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67293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춘추용 한복재료로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옷감은?(2005년 04월)
     1. 숙고사, 관사, 부사견 등
     2. 생모시, 항라, 모시 등
     3. 자미사, 명주, 뉴똥 등
     4. 숙고사, 항라, 자미사 등

     정답 : []
     정답률 : 62%

2. 삼베를 바느질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재봉기 바늘은?(2009년 01월)
     1. 7호
     2. 9호
     3. 11호
     4. 14호

     정답 : []
     정답률 : 35%

3. 다음 중 여름철의 옷감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2005년 01월)
     1. 숙고사, 갑사, 공단 등
     2. 옥양목, 포플린, 오간디 등
     3. 생고사, 은조사, 공단 등
     4. 삼베, 모시, 안동포 등

     정답 : []
     정답률 : 96%

4. 비단(견)이 염기성 물감이나 산성물감에 염색이 잘되는 것은 섬유의 어떤 성분 때문인가?(2005년 01월)
     1. 피브로인 중의 아미노산
     2. 단백질 중의 탄소
     3. 세리신 중의 질소
     4. 피브로인 중의 탄소

     정답 : []
     정답률 : 85%

5. 다음 직물 중 3대 합성직물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나일론
     2. 스판덱스
     3. 폴리에스테르
     4. 아크릴

     정답 : []
     정답률 : 71%

6. 나일론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 결합은?(2006년 10월)
     1. 아미드 결합
     2. 펩타이드 결합
     3. 시스틴 결합
     4. 에스테르 결합

     정답 : []
     정답률 : 43%

7. 다음 옷감의 성질 중 서로 관계없이 짝지어진 것은?(2005년 04월)
     1. 강도 -- 내구성
     2. 흡습성 -- 땀
     3. 드레이프성 -- 맵시
     4. 내추성 -- 필링

     정답 : []
     정답률 : 88%

8. 천연섬유 중 동물성 섬유로 조직이 치밀하여 , 촉감이 좋고 우아한 윤택으로 품위가 있어 고급 옷감으로 많이 쓰이는 것은?(2005년 04월)
     1. 면직물
     2. 마직물
     3. 모직물
     4. 견직물

     정답 : []
     정답률 : 90%

9. 물에 담구었을 때 가장 많이 강도가 저하되는 섬유는?(2005년 04월)
     1. 양모
     2. 무명
     3. 나일론
     4. 레이온

     정답 : []
     정답률 : 45%

10. 다음의 섬유중에서 탄성 회복율이 가장 작은 섬유는?(2005년 04월)
     1. 나이론
     2. 레이온
     3.
     4.

     정답 : []
     정답률 : 65%

11. 전통적인 남자 어린이 한복의 색이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흰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남색조끼
     2. 보라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황색 조끼
     3. 흰색 바지, 연두색 저고리, 자주색 조끼
     4. 옥색바지, 분홍색 저고리, 연두색 조끼

     정답 : []
     정답률 : 57%

12. 남자 바지 저고리의 전통 한복색으로 가장 많이 쓰여졌던 색은?(2004년 02월)
     1. 흰색, 옥색, 회색
     2. 자주색, 녹색, 갈색
     3. 검은색, 자주색, 녹색
     4. 흰색, 갈색, 보라색

     정답 : []
     정답률 : 79%

13. 재래식 한복에서 결혼한 신부에게 입히던 치마,저고리의 색은?(2004년 02월)
     1. 노랑저고리,다홍치마
     2. 노랑저고리,남치마
     3. 녹색저고리,다홍치마
     4. 분홍저고리,남치마

     정답 : []
     정답률 : 54%

14. 다음 중 전통적(재래식) 남자 한복의 색은?(2004년 10월)
     1. 흰색바지와 옥색저고리
     2. 보라색바지 저고리
     3. 옥색바지 저고리
     4. 미색바지 저고리

     정답 : []
     정답률 : 75%

15. 앵삼은 연두색 포(袍)에 깃, 도련 둘레단 소매끝에 무슨 색의 선(選)을 대었는가?(2004년 02월)
     1. 흰색
     2. 자색
     3. 흑색
     4. 남색

     정답 : []
     정답률 : 53%

16. 다음 한복에서 황금비를 이루지 않는 옷은?(2006년 10월)
     1. 색동저고리의 앞ㆍ뒷길이 차이
     2. 삼국시대의 상의와 하의의 길이
     3. 짧은 치마 저고리에서 치마와 저고리의 길이
     4. 스란치마에서 치마길이와 스란 단

     정답 : []
     정답률 : 76%

17. 복식 디자인의 원리인 강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04년 10월)
     1. 어떠한 질서가 반복됨에 따라 강도가 강해지거나 약해진다.
     2. 착용자의 직업, 연령, 성별, 취미 등 조건에 알맞게 정해야 한다.
     3. 명암의 대조, 색상의 대조, 특수한 장식등이 있으나 어느 방법이든지 통일성을 가져야 한다.
     4. 강조가 여러곳에 있으면 산만하고, 없으면 단조롭다.

