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층적저장: 과수류나 정원 수목에 많이 쓰이며, 모래나 톱밥을 층층이 쌓아 저장하는 방법으로 휴면타파에 이용한다. [해설작성자 : 잘난놈]
2.
식물의 종자를 구성하고 있는 기관은?
1.
전분, 단백질, 배유
2.
배, 전분, 초엽
3.
종피, 배유, 배
4.
단백질, 종피, 초엽
정답 : [
3
] 정답률 : 96%
<문제 해설> 배 장차 자라서 식물체가 될 부분이며, 떡잎(cotyledon), 배축(胚軸, embryonic axis), 유아(幼芽, 어린눈, plumule), 유근(幼根, 어린뿌리, radicle)으로 이루어져 있다. 떡잎은 쌍떡잎식물에서는 2개, 외떡잎식물에서는 1개이다. 배젖이 없는 종자의 떡잎은 두껍고 가죽질인데 발아 때에 배젖을 대신하여 양분이 된다. 배젖이 있는 종자의 떡잎은 보통 작고 얇다. 겉씨식물과 대부분의 외떡잎식물에서는 배젖에 파묻혀 있다.
배축은 떡잎이 붙는 부착점 위쪽의 상배축(epicotyl)과 아래쪽의 하배축(hypocotyl)으로 이루어진다. 하배축 상단에는 장차 줄기와 잎이 될 유아가 깃털 모양으로 붙어 있고, 하배축 아래쪽에는 장차 뿌리로 발달할 유근이 있다. 외떡잎식물에서는 배축이 거의 발달하지 않는데, 유아를 덥고 있는 잎집 같은 자엽초(coleoptile)와 유근을 둘러싼 칼집 모양의 근초(根鞘, coleorhiza)가 발달한다.
배젖 배가 싹틀 때 필요한 양분을 저장하는 곳으로 다량의 저장물질이 들어 있다. 밀, 쌀, 보리에는 녹말, 단백질 등이 들어 있고, 참깨, 피마자, 콩, 호두나무 등에는 다량의 기름이 함유되어 있다. 배젖이 아니라 다른 곳에 영양분을 저장하는 식물들도 있는데, 배젖이 없는 무배유종자로서 이들은 배의 한 부분인 떡잎에 영양분을 저장하거나, 밑씨의 주심(珠心, nucellus)이 남아 있어 그곳에 영양분을 저장한다. 콩류, 참나무류, 호두류, 호박, 무, 해바라기 같은 무배유 쌍떡잎식물에서는 종자가 성숙하는 과정에서 떡잎이 배젖을 모두 흡수하여 영양분을 저장하므로 성숙했을 때는 배젖이 없는 종자가 된다. 후추속(Piper), 홀아비꽃대속(Chloranthus) 식물은 주심에 영양분을 저장한다. 아주 드물지만, 브라질너트처럼 배축에 영양분을 저장하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다.
씨껍질 종자의 바깥쪽을 싸고 있는 부분으로, 종피라고도 한다. 밑씨의 주피(珠皮, integument) 2개에서 형성되거나 밑씨의 바깥쪽 세포들로부터 만들어진다. 주피가 하나인 식물에서는 주피가 그대로 씨껍질이 되는 경우는 드물고, 그 안쪽 층이 퇴화하여 흡수되든가(콩과, 아마과, 난초과), 과피의 안쪽에 접착하여 과피의 일부가 된다(벼과, 국화과). 씨껍질에는 밑씨가 태좌(태자리)에 부착되어 있던 자리인 주병(珠柄, funicle)의 흔적이 남아 있는데, 이것을 배꼽이라 한다.
겉씨식물의 씨껍질은 3층으로 되어 있다. 소철과 은행나무의 씨껍질은 바깥층이 두터운 육질이며, 가운데층은 막이 두꺼운 석세포층(石細胞層)으로 되어 있고, 가장 안층은 얇은 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침엽수류의 씨껍질도 3층으로 되어 있는데, 수정할 시기에는 주피의 안층이 가장 두꺼우며 그 후에 가운데층이 두껍게 되면서 석세포층이 된다. 바깥층은 육질이지만 나중에 소실되기 때문에 성숙한 종자에서는 가운데층이 가장 바깥층이 되고, 안층은 얇은 막질로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종자 [seed] (식물학백과)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문제 해설> 측막태좌: 서로 이웃하는 심피가 유합하고, 흔히 격벽을 형성하지 않고 자방벽의 안쪽에 직접 붙어 생긴 태좌(예: 제비꽃, 버드나무) 중축태좌: 몇 장의 심피의 가장자리가 각각 유합해서 중앙에 모여 씨방의 중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격벽을 이루어 그 축 위에 생긴 태좌 [해설작성자 : Johns]
중앙태좌: 씨방 여럿이 합쳐지면서 맞닿는 곳의 벽이 없어지고 가운데 부분이 마치 중심축처럼 남아있을 때, 이 중심축에 배주가 달려 있는 태좌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6.
