이 건전하게 성장하는가 또는 성장할 것인가를 파악하는 방법은?(2006년 05월)
     1. 경제기반 분석
     2. 투입산출 분석
     3. 변이할당 분석
     4. 지역성장 모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지구단위계획의 목적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토지이용을 합리화
     2. 도시의 기능 증진 및 미관의 개선
     3. 건축물의 밀도 규제
     4. 양호한 환경을 확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다음 중 도로의 위계상 이동성은 가장 높은 반면 접근성이 가장 낮은 것은?(2007년 09월)
     1. 주간선도로
     2. 보조간선도로
     3. 국지도로
     4. 고속도로

     정답 : []
     정답률 : 53%

75. 하워드가 주장한 전원도시의 개념을 바탕으로, 1900년대 초에 언윈과 파커에 의해 런던 교외에 건설된 전원도시는?(2021년 05월)
     1. 빅토리아
     2. 할로우
     3. 레치워스
     4. 햄스테트

     정답 : []
     정답률 : 70%

76. 격자형 가로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지형이 평탄한 도시에 적합하다.
     2. 도로기능의 다양성이 결여되기 쉽다.
     3. 고대 및 중세 봉건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4. 중심지를 기점으로 간선도로를 따라 도시개발축이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77. 하워드(E. Howard)의 전원도시 이론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인구는 32,000~58,000명에 한 한다.
     2. 전원적 성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기능을 배제한다
     3. 토지 투기를 막기 위하여 토지는 영구히 공유화 한다
     4. 도시주위에 넓은 농업지대 및 녹지대를 가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8. 도시토지이용의 예측 모형인 라우리모형(Lowry Model)에서 공간구조를 분류하는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기반부문(Basic Sector)
     2. 서비스부문(Service Sector)
     3. 가계부문(Household Sector)
     4. 환경부문(Environmental Sector)

     정답 : []
     정답률 : 52%

79. 케빈 린치(Kevin Lynch)가 제시한 도시의 이미지(The lmage of the City)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도로(path)
     2. 공간(space)
     3. 지구(district)
     4. 기념적 건물(landmark)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케빈린치가 제시한 도시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
1. Path(도로)
2. Edges(경계)
3. Districts(지구 또는 구역)
4. Landmark(기념적 건물)
5. Node(결절점)
[해설작성자 : 원주감자]

80. 가로망의 구성형태 중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계획에 적합하고 횡적인 연결은 환상선으로, 도심부와 교외 및 외곽은 방사선으로 연결하며 도쿄, 파리에 이용한 방법은?(2019년 03월)
     1. 방사형
     2. 혼합형
     3. 방사환상형
     4. 대각삽입형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방사형이란 도로가 어떤 중심점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뻗어나간다는 뜻입니다.
환상형은 일본에서 쓰이는 환상(環狀)이라는 표현을 직역한 것으로 고리 모양, 즉 원모양을 뜻합니다.
[해설작성자 : apr2015]

5과목 : 교통관계법규


81. 도로법령에 따른 도로원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군의 도로원표의 위치는 군수가 정한다.
     2. 도로원표의 크기ㆍ표기방법 및 설치기준 등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3. 서울특별시 도로원표의 위치는 광화문광장의 중앙으로 한다.
     4. 도로원표는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시 및 군에 각 1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다른 지역의 도로원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장(행정시의 경우에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이 설치·관리하되 그 위치는 광역자치단체장이 정한다(같은 조 제3항). 즉 시, 군은 해당 지자체의 도로원표의 설치·관리는 하지만 그 도로원표의 위치는 상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광주대 전줭]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서울특별시 도로원표 위치는 세종로중앙 광장입니다
[해설작성자 : 무무누나]

82.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도시계획에 관한 조사 -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에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둔다.
     2.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이 임명하거나 위촉한다.
     3. 중앙도시계획위원회는 위원장ㆍ부위원장 각 1인을 포함하여 10인 이상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장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하며,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의장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83.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서 규정하는 타당성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사업시행자는 사업의 시작 전에 투자평가지침에 따라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투자평가지침을 작성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3. 사업 시행자는 타당성 평가 실시 결과와 예비타당성 조사 실시 결과 간 현저한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를 거쳐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을 요청 할 수 있다.
     4. 공공교통시설 개발사업과 민간투자사업 모두 타당성 평가서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공공은 제출하고, 민간투자사업은 아님
[해설작성자 : 한방남]

84. 교통유발부담금의 부과대상 시설물은 각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04년 09월)
     1. 1000m2
     2. 2000m2
     3. 3000m2
     4. 4000m2

     정답 : []
     정답률 : 50%

85. 도로법에서 제시한 도로의 등급으로 높은 순위부터 나열한 것은?(2017년 09월)
     1. 고속국도-특별시도ㆍ광역시도-일반국도-지방도
     2. 고속국도-특별시도ㆍ광역시도-지방도-일반국도
     3. 고속국도-일반국도-특별시도ㆍ광역시도-지방도
     4. 고속국도-일반국도-지방도-특별시도ㆍ광역시도

     정답 : []
     정답률 : 75%

86.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의 범위와 면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택지개발사업 : 100만제곱미터 이상
     2. 도시개발사업 : 100만제곱미터 이상
     3. 역세권 개발사업 : 100만제곱미터 이상
     4. 기업도시개발사업 : 100만제곱미터 이상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역세권은 범위, 면적 상관없이 대규모 개발사업
[해설작성자 : 한방남]

87.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주차장의 주차단위 구획 기준이 틀린 것은?(2018년 03월 2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6년 10월)
     1. 경형 : 너비 2.0m 이상, 길이 3.6m 이상
     2. 확장형 : 너비 2.6m 이상, 길이 5.2m 이상
     3. 일반형 : 너비 2.5m 이상, 길이 5.0m 이상
     4. 장애인 전용 : 너비 3.0m 이상, 길이 5.0m 이상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018년 03월 21일 개정된 규정]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너비, 길이)
경형 : 2.0 이상 3.6 이상
일반형 : 2.5 이상, 5.0 이상
확장형 : 2.6 이상, 5.2 이상
장애인용 : 3.3 이상, 5.0 이상
이륜자동차전용 : 1.0 이상, 2.3 이상

평행주차의 경우(너비,길이)
경형 : 1.7 이상, 4.5 이상
일반형 : 2.0 이상, 5.0 이상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주거지역의 도로 : 2.0 이상, 5.0 이상
이륜자동차전용 : 1.0 이상 2.3 이상

88. 도시지역의 국지도로인 경우 보도의 최소폭은?(2003년 08월)
     1. 1.5m
     2. 2.0m
     3. 2.25m
     4. 3.0m

     정답 : []
     정답률 : 45%

89. 대도시권 광역교통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 소속으로 두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소관 업무가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광역교통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2020년 08월)
     1. 광교통수단과 연계된 환승 요금의 요율 및 기준에 관한 사항
     2. 광역교통시설에 대한 재정 지원 관한 사항
     3. 광역교통시설 부담금에 관한 사항
     4.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의 수립

     정답 : []
     정답률 : 43%

90.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의 정차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3월)
     1. 화물을 싣기 위해 계속 정지하여 있는 상태
     2. 운전자가 5분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차를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주차외의 정지 상태
     3. 차의 운전자가 그 차의 바퀴를 일시적으로 완전히 정지 시키는 것
     4. 운전자가 차를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느린 속도로 진행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88%

91. 다음 중 도시교통정비촉진법상 국토해양부장관이 도시교통 정비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인구 규모 기준은? (단, 도농복합형태의 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2009년 05월)
     1. 인구 5만명 이상의 도시
     2.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
     3. 인구 15만명 이상의 도시
     4.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

