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5일)(24290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림 및 육림기술


1. 종자를 채취하기 위한 모수로서 가장 적당한 임목은?(2005년 04월)
     1. 유령목
     2. 장령목
     3. 노령목
     4. 치수림

     정답 : []
     정답률 : 72%

2. 산벌작업 중 식생의 발생준비를 위한 작업은?(2004년 10월)
     1. 예비벌
     2. 하종벌
     3. 후벌
     4. 종벌

     정답 : []
     정답률 : 79%

3. 어린나무 가꾸기의 1차 작업시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6년 04월)
     1. 풀베기가 끝난 3 ~ 5년 후
     2. 가지치기가 끝난 5 ~ 6년 후
     3. 덩굴제거가 끝난 1 ~ 2년 후
     4. 솎아베기가 끝난 6 ~ 9년 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어린나무가꾸기의 1차 작업시기는 조림 후 5~10년이 되고
     풀베기 작업이 끝난 지 2~3년이 지나
     조림목의 수관 경쟁과 생육 저해가 시작되는 곳에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4. 발아율 90%, 고사율 10%, 순량율 80% 일 때 종자의 효율은?(2014년 01월)
     1. 14.4%
     2. 16.0%
     3. 18.0%
     4. 72.0%

     정답 : []
     정답률 : 95%
     <문제 해설>
☞ 효율 = (순량률 X 발아율) / 100
        (90X80)/100 = 72%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5. 접목의 활착률이 가장 높은 것은?(2016년 01월)
     1. 대목과 접수 모두 휴면 중일 때
     2. 대목과 접수 모두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였을 때
     3. 대목은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고 접수는 휴면중일 때
     4. 대목은 휴면 중이고 접수는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였을 때

     정답 : []
     정답률 : 80%

6. 묘목의 가식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2월)
     1. 묘목의 끝이 가을에는 남쪽으로 기울도록 묻는다.
     2. 묘목의 끝이 봄에는 북쪽으로 기울도록 묻는다.
     3. 장기간 가식할 때에는 다발째로 묻는다.
     4. 조밀하게 가식하거나 오랜 기간 가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0%

7. 발아에 가장 오랜 시일이 필요한 수종은?(2016년 01월)
     1. 화백
     2. 옻나무
     3. 솔송나무
     4. 자작나무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전나무, 느티나무, 옻나무, 목련 등은 (인공조명 및 20~30ºC의 변온) 42일 정도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8. 택벌림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2년 07월)
     1. 면적이 작은 숲에서 보속생산을 하는데 적당하다.
     2. 임지와 어린나무가 보호를 받는다.
     3. 숲의 심미적 가치가 높다.
     4. 양수의 갱신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9. 다음 중 종자가 발아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이 아닌 것은?(2005년 10월)
     1. 효소
     2. 온도
     3. 수분
     4. 공기

     정답 : []
     정답률 : 95%

10. 침엽수의 수형목 선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수관이 넓을 것
     2. 생장이 왕성할 것
     3. 상층 임관에 속할 것
     4. 상당한 종자가 달릴 것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침엽수의 수형목은 수관이 좁고 가지가 가늘며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1. 수목 종자 중 단백질, 지방이 주성분인 종자의 탈각은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2005년 10월)
     1. 양달건조하여 탈각한다.
     2. 응달건조하여 탈각한다.
     3. 부숙법으로 탈각한다.
     4. 유궤법으로 탈각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2. 가식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가급적 물이 잘 고이는 곳에 묻는다.
     2. 일시적으로 뿌리를 묻어 건조를 방지한다.
     3. 낙엽수는 묘목 전체를 땅 속에 묻어도 된다.
     4. 조림지의 환경에 순응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13. 산림 토양층위 중 빗물이 아래로 침전하면서 부식 질, 점토, 철분, 알루미늄 성분 등을 용탈하여 내려가다가 집적해 놓은 토양층은?(2015년 01월)
     1. A층
     2. B층
     3. C층
     4. R층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집접층(B층)은 용탈층에서 용탈된 물질이 쌓인 층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 용탈층(A층)은 토양의 표면이 되는 부분으로 많은 성분이 씻겨 내려간 토양층이다
     모재층(C층)은 A층과 B층을 이루는 암석이 풍화된 그대로이거나 풍화 도중에 있는 모재층
[해설작성자 : 춘천 선수정]

14. 다음 중 종자의 보습저장이 요구되는 수종은?(2007년 09월)
     1. 소나무
     2. 낙엽송
     3. 가래나무
     4. 삼나무

     정답 : []
     정답률 : 57%

15. 소나무류에 흔히 이용되는 접목법은?(2010년 01월)
     1. 절접
     2. 박접
     3. 할접
     4. 설접

     정답 : []
     정답률 : 76%

16. 다음과 같은 작업을 실시하는 간벌의 종류는 무엇인가?(2004년 10월)

    