저장종자가 발아력을 잃게 되는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 단백질의 변성
2.
효소의 활성 증진
3.
호흡에 의한 종자 저장물질 소모
4.
저장 기간 중 저장고 온도와 습도의 상승
정답 : [
2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2) 저장 중의 종자가 발아력을 상실하는 이유 ① 원형질 단백질의 응고 (주원인) ② 효소의 활력저하 ③ 저장양분의 소모 [출처] 종자수명과 저장 및 발아처리 방법|작성자 바다의꿈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7.
작물생식에 있어서 아포믹시스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수정에 의한 배 발달
2.
수정없이 배 발달
3.
세포 융합에 의한 배 발달
4.
배유 배양에 의한 배 발달
정답 : [
2
] 정답률 : 93%
<문제 해설> 아포믹시스 = 수정없이 배 발달 [해설작성자 : 화이팅!]
8.
식물의 화아가 유도되는 생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춘화처리
2.
일장효과
3.
토양수분
4.
C/N율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춘화처리,일장,화학물질,식물의 영양상태 [해설작성자 : 배민준]
9.
종자 프라이밍의 주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종피에 함유된 발아억제물질의 제거
2.
종자전염 병원균 및 바이러스 방제
3.
유묘의 양분흡수 촉진
4.
종자발아에 필요한 생리적인 준비를 통한 발아 속도와 균일성 촉진
정답 : [
4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프라이밍은 파종 전에 수분을 가하여 종자가 발아에 필요한 생리적인 준비를 갖추게 함으로써 발아의 속도와 균일성을 높이려는 처리기술이다. 즉, 종자품질 향상을 위한 특수처리라 할 수 있다. 프라이밍은 수화처리 중의 환경조건, 삼투조절물질의 형태, 산소, 처리기간, 미생물감염, 건조 등의 영향을 받는다.1) [네이버 지식백과] 종자프라이밍 [seed priming] (식물학백과)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10.
수확적기로 벼의 수확 및 탈곡 시에 기계적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종자 수분함량은?
1.
14% 이하
2.
17~23%
3.
30~35%
4.
50% 이상
정답 : [
2
] 정답률 : 82%
11.
다음 중 뇌수분을 이용하여 채종하는 작물은?
1.
벼
2.
배추
3.
당근
4.
아스파라거스
정답 : [
2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뇌수분: 억제물질이 생성되기 전인 개화 2~3일전의 꽃봉오리(화뢰)에 수분하는 것으로 자가수정률이 높으며 십자화과식물의 채종에 많이 이용된다. [해설작성자 : Johns]
1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복과
2.
위과
3.
취과
4.
단과
정답 : [
1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복과: 많은 꽃이 한데 어울려 개화, 결실하여 낱낱의 작은 과실이 모여 1개의 과실을 이루는 것 위과: 씨방 이외의 부분(꽃받기, 꽃받침 등) 이 자라서 된 열매(사과,배 등) 취과: 1개의 꽃이 다수의 씨방으로 구성되어 있어 결실이 되면 꽃받기 부분에 작은 과실들이 몰려 하나의 과실로 되는 것 단과: 1개의 씨방으로 된 꽃이 1개의 과실로 발달되는 것 [해설작성자 : 종자기사]
<문제 해설> <유한화서> *#단정화서 : 가지나 꽃대 끝에 1개의 꽃이피는 화서 *#단집산화서 : 가운데 꽃이 먼저피고 다음 측지 또는 소화경에 꽃이 피는 화서 *#복집산화서 : 2차지경위에 꽃이 피는 화서 *#전갈꼬리형 화서 : 측아의 꽃들이 정아의 꽃때문에 제대로 개화하지못하고 화서가 구부러지는 것 *#집단화서 : 꽃이 매우 밀집해서 피는 화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6.
다음 중 발아촉진에 효과가 가장 큰 물질은?
1.
gibberellin
2.
abscisic acid
3.
parasorbic acid
4.
