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30494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자료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으로 소트(Sort)와 색인(Index)이 있다. 다음 중 두 기능의 차이점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07년 07월)
     1. 소트(Sort)는 내림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2. 소트(Sort)는 오름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3. 색인(Index)은 내림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4. 색인(Index)은 오름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색인은 오름차순만 사용가능하고 정렬(Sort)은 오름차순, 내림차순 둘다 가능하다.

[추가 해설]

소트(Sort): 문서 중 일부분을 가나다(오름차순)순서 또는 그 역순(내림차순)으로 재배열하는 기능으로, 성적 순위나 회원 목록 작성 시 편리함.
색인(Index): 본문 속의 중요한 낱말들을 문서의 제일 뒤에 모아 그 낱말들이 책의 몇 페이지에 있는지 알려주는 기능으로, 오름차순으로 표시함.
[해설작성자 : 꼬부7ㅣ]

2. 다음 중 각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DPI : 인쇄 속도 단위로 인치 당 인쇄되는 점의 크기를 의미 한다.
     2. LPM : 라인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로 분당 인쇄할 수 있는 줄 수를 의미한다.
     3. PPM : 페이지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로 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를 의미한다.
     4. 피치(Pitch) : 인쇄할 문자와 문자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단위로 1인치에 인쇄되는 문자수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DPI : Dot Per Inch (1인치당 점의수) 1인치에 출력되는 점(Dot)의수, 출력물의 인쇄품질(해상도)을 나타내는 단위
2. LPM : Line per Minutes(1분당 출력되는 줄수)
3. PPM : Page per Minutes(1분당 출력되는 쪽수)
4. Pitch : 인치당 인쇄되는 문자수(클수록 문자가 많이들어간다)
[해설작성자 : 부산 대연컴퓨터학원 도야지샘]

3. 다음 중 한자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문서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블록 지정하여 한자를 모두 한글로 변환할 수 있다.
     2. 자주 쓰는 한자 단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한 자씩 변환만 가능하고 새로 등록 할 수 없다.
     3. 한자의 음을 모를 경우에는 부수 또는 총 획수 입력, 외자 입력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4. 한자의 음을 알 경우에는 음절 단위 변환, 단어 단위 변환 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예를 들어 총 10글자를 한자로 변환하려고 하는데
이중에서 3글자가 사전에 등록되지 있지 않다면
등록되어 있는 부분만이라도 변환이 가능합니다.(한번에 두세글자씩도 변환가능.)
그리고 새로 등록도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알려주기 싫음]

4. 다음 중 맞춤법 검사(Spelling Check)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작성된 문서의 내용과 내장된 사전과 비교하여 틀린 단어를 찾아주는 기능이다.
     2.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에 대해서도 검사할 수 있다.
     3. 사전에 없는 단어는 사용자가 추가할 수 있다.
     4. 수식이나 화학식에서도 맞춤법 검사 기능을 이용한 오류 검사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수식이나 화학식은 맞춤법 검사가 불가능 합니다.

5. 다음 중 아래 문단 모양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2009년 10월)

   

     1. 래그드(Ragged)
     2. 들여쓰기(Indent)
     3. 센터링(Centering)
     4. 데시멀 탭(Decimal Tab)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래그드-문서의 한쪽 끝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해요
저 문단모양은 왼쪽끝은 정렬되어있는데 오른쪽끝은 정렬되지 않아서 가장 관련이있어요

6. 다음 중 목차 만들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목차 만들기의 결과는 본문 파일의 머리말 영역에 삽입된다.
     2. 제목 목차뿐만 아니라 표 목차의 구성도 가능하다.
     3. 주로 문서의 분량이 클 때 활용된다.
     4. 목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차에 포함될 항목을 표시해 두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목차 만들기 결과는 따로 파일이 만들어 집니다.

7. 다음 중 공문서의 작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1. 문건 별 면 표시는 왼쪽 하단에 표시하고, 문서철별 면 표시는 중앙 하단에 표시한다.
     2. 문서를 수정할 경우에는 원안의 글자를 알 수 있도록 당해 글자의 중앙에 가로로 두선을 그어 수정하고, 수정한 자가 그 곳에 서명 또는 날인한다.
     3. 시행문을 정정한 때에는 문서의 여백에 정정한 글자 수를 표기하고 관인을 찍어야 한다.
     4. 금액을 표기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되, 숫자 다음의 괄호 안에 한글로 기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문건별 면 표시는 중앙 하단에 표시하고 문서철별 면 표시는 우측 하단에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소라]

8.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화면 표시 기능과 관련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눈금자를 사용하면 왼쪽과 오른쪽 여백, 들여쓰기, 내어쓰기, 탭 설정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2. 상태 표시줄에는 커서가 있는 쪽 번호, 커서 위치, 삽입 또는 수정 상태, 자판의 종류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3. 문서를 작성할 때 화면을 상 • 하 • 좌 • 우로 이동하는 기능을 스크롤(Scroll)이라고 한다.
     4. 작업 화면의 표준 도구 모음에는 제어 상자, 제목, 창 조절 단추 등이 표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 도구 모음 (도구상자)는 문서 작업을 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아이콘화하여 비슷한 기능을 모아 놓은 곳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위치를 바꾸거나 재구성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심지]

9. 다음 워드프로세서의 인쇄용지 중 낱장 용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낱장 인쇄용지 중 크기가 가장 큰 용지는 A1이다.
     2. 낱장 인쇄용지의 가로 : 세로의 비율은 1 : 2이다.
     3. B4는 A4보다 크기가 2배 크다.
     4. 규격은 전지의 종류와 전지를 분할한 횟수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A1이 아니고 B1이며, 자르기 전의 전지를 생각하자면 B0이 크기가 가장 큽니다
2. 1:2가 아니고 1:√2입니다
3. B4가 A4보다 큽니다. (A4의 2배크기는 A3지 B4라고 하긴 좀 어렵습니다)

10. 다음 중 고속의 CPU와 저속의 프린터 장치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법으로 인쇄를 하면서 동시에 다른 작업이 가능한 기능은?(2013년 10월)
     1. 스풀링(Spooling)
     2. 프린터드라이버(Printer Driver)
     3. 레이아웃(Layout)
     4. 소프트카피(Soft Copy)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 프린터 드라이버: 워드프로세서 등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만들어진 서로 다른 출력 데이터를 어느 특정한 프린터 모델이 요구하는 형태로 번역해 주는 소프트웨어
3. 레이아웃 : 문서작성에서 본문의 표제 그림, 표 등을페이지의 적당한 위치에 균형있게 배치하는것
4. 소프트카피 : 비디오 영상이나 소리와 같이 인쇄물이 아닌 다른 형태로 자료를 표시하는 것
[해설작성자 : 한라컴 듀잇]

11. 다음 문장의 논리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3월)

    

     1. 반증법
     2. 귀납법
     3. 대조법
     4. 연역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연역적 구성 : 일반적인 원리를 제시한 다음 구체적인 사실을 이끌어 내는 두괄식 구성. 중심 생각이 담긴 중심 문장의 위치가 해당 문단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두괄식 구성. 독자들이 글을 읽으면서 중심 생각을 쉽게 찾을 수 있음.
EX) 모든사람은 죽는다.
        이순신은 사람이다.
        그러므로 이순신은 죽을 것이다.
[해설작성자 : ㅋ]

귀납적 구성
-구체적, 개별적 사실들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원리를 이끌어 내는 구성.
-중심 생각이 담긴 중심 문자의 위치가 해당 문단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하는 미괄식 구성.
장점 : 강조하고자 하는 내용을 마지막에 담아 더욱 강조할 수 있음
예)김유신, 신사임당, 이순신은 사람이다.
     김유신, 신사임당, 이순신은 죽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죽는다.
[해설작성자 : jelly]

-중심 생각이 담긴 중심 문자의 위치가 해당 문단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하는 미괄식 구성.

예) 주몽, 이순신, 세종대왕은 사람이다.
주몽, 이순인, 세종대왕은 죽었다.
[해설작성자 : 시험 ㄱ같은거^^]

12. 다음 중 비트맵 방식의 벡터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a, b, c 는 비트맵과 벡터가 반대로 된 것입니다.
벡터는 확대축소해도 매끄럽게 나타나며
비트맵은 점으로 구성되어있어 점이 많을수록 글씨가 세밀해지는것입니다^^

13. 다음 중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8월)
     1. 오픈 타입(Open Type)
     2. 트루 타입(True Type)
     3.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4. 비트맵(Bitmap) 방식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압축된 글꼴-->오픈타입    윈도우 기본글꼴-->트루타입     확대했을경우 울퉁불퉁한 계단모양 표시->비트맵    세가지는 잘 외워두세요.

14. 다음 중 공문서의 내용 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날짜를 표기할 때에는 숫자로 표기하되 연월일의 글자는 생략하고, 그 자리에 온점을 찍어 구분한다.
     2. 시간을 표기할 때에는 24시각제에 따라 숫자로 표기한다.
     3. 금액을 표기할 때에는 한글로 숫자를 표기하고, 괄호 안에 아라비아 숫자로 기재한다.
     4. 숫자를 표기할 때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금액을 표기할 때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숫자를 표기하고, 위변조를 막기위해 필요시 괄호 안에 한글로 숫자를 기재한다.
[해설작성자 : 상아탑컴퓨터학원 김건기 ☎031-634-2374]

15. 다음 중 컴퓨터 등 정보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이미지 형태로 사용되는 관인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9년 10월)
     1. 전자이미지관인
     2. 전자관인
     3. 전자이미지서명
     4. 전자문서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문제에 답이 있습니다. 전자적인 이미지 형태의 관인 : 전자이미지관인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16. 다음 문장을 효과적으로 입력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08년 10월)

    

     1. 복사하기의 사용
     2. 상용구(Glossary)의 사용
     3. 매크로(Macro)의 사용
     4.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의 사용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번은 주석이나 메모가 들어가기 위해 따로 설정된 구역을 말합니다.