     1. A종간벌
     2. B종간벌
     3. C종간벌
     4. E종간벌

     정답 : []
     정답률 : 44%

17. 왜림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07월)
     1. 벌기가 길다.
     2. 수고가 낮다.
     3. 맹아로 갱신된다.
     4. 땔감 생산용으로 알맞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활엽수림에 연료재 생산을 목적으로 짧은 벌기령을 가지며 개벌 후 근주로부터 나오는 맹아로 갱신하는 방법을 왜림작업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1]

18. 산림용 고형복합비료의 함량비율(질소:인산:칼리) 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4월)
     1. 1:3:4
     2. 3:4:1
     3. 2:2:2
     4. 3:1: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산림용 고형복합비료의 질소:인산:칼륨의 비율은 3:4:1 (3용소 함량 12:16:4)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9. 파종상에서 그대로 2년을 지낸 실생 묘목의 연령 표시법이 옳은 것은?(2005년 10월)
     1. 1 - 1묘
     2. 2 - 0묘
     3. 0 - 2묘
     4. 2 - 1 - 1묘

     정답 : []
     정답률 : 92%

20. 삽수 발근에 큰 영향을 끼치는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모수의 연령
     2. 수종의 유전성
     3. 삽수의 양분 조건
     4. 모수의 생육환경 조건

     정답 : []
     정답률 : 53%

21. 택벌림이 갖는 임분 구조는?(2008년 02월)
     1. 동령림형
     2. 일제림형
     3. 이령림형
     4. 단순림형

     정답 : []
     정답률 : 59%

22. 갱신 대상 조림지를 띠모양으로 나누어 순차 적으로 개벌해 가면서 갱신하는 것으로 3차례 이상에 걸쳐서 개벌하는 것은?(2016년 04월)
     1. 군상 개벌법
     2. 대면적 개벌법
     3. 교호 대상개벌법
     4. 연속 대상개벌법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연속대상개벌법은 대상개벌법보다 띠의 수를 늘린 것으로 벌채와 갱신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1구역을 먼저 개벌하면 측방의 2, 3구역에서 종자가 공급되어 갱신이 완료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3. 나무를 심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2004년 04월)
     1. 정사각형 식재
     2. 정삼각형 식재
     3. 직사각형 식재
     4. 등고선 식재

     정답 : []
     정답률 : 79%

24. 다음 중 인공조림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미입목지나 황폐지에 숲을 조성할 수 있다.
     2. 숲을 조성하는데 기간이 짧고 임부관리가 용이하다.
     3. 전체적으로 불량한 형질을 가진 임분의 개량에 적용 가능하다
     4. 오랜 세월을 지내는 동안 그곳의 환경에 적응되어 견디어내는 힘이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25. 점파로 파종하는 수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7월)
     1. 은행나무, 호두나무
     2. 주목, 아까시나무
     3. 노간주나무, 옻나무
     4. 전나무, 비자나무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점파는 밤나무, 호두나무, 상수리나무, 은행나무 등과 같은 대립종자의 파종에 많이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과목 : 산림보호


26. 다음 해충 중 소나무의 새순에 기생하여 양분을 빨아먹음으로써 수세를 약화시켜 새로운 순을 말라 죽이는 것은?(2012년 02월)
     1. 소나무좀
     2. 박쥐나방
     3. 향나무하늘소
     4.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정답 : []
     정답률 : 57%

27. 매미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2, 4 - D 액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2. 연간 2회 발생하며 유층으로 월동한다.
     3. 침엽수, 활엽수를 가리지 않는 잡식성이다.
     4. 암컷이 활발하게 날아다니며 수컷을 찾아다닌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매미나방(집시나방)은 씹어먹는 입을 가진 잡식성 해충으로 유충이 침엽수와 활엽수의 잎을 갉아 먹는다.
     유충 한 마리가 1세대 동안 약 1,000cm2의 잎을 식해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8. 잠복기간이 가장 짧은 수목병은?(2016년 04월)
     1. 소나무 혹병
     2. 잣나무털녹병
     3. 포플러잎녹병
     4. 낙엽송 잎떨림병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 포플러 잎녹병은 병원균이 침입하면 정상적인 잎보다 1~2개월 일찍 낙엽되어
     나무의 생장이 크게 감소하나 급속히 말라 죽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포플러 잎녹병은 잠복기가 4~6일임
[해설작성자 : 박흥선]

29. 피해목을 벌채한 후 약제 훈증처리의 방제가 필요한 수병은?(2011년 07월)
     1. 호두나무 탄저병
     2. 밤나무 줄기마름병
     3. 참나무 시들음병
     4. 잣나무털녹병

