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중인 문서를 포토샵 파일(*.PSD)이나 동영상 파일(*.WMV)로 저장할 수 있다.
3.
작성한 문서에 암호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가능하다.
4.
작성한 문서를 메일, 팩시밀리, 모바일 등을 이용하여 쉽게 전송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상식적으로 멀쩡한 문서가 포토샵 파일이 되거나 동영상 파일이 될리가 없지않을까용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임]
작성 중인 문서가 포토샵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이 될 수가 없음 [해설작성자 : 응이월드]
2.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 문서를 모바일, 팩시밀리, 이메일 등을 통해 전송하여 다른 응용프로그램에서 공유할 수 있다.
2.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 문서는 쉽게 변경할 수 없으므로 문서 보안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3.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빠르게 작성하여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4.
문서작성 및 관리를 전산화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보안설정 안된 문서는 쉽게 수정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메롱]
작성된 문서는 다른 사람에 의해 수정될 수 있으므로, 보안에 각별히 주의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동구얼짱]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 문서는 수정이 용이하지만 전산화와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 전송이 가능하므로 보안 유지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합니다.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or) = 한글, MS-Word] 문서를 생성, 편집, 교정, 저장, 그리고 인쇄하는 기능을 갖춘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작성된 문서의 보존 및 검색이 가능합니다. 문서 작성과 수정 및 관리를 전산화하여 유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
다음 중 인쇄용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낱장 용지는 동일한 숫자일 경우 A판보다 B판이 크다.
2.
공문서의 표준 규격은 A4(210mm × 297mm)이다.
3.
A판과 B판으로 나눈 용지의 가로 : 세로의 비는 1 : 3이다.
4.
낱장 용지는 규격 번호가 클수록 면적이 작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3번 A판과 B판으로 나눈 용지로 가로 : 세로의 비는 1 : 루트2이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이에요 후하]
[인쇄용지] A판과 B판이 있으며 동일 번호일 경우 B판이 A판보다 크기가 큽니다. 번호는 0번부터 10번까지 총 11종이 있으며 A0나 B0를 반으로 분할 시 숫자가 1씩 증가합니다. 가로세로 비율은 1:√2입니다. A4의 크기는 210mm * 297mm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
다음 중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그대로 프린터에 출력하는 기능은 ?(2012년 09월)
1.
하드 카피(Hard Copy)
2.
소프트 카피(Soft Copy)
3.
레이아웃(Layout)
4.
블록(Block)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은 소프트카피(인쇄물을 만질 수 없는 상태)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은 하드카피(인쇄물을 만질 수 있는 상태) [해설작성자 : 유림컴원장]
하드 카피는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그대로 프린터에 출력하는것 소프트 카피는 인쇄할 내용을 미리보기로 보는것 레이아웃은 인쇄할 내용을 균형있게 재배치하는것 블록은 입출력의 기본단위 [해설작성자: 유강컴퓨터학원]
5.
다음 중 문서의 발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9월)
1.
문서는 정보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송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전자 문서인 경우 전자문서시스템 또는 업무관리 시스템 상에서 발송하여야 한다.
3.
종이 문서인 경우에는 원본을 발송하여야 한다.
4.
문서는 처리과에서 발송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종이문서는 원본을 보내지 않고 복사본을 발송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합격 기원]
6.
다음 중 편지 병합(Mail Merg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1년 09월)
1.
동일한 내용을 그대로 반복해서 여러 개의 문서를 만드는 경우에 적합하다.
2.
외부 파일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3.
병합 문서를 만들려면 문서의 1쪽에 편지 등의 내용문을, 2쪽에 이름 등의 데이터를 넣어 처리한다.
4.
병합된 편지는 직접 인쇄할 수 있으나 파일로 만들 수는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본문 내용은 같고 수신인이 다양한 여러 개의 문서를 만드는 경우에 적합하다. 3. 병합 문서를 만들려면 내용문 파일과 데이터 파일을 별도로 만들어 처리한다. 4. 직접 인쇄할 수 있고 파일로 만들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소라]
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정렬(Align)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문서의 내용을 가, 나, 다 … 혹은 1, 2, 3 … 형태로 크기 순서에 따라 나열하는 것이다.
2.
하나의 문단은 영역 지정이 없어도 정렬이 가능하다.
3.
영역 지정 기능을 사용하면 문서 전체에 대해서 한꺼번에 정렬할 수 있다.
4.
정렬 방식으로는 왼쪽 정렬, 오른쪽 정렬, 가운데 정렬, 양쪽 정렬 등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번에서 말하는 것은 Align(정렬)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Sort(정렬)을 말합니다.
[정렬(Align)] 텍스트나 요소를 특정 기준에 맞추어 배치하는 방법으로 '좌측', '우측', '가운데', '양쪽' 맞춤이 대표적입니다. 문서나 웹 페이지에서 요소들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정렬(Sort)] 불규칙하게 입력된 데이터 목록을 특정 기준에 따라 재배열하는 기능입니다. 오름차순(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ex) 1 → 2 → 3 , 가 → 나 → 다)으로 정렬이 가능합니다. 내림차순(큰 값부터 작은 값으로 ex) 3 → 2 → 1 . 다 → 나 → 가)으로 정렬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8.
다음 그림에서 음영 처리된 영역의 명칭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10월)
1.
제본
2.
꼬리말
3.
머리말
4.
미주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아래 여백 위쪽에 있으면 꼬리말입니다.
9.
다음 중 내용이 같은 초대장에 미리 준비된 받는 사람들의 이름 문자열을 사용하여 한꺼번에 여러 장 인쇄할 수 있는 기능은 무엇인가?(2011년 06월)
1.
메일머지(Mail Merge)
2.
스타일(Style)
3.
하이퍼텍스트(Hypertext)
4.
스풀링(Spooling)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메일은 편지(초대장)를 뜻하고 머지는 병합과 같은 뜻으로 합하면 편지병합 입니다. 메일 머지는 내용은 같고 주소나 받는 사람의 이름만 다를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1.메일머지:초대장 ,안내장 2.스타일: 글자모양 문단모양 3.하이퍼텍스트 : 문서와문서연결 4.스풀링 : CPU 관여 없이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린트를 출력하는 방식
10.
다음 중 어도비(Adobe)사에서 개발한 전자 문서 형식의 표준으로 컴퓨터 기종이나 소프트웨어 종류에 관계없이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서 형식은 무엇인가?(2013년 06월)
1.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2.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3.
PDF(Portable Document Format)
4.
SBP(Screen Book Publishing)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 전자문서교환.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표현형태로 각 기관(기업)의 컴퓨터간에 비즈니스 문서들을 교환하는 것.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 간에 오브젝트(그림,도표,차트 등)를 공유하는 기술. SBP(Screen Book Publishing) : 전자책출판(화면책출판).전자매체를 이용한 문자, 영상, 음성 등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출판형태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봉봉이]
11.
다음은 전자출판의 어떤 기능을 설명한 것인가?(2013년 03월)
1.
ODBC기능
2.
Align기능
3.
Margin기능
4.
OLE기능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ODBC : open database connectivity 오픈 데이터베이스 연결 - Aliign : 정렬기능 - Margin : 상하좌우 용지여백 - OLE : 개체연결삽입 기능 [해설작성자 : 상아탑컴퓨터학원 김건기]
ODBC : Open database connectivity 어떤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 응용프로그램 Align(정렬) : 문자들의 위치 정렬, 위치조정의 의미 Margin (여백 ,마진) : 문서의 균형을 위해 비워두는 페이지이 상-하-좌-우 공백
12.
다음 중 아래의 보기에서 설명하는 문서관리 절차과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보관
2.
구분
3.
이관
4.
편철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보관은 여러분들이 알듯 가지고 있는다는 말이고 구분은 분류하여 관리 절차에 따라 문서를 지정하는 것이고 이관은 관할을 옮긴다는 것이고 편철은 문서 내용의 처리가 끝나면 참고 자료 등 보존이 불필요한 문서는 폐기한 다음 보존 활용 할 문서를 기능 및 보존기간 등에 따라 분류하여 일정한 분량으로 묶어서 문서철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보관 : 문서가 완결된 날의 해당연도 말까지 문서보관함에 넣고 활용, 관리 하는 것 이관 : 계속 보관이 필요한 문서를 보존 기간에 맞춰 보존하기위하여 문서 관리 주관 부서로 옮기는 것입니다. 편철 : 문서를 분류후 문서철에 묶는 과정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상용구(Glossary) : 자주 사용하는 문자열을 미리 등록하였다가 필요할 때 입력하는 기능으로 정형구 또는 약어등록이라고도 한다.
2.
자동 반복(Auto Repeating) : 키보드를 누르고 있는 동안 같은 문자가 계속 입력되는 것을 말한다.
3.
디폴트(Default) : 문서의 서식 등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으로 사용자가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값이 그대로 적용된다.
4.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 : 문서의 내용 중 참고 문헌, 보충 설명 등을 마지막 페이지에 설명하는 기능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번의 설명은 미주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일러플레이트는 주석, 각주,머리말,꼬리말이 들어가기 위해 따로 설정된 구역을 말합니다.
