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설> 사회복지진화론은 사회복지실천의 사회통제적 층면에서 나타나는데, 사회통제를 주 목적으로 한 실천 사례로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을 꼽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까미]
2.
이용시설 - 간접서비스기관 - 민간기관의 예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1월)
1.
지역아동센터 - 사회복지협의회 - 주민센터
2.
장애인복지관 - 주민센터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
청소년쉼터 - 사회복지관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4.
사회복지관 - 노인보호전문기관 - 성폭력피해상담소
5.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용시설은 지역아동센터,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클라이언트에게 주거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말한다. 간접서비스기관이란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행정 업무를 수행하고 기관 간의 협의 및 연계 업무를 담당한다. 민간기관이란 사회복지 관련 사업을 목적으로 기부금이나 후원금 등 기타 서비스 이용료를 재원으로 하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해 운영되는 기관이다. [해설작성자 : UOS SW]
1. 지역아동센터: 이용시설/ 사회복지협의회: 간접/ 주민센터: 공공 2. 장애인복지관: 이용시설 / 주민센터: 공공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공공 3. 청소년쉼터: 생활시설 / 사회복지관: 직접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민간 4. 사회복지관: 이용시설 / 노인보호전문기관: 직접 / 성폭력피해상담소: 민간(국가 또는 지자체에서도 설치 및 운영 가능) [해설작성자 : 나 배재대 보건의료복지학과]
3.
레비(C. Levy)가 구분한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수단우선 가치, 결과우선 가치, 해결우선 가치
2.
수단우선 가치, 결과우선 가치, 평가우선 가치
3.
사람우선 가치, 결과우선 가치, 수단우선 가치
4.
사람우선 가치, 평가우선 가치, 해결우선 가치
5.
사람우선 가치, 결과우선 가치, 평가우선 가치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사람, 결과 , 수단
4.
로웬버그와 돌고프(F. Loewenberg & R. Dolgoff)의 윤리적 원칙 심사표에서 '도움을 요청해 온 클라이언트의 의사를 존중해 주는 것'에 해당하는 윤리적 원칙은?(2022년 01월)
1.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2.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3.
최소 손실의 원칙
4.
사생활과 비밀보장의 원칙
5.
진실성과 정보개방의 원칙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질문에 해당하는 원칙은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윤리원칙 중, 윤리원칙 3. 자율과 자유의 원칙(자기결정의 원칙)에 해당함 - 윤리원칙1 : 생명보호의 원칙 - 윤리원칙2 :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 윤리원칙3 : 자율과 자유의 원칙(자기결정의 원칙) - 윤리원칙4 : 최소 해악의 원칙(혹은 최소 손실의 원칙) - 윤리원칙5 : 삶의 질 향상의 원칙 - 윤리원칙6 : 사생활 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 윤리원칙7 : 성실의 원칙(혹은 진실성과 정보공개의 원칙) [해설작성자 : 까미]
5.
접수단계의 주요 과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1월)
1.
관계형성을 통한 클라이언트의 참여 유도
2.
클라이언트의 드러난 문제 확인
3.
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 측정
4.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동의 확인
5.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기관의 자원과 정책에 부합되는지 판단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사회복지실천과정: 접수->조사 및 사정->계획(목표설정 및 계약)->개입(간접,직접)->평가 및 종결 위 문제는 접수단계의 주요 과업에 대해 묻고 있다. 3. 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 측정. 접수하고 있는데 효율성, 효과성을 측정?하는건 상식적으로도 안맞음 맨 마지막 평가 및 종결단계에 진행한다. [해설작성자 : 원트만에 붙고싶은 사복 예비졸업생]
6.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옹호자: 클라이언트 권익 변호
2.
계획자: 변화과정 기획
3.
연구자: 개입효과 평가
4.
교육자: 지식과 기술 전수
5.
중개자: 조직이나 집단의 갈등 해결
정답 : [
5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중개자:주민들에게 필요한 자원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줌으로써 자원 접근성을 높임 [해설작성자 : 가을song]
5. 조직이나 집단의 갈등을 해결해주는 역할은 '중재자' [해설작성자 : 뽀각]
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자질은?(2023년 01월)
1.
민감성
2.
진실성
3.
헌신
4.
수용
5.
일치성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①진실성, ⑤일치성 => 클라이언트를 대함에 있어 솔직하고 언행이 일관적이어야 한다. ③헌신 =>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 있어 책임감을 가지고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④수용 => 클라이언트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이해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kilelove]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 진실성이 아닌 2번 진실성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자선조직협회(COS)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민간 사회복지기관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2.
적자생존에 기반한 사회진화론을 구빈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다.
3.
빈민지역에 거주하며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집합적이고 개혁적인 해결을 강조하였다.
4.
과학적이고 적절한 자선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등록체계를 실시하였다.
5.
자선조직협회 활동은 개별사회사업의 초석이 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빈민지역에 거주하며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집합적이고 개혁적인 해결을 강조한 활동은 인보관 운동 이다. [해설작성자 : kilelove]
9.
사회복지면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사회복지사에 관한 사적인 질문은 가능한 한 간결하게 답하고, 초점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로 돌린다.
2.
클라이언트와의 신뢰관계가 충분히 형성된 후에 해석기술을 활용한다.
3.
클라이언트의 표현이 모호할 때는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체적 표현을 요청한다.
4.
클라이언트가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는 경우, 폐쇄형 질문만을 사용하여 초점을 모으는 것이 필요하다.
5.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표현을 관찰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개방적, 폐쇄적 질문 모두 사용 [해설작성자 : 2018]
초점화 - 클라이언트가 말을 장황하게 하거나 어떤 주제를 회피하려고 할 때, 간단한 질문을 하거나 문제를 다시 언급함으로써 초점을 맞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사례에서 사례관리자의 역할은?(2014년 01월)
1.
중재자(mediator)
2.
옹호자(advocate)
3.
중개자(broker)
4.
기획가(planner)
5.
조성자(enabler)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사례관리자의 중개자 역할은 클라이언트가 지역사회의 자원과 서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갑]
11.
실천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해야 할 과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사정단계: 클라이언트의 자원과 능력 평가
2.
계획단계: 개입의 장단기 목표 합의
3.
접수단계: 목표의 우선순위 결정
4.
자료수집단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정보수집
5.
종결단계: 변화된 결과 확인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 목표의 우선순위결정은 접수단계가 아니고 계획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은 해가 뜬다.]
12.
다음 기록의 유형은?(2017년 01월)
1.
이야기체기록
2.
문제중심기록
3.
과정기록
4.
요약기록
5.
상호작용기록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에 있었던 일을 그대로 기록하는 방식:과정기록 [해설작성자 : 메롱하면 멜론줄께]
13.