     정답 : []
     정답률 : 65%

30. 주제를 용제에 녹여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 첨가하여 제재한 약제 종류는?(2016년 04월)
     1. 유제
     2. 입제
     3. 분제
     4. 수화제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유제(乳劑)는 주제(主劑)가 물에 녹지 않을 때
     유기용매에 녹여 유화제를 첨가한 용액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1. 주풍(계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부는 바람)에 의한 피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4월)
     1. 수형을 불량하게 한다.
     2. 임목의 생장량이 감소된다.
     3. 침엽수는 상방편심 생장을 하게 된다.
     4. 기공이 폐쇄되어 광합성 능력이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주풍은 임목의 생장량을 감소시키고 수형을 불량하게 한다.
     풍속이 커짐에 따라 피해는 증가하고 생리적 장해를 일으켜 병리적 영향을 미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2. 다음 중 수목에 가장 많은 병을 발생시키고 있는 병원체는?(2013년 01월)
     1. 균류
     2. 세균
     3. 파이토플라스마
     4.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생물성 병원에 의한 병은 진균에 의한 병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3. 산불 발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4월)
     1. 활엽수보다 침엽수에서 산불이 일어나기 쉽다.
     2. 양수는 음수에 비하여 산불의 위험성이 많다.
     3. 나이가 많은 큰나무 숲이, 어리고 작은 숲보다 산불의 위험도가 크다.
     4. 3~5월의 건조 시에 산불이 가장 많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71%

34. "송충"이라고도 불리며 5령유충으로 월동을 하여 이듬해 4월경부터 잎을 갉아먹는 해충은?(2003년 10월)
     1. 솔잎혹파리
     2. 솔껍질깍지벌레
     3. 솔나방
     4. 소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80%

35. 나무껍질을 물어뜯어 그 속에 알을 낳는 곤충들로 짝지어진 것은?(2005년 04월)
     1. 솔나방, 흰불나방
     2. 잎벌, 멸구류
     3. 메뚜기, 매미
     4. 하늘소, 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75%

36. 밤 열매에 피해를 주며 1년에 2회 발생하고 성충 최성기에 침투성 살충제로 방제하면 효과가 큰 해충은?(2007년 09월)
     1. 복숭아명나방
     2. 밤나무순혹벌
     3. 밤애기잎말이나방
     4. 밤바구미

     정답 : []
     정답률 : 79%

37. 다음 중 소나무류의 천공성 해충은?(2003년 03월)
     1. 소나무좀
     2. 소나무왕진딧물
     3. 솔껍질깍지벌레
     4. 잣나무넓적잎벌

     정답 : []
     정답률 : 73%

38. 저온에 의한 피해 중에서 수목 조직 내에 결빙이 일어나는 피해는?(2015년 04월)
     1. 한해
     2. 습해
     3. 동해
     4. 설해

     정답 : []
     정답률 : 70%

39. 곤충의 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2월)
     1. 곤충의 체벽(體壁)은 표피, 진피층, 기저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부속지(附屬肢)들이 마디로 되어 있고 몸 전체도 여러 마디로 이루어진다.
     3. 대부분의 곤충은 배에 각 1쌍씩 모두 6개의 다리를 가진다.
     4. 기문(氣門)은 몸의 양옆에 최대 10쌍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대부분의 곤충은 배에 각 1쌍씩 모두 6개의 다리를 가진다.    
        → 앞가슴,가운데가슴,뒷가슴에 각각 1쌍의 다리가 있다.
[해설작성자 : 산림초보 자이제이]

40. 묘포에서 뿌리나 지·접근부를 주로 가해하는 곤충류는?(2013년 01월)
     1. 풍뎅이과
     2. 유리나방과
     3. 솜벌레과
     4. 혹파리과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풍데이과 곤충은 딱정벌레목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41. 기계톱의 오일을 급유하는 과정에서 묽은 윤활유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가장 주된 현상은?(2010년 03월)
     1. 체인이 작동되지 않는다.
     2. 가이드바의 마모가 빨리된다.
     3. 엔진의 내부가 쉽게 마모된다.
     4. 엔진이 과열되어 화재 위험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63%

42. 산림작업 시 준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7년 04월)
     1.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2. 한 가지 작업을 계속한다.
     3. 규칙적으로 휴식한다.
     4. 서서히 작업속도를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89%

43. 예불기의 톱 회전 방향은?(2002년 07월)
     1. 시계 방향
     2. 시계 반대 방향
     3. 방향이 일정하지 않다.
     4. 작업자 중심방향

     정답 : []
     정답률 : 87%

44. 다음 중 벌도뿐만 아니라 초두부 제거, 가지 제거 작업을 거쳐 일정 길이의 원목생산에 이르는 조재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계는? (단, 기계는 다른 부착물과 변형이 없는 기본형태이다.)(2011년 07월)
     1. 펠러(feller)
     2. 펠러번처(feller buncher)
     3. 펠러스키더(feller skidder)
     4. 하베스터(harvester)

     정답 : []
     정답률 : 80%

45. 체인톱날 연마 시 깊이제한부를 너무 깊게 연마하였다.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04년 04월)
     1. 톱밥이 정상으로 나오며 절단이 잘 된다.
     2. 톱밥이 두꺼우며 톱날에 심한 부하가 걸린다.
     3. 안내판과 톱날의 마모가 심해 수명이 단축 된다.
     4. 체인이 절단 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46. 기계톱의 시동을 작동할 때 플러그의 조기점화가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현상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0년 01월)
     1. 엔진에 열이 많이 발생한다.
     2. 노킹현상이 발생한다.
     3. 스타트를 할 때 엔진이 뒤로 튕긴다.
     4. 공전 시에도 체인이 회전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47. 4행정 엔진의 작동순서가 올바른 것은?(2010년 01월)
     1. 배기 → 폭발 → 흡입 → 압축
     2. 흡입 → 압축 → 폭발 → 배기
     3. 압축 → 흡입 → 배기 → 폭발
     4. 폭발 → 압축 → 흡입 → 배기

