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598382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선사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구석기 중기에는 큰 몸돌에서 떼어 낸 돌조각인 격지들을 가지고 잔손질을 하여 석기를 만들었다.
     2. 강원 양양 지경리 유적은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움집 자리로, 동그란 모양의 바닥 중앙에 화덕 자리가 있다.
     3. 신석기 시대는 아직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발생하지 않았고, 연장자나 경험이 많은 자가 자기 부족을 이끌어 나가는 평등 사회였다.
     4. 신석기 시대에는 민무늬 토기 이외에 입술 단면에 원형, 방형, 삼각형의 덧띠를 붙인 덧띠 토기, 검은 간토기 등도 사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4.붉은 간토기는 신석기,청동기 시대 사용된 토기. <-> 검은 간토기는 청동기,초기철기시대에 사용된 토기.

2. 다음은 삼국의 항쟁에 대한 기록이다. 밑줄 친 국가에서 이 전쟁 이후에 벌어진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5월)

   

     1.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하게 하였다.
     2.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에 의해 불교가 전래되었다.
     3. 고구려의 남하 정책에 대항하여 신라의 눌지왕과 동맹을 체결하였다.
     4. 박사 고흥이 「서기」를 편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영락 - 광개토대왕
백잔 - 백제

1.근초고왕
2.침류왕
4.근초고왕 고흥 서기.

3. 가야 연맹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금관가야가 전기 가야 연맹의 중심이었다.
     2. 5세기 초 고구려와 신라 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타격을 입었다.
     3. 후기 가야 연맹은 소백산맥 너머 호남 동부 지역까지 권역을 넓혔다.
     4. 백제 멸망 후 부흥군을 도와 백강 전투를 벌였으나 당나라 군대에게 패배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4. 백제 부흥군을 도와 백강전투를 치룬건 왜.

4. 다음은 어느 역사서의 일부분이다. 밑줄 친 인물의 왕위 재위 기간에 일어난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5월)

   

     1. 갈문왕 제도가 사실상 폐지되고 상대등의 권한이 약화되었다.
     2. 비담과 염종 등 귀족 세력의 반란이 일어났다.
     3. 독자적인 연호를 폐지하고 당 고종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4.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이 축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보기는 진덕여왕때 신하 김춘추가 당태종을 찾아가서 648년에 나당동맹을 맺고오는 사료.
신하는 김춘추였고 김춘추가 왕이되었을때 찾는 문제.

1.김춘추 무열왕
2.비담 선덕여왕
3.독자연호 폐지 당 고종 연호 사용 - 진덕여왕
4.자장 황룡사 9층 목탑 - 선덕여왕

갈문왕제도 : 국왕과 일정한 관계하에 있는 신라 최고 성씨집단의 씨족장 혹은 가계 장.

5. 다음 중 조선후기 심화된 국학연구의 성과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이의봉의 『고금석림』에는 방언과 해외언어가 정리되어 있다.
     2. 이종휘의 『동사』는 일본 연구를 통해 고대사의 시야를 해외로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3. 안정복의 『동사강목』에는 고조선으로부터 고려말까지의 역사가 서술되어 있다.
     4.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최초로 100리척을 사용하여 정확하고 과학적인 지도 제작에 공헌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이종휘 동사는 고구려 연구를 통해 ,
유득공은 발해고를 통해 발해사 연구를 통해,
고대사의 시야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시킴으로써 한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을 극복.

6. 통일 이후 삼국 불교의 유산을 토대로 하고 중국과의 교류를 더하여 신라 불교는 다양하고 폭넓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의상은 모든 존재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화엄사상을 정립하였다.
     2. 진표는 법성종 승려로서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끌었다.
     3. 원효는 극락에 가고자 하는 아미타신앙을 자신이 직접 전도하며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4. 혜초는 자신이 돌아본 인도와 중앙아시아의 풍물을 생생하게 기록한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진표 : 미륵신앙을 중시한 승려. 한반도 미륵신앙의 시조.

의상 : 의상은 화엄종단에서 아미타 신앙 +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끔.