전문적 관계의 기본 요소 중 자기 인식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감정과 반응을 있는 그대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능력은?(2018년 01월)
1.
구체성
2.
공감
3.
진실성
4.
헌신
5.
민감성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구체성: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행동, 사고, 감정을 자신의 독자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능력 2.공감: 클라이언트의 감정과 그 의미를 정확하고 민감하게 인식하고 전달하는 능력 4.헌신과 의무: 원조과정에서 책임감을 의미하는것, 일관성을 포함하는 개념, 사회복지사 뿐만 하니라 클라이언트도 관계에 대한 헌신과 의무를 가져야함. 5.민감성: 특정한 단서 없이도 클라이언트의 내면 세계를 느끼고 감지할 수 있는 능력, 사회복지사가 생로운 상황에 대한 개방성과 변화에 대한 준비자세를 갖추고 있는지 여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1급 시험 D-30]
14.
사회복지사의 옹호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는 영유아를 대변한다.
2.
무국적 아동의 교육 평등권을 위한 법안을 제안한다.
3.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 집단의 대표로 나서서 협상을 주도한다.
4.
이주 노동자에게 최저 임금을 받을 권리를 교육한다.
5.
철거민들의 자체 회의를 위해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을 제공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옹호 활동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입장을 표적체계에 대해 직접 대변하는 것이다. 다만, 협상을 언제 할 것인지, 어느 선에서 협상을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집단의 대표로 나서서 협상을 주도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 [해설작성자 : 수지]
3. 해당 내용은 협상가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유느저르]
15.
전문적 원조관계의 기본 요소인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민감성 관련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문화적 다양성과 유사성을 인지하고 선호나 옳고 그름의 가치를 부여
2.
자신의 문화를 중심에 두면서 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의사소통
3.
출신국가, 피부색 간에 존재하는 권력적 위계관계 무시
4.
자신의 문화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다문화 배경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규정
5.
다문화 생활경험과 가치에 맞는 개입전략 개발
정답 : [
5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민감성이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문화적배경이나 차이에 대해 자신의 선입견, 가치판단을 지양하고, 문화적 당양성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 [해설작성자 : 공부하다가귤만먹음]
<문제 해설> 진단주의- 병리강조, 무의식, 과거의 경험, 전이, 양가감정, 워커중심 기능주의- 의지강조, 개인의 부적응, 현재의 감정, 클라이언트 중심 [해설작성자 : 으채]
1. 진단주의 학파는 1920년대 프로이트에 의해 발전되었다. (미국 대공황 1920년대) 3. 기능주의 학파는 클라이언트의 의지력, 창의력, 낙관적 관점을 강조하였다. 4. 진단주의 학파는 치료중심이며 무의식, 저항, 양가감정, 전이 등을 주요한 개념으로 삼는다. 현재의 경험과 개인의 동기에 대한 이해를 중시하는 것은 기능주의 학파이다. 5. 두 학파간의 논쟁은 1957년 펄만의 절충주의인 문제해결모델이 등장하면서 종식되었다. [해설작성자 : 수여니]
19.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6년 01월)
1.
ㄴ → ㄷ → ㄹ → ㄱ
2.
ㄴ → ㄹ → ㄱ → ㄷ
3.
ㄴ → ㄹ → ㄷ → ㄱ
4.
ㄹ → ㄱ → ㄴ → ㄷ
5.
ㄹ → ㄴ → ㄱ → ㄷ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ㄱ. 한국의 사회복지사업법이 제정 - 1970년 ㄴ. 리치몬드의 사회진단이 출간 - 1917년 ㄷ. 밀포드회의에서 개별사회사업의 공통요소를 정리하였다 - 1929년 ㄹ. 펄만의 문제해결모델이 등장 - 1957년
20.
에간(G. Egan)의 목표 선정지침인 SMART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에간의 SMART 목표설정 S - Specific(구체성) M - Measurable(측정가능성) A - Achievable(성취가능성) R - Realistic(현실성) T - Timely(시기적절성), Time-bounded(시간제한적)
21.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문적 관계의 기본 원칙은?(2021년 02월)
1.
수용
2.
개별화
3.
비심판적 태도
4.
의도적인 감정표현
5.
통제된 정서적 관여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수용 : 클라이언트의 행동, 감정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개별화 : 각자가 가진 특별한 상황이 있음을 인정 비심판적 태도 : 클라이언트를 심판하거나 비난하지 않아야 함 의도적인 감정표현 : CT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있음. 따라서 편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노력 통제된 정서적 관여 : 사회복지사는 CT의 감정에 의도적 목적을 가지고 적절히 반응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22.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을 돕는 데 필요한 사회복지사의 역량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을 돕는다는 의미는, 다르게 말해 클라이언트의 니즈를 존중한다는 의미입니다.
이에 따라 ㄹ문항의 경우는, 클라이언트의 니즈를 존중하는것이 아닌, 권위적으로 정하는 부분(진단 처방적)에 해당되어 답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Heka]
23.
자료수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자료수집은 실천의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2.
접수단계에서의 자료수집은 클라이언트 문제와 기관의 서비스 간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도면 충분하다.
3.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상호작용 유형은 클라이언트와 제3자의 상호작용 유형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4.
클라이언트의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언어적 표현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수집된 자료는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주변 체계에 대한 정보도 포함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비언어적 표현에 더 주의를 기울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클라이언트의 언어적표현이나 비언어적 표현은 다 중요하다. 상황에따라 비언어적 표현이 클라이언트가 강하게 어필하는 메세지 일수있다. 언어적표현 비언어적 표현은 둘 다 필요하고, 우선순위를 정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쿠쿠다스]
24.
사례관리자가 수행하는 직접실천기술은?(2025년 01월)
1.
클라이언트를 서비스나 자원에 연결한다.
2.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보호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에 대한 자격이 주어지도록 옹호한다.
3.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자원의 전달상황을 점검한다.
4.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과 조정을 수행한다.
5.
클라이언트와 가족 간의 문제해결을 위해 가족상담을 진행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직접실천기술] - 상담, 교육, 가족치료, 정보제공
[간접실천기술] - 의로, 자원개발, 옹호, 환경조정(조작) [해설작성자 : 김왕자]
25.
생태도를 통하여 파악할 수 없는 것은?(2025년 01월)
1.
클라이언트 가족의 세대 간 반복되는 정서적 유형
2.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체계
3.
클라이언트와 환경 간 자원교환의 정도
4.
클라이언트가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
5.
클라이언트에게 유용한 자원이나 환경
정답 : [
1
] 정답률 : 71%
2과목 :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26.
