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1257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토목제도(CAD)


1. 최대 휨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 1방향슬래브의 정철근 및 부철근의 중심간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2월)
     1.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슬래브 두께이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구조설계기준(KCI) 에서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로 규정하고있다
[해설작성자 : 용욱이]

2. 골재의 표면수는 없고 골재알 속의 빈틈이 물로 차 있는 골재의 함수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10월)
     1. 절대건조 포화상태
     2. 공기 중 건조상태
     3. 표면건조 포화상태
     4. 습윤상태

     정답 : []
     정답률 : 81%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내화성에 대하여 불리하다.
     2. 변형이 작아 진동하지 않는다.
     3. 고강도의 콘크리트와 강재를 사용한다.
     4. 지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4. 콘크리트용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1월)
     1. 알맞은 입도를 가질 것
     2. 깨끗하고 강하면 내구적일 것
     3. 연한 석편, 가느다란 석편을 함유할 것
     4. 먼지, 흙, 유기불순물 등의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89%

5. 보강용 섬유를 혼입하여 주로 연성, 균열 억제,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는?(2012년 10월)
     1. 고강도 콘크리트
     2. 섬유보강 콘크리트
     3.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4.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고강도 : 일반 콘크리트, 경량골재 콘크리트보다 설계기준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
3. 폴리머 시멘트 : 시맨트와 폴리머를 결합한 콘크리트
4. 프리플레이스트: 특정한 입도를 가진 굵은골재를 거푸집에 채워놓고 빈 공간에 특수한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한 콘크리트

이름을 보고 마추면 된다!
[해설작성자 : 용욱이]

6. 철근 구부리기에 대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책임기술자가 승인을 한 경우를 제외하고 철근은 상온에서 구부려야 한다.
     2. 콘크리트 속에 일부가 묻혀있는 철근은 현장에서 구부리지 않는다.
     3. D35 이상 철근은 서서히 가열하여 구부린다.
     4. 설계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면 콘크리트 속에 묻혀 있는 철근도 구부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7.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7월)
     1. 동결과 융해
     2. 거푸집의 종류
     3. 물 흐름에 의한 침식
     4. 철근의 녹에 의한 균열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콘크리트 내구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1) 물리/화학적 작용
① 염해 : 염화물 침투로 인한 철근부식
② 알카리골재반응 : 시멘트 알카리성분과 골재중 실리카 성분이 화학반응하여 불용성 화합물 생성
③ 중성화 : 공기중의 탄산가스 및 산성비로 인함
(2) 기상작용
① 동결융해 :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후 해빙기에 내부수분녹으면서 표면이 가라앉음
② 건조수축 : 블리딩현상으로 내구성 저하
③ 온도변화 : 구조체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3) 기계적 작용
① 진도, 충격 : 콘크리트 타설후 7일동안 진동, 충격금지
② 마모, 파손 : 재령 경과후 과하중은 피한다
(4) 시공불량
(5) 설계오류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8.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실제 시험에 의한 설계기준강도(ƒck)와 압축강도의 표준편차(s)를 구했을 때 배합강도 (ƒcr)를 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ƒck ≤ 35Mpa 인 경우)(2013년 07월)
     1. ƒcrck+1.34s[㎫], ƒcr=(ƒck-3.5)+2.3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큰 값
     2. ƒcrck+1.34s[㎫], ƒcr=(ƒck-3.5)+2.3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작은 값
     3. ƒcrck+1.64s[㎫], ƒcr=(0.9ƒck+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큰 값
     4. ƒcrck+1.64s[㎫], ƒcr=(0.9ƒck+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작은 값

     정답 : []
     정답률 : 50%

9. 철근콘크리트 보를 설계할 때 극한강도에서 압축 최대 변형률은 얼마로 가정 하는가?(2012년 10월)
     1. 0.001
     2. 0.0015
     3. 0.002
     4. 0.003

     정답 : []
     정답률 : 80%

10. 블리딩을 적게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9월)
     1.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2. 단위수량을 크게 한다.
     3. AE제를 사용한다.
     4. 포졸란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1.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1월)
     1. 동결과 융해
     2. 거푸집의 종류
     3. 물 흐름에 의한 침식
     4. 철근의 녹에 의한 균열

     정답 : []
     정답률 : 89%

12.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AE제, 감수제 등의 혼화제를 사용하면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3. 시멘트량에 비해 골재의 양이 많을수록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4. 단위수량이 적으면 유동성이 적어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1) 시멘트 : 시멘트 양, 분말도, 시멘트 종류
(2) 혼화재 : 포졸란, 플라이애시, AE제, 감수제 등
(3) 골재 : 골재입도, 골재 최대치수, 표면조직과 흡수량 등
(4) 물 : 가장 중요한 요소로 물의 양
(5) 시간과 온도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13. 6KN/m의 등분포하중을 받는 지간 4m의 철근콘크리트 캔틀레버 보가 있다. 이 보의 작용 모멘트는? (단, 하중계수는 적용하지 않는다.)(2012년 02월)
     1. 12 KN·m
     2. 24 KN·m
     3. 36 KN·m
     4. 48 KN·m

