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57304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무면허 운전에 해당하는 경우는?(1100년 04월)
     1. 범칙금 납부 통고서를 가지고 운전한 때
     2. 운전면허증을 발급받고 운전한 때
     3. 운전면허 정지 기간 중에 운전한 때
     4. 임시운전증명서를 소지하고 운전한 때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지방경찰청장으로부터 운전면허를 받지 아니하거나 운전면허의 효력이 정지된 경우 운전한 때는 무면허 운전에 해당한다.

2. 이륜자동차 운전 중 전방에 자전거가 가고 있을 때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은?(1100년 05월)
     1. 자전거는 속도가 느리므로 재빨리 앞지르기한다.
     2. 자전거가 넘어질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한다.
     3. 자전거는 특별히 위험하지 않으므로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4. 경음기를 계속 사용하면서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 운전 중 전방에 자전거가 가고 있을 때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은 자전거가 넘어질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한다.

3. 이륜자동차의 속도에 따른 안전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1100년 02월)
     1. 항상 5미터 정도의 안전거리를 유지 한다.
     2. 항상 10미터 정도의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3. 앞차가 급정지하더라도 옆 차로로 피할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를 둘 필요가 없다.
     4. 앞차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두는 것이 적절하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앞차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두는 것이 적절하다.

4. 교차로에서 신호대기 중인 차량을 이륜자동차가 뒤쪽에서 앞 차의 범퍼를 살짝 추돌하였을 경우 일반적으로 가해자는 누구인가?(1100년 04월)
     1. 앞ㆍ뒤 차량 운전자
     2. 앞 차량 운전자
     3. 뒤 차량 운전자
     4. 모두가 가해자가 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더라도 그 앞 차와의 추돌을 피할 수 있는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여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가해자는 일반적으로 뒤차의 운전자이다.

5. 이륜자동차가 주행 중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강풍이나 돌풍 지역에서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5월)
     1. 속도를 높여 터널 입구, 다리 위 등을 신속히 벗어나야 안전하다.
     2. 강풍이 불면 이륜자동차는 차로를 이탈할 수 있으므로 바람에 이륜자동차를 맡겨야 한다.
     3. 우리나라는 강풍이 부는 도로가 없기 때문에 크게 우려할 문제는 아니다.
     4. 운전자는 절대 감속해야 하며 안전 운전에 집중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바람이 심하게 부는 때에는 감속과 함께 핸들을 양손으로 힘있게 붙잡고 주행 방향이나 속도변화에 따라 신중히 대처해야 한다. 특히 산길이나 고지대, 터널의 입구나 출구, 다리 등은 강풍이나 돌풍이 예상되는 곳이므로 안전 운전에 집중해야 한다.

6. 다음 중 이륜차 운전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발생시킨 경우 처벌의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1100년 04월)
     1. 급히 출발시키거나 속도를 급격히 높여 소음을 발생하는 경우
     2. 동력을 바퀴에 전달시키지 않고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행위
     3. 반복적이거나 연속적으로 경음기를 울리는 행위
     4. 무단 횡단하는 어린이를 발견하고 경음기를 울리는 행위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자동차등을 급히 출발시키거나 속도를 급격히 높이는 행위, 자동차 등의 원동기 동력을 차의 바퀴에 전달시키지 아니하고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행위, 반복적이거나 연속적으로 경음기를 울리는 행위는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발생시킨 경우 처벌의 대상에 해당한다.

7. 이륜자동차가 다음과 같이 주행하였다. 도로교통법상 속도위반이 되지 않는 경우는?(1100년 02월)
     1. 노면이 얼어붙은 편도 1차로의 일반도로를 매시 60킬로미터로 주행하였다.
     2. 눈이 내려 20밀리미터 미만 쌓인 편도 2차로의 일반도로를 매시 50킬로 미터로 주행하였다.
     3.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 있는 편도 1차로의 일반도로를 매시 60킬로미터로 주행하였다.
     4. 안개가 끼어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인 편도 1차로의 일반도로를 매시 50킬로미터로 주행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최고속도의 100분의 2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는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 있는 경우와 눈이 20밀리미터 미만 쌓인 경우이다. 최고속도의 100분의 5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는 폭우ㆍ폭설ㆍ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인 경우, 노면이 얼어붙은 경우, 눈이 20밀리미터 이상 쌓인 경우이다. 편도 2차로 이상 일반도로의 제한속도는 매시 80km이다.(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8. 이륜자동차 운전 시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이유는?(1100년 05월)
     1. 운전 중 졸음과 피로감을 줄이기 위하여
     2. 운전 중 적절한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3. 운전 중 보다 넓은 시야 확보를 위하여
     4. 운전 중 교통사고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 운전시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이유는 운전 중 교통사고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함이 가장 크다.

9. 앞차를 앞지르기 할 때 위반에 해당하는 것은?(1100년 02월)
     1. 편도 2차로 오르막길에서 백색점선을 넘어 앞지르기하였다.
     2. 반대 방향의 안전을 살피고 황색실선의 중앙선을 넘어 앞지르기 하였다.
     3. 비포장도로에서 앞차의 좌측으로 앞지르기 하였다.
     4. 황색점선의 중앙선이 설치된 도로에서 안전을 살피고 앞지르기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백색 실선은 진로 변경 제한선이고 백색 점선의 차선은 안전을 살피고 진로 변경이 가능한 표시이며, 황색 실선의 중앙선은 넘어서는 안 되는 표시이고, 황색 점선의 중앙선은 안전을 살피고 앞지르기를 할 수 있는 구간이다.

10. 다음 중 제2종 소형면허를 받은 사람(65세 이상 제외)의 갱신기간은?(1100년 01월)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최초의 운전면허갱신기간은 운전면허시험에 합격한 날부터 기산 하여 65세 미만은 10년이며, 65세 이상 75세 미만은 5년, 75세 이상은 3년, 한쪽 눈만 보지 못하는 사람으로 1종 보통면허를 취득한 사람의 갱신기간 또한 3년이다. [시행일 2019. 01.01]

11. 모범운전자가 초보운전자에게 안전운전 방법을 설명하였다. 맞게 설명한 것은?(1100년 03월)
     1. 교통정리가 없는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를 통과할 때는 서행으로 통과하면 된다고 알려주었다.
     2. 교차로 진입 전 차량 황색 등화가 켜 있는 경우라면 통과하라고 알려주었다.
     3. 다리 위는 차로변경은 가능하고 과속만 하지 않으면 된다고 알려주었다.
     4. 도로의 구부러진 부근을 통과할 때는 앞지르기를 하면 안 된다고 알려주었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교통정리가 없는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는 일시정지 하여야 하고, 다리 위는 앞지르기 및 진로변경이 금지된 곳이다.(도로교통법 제31조 제2항, 도로교통법 제14조, 제22조 제3항)

12. 다음은 다른 차를 앞지르기하려는 자동차의 속도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1100년 02월)
     1. 다른 차를 앞지르기하는 경우에는 속도의 제한이 없다.
     2. 해당 도로의 법정 최고 속도의 100분의 50을 더한 속도까지는 가능하다.
     3. 운전자의 운전 능력에 따라 제한 없이 가능하다.
     4. 해당 도로의 최고 속도 이내에서만 앞지르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해당도로의 최고속도 이내에서만 앞지르기가 가능하다.

13. 제2종 소형면허를 받은 사람이 제2종 보통면허를 취득하고자 할 때 면제되는 시험은?(1100년 01월)
     1. 적성
     2. 기능
     3. 법령
     4. 점검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제2종 소형면허를 받은 사람이 제2종 보통면허를 취득하고자 할 때 면제되는 시험은 적성이다. (도로교통법시행령 별표 3)

14. 도로교통법상 제2종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로 운전할 수 없는 차량은?(1100년 01월)
     1. 배기량 100시시 다륜형 이륜자동차
     2. 배기량 49시시 이륜자동차
     3. 배기량 200시시 이륜자동차
     4. 정격출력 0.59킬로와트 미만의 원동기를 단 차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제2종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를 받은 사람은「자동차관리법」제3조에 따른 이륜자동차 가운데 배기량 125시시 이하의 이륜자동차, 배기량 50시시 미만(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경우에는 정격출력 0.59킬로와트 미만)의 원동기를 단 차를 운전할 수 있다(도로교통법 제2조(정의) 제19호).

15. 터널 안에서의 앞지르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2월)
     1. 좌측으로 앞지르기를 해야 한다.
     2. 전조등을 켜고 앞지르기를 해야 한다
     3. 법정 최고 속도의 한도 내에서 앞지르기를 해야 한다.
     4. 앞지르기를 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교차로, 다리 위, 터널 안 등은 앞지르기가 금지된 장소이므로 앞지르기를 할 수 없다.

16. 비탈길의 고갯마루 부근을 통과할 때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3월)
     1. 앞차를 따라서 빠르게 통과한다.
     2. 반대편 상황을 잘 볼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하면서 서행으로 통과한다.
     3. 반대편 도로는 상관이 없으므로 내 앞차로만 주의하며 통과한다.
     4. 위험하므로 앞차와의 거리를 좁혀서 뒤따르며 통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반대편 상황을 잘 볼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하면서 서행으로 통과한다. 반대편 도로와도 상관이 있으므로 내 앞차로 뿐만 아니라 주변상황에도 주의하며 통과한다. 고갯마루부근은 고개 넘어 상황이 잘 안보여 위험하므로 앞차와의 거리를 넓혀서 안전거리를 충분히 두고 뒤따르며 통과한다.(도로교통법 제22조)

17. 급커브길을 주행 중일 때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은?(1100년 03월)
     1. 급커브길 안에서 핸들을 신속히 꺾으면서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줄이고 통과한다.
     2. 급커브길 앞의 직선도로에서 속도를 충분히 줄인다.
     3. 급커브길은 위험구간이므로 급가속하여 신속히 통과한다.
     4. 급커브길에서 앞지르기 금지표지가 없는 경우 신속히 앞지르기 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① 급커브길 안에서 핸들을 꺾으면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타이어가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차량이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어 위험하다. ③ 커브길에서는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서행하여야 한다. ④ 급커브길에서는 앞지르기 금지 표지가 없더라도 앞지르기를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도로교통법 제22조)

18. 다음 중 이륜자동차가 도로의 중앙이나 좌측부분으로 통행할 수 없는 경우는?(1100년 04월)
     1. 도로가 일방통행인 경우
     2. 도로공사로 우측통행이 어려운 경우
     3. 차량이 정체되어 있는 경우
     4. 경찰의 수신호에 따라 진행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③의 차량정체는 중앙선 좌측통행 대상이 아니다.

19. 다음 중 차도와 보도가 구분된 곳에서의 이륜자동차 통행방법 중 틀린 것은?(1100년 04월)
     1. 차도로 통행하여야 한다.
     2. 도로 외의 곳으로 출입할 때 보도를 횡단하여 통행할 수 있다.
     3. 우편물 배달을 위해 보도를 통행할 수 있다.
     4. 노인이 운전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보도를 통행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보도를 횡단하기 직전에 일시정지 하여 좌측과 우측 부분 등을 살핀 후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횡단하여야 한다.(도로교통법 제13조 제2항) 서행은 운전자가 차를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느린 속도로 진행하는 것을 말하고, 일시정지는 차의 운전자가 그 차의 바퀴를 일시적으로 완전히 정지시키는 것을 말한다.(도로교통법 제2조 제28호 제30호)

20. 다음 중 일반도로 버스전용차로 통행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1100년 04월)
     1. 36인승 이상 승합자동차는 버스전용차로로 통행할 수 있다.
     2. 모든 차는 전용차로 외의 도로가 파손된 경우에 전용차로를 통행할 수 있다.
     3. 25인승 내국인 관광객 수송용 승합자동차는 전용차로를 통행할 수 있다.
     4. 택시가 승객을 내려주기 위하여 일시 통행하는 경우에는 전용차로로 통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증명서를 발급받은 경우에 한하여 어린이를 운송할 목적으로 운행 중인 어린이 통학버스는 통행할 수 있다. 긴급자동차가 그 본래의 긴급한 용도로 운행되고 있는 경우, 전용차로 통행차의 통행에 장해를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택시가 승객을 태우거나 내려주기 위하여 일시 통행하는 경우(이 경우 택시 운전자는 승객이 타거나 내린 즉시 전용차로를 벗어나야 한다), 도로의 파손, 공사, 그 밖의 부득이한 장애로 인하여 전용차로가 아니면 통행할 수 없는 경우 등은 전용차로 통행차 외에 전용차로로 통행할 수 있다.(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0조)

2과목 : 임의 구분


21. 다음 중 새로 구입하거나 매매한 이륜자동차의 사용신고 기간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매수한 날로부터 7일 이내
     2. 매수한 날로부터 10일 이내
     3. 매수한 날로부터 15일 이내
     4. 매수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매매로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매수한 날로부터 15일 이내 등록관청에 사용신고하여야 한다. 자동차관리법 제48조(이륜자동차의 사용 신고 등) 제1항, 시행규칙 제101조 제1항 제2호

22. 다음 중 운전자 자신에게 맞는 이륜자동차 승차용 안전모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1100년 05월)
     1. 규격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2. 시인성이 좋은 것을 선택한다.
     3. 용도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4. 자신의 머리 크기보다 약간 큰 것을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자신에게 맞는 승차용 안전모를 선택하는 방법은 머리 크기에 맞는 것, 규격에 맞는 것, 용도에 맞는 것, 시인성이 좋은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23. 다음 중 이륜자동차 승차용 안전모 착용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1100년 05월)
     1. 안전모는 사고 때 머리 및 얼굴 보호 목적이다.
     2. 안전모를 착용할 때 턱 끈은 약간 느슨하게 맨다.
     3.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충격 완화에 도움을 준다.
     4. 안전모는 앞으로 숙여서 착용하거나 뒤로 젖혀서 착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안전모를 착용할 때 턱 끈을 단단히 조여서 확실히 매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24. 자동차 타이어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타이어 트레드가 완전 마모될 때까지 사용한다.
     2. 타이어 공기압은 높을수록 좋다.
     3. 타이어의 위치는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
     4. 타이어와 연비는 상관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타이어의 공기압은 적정하게 하고, 타이어 트레드가 마모한계점(1.6mm)에 도달한 경우는 교환해 주어야 한다.