라포포트(L. Rapoport)가 제시한 위기개입목표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일치형: 다른 사람들 말이 다 옳고 자신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술 문제에 대한 벌을 달게 받겠다고 함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비난형 (남탓) 2. 초이성형 O 3. 혼란형 (말하고자 하는 바 1도 없음) 4. 일치형. 유일한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5. 회유형.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38.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종결단계 과업이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미래에 대한 계획
2.
변화유지 능력의 확인
3.
평가 계획의 수립
4.
변화 결과를 생활영역으로 일반화하기
5.
종결에 따른 감정 다루기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평가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는 "계획"단계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Dawn_0]
39.
다음 사례에서 사회복지사가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하는 것은?(2023년 01월)
1.
경직된 가족경계를 재구조화한다.
2.
단절된 의사소통의 문제를 해결한다.
3.
알코올 중독 문제에 관여한다.
4.
술 문제의 원인으로 보이는 부모를 대상으로 상담한다.
5.
부모 간 갈등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자아분화를 촉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40.
가족 내부의 역동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이중구속(double binds)은 가족의 응집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일치형 의사소통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논리에 기초한 의사소통 행위다.
3.
가족 하위체계 간 경계가 모호하면 그 관계가 소원해진다.
4.
전문가의 가족 개입 과정에서 가족의 항상성이 작동될 수 있다.
5.
부적 피드백은 가정 내 일탈행동을 증폭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경계선은 가족의 응집종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초이성형 의사소통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하 논리에 기초한 의사소통 행위다. (3) 가족 하위체계간 경계가 모호하면 그 관계가 너무 밀착된다. (5) 정적 피드백: A에게 b가 ~~하라고 하면 a는 기존 행동을 지속한다. 부정 피드백: 기존행동을 반복하던 a는 이건 아니라고 판단하고 하던 행동을 그만둔다. [해설작성자 : 아픈 닭(2022년 20회 합격 가즈아)]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논리에 기초하는것은 주지화로, 초이성형 의사소통에서 상황만을 중시할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ㅁㅁ]
41.
알코올 중독자 당사자는 치료에 거부적이다. 우선적으로 동기화되어 있는 가족들을 알코올 중독자 가족모임이나 자녀모임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 때 사회복지사가 개입 시 고려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0년 02월)
1.
가족항상성
2.
가족모델링
3.
가족재구조화
4.
다세대간 연합
5.
순환적 인과성
정답 : [
5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순환적인과성은 가족 성원중 한사람의 변화는 다른사람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이 모임에 참여함으로서 중독자가 모임에 관심을 갖게되어 치료에 협력적인 자세로 변화되는 것을 기대하는 개입이다. [해설작성자 : 은경]
42.
가족에 관한 체계론적 관점의 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1월)
1.
가족은 하위체계이면서 상위체계이다.
2.
가족 규칙은 가족 항상성에 영향을 준다.
3.
가족 내 하위체계의 경계유형은 투과성 정도에 따라 나뉠 수 있다.
4.
가족문제의 원인을 구성원 간 상호작용에서 찾는 것을 순환적 인과관계라고 한다.
5.
가족이 처한 상황을 구성원의 인식과 언어체계로 표현하면서 가족 스스로 문제해결의 단서를 찾도록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5번은 사회구성론적 관점입니당 [해설작성자 : 유댕]
해결중심 가족치료에서 클라이언트를 문제해결 주체로 봅니다 [해설작성자 : 한쮸쮸]
43.
구조적 가족치료의 모델로 개입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아픈 어머니, 철없는 아버지 대신 동생에게 부모 역할을 하며 자신에게 소홀한 맏딸의 문제
2.
비난형 아버지와 감정표현을 통제하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자기감정을 억압하는 아들의 문제
3.
할머니와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달라서 혼란스러운 자녀의 문제
4.
부부불화로 아들에게 화풀이를 하자 반항행동이 증가한 아들의 문제
5.
밀착된 아내와 딸이 남편을 밀어내어 소외감을 느끼는 남편의 문제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경험적 모형.
44.
인지적 왜곡이나 오류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2월)
1.
과잉일반화는 정반대의 증거나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
2.
임의적 추론은 상반된 사고의 경향성을 보이는 것이다.
3.
개인화는 하나 또는 별개의 사건들을 가지고 결론을 내린 후 비논리적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4.
선택적 사고는 상황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지지하기 위해 특정 자료들을 걸러내거나 무시하는 것이다.
다음 사례를 구조적 가족치료모델로 개입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이 아닌 것은?(2017년 01월)
1.
하위체계간 경계 만들기
2.
과제주기
3.
가족 재구조화
4.
실연
5.
외현화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족 구조 재구조화법이고, "~하기" 가 들어간다. 5. 외현화는 이야기체 가족치료모델이다.
[추가 해설]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1.가족을 재구조화하여 가족이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가족치료 방법이다. 2.경계만들기, 실연, 합류하기, 긴장 고조시키기, 과제부여, 균형 깨트리기 등을 활용한다. [해설작성자 : 오사장]
47.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전략적 가족치료의 개입기술은?(2016년 01월)
1.
증상처방(prescribing)
2.
제지(restraining)
3.
재정의(reframing)
4.
재보증(reassurance)
5.
합류하기(joining)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재정의 (=재명명, 재규정, 재정의) : 한 성원의 다른 성원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보다 새롭고 긍정적인 시각으로 변화하도록 돕는 것 - 클라이언트가 부여하는 의미를 수정하는 의사소통기법 [해설작성자 : 박밍키]
증상처방(역설적 개입): 문제 행동을 오히려 더 반복하게 하여 순환적 인과성을 끊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1급은 핫식스로]
48.
토스랜드와 리바스(R. Toseland & R. Rivas)가 분류한 세 가지 집단사회복지 실천기술 중 집단과정 촉진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1월)
1.
성원의 말이나 행동에 집중하는 반응을 한다.
2.
개방적 의사소통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먼저 자기노출을 할 수 있다.
3.
토론범위를 제한하여 집단목표와 관련 없는 의사소통을 감소시킨다.
4.
성원이 문제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재정의 한다.
5.
