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2274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진로상담


1. 다음과 관련된 진로상담의 목표는?(2025년 09월)

   

     1.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 증진
     2.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3. 진로정보 탐색 및 활용 능력 함양
     4.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 증진
     5.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 형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진로상담이론과 주요 개념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나. 마크 사비카스의 구성주의 진로발달이론
- 진로발달이 내적 성숙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환경에 적응하는 힘이라는 점을 강조
- 진로발달이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
- 진로검사보다는 진로체험 활동이 좋다
다. 베츠와 해켓은 여성의 진로발달을 설명하기 위해 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적용. 인지적 측면 강조
라. 하렌 진로의사결정이론
- 진로선택은 결과에 초점, 진로의사결정은 과정에 초점을 두는 개념
- 진로결정이란 하나의 사건이라기보다는 선택에 대한 확신의 정도(발달적 미결정자 / 우유부단한 사람은 다르다)
- 합리적 유형(논리적 의사결정 / 시간이 많이 걸린다), 직관적 유형(빠른 선택, 책임감 / 단기목표에 적합), 의존적 유형(수동적, 순종적인데 능력있으면 굿 / 독립하지 못하고 남탓하기 쉬움)
- 진로전환과는 상관 없음.
[해설작성자 : 기수]

3.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2020년 10월)

   

     1. ㄱ: 겔라트(H. Gelatt), ㄴ: 순환적 의사결정
     2. ㄱ: 투크만(B. Tuckman), ㄴ: 상호관계
     3. ㄱ: 카츠(E. Katz), ㄴ: 가치결정
     4. ㄱ: 수퍼(D. Super), ㄴ: 진로적응
     5. ㄱ: 갓프레드슨(L. Gottfredson), ㄴ: 절충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성 역할, 사회적 가치라는 말이 나오면 고트프레드슨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을 떠올려야 한다.
고트프레드슨은 자신의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직업에 대해 포부를 형성한다고 할 정도로 자아개념을 중요시했다.
직업선택과정은 제한과 타협을 통해 직업포부가 변화하는 과정이다. 지능, 성, 사회적배경, 경제적 배경이 영향을 미친다.
[해설작성자 : 기수]

4. 수퍼(D. Super)의 진로발달 아치웨이 모형에서 자기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0월)
     1. 가족
     2. 문화
     3. 학교
     4. 또래집단
     5. 노동시장

     정답 : []
     정답률 : 24%

5. 하렌(V. Harren)의 의사결정 과정과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인식단계에서는 개인이 심리적 불균형을 느끼고 어떤 결정을 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한다.
     2. 계획단계에서는 자신의 선택에 대해 깊이 탐색하고 다각도로 검토하여 선택의 장단점을 명료화한다.
     3. 합리적 유형은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해 나가며,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을 진다.
     4. 직관적 유형은 의사결정의 기초로 상상을 사용하고, 현재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며, 정서적 감각을 사용한다.
     5. 의존적 유형은 의사결정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을 부정하고 그 책임을 외부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발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개인은 특정 시기에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애역할을 수행한다.
     2. 진로성숙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자아개념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3. 하비거스트(R. Havighurst)의 발달과업 개념을 차용하여 진로의 의미를 한 개인의 생애과정으로 설명한다.
     4. 진로아치모형은 자녀, 학생, 직업인, 시민 등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5. 진로성숙도는 각 단계의 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준비도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4. 진로아치모형은 이론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면서 자아개념의 형성의 여러 요인을 설명하고,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자아개념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즉, 진로아치모형은 '자아개념'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자녀, 학생, 직업인, 시민은 생애역할 이론이다(전생애에 걸쳐 수행하게 되는 9가지 주요한 역할)
[해설작성자 : 기수]

7.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무지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의 제한ㆍ타협이론에서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진로포부 발달 단계는?(2022년 10월)

   

     1. 규모와 힘 지향 단계
     2. 성역할 지향 단계
     3. 사회적 가치 지향 단계
     4. 내적이며 고유한 자기 경향 단계
     5. 자기조절 단계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갓프레드슨의 제한-타협이론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모든 면을 만족시킬 진로대안을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최고가 아닌 최선의 선택을 하는 타협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상담은 타협의 불가피성을 확인, 타협을 촉진, 타협에 대한 적응을 준비하는 단계를 밟는다"
제한 이론 : 서열 획득 - 성 역할 - 사회적 가치 획 - 내적 자아 확립단계(흥미가 대표적 RIASEC)
타협 이론 : 자신과 가장 밀접한 특성을 가장 늦게까지 포기하지 못함. 타협에 대한 적응도가 중요하다. 진로상담도 여기에 목적
요약 : 진로 의사결정과정이란 어떤 것을 선택하기 위해 어떤 것을 포기하는 과정임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기수]

9. 미러바일(R. Mirabile)의 퇴직자를 위한 카운슬링모델에서 다음이 설명하는 단계는?(2022년 10월)

   

     1. 1단계 – 평안(comfort)
     2. 1단계 – 방향(direction)
     3. 2단계 – 성찰(reflection)
     4. 2단계 – 명확화(clarification)
     5. 3단계 - 관점 전환(perspective shift)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Mirabile(1985)는 개인이 퇴직을 거치며 겪게 되는 심리적 변화를
위안 > 성찰 > 명확화 > 방향설정 > 관점전환 단계로 구분했다.
위안(안정) : 퇴직으로 인한 감정적 혼란을 극복하자
성찰 : 자기 점검하고 구직활동에 집중하자
명확화 : 새롭게 개척해야할 분야를 명확히하자
방향설정 : 설정된 목표에 맞는 새로운 직장을 탐색하자
관점전환 : 퇴직을 새로운 능력 창출과 성장의 기회로 인식하자
[해설작성자 : 기수]

10. 공공기관과 해당 기관에서 제공하는 진로정보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한국노동연구원: 매월고용동향분석, 국내노동동향, 노동시장전망
     2. 한국고용정보원: 지역고용동향브리프, 한국직업전망
     3.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직업교육훈련지표, 진학정보, 자격정보
     4.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한국표준직업분류
     5. 고용노동부: 구인구직통계, 고용노동통계연감

     정답 : []
     정답률 : 10%

11. 피터슨, 샘슨과 리어든(Peterson, Sampson & Reardon)의 인지정보처리이론의 기본 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진로선택은 인지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 결과이다.
     2. 진로문제의 해결은 고도의 기억력을 필요로 하는 과제이다.
     3. 진로발달은 지식 구조의 계속적인 성장과 변화를 내포한다.
     4. 진로정체감은 자기인식에 달려있다.
     5. 진로성숙도는 진로문제를 해결하는 개인의 능력과 관련된다.

     정답 : []
     정답률 : 47%

12. 미첼 등(T. Mitchell et al.)이 제시한 우연이론의 과제접근 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10월)
     1. 객관성
     2. 호기심
     3. 유연성
     4. 낙관성
     5. 위험감수성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우연이론은 현대사회에서의 예측하기 어려운 직업의 세계를 강조하면서 진로발달에서 우연의 역할과 우연히 찾아오는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말한다. 개인은 지속적인 준비와 반응을 통해 우연적 기회를 탐색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5가지 과제접근기술 습득이 필요하다.

과제접근 기술 5가지 : 호기심, 인내, 유연성, 낙관성, 위험감수행동
이러한 과제접근기술은 진로 뿐만아니라 개인이 세상에 갖는 지각에도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13. 진로상담의 최근 동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사회학습진로이론은 진로개발과정에서 우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사회인지진로이론은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맥락을 중요시하는 관점을 수용하고 있다.
     3. 구성주의진로이론은 긴즈버그(E. Ginzberg)의 아이디어를 현대적 시각으로 통합하고 있다.
     4. 인지정보처리이론은 의사소통, 분석, 종합, 평가, 실행의 5단계로 진로의사결정을 설명한다.
     5. 구성주의진로이론에서는 내담자의 진로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진로유형면접을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구성주의진로이론은 수퍼(Super)의 아이디어를 현대적 시각으로 통합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사회학습진로이론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한 이론이다. 크롬볼츠의 이론이다. / 호기심, 인내심, 융통성, 낙관성, 위험감수 = 우연을 활용하라
2. 사회인지진로이론 역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했다. SCCT는 여성의 진로발달 선택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 진로장벽, 근접맥락, 배경맥락
3. 구성주의진로이론은 수퍼의 초기 진로발달 이론에서 출발함.
[해설작성자 : 기수]

14. 굿맨, 슐로스버그와 앤더슨(Goodman, Schlossberg & Anderson)이 제시한 개인의 진로 전환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요소(4S)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자아(Self)
     2. 지원(Support)
     3. 상황(Situation)
     4. 제도(System)
     5. 전략(Strategie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다위스와 롭퀴스트(Dawis &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서 분류한 적응양식 중 다음 사례에서 민수가 보이고 있는 것은?(2017년 09월)

    

     1. 반응성(reactiveness)
     2. 적극성(activeness)
     3. 회피성(avoidance)
     4. 유연성(flexibility)
     5. 민첩성(celerity)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융통성 - 부조화를 참아내는 정도
끈기 - 맞지 않는 환경에서 견디기
적극성 - 개인과 환경을 조화롭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정도
반응성 - 작업환경이 변화할 때 적응하는 능력
[해설작성자 : 기수]

16. 진로상담에서 사용하는 검사의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자기효능감척도(SES)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진로발달검사(CDI)는 진로계획, 진로탐색, 의사결정, 일의 세계에 대한 지식,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지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진로결정척도(CDS)는 확신척도와 미결정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4. 진로성숙도검사(CMI)는 진로성숙태도, 진로성숙능력, 진로성숙행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진로전환검사(CTI)는 수행불안, 외적갈등, 의사결정 혼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 진로사고검사는 진로결정을 어렵게하는 부정적 진로사고를 측정하는 검사로, 부정적 사고를 긍정적 사고로 바꿀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 수행불안, 외적갈등, 의사결정혼란이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있다. 공교롭게도 이것도 이름이 CTI다.
진로전환검사(CTI)는 해프너(M. Heppner)가 만든 검사. Career Transition Inventory.
진로사고검사(CTI)는 Career Thought inventory이다.
청소년상담사 2급은 필기에서 비슷한 용어를 자꾸 바꿔쓰고 있는데, 이니셜까지 같으니 헷갈리기 쉽다.
[해설작성자 : 기수]