17. “관인에는 행정기관의 명의로 발송 또는 교부하는 문서에 사용하는 ( )과 행정기관의 장 또는 보조기관의 명의로 발송 또는 교부하는 문서에 사용하는 ( )으로 구분한다” 에서 ( )안에 들어갈 적당한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09년 04월)
     1. 직인, 청인
     2. 청인, 직인
     3. 직인, 인영
     4. 인영, 직인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행정기관은 구청, 경찰청, 시청 등등 청자로 끝나죠? 그래서 청인이 행정기관의 명의로 사용되는 것은 청인이고, 보조기관은 직인이라고 외우면 됩니다^^
[해석작성자 : 이성민]

18.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문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문단의 시작부분은 들여쓰기나 내어쓰기를 할 수 있다.
     2. 문단의 가운데 정렬이란 글자를 가운데로 모으는 정렬 방식이다.
     3. 한 행의 내용이 다 채워지지 않으면 커서는 다음행으로 절대 이동할 수 없다.
     4. 문단 정렬은 별도의 영역지정 없이도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한 행의 내용이 채워지지 않아도 커서가 이동할수 있습니다. Enter키를 누르면 다음행으로 이동합니다. 이것을 [강제개행] 이라고 하죠.
[해설작성자 : 딸기머핀]

19. 다음 중 전자출판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리터칭(Retouching) :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2. 오버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을 때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3. 필터링(Filtering) : 작성된 그림을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탈바꿈시켜 주는 기능이다.
     4. 클립아트(Clip Art) : 작업문서에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그림을 모아 둔 작은 그림의 모음집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오버프린트는 문자위에 겹쳐서 문자를 중복인쇄하는것을 말합니다.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을 때에 발생하는 현상은 스프레드(Spread)에 대한 설명입니다.

20. 다음 중 공문서의 기안 및 업무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문서의 기안은 전자 문서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수신한 종이문서를 수정하여 기안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문서의 글자 색과 다른 색으로 수정한다.
     3. 각종 증명 발급, 회의록 및 단순 사실을 기록한 문서인 경우에는 발의자와 보고자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4. 행정편람은 부서별로 작성하며 업무의 처리 절차 및 흐름도, 소관 보존 문서 현황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행정편람 : 업무처리 절차와 기준, 장비운용 방법, 기타 일상적 근무 규칙 등에 관하여 각 업무 담당자에게 필요한 지침, 기준 또는 지식을 제공하는 업무지도서 또는 업무참고서.

4번은 직무편람에 관한 말.
[해설작성자 : ㅋ]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시작 메뉴에 있는 [시스템종료] 단추의 펼침 메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사용자 전환: 현재 로그온 한 사용자 계정 작업 상태를 그대로 두고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환하여 컴퓨터에 손쉽게 로그온할 수 있다.
     2. 로그오프: 사용하던 프로그램은 모두 닫히지만 컴퓨터는 꺼지지 않는다.
     3. 잠금: 사용 중인 사용자 계정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컴퓨터를 켜놓은 상태로 잠그면 사용자 암호를 입력해야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4. 다시 시작: 변경된 Windows 설정을 저장하고 메모리에 있는 모든 정보를 이동식 디스크에 저장한 후에 시스템을 다시 시작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다시 시작: 열려 있는 프로그램을 모두 닫고 Windows를 종료한 다음 Windows를 다시 시작한다.
[해설작성자 : 다이Ah몬드]

[관리자 입니다.
4번이 틀린 이유는 보기에서
메모리에 있는 모든 정보를 이라고 되어 있는데
메모리의 모든 정보를 저장하지는 않습니다.
설정 등과 관련된 필요한 정보만 저장하며
보기에서는 이동식 디스크에 저장한다고 되어 있는데
보통은 부팅시 사용된
HDD 디스크나 SSD에 저장됩니다.
HDD 및 SSD는 이동식 디스크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들고 다닐수는 있지만요. ㅎㅎ
보통 보조기억장치로 분류됩니다.]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시스템 도구]에 있는 [디스크 조각 모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디스크 조각 모음] 작업을 수행하려면 컴퓨터 관리자 계정이 필요하다.
     2. 해당 볼륨에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해야만 해당 볼륨에 대한 [디스크 조각 모음]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3. 하드디스크에 기록하고 지우는 과정에서 디스크 단편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제거할 수 있다.
     4. 하드디스크의 입출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해당 볼륨에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해야만 가능한것은 [디스크 오류 검사] 입니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바로 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윈도우 로고> + <D> : 열려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하여 바탕 화면이 표시되거나 이전 크기로 복원
     2. <Alt> + <Tab> : 실행중인 각 프로그램 간의 작업 전환
     3. <Ctrl> + <Shift> + <ESC> : 작업관리자 창 바로 열기
     4. <윈도우 로고> + <R> : 윈도우 재부팅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번의 단축키를 이용한다면 실행창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시작 메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시작] 단추를 누르면 오른쪽 위에는 현재 로그온한 사용자의 로고가 표시된다.
     2. [모든 프로그램] 항목을 누르면 내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목록이 나타난다.
     3. [시작] 메뉴의 프로그램 목록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4. [시작] 메뉴의 링크, 아이콘 및 메뉴의 모양과 동작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작 메뉴의 링크, 아이콘 및 메뉴의 모양과 동작은 사용자가 변경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페페]

25.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사용하지 않는 파일을 제거한다.
     2. 최근에 시스템 복원한 내용을 제외하고 모두 제거한다.
     3. 드라이브나 폴더의 압축을 수행한다.
     4.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단편화 제거는 디스크조각모음이다. 이 기능은 용량과 관련없고 시스템 속도가 빨라지는 역할을 한다.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작업 표시줄 잠금이나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2. [작업 표시줄]에서 사용하는 글꼴이나 글자색을 설정할 수 있다.
     3. 시작 메뉴에 표시할 최근 프로그램 수를 조정할 수 있다.
     4. [작업 표시줄]에 표시할 도구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작업 표시줄'탭에서 작업 표시줄 잠금이나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시작 메뉴'탭에서 시작 메뉴에 표시할 최근 프로그램 수를 조정할 수 있다.
'도구 모음'탭에서 작업 표시줄에 표시할 도구 모음을 지정할 수 있다.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임의의 폴더 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폴더와 파일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큰 아이콘, 자세히, 나란히 보기로 3가지가 있다.
     2. 탐색창에서 특정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오른쪽 숫자 키패드의‘*’키를 누르면 드라이브 내의 모든 폴더가 트리구조로 표시된다.
     3. 연속적인 파일을 선택하고자 할 때에는 <Shift> 키와 함께 클릭한다.
     4. 특정 폴더에 대해 압축(ZIP) 폴더를 만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작은아이콘, 목록, 나란히, 내용 등 다양하게 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민지아빠]

28. 한글 Windows XP의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시스템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시스템 정보]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고 표시한다.
     2. 내 시스템의 하드웨어 리소스와 소프트웨어 환경 등을 보여준다.
     3. [파일] 메뉴의 [내보내기]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4. 구성 요소 항목에는 시스템 드라이버 등 소프트웨어의 파일명, 상태 등이 표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시스템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의 파일명, 상태는 소프트웨어 환경에 표시되며 구성요소의 항목이 아닙니다^0^
[해설작성자 : 키티사줘]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작업 표시줄 내에 있는 [시작] 단추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탐색]을 선택하여 실행한다.
     2. 수직으로 두 개의 창으로 구분되며, 왼쪽은 작업목록 창이고 오른쪽은 탐색 창이다.
     3. [탐색기]의 작업목록 창에서는 큰 아이콘, 아이콘, 간단히, 자세히 등의 보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4. 탐색 창에서 하위 폴더가 있을 경우에 [+]로 보이며, 하위 폴더를 감추려면 [-]를 클릭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왼쪽이 탐색창이고, 오른쪽이 작업목록 창입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보조 프로그램인 [그림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그림판에서는 BMP, GIF, TIF, PNG, JPG 형식 등으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2.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수평선, 수직선, 정사각형, 정원을 그릴 수 있다.
     3.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그림을 그릴 경우에는 연필과 붓 모두 ‘색 2(배경색)’에 설정된 색으로 그려진다.
     4. 그림판에서 작성한 그림을 Windows 바탕 화면의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마우스의 왼쪽 버튼은 전경색, 오른쪽 버튼은 배경색으로 그려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그림판]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입니다.
기본적은 저장 파일은 PNG이며 BMP, GIF, JPG, TIF, 등 형식의 파일을 편집 가능합니다.
그림판의 이미지는 윈도우 배경화면으로 설정 가능하며 전자 메일로도 전송이 가능합니다.
SHIFT키를 누름으로 정사각형이나 정원, 수직.수평선을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마우스 왼쪽 버튼은 전경색(색1), 오른쪽 버튼은 배경색(색2)로 그려집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1. 다음 중 한글Windows 7에서 문서 인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프린터] 메뉴 중 [모든 문서 취소]는 스풀러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 중 오류가 발생한 문서에 대해서만 인쇄 작업을 취소한다.
     2. 일단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이 시작된 경우라도 잠시 중지 시켰다가 다시 인쇄할 수 있다.
     3. 인쇄 대기 중인 문서를 삭제하거나 출력 대기 순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4. 인쇄중 문제가 발생한 인쇄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스풀링된 문서를 제외한 문서들의 인쇄가 모두 취소됩니다.
[해설작성자 : 왕도치]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구성 요소인 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사용자가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나 파일 엑세스를 지원한다.
     2. 파일이나 프린터 공유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3. 사용자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4.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구성 요소인 서비스에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있습니다.