     정답 : []
     정답률 : 89%

48. 다음 기계 중 벌도와 가지치기가 가능한 장비는?(2012년 07월)
     1. 펠러번쳐
     2. 하베스터
     3. 프로세서
     4. 포워더

     정답 : []
     정답률 : 68%

49. 기계톱의 주간정비 항목 중 점화부분의 정비사항 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스파크플러그의 정비
     2. 연료통과 연료필터 청소
     3. 스파크플러그의 외부 점검
     4. 점화상태의 점검결과에 따른 플러그 교환

     정답 : []
     정답률 : 66%

50. 안전장비와 그 주요기능에 대한 설명의 관계가 서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 귀마개 - 난청을 예방하는 귀 보호
     2. 얼굴보호망 - 자외선 등으로부터 피부 보호
     3. 안전헬맷 - 떨어지는 나뭇가지나 돌 등으로 부터 보호
     4. 안전복 - 추위나 더위, 오염이나 각종상해로 부터 신체 보호

     정답 : []
     정답률 : 88%

51. 조림작업 시 조림목을 심을 구덩이를 파는 기계는?(2003년 10월)
     1. 예불기
     2. 지타기
     3. 식혈기
     4. 하예기

     정답 : []
     정답률 : 85%

52. 기계톱의 엔진에서 스파크플러그의 적정 전극간격은 얼마인가?(2011년 04월)
     1. 0.1~0.2㎜
     2. 0.2~0.3㎜
     3. 0.3~0.4㎜
     4. 0.4~0.5㎜

     정답 : []
     정답률 : 50%

53. 기계경비는 크게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으로 구분한다. 가변비용에 해당하는 것은?(2004년 04월)
     1. 창고보관비
     2. 연료비
     3. 세금
     4. 보험

     정답 : []
     정답률 : 82%

54. 다음 중 원형기계톱 사용 시 기계톱이 목재사이에 끼었을 때 사용하는 것은?(2011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4%

55. 다음 중 벌목 작업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10월)
     1. 벌목방향을 정확히 하여야 한다.
     2. 안전사고 준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3. 잔존목의 이용재적이 많이 나오도록 한다.
     4. 주변 입목의 피해를 가능한 감소시켜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56. 다음 중 조림용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각식재용 양날괭이 - 형태에 따라 타원형과 사각형으로 구분되며 한쪽 날은 괭이로서 땅을 벌리는데 사용하고 다른 한쪽 날은 도끼로서 땅을 가르는데 사용되다.
     2. 사식재괭이 - 경사지, 평지 등에 사용하고 대묘 소묘의 사식에 적합하다.
     3. 손도끼 - 조림용 묘목의 긴뿌리의 단근작업에 이용되며 짧은 시간에 많은 뿌리를 자를 수 있다.
     4. 재래식괭이 - 규격품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작업도구로 산림작업에서 풀베기, 단근 등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재래식괭이 : 식재도구로서 땅을 파거나 흙덩이를 부수는데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산림초보 자이제이]

57. 내연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1. 가솔린기관
     2. LPG기관
     3. 디젤기관
     4. 증기기관

     정답 : []
     정답률 : 89%

58. 산림작업용 안전화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맞지 않은 것은?(2002년 07월)
     1. 철판으로 보호된 안전화코
     2. 미끄러짐을 막을 수 있는 바닥판
     3. 발이 찔리지 않도록 되어있는 특수보호 재료
     4. 땀의 흡수가 어려운 고무재질

     정답 : []
     정답률 : 90%

59. 발전의 원리 중 플라이휠에 부착되어 있는 영구자석과 코일이 감겨있는 철심과의 전극간격은?(2012년 07월)
     1. 0.2㎜
     2. 0.5㎜
     3. 1.0㎜
     4. 1.2㎜

     정답 : []
     정답률 : 55%

60. 트랙터를 이용한 집재 조건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4월)
     1. 작업지 경사는 25% 이내에서 직접주행 가능하다.
     2. 부착되어있는 윈치에 의한 최대 집재 거리는 100m이다.
     3. 작업지 경사도 25도 이상에서도 직접주행이 가능 하다.
     4. 농업용 트랙터에 작업 윈치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정 답 지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5일)(24290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조림 및 육림기술


1. 종자를 채취하기 위한 모수로서 가장 적당한 임목은?(2005년 04월)
     1. 유령목
     2. 장령목
     3. 노령목
     4. 치수림

     정답 : []
     정답률 : 72%

2. 산벌작업 중 식생의 발생준비를 위한 작업은?(2004년 10월)
     1. 예비벌
     2. 하종벌
     3. 후벌
     4. 종벌