17. 진로상담에서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적성분류검사(DAT)에는 일반적성검사와 특수적성검사가 있다.
     2. 스트롱흥미검사(SII)는 특정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 비슷한 흥미를 갖고 있다는 전제로 개발되었다.
     3. 쿠더(G. Kuder) 흥미검사(KPR)는 직업, 학교, 여가의 세 가지 영역에서의 활동 중 가장 잘하는 것과 가장 싫어하는 것을 선택하게 하여 적성 영역을 결정하는 검사이다.
     4. 미네소타 직업가치 검사(MIQ)는 직업과 관련된 가치체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5. 진로성숙도검사(CMI)는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피터슨(G. Peterson) 등의 진로정보처리이론(Career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피라미드와 커사비(CASVE)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피라미드는 자기지식, 초인지의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3. 의사소통은 자기 내부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요구가 있을 때 시작된다.
     4. 커사비(CASVE)과정은 의사소통, 분석, 종합, 평가, 실행으로 이루어진다.
     5. 초인지는 개인의 정서나 생각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피라미드는 정보영역(자기정보, 직업정보), 의사결정기술영역, 초인지 영역으로 나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집단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진로정보의 평가 기준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ㄹ
     3.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28%

21. 다음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는?(2016년 10월)

    

     1. 진로미결정척도(Career Decision Difficulties Questionnaire)
     2. 진로결정척도(Career Decision Scale)
     3. 직업결정척도(Vocational Decision Scale)
     4. 진로상황검사(My Vocational Situation)
     5. 진로의사결정평가(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생애진로사정(Life Career Assessment: LC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기초하였다.
     2. 내담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화된 면접기법이다.
     3. 상담자와 내담자의 긍정적인 라포 형성에 도움을 준다.
     4. 진로사정, 일상적인 하루, 강점과 장애, 요약 등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세상과 개인의 일, 사회(사회적 관계), 성(우정)의 생활영역을 서로 분리해서 다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문화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다문화에 대한 사회인식을 고려한다.
     2. 다문화에 대한 상담자의 지식과 인식이 상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내담자의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4. 내담자가 상담자의 문화를 따르도록 만든다.
     5. 내담자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상담이론과 기법을 섣불리 적용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24. 청소년 집단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의 형태로 진로상담이 진행됨을 의미한다.
     2. 집단의 형태로 진행되어 자기이해의 기회가 없다.
     3.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직업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4. 자신의 직업적 적합성을 객관적이고 현실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5. 자신의 진로계획을 검토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여성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성불평등적 요소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2. 성역할 고정관념의 내면화 정도를 고려하지 않는다.
     3. 직업의식을 강화하고 가정과 직장 간의 양립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4. 경력단절 가능성에 대비하여 장기적인 진로설계를 고려한다.
     5. 취업 장애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도록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집단상담


26. 교류분석 집단상담의 생활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생애 초기에 결정된다.
     2. 생활자세는 교류분석으로 변화 가능하다.
     3. 자신에 대해 느끼고, 타인과 관계 맺는 방식을 결정한다.
     4. 자기 긍정-타인 긍정 자세는 패배자는 없고, 승리자만 있다.
     5. 자기 긍정-타인 부정 자세는 타인과 비교해서 자신이 무기력하다고 느끼는 우울한 사람의 자세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5. 자기 부정 - 타인 부정 자세는 타인과 비교해서 자신이 무력하다고 느끼는 우울한 사람의 자세이다.
[해설작성자 : 기수]

27. 학교 장면의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전문적 자질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현실치료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현실치료의 인간의 욕구 5가지 : 소, 힘, 즐, 자 생
                                                     사랑과 소속, 힘과 성취, 즐거움(재미), 자유, 생존
[해설작성자 : 청풍]

29.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거나 설명을 통해 돕는 것을 집단상담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제시한 참만남집단 모형은?(2016년 10월)
     1. 스톨러(Stoller) 모형
     2. 얄롬(Yalom) 모형
     3. 하르트만(Hartman) 모형
     4. 슈츠(Schutz) 모형
     5. 로저스(Rogers) 모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다음의 기법이나 개념이 강조되는 집단상담 접근은?(2016년 10월)

    

     1. 게슈탈트 집단상담
     2. 교류분석 집단상담
     3. 개인심리 집단상담
     4. 심리극적 집단상담
     5. 해결중심 집단상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교류분석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집단원과 집단상담자는 계약적 합의 하에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2. 집단원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자신의 각본과 게임을 탐색하게 한다.
     3. 스트로크에 의한 삶의 각본과 초기 결정을 발견하도록 조력한다.
     4. 집단원이 연출한 게임으로 인해 부정적 감정이 만성화되는 과정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5. 집단원들이 인생태도와 라켓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관계방식을 실험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다음 사례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법은?(2021년 10월)

    

     1. 재진술
     2. 차단
     3. 요약
     4. 직면
     5. 정보제공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직면 : 내담자의 말 또는 행동에서 모순이나 불일치를 지적하여 내담자가 스스로를 통찰하고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기법
관심이 없다고 말하면서도 걱정스러운 표정과 싸움의 빈도, 날짜를 알고 있다.
[해설작성자 : 기수]

3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집단상담의 이론은?(2023년 09월)

    

     1. 실존주의
     2. 행동주의
     3. 인간중심
     4. 게슈탈트
     5. 정신분석

     정답 : []
     정답률 : 67%

34. 코리(G. Corey)의 집단상담 초기단계에서 집단상담자의 효과적인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당신에게 어떤 집단원이 그런 생각을 할 것 같은지 마음 속으로 탐색해 보시겠어요?
     2. 혹시 당신이 이 집단에서 누구를 가장 의식하고 있는지 알아차려 보시겠어요?
     3. 혹시 이 집단에서 A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분이 있나요?
     4. 어떤 집단원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지, 그 집단원에 대한 느낌을 그 분에게 직접 표현해 보실까요?
     5. 네! 그런 생각이 일어날 때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네요. 그 느낌에 한번 머물러 보시겠어요?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치료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심각한 정도의 정서ㆍ행동문제 또는 정신장애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
     2. 치료집단을 이끄는 사람을 집단치료자라고 한다.
     3. 집단역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신병리적 진단ㆍ평가를 활용하지 않는다.
     4. 공황장애 치료를 원하는 사람이 참가할 수 있다.
     5. 치료기간이 최대 수년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으로 진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5. 대부분의 치료집단에서는 무의식적 요소, 과거사, 성격의 재구성 등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새로운 사회기술을 연습하고, 새롭게 습득한 지식과 행동을 적용한다. 이 때문에 치료는 장기적으로 진행된다
[해설작성자 : 기수]

36. 다음의 집단상담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에서 모두 자주 사용한다.
     2. 집단원 간의 차이점을 드러낼 때 사용한다.
     3. 집단의 상호작용과 응집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4. 모호하거나 모순된 진술을 드러내는 직면 효과가 있다.
     5. 현상이나 문제에 대한 상담자의 관점이나 의견을 드러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교류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구조분석은 세 가지 자아상태를 검토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2. 교차적 의사교류는 두 가지 내용이 동시에 전달되는 경우로 바깥으로 직접 나타나는 자아와 실제로 기능하는 심리적 자아가 다른 것을 말한다.
     3. 게임이란 숨겨져 있지만 이득을 얻도록 계획된 이면적 교류의 연속이다.
     4. 긍정적인 삶의 자세 한 가지와 부정적인 삶의 자세 세 가지가 있다.
     5. 개인이 시간을 구조화하는 여섯 가지 방법은 철회, 의례적 행동, 활동, 여흥, 게임, 친밀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두 가지 내용이 동시에 전달되는 경우로 바깥으로 직접 나타나는 자아와 실제로 기능하는 심리적 자아가 다른 것을 이면적 교류(암묵적 교류)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코코]

38.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에 근거한 집단상담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소크라테스식 질문법
     2. 논박하기
     3. 수치공격 연습
     4. 상상하기
     5. 마술가게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 마술가계는 심리극(사이코드라마)의 상담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코코]

39. 집단상담자에게 전이 반응을 보이는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대처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원이 그 반응으로 어떤 잠재적 이익을 얻는지 탐색한다.
     2.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 자신의 반응을 검토해본다.
     3. 집단원이 드러내는 감정이 집단 전체의 의견인지 확인해 본다.
     4. 긍정적인 전이 감정은 집단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다루지 않는다.
     5. 집단원의 전이 감정을 연상시키는 사람을 집단에서 찾아보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개인상담과 비교할 때 집단상담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여러 사람이 상호작용하므로 개인의 문제가 깊이 있게 분석되기 더 쉽다.
     2. 현실적이고 실제생활에 더 근접한 사회장면을 제공한다.
     3.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수용의 폭이 넓어지는데 더 용이하다.
     4.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지지와 보편성을 획득하기가 더 쉽다.
     5. 소속감이나 지원체계 및 동료의식을 발전시키기가 더 쉽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침묵하는 집단원(A)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작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42. 행동주의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의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집단상담자와 집단원이 동의하여 설정한다.
     2. 측정가능하고 객관적 관찰이 가능해야 한다.
     3. 초기에 설정된 목표는 끝까지 유지되어야 한다.
     4. 개개인의 문제에 대해 목표를 세우고 개별적인 개입이 이루어진다.
     5. 부적응 행동을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행동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심리극 집단상담에서 주로 활용되는 기법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말이 아닌 구체적 행동으로 보여주는 실연
     2. 표현되지 못한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이중자아
     3. 자신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울기법
     4. 대립적인 두 자아 간의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빈의자 기법
     5. 자신이 원하는 감정은 자신이 만들어낸 것임을 자각하도록 하는 단추누르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청소년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9%

45. 두 명의 상담자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7%

46. 집단상담의 작업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자발적 자기개방이 증가한다.
     2. 집단원의 불안이 감소하면서 비방어적으로 상호작용하므로 갈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3. 지금-여기에 초점을 두고 원활하게 소통이 이루어진다.
     4. 집단 신뢰와 결속력이 높아져 실험적 행동도 시도한다.
     5. 상담자에 대한 전이로 인해 집단원의 도전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종결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자 피드백으로 유용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ㄱ. 막연한 피드백
ㄴ. 비현실적 보장의 피드백
ㄷ. 내담자의 피드백에 대한 부정
[해설작성자 : 청풍]