성원이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도록 의사소통의 내용을 명확히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4번 -> 재정의 한다는 말은 행동기술에 해당한다
[추가 해설]
1. 집단과정촉진기술 • 집단성원의 참여를 촉진하기 • 집단성원의 말이나 행동에 집중하는 반응하기 • 표현기술 • 반응기술 • 집단의사소통의 초점을 유지하기 : 토론의 범위를 제한하여 집단목표와 관련 없는 의소통을 감소시키기 • 집단과정을 명확하게 하기 • 내용을 명료화하기 : 집단성원이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도록 의사소통의 내용을 명확히 하기 • 집단상호작용을 지도하기
2. 자료수집 및 사정기술 • 생각, 감정, 행동을 확인 및 묘사하기 • 정보를 요청하고 질문하고 탐색하기 • 요약 및 세분화하기 -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합하기 - 정보를 분석하기
<문제 해설> 2. 과업집단은 구성원의 아니고 과업집단은 집단의 과업완수를 위해 조직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해설작성자 : 2018년 합격을 위하여 ]
2. 과업집단은 구성원의 발달과업 완수를 위해 조직을 구조화한다. [해설작성자 : 2nong]
50.
부인이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을 강요하는 아버지로 인해 대화가 단절된 가족이 의뢰되었다. 타인을 무시하고 탓하는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을 일치형으로 변화시키는 데 적합한 방법은?(2014년 01월)
1.
전략적 접근
2.
구조적 접근
3.
경험적 접근
4.
이야기치료
5.
해결중심모델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해당 지문에서 "부인이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을 강요하는 아버지로 인해 대화가 단절된 가족이 의뢰되었다"만 보면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균형깨기가 해당하지만, 이후 지문에서 비난형, 일치형과 같이 의사소통 유형에 대하여 묻고 있습니다.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내용이고 사티어는 경험적 가족치료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야로나]
51.
다음은 길버트와 스펙트(N. Gilbert & H. Specht)의 지역사회 기능 중 무엇에 해당되는가?(2023년 01월)
1.
생산ㆍ분배ㆍ소비 기능
2.
의사소통 기능
3.
사회치료 기능
4.
상부상조 기능
5.
사회통제 기능
정답 : [
5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생산,분배,소비 기능 : 일상생활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과정과 관련된 기능 상부상조의 기능 " 기본 사회제도에 의해서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경우에 강조되는 기능 사회통제 기능: 구성원들에게 사회의 규범(법,도덕,규칙 등)에 순응하게 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짜요]
길버트&스펙트의 지역사회 기능 생산ㆍ분배ㆍ소비 기능 -> 경제제도 의사소통 기능 -> 가족제도 사회통합 기능 -> 종교제도 사회통제 기능 -> 정치제도 상부상조 기능 -> 복지제도 [해설작성자 : 24]
52.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지역사회복지 이념은?(2023년 01월)
1.
정상화
2.
주민참여
3.
네트워크
4.
전문화
5.
탈시설화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정상화 : 탈시설화, 사회통합의 이념과 밀접한 관련 정신지체인(지적장애인)의 생활을 가능한 한 정상적인 생활에 가깝게 추구하기 위해 대두된 이념 네트워크 :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에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으로의 변화 탈시설화 " 생활시설의 폐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시설의 형태를 소규모의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켜가는 것 [해설작성자 : 짜요]
1959년 정신보건법(Mental Health Act) 제정으로 지역사회보호가 법률적으로 규정되었다.
5.
그리피스 보고서(Griffiths report)에서 지역사회보호의 권한과 재정을 지방정부로 이양할 것을 권고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영국의 지역사회보호 중 그리피스 보고서는 지방정부의 역할을 축소하고 민간부문의 활성화를 강조하였다. [해설작성자 : 24]
55.
지역사회문제를 규명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지역사회행동을 위한 어젠다(agenda)로 채택한다.
2.
해당문제와 관련된 문헌을 검토한다.
3.
지역사회 지도자, 공직자, 토착주민, 지역운동가 등 유력인사의 인식은 배제한다.
4.
해당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거의 노력을 찾아본다.
5.
해결을 위한 장애 요인과 문제의 지속 요인을 파악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역사회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역사회 지도자, 공직자, 토착주민, 지역운동가 등 유력인사의 인식은 지역사회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력인사의 인식을 배제하는 것은 지역사회문제를 제대로 규명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갑]
56.
다음을 설명하는 지역사회복지 이론과 관계없는 것은?(2018년 01월)
1.
진화
2.
참여
3.
호혜성
4.
네트워크
5.
교환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지역사회복지는 다양한 개인 및 집단의 참여로 이루어진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교환 및 교류가 이루어진다. 즉 진화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자원개발 방법은?(2014년 01월)
1.
우편발송(DM: Direct Mail)
2.
공익연계 마케팅(CRM: Cause Related Marketing)
3.
네트워크(network)
4.
자동응답시스템(ARS: Auto Response System)
5.
공동모금(community chest)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공익연계 마케팅은 기업과 비영리 단체, 그리고 소비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입니다. [해설작성자 : 갑]
58.
인보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세계 최초 인보관은 영국의 토인비홀이다.
2.
일본의 인보관은 간다(神田)의 킹스레이관에서 시작되었다.
3.
우애방문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4.
주요 이념은 자유주의, 급진주의이다.
5.
빈곤문제 해결을 위하여 환경에 관심을 갖고 접근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우애방문활동은 자선조직협회~!! [해설작성자 : 소현]
59.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옹호(advocacy)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2월)
1.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을 조정하고 연계한다.
2.
시의원 등에게 정치적 압력을 행사한다.
3.
피케팅으로 해당 기관을 난처하게 한다.
4.
행정기관에 증언 청취를 요청한다.
5.
지역주민으로부터 탄원서에 서명을 받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을 조정하고 연계하는 것은 중개자 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시험열공자]
60.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개발모델에 근거하여 아래와 같은 실천을 하였다. 이를 모두 충족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2015년 01월)
1.
안내자
2.
조정자
3.
사회치료자
4.
촉매자
5.
조사자
정답 : [
3
] 정답률 : 53%
61.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 단계는?(2022년 01월)
1.
문제확인 단계
2.
자원동원 단계
3.
실행 단계
4.
모니터링 단계
5.
평가 단계
정답 : [
1
] 정답률 : 74%
62.
로스만(J. Rothman)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지역사회개발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분석전문가이다.
2.
수급자 역할의 개념을 소비자로 본다.
3.
변화전술과 기법은 합의와 집단토의이다.
4.
수급자 체계의 범위는 약물중독과 같은 특정 집단이다.
5.
제도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조력자,조정자,문제해결기술과 윤리적가치를 가르치는 교사로 본다. (분석가는 사회계획모델) 2. 수급자 역할을 참여자로 본다. 소비자는 사회계획 모델 3. 변화전술과 기법은 합의와 집단토의이다. 4. 수급자 체계의 범위는 시민이고 전지역사회이다. 5. 제도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것은 사회행동모델이다. 지역사회모델의 목표는 지역사회능력향상과 통합, 자조(과정중심의 목표)이다. [해설작성자 : 효곰]
63.