25. 다음 중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사용신고를 할 수 있는 이륜자동차는?(1100년 01월)
     1. 최고속도가 매시 25킬로미터 이상인 배기량 49시시 이륜자동차
     2. 산악지형에 주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차동장치가 없는 이륜자동차
     3. 주된 용도가 도로 운행 목적이 아닌 것으로서 조향장치 및 제동장치 등을 손으로 조작할 수 없는 이륜자동차
     4. 의료용 스쿠터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최고속도가 매시 25킬로미터 이상인 이륜자동차는 사용신고를 하여야 하는 이륜자동차이다.(자동차관리법시행규칙 제98조의7)

26. 다음은 이륜자동차를 운전할 때 시야와 시점의 분배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시점은 가까이 두고, 시야는 좁게 가져야 한다.
     2. 시점은 멀리 두고, 시야는 넓게 가져야 한다.
     3. 시점은 멀리 두고, 시야는 좁게 가져야 한다.
     4. 시점은 가까이 두고, 시야는 넓게 가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를 운전할 때 시점은 멀리 두고, 시야는 넓게 가져야 한다.

27. 다음은 이륜자동차 타이어 점검 및 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1100년 01월)
     1. 자동차 타이어와 달리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 마모 점검은 하지 않고 손상여부만 확인한다.
     2. 타이어는 장비로 들어 올려 천천히 돌리면서 못이나 이물질 부착 여부를 확인한다.
     3. 타이어 공기압은 규정된 적정 공기압인지 여부를 수시로 확인한다.
     4. 타이어 수명 즉 교환 시기는 타이어 홈의 깊이 또는 슬립사인(Slip sign)으로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은 회전할 때 원심력과 균형유지를 위한 것이다.

28. 야간에 도로 상의 보행자나 물체들이 일시적으로 안 보이게 되는 “증발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위치는?(1100년 03월)
     1. 반대 차로의 가장자리
     2. 주행 차로의 우측 부분
     3. 도로의 중앙선 부근
     4. 도로 우측의 가장자리

     정답 : []
     정답률 : 5%
     <문제 해설>
야간에 도로 상의 보행자나 물체들이 일시적으로 안 보이게 되는 “증발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위치는 도로의 중앙선 부근이다.

29. 다음 중 과로한 때(졸음운전 포함) 등의 운전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1100년 04월)
     1. 질병운전은 포함되지 않는다.
     2. 안전운전의무위반에 따른 범칙금(통고처분) 발부 대상이다.
     3. 30만 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의 형사입건 대상이다.
     4. 벌점 30점이 부과된다.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③ 과로ㆍ질병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운전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한 사람은 30만 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에 처해진다(제45조, 제154조). 졸음운전과 같은 개념이고, 통고처분대상이 아니며, 벌점은 없다.

30. 경찰공무원은 이륜자동차의 안전운전을 위해 현장에서 불법부착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것은?(1100년 04월)
     1. 교통단속용 장비의 기능을 방해하는 장치
     2. 규정에 맞지 않은 광폭타이어
     3. 경찰관서에서 사용하는 무전기와 동일한 주파수의 무전기
     4. 긴급자동차가 아닌 자동차에 부착된 경광등, 사이렌 또는 비상등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교통단속용 장비의 기능을 방해하는 장치, 경찰관서에서 사용하는 무전기와 동일한 주파수의 무전기, 긴급자동차가 아닌 자동차에 부착된 경광등, 사이렌 또는 비상등은 경찰공무원이 제거할 수 있다(법 제49조 제1항 제3호 제4호, 제2항, 동법 시행규칙 제29조).

31. 다음은 이륜자동차의 2인 승차(텐덤, tandem)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1100년 05월)
     1. 무게가 증가하여 가속력은 높아지고 원심력은 작아진다.
     2. 운전자와 동승자의 일체화된 균형이 매우 중요하다.
     3. 감속할 때 운전자와 동승자의 호흡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미리 동승자에게 방법을 설명한다.
     4. 눈이나 비가 와서 노면이 미끄러울 때에는 동승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동승자가 있는 경우는 무게가 증가하여 가속력은 떨어지고 원심력은 커진다.

32. 다음 중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 시 조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사상자를 구호한다.
     2. 다른 교통에 장해가 없도록 한다.
     3. 긴급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동승자로 하여금 필요한 조치나 신고를 대신하게 한 후 계속 운전한다.
     4. 주ㆍ정차된 차량만 손괴한 경우라도 피해자에게 인적사항을 제공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③ 긴급한 경우에만 동승자로 하여금 필요한 조치나 신고를 하게 한 후 계속 운전할 수 있다
차의 운전 등 교통으로 인하여 사람을 사상하거나 물건을 손괴한 경우 사상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하고, 피해자에게 인적 사항을 제공하지 않으면 범칙금 발부대상이 되고, 위험방지와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한 경우 경찰에 신고하여야 하고 긴급자동차, 부상자를 운반중인 차 및 우편물자동차등의 운전자는 긴급한 경우 동승자로 하여금 대신 사고처리하게 하고 계속 운전할 수 있다(제54조 제1항 제2항, 제148조 및 제156조 제10호).

33.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고용주등”에게 부과되는 의무가 아닌 것은?(1100년 04월)
     1. 난폭운전 등의 금지
     2. 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 금지
     3. 과로한 때 등의 운전 금지
     4. 무면허운전 등의 금지

     정답 : []
     정답률 : 3%
     <문제 해설>
① 난폭운전 등의 금지는 대상이 아니다. 고용주등은 제43조 무면허운전, 제44조 음주운전, 제45조 과로운전 등을 하여서는 아니 되는 운전자가 자동차등을 운전하는 것을 알고도 말리지 아니하거나 그러한 운전자에게 자동차등을 운전하도록 시켜서는 아니된다.(도로교통법 제56조 ①②)

34.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권자로 틀린 것은?(1100년 02월)
     1. 특별시장
     2. 광역시장
     3. 광역시 외의 군의 군수
     4. 경찰청장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시장등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도로교통법 제12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의 주변도로 가운데 일정 구간을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자동차등과 노면전차의 통행속도를 시속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도로교통법 제12조)

35.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난폭운전 금지 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자동차와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가 대상이다.
     2. 모든 법규위반 중 둘 이상 또는 하나의 행위를 지속ㆍ반복해야 한다.
     3. 위협 또는 위해를 가하거나 교통상의 위험이 발생되어야 한다.
     4.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모든” 법규위반이 아닌 도로교통법 제46조의3 각호의 법규위반에 해당하는 위반을 대상으로 한다.
제46조의3(난폭운전 금지) 자동차등의 운전자는 다음 각 호 중 둘 이상의 행위를 연달아 하거나, 하나의 행위를 지속 또는 반복하여 다른 사람에게 위협 또는 위해를 가하거나 교통상의 위험을 발생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제5조에 따른 신호 또는 지시 위반
2. 제13조제3항에 따른 중앙선 침범
3. 제17조제3항에 따른 속도의 위반
4. 제18조제1항에 따른 횡단ㆍ유턴ㆍ후진 금지 위반
5. 제19조에 따른 안전거리 미확보, 진로변경 금지 위반, 급제동 금지 위반
6. 제21조제1항ㆍ제3항 및 제4항에 따른 앞지르기 방법 또는 앞지르기의 방해금지 위반
7. 제49조제1항 제8호에 따른 정당한 사유 없는 소음 발생
8. 제60조제2항에 따른 고속도로에서의 앞지르기 방법 위반
9. 제62조에 따른 고속도로 등에서의 횡단ㆍ유턴ㆍ후진 금지 위반
제151조의2(벌칙) 자동차등의 운전자가 제46조의3을 위반하여 난폭운전을 한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6. 이륜자동차 안전모착용 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안전모를 미착용한 운전자는 범칙금 2만원을 부과 받는다.
     2. 동승자가 안전모를 미착용 한 경우 운전자는 과태로 2만원을 부과 받는다.
     3. 안전기준이 미치지 못한 안전모를 착용한 것은 원칙적으로 단속대상이다.
     4.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이륜자동차를 끌고 가는 것도 단속대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짧은 거리를 끌고 갈 때는 운전이 아니므로 안전모착용의무가 없어 단속대상이 아니다. 안전모 미착용운전자는 범칙금 2만원, 동승자 미착용은 운전자에게 과태료 2만원이 부과된다. 안전기준에 미치지 못한 경우 안전모 착용이라고 할 수 없어 단속대상이 된다(도로교통법시행규칙 제32조①②).(도로교통법 시행령 별표 8)

37.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 금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자동차, 원동기장차자전거, 모든 건설기계가 대상이다.
     2. 도로가 아닌 곳에서의 운전도 단속 대상이다.
     3. 주차할 목적으로 짧은 거리를 운전한 것도 단속대상이다.
     4. 형사처벌 기준은 혈중알코올농도 0.02% 이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④ 혈중알코올농도 0.05% 이상이다. 누구든지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등, 모든 건설기계를 운전하여서는 아니 되고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은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5퍼센트 이상인 경우로 한다(도로교통법 제44조).

38. 다음 중 교통사고 발생 시 가장 먼저 취해야 할 응급처치 방법은?(1100년 03월)
     1. 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전에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2. 부상자 응급처치를 할 때에는 가장 먼저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3. 부상자 응급처치 전 차량파손 여부부터 확인한다.
     4. 의식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의식이 없을 때에는 우선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응급처치란 돌발적인 각종 사고로 인한 부상자나 병의 상태가 위급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문인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지기 전에 실시하는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처치로 병의 악화와 상처의 조속한 처치를 위해 행하여지는 모든 행동을 말한다. 교통사고로 인한 호흡과 의식이 없는 부상자 발생 시에는 가장 먼저 가슴압박을 실시 한 후 기도확보, 인공호흡 순으로 실시한다. 또한 함부로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고 전문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가급적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39. 다음 중 유턴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유턴지점에서 다른 차량을 방해하면서 유턴하면 유턴위반이다.
     2. 보조표지가 없고 유턴표시만 있는 곳에서는 신호와 상관없이 유턴할 수 있다.
     3. 유턴지점이 아닌 중앙선이 설치된 도로에서 유턴하면 유턴위반이다.
     4. 유턴금지 표지판을 위반하여 유턴을 하면 지시위반이다.

     정답 : []
     정답률 : 6%
     <문제 해설>
중앙선이 설치된 지점에서 유턴하면 중앙선침범 위반이다(법 제13조 제3항). 유턴표시만 있는 곳에서는 신호와 상관없이 유턴할 수 있으며, 유턴금지 표지판을 위반하면 제5조 지시위반이 된다.

40. 도로에서 진로 변경 시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1월)
     1. 진로변경 구간인 백색실선에서 신속히 진로를 변경한다.
     2. 비상 점멸등을 켜면서 진로를 변경한다.
     3. 방향 지시등을 켜서 상대에게 알린 후 안전하게 진로를 변경한다.
     4. 다른 차량이 진로 변경을 할 때 같이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진로 변경 시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 방향 지시등을 켜서 상대에게 알린 후 안전하게 진로를 변경한다.

3과목 : 임의 구분


41.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가 오후 3시경 어린이 보호구역내에서 통행금지ㆍ제한사항을 위반한 경우 범칙금으로 맞는 것은?(1100년 02월)
     1. 8만원
     2. 6만원
     3. 2만원
     4. 1만원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가 오후 3시경 어린이보호구역내에서 통행금지ㆍ제한사항을 위반한 경우 범칙금 6만원이 부과된다.(도로교통법 시행령 [별표 8])

42. 이륜자동차가 주행 중 엔진이 꺼지면서 도로에서 멈추었을 때 가장 올바른 조치는?(1100년 03월)
     1. 차는 그대로 두고 운전자만 신속히 대피한다.
     2. 비상점멸등을 켜 놓고 운전자는 그 자리에서 다른 차에게 위험을 알린다.
     3. 2차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한 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4. 시동을 켜기 위해 계속적으로 반복해서 노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주행 중 도로에서 차가 멈추었을 때에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한 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43. 다음 안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유치원 통원로이므로 자동차가 통행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2. 어린이 또는 유아의 통행로나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린다.
     3. 학교의 출입구로부터 2킬로미터 이후 구역에 설치한다.
     4. 어린이 또는 유아가 도로를 횡단할 수 없음을 알린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어린이 또는 유아의 통행로나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리는 것, 학교, 유치원 등의 통학, 통원로 및 어린이놀이터가 부근에 있음을 알리는 것

44. 도로교통법상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노인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지정하는 구역은?(1100년 02월)
     1. 고령자 보호구역
     2. 노인 복지구역
     3. 노인 보호구역
     4. 노인 안전구역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노인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지정하는 구역은 노인 보호 구역이다.

45. 이륜자동차가 구부러진 길에서 앞서 가는 자전거를 발견했을 때 가장 안전한 운전 행동은?(1100년 04월)
     1. 자전거는 속도가 느리므로 가속하여 빠르게 앞질러 간다.
     2. 경음기를 울려 주의를 주면서 중앙선 쪽으로 붙여 빠르게 진행한다.
     3. 구부러진 길을 지날 때까지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자전거를 뒤따른다.
     4. 길 가장자리 쪽의 공간을 이용하여 빠르게 진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구부러진 길에서는 앞 차(자전거)와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뒤따라 가야한다.

46. 「노인 보호구역」에서 노인을 위해 지방경찰청장이나 경찰서장이 할 수 있는 조치가 아닌 것은?(1100년 02월)
     1. 차마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2. 이면도로를 일방통행로로 지정ㆍ운영할 수 있다.
     3. 차마의 운행속도를 매시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4. 주출입문 연결도로에 노인을 위한 노상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9%
     <문제 해설>
어린이ㆍ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제9조(보호구역에서의 필요한 조치) 제1항에 의하면 지방경찰청이나 경찰서장은 보호구역에서 구간별ㆍ시간대별로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할 수 있다 1. 차마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것. 2. 차마의 정차나 주차를 금지하는 것. 3. 운행속도를 시속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하는 것. 4. 이면도로를 일방통행로로 지정ㆍ운영하는 것

47.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안전한 운전을 위한 태도로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택시가 정차한 경우 승객이 하차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며 서행한다.
     2. 급한 전화가 올 수 있으므로 휴대용 전화기를 항상 손에 들고 운전한다.
     3. 어린이가 타고 있다는 표시를 한 어린이통학버스를 앞지르기 한다.
     4. 다른 차의 끼어들기 예방차원으로 앞차와 거리를 좁혀 운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휴대용 전화기를 손에 들고 통화하며 운전해서는 안 된다. 또한 모든 차의 운전자는 어린이가 타고 있다는 표시를 한 어린이통학버스를 앞지르기 못하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운전해야 한다.

