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5935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승강기 개론


1. 과부하감지장치(Overload Switch)가 동작되는 부하(하중)의 세팅범위는 몇 % 범위인가?(2004년 03월)
     1. 90∼100
     2. 100∼105
     3. 105∼110
     4. 110∼125

     정답 : []
     정답률 : 58%

2. 빈칸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0.1
     2. 0.15
     3. 0.2
     4. 0.25

     정답 : []
     정답률 : 77%

3. 브레이스 로드는 카 바닥에 균등하게 분산될 하중의 얼마정도를 카 틀에 전달하는가?(2005년 09월)
     1. 3/8
     2. 5/8
     3. 7/8
     4. 9/8

     정답 : []
     정답률 : 81%

4. 다음 중 기계적 안전장치는?(2012년 09월)
     1. 구출운전장치
     2. 전자브레이크
     3. 도어스위치
     4.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정답 : []
     정답률 : 75%

5. 승강기 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승강기의 정격속도에 따라서 고속 승강기와 중저속 승강기로 구분하는데 이를 구분하는 정격속도의 크기는?(2022년 04월)
     1. 3.5 m/s
     2. 4 m/s
     3. 4.5 m/s
     4. 5 m/s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고속 승강기는 정격속도가 4 m/s를 초과하는 승강기이고,
중저속 승강기는 정격속도가 4m/s이하인 승강기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6. 유압 엘리베이터의 작동유의 유온은 보통 얼마로 유지하는 것어 적정한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5년 03월)
     1. -10 ∼ 40℃
     2. 0 ∼ 50℃
     3. 5 ∼ 60℃
     4. 1 ∼ 70℃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 개정으로 5~40 입니다.
[해설작성자 : ㅎㅎ]

[오류신고 반론]
5-60이 맞는데요

7. 엘리베이터에서 카 또는 승강장 출입구 문턱부터 아래로 평탄하게 내려진 수직부분의 앞 보호판을 나타내는 용어는?(2021년 03월)
     1. 슬링
     2. 피트
     3. 스프로킷
     4. 에이프런

     정답 : []
     정답률 : 86%

8.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주행로의 최상부에서만 작동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2. 권상 및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주행로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서 작동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3.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우발적인 작동의 위험 없이 가능한 최상층 및 최하층에 근접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4.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램이 완충장치에 접촉되는 순간 일시적으로 작동되었다가 복구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파이널리미트스위치는 돌발적인 작동의 위험이 없이 가능한 한 최종 층에 근접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그것들은 카(또는, 카운터웨이트)가 완충기와 접촉되기 전에 작동하여야 한다.
그 파이널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은 완충기가 압축되어 있는 동안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10.5.3.2 파이널리미트스위치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위한 복귀는 자동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이카삼]

9. 유압식엘리베이터에서 실린더와 체크벨브 또는 하강밸브 사이의 가요성 호스는 전 부하 압력 및 파열 압력과 관련하여 안전율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17년 09월)
     1. 5
     2. 6
     3. 7
     4. 8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실린더 4이상
트러스빔 5이상
모든 구동품 5이상
가요성 호스 8이상
고무호스 10이상
체인 10이상
디딤판 체인 및 구동체인 10이상
[해설작성자 : ㅁㄱ]

10. 승강기의 최대 정원은 1인당 하중을 몇 kg으로 계산한 값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6년 03월)
     1. 55
     2. 60
     3. 65
     4. 70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법 개정으로 1인당 하중 75KG으로 개정되었습니다.

11. 제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1년 10월)
     1.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120%의 부하로 전속하강 중 위험없이 감속정지 할 수 있어야 한다.
     2.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125%의 부하로 전속하강 중 위험없이 감속정지 할 수 있어야 한다.
     3. 제동력은 전원이 흐르는 사이에 전자코일에 의해 주어진다.
     4. 제동력을 너무 크게 하면 감속도가 크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법안 개정으로 승객용, 화물용 하중 125%로 개정

12. 직류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방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ARMATURE의 직렬저항제어
     2. ARMATURE의 직병렬저항제어
     3. SHUNT FIELD의 제어
     4. DYNAMIC BRAKE 제어

     정답 : []
     정답률 : 53%

13. 권동식 구동방식의 단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고양정 적용이 곤란하다.
     2. 권상동력이 큰 것이 필요하다.
     3. 지나치게 감기거나 풀릴 위험이 있다.
     4. 로프와 도르래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60%

14. 종단층 강제감속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2단 이하의 감속제어가 되어야 한다.
     2. 1G(9.8m/s2)를 초과하지 않는 감속도를 제공하여야 한다.
     3. 카 추락방지안전장치(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아야 한다.
     4.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는 카 상단, 승강로 내부 또는 기계실 내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단이하가 아니고 2단임
[해설작성자 : MJ]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에 기계실 내부 같은데 종단층 강제감속장치가 왜 기계실 내부에 있죠??
4번이 1번보다 확실한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고발자]

[오류신고 반론]
대광서림책에서 확인했습니다

해설내용 :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는 2단 이상의 감속제어가 되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다유니맘]

[추가 오류 신고]
문제오류인듯합니다.종단층 강제감속장치는 기계실에 있을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노원정보도서관]

[오류신고 반론]
크라운출판사
1. 2단이상 감속제어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카상단, 승강로 내부, 기계실 내부에 위치하여야 하고 카 움직임에 의해 조작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종단층 강제감속장치]

[오류신고 반론]
14. 종단층 강제감속 장치
        가. 2단 (이상)의 감속제어가 되어야 한다.
        나. 1G(9.8m/s)를 초과하지 않는 감속도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 카 추락방지안전장치(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아야 한다.
        라.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는 카 상단, 승강로 내부 또는 기계실 내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해피보이]

15. 승강기의 교류귀환 전압제어는 유도전동기의 1차측 각 상에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를 어떻게 접속하여 토크를 발생시키는가?(2010년 03월)
     1. 직렬
     2. 병렬
     3. 역병렬
     4. 역직렬

     정답 : []
     정답률 : 72%

16. 엘리베이터의 문닫힘 보호장치(Safety shoe)는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가?(2007년 09월)
     1. 카 문
     2. 각 층의 문
     3. 비상 탈출구
     4. 외부 문틀

     정답 : []
     정답률 : 70%

17. 로프와의 면압이 작아 로프의 수명은 길어지지만 마찰력이 가장 적고 로프의 권부각을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더블랩 방식에 사용되는 도르레 홈의 형상은?(2006년 03월)
     1. V홈
     2. U홈
     3. T홈
     4. 언더커트홈

     정답 : []
     정답률 : 69%

18. 경사도 a가 30°를 초과하고 35°이하인 에스컬레이터의 공칭 속도는 몇 m/s이하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5월)
     1. 0.5
     2. 0.75
     3. 1
     4. 1.5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0°이하 45m/min 0.75
30°이상 35m/min 0.5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 문제해설에서 35 숫자만 30으로 정정
(30/60=0.5임)
30°이하 45m/min 0.75m/s
30°이상 30m/min 0.5m/s
[해설작성자 : ㅎㄹ]

[추가 오류 신고]
위 문제는 30~
질문이 다 포함 시키는 거 같은데요~~    속도를 주던지 정지거리를 주던지 해야 했던 거 아닌가요?

에스컬레이터 공칭속도별 정지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0.5 m/s (30m/min) 0.2~1.0m
0.65 (39m/min) 0.3~ 1.3m
0.75 (45m/min) 0.4~ 1.5m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19. 구조가 간단하나 착상오차가 크므로 최고 30m/min 이하에만 적용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속도 제어방식은?(2008년 09월)
     1. 교류 1단 속도제어
     2. 교류 2단 속도제어
     3. 교류 궤환전압제어
     4. 가변전압가변주파수제어

     정답 : []
     정답률 : 70%

20.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레일의 표준길이는 일반적으로 5m로 한다.
     2. 호칭은 길이 3m 의 공칭하중으로 8k, 13k, 18k 등으로 표시 한다.
     3.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가 진동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4.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때 카를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레일 호칭은 마무리 가공전 소재의 1m당 중량
[해설작성자 : 동시기]

가이드 레일의 8K·13K·18K 표기는
길이 3 m의 공칭하중이 아니라,
레일 1 m당 질량(kg/m)을 뜻하는 관행적 호칭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2과목 : 승강기 설계


21. 승객이 출입하거나 하역하는 동안에 착상의 정확도가 몇 mm 이상 초과될 경우에 착상보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2014년 09월)
     1. 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카의 정지시에 있어서 자연하강을 보정하기 위한 바닥맞춤보정장치(착상 정확도는 ±10mm 이내)
출처 :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홈페이지 - 기술자료 - 기술정보 -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해설작성자 : 승안공 준비생]