momilactone
정답 : [
1
] 정답률 : 92%
<문제 해설> 가. 정의 (1) gibbane 구조를 가진 diterpene의 일종인 화합물을 총칭 (2) 2003년까지 126종 발견 나. 생성 및 이동 (1) 미성숙 종자에 높은 농도로 존재 (2) 종자에서 많이 생산 (3) 어린잎과 뿌리끝에서 생산 (4) 목부조직을 통해 위아래로 이동 다. 기능 (1) 잎의 신장, 줄기의 마디생장을 촉진하여 키가 커지게 하며 종자 발아를 촉진 (2) 나자식물의 개화를 촉진 (3) 일부 과수에서 단위결과 유도 (4) 봄철에 목본식물의 어린잎에서 생산되어 휴면상태에 있는 형성층의 세포분열을 촉진 (5) 봄철 휴면상태의 뿌리에서 생산되어 줄기의 생장을 자극 (6) 종자에서 생산되는 지베렐린은 효소의 생산을 촉진하여 저장 전분을 분해하는 역할을 함 (7) 생장억제제로 상업적으로 개발된 Amo-1618, CCC는 지베렐린의 합성을 방해하여 줄기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 [출처] 식물호르몬의 종류 - 지베렐린(gibberellin)|작성자 오늘도 푸른산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가. 정의 (1) gibbane 구조를 가진 diterpene의 일종인 화합물을 총칭 (2) 2003년까지 126종 발견 나. 생성 및 이동 (1) 미성숙 종자에 높은 농도로 존재 (2) 종자에서 많이 생산 (3) 어린잎과 뿌리끝에서 생산 (4) 목부조직을 통해 위아래로 이동 다. 기능 (1) 잎의 신장, 줄기의 마디생장을 촉진하여 키가 커지게 하며 종자 발아를 촉진 (2) 나자식물의 개화를 촉진 (3) 일부 과수에서 단위결과 유도 (4) 봄철에 목본식물의 어린잎에서 생산되어 휴면상태에 있는 형성층의 세포분열을 촉진 (5) 봄철 휴면상태의 뿌리에서 생산되어 줄기의 생장을 자극 (6) 종자에서 생산되는 지베렐린은 효소의 생산을 촉진하여 저장 전분을 분해하는 역할을 함 (7) 생장억제제로 상업적으로 개발된 Amo-1618, CCC는 지베렐린의 합성을 방해하여 줄기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 [출처] 식물호르몬의 종류 - 지베렐린(gibberellin)|작성자 오늘도 푸른산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17.
종자의 생성 없이 과실이 자라는 현상은?
1.
단위결과
2.
단위생식
3.
무배생식
4.
영양결과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단위결과란 감귤, 바나나와 같이 종자가 생성되지 않고 과일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오우야]
한천배지검정에서 Sodium Hypochlorite(NaOCI)를 이용한 종자의 표면 소독 시 적정농도와 침지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 1분
2.
10%, 10분
3.
20%, 30분
4.
40%, 50분
정답 : [
1
] 정답률 : 76%
2과목 : 식물육종학
21.
유전자형이 이형접합 상태에서만 나타나는 분산은?
1.
상가적 분산
2.
우성적 분산
3.
상위적 분산
4.
환경 분산
정답 : [
2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우성적분산: 우성대립유전자의 효과에 의한 분산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2.
순계 두 품종 사이의 교배에 의하여 생겨난 F1 식물체(AaBbCcDdEe)가 생산하는 화분의 종류는? (단, 5개의 유전자는 서로 독립 유전을 한다고 가정함)
1.
5개
2.
25개
3.
32개
4.
64개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Aa 처럼 서로 다른 종류로 구성된 것을 이형 접합자 라고 하고 n쌍의 대립유전자는 2n승 만큼의 표현형을 가진다. 따라서 F1의 배우자 종류를 계산하면 2*1=2. 2*2=4. 4*2=8. 8*2=16. 16*2=32.로 계산된다.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23.
다음 중 자식성 작물에서 유전력이 높은 형질의 개량에 가장 많이 쓰이는 육종방법은?
1.
계통육종법
2.
집단육종법
3.
잡종강세육종법
4.
배수성육종법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1. 계통육종법: • 초기(F2)세대 선발 • F3세대부터 계통육성 • 유전력이 높은 형질개량에 효과적 [해설작성자 : Johns]
24.
다음 중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의 전제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 내에 유전적 부동이 있어야 한다.
2.
다른 집단과 유전자 교류가 없어야 한다.
3.
집단 내에서 자연적 선택이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4.
집단 내에 돌연변이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무작위 교배를 하는 큰 집단에서 돌연변이. 선발. 이주. 격리. 유전적 부동과 같은 요인이 작용하지 안을때 유전자 빈도와 유전자형 빈도는 오랜 세대를 경과해도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진된다는 법칙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토마토의 웅성불임은 세포질은 관여하지 않고 핵유전자가 열성의 msms일 때 나타난다. 웅성불임계통을 웅성불임 유지친과 교배하여 얻는 후대 중에서 웅성불임 개체는 최고 몇 %를 얻을 수 있는가?
1.
100%
2.
75%
3.
50%
4.
25%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웅성 불임 계통의 유전자 : msms 웅성 불임 유지친 유전자 : Msms (유지친의 유전자가 왜 Msms 이냐? 교배가 진행되야 하므로 웅성 불임이면 안된다. 즉 MsMs 또는 Msms 여야하는데, MsMs의 경우, msms와 교배시 Msms로 웅성이 정상으로 발현하기 때문에 유지친의 유전자는 Msms여야 한다.)
msms x Msms = Msms(1) : msms(1) 즉 50%로 얻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건종기]
27.