     정답 : []
     정답률 : 82%

92. 도시교통정비 촉진법령상 시장 또는 군수는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의 단계적 시행에 필요한 연차별 시행계획을 몇 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하는가?(2022년 03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도시교통정비계획 수립주기
- 기본계획:20년
- 중기계획:5년
- 연차별 시행계획 3년
[해설작성자 : 내가대빵이다]

93. 다음 중 도로법에 따른 자동차 전용도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관리청은 교통이 현저히 폭주하여 차량의 능률적인 운행에 지장이 있는 도로(고속국도 포함)에 대하여 자동차 전용도로를 지정할 수 있다.
     2. 자동차 전용도로를 지정함에 있어서 도로의 관리청이 국토해양부장관이면 경찰청장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3. 자동차 전용도로를 지정할 때에는 해당 구간을 연결하는 일반 교통용의 다른 도로가 있어야 한다.
     4. 자동차 전용도로를 지정하고자 하는 도로에 둘 이상의 관리청이 있으면 관계되는 관리청이 공동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94.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10대
     2. 20대
     3. 30대
     4. 50대

     정답 : []
     정답률 : 68%

95. 도시교통정비촉진법상 국토교통부장관이 도시교통정비지역으로 지정ㆍ고시할 수 있는 인구 규모기준은? (단, 도농복합형태의 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2015년 03월)
     1. 인구 5만명 이상의 도시
     2.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
     3. 인구 15만명 이상의 도시
     4.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

     정답 : []
     정답률 : 80%

96. 도로법령상 도로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 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건설·관리계획의 조정에 관한 사항
     2. 주요 지하매설물의 안전 대책에 관한 사항
     3.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4.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도로의 노선 지정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58%

97. 시·도지사는 시·도교통안전시행계획 및 전년도의 시·도교통안전시행계획 추진실적을 매년 몇 월 말까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2018년 04월)
     1. 1월 말
     2. 2월 말
     3. 3월 말
     4. 4월 말

     정답 : []
     정답률 : 51%

98. 교통안전법상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하는가?(2022년 03월)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58%

99. 다음 중 적색·황색·녹색화살표·녹색의 사색등화로 표시되는 신호등의 신호 순서 기준이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적색 → 황색 및 녹색화살표 → 황색 → 적색 → 녹색
     2. 적색 및 녹색화살표 → 황색 → 녹색 → 황색 → 적색
     3. 적색 → 황색 → 녹색화살표 → 황색 및 적색 → 녹색
     4. 적색 및 녹색화살표 → 녹색 → 황색 → 적색 → 황색

     정답 : []
     정답률 : 56%

100. 도로교통법령상 운행상의 안전기준과 관련한 적재용량 기준에서 이륜자동차는 그 승차장치의 길이 또는 적재장치의 길이에 얼마를 더한 길이를 운행상의 안전기준으로 하는가?(2020년 09월)
     1. 40cm
     2. 35cm
     3. 30cm
     4. 25cm

     정답 : []
     정답률 : 51%

101. 교통사고 조사의 일반원칙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2004년 09월)
     1. 신속한 조사를 행할 것
     2. 확고 부동한 사실을 파악할 것
     3. 가해자의 진술을 존중하고 인정할 것
     4. 주도(周到)면밀한 조사를 행할 것

     정답 : []
     정답률 : 91%

102. 교통사고의 원인을 규명함에 있어 중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사고당사자의 진행 방향
     2. 2차 충돌의 유무
     3. 충동한 접촉부위 및 방향
     4. 사고운전자의 나이

     정답 : []
     정답률 : 89%

103. 다음 중 도로교통법의 제정 목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육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2. 모든 교통에서 발생하는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3. 도로에서 일어나는 교통상의 모든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4. 안전하고 원활한 육상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104. 다음 중 가시도가 불량하여 발생하는 야간사고의 예방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3월)
     1. 시선유도표지 설치 또는 개량
     2. 방호책 설치
     3. 가로조명시설 신설 또는 증설
     4. 야광주의표지 설치

     정답 : []
     정답률 : 89%

105. 지하식 보행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3년 03월)
     1. 유지ㆍ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2. 범죄의 가능성이 크다.
     3. 시각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도시미관을 해친다.
     4. 외부를 볼 수 없으므로 방향 감각을 잃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6%

106. 위험도로 선정을 위해 사용되는 분석방법 중 미국의 교통연구원에서 발간한 교통사고 분석체계에 기술된 합리적인 방법으로 각지점의 사고율을 산정하고 그 지점의 사고율이 유사한 조건을 갖는 도로에 대한 사고율보다 현저히 높은 지의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절차에 근거한 것이며 사고발생 확률이 poisson 분포에 따른다는데서 출발하는 분석방법은?(2005년 03월)
     1. 교통사고 건수에 의한 방법
     2. 통계적 교통사고율 분석방법
     3. 교통사고 현황판에 의한 방법
     4. 교통사고 피해정도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89%

107. 다음 중 미끄러운 노면에 의해 발생하는 비신호 교차로에서의 추돌사고에 대한 일반적인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노면 재포장
     2. 포장 그루밍(grooving)
     3. 횡단보도의 재배치
     4. 미끄럼 주의표지 설치

     정답 : []
     정답률 : 62%

108. 다음 중 자동차의 정지거리를 옳게 표시한 것은?(2006년 05월)
     1. 공주거리+실 제동거리
     2. (공주거리+실 제동거리)×2
     3. 공주거리-실 제동거리
     4. (공주거리-실 제동거리)×2

     정답 : []
     정답률 : 93%

109. 지도상에 핀, 색종이를 붙이거나 표시를 하여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지점의 신속한 시각적 색인을 제공하는 기법은?(2004년 09월)
     1. 사고지점도
     2. 충돌도
     3. 대상도
     4. 현황도

     정답 : []
     정답률 : 95%

110. 다음 방호울타리의 종류 중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보다는 충격 시 차량의 도로 밖 이탈을 억제하여 차량을 복귀시키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에 설치하면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가드레일
     2. 박스형보
     3. 가드파이프
     4. 강성방호울타리

     정답 : []
     정답률 : 58%

111. 음주운전은 교통사고의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알코올 영향의 감소는 단지 인체가 소모함으로써 가능한데 일반적으로 소모되는 비율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6년 09월)
     1. 0.005 ~ 0.010 %/hr
     2. 0.010 ~ 0.015 %/hr
     3. 0.015 ~ 0.020 %/hr
     4. 0.020 ~ 0.025 %/hr

     정답 : []
     정답률 : 56%

112. 다음 주차방식 중 일반적으로 노상주차의 경우 사고율이 가장 낮은 것은?(2006년 05월)
     1. 평행주차
     2. 직각주차
     3. 60° 각도주차
     4. 30° 각도주차

     정답 : []
     정답률 : 79%

113. 정지하고 있던 차량이 3m/sec2으로 가속하여 72km/h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2021년 05월)
     1. 약 5.8초
     2. 약 6.7초
     3. 약 7.6초
     4. 약 8.5초

     정답 : []
     정답률 : 69%

114. 사고충돌도의 범례 중 다음 그림이 상징하는 것은?(2019년 03월)

    

     1. 측면 충돌
     2. 전복 차량
     3. 통제 불능
     4. 좌회전 충돌

     정답 : []
     정답률 : 72%

115. 하루에 18,600대가 통행하는 자동차 전용도로의 300m 구간에서 3년 간 27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연간 통행량 1억대 km당 사고건수는?(2020년 09월)
     1. 약 398건
     2. 약 442건
     3. 약 663건
     4. 약 1,326건

     정답 : []
     정답률 : 60%

116. 다음 중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운전자의 행동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9월)
     1. 법규위반(violation)
     2. 착오(lapses)
     3. 실수(errors)
     4. 침착(patience)