14.
다음 중 전자출판 기술의 하나인 하이퍼링크의 구조적 특징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다양성으로 인하여 정보 습득 능력이 고조된다.
2.
순차적 접근 방식을 주로 제공함에 따라 이용 상의 편리가 증대된다.
3.
이용자의 의도된 선택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4.
양방향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하이퍼링크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비순차적으로 접근할수 있기 때문에 이용상의 편리가 증대됩니다.
<문제 해설> 1. 스타일은 저장 가능합니다.그러므로 새로운 문서에서 스타일을 지정하고 싶을때는 스타일을 불러와서 사용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대연컴퓨터학원 도야지샘]
1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인쇄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프린터 등을 통해 작성한 문서를 인쇄하는 기능을 말한다.
2.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문서의 전체 윤곽을 확인할 수 있다.
3.
프린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출력시간도 빠르고 선명하게 인쇄할 수 있다.
4.
문서의 일부분만 인쇄할 수도 있고 인쇄 매수를 지정하여 동일한 문서를 여러 번 인쇄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프린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출력시간은 '느리지만' 선명하게 인쇄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8.
다음 중 DT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CD-ROM 타이틀의 저작도구이다.
2.
WYSIWYG의 구현이 가능하다.
3.
Desk Top Publishing의 머릿글자이다.
4.
대부분 PC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번과 같은 저작도구는 툴북이 사용된다.
19.
다음 중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2년 06월)
1.
오픈 타입(Open Type)
2.
트루 타입(True Type)
3.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4.
비트맵(Bitmap)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오픈 타입은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입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의 블로거 ]
20.
다음 중 교정부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 단어나 문자를 삽입하라는 부호이다.
2.
: 단어나 문자의 위치를 변경하라는 부호이다.
3.
: 지정된 부분을 위로 끌어 올리라는 부호이다.
4.
: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는 부호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단어나 문자를 수정하라는 교정부호이다. [해설작성자 : ㄱㅁㅈ]
1. 단어나 문자 삽입 2. 단어나 문자 수정 3. 위로 끌어 올리기 4. 불필요한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굉장히좋은세포조직]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한글 Windows XP에서 인터넷 연결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인터넷 연결 공유(ICS)를 사용하면 하나의 외부 인터넷 연결선만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2.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한 다음에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고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으면 Internet Explorer 및 Outlook Express와 같은 프로그램을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에 직접 연결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3.
[제한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사용자도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4.
인터넷 연결 공유를 사용하면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새로운 고정 IP 주소가 기본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TCP/IP 연결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인터넷 연결공유는 컴퓨터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한 사용자만 설정이 가능합니다.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연결] 창의 [보기]-[자세히]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의 세부 항목이 아닌 것은?(2008년 10월)
1.
네트워크의 장치 이름
2.
네트워크의 종류
3.
네트워크의 상태
4.
네트워크 사용자 계정의 암호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네트워크 사용자 계정의 암호는 표시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용선생]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을 부팅할 때 수행하는 POST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ROM-BIOS에 있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기능이다.
2.
부트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기능이다.
3.
하나의 컴퓨터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한 경우에 다중부팅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4.
컴퓨터의 최소한의 장치만을 설정하여 부팅하는 기능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POST는 컴퓨터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POST(Power On Self Test)가 실행된 후 컴퓨터 시스템이 켜집니다. 따라서 1번'ROM-BIOS에 있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기능이 있다'라는 내용은 맞는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기능도 아니고, 다중부팅을 수행하는 기능도 아니며, 컴퓨터의 최소한의 장치만을 설정하여 부팅하는 기능은 더더욱 아니겠죠? ^^ [해설작성자 : 라임]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보안 센터]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Windows에서 컴퓨터의 중요한 최신 업데이트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2.
네트워크나 다른 컴퓨터에 액세스할 때 사용하는 여러 사용자 이름 및 암호를 저장된 사용자 이름 및 암호에 저장할 수 있다.
3.
바이러스와 기타 보안 위험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할 수 있다.
4.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하지 못하도록 막아 컴퓨터를 보호해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2번 설명은 사용자계정에 대한 설명입니다.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바로 가기 메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바로 가기 메뉴는 객체를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메뉴이다.
2.
바로 가기 메뉴에 있는 각 메뉴 항목은 하위 메뉴 항목이 있는 경우도 있다.
3.
바로 가기 메뉴는 선택된 객체에 따라 메뉴 항목이 다르게 나타난다.
4.
선택된 항목의 바로 가기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바로 가기 키는 <Ctrl> + <Enter> 키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선택된 항목의 바로가기 메뉴를 표시하기위한 바로가기 키는 <Shift> + <F10> 이다. [해설작성자 : 해릴]
선택된 항목의 속성창을 표시하기 위한 바로가기 키는 <Alt> + <Enter> 이다.
Ctrl + Enter : 드라이브나 폴더가 선택된 경우 새로운 탐색기창으로 열림 [해설작성자: 언니우니]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폴더 옵션] 창에서 지정이 가능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폴더를 찾을 때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를 지정할 수 있다.
2.
폴더 창을 열 때 마우스를 한 번 클릭해서 열기를 지정할 수 있다.
3.
탐색 창에서 모든 폴더를 표시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4.
폴더 창의 모양과 사용된 글꼴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답이 4번인 이유.... 1. 폴더를 찾을 때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를 지정할 수 있다. => 현재 사용하는 폴더 옵션으로 가능.
2. 폴더 창을 열 때 마우스를 한 번 클릭해서 열기를 지정할 수 있다. => 폴더 옵션에 보시면 있어요.
3. 탐색 창에서 모든 폴더를 표시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 탐색창은 그 모든 폴더 즉 파일의 하위 폴더 까지 표시가 가능해요.
4. 폴더 창의 모양과 사용된 글꼴을 지정할 수 있다. => 폴더 창의 모양과 글꼴은 지정이 안돼요.
이러한 이유로 4번이 답.. [해설작성자 : 비운의 나그네]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 및 폴더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
폴더 내에서 파일이나 하위 폴더의 이름을 바꿀 때는 항목을 선택한 후에 [파일] 메뉴의 [이름 바꾸기] 항목을 선택한다.
2.
파일이나 폴더가 복사 또는 이동할 때 잠시 기억되는 임시 기억 장소를 클립보드라고 한다.
3.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복사할 때에는 마우스 포인터의 오른쪽 아래에 [+] 표시가 나타난다.
4.
파일과 폴더는 계층적 구조로서 파일은 폴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파일과 폴더는 계층적 구조로서 폴더는 파일들을 포함할수 있다가 옳은 말입니다.(보기에서는 폴더와 파일의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시스템 백업 및 복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디스크 백업]은 디스크의 특정 내용을 하드디스크 또는 USB, CD, DVD 등에 보관하는 기능으로 복사하여 보관된다.
2.
[파일 백업]은 Windows 백업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복사본을 만들 수 있다.
3.
현재 하드디스크의 라이브러리, 바탕 화면, 기본 Windows 폴더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이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로 백업된다.
4.
[파일 복원]을 누르면 언제나 C:\에 백업된 파일을 복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백업 파일이 복원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제어판]에 있는 [프로그램 추가/제거]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구성 요소를 관리하도록 도와주면, CD_ROM, 플로피 디스크, 네트워크에서 Microsoft Excel 또는 Word와 같은 프로그램을 추가할 수 있다.
2.
인터넷을 통해 Microsoft 업데이트 및 새로운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3.
네트워킹 서비스와 같이 기본 설치에서 제외한 Windows 구성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도록 도와준다.
4.
Windows용 프로그램의 경우와 동일하게 MS-DOS용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려고 할 경우에도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MS-DOS용 프로그램은 윈도우에서 설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램 추가 제거에서 삭제할 수 없다 [작성해설자 : 아이컴퓨터회계학원]
30.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연결] 창에 있는 탐색 창에서 네트워크 작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6년 11월)
1.
새 연결 만들기
2.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 설정
3.
케이블 직접 연결
4.
Windows(인터넷 연결) 방화벽 설정 변경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Windows 98에 있던 케이블직접연결은 Windows XP로 넘어오면서 없어졌음 [해설작성자 : 서유진 컴퓨터]
31.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서비스(Service)는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송수신하는 프로그램으로 방화벽 서비스를 포함한다.
2.
클라이언트(Client)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컴퓨터 및 파일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3.
어댑터(Adapter)는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4.
프로토콜(Protocol)은 컴퓨터가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통신규약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번 서비스는 다른컴퓨터에서 내컴퓨터에 있는 파일, 프린터등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표준 사용자 계정 사용자는 자녀 보호 설정을 할 수 있다.
2.
Guest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 암호로 보호된 폴더 및 파일 등을 액세스 할 수 있다.
3.
관리자 계정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을 작성, 변경, 삭제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4.