48. 다음 안전표지가 있는 도로에서 올바른 운전방법은?(1100년 05월)

    

     1. 눈길인 경우 고단 변속기를 사용한다.
     2. 눈길인 경우 가급적 중간에 정지하지 않는다.
     3. 평지에서 보다 고단 변속기를 사용한다.
     4. 짐이 많은 차를 가까이 따라간다.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오르막경사를 오르는 경우 : 등판력를 높이고 시동을 유지하기 위해, 저단으로 변속
짐을 실은 차를 가까이 따라가는 경우 : 화물 추락으로 인한
사고 또는 앞차의 정지, 갑작스러운 서행으로 인하여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
눈길 오르막경사를 오르는 경우 : 중간에 정지하면 미끄러움으로 등판할 수 없고, 고단으로 주행할 경우 미끄러움이 더해져 등판할 수 없음

49. 연료의 소비 효율이 가장 높은 운전방법은?(1100년 01월)
     1. 최고속도로 주행한다.
     2. 최저속도로 주행한다.
     3. 경제속도로 주행한다.
     4. 안전속도로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경제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연료소비 효율이 높다.

50. 다음 안전표지의 뜻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일렬주차표지
     2. 상습정체구간표지
     3. 야간통행주의표지
     4. 차선변경구간표지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상습정체구간으로 사고 위험이 있는 구간에 설치, 상습정체구간 전 50미터에서 200미터의 도로우측에 설치

51. 친환경 경제운전을 가장 잘한 경우는?(1100년 01월)
     1. 교통 체증이 없더라도 경제속도로 정속 주행한다.
     2. 차량 수명 연장을 위해 평소 출발 전과 도착 후 5분씩 공회전을 한다.
     3. 타이어의 접지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압을 5퍼센트 정도 낮게 유지 한다.
     4. 주행 안정성을 위해 트렁크에 약 10킬로그램 정도의 짐을 항상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친환경 경제운전을 위해 급출발ㆍ급가속ㆍ급제동을 하지 않고, 경제속도 시속 80킬로미터를 유지하고, 불필요한 공회전을 자제하며 타이어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고 자동차 무게를 가볍게 하며 불필요한 브레이크 사용을 줄여야 한다.

52. 어린이가 보호자 없이 도로를 횡단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운전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1100년 03월)
     1. 안전거리를 두고 일시정지 한다.
     2. 큰 소리를 질러 어린이에게 주의를 준 후 서행으로 통과한다.
     3. 어린이는 보행속도가 느리므로 어린이 뒤로 서행하여 통과한다.
     4. 계속 경음기로 울려 어린이를 제지한 후 신속히 통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어린이가 보호자 없이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모든 차는 일시정지하여야 한다.(도로교통법 제49조)

53.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가 보행자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로 횡단하는 노인을 뒤늦게 발견하여 급제동을 하였으나 노인에게 2주 진단 상해를 입혔다. 올바른 설명은?(1100년 02월)
     1. 보행자 신호등이 없으므로 운전자는 과실이 전혀 없다.
     2. 운전자에게 민사 및 형사 책임이 있다.
     3. 횡단한 노인만 형사 처벌 된다.
     4. 종합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운전자에게 형사 책임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도로교통법 제27조 제1항에 따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의무를 위반하여 운전한 경우 운전자에게 민사 및 형사 책임이 있다.(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 제6호)

54. 인명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운행하여야 할 대상으로 맞는 것은?(1100년 03월)
     1. 이륜자동차 운전자만 해당된다.
     2.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만 해당된다.
     3. 이륜자동차와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 및 동승자도 해당된다.
     4. 이륜자동차 동승자만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인명보호 장구 착용 의무는 이륜자동차, 원동기장치자전거의 운전자 및 동승자 모두 해당된다.(도로교통법 50조)

55. 다음 중 보행자에 대한 배려 운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보행자를 항상 배려하며 방어 운전을 한다.
     2. 보행자가 없으면 횡단보도에서 감속하지 않고 주행한다.
     3. 무단 횡단하는 보행자는 보호할 필요가 없다.
     4. 이면 도로에서는 보행자보다 이륜자동차가 우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운전 중 교통 약자인 보행자에 대해서는 항상 배려하고 방어 운전을 해야 한다. 또한 보행자 우선의 운전 문화를 정착해야 한다.

56. 다음 중 친환경 운전을 잘 실천하고 있지 않은 운전자는?(1100년 04월)
     1. 타이어 공기압을 항상 적정하게 유지하는 운전자
     2. 정속 주행을 생활화하고 급가속을 하지 않는 운전자
     3. 급출발이나 급제동을 하지 않는 운전자
     4. 에어컨을 항상 켜고 주행하는 운전자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에어컨은 필요시만 켤 수 있도록 하며 처음에 켤 때는 고단으로 켠 후 저단으로 낮추는 것이 효율적이다.

57. 자동차등을 운행 시 가장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속도를 일컫는 용어는?(1100년 04월)
     1. 최저속도
     2. 최고속도
     3. 경제속도
     4. 법정속도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속도는 경제속도이다.

58.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준법의식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1100년 03월)
     1. 느린 속도로 갈 때는 우측 가장자리로 피하여 진로를 양보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2. 운전하던 중 긴급자동차가 뒤따라올 때에는 신속하게 진로를 양보하였다.
     3. 교차로에서는 선진입이 우선이므로 먼저 진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였다.
     4. 양보 표지가 설치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항상 다른 도로의 주행 차량에 진로를 양보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교차로는 통행우선 순위에 따라 통행하여야 하며 선 진입을 강조할 경우 대형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59. 도로교통법에서 정한 운전이 금지되는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혈중알코올농도 0.03퍼센트 이상인 상태로 운전
     2. 혈중알코올농도 0.06퍼센트 이상인 상태로 운전
     3. 혈중알코올농도 0.08퍼센트 이상인 상태로 운전
     4. 혈중알코올농도 0.09퍼센트 이상인 상태로 운전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운전이 금지되는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은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3퍼센트 이상으로 한다.

60. 다음 중 음주가 운전 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반응을 빠르게 만든다.
     2. 인지력을 증가시킨다.
     3. 집중력을 저하시킨다.
     4. 운전 능력을 향상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반응을 느리게 만들며 인지력 저하, 운전능력 저하와 집중력을 저하시킨다.

4과목 : 임의 구분


61. 공주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술에 취한 상태로 운전하게 되면 공주거리가 길어진다.
     2. 빗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정지거리가 공주거리보다 짧아진다.
     3. 교통사고를 피하기 위해서는 공주거리만큼은 유지해야 한다.
     4. 위험을 느끼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차량이 완전히 정지한 거리가 공주거리다.

     정답 : []
     정답률 : 6%
     <문제 해설>
운전자가 피로하거나 술을 마신 상태로 운전하게 되면 공주거리가 길어진다. 공주거리는 운전자의 심신 상태와 직결된다. 공주거리는 주행 중 운전자가 전방의 위험상황을 발견하고 브레이크를 밟아 제동이 걸리기 시작할 때 까지 자동차가 진행한 거리를 말하며,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히 정지할 때 까지 진행한 거리를 제동거리라 한다. 정지거리는 공주거리와 제동거리의 합을 의미한다.

62. 운전자의 피로가 운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1100년 01월)
     1. 주변 자극에 대해 반응 동작이 빠르게 나타난다.
     2. 시력이 떨어지고 시야가 넓어진다.
     3. 지각 및 운전 조작 능력이 떨어진다.
     4. 치밀하고 계획적인 운전 행동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주변 자극에 대해 반응 동작이 느리게 나타나며 시력이 떨어지고 시야가 좁아진다. 감각이 무뎌지고 비계획적인 행동이 나타난다.

63. 운전자의 운전 행동의 과정을 순서대로 맞게 연결한 것은?(1100년 04월)
     1. 인지 → 조작 → 판단
     2. 인지 → 판단 → 조작
     3. 판단 → 인지 → 조작
     4. 조작 → 판단 → 인지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운전 중에 어떤 상황이 발생하면 그 상황을 인지하고, 어떻게 행동(운전)할 것인지를 판단한 다음 자동차의 핸들, 변속기어, 브레이크, 가속페달, 경음기, 등화 장치 등을 조작하게 된다.

64. 이륜자동차의 운전자는 철길 건널목을 통과하려는 경우에는 건널목 앞에서 ( )하여야 한다. 다음 중 ( )에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서행
     2. 정차 후 주차
     3. 일시정지
     4. 앞지르기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철길건널목에서는 무조건 일시정지 해야 한다.

65. 교차로에서 신호대기 중이다. 내차 앞에 자전거가 있다면 녹색등화로 바뀐 경우 안전한 운전방법은?(1100년 02월)
     1. 자전거보다 먼저 출발한다.
     2. 자전거에게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준다.
     3. 자전거와 거리를 좁혀 진행한다.
     4. 경음기를 사용하며 주의를 주면서 먼저 빠져나간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자전거 뒤에서 신호대기 중인 교차로에서 신호가 바뀐 경우 안전운전방법은 자전거가 출발할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을 허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운전방법이다.

66. 다음 안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차폭 제한 규제표지이다.
     2. 차 높이 제한 규제표지이다.
     3. 차간거리 확보 규제표지이다.
     4. 차 길이 제한 규제표지이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표지판에 표시한 높이를 초과하는 차(적재한 화물의 높이를 포함)의 통행을 제한하는 것

67. 이륜자동차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제한속도를 위반하여 어린이를 다치게 했을 때 처벌은?(1100년 03월)
     1. 피해자가 형사처벌을 요구할 경우에만 형사처벌 된다.
     2. 피해자의 처벌 의사에 관계없이 형사처벌 된다.
     3. 종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형사처벌 되지 않는다.
     4. 피해자와 합의하면 형사처벌 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제한속도를 위반하여 어린이를 다치게 하는 경우 종합보험가입여부, 피해자와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형사입건 된다.

68. 이륜자동차의 2인 승차 시 주의사항이다. 틀린 것은?(1100년 04월)
     1. 2인 승차는 균형을 잡기 어렵고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2. 단독 승차 시 보다 감속하여 운행하며 급제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3. 뒷좌석 승차자가 옆으로 걸쳐 앉으면 균형 유지가 쉽다.
     4. 눈, 비로 인하여 도로가 미끄러우면 2인 승차를 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에 2인 승차는 균형을 잡기 어렵고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단독 승차 시 보다 감속하여 운행하며 급제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뒷좌석 승차자가 옆으로 걸쳐 앉으면 균형을 잃기 쉽다. 눈, 비로 인하여 도로가 미끄러우면 2인 승차를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69. 도로교통법상 보행자 보호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자전거를 끌고 걸어가는 사람은 보행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2. 이륜자동차는 보행자보다 항상 우선하여 통행할 수 있다.
     3. 지방경찰청장은 보행자의 통행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에 보행자 전용 도로를 설치 할 수 있다.
     4. 보행자 전용 도로에는 유모차를 끌고 갈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자전거를 끌고 걸어가는 사람은 보행자이다. 이륜자동차는 보행자보다 항상 우선하여 통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보행자의 통행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에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할 수 있고 보행자 전용도로에는 유모차를 끌고 갈 수 있다.

70. 교통법규를 위반하였거나 교통사고를 야기한 경우 벌점을 받는데 다음 설명 중 운전면허 정지처분을 받는 경우를 설명한 것은?(1100년 03월)
     1. 교통사고를 야기하여 벌점 40점을 받은 경우
     2.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벌점 30점을 받은 경우
     3.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벌점 20점을 받은 경우
     4. 음주운전으로 인사사고를 야기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3%
     <문제 해설>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벌점 30점을 받은 경우에는 면허정지처분을 받지 아니하며 음주운전으로 인사사고를 야기한 경우에는 운전면허가 취소된다.(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28)

71. 다음 안전표지가 의미하는 것은?(1100년 05월)

    

     1. 좌측도로는 일방통행 도로이다.
     2. 우측도로는 일방통행 도로이다.
     3. 모든 도로는 일방통행 도로이다.
     4. 직진도로는 일방통행 도로이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전방으로만 진행할 수 있는 일방통행임을 지시하는 것으로 일방통행 지시표지이다. 일방통행 도로의 입구 및 구간내의 필요한 지점의 도로양측에 설치하고 구간의 시작 및 끝의 보조표지를 부착ㆍ설치하며 구간내에 교차하는 도로가 있을 경우에는 교차로 부근의 도로양측에 설치한다.

72. 제2종 소형면허 운전면허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 것은?(1100년 03월)
     1. 정기 적성검사 기간 만료 다음 날부터 적성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6개월을 초과한 경우
     2.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간 중 이륜차를 운전한 때
     3. 난폭운전으로 형사입건된 때
     4. 공동위험행위로 형사입건된 때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① 1년 ③ 난폭운전으로 형사입건된 때 벌점 40점으로 정지처분 대상 ④ 공동위험행위로 형사입건된 때 벌점 40점으로 정지처분 대상이고, 구속된 때에는 취소처분 대상이다.

73.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준수사항이다. 틀린 것은?(1100년 04월)
     1. 차를 급히 출발시키거나 속도를 급격히 높이지 않는다.
     2. 차의 원동기 동력을 바퀴에 전달시키지 아니하고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3. 야간에는 시야확보를 위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는다.
     4. 좌우로 줄지어 통행하면서 교통상의 위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운전자의 준수사항 ① 차등을 급히 출발시키거나 속도를 급격히 높이지 않는 행위 ② 차등의 원동기 동력을 바퀴에 전달시키지 아니하고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행위 ③ 반복적이거나 연속적으로 경음기를 울리지 않는 행위 ④ 좌우로 줄지어 통행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위해를 주거나 교통상의 위험을 발생시키지 않는 행위

74. 녹색신호일 때 정체된 교차로에 무리하게 진입하였다가 교차로 안에 정지되어 다른 차의 통행에 방해가 되었다. 무슨 위반에 해당되는가?(1100년 02월)
     1. 끼어들기
     2.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3. 진로변경 방법 위반
     4. 신호위반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신호기로 교통정리를 하고 있는 교차로에 들어가려는 경우에는 진행하려는 진로의 앞쪽에 있는 차 또는 노면전차의 상황에 따라 교차로(정지선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정지선을 넘은 부분을 말한다)에 정지하게 되어 다른 차 또는 노면전차의 통행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그 교차로에 들어가서는 아니 된다.(도로교통법 제25조 제5항) <개정 2018. 3. 27.> [시행일 : 2019. 3. 28.]