     정답 : []
     정답률 : 79%

3. 어린나무 가꾸기의 1차 작업시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2016년 04월)
     1. 풀베기가 끝난 3 ~ 5년 후
     2. 가지치기가 끝난 5 ~ 6년 후
     3. 덩굴제거가 끝난 1 ~ 2년 후
     4. 솎아베기가 끝난 6 ~ 9년 후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어린나무가꾸기의 1차 작업시기는 조림 후 5~10년이 되고
     풀베기 작업이 끝난 지 2~3년이 지나
     조림목의 수관 경쟁과 생육 저해가 시작되는 곳에 실시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4. 발아율 90%, 고사율 10%, 순량율 80% 일 때 종자의 효율은?(2014년 01월)
     1. 14.4%
     2. 16.0%
     3. 18.0%
     4. 72.0%

     정답 : []
     정답률 : 95%
     <문제 해설>
☞ 효율 = (순량률 X 발아율) / 100
        (90X80)/100 = 72%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5. 접목의 활착률이 가장 높은 것은?(2016년 01월)
     1. 대목과 접수 모두 휴면 중일 때
     2. 대목과 접수 모두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였을 때
     3. 대목은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고 접수는 휴면중일 때
     4. 대목은 휴면 중이고 접수는 생리적 활동을 시작하였을 때

     정답 : []
     정답률 : 80%

6. 묘목의 가식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2월)
     1. 묘목의 끝이 가을에는 남쪽으로 기울도록 묻는다.
     2. 묘목의 끝이 봄에는 북쪽으로 기울도록 묻는다.
     3. 장기간 가식할 때에는 다발째로 묻는다.
     4. 조밀하게 가식하거나 오랜 기간 가식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90%

7. 발아에 가장 오랜 시일이 필요한 수종은?(2016년 01월)
     1. 화백
     2. 옻나무
     3. 솔송나무
     4. 자작나무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 전나무, 느티나무, 옻나무, 목련 등은 (인공조명 및 20~30ºC의 변온) 42일 정도가 필요하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8. 택벌림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2012년 07월)
     1. 면적이 작은 숲에서 보속생산을 하는데 적당하다.
     2. 임지와 어린나무가 보호를 받는다.
     3. 숲의 심미적 가치가 높다.
     4. 양수의 갱신에 적합하다.

     정답 : []
     정답률 : 71%

9. 다음 중 종자가 발아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이 아닌 것은?(2005년 10월)
     1. 효소
     2. 온도
     3. 수분
     4. 공기

     정답 : []
     정답률 : 95%

10. 침엽수의 수형목 선발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수관이 넓을 것
     2. 생장이 왕성할 것
     3. 상층 임관에 속할 것
     4. 상당한 종자가 달릴 것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침엽수의 수형목은 수관이 좁고 가지가 가늘며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아야 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1. 수목 종자 중 단백질, 지방이 주성분인 종자의 탈각은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2005년 10월)
     1. 양달건조하여 탈각한다.
     2. 응달건조하여 탈각한다.
     3. 부숙법으로 탈각한다.
     4. 유궤법으로 탈각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2. 가식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가급적 물이 잘 고이는 곳에 묻는다.
     2. 일시적으로 뿌리를 묻어 건조를 방지한다.
     3. 낙엽수는 묘목 전체를 땅 속에 묻어도 된다.
     4. 조림지의 환경에 순응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13. 산림 토양층위 중 빗물이 아래로 침전하면서 부식 질, 점토, 철분, 알루미늄 성분 등을 용탈하여 내려가다가 집적해 놓은 토양층은?(2015년 01월)
     1. A층
     2. B층
     3. C층
     4. R층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 집접층(B층)은 용탈층에서 용탈된 물질이 쌓인 층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 용탈층(A층)은 토양의 표면이 되는 부분으로 많은 성분이 씻겨 내려간 토양층이다
     모재층(C층)은 A층과 B층을 이루는 암석이 풍화된 그대로이거나 풍화 도중에 있는 모재층
[해설작성자 : 춘천 선수정]

14. 다음 중 종자의 보습저장이 요구되는 수종은?(2007년 09월)
     1. 소나무
     2. 낙엽송
     3. 가래나무
     4. 삼나무

     정답 : []
     정답률 : 57%

15. 소나무류에 흔히 이용되는 접목법은?(2010년 01월)
     1. 절접
     2. 박접
     3. 할접
     4. 설접

     정답 : []
     정답률 : 76%

16. 다음과 같은 작업을 실시하는 간벌의 종류는 무엇인가?(2004년 10월)

    

     1. A종간벌
     2. B종간벌
     3. C종간벌
     4. E종간벌

     정답 : []
     정답률 : 44%

17. 왜림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07월)
     1. 벌기가 길다.
     2. 수고가 낮다.
     3. 맹아로 갱신된다.
     4. 땔감 생산용으로 알맞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활엽수림에 연료재 생산을 목적으로 짧은 벌기령을 가지며 개벌 후 근주로부터 나오는 맹아로 갱신하는 방법을 왜림작업이라 한다.
[해설작성자 : 1]