표준 사용자 계정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할 소프트 웨어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사용자 계정은 관리자, 표준, 게스트 로 나뉩니다. 관리자는 계정의 어머니같은 존재로 모든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치 변경 삭제 등 관리자는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나머지 표준,게스트 계정은 자녀같은 위치에 있기에 실행, 즉 사용만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분명정답을눌럿는데 오답눌러져있다]
[사용자 계정]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시에 사용자마다 설정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게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계정에는 관리자 계정, 표준 사용자 계정이 있습니다. 관리자 계정 : PC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모든 설정을 변경하고 PC에 저장된 모든 파일 및 프로그램(앱)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컴퓨터의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표준 사용자 계정 :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나 이 pc의 보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로 자신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나 설치된 앱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프린터의 추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이용하여 새로운 프린터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설치할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할 수 있다.
2.
하나의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의 수는 10대까지 가능하다.
3.
추가할 프린터는 연결 상태에 따라 로컬 프린터와 네트워크 프린터로 구분된다.
4.
[프린터 및 팩스] 창에서 [파일]-[프린터 추가] 메뉴를 선택하면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의 수는 제한이 없습니다. 단, 기본프린터는 1대만 가능합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탐색기]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폴더 영역과 파일 영역을 구분하는 세로 선을 마우스로 끌어놓기를 하면 각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2.
폴더 영역에서 폴더를 선택한 후에 숫자 키패드의 [*]키를 누르면 선택된 폴더의 모든 하위 폴더가 표시된다.
3.
폴더 영역에서 [+] 표시가 있는 폴더는 하위 폴더까지 표시된 상태를 의미한다.
4.
키보드의 방향키[←]를 누르면 선택한 폴더의 하위 폴더가 보이면 닫고, 하위 폴더가 닫힌 상태이면 상위 폴더를 선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폴더 영역에서 [+] 표시가 있는 폴더는 하위 폴더가 있으며 아직 표시 되지 않았음을 의미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폴더 옵션]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키보드의 단축키로 폴더를 열기
2.
탐색 창에서 모든 폴더를 표시하도록 하기
3.
마우스를 한 번 클릭해서 폴더를 열기
4.
폴더를 찾아볼 때 새 창에서 폴더를 열기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폴더 옵션] 창에는 [일반],[보기],[검색] 탭 메뉴가 있습니다. 2,3,4번은 모두 [일반]탭에 있는 메뉴입니다. 1번 보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미래컴퓨터아카데미]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창(Window)의 상단에 있는 메뉴 표시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메뉴 뒤의 ▶ 표시 :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메뉴이다.
2.
메뉴 앞의 √ 표시 : 그룹화된 여러 개의 메뉴중에서 한 가지 메뉴만 선택할 수 있다.
3.
메뉴 뒤의 ... 표시 : 대화상자가 표시되는 메뉴이다.
4.
메뉴 앞의 ● 표시 : 동시에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메뉴가 선택되어 적용된 상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번은 하위항목을 볼 수 있는거고 2번4번은 설명이 바뀌었습니다. 고로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모두홧팅]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제어판]에 있는 [디스플레이] 창에서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사용하는 모니터를 기반으로 화면 해상도, 방향, 고급설정 등 최상의 디스플레이 설정을 할 수 있는 창을 열 수 있다.
2.
화면의 텍스트, 아이콘 및 기타 항목의 크기 조절을 위해 작게, 중간, 크게의 3가지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3.
모니터에서 색이 정확하게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 색 보정을 할 수 있는 창을 열 수 있다.
4.
비디오 카드/드라이버 정보를 확인한 후 드라이버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하드웨어의 드라이버 정보를 확인하고, 드라이버를 다시 설정할 수 있는 곳은 장치관리자입니다. [해설작성자 : 세종 송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장치의 어댑터나 동작 상태, 드라이버 등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2.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의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3.
클라이언트나 서비스, 프로토콜 등의 네트워크 기능 유형을 선택하고 추가 설치를 할 수 있다.
4.
네트워크에 인터넷 연결 공유된 각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파일이나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프린트할 수 있는 것은 로컬영역 연결 속성이 아닌 프린터 속성에서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오늘 남양주로 시험보러가는 사람]
39.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TCP/IP 속성 창에서 서브넷 마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DHCP를 이용한 유동 IP주소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
2.
IP주소와 결합하여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IPv4 주소 체계에서는 256비트의 주소로 구성된다.
4.
네트워크 사이에 IP 패킷을 라우팅할 때 사용되는 주소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서브넷 마스크란 IP주소와 결합하여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기 위한 32비트 주소입니다. 해당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 세그먼트 식별에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서브넷마스크 엄청 잘나옴]
1. DHCP 가 아니라 TCP 3. 32비트의 주소 4. 게이트웨이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18-2차여경합격]
40.
한글 Windows XP에서 프린터로 문서를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프린터의 인쇄 관리자 창에서는 인쇄 대기 중인 문서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쇄를 취소할 수도 있다.
2.
문서를 인쇄하는 동안 작업 표시줄에 프린터 아이콘이 표시되며, 인쇄가 끝나면 이 아이콘이 없어진다.
3.
인쇄 중인 프린터의 인쇄 관리자 창을 닫으면 문서들의 인쇄가 모두 취소된다.
4.
네트워크 프린터를 설치하고 나면 다른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내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번은 창만 닫힐 뿐이지 인쇄가 취소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를 취소하고자 할때는 프린터 메뉴에서 모든 문서 취소를 클릭해야 한다.
41.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6년 03월)
1.
BCD코드
2.
ASCII코드
3.
EBCDIC코드
4.
GRAY코드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ASCII코드 입니다. 획수만으로도 풀어내실 수 있습니다. 또한 1bit = 2^n 개의 자료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7bit = 2^7 개(128개)를 표현합니다. (BCD = 6bit, EBCDIC = 8bit) ※ GRAY 코드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A/D변환)에 사용되는 코드 입니다.(1bit씩 변경되므로 속도가 빠르기에 사용됩니다.) 변환시에는 XOR(Exclusive-OR : 배타적논리합)회로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windcom tistory [HARU_T]]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표준국에서 개발되어 7bit 문자 체제로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3개의 Zone bit와 4개의 Digit Bit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7bit 문자 코드로 128가지 문자 표현이 가능하여 영문 대.소 문자, 숫자, 문장 부호, 특수 제어 문자를 나타냅니다. 패리티 비트가 포함되어 8bit로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적합한 것은?(2014년 06월)
1.
BT
2.
VAN
3.
USN
4.
URI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BT : 뜻이 여러가지입니다. 비트토렌트, 생명공학, 블루투스 등의 뜻을 가집니다. VAN : 부가가치통신망 URI : URL(자원의 주소?)와 유사한 뜻으로 받아 들이시면 됩니다. 일부 혼용하기도 합니다.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복잡하므로 생략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3.
디지털 컴퓨터(Digital Computer)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2년 09월)
1.
2진수를 사용한다.
2.
숫자, 문자 등으로 결과를 출력한다.
3.
연속적인 양의 표현이 불가능하다.
4.
기억 능력과 프로그램이 필요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디지털 컴퓨터는 기억 능력과 프로그램이 필요 합니다.
44.
다음은 컴퓨터의 명령어 처리 상태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9년 03월)
1.
인출 상태
2.
간접 상태
3.
실행 상태
4.
인터럽트 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인출: 주기억에서 중앙처리장치로 읽은 후 명령어 해독. 간접: 간접주소인 경우 유효주소를 얻기위해 기억장치에 다시 접근함. 실행: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읽어다가 연산 동작을 수행함. 인터럽트: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실행과정 계속 불가능시 응급조치 후 실행하도록 cpu상태 보관함. [해설작성자 : 조팀장]
45.
다음 중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OSI 7계층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물리 계층은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등 기계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한다.
2.
데이터 링크 계층은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이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전송 계층은 종단 시스템(End-to-End) 간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4.
네트워크 계층은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 하며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중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보기 2번의 내용은 응용계층에 대한 설명입니다. 데이터링크 계층 1.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2.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화, 오류 제어, 순서 제어 3.링크의 확립, 유지, 단절의 수단을 제공한다. [해설작성자 : 왕큰호랑이네 김꼬미]
46.
다음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작도구 중 웹 페이지 저작도구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Finale
2.
FrontPage
3.
Dreamweaver
4.
나모 웹에디터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Finale(피날레)는 음악 악보 프로그램입니다. [해설작성자 : 911컴퓨터학원:시골두부]
47.
다음 중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만 짝지어진 것은?(2019년 08월)
1.
C++, C#, JAVA
2.
C, COBOL, BASIC
3.
FORTRAN, C++, XML
4.
JAVA, C, XML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JAVA - C++언어를 기반으로 개발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웹 환경에서 분산작업 가능. [해설작성자 : 다른해설부탁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디자인은 개체로, 내부 설계는 코딩으로 - JAVA, 비주얼 언어, C++, etc.
48.
다음 중 TCP/IP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토콜이 아닌것은?(2019년 03월)
1.
FTP
2.
TELNET
3.
HTTP
4.
CPP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PP는 이 문제하고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TCP/IP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텔넷(TELNET) : 원격 접속 프로토콜입니다. (원격지에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HTTP : 인터넷 상에서 하이퍼텍스트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CPP는 Card Punching Printer의 약자로 카드 천공 인쇄 장치입니다. TCP/IP와는 관련 없는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9.