     정답 : []
     정답률 : 27%

14. 단철근 직사각형 보를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한 조건으로 최대 철근비는 균형 철근비의 몇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가?(2002년 10월)
     1. 50%
     2. 65%
     3. 75%
     4. 90%

     정답 : []
     정답률 : 56%

1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1월)
     1. 적정한 온도와 수분으로 양생하면 강도가 높아진다.
     2.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강도가 높다.
     3. 좋은 재료를 사용할수록 강도가 높아진다.
     4. 재령기간이 길수록 강도가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16.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시멘트의 입자가 가늘수록 분말도가 높다.
     2.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분말도라 한다.
     3.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조기강도가 커진다.
     4.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 및 풍화가 생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 발생이 크고 풍화되기 쉽다.
[해설작성자 : ㅇ]

17. 다음 보기의 내용중 괄호에 알맞은 수치는?(2013년 07월)

    

     1. 25
     2. 35
     3. 45
     4. 55

     정답 : []
     정답률 : 81%

18. 철근 크기에 대한 주철근 표준갈고리의 최소 반지름으로 옳은 것은?(2011년 02월)
     1. D10 = 철근 지름의 3배
     2. D16 = 철근 지름의 4배
     3. D25 = 철근 지름의 5배
     4. D32 = 철근 지름의 6배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D16 이하 철근: 철근 지름의 3배 이상
D19 이상 D25 이하 철근: 철근 지름의 4배 이상
D28 이상 D35 이하 철근: 철근 지름의 5배 이상
[해설작성자 : 용욱이]

19. 다음 중 교량의 하부 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1월)
     1. 교대
     2. 교각
     3. 바닥판
     4. 기초

     정답 : []
     정답률 : 54%

20. 사용 재료에 따른 교량의 분류가 아닌 것은?(2002년 10월)
     1. 철근 콘크리트교
     2. 강교
     3. 목교
     4. 거더교

     정답 : []
     정답률 : 71%

2과목 : 철근콘크리트


21. 보기에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공통적인 특징에 해당되는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7월)

    

     1. ㄱ, ㄹ, ㅁ
     2. ㄱ, ㄴ, ㄹ, ㅁ
     3. ㄱ,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콘크리트에 생기는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강선이나 강봉을 미리 긴장시켜 압축 응력을 주어 만든 것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라 한다.
균열인 생기지 않고 처짐이 적으며 지간을 길게 할수 있고 강성이 작아 변형이 크고 진동하기 쉽다

22. 재료의 강도가 크고, 콘크리트에 비하여 부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지간이 긴 교량을 축조하는데 유리한 토목 구조물의 구조는?(2012년 07월)
     1. 강 구조
     2. 석 구조
     3. 목 구조
     4. 흙 구조

     정답 : []
     정답률 : 88%

23. PS강재에서 필요한 설질로만 짝지어진 것은?(2008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ㄹ
     4.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2%

24. 독립확대 기초의 크기가 2m×3m이고, 허용 지지력이 100kN/m2일 때, 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2013년 10월)
     1. 100kN
     2. 250kN
     3. 500kN
     4. 600kN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x3x100
[해설작성자 : 공대생]

25. 슬래브의 배력 철근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배력철근을 배치하는 이유는 가해지는 응력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해서이다.
     2. 정철근 또는 부철근으로 힘을 받는 주철근이다.
     3. 배력철근은 주철근의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4. 배력철근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을 감소시켜 준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해설작성자 : 푸름세상]

26. 한 개의 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 받도록 되어있는 확대 기초를 무슨 기초라 하는가?(2008년 07월)
     1. 군말뚝기초
     2. 벽확대기초
     3. 독립확대기초
     4. 말뚝기초

     정답 : []
     정답률 : 84%

27. 구조용 강재나 강관을 축방향으로 보강한 기둥은?(2007년 01월)
     1. 띠철근 기둥
     2. 합성 기둥
     3. 나선 철근 기둥
     4. 복합 기둥

     정답 : []
     정답률 : 52%

28. 다음 그림은 어는 형식의 확대 기초를 표시한 것인가?(2010년 01월)

    

     1. 독립 확대 기초
     2. 경사 확대 기초
     3. 연결 확대 기초
     4. 말뚝 확대 기초

     정답 : []
     정답률 : 83%

29. 철근 콘크리트를 널리 이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2015년 07월)
     1. 검사 및 개조, 해체가 매우 쉽다.
     2. 철근과 콘크리트는 부착이 매우 잘된다.
     3.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이 슬지 않는다.
     4. 철근과 콘크리트는 온도에 대한 열팽창 계수가 거의 같다.

