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55866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행정가치 중 수단적 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대외적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해 행정통제가 필요하다.
     2. 수단적 가치는 본질적 가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가치들이다.
     3. 전통적으로 책임성은 제도적 책임성(accountability)과 자율적 책임성(responsibility)으로 구분되어 논의되었다.
     4. 사회적 효율성(social efficiency)은 과학적 관리론의 등장과 함께 강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6%

2. 다음 중 역량평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역량평가제도는 근무 실적 수준만으로 해당 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역량평가제도는 대상자의 과거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고, 성과에 대한 외부 변수를 통제하지 않는다.
     3. 역량평가제도는 구조화된 모의 상황을 설정한 뒤 현실적 직무 상황에 근거한 행동을 관찰해 평가하는 방식이다.
     4. 역량평가는 한 개의 실행 과제만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3. 정책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는 정책이 종료된 후에 그 정책이 당초 의도했던 효과를 가져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활동이다.
     2. 메타평가(meta evaluation)는 평가자체를 대상으로 하며, 평가활동과 평가체제를 평가해 정책평가의 질을 높이고 결과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3. 평가성 사정(evaluability assessment)은 영향평가 또는 총괄평가를 실시한 후에 평가의 유용성, 평가의 성과증진효과 등을 평가하는 활동이다.
     4.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란 프로그램이 집행과정에 있으며 여전히 유동적일 때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서 실시하는 평가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평가성 사정은 본격적인 평가를 시작하기 전에 하는 일종의 예비평가
[해설작성자 : 공시생 N]

4. 총체적 품질관리(TQM)와 목표관리(MBO)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TQM이 X이론적 인간관에 기반하고 있다면, MBO는 Y이론적 인간관에 기반하고 있다.
     2. TQM이 분권화된 조직관리 방식이라고 하면, MBO는 집권화된 조직관리 방식이다.
     3. TQM이 조직 내부 성과의 효율성에 초점을 둔다면, MBO는 고객만족도 중심의 대응성에 초점을 둔다.
     4. TQM이 팀 단위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다면, MBO는 개별 구성원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TQM, MBO 둘 다 Y이론적 인간관(참여적 관리, 자아실현)
2. TQM은 집권보다는 수평적 구조이며 MBO는 분권화된 조직에 가까움.
3. TQM은 고객만족을 중시하는데 반해 MBO는 개별 구성원을 중시하여 내부 성과에 초점을 둠.
4. TQM은 집단, 팀단위 활동, MBO는 개별 구성원 중시 (MBO의 개별 구성원 중시는 TQM에 있어서는 방해요인으로 작용)
[해설작성자 : 공시생 N]

5. 베버(Max Weber)가 관료제의 특징으로 제시한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문서화된 규정-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차와 방법이 기록된 규정이 존재함
     2. 계층제-피라미드 모양의 계층구조를 가지며, 명령과 통제가 위로부터 아래로 전달됨
     3. 전문성-업무에 대한 지식을 가진 전문적인 관료가 업무를 담당하며, 직무에의 전념을 요구함
     4. 협력적 행동-원활한 계층 체계 작동을 위해 구성원은 서로 협력하며, 이를 통해 높은 효율과 성과를 거둘 수 있음

     정답 : []
     정답률 : 70%

6. 리더십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자질론은 지도자의 자질 특성에 따라 리더십이 발휘된다는 가정 하에, 지도자가 되게 하는 개인의 속성자질을 연구하는 이론이다.
     2. 행태이론은 눈에 보이지 않는 능력 등 리더가 갖춘 속성보다 리더가 실제 어떤 행동을 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3. 상황론의 대표적인 예로 피들러(F. Fiedler)의 상황조건론, 하우스(R. J. House)의 경로-목표 모형 등이 있다.
     4.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을 기반으로 하므로 거래적 리더십과 중첩되는 측면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7. 리플리(Ripley)와 프랭클린(Franklin)의 정책유형 중 <보기>의 사례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6월)

   

     1. 윤리정책
     2. 경쟁적 규제정책
     3. 보호적 규제정책
     4. 사회적 규제정책

     정답 : []
     정답률 : 68%

8. 정부회계제도의 기장방식에 대한 <보기>의 설명과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8년 06월)

   

     1. ㄱ: 현금주의, ㄴ: 복식부기
     2. ㄱ: 발생주의, ㄴ: 복식부기
     3. ㄱ: 발생주의, ㄴ: 단식부기
     4. ㄱ: 현금주의, ㄴ: 단식부기