     정답 : []
     정답률 : 62%

18. 다음 중 오방색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05년 04월)
     1. 개성 있는 색상이면 오방색이다.
     2. 음양 오행을 바탕으로 하였다.
     3. 황, 홍, 청, 녹, 백이다.
     4.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19. 한복에서의 대칭 균형에 속하는 것은?(2005년 04월)
     1. 조끼, 마고자, 전복
     2. 두루마기
     3. 저고리 여밈
     4. 숙고사 치마에 모시 적삼

     정답 : []
     정답률 : 76%

20. 다음 중 전통적인 여자한복 색이 아닌 것은?(2006년 10월)
     1. 옥색 저고리, 옥색 치마
     2. 노랑색 저고리, 남색 치마
     3. 초록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4. 갈색 저고리, 미색 치마

     정답 : []
     정답률 : 82%

2과목 : 임의 구분


21. 재봉틀의 실채기 기구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2006년 10월)
     1. 노루발을 앞뒤로 움직여 주는 작용
     2. 윗실을 걸어내고 압력 조절을 하는 작용
     3.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이는 작용
     4. 윗실을 바늘귀로 유도하고 장력을 유지하는 작용

     정답 : []
     정답률 : 65%

22. 등이 몹시 굽은 노인의 여자저고리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섶의 부분 제도방법을 설명한 것 중 가장 옳은 것은?(2004년 02월)
     1. 양섶이 벌어지지 않도록 많이 여며지도록 제도한다.
     2. 양섶이 벌어지지 않도록 조금 여며지도록 재봉한다.
     3. 보통 여자저고리 식으로 하면 된다.
     4. 안섶은 표준체형대로 하면서 겉섶만 표준체형보다 약 2.5배 되도록 하여 단다.

     정답 : []
     정답률 : 50%

23. 다리미대는 다림질을 쉽게 하도록 한다. 다리미대의 덮개가 가장 부적당한 것은?(2005년 04월)
     1. 매끈하고 딱딱하여 주름이 없어야 한다.
     2. 다리미대의 덮개는 고온에 잘 견디어야 한다.
     3. 얼룩이 생기지 않고, 냄새나 좀벌레를 타지 않아야한다.
     4. 담요위에 목면천을 싸고 다리는 것이 이상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24. 깨끼저고리를 만들 때 사용하는 솔기는?(2006년 10월)
     1. 홑솔
     2. 가름솔
     3. 통솔
     4. 곱솔

     정답 : []
     정답률 : 78%

25. 저고리 제작 시 섶솔기 다림질 방법이 맞는 것은?(2004년 04월)
     1. 겉섶은 섶쪽으로 안섶은 길쪽으로 시접을 꺾어 다린다.
     2. 겉섶은 길쪽으로 안섶은 섶쪽으로 시접을 꺾어 다린다.
     3. 겉섶, 안섶 모두 섶쪽으로 시접을 꺾어 다린다.
     4. 겉섶, 안섶 모두 길쪽으로 시접을 꺾어 다린다.

     정답 : []
     정답률 : 82%

26. 75㎝ 너비의 비단으로 통치마를 만들려고 한다. 허리통 90㎝, 겉주름 나비 2㎝로 할려면 주름 1개에 들어가는 천의 분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10월)
     1. 4㎝
     2. 5㎝
     3. 2.5㎝
     4. 11㎝

     정답 : []
     정답률 : 44%

27. 경수(센물)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5년 04월)
     1. 표면 장력이 큰 물을 뜻한다.
     2. 비누의 용해도가 큰 물을 뜻한다.
     3. Ca, Mg, Fe 등의 금속을 함유하는 물을 뜻한다.
     4. 일반적으로 빗물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28. 저고리의 진동, 끝동 달기, 치마폭 박기 등에 많이 사용하는 바느질법은?(2004년 10월)
     1. 홑솔
     2. 가름솔
     3. 통솔
     4. 쌈솔

     정답 : []
     정답률 : 48%

29. 다음 중 삼회장저고리를 제도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할 치수가 아니 것은?(2006년 10월)
     1. 화장
     2. 곁마기 치수
     3. 저고리 길이
     4. 가슴둘레

     정답 : []
     정답률 : 84%

30. 저고리 안감의 바느질은?(2005년 01월)
     1. 겉감과 모두 같게 하면 된다.
     2. 겉감과 모두 같게 하되 솔기만 반대로 꺾는다.
     3. 겉감과 모두 같게하고, 겉섶과 안섶의 위치만 바꾸어 단다.
     4. 겉감과 모두 반대로 해야 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31. 건식 세탁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2009년 01월)
     1. 의복의 모양이 변하지 않고 바탕이 상하지 않는다.
     2. 친수성 오염에 효과적이다.
     3. 세탁방법이 간단하고 건조가 느리다.
     4. 세제의 값이 싸고 구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57%

