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신우편: 등기취급을 전제로 우체국과 발송인과 별도의 계약에 따라 수취인을 직접 만나서 우편물을 직접 만나서 우편물을 배달하면서 서명이나 도장 을 받는등 응답이 필요한 사항을 받거나 서류를 넘겨받아 발송인이나 발송인이 지정한 자에게 회신하는 부가취급제도 본인지정배달: 등기취급을 전제로 우편물을 수취인 본인에게만 배달하여 주는 부가취급제도 착불배달: 계약등기 우편물의 요금을 수취인에게서 받는 부가취급제도 발송인이 수취인의 승낙을 얻은 계약등기 우편물이아야 함 우편요금(등기취급수수료 포함)과 착불배달수수료를 수취인에게 받음 수취인에게 배달되지 못하고 발송인에게 반송된 착불배달 계약등기우편물은 발송인에게 우편물을 반송하고 발송인에게서 착불요금을 제외한 우편요금(등기취급수수료포함)과 착불배달 수수료를 징수하되 맞춤형은 착불요금을 제외한 우편요금(등기취급수수료 포함)만 징수 우편주소 정보제공 : 등기취급을 전제로 이사 등 거주지 이전으로 우편주소가 바뀐 경우 우편물을 바뀐 우편주소로 배달하고 수취인의 동의를 받아 발송인에게 바뀐 우편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취급제도 [해설작성자 : 귤]
2.
등기우편물의 부가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특별송달 우편물에 첨부된 우편송달통지서 용지의 무게는 우편물의 무게에 포함되지 않는다.
2.
민원우편 발송 시 우정사업본부에서 발행한 취급용 봉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3.
민원우편은 발송할 때의 취급요금(우편요금+등기취급 수수료+부가취급 수수료)과 회송할 때의 취급요금(50g 규격요금+등기취급 수수료+익일특급 수수료)을 합하여 미리 받는다.
4.
착불배달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 발송인은 착불요금과 반송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우편송달통지서 용지의 무게는 우편물의 무게에 합산함. 2. 우정사업본부 발행 민원우편 취급용봉투(발송용,회송용) 사용. 4. 발송인은 우편요금과 반송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딸기]
3.
국내우편요금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요금수취인부담우편물의 취급대상은 통상우편물, 등기소포우편물, 계약등기이다.
2.
한 사람이 매월 100통 이상 보내는 통상?소포우편물은 우편요금 후납우편물의 취급대상이다.
3.
우편요금 별납우편물은 관할 지방우정청장이 지정하는 우체국(우편취급국 포함)에서만 취급이 가능하다.
4.
요금수취인부담우편물의 발송유효기간은 3년 이내로 제한하며 배달우체국장과 이용자와의 계약으로 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요금수취인부담은 발송유효기간 2년으로 배달우체국장과의 계약으로 정한다. (국가기관이나 지자체에 있어서는 발송유효기간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해설작성자 : 무조건 합격할 거야]
4.
부가우편역무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7월)
1.
국내특급우편은 전국 전 지역을 통상의 송달방법보다 빠르게 송달한다.
2.
보험취급에는 통화등기, 물품등기, 유가증권등기가 있다.
3.
증명취급에는 내용증명, 배달증명, 접수시각증명이 있다.
4.
특별송달은 등기취급을 전제로 민사소송법 제176조(송달기관)의 규정에 의한 방법으로 송달하는 우편물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4%
5.
우편물의 발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부가취급우편물을 운송 용기에 담을 때에는 책임자나 책임자가 지정하는 사람이 참관한다.
2.
행선지별로 구분한 우편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운송거점에서 운송 용기를 서로 교환한다.
3.
등기우편물을 발송할 때에는 우편물류 시스템으로 등기우편물 배달증을 생성하고, 생성된 배달증과 현품 수량을 확인한 후 발송한다.
4.
일반우편물은 형태별로 분류하여 해당 우편 상자에 담되, 우편 물량이 적을 경우에는 형태별로 묶어 담고 운송 용기 국명표는 혼재 표시된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3번 배달은 우편물은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배달이 아닌 [송달]이 맞는 표현 [해설작성자 : 히오스갓흥겜]
6.
국제 보통소포우편물의 주소기표지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2월)
1.
주소기표지에는 도착국가에서 필요한 서식(송장, 세관신고서)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송인은 통관 수속에 필요한 서류를 첨부해야 한다.