     정답 : []
     정답률 : 76%

30. 양안에 주탑을 세우고 그 사이에 케이블을 걸어, 여기에 보강형 또는 보강 트러스를 매단 형식의 교량은?(2010년 01월)
     1. 사장교
     2. 현수교
     3. 아치교
     4. 라멘교

     정답 : []
     정답률 : 46%

31. 도면을 표현형식에 따라 분류할 때 구조물의 구조 계산에 사용되는 선도로 교량의 골조를 나타내는 도면은?(2009년 07월)
     1. 일반도
     2. 배근도
     3. 구조선도
     4. 상세도

     정답 : []
     정답률 : 58%

32. 도로교의 표준트럭하중 DB-24 하중에서 후륜하중은?(2013년 07월)
     1. 24kN
     2. 54kN
     3. 72kN
     4. 96kN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DB-24 =24*4000k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골재의 단면 표시 중 잡석을 나타내는 것은?(2010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34. 토목 구조물의 공통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2012년 07월)
     1. 건설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2. 대부분 자연 환경 속에 놓인다.
     3. 공공의 목적으로 건설된다.
     4. 다량 생산을 전제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35. 도면의 종류에서 복사도가 아닌 것은?(2010년 01월)
     1. 기본도
     2. 청사진
     3. 백사진
     4. 마이크로 사진

     정답 : []
     정답률 : 63%

36. 토목제도에서 보기와 같은 이음은 다음 중 어떤 이음을 나타낸 것인가?(2006년 01월)

    

     1. 철근 용접 이음
     2. 철근 갈고리 이음
     3. 철근의 기계적 이음
     4. 철근의 평면 이음

     정답 : []
     정답률 : 86%

37. 내부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낼 때 물체를 절단하여 내부 모양을 나타낸 도면은?(2009년 09월)
     1. 단면도
     2. 전개도
     3. 투상도
     4. 입체도

     정답 : []
     정답률 : 79%

38. 콘크리트의 타설이음부를 표시할 때 가장 적합한 표현방법은?(2009년 01월)
     1.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타설 이음부라고 기입한다.
     2. 파선으로 표시하고, 타설이라고 기입한다.
     3. 일점쇄선으로 표시하고, 타설 이음부라고 기입한다.
     4. 이점쇄선으로 표시하고, 타설이라고 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39. CAD시스템에서 성격이 다른 장치는?(2007년 09월)
     1. 키보드
     2. 디지타이저
     3. 태블릿
     4. 플로터

     정답 : []
     정답률 : 68%

40. 다음 중 같은 크기의 물체를 도면에 그릴 때 가장 작게 그려지는 척도는?(2013년 07월)
     1. 1 : 2
     2. 1 : 3
     3. 2 : 1
     4. 3 : 1

     정답 : []
     정답률 : 64%

41. 제도의 통칙에서 한글, 숫자 및 영자의 경우 글자의 굵기는 글자의 높이의 얼마 정도로 하는가?(2004년 10월)
     1. 1/6
     2. 1/7
     3. 1/8
     4. 1/9

     정답 : []
     정답률 : 73%

42. 제도에서 정투상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2009년 09월)
     1. 제1각법과 제2각법
     2. 제2각법과 제3각법
     3. 제3각법과 제1각법
     4. 제4각법과 제1각법

     정답 : []
     정답률 : 85%

43. 그림은 어떠한 구조물 재료의 단면을 나타낸 것인가?(2004년 10월)

    

     1. 점토
     2. 석재
     3. 콘크리트
     4. 주철

     정답 : []
     정답률 : 81%

44. 선, 원주 등을 같은 길이로 분할할 때 사용하는 기구는?(2009년 01월)
     1. 컴퍼스
     2. 디바이더
     3. 형판
     4. 운형자

     정답 : []
     정답률 : 72%

45. 재료 단면의 경계 표시 중 암반면을 나타내는 것은?(200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지반면(흙)
2. 수준면
3. 암반면
4. 일반면
[해설작성자 : 힘쎈이따감이]

46. 치수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치수선은 표시할 치수의 방향에 평행하게 그린다.
     2. 치수선은 물체를 표시하는 도면의 내부에 그린다.
     3. 여러 개의 치수선을 평행하게 그릴 때 간격은 가급적 다양하게 그린다.
     4. 치수선은 가급적 교차하게 그린다.