48. 실존주의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청소년 집단상담 운영 시 집단상담자의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이 진행될수록 권위자로서의 주도권을 높여 나간다.
     2. 집단이 비생산적으로 흐를 때에는 집단의 방향을 재구조화한다.
     3. 흥미를 끌기 위해 다양한 매체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4. 집단원의 가치와 생각을 존중해 준다.
     5. 청소년에 대한 호감과 이해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코리(G. Corey)의 과도기 단계(transition stage)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과도기 단계에서 집단 상담자의 역할
-집단원의 망설임이나 불안, 방어, 갈등등을 자각하고 정리하도록 도와준다
-저항과 갈등을 감지하고 적절히 다루어 응집력을 높여야 한다.
-적절하고도 부드러운 직면을 시키는 행동모델로서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집단규범 형성 및 규ㅜ칙을 잘 지키도록 돕는 집단규범의 증진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집단원의 전이와 자신의 역전이 감정을 다루어 나가야 한다.
-집단원이 저항과 갈등등을 탐색하고 솔직히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촉진한다.
-집단원이 스스로 책임감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풀어가도록 도와줘야 한다.
[해설작성자 : 크로우]

3과목 : 가족상담


51. 다음이 설명하는 가족상담기법은?(2021년 10월)

    

     1. 과제부여
     2. 가계도
     3. 외재화
     4. 예외질문
     5. 가족조각

     정답 : []
     정답률 : 34%

52. 청소년 자녀가 있는 가족의 발달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자녀의 발달과 변화에 대응하여 부모의 역할도 변해야 한다.
     2. 부모는 자녀를 보호하고 양육하며 자녀가 원하는 것을 무조건 허용한다.
     3. 자녀가 책임감을 가지도록 가족의 구조와 조직을 변화시킨다.
     4. 자녀가 가족체계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가족의 경계를 유연하게 설정한다.
     5. 결혼생활 중인 부모는 부부관계의 재적응과 재협상에도 주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15%

53. 가족상담의 초기 단계에서 상담자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상담자를 전문가로 인정할 수 있게 첫 회기에 가족 모두가 함께 오도록 권장한다.
     2. 자녀문제로 부모 중 한 사람이 먼저 상담에 오겠다고 하면 수락하고 동맹관계를 맺는다.
     3.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여 전문가로서의 신뢰를 구축한다.
     4. 가족이 무엇을 문제로 보는지 물어보되 어린 자녀에게는 질문하지 않는다.
     5. 가족이 함께 모이기가 어려우므로 첫 회기에 바로 문제를 직면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34%

54. 이야기치료의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독특한 결과(unique outcome) 대화 - 개인의 정체성이 인생 클럽을 통해 회원 공동으로 생산되는 복합적 성격의 것임을 가정하는 대화
     2. 정의예식(definitional ceremony) - 내담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삶의 이야기를 청중 앞에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경험을 갖게 하는 기법
     3. 외부증인집단의 다시 말하기(re-telling) - 내담자의 이야기에 대해 은유를 중심으로 말하도록 돕는 대화
     4. 외재화(externalization) 대화 - 문제가 일어나지 않은 예외적 상황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는 대화
     5. 회원재구성(re-membering) 대화 - 문제의 사회문화적 발생 맥락을 반영하여 문제를 사람과 분리시키는 기법

     정답 : []
     정답률 : 6%

55. 다음 상담자의 행동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가족상담 윤리는?(2019년 10월)

    

     1. 고지된 동의
     2. 이중관계 금지
     3. 자기결정권 존중
     4. 의뢰에 대한 책임
     5.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정답 : []
     정답률 : 35%

56. 다음은 인과관계의 순환성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동일처리성
     2. 비선형성
     3. 다귀결성
     4. 동일잠재성
     5. 동일결과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7%

58. 듀발(Duvall)이 제시한 가족생활주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ㄱ. 수평적(결혼, 출산등의 예측가능한 변화), 수직적(세대에 걸쳐 전수되는 관계와 기능) --> 맥골드릭&카터
ㄹ. 이혼과정 단계 --> 숄츠
[해설작성자 : 청풍]

59.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만성불안에 대한 감정반사행동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가족의 비생산적 관계과정을 변화시키기 위해 관계실험을 한다.
     3. 가족투사과정은 부모가 자신들의 미성숙함을 자녀에게 투사하는 과정이다.
     4. 엉켜진 가족역동으로부터 구성원 개인의 명료하고 엄격한 분리를 통해 자기분화 수준을 높인다.
     5. 정서적 단절은 개인이 불안을 관리하기 위해 가족구성원과 감정적 교류를 더 이상 하지 않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0%
     <문제 해설>
4. 자기분화는 '명료하고 엄격한 분리'가 아니라, 친밀감을 유지하면서도 자율성과 개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60. 이야기치료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이야기치료는 발달 초기에 베이트슨(G. Bateson)의 영향을 받았다.
     2. 인간의 정체성은 심층적인 자기의 외적 표현에 의해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3. 이야기치료자는 중심적이고 영향력 있는 위치에서 내담자의 문제에 개입한다.
     4. 이야기 재저작(re-authoring)의 주요 목적은 경험의 의미를 진단하는 것이다.
     5. 공명하기(resonance) 대화는 문제 중심의 지배적 이야기와 맞지 않는 일련의 일화를 말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27%

61.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로 가족과 함께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작은 아들 지훈(초4)이가 더욱 의기소침해지고 죽고 싶다는 이야기를 자주하는 문제로 가족이 상담을 받으러 왔다. 아빠는 지훈이와 사이가 좋으나 집에 없을 때가 많으며, 자녀에 대한 통제가 심한 엄마도 맞벌이로 바쁘고, 활달하고 고집이 센 형(고1)은 성적과 학습태도 문제로 엄마와 자주 싸운다. 이 사례에 대한 가족상담 개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6%

62. 사티어(Satir)의 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ㄷ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ㄱ. 초이성형 설명
ㄹ. 초이성형 : 상황중요, 자기무시, 타인무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가족에 대한 상담개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자녀가 상담에 저항할 때, 부모와 연합하여 설득한다.
     2. 정체성의 유예시기이므로 부모가 자녀를 잘 통제하도록 한다.
     3. 부모역할은 자녀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관성 있게 유지하도록 한다.
     4. 부모도 중년기의 위기를 맞이하는 시기이므로 부모의 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룬다.
     5. 자녀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과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것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13%

64. 전략적 가족상담 이론가와 상담기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헤일리(J. Haley) - 고된 체험기법
     2. 보스조르메니-나지(I. Boszormenyi-Nagy) - 긍정적 의미부여
     3. 셀비니-파라졸리(M. Selvini-Palazzoli) - 의식(ritual)기법
     4. 마다네스(C. Madanes) - 가장기법
     5. 프라타(G. Prata) - 불변의 처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가족상담 모델과 상담목표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다세대 가족치료 - 불안수준의 감소
     2. MRI모델 - 증상제거 및 행동변화
     3. 구조적 가족상담 - 가족의 재구조화
     4. 해결중심모델 - 무의식적 상호작용의 의식화
     5. 경험적 가족치료 - 느낌의 표현 및 자발성 성장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무의식적 상호작용의 의식화 - 무의식을 강조하는 치료 이론이 뭐였죠? 정신역동적 모델입니다!
[해설작성자 : 짛니 ]

66.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가족상담 이론가와 기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보웬(M. Bowen) - 과정질문(process question)
     2. 스튜어트(R. Stuart) - 돌봄의 날(caring day)
     3. 사티어(V. Satir) - 원가족도표(family of origin map)
     4. 드 쉐이저(S. de Shazer) - 척도질문(scaling question)
     5. 보스조르메니 내지(I. Boszormenyi-Nagy) - 증상처방(symptom prescrip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5. 보스조르메니 내지 - 다세대 모델 / 증상처방 <-전략적 모델 기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가족생활주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0%

69. 다음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가족상담 모델과 개입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다세대 가족상담 - 자아분화 탐색
     2. 경험적 가족상담 - 빙산 치료
     3. 이야기치료 - 가족갈등의 외재화
     4. 구조적 가족상담 - 가족 구조의 변화
     5. 해결중심 단기 가족상담 - 과거 문제 발달사

     정답 : []
     정답률 : 54%

70. 다음의 각 ( )에 들어갈 용어들을 옳게 연결한 것은?(2018년 10월)

    

     1. A: 사이버네틱스, B: 부적 피드백, C: 일반체계이론
     2. A: 일반체계이론, B: 부적 피드백, C: 전체성
     3. A: 일반체계이론, B: 정적 피드백, C: 사이버네틱스
     4. A: 일반체계이론, B: 부적 피드백, C: 상보성
     5. A: 사이버네틱스, B: 정적 피드백, C: 순환성

     정답 : []
     정답률 : 17%

71.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발달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0%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념은?(2017년 09월)

    

     1. 경계
     2. 항상성
     3. 피드백
     4. 하위체계
     5. 사이버네틱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 상담자와 아동의 대화에 나타난 이야기치료 기법은?(2019년 10월)

    

     1. 모방
     2. 공명하기
     3. 스캐폴딩
     4. 외재화하기
     5. 대안적 이야기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문제를 객관적으로 보고 검토할 수 있도록 문제를 내담자에게서 외부화함. (ex. "말더듬이 도깨비가 나를 말 더듬게 한다. )
[해설작성자 : 짛니]

74. 다음 가계도에서 IP(Identified Patient)의 가족역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IP는 모와 친밀한 관계이다.
     2. IP는 계부와 소원한 관계이다.
     3. IP는 이복 여동생과 갈등관계이다.
     4. IP의 이복 여동생은 친모와 단절되어 있다.
     5. IP의 모는 알코올 남용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0%

75. 가족상담의 기본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토마스와 로빈슨(Thomas & Robinson)의 PQ4R의 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ㄹ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ㄴ, ㄷ, ㄹ, ㅁ
     5. ㄴ, ㄷ, ㅁ, ㅂ

     정답 : []
     정답률 : 0%

77. 로젠샤인과 스티븐스(B. Rosenshine & R. Stevens)가 제시한 피드백 유형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2025년 09월)

    