다음 중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정의한 국제표준규격 통신 프로토콜인 OSI 7계층 모델에서 네트워크 종단사이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은?(2012년 06월)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국제표준규격에서 7계층 모델에서 전송을 담당하고 있다고 하엿으니 전송 계층이다 [해설작성자 : 형님클라스봤냐]
50.
다음에서 설명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 형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8월)
1.
WAVE
2.
RA/RM
3.
MP3
4.
MIDI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영어: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줄여서 MIDI(미디, /ˈmɪdi/))는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입니다.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입니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저장하기에 용량이 작습니다.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의 특성을 기호로 정의하여 이의 내용을 정의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1.
다음 중 RISC 프로세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10월)
1.
하버드 구조(Harvard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설계된 방식이다.
2.
가변길이 명령어 형식을 사용한다.
3.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명령어 세트를 가지고 있다.
4.
단일 사이클에 한 개의 명령어를 수행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RISC는 명령어의 종류가 적고 명령어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으며 CISC는 명령어의 종류가 많으며 명령어의 길이가 서로 다르므로 가변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52.
다음 중 세션으로 주고받는 자료를 암호화 하고 전자 사인을 해서 주고받는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WWW 보안 프로토콜은 어느 것인가?(2011년 09월)
1.
PGP
2.
RSA
3.
SSL
4.
Smart Card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SSL : SSL(Secure Socket Layer)은 넷스케이프사에서 전자상거래 등의 보안을 위해 개발하였다. 이후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는 이름으로 표준화되었다. SSL은 특히 네트워크 레이어의 암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HTTP 뿐만 아니라 NNTP, FTP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본적으로 Authentication, Encryption, Integrity를 보장한다.
53.
다음 중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을 치료하거나 예방해 주는 백신 프로그램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10월)
1.
RSA
2.
V3
3.
노턴 안티바이러스
4.
바이로봇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RSA : 공개키 암호화 방식입니다. 2. V3 : 안철수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만든 국산 백신입니다. 3. 노턴 안티바이러스 : 미국의 노턴사에서 만든 백신입니다. 4. 바이로봇 : 하우리라는 회사에서 만든 국산 백신입니다.
54.
라운드로빈(Round Robin) 스케줄링(Scheduling) 기법에서 시간 할당량(Time Slice, Time Quantum)을 아주 크게 하면 다음 중 어느 스케줄링 기법과 동일하게 되는가?(2007년 10월)
1.
LIFO(Last In First Out)
2.
SRT(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3.
FCFS(First Come First Served)
4.
SJF(Shortest Job First)
정답 : [
3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후입선출 2. SRT(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짧은 시간 순서대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남은 처리 시간이 더 짧은 프로세스가 Ready 큐에 들어오면 그 프로세스가 바로 선점됨(선점 스케줄링) 3. 선입선출 4.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큐 안에 있는 프로세스 중 수행시간이 짧은 것을 먼저 수행. 평균 대기 시간을 감소시킨다.(비선점 스케줄링)
스케줄링 : 프로세스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스케줄러로부터 cpu를 할당받는 것 라운드로빈(Round-Robin)스케줄링: 각 프로세스는 같은 크기의 CPU 시간을 할당 받고 선입선출에 의해 행된다. 할당시간이 너무 크면 선입선출과 다를 바가 없어지고, 너무 작으면 오버헤드가 너무 커진다. [해설작성자 : 하늘]
55.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바이러스는 외부로부터 감염되므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에는 최신 버전의 백신을 사용하여 점검한 후에 사용한다.
2.
중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정기적으로 백업을 해야 한다.
3.
최신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점검한다.
4.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자신의 모든 파일은 가급적 공유 폴더를 이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유 폴더를 이용하면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됩니다. [해설작성자 : 야매로]
5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Microsoft Outlook] 창에서 [작업 관리]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작업은 한번 또는 반복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2.
작업 시작 날짜, 기한, 상태, 우선순위, 완료율, 미리알림 등을 지정할 수 있다.
3.
다른 사람에게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4.
해당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 목록에서 완전히 삭제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삭제되지 않고 중앙에 밑줄이 그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방학떄 놀지말고 공뷰하자]
57.
다음 중 아웃룩(Outlook)에서 메일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수신된 메일은 기본적으로 [받은 편지함] 폴더에 저장된다.
2.
[지운 편지함]에 있는 메일을 삭제하면 [임시 보관함]으로 이동한다.
3.
[검색 폴더]는 특정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모든 전자 메일 항목을 보여 주는 가상 폴더이다.
4.
[받은 편지함]에 있는 메일을 삭제하면 [지운 편지함]으로 이동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지운 편지함에 있는 메일은 이미 지워져있는 상태이기에 임시보관함으로 이동되지 않고 목록에서 제외됩니다. [해설작성자 : 초용자]
지운편지함에서 또 지우면 완전삭제 됩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그 완구의 왕국]
[아웃룩 메일] 메일들을 보낸 사람, 제목, 받은 날짜 등으로 구별되어 표시가 됩니다. 보낸 편지함, 받은 편지함, 지운 편지함, 정크 메일 등으로 관리가 됩니다. 메일을 삭제히 지운 편지함에 보관되며 지운 편지함에서 삭제시 영구 제거 됩니다. 정크 메일의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필터된 메일로 삭제시 지운 편지함으로 저장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8.
다음 중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2007년 10월)
1.
처리능력(Throughput)
2.
응답시간(Turn-around Time)
3.
사용가능도(Availability)
4.
회전대기시간(Latency Time)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소는 응답시간, 처리능력, 신뢰도, 사용가능도 이 네가지입니다
59.
다음 중 전자우편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전달: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고 싶은 경우 받은 메일을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기능이다.
2.
회신: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하되, 발송자는 물론 참조인 모두에게 전송하는 기능이다.
3.
첨부: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전자우편에 첨부하여 보내는 기능이다.
4.
서명: 메시지를 보낸 사람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해 메시지 끝에 붙이는 표식으로 이름, 직위, 회사이름, 주소 등을 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체회신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제발 붙자 코로나는 떨어지자]
회신 :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작성하여, 발송자에게 다시 전송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60.
다음 중 제어장치에서 사용되는 레지스터로만 묶인 것은?(2015년 06월)
1.
가산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2.
부호기, 명령 해독기, 데이터 레지스터
3.
명령 해독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4.
프로그램 카운터, 상태 레지스터, 누산기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누산기 보수기 가산기는 연산장치 이기 때문에 제어장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세단어가 들어간 문제들은 제외하시고 푸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워드 좀 따자......]
그냥 외울 수 밖에 없는것 같아요... 제어장치 : 프로그램 카운터 - 명령어 번지를 기억 명령 레지스터 - 명령어 내용을 기억 명령 해독기 - 명렁어를 해독 부호기 - 제어 신호를 생성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데이터가 잠시 기억되는 레지스터 연산장치 : 가산기 - 덧셈 수행 회로 보수기 - 보수 변환 회로 누산기 - 연산 결과 기억 인덱스 레지스터 - 주소 변경시 사용하는 레지스터 데이터 레지스터 - 연산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기억 상태 레지스터 - 컴퓨터 상태값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해설작성자 : 119구급대, 하루에 몇 번 출동할까?]
정 답 지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907142)
작성 중인 문서를 포토샵 파일(*.PSD)이나 동영상 파일(*.WMV)로 저장할 수 있다.
3.
작성한 문서에 암호를 부여하여 저장할 수 있어 보안 유지가 가능하다.
4.
작성한 문서를 메일, 팩시밀리, 모바일 등을 이용하여 쉽게 전송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상식적으로 멀쩡한 문서가 포토샵 파일이 되거나 동영상 파일이 될리가 없지않을까용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임]
작성 중인 문서가 포토샵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이 될 수가 없음 [해설작성자 : 응이월드]
2.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 문서를 모바일, 팩시밀리, 이메일 등을 통해 전송하여 다른 응용프로그램에서 공유할 수 있다.
2.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 문서는 쉽게 변경할 수 없으므로 문서 보안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3.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빠르게 작성하여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4.
문서작성 및 관리를 전산화함으로써 유지 관리가 쉽다.
정답 : [
2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보안설정 안된 문서는 쉽게 수정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메롱]
작성된 문서는 다른 사람에 의해 수정될 수 있으므로, 보안에 각별히 주의 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동구얼짱]
워드프로세서로 작성된 문서는 수정이 용이하지만 전산화와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 전송이 가능하므로 보안 유지에 더 많은 신경을 써야 합니다.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or) = 한글, MS-Word] 문서를 생성, 편집, 교정, 저장, 그리고 인쇄하는 기능을 갖춘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작성된 문서의 보존 및 검색이 가능합니다. 문서 작성과 수정 및 관리를 전산화하여 유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
다음 중 인쇄용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낱장 용지는 동일한 숫자일 경우 A판보다 B판이 크다.
2.
공문서의 표준 규격은 A4(210mm × 297mm)이다.
3.
A판과 B판으로 나눈 용지의 가로 : 세로의 비는 1 : 3이다.
