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는 일제가 제정한 법령의 일부이다. 이 법령에 의해 처벌된 사건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김상옥의 종로경찰서 폭탄투척 사건
2.
조선공산당 사건
3.
수양동우회 사건
4.
조선어학회 사건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보기>의 법령은 1925년 제정된 치안 유지법
1. 의열단 소속 김상옥은 1923년 1월 12일 종로 경찰서에 폭탄 투척
2. 1928년 설립된 제4차 조선공산당은 신간회와의 관계를 통해 해외 공산당 조직과 연락 그러나 1928년 7월 일제에 발각되어 치안 유지법 위반 혐의로 해체 3. 수양동우회는 1926년 안창호가 서울에 조직한 흥사단 계열의 개량주의적 민족운동 단체이다. 수양동우회는 1937년 일제에 의해 181명이 치안 유지법 위반으로 검거되면서 해산되어싿. 4. 1942년 조선어 학회가 치안 유지법을 위반했다고 하여 함흥 검사국에 송치되었다. 이에 조선어 학회는 강제 해산 당하였고, 해방 이후 한글 학회로 개편되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2. 당 침략 대비 천리장성 3. 살'수'대첩 4. 당을 격퇴 [해설작성자 : 연습생]
5.
고려시대 왕들의 교육제도 정비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6월)
1.
숙종 대에 서적포라는 국립출판사를 두어 책을 간행하였다.
2.
예종 대에는 사립학교 구재(九齋)를 설치하였다.
3.
문종은 양현고라는 장학재단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4.
고려의 국립대학 국자감은 충선왕 대에 국학으로 개칭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숙종 서적포 설치[서적 보관, 간행] 2. 예종 대에 7재 3. 양현고는 예종 대 4. 국자감이 국학으로 개칭된 것은 충렬왕 대이다. [해설작성자 : 9급 준비생]
예종(睿宗, 1105~1122)은 이전의 국자감(國子監)을 국학(國學)으로 고치면서 일대 개혁을 단행하였다 고려 중기 해동공자 최충은 사학 12도로 유명했고, 그 사학의 힘을 줄이기 위해 예종이 7재와 양현고를 설치
고려 숙종: 서적포, 별무반, 의천에 추천으로 주전도감(삼한통보 해동통보, 동국통보, 활구), 남경개창도감 설치 조선 숙종: 환국. 금위영 설치, 양전사업, 세종 때 정책인 폐사 복구, 이순신 '현충'. 기사제사. 노산대군의 묘호 단종, 상평통보 유통 * 별기군은 고종(188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조선시기의 과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생원과 진사를 선발하는 사마시의 1차 시험(초시)에서는 합격자의 수를 각 도의 인구 비율로 배분하였다.
2.
문과의 정기시험에는 현직 관원도 응시할 수 있었고, 합격하면 관품을 1~4계 올려주었다.
3.
조선시기에는 고려시기와 달리 과거를 보지 않고 관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음서제도가 폐지되었다.
4.
무과 식년시는 3년에 한 번씩 시행했고, 서얼도 응시할 수 있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음서제도는 조선시기에도 존재함 [해설작성자 : 9급 준비생]
7.
<보기>는 광복 전후의 사건들을 나열한 것이다. 사건을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3년 06월)
1.
ㄱ-ㄷ-ㄹ-ㄴ-ㅁ
2.
ㄱ-ㄹ-ㄷ-ㄴ-ㅁ
3.
ㄹ-ㄱ-ㄷ-ㅁ-ㄴ
4.