     정답 : []
     정답률 : 87%

117. 도로표지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도로이용자가 행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거리에서 읽을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2. 도로이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뚜렷하여야 한다.
     3. 곡선부 주행에 유의하도록 곡선부에 도로표지를 설치한다.
     4. 글자ㆍ기호는 밤에는 잘 읽을 수 있도록 반사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118. 위험도로 선정을 위해 사용되는 분석방법 중 미국의 교통연구원에서 발간한 교통사고 분석체계에 기술된 합리적인 방법으로 각지점의 사고율을 산정하고 그 지점의 사고율이 유사한 조건을 갖는 도로에 대한 사고율보다 현저히 높은지의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절차에 근거한 것이며 사고발생 확률이 poisson 분포에 따른다는데서 출발하는 분석방법은?(2007년 03월)
     1. 교통사고 건수에 의한 방법
     2. 통계적 교통사고율 분석방법
     3. 교통사고 현황판에 의한 방법
     4. 교통사고 피해정도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94%

119. 우리나라 고속도로상에서 발생되는 사고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2008년 03월)
     1. 추돌사고
     2. 정면충돌사고
     3. 일탈사고
     4. 후진충돌사고

     정답 : []
     정답률 : 89%

120. 차량 바퀴의 미끄럼 흔적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양 뒷바퀴의 미끄럼 흔적들 모두가 전륜의 미끄럼 흔적을 벗어나지 않으면 직선 미끄럼으로 간주한다.
     2. 직선 미끄럼의 차량 미끄럼 거리는 그 차량의 모든 바퀴들의 미끄럼 흔적 중 가장 긴 미끄럼 흔적의 길이로 한다.
     3. 미끄러지는 동안에 차량이 회전하는 경우 곡선의 미끄럼 흔적을 남긴다.
     4. 곡선 미끄럼의 경우 각 바퀴의 미끄럼 흔적을 측정하고 그 중 가장 긴 미끄럼 흔적의 길이를 미끄럼 길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정 답 지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279786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교통계획


1. 내부수익률(IRR)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5월)
     1. 사업의 수익성을 측정할 수 있다.
     2. 평가과정과 결과를 이해하기 쉽다.
     3. 다른 대안과 비교하기 쉽다.
     4. 사업의 절대적인 규모를 고려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5%

2.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단계에서 사용하는 회귀분석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결정계수(R2)가 1에 가까울수록 좋은 회귀모형이라 할 수 있다.
     2. 모든 독립변수들은 서로 독립적이며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좋은 모형이다.
     3. 너무 많은 독립변수를 사용한 회귀모형은 통계적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통행발생량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독립변수의 예로 가구 수, 자동차 보유대수를 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회귀분석에서 모든 독립변수들은 서로 독립적이어야하며, 상관관계가 낮을수록 좋은 모형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다음의 통행특성 분석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통행자 분석을 위해 대상이 되는 통행자란 일정거리 이상의 보행이나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하루에 1회 이상 움직인 사람을 말한다.
     2. 통행자 분석은 비통행이유 중 통행으로 전환이 가능한 비통행자가 있기 때문에 비통행자 분석과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3. 목적통행이란 한쌍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가지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행수단을 이용하여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사람이 1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4. 목적통행을 수단통행으로 나눈 비는 일반적으로 갈아타는 환승비율을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4.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단계에서 사용하는 회귀 분석 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3월)
     1. 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결정계수(R2)가 1에 가까울수록 좋은 회귀모형이라 할 수 있다.
     2. 모든 독립변수들은 서로 독립적이며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좋은 모형이다.
     3. 너무 많은 독립변수를 사용한 회귀모형은 통계적 관점에서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4. 통행발생량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독립변수의 예로 가구수, 자동차 보유대수를 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89%

5. 다음 중 교통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승객과 화물을 일정한 시간에 목적지까지 운송시킨다.
     2. 도시화를 촉진시키고, 대도시와 주변도시를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준다.
     3. 산업활동 구조의 변화를 억제하고, 생산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
     4. 문화 ㆍ 사회활동 및 교육 등의 활동을 수행하는데에 이동성을 부여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6. 교통수요 관리방안 중 차량수요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4월)
     1. 재택근무
     2. 램프미터링
     3. 도심통행료 징수
     4. 대중교통이용의 편리화

     정답 : []
     정답률 : 89%

7. 평균 운행속도가 20km/h로서 20km의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가 60명을 최대로 수송할 수 있다. 배차 간격이 5분인 경우 시간당 최대 승객수는?(2004년 05월)
     1. 760명/시간
     2. 720명/시간
     3. 550명/시간
     4. 480명/시간

     정답 : []
     정답률 : 62%

8. 통행비용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경로를 택한다는 기본 전제를 이론의 배경으로 한 통행배분(traffic assignment) 모델은?(2008년 05월)
     1. All-or-Nothing Model
     2. Entropy Model
     3. Flow-independent
     4. OD pair Model

     정답 : []
     정답률 : 89%

9. 지하철과 버스에 대한 효용함수 및 통행특성자료가 아래와 같을 때, 로짓모형을 이용한 교통수단별 선택확률이 모두 옳은 것은? (단, 효용함수 V = -0.06(0.5X1 + 0.002X2) 이다.)(2009년 03월)

   

     1. 버스 : 57.9%, 지하철 : 42.1%
     2. 버스 : 42.1%, 지하철 : 57.9%
     3. 버스 : 47.9%, 지하철 : 52.1%
     4. 버스 : 52.1%, 지하철 : 47.9%

     정답 : []
     정답률 : 82%

10. 교통대안들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효율(efficiency) 평가방법과 효과(effectiveness)평가방법이 있다. 다음 중 두 범주의 방법론이 옳게 연결된 것은?(2005년 03월)
     1. 효과평가방법 : B/C 분석
     2. 효과평가방법 : 순현재가치법
     3. 효율평가방법 : 순위기법
     4. 효율평가방법 : 수익율법

     정답 : []
     정답률 : 78%

11. 시간가치(value of Time)는 교통시설 투자의 타당성 분석에서 매우 중요하다. 다음 중 시간가치를 산출하는 접근방법에서 근로와 여가활동중에서 선택의 문제로 접근하는 방법은?(2004년 09월)
     1. 소득접근방법
     2. 비용접근방법
     3. 기회비용 접근방법
     4. 여가비용 접근방법

     정답 : []
     정답률 : 77%

12. 택시요금의 변화에 따라 버스의 수요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보여주는 것은?(2007년 05월)
     1. 가격탄성력
     2. 교차탄성력
     3. 공급탄성력
     4. 소득탄성력

     정답 : []
     정답률 : 85%

13. 도시가로의 기능별 배치에서 주간선도로와 주간선도로의 배치간격으로 가장 적절한 기준은?(2006년 03월)
     1. 3,000m 내외
     2. 1,000m 내외
     3. 500m 내외
     4. 100m 내외

     정답 : []
     정답률 : 89%

14. 다음 중 제한속도를 다시 결정하고자 진행하는 차량의 속도 조사시 속도의 표준편차를 24km/h, 허용오차를 2km/h로 하고자 할 때 필요한 표본의 수는? (단, 신뢰도는 95% 이다.)(2010년 09월)
     1. 390
     2. 400
     3. 480
     4. 560

     정답 : []
     정답률 : 78%

15. 교통수단선택(Modal Split)과정에 사용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프로빗(Probit)모형
     2. 로짓(Logit)모형
     3. 판별분석(Discriminant)모형
     4. 중력(Gravity)모형

     정답 : []
     정답률 : 72%

16. 도로를 확장하기 전 교통량은 1일 1만대로 운행비가 대당 200원이었던 것이, 도로의 확장 후 교통량은 1만 5천대, 운행비는 대당 150원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따른 소비자 잉여는?(2012년 09월)
     1. 62.5만원
     2. 125만원
     3. 437.5만원
     4. 875만원