     정답 : []
     정답률 : 67%

47. 대형 도면을 인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출력 장치는?(2008년 02월)
     1. 캠코더
     2. 플로터
     3. 스캐너
     4. 팩시밀러

     정답 : []
     정답률 : 71%

48. CAD 시스템으로 작성된 도면을 출력할 때 주로 쓰이는 장치는?(2003년 07월)
     1. 디지타이저
     2. 플로터
     3. 터치 패드
     4. 스캐너

     정답 : []
     정답률 : 72%

49.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6년 10월)
     1. 가는선
     2. 아주 굵은선
     3. 중심선
     4. 굵은선

     정답 : []
     정답률 : 66%

50.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는?(2015년 07월)
     1. 캐시메모리(Cache Memory)
     2. DRAM(Dynamic RAM)
     3. SRAM(Static RAM)
     4. ROM(Read Only Memory)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문제는 문제 제기가 가능한 문제입니다.
주기억장치중 DRAM 과 SRAM 있으며, 일반적인 주기억은 DRAM 을 말하며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장치를 캐시메모리라하는데 캐시메모리가 SRAM이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51. 도면에서 윤곽선은 최소 몇 ㎜ 이상 두께의 실선으로 그리는 것이 좋은가?(2011년 02월)
     1. 0.1㎜
     2. 0.2㎜
     3. 0.5㎜
     4. 1.0㎜

     정답 : []
     정답률 : 77%

52. 표제란에 기입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1월)
     1. 도면 번호
     2. 도면 명칭
     3. 도면치수
     4. 기업체명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표제란에는 도면 번호, 도면 명칭, 기업체명, 척도, 설계자, 계획자, 심사자, 책임자, 도면작성기관, 작성일, 기타사항 등을 기입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53.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현척은 실제 크기를 의미 한다.
     2. 배척은 실제보다 큰 크기를 의미한다.
     3. 축척은 실제보다 작은 크기를 의미한다.
     4. 그림의 크기가 치수와 비례하지 않으면 NP를 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NP가아닌 NS
[해설작성자 : 붕붕]

54. 구조물 설계를 위한 일반적인 도면의 작도순서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단면도-일반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배근도
     2. 단면도-일반도-배근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
     3. 단면도-배근도-일반도-주철근조립도-철근상세도
     4. 단면도-배근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일반도

     정답 : []
     정답률 : 55%

55. 국제 및 국가별 표준규격 명칭과 기호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1월)
     1. 국제 표준화 기구 – ISO
     2. 영국 규격 - DIN
     3. 프랑스 규격 – NF
     4. 일본 규격 - JIS

     정답 : []
     정답률 : 79%

56. 건설재료에서 아래의 그림은 무슨 재료 기호인가?(2006년 01월)

    

     1. 유리
     2. 석재
     3. 목재
     4. 점토

     정답 : []
     정답률 : 84%

57. 그림은 평면도상에서 어떤 지형의 절단면 상태를 나타낸 것인가?(2009년 07월)

    

     1. 절토면
     2. 성토면
     3. 수준면
     4. 물매면

     정답 : []
     정답률 : 79%

58. 도면제도에 있어서 등고선의 종류 중 지형표시의 기본이 되는 선으로 가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은?(2008년 10월)
     1. 계곡선
     2. 주곡선
     3. 간곡선
     4. 조곡선

     정답 : []
     정답률 : 49%

59. 한 도면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게 될 때 순서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숨은선 → 외형선 → 절단선 → 중심선
     2.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3. 중심선 → 외형선 → 절단선 → 숨은선
     4. 숨은선 → 중심선 → 절단선 → 외형선

     정답 : []
     정답률 : 75%

60. 문자의 크기는 문자의 어떤 치수로 나타내는가?(2005년 10월)
     1.
     2. 높이
     3. 굵기
     4. 음영

     정답 : []
     정답률 : 86%


정 답 지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12576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토목제도(CAD)


1. 최대 휨모멘트가 일어나는 단면에서 1방향슬래브의 정철근 및 부철근의 중심간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08년 02월)
     1.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3.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4. 슬래브 두께이 3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4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구조설계기준(KCI) 에서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이어야 하고, 또한 300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로 규정하고있다
[해설작성자 : 용욱이]

2. 골재의 표면수는 없고 골재알 속의 빈틈이 물로 차 있는 골재의 함수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10월)
     1. 절대건조 포화상태
     2. 공기 중 건조상태
     3. 표면건조 포화상태
     4. 습윤상태

     정답 : []
     정답률 : 81%

3.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내화성에 대하여 불리하다.
     2. 변형이 작아 진동하지 않는다.
     3. 고강도의 콘크리트와 강재를 사용한다.
     4. 지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4. 콘크리트용 골재가 갖추어야 할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7년 01월)
     1. 알맞은 입도를 가질 것
     2. 깨끗하고 강하면 내구적일 것
     3. 연한 석편, 가느다란 석편을 함유할 것
     4. 먼지, 흙, 유기불순물 등의 유해물을 함유하지 않을 것