4.
낱장 용지는 규격 번호가 클수록 면적이 작다.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3번 A판과 B판으로 나눈 용지로 가로 : 세로의 비는 1 : 루트2이다. [해설작성자 : 내일 시험이에요 후하]
[인쇄용지] A판과 B판이 있으며 동일 번호일 경우 B판이 A판보다 크기가 큽니다. 번호는 0번부터 10번까지 총 11종이 있으며 A0나 B0를 반으로 분할 시 숫자가 1씩 증가합니다. 가로세로 비율은 1:√2입니다. A4의 크기는 210mm * 297mm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
다음 중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그대로 프린터에 출력하는 기능은 ?(2012년 09월)
1.
하드 카피(Hard Copy)
2.
소프트 카피(Soft Copy)
3.
레이아웃(Layout)
4.
블록(Block)
정답 : [
1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은 소프트카피(인쇄물을 만질 수 없는 상태)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은 하드카피(인쇄물을 만질 수 있는 상태) [해설작성자 : 유림컴원장]
하드 카피는 화면에 표시된 문서나 내용을 그대로 프린터에 출력하는것 소프트 카피는 인쇄할 내용을 미리보기로 보는것 레이아웃은 인쇄할 내용을 균형있게 재배치하는것 블록은 입출력의 기본단위 [해설작성자: 유강컴퓨터학원]
5.
다음 중 문서의 발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9월)
1.
문서는 정보 통신망을 이용하여 발송함을 원칙으로 한다.
2.
전자 문서인 경우 전자문서시스템 또는 업무관리 시스템 상에서 발송하여야 한다.
3.
종이 문서인 경우에는 원본을 발송하여야 한다.
4.
문서는 처리과에서 발송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종이문서는 원본을 보내지 않고 복사본을 발송합니다. [해설작성자 : 시험 합격 기원]
6.
다음 중 편지 병합(Mail Merg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1년 09월)
1.
동일한 내용을 그대로 반복해서 여러 개의 문서를 만드는 경우에 적합하다.
2.
외부 파일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작성할 수 있다.
3.
병합 문서를 만들려면 문서의 1쪽에 편지 등의 내용문을, 2쪽에 이름 등의 데이터를 넣어 처리한다.
4.
병합된 편지는 직접 인쇄할 수 있으나 파일로 만들 수는 없다.
정답 : [
2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본문 내용은 같고 수신인이 다양한 여러 개의 문서를 만드는 경우에 적합하다. 3. 병합 문서를 만들려면 내용문 파일과 데이터 파일을 별도로 만들어 처리한다. 4. 직접 인쇄할 수 있고 파일로 만들 수도 있다. [해설작성자 : 소라]
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정렬(Align)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문서의 내용을 가, 나, 다 … 혹은 1, 2, 3 … 형태로 크기 순서에 따라 나열하는 것이다.
2.
하나의 문단은 영역 지정이 없어도 정렬이 가능하다.
3.
영역 지정 기능을 사용하면 문서 전체에 대해서 한꺼번에 정렬할 수 있다.
4.
정렬 방식으로는 왼쪽 정렬, 오른쪽 정렬, 가운데 정렬, 양쪽 정렬 등이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번에서 말하는 것은 Align(정렬)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Sort(정렬)을 말합니다.
[정렬(Align)] 텍스트나 요소를 특정 기준에 맞추어 배치하는 방법으로 '좌측', '우측', '가운데', '양쪽' 맞춤이 대표적입니다. 문서나 웹 페이지에서 요소들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습니다.
[정렬(Sort)] 불규칙하게 입력된 데이터 목록을 특정 기준에 따라 재배열하는 기능입니다. 오름차순(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ex) 1 → 2 → 3 , 가 → 나 → 다)으로 정렬이 가능합니다. 내림차순(큰 값부터 작은 값으로 ex) 3 → 2 → 1 . 다 → 나 → 가)으로 정렬이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8.
다음 그림에서 음영 처리된 영역의 명칭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10월)
1.
제본
2.
꼬리말
3.
머리말
4.
미주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아래 여백 위쪽에 있으면 꼬리말입니다.
9.
다음 중 내용이 같은 초대장에 미리 준비된 받는 사람들의 이름 문자열을 사용하여 한꺼번에 여러 장 인쇄할 수 있는 기능은 무엇인가?(2011년 06월)
1.
메일머지(Mail Merge)
2.
스타일(Style)
3.
하이퍼텍스트(Hypertext)
4.
스풀링(Spooling)
정답 : [
1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메일은 편지(초대장)를 뜻하고 머지는 병합과 같은 뜻으로 합하면 편지병합 입니다. 메일 머지는 내용은 같고 주소나 받는 사람의 이름만 다를때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1.메일머지:초대장 ,안내장 2.스타일: 글자모양 문단모양 3.하이퍼텍스트 : 문서와문서연결 4.스풀링 : CPU 관여 없이 보조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린트를 출력하는 방식
10.
다음 중 어도비(Adobe)사에서 개발한 전자 문서 형식의 표준으로 컴퓨터 기종이나 소프트웨어 종류에 관계없이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서 형식은 무엇인가?(2013년 06월)
1.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2.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3.
PDF(Portable Document Format)
4.
SBP(Screen Book Publishing)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 전자문서교환.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표현형태로 각 기관(기업)의 컴퓨터간에 비즈니스 문서들을 교환하는 것. OLE(Object Linking and Embedding) :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 간에 오브젝트(그림,도표,차트 등)를 공유하는 기술. SBP(Screen Book Publishing) : 전자책출판(화면책출판).전자매체를 이용한 문자, 영상, 음성 등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출판형태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봉봉이]
11.
다음은 전자출판의 어떤 기능을 설명한 것인가?(2013년 03월)
1.
ODBC기능
2.
Align기능
3.
Margin기능
4.
OLE기능
정답 : [
4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 ODBC : open database connectivity 오픈 데이터베이스 연결 - Aliign : 정렬기능 - Margin : 상하좌우 용지여백 - OLE : 개체연결삽입 기능 [해설작성자 : 상아탑컴퓨터학원 김건기]
ODBC : Open database connectivity 어떤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지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하여 만든 응용프로그램 Align(정렬) : 문자들의 위치 정렬, 위치조정의 의미 Margin (여백 ,마진) : 문서의 균형을 위해 비워두는 페이지이 상-하-좌-우 공백
12.
다음 중 아래의 보기에서 설명하는 문서관리 절차과정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보관
2.
구분
3.
이관
4.
편철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보관은 여러분들이 알듯 가지고 있는다는 말이고 구분은 분류하여 관리 절차에 따라 문서를 지정하는 것이고 이관은 관할을 옮긴다는 것이고 편철은 문서 내용의 처리가 끝나면 참고 자료 등 보존이 불필요한 문서는 폐기한 다음 보존 활용 할 문서를 기능 및 보존기간 등에 따라 분류하여 일정한 분량으로 묶어서 문서철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보관 : 문서가 완결된 날의 해당연도 말까지 문서보관함에 넣고 활용, 관리 하는 것 이관 : 계속 보관이 필요한 문서를 보존 기간에 맞춰 보존하기위하여 문서 관리 주관 부서로 옮기는 것입니다. 편철 : 문서를 분류후 문서철에 묶는 과정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13.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상용구(Glossary) : 자주 사용하는 문자열을 미리 등록하였다가 필요할 때 입력하는 기능으로 정형구 또는 약어등록이라고도 한다.
2.
자동 반복(Auto Repeating) : 키보드를 누르고 있는 동안 같은 문자가 계속 입력되는 것을 말한다.
3.
디폴트(Default) : 문서의 서식 등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값으로 사용자가 특별히 지정하지 않으면 값이 그대로 적용된다.
4.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 : 문서의 내용 중 참고 문헌, 보충 설명 등을 마지막 페이지에 설명하는 기능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번의 설명은 미주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일러플레이트는 주석, 각주,머리말,꼬리말이 들어가기 위해 따로 설정된 구역을 말합니다.
14.
다음 중 전자출판 기술의 하나인 하이퍼링크의 구조적 특징이 아닌 것은?(2008년 05월)
1.
다양성으로 인하여 정보 습득 능력이 고조된다.
2.
순차적 접근 방식을 주로 제공함에 따라 이용 상의 편리가 증대된다.
3.
이용자의 의도된 선택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4.
양방향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정답 : [
2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하이퍼링크는 사용자 선택에 의해 비순차적으로 접근할수 있기 때문에 이용상의 편리가 증대됩니다.
<문제 해설> 1. 스타일은 저장 가능합니다.그러므로 새로운 문서에서 스타일을 지정하고 싶을때는 스타일을 불러와서 사용하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대연컴퓨터학원 도야지샘]
17.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인쇄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프린터 등을 통해 작성한 문서를 인쇄하는 기능을 말한다.
2.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문서의 전체 윤곽을 확인할 수 있다.
3.
프린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출력시간도 빠르고 선명하게 인쇄할 수 있다.
4.
문서의 일부분만 인쇄할 수도 있고 인쇄 매수를 지정하여 동일한 문서를 여러 번 인쇄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프린터의 해상도를 높게 설정하면 출력시간은 '느리지만' 선명하게 인쇄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18.