     정답 : []
     정답률 : 67%

17. 통행단 모형의 적용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3월)
     1. 통행발생-노선배정-수단분담-통행배분
     2. 통행발생-수단분담-노선배정-통행배분
     3. 통행발생-수단분담-통행배분-노선배정
     4. 통행발생-통행배분-수단분담-노선배정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통행교차모형 : 통행발생 - 통행배분 - 수단분담 - 노선배정)
통행단 모형 : 통행발생 - 수단분담 - 통행배분 - 노선배정
[해설작성자 : 행운은 내에것]

18. 어느 도시에서 한 방향 노선길이가 20km인 버스노선을 왕복운행속도 20km/h, 배차간격 10분으로 운행하고자 한다. 이 노선의 운행을 위한 최소필요 버스대수는?(2003년 08월)
     1. 6대
     2. 8대
     3. 10대
     4. 12대

     정답 : []
     정답률 : 72%

19. 버스요금을 1050원에서 850원으로 내리고자 한다. 요금을 내리기 전의 승객은 시간당 120명이었고, 요금 인하 후 시간당 버스 승객수가 130명 일 때 소비자 잉여(consumer's surplus)는 얼마인가?(2013년 06월)
     1. 1000원
     2. 12500원
     3. 25000원
     4. 50000원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소비자 잉여 공식 = (Q1+Q2)/2 *(C1-C2) 이다. 대입하면 (120+130)/2 * (1050-850) 이므로 답은 25000원이다.
[해설작성자 : 잉어]

20. 교통망의 구성요소로서 도로망의 교차점이나 인터체인지, 철도망의 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실제 교통망에서 교차로 또는 도로구간에서 도로특성이 변화하는 경우의 지점을 무엇이라 하는가?(2020년 09월)
     1. 결절점(node)
     2. 경로(path)
     3. 수송로(route)
     4. 링크(link)

     정답 : []
     정답률 : 86%

2과목 : 교통공학


21. 다음 중 속도-밀도 모형에 대한 설명이 가장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Greenshield의 직선모형은 사용하기가 간편하며 밀도가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도 직선관계가 나타낸다.
     2. Greenberg의 로그모형은 밀도가 높은 부분에서 정확한 관계를 추출할 수 있으나, 밀도가 낮은 경우 속도를 밀도로 설명하기 힘들어진다.
     3. Underwood의 지수모형은 밀도가 높은 경우의 속도를 정확히 산출하기 때문에 고속에서의 속도 추정값이 현장 측정값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4. Greenberg의 식에 의하면 밀도가 최대가 되면 속도는 최대 속도의 1/2 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40%

22. 20/2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80m의 거리에서 글자 크기가 15cm인 교통표지판을 읽을 수 있다면, 20/50의 시력을 가진 운전자가 글자 크기가 동일한 표지판을 읽기 위해 필요한 거리는?(2021년 05월)
     1. 32m
     2. 36m
     3. 40m
     4. 48m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20/20 : 80m = 20/50 : xm이다.
80X(20/50)=32m
[해설작성자 : 나는 도시]

23. 다음 중 도시부 간선도로(신호교차로로 구성)의 시공도(time-space diagram)로부터 일반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2012년 03월)
     1. 차량진행대폭(bandwidth)
     2. 차량통행시간(travel time)
     3. 옵셋(offset)
     4. 개별 차량의 자유속도(free-flow speed)

     정답 : []
     정답률 : 83%

24. 어느 도로 구간의 자유속도가 100km/h, 혼잡밀도는 150대/km, 밀도가 60대/km일 때, 속도는 얼마인가? (단, Greenshields 모형에 따른다.)(2021년 05월)
     1. 40km/h
     2. 49km/h
     3. 60km/h
     4. 90km/h

     정답 : []
     정답률 : 54%

25. 시공도(Time-Space Diagram)에서 확인할 수 없는 사항은?(2012년 05월)
     1. 신호 옵셋
     2. 개별차량 속도
     3. 진행대폭
     4. 신호교차로 용량

     정답 : []
     정답률 : 52%

26. 교통량, 속도, 밀도의 관계식에서 사용되는 속도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5년 03월)
     1. 공간평균속도
     2. 시간평균속도
     3. 지점속도
     4. 운행속도

     정답 : []
     정답률 : 92%

27. 다음 중 감응식 신호기(Traffic Actuated Signal)에 비해 고정식 신호기(Pretimed Signal)가 갖는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보행자 교통량이 일정하면서 많은 곳에는 감응식 신호기보다 고정식 신호가 좋다.
     2.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편이다.
     3. 인접한 교차로간의 연동이 용이하다.
     4. 교통량의 시간대별 변동이 클 경우 대응이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100%

28. 다음 중 도심부 신호교차로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할 때 고려하는 지체가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균일지체(uniform delay)
     2. 증분지체(incremental delay)
     3. 추가지체(initial queue delay)
     4. 상관지체(interaction delay)

     정답 : []
     정답률 : 73%

29. 다음 중 보행자 횡단시간의 결정요소가 아닌 것은?(2003년 03월)
     1. 자동차의 교통량
     2. 교차로의 폭원
     3. 횡단 보행자수
     4. 보행자의 속도

     정답 : []
     정답률 : 69%

30. 다음 중 시공도(time-space diagram)의 작성에 필요하지 않은 것은?(2013년 03월)
     1. 교차로간의 거리
     2. 차로수
     3. 연속진행속도
     4. 신호주기 및 현시길이

     정답 : []
     정답률 : 69%

31. 다음 그림은 Greenshields의 속도-밀도 모형에서 유도된 교통량(q)과 밀도(K)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μf=자유류의 속도)(2014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7%

32. 정지한 상태에서 30 ㎞/h로 가속하는데 승용차는 2.3초가 걸리고, 레미콘 트럭은 7.1초가 걸렸다. 이때 레미콘 트럭이 가속기간 동안 주행한 거리는 승용차의 가속기간 동안 주행한 거리의 약 몇 배인가?(2007년 05월)
     1. 3배
     2. 6배
     3. 9배
     4. 12배

     정답 : []
     정답률 : 59%

33. 신호체계의 구성요소 중 차량출현 여부, 교통량, 속도 및 점유율 등의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2008년 03월)
     1. 관제센터
     2. 신호등
     3. 제어기
     4. 검지기

     정답 : []
     정답률 : 83%

34. 노면과 타이어 상태에 따른 미끄럼 마찰계수가 가장 큰 상태는?(2019년 09월)
     1. 습윤-마모된 타이어
     2. 건조-양호한 타이어
     3. 건조-마모된 타이어
     4. 습윤-양호한 타이어

     정답 : []
     정답률 : 61%

35. 다음 중 신호교차로의 이상적인 조건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경사가 없는 접근부
     2. 접근부 정지선의 삼류부 75m 이내에 노상 주ㆍ정차시설 없음
     3. 차로폭 3.5m 이상
     4. 교통류는 승용차로만 구성

     정답 : []
     정답률 : 62%

36. PIEV 시간은 교통시설 설계에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도로 설계에 사용되는 기준으로서 PIEV 시간은 얼마인가?(2006년 09월)
     1. 2.5초
     2. 2.0초
     3. 1.5초
     4. 1.0초

     정답 : []
     정답률 : 50%

37. 다음 중 용량산정에 앞지르기시거가 적용되는 도로시설은?(2022년 03월)
     1. 간선도로
     2. 오르막차로
     3. 고속도로
     4. 2차로 도로

     정답 : []
     정답률 : 62%

38. 교통류의 특성에서 평균 가속도에 관한 가속도의 표준편차를 무엇이라 하는가?(2017년 05월)
     1. 교통강도
     2. 충격편차
     3. 수락편차
     4. 가속소음