7. 고려시대의 통치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중서문하성은 국가의 정책을 심의하는 재신과 정치의 잘못을 비판하는 낭사로 구성되었다.
     2. 중추원은 군사기밀을 담당하는 추밀과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승선으로 구성되었다.
     3. 대간은 왕의 잘못을 논하는 간쟁과 잘못된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 보내는 봉박, 관리의 임명과 법령의 개정이나 폐지 등에 동의하는 서경권을 가지고 있었다.
     4. 원 간섭기에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을 합쳐 첨의부로 하고, 6부는 4사로 통폐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원 간섭기에는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로, 6부는 4사로 통폐합 하고 중추원은 밀직사로 바꿔 격을 낮추었다.

8. 다음 역사적 사실들을 시대 순서대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2013년 08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교장 - 대장경에 대하여 해석한 장소를 수집하여 목록을 정리한 불교서.
교장도감을 설치하고 간행준비. 1100년(선종)쯤 간행.

삼국사기 - 1145년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삼국시대 역사서.

상정고금예문 - 고려 고종 최충헌때(1234~1241년) 고금의 예의를 수집 고증하여 50권으로 묶은 예서.(시작은 인종)

삼국유사 - 원간섭기 일연이 1281~83년쯤 저술한 역사책
[해설작성자 : ㄹ과 ㄴ을 아느냐]

9. 고려시대 불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2월)
     1. 의천은 대립상태에 있었던 교종과 선종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자, 먼저 선종의 여러 종파를 종합하고, 해동 천태종을 열어 교종을 융합하고자 하였다.
     2. 광종은 과거제를 실시하였으나, 승과는 두지 않았다.
     3. 지눌과 혜심의 활동은 교종을 후원하고자 하는 무신정권의 지원을 받았다.
     4. 지눌의 뒤를 이은 혜심은 유ㆍ불 일치설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의천 교종중심 교,선종 통합
2.승과 있었음. 교종선 선종선 나누어 실시. 승계는 원칙적으로 승과에 합격한 스님들만 받을 수 있었음.
3.지눌 선종.

4.지눌의 제자인 혜심은 유불일치설 주장.
-신라 승려 원측은 유식학.

10. 조선시대 수취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공법은 토지 결수에 따라 지방의 토산물을 거두는 수취 제도였다.
     2. 전세는 과전법에 있어서 수확량의 10분의 1로 되어 있었으나, 세종 때에는 토지 비옥도와 풍흉의 정도에 따라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을 실시하여 차등 있게 부과하였다.
     3. 국가는 재정의 토대가 되는 수취 체제를 운영하기 위해 토지 대장인 양안과 인구 대장인 호적을 작성하였다. 이는 전세, 역 등을 백성에게 부과하는 근거가 되었다.
     4. 역에는 교대로 번상해야 하는 군역과 1년에 일정한 기간 노동에 종사해야 하는 요역이 있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공법 - 세종때 비옥도와 풍흉의 정도로 조세를 징수하는 제도.

토지 결수와 호구수를 참작하여 지방의 '토산물'을 거두는 제도는 공납.
기준도 분명하지 않고 수취과정도 지방관과 향리가 재량것 담당.
이러한 재량때문에 방납의 폐단이 발생하고 광해군때 대동법 시행

11. 조선 시대 붕당정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9월)
     1. 붕당의 출현 당시 척신정치의 잔재를 어떻게 청산할 것인가를 두고 기성사림과 신진사림 사이의 갈등이 심해졌으며, 기성사림을 중심으로 동인이 형성되었다.
     2. 이황과 조식의 학통을 계승한 동인은 정여립 모반 사건 등을 계기로 온건파인 북인과 급진파인 남인으로 나뉘었다.
     3. 노론은 윤증을 중심으로 결집하여 실리를 중시하는 한편 적극적인 북방 개척을 주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4. 현종 때 두 차례의 예송이 발생하면서 서인과 남인 사이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훈구파 청산을 놓고 신진사림이 동인 기성사림이 서인.

2.정여립 모반사건을 계기로 정철에의해 동인이 갈려나감->이후 광해군    세자책봉문제로 정철을 포함한 서인이 갈려나감
이후 동인은 남,북인으로 갈려서 남명 조식 강경파 북인과, 퇴계이황 온건파 남인으로 나뉨.