     1. 귀인 피드백
     2. 강화 피드백
     3. 동기 피드백
     4. 수행 피드백
     5. 전략 피드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로크와 라뎀(Locke & Lathem)의 목표설정이론에서 동기향상을 위한 조건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9%

79. 다음에서 혜진이가 보이는 학습부진 요인은?(2019년 10월)

    

     1. 인지적 요인
     2. 정서적 요인
     3. 사회적 요인
     4. 환경적 요인
     5. 관계적 요인

     정답 : []
     정답률 : 8%

80. 학습과 관련된 호소문제와 그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성적 하락문제로 심한 좌절감과 열등감을 갖게 된다.
     2. 시험불안문제로 지나치게 성적에 집착하고 하락을 두려워 한다.
     3. 학업능률의 저하문제로 학습동기가 매우 낮으며 적은 시간 투여로 성적이 오르지 않거나 부진하다.
     4. 학업에 대한 회의나 낮은 동기 문제로 다른 놀이에 많은 시간을 투여한다.
     5. 학업관련 파생문제로 성적이 부진한 학생에 대한 무시나 놀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

81. 맥키치(W. McKeachie)가 제시한 학습전략 중 자원관리 전략이 아닌 것은?(2019년 10월)
     1. 따라 읽음, 밑줄 치기, 복사 등의 시연
     2. 목표설정, 시간표 작성 등의 시간 관리
     3. 장소정리, 조용한 장소에서 하는 공부환경 조성
     4. 노력에 대한 귀인, 자기강화 등의 노력
     5. 교사나 동료로부터의 조력을 추구

     정답 : []
     정답률 : 4%

82. 발표불안에 관한 개입 방안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5%

83. 학업적 미루기 대처전략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자기조절행동 점검
     2. 부정적인 자기언어(self-talk) 사용 점검
     3. 동기부족, 완벽주의, 빈약한 시간 관리 및 조직 기술 점검
     4. 큰 과제를 시간이 더 적게 소요되는 작은 과제들로 나눠서 접근
     5. 재미있는 일을 먼저하고 싫어하는 일을 이어서하는 프리맥(Premack)의 원리 활용

     정답 : []
     정답률 : 47%

84. 커크(S. Kirk)와 찰판트(J. Chalfant)가 제안한 학습장애의 하위 유형 중 학업적 학습장애를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학습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학습 내용을 언어로 익힐 뿐만 아니라 이미지로 떠올려 보는 것을 유의미화라고 한다.
     2. 읽기 전 전략으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기 전에 관련된 기존 지식을 떠올리는 것을 구조화라고 한다.
     3. 읽기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배울 내용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전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요약이라 한다.
     4. 중요한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단순히 반복하여 말하고 쓰는 것을 정교화라고 한다.
     5. 학습 내용들 간의 논리적 관계를 염두에 두고 내용을 정리하는 것을 조직화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5%

86. 다음에 해당하는 학습장애 지도방법은?(2024년 10월)

    

     1. 또래 교수
     2. 내재적 교수
     3. 명시적 교수
     4. 스캐폴딩 교수
     5. 상보적 교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앳킨슨과 시프린(Atkinson & Shiffrin)의 이중저장기억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감각등록기에서 받아들인 정보는 그대로 사라진다.
     2. 작업기억의 저장 용량은 7±2 단위 정도의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다.
     3. 작업기억에서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청킹(chunking) 등이 있다.
     4. 감각등록기에서 작업기억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시연 등의 인지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5. 장기기억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정보의 심층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0%

88. 다음에 해당하는 창의적 사고 발상 기법은?(2024년 10월)

    

     1. 시네틱스(Synetics)
     2. 스캠퍼(SCAMPER)
     3. 체크리스트(Checklist)
     4. PMI(Plus-Minus-Interest)
     5. 마인드맵핑(Mind Mappin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주의집중력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주의집중력 문제를 가진 내담자는 어릴 때부터 많은 호기심, 높은 에너지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2. Think Aloud 훈련은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개입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3. 과도한 조기교육이나 선수학습 등과 같은 흥미나 동기 수준을 뛰어넘는 교육적ㆍ문화적 자극은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학습 결손의 누적은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친다.
     5. 지나치게 비구조화 되어 있는 생활환경은 주의집중력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0%

90. 학업부진 영재아를 돕기 위한 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완벽을 추구하는 내담자에게는 자신의 능력보다 높은 이상적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2. 과민성을 보이는 내담자에게는 자극에 대해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하게 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내담자가 대인관계를 통해 관계기술을 적절히 학습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4. 상담과정에서 가족 및 부모의 지지와 참여를 강조한다.
     5. 학업적 특성에 맞는 교육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8%

91. ( )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흥미
     2. 동기
     3. 조절
     4. 효능감
     5. 자아개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2. 마이켄바움과 굿맨(Meichenbaum & Goodman)이 제시한 자기-교시 훈련 단계에 따르면, 상담자는 보기의 바로 다음 단계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2019년 10월)

    

     1. 동환이로 하여금 소리 내지 않고 마음속으로 자기 통제 언어를 사용하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2. 상담자의 시연과 지도하에 동환이가 자기 통제 언어를 큰소리로 말하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3. 동환이로 하여금 자기통제 언어를 입 밖으로 소리내되 작은 소리를 내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4. 동환이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수정하여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5. 상담자가 과제를 수행하면서 입 밖으로 자기통제 언어를 큰 소리로 말하고, 동환이에게 관찰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

93. 반두라(A. Bandura)가 제시한 효능감 정보원이 아닌 것은?(2019년 10월)
     1. 성공경험
     2. 생리적ㆍ정서적 상태
     3. 대리적 경험
     4. 귀인의 통제소재
     5. 언어적(사회적) 설득

     정답 : []
     정답률 : 7%

94. DSM-5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의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보유한 학습기술이 개인의 생활연령에 비추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양적으로 낮고, 학업 및 직업적 수행 또는 일상생활 활동을 현저히 방해한다.
     2.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의 어려움이 적절한 중재를 제공했음에도, 특정 증상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3.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검사에서 읽기, 수학, 쓰기능력이 개인의 생활연령, 측정된 지능 그리고 나이에 적합한 교육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낮다(표준화검사 결과와 지능지수 사이에 2 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남).
     4.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기술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하게 드러날 수도 있다.
     5. 학습의 어려움은 지적장애, 교정되지 않은 시력 및 청력의 문제, 다른 정신적 또는 신경학적 장애, 정신사회적 불행, 학습지도사가 해당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경우, 불충분한 교육적 지도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
     <문제 해설>
3번 지문은 국립특수교육원의 학습장애 선별기준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95. 고등학생 민주가 호소하는 고민의 내용이다. 상담자의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민주의 호소내용은 시험불안에 관한 것임을 알아차리고 시험불안에 대해 다룬다.
     2. 시험불안의 요인인 걱정과 감정 중 어떤 요인이 현재 민주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3. 민주가 경험하고 있는 시험불안의 원인을 탐색한다.
     4. 호소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민주와의 상담관계를 형성하는데 주력한다.
     5. 합리적 사고를 가지도록 체계적 둔감법을 훈련한다.

     정답 : []
     정답률 : 0%

96. DSM-5에서 제시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부주의 증상은 학업적 결함과 또래들의 무시와도 연관이 있다.
     2. 과잉행동은 적절치 않은 상황에서 과도한 운동 활동이나 과도하게 꼼지락거리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3. 부주의는 과제를 수행하지 않고 돌아다니기, 지속적인 집중의 어려움과 같은 모습으로도 발현되며, 이는 이해의 부족이나 반항에서 기인한 것이다.
     4. 학습과제, 연필, 책 등 과제와 활동에 필요한 물건들을 자주 잃어버리는 것은 ADHD 진단에 포함되는 증상 중 하나이다.
     5. ADHD에 진단적인 생물학적 표지자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0%

97. 학업상담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1년 10월)
     1. 사례관리 - 문제진단 - 목표설정 - 상담관계 형성
     2. 상담구조화 - 개입전략 설정 - 목표설정 - 사례관리
     3. 문제진단 - 목표설정 - 개입전략 설정 - 사례관리
     4. 문제진단 - 상담관계 형성 - 사례관리 - 개입전략 설정
     5. 개입전략 설정 - 문제진단 - 목표설정 - 사례관리

     정답 : []
     정답률 : 0%

98. 학습 무동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데시(E. Deci)와 라이언(R. Ryan)은 동기의 변화 과정을 무동기,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순으로 발달해간다고 설명하였다.
     2. 사회적 보상에 둔감하고 인내력이 낮은 특성은 학습 무동기의 기질적 원인에 해당한다.
     3. 학습동기가 내면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4.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되어 있으며 자신의 반응이 어떠한 영향도 미칠 수 없다는 것을 학습한 결과에 기인한다.
     5.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기초하여 무동기의 원인을 설명하는 입장은 인간중심적 관점이다.

     정답 : []
     정답률 : 7%

99. 발표불안에 대한 개입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내담자의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합리적으로 변화시킨다.
     2. 자기 대화하기는 발표 전, 중, 후에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3. 부모나 교사의 칭찬과 격려를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킨다.
     4. 발표를 반복적으로 연습하게 한다.
     5. 위계적 발표불안 리스트를 작성하여 불안이 가장 높은 단계부터 체계적 둔감법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0%

100. 에프클라이즈(A. Efklides)의 정의에 기반하여 메타인지를 '모니터링'과 '통제'로 구분할 때 모니터링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10월)
     1. 의식적이고 계획적인 활동 및 전략 사용
     2. 인지기능에 대한 생각
     3. 인지과정에 대한 조절
     4. 노력의 분배
     5. 시간의 분배

     정답 : []
     정답률 : 8%


정 답 지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2274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진로상담


1. 다음과 관련된 진로상담의 목표는?(2025년 09월)

   

     1.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 증진
     2.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3. 진로정보 탐색 및 활용 능력 함양
     4.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 증진
     5.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태도 형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진로상담이론과 주요 개념의 연결이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나. 마크 사비카스의 구성주의 진로발달이론
- 진로발달이 내적 성숙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환경에 적응하는 힘이라는 점을 강조
- 진로발달이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
- 진로검사보다는 진로체험 활동이 좋다
다. 베츠와 해켓은 여성의 진로발달을 설명하기 위해 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적용. 인지적 측면 강조
라. 하렌 진로의사결정이론
- 진로선택은 결과에 초점, 진로의사결정은 과정에 초점을 두는 개념
- 진로결정이란 하나의 사건이라기보다는 선택에 대한 확신의 정도(발달적 미결정자 / 우유부단한 사람은 다르다)
- 합리적 유형(논리적 의사결정 / 시간이 많이 걸린다), 직관적 유형(빠른 선택, 책임감 / 단기목표에 적합), 의존적 유형(수동적, 순종적인데 능력있으면 굿 / 독립하지 못하고 남탓하기 쉬움)
- 진로전환과는 상관 없음.
[해설작성자 : 기수]