16.1.1.4 착상 정확도는 ± 10 mm 이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승객이 출입하거나 하역하는 동안 착상정확도가 ± 20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 10 mm 이내로 보정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킹강기]

22. 기어비 76:2, 도르래 지름 600mm인 권상기에 주파수 60Hz, 6극(pole)의 전동기를 사용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는?(2011년 03월)
     1. 45m/min
     2. 60m/min
     3. 90m/min
     4. 105m/min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N= (120f/p) *(2/76) = 31.57
v= pi*d*n / 1000 = 59.52
[해설작성자 : ㄱㄱ]

23. 지진대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주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2. 엘리베이터의 균형추가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3. 승강로내에는 지진시에 로프, 전선 등의 기능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돌출물을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4.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제어반 및 권상기는 카마다 설치하고, 또한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전도 또는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4. 다음은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소방운전 스위치는 점검운전 제어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2. 1단계 호출 시 문열림 및 비상 경고 버튼은 작동이 가능한 상태이어야 한다.
     3.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소방운전 시 모든 승강장의 출입구마다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4. 비상용 엘리베이터 카 내부 둥록버튼 위 또는 근처에 비상용 엘리베이터 알림 표지를 이용하여 선명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승강기의 점검운전은 승강기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기본적인 작업으로, 모든 조치가 우선시됨. 비상운전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긴급 대응 조치이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우선적으로 비상 대응을 시행되야 하나 승강기 안전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운전이 필수적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브레이스 로드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 이상으로 설계해야 하는가?(2015년 03월)
     1. 4
     2. 6
     3. 7.5
     4. 10

     정답 : []
     정답률 : 62%

26. 그림에서 중간 스톱퍼에 해당되는 것은?(2011년 03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71%

27. 백화점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때 에스컬레이터의 수송분담률은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이용자 수의 몇 [%]가 적당한가?(2013년 09월)
     1. 20~30%
     2. 40~50%
     3. 60~70%
     4. 80~90%

     정답 : []
     정답률 : 65%

28. 사무용 건물에 설치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3년 03월)
     1. 정격속도 45[m/min]이하인 경우, 과속스위치는 60[m/min]이하에서 끊길 것
     2. 정격속도 45[m/min]를 초과하는 경우, 과속스위치는 정격속도의 1.3배 이하에서 끊길 것
     3. 정격속도 45[m/min]이하인 경우, 캣치는 과속스위치가 떨어짐과 동시 또는 떨어진 후 작동하도록 할 것
     4. 정격속도 45[m/min]를 초과하는 경우, 캣치는 과속스위치가 떨어진 후에 작동하도록 할 것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관련법 개정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삼겹살]

1. 45m/min 이하 과속스위치는 63m/min 이하에서 끊길것
[해설작성자 : 밍고]

29.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현상이 아닌 것은?(2014년 09월)
     1. 주자속이 증가한다.
     2. 발전기에서는 기전력이 저하한다.
     3. 전기자 중성점이 이동한다.
     4. 보상권선은 전기자 반작용을 방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전기자 반작용 : 주자속 감소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행인]

30. 방범설비인 연락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연락 자치는 정상전원으로만 작동하여도 된다.
     2. 비상시 카내부에서 외부의 관계자에게 연락이 가능해야 한다.
     3. 비상요청시 카외부에서 카내의 적절한 지시를 할 수 있어야 한다.
     4. 키내부, 기계실, 관리실, 동시통화가 가능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31. 승강기의 설비계획상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2003년 05월)
     1. 교통 수요에 적합한 대수
     2. 승강기의 배치 배열
     3. 이용자의 대기시간
     4. 건물 유리창의 수

     정답 : []
     정답률 : 69%

32.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각 부의 안전율 적용이 잘못된 것은?(2005년 09월)
     1. 승용 및 인화공용 승강기의 카는 7.5이상
     2. 엘리베이터 주로프는 10 이상
     3. 철골조의 엘리베이터 지지부는 3 이상
     4. 보조로프는 4 이상

     정답 : []
     정답률 : 48%

33. 전기식 엘리베이터 카측 주행안내(가이드)레일에 작용하는 하중이 1000kgf이고, 브라켓 간격이 200cm, 영률이 210×104kgf/cm2, 레일 단면 2차 모멘트가 180cm4일 때, 주행안내 레일의 휨량은 약 몇 cm인가?(2020년 06월)
     1. 1.22
     2. 0.12
     3. 0.18
     4. 0.24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가이드레일 휨량은 (11 x H x L3제곱)/(960 x E x 단면2차모멘트) 이때 H:하중/E:가이드레일 영률 /L:브라켓간격
[해설작성자 : BNT]

L = (11*1000*200^3)/(960+2.1*10^6*180)=0.24
[해설작성자 : 다유니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복원오류로 보임.
영률 = 2.1x10^6kgf/cm2임
[해설작성자 : 기사4회차준비생]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210×10^4 = 2.1×10^6 아닌가요? 문제 오류는 없어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오류신고 반론]
카용 가이드 레일의 휨 δ = (11/960)*(Pℓ^3/EIx) = (11/960)*(1000*200^3/210*10^4*180) = 0.24 [cm]

P: 하중 [kgf]
ℓ: 레일브래킷의 간격 [cm]
E: 가이드레일의 영률 2.1*10^6(=210*10^4) [kg/cm^2]
Ix: 가이드레일의 단면 2차 모멘트 [cm^4]

문제에 오류는 없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34. 다음 중 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옿은 것은?(2007년 03월)
     1.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카가 주행중에 저속의 도어를 손으로 억지로 여는데에 필요한 힘은 5kgf 이상 30kgf 이하이다.
     2.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카가 정지하고,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카가 저속시 도어를 손으로 억지로 여는데에 필요한 힘은 20kgf이상이다.
     3. 도어가 닫힐 때 도어에 끼어서 받는 아픔을 적게 하기 위한 도어의 개폐력은 5kgf이하이다.
     4. 도어 가이드 슈가 끼워져 있는 문턱 홈에 구멍을 뚫어 먼지가 쌓이지 않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35. 60Hz, 4극 전동기의 슬립이 5%인 경우 전부하 회전수는 몇 rpm인가?(2017년 09월)
     1. 1710
     2. 1890
     3. 3420
     4. 378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무부하 동기회전수 N= 120xf/p=120x60/4=1800rpm
슬립률 = 1800x0.05=90rpm
띠라서 총 회전수는 1800-90=1710rpm
[해설작성자 : 카리스 정 ]

무부하 동기회전수 N = 120*f*(1-slip)/p
                                     = 120*60*(1-0.05)/4
[해설작성자 : 팔봉K]

36. 도어클로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고속 도어장치에는 스프링클로저 방식 적합하다.
     2. 웨이트클로저 방식은 도어 닫힘이 끝날 때 힘이 약해진다.
     3.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규제가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도어가 닫히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4. 웨이트클로저 방식은 웨이트가 승강로 벽을 따라 내려뜨리는 것과 도어판넬 자체에 달리는 것 2종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37. 기어 방식의 권상기에서 웜기어와 비교하여 헬리컬 기어의 효율적인 소음을 옳게 설명한 것은?(2022년 03월)
     1. 효율은 높고 소음도 크다.
     2. 효율은 높고 소음도 작다.
     3. 효율은 낮고 소음도 크다.
     4. 효율은 낮고 소음도 작다.