     정답 : []
     정답률 : 70%

39. 다음 중 이동측정법(Moving Vehicle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양방향 도로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
     2. 교통량과 통행시간 자료를 동시에 수집할 수 있다.
     3. 교통량이 아주 많은 다차로 도로 구간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4. 조사 구간은 물리적ㆍ교통적 여건에서 유사한 연속성을 지니도록 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교통량이 아주 많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는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의 수와 시험차량을 앞지르기 한 차량, 시험차량이 앞지르기 한 차량의 숫자파악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0. 소요현시율의 합이 0.85, 총 손실시간이 16초일 때, Webster 방식에 의한 적정 주기는?(2012년 05월)
     1. 136초
     2. 152초
     3. 174초
     4. 193초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웹스터 방식 공식에 의하면 (1.5×16+5)÷(1-0.85)=193.33
[해설작성자 : 하압격]

3과목 : 교통시설


41. 버스의 최대운행속도가 16.7m/sec, 차량가속도 2.0m/sec2, 차량감속도는 0.5m/sec2, 정류장당 승객수가 3명, 탑승 소요시간이 3초일 경우 적정 버스 정류장 간격을 최적 재차인원에 의한 방법으로 구하면?(2006년 03월)
     1. 647.5m
     2. 747.5m
     3. 847.5m
     4. 947.5m

     정답 : []
     정답률 : 54%

42. 교차로에 설치되는 횡단보도의 최소폭은?(2005년 03월)
     1. 2m
     2. 3m
     3. 4m
     4. 6m

     정답 : []
     정답률 : 69%

43. 시거에 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2016년 05월)

    

     1. 정지시거
     2. 앞지르기시거
     3. 피주시거
     4. 가각시거

     정답 : []
     정답률 : 88%

44. 어느 건물의 주차용량이 60대, 주차이용대수가 일일 300대이고, 평균주차시간이 3시간이다. 주차장이 하루 20시간 개방된다고 한다면 이 주차장의 주차효율은?(2021년 05월)
     1. 0.65
     2. 0.75
     3. 0.85
     4. 0.95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주차가능횟수 20시간/3시간 = 6.667번
최대주차가능횟수 60대*6.667번 = 400대
주차효율 300대/400대 = 0.75
[해설작성자 : 주]

45. 도로의 기능별 구분에 따른 최소 설계속도 기준이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도시지역 국지도로 : 50km/h 이상
     2. 도시지역 집산도로 : 50km/h 이상
     3. 지방지역 산지 고속도로 : 100km/h 이상
     4. 지방지역 평지 고속도로 : 120km/h 이상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국지도로는 40km이다
[해설작성자 : 광주대 전줭]

46. 다음 중 시선유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설치 높이는 노면에서 반사제의 중심까지 90cm를 표준으로 한다.
     2. 시선유도표지는 반사체, 반사체 틀 및 지주로 이루어진다.
     3. 반사체의 색은 노란색만을 사용한다.
     4. 설치간격은 직선부에서 최대 50m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반사체의 색은 백색과 황색을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지방지역의 고속도로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의 최소 폭 기준은? (단,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2009년 05월)
     1. 1.0m
     2. 1.5m
     3. 2.0m
     4. 3.0m

     정답 : []
     정답률 : 83%

48. 다음 중 도로의 구분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설치 최소 폭 기준(m)으로 ㉠과 ㉡에 들어갈 내용이 모두 옳은 것은? (단, 자동차 전용도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2017년 09월)

    

     1. ㉠ 2.0, ㉡ 1.0
     2. ㉠ 2.0, ㉡ 1.5
     3. ㉠ 1.5, ㉡ 1.0
     4. ㉠ 1.5, ㉡ 1.5

     정답 : []
     정답률 : 72%

49. 도로의 설계속도에 따른 차도의 최소 평면곡선반지름으로 옳은 것은? (단, 편경사가 6%인 경우이다.)(2014년 05월)
     1. 설계속도 120 km/h, 최소평면곡선반지름 640m
     2. 설계속도 100 km/h, 최소평면곡선반지름 460m
     3. 설계속도 80 km/h, 최소평면곡선반지름 380m
     4. 설계속도 60 km/h, 최소평면곡선반지름 200m

     정답 : []
     정답률 : 66%

50. 평면교차로 선형 설계의 기본원칙 중 도로의 교차하는 각도를 직각에 가깝게 하는 이유로 거리가 먼 것은?(2009년 08월)
     1. 교차로의 면적을 최소화시킨다.
     2. 회전 교통량이 줄어든다.
     3. 교차로에 진입한 운전자나 보행자들이 최소한의 시간을 가지고 교차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통과하도록 한다.
     4. 예각이나 둔각으로 교차하는 경우보다 운전자의 시야가 확대된다.

     정답 : []
     정답률 : 83%

51. 차도의 차로수 결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교통량이 적은 경우에도 2차로 이상으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차로수의 결정은 원칙적으로 설계시간교통량과 설계서비스 수준을 고려한 설계시간교통량에 의하여 결정한다.
     3. 지방지역의 차로수는 홀수 차로를 원칙으로 한다.
     4. 도시지역의 차로수는 그 도로의 여건에 따라 홀수 차로로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K30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K30이 높을수록 교통량의 변화가 심하다.
     2. 도시부 도로가 지방부 도로보다 K30이 크다.
     3. K30은 설계시간교통량을 계산할 때 사용한다.
     4. 연평균 일교통량이 큰 도로일수록 K30은 일반적으로 작다.

     정답 : []
     정답률 : 71%

53. 완화곡선에 있어서 속도가 일정할 때 원심가속도 변화율과 파라메타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2003년 08월)
     1. 원심가속도 변화율에 상관없이 파라메타는 일정하다.
     2. 원심가속도 변화율이 커지면 파라메타는 비례하여 커진다.
     3. 원심가속도 변화율이 커지면 파라메타는 반비례하여 적어진다.
     4. 원심가속도 변화율에 상관없이 파라메타는 커지기도 하고, 적어지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교차로의 좌회전 차로 길이의 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2003년 03월)
     1. 좌회전 교통량
     2. 차량의 감속도
     3. 차량길이
     4. 차로폭

     정답 : []
     정답률 : 58%

55. 도로의 평면 선형을 아래 그림과 같이 구성하고, 완화곡선을 클로소이드곡선으로 적용할 경우, 완화곡선의 길이가 100m, 원곡선부의 반경이 400m라면 직선부와의 교점에서 완화곡선상의 50m 떨어진 지점의 곡선반경은?(2010년 03월)

    

     1. 800m
     2. 700m
     3. 633m
     4. 600m

     정답 : []
     정답률 : 46%

56. 버스터미널의 입지선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도심부에 설치하는 경우 도심의 교통수요가 큰 장소에 설치한다.
     2. 대도시에서는 도심과 철도역 부근에 교통이 과다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도심부에 설치한다.
     3. 중소도시에서는 버스의 승차, 여객의 승강에 이점이 있도록 철도역 부근에 설치한다.
     4. 대도시의 철도역 부근에 설치하는 경우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모든 노선을 함께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모든 노선을 함께 설치할 경우 철도역 부근에 교통이 과다하게 집중되어 문제가 발생될수있다.
[해설작성자 : 얼짱청순녀]

57. 다음 중 입체교차의 연결로 설계 시 유출입 유형을 일관성 있게 계획할 때의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차로변경을 줄인다.
     2. 직진교통과의 마찰을 줄인다.
     3. 과속운전을 줄인다.
     4. 운전자의 혼란을 줄인다.