32. 치마길이 120㎝로 2.5폭(90㎝폭 기준)치마를 만들려면 대략 몇마의 옷감이 필요한가? (단, 조끼허리 제외)(2005년 01월)
     1. 약 2마
     2. 약 2.5마
     3. 약 3마
     4. 약 4.2마

     정답 : []
     정답률 : 73%

33. 얼룩빼기 방법으로 틀리게 설명된 것은?(2005년 04월)
     1. 파라핀: 신문지를 놓고 다린 다음 증열 처리한다.
     2. 혈액: 암모니아수로 닦은 다음 흰색은 표백한다.
     3. 홍차: 비눗물로 닦은 뒤 증열 처리한다.
     4. 잉크: 3%정도의 수산용액으로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34. 의복의 내구적 성능 중 열에 의해 연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섬유는?(2009년 01월)
     1.
     2. 레이온
     3. 양모
     4. 아세테이트

     정답 : []
     정답률 : 39%

35. 뒤트기 조끼허리 제도에서 A,B의 치수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1월)

    

     1. , 저고리 길이-2
     2. , 조끼허리길이
     3. , 조끼허리길이
     4. , 저고리 길이

     정답 : []
     정답률 : 67%

36. 옷감으로서 중요한 조건의 하나는 내구성이다. 다음 중 직물을 관리할 때 내구성이 가장 적은 것은?(2005년 01월)
     1. 무명
     2. 폴리에스테르
     3. 대마
     4. 인견

     정답 : []
     정답률 : 61%

37. 다음 중 섬유자체의 구조와 성질로 사용 중 계속 수축되는 현상은?(2004년 10월)
     1. 긴장성 수축
     2. 이완 수축
     3. 진행성 수축
     4. 실의 팽윤에 의한 수축

     정답 : []
     정답률 : 59%

38. 성인 남자 저고리 제작에 필요한 옷감분량으로 옳은 것은?(2009년 01월)
     1. 50~55cm의 너비:(길이×4)+(소매너비×4)+시접
     2. 50~55cm의 너비:(길이×2)+(소매너비×4)+시접
     3. 110~120cm의 너비:(길이×2)+(소매너비×4)+시접
     4. 110~120cm의 너비:(길이×2)+시접

     정답 : []
     정답률 : 30%

39. 총 치마폭이 225cm(2.5폭), 치마 허리 둘레가 96cm, 주름 너비가1cm, 안자락 여밈 부분이 10cm일 때 주름 1개를 위한 옷감의 너비는?(2006년 10월)
     1. 1cm
     2. 1.5cm
     3. 2.5cm
     4. 3.5cm

     정답 : []
     정답률 : 83%

40. 옥양목에 가장 적합한 실의 굵기와 재봉틀 바늘의 종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2006년 10월)
     1. 견사 : 21D3×4, 바늘 : 11~13호
     2. 면사 : 40~50번수/3, 바늘 : 11~13호
     3. 면사 : 60~80번수/3, 바늘 : 11~13호
     4. 폴리에스테르 : 40~50D, 바늘 : 11~13호

     정답 : []
     정답률 : 54%

41. 당의 제작시 뒷중심선을 겉과 겉이 맞닿게 접어박은 다음, 시접을 입어서 오른쪽으로 가도록 꺾는 바느질 방법은?(2009년 01월)
     1. 섶달기
     2. 등솔박기
     3. 어깨솔기박기
     4. 배래박기

     정답 : []
     정답률 : 58%

42. 곰팡이가 섬유제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틀린 것은?(2004년 04월)
     1. 전분질의 풀이 있는 면포에 곰팡이가 생기면 면포의 무게는 감소되고 착색이 된다.
     2. 견에 곰팡이가 생기면 면포에 비하여 무게의 감소가 작고 착색의 정도도 작다.
     3. 곰팡이로 인한 견사의 강도와 신도의 저하는 크다.
     4. 연사에 비하여 생사는 한층 더 심하게 손상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43. 남자 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5년 04월)
     1. 조끼는 옷 본 모양대로 곡선 재단한다.
     2. 겉감으로 안단과 주머니 입술 감을 마른다.
     3. 110cm 폭 소요량은 조끼 길이 × 2 + 시접
     4.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44. 한복감에 풀먹이는 방법이 맞지 않는 것은?(2005년 04월)
     1. 풀을 곱게 개어 고운체에 받쳐 놓는다.
     2. 풀 먹일 옷감은 바짝 마른 것이 좋다.
     3. 옷감을 넣고 풀이 속까지 베어 들도록 골고루 문질러 꼭 짠다.
     4. 다듬이질 할 것은 풀의 농도를 세게하고 다림질 할 것은 약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5. 남자바지에서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이음솔기 처리는?(2004년 10월)
     1. 가름솔
     2. 어슨솔기
     3. 곱솔
     4. 홑솔