3.서인은 이후 경신환국으로 노장파 노론,, 소장파 소론 으로 갈리며
노론은 남인 강경파,명분과 민생을 중시, 송시열 중심
소론은 남인 온건파,실용과 북방개척을 중시, 윤증 중심

12. 조선시대 사림 세력의 분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부터 ㉣까지의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과 ㉡은 이조 전랑 자리를 놓고 서로 경쟁하였다.
     2. ㉢이 ㉡을 역모로 몰아 정권을 독점한 경신환국 이후 ㉢은 ㉡에 대한 처벌 등의 문제로 분열되었다.
     3. 현종 때 두 차례의 예송이 발생하면서 ㉡과 ㉢사이에 대립이 격화되었고, 이때 ㉡은 상대적으로 신권을 강조하였다.
     4. 임진왜란이 끝난 뒤 ㉣이 집권하여 광해군 때까지 정국을 주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ㄱ 동인
ㄴ 서인
ㄷ 남인
ㄹ 북인

2. 남인과 서인 반대로 (ㄴ<->ㄷ)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은 조선 시대 양난 이후 수취 체제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영정법에서는 연분 9등법을 따르지 않고 풍흉에 관계없이 전세를 토지 1결당 미곡 4두로 고정시켰다.
     2. 대동법의 시행으로 공납이 전세화되어 농민은 대체로 토지 1결당 미곡 12두만 납부하면 되었다.
     3. 영정법에 따라 전세의 비율이 이전 보다 다소 낮아져 대다수 농민의 부담이 경감되었다.
     4. 대동법은 부족한 국가 재정을 보완하고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개혁론으로 제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9%

14. (가), (나) 조약 체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통리기무아문이 철폐되었다.
     2. 묄렌도르프가 고문으로 파견되었다.
     3. 청과 일본 사이에 톈진 조약이 체결되었다.
     4. 부들러가 조선의 영세 중립 선언을 권고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가) 1882 제물포조약
(나) 1884.11 한성조약

1. 1882 임오군란 대원군 집권 시
2. 임오군란 결과
3. 1885
4. 1885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15. 다음 왕의 치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스스로 초월적 군주로 군림하면서 스승의 입장에서 신하들을 양성하고 재교육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초계문신제도를 시행하였다.
     2. 「대전통편」 편찬과 같은 법전 재정비를 통하여 국가의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3. 죄인의 가족을 잡아 가두는 법을 폐지하고, 노비에 대한 상전의 사적인 형벌을 철저하게 금했으며, 신문고를 다시 설치하여 백성들의 억울한 일을 풀어주려 하였다.
     4.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여 사상(私商)의 자유로운 시장 활동을 어느 정도 가능케 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만천명월 주인옹 자서』, 정조
③ 영조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3706]

16. 다음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만동묘를 철폐하고 폐단이 큰 서원을 철폐하도록 하였다.
     2.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부활시켜 각각 정치와 군사의 최고 기관으로 삼았다.
     3.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경복궁을 재건하고, 광화문 앞의 육조 거리 등 한양의 도시 구조를 복원하였다.
     4. 정치 제도를 개혁하기 위하여 비변사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흥선대원군에 대한 사료

4.비변사를 폐지하였다
[해설작성자 : 킹경준소방합격]

17. 다음은 항일 의병에 대한 설명이다. 밑줄 친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 ㉠고종 황제의 강제퇴위, ㉡단발령
     2. ㉠명성 황후의 시해, ㉡단발령
     3. ㉠명성 황후의 시해, ㉡군대 해산
     4. ㉠고종 황제의 강제퇴위, ㉡군대 해산

     정답 : []
     정답률 : 84%

18. 다음 중 1904년 2월에 체결된 한 일 의정서 에 들어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5월)
     1. 한국 정부의 법령 제정 및 중요한 행정상의 처분은 미리 통감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2. 대한 정부는 일본 정부가 추천한 외국인 1명을 외교 고문으로 삼아 외부에 용빙하여 외교에 관한 중요한 사무는 일체 그의 의견을 물어서 시행해야 한다.
     3. 제3국의 침해나 혹은 내란으로 인하여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과 영토의 보전에 위험이 있을 경우에는 일본 제국 정부는 속히 정황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4. 일본국 정부는 한국과 타국 간에 현존하는 조약의 실행을 완수하는 임무를 담당하고 한국 정부는 지금부터 일본국 정부의 중개를 거치지 않고서는 국제적 성질을 가진 어떤 조약이나 약속을 맺지 않을 것을 서로 약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정미칠조약 1907(군대해산)
2.1차 한일협약 1904 8월 22일 (고문정치)
3.한일의정서 1904 2월23일 (러일전쟁,동양평화,군략상 필요지점)
4.을사조약 1905 11월7일(통감정치)