회신우편: 등기취급을 전제로 우체국과 발송인과 별도의 계약에 따라 수취인을 직접 만나서 우편물을 직접 만나서 우편물을 배달하면서 서명이나 도장 을 받는등 응답이 필요한 사항을 받거나 서류를 넘겨받아 발송인이나 발송인이 지정한 자에게 회신하는 부가취급제도 본인지정배달: 등기취급을 전제로 우편물을 수취인 본인에게만 배달하여 주는 부가취급제도 착불배달: 계약등기 우편물의 요금을 수취인에게서 받는 부가취급제도 발송인이 수취인의 승낙을 얻은 계약등기 우편물이아야 함 우편요금(등기취급수수료 포함)과 착불배달수수료를 수취인에게 받음 수취인에게 배달되지 못하고 발송인에게 반송된 착불배달 계약등기우편물은 발송인에게 우편물을 반송하고 발송인에게서 착불요금을 제외한 우편요금(등기취급수수료포함)과 착불배달 수수료를 징수하되 맞춤형은 착불요금을 제외한 우편요금(등기취급수수료 포함)만 징수 우편주소 정보제공 : 등기취급을 전제로 이사 등 거주지 이전으로 우편주소가 바뀐 경우 우편물을 바뀐 우편주소로 배달하고 수취인의 동의를 받아 발송인에게 바뀐 우편주소정보를 제공하는 부가취급제도 [해설작성자 : 귤]
2.
등기우편물의 부가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특별송달 우편물에 첨부된 우편송달통지서 용지의 무게는 우편물의 무게에 포함되지 않는다.
2.
민원우편 발송 시 우정사업본부에서 발행한 취급용 봉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3.
민원우편은 발송할 때의 취급요금(우편요금+등기취급 수수료+부가취급 수수료)과 회송할 때의 취급요금(50g 규격요금+등기취급 수수료+익일특급 수수료)을 합하여 미리 받는다.
4.
착불배달 우편물이 반송된 경우, 발송인은 착불요금과 반송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우편송달통지서 용지의 무게는 우편물의 무게에 합산함. 2. 우정사업본부 발행 민원우편 취급용봉투(발송용,회송용) 사용. 4. 발송인은 우편요금과 반송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딸기]
3.
국내우편요금 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7월)
1.
요금수취인부담우편물의 취급대상은 통상우편물, 등기소포우편물, 계약등기이다.
2.
한 사람이 매월 100통 이상 보내는 통상?소포우편물은 우편요금 후납우편물의 취급대상이다.
3.
우편요금 별납우편물은 관할 지방우정청장이 지정하는 우체국(우편취급국 포함)에서만 취급이 가능하다.
4.
요금수취인부담우편물의 발송유효기간은 3년 이내로 제한하며 배달우체국장과 이용자와의 계약으로 정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요금수취인부담은 발송유효기간 2년으로 배달우체국장과의 계약으로 정한다. (국가기관이나 지자체에 있어서는 발송유효기간을 제한하지 아니한다.) [해설작성자 : 무조건 합격할 거야]
4.
부가우편역무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7월)
1.
국내특급우편은 전국 전 지역을 통상의 송달방법보다 빠르게 송달한다.
2.
보험취급에는 통화등기, 물품등기, 유가증권등기가 있다.
3.
증명취급에는 내용증명, 배달증명, 접수시각증명이 있다.
4.
특별송달은 등기취급을 전제로 민사소송법 제176조(송달기관)의 규정에 의한 방법으로 송달하는 우편물을 말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24%
5.
우편물의 발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부가취급우편물을 운송 용기에 담을 때에는 책임자나 책임자가 지정하는 사람이 참관한다.
2.
행선지별로 구분한 우편물을 효율적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운송거점에서 운송 용기를 서로 교환한다.
3.
등기우편물을 발송할 때에는 우편물류 시스템으로 등기우편물 배달증을 생성하고, 생성된 배달증과 현품 수량을 확인한 후 발송한다.
4.
일반우편물은 형태별로 분류하여 해당 우편 상자에 담되, 우편 물량이 적을 경우에는 형태별로 묶어 담고 운송 용기 국명표는 혼재 표시된 것을 사용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3번 배달은 우편물은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배달이 아닌 [송달]이 맞는 표현 [해설작성자 : 히오스갓흥겜]
6.
국제 보통소포우편물의 주소기표지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2월)
1.
주소기표지에는 도착국가에서 필요한 서식(송장, 세관신고서)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송인은 통관 수속에 필요한 서류를 첨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