18. 산림용 고형복합비료의 함량비율(질소:인산:칼리) 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3년 04월)
     1. 1:3:4
     2. 3:4:1
     3. 2:2:2
     4. 3:1:4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 산림용 고형복합비료의 질소:인산:칼륨의 비율은 3:4:1 (3용소 함량 12:16:4) 정도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19. 파종상에서 그대로 2년을 지낸 실생 묘목의 연령 표시법이 옳은 것은?(2005년 10월)
     1. 1 - 1묘
     2. 2 - 0묘
     3. 0 - 2묘
     4. 2 - 1 - 1묘

     정답 : []
     정답률 : 92%

20. 삽수 발근에 큰 영향을 끼치는 주요 원인이 아닌 것은?(2010년 03월)
     1. 모수의 연령
     2. 수종의 유전성
     3. 삽수의 양분 조건
     4. 모수의 생육환경 조건

     정답 : []
     정답률 : 53%

21. 택벌림이 갖는 임분 구조는?(2008년 02월)
     1. 동령림형
     2. 일제림형
     3. 이령림형
     4. 단순림형

     정답 : []
     정답률 : 59%

22. 갱신 대상 조림지를 띠모양으로 나누어 순차 적으로 개벌해 가면서 갱신하는 것으로 3차례 이상에 걸쳐서 개벌하는 것은?(2016년 04월)
     1. 군상 개벌법
     2. 대면적 개벌법
     3. 교호 대상개벌법
     4. 연속 대상개벌법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연속대상개벌법은 대상개벌법보다 띠의 수를 늘린 것으로 벌채와 갱신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1구역을 먼저 개벌하면 측방의 2, 3구역에서 종자가 공급되어 갱신이 완료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3. 나무를 심을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2004년 04월)
     1. 정사각형 식재
     2. 정삼각형 식재
     3. 직사각형 식재
     4. 등고선 식재

     정답 : []
     정답률 : 79%

24. 다음 중 인공조림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1월)
     1. 미입목지나 황폐지에 숲을 조성할 수 있다.
     2. 숲을 조성하는데 기간이 짧고 임부관리가 용이하다.
     3. 전체적으로 불량한 형질을 가진 임분의 개량에 적용 가능하다
     4. 오랜 세월을 지내는 동안 그곳의 환경에 적응되어 견디어내는 힘이 강하다.

     정답 : []
     정답률 : 84%

25. 점파로 파종하는 수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7월)
     1. 은행나무, 호두나무
     2. 주목, 아까시나무
     3. 노간주나무, 옻나무
     4. 전나무, 비자나무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점파는 밤나무, 호두나무, 상수리나무, 은행나무 등과 같은 대립종자의 파종에 많이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과목 : 산림보호


26. 다음 해충 중 소나무의 새순에 기생하여 양분을 빨아먹음으로써 수세를 약화시켜 새로운 순을 말라 죽이는 것은?(2012년 02월)
     1. 소나무좀
     2. 박쥐나방
     3. 향나무하늘소
     4. 소나무가루깍지벌레

     정답 : []
     정답률 : 57%

27. 매미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1월)
     1. 2, 4 - D 액제를 사용하여 방제한다.
     2. 연간 2회 발생하며 유층으로 월동한다.
     3. 침엽수, 활엽수를 가리지 않는 잡식성이다.
     4. 암컷이 활발하게 날아다니며 수컷을 찾아다닌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 매미나방(집시나방)은 씹어먹는 입을 가진 잡식성 해충으로 유충이 침엽수와 활엽수의 잎을 갉아 먹는다.
     유충 한 마리가 1세대 동안 약 1,000cm2의 잎을 식해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28. 잠복기간이 가장 짧은 수목병은?(2016년 04월)
     1. 소나무 혹병
     2. 잣나무털녹병
     3. 포플러잎녹병
     4. 낙엽송 잎떨림병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 포플러 잎녹병은 병원균이 침입하면 정상적인 잎보다 1~2개월 일찍 낙엽되어
     나무의 생장이 크게 감소하나 급속히 말라 죽지는 않는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포플러 잎녹병은 잠복기가 4~6일임
[해설작성자 : 박흥선]

29. 피해목을 벌채한 후 약제 훈증처리의 방제가 필요한 수병은?(2011년 07월)
     1. 호두나무 탄저병
     2. 밤나무 줄기마름병
     3. 참나무 시들음병
     4. 잣나무털녹병

     정답 : []
     정답률 : 65%

30. 주제를 용제에 녹여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 첨가하여 제재한 약제 종류는?(2016년 04월)
     1. 유제
     2. 입제
     3. 분제
     4. 수화제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 유제(乳劑)는 주제(主劑)가 물에 녹지 않을 때
     유기용매에 녹여 유화제를 첨가한 용액으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1. 주풍(계속적이고 규칙적으로 부는 바람)에 의한 피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4월)
     1. 수형을 불량하게 한다.
     2. 임목의 생장량이 감소된다.
     3. 침엽수는 상방편심 생장을 하게 된다.
     4. 기공이 폐쇄되어 광합성 능력이 저하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주풍은 임목의 생장량을 감소시키고 수형을 불량하게 한다.
     풍속이 커짐에 따라 피해는 증가하고 생리적 장해를 일으켜 병리적 영향을 미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2. 다음 중 수목에 가장 많은 병을 발생시키고 있는 병원체는?(2013년 01월)
     1. 균류
     2. 세균
     3. 파이토플라스마
     4.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생물성 병원에 의한 병은 진균에 의한 병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33. 산불 발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5년 04월)
     1. 활엽수보다 침엽수에서 산불이 일어나기 쉽다.
     2. 양수는 음수에 비하여 산불의 위험성이 많다.
     3. 나이가 많은 큰나무 숲이, 어리고 작은 숲보다 산불의 위험도가 크다.
     4. 3~5월의 건조 시에 산불이 가장 많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71%