피자식물의 중복수정에 의해 형성되는 배유의 염색체 수는?
1.
1n
2.
2n
3.
3n
4.
4n
정답 : [
3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피자배유 : 3n 종자 : 2n [해설작성자 : 화이팅!]
배유 = 3n, 배=2n, 종피 =2n [해설작성자 : 일프로]
28.
배추, 무 등 호냉성 채소의 주년생산은 어떤 형질의 개량에 의해 가능해 진 것인가?
1.
저온 감응성
2.
내습성
3.
내도복성
4.
내염성
정답 : [
1
] 정답률 : 86%
29.
새로 육성한 우량품종의 순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육종가 또는 육종기관이 유지·관리하고 있는 종자는?
1.
보급종 종자
2.
원종 종자
3.
원원종 종자
4.
기본식물 종자
정답 : [
4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기본식물 : 육종가들이 직접 생산하거나 육종가의 관리하에 생산 (국립식량과학원) 원원종 : 각 도의 농업기술원에서 기본식물을 증식하여 생산한 종자 (도 농업기술원) 원종 : 각 도의 농산물 원종장에서 원원종을 재배하여 채종한 종자(도원종장) 보급종 : 농가에 보급할 종자로서 원종을 증식한 것 (국립종자원) [해설작성자 : 박과방]
30.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성에 있어서 불임주의 유지친이 갖추어야 할 유전적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핵내의 불임 유전자 조성이 웅성불임친과 동일해야 한다.
2.
웅성불임친과 교배 시에 강한 잡종강세 현상이 일어나야 한다.
3.
핵내의 모든 유전자 조성이 웅성불임친과 동일하지 않아야 한다.
4.
웅성불임친에는 없는 내병성 유전인자를 가져야 한다.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세포질-유전자적 융성불임에서 핵내 유전물질이 불임이면 반드시 불임, 세포질 유전물질은 거의 불임이나 핵내 유전물질이 가임이면 가임이다. 잡종강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웅성불임친과 웅성불임성을 유지해주는 유지친이 있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딸기를먹자]
31.
두 유전자가 연관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로 쓰는 방법은?
1.
타가수정
2.
원형질융합
3.
속간교배
4.
검정교배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검정교배로 확인가능 : F1을 그 형질에 대하여 열성인 개체와 교배하는 것으로 어떤 개체의 유전자형 배우자의 분리비를 알 수 있다.(분리비가 1:1로 나온다) [해설작성자 : Johns]
32.
다음 중 우장춘 박사의 작물육종 업적으로 옳은 것은?
1.
배추와 양배추간의 종간잡종 획득
2.
속간 잡종을 이용한 담배의 내병성 품종 육성
3.
콜히친에 의한 C-mitosis 발생 기작 규명
4.
방사선을 이용한 옥수수의 돌연변이체 획득
정답 : [
1
] 정답률 : 81%
33.
여교잡 육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표형질 이외 다른 형질의 개량이 용이함
2.
재래종의 내병성을 이병성 품종에 도입하는 경우 효과적임
3.
복수의 유전자 집적이 가능함
4.
비실용품종의 한 가지 우수한 특성을 도입하기 유용함
정답 : [
1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여교잡 육종법은 반복친으로 연속 교배하며 결국은 반복친의 유전구성을 그대로 회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목표형질 이외에 다른 형질을 개량하기 어렵다 [해설작성자 : 박과방]
600개의 염기로 구성된 유전자의 DNA단편이 단백질로 합성되는 과정에서 몇 개의 코돈을 형성하는가?
1.
100
2.
200
3.
300
4.
600
정답 : [
2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DNA는 복제. 전사. 번역의 단계로 만들어지는데 RNA번역에서 세포질 mRNA를 주형으로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을 의미. 한개의 아미노산(단백질)을 형성하는데 3개의 코돈이 필요하다 600/3개로 나누면=200개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3개의 염기가 1개의 코돈을 형성함 [해설작성자 : 당근]
36.
잡종강세육종에서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 능력을 함께 검정할 수 있는 것은?
1.
단교배
2.
톱교배
3.
이면교배
4.
3원교배
정답 : [
3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단교배 검정: 일정한 자식계를 다른 여러 자식계와 교잡하여 여러 자식계들의 특정 조합능력을 검정 2. 톱교배 검정: 자유수분하는 품종을 검정친으로 하여 여러 자식계들의 일반조합능력을 검정 3. 이면교배: 여러 자식계를 둘씩 조합 및 교배하여 그들의 특정조합능력과 일반조합능력 검정 [해설작성자 : Johns]
동질4배체의 F1(AAaa)을 자가수정하여 만들어진 F2의 표현형의 분리비로 옳은 것은? (단, A는 a에 우성이다.)