3.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바르게 연결한 것은?(2020년 10월)

   

     1. ㄱ: 겔라트(H. Gelatt), ㄴ: 순환적 의사결정
     2. ㄱ: 투크만(B. Tuckman), ㄴ: 상호관계
     3. ㄱ: 카츠(E. Katz), ㄴ: 가치결정
     4. ㄱ: 수퍼(D. Super), ㄴ: 진로적응
     5. ㄱ: 갓프레드슨(L. Gottfredson), ㄴ: 절충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성 역할, 사회적 가치라는 말이 나오면 고트프레드슨의 직업포부 발달이론을 떠올려야 한다.
고트프레드슨은 자신의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직업에 대해 포부를 형성한다고 할 정도로 자아개념을 중요시했다.
직업선택과정은 제한과 타협을 통해 직업포부가 변화하는 과정이다. 지능, 성, 사회적배경, 경제적 배경이 영향을 미친다.
[해설작성자 : 기수]

4. 수퍼(D. Super)의 진로발달 아치웨이 모형에서 자기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0월)
     1. 가족
     2. 문화
     3. 학교
     4. 또래집단
     5. 노동시장

     정답 : []
     정답률 : 24%

5. 하렌(V. Harren)의 의사결정 과정과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인식단계에서는 개인이 심리적 불균형을 느끼고 어떤 결정을 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한다.
     2. 계획단계에서는 자신의 선택에 대해 깊이 탐색하고 다각도로 검토하여 선택의 장단점을 명료화한다.
     3. 합리적 유형은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고,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해 나가며,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을 진다.
     4. 직관적 유형은 의사결정의 기초로 상상을 사용하고, 현재의 감정에 주의를 기울이며, 정서적 감각을 사용한다.
     5. 의존적 유형은 의사결정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을 부정하고 그 책임을 외부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발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개인은 특정 시기에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생애역할을 수행한다.
     2. 진로성숙 과정을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자아개념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3. 하비거스트(R. Havighurst)의 발달과업 개념을 차용하여 진로의 의미를 한 개인의 생애과정으로 설명한다.
     4. 진로아치모형은 자녀, 학생, 직업인, 시민 등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5. 진로성숙도는 각 단계의 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준비도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4. 진로아치모형은 이론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면서 자아개념의 형성의 여러 요인을 설명하고,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개인의 자아개념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즉, 진로아치모형은 '자아개념'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자녀, 학생, 직업인, 시민은 생애역할 이론이다(전생애에 걸쳐 수행하게 되는 9가지 주요한 역할)
[해설작성자 : 기수]

7.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무지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의 제한ㆍ타협이론에서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진로포부 발달 단계는?(2022년 10월)

   

     1. 규모와 힘 지향 단계
     2. 성역할 지향 단계
     3. 사회적 가치 지향 단계
     4. 내적이며 고유한 자기 경향 단계
     5. 자기조절 단계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갓프레드슨의 제한-타협이론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모든 면을 만족시킬 진로대안을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최고가 아닌 최선의 선택을 하는 타협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상담은 타협의 불가피성을 확인, 타협을 촉진, 타협에 대한 적응을 준비하는 단계를 밟는다"
제한 이론 : 서열 획득 - 성 역할 - 사회적 가치 획 - 내적 자아 확립단계(흥미가 대표적 RIASEC)
타협 이론 : 자신과 가장 밀접한 특성을 가장 늦게까지 포기하지 못함. 타협에 대한 적응도가 중요하다. 진로상담도 여기에 목적
요약 : 진로 의사결정과정이란 어떤 것을 선택하기 위해 어떤 것을 포기하는 과정임을 인식하도록 돕는 것이다.
[해설작성자 : 기수]

9. 미러바일(R. Mirabile)의 퇴직자를 위한 카운슬링모델에서 다음이 설명하는 단계는?(2022년 10월)

   

     1. 1단계 – 평안(comfort)
     2. 1단계 – 방향(direction)
     3. 2단계 – 성찰(reflection)
     4. 2단계 – 명확화(clarification)
     5. 3단계 - 관점 전환(perspective shift)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Mirabile(1985)는 개인이 퇴직을 거치며 겪게 되는 심리적 변화를
위안 > 성찰 > 명확화 > 방향설정 > 관점전환 단계로 구분했다.
위안(안정) : 퇴직으로 인한 감정적 혼란을 극복하자
성찰 : 자기 점검하고 구직활동에 집중하자
명확화 : 새롭게 개척해야할 분야를 명확히하자
방향설정 : 설정된 목표에 맞는 새로운 직장을 탐색하자
관점전환 : 퇴직을 새로운 능력 창출과 성장의 기회로 인식하자
[해설작성자 : 기수]

10. 공공기관과 해당 기관에서 제공하는 진로정보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한국노동연구원: 매월고용동향분석, 국내노동동향, 노동시장전망
     2. 한국고용정보원: 지역고용동향브리프, 한국직업전망
     3.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직업교육훈련지표, 진학정보, 자격정보
     4. 통계청: 한국표준산업분류, 한국표준직업분류
     5. 고용노동부: 구인구직통계, 고용노동통계연감

     정답 : []
     정답률 : 10%

11. 피터슨, 샘슨과 리어든(Peterson, Sampson & Reardon)의 인지정보처리이론의 기본 가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진로선택은 인지와 환경 간의 상호작용 결과이다.
     2. 진로문제의 해결은 고도의 기억력을 필요로 하는 과제이다.
     3. 진로발달은 지식 구조의 계속적인 성장과 변화를 내포한다.
     4. 진로정체감은 자기인식에 달려있다.
     5. 진로성숙도는 진로문제를 해결하는 개인의 능력과 관련된다.

     정답 : []
     정답률 : 47%

12. 미첼 등(T. Mitchell et al.)이 제시한 우연이론의 과제접근 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10월)
     1. 객관성
     2. 호기심
     3. 유연성
     4. 낙관성
     5. 위험감수성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우연이론은 현대사회에서의 예측하기 어려운 직업의 세계를 강조하면서 진로발달에서 우연의 역할과 우연히 찾아오는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말한다. 개인은 지속적인 준비와 반응을 통해 우연적 기회를 탐색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5가지 과제접근기술 습득이 필요하다.

과제접근 기술 5가지 : 호기심, 인내, 유연성, 낙관성, 위험감수행동
이러한 과제접근기술은 진로 뿐만아니라 개인이 세상에 갖는 지각에도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13. 진로상담의 최근 동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사회학습진로이론은 진로개발과정에서 우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사회인지진로이론은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맥락을 중요시하는 관점을 수용하고 있다.
     3. 구성주의진로이론은 긴즈버그(E. Ginzberg)의 아이디어를 현대적 시각으로 통합하고 있다.
     4. 인지정보처리이론은 의사소통, 분석, 종합, 평가, 실행의 5단계로 진로의사결정을 설명한다.
     5. 구성주의진로이론에서는 내담자의 진로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진로유형면접을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구성주의진로이론은 수퍼(Super)의 아이디어를 현대적 시각으로 통합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사회학습진로이론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한 이론이다. 크롬볼츠의 이론이다. / 호기심, 인내심, 융통성, 낙관성, 위험감수 = 우연을 활용하라
2. 사회인지진로이론 역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했다. SCCT는 여성의 진로발달 선택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 진로장벽, 근접맥락, 배경맥락
3. 구성주의진로이론은 수퍼의 초기 진로발달 이론에서 출발함.
[해설작성자 : 기수]

14. 굿맨, 슐로스버그와 앤더슨(Goodman, Schlossberg & Anderson)이 제시한 개인의 진로 전환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요소(4S)가 아닌 것은?(2017년 09월)
     1. 자아(Self)
     2. 지원(Support)
     3. 상황(Situation)
     4. 제도(System)
     5. 전략(Strategies)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5. 다위스와 롭퀴스트(Dawis &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서 분류한 적응양식 중 다음 사례에서 민수가 보이고 있는 것은?(2017년 09월)

    

     1. 반응성(reactiveness)
     2. 적극성(activeness)
     3. 회피성(avoidance)
     4. 유연성(flexibility)
     5. 민첩성(celerity)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융통성 - 부조화를 참아내는 정도
끈기 - 맞지 않는 환경에서 견디기
적극성 - 개인과 환경을 조화롭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정도
반응성 - 작업환경이 변화할 때 적응하는 능력
[해설작성자 : 기수]

16. 진로상담에서 사용하는 검사의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자기효능감척도(SES)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진로발달검사(CDI)는 진로계획, 진로탐색, 의사결정, 일의 세계에 대한 지식, 선호하는 직업에 대한 지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진로결정척도(CDS)는 확신척도와 미결정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4. 진로성숙도검사(CMI)는 진로성숙태도, 진로성숙능력, 진로성숙행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진로전환검사(CTI)는 수행불안, 외적갈등, 의사결정 혼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 진로사고검사는 진로결정을 어렵게하는 부정적 진로사고를 측정하는 검사로, 부정적 사고를 긍정적 사고로 바꿀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 수행불안, 외적갈등, 의사결정혼란이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어있다. 공교롭게도 이것도 이름이 CTI다.
진로전환검사(CTI)는 해프너(M. Heppner)가 만든 검사. Career Transition Inventory.
진로사고검사(CTI)는 Career Thought inventory이다.
청소년상담사 2급은 필기에서 비슷한 용어를 자꾸 바꿔쓰고 있는데, 이니셜까지 같으니 헷갈리기 쉽다.
[해설작성자 : 기수]