34. "송충"이라고도 불리며 5령유충으로 월동을 하여 이듬해 4월경부터 잎을 갉아먹는 해충은?(2003년 10월)
     1. 솔잎혹파리
     2. 솔껍질깍지벌레
     3. 솔나방
     4. 소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80%

35. 나무껍질을 물어뜯어 그 속에 알을 낳는 곤충들로 짝지어진 것은?(2005년 04월)
     1. 솔나방, 흰불나방
     2. 잎벌, 멸구류
     3. 메뚜기, 매미
     4. 하늘소, 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75%

36. 밤 열매에 피해를 주며 1년에 2회 발생하고 성충 최성기에 침투성 살충제로 방제하면 효과가 큰 해충은?(2007년 09월)
     1. 복숭아명나방
     2. 밤나무순혹벌
     3. 밤애기잎말이나방
     4. 밤바구미

     정답 : []
     정답률 : 79%

37. 다음 중 소나무류의 천공성 해충은?(2003년 03월)
     1. 소나무좀
     2. 소나무왕진딧물
     3. 솔껍질깍지벌레
     4. 잣나무넓적잎벌

     정답 : []
     정답률 : 73%

38. 저온에 의한 피해 중에서 수목 조직 내에 결빙이 일어나는 피해는?(2015년 04월)
     1. 한해
     2. 습해
     3. 동해
     4. 설해

     정답 : []
     정답률 : 70%

39. 곤충의 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2월)
     1. 곤충의 체벽(體壁)은 표피, 진피층, 기저막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부속지(附屬肢)들이 마디로 되어 있고 몸 전체도 여러 마디로 이루어진다.
     3. 대부분의 곤충은 배에 각 1쌍씩 모두 6개의 다리를 가진다.
     4. 기문(氣門)은 몸의 양옆에 최대 10쌍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3. 대부분의 곤충은 배에 각 1쌍씩 모두 6개의 다리를 가진다.    
        → 앞가슴,가운데가슴,뒷가슴에 각각 1쌍의 다리가 있다.
[해설작성자 : 산림초보 자이제이]

40. 묘포에서 뿌리나 지·접근부를 주로 가해하는 곤충류는?(2013년 01월)
     1. 풍뎅이과
     2. 유리나방과
     3. 솜벌레과
     4. 혹파리과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풍데이과 곤충은 딱정벌레목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제주사과]

41. 기계톱의 오일을 급유하는 과정에서 묽은 윤활유를 사용하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가장 주된 현상은?(2010년 03월)
     1. 체인이 작동되지 않는다.
     2. 가이드바의 마모가 빨리된다.
     3. 엔진의 내부가 쉽게 마모된다.
     4. 엔진이 과열되어 화재 위험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63%

42. 산림작업 시 준수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7년 04월)
     1. 안전장비를 착용한다.
     2. 한 가지 작업을 계속한다.
     3. 규칙적으로 휴식한다.
     4. 서서히 작업속도를 높인다.

     정답 : []
     정답률 : 89%

43. 예불기의 톱 회전 방향은?(2002년 07월)
     1. 시계 방향
     2. 시계 반대 방향
     3. 방향이 일정하지 않다.
     4. 작업자 중심방향

     정답 : []
     정답률 : 87%

44. 다음 중 벌도뿐만 아니라 초두부 제거, 가지 제거 작업을 거쳐 일정 길이의 원목생산에 이르는 조재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계는? (단, 기계는 다른 부착물과 변형이 없는 기본형태이다.)(2011년 07월)
     1. 펠러(feller)
     2. 펠러번처(feller buncher)
     3. 펠러스키더(feller skidder)
     4. 하베스터(harvester)

     정답 : []
     정답률 : 80%

45. 체인톱날 연마 시 깊이제한부를 너무 깊게 연마하였다.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2004년 04월)
     1. 톱밥이 정상으로 나오며 절단이 잘 된다.
     2. 톱밥이 두꺼우며 톱날에 심한 부하가 걸린다.
     3. 안내판과 톱날의 마모가 심해 수명이 단축 된다.
     4. 체인이 절단 된다.