19. 일본 제국주의가 한국민족 말살을 위해서 추진한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총독부가 설치한 조선사편수회는 식민주의 사관을 토대로 조선사를 편찬하여 한국사의 왜곡에 앞장섰다.
     2. 식민지 국민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를 강조하면서, 낮은 수준의 실업교육을 통해서 식민지 공업화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려 하였다.
     3. 1930년대에 들어와서 한국인의 반일감정을 무마하기 위하여 조선어를 선택과목으로 규정하고, 최초의 대학기관인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였다.
     4. 일제는 대륙 침략을 본격화하면서 신사참배를 강요하였으며, 이에 저항하는 종교 교단과 지도자들을 박해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911 1차 조선교육령 - 일본어교육,충량한 국민,저급한 실업교육,한국 우민화.

1922 2차 조선교육령 - 보통학교수업 4->6년, 경성제국대,

3차 조선교육령
- 보통학교를 심상소학교 고등보통학교를 중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를 고등여학교로 개명.
- 일본어 수신 체육 교과 강화 황국신민 양성.
- 조선어 수의과. 선택과목
- 사립중학교 설립 불허.
- 기독교 계통 학교의 성경과목 폐지
- 조선어학회 사건

1943 4차 조선교육령 - 조선어와 한국사 교육 금지.

1945 전시 교육령. 학도병. 방공호 작업군사훈련.

20. 다음은 통일을 위한 노력과 관련된 자료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명문화한 문서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 6ㆍ15 남북 공동 선언
     2. 7ㆍ4 남북 공동 성명
     3.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4.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

     정답 : []
     정답률 : 80%


정 답 지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598382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선사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구석기 중기에는 큰 몸돌에서 떼어 낸 돌조각인 격지들을 가지고 잔손질을 하여 석기를 만들었다.
     2. 강원 양양 지경리 유적은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살았던 움집 자리로, 동그란 모양의 바닥 중앙에 화덕 자리가 있다.
     3. 신석기 시대는 아직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가 발생하지 않았고, 연장자나 경험이 많은 자가 자기 부족을 이끌어 나가는 평등 사회였다.
     4. 신석기 시대에는 민무늬 토기 이외에 입술 단면에 원형, 방형, 삼각형의 덧띠를 붙인 덧띠 토기, 검은 간토기 등도 사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94%
     <문제 해설>
4.붉은 간토기는 신석기,청동기 시대 사용된 토기. <-> 검은 간토기는 청동기,초기철기시대에 사용된 토기.

2. 다음은 삼국의 항쟁에 대한 기록이다. 밑줄 친 국가에서 이 전쟁 이후에 벌어진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5월)

   

     1.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하게 하였다.
     2. 동진에서 온 마라난타에 의해 불교가 전래되었다.
     3. 고구려의 남하 정책에 대항하여 신라의 눌지왕과 동맹을 체결하였다.
     4. 박사 고흥이 「서기」를 편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영락 - 광개토대왕
백잔 - 백제

1.근초고왕
2.침류왕
4.근초고왕 고흥 서기.

3. 가야 연맹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12월)
     1. 금관가야가 전기 가야 연맹의 중심이었다.
     2. 5세기 초 고구려와 신라 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타격을 입었다.
     3. 후기 가야 연맹은 소백산맥 너머 호남 동부 지역까지 권역을 넓혔다.
     4. 백제 멸망 후 부흥군을 도와 백강 전투를 벌였으나 당나라 군대에게 패배했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4. 백제 부흥군을 도와 백강전투를 치룬건 왜.

4. 다음은 어느 역사서의 일부분이다. 밑줄 친 인물의 왕위 재위 기간에 일어난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5월)

   

     1. 갈문왕 제도가 사실상 폐지되고 상대등의 권한이 약화되었다.
     2. 비담과 염종 등 귀족 세력의 반란이 일어났다.
     3. 독자적인 연호를 폐지하고 당 고종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4. 자장의 건의로 황룡사 9층 목탑이 축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보기는 진덕여왕때 신하 김춘추가 당태종을 찾아가서 648년에 나당동맹을 맺고오는 사료.
신하는 김춘추였고 김춘추가 왕이되었을때 찾는 문제.