서비스: 내 컴퓨터에 설치된 파일, 프린터 등의 자원을 다른 컴퓨터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각기나구 밍밍]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프린터의 추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이용하여 새로운 프린터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설치할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할 수 있다.
     2. 하나의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의 수는 10대까지 가능하다.
     3. 추가할 프린터는 연결 상태에 따라 로컬 프린터와 네트워크 프린터로 구분된다.
     4. [프린터 및 팩스] 창에서 [파일]-[프린터 추가] 메뉴를 선택하면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의 수는 제한이 없습니다.
단, 기본프린터는 1대만 가능합니다.

34. 한글 Windows XP 운영체제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11월)
     1. USB를 지원하기 때문에 새로운 하드웨어를 쉽게 추가할 수 있으며,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도 새로운 하드웨어를 설치한 다음 바로 사용할 수도 있다.
     2. 시스템 도구를 이용하면 정기적으로 하드디스크를 테스트하고 시스템 파일을 점검할 수 있으며 일부 문제는 자동해결 가능하다.
     3. 윈도와 프로그램이 더 빨리 열리고 실행되며, FAT64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파일을 저장하고 하드디스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4. 전원관리 기능으로 최대 절전 모드 전환이 가능하고 시스템 관리 마법사를 사용하면 컴퓨터의 속도와 효율성을 쉽게 개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윈도우 XP는 FAT32와 NTFS파일 시스템중에서 선택사용 가능.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장치 관리자] 창에서 설치된 실제 하드웨어를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해당 하드웨어의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2. 해당 하드웨어에 대해 [사용 안함]을 지정할 수 있다.
     3. 해당 하드웨어의 설치된 드라이버를 제거할 수 있다.
     4. 해당 하드웨어의 [이름 바꾸기]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하드웨어의 이름은 이미 정해진 것이라 바꿀 수 없습니다. 비*500이나 박*스 등의 이름을 저희가 마음대로 바꿀 수 없듯이 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알파초코우유]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제어판에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같은 유형의 파일 형식 또는 프로토콜별로 연결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2. 파일 형식 또는 프로토콜이 항상 특정 프로그램에서 열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3. 컴퓨터에 삽입된 CD 또는 미디어 유형에 따라 각각에 맞게 자동으로 수행할 작업을 지정할 수 있다.
     4. 컴퓨터에 설치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나 제거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프로그램 제거는 프로그램 및 기능탭에서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준콩]

[기본 앱(프로그램)]
파일 형식별로 특정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사용할 앱(프로그램)을 지정하는 기능입니다.
기본 앱은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필수는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자원 공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된 드라이브나 폴더를 사용하려면 [내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한다.
     2. 해당 호스트 컴퓨터가 사용 가능하지 않아도 연결된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다.
     3.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도 [내 컴퓨터]의 드라이브처럼 폴더의 생성 및 삭제가 가능하다.
     4. 공유할 드라이브나 폴더의 등록 정보 대화상자에서 공유할 파일의 형식을 설정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해당 호스트 컴퓨터가 사용 가능해야지 연결된 드라이브를 사용할수있습니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로컬 영역 연결 속성]에서 TCP/IPv4와 TCP/IPv6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TCP/IPv4는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8비트씩 4개의 10진수를 온점(.)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2. TCP/IPv6는 128비트 주소체계를 사용하며 16비트씩 8부분의 16진수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3. TCP/IPv4와 TCP/IPv6 모두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설정하여야 한다.
     4. TCP/IPv4와 TCP/IPv6는 서로 충돌이 생기므로 한 대의 컴퓨터에는 한 가지 방식으로만 IP주소를 지정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TCP/IPv4와 TCP/IPv6이 자동으로 설치된다

ip 주소는 단말기가 아닌 해당 포트에 지정되게됩니다.
ip가 여러개라는것은 포트가 여러개란 뜻이고, 거기에 맞는 ip형식이
갈리는것이기때문에 충돌은 없습니다. 소프트웨어적인 제한이 따를순있지만
문제의 요지는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얼짱 박찬호]

[IPv4]
32bit 주소로 8bit씩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진수로 표시하며 0 ~ 255까지 각 부분을 3자리 숫자로 표시합니다.
각 부분을 . (온점)으로 구분합니다.
네트워크 길이에 따라 A클래스 ~ E클래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Pv6]
128bit 주소로 16bit씩 8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6진수로 표시합니다.
각 부분을 : 콜론으로 구분합니다.
유니, 애니, 멀티 캐스트 3종류로 분류합니다.

↘[IPv6 특징]
IPv4의 주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IPv4와 호환성이 좋아 현재 v4와 v6를 함께 사용 중입니다.
각 부분이 0으로 연속된 경우 ::와 같이 표시하여 생략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9.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탐색기]에서 명령어 처리기인 COMMAND.COM 파일이 COMMAND라고만 표시되어 있다.파일의 확장자가 보이게 표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2008년 10월)
     1. 주 메뉴 [도구]의 [폴더 옵션]-[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관한 옵션을 해제한다.
     2. 주 메뉴 [보기]의 [폴더 옵션]-[파일 형식] 탭에서 ‘알려진 파일형식 등록하기’를 선택한다.
     3. 해당 폴더의 등록정보 창에서 파일 확장명 보이기를 체크한다.
     4. COMMAND 파일을 찾아서 파일명을 COMMAND.COM으로 바꾼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주 메뉴 [도구]의 [폴더 옵션]-[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관한 옵션을 해제를 하면 파일의 확장자가 보인다.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폴더 창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9월)
     1. 연속되는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려면 마우스 끌어놓기로 선택 영역에 포함하면 된다.
     2. 연속되는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려면 첫째 항목을 클릭한 다음에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지막 항목을 클릭하면 된다.
     3. 연속되어 있지 않은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려면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각 항목을 클릭하면 된다.
     4. 모든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일부 파일이나 폴더의 선택을 취소할 경우에는 [Alt] 키를 누른 상태로 원하는 항목을 차례로 선택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모든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일부 파일이나 폴더의 선택을 취소할 경우에는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원하는 항목을 차례로 선택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1. 컴퓨터를 이용하여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06년 08월)
     1. 업무분석→입출력 설계 및 흐름도 작성→문서화→코딩→번역 및 오류수정→테스트→실행
     2. 업무분석→입출력 설계 및 흐름도 작성→코딩→번역 및 오류수정→테스트→실행→문서화
     3. 업무분석→테스트→문서화→입출력 설계 및 흐름도 작성→번역 및 오류수정→코딩→실행
     4. 업무분석→입출력 설계 및 흐름도 작성→코딩→번역 및 오류수정→실행→문서화→테스트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분석->흐름도작성->......... 실행->문서화

42. 다음 중 사람이 물체를 판단하듯이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사물의 형태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물의 형태를 파악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2010년 09월)
     1. 패턴 인식 시스템
     2. 음성 인식 시스템
     3. 자동화 시스템
     4. 비전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패턴 인식 시스템 : 기계에 의하여 도형,문자,음성 등을 식별
-음성 인식 시스템 : 음성을 기계로 식별
-자동화 시스템 : 공장자동화, 물류자동화, 생산자동화 등
[해설작성자 : SCA김쌤]

4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9년 08월)

    

     1. HMD(Head Mounted Display)
     2. 태블릿 PC
     3. 노트북 컴퓨터
     4. 랩탑 컴퓨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아이패드나 갤럭시 탭을 생각하고 본문을 읽으면 태블릿 pc네요
[해설작성자 : 오늘셤이다]

[태블릿 (Tablet PC)]
태블릿 PC는 노트북의 휴대성과 PDA의 편의성을 결합한 모바일 기기로, 스타일러스 펜과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입력합니다.
필체 인식 기능을 통해 문자나 그림을 입력할 수 있으며, 무선랜을 통해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합니다.
LCD에 터치패널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4. 다음 중 대역폭이 적은 통신매체에서도 전송이 가능하고 양방향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동영상 압축 기술은?(2007년 03월)
     1. MPEG 2
     2. AVI
     3. MPEG 4
     4. DIV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MPEG 2 : 방송망(HDTV)이나 고속망 환경에 적합, MPEG-3 흡수.
2.AVI : MS사가 개발한 디지털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비디오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 내용 압축 가능
3.MPEG 4: MPEG 2를 개선한 것으로 동영상 데이터 전송이나 전화선을 이용한 화상회 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개발
4.DVI : 디지털 TV를 만들기 위한 영상압축기술이던 것을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동영상 압축기술로 발전시킴(대량의 영상과 음향 데이터를 압축해서 CD-ROM에 저장 가능)

45. 다음 중 “트로이 목마” 형태의 프로그램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8년 05월)
     1. 지속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서 정보를 유출하거나 컴퓨터를 원격 제어한다.
     2.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실행된다.
     3. 컴퓨터 사용자가 트로이 목마의 침입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자기복제 기능을 사용한다.
     4. 바이러스나 웜처럼 직접 컴퓨터에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트로이 목마에 대한 감염사실을 인식하기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트로이목마는 컴퓨터 사용자가 침입을 인식할수 없도록 하기위해 자기 복제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컴퓨터로 침입하기 위하여 자기복제 기능을 사용합니다. 바이러스는 자기 복제를 통하여 다른 컴퓨터 및 현 컴퓨터에 더많은 바이러스를 증식 시킵니다.