1.
우성 : 열성 = 1 : 1
2.
우성 : 열성 = 3 : 1
3.
우성 : 열성 = 15 : 1
4.
우성 : 열성 = 35 : 1
정답 : [
4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2배체 F1 2. 표현형 F2 동질 4배체의 F1(AAaa) 형성하는 배우자는 AA:Aa:aa=1:4:1 이배우자들이 수정을 하여 만드는 F2유전자형 및 표현형 분리비(이때 동원체와 A 유전자자리 교차없다) AAAA:AAAa:AAaa:Aaaa:aaaa =1:8:18:8:1 우성A:열성a=35:1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40.
집단선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속에서 선발한 우량개체 간에 타식 시킨다.
2.
집단속에서 선발한 우량개체를 자식시켜 나간다.
3.
어느 정도 이형접합성을 유지해 나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
4.
선발한 우량개체를 방임상태로 수분시켜 채종한다.
정답 : [
2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타식성 작물의 육종방법 집단선발법과 순환선발이 있다. 타식성작물이라는 전제가 기본된다. 기본집단에서 우량개체를 선발하고, 이들을 혼합 채종하여 집단재배하며, 집단내의 우량 개체들 간에 타가수분을 유도함으로써 집단을 개량한다. 이 때 다른 품종(집단)의 화분이 수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리가 필요하다. 즉, 타식성 작물의 계통집단선발은 기본집단에서 선발한 우량개체를 계통재배하고, 거기서 선발한 우량계통을 혼합채종하여 집단(품종)을 개량하는 방법이다. 즉, 계통재배 및 계통평가의 단계를 한 번 더 거치게 되는 형태로 선발한 우량개체의 우수성을 확인하므로 단순한 집단선발보다 육종효과가 확실하다. [해설작성자 : 김수미]
<문제 해설> 옥신의 생리적기능 식물의 생장 조절 물질의 하나로 성장/발근촉진/낙과방지/착과조절
굴광성 일반적으로 식물이 굽어 자라는 성질을 굴성이라함 굴성은 빛에 대해 굽혀 잘게 된다 이것을 굴광성이라함 식물으 ㅣ줄기와 잎은 빛이 비추는 쪽으로 굽어 자라게 되며 뿌리는 빛의 반대방향으로 굽어자라게된다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47.
영양번식을 위해 엽삽을 이용하는 것은?
1.
베고니아
2.
고구마
3.
포도나무
4.
글라디올러스
정답 : [
1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엽삽 - 베고니아, 차조기 [해설작성자 : 융융이]
48.
화곡류에서 잎을 일어서게 하여 수광율을 높이고, 증산을 줄여 한해 경감 효과를 나타내는 무기성분으로 옳은 것은?
1.
니켈
2.
규소
3.
셀레늄
4.
리튬
정답 : [
2
] 정답률 : 88%
49.
건물생산이 최대로 되는 단위면적당 군락엽면적을 뜻하는 용어는?
1.
최적엽면적
2.
비엽면적
3.
엽면적지수
4.
총엽면적
정답 : [
1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식물의 건물생산(乾物生産)은 진정광합성과 호흡량의 차이, 즉 외견상광합성(外見上光合成)에 의하여 결정된다. 식물군락에서 엽면적이 증대하면 군락의 진정광합성량(真正光合成量)은 그에 따라서 증대하지만 정비례로 증가하지 않는 것은 그늘이 진 잎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호흡량은 엽면적에 정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건물생산이 최대로 되는 군락의 단위면적당 엽면적을 최적엽면적이라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적엽면적 [最適葉面積, optimum leaf area]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 4. 20., 강병화)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50.
토양의 pH가 1단위 감소하면 수소이온의 농도는 몇 % 증가하는가?
1.
1 %
2.
10 %
3.
100 %
4.
1000 %
정답 : [
4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ph 1은 10-1로서 수소이온 농도가 1/10을 의미. ph 2는 10-2로서 수소이온 농도가 1/100을 의미. ph 1단위당 수소이온농도 10배씩 변화 -> %로 표현하면 수소이온이 10배 차이 나기에 1000% 변화.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pH=-log[H+]로, 로그 단위이기 때문에 10배씩 변화함 [해설작성자 : 당근]
51.
다음 중 봄철 늦추위가 올 때 동상해의 방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연법
2.
송풍법
3.
연소법
4.
냉수온탕법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냉수온탕(침)법은 맥류의 깜부기병등을 방제하기 위해 실시하는 물리적 종자소독법임 [해설작성자 : H]
52.
다음 중 하고현상이 가장 심하지 않은 목초는?
1.
티머시
2.
켄터키브루그래스
3.
레드클로버
4.