지역사회복지실천 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ㄱ→ㄴ→ㄷ→ㄹ
2.
ㄱ→ㄹ→ㄴ→ㄷ
3.
ㄹ→ㄱ→ㄴ→ㄷ
4.
ㄹ→ㄱ→ㄷ→ㄴ
5.
ㄹ→ㄴ→ㄷ→ㄱ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정 > 계획 > 실행 > 평가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64.
다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핵심 역할은?(2018년 01월)
1.
조직가
2.
교육자
3.
옹호자
4.
협상가
5.
자원연결자
정답 : [
5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필요한 자원을 소개(지원 가능한 급여와 서비스 등)하고 이용하도록 지원하였기에 자원연결자라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65.
다음은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중 어떤 모델에 관한 설명인가?(2014년 01월)
1.
지역사회개발모델
2.
사회계획모델
3.
사회행동모델
4.
연합모델
5.
기능적인 지역사회모델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합의를 강조한 것은 로스만의 지역사회개발모델이고 갈등, 대결을 강조한 것은 로스만의 사회행동모델이다.
[추가해설] 문제 보기에서 문제규명, 욕구사정, 목표개발이 나오는데 규명, 사정, 개발, 실행, 평가 등의 변화를 위한 전술과 기법을 사용하는 모델이 로스만의 '사회계획'모델이다. 또한 사회계획모델은 특정 문제의 해결에만 관심을 가지고 이상주의적이며 중앙집권적인 모델이다. [해설작성자 : 웃지]
66.
지역사회보장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사회보장급여의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2.
지역사회보장 수요를 측정하고, 목표 및 추진전략을 수립한다.
3.
주택, 고용, 문화를 제외한 보건과 의료영역에 초점을 둔다.
4.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에서 계획을 수립한다.
5.
지역사회보장서비스의 수급조정과 안정적 공급을 도모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 사회보장이 균형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 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표·전략, 지표 설정·목표 기반구축 방안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효곰]
67.
아른스테인(S. R. Arnstein)의 주민참여 수준 8단계 중 각종 위원회 등을 통해 주민의 참여범위는 확대되지만 최종적인 판단은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단계는?(2016년 01월)
1.
주민회유(placation)
2.
협동관계(partnership)
3.
여론조작(manipulation)
4.
주민통제(citizen control)
5.
권한위임(delegated power)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 비참여 ➀조작 ➁치료 - 형식적 참여(tokenism) ➂정보제공(일방적 제공, 환류 없음) ➃상담(공청회,집회에 형식적 참여 유도) ➄회유(위원회, 최종판단은 행정기관) - 주민권력 ➅협동관계(행정기관이 최종결정권, 협상 가능) ➆권한위임 ➇주민통제(입안,결정,집행,평가 모두 주민이 통제)
[해설작성자 : 거석]
68.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심의ㆍ자문 사항이 아닌 것은?(2022년 01월)
1.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관한 사항
2.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
3.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 추진에 관한 사항
4.
읍ㆍ면ㆍ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5.
읍ㆍ면ㆍ동의 지역사회보장조사 및 지역사회보장지표에 관한 사항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심의ㆍ자문한다.
1.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관한 사항 2.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조사 및 지역사회보장지표에 관한 사항 3.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 4.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 추진에 관한 사항 5. 읍ㆍ면ㆍ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실무협의체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보장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제외된다.
2.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0명 미만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3.
지역사회보장계획과 관련된 조례를 제정한다.
4.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자문한다.
5.
전문성 원칙에 따라 현장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위원장 10명을 포함하여 40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행정안전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자원봉사활동의 진흥을 위한 국가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나도 합격]
71.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지방분권의 부정적 측면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사회복지 행정업무와 재정을 지방에 이양함으로써 중앙정부의 사회적 책임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2.
지방정부가 사회개발정책에 우선을 두는 경우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이 감소될 수 있다.
3.
복지의 분권화를 통해 효율적인 복지집행체계의 구축이 용이해질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복지서비스의 지역 간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
5.
지방정부간의 재정력 격차로 복지수준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 지방분권의 장점에 관한 내용이다.
72.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상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사회복지법인이다.
2.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ㆍ특별자치도 단위 사회복지공동모금지회를 둔다.
3.
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다.
4.
모금회가 아닌 자는 사회복지공동모금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5.
사회복지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복권을 발행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며,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현]
73.
지역사회복지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계획되지 않은 조직적 활동이다.
2.
사회복지 전문가 중심의 활동이다.
3.
개인의 성장과 변화에 우선적인 초점을 둔다.
4.
노동자, 장애인 등 일부 주민을 대상으로 한다.
5.
복지권리ㆍ시민의식을 배양하는 사회권 확립운동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지역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조직 운동 2. 지역주민, 지역사회 활동가, 사회복지 전문가 등이 주체 3. 지역사회복지의 확산과 발전을 위한 생활운동 4. 일부 주민 대상이 아님.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74.
다음 사례의 ㄱ, ㄴ과 관련한 사회복지관의 역할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9년 01월)
1.
지역사회보호, 주민조직화
2.
사례개입, 당사자 교육
3.
서비스 연계, 자원 개발 및 관리
4.
서비스 제공, 복지네트워크 구축
5.
사례관리, 주민조직화
정답 : [
5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ㄱ. 사례관리 기능 중 사례발굴(위기 개입대상자를 발굴하고 서비스제공 및 계획 수립) ㄴ. 지역조직화 기능 중 주민조직화 (주민 스스로 조직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직접 지역사회 문제에 참여함으로써 주민협력강화 및 주인의식 고취)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75.
지역사회복지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지역사회의 부당한 권력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2.
지역주민 참여를 위한 수요자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로 사회복지 실무자도 포함된다.
4.
특정 계층에 국한된 수단지향적인 활동이다.
5.
조례제정운동과 같은 제도변화과정을 예로 들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정 답 지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937272)
<문제 해설> 사회복지진화론은 사회복지실천의 사회통제적 층면에서 나타나는데, 사회통제를 주 목적으로 한 실천 사례로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을 꼽을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까미]
2.
이용시설 - 간접서비스기관 - 민간기관의 예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1월)
1.
지역아동센터 - 사회복지협의회 - 주민센터
2.
장애인복지관 - 주민센터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
청소년쉼터 - 사회복지관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4.