46. 다음 중 목적 프로그램을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연결시켜 실행 가능한 모듈로 생성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2006년 08월)
     1. Linker(링커)
     2. Loader(로더)
     3. Debugger(디버거)
     4. Assembler(어셈블러)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원시프로그램->컴파일러->목적프로그램->링커->로드모듈->로더(적재기)->실행

47. 다음 중 자료 처리의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바이트는 하나 이상의 워드가 모여서 이루어지는 단위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논리적인 단위이다. 파일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며,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기본 항목이다.
     2. 레코드는 관련된 하나 이상의 워드가 모여 구성되며, 프로그램 안에서 자료를 처리하거나 삭제하고 추가하는 기본 단위이다.
     3. 파일은 같은 성질을 갖는 여러 개의 레코드를 합한 것으로, 자료 표현의 가장 큰 단위이며 업무 처리를 위한 기본 단위이다.
     4.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관련 행과 열이 모여 구성되어, 특정 체계에 의해 데이터를 분류하여 정해 놓은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자료 처리 단위에서 물리적단위에는 비트, 바이트, 워드가 있고 논리적 단위에는 필드, 레코드, 파일,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비트는 자료(정보)표현의 최소 단위로 2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2진수 1자리이다
바이트는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단위로 8개의 비트가 모여 1바이트를 구성한다.
워드는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있는 명령 단위로 하프워드, 풀워드, 더블워드로 분류된다.
필드는 파일구성의 최소 단위로 의미 있는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이다
레코드는 자료처리단위로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필드가 모여서 구성된다.
파일은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단위로, 여러 레코드가 모여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관련된 파일의 집합이다.
[해설작성자 : 조팀장]

비트 : 자료(정보) 표현의 최소 단위
니블 : 4개의 비트가 모여 1개의 니블 구성
바이트 :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8개의 비트가 모여 1바이트 구성
워드 :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
필드 :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
레코드 :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필드가 모여 구성되는 자료 처리 단위
파일 : 여러 레코드가 모여 구성되는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단위
데이터베이스 : 여러 개의 관련된 파일의 집합

48. 다음 중 비트맵 표현 방식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pixel 단위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2. 벡터 방식에 비해 기억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3. 화면에 보여주는 속도가 빠르다.
     4. BMP, PCX, JPG 등의 파일 형식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비트맵은 기억공간을 많이 차지합니다

49. 정보보안에서 송수신자가 송수신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을 막기 위한 기능을 의미하는 용어는?(2015년 06월)
     1. 기밀성
     2. 무결성
     3. 부인방지
     4. 접근제어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라고 표기 돼 있으니,
부인방지가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인정보고등학교]

50. 다음 중 전송 매체인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코어와 클래딩, 코팅 부분으로 구성된다.
     2. 넓은 대역폭을 제공하므로 데이터의 전송률이 높다.
     3. 가늘고 가벼우며 외부 잡음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4. 다른 전송 매체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가이며, 시공이 쉽기 때문에 가정용 전화기나 개인용 컴퓨터 연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광케이블은 넓은 대역폭을 제공하지만,
시공이 어려우며 설치비용도 고가인 단점이 있다.

51. 다음 중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정의한 국제표준규격 통신 프로토콜인 OSI 7계층 모델의 물리적 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맡으며 링크의 확립, 유지, 단절의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은?(2011년 06월)
     1.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3. 세션 계층(Session Layer)
     4.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문제 해설>
1계층 물리 계층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확립, 유지, 단절의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
3계층 네트워크 계층
4계층 전송 계층
5계층 세션 계층
6계층 표현 계층
7계층 응용 계층
[해설작성자: 내일시헙봄)

52. 다음 중 연산된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는 어느 것인가?(2013년 03월)
     1. 명령 레지스터
     2. 누산기
     3. 프로그램 카운터
     4. 인덱스 레지스터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누산기 :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합니다.(속도 향상 목적)
명령레지스터 : 명령어를 저장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 수행 명령번지 기억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3. ISO에서 제정한 개방형 시스템의 상호 접속을 위한 OSI 참조 모델을 하위 계층부터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06년 11월)
     1.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2. 물리 - 네트워크 - 데이터링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3. 물리 - 네트워크 - 전송 - 데이터링크 - 세션 - 표현 - 응용
     4. 물리 - 데이터링크 - 전송 - 네트워크 - 세션 - 표현 - 응용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물리-데이터링크-네트워크-전송-세션-표현-응용
앞글자를 따서 물-데-네-전-세-표-응 입니다.

54. 다음 중 데이터의 표현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숫자를 표현하는 부동 소수점 표현은 고정 소수점 표현에 비해 큰 수나 작은 수를 표현하기 때문에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2. 문자 표현 방법 중 확장된 2진화 10진 코드(EBCDIC)는 8비트로 표현하며, ASCII 코드는 7비트로 표현한다.
     3. 그레이(Gray)코드는 각 자리 수에 고유한 값을 부여한 코드로, 가중치 코드에 속하며 보수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4. 고정 소수점 표현은 정수 표현 형식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표현 범위가 좁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그레이 코드는 수의 크기가 변할 때 인접한 수 사이에 한 자리 만 변하게 만들어진 코드이다.
[해설작성자 : 으어허어헣]

그레이코드는 코드의 인접하는 코드를 X-OR 연산하여 만든코드로 비가중치 코드이다
[해설작성자 : 그레이코드]

[그레이코드(Gray Code)]
가장 대표적인 비가중치(자리값이 없는)코드로 인접 코드 간 오직 한자리만 변화하게(XOR 연산) 만들어진 코드입니다.
1bit씩만 빠르게 변하기에 입출력 장치,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등에서 숫자를 표현할때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1bit씩 변화시켜 수치를 증감 하기에 하드웨어 적인 오류가 적은 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5.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바이러스는 외부로부터 감염되므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에는 최신 버전의 백신을 사용하여 점검한 후에 사용한다.
     2. 중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정기적으로 백업을 해야 한다.
     3. 최신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점검한다.
     4.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자신의 모든 파일은 가급적 공유 폴더를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유 폴더를 이용하면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됩니다.
[해설작성자 : 야매로]

56.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중 하나가 메모리 업그레이드이다. 다음 중 메모리 업그레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메인보드에 램을 꽂을 자리인 램 뱅크가 있는지 확인한다.
     2. 램의 형태, 속도, 핀 수, 용량 등을 확인한다.
     3. 메인 보드에서 지원하는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확인한다.
     4. 램의 속도 단위인 NS의 수치가 큰 것을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램은 속도 단위인 ns가 작은 수치인 것을 선택하여야 하며
해당 수치는 지연 속도를 의미 하기에 작은 수치를 선택 합니다.

57. 다음 중 코드 조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조합 프로그램을 암호형 바이러스에 덧붙여 감염시켜서, 실행될 때마다 바이러스 코드 자체를 변경시켜 식별자로는 구분하기 어렵게 하는 바이러스는 무엇인가?(2010년 09월)
     1. 원시형 바이러스
     2. 은폐형 바이러스
     3. 다형성 바이러스
     4. 매크로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코드 조합을 다양하게" 라는 단어를 통하여 다형성 바이러스 임을 알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8.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와 유포를 막고 저작권 보유자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20년 07월)
     1. PICS(Platform for Internet Contents Selection)
     2. DCRP(Digital Contents Rights Protection)
     3.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4.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PICS : 웹 사이트 내용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근하도록 해주는 기반 구조
DCRP : 올바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
CRM(고객관계관리) : 고객과 관련된 기업의 내외부 자료를 분석, 통합하여 고객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지원하며, 평가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59. 다음 중 메인보드에 간단히 끼울 수 있는 형태의 램으로 현재 대부분의 메인보드에서 채택하고 있는 것은?(2006년 08월)
     1. Dip RAM
     2. Module RAM
     3. PCMCIA
     4. Register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모듈 램)자주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문제와 답을 꼭 외우세요.

60. 다음 중 CPU에 있는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명령어 레지스터 -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2. 프로그램 카운터 - 다음에 수행될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3. 인덱스 레지스터 -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4. 상태 레지스터 - 연산 수행 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인덱스 레지스터는 주소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레지스터, 산술연산및 논리연산 결과 기억하는 것은 누산기(ACC)->어큐멀레이터


정 답 지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304940)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워드프로세싱 일반


1. 자료를 쉽게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능으로 소트(Sort)와 색인(Index)이 있다. 다음 중 두 기능의 차이점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2007년 07월)
     1. 소트(Sort)는 내림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2. 소트(Sort)는 오름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3. 색인(Index)은 내림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4. 색인(Index)은 오름차순만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색인은 오름차순만 사용가능하고 정렬(Sort)은 오름차순, 내림차순 둘다 가능하다.

[추가 해설]

소트(Sort): 문서 중 일부분을 가나다(오름차순)순서 또는 그 역순(내림차순)으로 재배열하는 기능으로, 성적 순위나 회원 목록 작성 시 편리함.
색인(Index): 본문 속의 중요한 낱말들을 문서의 제일 뒤에 모아 그 낱말들이 책의 몇 페이지에 있는지 알려주는 기능으로, 오름차순으로 표시함.
[해설작성자 : 꼬부7ㅣ]

2. 다음 중 각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DPI : 인쇄 속도 단위로 인치 당 인쇄되는 점의 크기를 의미 한다.
     2. LPM : 라인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로 분당 인쇄할 수 있는 줄 수를 의미한다.
     3. PPM : 페이지 프린터의 인쇄 속도 단위로 분당 인쇄되는 페이지 수를 의미한다.
     4. 피치(Pitch) : 인쇄할 문자와 문자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는 단위로 1인치에 인쇄되는 문자수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DPI : Dot Per Inch (1인치당 점의수) 1인치에 출력되는 점(Dot)의수, 출력물의 인쇄품질(해상도)을 나타내는 단위
2. LPM : Line per Minutes(1분당 출력되는 줄수)
3. PPM : Page per Minutes(1분당 출력되는 쪽수)
4. Pitch : 인치당 인쇄되는 문자수(클수록 문자가 많이들어간다)
[해설작성자 : 부산 대연컴퓨터학원 도야지샘]

3. 다음 중 한자 입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6월)
     1. 문서의 일부분 또는 전체를 블록 지정하여 한자를 모두 한글로 변환할 수 있다.
     2. 자주 쓰는 한자 단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한 자씩 변환만 가능하고 새로 등록 할 수 없다.
     3. 한자의 음을 모를 경우에는 부수 또는 총 획수 입력, 외자 입력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4. 한자의 음을 알 경우에는 음절 단위 변환, 단어 단위 변환 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예를 들어 총 10글자를 한자로 변환하려고 하는데
이중에서 3글자가 사전에 등록되지 있지 않다면
등록되어 있는 부분만이라도 변환이 가능합니다.(한번에 두세글자씩도 변환가능.)
그리고 새로 등록도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알려주기 싫음]

4. 다음 중 맞춤법 검사(Spelling Check)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작성된 문서의 내용과 내장된 사전과 비교하여 틀린 단어를 찾아주는 기능이다.
     2.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에 대해서도 검사할 수 있다.
     3. 사전에 없는 단어는 사용자가 추가할 수 있다.
     4. 수식이나 화학식에서도 맞춤법 검사 기능을 이용한 오류 검사가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수식이나 화학식은 맞춤법 검사가 불가능 합니다.