75. 다음 안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우측면통행 지시표지이다.
     2. 우회로 지시표지이다.
     3. 회전교차로 지시표지이다.
     4. 타원형 유도 지시표지이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표지판이 화살표 방향으로 자동차가 회전 진행할 것을 지시하는 것

76.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1100년 03월)
     1. 고의로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를 처벌하기 위한 법이다.
     2. 구속된 가해자가 사회 복귀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법이다.
     3. 과실로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를 신속하게 처벌하기 위한 법이다.
     4.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의 신속한 회복을 촉진하고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업무상 과실 등으로 교통사고를 야기한 운전자에 대한 형사처벌의 특례를 정함으로서 신속한 피해 회복을 촉진하고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 1조)

77. 이륜자동차 운전자는 적색신호 시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 ( )해야 한다. 다음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감속
     2. 서행
     3. 일시정지
     4. 주행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모든 자동차 운전자는 적색신호 시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 정지하여야 한다.

78. 다음 안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양측방 통행 지시표지이다.
     2. 좌ㆍ우회전 지시표지이다.
     3. 중앙 분리대 시작 지시표지이다.
     4. 중앙 분리대 종료 지시표지이다.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차가 우회전 또는좌회전할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좌ㆍ우회전 지시표지이다. 차가좌회전또는우회전할 지점의 도로우측에 설치한다.

79.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 진입 시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2월)
     1. 속도를 높이며 빠르게 진입한다.
     2.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하며 진입한다.
     3. 앞차와의 거리를 좁히며 진입한다.
     4. 뒤따라오는 차량에 주의하며 진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속도를 줄이며 적절한 속도로 진입하고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하며 진입하는 것이 안전하다.

80. 도로교통법상 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가 없는 사람은?(1100년 02월)
     1. 신호등 있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2. 도로에서 운행 중인 경운기 운전자
     3. 비포장 도로에서 우마차를 몰고 가는 농부
     4. 도로에서 운행 중인 승용차 운전석 옆 동승자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자는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자 및 차마의 운전자이다.(도로교통법 제5조)

81. 도로교통법상 정차가 가능한 곳은?(1100년 02월)
     1. 안전지대로부터 7미터
     2. 버스정류장으로부터 7미터
     3. 도로모퉁이로부터 7미터
     4. 횡단보도로부터 7미터

     정답 : []
     정답률 : 9%
     <문제 해설>
도로교통법 제32조(정차 및 주차의 금지) ① 안전지대로부터 10미터 이내 ② 버스정류장으로부터 10미터 이내 ③ 도로모퉁이로부터 5미터 이내 ④ 횡단보도로부터 10미터 이내

82. 다음 중 자전거 통행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1100년 02월)
     1. 자전거도 차에 해당한다.
     2. 원칙적으로 자전거를 타고 보도로 가면 안 된다.
     3. 부득이 황단보도를 지나가는 경우 끌고 지나가야 한다.
     4. 자전거는 교차로에서 신호를 위반해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자와 차마의 운전자는 교통안전시설이 표시하는 신호 또는 지시를 따라야 한다. 따라서 자전거도 교차로에서 신호를 준수해야 한다.

83. 도로교통법상 이륜차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횡단할 때 가장 안전한 방법은?(1100년 01월)
     1. 이륜차에서 내려서 이륜차를 끌고 보행한다.
     2. 이륜차를 탄 상태 그대로 진행한다.
     3. 이륜차를 타고 서행하면서 횡단한다.
     4. 이륜차의 속도를 높여 신속히 횡단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이륜차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횡단할 때에는 이륜차에서 내려서 이륜차를 끌고 보행하여야 한다.

84. 도로교통법상 이륜자동차 운전 중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에 대한 행정처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3월)
     1. 본인의 상해결과에 대한 벌점은 부과되지 않는다.
     2. 동승자의 상해결과에 대한 벌점은 부과된다.
     3. 동승자가 친ㆍ인척인 경우에는 벌점은 부과되지 않는다.
     4. 보행자와의 사고에 있어 보행자의 과실이 큰 경우에는 벌점을 1/2로 감경된다.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동승자와의 신분상 관계에 상관없이 벌점이 부과된다.(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28 제3호 나목)

85. 도로교통법상 의료용 전동휠체어는 어디로 통행해야 하는가?(1100년 01월)
     1. 차도
     2. 자전거전용도로
     3. 보도
     4. 자전거우선도로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의료용 전동휠체어는 보행자이므로 보도로 통행해야 한다. 보행자는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는 언제나 보도로 통행하여야 한다. 다만, 차도를 횡단하는 경우, 도로공사 등으로 보도의 통행이 금지된 경우나 그 밖의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도로교통법 제8조 제1항)

86. 갑은 이륜자동차를 운전하던 중 탑승자가 없이 주ㆍ정차된 차량을 살짝 긁었으나 본인의 인적사항을 알리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 이 때 갑에 대한 행정처분으로 옳은 것은?(1100년 03월)
     1. 운전면허 취소처분 대상이다.
     2. 인적사항을 알리지 않았으므로 벌점 15점이 부과된다.
     3. 사고원인에 대해서는 벌점을 부과하지 않는다.
     4. 도로가 아닌 곳에서 발생되었더라도 벌점을 부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인적사항을 남기지 않고 현장을 떠난 경우 사고발생 시의 조치의무위반이 되며(도로교통법 제54조), 벌점 15점이 부과된다.(도로교통법시행규칙 2017. 6월 3일 시행)그러나 도로가 아닌 곳에서는 벌점을 부과할 수 없다.

87. 이륜자동차 운전자는 긴급자동차가 접근하는 경우 ( )하여야 한다. 다음 중 ( )안에 알맞은 것은?(1100년 02월)
     1. 서행
     2. 진로를 양보
     3. 빠르게 주행
     4. 도로 중앙에 즉시 정지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교차로나 그 부근에서 긴급자동차가 접근하는 경우에는 차마와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차로를 피하여 일시정지하여야 한다. 모든 차와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차로나 그 부근 외의 곳에서 긴급자동차가 접근한 경우에는 긴급자동차가 우선통행할 수 있도록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도로교통법 제29조 제4항, 제5항) <개정 2018. 3. 27.>[시행일 : 2019. 3. 28.]

88. 다음 유턴구역선 표시는 편도 ( ) 이상의 도로에서 설치할 수 있다. ( )안에 설치기준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1차로
     2. 2차로
     3. 3차로
     4. 4차로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편도 3차로 이상의 도로에서 차마의 유턴이 허용된 구간 또는 장소 내의 필요한 지점에 설치(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6 5. 노면표시 502 유턴구역선 표시)

89. 다음은 안전표지 중 노면표시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알맞은 것은?(1100년 02월)
     1. 백색 점선은 진로 변경이 가능한 차선이다.
     2. 백색 실선은 안전할 때 주의하면서 차로 변경을 할 수 있음을 뜻하는 차선이다.
     3. 황색 점선(중앙선)은 앞지르기는 할 수 없으나 진로 변경은 할 수 있다는 뜻의 차선이다.
     4. 황색 실선(중앙선)은 진로 변경 제한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황색 실선은 차가 넘어 갈 수 없음을 나타내는 중앙선 표시이며, 백색 실선은 진로변경 제한선이다.

90. 도로교통법상 가장 안전한 운전을 하고 있는 운전자는?(1100년 01월)
     1. 보행자가 횡단보도가 없는 도로를 횡단하고 있는 경우에 주의하여 보행자 옆을 주행한다.
     2. 가파른 비탈길의 오르막길에서는 속도를 높여 주행한다.
     3. 신호등이 없고 좌・우를 확인할 수 없는 교차로에서 일시정지한다.
     4. 어린이에 대한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을 발견한 경우에는 경음기를 울려서 어린이에게 위험을 알려준다.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고 좌우를 확인할 수 없거나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에서는 일시정지하여야 한다.

91. 이륜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할 때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은?(1100년 04월)
     1. 이륜자동차는 되도록 안전지대에 주차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2. 앞지르기할 경우 앞 차량의 우측 길 가장자리 쪽으로 통행한다.
     3. 황색신호가 켜지면 신호를 준수하기 위하여 교차로 내에 정지한다.
     4. 앞 차량이 급제동할 때를 대비하여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할 때 앞 차량이 급제동할 때를 대비하여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한다.

92. 이륜자동차가 빗길에서 고속 주행 중 앞차가 정지하는 것을 보고 급제동 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맞는 것은?(1100년 04월)
     1. 급제동 시에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저항이 커져 미끄러지지 않는다.
     2. 빗길에서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3. 빗길에서는 마찰저항이 낮아 미끄러지는 거리가 짧아진다.
     4. 건조한 노면에서 보다 마찰저항이 커져 핸들조작이 쉬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가 빗길에서 고속 주행 중 앞차가 정지하는 것을 보고 급제동 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에서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93. 이륜자동차가 자갈길이나 울퉁불퉁한 길을 운행할 때 가장 안전한 운전행동은?(1100년 04월)
     1. 핸들 조작은 최대한 크게 하는 것이 좋다.
     2. 미리 속도를 높여서 고단 기어를 사용하여 운전한다.
     3. 차체의 균형에만 주의하면 된다.
     4. 저단 기어를 사용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의 자갈길 운전은 노면이 고르지 않고, 자갈로 인해 타이어 손상이나 핸들움직임이 커질 수 있다. 최대한 핸들 조작을 작게 하면서 속도를 줄이고, 저단기어를 사용하여 일정 속도를 유지하여 지나가는 것이 좋다.

94. 다음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도로교통법 위반행위 중 운전면허 취소사유로 맞는 것은?(1100년 03월)
     1. 처음으로 혈중알코올농도 0.07퍼센트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
     2. 운전면허취득 결격기간 중 운전면허를 받은 경우
     3. 난폭운전으로 형사 입건된 경우
     4. 물적 피해가 발생한 교통사고를 일으킨 후 도주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처음으로 혈중알코올농도 0.07퍼센트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는 벌점 100점, 난폭운전으로 형사 입건된 경우는 벌점 40점, 물적 피해가 발생한 교통사고를 일으킨 후 도주한 경우는 벌점 15점 부과한다.(도로교통법시행규칙 별표28)

95. 도로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는 목적은?(1100년 01월)
     1.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서
     2. 차량 속도를 줄여 서행을 유도하기 위해서
     3. 교통량을 줄이기 위해서
     4. 위반 차량을 단속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학교 앞이나 아파트 단지 입구 등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는 것은 차량 속도를 줄여 서행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96. 이륜자동차의 승차용 안전모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안전모 뒷부분에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을 것
     2. 충격 흡수성이 있고 내관통성이 있을 것
     3. 청력에 현저한 장애를 주지 아니할 것
     4. 무게는 2킬로그램 이상일 것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의 승차용 안전모는 안전모 뒷부분에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을 것, 충격흡수성이 있고 내관통성이 있을 것, 청력에 현저한 장애를 주지 아니할 것

97. 다음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의 위반행위 중 도로 외의 장소에서도 형사 처벌하는 것은?(1100년 03월)
     1. 무면허 운전
     2. 약물 운전
     3. 공동 위험행위
     4. 난폭 운전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음주운전, 과로ㆍ약물운전, 교통사고 야기 시 조치불이행은 도로외의 장소에서도 형사처벌한다.

98. 다음 중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속도 준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일반도로에서는 법정속도를 준수하지 않아도 된다.
     2. 법정속도보다 안전표지가 지정하고 있는 제한속도를 우선 준수해야 한다.
     3. 법정속도와 안전표지 제한속도가 다른 경우 어느 하나만 준수해도 된다.
     4. 안전표지의 지정속도 보다 법정속도가 우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일반도로에서는 법정속도를 준수해야 하며 법정속도보다 안전표지가 지정하고 있는 제한속도를 우선 준수해야 한다.

99. 교차로에 진입하려는데, 경찰공무원이 정지하라는 수신호를 보냈다. 다음 중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1월)
     1. 정지선 직전에 일시정지한다.
     2. 빠른 속도로 진입한다.
     3. 비상 점멸등을 켜며 진입한다.
     4. 교차로에 서서히 진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교통안전시설이 표시하는 신호 또는 지시와 교통정리를 위한 경찰공무원 등의 신호 또는 지시가 다른 경우에는 경찰공무원 등의 신호 또는 지시에 따라야 한다.

100. 이륜자동차가 자전거를 앞지르기 할 때 충분한 거리 및 공간을 두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1100년 04월)
     1. 자전거가 갑자기 넘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2. 자전거가 갑자기 멈출 수는 없기 때문에
     3. 자전거는 좌ㆍ우측으로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4. 자전거가 갑자기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가 자전거를 앞지르기 할 때 충분한 거리 및 공간을 두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전거가 갑자기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 답 지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573047)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임의 구분


1. 무면허 운전에 해당하는 경우는?(1100년 04월)
     1. 범칙금 납부 통고서를 가지고 운전한 때
     2. 운전면허증을 발급받고 운전한 때
     3. 운전면허 정지 기간 중에 운전한 때
     4. 임시운전증명서를 소지하고 운전한 때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지방경찰청장으로부터 운전면허를 받지 아니하거나 운전면허의 효력이 정지된 경우 운전한 때는 무면허 운전에 해당한다.

2. 이륜자동차 운전 중 전방에 자전거가 가고 있을 때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은?(1100년 05월)
     1. 자전거는 속도가 느리므로 재빨리 앞지르기한다.
     2. 자전거가 넘어질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한다.
     3. 자전거는 특별히 위험하지 않으므로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4. 경음기를 계속 사용하면서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 운전 중 전방에 자전거가 가고 있을 때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은 자전거가 넘어질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한다.

3. 이륜자동차의 속도에 따른 안전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1100년 02월)
     1. 항상 5미터 정도의 안전거리를 유지 한다.
     2. 항상 10미터 정도의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3. 앞차가 급정지하더라도 옆 차로로 피할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를 둘 필요가 없다.
     4. 앞차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두는 것이 적절하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앞차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두는 것이 적절하다.

4. 교차로에서 신호대기 중인 차량을 이륜자동차가 뒤쪽에서 앞 차의 범퍼를 살짝 추돌하였을 경우 일반적으로 가해자는 누구인가?(1100년 04월)
     1. 앞ㆍ뒤 차량 운전자
     2. 앞 차량 운전자
     3. 뒤 차량 운전자
     4. 모두가 가해자가 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모든 차의 운전자는 앞차가 갑자기 정지하더라도 그 앞 차와의 추돌을 피할 수 있는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여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가해자는 일반적으로 뒤차의 운전자이다.