     정답 : []
     정답률 : 80%

58. 도로의 기능에 따른 구분 중 이동성이 가장 낮은 도로는?(2021년 05월)
     1. 국지도로
     2. 집산도로
     3. 간선도로
     4. 고속국도

     정답 : []
     정답률 : 78%

59.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을 조합할 경우 설계 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도로환경과의 조화를 고려할 것
     2. 선형이 시각적 연속성을 확보할 것
     3. 노면의 배수가 적절히 되는 경사를 고려할 것
     4. 같은 방향으로 굴곡하는 두 곡선 사에 짧은 직선을 삽입할 것

     정답 : []
     정답률 : 82%

60. 노상주차장의 구조·설비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따로 정하거나 기타 사항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2019년 04월)
     1. 주간선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종단경사도(자동차 진행방향의 기울기)가 4%를 초과하는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3.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로 또는 고가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너비 8미터 미만의 도로에 설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너비 6미터미만의 도로에 설치X
[해설작성자 : 빵빵]

4과목 : 도시계획개론


61. 버제스(Burgess)의 동심원이론에서 제4권역에 해당하는 토지이용은?(2014년 03월)
     1. 점이지대
     2. 노동자주택지대
     3. 고급주택지대
     4. 공업지대

     정답 : []
     정답률 : 76%

62. 제1종 지구단위계획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 지역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용도지구
     2. 자연환경보전지역
     3. 「주택법」에 따른 대지조성사업지구
     4.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된 관광특구

     정답 : []
     정답률 : 44%

63. 계획이론에 대한 허드슨(Hudson)의 분류에서 린드블룸(Lindblom)이 주창한 것으로 지속적인 조정과 적용을 통해 계획의 목표를 추구하는 접근 방법을 제시한 계획의 목표를 추구하는 접근 방법을 제시한 계획이론은?(2012년 05월)
     1. 종합적 계획(Synoptic Planning)
     2. 점진적 계획(Incremental Planning)
     3. 교류적 계획(Transactive Planning)
     4. 옹호적 계획(Asvocacy Planning)

     정답 : []
     정답률 : 83%

64. 도시의 인구가 처음에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일정 시점 이후에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다시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인구예측에 적합한 모형은?(2020년 06월)
     1. 지수성장모형(Exponential Growth Model)
     2. 곰페르츠모형(Compertz Model)
     3. 집단생존모델(Cohort-survival Model)
     4. 선형모델(Linerar Model)

     정답 : []
     정답률 : 62%

65.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국지도로는?(2007년 03월)

    

     1. 쿨데삭(cul-de-sac)
     2. 루프(loop)형
     3. 격자형
     4. T자형

     정답 : []
     정답률 : 54%

66. 다음의 토지이용과 교통과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토지이용과 교통간의 관계는 상호의존적으로 작용하며 순환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2. 교통발생의 양은 토지이용 용도배분에 따라 다르다.
     3. 토지이용 체계의 변화는 정태적이기 때문에 교통의 토지이용에 대한 영향을 떼내어 관찰하기 용이하다.
     4. 토지이용이 집약적인 경우 교통시설의 양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67. 근린주구를 물리적 계획의 기본단위로 하여 주구 내의 생활안정을 유지하고 편리성과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6가지 계획원리를 제시한 사람은?(2019년 09월)
     1. 하워드(E. Howard)
     2. 페리(C.A Perry)
     3. 르꼬르뷔제(Le Corbusier)
     4. 랑팡(P.C.L 'Enfant)

     정답 : []
     정답률 : 68%

68. 다음 중 보행자 전용도로의 필요성이 제기된 원인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2005년 05월)
     1. 주거단지의 대규모화
     2. 안전성·쾌적성 확보
     3. 주차공간의 대형화
     4. 외부의 생활공간의 체계화

     정답 : []
     정답률 : 80%

69. 다음은 일반적인 계획과정의 행위 목록이다. 계획과정을 계획단계별로 올바르게 열거한 것은?(2014년 05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57%

70. 도시의 기능분리의 요인으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3년 03월)
     1. 도심부의 지가가 지나치게 높다.
     2. 유사한 기능을 집중시킴으로서 집적의 이익에 유리하다.
     3. 도시활동의 중심은 교외와의 교통과 결부되는 경우가 있다.
     4. 도시의 기능분화는 교통 축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28%

71. 다음 중 도시내부공간구조의 진화과정을 설명하는 이론과 특성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선형이론-교통축
     2. 동심원이론-단핵구조
     3. 다핵이론-부도심
     4. 중심지이론-시장원리

     정답 : []
     정답률 : 52%

72. 과거 두 시점의 국가경제ㆍ지역경제ㆍ산업구조를 분석하여 당해 지역의 어떤 산업이 건전하게 성장하는가 또는 성장할 것인가를 파악하는 방법은?(2006년 05월)
     1. 경제기반 분석
     2. 투입산출 분석
     3. 변이할당 분석
     4. 지역성장 모델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지구단위계획의 목적이 아닌 것은?(2004년 09월)
     1. 토지이용을 합리화
     2. 도시의 기능 증진 및 미관의 개선
     3. 건축물의 밀도 규제
     4. 양호한 환경을 확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4. 다음 중 도로의 위계상 이동성은 가장 높은 반면 접근성이 가장 낮은 것은?(2007년 09월)
     1. 주간선도로
     2. 보조간선도로
     3. 국지도로
     4. 고속도로

     정답 : []
     정답률 : 53%

75. 하워드가 주장한 전원도시의 개념을 바탕으로, 1900년대 초에 언윈과 파커에 의해 런던 교외에 건설된 전원도시는?(2021년 05월)
     1. 빅토리아
     2. 할로우
     3. 레치워스
     4. 햄스테트

     정답 : []
     정답률 : 70%

76. 격자형 가로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지형이 평탄한 도시에 적합하다.
     2. 도로기능의 다양성이 결여되기 쉽다.
     3. 고대 및 중세 봉건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4. 중심지를 기점으로 간선도로를 따라 도시개발축이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65%

77. 하워드(E. Howard)의 전원도시 이론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인구는 32,000~58,000명에 한 한다.
     2. 전원적 성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기능을 배제한다
     3. 토지 투기를 막기 위하여 토지는 영구히 공유화 한다
     4. 도시주위에 넓은 농업지대 및 녹지대를 가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78. 도시토지이용의 예측 모형인 라우리모형(Lowry Model)에서 공간구조를 분류하는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기반부문(Basic Sector)
     2. 서비스부문(Service Sector)
     3. 가계부문(Household Sector)
     4. 환경부문(Environmental Sector)

     정답 : []
     정답률 : 52%

79. 케빈 린치(Kevin Lynch)가 제시한 도시의 이미지(The lmage of the City)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도로(path)
     2. 공간(space)
     3. 지구(district)
     4. 기념적 건물(landmark)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케빈린치가 제시한 도시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
1. Path(도로)
2. Edges(경계)
3. Districts(지구 또는 구역)
4. Landmark(기념적 건물)
5. Node(결절점)
[해설작성자 : 원주감자]

80. 가로망의 구성형태 중 인구 100만 이상의 대도시계획에 적합하고 횡적인 연결은 환상선으로, 도심부와 교외 및 외곽은 방사선으로 연결하며 도쿄, 파리에 이용한 방법은?(2019년 03월)
     1. 방사형
     2. 혼합형
     3. 방사환상형
     4. 대각삽입형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방사형이란 도로가 어떤 중심점을 기준으로 사방으로 뻗어나간다는 뜻입니다.
환상형은 일본에서 쓰이는 환상(環狀)이라는 표현을 직역한 것으로 고리 모양, 즉 원모양을 뜻합니다.
[해설작성자 : apr2015]

5과목 : 교통관계법규


81. 도로법령에 따른 도로원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3월)
     1. 군의 도로원표의 위치는 군수가 정한다.
     2. 도로원표의 크기ㆍ표기방법 및 설치기준 등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다.
     3. 서울특별시 도로원표의 위치는 광화문광장의 중앙으로 한다.
     4. 도로원표는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시 및 군에 각 1개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다른 지역의 도로원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장(행정시의 경우에는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이 설치·관리하되 그 위치는 광역자치단체장이 정한다(같은 조 제3항). 즉 시, 군은 해당 지자체의 도로원표의 설치·관리는 하지만 그 도로원표의 위치는 상급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하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광주대 전줭]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서울특별시 도로원표 위치는 세종로중앙 광장입니다
[해설작성자 : 무무누나]