ㄹ-ㄷ-ㄱ-ㅁ-ㄴ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카이로 선언 - 1943.11.27 미영중에서 한국의 독립을 약속함 얄타 회담 - 1945.02.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전 독일 처리 관련 포츠담 선언 - 1945.07.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항복 및 처리 관련(이후 핵폭탄 사용함)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 1945.12. 510 총선거 - 194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조선 8조법 중 3개 살인죄: 사형 절도죄: 노비 or 50만 전 배상 상해죄: 곡식으로 배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보기 1>의 ㈎와 ㈏가 발표된 시기의 사이에 있었던 사실을 <보기 2>에서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6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가) 7.4 남북 공동성명 (박정희 정부) (나) 6.15 남북 공동선언 (김대중 정부) 보기 ㄱ. 금강산 관광 (김대중정부) ㄴ. 남북 조절 위원회(박정희정부) ㄷ. 경의선,동해선 철도(노무현정부) ㄹ. 남북 동시 유엔 가입(노태우정부) [해설작성자 : 한국사100점기원]
15.
<보기>의 내용이 발표된 이후의 일제 정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2.
치안유지법을 제정하였다.
3.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제정하였다.
4.
공업화로 인한 일본 내 식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산미증식 계획을 실시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황국신민서사 (1937) 1. 토지조사사업 실시 (1912) 2. 치안유지법 제정 (1925) 3.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제정 (1941) 4. 산미증식 계획 (1920-1934) [해설작성자 : 리치언니]
16.
다음 약력에 해당하는 인물은?(2016년 06월)
1.
박영효
2.
윤치호
3.
김옥균
4.
김홍집
정답 : [
1
] 정답률 : 72%
17.
<보기>의 조약이 체결된 해에 일어난 사건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일본이 제물포에 있는 러시아 군함을 공격하며 러일전쟁을 일으켰다.
2.
일본이 불법으로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하였다.
3.
일본이 대한제국 군대를 강제 해산시켰다.
4.
일본이 헤이그특사 파견을 빌미삼아 고종을 강제 퇴위시켰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해당 조약은 한일의정서 제 4조이다. 이는 1904년 2월에 러일전쟁이 발발한 후, 러시아가 대한제국에서 빠져나가자 사실상 강압적으로 체결되었다.
1. 1904년 2월 러일전쟁 발발 직후 해당 조약이 체결되었다. 2. 1905년~06년 3. 1907년 4. 1907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보기>는 일제가 제정한 법령의 일부이다. 이 법령에 의해 처벌된 사건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김상옥의 종로경찰서 폭탄투척 사건
2.
조선공산당 사건
3.
수양동우회 사건
4.
조선어학회 사건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보기>의 법령은 1925년 제정된 치안 유지법
1. 의열단 소속 김상옥은 1923년 1월 12일 종로 경찰서에 폭탄 투척
2. 1928년 설립된 제4차 조선공산당은 신간회와의 관계를 통해 해외 공산당 조직과 연락 그러나 1928년 7월 일제에 발각되어 치안 유지법 위반 혐의로 해체 3. 수양동우회는 1926년 안창호가 서울에 조직한 흥사단 계열의 개량주의적 민족운동 단체이다. 수양동우회는 1937년 일제에 의해 181명이 치안 유지법 위반으로 검거되면서 해산되어싿. 4. 1942년 조선어 학회가 치안 유지법을 위반했다고 하여 함흥 검사국에 송치되었다. 이에 조선어 학회는 강제 해산 당하였고, 해방 이후 한글 학회로 개편되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문제 해설> 2. 당 침략 대비 천리장성 3. 살'수'대첩 4. 당을 격퇴 [해설작성자 : 연습생]
5.
고려시대 왕들의 교육제도 정비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2년 06월)
1.
숙종 대에 서적포라는 국립출판사를 두어 책을 간행하였다.
2.
예종 대에는 사립학교 구재(九齋)를 설치하였다.
3.
문종은 양현고라는 장학재단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4.
고려의 국립대학 국자감은 충선왕 대에 국학으로 개칭되었다.