1.김춘추 무열왕
2.비담 선덕여왕
3.독자연호 폐지 당 고종 연호 사용 - 진덕여왕
4.자장 황룡사 9층 목탑 - 선덕여왕

갈문왕제도 : 국왕과 일정한 관계하에 있는 신라 최고 성씨집단의 씨족장 혹은 가계 장.

5. 다음 중 조선후기 심화된 국학연구의 성과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2년 02월)
     1. 이의봉의 『고금석림』에는 방언과 해외언어가 정리되어 있다.
     2. 이종휘의 『동사』는 일본 연구를 통해 고대사의 시야를 해외로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3. 안정복의 『동사강목』에는 고조선으로부터 고려말까지의 역사가 서술되어 있다.
     4.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최초로 100리척을 사용하여 정확하고 과학적인 지도 제작에 공헌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이종휘 동사는 고구려 연구를 통해 ,
유득공은 발해고를 통해 발해사 연구를 통해,
고대사의 시야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시킴으로써 한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을 극복.

6. 통일 이후 삼국 불교의 유산을 토대로 하고 중국과의 교류를 더하여 신라 불교는 다양하고 폭넓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의상은 모든 존재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화엄사상을 정립하였다.
     2. 진표는 법성종 승려로서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끌었다.
     3. 원효는 극락에 가고자 하는 아미타신앙을 자신이 직접 전도하며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4. 혜초는 자신이 돌아본 인도와 중앙아시아의 풍물을 생생하게 기록한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진표 : 미륵신앙을 중시한 승려. 한반도 미륵신앙의 시조.

의상 : 의상은 화엄종단에서 아미타 신앙 +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끔.

7. 고려시대의 통치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중서문하성은 국가의 정책을 심의하는 재신과 정치의 잘못을 비판하는 낭사로 구성되었다.
     2. 중추원은 군사기밀을 담당하는 추밀과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승선으로 구성되었다.
     3. 대간은 왕의 잘못을 논하는 간쟁과 잘못된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 보내는 봉박, 관리의 임명과 법령의 개정이나 폐지 등에 동의하는 서경권을 가지고 있었다.
     4. 원 간섭기에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을 합쳐 첨의부로 하고, 6부는 4사로 통폐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원 간섭기에는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로, 6부는 4사로 통폐합 하고 중추원은 밀직사로 바꿔 격을 낮추었다.

8. 다음 역사적 사실들을 시대 순서대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2013년 08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교장 - 대장경에 대하여 해석한 장소를 수집하여 목록을 정리한 불교서.
교장도감을 설치하고 간행준비. 1100년(선종)쯤 간행.

삼국사기 - 1145년 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삼국시대 역사서.

상정고금예문 - 고려 고종 최충헌때(1234~1241년) 고금의 예의를 수집 고증하여 50권으로 묶은 예서.(시작은 인종)

삼국유사 - 원간섭기 일연이 1281~83년쯤 저술한 역사책
[해설작성자 : ㄹ과 ㄴ을 아느냐]

9. 고려시대 불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2월)
     1. 의천은 대립상태에 있었던 교종과 선종의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자, 먼저 선종의 여러 종파를 종합하고, 해동 천태종을 열어 교종을 융합하고자 하였다.
     2. 광종은 과거제를 실시하였으나, 승과는 두지 않았다.
     3. 지눌과 혜심의 활동은 교종을 후원하고자 하는 무신정권의 지원을 받았다.
     4. 지눌의 뒤를 이은 혜심은 유ㆍ불 일치설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 의천 교종중심 교,선종 통합
2.승과 있었음. 교종선 선종선 나누어 실시. 승계는 원칙적으로 승과에 합격한 스님들만 받을 수 있었음.
3.지눌 선종.

4.지눌의 제자인 혜심은 유불일치설 주장.
-신라 승려 원측은 유식학.

10. 조선시대 수취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9월)
     1. 공법은 토지 결수에 따라 지방의 토산물을 거두는 수취 제도였다.
     2. 전세는 과전법에 있어서 수확량의 10분의 1로 되어 있었으나, 세종 때에는 토지 비옥도와 풍흉의 정도에 따라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을 실시하여 차등 있게 부과하였다.
     3. 국가는 재정의 토대가 되는 수취 체제를 운영하기 위해 토지 대장인 양안과 인구 대장인 호적을 작성하였다. 이는 전세, 역 등을 백성에게 부과하는 근거가 되었다.
     4. 역에는 교대로 번상해야 하는 군역과 1년에 일정한 기간 노동에 종사해야 하는 요역이 있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공법 - 세종때 비옥도와 풍흉의 정도로 조세를 징수하는 제도.