5. 다음 중 아래 문단 모양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2009년 10월)

   

     1. 래그드(Ragged)
     2. 들여쓰기(Indent)
     3. 센터링(Centering)
     4. 데시멀 탭(Decimal Tab)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래그드-문서의 한쪽 끝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를 말해요
저 문단모양은 왼쪽끝은 정렬되어있는데 오른쪽끝은 정렬되지 않아서 가장 관련이있어요

6. 다음 중 목차 만들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8월)
     1. 목차 만들기의 결과는 본문 파일의 머리말 영역에 삽입된다.
     2. 제목 목차뿐만 아니라 표 목차의 구성도 가능하다.
     3. 주로 문서의 분량이 클 때 활용된다.
     4. 목차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차에 포함될 항목을 표시해 두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목차 만들기 결과는 따로 파일이 만들어 집니다.

7. 다음 중 공문서의 작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9월)
     1. 문건 별 면 표시는 왼쪽 하단에 표시하고, 문서철별 면 표시는 중앙 하단에 표시한다.
     2. 문서를 수정할 경우에는 원안의 글자를 알 수 있도록 당해 글자의 중앙에 가로로 두선을 그어 수정하고, 수정한 자가 그 곳에 서명 또는 날인한다.
     3. 시행문을 정정한 때에는 문서의 여백에 정정한 글자 수를 표기하고 관인을 찍어야 한다.
     4. 금액을 표기할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되, 숫자 다음의 괄호 안에 한글로 기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문건별 면 표시는 중앙 하단에 표시하고 문서철별 면 표시는 우측 하단에 표시한다.
[해설작성자 : 소라]

8.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의 화면 표시 기능과 관련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눈금자를 사용하면 왼쪽과 오른쪽 여백, 들여쓰기, 내어쓰기, 탭 설정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2. 상태 표시줄에는 커서가 있는 쪽 번호, 커서 위치, 삽입 또는 수정 상태, 자판의 종류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3. 문서를 작성할 때 화면을 상 • 하 • 좌 • 우로 이동하는 기능을 스크롤(Scroll)이라고 한다.
     4. 작업 화면의 표준 도구 모음에는 제어 상자, 제목, 창 조절 단추 등이 표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4. 도구 모음 (도구상자)는 문서 작업을 할 때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아이콘화하여 비슷한 기능을 모아 놓은 곳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위치를 바꾸거나 재구성할 수 있음
[해설작성자 : 심지]

9. 다음 워드프로세서의 인쇄용지 중 낱장 용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6월)
     1. 낱장 인쇄용지 중 크기가 가장 큰 용지는 A1이다.
     2. 낱장 인쇄용지의 가로 : 세로의 비율은 1 : 2이다.
     3. B4는 A4보다 크기가 2배 크다.
     4. 규격은 전지의 종류와 전지를 분할한 횟수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A1이 아니고 B1이며, 자르기 전의 전지를 생각하자면 B0이 크기가 가장 큽니다
2. 1:2가 아니고 1:√2입니다
3. B4가 A4보다 큽니다. (A4의 2배크기는 A3지 B4라고 하긴 좀 어렵습니다)

10. 다음 중 고속의 CPU와 저속의 프린터 장치의 속도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기법으로 인쇄를 하면서 동시에 다른 작업이 가능한 기능은?(2013년 10월)
     1. 스풀링(Spooling)
     2. 프린터드라이버(Printer Driver)
     3. 레이아웃(Layout)
     4. 소프트카피(Soft Copy)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2 프린터 드라이버: 워드프로세서 등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만들어진 서로 다른 출력 데이터를 어느 특정한 프린터 모델이 요구하는 형태로 번역해 주는 소프트웨어
3. 레이아웃 : 문서작성에서 본문의 표제 그림, 표 등을페이지의 적당한 위치에 균형있게 배치하는것
4. 소프트카피 : 비디오 영상이나 소리와 같이 인쇄물이 아닌 다른 형태로 자료를 표시하는 것
[해설작성자 : 한라컴 듀잇]

11. 다음 문장의 논리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3월)

    

     1. 반증법
     2. 귀납법
     3. 대조법
     4. 연역법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연역적 구성 : 일반적인 원리를 제시한 다음 구체적인 사실을 이끌어 내는 두괄식 구성. 중심 생각이 담긴 중심 문장의 위치가 해당 문단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두괄식 구성. 독자들이 글을 읽으면서 중심 생각을 쉽게 찾을 수 있음.
EX) 모든사람은 죽는다.
        이순신은 사람이다.
        그러므로 이순신은 죽을 것이다.
[해설작성자 : ㅋ]

귀납적 구성
-구체적, 개별적 사실들을 바탕으로 일반적인 원리를 이끌어 내는 구성.
-중심 생각이 담긴 중심 문자의 위치가 해당 문단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하는 미괄식 구성.
장점 : 강조하고자 하는 내용을 마지막에 담아 더욱 강조할 수 있음
예)김유신, 신사임당, 이순신은 사람이다.
     김유신, 신사임당, 이순신은 죽었다.
     그러므로 모든 사람은 죽는다.
[해설작성자 : jelly]

-중심 생각이 담긴 중심 문자의 위치가 해당 문단의 마지막 부분에 위치하는 미괄식 구성.

예) 주몽, 이순신, 세종대왕은 사람이다.
주몽, 이순인, 세종대왕은 죽었다.
[해설작성자 : 시험 ㄱ같은거^^]

12. 다음 중 비트맵 방식의 벡터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2007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a, b, c 는 비트맵과 벡터가 반대로 된 것입니다.
벡터는 확대축소해도 매끄럽게 나타나며
비트맵은 점으로 구성되어있어 점이 많을수록 글씨가 세밀해지는것입니다^^

13. 다음 중 고도의 압축기법을 통해 파일의 용량을 줄인 외곽선 형태의 글꼴로 주로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글꼴 형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06년 08월)
     1. 오픈 타입(Open Type)
     2. 트루 타입(True Type)
     3. 포스트 스크립트(Post Script)
     4. 비트맵(Bitmap) 방식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압축된 글꼴-->오픈타입    윈도우 기본글꼴-->트루타입     확대했을경우 울퉁불퉁한 계단모양 표시->비트맵    세가지는 잘 외워두세요.

14. 다음 중 공문서의 내용 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날짜를 표기할 때에는 숫자로 표기하되 연월일의 글자는 생략하고, 그 자리에 온점을 찍어 구분한다.
     2. 시간을 표기할 때에는 24시각제에 따라 숫자로 표기한다.
     3. 금액을 표기할 때에는 한글로 숫자를 표기하고, 괄호 안에 아라비아 숫자로 기재한다.
     4. 숫자를 표기할 때에는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금액을 표기할 때에는 아라비아 숫자로 숫자를 표기하고, 위변조를 막기위해 필요시 괄호 안에 한글로 숫자를 기재한다.
[해설작성자 : 상아탑컴퓨터학원 김건기 ☎031-634-2374]

15. 다음 중 컴퓨터 등 정보처리 능력을 가진 장치에 의하여 전자적인 이미지 형태로 사용되는 관인을 무엇이라고 하는가?(2009년 10월)
     1. 전자이미지관인
     2. 전자관인
     3. 전자이미지서명
     4. 전자문서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문제에 답이 있습니다. 전자적인 이미지 형태의 관인 : 전자이미지관인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16. 다음 문장을 효과적으로 입력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2008년 10월)

    

     1. 복사하기의 사용
     2. 상용구(Glossary)의 사용
     3. 매크로(Macro)의 사용
     4. 보일러 플레이트(Boiler Plate)의 사용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4번은 주석이나 메모가 들어가기 위해 따로 설정된 구역을 말합니다.

17. “관인에는 행정기관의 명의로 발송 또는 교부하는 문서에 사용하는 ( )과 행정기관의 장 또는 보조기관의 명의로 발송 또는 교부하는 문서에 사용하는 ( )으로 구분한다” 에서 ( )안에 들어갈 적당한 용어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09년 04월)
     1. 직인, 청인
     2. 청인, 직인
     3. 직인, 인영
     4. 인영, 직인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행정기관은 구청, 경찰청, 시청 등등 청자로 끝나죠? 그래서 청인이 행정기관의 명의로 사용되는 것은 청인이고, 보조기관은 직인이라고 외우면 됩니다^^
[해석작성자 : 이성민]

18. 다음 중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하는 문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3년 10월)
     1. 문단의 시작부분은 들여쓰기나 내어쓰기를 할 수 있다.
     2. 문단의 가운데 정렬이란 글자를 가운데로 모으는 정렬 방식이다.
     3. 한 행의 내용이 다 채워지지 않으면 커서는 다음행으로 절대 이동할 수 없다.
     4. 문단 정렬은 별도의 영역지정 없이도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한 행의 내용이 채워지지 않아도 커서가 이동할수 있습니다. Enter키를 누르면 다음행으로 이동합니다. 이것을 [강제개행] 이라고 하죠.
[해설작성자 : 딸기머핀]

19. 다음 중 전자출판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리터칭(Retouching) : 기존의 그림을 다른 형태로 새롭게 변형,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2. 오버프린트(Over Print) :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을 때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3. 필터링(Filtering) : 작성된 그림을 필터 기능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이미지로 탈바꿈시켜 주는 기능이다.
     4. 클립아트(Clip Art) : 작업문서에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그림을 모아 둔 작은 그림의 모음집이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오버프린트는 문자위에 겹쳐서 문자를 중복인쇄하는것을 말합니다.
대상체의 컬러가 배경색의 컬러보다 옅을 때에 발생하는 현상은 스프레드(Spread)에 대한 설명입니다.