     정답 : []
     정답률 : 84%

9. 행정학의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행태론적 접근방법은 과학적 방법의 적용을 강조한다.
     2. 체제론적 접근방법은 환경의 영향을 중시한다.
     3. 사회학적 제도주의는 신제도주의에서 제도의 개념을 가장 좁게 해석한다.
     4. 논변적 접근방법은 결정에 대한 주장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논거를 전개할 수 있는 모형을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0. 정부업무평가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의한 정부업무평가 대상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하며, 공공기관은 제외된다.
     2.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위원회는 행정자치부 소속 위원회로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설치근거를 둔다.
     3. 정부업무평가 중 특정평가는 국무총리가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정책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그 소속 기관의 정책 등을 포함하여 자체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1. 다음 중 예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품목별 예산(LIBS)의 정책결정방식은 분권적 ㆍ 참여적이다.
     2. 계획예산(PPBS)은 기획의 책임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다.
     3. 영기준 예산(ZBB)은 기획의 책임이 분권화되어 있다.
     4. 성과주의 예산(PBS)과 목표관리예산(MBO)은 모두 관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12. 데프트(Daft)가 제시한 조직구조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2월)
     1. 기능구조(functional structure)
     2. 매트릭스 구조(matrix structure)
     3. 단순구조(simple structure)
     4. 사업구조(divisional structure)

     정답 : []
     정답률 : 74%

13.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 관련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총사업비관리제도는 예비타당성조사제도와 같은 시기에 도입되었다.
     2. 예비타당성조사는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재정지원이 300억원 이상인 신규사업 중에 일정한 절차를 거쳐 실시한다.
     3. 토목사업은 400억원 이상일 경우 총사업비관리 대상이다.
     4.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는 2004년부터 실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0%

14. 다음 중 직위분류제의 분류와 그 예시의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직류 - 일반행정, 법무행정, 국제통상
     2. 직렬 - 행정, 세무, 관세, 교정
     3. 직군 - 행정, 공안, 시설
     4. 직위 - 관리관, 이사관, 서기관

     정답 : []
     정답률 : 60%

15. 근무성적평정의 오류 중 관대화 경향, 엄격화 경향, 집중화 경향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2016년 06월)
     1. 서술적 보고법
     2. 강제배분법
     3. 연공서열법
     4. 가점법

     정답 : []
     정답률 : 93%

16. 정책과정에서 행위자 사이의 권력관계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헌터(Hunter)는 지역사회연구를 통해 응집력과 동료의식이 강하고 협력적인 정치 엘리트들이 지역사회를 지배한다는 엘리트론을 주장한다.
     2. 무의사결정(nondecision-making)론은 권력을 가진 집단은 자신들에게 불리하거나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특정 이슈들이 정부 내에서 논의되지 못하도록 봉쇄한다고 설명한다.
     3. 다원론을 전개한 다알(Dahl)은 New Haven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정책결정을 담당하는 엘리트가 분야별로 다른 형태를 보인다고 설명한다.
     4. 신다원론에서는 집단 간 경쟁의 중요성은 여전히 인정하면서 집단 간 대체적 동등성의 개념을 수정하여 특정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더욱 강력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9%

17. 예산 유형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2019년 06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5%

18. 다음 중 지방자치의 의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민주주의의 훈련
     2. 다양한 정책실험의 실시
     3. 공공서비스의 균질화
     4. 지역주민에 대한 행정의 반응성 제고

     정답 : []
     정답률 : 82%

19. 예산제도 중 다음 <보기>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6월)

    

     1. 성과 예산제도
     2. 계획 예산제도
     3. 목표관리 예산제도
     4. 영기준 예산제도

     정답 : []
     정답률 : 59%

20. 행정사상가와 주장하는 내용을 가장 옳게 짝지은 것은?(2019년 02월)
     1. 해밀턴(A. Hamilton)-분권주의를 강조하며 대중에 뿌리를 둔 풀뿌리민주주의를 강조하였다.
     2. 매디슨(J. Madison) -이익집단을 중요시하였으며 정치활동의 원천으로 인식하였다.
     3. 제퍼슨(T. Jefferson) -연방정부에 힘이 집중되어 있는 중앙집권주의를 주장하였다.
     4. 윌슨(W. Wilson) -정치와 행정이 분리될 수 없는 정치·행정 일원론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1%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55866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행정가치 중 수단적 가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대외적 민주성을 확보하기 위해 행정통제가 필요하다.
     2. 수단적 가치는 본질적 가치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가치들이다.
     3. 전통적으로 책임성은 제도적 책임성(accountability)과 자율적 책임성(responsibility)으로 구분되어 논의되었다.
     4. 사회적 효율성(social efficiency)은 과학적 관리론의 등장과 함께 강조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76%