     정답 : []
     정답률 : 69%

38. 유도전동기의 인버터 제어방식에서 10KHz의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발생하여 운전 시 전동기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인버터 전력용 스위칭 소자는?(2021년 03월)
     1. SCR
     2. IGBT
     3. 다이오드
     4. 평활콘덴서

     정답 : []
     정답률 : 75%

39. 피트 바닥은 전 부하 상태의 카가 완충기에 작용하였을 때 카 완충기 지지대 아래에 부과되는 정하중의 몇 배를 지지할 수 있어야 하는가?(2020년 08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Fs=4×(P+Q) 즉 4배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40. 승강기 검사 중 기계실에서 행하지 않는 것은?(2006년 09월)
     1. 전동기 주회로 절연저항 측정
     2. 조속기의 작동상태
     3. 전동기의 운전상태
     4. 도어장치 열림력 검사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2.3번 품목은 기계실에 있지만
4번은 기계실에 없는 항목이다
[해설작성자 : 초보]

3과목 : 일반기계공학


41. 주조할 때 금형에 접촉된 표면을 급냉시켜 표면은 백선화되어 단단한 층이 형성되고, 금속의 내부는 서냉되어 강인한 성질의 주철이 되는 것은?(2017년 05월)
     1. 회 주철
     2. 칠드 주철
     3. 가단 주철
     4. 구상흑연 주철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칠드주철 : 주물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을 높은 경도 또는 내마모성으로 만들기 위해 금형에 접해서 주철용탕을 응고 급냉시켜서 제조하는 주철주물이며, 칠드롤, 스프로킷, 노즐, 제승기다이스 등
○ 회주철 : 주철을 주형에 주입할 때, 벽두께의 차이에 의해 냉각 속도가 지극히 느린 경우에, 탄소가 흑연의 형태로 많이 석출하기 때문에 파단면이 회색을 띠는 주철
○ 가단주철 : 주조성이 좋은 백선조직의 주철을 용해ㆍ주조하여 여기에 적당한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견인성(堅靭性)을 부여한 주철
○ 구상흑연 주철 : 보통 주철의 조직에 나타나는 흑연을 본래의 엽편상(葉片狀)에서 구상(球狀)으로 변화시켜 강인성(强靭性)을 향상시킨 주철이다
[해설작성자 : 팔봉K]

42. 축 추력 방지방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수직 공을 설치
     2. 평형 원판을 설치
     3. 전면에 방사상 리브(Lib)를 설치
     4. 다단 펌프의 회전차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설치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펌프의 회전차 뒤에 평형 원판을 설치하게 되면, 원판의 뒷면에 압력이 낮은 공간이 만들어져 반대방향의 힘을 발생시킴.
즉, "축 추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는 이야기.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43. 다음 중 펌프를 분류할 때 용적형에 속하는 것은?(2011년 10월)
     1. 왕복식
     2. 원심식
     3. 축류식
     4. 사류식

     정답 : []
     정답률 : 64%

44. 아크 용접기의 수하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전류가 증가하면 용접기 온도가 증가하는 특성
     2. 전류가 강하면 전력이 증가하는 특성
     3. 부하 전류가 증가하면 단자 전압이 증가되는 특성
     4. 부하 전류가 증가하면 단자 전압이 저하되는 특성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부특성(부저항 특성)
: 전류가 작은 범위에서는 전류가 증가하면 아크 저항이 작아져 아크 전압이 낮아지는 특성으로 부저항 특성 또는 부특성이라고 함.

2) 수하특성(dropping characteristic)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단자전압이 낮아지는 특성을 수하(垂下)특성이라고 한다.
처음 아크를 발생시키려고 할 때의 전압, 즉 무부하 전압(개로 전압)은 어느 정도 높은 것을 필요하다. 그리고 일단 아크가 발생되어서 부하전류가 증가하게 된다해도 단자 전압은 낮아져야 함,.
    V = E - IR (V : 단자 전압, E : 전원 전압)

​3) 정전류 특성
: 아크 길이가 크게 변화해도 전류 값은 거의 변하지 않는 특성
수하특성 중에서도 전원 특성 곡선에 있어서 작동점 부근의 경사가 상당히 급한 것을 정전류 특성이라고 함.


4) 상승 특성
: 큰 전류에서 아크 길이가 일정할 때 전류 증가와 더불어 전압이 약간씩 증가하는 특성 임, 이 상승 특성은 반지동 및 자동 용접에서 아크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성


5) 정전압 특성(자기 제어 특성)(constant voltage (potenial) characteristic)
: 수하특성과는 반대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 부하 전류가 변해도 단자 전압이 거의 일변하지 않는 것으로 CP(Constant Potential) 특성이라고 함.

또한 아크 길이가 길어지면 부하 전압은 일정하지만 전류가 낮아져(저항이 커지기때문) 정상보다 늦게 녹아 정상적인 아크 길이를 맞추고 반대로 아크 길이가 짧아지면 부하 전압은 일정하지만 전류가 높아져 와이어의 녹는 속도를 빨리하여 스스로 아크길이를 맞추는 것을 자기 제어 특성이라고 한다.

그러나 수하 특성인 경우는 전류값의 변화가 적은 관계로 아크 길이에 따라서 용접용 와이어를 녹이는 속도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아크의 자기 제어 능력이 없는 것이다.

주로 반자동 및 자동 용접에 필요한 특성

* 수동용접에 필요한 특성 : 부특성(부저항 특성). 수하특성, 정전류 특성
* 자동용접기에서 필요한 특성 : 상승특성, 정전압 특성
[출처] 용접기 특성|작성자 75hyoung
[해설작성자 : 엄청 부끄러워]

45. 단면적 1㎝2, 길이 4m 인 강선(鋼線)에 2톤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키면 신장(cm)은? (단, 연강(軟鋼)의 E = 2 x 106 ㎏f/㎝2 이다.)(2003년 03월)
     1. 4
     2. 6
     3. 0.6
     4. 0.4

     정답 : []
     정답률 : 41%

46. 절삭 각공 시 구성인선(built up edge)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경사각(rake angle)을 작게 할 것
     2. 절삭 깊이(cut of depth)를 작게 할 것
     3. 절삭 속도(cutting speed)를 크게 할 것
     4. 공구의 인선(cutting edge)을 예리하게 할 것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절삭 깊이를 크게 해야하지 않나요?
1번 2번 둘다 정답인거 같은데요?
[해설작성자 : 쫄깃한 감자칩]

[오류신고 반론]
절삭깊이는 작게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 클낫네,,,]

47. 주물에 사용되는 주물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내화성이 클 것
     2. 통기성이 좋을 것
     3. 열전도성이 높을 것
     4. 주물표면에서 이탈이 용이할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주물사의 구비조건
1. 성형성이 좋아야한다
2. 적당한 강도를 갖어야 한다
3.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4. 내화성이 커야 한다
5.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6. 가격이 저렴하고 구입이 용이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김미]

3. 열전도성은 낮아야함.
▶이유 : 쇳물의 온도가 주물사로 빠르게 전달되면 주물 표면이 급랭되어서 균열이 생길 수 있음.
따라서 열전도성은 낮아야함.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48. 한숨을 쉬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소음과 진동을 내는 펌프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현상은?(2003년 03월)
     1. 서징현상
     2. 공동현상
     3. 수격현상
     4. 침식현상

     정답 : []
     정답률 : 62%

49. 다음 중 유압 액추에이터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실린더
     2. 소음기
     3. 기어 모터
     4. 리니어 모터

     정답 : []
     정답률 : 66%

50.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피복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아크의 세기를 크게 한다.
     2. 용접금속의 탈산 및 정련 작용을 한다.
     3. 용융점이 낮은 가벼운 슬래그를 만든다.
     4. 용접 금속에 적당한 합금 원소를 첨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크발생을 용이하게 하여 아크를 안정
•중성 또는 환원성 분위기로 대기 중으로부터 산화, 질화 등의 해를 방지 용착금속을 보호
•용융 금속의 용적을 미세화하여 용착 효율 증가
•용착 금속의 냉각 속도를 느리게 하여 급랭 방지
•용착 금속의 탈산 정련 작용, 용융점이 낮은 적당한 점성의 가벼운 슬래그를 생성
•슬래그의 박리성, 제거를 쉽게 하고, 파형이 고운 비드를 만듬
•스패터의 발생을 감소
•용착 금속에 필요한 합금 원소들을 첨가
•전기 절연 작용
[해설작성자 : 팔봉K]

51. 그림과 같은 원통 용기의 하부 구멍 A의 단면적이 0.05m2이고 이를 통해서 물이 유출할 때 유량은 약 m3/s 인가? (단, 유량계수는 C=0.6, 높이는 H=2m로 일정하다.)(2019년 03월)

    

     1. 0.19
     2. 0.38
     3. 1.87
     4. 4.7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C×A×sqrt(2gh)
[해설작성자 : 훈.]