     정답 : []
     정답률 : 39%

46.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저고리가 착용된 시대는?(2009년 01월)

    

     1. 삼국시대 이전
     2. 삼국시대
     3. 조선시대
     4. 개화기

     정답 : []
     정답률 : 54%

47.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 사요법이 잘못된 것은?(2006년 10월)
     1. 8월 추석에는 단작노리개를 찼다.
     2. 장도는 호신용으로도 사용했다.
     3. 노리개는 궁중에서는 물론 평민에 이르기까지 많은 여성들이 애용했다.
     4. 일반 부녀자들은 괴불을 만들어서 차기도 했다.

     정답 : []
     정답률 : 35%

48. 조선시대 혼례 때 입는 겉치마 색은?(2004년 10월)
     1. 흰색
     2. 자색
     3. 옥색
     4. 다홍색

     정답 : []
     정답률 : 65%

49. 저고리 삼작이란?(2004년 02월)
     1. 속저고리, 겉저고리, 마고자
     2. 속적삼, 속저고리, 겉저고리
     3. 속저고리, 겉저고리, 솜저고리
     4. 속저고리, 겉저고리, 두루마기

     정답 : []
     정답률 : 77%

50. 한국 복식의 기본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6년 10월)
     1. 저고리
     2. 치마
     3. 바지
     4. 마고자

     정답 : []
     정답률 : 97%

51. 조선시대 여인들의 가장 안쪽에 입는 속옷으로 착용되었던 것은?(2006년 10월)
     1. 속속곳
     2. 단속곳
     3. 너른바지
     4. 다리속곳

     정답 : []
     정답률 : 50%

52. 조선 시대 여자들이 대표적인 머리 모양이 아닌것은?(2009년 01월)
     1. 얹은머리
     2. 쪽진머리
     3. 땋은머리
     4. 어여머리

     정답 : []
     정답률 : 36%

53. 조선시대 백관들이 매일 공사(公事)에 또는 사은 관계로 배알할 때와 재외 문무관 공사에 참여할 때 착용한 것은?(2005년 01월)
     1. 공복
     2. 상복
     3. 제복
     4. 조복

     정답 : []
     정답률 : 67%

54. 조선시대 때 여자복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 저고리는 가슴이 보일 정도로 짧아졌다.
     2. 예복에는 스란치마, 대란치마를 입었다.
     3. 외출시에는 장옷, 쓰개치마, 너울 등을 썼다.
     4. 적의, 당의 등을 서민의 혼례복으로 사용했다.

     정답 : []
     정답률 : 77%

55. 다음 중 돌이나 명절날에 남자아이의 전복과 함께 사용되는 것은?(2004년 10월)
     1. 두건
     2. 유건
     3. 복건
     4. 망건

     정답 : []
     정답률 : 77%

56. 스란치마의 스란단에 사용했던 무늬로 공주나 옹주가 할수 있었던 무늬는?(2004년 02월)
     1. 용무늬
     2. 꽃무늬
     3. 봉황무늬
     4. 글자무늬

     정답 : []
     정답률 : 59%

57. 전통적인 한복의 배색이 아닌 것은?(2005년 04월)
     1. 다홍색 치마에 초록색 저고리
     2. 남색 치마에 분홍색 저고리
     3. 자주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
     4. 초록색 치마에 노랑 저고리

     정답 : []
     정답률 : 50%

58. 상대복식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은 것은?(2004년 02월)
     1. 포(袍)
     2. 당의
     3. 관모
     4. 대(帶)

     정답 : []
     정답률 : 60%

59.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관모는?(2009년 01월)

    

     1. 흑립
     2. 초립
     3. 패랭이
     4. 정자관

     정답 : []
     정답률 : 50%

60. 다음 중 1900년에 제정된 문관복으로 맞는 것은?(2006년 10월)
     1. 대례복으로 유럽에서 사용하던 frock coat를 입었다.
     2. 소례복은 영국 궁중 예복을 모방한 일본의 소례복을 참작하여 만들었다.
     3. 상복은 세비로(sack coat)를 입었다.
     4. 공복은 상복과 통일시켜 구별 없이 입었다

     정답 : []
     정답률 : 49%


정 답 지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672935)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춘추용 한복재료로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옷감은?(2005년 04월)
     1. 숙고사, 관사, 부사견 등
     2. 생모시, 항라, 모시 등
     3. 자미사, 명주, 뉴똥 등
     4. 숙고사, 항라, 자미사 등

     정답 : []
     정답률 : 62%

2. 삼베를 바느질할 때 주로 사용하는 재봉기 바늘은?(2009년 01월)
     1. 7호
     2. 9호
     3. 11호
     4. 14호