2. 다음 중 역량평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역량평가제도는 근무 실적 수준만으로 해당 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역량평가제도는 대상자의 과거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고, 성과에 대한 외부 변수를 통제하지 않는다.
     3. 역량평가제도는 구조화된 모의 상황을 설정한 뒤 현실적 직무 상황에 근거한 행동을 관찰해 평가하는 방식이다.
     4. 역량평가는 한 개의 실행 과제만을 활용하여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3. 정책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는 정책이 종료된 후에 그 정책이 당초 의도했던 효과를 가져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활동이다.
     2. 메타평가(meta evaluation)는 평가자체를 대상으로 하며, 평가활동과 평가체제를 평가해 정책평가의 질을 높이고 결과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3. 평가성 사정(evaluability assessment)은 영향평가 또는 총괄평가를 실시한 후에 평가의 유용성, 평가의 성과증진효과 등을 평가하는 활동이다.
     4.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란 프로그램이 집행과정에 있으며 여전히 유동적일 때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해서 실시하는 평가이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평가성 사정은 본격적인 평가를 시작하기 전에 하는 일종의 예비평가
[해설작성자 : 공시생 N]

4. 총체적 품질관리(TQM)와 목표관리(MBO)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TQM이 X이론적 인간관에 기반하고 있다면, MBO는 Y이론적 인간관에 기반하고 있다.
     2. TQM이 분권화된 조직관리 방식이라고 하면, MBO는 집권화된 조직관리 방식이다.
     3. TQM이 조직 내부 성과의 효율성에 초점을 둔다면, MBO는 고객만족도 중심의 대응성에 초점을 둔다.
     4. TQM이 팀 단위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다면, MBO는 개별 구성원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TQM, MBO 둘 다 Y이론적 인간관(참여적 관리, 자아실현)
2. TQM은 집권보다는 수평적 구조이며 MBO는 분권화된 조직에 가까움.
3. TQM은 고객만족을 중시하는데 반해 MBO는 개별 구성원을 중시하여 내부 성과에 초점을 둠.
4. TQM은 집단, 팀단위 활동, MBO는 개별 구성원 중시 (MBO의 개별 구성원 중시는 TQM에 있어서는 방해요인으로 작용)
[해설작성자 : 공시생 N]

5. 베버(Max Weber)가 관료제의 특징으로 제시한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6월)
     1. 문서화된 규정-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절차와 방법이 기록된 규정이 존재함
     2. 계층제-피라미드 모양의 계층구조를 가지며, 명령과 통제가 위로부터 아래로 전달됨
     3. 전문성-업무에 대한 지식을 가진 전문적인 관료가 업무를 담당하며, 직무에의 전념을 요구함
     4. 협력적 행동-원활한 계층 체계 작동을 위해 구성원은 서로 협력하며, 이를 통해 높은 효율과 성과를 거둘 수 있음

     정답 : []
     정답률 : 70%

6. 리더십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자질론은 지도자의 자질 특성에 따라 리더십이 발휘된다는 가정 하에, 지도자가 되게 하는 개인의 속성자질을 연구하는 이론이다.
     2. 행태이론은 눈에 보이지 않는 능력 등 리더가 갖춘 속성보다 리더가 실제 어떤 행동을 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3. 상황론의 대표적인 예로 피들러(F. Fiedler)의 상황조건론, 하우스(R. J. House)의 경로-목표 모형 등이 있다.
     4.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을 기반으로 하므로 거래적 리더십과 중첩되는 측면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86%

7. 리플리(Ripley)와 프랭클린(Franklin)의 정책유형 중 <보기>의 사례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6월)

   

     1. 윤리정책
     2. 경쟁적 규제정책
     3. 보호적 규제정책
     4. 사회적 규제정책

     정답 : []
     정답률 : 68%

8. 정부회계제도의 기장방식에 대한 <보기>의 설명과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2018년 06월)

   

     1. ㄱ: 현금주의, ㄴ: 복식부기
     2. ㄱ: 발생주의, ㄴ: 복식부기
     3. ㄱ: 발생주의, ㄴ: 단식부기
     4. ㄱ: 현금주의, ㄴ: 단식부기