     정답 : []
     정답률 : 89%

5. 보강용 섬유를 혼입하여 주로 연성, 균열 억제,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 등을 높인 콘크리트는?(2012년 10월)
     1. 고강도 콘크리트
     2. 섬유보강 콘크리트
     3. 폴리머 시멘트 콘크리트
     4.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1. 고강도 : 일반 콘크리트, 경량골재 콘크리트보다 설계기준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
3. 폴리머 시멘트 : 시맨트와 폴리머를 결합한 콘크리트
4. 프리플레이스트: 특정한 입도를 가진 굵은골재를 거푸집에 채워놓고 빈 공간에 특수한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한 콘크리트

이름을 보고 마추면 된다!
[해설작성자 : 용욱이]

6. 철근 구부리기에 대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7월)
     1. 책임기술자가 승인을 한 경우를 제외하고 철근은 상온에서 구부려야 한다.
     2. 콘크리트 속에 일부가 묻혀있는 철근은 현장에서 구부리지 않는다.
     3. D35 이상 철근은 서서히 가열하여 구부린다.
     4. 설계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면 콘크리트 속에 묻혀 있는 철근도 구부릴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7.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07월)
     1. 동결과 융해
     2. 거푸집의 종류
     3. 물 흐름에 의한 침식
     4. 철근의 녹에 의한 균열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콘크리트 내구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1) 물리/화학적 작용
① 염해 : 염화물 침투로 인한 철근부식
② 알카리골재반응 : 시멘트 알카리성분과 골재중 실리카 성분이 화학반응하여 불용성 화합물 생성
③ 중성화 : 공기중의 탄산가스 및 산성비로 인함
(2) 기상작용
① 동결융해 :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후 해빙기에 내부수분녹으면서 표면이 가라앉음
② 건조수축 : 블리딩현상으로 내구성 저하
③ 온도변화 : 구조체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3) 기계적 작용
① 진도, 충격 : 콘크리트 타설후 7일동안 진동, 충격금지
② 마모, 파손 : 재령 경과후 과하중은 피한다
(4) 시공불량
(5) 설계오류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8.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실제 시험에 의한 설계기준강도(ƒck)와 압축강도의 표준편차(s)를 구했을 때 배합강도 (ƒcr)를 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단, ƒck ≤ 35Mpa 인 경우)(2013년 07월)
     1. ƒcrck+1.34s[㎫], ƒcr=(ƒck-3.5)+2.3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큰 값
     2. ƒcrck+1.34s[㎫], ƒcr=(ƒck-3.5)+2.3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작은 값
     3. ƒcrck+1.64s[㎫], ƒcr=(0.9ƒck+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큰 값
     4. ƒcrck+1.64s[㎫], ƒcr=(0.9ƒck+3s[㎫]의 두 식으로 구한 값 중 작은 값

     정답 : []
     정답률 : 50%

9. 철근콘크리트 보를 설계할 때 극한강도에서 압축 최대 변형률은 얼마로 가정 하는가?(2012년 10월)
     1. 0.001
     2. 0.0015
     3. 0.002
     4. 0.003

     정답 : []
     정답률 : 80%

10. 블리딩을 적게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9년 09월)
     1. 분말도가 높은 시멘트를 사용한다.
     2. 단위수량을 크게 한다.
     3. AE제를 사용한다.
     4. 포졸란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1.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3년 01월)
     1. 동결과 융해
     2. 거푸집의 종류
     3. 물 흐름에 의한 침식
     4. 철근의 녹에 의한 균열

     정답 : []
     정답률 : 89%

12.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을수록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2. AE제, 감수제 등의 혼화제를 사용하면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3. 시멘트량에 비해 골재의 양이 많을수록 워커빌리티가 좋아진다.
     4. 단위수량이 적으면 유동성이 적어 워커빌리티가 나빠진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워커빌리티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는
(1) 시멘트 : 시멘트 양, 분말도, 시멘트 종류
(2) 혼화재 : 포졸란, 플라이애시, AE제, 감수제 등
(3) 골재 : 골재입도, 골재 최대치수, 표면조직과 흡수량 등
(4) 물 : 가장 중요한 요소로 물의 양
(5) 시간과 온도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13. 6KN/m의 등분포하중을 받는 지간 4m의 철근콘크리트 캔틀레버 보가 있다. 이 보의 작용 모멘트는? (단, 하중계수는 적용하지 않는다.)(2012년 02월)
     1. 12 KN·m
     2. 24 KN·m
     3. 36 KN·m
     4. 48 KN·m