17. 진로상담에서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적성분류검사(DAT)에는 일반적성검사와 특수적성검사가 있다.
     2. 스트롱흥미검사(SII)는 특정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 비슷한 흥미를 갖고 있다는 전제로 개발되었다.
     3. 쿠더(G. Kuder) 흥미검사(KPR)는 직업, 학교, 여가의 세 가지 영역에서의 활동 중 가장 잘하는 것과 가장 싫어하는 것을 선택하게 하여 적성 영역을 결정하는 검사이다.
     4. 미네소타 직업가치 검사(MIQ)는 직업과 관련된 가치체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5. 진로성숙도검사(CMI)는 초등학교 6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진로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8. 피터슨(G. Peterson) 등의 진로정보처리이론(Career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피라미드와 커사비(CASVE)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피라미드는 자기지식, 초인지의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3. 의사소통은 자기 내부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요구가 있을 때 시작된다.
     4. 커사비(CASVE)과정은 의사소통, 분석, 종합, 평가, 실행으로 이루어진다.
     5. 초인지는 개인의 정서나 생각이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피라미드는 정보영역(자기정보, 직업정보), 의사결정기술영역, 초인지 영역으로 나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9. 다음 집단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진로정보의 평가 기준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ㄹ
     3.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28%

21. 다음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척도는?(2016년 10월)

    

     1. 진로미결정척도(Career Decision Difficulties Questionnaire)
     2. 진로결정척도(Career Decision Scale)
     3. 직업결정척도(Vocational Decision Scale)
     4. 진로상황검사(My Vocational Situation)
     5. 진로의사결정평가(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생애진로사정(Life Career Assessment: LCA)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아들러(A. Adler)의 개인심리학에 기초하였다.
     2. 내담자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화된 면접기법이다.
     3. 상담자와 내담자의 긍정적인 라포 형성에 도움을 준다.
     4. 진로사정, 일상적인 하루, 강점과 장애, 요약 등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5. 세상과 개인의 일, 사회(사회적 관계), 성(우정)의 생활영역을 서로 분리해서 다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다문화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다문화에 대한 사회인식을 고려한다.
     2. 다문화에 대한 상담자의 지식과 인식이 상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내담자의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4. 내담자가 상담자의 문화를 따르도록 만든다.
     5. 내담자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의 상담이론과 기법을 섣불리 적용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64%

24. 청소년 집단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의 형태로 진로상담이 진행됨을 의미한다.
     2. 집단의 형태로 진행되어 자기이해의 기회가 없다.
     3.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직업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4. 자신의 직업적 적합성을 객관적이고 현실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5. 자신의 진로계획을 검토하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여성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성불평등적 요소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2. 성역할 고정관념의 내면화 정도를 고려하지 않는다.
     3. 직업의식을 강화하고 가정과 직장 간의 양립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4. 경력단절 가능성에 대비하여 장기적인 진로설계를 고려한다.
     5. 취업 장애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도록 지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과목 : 집단상담


26. 교류분석 집단상담의 생활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생애 초기에 결정된다.
     2. 생활자세는 교류분석으로 변화 가능하다.
     3. 자신에 대해 느끼고, 타인과 관계 맺는 방식을 결정한다.
     4. 자기 긍정-타인 긍정 자세는 패배자는 없고, 승리자만 있다.
     5. 자기 긍정-타인 부정 자세는 타인과 비교해서 자신이 무기력하다고 느끼는 우울한 사람의 자세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5. 자기 부정 - 타인 부정 자세는 타인과 비교해서 자신이 무력하다고 느끼는 우울한 사람의 자세이다.
[해설작성자 : 기수]

27. 학교 장면의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전문적 자질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현실치료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현실치료의 인간의 욕구 5가지 : 소, 힘, 즐, 자 생
                                                     사랑과 소속, 힘과 성취, 즐거움(재미), 자유, 생존
[해설작성자 : 청풍]

29.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거나 설명을 통해 돕는 것을 집단상담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제시한 참만남집단 모형은?(2016년 10월)
     1. 스톨러(Stoller) 모형
     2. 얄롬(Yalom) 모형
     3. 하르트만(Hartman) 모형
     4. 슈츠(Schutz) 모형
     5. 로저스(Rogers) 모형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다음의 기법이나 개념이 강조되는 집단상담 접근은?(2016년 10월)

    

     1. 게슈탈트 집단상담
     2. 교류분석 집단상담
     3. 개인심리 집단상담
     4. 심리극적 집단상담
     5. 해결중심 집단상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교류분석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집단원과 집단상담자는 계약적 합의 하에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2. 집단원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자신의 각본과 게임을 탐색하게 한다.
     3. 스트로크에 의한 삶의 각본과 초기 결정을 발견하도록 조력한다.
     4. 집단원이 연출한 게임으로 인해 부정적 감정이 만성화되는 과정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5. 집단원들이 인생태도와 라켓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관계방식을 실험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2. 다음 사례에서 청소년 집단상담자가 적용한 기법은?(2021년 10월)

    

     1. 재진술
     2. 차단
     3. 요약
     4. 직면
     5. 정보제공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4. 직면 : 내담자의 말 또는 행동에서 모순이나 불일치를 지적하여 내담자가 스스로를 통찰하고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기법
관심이 없다고 말하면서도 걱정스러운 표정과 싸움의 빈도, 날짜를 알고 있다.
[해설작성자 : 기수]

3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집단상담의 이론은?(2023년 09월)

    

     1. 실존주의
     2. 행동주의
     3. 인간중심
     4. 게슈탈트
     5. 정신분석

     정답 : []
     정답률 : 67%

34. 코리(G. Corey)의 집단상담 초기단계에서 집단상담자의 효과적인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당신에게 어떤 집단원이 그런 생각을 할 것 같은지 마음 속으로 탐색해 보시겠어요?
     2. 혹시 당신이 이 집단에서 누구를 가장 의식하고 있는지 알아차려 보시겠어요?
     3. 혹시 이 집단에서 A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 분이 있나요?
     4. 어떤 집단원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지, 그 집단원에 대한 느낌을 그 분에게 직접 표현해 보실까요?
     5. 네! 그런 생각이 일어날 때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네요. 그 느낌에 한번 머물러 보시겠어요?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치료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심각한 정도의 정서ㆍ행동문제 또는 정신장애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
     2. 치료집단을 이끄는 사람을 집단치료자라고 한다.
     3. 집단역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신병리적 진단ㆍ평가를 활용하지 않는다.
     4. 공황장애 치료를 원하는 사람이 참가할 수 있다.
     5. 치료기간이 최대 수년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으로 진행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5. 대부분의 치료집단에서는 무의식적 요소, 과거사, 성격의 재구성 등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새로운 사회기술을 연습하고, 새롭게 습득한 지식과 행동을 적용한다. 이 때문에 치료는 장기적으로 진행된다
[해설작성자 : 기수]

36. 다음의 집단상담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에서 모두 자주 사용한다.
     2. 집단원 간의 차이점을 드러낼 때 사용한다.
     3. 집단의 상호작용과 응집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4. 모호하거나 모순된 진술을 드러내는 직면 효과가 있다.
     5. 현상이나 문제에 대한 상담자의 관점이나 의견을 드러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7. 교류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구조분석은 세 가지 자아상태를 검토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2. 교차적 의사교류는 두 가지 내용이 동시에 전달되는 경우로 바깥으로 직접 나타나는 자아와 실제로 기능하는 심리적 자아가 다른 것을 말한다.
     3. 게임이란 숨겨져 있지만 이득을 얻도록 계획된 이면적 교류의 연속이다.
     4. 긍정적인 삶의 자세 한 가지와 부정적인 삶의 자세 세 가지가 있다.
     5. 개인이 시간을 구조화하는 여섯 가지 방법은 철회, 의례적 행동, 활동, 여흥, 게임, 친밀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2.두 가지 내용이 동시에 전달되는 경우로 바깥으로 직접 나타나는 자아와 실제로 기능하는 심리적 자아가 다른 것을 이면적 교류(암묵적 교류)라고 한다.
[해설작성자 : 코코]

38.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에 근거한 집단상담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소크라테스식 질문법
     2. 논박하기
     3. 수치공격 연습
     4. 상상하기
     5. 마술가게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 마술가계는 심리극(사이코드라마)의 상담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코코]

39. 집단상담자에게 전이 반응을 보이는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대처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원이 그 반응으로 어떤 잠재적 이익을 얻는지 탐색한다.
     2.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 자신의 반응을 검토해본다.
     3. 집단원이 드러내는 감정이 집단 전체의 의견인지 확인해 본다.
     4. 긍정적인 전이 감정은 집단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다루지 않는다.
     5. 집단원의 전이 감정을 연상시키는 사람을 집단에서 찾아보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개인상담과 비교할 때 집단상담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여러 사람이 상호작용하므로 개인의 문제가 깊이 있게 분석되기 더 쉽다.
     2. 현실적이고 실제생활에 더 근접한 사회장면을 제공한다.
     3.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수용의 폭이 넓어지는데 더 용이하다.
     4.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지지와 보편성을 획득하기가 더 쉽다.
     5. 소속감이나 지원체계 및 동료의식을 발전시키기가 더 쉽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침묵하는 집단원(A)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작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42. 행동주의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의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집단상담자와 집단원이 동의하여 설정한다.
     2. 측정가능하고 객관적 관찰이 가능해야 한다.
     3. 초기에 설정된 목표는 끝까지 유지되어야 한다.
     4. 개개인의 문제에 대해 목표를 세우고 개별적인 개입이 이루어진다.
     5. 부적응 행동을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행동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3. 심리극 집단상담에서 주로 활용되는 기법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말이 아닌 구체적 행동으로 보여주는 실연
     2. 표현되지 못한 감정이나 생각을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이중자아
     3. 자신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거울기법
     4. 대립적인 두 자아 간의 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빈의자 기법
     5. 자신이 원하는 감정은 자신이 만들어낸 것임을 자각하도록 하는 단추누르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4. 청소년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9%

45. 두 명의 상담자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7%

46. 집단상담의 작업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자발적 자기개방이 증가한다.
     2. 집단원의 불안이 감소하면서 비방어적으로 상호작용하므로 갈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3. 지금-여기에 초점을 두고 원활하게 소통이 이루어진다.
     4. 집단 신뢰와 결속력이 높아져 실험적 행동도 시도한다.
     5. 상담자에 대한 전이로 인해 집단원의 도전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7. 종결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자 피드백으로 유용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ㄱ. 막연한 피드백
ㄴ. 비현실적 보장의 피드백
ㄷ. 내담자의 피드백에 대한 부정
[해설작성자 : 청풍]