사회복지관 - 노인보호전문기관 - 성폭력피해상담소
5.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정답 : [
5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이용시설은 지역아동센터,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클라이언트에게 주거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말한다. 간접서비스기관이란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행정 업무를 수행하고 기관 간의 협의 및 연계 업무를 담당한다. 민간기관이란 사회복지 관련 사업을 목적으로 기부금이나 후원금 등 기타 서비스 이용료를 재원으로 하는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해 운영되는 기관이다. [해설작성자 : UOS SW]
1. 지역아동센터: 이용시설/ 사회복지협의회: 간접/ 주민센터: 공공 2. 장애인복지관: 이용시설 / 주민센터: 공공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공공 3. 청소년쉼터: 생활시설 / 사회복지관: 직접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민간 4. 사회복지관: 이용시설 / 노인보호전문기관: 직접 / 성폭력피해상담소: 민간(국가 또는 지자체에서도 설치 및 운영 가능) [해설작성자 : 나 배재대 보건의료복지학과]
3.
레비(C. Levy)가 구분한 사회복지 전문직 가치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수단우선 가치, 결과우선 가치, 해결우선 가치
2.
수단우선 가치, 결과우선 가치, 평가우선 가치
3.
사람우선 가치, 결과우선 가치, 수단우선 가치
4.
사람우선 가치, 평가우선 가치, 해결우선 가치
5.
사람우선 가치, 결과우선 가치, 평가우선 가치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사람, 결과 , 수단
4.
로웬버그와 돌고프(F. Loewenberg & R. Dolgoff)의 윤리적 원칙 심사표에서 '도움을 요청해 온 클라이언트의 의사를 존중해 주는 것'에 해당하는 윤리적 원칙은?(2022년 01월)
1.
자율성과 자유의 원칙
2.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3.
최소 손실의 원칙
4.
사생활과 비밀보장의 원칙
5.
진실성과 정보개방의 원칙
정답 : [
1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질문에 해당하는 원칙은 로웬버그와 돌고프의 윤리원칙 중, 윤리원칙 3. 자율과 자유의 원칙(자기결정의 원칙)에 해당함 - 윤리원칙1 : 생명보호의 원칙 - 윤리원칙2 : 평등과 불평등의 원칙 - 윤리원칙3 : 자율과 자유의 원칙(자기결정의 원칙) - 윤리원칙4 : 최소 해악의 원칙(혹은 최소 손실의 원칙) - 윤리원칙5 : 삶의 질 향상의 원칙 - 윤리원칙6 : 사생활 보호와 비밀보장의 원칙 - 윤리원칙7 : 성실의 원칙(혹은 진실성과 정보공개의 원칙) [해설작성자 : 까미]
5.
접수단계의 주요 과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2년 01월)
1.
관계형성을 통한 클라이언트의 참여 유도
2.
클라이언트의 드러난 문제 확인
3.
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 측정
4.
서비스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동의 확인
5.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기관의 자원과 정책에 부합되는지 판단
정답 : [
3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사회복지실천과정: 접수->조사 및 사정->계획(목표설정 및 계약)->개입(간접,직접)->평가 및 종결 위 문제는 접수단계의 주요 과업에 대해 묻고 있다. 3. 서비스의 효율성과 효과성 측정. 접수하고 있는데 효율성, 효과성을 측정?하는건 상식적으로도 안맞음 맨 마지막 평가 및 종결단계에 진행한다. [해설작성자 : 원트만에 붙고싶은 사복 예비졸업생]
6.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옹호자: 클라이언트 권익 변호
2.
계획자: 변화과정 기획
3.
연구자: 개입효과 평가
4.
교육자: 지식과 기술 전수
5.
중개자: 조직이나 집단의 갈등 해결
정답 : [
5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중개자:주민들에게 필요한 자원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줌으로써 자원 접근성을 높임 [해설작성자 : 가을song]
5. 조직이나 집단의 갈등을 해결해주는 역할은 '중재자' [해설작성자 : 뽀각]
7.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자질은?(2023년 01월)
1.
민감성
2.
진실성
3.
헌신
4.
수용
5.
일치성
정답 : [
1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①진실성, ⑤일치성 => 클라이언트를 대함에 있어 솔직하고 언행이 일관적이어야 한다. ③헌신 =>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 있어 책임감을 가지고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④수용 => 클라이언트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이해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kilelove]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1번 진실성이 아닌 2번 진실성으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자선조직협회(COS)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1월)
1.
민간 사회복지기관의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2.
적자생존에 기반한 사회진화론을 구빈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았다.
3.
빈민지역에 거주하며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집합적이고 개혁적인 해결을 강조하였다.
4.
과학적이고 적절한 자선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등록체계를 실시하였다.
5.
자선조직협회 활동은 개별사회사업의 초석이 되었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빈민지역에 거주하며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집합적이고 개혁적인 해결을 강조한 활동은 인보관 운동 이다. [해설작성자 : kilelove]
9.
사회복지면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사회복지사에 관한 사적인 질문은 가능한 한 간결하게 답하고, 초점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로 돌린다.
2.
클라이언트와의 신뢰관계가 충분히 형성된 후에 해석기술을 활용한다.
3.
클라이언트의 표현이 모호할 때는 오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구체적 표현을 요청한다.
4.
클라이언트가 지나치게 말을 많이 하는 경우, 폐쇄형 질문만을 사용하여 초점을 모으는 것이 필요하다.
5.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표현을 관찰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개방적, 폐쇄적 질문 모두 사용 [해설작성자 : 2018]
초점화 - 클라이언트가 말을 장황하게 하거나 어떤 주제를 회피하려고 할 때, 간단한 질문을 하거나 문제를 다시 언급함으로써 초점을 맞춘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사례에서 사례관리자의 역할은?(2014년 01월)
1.
중재자(mediator)
2.
옹호자(advocate)
3.
중개자(broker)
4.
기획가(planner)
5.
조성자(enabler)
정답 : [
3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사례관리자의 중개자 역할은 클라이언트가 지역사회의 자원과 서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고,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갑]
11.
실천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수행해야 할 과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사정단계: 클라이언트의 자원과 능력 평가
2.
계획단계: 개입의 장단기 목표 합의
3.
접수단계: 목표의 우선순위 결정
4.
자료수집단계: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정보수집
5.
종결단계: 변화된 결과 확인
정답 : [
3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3. 목표의 우선순위결정은 접수단계가 아니고 계획단계입니다. [해설작성자 : 내일은 해가 뜬다.]
12.
다음 기록의 유형은?(2017년 01월)
1.
이야기체기록
2.
문제중심기록
3.
과정기록
4.
요약기록
5.
상호작용기록
정답 : [
3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에 있었던 일을 그대로 기록하는 방식:과정기록 [해설작성자 : 메롱하면 멜론줄께]
13.
전문적 관계의 기본 요소 중 자기 인식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감정과 반응을 있는 그대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능력은?(2018년 01월)
1.
구체성
2.
공감
3.
진실성
4.
헌신
5.