다음 중 DTP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CD-ROM 타이틀의 저작도구이다.
2.
WYSIWYG의 구현이 가능하다.
3.
Desk Top Publishing의 머릿글자이다.
4.
대부분 PC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1번과 같은 저작도구는 툴북이 사용된다.
19.
다음 중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2년 06월)
1.
오픈 타입(Open Type)
2.
트루 타입(True Type)
3.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4.
비트맵(Bitmap) 방식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오픈 타입은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입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의 블로거 ]
20.
다음 중 교정부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 단어나 문자를 삽입하라는 부호이다.
2.
: 단어나 문자의 위치를 변경하라는 부호이다.
3.
: 지정된 부분을 위로 끌어 올리라는 부호이다.
4.
: 불필요한 내용을 삭제하는 부호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단어나 문자를 수정하라는 교정부호이다. [해설작성자 : ㄱㅁㅈ]
1. 단어나 문자 삽입 2. 단어나 문자 수정 3. 위로 끌어 올리기 4. 불필요한 내용 삭제 [해설작성자 : 굉장히좋은세포조직]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한글 Windows XP에서 인터넷 연결 공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인터넷 연결 공유(ICS)를 사용하면 하나의 외부 인터넷 연결선만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2.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한 다음에 네트워크의 모든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고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으면 Internet Explorer 및 Outlook Express와 같은 프로그램을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에 직접 연결된 것처럼 사용할 수 있다.
3.
[제한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온 한 사용자도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4.
인터넷 연결 공유를 사용하면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새로운 고정 IP 주소가 기본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TCP/IP 연결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인터넷 연결공유는 컴퓨터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온한 사용자만 설정이 가능합니다.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연결] 창의 [보기]-[자세히]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의 세부 항목이 아닌 것은?(2008년 10월)
1.
네트워크의 장치 이름
2.
네트워크의 종류
3.
네트워크의 상태
4.
네트워크 사용자 계정의 암호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네트워크 사용자 계정의 암호는 표시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용선생]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을 부팅할 때 수행하는 POST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10월)
1.
ROM-BIOS에 있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기능이다.
2.
부트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기능이다.
3.
하나의 컴퓨터에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한 경우에 다중부팅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4.
컴퓨터의 최소한의 장치만을 설정하여 부팅하는 기능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POST는 컴퓨터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POST(Power On Self Test)가 실행된 후 컴퓨터 시스템이 켜집니다. 따라서 1번'ROM-BIOS에 있는 검사 프로그램으로 시스템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검사하는 기능이 있다'라는 내용은 맞는 내용입니다. 그러므로 운영체제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기능도 아니고, 다중부팅을 수행하는 기능도 아니며, 컴퓨터의 최소한의 장치만을 설정하여 부팅하는 기능은 더더욱 아니겠죠? ^^ [해설작성자 : 라임]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보안 센터]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Windows에서 컴퓨터의 중요한 최신 업데이트를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다.
2.
네트워크나 다른 컴퓨터에 액세스할 때 사용하는 여러 사용자 이름 및 암호를 저장된 사용자 이름 및 암호에 저장할 수 있다.
3.
바이러스와 기타 보안 위험으로부터 컴퓨터를 보호할 수 있다.
4.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하지 못하도록 막아 컴퓨터를 보호해 준다.
정답 : [
2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2번 설명은 사용자계정에 대한 설명입니다.
25.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바로 가기 메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바로 가기 메뉴는 객체를 선택한 후에 마우스의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메뉴이다.
2.
바로 가기 메뉴에 있는 각 메뉴 항목은 하위 메뉴 항목이 있는 경우도 있다.
3.
바로 가기 메뉴는 선택된 객체에 따라 메뉴 항목이 다르게 나타난다.
4.
선택된 항목의 바로 가기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바로 가기 키는 <Ctrl> + <Enter> 키 이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선택된 항목의 바로가기 메뉴를 표시하기위한 바로가기 키는 <Shift> + <F10> 이다. [해설작성자 : 해릴]
선택된 항목의 속성창을 표시하기 위한 바로가기 키는 <Alt> + <Enter> 이다.
Ctrl + Enter : 드라이브나 폴더가 선택된 경우 새로운 탐색기창으로 열림 [해설작성자: 언니우니]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폴더 옵션] 창에서 지정이 가능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폴더를 찾을 때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를 지정할 수 있다.
2.
폴더 창을 열 때 마우스를 한 번 클릭해서 열기를 지정할 수 있다.
3.
탐색 창에서 모든 폴더를 표시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4.
폴더 창의 모양과 사용된 글꼴을 지정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정답이 4번인 이유.... 1. 폴더를 찾을 때 같은 창에서 폴더 열기를 지정할 수 있다. => 현재 사용하는 폴더 옵션으로 가능.
2. 폴더 창을 열 때 마우스를 한 번 클릭해서 열기를 지정할 수 있다. => 폴더 옵션에 보시면 있어요.
3. 탐색 창에서 모든 폴더를 표시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 탐색창은 그 모든 폴더 즉 파일의 하위 폴더 까지 표시가 가능해요.
4. 폴더 창의 모양과 사용된 글꼴을 지정할 수 있다. => 폴더 창의 모양과 글꼴은 지정이 안돼요.
이러한 이유로 4번이 답.. [해설작성자 : 비운의 나그네]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파일 및 폴더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8년 10월)
1.
폴더 내에서 파일이나 하위 폴더의 이름을 바꿀 때는 항목을 선택한 후에 [파일] 메뉴의 [이름 바꾸기] 항목을 선택한다.
2.
파일이나 폴더가 복사 또는 이동할 때 잠시 기억되는 임시 기억 장소를 클립보드라고 한다.
3.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복사할 때에는 마우스 포인터의 오른쪽 아래에 [+] 표시가 나타난다.
4.
파일과 폴더는 계층적 구조로서 파일은 폴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파일과 폴더는 계층적 구조로서 폴더는 파일들을 포함할수 있다가 옳은 말입니다.(보기에서는 폴더와 파일의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2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시스템 백업 및 복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디스크 백업]은 디스크의 특정 내용을 하드디스크 또는 USB, CD, DVD 등에 보관하는 기능으로 복사하여 보관된다.
2.
[파일 백업]은 Windows 백업을 사용하여 컴퓨터를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의 데이터 파일에 대한 복사본을 만들 수 있다.
3.
현재 하드디스크의 라이브러리, 바탕 화면, 기본 Windows 폴더에 저장된 데이터 파일이 다른 디스크 드라이브로 백업된다.
4.
[파일 복원]을 누르면 언제나 C:\에 백업된 파일을 복원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백업 파일이 복원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제어판]에 있는 [프로그램 추가/제거] 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컴퓨터의 프로그램과 구성 요소를 관리하도록 도와주면, CD_ROM, 플로피 디스크, 네트워크에서 Microsoft Excel 또는 Word와 같은 프로그램을 추가할 수 있다.
2.
인터넷을 통해 Microsoft 업데이트 및 새로운 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3.
네트워킹 서비스와 같이 기본 설치에서 제외한 Windows 구성 요소를 추가하거나 제거하도록 도와준다.
4.
Windows용 프로그램의 경우와 동일하게 MS-DOS용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려고 할 경우에도 사용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MS-DOS용 프로그램은 윈도우에서 설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램 추가 제거에서 삭제할 수 없다 [작성해설자 : 아이컴퓨터회계학원]
30.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에서 [네트워크 연결] 창에 있는 탐색 창에서 네트워크 작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6년 11월)
1.
새 연결 만들기
2.
홈 네트워크 또는 소규모 네트워크 설정
3.
케이블 직접 연결
4.
Windows(인터넷 연결) 방화벽 설정 변경
정답 : [
3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Windows 98에 있던 케이블직접연결은 Windows XP로 넘어오면서 없어졌음 [해설작성자 : 서유진 컴퓨터]
31.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을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서비스(Service)는 네트워크에서 파일을 송수신하는 프로그램으로 방화벽 서비스를 포함한다.
2.
클라이언트(Client)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컴퓨터 및 파일을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3.
어댑터(Adapter)는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4.
프로토콜(Protocol)은 컴퓨터가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통신규약이다.
정답 : [
1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번 서비스는 다른컴퓨터에서 내컴퓨터에 있는 파일, 프린터등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표준 사용자 계정 사용자는 자녀 보호 설정을 할 수 있다.
2.
Guest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 암호로 보호된 폴더 및 파일 등을 액세스 할 수 있다.
3.
관리자 계정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을 작성, 변경, 삭제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4.
표준 사용자 계정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할 소프트 웨어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사용자 계정은 관리자, 표준, 게스트 로 나뉩니다. 관리자는 계정의 어머니같은 존재로 모든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설치 변경 삭제 등 관리자는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나머지 표준,게스트 계정은 자녀같은 위치에 있기에 실행, 즉 사용만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분명정답을눌럿는데 오답눌러져있다]
[사용자 계정] 여러 사용자가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시에 사용자마다 설정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게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계정에는 관리자 계정, 표준 사용자 계정이 있습니다. 관리자 계정 : PC를 완전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모든 설정을 변경하고 PC에 저장된 모든 파일 및 프로그램(앱)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 실제 컴퓨터의 관리자로 모든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표준 사용자 계정 :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나 이 pc의 보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로 자신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나 설치된 앱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프린터의 추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이용하여 새로운 프린터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설치할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할 수 있다.