     정답 : []
     정답률 : 69%

46. 기계톱의 시동을 작동할 때 플러그의 조기점화가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현상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장에서는 2, 3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0년 01월)
     1. 엔진에 열이 많이 발생한다.
     2. 노킹현상이 발생한다.
     3. 스타트를 할 때 엔진이 뒤로 튕긴다.
     4. 공전 시에도 체인이 회전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47. 4행정 엔진의 작동순서가 올바른 것은?(2010년 01월)
     1. 배기 → 폭발 → 흡입 → 압축
     2. 흡입 → 압축 → 폭발 → 배기
     3. 압축 → 흡입 → 배기 → 폭발
     4. 폭발 → 압축 → 흡입 → 배기

     정답 : []
     정답률 : 89%

48. 다음 기계 중 벌도와 가지치기가 가능한 장비는?(2012년 07월)
     1. 펠러번쳐
     2. 하베스터
     3. 프로세서
     4. 포워더

     정답 : []
     정답률 : 68%

49. 기계톱의 주간정비 항목 중 점화부분의 정비사항 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스파크플러그의 정비
     2. 연료통과 연료필터 청소
     3. 스파크플러그의 외부 점검
     4. 점화상태의 점검결과에 따른 플러그 교환

     정답 : []
     정답률 : 66%

50. 안전장비와 그 주요기능에 대한 설명의 관계가 서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2010년 03월)
     1. 귀마개 - 난청을 예방하는 귀 보호
     2. 얼굴보호망 - 자외선 등으로부터 피부 보호
     3. 안전헬맷 - 떨어지는 나뭇가지나 돌 등으로 부터 보호
     4. 안전복 - 추위나 더위, 오염이나 각종상해로 부터 신체 보호

     정답 : []
     정답률 : 88%

51. 조림작업 시 조림목을 심을 구덩이를 파는 기계는?(2003년 10월)
     1. 예불기
     2. 지타기
     3. 식혈기
     4. 하예기

     정답 : []
     정답률 : 85%

52. 기계톱의 엔진에서 스파크플러그의 적정 전극간격은 얼마인가?(2011년 04월)
     1. 0.1~0.2㎜
     2. 0.2~0.3㎜
     3. 0.3~0.4㎜
     4. 0.4~0.5㎜

     정답 : []
     정답률 : 50%

53. 기계경비는 크게 고정비용과 가변비용으로 구분한다. 가변비용에 해당하는 것은?(2004년 04월)
     1. 창고보관비
     2. 연료비
     3. 세금
     4. 보험

     정답 : []
     정답률 : 82%

54. 다음 중 원형기계톱 사용 시 기계톱이 목재사이에 끼었을 때 사용하는 것은?(2011년 07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84%

55. 다음 중 벌목 작업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2005년 10월)
     1. 벌목방향을 정확히 하여야 한다.
     2. 안전사고 준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3. 잔존목의 이용재적이 많이 나오도록 한다.
     4. 주변 입목의 피해를 가능한 감소시켜야한다.

     정답 : []
     정답률 : 89%

56. 다음 중 조림용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7월)
     1. 각식재용 양날괭이 - 형태에 따라 타원형과 사각형으로 구분되며 한쪽 날은 괭이로서 땅을 벌리는데 사용하고 다른 한쪽 날은 도끼로서 땅을 가르는데 사용되다.
     2. 사식재괭이 - 경사지, 평지 등에 사용하고 대묘 소묘의 사식에 적합하다.
     3. 손도끼 - 조림용 묘목의 긴뿌리의 단근작업에 이용되며 짧은 시간에 많은 뿌리를 자를 수 있다.
     4. 재래식괭이 - 규격품으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던 작업도구로 산림작업에서 풀베기, 단근 등에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4. 재래식괭이 : 식재도구로서 땅을 파거나 흙덩이를 부수는데 사용한다
[해설작성자 : 산림초보 자이제이]

57. 내연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09년 07월)
     1. 가솔린기관
     2. LPG기관
     3. 디젤기관
     4. 증기기관

     정답 : []
     정답률 : 89%

58. 산림작업용 안전화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맞지 않은 것은?(2002년 07월)
     1. 철판으로 보호된 안전화코
     2. 미끄러짐을 막을 수 있는 바닥판
     3. 발이 찔리지 않도록 되어있는 특수보호 재료
     4. 땀의 흡수가 어려운 고무재질

     정답 : []
     정답률 : 90%

59. 발전의 원리 중 플라이휠에 부착되어 있는 영구자석과 코일이 감겨있는 철심과의 전극간격은?(2012년 07월)
     1. 0.2㎜
     2. 0.5㎜
     3. 1.0㎜
     4. 1.2㎜

     정답 : []
     정답률 : 55%

60. 트랙터를 이용한 집재 조건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4월)
     1. 작업지 경사는 25% 이내에서 직접주행 가능하다.
     2. 부착되어있는 윈치에 의한 최대 집재 거리는 100m이다.
     3. 작업지 경사도 25도 이상에서도 직접주행이 가능 하다.
     4. 농업용 트랙터에 작업 윈치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5일)(242907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02 변리사 1차(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601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60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2
3599 전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598 금속재료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97 유통관리사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3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 산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5일)(242907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595 경찰공무원(순경) 행정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594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5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93 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8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592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8월3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2
3591 기계가공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4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590 9급 국가직 공무원 회계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1
3589 산업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4
3588 해양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587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8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586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4
3585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8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3
3584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1월28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4
3583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5일)(89233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5 4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190 Next
/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