토지 결수와 호구수를 참작하여 지방의 '토산물'을 거두는 제도는 공납.
기준도 분명하지 않고 수취과정도 지방관과 향리가 재량것 담당.
이러한 재량때문에 방납의 폐단이 발생하고 광해군때 대동법 시행

11. 조선 시대 붕당정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9월)
     1. 붕당의 출현 당시 척신정치의 잔재를 어떻게 청산할 것인가를 두고 기성사림과 신진사림 사이의 갈등이 심해졌으며, 기성사림을 중심으로 동인이 형성되었다.
     2. 이황과 조식의 학통을 계승한 동인은 정여립 모반 사건 등을 계기로 온건파인 북인과 급진파인 남인으로 나뉘었다.
     3. 노론은 윤증을 중심으로 결집하여 실리를 중시하는 한편 적극적인 북방 개척을 주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4. 현종 때 두 차례의 예송이 발생하면서 서인과 남인 사이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훈구파 청산을 놓고 신진사림이 동인 기성사림이 서인.

2.정여립 모반사건을 계기로 정철에의해 동인이 갈려나감->이후 광해군    세자책봉문제로 정철을 포함한 서인이 갈려나감
이후 동인은 남,북인으로 갈려서 남명 조식 강경파 북인과, 퇴계이황 온건파 남인으로 나뉨.

3.서인은 이후 경신환국으로 노장파 노론,, 소장파 소론 으로 갈리며
노론은 남인 강경파,명분과 민생을 중시, 송시열 중심
소론은 남인 온건파,실용과 북방개척을 중시, 윤증 중심

12. 조선시대 사림 세력의 분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부터 ㉣까지의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7년 03월)

    

     1. ㉠과 ㉡은 이조 전랑 자리를 놓고 서로 경쟁하였다.
     2. ㉢이 ㉡을 역모로 몰아 정권을 독점한 경신환국 이후 ㉢은 ㉡에 대한 처벌 등의 문제로 분열되었다.
     3. 현종 때 두 차례의 예송이 발생하면서 ㉡과 ㉢사이에 대립이 격화되었고, 이때 ㉡은 상대적으로 신권을 강조하였다.
     4. 임진왜란이 끝난 뒤 ㉣이 집권하여 광해군 때까지 정국을 주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ㄱ 동인
ㄴ 서인
ㄷ 남인
ㄹ 북인

2. 남인과 서인 반대로 (ㄴ<->ㄷ)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다음은 조선 시대 양난 이후 수취 체제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영정법에서는 연분 9등법을 따르지 않고 풍흉에 관계없이 전세를 토지 1결당 미곡 4두로 고정시켰다.
     2. 대동법의 시행으로 공납이 전세화되어 농민은 대체로 토지 1결당 미곡 12두만 납부하면 되었다.
     3. 영정법에 따라 전세의 비율이 이전 보다 다소 낮아져 대다수 농민의 부담이 경감되었다.
     4. 대동법은 부족한 국가 재정을 보완하고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개혁론으로 제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9%

14. (가), (나) 조약 체결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통리기무아문이 철폐되었다.
     2. 묄렌도르프가 고문으로 파견되었다.
     3. 청과 일본 사이에 톈진 조약이 체결되었다.
     4. 부들러가 조선의 영세 중립 선언을 권고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가) 1882 제물포조약
(나) 1884.11 한성조약

1. 1882 임오군란 대원군 집권 시
2. 임오군란 결과
3. 1885
4. 1885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15. 다음 왕의 치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스스로 초월적 군주로 군림하면서 스승의 입장에서 신하들을 양성하고 재교육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초계문신제도를 시행하였다.
     2. 「대전통편」 편찬과 같은 법전 재정비를 통하여 국가의 집권 체제를 확립하고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3. 죄인의 가족을 잡아 가두는 법을 폐지하고, 노비에 대한 상전의 사적인 형벌을 철저하게 금했으며, 신문고를 다시 설치하여 백성들의 억울한 일을 풀어주려 하였다.
     4.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여 사상(私商)의 자유로운 시장 활동을 어느 정도 가능케 했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만천명월 주인옹 자서』, 정조
③ 영조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3706]