     정답 : []
     정답률 : 35%

3. 다음 중 여름철의 옷감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2005년 01월)
     1. 숙고사, 갑사, 공단 등
     2. 옥양목, 포플린, 오간디 등
     3. 생고사, 은조사, 공단 등
     4. 삼베, 모시, 안동포 등

     정답 : []
     정답률 : 96%

4. 비단(견)이 염기성 물감이나 산성물감에 염색이 잘되는 것은 섬유의 어떤 성분 때문인가?(2005년 01월)
     1. 피브로인 중의 아미노산
     2. 단백질 중의 탄소
     3. 세리신 중의 질소
     4. 피브로인 중의 탄소

     정답 : []
     정답률 : 85%

5. 다음 직물 중 3대 합성직물이 아닌 것은?(2004년 04월)
     1. 나일론
     2. 스판덱스
     3. 폴리에스테르
     4. 아크릴

     정답 : []
     정답률 : 71%

6. 나일론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화학 결합은?(2006년 10월)
     1. 아미드 결합
     2. 펩타이드 결합
     3. 시스틴 결합
     4. 에스테르 결합

     정답 : []
     정답률 : 43%

7. 다음 옷감의 성질 중 서로 관계없이 짝지어진 것은?(2005년 04월)
     1. 강도 -- 내구성
     2. 흡습성 -- 땀
     3. 드레이프성 -- 맵시
     4. 내추성 -- 필링

     정답 : []
     정답률 : 88%

8. 천연섬유 중 동물성 섬유로 조직이 치밀하여 , 촉감이 좋고 우아한 윤택으로 품위가 있어 고급 옷감으로 많이 쓰이는 것은?(2005년 04월)
     1. 면직물
     2. 마직물
     3. 모직물
     4. 견직물

     정답 : []
     정답률 : 90%

9. 물에 담구었을 때 가장 많이 강도가 저하되는 섬유는?(2005년 04월)
     1. 양모
     2. 무명
     3. 나일론
     4. 레이온

     정답 : []
     정답률 : 45%

10. 다음의 섬유중에서 탄성 회복율이 가장 작은 섬유는?(2005년 04월)
     1. 나이론
     2. 레이온
     3.
     4.

     정답 : []
     정답률 : 65%

11. 전통적인 남자 어린이 한복의 색이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흰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남색조끼
     2. 보라색 바지, 분홍색 저고리, 황색 조끼
     3. 흰색 바지, 연두색 저고리, 자주색 조끼
     4. 옥색바지, 분홍색 저고리, 연두색 조끼

     정답 : []
     정답률 : 57%

12. 남자 바지 저고리의 전통 한복색으로 가장 많이 쓰여졌던 색은?(2004년 02월)
     1. 흰색, 옥색, 회색
     2. 자주색, 녹색, 갈색
     3. 검은색, 자주색, 녹색
     4. 흰색, 갈색, 보라색

     정답 : []
     정답률 : 79%

13. 재래식 한복에서 결혼한 신부에게 입히던 치마,저고리의 색은?(2004년 02월)
     1. 노랑저고리,다홍치마
     2. 노랑저고리,남치마
     3. 녹색저고리,다홍치마
     4. 분홍저고리,남치마

     정답 : []
     정답률 : 54%

14. 다음 중 전통적(재래식) 남자 한복의 색은?(2004년 10월)
     1. 흰색바지와 옥색저고리
     2. 보라색바지 저고리
     3. 옥색바지 저고리
     4. 미색바지 저고리

     정답 : []
     정답률 : 75%

15. 앵삼은 연두색 포(袍)에 깃, 도련 둘레단 소매끝에 무슨 색의 선(選)을 대었는가?(2004년 02월)
     1. 흰색
     2. 자색
     3. 흑색
     4. 남색

     정답 : []
     정답률 : 53%

16. 다음 한복에서 황금비를 이루지 않는 옷은?(2006년 10월)
     1. 색동저고리의 앞ㆍ뒷길이 차이
     2. 삼국시대의 상의와 하의의 길이
     3. 짧은 치마 저고리에서 치마와 저고리의 길이
     4. 스란치마에서 치마길이와 스란 단

     정답 : []
     정답률 : 76%

17. 복식 디자인의 원리인 강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04년 10월)
     1. 어떠한 질서가 반복됨에 따라 강도가 강해지거나 약해진다.
     2. 착용자의 직업, 연령, 성별, 취미 등 조건에 알맞게 정해야 한다.
     3. 명암의 대조, 색상의 대조, 특수한 장식등이 있으나 어느 방법이든지 통일성을 가져야 한다.
     4. 강조가 여러곳에 있으면 산만하고, 없으면 단조롭다.