유량Q=C*A*V
C 유량계수
A 단면적
V=속도 루트(2gH)
         g중력가속도= 9.8     H=높이
[해설작성자 : 하이]

52. 고무나 기름을 사용하여 화병과 같이 입구보다 중앙부분이 굵은 원통용기를 만드는 드로잉 가공법인 것은?(2003년 03월)
     1. 압출
     2. 벌징
     3. 인발
     4. 마폼

     정답 : []
     정답률 : 55%

53. 단면적 1cm2, 길이 4m인 강선에 2kN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키면 신장량은 약 몇 cm인가? (단, 연강의 탄성계수는 2×106N/cm2이다.)(2019년 03월)
     1. 6
     2. 4
     3. 0.6
     4. 0.4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변형량 = (하중 * 길이) / (단면적 * 탄성계수)
[해설작성자 : 기계인]

54. 축의 지름은 d, 축 재료의 전단응력을 τ라 할 때, 비틀림 모멘트를 나타내는 식은?(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55. 볼트 체결에 있어서 마찰각을 ρ, 리드각을 λ라고 할 때 나사의 효율(η)을 나타내는 식은?(2021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0%

56. 다음 중주물제품에서 크랙(crack)의 원인이 아닌것은?(2005년 03월)
     1. 만나는 부분의 살의 두께가 너무 차이가 나다를 때
     2. 구석이나 만나는 부분이 모지게 되어 있을 때
     3. 쇳물 아궁이가 매우 작을 때
     4. 주물을 급랭 시킬 때

     정답 : []
     정답률 : 79%

57. 탄소강에서 상온취성을 일으키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원소는?(2013년 03월)
     1. Si(규소)
     2. S(황)
     3. Mn(망간)
     4. P(인)

     정답 : []
     정답률 : 59%

58. 연삭숫돌을 구성하는 3요소가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조직
     2. 입자
     3. 기공
     4. 결합제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연삭 숫돌 구성하는 3요소 : 입자, 기공, 결합제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59. 다음 중 평벨트 전동장치와 비교한 V벨트 전동장치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미끄럼이 적고 속도비가 크다.
     2. 이음이 없고 운전이 정숙하다
     3. 장력이 작으므로 베어링에 걸리는 부하가 적다
     4. 엇걸기로도 작동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엇걸기로 작동 가능 한 것은 평벨트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킹강기]

60. 유압 장치에서 유압 액휴에이터인 것은?(2009년 08월)
     1. 유압 실린더
     2. 유압 펌프
     3. 유체 커플링
     4. 구동용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53%

61. 다음 중 단위계단 함수 u(t)의 그래프는?(2006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62. 추치제어가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탱크의 레벨제어
     2. 자동 아날로그 선반제어
     3. 열처리로의 온도제어
     4. 보일러의 자동연소제어

     정답 : []
     정답률 : 55%

63. 목표값을 직접 사용하기 곤란할 때, 주 되먹임 요소와 비교하여 사용하는 것은?(2019년 03월)
     1. 제어요소
     2. 비교장치
     3. 되먹임요소
     4. 기준입력요소

     정답 : []
     정답률 : 50%

64.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르는 것은?(2003년 08월)
     1. 전동기
     2. 발전기
     3. 정류기
     4. 용접기

     정답 : []
     정답률 : 72%

65. 그림과 같은 콘덴서의 직·병렬회로에 200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4μF 콘덴서 양단의 전압은 몇 V 인가?(2004년 09월)

    

     1. 33.3
     2. 50
     3. 66.7
     4. 100

     정답 : []
     정답률 : 46%

6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앞선다. 다음 중 위상차(θ)를 구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3%

67. 그림에서 스위치 S의 개폐에 관계없이 전전류 I가 항상 30A라면 저항 r3와 r4의 값은 몇 [Ω]인가?(2011년 03월)

    

     1. r3=1, r4=3
     2. r3=2, r4=1
     3. r3=3, r4=2
     4. r3=4, r4=4

     정답 : []
     정답률 : 61%

68. 회전 중인 유도전동기의 3상 단자 중 임의의 2상의 단자를 바꾸어서 제동하는 방법은?(2009년 08월)
     1. 발전제동
     2. 희생제동
     3. 플러깅
     4. 직입제동

     정답 : []
     정답률 : 38%

69.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논리식은?(2013년 09월)

    

     1.
     2. Y = (A+B)C
     3. Y = A(B+C)
     4.

     정답 : []
     정답률 : 57%

70. 어떤 제어계의 출력 일 때 출력의 시간 함수 c(t)의정상치는 얼마인가?(2005년 03월)
     1. 3
     2. 5
     3.
     4.

     정답 : []
     정답률 : 58%

71. PLC의 구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 입력장치
     2. 제어장치
     3. 주변용장치
     4. 출력장치

     정답 : []
     정답률 : 80%

72. 공기 중 자계의 세기가 100A/m의 점에 놓아둔 자극에 작용하는 힘은 8×10-3N이다. 이 자극의 세기는 몇 Wb인가?(2019년 03월)
     1. 8×10
     2. 8×105
     3. 8×10-1
     4. 8×10-5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F=m2H[N]
[해설작성자 : 강릉시 포남동 ]

자장의 세기가 H (단위: AT/m) 되는 자장 내에 m (단위: Wb)의 자극이 있을 때 이것에 작용하는 힘 F는
F = mH (단위: 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mH에서 m=F/H= {8*10^(-3)}÷100=8*10^(-5)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73.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목표값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즉, 원뿔주사를 이용한 서보용 제어기는?(2012년 09월)
     1. 자동조타장치
     2. 추적레이더
     3. 공작기계의 제어
     4. 자동평형기록계

     정답 : []
     정답률 : 64%

74. 단상변압기 3대를 Δ결선하여 3상 전원을 공급하다가 1대의 고장으로 인하여 고장난 변압기를 제거하고 V결선으로 바꾸어 전력을 공급할 경우 출력은 당초 전력의 약 몇 %까지 가능하겠는가?(2017년 05월)
     1. 46.7
     2. 57.7
     3. 66.7
     4. 86.7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출력비 : 루트3/3 = 57.7
이용률 : 루트3/2 = 86.6

75. 추종제어에 속하지 않는 제어량은?(2019년 04월)
     1. 위치
     2. 방위
     3. 자세
     4. 유량

     정답 : []
     정답률 : 62%

76. 발전기의 단자전압을 200V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압계를 보면서 계자저항을 조정하여 계자전류를 조정한다. 다음 중 잘못 짝지어진 것은?(2008년 03월)
     1. 목표값 - 200V
     2. 조작량 - 계자전류
     3. 제어량 - 계자저항
     4. 제어대상 - 발전기

     정답 : []
     정답률 : 58%

77.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해서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2015년 03월)
     1. 프로그램 제어
     2. 정치 제어
     3. 공정 제어
     4. 추종 제어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프로그램 제어(시퀀스제어): 열차, 산업로봇의 무인운전 , 엘리베이터 , 커피자판기
- 정치 제어 :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경우의 제어
- 주치 제어 :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한다 .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하도록 하는 제어
- 추종 제어 추가사항 : 목표 값이 임의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 예를 들면, 항공기에 레이더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추종시키는 제어이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78. 제어동작 중 PID(비례적분미분)동작을 이용했을 때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03년 05월)
     1. 응답의 오버슈트를 감소시킨다.
     2. 잔류편차를 최소화 시킨다.
     3. 정정시간을 적게 한다.
     4. 응답의 안정성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63%

79. 출력의 오차가 변화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조작량을 가변하는 제어방식은?(2009년 08월)
     1. 미분 제어
     2. 정치 제어
     3. on-off 제어
     4. 시퀀스 제어

     정답 : []
     정답률 : 48%

80. 200V의 정격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90%의 정격전압을 가한다면 소비전력은 몇 W인가?(2019년 09월)
     1. 640
     2. 810
     3. 900
     4. 990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P=V제곱/R ------ R을 구하면 40옴
P=0.9*200제곱/40을 구하면 810W
[해설작성자 : 구름무늬 문]

P=(0.9*200)제곱/40=810W
[해설작성자 : 외워불자]


정 답 지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5935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승강기 개론


1. 과부하감지장치(Overload Switch)가 동작되는 부하(하중)의 세팅범위는 몇 % 범위인가?(2004년 03월)
     1. 90∼100
     2. 100∼105
     3. 105∼110
     4. 110∼125

     정답 : []
     정답률 : 58%

2. 빈칸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6년 03월)

   

     1. 0.1
     2. 0.15
     3. 0.2
     4. 0.25

     정답 : []
     정답률 : 77%

3. 브레이스 로드는 카 바닥에 균등하게 분산될 하중의 얼마정도를 카 틀에 전달하는가?(2005년 09월)
     1. 3/8
     2. 5/8
     3. 7/8
     4. 9/8

     정답 : []
     정답률 : 81%

4. 다음 중 기계적 안전장치는?(2012년 09월)
     1. 구출운전장치
     2. 전자브레이크
     3. 도어스위치
     4. 정전시 자동착상장치