민감성
정답 : [
3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1,구체성: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행동, 사고, 감정을 자신의 독자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능력 2.공감: 클라이언트의 감정과 그 의미를 정확하고 민감하게 인식하고 전달하는 능력 4.헌신과 의무: 원조과정에서 책임감을 의미하는것, 일관성을 포함하는 개념, 사회복지사 뿐만 하니라 클라이언트도 관계에 대한 헌신과 의무를 가져야함. 5.민감성: 특정한 단서 없이도 클라이언트의 내면 세계를 느끼고 감지할 수 있는 능력, 사회복지사가 생로운 상황에 대한 개방성과 변화에 대한 준비자세를 갖추고 있는지 여부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음 [해설작성자 : 1급 시험 D-30]
14.
사회복지사의 옹호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2월)
1.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는 영유아를 대변한다.
2.
무국적 아동의 교육 평등권을 위한 법안을 제안한다.
3.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 집단의 대표로 나서서 협상을 주도한다.
4.
이주 노동자에게 최저 임금을 받을 권리를 교육한다.
5.
철거민들의 자체 회의를 위해 종합사회복지관의 공간을 제공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옹호 활동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입장을 표적체계에 대해 직접 대변하는 것이다. 다만, 협상을 언제 할 것인지, 어느 선에서 협상을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있다는 점에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집단의 대표로 나서서 협상을 주도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 [해설작성자 : 수지]
3. 해당 내용은 협상가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유느저르]
15.
전문적 원조관계의 기본 요소인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민감성 관련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문화적 다양성과 유사성을 인지하고 선호나 옳고 그름의 가치를 부여
2.
자신의 문화를 중심에 두면서 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의사소통
3.
출신국가, 피부색 간에 존재하는 권력적 위계관계 무시
4.
자신의 문화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다문화 배경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규정
5.
다문화 생활경험과 가치에 맞는 개입전략 개발
정답 : [
5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민감성이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문화적배경이나 차이에 대해 자신의 선입견, 가치판단을 지양하고, 문화적 당양성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 [해설작성자 : 공부하다가귤만먹음]
<문제 해설> 진단주의- 병리강조, 무의식, 과거의 경험, 전이, 양가감정, 워커중심 기능주의- 의지강조, 개인의 부적응, 현재의 감정, 클라이언트 중심 [해설작성자 : 으채]
1. 진단주의 학파는 1920년대 프로이트에 의해 발전되었다. (미국 대공황 1920년대) 3. 기능주의 학파는 클라이언트의 의지력, 창의력, 낙관적 관점을 강조하였다. 4. 진단주의 학파는 치료중심이며 무의식, 저항, 양가감정, 전이 등을 주요한 개념으로 삼는다. 현재의 경험과 개인의 동기에 대한 이해를 중시하는 것은 기능주의 학파이다. 5. 두 학파간의 논쟁은 1957년 펄만의 절충주의인 문제해결모델이 등장하면서 종식되었다. [해설작성자 : 수여니]
19.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6년 01월)
1.
ㄴ → ㄷ → ㄹ → ㄱ
2.
ㄴ → ㄹ → ㄱ → ㄷ
3.
ㄴ → ㄹ → ㄷ → ㄱ
4.
ㄹ → ㄱ → ㄴ → ㄷ
5.
ㄹ → ㄴ → ㄱ → ㄷ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ㄱ. 한국의 사회복지사업법이 제정 - 1970년 ㄴ. 리치몬드의 사회진단이 출간 - 1917년 ㄷ. 밀포드회의에서 개별사회사업의 공통요소를 정리하였다 - 1929년 ㄹ. 펄만의 문제해결모델이 등장 - 1957년
20.
에간(G. Egan)의 목표 선정지침인 SMART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1.
ㄱ, ㄴ, ㄷ
2.
ㄱ, ㄷ
3.
ㄴ, ㄹ
4.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4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에간의 SMART 목표설정 S - Specific(구체성) M - Measurable(측정가능성) A - Achievable(성취가능성) R - Realistic(현실성) T - Timely(시기적절성), Time-bounded(시간제한적)
21.
다음에서 설명하는 전문적 관계의 기본 원칙은?(2021년 02월)
1.
수용
2.
개별화
3.
비심판적 태도
4.
의도적인 감정표현
5.
통제된 정서적 관여
정답 : [
5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수용 : 클라이언트의 행동, 감정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개별화 : 각자가 가진 특별한 상황이 있음을 인정 비심판적 태도 : 클라이언트를 심판하거나 비난하지 않아야 함 의도적인 감정표현 : CT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싶은 욕구가 있음. 따라서 편하게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노력 통제된 정서적 관여 : 사회복지사는 CT의 감정에 의도적 목적을 가지고 적절히 반응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22.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을 돕는 데 필요한 사회복지사의 역량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2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3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을 돕는다는 의미는, 다르게 말해 클라이언트의 니즈를 존중한다는 의미입니다.
이에 따라 ㄹ문항의 경우는, 클라이언트의 니즈를 존중하는것이 아닌, 권위적으로 정하는 부분(진단 처방적)에 해당되어 답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Heka]
23.
자료수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자료수집은 실천의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2.
접수단계에서의 자료수집은 클라이언트 문제와 기관의 서비스 간 부합 여부를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도면 충분하다.
3.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상호작용 유형은 클라이언트와 제3자의 상호작용 유형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4.
클라이언트의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언어적 표현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5.
수집된 자료는 클라이언트를 둘러싼 주변 체계에 대한 정보도 포함해야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비언어적 표현에 더 주의를 기울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으채]
클라이언트의 언어적표현이나 비언어적 표현은 다 중요하다. 상황에따라 비언어적 표현이 클라이언트가 강하게 어필하는 메세지 일수있다. 언어적표현 비언어적 표현은 둘 다 필요하고, 우선순위를 정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해설작성자 : 쿠쿠다스]
24.
사례관리자가 수행하는 직접실천기술은?(2025년 01월)
1.
클라이언트를 서비스나 자원에 연결한다.
2.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보호하고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에 대한 자격이 주어지도록 옹호한다.
3.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자원의 전달상황을 점검한다.
4.
다양한 전문가들의 협력과 조정을 수행한다.
5.
클라이언트와 가족 간의 문제해결을 위해 가족상담을 진행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직접실천기술] - 상담, 교육, 가족치료, 정보제공
[간접실천기술] - 의로, 자원개발, 옹호, 환경조정(조작) [해설작성자 : 김왕자]
25.
생태도를 통하여 파악할 수 없는 것은?(2025년 01월)
1.
클라이언트 가족의 세대 간 반복되는 정서적 유형
2.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체계
3.
클라이언트와 환경 간 자원교환의 정도
4.