5. 이륜자동차가 주행 중 갑자기 발생할 수 있는 강풍이나 돌풍 지역에서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5월)
     1. 속도를 높여 터널 입구, 다리 위 등을 신속히 벗어나야 안전하다.
     2. 강풍이 불면 이륜자동차는 차로를 이탈할 수 있으므로 바람에 이륜자동차를 맡겨야 한다.
     3. 우리나라는 강풍이 부는 도로가 없기 때문에 크게 우려할 문제는 아니다.
     4. 운전자는 절대 감속해야 하며 안전 운전에 집중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바람이 심하게 부는 때에는 감속과 함께 핸들을 양손으로 힘있게 붙잡고 주행 방향이나 속도변화에 따라 신중히 대처해야 한다. 특히 산길이나 고지대, 터널의 입구나 출구, 다리 등은 강풍이나 돌풍이 예상되는 곳이므로 안전 운전에 집중해야 한다.

6. 다음 중 이륜차 운전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발생시킨 경우 처벌의 대상에 속하지 않는 것은?(1100년 04월)
     1. 급히 출발시키거나 속도를 급격히 높여 소음을 발생하는 경우
     2. 동력을 바퀴에 전달시키지 않고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행위
     3. 반복적이거나 연속적으로 경음기를 울리는 행위
     4. 무단 횡단하는 어린이를 발견하고 경음기를 울리는 행위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자동차등을 급히 출발시키거나 속도를 급격히 높이는 행위, 자동차 등의 원동기 동력을 차의 바퀴에 전달시키지 아니하고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행위, 반복적이거나 연속적으로 경음기를 울리는 행위는 정당한 사유 없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소음을 발생시킨 경우 처벌의 대상에 해당한다.

7. 이륜자동차가 다음과 같이 주행하였다. 도로교통법상 속도위반이 되지 않는 경우는?(1100년 02월)
     1. 노면이 얼어붙은 편도 1차로의 일반도로를 매시 60킬로미터로 주행하였다.
     2. 눈이 내려 20밀리미터 미만 쌓인 편도 2차로의 일반도로를 매시 50킬로 미터로 주행하였다.
     3.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 있는 편도 1차로의 일반도로를 매시 60킬로미터로 주행하였다.
     4. 안개가 끼어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인 편도 1차로의 일반도로를 매시 50킬로미터로 주행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최고속도의 100분의 2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는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 있는 경우와 눈이 20밀리미터 미만 쌓인 경우이다. 최고속도의 100분의 5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는 폭우ㆍ폭설ㆍ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인 경우, 노면이 얼어붙은 경우, 눈이 20밀리미터 이상 쌓인 경우이다. 편도 2차로 이상 일반도로의 제한속도는 매시 80km이다.(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19조)

8. 이륜자동차 운전 시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이유는?(1100년 05월)
     1. 운전 중 졸음과 피로감을 줄이기 위하여
     2. 운전 중 적절한 안전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3. 운전 중 보다 넓은 시야 확보를 위하여
     4. 운전 중 교통사고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 운전시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는 이유는 운전 중 교통사고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함이 가장 크다.

9. 앞차를 앞지르기 할 때 위반에 해당하는 것은?(1100년 02월)
     1. 편도 2차로 오르막길에서 백색점선을 넘어 앞지르기하였다.
     2. 반대 방향의 안전을 살피고 황색실선의 중앙선을 넘어 앞지르기 하였다.
     3. 비포장도로에서 앞차의 좌측으로 앞지르기 하였다.
     4. 황색점선의 중앙선이 설치된 도로에서 안전을 살피고 앞지르기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백색 실선은 진로 변경 제한선이고 백색 점선의 차선은 안전을 살피고 진로 변경이 가능한 표시이며, 황색 실선의 중앙선은 넘어서는 안 되는 표시이고, 황색 점선의 중앙선은 안전을 살피고 앞지르기를 할 수 있는 구간이다.

10. 다음 중 제2종 소형면허를 받은 사람(65세 이상 제외)의 갱신기간은?(1100년 01월)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최초의 운전면허갱신기간은 운전면허시험에 합격한 날부터 기산 하여 65세 미만은 10년이며, 65세 이상 75세 미만은 5년, 75세 이상은 3년, 한쪽 눈만 보지 못하는 사람으로 1종 보통면허를 취득한 사람의 갱신기간 또한 3년이다. [시행일 2019. 01.01]

11. 모범운전자가 초보운전자에게 안전운전 방법을 설명하였다. 맞게 설명한 것은?(1100년 03월)
     1. 교통정리가 없는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를 통과할 때는 서행으로 통과하면 된다고 알려주었다.
     2. 교차로 진입 전 차량 황색 등화가 켜 있는 경우라면 통과하라고 알려주었다.
     3. 다리 위는 차로변경은 가능하고 과속만 하지 않으면 된다고 알려주었다.
     4. 도로의 구부러진 부근을 통과할 때는 앞지르기를 하면 안 된다고 알려주었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교통정리가 없는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는 일시정지 하여야 하고, 다리 위는 앞지르기 및 진로변경이 금지된 곳이다.(도로교통법 제31조 제2항, 도로교통법 제14조, 제22조 제3항)

12. 다음은 다른 차를 앞지르기하려는 자동차의 속도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1100년 02월)
     1. 다른 차를 앞지르기하는 경우에는 속도의 제한이 없다.
     2. 해당 도로의 법정 최고 속도의 100분의 50을 더한 속도까지는 가능하다.
     3. 운전자의 운전 능력에 따라 제한 없이 가능하다.
     4. 해당 도로의 최고 속도 이내에서만 앞지르기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해당도로의 최고속도 이내에서만 앞지르기가 가능하다.

13. 제2종 소형면허를 받은 사람이 제2종 보통면허를 취득하고자 할 때 면제되는 시험은?(1100년 01월)
     1. 적성
     2. 기능
     3. 법령
     4. 점검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제2종 소형면허를 받은 사람이 제2종 보통면허를 취득하고자 할 때 면제되는 시험은 적성이다. (도로교통법시행령 별표 3)

14. 도로교통법상 제2종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로 운전할 수 없는 차량은?(1100년 01월)
     1. 배기량 100시시 다륜형 이륜자동차
     2. 배기량 49시시 이륜자동차
     3. 배기량 200시시 이륜자동차
     4. 정격출력 0.59킬로와트 미만의 원동기를 단 차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제2종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를 받은 사람은「자동차관리법」제3조에 따른 이륜자동차 가운데 배기량 125시시 이하의 이륜자동차, 배기량 50시시 미만(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경우에는 정격출력 0.59킬로와트 미만)의 원동기를 단 차를 운전할 수 있다(도로교통법 제2조(정의) 제19호).

15. 터널 안에서의 앞지르기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2월)
     1. 좌측으로 앞지르기를 해야 한다.
     2. 전조등을 켜고 앞지르기를 해야 한다
     3. 법정 최고 속도의 한도 내에서 앞지르기를 해야 한다.
     4. 앞지르기를 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교차로, 다리 위, 터널 안 등은 앞지르기가 금지된 장소이므로 앞지르기를 할 수 없다.

16. 비탈길의 고갯마루 부근을 통과할 때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3월)
     1. 앞차를 따라서 빠르게 통과한다.
     2. 반대편 상황을 잘 볼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하면서 서행으로 통과한다.
     3. 반대편 도로는 상관이 없으므로 내 앞차로만 주의하며 통과한다.
     4. 위험하므로 앞차와의 거리를 좁혀서 뒤따르며 통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반대편 상황을 잘 볼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하면서 서행으로 통과한다. 반대편 도로와도 상관이 있으므로 내 앞차로 뿐만 아니라 주변상황에도 주의하며 통과한다. 고갯마루부근은 고개 넘어 상황이 잘 안보여 위험하므로 앞차와의 거리를 넓혀서 안전거리를 충분히 두고 뒤따르며 통과한다.(도로교통법 제22조)

17. 급커브길을 주행 중일 때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은?(1100년 03월)
     1. 급커브길 안에서 핸들을 신속히 꺾으면서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줄이고 통과한다.
     2. 급커브길 앞의 직선도로에서 속도를 충분히 줄인다.
     3. 급커브길은 위험구간이므로 급가속하여 신속히 통과한다.
     4. 급커브길에서 앞지르기 금지표지가 없는 경우 신속히 앞지르기 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① 급커브길 안에서 핸들을 꺾으면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타이어가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차량이 옆으로 미끄러질 수 있어 위험하다. ③ 커브길에서는 원심력이 작용하므로 서행하여야 한다. ④ 급커브길에서는 앞지르기 금지 표지가 없더라도 앞지르기를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도로교통법 제22조)

18. 다음 중 이륜자동차가 도로의 중앙이나 좌측부분으로 통행할 수 없는 경우는?(1100년 04월)
     1. 도로가 일방통행인 경우
     2. 도로공사로 우측통행이 어려운 경우
     3. 차량이 정체되어 있는 경우
     4. 경찰의 수신호에 따라 진행하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③의 차량정체는 중앙선 좌측통행 대상이 아니다.

19. 다음 중 차도와 보도가 구분된 곳에서의 이륜자동차 통행방법 중 틀린 것은?(1100년 04월)
     1. 차도로 통행하여야 한다.
     2. 도로 외의 곳으로 출입할 때 보도를 횡단하여 통행할 수 있다.
     3. 우편물 배달을 위해 보도를 통행할 수 있다.
     4. 노인이 운전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보도를 통행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보도를 횡단하기 직전에 일시정지 하여 좌측과 우측 부분 등을 살핀 후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아니하도록 횡단하여야 한다.(도로교통법 제13조 제2항) 서행은 운전자가 차를 즉시 정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느린 속도로 진행하는 것을 말하고, 일시정지는 차의 운전자가 그 차의 바퀴를 일시적으로 완전히 정지시키는 것을 말한다.(도로교통법 제2조 제28호 제30호)

20. 다음 중 일반도로 버스전용차로 통행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1100년 04월)
     1. 36인승 이상 승합자동차는 버스전용차로로 통행할 수 있다.
     2. 모든 차는 전용차로 외의 도로가 파손된 경우에 전용차로를 통행할 수 있다.
     3. 25인승 내국인 관광객 수송용 승합자동차는 전용차로를 통행할 수 있다.
     4. 택시가 승객을 내려주기 위하여 일시 통행하는 경우에는 전용차로로 통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증명서를 발급받은 경우에 한하여 어린이를 운송할 목적으로 운행 중인 어린이 통학버스는 통행할 수 있다. 긴급자동차가 그 본래의 긴급한 용도로 운행되고 있는 경우, 전용차로 통행차의 통행에 장해를 주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택시가 승객을 태우거나 내려주기 위하여 일시 통행하는 경우(이 경우 택시 운전자는 승객이 타거나 내린 즉시 전용차로를 벗어나야 한다), 도로의 파손, 공사, 그 밖의 부득이한 장애로 인하여 전용차로가 아니면 통행할 수 없는 경우 등은 전용차로 통행차 외에 전용차로로 통행할 수 있다.(도로교통법 시행령 제10조)

2과목 : 임의 구분


21. 다음 중 새로 구입하거나 매매한 이륜자동차의 사용신고 기간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매수한 날로부터 7일 이내
     2. 매수한 날로부터 10일 이내
     3. 매수한 날로부터 15일 이내
     4. 매수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매매로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매수한 날로부터 15일 이내 등록관청에 사용신고하여야 한다. 자동차관리법 제48조(이륜자동차의 사용 신고 등) 제1항, 시행규칙 제101조 제1항 제2호

22. 다음 중 운전자 자신에게 맞는 이륜자동차 승차용 안전모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1100년 05월)
     1. 규격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2. 시인성이 좋은 것을 선택한다.
     3. 용도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4. 자신의 머리 크기보다 약간 큰 것을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자신에게 맞는 승차용 안전모를 선택하는 방법은 머리 크기에 맞는 것, 규격에 맞는 것, 용도에 맞는 것, 시인성이 좋은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23. 다음 중 이륜자동차 승차용 안전모 착용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1100년 05월)
     1. 안전모는 사고 때 머리 및 얼굴 보호 목적이다.
     2. 안전모를 착용할 때 턱 끈은 약간 느슨하게 맨다.
     3.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충격 완화에 도움을 준다.
     4. 안전모는 앞으로 숙여서 착용하거나 뒤로 젖혀서 착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안전모를 착용할 때 턱 끈을 단단히 조여서 확실히 매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24. 자동차 타이어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타이어 트레드가 완전 마모될 때까지 사용한다.
     2. 타이어 공기압은 높을수록 좋다.
     3. 타이어의 위치는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
     4. 타이어와 연비는 상관관계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타이어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타이어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타이어의 공기압은 적정하게 하고, 타이어 트레드가 마모한계점(1.6mm)에 도달한 경우는 교환해 주어야 한다.

25. 다음 중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사용신고를 할 수 있는 이륜자동차는?(1100년 01월)
     1. 최고속도가 매시 25킬로미터 이상인 배기량 49시시 이륜자동차
     2. 산악지형에 주로 사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차동장치가 없는 이륜자동차
     3. 주된 용도가 도로 운행 목적이 아닌 것으로서 조향장치 및 제동장치 등을 손으로 조작할 수 없는 이륜자동차
     4. 의료용 스쿠터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최고속도가 매시 25킬로미터 이상인 이륜자동차는 사용신고를 하여야 하는 이륜자동차이다.(자동차관리법시행규칙 제98조의7)

26. 다음은 이륜자동차를 운전할 때 시야와 시점의 분배에 대한 설명이다.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시점은 가까이 두고, 시야는 좁게 가져야 한다.
     2. 시점은 멀리 두고, 시야는 넓게 가져야 한다.
     3. 시점은 멀리 두고, 시야는 좁게 가져야 한다.
     4. 시점은 가까이 두고, 시야는 넓게 가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를 운전할 때 시점은 멀리 두고, 시야는 넓게 가져야 한다.

27. 다음은 이륜자동차 타이어 점검 및 관리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1100년 01월)
     1. 자동차 타이어와 달리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 마모 점검은 하지 않고 손상여부만 확인한다.
     2. 타이어는 장비로 들어 올려 천천히 돌리면서 못이나 이물질 부착 여부를 확인한다.
     3. 타이어 공기압은 규정된 적정 공기압인지 여부를 수시로 확인한다.
     4. 타이어 수명 즉 교환 시기는 타이어 홈의 깊이 또는 슬립사인(Slip sign)으로 확인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은 회전할 때 원심력과 균형유지를 위한 것이다.