     정답 : []
     정답률 : 27%

14. 단철근 직사각형 보를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한 조건으로 최대 철근비는 균형 철근비의 몇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가?(2002년 10월)
     1. 50%
     2. 65%
     3. 75%
     4. 90%

     정답 : []
     정답률 : 56%

15.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1월)
     1. 적정한 온도와 수분으로 양생하면 강도가 높아진다.
     2. 물-시멘트비가 높을수록 강도가 높다.
     3. 좋은 재료를 사용할수록 강도가 높아진다.
     4. 재령기간이 길수록 강도가 높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0%

16. 시멘트의 분말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시멘트의 입자가 가늘수록 분말도가 높다.
     2. 시멘트 입자의 가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분말도라 한다.
     3.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조기강도가 커진다.
     4.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 및 풍화가 생기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시멘트의 분말도가 높으면 균열 발생이 크고 풍화되기 쉽다.
[해설작성자 : ㅇ]

17. 다음 보기의 내용중 괄호에 알맞은 수치는?(2013년 07월)

    

     1. 25
     2. 35
     3. 45
     4. 55

     정답 : []
     정답률 : 81%

18. 철근 크기에 대한 주철근 표준갈고리의 최소 반지름으로 옳은 것은?(2011년 02월)
     1. D10 = 철근 지름의 3배
     2. D16 = 철근 지름의 4배
     3. D25 = 철근 지름의 5배
     4. D32 = 철근 지름의 6배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D16 이하 철근: 철근 지름의 3배 이상
D19 이상 D25 이하 철근: 철근 지름의 4배 이상
D28 이상 D35 이하 철근: 철근 지름의 5배 이상
[해설작성자 : 용욱이]

19. 다음 중 교량의 하부 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7년 01월)
     1. 교대
     2. 교각
     3. 바닥판
     4. 기초

     정답 : []
     정답률 : 54%

20. 사용 재료에 따른 교량의 분류가 아닌 것은?(2002년 10월)
     1. 철근 콘크리트교
     2. 강교
     3. 목교
     4. 거더교

     정답 : []
     정답률 : 71%

2과목 : 철근콘크리트


21. 보기에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공통적인 특징에 해당되는 설명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07월)

    

     1. ㄱ, ㄹ, ㅁ
     2. ㄱ, ㄴ, ㄹ, ㅁ
     3. ㄱ,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콘크리트에 생기는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강선이나 강봉을 미리 긴장시켜 압축 응력을 주어 만든 것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라 한다.
균열인 생기지 않고 처짐이 적으며 지간을 길게 할수 있고 강성이 작아 변형이 크고 진동하기 쉽다

22. 재료의 강도가 크고, 콘크리트에 비하여 부재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지간이 긴 교량을 축조하는데 유리한 토목 구조물의 구조는?(2012년 07월)
     1. 강 구조
     2. 석 구조
     3. 목 구조
     4. 흙 구조

     정답 : []
     정답률 : 88%

23. PS강재에서 필요한 설질로만 짝지어진 것은?(2008년 07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ㄹ
     4.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62%

24. 독립확대 기초의 크기가 2m×3m이고, 허용 지지력이 100kN/m2일 때, 이 기초가 받을 수 있는 하중의 크기는?(2013년 10월)
     1. 100kN
     2. 250kN
     3. 500kN
     4. 600kN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2x3x100
[해설작성자 : 공대생]

25. 슬래브의 배력 철근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배력철근을 배치하는 이유는 가해지는 응력을 고르게 분포시키기 위해서이다.
     2. 정철근 또는 부철근으로 힘을 받는 주철근이다.
     3. 배력철근은 주철근의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4. 배력철근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이나 온도 변화에 의한 수축을 감소시켜 준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배력철근: 하중을 분포시키거나 균열을 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한 보조철근
[해설작성자 : 푸름세상]

26. 한 개의 기둥에 전달되는 하중을 한 개의 기초가 단독으로 받도록 되어있는 확대 기초를 무슨 기초라 하는가?(2008년 07월)
     1. 군말뚝기초
     2. 벽확대기초
     3. 독립확대기초
     4. 말뚝기초

     정답 : []
     정답률 : 84%

27. 구조용 강재나 강관을 축방향으로 보강한 기둥은?(2007년 01월)
     1. 띠철근 기둥
     2. 합성 기둥
     3. 나선 철근 기둥
     4. 복합 기둥

     정답 : []
     정답률 : 52%

28. 다음 그림은 어는 형식의 확대 기초를 표시한 것인가?(2010년 01월)

    

     1. 독립 확대 기초
     2. 경사 확대 기초
     3. 연결 확대 기초
     4. 말뚝 확대 기초

     정답 : []
     정답률 : 83%

29. 철근 콘크리트를 널리 이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2015년 07월)
     1. 검사 및 개조, 해체가 매우 쉽다.
     2. 철근과 콘크리트는 부착이 매우 잘된다.
     3. 콘크리트 속에 묻힌 철근은 녹이 슬지 않는다.
     4. 철근과 콘크리트는 온도에 대한 열팽창 계수가 거의 같다.