     정답 : []
     정답률 : 62%

18. 다음 중 오방색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2005년 04월)
     1. 개성 있는 색상이면 오방색이다.
     2. 음양 오행을 바탕으로 하였다.
     3. 황, 홍, 청, 녹, 백이다.
     4.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 : []
     정답률 : 82%

19. 한복에서의 대칭 균형에 속하는 것은?(2005년 04월)
     1. 조끼, 마고자, 전복
     2. 두루마기
     3. 저고리 여밈
     4. 숙고사 치마에 모시 적삼

     정답 : []
     정답률 : 76%

20. 다음 중 전통적인 여자한복 색이 아닌 것은?(2006년 10월)
     1. 옥색 저고리, 옥색 치마
     2. 노랑색 저고리, 남색 치마
     3. 초록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4. 갈색 저고리, 미색 치마

     정답 : []
     정답률 : 82%

2과목 : 임의 구분


21. 재봉틀의 실채기 기구는 어떤 작용을 하는가?(2006년 10월)
     1. 노루발을 앞뒤로 움직여 주는 작용
     2. 윗실을 걸어내고 압력 조절을 하는 작용
     3. 바늘대를 상하로 움직이는 작용
     4. 윗실을 바늘귀로 유도하고 장력을 유지하는 작용

     정답 : []
     정답률 : 65%

22. 등이 몹시 굽은 노인의 여자저고리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섶의 부분 제도방법을 설명한 것 중 가장 옳은 것은?(2004년 02월)
     1. 양섶이 벌어지지 않도록 많이 여며지도록 제도한다.
     2. 양섶이 벌어지지 않도록 조금 여며지도록 재봉한다.
     3. 보통 여자저고리 식으로 하면 된다.
     4. 안섶은 표준체형대로 하면서 겉섶만 표준체형보다 약 2.5배 되도록 하여 단다.

     정답 : []
     정답률 : 50%

23. 다리미대는 다림질을 쉽게 하도록 한다. 다리미대의 덮개가 가장 부적당한 것은?(2005년 04월)
     1. 매끈하고 딱딱하여 주름이 없어야 한다.
     2. 다리미대의 덮개는 고온에 잘 견디어야 한다.
     3. 얼룩이 생기지 않고, 냄새나 좀벌레를 타지 않아야한다.
     4. 담요위에 목면천을 싸고 다리는 것이 이상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6%

24. 깨끼저고리를 만들 때 사용하는 솔기는?(2006년 10월)
     1. 홑솔
     2. 가름솔
     3. 통솔
     4. 곱솔

     정답 : []
     정답률 : 78%

25. 저고리 제작 시 섶솔기 다림질 방법이 맞는 것은?(2004년 04월)
     1. 겉섶은 섶쪽으로 안섶은 길쪽으로 시접을 꺾어 다린다.
     2. 겉섶은 길쪽으로 안섶은 섶쪽으로 시접을 꺾어 다린다.
     3. 겉섶, 안섶 모두 섶쪽으로 시접을 꺾어 다린다.
     4. 겉섶, 안섶 모두 길쪽으로 시접을 꺾어 다린다.

     정답 : []
     정답률 : 82%

26. 75㎝ 너비의 비단으로 통치마를 만들려고 한다. 허리통 90㎝, 겉주름 나비 2㎝로 할려면 주름 1개에 들어가는 천의 분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10월)
     1. 4㎝
     2. 5㎝
     3. 2.5㎝
     4. 11㎝

     정답 : []
     정답률 : 44%

27. 경수(센물)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2005년 04월)
     1. 표면 장력이 큰 물을 뜻한다.
     2. 비누의 용해도가 큰 물을 뜻한다.
     3. Ca, Mg, Fe 등의 금속을 함유하는 물을 뜻한다.
     4. 일반적으로 빗물을 뜻한다.

     정답 : []
     정답률 : 68%

28. 저고리의 진동, 끝동 달기, 치마폭 박기 등에 많이 사용하는 바느질법은?(2004년 10월)
     1. 홑솔
     2. 가름솔
     3. 통솔
     4. 쌈솔

     정답 : []
     정답률 : 48%

29. 다음 중 삼회장저고리를 제도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할 치수가 아니 것은?(2006년 10월)
     1. 화장
     2. 곁마기 치수
     3. 저고리 길이
     4. 가슴둘레

     정답 : []
     정답률 : 84%

30. 저고리 안감의 바느질은?(2005년 01월)
     1. 겉감과 모두 같게 하면 된다.
     2. 겉감과 모두 같게 하되 솔기만 반대로 꺾는다.
     3. 겉감과 모두 같게하고, 겉섶과 안섶의 위치만 바꾸어 단다.
     4. 겉감과 모두 반대로 해야 된다.

     정답 : []
     정답률 : 64%

31. 건식 세탁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2009년 01월)
     1. 의복의 모양이 변하지 않고 바탕이 상하지 않는다.
     2. 친수성 오염에 효과적이다.
     3. 세탁방법이 간단하고 건조가 느리다.
     4. 세제의 값이 싸고 구하기 쉽다.