화이트클로버
정답 : [
4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하고현상: 내한성이 강해 월동을 잘하는 북방형 목초의 여름철 고온으로 인한 생육장해 >생육쇠퇴 혹은 생육정지하며 심할경우 황화, 고사함. 여름철 목초생산량의 감소 원인 [해설작성자 : H]
질소농도가 0.3%인 수용액 20L를 만들어서 엽면시비를 할 때 필요한 요소비료의 양은? (단, 요소비료의 질소함량은 46% 이다.)
1.
약 28g
2.
약 60g
3.
약 77g
4.
약 130g
정답 : [
4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L=1,000밀리리터. 1밀리리터=1 g 0.3%/46%*20 L=0.1304*1,000= 130 g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20L의 0.3%가 질소 = 20 * 0.003 = 0.06 (60g) 요소 Xg의 46%가 60g이 되어야 함 0.46X = 60 X = 130.xx [해설작성자 : DI_KANG]
55.
작물이 정상적으로 생육하는 토양의 유효수분 범위(pF)는?
1.
1.8~3.0
2.
18~30
3.
180~300
4.
1800~3000
정답 : [
1
] 정답률 : 76%
56.
식물의 무기영양설을 제창한 사람은?
1.
바빌로프
2.
캔돌레
3.
린네
4.
리비히
정답 : [
4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이론은 독일의 화학자인 리비히(Justus von Liebig)에 의해 처음으로 주장되었다고 한다. 이를 최소율의 법칙(law of minium)이라고 한다. 이를 양분에 특정지어서 리비히의 최소양분량(law of minium nutrient)의 법칙이라고 한다. "다른 영양소의 존재량과는 관계엾이 수량은 제한요인(limiting factor)으로 작용하는 성분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즉, 토양 중 가장 많은 양분의 이용율은 토양의 가장 적은 양이 존재하는 양분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결핍되는 영양소를 첨가해 줌으로써 수확량은 증가할 수 있을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출처] 리비히의 최소율의 법칙(law of minium)|작성자 youseok0 [해설작성자 : 그린트레이더]
57.
다음 중 벼 장해형 냉해에 가장 민감한 시기로 옳은 것은?
1.
유묘기
2.
감수분열기
3.
최고분열기
4.
유숙기
정답 : [
2
] 정답률 : 75%
58.
다음 중 연작 장해가 가장 심한 작물은?
1.
당근
2.
시금치
3.
수박
4.
파
정답 : [
3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연작의 해가 적은 작물 _ 벼, 맥류, 옥수수, 조 ,수수, 고구마, 삼, 담배, 무, 양파, 당근, 호박, 아스파라거스, 딸기, 양배추, 미나리 1년 휴작 _ 시금치, 콩, 파, 생강 2-3년 휴작 _ 감자, 오이, 참외, 토란, 강낭콩 5-7년 휴작 _ 수박, 가지, 우엉, 고추, 토마토 10년 이상 휴작 _ 인삼, 아마 [해설작성자 : 홍당무]
종자소독제는 살균제이고, 접촉제(접촉독제)와 유인제(해충을 유인하는 약제), 훈증제(약제를 가스 상태로 만들어 해충 죽이는 약제)는 다 살충제임. [해설작성자 : 스팜]
69.
식물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위생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든 식물의 제거
2.
윤작
3.
병환부의 제거
4.
수확 후 이병잔재물의 제거
정답 : [
2
] 정답률 : 79%
70.
식물병 표징의 특징이 다른 하나는?
1.
흰가루병
2.
녹병
3.
균핵병
4.
흰녹가루병
정답 : [
3
] 정답률 : 72%
71.
밀줄기녹병균의 중간기주는?
1.
향나무
2.
밀
3.
매자나무
4.
모과나무
정답 : [
3
] 정답률 : 58%
72.
프루텔고치벌이 기생하는 기주곤충은?
1.
파밤나방
2.
담배나방
3.
배추좀나방
4.
담배거세미나방
정답 : [
3
] 정답률 : 58%
73.
도열병균의 포자가 발아한 후 잎표피를 침입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기구는?
1.
부착기
2.
발아관
3.
흡기
4.
제2차균사
정답 : [
1
] 정답률 : 66%
74.
곤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머리에는 한 쌍의 촉각과 여러 모양으로 변형된 입틀(구기)을 가지고 있다.
2.
폐쇄 혈관계를 가지고 있다.
3.
호흡은 잘 발달된 기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4.
외골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답 : [
2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곤충은 개방순환계로 혈강 전체에 혈액이 퍼져 그 안에서 순환하는 순환계를 가진다. 혈액순환을 위한 기관으로 대혈관과 뒤쪽 심장으로 구성된 상혈관과 심문이 있다. 혈액은 대개 무색이나 때로 노랑, 초록. 파랑, 빨강을 띠기도 한다. 혈액을 구성하는 세포는 혈구이며 중요한 기능으로 는 응고작용, 식(균)작용. 캡슐형성(피낭형성). 영양분의 정장 배포 등을 한다.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75.