     정답 : []
     정답률 : 76%

30. 양안에 주탑을 세우고 그 사이에 케이블을 걸어, 여기에 보강형 또는 보강 트러스를 매단 형식의 교량은?(2010년 01월)
     1. 사장교
     2. 현수교
     3. 아치교
     4. 라멘교

     정답 : []
     정답률 : 46%

31. 도면을 표현형식에 따라 분류할 때 구조물의 구조 계산에 사용되는 선도로 교량의 골조를 나타내는 도면은?(2009년 07월)
     1. 일반도
     2. 배근도
     3. 구조선도
     4. 상세도

     정답 : []
     정답률 : 58%

32. 도로교의 표준트럭하중 DB-24 하중에서 후륜하중은?(2013년 07월)
     1. 24kN
     2. 54kN
     3. 72kN
     4. 96kN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DB-24 =24*4000k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3. 골재의 단면 표시 중 잡석을 나타내는 것은?(2010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34. 토목 구조물의 공통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2012년 07월)
     1. 건설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2. 대부분 자연 환경 속에 놓인다.
     3. 공공의 목적으로 건설된다.
     4. 다량 생산을 전제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35. 도면의 종류에서 복사도가 아닌 것은?(2010년 01월)
     1. 기본도
     2. 청사진
     3. 백사진
     4. 마이크로 사진

     정답 : []
     정답률 : 63%

36. 토목제도에서 보기와 같은 이음은 다음 중 어떤 이음을 나타낸 것인가?(2006년 01월)

    

     1. 철근 용접 이음
     2. 철근 갈고리 이음
     3. 철근의 기계적 이음
     4. 철근의 평면 이음

     정답 : []
     정답률 : 86%

37. 내부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나타낼 때 물체를 절단하여 내부 모양을 나타낸 도면은?(2009년 09월)
     1. 단면도
     2. 전개도
     3. 투상도
     4. 입체도

     정답 : []
     정답률 : 79%

38. 콘크리트의 타설이음부를 표시할 때 가장 적합한 표현방법은?(2009년 01월)
     1. 가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타설 이음부라고 기입한다.
     2. 파선으로 표시하고, 타설이라고 기입한다.
     3. 일점쇄선으로 표시하고, 타설 이음부라고 기입한다.
     4. 이점쇄선으로 표시하고, 타설이라고 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36%

39. CAD시스템에서 성격이 다른 장치는?(2007년 09월)
     1. 키보드
     2. 디지타이저
     3. 태블릿
     4. 플로터

     정답 : []
     정답률 : 68%

40. 다음 중 같은 크기의 물체를 도면에 그릴 때 가장 작게 그려지는 척도는?(2013년 07월)
     1. 1 : 2
     2. 1 : 3
     3. 2 : 1
     4. 3 : 1

     정답 : []
     정답률 : 64%

41. 제도의 통칙에서 한글, 숫자 및 영자의 경우 글자의 굵기는 글자의 높이의 얼마 정도로 하는가?(2004년 10월)
     1. 1/6
     2. 1/7
     3. 1/8
     4. 1/9

     정답 : []
     정답률 : 73%

42. 제도에서 정투상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2009년 09월)
     1. 제1각법과 제2각법
     2. 제2각법과 제3각법
     3. 제3각법과 제1각법
     4. 제4각법과 제1각법

     정답 : []
     정답률 : 85%

43. 그림은 어떠한 구조물 재료의 단면을 나타낸 것인가?(2004년 10월)

    

     1. 점토
     2. 석재
     3. 콘크리트
     4. 주철

     정답 : []
     정답률 : 81%

44. 선, 원주 등을 같은 길이로 분할할 때 사용하는 기구는?(2009년 01월)
     1. 컴퍼스
     2. 디바이더
     3. 형판
     4. 운형자

     정답 : []
     정답률 : 72%

45. 재료 단면의 경계 표시 중 암반면을 나타내는 것은?(2006년 10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지반면(흙)
2. 수준면
3. 암반면
4. 일반면
[해설작성자 : 힘쎈이따감이]

46. 치수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치수선은 표시할 치수의 방향에 평행하게 그린다.
     2. 치수선은 물체를 표시하는 도면의 내부에 그린다.
     3. 여러 개의 치수선을 평행하게 그릴 때 간격은 가급적 다양하게 그린다.
     4. 치수선은 가급적 교차하게 그린다.