정답 : [
1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숙종 서적포 설치[서적 보관, 간행] 2. 예종 대에 7재 3. 양현고는 예종 대 4. 국자감이 국학으로 개칭된 것은 충렬왕 대이다. [해설작성자 : 9급 준비생]
예종(睿宗, 1105~1122)은 이전의 국자감(國子監)을 국학(國學)으로 고치면서 일대 개혁을 단행하였다 고려 중기 해동공자 최충은 사학 12도로 유명했고, 그 사학의 힘을 줄이기 위해 예종이 7재와 양현고를 설치
고려 숙종: 서적포, 별무반, 의천에 추천으로 주전도감(삼한통보 해동통보, 동국통보, 활구), 남경개창도감 설치 조선 숙종: 환국. 금위영 설치, 양전사업, 세종 때 정책인 폐사 복구, 이순신 '현충'. 기사제사. 노산대군의 묘호 단종, 상평통보 유통 * 별기군은 고종(1881)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조선시기의 과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6월)
1.
생원과 진사를 선발하는 사마시의 1차 시험(초시)에서는 합격자의 수를 각 도의 인구 비율로 배분하였다.
2.
문과의 정기시험에는 현직 관원도 응시할 수 있었고, 합격하면 관품을 1~4계 올려주었다.
3.
조선시기에는 고려시기와 달리 과거를 보지 않고 관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음서제도가 폐지되었다.
4.
무과 식년시는 3년에 한 번씩 시행했고, 서얼도 응시할 수 있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음서제도는 조선시기에도 존재함 [해설작성자 : 9급 준비생]
7.
<보기>는 광복 전후의 사건들을 나열한 것이다. 사건을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3년 06월)
1.
ㄱ-ㄷ-ㄹ-ㄴ-ㅁ
2.
ㄱ-ㄹ-ㄷ-ㄴ-ㅁ
3.
ㄹ-ㄱ-ㄷ-ㅁ-ㄴ
4.
ㄹ-ㄷ-ㄱ-ㅁ-ㄴ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카이로 선언 - 1943.11.27 미영중에서 한국의 독립을 약속함 얄타 회담 - 1945.02.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전 독일 처리 관련 포츠담 선언 - 1945.07.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 항복 및 처리 관련(이후 핵폭탄 사용함)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 1945.12. 510 총선거 - 194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고조선 8조법 중 3개 살인죄: 사형 절도죄: 노비 or 50만 전 배상 상해죄: 곡식으로 배상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4.
<보기 1>의 ㈎와 ㈏가 발표된 시기의 사이에 있었던 사실을 <보기 2>에서 모두 고른 것은?(2018년 06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2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가) 7.4 남북 공동성명 (박정희 정부) (나) 6.15 남북 공동선언 (김대중 정부) 보기 ㄱ. 금강산 관광 (김대중정부) ㄴ. 남북 조절 위원회(박정희정부) ㄷ. 경의선,동해선 철도(노무현정부) ㄹ. 남북 동시 유엔 가입(노태우정부) [해설작성자 : 한국사100점기원]
15.
<보기>의 내용이 발표된 이후의 일제 정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2.
치안유지법을 제정하였다.
3.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제정하였다.
4.
공업화로 인한 일본 내 식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산미증식 계획을 실시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황국신민서사 (1937) 1. 토지조사사업 실시 (1912) 2. 치안유지법 제정 (1925) 3.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제정 (1941) 4. 산미증식 계획 (1920-1934) [해설작성자 : 리치언니]
16.
다음 약력에 해당하는 인물은?(2016년 06월)
1.
박영효
2.
윤치호
3.
김옥균
4.
김홍집
정답 : [
1
] 정답률 : 72%
17.
<보기>의 조약이 체결된 해에 일어난 사건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일본이 제물포에 있는 러시아 군함을 공격하며 러일전쟁을 일으켰다.
2.
일본이 불법으로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하였다.
3.
일본이 대한제국 군대를 강제 해산시켰다.
4.
일본이 헤이그특사 파견을 빌미삼아 고종을 강제 퇴위시켰다.
정답 : [
1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해당 조약은 한일의정서 제 4조이다. 이는 1904년 2월에 러일전쟁이 발발한 후, 러시아가 대한제국에서 빠져나가자 사실상 강압적으로 체결되었다.
1. 1904년 2월 러일전쟁 발발 직후 해당 조약이 체결되었다. 2. 1905년~06년 3. 1907년 4. 1907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