후배자 발육에 있어 날개가 없는 원시적인 곤충들에서 볼 수 있고 탈피만 일어나는 변태는?
1.
완전변태
2.
불완전변태
3.
과변태
4.
무변태
정답 : [
4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1. 완전변태:불완전변태보다 번데기과정이 있는, 알-유충(애벌레)-번데기-성충 순으로 변화 2. 불완전변태:변태과정에서 번데기과정이 없는 알-약충(애벌레)-성충 순 3. 과변태: 완전변태과정의 유충기의 초기와 후기에 체제의 변화가 일어나는것. 4. 무변태:좀목처럼 모양은 변하지 않고 크기만 커지는 탈피 계속하는 경우 성충과 약충의 모양이 차이 없음.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76.
곤충의 가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쌍의 날개가 있는 경우, 앞가슴과 가운데가슴에 각각 한 쌍씩 있다.
2.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의 세부분으로 구성된다.
3.
파리목 곤충은 뒷날개가 퇴화되어 있다.
4.
각 마디마다 한 쌍씩의 다리가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곤충의 가슴 1. 앞가슴. 가운데가슴. 뒷가슴으로 나뉘고 각 가슴마다 다리가 한쌍씩 달리고 2. 날개가 있는 경우 앞날개와 뒷날개는 각각 가운데 가슴. 뒷가슴에 붙는다.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77.
식물병을 일으키는 요인 중 전염성 병원이 아닌 것은?
1.
항생제
2.
바이로이드
3.
스피로플라스마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 : [
1
] 정답률 : 81%
78.
해충 종합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방제수단을 조화롭게 활용한다.
2.
작물 재배지 내의 모든 해충을 박멸한다.
3.
해충밀도를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이하로 유지한다.
4.
해충방제의 부작용을 최소한으로 줄인다.
정답 : [
2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병해충 종합관리는 여러가지 방제방법을 조합하여 적정 해충밀도를 유지하는 것 [해설작성자 : 홍당무]
79.
식물병원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공배지에 배양할 수 없다.
2.
핵산은 DNA로만 구성되어 있다.
3.
주로 핵산과 단백질로 되어 있다.
4.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능력을 가진다.
정답 : [
2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1. 인공배지에 배양할 수 없고, 산 세포내에서만 증식 2. 핵산의 대부분은 RNA [해설작성자 : 홍당무]
80.
식물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식물 세균보다 크기가 큰 병원체이다.
2.
초현미경적 병원체이다.
3.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증식이 가능하다.
4.
핵산의 주위를 외피단백질이 둘러 싸고 있다.
정답 : [
1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세균 : 핵, 핵산, 단백질 모두 포함 바이러스 : 단백질만 포함함 [해설작성자 : 화이팅!]
81.
식물신품종보호법상 우선권을 주장하려는 자는 최초의 품종보호 출원일 다음 날부터 얼마 이내에 품종보호 출원을 하지 아니하면 우선권을 주장할 수 없는가?
1.
3개월 이내
2.
6개월 이내
3.
9개월 이내
4.
1년 이내
정답 : [
4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식물신품종보호법 제31조제2항 우선권을 주장하려는 자는 최초의 품종보호 출원일 다음 날부터 1년 이내에 품종보호 출원을 하지 아니하면 우선권을 주장할 수 없다. [해설작성자 : 베쨩이]
82.
종자산업법상 출입, 조사ㆍ검사 또는 수거를 거부ㆍ방해 또는 기피한 자의 과태료는?
1.
5백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3.
2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4.
5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 : [
2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종자산업법 제56조(과태료) 제1항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중략) 4. 제45조제1항에 따른 출입, 조사.검사 또는 수거를 거부.방해 또는 기피한 자 [해설작성자 : 베쨩이]
83.
종자검사요령상 종자검사 순위도에서 종자검사 시 가장 우선 실시하는 것은?
1.
발아세검사
2.
농약검사
3.
발아율검사
4.
수분검사
정답 : [
4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해설 수정] 종자검사 시 수분검사를 가장 우선 실시한다. (종자검사요령 붙임 1, 종자검사순위도 참고) [해설작성자 : 베쨩이]
<문제 해설> 종자산업법 제25조(국가보증의 대상) 제1항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국가보증의 대상으로 한다. 1.(생략) 2.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 농업단체등 또는 종자업자가 품종목록 등재대상작물의 종자를 생산하거나 수출하기 위하여 국가보증을 받으려는 경우
옳지 않은 것을 골라야 하므로 정답은 4번 각 지역 국립 대학교 연구원 입니다. [해설작성자 : 베쨩이]
86.
종자산업법상 육묘업 등록이 취소된 자는 취소된 날부터 몇 년이 지나지 아니하면 육묘업을 다시 등록할 수 없는가?