     정답 : []
     정답률 : 67%

47. 대형 도면을 인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출력 장치는?(2008년 02월)
     1. 캠코더
     2. 플로터
     3. 스캐너
     4. 팩시밀러

     정답 : []
     정답률 : 71%

48. CAD 시스템으로 작성된 도면을 출력할 때 주로 쓰이는 장치는?(2003년 07월)
     1. 디지타이저
     2. 플로터
     3. 터치 패드
     4. 스캐너

     정답 : []
     정답률 : 72%

49. 굵기에 따른 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2006년 10월)
     1. 가는선
     2. 아주 굵은선
     3. 중심선
     4. 굵은선

     정답 : []
     정답률 : 66%

50.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서 실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접근속도가 빠른 기억 장치는?(2015년 07월)
     1. 캐시메모리(Cache Memory)
     2. DRAM(Dynamic RAM)
     3. SRAM(Static RAM)
     4. ROM(Read Only Memory)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문제는 문제 제기가 가능한 문제입니다.
주기억장치중 DRAM 과 SRAM 있으며, 일반적인 주기억은 DRAM 을 말하며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장치를 캐시메모리라하는데 캐시메모리가 SRAM이기 때문입니다.
[해설작성자 : 제일전산IT영수학원 jumma]

51. 도면에서 윤곽선은 최소 몇 ㎜ 이상 두께의 실선으로 그리는 것이 좋은가?(2011년 02월)
     1. 0.1㎜
     2. 0.2㎜
     3. 0.5㎜
     4. 1.0㎜

     정답 : []
     정답률 : 77%

52. 표제란에 기입할 사항이 아닌 것은?(2013년 01월)
     1. 도면 번호
     2. 도면 명칭
     3. 도면치수
     4. 기업체명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표제란에는 도면 번호, 도면 명칭, 기업체명, 척도, 설계자, 계획자, 심사자, 책임자, 도면작성기관, 작성일, 기타사항 등을 기입
[해설작성자 : 시대토목18]

53.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1월)
     1. 현척은 실제 크기를 의미 한다.
     2. 배척은 실제보다 큰 크기를 의미한다.
     3. 축척은 실제보다 작은 크기를 의미한다.
     4. 그림의 크기가 치수와 비례하지 않으면 NP를 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NP가아닌 NS
[해설작성자 : 붕붕]

54. 구조물 설계를 위한 일반적인 도면의 작도순서로 옳은 것은?(2014년 01월)
     1. 단면도-일반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배근도
     2. 단면도-일반도-배근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
     3. 단면도-배근도-일반도-주철근조립도-철근상세도
     4. 단면도-배근도-철근상세도-주철근조립도-일반도

     정답 : []
     정답률 : 55%

55. 국제 및 국가별 표준규격 명칭과 기호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1월)
     1. 국제 표준화 기구 – ISO
     2. 영국 규격 - DIN
     3. 프랑스 규격 – NF
     4. 일본 규격 - JIS

     정답 : []
     정답률 : 79%

56. 건설재료에서 아래의 그림은 무슨 재료 기호인가?(2006년 01월)

    

     1. 유리
     2. 석재
     3. 목재
     4. 점토

     정답 : []
     정답률 : 84%

57. 그림은 평면도상에서 어떤 지형의 절단면 상태를 나타낸 것인가?(2009년 07월)

    

     1. 절토면
     2. 성토면
     3. 수준면
     4. 물매면

     정답 : []
     정답률 : 79%

58. 도면제도에 있어서 등고선의 종류 중 지형표시의 기본이 되는 선으로 가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것은?(2008년 10월)
     1. 계곡선
     2. 주곡선
     3. 간곡선
     4. 조곡선

     정답 : []
     정답률 : 49%

59. 한 도면에서 두 종류 이상의 선이 같은 장소에 겹치게 될 때 순서로 옳은 것은?(2012년 02월)
     1. 숨은선 → 외형선 → 절단선 → 중심선
     2. 외형선 → 숨은선 → 절단선 → 중심선
     3. 중심선 → 외형선 → 절단선 → 숨은선
     4. 숨은선 → 중심선 → 절단선 → 외형선

     정답 : []
     정답률 : 75%

60. 문자의 크기는 문자의 어떤 치수로 나타내는가?(2005년 10월)
     1.
     2. 높이
     3. 굵기
     4. 음영

     정답 : []
     정답률 : 86%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12576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토목, 제도,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44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82938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2
5243 건설기계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5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112576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241 응용지질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466692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4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23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238 환경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27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237 기계설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6 조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5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235 자동차정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492726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234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09484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233 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0월14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3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사회복지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231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84865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230 인터넷정보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6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29 피부미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232639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22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중보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227 항공무선통신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226 9급 국가직 공무원 전자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1
5225 컬러리스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3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5 Next
/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