28. 야간에 도로 상의 보행자나 물체들이 일시적으로 안 보이게 되는 “증발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위치는?(1100년 03월)
     1. 반대 차로의 가장자리
     2. 주행 차로의 우측 부분
     3. 도로의 중앙선 부근
     4. 도로 우측의 가장자리

     정답 : []
     정답률 : 5%
     <문제 해설>
야간에 도로 상의 보행자나 물체들이 일시적으로 안 보이게 되는 “증발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위치는 도로의 중앙선 부근이다.

29. 다음 중 과로한 때(졸음운전 포함) 등의 운전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1100년 04월)
     1. 질병운전은 포함되지 않는다.
     2. 안전운전의무위반에 따른 범칙금(통고처분) 발부 대상이다.
     3. 30만 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의 형사입건 대상이다.
     4. 벌점 30점이 부과된다.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③ 과로ㆍ질병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운전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 등을 운전한 사람은 30만 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에 처해진다(제45조, 제154조). 졸음운전과 같은 개념이고, 통고처분대상이 아니며, 벌점은 없다.

30. 경찰공무원은 이륜자동차의 안전운전을 위해 현장에서 불법부착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것은?(1100년 04월)
     1. 교통단속용 장비의 기능을 방해하는 장치
     2. 규정에 맞지 않은 광폭타이어
     3. 경찰관서에서 사용하는 무전기와 동일한 주파수의 무전기
     4. 긴급자동차가 아닌 자동차에 부착된 경광등, 사이렌 또는 비상등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교통단속용 장비의 기능을 방해하는 장치, 경찰관서에서 사용하는 무전기와 동일한 주파수의 무전기, 긴급자동차가 아닌 자동차에 부착된 경광등, 사이렌 또는 비상등은 경찰공무원이 제거할 수 있다(법 제49조 제1항 제3호 제4호, 제2항, 동법 시행규칙 제29조).

31. 다음은 이륜자동차의 2인 승차(텐덤, tandem)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1100년 05월)
     1. 무게가 증가하여 가속력은 높아지고 원심력은 작아진다.
     2. 운전자와 동승자의 일체화된 균형이 매우 중요하다.
     3. 감속할 때 운전자와 동승자의 호흡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미리 동승자에게 방법을 설명한다.
     4. 눈이나 비가 와서 노면이 미끄러울 때에는 동승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동승자가 있는 경우는 무게가 증가하여 가속력은 떨어지고 원심력은 커진다.

32. 다음 중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교통사고 발생 시 조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사상자를 구호한다.
     2. 다른 교통에 장해가 없도록 한다.
     3. 긴급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동승자로 하여금 필요한 조치나 신고를 대신하게 한 후 계속 운전한다.
     4. 주ㆍ정차된 차량만 손괴한 경우라도 피해자에게 인적사항을 제공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③ 긴급한 경우에만 동승자로 하여금 필요한 조치나 신고를 하게 한 후 계속 운전할 수 있다
차의 운전 등 교통으로 인하여 사람을 사상하거나 물건을 손괴한 경우 사상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하고, 피해자에게 인적 사항을 제공하지 않으면 범칙금 발부대상이 되고, 위험방지와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한 경우 경찰에 신고하여야 하고 긴급자동차, 부상자를 운반중인 차 및 우편물자동차등의 운전자는 긴급한 경우 동승자로 하여금 대신 사고처리하게 하고 계속 운전할 수 있다(제54조 제1항 제2항, 제148조 및 제156조 제10호).

33.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고용주등”에게 부과되는 의무가 아닌 것은?(1100년 04월)
     1. 난폭운전 등의 금지
     2. 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 금지
     3. 과로한 때 등의 운전 금지
     4. 무면허운전 등의 금지

     정답 : []
     정답률 : 3%
     <문제 해설>
① 난폭운전 등의 금지는 대상이 아니다. 고용주등은 제43조 무면허운전, 제44조 음주운전, 제45조 과로운전 등을 하여서는 아니 되는 운전자가 자동차등을 운전하는 것을 알고도 말리지 아니하거나 그러한 운전자에게 자동차등을 운전하도록 시켜서는 아니된다.(도로교통법 제56조 ①②)

34. 어린이 보호구역의 지정권자로 틀린 것은?(1100년 02월)
     1. 특별시장
     2. 광역시장
     3. 광역시 외의 군의 군수
     4. 경찰청장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시장등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도로교통법 제12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의 주변도로 가운데 일정 구간을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자동차등과 노면전차의 통행속도를 시속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도로교통법 제12조)

35.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난폭운전 금지 규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자동차와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가 대상이다.
     2. 모든 법규위반 중 둘 이상 또는 하나의 행위를 지속ㆍ반복해야 한다.
     3. 위협 또는 위해를 가하거나 교통상의 위험이 발생되어야 한다.
     4.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모든” 법규위반이 아닌 도로교통법 제46조의3 각호의 법규위반에 해당하는 위반을 대상으로 한다.
제46조의3(난폭운전 금지) 자동차등의 운전자는 다음 각 호 중 둘 이상의 행위를 연달아 하거나, 하나의 행위를 지속 또는 반복하여 다른 사람에게 위협 또는 위해를 가하거나 교통상의 위험을 발생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제5조에 따른 신호 또는 지시 위반
2. 제13조제3항에 따른 중앙선 침범
3. 제17조제3항에 따른 속도의 위반
4. 제18조제1항에 따른 횡단ㆍ유턴ㆍ후진 금지 위반
5. 제19조에 따른 안전거리 미확보, 진로변경 금지 위반, 급제동 금지 위반
6. 제21조제1항ㆍ제3항 및 제4항에 따른 앞지르기 방법 또는 앞지르기의 방해금지 위반
7. 제49조제1항 제8호에 따른 정당한 사유 없는 소음 발생
8. 제60조제2항에 따른 고속도로에서의 앞지르기 방법 위반
9. 제62조에 따른 고속도로 등에서의 횡단ㆍ유턴ㆍ후진 금지 위반
제151조의2(벌칙) 자동차등의 운전자가 제46조의3을 위반하여 난폭운전을 한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6. 이륜자동차 안전모착용 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안전모를 미착용한 운전자는 범칙금 2만원을 부과 받는다.
     2. 동승자가 안전모를 미착용 한 경우 운전자는 과태로 2만원을 부과 받는다.
     3. 안전기준이 미치지 못한 안전모를 착용한 것은 원칙적으로 단속대상이다.
     4.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고 이륜자동차를 끌고 가는 것도 단속대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짧은 거리를 끌고 갈 때는 운전이 아니므로 안전모착용의무가 없어 단속대상이 아니다. 안전모 미착용운전자는 범칙금 2만원, 동승자 미착용은 운전자에게 과태료 2만원이 부과된다. 안전기준에 미치지 못한 경우 안전모 착용이라고 할 수 없어 단속대상이 된다(도로교통법시행규칙 제32조①②).(도로교통법 시행령 별표 8)

37. 다음 중 도로교통법상 술에 취한 상태에서의 운전 금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자동차, 원동기장차자전거, 모든 건설기계가 대상이다.
     2. 도로가 아닌 곳에서의 운전도 단속 대상이다.
     3. 주차할 목적으로 짧은 거리를 운전한 것도 단속대상이다.
     4. 형사처벌 기준은 혈중알코올농도 0.02% 이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④ 혈중알코올농도 0.05% 이상이다. 누구든지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동차등, 모든 건설기계를 운전하여서는 아니 되고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은 운전자의 혈중알코올농도가 0.05퍼센트 이상인 경우로 한다(도로교통법 제44조).

38. 다음 중 교통사고 발생 시 가장 먼저 취해야 할 응급처치 방법은?(1100년 03월)
     1. 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기 전에 안전한 곳으로 옮긴다.
     2. 부상자 응급처치를 할 때에는 가장 먼저 인공호흡을 실시한다.
     3. 부상자 응급처치 전 차량파손 여부부터 확인한다.
     4. 의식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의식이 없을 때에는 우선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응급처치란 돌발적인 각종 사고로 인한 부상자나 병의 상태가 위급한 환자를 대상으로 전문인에 의한 치료가 이루어지기 전에 실시하는 즉각적이고 임시적인 처치로 병의 악화와 상처의 조속한 처치를 위해 행하여지는 모든 행동을 말한다. 교통사고로 인한 호흡과 의식이 없는 부상자 발생 시에는 가장 먼저 가슴압박을 실시 한 후 기도확보, 인공호흡 순으로 실시한다. 또한 함부로 부상자를 움직이지 않고 전문의료진이 도착할 때까지 가급적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39. 다음 중 유턴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유턴지점에서 다른 차량을 방해하면서 유턴하면 유턴위반이다.
     2. 보조표지가 없고 유턴표시만 있는 곳에서는 신호와 상관없이 유턴할 수 있다.
     3. 유턴지점이 아닌 중앙선이 설치된 도로에서 유턴하면 유턴위반이다.
     4. 유턴금지 표지판을 위반하여 유턴을 하면 지시위반이다.

     정답 : []
     정답률 : 6%
     <문제 해설>
중앙선이 설치된 지점에서 유턴하면 중앙선침범 위반이다(법 제13조 제3항). 유턴표시만 있는 곳에서는 신호와 상관없이 유턴할 수 있으며, 유턴금지 표지판을 위반하면 제5조 지시위반이 된다.

40. 도로에서 진로 변경 시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1월)
     1. 진로변경 구간인 백색실선에서 신속히 진로를 변경한다.
     2. 비상 점멸등을 켜면서 진로를 변경한다.
     3. 방향 지시등을 켜서 상대에게 알린 후 안전하게 진로를 변경한다.
     4. 다른 차량이 진로 변경을 할 때 같이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진로 변경 시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 방향 지시등을 켜서 상대에게 알린 후 안전하게 진로를 변경한다.

3과목 : 임의 구분


41.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가 오후 3시경 어린이 보호구역내에서 통행금지ㆍ제한사항을 위반한 경우 범칙금으로 맞는 것은?(1100년 02월)
     1. 8만원
     2. 6만원
     3. 2만원
     4. 1만원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가 오후 3시경 어린이보호구역내에서 통행금지ㆍ제한사항을 위반한 경우 범칙금 6만원이 부과된다.(도로교통법 시행령 [별표 8])

42. 이륜자동차가 주행 중 엔진이 꺼지면서 도로에서 멈추었을 때 가장 올바른 조치는?(1100년 03월)
     1. 차는 그대로 두고 운전자만 신속히 대피한다.
     2. 비상점멸등을 켜 놓고 운전자는 그 자리에서 다른 차에게 위험을 알린다.
     3. 2차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한 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4. 시동을 켜기 위해 계속적으로 반복해서 노력한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주행 중 도로에서 차가 멈추었을 때에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한 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43. 다음 안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유치원 통원로이므로 자동차가 통행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2. 어린이 또는 유아의 통행로나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린다.
     3. 학교의 출입구로부터 2킬로미터 이후 구역에 설치한다.
     4. 어린이 또는 유아가 도로를 횡단할 수 없음을 알린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어린이 또는 유아의 통행로나 횡단보도가 있음을 알리는 것, 학교, 유치원 등의 통학, 통원로 및 어린이놀이터가 부근에 있음을 알리는 것

44. 도로교통법상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노인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지정하는 구역은?(1100년 02월)
     1. 고령자 보호구역
     2. 노인 복지구역
     3. 노인 보호구역
     4. 노인 안전구역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노인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지정하는 구역은 노인 보호 구역이다.

45. 이륜자동차가 구부러진 길에서 앞서 가는 자전거를 발견했을 때 가장 안전한 운전 행동은?(1100년 04월)
     1. 자전거는 속도가 느리므로 가속하여 빠르게 앞질러 간다.
     2. 경음기를 울려 주의를 주면서 중앙선 쪽으로 붙여 빠르게 진행한다.
     3. 구부러진 길을 지날 때까지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자전거를 뒤따른다.
     4. 길 가장자리 쪽의 공간을 이용하여 빠르게 진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구부러진 길에서는 앞 차(자전거)와 안전거리를 유지하면서 뒤따라 가야한다.

46. 「노인 보호구역」에서 노인을 위해 지방경찰청장이나 경찰서장이 할 수 있는 조치가 아닌 것은?(1100년 02월)
     1. 차마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2. 이면도로를 일방통행로로 지정ㆍ운영할 수 있다.
     3. 차마의 운행속도를 매시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4. 주출입문 연결도로에 노인을 위한 노상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9%
     <문제 해설>
어린이ㆍ노인 및 장애인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규칙 제9조(보호구역에서의 필요한 조치) 제1항에 의하면 지방경찰청이나 경찰서장은 보호구역에서 구간별ㆍ시간대별로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할 수 있다 1. 차마의 통행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것. 2. 차마의 정차나 주차를 금지하는 것. 3. 운행속도를 시속 30킬로미터 이내로 제한하는 것. 4. 이면도로를 일방통행로로 지정ㆍ운영하는 것

47.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안전한 운전을 위한 태도로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택시가 정차한 경우 승객이 하차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며 서행한다.
     2. 급한 전화가 올 수 있으므로 휴대용 전화기를 항상 손에 들고 운전한다.
     3. 어린이가 타고 있다는 표시를 한 어린이통학버스를 앞지르기 한다.
     4. 다른 차의 끼어들기 예방차원으로 앞차와 거리를 좁혀 운전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휴대용 전화기를 손에 들고 통화하며 운전해서는 안 된다. 또한 모든 차의 운전자는 어린이가 타고 있다는 표시를 한 어린이통학버스를 앞지르기 못하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운전해야 한다.

48. 다음 안전표지가 있는 도로에서 올바른 운전방법은?(1100년 05월)

    

     1. 눈길인 경우 고단 변속기를 사용한다.
     2. 눈길인 경우 가급적 중간에 정지하지 않는다.
     3. 평지에서 보다 고단 변속기를 사용한다.
     4. 짐이 많은 차를 가까이 따라간다.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오르막경사를 오르는 경우 : 등판력를 높이고 시동을 유지하기 위해, 저단으로 변속
짐을 실은 차를 가까이 따라가는 경우 : 화물 추락으로 인한
사고 또는 앞차의 정지, 갑작스러운 서행으로 인하여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
눈길 오르막경사를 오르는 경우 : 중간에 정지하면 미끄러움으로 등판할 수 없고, 고단으로 주행할 경우 미끄러움이 더해져 등판할 수 없음

49. 연료의 소비 효율이 가장 높은 운전방법은?(1100년 01월)
     1. 최고속도로 주행한다.
     2. 최저속도로 주행한다.
     3. 경제속도로 주행한다.
     4. 안전속도로 주행한다.