     정답 : []
     정답률 : 57%

32. 치마길이 120㎝로 2.5폭(90㎝폭 기준)치마를 만들려면 대략 몇마의 옷감이 필요한가? (단, 조끼허리 제외)(2005년 01월)
     1. 약 2마
     2. 약 2.5마
     3. 약 3마
     4. 약 4.2마

     정답 : []
     정답률 : 73%

33. 얼룩빼기 방법으로 틀리게 설명된 것은?(2005년 04월)
     1. 파라핀: 신문지를 놓고 다린 다음 증열 처리한다.
     2. 혈액: 암모니아수로 닦은 다음 흰색은 표백한다.
     3. 홍차: 비눗물로 닦은 뒤 증열 처리한다.
     4. 잉크: 3%정도의 수산용액으로 처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34. 의복의 내구적 성능 중 열에 의해 연화되는 성질을 가지는 섬유는?(2009년 01월)
     1.
     2. 레이온
     3. 양모
     4. 아세테이트

     정답 : []
     정답률 : 39%

35. 뒤트기 조끼허리 제도에서 A,B의 치수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5년 01월)

    

     1. , 저고리 길이-2
     2. , 조끼허리길이
     3. , 조끼허리길이
     4. , 저고리 길이

     정답 : []
     정답률 : 67%

36. 옷감으로서 중요한 조건의 하나는 내구성이다. 다음 중 직물을 관리할 때 내구성이 가장 적은 것은?(2005년 01월)
     1. 무명
     2. 폴리에스테르
     3. 대마
     4. 인견

     정답 : []
     정답률 : 61%

37. 다음 중 섬유자체의 구조와 성질로 사용 중 계속 수축되는 현상은?(2004년 10월)
     1. 긴장성 수축
     2. 이완 수축
     3. 진행성 수축
     4. 실의 팽윤에 의한 수축

     정답 : []
     정답률 : 59%

38. 성인 남자 저고리 제작에 필요한 옷감분량으로 옳은 것은?(2009년 01월)
     1. 50~55cm의 너비:(길이×4)+(소매너비×4)+시접
     2. 50~55cm의 너비:(길이×2)+(소매너비×4)+시접
     3. 110~120cm의 너비:(길이×2)+(소매너비×4)+시접
     4. 110~120cm의 너비:(길이×2)+시접

     정답 : []
     정답률 : 30%

39. 총 치마폭이 225cm(2.5폭), 치마 허리 둘레가 96cm, 주름 너비가1cm, 안자락 여밈 부분이 10cm일 때 주름 1개를 위한 옷감의 너비는?(2006년 10월)
     1. 1cm
     2. 1.5cm
     3. 2.5cm
     4. 3.5cm

     정답 : []
     정답률 : 83%

40. 옥양목에 가장 적합한 실의 굵기와 재봉틀 바늘의 종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2006년 10월)
     1. 견사 : 21D3×4, 바늘 : 11~13호
     2. 면사 : 40~50번수/3, 바늘 : 11~13호
     3. 면사 : 60~80번수/3, 바늘 : 11~13호
     4. 폴리에스테르 : 40~50D, 바늘 : 11~13호

     정답 : []
     정답률 : 54%

41. 당의 제작시 뒷중심선을 겉과 겉이 맞닿게 접어박은 다음, 시접을 입어서 오른쪽으로 가도록 꺾는 바느질 방법은?(2009년 01월)
     1. 섶달기
     2. 등솔박기
     3. 어깨솔기박기
     4. 배래박기

     정답 : []
     정답률 : 58%

42. 곰팡이가 섬유제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틀린 것은?(2004년 04월)
     1. 전분질의 풀이 있는 면포에 곰팡이가 생기면 면포의 무게는 감소되고 착색이 된다.
     2. 견에 곰팡이가 생기면 면포에 비하여 무게의 감소가 작고 착색의 정도도 작다.
     3. 곰팡이로 인한 견사의 강도와 신도의 저하는 크다.
     4. 연사에 비하여 생사는 한층 더 심하게 손상을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43. 남자 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2005년 04월)
     1. 조끼는 옷 본 모양대로 곡선 재단한다.
     2. 겉감으로 안단과 주머니 입술 감을 마른다.
     3. 110cm 폭 소요량은 조끼 길이 × 2 + 시접
     4.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44. 한복감에 풀먹이는 방법이 맞지 않는 것은?(2005년 04월)
     1. 풀을 곱게 개어 고운체에 받쳐 놓는다.
     2. 풀 먹일 옷감은 바짝 마른 것이 좋다.
     3. 옷감을 넣고 풀이 속까지 베어 들도록 골고루 문질러 꼭 짠다.
     4. 다듬이질 할 것은 풀의 농도를 세게하고 다림질 할 것은 약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6%