82.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중앙도시계획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도시계획에 관한 조사 -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에 중앙도시계획위원회를 둔다.
     2.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위원장과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국토해양부장관이 임명하거나 위촉한다.
     3. 중앙도시계획위원회는 위원장ㆍ부위원장 각 1인을 포함하여 10인 이상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4. 위원장은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하며,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의장이 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83.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서 규정하는 타당성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사업시행자는 사업의 시작 전에 투자평가지침에 따라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2. 국토교통부장관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투자평가지침을 작성하여 고시하여야 한다.
     3. 사업 시행자는 타당성 평가 실시 결과와 예비타당성 조사 실시 결과 간 현저한 차이가 발생한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과 협의를 거쳐 관계 행정기관의 장에게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을 요청 할 수 있다.
     4. 공공교통시설 개발사업과 민간투자사업 모두 타당성 평가서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공공은 제출하고, 민간투자사업은 아님
[해설작성자 : 한방남]

84. 교통유발부담금의 부과대상 시설물은 각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04년 09월)
     1. 1000m2
     2. 2000m2
     3. 3000m2
     4. 4000m2

     정답 : []
     정답률 : 50%

85. 도로법에서 제시한 도로의 등급으로 높은 순위부터 나열한 것은?(2017년 09월)
     1. 고속국도-특별시도ㆍ광역시도-일반국도-지방도
     2. 고속국도-특별시도ㆍ광역시도-지방도-일반국도
     3. 고속국도-일반국도-특별시도ㆍ광역시도-지방도
     4. 고속국도-일반국도-지방도-특별시도ㆍ광역시도

     정답 : []
     정답률 : 75%

86.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규모 개발사업의 범위와 면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택지개발사업 : 100만제곱미터 이상
     2. 도시개발사업 : 100만제곱미터 이상
     3. 역세권 개발사업 : 100만제곱미터 이상
     4. 기업도시개발사업 : 100만제곱미터 이상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역세권은 범위, 면적 상관없이 대규모 개발사업
[해설작성자 : 한방남]

87.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 주차장의 주차단위 구획 기준이 틀린 것은?(2018년 03월 21일 개정된 규정 적용됨)(2016년 10월)
     1. 경형 : 너비 2.0m 이상, 길이 3.6m 이상
     2. 확장형 : 너비 2.6m 이상, 길이 5.2m 이상
     3. 일반형 : 너비 2.5m 이상, 길이 5.0m 이상
     4. 장애인 전용 : 너비 3.0m 이상, 길이 5.0m 이상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018년 03월 21일 개정된 규정]
평행주차형식 외의 경우(너비, 길이)
경형 : 2.0 이상 3.6 이상
일반형 : 2.5 이상, 5.0 이상
확장형 : 2.6 이상, 5.2 이상
장애인용 : 3.3 이상, 5.0 이상
이륜자동차전용 : 1.0 이상, 2.3 이상

평행주차의 경우(너비,길이)
경형 : 1.7 이상, 4.5 이상
일반형 : 2.0 이상, 5.0 이상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주거지역의 도로 : 2.0 이상, 5.0 이상
이륜자동차전용 : 1.0 이상 2.3 이상

88. 도시지역의 국지도로인 경우 보도의 최소폭은?(2003년 08월)
     1. 1.5m
     2. 2.0m
     3. 2.25m
     4. 3.0m

     정답 : []
     정답률 : 45%

89. 대도시권 광역교통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 소속으로 두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의 소관 업무가 아닌 것은? (단, 그 밖에 광역교통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은 고려하지 않는다.)(2020년 08월)
     1. 광교통수단과 연계된 환승 요금의 요율 및 기준에 관한 사항
     2. 광역교통시설에 대한 재정 지원 관한 사항
     3. 광역교통시설 부담금에 관한 사항
     4.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의 수립

     정답 : []
     정답률 : 43%

90.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의 정차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3월)
     1. 화물을 싣기 위해 계속 정지하여 있는 상태
     2. 운전자가 5분을 초과하지 아니하고 차를 정지시키는 것으로서 주차외의 정지 상태
     3. 차의 운전자가 그 차의 바퀴를 일시적으로 완전히 정지 시키는 것
     4. 운전자가 차를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느린 속도로 진행하는 것

     정답 : []
     정답률 : 88%

91. 다음 중 도시교통정비촉진법상 국토해양부장관이 도시교통 정비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인구 규모 기준은? (단, 도농복합형태의 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음)(2009년 05월)
     1. 인구 5만명 이상의 도시
     2.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
     3. 인구 15만명 이상의 도시
     4.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

     정답 : []
     정답률 : 82%

92. 도시교통정비 촉진법령상 시장 또는 군수는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의 단계적 시행에 필요한 연차별 시행계획을 몇 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하는가?(2022년 03월)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도시교통정비계획 수립주기
- 기본계획:20년
- 중기계획:5년
- 연차별 시행계획 3년
[해설작성자 : 내가대빵이다]

93. 다음 중 도로법에 따른 자동차 전용도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관리청은 교통이 현저히 폭주하여 차량의 능률적인 운행에 지장이 있는 도로(고속국도 포함)에 대하여 자동차 전용도로를 지정할 수 있다.
     2. 자동차 전용도로를 지정함에 있어서 도로의 관리청이 국토해양부장관이면 경찰청장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
     3. 자동차 전용도로를 지정할 때에는 해당 구간을 연결하는 일반 교통용의 다른 도로가 있어야 한다.
     4. 자동차 전용도로를 지정하고자 하는 도로에 둘 이상의 관리청이 있으면 관계되는 관리청이 공동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0%

94.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2013년 03월)

    

     1. 10대
     2. 20대
     3. 30대
     4. 50대

     정답 : []
     정답률 : 68%

95. 도시교통정비촉진법상 국토교통부장관이 도시교통정비지역으로 지정ㆍ고시할 수 있는 인구 규모기준은? (단, 도농복합형태의 시의 경우는 고려하지 않는다.)(2015년 03월)
     1. 인구 5만명 이상의 도시
     2. 인구 10만명 이상의 도시
     3. 인구 15만명 이상의 도시
     4. 인구 20만명 이상의 도시

     정답 : []
     정답률 : 80%

96. 도로법령상 도로정책심의위원회의 심의 사항이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건설·관리계획의 조정에 관한 사항
     2. 주요 지하매설물의 안전 대책에 관한 사항
     3.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개선사업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4.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도로의 노선 지정에 관한 사항

     정답 : []
     정답률 : 58%

97. 시·도지사는 시·도교통안전시행계획 및 전년도의 시·도교통안전시행계획 추진실적을 매년 몇 월 말까지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하는가?(2018년 04월)
     1. 1월 말
     2. 2월 말
     3. 3월 말
     4. 4월 말

     정답 : []
     정답률 : 51%

98. 교통안전법상 국가교통안전기본계획은 몇 년 단위로 수립하여야 하는가?(2022년 03월)
     1. 1년
     2. 3년
     3. 5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58%

99. 다음 중 적색·황색·녹색화살표·녹색의 사색등화로 표시되는 신호등의 신호 순서 기준이 옳은 것은?(2009년 03월)
     1. 적색 → 황색 및 녹색화살표 → 황색 → 적색 → 녹색
     2. 적색 및 녹색화살표 → 황색 → 녹색 → 황색 → 적색
     3. 적색 → 황색 → 녹색화살표 → 황색 및 적색 → 녹색
     4. 적색 및 녹색화살표 → 녹색 → 황색 → 적색 → 황색