1.
2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 : [
1
] 정답률 : 77%
87.
식물신품종보호법상 품종보호권의 설정등록을 받으려는 자나 품종보호권자는 품종보호료 납부기간이 지난 후에도 얼마 이내에는 품종보호료를 납부할 수 있는가?
1.
6개월
2.
9개월
3.
12개월
4.
2년
정답 : [
1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품종보호권의 설정등록을 받으려는 자나 품종보호권자는 품종보호료 납부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6개월 이내에는 품종보호료를 납부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팡이]
88.
종자산업법상 지방자치단체의 종자산업 사업수행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1.
농림축산식품부장관
2.
환경부장관
3.
농업기술실용화재단장
4.
농촌진흥청장
정답 : [
1
] 정답률 : 78%
89.
종자산업법상 품종목록 등재의 유효기간은 등재한 날이 속한 해의 다음 해부터 몇 년 까지로 하는가?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 : [
4
] 정답률 : 77%
90.
종자산업법상 종자업 등록의 취소 등에서 구청장은 종자산업자가 종자업 등록을 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사업을 시작하지 아니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1년 이상 계속하여 휴업한 경우에는 종자업 등록을 취소하거나 얼마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를 명할 수 있는가?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9개월
정답 : [
3
] 정답률 : 71%
91.
종자관리요강상 과수 포장검사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2
] 정답률 : 57%
92.
식물신품종보호법상 과수와 임목의 경우 품종보호권의 존속기간은 품종보호권이 설정등록된 날부터 몇 년으로 하는가?
1.
25년
2.
20년
3.
15년
4.
10년
정답 : [
1
] 정답률 : 82%
93.
식물신품종보호법상 절차의 무효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1.
7일 이내
2.
14일 이내
3.
30일 이내
4.
50일 이내
정답 : [
2
] 정답률 : 69%
94.
종자검사요령상 포장검사 병주 판정기준에서 참깨의 기타병은?
1.
엽고병
2.
균핵병
3.
갈반병
4.
풋마름병
정답 : [
1
] 정답률 : 49%
95.
종자관리요강상 수입적응성시험의 대상작물 및 실시기관에서 배추 작물의 실시기관은?
1.
농업기술실용화재단
2.
한국종자협회
3.
한국생약협회
4.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정답 : [
2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수입적응성 시험의 신청 실시기관으로 버섯은 한국종균생산협회, 약용작물은 한국생약협회이다. 목초, 사료 및 녹비작물은 농업협동조합중앙회이고, 식량작물은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다. 그 밖의 작물(단, 녹비용 호밀 제외)은 한국종자협회이다. [해설작성자 : 스팜]
96.
종자산업법상 전문인력의 양성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1.
3개월
2.
6개월
3.
9개월
4.
12개월
정답 : [
1
] 정답률 : 50%
97.
종자관리요강상 규격묘의 규격기준에서 뽕나무 묘목의 접목묘 길이(cm)는? (단, 묘목의 길이는 지제부에서 묘목선단까지의 길이 이다.)
1.
20 이상
2.
30 이상
3.
40 이상
4.
50 이상
정답 : [
4
] 정답률 : 67%
98.
식물신품종보호법상 품종보호권의 취소결정을 받은 자가 이에 불복하는 경우에는 그 등본을 송달받은 날부터 얼마 이내에 심판을 청구할 수 있는가?
1.
14일
2.
30일
3.
45일
4.
90일
정답 : [
2
] 정답률 : 69%
99.
식물신품종보호법상 신규성에 대한 내용이다. ( )에 알맞은 내용은? (단, 과수 및 임목인 경우에는 제외한다.)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 : [
2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품종보호 출원일 이전에 대한민국에서는 1년 이상, 그 밖의 국가에서는 4년(과수나 임목의 경우에는 6년) 이상 해당 종자나 그 수확물이 이용을 목적으로 양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품종은 신규성을 갖춘 것으로 본다. [해설작성자 : 팡이]
100.
식물신품종보호법상 품종명령등록 이의신청 이유 등의 보정에서 품종명칭등록 이의신청을 한 자는 품종명칭등록 이의신청기간이 지난 후 얼마 이내에 품종명칭등록 이의신청서에 적은 이유 또는 증거를 보정할 수 있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45일
정답 : [
3
] 정답률 : 6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②
③
①
④
①
②
②
③
④
②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②
①
③
②
④
①
①
③
③
①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②
③
①
①
③
③
③
①
④
①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④
①
①
④
②
③
③
③
④
②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④
②
①
③
④
①
①
②
①
④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④
④
③
④
①
④
②
③
④
②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②
③
②
②
③
④
④
②
③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③
①
②
④
①
①
②
②
①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④
②
④
③
④
①
①
①
④
③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②
①
②
①
②
①
④
②
②
③
종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 08월 1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