2.
하나의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의 수는 10대까지 가능하다.
3.
추가할 프린터는 연결 상태에 따라 로컬 프린터와 네트워크 프린터로 구분된다.
4.
[프린터 및 팩스] 창에서 [파일]-[프린터 추가] 메뉴를 선택하면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의 수는 제한이 없습니다. 단, 기본프린터는 1대만 가능합니다.
34.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탐색기]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폴더 영역과 파일 영역을 구분하는 세로 선을 마우스로 끌어놓기를 하면 각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2.
폴더 영역에서 폴더를 선택한 후에 숫자 키패드의 [*]키를 누르면 선택된 폴더의 모든 하위 폴더가 표시된다.
3.
폴더 영역에서 [+] 표시가 있는 폴더는 하위 폴더까지 표시된 상태를 의미한다.
4.
키보드의 방향키[←]를 누르면 선택한 폴더의 하위 폴더가 보이면 닫고, 하위 폴더가 닫힌 상태이면 상위 폴더를 선택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폴더 영역에서 [+] 표시가 있는 폴더는 하위 폴더가 있으며 아직 표시 되지 않았음을 의미 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폴더 옵션] 창에서 설정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키보드의 단축키로 폴더를 열기
2.
탐색 창에서 모든 폴더를 표시하도록 하기
3.
마우스를 한 번 클릭해서 폴더를 열기
4.
폴더를 찾아볼 때 새 창에서 폴더를 열기
정답 : [
1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폴더 옵션] 창에는 [일반],[보기],[검색] 탭 메뉴가 있습니다. 2,3,4번은 모두 [일반]탭에 있는 메뉴입니다. 1번 보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미래컴퓨터아카데미]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창(Window)의 상단에 있는 메뉴 표시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메뉴 뒤의 ▶ 표시 : 바로 실행시킬 수 있는 메뉴이다.
2.
메뉴 앞의 √ 표시 : 그룹화된 여러 개의 메뉴중에서 한 가지 메뉴만 선택할 수 있다.
3.
메뉴 뒤의 ... 표시 : 대화상자가 표시되는 메뉴이다.
4.
메뉴 앞의 ● 표시 : 동시에 여러 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메뉴가 선택되어 적용된 상태다.
정답 : [
3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번은 하위항목을 볼 수 있는거고 2번4번은 설명이 바뀌었습니다. 고로 정답은 3번! [해설작성자 : 모두홧팅]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제어판]에 있는 [디스플레이] 창에서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사용하는 모니터를 기반으로 화면 해상도, 방향, 고급설정 등 최상의 디스플레이 설정을 할 수 있는 창을 열 수 있다.
2.
화면의 텍스트, 아이콘 및 기타 항목의 크기 조절을 위해 작게, 중간, 크게의 3가지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3.
모니터에서 색이 정확하게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 색 보정을 할 수 있는 창을 열 수 있다.
4.
비디오 카드/드라이버 정보를 확인한 후 드라이버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하드웨어의 드라이버 정보를 확인하고, 드라이버를 다시 설정할 수 있는 곳은 장치관리자입니다. [해설작성자 : 세종 송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로컬 영역 연결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장치의 어댑터나 동작 상태, 드라이버 등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2.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의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연결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3.
클라이언트나 서비스, 프로토콜 등의 네트워크 기능 유형을 선택하고 추가 설치를 할 수 있다.
4.
네트워크에 인터넷 연결 공유된 각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파일이나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프린트할 수 있는 것은 로컬영역 연결 속성이 아닌 프린터 속성에서 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오늘 남양주로 시험보러가는 사람]
39.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TCP/IP 속성 창에서 서브넷 마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DHCP를 이용한 유동 IP주소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
2.
IP주소와 결합하여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IPv4 주소 체계에서는 256비트의 주소로 구성된다.
4.
네트워크 사이에 IP 패킷을 라우팅할 때 사용되는 주소이다.
정답 : [
2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서브넷 마스크란 IP주소와 결합하여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별하기 위한 32비트 주소입니다. 해당 컴퓨터가 속한 네트워크 세그먼트 식별에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서브넷마스크 엄청 잘나옴]
1. DHCP 가 아니라 TCP 3. 32비트의 주소 4. 게이트웨이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18-2차여경합격]
40.
한글 Windows XP에서 프린터로 문서를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프린터의 인쇄 관리자 창에서는 인쇄 대기 중인 문서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쇄를 취소할 수도 있다.
2.
문서를 인쇄하는 동안 작업 표시줄에 프린터 아이콘이 표시되며, 인쇄가 끝나면 이 아이콘이 없어진다.
3.
인쇄 중인 프린터의 인쇄 관리자 창을 닫으면 문서들의 인쇄가 모두 취소된다.
4.
네트워크 프린터를 설치하고 나면 다른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내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처럼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3번은 창만 닫힐 뿐이지 인쇄가 취소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를 취소하고자 할때는 프린터 메뉴에서 모든 문서 취소를 클릭해야 한다.
41.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6년 03월)
1.
BCD코드
2.
ASCII코드
3.
EBCDIC코드
4.
GRAY코드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ASCII코드 입니다. 획수만으로도 풀어내실 수 있습니다. 또한 1bit = 2^n 개의 자료를 표현합니다. 따라서 7bit = 2^7 개(128개)를 표현합니다. (BCD = 6bit, EBCDIC = 8bit) ※ GRAY 코드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A/D변환)에 사용되는 코드 입니다.(1bit씩 변경되므로 속도가 빠르기에 사용됩니다.) 변환시에는 XOR(Exclusive-OR : 배타적논리합)회로를 사용합니다 [해설작성자 : windcom tistory [HARU_T]]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표준국에서 개발되어 7bit 문자 체제로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3개의 Zone bit와 4개의 Digit Bit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7bit 문자 코드로 128가지 문자 표현이 가능하여 영문 대.소 문자, 숫자, 문장 부호, 특수 제어 문자를 나타냅니다. 패리티 비트가 포함되어 8bit로 사용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2.
다음에서 설명하는 용어로 적합한 것은?(2014년 06월)
1.
BT
2.
VAN
3.
USN
4.
URI
정답 : [
3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BT : 뜻이 여러가지입니다. 비트토렌트, 생명공학, 블루투스 등의 뜻을 가집니다. VAN : 부가가치통신망 URI : URL(자원의 주소?)와 유사한 뜻으로 받아 들이시면 됩니다. 일부 혼용하기도 합니다.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복잡하므로 생략합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3.
디지털 컴퓨터(Digital Computer)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2012년 09월)
1.
2진수를 사용한다.
2.
숫자, 문자 등으로 결과를 출력한다.
3.
연속적인 양의 표현이 불가능하다.
4.
기억 능력과 프로그램이 필요없다.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디지털 컴퓨터는 기억 능력과 프로그램이 필요 합니다.
44.
다음은 컴퓨터의 명령어 처리 상태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9년 03월)
1.
인출 상태
2.
간접 상태
3.
실행 상태
4.
인터럽트 상태
정답 : [
2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인출: 주기억에서 중앙처리장치로 읽은 후 명령어 해독. 간접: 간접주소인 경우 유효주소를 얻기위해 기억장치에 다시 접근함. 실행: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읽어다가 연산 동작을 수행함. 인터럽트: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실행과정 계속 불가능시 응급조치 후 실행하도록 cpu상태 보관함. [해설작성자 : 조팀장]
45.
다음 중 네트워크 프로토콜과 관련하여 OSI 7계층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물리 계층은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등 기계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을 정의한다.
2.
데이터 링크 계층은 사용자의 응용 프로그램이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전송 계층은 종단 시스템(End-to-End) 간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4.
네트워크 계층은 개방 시스템들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 하며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중계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보기 2번의 내용은 응용계층에 대한 설명입니다. 데이터링크 계층 1.두 개의 인접한 개방 시스템들 간에 신뢰성있고 효율적인 정보 전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2.흐름 제어, 프레임 동기화, 오류 제어, 순서 제어 3.링크의 확립, 유지, 단절의 수단을 제공한다. [해설작성자 : 왕큰호랑이네 김꼬미]
46.
다음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저작도구 중 웹 페이지 저작도구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5월)
1.
Finale
2.
FrontPage
3.
Dreamweaver
4.
나모 웹에디터
정답 : [
1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Finale(피날레)는 음악 악보 프로그램입니다. [해설작성자 : 911컴퓨터학원:시골두부]
47.
다음 중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만 짝지어진 것은?(2019년 08월)
1.
C++, C#, JAVA
2.
C, COBOL, BASIC
3.
FORTRAN, C++, XML
4.