     정답 : []
     정답률 : 84%

9. 행정학의 접근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6월)
     1. 행태론적 접근방법은 과학적 방법의 적용을 강조한다.
     2. 체제론적 접근방법은 환경의 영향을 중시한다.
     3. 사회학적 제도주의는 신제도주의에서 제도의 개념을 가장 좁게 해석한다.
     4. 논변적 접근방법은 결정에 대한 주장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논거를 전개할 수 있는 모형을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0. 정부업무평가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의한 정부업무평가 대상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하며, 공공기관은 제외된다.
     2.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위원회는 행정자치부 소속 위원회로 「정부업무평가 기본법」에 설치근거를 둔다.
     3. 정부업무평가 중 특정평가는 국무총리가 중앙행정기관을 대상으로 정책을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4.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그 소속 기관의 정책 등을 포함하여 자체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11. 다음 중 예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품목별 예산(LIBS)의 정책결정방식은 분권적 ㆍ 참여적이다.
     2. 계획예산(PPBS)은 기획의 책임이 중앙에 집중되어 있다.
     3. 영기준 예산(ZBB)은 기획의 책임이 분권화되어 있다.
     4. 성과주의 예산(PBS)과 목표관리예산(MBO)은 모두 관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정답 : []
     정답률 : 64%

12. 데프트(Daft)가 제시한 조직구조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2월)
     1. 기능구조(functional structure)
     2. 매트릭스 구조(matrix structure)
     3. 단순구조(simple structure)
     4. 사업구조(divisional structure)

     정답 : []
     정답률 : 74%

13. 우리나라의 재정건전성 관련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총사업비관리제도는 예비타당성조사제도와 같은 시기에 도입되었다.
     2. 예비타당성조사는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재정지원이 300억원 이상인 신규사업 중에 일정한 절차를 거쳐 실시한다.
     3. 토목사업은 400억원 이상일 경우 총사업비관리 대상이다.
     4. 재정사업자율평가제도는 2004년부터 실시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0%

14. 다음 중 직위분류제의 분류와 그 예시의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직류 - 일반행정, 법무행정, 국제통상
     2. 직렬 - 행정, 세무, 관세, 교정
     3. 직군 - 행정, 공안, 시설
     4. 직위 - 관리관, 이사관, 서기관

     정답 : []
     정답률 : 60%

15. 근무성적평정의 오류 중 관대화 경향, 엄격화 경향, 집중화 경향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 중 가장 효과적인 것은?(2016년 06월)
     1. 서술적 보고법
     2. 강제배분법
     3. 연공서열법
     4. 가점법

     정답 : []
     정답률 : 93%

16. 정책과정에서 행위자 사이의 권력관계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6월)
     1. 헌터(Hunter)는 지역사회연구를 통해 응집력과 동료의식이 강하고 협력적인 정치 엘리트들이 지역사회를 지배한다는 엘리트론을 주장한다.
     2. 무의사결정(nondecision-making)론은 권력을 가진 집단은 자신들에게 불리하거나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되는 특정 이슈들이 정부 내에서 논의되지 못하도록 봉쇄한다고 설명한다.
     3. 다원론을 전개한 다알(Dahl)은 New Haven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정책결정을 담당하는 엘리트가 분야별로 다른 형태를 보인다고 설명한다.
     4. 신다원론에서는 집단 간 경쟁의 중요성은 여전히 인정하면서 집단 간 대체적 동등성의 개념을 수정하여 특정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더욱 강력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9%

17. 예산 유형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2019년 06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5%

18. 다음 중 지방자치의 의의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민주주의의 훈련
     2. 다양한 정책실험의 실시
     3. 공공서비스의 균질화
     4. 지역주민에 대한 행정의 반응성 제고

     정답 : []
     정답률 : 82%

19. 예산제도 중 다음 <보기>의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6월)

    

     1. 성과 예산제도
     2. 계획 예산제도
     3. 목표관리 예산제도
     4. 영기준 예산제도

     정답 : []
     정답률 : 59%

20. 행정사상가와 주장하는 내용을 가장 옳게 짝지은 것은?(2019년 02월)
     1. 해밀턴(A. Hamilton)-분권주의를 강조하며 대중에 뿌리를 둔 풀뿌리민주주의를 강조하였다.
     2. 매디슨(J. Madison) -이익집단을 중요시하였으며 정치활동의 원천으로 인식하였다.
     3. 제퍼슨(T. Jefferson) -연방정부에 힘이 집중되어 있는 중앙집권주의를 주장하였다.
     4. 윌슨(W. Wilson) -정치와 행정이 분리될 수 없는 정치·행정 일원론을 주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55866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35 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34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03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33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2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3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31 전자계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30 9급 지방직 공무원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29 에너지관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04일(2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3558668)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27 컴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10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2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25 식품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8월0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24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1
3323 산업위생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22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4
332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3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19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10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3318 경찰공무원(순경) 사회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4일)(1376173)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17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3
331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행정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4 2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86 Next
/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