     정답 : []
     정답률 : 56%

100. 도로교통법령상 운행상의 안전기준과 관련한 적재용량 기준에서 이륜자동차는 그 승차장치의 길이 또는 적재장치의 길이에 얼마를 더한 길이를 운행상의 안전기준으로 하는가?(2020년 09월)
     1. 40cm
     2. 35cm
     3. 30cm
     4. 25cm

     정답 : []
     정답률 : 51%

101. 교통사고 조사의 일반원칙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2004년 09월)
     1. 신속한 조사를 행할 것
     2. 확고 부동한 사실을 파악할 것
     3. 가해자의 진술을 존중하고 인정할 것
     4. 주도(周到)면밀한 조사를 행할 것

     정답 : []
     정답률 : 91%

102. 교통사고의 원인을 규명함에 있어 중요한 사항이 아닌 것은?(2012년 05월)
     1. 사고당사자의 진행 방향
     2. 2차 충돌의 유무
     3. 충동한 접촉부위 및 방향
     4. 사고운전자의 나이

     정답 : []
     정답률 : 89%

103. 다음 중 도로교통법의 제정 목적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2005년 03월)
     1. 육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2. 모든 교통에서 발생하는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3. 도로에서 일어나는 교통상의 모든 위험과 장해를 방지하고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함을 목적으로 한다.
     4. 안전하고 원활한 육상교통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104. 다음 중 가시도가 불량하여 발생하는 야간사고의 예방대책과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3월)
     1. 시선유도표지 설치 또는 개량
     2. 방호책 설치
     3. 가로조명시설 신설 또는 증설
     4. 야광주의표지 설치

     정답 : []
     정답률 : 89%

105. 지하식 보행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3년 03월)
     1. 유지ㆍ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2. 범죄의 가능성이 크다.
     3. 시각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도시미관을 해친다.
     4. 외부를 볼 수 없으므로 방향 감각을 잃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86%

106. 위험도로 선정을 위해 사용되는 분석방법 중 미국의 교통연구원에서 발간한 교통사고 분석체계에 기술된 합리적인 방법으로 각지점의 사고율을 산정하고 그 지점의 사고율이 유사한 조건을 갖는 도로에 대한 사고율보다 현저히 높은 지의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절차에 근거한 것이며 사고발생 확률이 poisson 분포에 따른다는데서 출발하는 분석방법은?(2005년 03월)
     1. 교통사고 건수에 의한 방법
     2. 통계적 교통사고율 분석방법
     3. 교통사고 현황판에 의한 방법
     4. 교통사고 피해정도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89%

107. 다음 중 미끄러운 노면에 의해 발생하는 비신호 교차로에서의 추돌사고에 대한 일반적인 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노면 재포장
     2. 포장 그루밍(grooving)
     3. 횡단보도의 재배치
     4. 미끄럼 주의표지 설치

     정답 : []
     정답률 : 62%

108. 다음 중 자동차의 정지거리를 옳게 표시한 것은?(2006년 05월)
     1. 공주거리+실 제동거리
     2. (공주거리+실 제동거리)×2
     3. 공주거리-실 제동거리
     4. (공주거리-실 제동거리)×2

     정답 : []
     정답률 : 93%

109. 지도상에 핀, 색종이를 붙이거나 표시를 하여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지점의 신속한 시각적 색인을 제공하는 기법은?(2004년 09월)
     1. 사고지점도
     2. 충돌도
     3. 대상도
     4. 현황도

     정답 : []
     정답률 : 95%

110. 다음 방호울타리의 종류 중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보다는 충격 시 차량의 도로 밖 이탈을 억제하여 차량을 복귀시키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곳에 설치하면 가장 적합한 것은?(2021년 09월)
     1. 가드레일
     2. 박스형보
     3. 가드파이프
     4. 강성방호울타리

     정답 : []
     정답률 : 58%

111. 음주운전은 교통사고의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알코올 영향의 감소는 단지 인체가 소모함으로써 가능한데 일반적으로 소모되는 비율로 가장 적절한 것은?(2006년 09월)
     1. 0.005 ~ 0.010 %/hr
     2. 0.010 ~ 0.015 %/hr
     3. 0.015 ~ 0.020 %/hr
     4. 0.020 ~ 0.025 %/hr

     정답 : []
     정답률 : 56%

112. 다음 주차방식 중 일반적으로 노상주차의 경우 사고율이 가장 낮은 것은?(2006년 05월)
     1. 평행주차
     2. 직각주차
     3. 60° 각도주차
     4. 30° 각도주차

     정답 : []
     정답률 : 79%

113. 정지하고 있던 차량이 3m/sec2으로 가속하여 72km/h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은?(2021년 05월)
     1. 약 5.8초
     2. 약 6.7초
     3. 약 7.6초
     4. 약 8.5초

     정답 : []
     정답률 : 69%

114. 사고충돌도의 범례 중 다음 그림이 상징하는 것은?(2019년 03월)

    

     1. 측면 충돌
     2. 전복 차량
     3. 통제 불능
     4. 좌회전 충돌

     정답 : []
     정답률 : 72%

115. 하루에 18,600대가 통행하는 자동차 전용도로의 300m 구간에서 3년 간 27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연간 통행량 1억대 km당 사고건수는?(2020년 09월)
     1. 약 398건
     2. 약 442건
     3. 약 663건
     4. 약 1,326건

     정답 : []
     정답률 : 60%

116. 다음 중 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운전자의 행동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0년 09월)
     1. 법규위반(violation)
     2. 착오(lapses)
     3. 실수(errors)
     4. 침착(patience)

     정답 : []
     정답률 : 87%

117. 도로표지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도로이용자가 행동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거리에서 읽을 수 있는 크기이어야 한다.
     2. 도로이용자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뚜렷하여야 한다.
     3. 곡선부 주행에 유의하도록 곡선부에 도로표지를 설치한다.
     4. 글자ㆍ기호는 밤에는 잘 읽을 수 있도록 반사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118. 위험도로 선정을 위해 사용되는 분석방법 중 미국의 교통연구원에서 발간한 교통사고 분석체계에 기술된 합리적인 방법으로 각지점의 사고율을 산정하고 그 지점의 사고율이 유사한 조건을 갖는 도로에 대한 사고율보다 현저히 높은지의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절차에 근거한 것이며 사고발생 확률이 poisson 분포에 따른다는데서 출발하는 분석방법은?(2007년 03월)
     1. 교통사고 건수에 의한 방법
     2. 통계적 교통사고율 분석방법
     3. 교통사고 현황판에 의한 방법
     4. 교통사고 피해정도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94%

119. 우리나라 고속도로상에서 발생되는 사고 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2008년 03월)
     1. 추돌사고
     2. 정면충돌사고
     3. 일탈사고
     4. 후진충돌사고

     정답 : []
     정답률 : 89%

120. 차량 바퀴의 미끄럼 흔적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양 뒷바퀴의 미끄럼 흔적들 모두가 전륜의 미끄럼 흔적을 벗어나지 않으면 직선 미끄럼으로 간주한다.
     2. 직선 미끄럼의 차량 미끄럼 거리는 그 차량의 모든 바퀴들의 미끄럼 흔적 중 가장 긴 미끄럼 흔적의 길이로 한다.
     3. 미끄러지는 동안에 차량이 회전하는 경우 곡선의 미끄럼 흔적을 남긴다.
     4. 곡선 미끄럼의 경우 각 바퀴의 미끄럼 흔적을 측정하고 그 중 가장 긴 미끄럼 흔적의 길이를 미끄럼 길이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279786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10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2661143)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0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08 유기농업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1607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06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1350074)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1605 식물보호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0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603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602 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 교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2797868)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600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599 용접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159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8406738) 좋은아빠되기 2025.11.10 8
1597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596 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5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5
1595 소음진동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59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593 실내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8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6
1592 무선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8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0 4
159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0일)(6532813) 좋은아빠되기 2025.11.10 7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52 Next
/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