JAVA, C, XML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JAVA - C++언어를 기반으로 개발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웹 환경에서 분산작업 가능. [해설작성자 : 다른해설부탁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디자인은 개체로, 내부 설계는 코딩으로 - JAVA, 비주얼 언어, C++, etc.
48.
다음 중 TCP/IP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토콜이 아닌것은?(2019년 03월)
1.
FTP
2.
TELNET
3.
HTTP
4.
CPP
정답 : [
4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CPP는 이 문제하고 아무 관련이 없습니다. TCP/IP 상에서 운용되는 응용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텔넷(TELNET) : 원격 접속 프로토콜입니다. (원격지에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HTTP : 인터넷 상에서 하이퍼텍스트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해설작성자 : 자격증 따기]
CPP는 Card Punching Printer의 약자로 카드 천공 인쇄 장치입니다. TCP/IP와는 관련 없는 내용입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9.
다음 중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정의한 국제표준규격 통신 프로토콜인 OSI 7계층 모델에서 네트워크 종단사이에 신뢰성 있고 투명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은?(2012년 06월)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정답 : [
4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국제표준규격에서 7계층 모델에서 전송을 담당하고 있다고 하엿으니 전송 계층이다 [해설작성자 : 형님클라스봤냐]
50.
다음에서 설명하는 오디오 데이터 파일 형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9년 08월)
1.
WAVE
2.
RA/RM
3.
MP3
4.
MIDI
정답 : [
4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영어: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줄여서 MIDI(미디, /ˈmɪdi/))는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전자 악기끼리 디지털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해 각 신호를 규칙화한 일종의 규약입니다. 악기와 컴퓨터, 악기와 악기끼리 주고 받을 수 있는 언어와 통로의 신호 체계 표준입니다. 음성이나 효과음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연주 정보만 저장하기에 용량이 작습니다. 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의 특성을 기호로 정의하여 이의 내용을 정의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1.
다음 중 RISC 프로세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10월)
1.
하버드 구조(Harvard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설계된 방식이다.
2.
가변길이 명령어 형식을 사용한다.
3.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명령어 세트를 가지고 있다.
4.
단일 사이클에 한 개의 명령어를 수행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RISC는 명령어의 종류가 적고 명령어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으며 CISC는 명령어의 종류가 많으며 명령어의 길이가 서로 다르므로 가변적입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52.
다음 중 세션으로 주고받는 자료를 암호화 하고 전자 사인을 해서 주고받는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WWW 보안 프로토콜은 어느 것인가?(2011년 09월)
1.
PGP
2.
RSA
3.
SSL
4.
Smart Card
정답 : [
3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SSL : SSL(Secure Socket Layer)은 넷스케이프사에서 전자상거래 등의 보안을 위해 개발하였다. 이후 TLS(Transport Layer Security)라는 이름으로 표준화되었다. SSL은 특히 네트워크 레이어의 암호화 방식이기 때문에 HTTP 뿐만 아니라 NNTP, FTP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본적으로 Authentication, Encryption, Integrity를 보장한다.
53.
다음 중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을 치료하거나 예방해 주는 백신 프로그램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09년 10월)
1.
RSA
2.
V3
3.
노턴 안티바이러스
4.
바이로봇
정답 : [
1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RSA : 공개키 암호화 방식입니다. 2. V3 : 안철수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만든 국산 백신입니다. 3. 노턴 안티바이러스 : 미국의 노턴사에서 만든 백신입니다. 4. 바이로봇 : 하우리라는 회사에서 만든 국산 백신입니다.
54.
라운드로빈(Round Robin) 스케줄링(Scheduling) 기법에서 시간 할당량(Time Slice, Time Quantum)을 아주 크게 하면 다음 중 어느 스케줄링 기법과 동일하게 되는가?(2007년 10월)
1.
LIFO(Last In First Out)
2.
SRT(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3.
FCFS(First Come First Served)
4.
SJF(Shortest Job First)
정답 : [
3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1. 후입선출 2. SRT(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짧은 시간 순서대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남은 처리 시간이 더 짧은 프로세스가 Ready 큐에 들어오면 그 프로세스가 바로 선점됨(선점 스케줄링) 3. 선입선출 4.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큐 안에 있는 프로세스 중 수행시간이 짧은 것을 먼저 수행. 평균 대기 시간을 감소시킨다.(비선점 스케줄링)
스케줄링 : 프로세스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스케줄러로부터 cpu를 할당받는 것 라운드로빈(Round-Robin)스케줄링: 각 프로세스는 같은 크기의 CPU 시간을 할당 받고 선입선출에 의해 행된다. 할당시간이 너무 크면 선입선출과 다를 바가 없어지고, 너무 작으면 오버헤드가 너무 커진다. [해설작성자 : 하늘]
55.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바이러스는 외부로부터 감염되므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에는 최신 버전의 백신을 사용하여 점검한 후에 사용한다.
2.
중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정기적으로 백업을 해야 한다.
3.
최신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점검한다.
4.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자신의 모든 파일은 가급적 공유 폴더를 이용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유 폴더를 이용하면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됩니다. [해설작성자 : 야매로]
5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Microsoft Outlook] 창에서 [작업 관리]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작업은 한번 또는 반복적으로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2.
작업 시작 날짜, 기한, 상태, 우선순위, 완료율, 미리알림 등을 지정할 수 있다.
3.
다른 사람에게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4.
해당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 목록에서 완전히 삭제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삭제되지 않고 중앙에 밑줄이 그어집니다. [해설작성자 : 방학떄 놀지말고 공뷰하자]
57.
다음 중 아웃룩(Outlook)에서 메일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수신된 메일은 기본적으로 [받은 편지함] 폴더에 저장된다.
2.
[지운 편지함]에 있는 메일을 삭제하면 [임시 보관함]으로 이동한다.
3.
[검색 폴더]는 특정 검색 조건에 일치하는 모든 전자 메일 항목을 보여 주는 가상 폴더이다.
4.
[받은 편지함]에 있는 메일을 삭제하면 [지운 편지함]으로 이동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지운 편지함에 있는 메일은 이미 지워져있는 상태이기에 임시보관함으로 이동되지 않고 목록에서 제외됩니다. [해설작성자 : 초용자]
지운편지함에서 또 지우면 완전삭제 됩니다. [해설작성자 : 네이버 블로그 완구의 왕국]
[아웃룩 메일] 메일들을 보낸 사람, 제목, 받은 날짜 등으로 구별되어 표시가 됩니다. 보낸 편지함, 받은 편지함, 지운 편지함, 정크 메일 등으로 관리가 됩니다. 메일을 삭제히 지운 편지함에 보관되며 지운 편지함에서 삭제시 영구 제거 됩니다. 정크 메일의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필터된 메일로 삭제시 지운 편지함으로 저장되지 않고 즉시 제거 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8.
다음 중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2007년 10월)
1.
처리능력(Throughput)
2.
응답시간(Turn-around Time)
3.
사용가능도(Availability)
4.
회전대기시간(Latency Time)
정답 : [
4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운영체제의 성능평가 요소는 응답시간, 처리능력, 신뢰도, 사용가능도 이 네가지입니다
59.
다음 중 전자우편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전달: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고 싶은 경우 받은 메일을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기능이다.
2.
회신: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하되, 발송자는 물론 참조인 모두에게 전송하는 기능이다.
3.
첨부: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전자우편에 첨부하여 보내는 기능이다.
4.
서명: 메시지를 보낸 사람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해 메시지 끝에 붙이는 표식으로 이름, 직위, 회사이름, 주소 등을 표시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전체회신에 대한 설명 [해설작성자 : 제발 붙자 코로나는 떨어지자]
회신 : 받은 메일에 대하여 답장을 작성하여, 발송자에게 다시 전송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제발합격]
60.
다음 중 제어장치에서 사용되는 레지스터로만 묶인 것은?(2015년 06월)
1.
가산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2.
부호기, 명령 해독기, 데이터 레지스터
3.
명령 해독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4.
프로그램 카운터, 상태 레지스터, 누산기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누산기 보수기 가산기는 연산장치 이기 때문에 제어장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세단어가 들어간 문제들은 제외하시고 푸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워드 좀 따자......]
그냥 외울 수 밖에 없는것 같아요... 제어장치 : 프로그램 카운터 - 명령어 번지를 기억 명령 레지스터 - 명령어 내용을 기억 명령 해독기 - 명렁어를 해독 부호기 - 제어 신호를 생성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 데이터가 잠시 기억되는 레지스터 연산장치 : 가산기 - 덧셈 수행 회로 보수기 - 보수 변환 회로 누산기 - 연산 결과 기억 인덱스 레지스터 - 주소 변경시 사용하는 레지스터 데이터 레지스터 - 연산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기억 상태 레지스터 - 컴퓨터 상태값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해설작성자 : 119구급대, 하루에 몇 번 출동할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②
③
①
③
②
①
②
①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④
②
④
②
③
①
③
①
①
②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③
④
①
②
④
④
④
④
④
③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①
③
②
③
①
③
④
④
②
③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②
③
④
②
②
①
①
④
④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②
③
①
③
④
④
②
④
②
③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890714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워드프로세서, 워드(구 1급)필기, 워드1급,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