20. 다음 중 공문서의 기안 및 업무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문서의 기안은 전자 문서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수신한 종이문서를 수정하여 기안하는 경우에는 수신한 문서의 글자 색과 다른 색으로 수정한다.
     3. 각종 증명 발급, 회의록 및 단순 사실을 기록한 문서인 경우에는 발의자와 보고자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
     4. 행정편람은 부서별로 작성하며 업무의 처리 절차 및 흐름도, 소관 보존 문서 현황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행정편람 : 업무처리 절차와 기준, 장비운용 방법, 기타 일상적 근무 규칙 등에 관하여 각 업무 담당자에게 필요한 지침, 기준 또는 지식을 제공하는 업무지도서 또는 업무참고서.

4번은 직무편람에 관한 말.
[해설작성자 : ㅋ]

2과목 : PC 운영 체제


21.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시작 메뉴에 있는 [시스템종료] 단추의 펼침 메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사용자 전환: 현재 로그온 한 사용자 계정 작업 상태를 그대로 두고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환하여 컴퓨터에 손쉽게 로그온할 수 있다.
     2. 로그오프: 사용하던 프로그램은 모두 닫히지만 컴퓨터는 꺼지지 않는다.
     3. 잠금: 사용 중인 사용자 계정에 암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컴퓨터를 켜놓은 상태로 잠그면 사용자 암호를 입력해야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4. 다시 시작: 변경된 Windows 설정을 저장하고 메모리에 있는 모든 정보를 이동식 디스크에 저장한 후에 시스템을 다시 시작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다시 시작: 열려 있는 프로그램을 모두 닫고 Windows를 종료한 다음 Windows를 다시 시작한다.
[해설작성자 : 다이Ah몬드]

[관리자 입니다.
4번이 틀린 이유는 보기에서
메모리에 있는 모든 정보를 이라고 되어 있는데
메모리의 모든 정보를 저장하지는 않습니다.
설정 등과 관련된 필요한 정보만 저장하며
보기에서는 이동식 디스크에 저장한다고 되어 있는데
보통은 부팅시 사용된
HDD 디스크나 SSD에 저장됩니다.
HDD 및 SSD는 이동식 디스크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들고 다닐수는 있지만요. ㅎㅎ
보통 보조기억장치로 분류됩니다.]

2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시스템 도구]에 있는 [디스크 조각 모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9월)
     1. [디스크 조각 모음] 작업을 수행하려면 컴퓨터 관리자 계정이 필요하다.
     2. 해당 볼륨에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해야만 해당 볼륨에 대한 [디스크 조각 모음]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3. 하드디스크에 기록하고 지우는 과정에서 디스크 단편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제거할 수 있다.
     4. 하드디스크의 입출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해당 볼륨에 있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해야만 가능한것은 [디스크 오류 검사] 입니다.

23.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바로 가기 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윈도우 로고> + <D> : 열려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하여 바탕 화면이 표시되거나 이전 크기로 복원
     2. <Alt> + <Tab> : 실행중인 각 프로그램 간의 작업 전환
     3. <Ctrl> + <Shift> + <ESC> : 작업관리자 창 바로 열기
     4. <윈도우 로고> + <R> : 윈도우 재부팅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4번의 단축키를 이용한다면 실행창이 나옵니다.
[해설작성자 : 불량염소]

24. 다음 중 한글 Windows 7에서 시작 메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2월)
     1. [시작] 단추를 누르면 오른쪽 위에는 현재 로그온한 사용자의 로고가 표시된다.
     2. [모든 프로그램] 항목을 누르면 내 컴퓨터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목록이 나타난다.
     3. [시작] 메뉴의 프로그램 목록은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4. [시작] 메뉴의 링크, 아이콘 및 메뉴의 모양과 동작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시작 메뉴의 링크, 아이콘 및 메뉴의 모양과 동작은 사용자가 변경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페페]

25. 한글 Windows XP에서 디스크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르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사용하지 않는 파일을 제거한다.
     2. 최근에 시스템 복원한 내용을 제외하고 모두 제거한다.
     3. 드라이브나 폴더의 압축을 수행한다.
     4. 디스크의 단편화를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단편화 제거는 디스크조각모음이다. 이 기능은 용량과 관련없고 시스템 속도가 빨라지는 역할을 한다.

2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에서 할 수 있는 작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작업 표시줄 잠금이나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2. [작업 표시줄]에서 사용하는 글꼴이나 글자색을 설정할 수 있다.
     3. 시작 메뉴에 표시할 최근 프로그램 수를 조정할 수 있다.
     4. [작업 표시줄]에 표시할 도구 모음을 선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작업 표시줄'탭에서 작업 표시줄 잠금이나 작업 표시줄 자동 숨기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시작 메뉴'탭에서 시작 메뉴에 표시할 최근 프로그램 수를 조정할 수 있다.
'도구 모음'탭에서 작업 표시줄에 표시할 도구 모음을 지정할 수 있다.

27.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임의의 폴더 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폴더와 파일 목록을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큰 아이콘, 자세히, 나란히 보기로 3가지가 있다.
     2. 탐색창에서 특정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오른쪽 숫자 키패드의‘*’키를 누르면 드라이브 내의 모든 폴더가 트리구조로 표시된다.
     3. 연속적인 파일을 선택하고자 할 때에는 <Shift> 키와 함께 클릭한다.
     4. 특정 폴더에 대해 압축(ZIP) 폴더를 만들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작은아이콘, 목록, 나란히, 내용 등 다양하게 볼 수 있음
[해설작성자 : 민지아빠]

28. 한글 Windows XP의 보조프로그램에 있는 [시스템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시스템 정보]는 로컬 및 원격 컴퓨터의 구성 정보를 수집하고 표시한다.
     2. 내 시스템의 하드웨어 리소스와 소프트웨어 환경 등을 보여준다.
     3. [파일] 메뉴의 [내보내기]를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4. 구성 요소 항목에는 시스템 드라이버 등 소프트웨어의 파일명, 상태 등이 표시된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시스템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의 파일명, 상태는 소프트웨어 환경에 표시되며 구성요소의 항목이 아닙니다^0^
[해설작성자 : 키티사줘]

29.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의 [탐색기] 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7월)
     1. 작업 표시줄 내에 있는 [시작] 단추의 바로 가기 메뉴에서 [탐색]을 선택하여 실행한다.
     2. 수직으로 두 개의 창으로 구분되며, 왼쪽은 작업목록 창이고 오른쪽은 탐색 창이다.
     3. [탐색기]의 작업목록 창에서는 큰 아이콘, 아이콘, 간단히, 자세히 등의 보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4. 탐색 창에서 하위 폴더가 있을 경우에 [+]로 보이며, 하위 폴더를 감추려면 [-]를 클릭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왼쪽이 탐색창이고, 오른쪽이 작업목록 창입니다.

30.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보조 프로그램인 [그림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그림판에서는 BMP, GIF, TIF, PNG, JPG 형식 등으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2. <Shift>키를 누른 상태에서 수평선, 수직선, 정사각형, 정원을 그릴 수 있다.
     3.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그림을 그릴 경우에는 연필과 붓 모두 ‘색 2(배경색)’에 설정된 색으로 그려진다.
     4. 그림판에서 작성한 그림을 Windows 바탕 화면의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마우스의 왼쪽 버튼은 전경색, 오른쪽 버튼은 배경색으로 그려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그림판]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입니다.
기본적은 저장 파일은 PNG이며 BMP, GIF, JPG, TIF, 등 형식의 파일을 편집 가능합니다.
그림판의 이미지는 윈도우 배경화면으로 설정 가능하며 전자 메일로도 전송이 가능합니다.
SHIFT키를 누름으로 정사각형이나 정원, 수직.수평선을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마우스 왼쪽 버튼은 전경색(색1), 오른쪽 버튼은 배경색(색2)로 그려집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1. 다음 중 한글Windows 7에서 문서 인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프린터] 메뉴 중 [모든 문서 취소]는 스풀러에 저장되어 있는 문서 중 오류가 발생한 문서에 대해서만 인쇄 작업을 취소한다.
     2. 일단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이 시작된 경우라도 잠시 중지 시켰다가 다시 인쇄할 수 있다.
     3. 인쇄 대기 중인 문서를 삭제하거나 출력 대기 순서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4. 인쇄중 문제가 발생한 인쇄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스풀링된 문서를 제외한 문서들의 인쇄가 모두 취소됩니다.
[해설작성자 : 왕도치]

32.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구성 요소인 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2년 09월)
     1. 사용자가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나 파일 엑세스를 지원한다.
     2. 파일이나 프린터 공유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3. 사용자 컴퓨터가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4.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구성 요소인 서비스에 파일 및 프린터 공유가 있습니다.