48. 실존주의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청소년 집단상담 운영 시 집단상담자의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이 진행될수록 권위자로서의 주도권을 높여 나간다.
     2. 집단이 비생산적으로 흐를 때에는 집단의 방향을 재구조화한다.
     3. 흥미를 끌기 위해 다양한 매체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4. 집단원의 가치와 생각을 존중해 준다.
     5. 청소년에 대한 호감과 이해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0. 코리(G. Corey)의 과도기 단계(transition stage)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과도기 단계에서 집단 상담자의 역할
-집단원의 망설임이나 불안, 방어, 갈등등을 자각하고 정리하도록 도와준다
-저항과 갈등을 감지하고 적절히 다루어 응집력을 높여야 한다.
-적절하고도 부드러운 직면을 시키는 행동모델로서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집단규범 형성 및 규ㅜ칙을 잘 지키도록 돕는 집단규범의 증진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집단원의 전이와 자신의 역전이 감정을 다루어 나가야 한다.
-집단원이 저항과 갈등등을 탐색하고 솔직히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촉진한다.
-집단원이 스스로 책임감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풀어가도록 도와줘야 한다.
[해설작성자 : 크로우]

3과목 : 가족상담


51. 다음이 설명하는 가족상담기법은?(2021년 10월)

    

     1. 과제부여
     2. 가계도
     3. 외재화
     4. 예외질문
     5. 가족조각

     정답 : []
     정답률 : 34%

52. 청소년 자녀가 있는 가족의 발달과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자녀의 발달과 변화에 대응하여 부모의 역할도 변해야 한다.
     2. 부모는 자녀를 보호하고 양육하며 자녀가 원하는 것을 무조건 허용한다.
     3. 자녀가 책임감을 가지도록 가족의 구조와 조직을 변화시킨다.
     4. 자녀가 가족체계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가족의 경계를 유연하게 설정한다.
     5. 결혼생활 중인 부모는 부부관계의 재적응과 재협상에도 주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15%

53. 가족상담의 초기 단계에서 상담자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상담자를 전문가로 인정할 수 있게 첫 회기에 가족 모두가 함께 오도록 권장한다.
     2. 자녀문제로 부모 중 한 사람이 먼저 상담에 오겠다고 하면 수락하고 동맹관계를 맺는다.
     3.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여 전문가로서의 신뢰를 구축한다.
     4. 가족이 무엇을 문제로 보는지 물어보되 어린 자녀에게는 질문하지 않는다.
     5. 가족이 함께 모이기가 어려우므로 첫 회기에 바로 문제를 직면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34%

54. 이야기치료의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독특한 결과(unique outcome) 대화 - 개인의 정체성이 인생 클럽을 통해 회원 공동으로 생산되는 복합적 성격의 것임을 가정하는 대화
     2. 정의예식(definitional ceremony) - 내담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삶의 이야기를 청중 앞에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경험을 갖게 하는 기법
     3. 외부증인집단의 다시 말하기(re-telling) - 내담자의 이야기에 대해 은유를 중심으로 말하도록 돕는 대화
     4. 외재화(externalization) 대화 - 문제가 일어나지 않은 예외적 상황을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는 대화
     5. 회원재구성(re-membering) 대화 - 문제의 사회문화적 발생 맥락을 반영하여 문제를 사람과 분리시키는 기법

     정답 : []
     정답률 : 6%

55. 다음 상담자의 행동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가족상담 윤리는?(2019년 10월)

    

     1. 고지된 동의
     2. 이중관계 금지
     3. 자기결정권 존중
     4. 의뢰에 대한 책임
     5.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정답 : []
     정답률 : 35%

56. 다음은 인과관계의 순환성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동일처리성
     2. 비선형성
     3. 다귀결성
     4. 동일잠재성
     5. 동일결과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7%

58. 듀발(Duvall)이 제시한 가족생활주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ㄱ. 수평적(결혼, 출산등의 예측가능한 변화), 수직적(세대에 걸쳐 전수되는 관계와 기능) --> 맥골드릭&카터
ㄹ. 이혼과정 단계 --> 숄츠
[해설작성자 : 청풍]

59.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만성불안에 대한 감정반사행동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가족의 비생산적 관계과정을 변화시키기 위해 관계실험을 한다.
     3. 가족투사과정은 부모가 자신들의 미성숙함을 자녀에게 투사하는 과정이다.
     4. 엉켜진 가족역동으로부터 구성원 개인의 명료하고 엄격한 분리를 통해 자기분화 수준을 높인다.
     5. 정서적 단절은 개인이 불안을 관리하기 위해 가족구성원과 감정적 교류를 더 이상 하지 않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0%
     <문제 해설>
4. 자기분화는 '명료하고 엄격한 분리'가 아니라, 친밀감을 유지하면서도 자율성과 개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60. 이야기치료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이야기치료는 발달 초기에 베이트슨(G. Bateson)의 영향을 받았다.
     2. 인간의 정체성은 심층적인 자기의 외적 표현에 의해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3. 이야기치료자는 중심적이고 영향력 있는 위치에서 내담자의 문제에 개입한다.
     4. 이야기 재저작(re-authoring)의 주요 목적은 경험의 의미를 진단하는 것이다.
     5. 공명하기(resonance) 대화는 문제 중심의 지배적 이야기와 맞지 않는 일련의 일화를 말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27%

61. 최근 사회적 거리두기로 가족과 함께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작은 아들 지훈(초4)이가 더욱 의기소침해지고 죽고 싶다는 이야기를 자주하는 문제로 가족이 상담을 받으러 왔다. 아빠는 지훈이와 사이가 좋으나 집에 없을 때가 많으며, 자녀에 대한 통제가 심한 엄마도 맞벌이로 바쁘고, 활달하고 고집이 센 형(고1)은 성적과 학습태도 문제로 엄마와 자주 싸운다. 이 사례에 대한 가족상담 개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6%

62. 사티어(Satir)의 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ㄷ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ㄱ. 초이성형 설명
ㄹ. 초이성형 : 상황중요, 자기무시, 타인무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가족에 대한 상담개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자녀가 상담에 저항할 때, 부모와 연합하여 설득한다.
     2. 정체성의 유예시기이므로 부모가 자녀를 잘 통제하도록 한다.
     3. 부모역할은 자녀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관성 있게 유지하도록 한다.
     4. 부모도 중년기의 위기를 맞이하는 시기이므로 부모의 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룬다.
     5. 자녀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과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것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13%

64. 전략적 가족상담 이론가와 상담기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헤일리(J. Haley) - 고된 체험기법
     2. 보스조르메니-나지(I. Boszormenyi-Nagy) - 긍정적 의미부여
     3. 셀비니-파라졸리(M. Selvini-Palazzoli) - 의식(ritual)기법
     4. 마다네스(C. Madanes) - 가장기법
     5. 프라타(G. Prata) - 불변의 처방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가족상담 모델과 상담목표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다세대 가족치료 - 불안수준의 감소
     2. MRI모델 - 증상제거 및 행동변화
     3. 구조적 가족상담 - 가족의 재구조화
     4. 해결중심모델 - 무의식적 상호작용의 의식화
     5. 경험적 가족치료 - 느낌의 표현 및 자발성 성장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무의식적 상호작용의 의식화 - 무의식을 강조하는 치료 이론이 뭐였죠? 정신역동적 모델입니다!
[해설작성자 : 짛니 ]

66.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가족상담 이론가와 기법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보웬(M. Bowen) - 과정질문(process question)
     2. 스튜어트(R. Stuart) - 돌봄의 날(caring day)
     3. 사티어(V. Satir) - 원가족도표(family of origin map)
     4. 드 쉐이저(S. de Shazer) - 척도질문(scaling question)
     5. 보스조르메니 내지(I. Boszormenyi-Nagy) - 증상처방(symptom prescrip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5. 보스조르메니 내지 - 다세대 모델 / 증상처방 <-전략적 모델 기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8. 가족생활주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0%

69. 다음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가족상담 모델과 개입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다세대 가족상담 - 자아분화 탐색
     2. 경험적 가족상담 - 빙산 치료
     3. 이야기치료 - 가족갈등의 외재화
     4. 구조적 가족상담 - 가족 구조의 변화
     5. 해결중심 단기 가족상담 - 과거 문제 발달사

     정답 : []
     정답률 : 54%

70. 다음의 각 ( )에 들어갈 용어들을 옳게 연결한 것은?(2018년 10월)

    

     1. A: 사이버네틱스, B: 부적 피드백, C: 일반체계이론
     2. A: 일반체계이론, B: 부적 피드백, C: 전체성
     3. A: 일반체계이론, B: 정적 피드백, C: 사이버네틱스
     4. A: 일반체계이론, B: 부적 피드백, C: 상보성
     5. A: 사이버네틱스, B: 정적 피드백, C: 순환성

     정답 : []
     정답률 : 17%

71.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발달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0%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개념은?(2017년 09월)

    

     1. 경계
     2. 항상성
     3. 피드백
     4. 하위체계
     5. 사이버네틱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 상담자와 아동의 대화에 나타난 이야기치료 기법은?(2019년 10월)

    

     1. 모방
     2. 공명하기
     3. 스캐폴딩
     4. 외재화하기
     5. 대안적 이야기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문제를 객관적으로 보고 검토할 수 있도록 문제를 내담자에게서 외부화함. (ex. "말더듬이 도깨비가 나를 말 더듬게 한다. )
[해설작성자 : 짛니]

74. 다음 가계도에서 IP(Identified Patient)의 가족역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IP는 모와 친밀한 관계이다.
     2. IP는 계부와 소원한 관계이다.
     3. IP는 이복 여동생과 갈등관계이다.
     4. IP의 이복 여동생은 친모와 단절되어 있다.
     5. IP의 모는 알코올 남용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0%

75. 가족상담의 기본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토마스와 로빈슨(Thomas & Robinson)의 PQ4R의 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ㄹ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ㄴ, ㄷ, ㄹ, ㅁ
     5. ㄴ, ㄷ, ㅁ, ㅂ

     정답 : []
     정답률 : 0%

77. 로젠샤인과 스티븐스(B. Rosenshine & R. Stevens)가 제시한 피드백 유형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2025년 09월)

    