16. 다음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만동묘를 철폐하고 폐단이 큰 서원을 철폐하도록 하였다.
     2.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부활시켜 각각 정치와 군사의 최고 기관으로 삼았다.
     3.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경복궁을 재건하고, 광화문 앞의 육조 거리 등 한양의 도시 구조를 복원하였다.
     4. 정치 제도를 개혁하기 위하여 비변사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흥선대원군에 대한 사료

4.비변사를 폐지하였다
[해설작성자 : 킹경준소방합격]

17. 다음은 항일 의병에 대한 설명이다. 밑줄 친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 ㉠고종 황제의 강제퇴위, ㉡단발령
     2. ㉠명성 황후의 시해, ㉡단발령
     3. ㉠명성 황후의 시해, ㉡군대 해산
     4. ㉠고종 황제의 강제퇴위, ㉡군대 해산

     정답 : []
     정답률 : 84%

18. 다음 중 1904년 2월에 체결된 한 일 의정서 에 들어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20년 05월)
     1. 한국 정부의 법령 제정 및 중요한 행정상의 처분은 미리 통감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
     2. 대한 정부는 일본 정부가 추천한 외국인 1명을 외교 고문으로 삼아 외부에 용빙하여 외교에 관한 중요한 사무는 일체 그의 의견을 물어서 시행해야 한다.
     3. 제3국의 침해나 혹은 내란으로 인하여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과 영토의 보전에 위험이 있을 경우에는 일본 제국 정부는 속히 정황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4. 일본국 정부는 한국과 타국 간에 현존하는 조약의 실행을 완수하는 임무를 담당하고 한국 정부는 지금부터 일본국 정부의 중개를 거치지 않고서는 국제적 성질을 가진 어떤 조약이나 약속을 맺지 않을 것을 서로 약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1.정미칠조약 1907(군대해산)
2.1차 한일협약 1904 8월 22일 (고문정치)
3.한일의정서 1904 2월23일 (러일전쟁,동양평화,군략상 필요지점)
4.을사조약 1905 11월7일(통감정치)

19. 일본 제국주의가 한국민족 말살을 위해서 추진한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총독부가 설치한 조선사편수회는 식민주의 사관을 토대로 조선사를 편찬하여 한국사의 왜곡에 앞장섰다.
     2. 식민지 국민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를 강조하면서, 낮은 수준의 실업교육을 통해서 식민지 공업화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려 하였다.
     3. 1930년대에 들어와서 한국인의 반일감정을 무마하기 위하여 조선어를 선택과목으로 규정하고, 최초의 대학기관인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였다.
     4. 일제는 대륙 침략을 본격화하면서 신사참배를 강요하였으며, 이에 저항하는 종교 교단과 지도자들을 박해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911 1차 조선교육령 - 일본어교육,충량한 국민,저급한 실업교육,한국 우민화.

1922 2차 조선교육령 - 보통학교수업 4->6년, 경성제국대,

3차 조선교육령
- 보통학교를 심상소학교 고등보통학교를 중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를 고등여학교로 개명.
- 일본어 수신 체육 교과 강화 황국신민 양성.
- 조선어 수의과. 선택과목
- 사립중학교 설립 불허.
- 기독교 계통 학교의 성경과목 폐지
- 조선어학회 사건

1943 4차 조선교육령 - 조선어와 한국사 교육 금지.

1945 전시 교육령. 학도병. 방공호 작업군사훈련.

20. 다음은 통일을 위한 노력과 관련된 자료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명문화한 문서로 옳은 것은?(2012년 10월)

    

     1. 6ㆍ15 남북 공동 선언
     2. 7ㆍ4 남북 공동 성명
     3.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4.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

     정답 : []
     정답률 : 8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598382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0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2
2407 가스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406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405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9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404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1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3
2403 금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489981)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402 사출(프레스)금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1564743)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401 종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1589240)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400 방수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2
2399 <h2>전기기능사 필기 시험문제 및 CBT 200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398 제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397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4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396 식품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395 토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2
2394 용접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393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9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392 전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06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5983822) 좋은아빠되기 2025.11.12 2
2390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9
2389 9급 지방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Board Pagination Prev 1 ...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 192 Next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