서비스: 내 컴퓨터에 설치된 파일, 프린터 등의 자원을 다른 컴퓨터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해설작성자 : 각기나구 밍밍]

33.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새로운 프린터의 추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2년 09월)
     1.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이용하여 새로운 프린터를 추가하는 과정에서 설치할 프린터를 기본 프린터로 지정할 수 있다.
     2. 하나의 시스템에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의 수는 10대까지 가능하다.
     3. 추가할 프린터는 연결 상태에 따라 로컬 프린터와 네트워크 프린터로 구분된다.
     4. [프린터 및 팩스] 창에서 [파일]-[프린터 추가] 메뉴를 선택하면 [프린터 추가 마법사]를 수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설치할 수 있는 프린터의 수는 제한이 없습니다.
단, 기본프린터는 1대만 가능합니다.

34. 한글 Windows XP 운영체제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6년 11월)
     1. USB를 지원하기 때문에 새로운 하드웨어를 쉽게 추가할 수 있으며,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지 않고도 새로운 하드웨어를 설치한 다음 바로 사용할 수도 있다.
     2. 시스템 도구를 이용하면 정기적으로 하드디스크를 테스트하고 시스템 파일을 점검할 수 있으며 일부 문제는 자동해결 가능하다.
     3. 윈도와 프로그램이 더 빨리 열리고 실행되며, FAT64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파일을 저장하고 하드디스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4. 전원관리 기능으로 최대 절전 모드 전환이 가능하고 시스템 관리 마법사를 사용하면 컴퓨터의 속도와 효율성을 쉽게 개선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윈도우 XP는 FAT32와 NTFS파일 시스템중에서 선택사용 가능.

35.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장치 관리자] 창에서 설치된 실제 하드웨어를 선택한 후에 바로 가기 메뉴를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작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3월)
     1. 해당 하드웨어의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2. 해당 하드웨어에 대해 [사용 안함]을 지정할 수 있다.
     3. 해당 하드웨어의 설치된 드라이버를 제거할 수 있다.
     4. 해당 하드웨어의 [이름 바꾸기]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하드웨어의 이름은 이미 정해진 것이라 바꿀 수 없습니다. 비*500이나 박*스 등의 이름을 저희가 마음대로 바꿀 수 없듯이 말입니다.
[해설작성자 : 알파초코우유]

36.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제어판에 있는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8월)
     1. 같은 유형의 파일 형식 또는 프로토콜별로 연결된 프로그램을 설정할 수 있다.
     2. 파일 형식 또는 프로토콜이 항상 특정 프로그램에서 열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
     3. 컴퓨터에 삽입된 CD 또는 미디어 유형에 따라 각각에 맞게 자동으로 수행할 작업을 지정할 수 있다.
     4. 컴퓨터에 설치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나 제거를 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프로그램 제거는 프로그램 및 기능탭에서 가능합니다.
[해설작성자 : 준콩]

[기본 앱(프로그램)]
파일 형식별로 특정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사용할 앱(프로그램)을 지정하는 기능입니다.
기본 앱은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필수는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7.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자원 공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6월)
     1.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된 드라이브나 폴더를 사용하려면 [내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한다.
     2. 해당 호스트 컴퓨터가 사용 가능하지 않아도 연결된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다.
     3.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도 [내 컴퓨터]의 드라이브처럼 폴더의 생성 및 삭제가 가능하다.
     4. 공유할 드라이브나 폴더의 등록 정보 대화상자에서 공유할 파일의 형식을 설정할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33%
     <문제 해설>
해당 호스트 컴퓨터가 사용 가능해야지 연결된 드라이브를 사용할수있습니다

38. 다음 중 한글 Windows 7의 [로컬 영역 연결 속성]에서 TCP/IPv4와 TCP/IPv6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10월)
     1. TCP/IPv4는 32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8비트씩 4개의 10진수를 온점(.)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2. TCP/IPv6는 128비트 주소체계를 사용하며 16비트씩 8부분의 16진수를 콜론(:)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3. TCP/IPv4와 TCP/IPv6 모두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를 설정하여야 한다.
     4. TCP/IPv4와 TCP/IPv6는 서로 충돌이 생기므로 한 대의 컴퓨터에는 한 가지 방식으로만 IP주소를 지정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TCP/IPv4와 TCP/IPv6이 자동으로 설치된다

ip 주소는 단말기가 아닌 해당 포트에 지정되게됩니다.
ip가 여러개라는것은 포트가 여러개란 뜻이고, 거기에 맞는 ip형식이
갈리는것이기때문에 충돌은 없습니다. 소프트웨어적인 제한이 따를순있지만
문제의 요지는 아닙니다.
[해설작성자 : 얼짱 박찬호]

[IPv4]
32bit 주소로 8bit씩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진수로 표시하며 0 ~ 255까지 각 부분을 3자리 숫자로 표시합니다.
각 부분을 . (온점)으로 구분합니다.
네트워크 길이에 따라 A클래스 ~ E클래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Pv6]
128bit 주소로 16bit씩 8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6진수로 표시합니다.
각 부분을 : 콜론으로 구분합니다.
유니, 애니, 멀티 캐스트 3종류로 분류합니다.

↘[IPv6 특징]
IPv4의 주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IPv4와 호환성이 좋아 현재 v4와 v6를 함께 사용 중입니다.
각 부분이 0으로 연속된 경우 ::와 같이 표시하여 생략합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39. 한글 Windows XP의 [Windows 탐색기]에서 명령어 처리기인 COMMAND.COM 파일이 COMMAND라고만 표시되어 있다.파일의 확장자가 보이게 표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2008년 10월)
     1. 주 메뉴 [도구]의 [폴더 옵션]-[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관한 옵션을 해제한다.
     2. 주 메뉴 [보기]의 [폴더 옵션]-[파일 형식] 탭에서 ‘알려진 파일형식 등록하기’를 선택한다.
     3. 해당 폴더의 등록정보 창에서 파일 확장명 보이기를 체크한다.
     4. COMMAND 파일을 찾아서 파일명을 COMMAND.COM으로 바꾼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주 메뉴 [도구]의 [폴더 옵션]-[보기] 탭에서 ‘알려진 파일 형식의 파일 확장명 숨기기’에 관한 옵션을 해제를 하면 파일의 확장자가 보인다.

40. 다음 중 한글 Windows XP에서 폴더 창에 있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9월)
     1. 연속되는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려면 마우스 끌어놓기로 선택 영역에 포함하면 된다.
     2. 연속되는 여러 개의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려면 첫째 항목을 클릭한 다음에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지막 항목을 클릭하면 된다.
     3. 연속되어 있지 않은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하려면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각 항목을 클릭하면 된다.
     4. 모든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일부 파일이나 폴더의 선택을 취소할 경우에는 [Alt] 키를 누른 상태로 원하는 항목을 차례로 선택하면 된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모든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일부 파일이나 폴더의 선택을 취소할 경우에는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원하는 항목을 차례로 선택하면 된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41. 컴퓨터를 이용하여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순서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06년 08월)
     1. 업무분석→입출력 설계 및 흐름도 작성→문서화→코딩→번역 및 오류수정→테스트→실행
     2. 업무분석→입출력 설계 및 흐름도 작성→코딩→번역 및 오류수정→테스트→실행→문서화
     3. 업무분석→테스트→문서화→입출력 설계 및 흐름도 작성→번역 및 오류수정→코딩→실행
     4. 업무분석→입출력 설계 및 흐름도 작성→코딩→번역 및 오류수정→실행→문서화→테스트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분석->흐름도작성->......... 실행->문서화

42. 다음 중 사람이 물체를 판단하듯이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된 사물의 형태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물의 형태를 파악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2010년 09월)
     1. 패턴 인식 시스템
     2. 음성 인식 시스템
     3. 자동화 시스템
     4. 비전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패턴 인식 시스템 : 기계에 의하여 도형,문자,음성 등을 식별
-음성 인식 시스템 : 음성을 기계로 식별
-자동화 시스템 : 공장자동화, 물류자동화, 생산자동화 등
[해설작성자 : SCA김쌤]

4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2019년 08월)

    

     1. HMD(Head Mounted Display)
     2. 태블릿 PC
     3. 노트북 컴퓨터
     4. 랩탑 컴퓨터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아이패드나 갤럭시 탭을 생각하고 본문을 읽으면 태블릿 pc네요
[해설작성자 : 오늘셤이다]

[태블릿 (Tablet PC)]
태블릿 PC는 노트북의 휴대성과 PDA의 편의성을 결합한 모바일 기기로, 스타일러스 펜과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입력합니다.
필체 인식 기능을 통해 문자나 그림을 입력할 수 있으며, 무선랜을 통해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합니다.
LCD에 터치패널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44. 다음 중 대역폭이 적은 통신매체에서도 전송이 가능하고 양방향 멀티미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동영상 압축 기술은?(2007년 03월)
     1. MPEG 2
     2. AVI
     3. MPEG 4
     4. DIV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MPEG 2 : 방송망(HDTV)이나 고속망 환경에 적합, MPEG-3 흡수.
2.AVI : MS사가 개발한 디지털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비디오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한 내용 압축 가능
3.MPEG 4: MPEG 2를 개선한 것으로 동영상 데이터 전송이나 전화선을 이용한 화상회 의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개발
4.DVI : 디지털 TV를 만들기 위한 영상압축기술이던 것을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동영상 압축기술로 발전시킴(대량의 영상과 음향 데이터를 압축해서 CD-ROM에 저장 가능)

45. 다음 중 “트로이 목마” 형태의 프로그램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2008년 05월)
     1. 지속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서 정보를 유출하거나 컴퓨터를 원격 제어한다.
     2.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실행된다.
     3. 컴퓨터 사용자가 트로이 목마의 침입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자기복제 기능을 사용한다.
     4. 바이러스나 웜처럼 직접 컴퓨터에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트로이 목마에 대한 감염사실을 인식하기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트로이목마는 컴퓨터 사용자가 침입을 인식할수 없도록 하기위해 자기 복제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컴퓨터로 침입하기 위하여 자기복제 기능을 사용합니다. 바이러스는 자기 복제를 통하여 다른 컴퓨터 및 현 컴퓨터에 더많은 바이러스를 증식 시킵니다.