     1. 귀인 피드백
     2. 강화 피드백
     3. 동기 피드백
     4. 수행 피드백
     5. 전략 피드백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로크와 라뎀(Locke & Lathem)의 목표설정이론에서 동기향상을 위한 조건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9%

79. 다음에서 혜진이가 보이는 학습부진 요인은?(2019년 10월)

    

     1. 인지적 요인
     2. 정서적 요인
     3. 사회적 요인
     4. 환경적 요인
     5. 관계적 요인

     정답 : []
     정답률 : 8%

80. 학습과 관련된 호소문제와 그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성적 하락문제로 심한 좌절감과 열등감을 갖게 된다.
     2. 시험불안문제로 지나치게 성적에 집착하고 하락을 두려워 한다.
     3. 학업능률의 저하문제로 학습동기가 매우 낮으며 적은 시간 투여로 성적이 오르지 않거나 부진하다.
     4. 학업에 대한 회의나 낮은 동기 문제로 다른 놀이에 많은 시간을 투여한다.
     5. 학업관련 파생문제로 성적이 부진한 학생에 대한 무시나 놀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

81. 맥키치(W. McKeachie)가 제시한 학습전략 중 자원관리 전략이 아닌 것은?(2019년 10월)
     1. 따라 읽음, 밑줄 치기, 복사 등의 시연
     2. 목표설정, 시간표 작성 등의 시간 관리
     3. 장소정리, 조용한 장소에서 하는 공부환경 조성
     4. 노력에 대한 귀인, 자기강화 등의 노력
     5. 교사나 동료로부터의 조력을 추구

     정답 : []
     정답률 : 4%

82. 발표불안에 관한 개입 방안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5%

83. 학업적 미루기 대처전략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자기조절행동 점검
     2. 부정적인 자기언어(self-talk) 사용 점검
     3. 동기부족, 완벽주의, 빈약한 시간 관리 및 조직 기술 점검
     4. 큰 과제를 시간이 더 적게 소요되는 작은 과제들로 나눠서 접근
     5. 재미있는 일을 먼저하고 싫어하는 일을 이어서하는 프리맥(Premack)의 원리 활용

     정답 : []
     정답률 : 47%

84. 커크(S. Kirk)와 찰판트(J. Chalfant)가 제안한 학습장애의 하위 유형 중 학업적 학습장애를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학습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학습 내용을 언어로 익힐 뿐만 아니라 이미지로 떠올려 보는 것을 유의미화라고 한다.
     2. 읽기 전 전략으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하기 전에 관련된 기존 지식을 떠올리는 것을 구조화라고 한다.
     3. 읽기를 본격적으로 하기 전에 배울 내용이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전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요약이라 한다.
     4. 중요한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단순히 반복하여 말하고 쓰는 것을 정교화라고 한다.
     5. 학습 내용들 간의 논리적 관계를 염두에 두고 내용을 정리하는 것을 조직화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5%

86. 다음에 해당하는 학습장애 지도방법은?(2024년 10월)

    

     1. 또래 교수
     2. 내재적 교수
     3. 명시적 교수
     4. 스캐폴딩 교수
     5. 상보적 교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7. 앳킨슨과 시프린(Atkinson & Shiffrin)의 이중저장기억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감각등록기에서 받아들인 정보는 그대로 사라진다.
     2. 작업기억의 저장 용량은 7±2 단위 정도의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다.
     3. 작업기억에서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청킹(chunking) 등이 있다.
     4. 감각등록기에서 작업기억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시연 등의 인지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5. 장기기억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정보의 심층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0%

88. 다음에 해당하는 창의적 사고 발상 기법은?(2024년 10월)

    

     1. 시네틱스(Synetics)
     2. 스캠퍼(SCAMPER)
     3. 체크리스트(Checklist)
     4. PMI(Plus-Minus-Interest)
     5. 마인드맵핑(Mind Mapping)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주의집중력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상담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생물학적 원인에 의한 주의집중력 문제를 가진 내담자는 어릴 때부터 많은 호기심, 높은 에너지 수준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2. Think Aloud 훈련은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개입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3. 과도한 조기교육이나 선수학습 등과 같은 흥미나 동기 수준을 뛰어넘는 교육적ㆍ문화적 자극은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학습 결손의 누적은 주의집중력에 영향을 미친다.
     5. 지나치게 비구조화 되어 있는 생활환경은 주의집중력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0%

90. 학업부진 영재아를 돕기 위한 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완벽을 추구하는 내담자에게는 자신의 능력보다 높은 이상적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2. 과민성을 보이는 내담자에게는 자극에 대해 선택적으로 주의를 집중하게 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내담자가 대인관계를 통해 관계기술을 적절히 학습하고 있는지 검토한다.
     4. 상담과정에서 가족 및 부모의 지지와 참여를 강조한다.
     5. 학업적 특성에 맞는 교육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답 : []
     정답률 : 8%

91. ( )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2017년 09월)

    

     1. 흥미
     2. 동기
     3. 조절
     4. 효능감
     5. 자아개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2. 마이켄바움과 굿맨(Meichenbaum & Goodman)이 제시한 자기-교시 훈련 단계에 따르면, 상담자는 보기의 바로 다음 단계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2019년 10월)

    

     1. 동환이로 하여금 소리 내지 않고 마음속으로 자기 통제 언어를 사용하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2. 상담자의 시연과 지도하에 동환이가 자기 통제 언어를 큰소리로 말하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3. 동환이로 하여금 자기통제 언어를 입 밖으로 소리내되 작은 소리를 내면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4. 동환이가 가지고 있는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수정하여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5. 상담자가 과제를 수행하면서 입 밖으로 자기통제 언어를 큰 소리로 말하고, 동환이에게 관찰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

93. 반두라(A. Bandura)가 제시한 효능감 정보원이 아닌 것은?(2019년 10월)
     1. 성공경험
     2. 생리적ㆍ정서적 상태
     3. 대리적 경험
     4. 귀인의 통제소재
     5. 언어적(사회적) 설득

     정답 : []
     정답률 : 7%

94. DSM-5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의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보유한 학습기술이 개인의 생활연령에 비추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양적으로 낮고, 학업 및 직업적 수행 또는 일상생활 활동을 현저히 방해한다.
     2.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의 어려움이 적절한 중재를 제공했음에도, 특정 증상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3.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검사에서 읽기, 수학, 쓰기능력이 개인의 생활연령, 측정된 지능 그리고 나이에 적합한 교육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낮다(표준화검사 결과와 지능지수 사이에 2 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남).
     4.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기술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하게 드러날 수도 있다.
     5. 학습의 어려움은 지적장애, 교정되지 않은 시력 및 청력의 문제, 다른 정신적 또는 신경학적 장애, 정신사회적 불행, 학습지도사가 해당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경우, 불충분한 교육적 지도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
     <문제 해설>
3번 지문은 국립특수교육원의 학습장애 선별기준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95. 고등학생 민주가 호소하는 고민의 내용이다. 상담자의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민주의 호소내용은 시험불안에 관한 것임을 알아차리고 시험불안에 대해 다룬다.
     2. 시험불안의 요인인 걱정과 감정 중 어떤 요인이 현재 민주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
     3. 민주가 경험하고 있는 시험불안의 원인을 탐색한다.
     4. 호소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민주와의 상담관계를 형성하는데 주력한다.
     5. 합리적 사고를 가지도록 체계적 둔감법을 훈련한다.

     정답 : []
     정답률 : 0%

96. DSM-5에서 제시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부주의 증상은 학업적 결함과 또래들의 무시와도 연관이 있다.
     2. 과잉행동은 적절치 않은 상황에서 과도한 운동 활동이나 과도하게 꼼지락거리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3. 부주의는 과제를 수행하지 않고 돌아다니기, 지속적인 집중의 어려움과 같은 모습으로도 발현되며, 이는 이해의 부족이나 반항에서 기인한 것이다.
     4. 학습과제, 연필, 책 등 과제와 활동에 필요한 물건들을 자주 잃어버리는 것은 ADHD 진단에 포함되는 증상 중 하나이다.
     5. ADHD에 진단적인 생물학적 표지자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0%

97. 학업상담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1년 10월)
     1. 사례관리 - 문제진단 - 목표설정 - 상담관계 형성
     2. 상담구조화 - 개입전략 설정 - 목표설정 - 사례관리
     3. 문제진단 - 목표설정 - 개입전략 설정 - 사례관리
     4. 문제진단 - 상담관계 형성 - 사례관리 - 개입전략 설정
     5. 개입전략 설정 - 문제진단 - 목표설정 - 사례관리

     정답 : []
     정답률 : 0%

98. 학습 무동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데시(E. Deci)와 라이언(R. Ryan)은 동기의 변화 과정을 무동기,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순으로 발달해간다고 설명하였다.
     2. 사회적 보상에 둔감하고 인내력이 낮은 특성은 학습 무동기의 기질적 원인에 해당한다.
     3. 학습동기가 내면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4. 학습된 무기력과 관련되어 있으며 자신의 반응이 어떠한 영향도 미칠 수 없다는 것을 학습한 결과에 기인한다.
     5.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기초하여 무동기의 원인을 설명하는 입장은 인간중심적 관점이다.

     정답 : []
     정답률 : 7%

99. 발표불안에 대한 개입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내담자의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합리적으로 변화시킨다.
     2. 자기 대화하기는 발표 전, 중, 후에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3. 부모나 교사의 칭찬과 격려를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킨다.
     4. 발표를 반복적으로 연습하게 한다.
     5. 위계적 발표불안 리스트를 작성하여 불안이 가장 높은 단계부터 체계적 둔감법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0%

100. 에프클라이즈(A. Efklides)의 정의에 기반하여 메타인지를 '모니터링'과 '통제'로 구분할 때 모니터링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10월)
     1. 의식적이고 계획적인 활동 및 전략 사용
     2. 인지기능에 대한 생각
     3. 인지과정에 대한 조절
     4. 노력의 분배
     5. 시간의 분배

     정답 : []
     정답률 : 8%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22748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33 인간공학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232 소방공무원(공개)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31 사회복지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9
2230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29 원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28 9급 국가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227 9급 지방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26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9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25 생산자동화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24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23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22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1일)(5227482) 좋은아빠되기 2025.11.11 7
2220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2219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6
2218 수능(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3
2217 청소년상담사 1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16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15 설비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7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1 5
2214 9급 지방직 공무원 교육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1 4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204 Next
/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