     정답 : []
     정답률 : 15%
     <문제 해설>
경제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연료소비 효율이 높다.

50. 다음 안전표지의 뜻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일렬주차표지
     2. 상습정체구간표지
     3. 야간통행주의표지
     4. 차선변경구간표지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상습정체구간으로 사고 위험이 있는 구간에 설치, 상습정체구간 전 50미터에서 200미터의 도로우측에 설치

51. 친환경 경제운전을 가장 잘한 경우는?(1100년 01월)
     1. 교통 체증이 없더라도 경제속도로 정속 주행한다.
     2. 차량 수명 연장을 위해 평소 출발 전과 도착 후 5분씩 공회전을 한다.
     3. 타이어의 접지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압을 5퍼센트 정도 낮게 유지 한다.
     4. 주행 안정성을 위해 트렁크에 약 10킬로그램 정도의 짐을 항상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친환경 경제운전을 위해 급출발ㆍ급가속ㆍ급제동을 하지 않고, 경제속도 시속 80킬로미터를 유지하고, 불필요한 공회전을 자제하며 타이어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고 자동차 무게를 가볍게 하며 불필요한 브레이크 사용을 줄여야 한다.

52. 어린이가 보호자 없이 도로를 횡단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운전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1100년 03월)
     1. 안전거리를 두고 일시정지 한다.
     2. 큰 소리를 질러 어린이에게 주의를 준 후 서행으로 통과한다.
     3. 어린이는 보행속도가 느리므로 어린이 뒤로 서행하여 통과한다.
     4. 계속 경음기로 울려 어린이를 제지한 후 신속히 통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어린이가 보호자 없이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 모든 차는 일시정지하여야 한다.(도로교통법 제49조)

53.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가 보행자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로 횡단하는 노인을 뒤늦게 발견하여 급제동을 하였으나 노인에게 2주 진단 상해를 입혔다. 올바른 설명은?(1100년 02월)
     1. 보행자 신호등이 없으므로 운전자는 과실이 전혀 없다.
     2. 운전자에게 민사 및 형사 책임이 있다.
     3. 횡단한 노인만 형사 처벌 된다.
     4. 종합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 운전자에게 형사 책임이 없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도로교통법 제27조 제1항에 따른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보호의무를 위반하여 운전한 경우 운전자에게 민사 및 형사 책임이 있다.(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 제6호)

54. 인명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운행하여야 할 대상으로 맞는 것은?(1100년 03월)
     1. 이륜자동차 운전자만 해당된다.
     2.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만 해당된다.
     3. 이륜자동차와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 및 동승자도 해당된다.
     4. 이륜자동차 동승자만 해당된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인명보호 장구 착용 의무는 이륜자동차, 원동기장치자전거의 운전자 및 동승자 모두 해당된다.(도로교통법 50조)

55. 다음 중 보행자에 대한 배려 운전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보행자를 항상 배려하며 방어 운전을 한다.
     2. 보행자가 없으면 횡단보도에서 감속하지 않고 주행한다.
     3. 무단 횡단하는 보행자는 보호할 필요가 없다.
     4. 이면 도로에서는 보행자보다 이륜자동차가 우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운전 중 교통 약자인 보행자에 대해서는 항상 배려하고 방어 운전을 해야 한다. 또한 보행자 우선의 운전 문화를 정착해야 한다.

56. 다음 중 친환경 운전을 잘 실천하고 있지 않은 운전자는?(1100년 04월)
     1. 타이어 공기압을 항상 적정하게 유지하는 운전자
     2. 정속 주행을 생활화하고 급가속을 하지 않는 운전자
     3. 급출발이나 급제동을 하지 않는 운전자
     4. 에어컨을 항상 켜고 주행하는 운전자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에어컨은 필요시만 켤 수 있도록 하며 처음에 켤 때는 고단으로 켠 후 저단으로 낮추는 것이 효율적이다.

57. 자동차등을 운행 시 가장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속도를 일컫는 용어는?(1100년 04월)
     1. 최저속도
     2. 최고속도
     3. 경제속도
     4. 법정속도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속도는 경제속도이다.

58.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준법의식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1100년 03월)
     1. 느린 속도로 갈 때는 우측 가장자리로 피하여 진로를 양보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2. 운전하던 중 긴급자동차가 뒤따라올 때에는 신속하게 진로를 양보하였다.
     3. 교차로에서는 선진입이 우선이므로 먼저 진입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였다.
     4. 양보 표지가 설치된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항상 다른 도로의 주행 차량에 진로를 양보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교차로는 통행우선 순위에 따라 통행하여야 하며 선 진입을 강조할 경우 대형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59. 도로교통법에서 정한 운전이 금지되는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으로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혈중알코올농도 0.03퍼센트 이상인 상태로 운전
     2. 혈중알코올농도 0.06퍼센트 이상인 상태로 운전
     3. 혈중알코올농도 0.08퍼센트 이상인 상태로 운전
     4. 혈중알코올농도 0.09퍼센트 이상인 상태로 운전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운전이 금지되는 술에 취한 상태의 기준은 혈중 알코올 농도가 0.03퍼센트 이상으로 한다.

60. 다음 중 음주가 운전 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반응을 빠르게 만든다.
     2. 인지력을 증가시킨다.
     3. 집중력을 저하시킨다.
     4. 운전 능력을 향상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반응을 느리게 만들며 인지력 저하, 운전능력 저하와 집중력을 저하시킨다.

4과목 : 임의 구분


61. 공주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술에 취한 상태로 운전하게 되면 공주거리가 길어진다.
     2. 빗길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정지거리가 공주거리보다 짧아진다.
     3. 교통사고를 피하기 위해서는 공주거리만큼은 유지해야 한다.
     4. 위험을 느끼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후 차량이 완전히 정지한 거리가 공주거리다.

     정답 : []
     정답률 : 6%
     <문제 해설>
운전자가 피로하거나 술을 마신 상태로 운전하게 되면 공주거리가 길어진다. 공주거리는 운전자의 심신 상태와 직결된다. 공주거리는 주행 중 운전자가 전방의 위험상황을 발견하고 브레이크를 밟아 제동이 걸리기 시작할 때 까지 자동차가 진행한 거리를 말하며, 브레이크가 작동하기 시작할 때부터 완전히 정지할 때 까지 진행한 거리를 제동거리라 한다. 정지거리는 공주거리와 제동거리의 합을 의미한다.

62. 운전자의 피로가 운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1100년 01월)
     1. 주변 자극에 대해 반응 동작이 빠르게 나타난다.
     2. 시력이 떨어지고 시야가 넓어진다.
     3. 지각 및 운전 조작 능력이 떨어진다.
     4. 치밀하고 계획적인 운전 행동이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주변 자극에 대해 반응 동작이 느리게 나타나며 시력이 떨어지고 시야가 좁아진다. 감각이 무뎌지고 비계획적인 행동이 나타난다.

63. 운전자의 운전 행동의 과정을 순서대로 맞게 연결한 것은?(1100년 04월)
     1. 인지 → 조작 → 판단
     2. 인지 → 판단 → 조작
     3. 판단 → 인지 → 조작
     4. 조작 → 판단 → 인지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운전 중에 어떤 상황이 발생하면 그 상황을 인지하고, 어떻게 행동(운전)할 것인지를 판단한 다음 자동차의 핸들, 변속기어, 브레이크, 가속페달, 경음기, 등화 장치 등을 조작하게 된다.

64. 이륜자동차의 운전자는 철길 건널목을 통과하려는 경우에는 건널목 앞에서 ( )하여야 한다. 다음 중 ( )에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서행
     2. 정차 후 주차
     3. 일시정지
     4. 앞지르기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철길건널목에서는 무조건 일시정지 해야 한다.

65. 교차로에서 신호대기 중이다. 내차 앞에 자전거가 있다면 녹색등화로 바뀐 경우 안전한 운전방법은?(1100년 02월)
     1. 자전거보다 먼저 출발한다.
     2. 자전거에게 충분한 시간과 공간을 준다.
     3. 자전거와 거리를 좁혀 진행한다.
     4. 경음기를 사용하며 주의를 주면서 먼저 빠져나간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자전거 뒤에서 신호대기 중인 교차로에서 신호가 바뀐 경우 안전운전방법은 자전거가 출발할 수 있도록 시간과 공간을 허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운전방법이다.

66. 다음 안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차폭 제한 규제표지이다.
     2. 차 높이 제한 규제표지이다.
     3. 차간거리 확보 규제표지이다.
     4. 차 길이 제한 규제표지이다.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표지판에 표시한 높이를 초과하는 차(적재한 화물의 높이를 포함)의 통행을 제한하는 것

67. 이륜자동차 운전자가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제한속도를 위반하여 어린이를 다치게 했을 때 처벌은?(1100년 03월)
     1. 피해자가 형사처벌을 요구할 경우에만 형사처벌 된다.
     2. 피해자의 처벌 의사에 관계없이 형사처벌 된다.
     3. 종합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형사처벌 되지 않는다.
     4. 피해자와 합의하면 형사처벌 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제한속도를 위반하여 어린이를 다치게 하는 경우 종합보험가입여부, 피해자와 합의 여부와 상관없이 형사입건 된다.

68. 이륜자동차의 2인 승차 시 주의사항이다. 틀린 것은?(1100년 04월)
     1. 2인 승차는 균형을 잡기 어렵고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2. 단독 승차 시 보다 감속하여 운행하며 급제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3. 뒷좌석 승차자가 옆으로 걸쳐 앉으면 균형 유지가 쉽다.
     4. 눈, 비로 인하여 도로가 미끄러우면 2인 승차를 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에 2인 승차는 균형을 잡기 어렵고 교통사고의 위험이 높아진다. 단독 승차 시 보다 감속하여 운행하며 급제동을 하지 않도록 한다. 뒷좌석 승차자가 옆으로 걸쳐 앉으면 균형을 잃기 쉽다. 눈, 비로 인하여 도로가 미끄러우면 2인 승차를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69. 도로교통법상 보행자 보호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1100년 01월)
     1. 자전거를 끌고 걸어가는 사람은 보행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2. 이륜자동차는 보행자보다 항상 우선하여 통행할 수 있다.
     3. 지방경찰청장은 보행자의 통행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에 보행자 전용 도로를 설치 할 수 있다.
     4. 보행자 전용 도로에는 유모차를 끌고 갈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자전거를 끌고 걸어가는 사람은 보행자이다. 이륜자동차는 보행자보다 항상 우선하여 통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보행자의 통행을 보호하기 위해 도로에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할 수 있고 보행자 전용도로에는 유모차를 끌고 갈 수 있다.

70. 교통법규를 위반하였거나 교통사고를 야기한 경우 벌점을 받는데 다음 설명 중 운전면허 정지처분을 받는 경우를 설명한 것은?(1100년 03월)
     1. 교통사고를 야기하여 벌점 40점을 받은 경우
     2.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벌점 30점을 받은 경우
     3.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벌점 20점을 받은 경우
     4. 음주운전으로 인사사고를 야기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3%
     <문제 해설>
교통법규를 위반하여 벌점 30점을 받은 경우에는 면허정지처분을 받지 아니하며 음주운전으로 인사사고를 야기한 경우에는 운전면허가 취소된다.(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28)

71. 다음 안전표지가 의미하는 것은?(1100년 05월)

    

     1. 좌측도로는 일방통행 도로이다.
     2. 우측도로는 일방통행 도로이다.
     3. 모든 도로는 일방통행 도로이다.
     4. 직진도로는 일방통행 도로이다.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전방으로만 진행할 수 있는 일방통행임을 지시하는 것으로 일방통행 지시표지이다. 일방통행 도로의 입구 및 구간내의 필요한 지점의 도로양측에 설치하고 구간의 시작 및 끝의 보조표지를 부착ㆍ설치하며 구간내에 교차하는 도로가 있을 경우에는 교차로 부근의 도로양측에 설치한다.

72. 제2종 소형면허 운전면허 취소 사유에 해당하는 것은?(1100년 03월)
     1. 정기 적성검사 기간 만료 다음 날부터 적성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6개월을 초과한 경우
     2. 운전면허 행정처분 기간 중 이륜차를 운전한 때
     3. 난폭운전으로 형사입건된 때
     4. 공동위험행위로 형사입건된 때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① 1년 ③ 난폭운전으로 형사입건된 때 벌점 40점으로 정지처분 대상 ④ 공동위험행위로 형사입건된 때 벌점 40점으로 정지처분 대상이고, 구속된 때에는 취소처분 대상이다.

73.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준수사항이다. 틀린 것은?(1100년 04월)
     1. 차를 급히 출발시키거나 속도를 급격히 높이지 않는다.
     2. 차의 원동기 동력을 바퀴에 전달시키지 아니하고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3. 야간에는 시야확보를 위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는다.
     4. 좌우로 줄지어 통행하면서 교통상의 위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운전자의 준수사항 ① 차등을 급히 출발시키거나 속도를 급격히 높이지 않는 행위 ② 차등의 원동기 동력을 바퀴에 전달시키지 아니하고 원동기의 회전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행위 ③ 반복적이거나 연속적으로 경음기를 울리지 않는 행위 ④ 좌우로 줄지어 통행하면서 다른 사람에게 위해를 주거나 교통상의 위험을 발생시키지 않는 행위

74. 녹색신호일 때 정체된 교차로에 무리하게 진입하였다가 교차로 안에 정지되어 다른 차의 통행에 방해가 되었다. 무슨 위반에 해당되는가?(1100년 02월)
     1. 끼어들기
     2. 교차로 통행방법 위반
     3. 진로변경 방법 위반
     4. 신호위반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모든 차 또는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신호기로 교통정리를 하고 있는 교차로에 들어가려는 경우에는 진행하려는 진로의 앞쪽에 있는 차 또는 노면전차의 상황에 따라 교차로(정지선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정지선을 넘은 부분을 말한다)에 정지하게 되어 다른 차 또는 노면전차의 통행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그 교차로에 들어가서는 아니 된다.(도로교통법 제25조 제5항) <개정 2018. 3. 27.> [시행일 : 2019. 3. 28.]