     정답 : []
     정답률 : 75%

5. 승강기 안전관리법령에 따라 승강기의 정격속도에 따라서 고속 승강기와 중저속 승강기로 구분하는데 이를 구분하는 정격속도의 크기는?(2022년 04월)
     1. 3.5 m/s
     2. 4 m/s
     3. 4.5 m/s
     4. 5 m/s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고속 승강기는 정격속도가 4 m/s를 초과하는 승강기이고,
중저속 승강기는 정격속도가 4m/s이하인 승강기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6. 유압 엘리베이터의 작동유의 유온은 보통 얼마로 유지하는 것어 적정한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5년 03월)
     1. -10 ∼ 40℃
     2. 0 ∼ 50℃
     3. 5 ∼ 60℃
     4. 1 ∼ 70℃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 개정으로 5~40 입니다.
[해설작성자 : ㅎㅎ]

[오류신고 반론]
5-60이 맞는데요

7. 엘리베이터에서 카 또는 승강장 출입구 문턱부터 아래로 평탄하게 내려진 수직부분의 앞 보호판을 나타내는 용어는?(2021년 03월)
     1. 슬링
     2. 피트
     3. 스프로킷
     4. 에이프런

     정답 : []
     정답률 : 86%

8.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3월)
     1.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주행로의 최상부에서만 작동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2. 권상 및 포지티브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경우, 주행로의 최상부 및 최하부에서 작동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3.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 우발적인 작동의 위험 없이 가능한 최상층 및 최하층에 근접하여 작동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4.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는램이 완충장치에 접촉되는 순간 일시적으로 작동되었다가 복구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파이널리미트스위치는 돌발적인 작동의 위험이 없이 가능한 한 최종 층에 근접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그것들은 카(또는, 카운터웨이트)가 완충기와 접촉되기 전에 작동하여야 한다.
그 파이널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은 완충기가 압축되어 있는 동안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

10.5.3.2 파이널리미트스위치의 작동 후,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위한 복귀는 자동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이카삼]

9. 유압식엘리베이터에서 실린더와 체크벨브 또는 하강밸브 사이의 가요성 호스는 전 부하 압력 및 파열 압력과 관련하여 안전율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17년 09월)
     1. 5
     2. 6
     3. 7
     4. 8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실린더 4이상
트러스빔 5이상
모든 구동품 5이상
가요성 호스 8이상
고무호스 10이상
체인 10이상
디딤판 체인 및 구동체인 10이상
[해설작성자 : ㅁㄱ]

10. 승강기의 최대 정원은 1인당 하중을 몇 kg으로 계산한 값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6년 03월)
     1. 55
     2. 60
     3. 65
     4. 70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법 개정으로 1인당 하중 75KG으로 개정되었습니다.

11. 제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1년 10월)
     1. 승객용 엘리베이터는 120%의 부하로 전속하강 중 위험없이 감속정지 할 수 있어야 한다.
     2.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125%의 부하로 전속하강 중 위험없이 감속정지 할 수 있어야 한다.
     3. 제동력은 전원이 흐르는 사이에 전자코일에 의해 주어진다.
     4. 제동력을 너무 크게 하면 감속도가 크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법안 개정으로 승객용, 화물용 하중 125%로 개정

12. 직류엘리베이터의 속도제어방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ARMATURE의 직렬저항제어
     2. ARMATURE의 직병렬저항제어
     3. SHUNT FIELD의 제어
     4. DYNAMIC BRAKE 제어

     정답 : []
     정답률 : 53%

13. 권동식 구동방식의 단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고양정 적용이 곤란하다.
     2. 권상동력이 큰 것이 필요하다.
     3. 지나치게 감기거나 풀릴 위험이 있다.
     4. 로프와 도르래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긴다.

     정답 : []
     정답률 : 60%

14. 종단층 강제감속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6월)
     1. 2단 이하의 감속제어가 되어야 한다.
     2. 1G(9.8m/s2)를 초과하지 않는 감속도를 제공하여야 한다.
     3. 카 추락방지안전장치(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아야 한다.
     4.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는 카 상단, 승강로 내부 또는 기계실 내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2단이하가 아니고 2단임
[해설작성자 : MJ]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에 기계실 내부 같은데 종단층 강제감속장치가 왜 기계실 내부에 있죠??
4번이 1번보다 확실한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고발자]

[오류신고 반론]
대광서림책에서 확인했습니다

해설내용 :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는 2단 이상의 감속제어가 되어야한다.
[해설작성자 : 다유니맘]

[추가 오류 신고]
문제오류인듯합니다.종단층 강제감속장치는 기계실에 있을 수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노원정보도서관]

[오류신고 반론]
크라운출판사
1. 2단이상 감속제어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카상단, 승강로 내부, 기계실 내부에 위치하여야 하고 카 움직임에 의해 조작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종단층 강제감속장치]

[오류신고 반론]
14. 종단층 강제감속 장치
        가. 2단 (이상)의 감속제어가 되어야 한다.
        나. 1G(9.8m/s)를 초과하지 않는 감속도를 제공하여야 한다.
        다. 카 추락방지안전장치(비상정지장치)를 작동시키지 않아야 한다.
        라. 종단층 강제감속장치는 카 상단, 승강로 내부 또는 기계실 내부에 위치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해피보이]

15. 승강기의 교류귀환 전압제어는 유도전동기의 1차측 각 상에 사이리스터와 다이오드를 어떻게 접속하여 토크를 발생시키는가?(2010년 03월)
     1. 직렬
     2. 병렬
     3. 역병렬
     4. 역직렬

     정답 : []
     정답률 : 72%

16. 엘리베이터의 문닫힘 보호장치(Safety shoe)는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가?(2007년 09월)
     1. 카 문
     2. 각 층의 문
     3. 비상 탈출구
     4. 외부 문틀

     정답 : []
     정답률 : 70%

17. 로프와의 면압이 작아 로프의 수명은 길어지지만 마찰력이 가장 적고 로프의 권부각을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더블랩 방식에 사용되는 도르레 홈의 형상은?(2006년 03월)
     1. V홈
     2. U홈
     3. T홈
     4. 언더커트홈

     정답 : []
     정답률 : 69%

18. 경사도 a가 30°를 초과하고 35°이하인 에스컬레이터의 공칭 속도는 몇 m/s이하이어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5월)
     1. 0.5
     2. 0.75
     3. 1
     4. 1.5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30°이하 45m/min 0.75
30°이상 35m/min 0.5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위 문제해설에서 35 숫자만 30으로 정정
(30/60=0.5임)
30°이하 45m/min 0.75m/s
30°이상 30m/min 0.5m/s
[해설작성자 : ㅎㄹ]

[추가 오류 신고]
위 문제는 30~
질문이 다 포함 시키는 거 같은데요~~    속도를 주던지 정지거리를 주던지 해야 했던 거 아닌가요?

에스컬레이터 공칭속도별 정지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0.5 m/s (30m/min) 0.2~1.0m
0.65 (39m/min) 0.3~ 1.3m
0.75 (45m/min) 0.4~ 1.5m
[해설작성자 : 졸라 부끄러워]

19. 구조가 간단하나 착상오차가 크므로 최고 30m/min 이하에만 적용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속도 제어방식은?(2008년 09월)
     1. 교류 1단 속도제어
     2. 교류 2단 속도제어
     3. 교류 궤환전압제어
     4. 가변전압가변주파수제어

     정답 : []
     정답률 : 70%

20. 엘리베이터용 가이드 레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레일의 표준길이는 일반적으로 5m로 한다.
     2. 호칭은 길이 3m 의 공칭하중으로 8k, 13k, 18k 등으로 표시 한다.
     3.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가 진동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
     4.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때 카를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레일 호칭은 마무리 가공전 소재의 1m당 중량
[해설작성자 : 동시기]

가이드 레일의 8K·13K·18K 표기는
길이 3 m의 공칭하중이 아니라,
레일 1 m당 질량(kg/m)을 뜻하는 관행적 호칭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2과목 : 승강기 설계


21. 승객이 출입하거나 하역하는 동안에 착상의 정확도가 몇 mm 이상 초과될 경우에 착상보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2014년 09월)
     1. 5
     2. 10
     3. 15
     4. 20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카의 정지시에 있어서 자연하강을 보정하기 위한 바닥맞춤보정장치(착상 정확도는 ±10mm 이내)
출처 :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홈페이지 - 기술자료 - 기술정보 - 엘리베이터 안전장치
[해설작성자 : 승안공 준비생]

16.1.1.4 착상 정확도는 ± 10 mm 이내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승객이 출입하거나 하역하는 동안 착상정확도가 ± 20 mm를
초과할 경우에는 ± 10 mm 이내로 보정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킹강기]

22. 기어비 76:2, 도르래 지름 600mm인 권상기에 주파수 60Hz, 6극(pole)의 전동기를 사용할 경우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는?(2011년 03월)
     1. 45m/min
     2. 60m/min
     3. 90m/min
     4. 105m/min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N= (120f/p) *(2/76) = 31.57
v= pi*d*n / 1000 = 59.52
[해설작성자 : ㄱㄱ]