46. 다음 중 목적 프로그램을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연결시켜 실행 가능한 모듈로 생성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2006년 08월)
     1. Linker(링커)
     2. Loader(로더)
     3. Debugger(디버거)
     4. Assembler(어셈블러)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원시프로그램->컴파일러->목적프로그램->링커->로드모듈->로더(적재기)->실행

47. 다음 중 자료 처리의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바이트는 하나 이상의 워드가 모여서 이루어지는 단위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논리적인 단위이다. 파일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며,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기본 항목이다.
     2. 레코드는 관련된 하나 이상의 워드가 모여 구성되며, 프로그램 안에서 자료를 처리하거나 삭제하고 추가하는 기본 단위이다.
     3. 파일은 같은 성질을 갖는 여러 개의 레코드를 합한 것으로, 자료 표현의 가장 큰 단위이며 업무 처리를 위한 기본 단위이다.
     4.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관련 행과 열이 모여 구성되어, 특정 체계에 의해 데이터를 분류하여 정해 놓은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자료 처리 단위에서 물리적단위에는 비트, 바이트, 워드가 있고 논리적 단위에는 필드, 레코드, 파일,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비트는 자료(정보)표현의 최소 단위로 2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2진수 1자리이다
바이트는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단위로 8개의 비트가 모여 1바이트를 구성한다.
워드는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있는 명령 단위로 하프워드, 풀워드, 더블워드로 분류된다.
필드는 파일구성의 최소 단위로 의미 있는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이다
레코드는 자료처리단위로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필드가 모여서 구성된다.
파일은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단위로, 여러 레코드가 모여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개의 관련된 파일의 집합이다.
[해설작성자 : 조팀장]

비트 : 자료(정보) 표현의 최소 단위
니블 : 4개의 비트가 모여 1개의 니블 구성
바이트 :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8개의 비트가 모여 1바이트 구성
워드 : CPU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
필드 :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
레코드 :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필드가 모여 구성되는 자료 처리 단위
파일 : 여러 레코드가 모여 구성되는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단위
데이터베이스 : 여러 개의 관련된 파일의 집합

48. 다음 중 비트맵 표현 방식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10월)
     1. pixel 단위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2. 벡터 방식에 비해 기억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3. 화면에 보여주는 속도가 빠르다.
     4. BMP, PCX, JPG 등의 파일 형식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비트맵은 기억공간을 많이 차지합니다

49. 정보보안에서 송수신자가 송수신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을 막기 위한 기능을 의미하는 용어는?(2015년 06월)
     1. 기밀성
     2. 무결성
     3. 부인방지
     4. 접근제어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라고 표기 돼 있으니,
부인방지가 정답입니다.
[해설작성자 : 용인정보고등학교]

50. 다음 중 전송 매체인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코어와 클래딩, 코팅 부분으로 구성된다.
     2. 넓은 대역폭을 제공하므로 데이터의 전송률이 높다.
     3. 가늘고 가벼우며 외부 잡음 등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4. 다른 전송 매체에 비해 설치비용이 저가이며, 시공이 쉽기 때문에 가정용 전화기나 개인용 컴퓨터 연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광케이블은 넓은 대역폭을 제공하지만,
시공이 어려우며 설치비용도 고가인 단점이 있다.

51. 다음 중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정의한 국제표준규격 통신 프로토콜인 OSI 7계층 모델의 물리적 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발견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맡으며 링크의 확립, 유지, 단절의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은?(2011년 06월)
     1.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3. 세션 계층(Session Layer)
     4.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문제 해설>
1계층 물리 계층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확립, 유지, 단절의 수단을 제공하는 계층)
3계층 네트워크 계층
4계층 전송 계층
5계층 세션 계층
6계층 표현 계층
7계층 응용 계층
[해설작성자: 내일시헙봄)

52. 다음 중 연산된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는 어느 것인가?(2013년 03월)
     1. 명령 레지스터
     2. 누산기
     3. 프로그램 카운터
     4. 인덱스 레지스터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누산기 :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합니다.(속도 향상 목적)
명령레지스터 : 명령어를 저장
프로그램 카운터(PC) : 다음 수행 명령번지 기억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3. ISO에서 제정한 개방형 시스템의 상호 접속을 위한 OSI 참조 모델을 하위 계층부터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2006년 11월)
     1. 물리 - 데이터링크 - 네트워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2. 물리 - 네트워크 - 데이터링크 - 전송 - 세션 - 표현 - 응용
     3. 물리 - 네트워크 - 전송 - 데이터링크 - 세션 - 표현 - 응용
     4. 물리 - 데이터링크 - 전송 - 네트워크 - 세션 - 표현 - 응용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물리-데이터링크-네트워크-전송-세션-표현-응용
앞글자를 따서 물-데-네-전-세-표-응 입니다.

54. 다음 중 데이터의 표현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숫자를 표현하는 부동 소수점 표현은 고정 소수점 표현에 비해 큰 수나 작은 수를 표현하기 때문에 컴퓨터 내부에서 처리하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2. 문자 표현 방법 중 확장된 2진화 10진 코드(EBCDIC)는 8비트로 표현하며, ASCII 코드는 7비트로 표현한다.
     3. 그레이(Gray)코드는 각 자리 수에 고유한 값을 부여한 코드로, 가중치 코드에 속하며 보수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4. 고정 소수점 표현은 정수 표현 형식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표현 범위가 좁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그레이 코드는 수의 크기가 변할 때 인접한 수 사이에 한 자리 만 변하게 만들어진 코드이다.
[해설작성자 : 으어허어헣]

그레이코드는 코드의 인접하는 코드를 X-OR 연산하여 만든코드로 비가중치 코드이다
[해설작성자 : 그레이코드]

[그레이코드(Gray Code)]
가장 대표적인 비가중치(자리값이 없는)코드로 인접 코드 간 오직 한자리만 변화하게(XOR 연산) 만들어진 코드입니다.
1bit씩만 빠르게 변하기에 입출력 장치,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등에서 숫자를 표현할때 사용되는 코드입니다.
1bit씩 변화시켜 수치를 증감 하기에 하드웨어 적인 오류가 적은 점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country-dog tistory]

55. 다음 중 컴퓨터 바이러스 예방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바이러스는 외부로부터 감염되므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에는 최신 버전의 백신을 사용하여 점검한 후에 사용한다.
     2. 중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정기적으로 백업을 해야 한다.
     3. 최신 백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시스템 전체를 점검한다.
     4.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자신의 모든 파일은 가급적 공유 폴더를 이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공유 폴더를 이용하면 바이러스에 쉽게 노출됩니다.
[해설작성자 : 야매로]

56.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중 하나가 메모리 업그레이드이다. 다음 중 메모리 업그레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0년 03월)
     1. 메인보드에 램을 꽂을 자리인 램 뱅크가 있는지 확인한다.
     2. 램의 형태, 속도, 핀 수, 용량 등을 확인한다.
     3. 메인 보드에서 지원하는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확인한다.
     4. 램의 속도 단위인 NS의 수치가 큰 것을 선택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램은 속도 단위인 ns가 작은 수치인 것을 선택하여야 하며
해당 수치는 지연 속도를 의미 하기에 작은 수치를 선택 합니다.

57. 다음 중 코드 조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조합 프로그램을 암호형 바이러스에 덧붙여 감염시켜서, 실행될 때마다 바이러스 코드 자체를 변경시켜 식별자로는 구분하기 어렵게 하는 바이러스는 무엇인가?(2010년 09월)
     1. 원시형 바이러스
     2. 은폐형 바이러스
     3. 다형성 바이러스
     4. 매크로 바이러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코드 조합을 다양하게" 라는 단어를 통하여 다형성 바이러스 임을 알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밀양금성컴퓨터학원 ☎055-354-3344]

58.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와 유포를 막고 저작권 보유자의 이익과 권리를 보호해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20년 07월)
     1. PICS(Platform for Internet Contents Selection)
     2. DCRP(Digital Contents Rights Protection)
     3.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4.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PICS : 웹 사이트 내용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근하도록 해주는 기반 구조
DCRP : 올바른 디지털 콘텐츠 보호
CRM(고객관계관리) : 고객과 관련된 기업의 내외부 자료를 분석, 통합하여 고객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지원하며, 평가하는 과정.
[해설작성자 : Damien.Elludiana]

59. 다음 중 메인보드에 간단히 끼울 수 있는 형태의 램으로 현재 대부분의 메인보드에서 채택하고 있는 것은?(2006년 08월)
     1. Dip RAM
     2. Module RAM
     3. PCMCIA
     4. Register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모듈 램)자주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문제와 답을 꼭 외우세요.

60. 다음 중 CPU에 있는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명령어 레지스터 - 현재 수행중인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2. 프로그램 카운터 - 다음에 수행될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3. 인덱스 레지스터 -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레지스터
     4. 상태 레지스터 - 연산 수행 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상태 정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인덱스 레지스터는 주소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레지스터, 산술연산및 논리연산 결과 기억하는 것은 누산기(ACC)->어큐멀레이터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304940)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워드프로세서, 워드(구 1급)필기, 워드1급,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75 9급 지방직 공무원 행정법총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74 PC정비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8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73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5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3
537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91010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71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70 자동차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6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물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68 9급 국가직 공무원 직업상담심리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67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66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8월1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7
536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 워드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304940) 좋은아빠되기 2025.11.19 5
5363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7
5362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61 측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7월13일(4회)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60 DIAT 정보통신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59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2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58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6
5357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30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4
5356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12일 좋은아빠되기 2025.11.19 7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79 Next
/ 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