45. 남자바지에서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이음솔기 처리는?(2004년 10월)
     1. 가름솔
     2. 어슨솔기
     3. 곱솔
     4. 홑솔

     정답 : []
     정답률 : 39%

46.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저고리가 착용된 시대는?(2009년 01월)

    

     1. 삼국시대 이전
     2. 삼국시대
     3. 조선시대
     4. 개화기

     정답 : []
     정답률 : 54%

47. 조선시대 여성 장신구 사요법이 잘못된 것은?(2006년 10월)
     1. 8월 추석에는 단작노리개를 찼다.
     2. 장도는 호신용으로도 사용했다.
     3. 노리개는 궁중에서는 물론 평민에 이르기까지 많은 여성들이 애용했다.
     4. 일반 부녀자들은 괴불을 만들어서 차기도 했다.

     정답 : []
     정답률 : 35%

48. 조선시대 혼례 때 입는 겉치마 색은?(2004년 10월)
     1. 흰색
     2. 자색
     3. 옥색
     4. 다홍색

     정답 : []
     정답률 : 65%

49. 저고리 삼작이란?(2004년 02월)
     1. 속저고리, 겉저고리, 마고자
     2. 속적삼, 속저고리, 겉저고리
     3. 속저고리, 겉저고리, 솜저고리
     4. 속저고리, 겉저고리, 두루마기

     정답 : []
     정답률 : 77%

50. 한국 복식의 기본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06년 10월)
     1. 저고리
     2. 치마
     3. 바지
     4. 마고자

     정답 : []
     정답률 : 97%

51. 조선시대 여인들의 가장 안쪽에 입는 속옷으로 착용되었던 것은?(2006년 10월)
     1. 속속곳
     2. 단속곳
     3. 너른바지
     4. 다리속곳

     정답 : []
     정답률 : 50%

52. 조선 시대 여자들이 대표적인 머리 모양이 아닌것은?(2009년 01월)
     1. 얹은머리
     2. 쪽진머리
     3. 땋은머리
     4. 어여머리

     정답 : []
     정답률 : 36%

53. 조선시대 백관들이 매일 공사(公事)에 또는 사은 관계로 배알할 때와 재외 문무관 공사에 참여할 때 착용한 것은?(2005년 01월)
     1. 공복
     2. 상복
     3. 제복
     4. 조복

     정답 : []
     정답률 : 67%

54. 조선시대 때 여자복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6년 10월)
     1. 저고리는 가슴이 보일 정도로 짧아졌다.
     2. 예복에는 스란치마, 대란치마를 입었다.
     3. 외출시에는 장옷, 쓰개치마, 너울 등을 썼다.
     4. 적의, 당의 등을 서민의 혼례복으로 사용했다.

     정답 : []
     정답률 : 77%

55. 다음 중 돌이나 명절날에 남자아이의 전복과 함께 사용되는 것은?(2004년 10월)
     1. 두건
     2. 유건
     3. 복건
     4. 망건

     정답 : []
     정답률 : 77%

56. 스란치마의 스란단에 사용했던 무늬로 공주나 옹주가 할수 있었던 무늬는?(2004년 02월)
     1. 용무늬
     2. 꽃무늬
     3. 봉황무늬
     4. 글자무늬

     정답 : []
     정답률 : 59%

57. 전통적인 한복의 배색이 아닌 것은?(2005년 04월)
     1. 다홍색 치마에 초록색 저고리
     2. 남색 치마에 분홍색 저고리
     3. 자주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
     4. 초록색 치마에 노랑 저고리

     정답 : []
     정답률 : 50%

58. 상대복식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은 것은?(2004년 02월)
     1. 포(袍)
     2. 당의
     3. 관모
     4. 대(帶)

     정답 : []
     정답률 : 60%

59.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관모는?(2009년 01월)

    

     1. 흑립
     2. 초립
     3. 패랭이
     4. 정자관

     정답 : []
     정답률 : 50%

60. 다음 중 1900년에 제정된 문관복으로 맞는 것은?(2006년 10월)
     1. 대례복으로 유럽에서 사용하던 frock coat를 입었다.
     2. 소례복은 영국 궁중 예복을 모방한 일본의 소례복을 참작하여 만들었다.
     3. 상복은 세비로(sack coat)를 입었다.
     4. 공복은 상복과 통일시켜 구별 없이 입었다

     정답 : []
     정답률 : 49%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672935)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2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381405)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2631 9급 지방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6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30 금속재료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9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629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2628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627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26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625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봉사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2754028) 좋은아빠되기 2025.11.12 6
2624 식품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 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3672935) 좋은아빠되기 2025.11.12 4
2622 경비지도사 2차(기계경비기획및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1월1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21 전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8281757)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20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3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19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역사회간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18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2일)(9800218)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17 소비자전문상담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2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16 산림산업기사(구60문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15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14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2613 텔레마케팅관리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2 5
Board Pagination Prev 1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 207 Next
/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