23. 지진대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주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2. 엘리베이터의 균형추가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아야 한다.
     3. 승강로내에는 지진시에 로프, 전선 등의 기능에 악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돌출물을 설치하여서는 아니된다.
     4.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제어반 및 권상기는 카마다 설치하고, 또한 지진이나 기타 진동에 의해 전도 또는 이동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24. 다음은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2016년 10월)
     1. 소방운전 스위치는 점검운전 제어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2. 1단계 호출 시 문열림 및 비상 경고 버튼은 작동이 가능한 상태이어야 한다.
     3.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소방운전 시 모든 승강장의 출입구마다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4. 비상용 엘리베이터 카 내부 둥록버튼 위 또는 근처에 비상용 엘리베이터 알림 표지를 이용하여 선명하게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승강기의 점검운전은 승강기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기본적인 작업으로, 모든 조치가 우선시됨. 비상운전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발생하는 긴급 대응 조치이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우선적으로 비상 대응을 시행되야 하나 승강기 안전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운전이 필수적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5. 승객용 엘리베이터의 브레이스 로드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 이상으로 설계해야 하는가?(2015년 03월)
     1. 4
     2. 6
     3. 7.5
     4. 10

     정답 : []
     정답률 : 62%

26. 그림에서 중간 스톱퍼에 해당되는 것은?(2011년 03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71%

27. 백화점에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때 에스컬레이터의 수송분담률은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이용자 수의 몇 [%]가 적당한가?(2013년 09월)
     1. 20~30%
     2. 40~50%
     3. 60~70%
     4. 80~90%

     정답 : []
     정답률 : 65%

28. 사무용 건물에 설치하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3년 03월)
     1. 정격속도 45[m/min]이하인 경우, 과속스위치는 60[m/min]이하에서 끊길 것
     2. 정격속도 45[m/min]를 초과하는 경우, 과속스위치는 정격속도의 1.3배 이하에서 끊길 것
     3. 정격속도 45[m/min]이하인 경우, 캣치는 과속스위치가 떨어짐과 동시 또는 떨어진 후 작동하도록 할 것
     4. 정격속도 45[m/min]를 초과하는 경우, 캣치는 과속스위치가 떨어진 후에 작동하도록 할 것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관련법 개정으로 삭제
[해설작성자 : 삼겹살]

1. 45m/min 이하 과속스위치는 63m/min 이하에서 끊길것
[해설작성자 : 밍고]

29.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 반작용에 의한 현상이 아닌 것은?(2014년 09월)
     1. 주자속이 증가한다.
     2. 발전기에서는 기전력이 저하한다.
     3. 전기자 중성점이 이동한다.
     4. 보상권선은 전기자 반작용을 방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전기자 반작용 : 주자속 감소
[해설작성자 : 지나가는행인]

30. 방범설비인 연락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3월)
     1. 연락 자치는 정상전원으로만 작동하여도 된다.
     2. 비상시 카내부에서 외부의 관계자에게 연락이 가능해야 한다.
     3. 비상요청시 카외부에서 카내의 적절한 지시를 할 수 있어야 한다.
     4. 키내부, 기계실, 관리실, 동시통화가 가능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31. 승강기의 설비계획상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사항은?(2003년 05월)
     1. 교통 수요에 적합한 대수
     2. 승강기의 배치 배열
     3. 이용자의 대기시간
     4. 건물 유리창의 수

     정답 : []
     정답률 : 69%

32.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각 부의 안전율 적용이 잘못된 것은?(2005년 09월)
     1. 승용 및 인화공용 승강기의 카는 7.5이상
     2. 엘리베이터 주로프는 10 이상
     3. 철골조의 엘리베이터 지지부는 3 이상
     4. 보조로프는 4 이상

     정답 : []
     정답률 : 48%

33. 전기식 엘리베이터 카측 주행안내(가이드)레일에 작용하는 하중이 1000kgf이고, 브라켓 간격이 200cm, 영률이 210×104kgf/cm2, 레일 단면 2차 모멘트가 180cm4일 때, 주행안내 레일의 휨량은 약 몇 cm인가?(2020년 06월)
     1. 1.22
     2. 0.12
     3. 0.18
     4. 0.24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가이드레일 휨량은 (11 x H x L3제곱)/(960 x E x 단면2차모멘트) 이때 H:하중/E:가이드레일 영률 /L:브라켓간격
[해설작성자 : BNT]

L = (11*1000*200^3)/(960+2.1*10^6*180)=0.24
[해설작성자 : 다유니맘]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문제복원오류로 보임.
영률 = 2.1x10^6kgf/cm2임
[해설작성자 : 기사4회차준비생]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210×10^4 = 2.1×10^6 아닌가요? 문제 오류는 없어 보입니다
[해설작성자 : 복수혈전]

[오류신고 반론]
카용 가이드 레일의 휨 δ = (11/960)*(Pℓ^3/EIx) = (11/960)*(1000*200^3/210*10^4*180) = 0.24 [cm]

P: 하중 [kgf]
ℓ: 레일브래킷의 간격 [cm]
E: 가이드레일의 영률 2.1*10^6(=210*10^4) [kg/cm^2]
Ix: 가이드레일의 단면 2차 모멘트 [cm^4]

문제에 오류는 없는 것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땅 잃은 기사]

34. 다음 중 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옿은 것은?(2007년 03월)
     1.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카가 주행중에 저속의 도어를 손으로 억지로 여는데에 필요한 힘은 5kgf 이상 30kgf 이하이다.
     2.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카가 정지하고, 동력이 차단되었을 때 카가 저속시 도어를 손으로 억지로 여는데에 필요한 힘은 20kgf이상이다.
     3. 도어가 닫힐 때 도어에 끼어서 받는 아픔을 적게 하기 위한 도어의 개폐력은 5kgf이하이다.
     4. 도어 가이드 슈가 끼워져 있는 문턱 홈에 구멍을 뚫어 먼지가 쌓이지 않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35. 60Hz, 4극 전동기의 슬립이 5%인 경우 전부하 회전수는 몇 rpm인가?(2017년 09월)
     1. 1710
     2. 1890
     3. 3420
     4. 3780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무부하 동기회전수 N= 120xf/p=120x60/4=1800rpm
슬립률 = 1800x0.05=90rpm
띠라서 총 회전수는 1800-90=1710rpm
[해설작성자 : 카리스 정 ]

무부하 동기회전수 N = 120*f*(1-slip)/p
                                     = 120*60*(1-0.05)/4
[해설작성자 : 팔봉K]

36. 도어클로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고속 도어장치에는 스프링클로저 방식 적합하다.
     2. 웨이트클로저 방식은 도어 닫힘이 끝날 때 힘이 약해진다.
     3.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규제가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도어가 닫히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4. 웨이트클로저 방식은 웨이트가 승강로 벽을 따라 내려뜨리는 것과 도어판넬 자체에 달리는 것 2종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0%

37. 기어 방식의 권상기에서 웜기어와 비교하여 헬리컬 기어의 효율적인 소음을 옳게 설명한 것은?(2022년 03월)
     1. 효율은 높고 소음도 크다.
     2. 효율은 높고 소음도 작다.
     3. 효율은 낮고 소음도 크다.
     4. 효율은 낮고 소음도 작다.