75. 다음 안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우측면통행 지시표지이다.
     2. 우회로 지시표지이다.
     3. 회전교차로 지시표지이다.
     4. 타원형 유도 지시표지이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표지판이 화살표 방향으로 자동차가 회전 진행할 것을 지시하는 것

76.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목적으로 옳은 것은?(1100년 03월)
     1. 고의로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를 처벌하기 위한 법이다.
     2. 구속된 가해자가 사회 복귀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법이다.
     3. 과실로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를 신속하게 처벌하기 위한 법이다.
     4.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의 신속한 회복을 촉진하고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업무상 과실 등으로 교통사고를 야기한 운전자에 대한 형사처벌의 특례를 정함으로서 신속한 피해 회복을 촉진하고 국민 생활의 편익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 1조)

77. 이륜자동차 운전자는 적색신호 시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 ( )해야 한다. 다음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감속
     2. 서행
     3. 일시정지
     4. 주행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모든 자동차 운전자는 적색신호 시 횡단보도 및 교차로 직전에 정지하여야 한다.

78. 다음 안전표지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양측방 통행 지시표지이다.
     2. 좌ㆍ우회전 지시표지이다.
     3. 중앙 분리대 시작 지시표지이다.
     4. 중앙 분리대 종료 지시표지이다.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차가 우회전 또는좌회전할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좌ㆍ우회전 지시표지이다. 차가좌회전또는우회전할 지점의 도로우측에 설치한다.

79.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는 교차로 진입 시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2월)
     1. 속도를 높이며 빠르게 진입한다.
     2.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하며 진입한다.
     3. 앞차와의 거리를 좁히며 진입한다.
     4. 뒤따라오는 차량에 주의하며 진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속도를 줄이며 적절한 속도로 진입하고 앞차와의 거리를 유지하며 진입하는 것이 안전하다.

80. 도로교통법상 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가 없는 사람은?(1100년 02월)
     1. 신호등 있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
     2. 도로에서 운행 중인 경운기 운전자
     3. 비포장 도로에서 우마차를 몰고 가는 농부
     4. 도로에서 운행 중인 승용차 운전석 옆 동승자

     정답 : []
     정답률 : 21%
     <문제 해설>
신호 또는 지시에 따를 의무자는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자 및 차마의 운전자이다.(도로교통법 제5조)

81. 도로교통법상 정차가 가능한 곳은?(1100년 02월)
     1. 안전지대로부터 7미터
     2. 버스정류장으로부터 7미터
     3. 도로모퉁이로부터 7미터
     4. 횡단보도로부터 7미터

     정답 : []
     정답률 : 9%
     <문제 해설>
도로교통법 제32조(정차 및 주차의 금지) ① 안전지대로부터 10미터 이내 ② 버스정류장으로부터 10미터 이내 ③ 도로모퉁이로부터 5미터 이내 ④ 횡단보도로부터 10미터 이내

82. 다음 중 자전거 통행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1100년 02월)
     1. 자전거도 차에 해당한다.
     2. 원칙적으로 자전거를 타고 보도로 가면 안 된다.
     3. 부득이 황단보도를 지나가는 경우 끌고 지나가야 한다.
     4. 자전거는 교차로에서 신호를 위반해도 된다.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자와 차마의 운전자는 교통안전시설이 표시하는 신호 또는 지시를 따라야 한다. 따라서 자전거도 교차로에서 신호를 준수해야 한다.

83. 도로교통법상 이륜차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횡단할 때 가장 안전한 방법은?(1100년 01월)
     1. 이륜차에서 내려서 이륜차를 끌고 보행한다.
     2. 이륜차를 탄 상태 그대로 진행한다.
     3. 이륜차를 타고 서행하면서 횡단한다.
     4. 이륜차의 속도를 높여 신속히 횡단한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이륜차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횡단할 때에는 이륜차에서 내려서 이륜차를 끌고 보행하여야 한다.

84. 도로교통법상 이륜자동차 운전 중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에 대한 행정처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1100년 03월)
     1. 본인의 상해결과에 대한 벌점은 부과되지 않는다.
     2. 동승자의 상해결과에 대한 벌점은 부과된다.
     3. 동승자가 친ㆍ인척인 경우에는 벌점은 부과되지 않는다.
     4. 보행자와의 사고에 있어 보행자의 과실이 큰 경우에는 벌점을 1/2로 감경된다.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동승자와의 신분상 관계에 상관없이 벌점이 부과된다.(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 28 제3호 나목)

85. 도로교통법상 의료용 전동휠체어는 어디로 통행해야 하는가?(1100년 01월)
     1. 차도
     2. 자전거전용도로
     3. 보도
     4. 자전거우선도로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의료용 전동휠체어는 보행자이므로 보도로 통행해야 한다. 보행자는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는 언제나 보도로 통행하여야 한다. 다만, 차도를 횡단하는 경우, 도로공사 등으로 보도의 통행이 금지된 경우나 그 밖의 부득이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도로교통법 제8조 제1항)

86. 갑은 이륜자동차를 운전하던 중 탑승자가 없이 주ㆍ정차된 차량을 살짝 긁었으나 본인의 인적사항을 알리지 않고 현장을 떠났다. 이 때 갑에 대한 행정처분으로 옳은 것은?(1100년 03월)
     1. 운전면허 취소처분 대상이다.
     2. 인적사항을 알리지 않았으므로 벌점 15점이 부과된다.
     3. 사고원인에 대해서는 벌점을 부과하지 않는다.
     4. 도로가 아닌 곳에서 발생되었더라도 벌점을 부과한다.

     정답 : []
     정답률 : 14%
     <문제 해설>
인적사항을 남기지 않고 현장을 떠난 경우 사고발생 시의 조치의무위반이 되며(도로교통법 제54조), 벌점 15점이 부과된다.(도로교통법시행규칙 2017. 6월 3일 시행)그러나 도로가 아닌 곳에서는 벌점을 부과할 수 없다.

87. 이륜자동차 운전자는 긴급자동차가 접근하는 경우 ( )하여야 한다. 다음 중 ( )안에 알맞은 것은?(1100년 02월)
     1. 서행
     2. 진로를 양보
     3. 빠르게 주행
     4. 도로 중앙에 즉시 정지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교차로나 그 부근에서 긴급자동차가 접근하는 경우에는 차마와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차로를 피하여 일시정지하여야 한다. 모든 차와 노면전차의 운전자는 교차로나 그 부근 외의 곳에서 긴급자동차가 접근한 경우에는 긴급자동차가 우선통행할 수 있도록 진로를 양보하여야 한다.(도로교통법 제29조 제4항, 제5항) <개정 2018. 3. 27.>[시행일 : 2019. 3. 28.]

88. 다음 유턴구역선 표시는 편도 ( ) 이상의 도로에서 설치할 수 있다. ( )안에 설치기준으로 맞는 것은?(1100년 05월)

    

     1. 1차로
     2. 2차로
     3. 3차로
     4. 4차로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편도 3차로 이상의 도로에서 차마의 유턴이 허용된 구간 또는 장소 내의 필요한 지점에 설치(도로교통법 시행규칙 별표6 5. 노면표시 502 유턴구역선 표시)

89. 다음은 안전표지 중 노면표시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알맞은 것은?(1100년 02월)
     1. 백색 점선은 진로 변경이 가능한 차선이다.
     2. 백색 실선은 안전할 때 주의하면서 차로 변경을 할 수 있음을 뜻하는 차선이다.
     3. 황색 점선(중앙선)은 앞지르기는 할 수 없으나 진로 변경은 할 수 있다는 뜻의 차선이다.
     4. 황색 실선(중앙선)은 진로 변경 제한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10%
     <문제 해설>
황색 실선은 차가 넘어 갈 수 없음을 나타내는 중앙선 표시이며, 백색 실선은 진로변경 제한선이다.

90. 도로교통법상 가장 안전한 운전을 하고 있는 운전자는?(1100년 01월)
     1. 보행자가 횡단보도가 없는 도로를 횡단하고 있는 경우에 주의하여 보행자 옆을 주행한다.
     2. 가파른 비탈길의 오르막길에서는 속도를 높여 주행한다.
     3. 신호등이 없고 좌・우를 확인할 수 없는 교차로에서 일시정지한다.
     4. 어린이에 대한 교통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을 발견한 경우에는 경음기를 울려서 어린이에게 위험을 알려준다.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모든 차의 운전자는 교통정리를 하고 있지 아니하고 좌우를 확인할 수 없거나 교통이 빈번한 교차로에서는 일시정지하여야 한다.

91. 이륜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할 때 가장 안전한 운전방법은?(1100년 04월)
     1. 이륜자동차는 되도록 안전지대에 주차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2. 앞지르기할 경우 앞 차량의 우측 길 가장자리 쪽으로 통행한다.
     3. 황색신호가 켜지면 신호를 준수하기 위하여 교차로 내에 정지한다.
     4. 앞 차량이 급제동할 때를 대비하여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한다.

     정답 : []
     정답률 : 18%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가 도로를 주행할 때 앞 차량이 급제동할 때를 대비하여 추돌을 피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한다.

92. 이륜자동차가 빗길에서 고속 주행 중 앞차가 정지하는 것을 보고 급제동 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맞는 것은?(1100년 04월)
     1. 급제동 시에는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저항이 커져 미끄러지지 않는다.
     2. 빗길에서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3. 빗길에서는 마찰저항이 낮아 미끄러지는 거리가 짧아진다.
     4. 건조한 노면에서 보다 마찰저항이 커져 핸들조작이 쉬워진다.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가 빗길에서 고속 주행 중 앞차가 정지하는 것을 보고 급제동 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에서는 마찰력이 저하되어 제동거리가 길어진다.

93. 이륜자동차가 자갈길이나 울퉁불퉁한 길을 운행할 때 가장 안전한 운전행동은?(1100년 04월)
     1. 핸들 조작은 최대한 크게 하는 것이 좋다.
     2. 미리 속도를 높여서 고단 기어를 사용하여 운전한다.
     3. 차체의 균형에만 주의하면 된다.
     4. 저단 기어를 사용하여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의 자갈길 운전은 노면이 고르지 않고, 자갈로 인해 타이어 손상이나 핸들움직임이 커질 수 있다. 최대한 핸들 조작을 작게 하면서 속도를 줄이고, 저단기어를 사용하여 일정 속도를 유지하여 지나가는 것이 좋다.

94. 다음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도로교통법 위반행위 중 운전면허 취소사유로 맞는 것은?(1100년 03월)
     1. 처음으로 혈중알코올농도 0.07퍼센트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
     2. 운전면허취득 결격기간 중 운전면허를 받은 경우
     3. 난폭운전으로 형사 입건된 경우
     4. 물적 피해가 발생한 교통사고를 일으킨 후 도주한 경우

     정답 : []
     정답률 : 13%
     <문제 해설>
처음으로 혈중알코올농도 0.07퍼센트 상태에서 운전한 경우는 벌점 100점, 난폭운전으로 형사 입건된 경우는 벌점 40점, 물적 피해가 발생한 교통사고를 일으킨 후 도주한 경우는 벌점 15점 부과한다.(도로교통법시행규칙 별표28)

95. 도로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는 목적은?(1100년 01월)
     1. 연료를 절약하기 위해서
     2. 차량 속도를 줄여 서행을 유도하기 위해서
     3. 교통량을 줄이기 위해서
     4. 위반 차량을 단속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학교 앞이나 아파트 단지 입구 등에 과속방지턱을 설치하는 것은 차량 속도를 줄여 서행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96. 이륜자동차의 승차용 안전모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1100년 04월)
     1. 안전모 뒷부분에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을 것
     2. 충격 흡수성이 있고 내관통성이 있을 것
     3. 청력에 현저한 장애를 주지 아니할 것
     4. 무게는 2킬로그램 이상일 것

     정답 : []
     정답률 : 17%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의 승차용 안전모는 안전모 뒷부분에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을 것, 충격흡수성이 있고 내관통성이 있을 것, 청력에 현저한 장애를 주지 아니할 것

97. 다음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의 위반행위 중 도로 외의 장소에서도 형사 처벌하는 것은?(1100년 03월)
     1. 무면허 운전
     2. 약물 운전
     3. 공동 위험행위
     4. 난폭 운전

     정답 : []
     정답률 : 12%
     <문제 해설>
음주운전, 과로ㆍ약물운전, 교통사고 야기 시 조치불이행은 도로외의 장소에서도 형사처벌한다.

98. 다음 중 이륜자동차 운전자의 속도 준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1100년 01월)
     1. 일반도로에서는 법정속도를 준수하지 않아도 된다.
     2. 법정속도보다 안전표지가 지정하고 있는 제한속도를 우선 준수해야 한다.
     3. 법정속도와 안전표지 제한속도가 다른 경우 어느 하나만 준수해도 된다.
     4. 안전표지의 지정속도 보다 법정속도가 우선이다.

     정답 : []
     정답률 : 28%
     <문제 해설>
일반도로에서는 법정속도를 준수해야 하며 법정속도보다 안전표지가 지정하고 있는 제한속도를 우선 준수해야 한다.

99. 교차로에 진입하려는데, 경찰공무원이 정지하라는 수신호를 보냈다. 다음 중 가장 안전한 운전 방법은?(1100년 01월)
     1. 정지선 직전에 일시정지한다.
     2. 빠른 속도로 진입한다.
     3. 비상 점멸등을 켜며 진입한다.
     4. 교차로에 서서히 진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교통안전시설이 표시하는 신호 또는 지시와 교통정리를 위한 경찰공무원 등의 신호 또는 지시가 다른 경우에는 경찰공무원 등의 신호 또는 지시에 따라야 한다.

100. 이륜자동차가 자전거를 앞지르기 할 때 충분한 거리 및 공간을 두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1100년 04월)
     1. 자전거가 갑자기 넘어지지는 않기 때문에
     2. 자전거가 갑자기 멈출 수는 없기 때문에
     3. 자전거는 좌ㆍ우측으로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4. 자전거가 갑자기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이륜자동차가 자전거를 앞지르기 할 때 충분한 거리 및 공간을 두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전거가 갑자기 방향 전환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573047)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10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8890130)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3109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50419)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3108 표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9643669) 좋은아빠되기 2025.11.14 5
3107 자동차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6
3106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7
3105 소방공무원(공개) 행정법총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3104 워드프로세서 2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5
3103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153655) 좋은아빠되기 2025.11.14 5
3102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5
3101 정보처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3764100)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4573047)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9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98 웹디자인개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28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97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9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8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95 ERP 인사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2월2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6
3094 9급 지방직 공무원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3093 침투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3일)(2076527)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92 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10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5
309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3 4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211 Next
/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