     정답 : []
     정답률 : 69%

38. 유도전동기의 인버터 제어방식에서 10KHz의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발생하여 운전 시 전동기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인버터 전력용 스위칭 소자는?(2021년 03월)
     1. SCR
     2. IGBT
     3. 다이오드
     4. 평활콘덴서

     정답 : []
     정답률 : 75%

39. 피트 바닥은 전 부하 상태의 카가 완충기에 작용하였을 때 카 완충기 지지대 아래에 부과되는 정하중의 몇 배를 지지할 수 있어야 하는가?(2020년 08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Fs=4×(P+Q) 즉 4배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40. 승강기 검사 중 기계실에서 행하지 않는 것은?(2006년 09월)
     1. 전동기 주회로 절연저항 측정
     2. 조속기의 작동상태
     3. 전동기의 운전상태
     4. 도어장치 열림력 검사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2.3번 품목은 기계실에 있지만
4번은 기계실에 없는 항목이다
[해설작성자 : 초보]

3과목 : 일반기계공학


41. 주조할 때 금형에 접촉된 표면을 급냉시켜 표면은 백선화되어 단단한 층이 형성되고, 금속의 내부는 서냉되어 강인한 성질의 주철이 되는 것은?(2017년 05월)
     1. 회 주철
     2. 칠드 주철
     3. 가단 주철
     4. 구상흑연 주철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칠드주철 : 주물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을 높은 경도 또는 내마모성으로 만들기 위해 금형에 접해서 주철용탕을 응고 급냉시켜서 제조하는 주철주물이며, 칠드롤, 스프로킷, 노즐, 제승기다이스 등
○ 회주철 : 주철을 주형에 주입할 때, 벽두께의 차이에 의해 냉각 속도가 지극히 느린 경우에, 탄소가 흑연의 형태로 많이 석출하기 때문에 파단면이 회색을 띠는 주철
○ 가단주철 : 주조성이 좋은 백선조직의 주철을 용해ㆍ주조하여 여기에 적당한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견인성(堅靭性)을 부여한 주철
○ 구상흑연 주철 : 보통 주철의 조직에 나타나는 흑연을 본래의 엽편상(葉片狀)에서 구상(球狀)으로 변화시켜 강인성(强靭性)을 향상시킨 주철이다
[해설작성자 : 팔봉K]

42. 축 추력 방지방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수직 공을 설치
     2. 평형 원판을 설치
     3. 전면에 방사상 리브(Lib)를 설치
     4. 다단 펌프의 회전차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설치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펌프의 회전차 뒤에 평형 원판을 설치하게 되면, 원판의 뒷면에 압력이 낮은 공간이 만들어져 반대방향의 힘을 발생시킴.
즉, "축 추력"을 상쇄시킬 수 있다는 이야기.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43. 다음 중 펌프를 분류할 때 용적형에 속하는 것은?(2011년 10월)
     1. 왕복식
     2. 원심식
     3. 축류식
     4. 사류식

     정답 : []
     정답률 : 64%

44. 아크 용접기의 수하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전류가 증가하면 용접기 온도가 증가하는 특성
     2. 전류가 강하면 전력이 증가하는 특성
     3. 부하 전류가 증가하면 단자 전압이 증가되는 특성
     4. 부하 전류가 증가하면 단자 전압이 저하되는 특성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부특성(부저항 특성)
: 전류가 작은 범위에서는 전류가 증가하면 아크 저항이 작아져 아크 전압이 낮아지는 특성으로 부저항 특성 또는 부특성이라고 함.

2) 수하특성(dropping characteristic)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단자전압이 낮아지는 특성을 수하(垂下)특성이라고 한다.
처음 아크를 발생시키려고 할 때의 전압, 즉 무부하 전압(개로 전압)은 어느 정도 높은 것을 필요하다. 그리고 일단 아크가 발생되어서 부하전류가 증가하게 된다해도 단자 전압은 낮아져야 함,.
    V = E - IR (V : 단자 전압, E : 전원 전압)

​3) 정전류 특성
: 아크 길이가 크게 변화해도 전류 값은 거의 변하지 않는 특성
수하특성 중에서도 전원 특성 곡선에 있어서 작동점 부근의 경사가 상당히 급한 것을 정전류 특성이라고 함.


4) 상승 특성
: 큰 전류에서 아크 길이가 일정할 때 전류 증가와 더불어 전압이 약간씩 증가하는 특성 임, 이 상승 특성은 반지동 및 자동 용접에서 아크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성


5) 정전압 특성(자기 제어 특성)(constant voltage (potenial) characteristic)
: 수하특성과는 반대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 부하 전류가 변해도 단자 전압이 거의 일변하지 않는 것으로 CP(Constant Potential) 특성이라고 함.

또한 아크 길이가 길어지면 부하 전압은 일정하지만 전류가 낮아져(저항이 커지기때문) 정상보다 늦게 녹아 정상적인 아크 길이를 맞추고 반대로 아크 길이가 짧아지면 부하 전압은 일정하지만 전류가 높아져 와이어의 녹는 속도를 빨리하여 스스로 아크길이를 맞추는 것을 자기 제어 특성이라고 한다.

그러나 수하 특성인 경우는 전류값의 변화가 적은 관계로 아크 길이에 따라서 용접용 와이어를 녹이는 속도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아크의 자기 제어 능력이 없는 것이다.

주로 반자동 및 자동 용접에 필요한 특성

* 수동용접에 필요한 특성 : 부특성(부저항 특성). 수하특성, 정전류 특성
* 자동용접기에서 필요한 특성 : 상승특성, 정전압 특성
[출처] 용접기 특성|작성자 75hyoung
[해설작성자 : 엄청 부끄러워]

45. 단면적 1㎝2, 길이 4m 인 강선(鋼線)에 2톤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키면 신장(cm)은? (단, 연강(軟鋼)의 E = 2 x 106 ㎏f/㎝2 이다.)(2003년 03월)
     1. 4
     2. 6
     3. 0.6
     4. 0.4

     정답 : []
     정답률 : 41%

46. 절삭 각공 시 구성인선(built up edge)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경사각(rake angle)을 작게 할 것
     2. 절삭 깊이(cut of depth)를 작게 할 것
     3. 절삭 속도(cutting speed)를 크게 할 것
     4. 공구의 인선(cutting edge)을 예리하게 할 것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 절삭 깊이를 크게 해야하지 않나요?
1번 2번 둘다 정답인거 같은데요?
[해설작성자 : 쫄깃한 감자칩]

[오류신고 반론]
절삭깊이는 작게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 클낫네,,,]

47. 주물에 사용되는 주물사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2021년 05월)
     1. 내화성이 클 것
     2. 통기성이 좋을 것
     3. 열전도성이 높을 것
     4. 주물표면에서 이탈이 용이할 것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주물사의 구비조건
1. 성형성이 좋아야한다
2. 적당한 강도를 갖어야 한다
3.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4. 내화성이 커야 한다
5.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6. 가격이 저렴하고 구입이 용이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김미]

3. 열전도성은 낮아야함.
▶이유 : 쇳물의 온도가 주물사로 빠르게 전달되면 주물 표면이 급랭되어서 균열이 생길 수 있음.
따라서 열전도성은 낮아야함.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48. 한숨을 쉬는 것과 같은 현상으로 소음과 진동을 내는 펌프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현상은?(2003년 03월)
     1. 서징현상
     2. 공동현상
     3. 수격현상
     4. 침식현상

     정답 : []
     정답률 : 62%

49. 다음 중 유압 액추에이터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7년 09월)
     1. 실린더
     2. 소음기
     3. 기어 모터
     4. 리니어 모터

     정답 : []
     정답률 : 66%

50. 피복 아크 용접봉에서 피복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2019년 03월)
     1. 아크의 세기를 크게 한다.
     2. 용접금속의 탈산 및 정련 작용을 한다.
     3. 용융점이 낮은 가벼운 슬래그를 만든다.
     4. 용접 금속에 적당한 합금 원소를 첨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아크발생을 용이하게 하여 아크를 안정
•중성 또는 환원성 분위기로 대기 중으로부터 산화, 질화 등의 해를 방지 용착금속을 보호
•용융 금속의 용적을 미세화하여 용착 효율 증가
•용착 금속의 냉각 속도를 느리게 하여 급랭 방지
•용착 금속의 탈산 정련 작용, 용융점이 낮은 적당한 점성의 가벼운 슬래그를 생성
•슬래그의 박리성, 제거를 쉽게 하고, 파형이 고운 비드를 만듬
•스패터의 발생을 감소
•용착 금속에 필요한 합금 원소들을 첨가
•전기 절연 작용
[해설작성자 : 팔봉K]

51. 그림과 같은 원통 용기의 하부 구멍 A의 단면적이 0.05m2이고 이를 통해서 물이 유출할 때 유량은 약 m3/s 인가? (단, 유량계수는 C=0.6, 높이는 H=2m로 일정하다.)(2019년 03월)

    

     1. 0.19
     2. 0.38
     3. 1.87
     4. 4.74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C×A×sqrt(2gh)
[해설작성자 : 훈.]

유량Q=C*A*V
C 유량계수
A 단면적
V=속도 루트(2gH)
         g중력가속도= 9.8     H=높이
[해설작성자 : 하이]

52. 고무나 기름을 사용하여 화병과 같이 입구보다 중앙부분이 굵은 원통용기를 만드는 드로잉 가공법인 것은?(2003년 03월)
     1. 압출
     2. 벌징
     3. 인발
     4. 마폼

     정답 : []
     정답률 : 55%

53. 단면적 1cm2, 길이 4m인 강선에 2kN의 인장하중을 작용시키면 신장량은 약 몇 cm인가? (단, 연강의 탄성계수는 2×106N/cm2이다.)(2019년 03월)
     1. 6
     2. 4
     3. 0.6
     4. 0.4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변형량 = (하중 * 길이) / (단면적 * 탄성계수)
[해설작성자 : 기계인]

54. 축의 지름은 d, 축 재료의 전단응력을 τ라 할 때, 비틀림 모멘트를 나타내는 식은?(2018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55. 볼트 체결에 있어서 마찰각을 ρ, 리드각을 λ라고 할 때 나사의 효율(η)을 나타내는 식은?(2021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0%

56. 다음 중주물제품에서 크랙(crack)의 원인이 아닌것은?(2005년 03월)
     1. 만나는 부분의 살의 두께가 너무 차이가 나다를 때
     2. 구석이나 만나는 부분이 모지게 되어 있을 때
     3. 쇳물 아궁이가 매우 작을 때
     4. 주물을 급랭 시킬 때

     정답 : []
     정답률 : 79%

57. 탄소강에서 상온취성을 일으키는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원소는?(2013년 03월)
     1. Si(규소)
     2. S(황)
     3. Mn(망간)
     4. P(인)

     정답 : []
     정답률 : 59%

58. 연삭숫돌을 구성하는 3요소가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조직
     2. 입자
     3. 기공
     4. 결합제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연삭 숫돌 구성하는 3요소 : 입자, 기공, 결합제
[해설작성자 : 타임어택]

59. 다음 중 평벨트 전동장치와 비교한 V벨트 전동장치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미끄럼이 적고 속도비가 크다.
     2. 이음이 없고 운전이 정숙하다
     3. 장력이 작으므로 베어링에 걸리는 부하가 적다
     4. 엇걸기로도 작동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엇걸기로 작동 가능 한 것은 평벨트의 특징이다
[해설작성자 : 킹강기]

60. 유압 장치에서 유압 액휴에이터인 것은?(2009년 08월)
     1. 유압 실린더
     2. 유압 펌프
     3. 유체 커플링
     4. 구동용 전동기

     정답 : []
     정답률 : 53%

61. 다음 중 단위계단 함수 u(t)의 그래프는?(2006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5%

62. 추치제어가 아닌 것은?(2005년 03월)
     1. 탱크의 레벨제어
     2. 자동 아날로그 선반제어
     3. 열처리로의 온도제어
     4. 보일러의 자동연소제어

     정답 : []
     정답률 : 55%

63. 목표값을 직접 사용하기 곤란할 때, 주 되먹임 요소와 비교하여 사용하는 것은?(2019년 03월)
     1. 제어요소
     2. 비교장치
     3. 되먹임요소
     4. 기준입력요소

     정답 : []
     정답률 : 50%

64.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르는 것은?(2003년 08월)
     1. 전동기
     2. 발전기
     3. 정류기
     4. 용접기

     정답 : []
     정답률 : 72%

65. 그림과 같은 콘덴서의 직·병렬회로에 200V의 전압을 인가했을 때 4μF 콘덴서 양단의 전압은 몇 V 인가?(2004년 09월)

    

     1. 33.3
     2. 50
     3. 66.7
     4. 100

     정답 : []
     정답률 : 46%

66.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앞선다. 다음 중 위상차(θ)를 구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3%

67. 그림에서 스위치 S의 개폐에 관계없이 전전류 I가 항상 30A라면 저항 r3와 r4의 값은 몇 [Ω]인가?(2011년 03월)

    

     1. r3=1, r4=3
     2. r3=2, r4=1
     3. r3=3, r4=2
     4. r3=4, r4=4

     정답 : []
     정답률 : 61%

68. 회전 중인 유도전동기의 3상 단자 중 임의의 2상의 단자를 바꾸어서 제동하는 방법은?(2009년 08월)
     1. 발전제동
     2. 희생제동
     3. 플러깅
     4. 직입제동

     정답 : []
     정답률 : 38%

69.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논리식은?(2013년 09월)

    

     1.
     2. Y = (A+B)C
     3. Y = A(B+C)
     4.

     정답 : []
     정답률 : 57%

70. 어떤 제어계의 출력 일 때 출력의 시간 함수 c(t)의정상치는 얼마인가?(2005년 03월)
     1. 3
     2. 5
     3.
     4.

     정답 : []
     정답률 : 58%

71. PLC의 구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 입력장치
     2. 제어장치
     3. 주변용장치
     4. 출력장치

     정답 : []
     정답률 : 80%

72. 공기 중 자계의 세기가 100A/m의 점에 놓아둔 자극에 작용하는 힘은 8×10-3N이다. 이 자극의 세기는 몇 Wb인가?(2019년 03월)
     1. 8×10
     2. 8×105
     3. 8×10-1
     4. 8×10-5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F=m2H[N]
[해설작성자 : 강릉시 포남동 ]

자장의 세기가 H (단위: AT/m) 되는 자장 내에 m (단위: Wb)의 자극이 있을 때 이것에 작용하는 힘 F는
F = mH (단위: 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F=mH에서 m=F/H= {8*10^(-3)}÷100=8*10^(-5)
[해설작성자 : 신바람한]

73. 비행기 등과 같은 움직이는 목표값의 위치를 알아보기 위한 즉, 원뿔주사를 이용한 서보용 제어기는?(2012년 09월)
     1. 자동조타장치
     2. 추적레이더
     3. 공작기계의 제어
     4. 자동평형기록계

     정답 : []
     정답률 : 64%

74. 단상변압기 3대를 Δ결선하여 3상 전원을 공급하다가 1대의 고장으로 인하여 고장난 변압기를 제거하고 V결선으로 바꾸어 전력을 공급할 경우 출력은 당초 전력의 약 몇 %까지 가능하겠는가?(2017년 05월)
     1. 46.7
     2. 57.7
     3. 66.7
     4. 86.7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출력비 : 루트3/3 = 57.7
이용률 : 루트3/2 = 86.6

75. 추종제어에 속하지 않는 제어량은?(2019년 04월)
     1. 위치
     2. 방위
     3. 자세
     4. 유량

     정답 : []
     정답률 : 62%

76. 발전기의 단자전압을 200V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압계를 보면서 계자저항을 조정하여 계자전류를 조정한다. 다음 중 잘못 짝지어진 것은?(2008년 03월)
     1. 목표값 - 200V
     2. 조작량 - 계자전류
     3. 제어량 - 계자저항
     4. 제어대상 - 발전기

     정답 : []
     정답률 : 58%

77.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의 기계적 변위를 제어량으로해서 목표값의 임의의 변화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제어계는?(2015년 03월)
     1. 프로그램 제어
     2. 정치 제어
     3. 공정 제어
     4. 추종 제어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 프로그램 제어(시퀀스제어): 열차, 산업로봇의 무인운전 , 엘리베이터 , 커피자판기
- 정치 제어 :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경우의 제어
- 주치 제어 : 목표값이 시간에 따라 변한다 . 목표값에 제어량을 추종하도록 하는 제어
- 추종 제어 추가사항 : 목표 값이 임의의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 예를 들면, 항공기에 레이더의 방향을 자동적으로 추종시키는 제어이다.
[해설작성자 : Golf그린비]

78. 제어동작 중 PID(비례적분미분)동작을 이용했을 때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2003년 05월)
     1. 응답의 오버슈트를 감소시킨다.
     2. 잔류편차를 최소화 시킨다.
     3. 정정시간을 적게 한다.
     4. 응답의 안정성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63%

79. 출력의 오차가 변화하는 속도에 비례하여 조작량을 가변하는 제어방식은?(2009년 08월)
     1. 미분 제어
     2. 정치 제어
     3. on-off 제어
     4. 시퀀스 제어

     정답 : []
     정답률 : 48%

80. 200V의 정격전압에서 1kW의 전력을 소비하는 저항에 90%의 정격전압을 가한다면 소비전력은 몇 W인가?(2019년 09월)
     1. 640
     2. 810
     3. 900
     4. 990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P=V제곱/R ------ R을 구하면 40옴
P=0.9*200제곱/40을 구하면 810W
[해설작성자 : 구름무늬 문]

P=(0.9*200)제곱/40=810W
[해설작성자 : 외워불자]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59353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70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7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269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4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268 소음진동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267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266 품질경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705224)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265 경찰공무원(순경)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7788266)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264 9급 지방직 공무원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 승강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593532)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262 워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100955)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26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516942)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260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10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259 생물분류기사(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718215)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258 에너지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257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1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256 수능(법과정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6633107)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255 9급 국가직 공무원 컴퓨터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254 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2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253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3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252 직업상담사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8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3251 9급 국가직 공무원 직업상담심리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192 Next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