클라이언트가 이용하는 서비스 기관
5.
클라이언트에게 유용한 자원이나 환경
정답 : [
1
] 정답률 : 71%
2과목 : 사회복지 실천 기술론
26.
라포포트(L. Rapoport)가 제시한 위기개입목표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5년 01월)
일치형: 다른 사람들 말이 다 옳고 자신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술 문제에 대한 벌을 달게 받겠다고 함
정답 : [
2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1. 비난형 (남탓) 2. 초이성형 O 3. 혼란형 (말하고자 하는 바 1도 없음) 4. 일치형. 유일한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5. 회유형.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38.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종결단계 과업이 아닌 것은?(2016년 01월)
1.
미래에 대한 계획
2.
변화유지 능력의 확인
3.
평가 계획의 수립
4.
변화 결과를 생활영역으로 일반화하기
5.
종결에 따른 감정 다루기
정답 : [
3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3) 평가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는 "계획"단계에 속한다. [해설작성자 : Dawn_0]
39.
다음 사례에서 사회복지사가 우선적으로 개입해야 하는 것은?(2023년 01월)
1.
경직된 가족경계를 재구조화한다.
2.
단절된 의사소통의 문제를 해결한다.
3.
알코올 중독 문제에 관여한다.
4.
술 문제의 원인으로 보이는 부모를 대상으로 상담한다.
5.
부모 간 갈등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자아분화를 촉진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40.
가족 내부의 역동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5년 01월)
1.
이중구속(double binds)은 가족의 응집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일치형 의사소통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논리에 기초한 의사소통 행위다.
3.
가족 하위체계 간 경계가 모호하면 그 관계가 소원해진다.
4.
전문가의 가족 개입 과정에서 가족의 항상성이 작동될 수 있다.
5.
부적 피드백은 가정 내 일탈행동을 증폭시킨다.
정답 : [
4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경계선은 가족의 응집종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초이성형 의사소통은 객관적 사실과 정확하 논리에 기초한 의사소통 행위다. (3) 가족 하위체계간 경계가 모호하면 그 관계가 너무 밀착된다. (5) 정적 피드백: A에게 b가 ~~하라고 하면 a는 기존 행동을 지속한다. 부정 피드백: 기존행동을 반복하던 a는 이건 아니라고 판단하고 하던 행동을 그만둔다. [해설작성자 : 아픈 닭(2022년 20회 합격 가즈아)]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논리에 기초하는것은 주지화로, 초이성형 의사소통에서 상황만을 중시할때 나타난다. [해설작성자 : ㅁㅁ]
41.
알코올 중독자 당사자는 치료에 거부적이다. 우선적으로 동기화되어 있는 가족들을 알코올 중독자 가족모임이나 자녀모임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 때 사회복지사가 개입 시 고려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0년 02월)
1.
가족항상성
2.
가족모델링
3.
가족재구조화
4.
다세대간 연합
5.
순환적 인과성
정답 : [
5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순환적인과성은 가족 성원중 한사람의 변화는 다른사람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족이 모임에 참여함으로서 중독자가 모임에 관심을 갖게되어 치료에 협력적인 자세로 변화되는 것을 기대하는 개입이다. [해설작성자 : 은경]
42.
가족에 관한 체계론적 관점의 기술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01월)
1.
가족은 하위체계이면서 상위체계이다.
2.
가족 규칙은 가족 항상성에 영향을 준다.
3.
가족 내 하위체계의 경계유형은 투과성 정도에 따라 나뉠 수 있다.
4.
가족문제의 원인을 구성원 간 상호작용에서 찾는 것을 순환적 인과관계라고 한다.
5.
가족이 처한 상황을 구성원의 인식과 언어체계로 표현하면서 가족 스스로 문제해결의 단서를 찾도록 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5번은 사회구성론적 관점입니당 [해설작성자 : 유댕]
해결중심 가족치료에서 클라이언트를 문제해결 주체로 봅니다 [해설작성자 : 한쮸쮸]
43.
구조적 가족치료의 모델로 개입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1월)
1.
아픈 어머니, 철없는 아버지 대신 동생에게 부모 역할을 하며 자신에게 소홀한 맏딸의 문제
2.
비난형 아버지와 감정표현을 통제하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자기감정을 억압하는 아들의 문제
3.
할머니와 어머니의 양육방식이 달라서 혼란스러운 자녀의 문제
4.
부부불화로 아들에게 화풀이를 하자 반항행동이 증가한 아들의 문제
5.
밀착된 아내와 딸이 남편을 밀어내어 소외감을 느끼는 남편의 문제
정답 : [
2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2.경험적 모형.
44.
인지적 왜곡이나 오류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02월)
1.
과잉일반화는 정반대의 증거나 증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
2.
임의적 추론은 상반된 사고의 경향성을 보이는 것이다.
3.
개인화는 하나 또는 별개의 사건들을 가지고 결론을 내린 후 비논리적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4.
선택적 사고는 상황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지지하기 위해 특정 자료들을 걸러내거나 무시하는 것이다.
다음 사례를 구조적 가족치료모델로 개입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이 아닌 것은?(2017년 01월)
1.
하위체계간 경계 만들기
2.
과제주기
3.
가족 재구조화
4.
실연
5.
외현화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가족 구조 재구조화법이고, "~하기" 가 들어간다. 5. 외현화는 이야기체 가족치료모델이다.
[추가 해설]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1.가족을 재구조화하여 가족이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가족치료 방법이다. 2.경계만들기, 실연, 합류하기, 긴장 고조시키기, 과제부여, 균형 깨트리기 등을 활용한다. [해설작성자 : 오사장]
47.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전략적 가족치료의 개입기술은?(2016년 01월)
1.
증상처방(prescribing)
2.
제지(restraining)
3.
재정의(reframing)
4.
재보증(reassurance)
5.
합류하기(joining)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재정의 (=재명명, 재규정, 재정의) : 한 성원의 다른 성원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보다 새롭고 긍정적인 시각으로 변화하도록 돕는 것 - 클라이언트가 부여하는 의미를 수정하는 의사소통기법 [해설작성자 : 박밍키]
증상처방(역설적 개입): 문제 행동을 오히려 더 반복하게 하여 순환적 인과성을 끊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1급은 핫식스로]
48.
토스랜드와 리바스(R. Toseland & R. Rivas)가 분류한 세 가지 집단사회복지 실천기술 중 집단과정 촉진기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5년 01월)
1.
성원의 말이나 행동에 집중하는 반응을 한다.
2.
개방적 의사소통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먼저 자기노출을 할 수 있다.
3.
토론범위를 제한하여 집단목표와 관련 없는 의사소통을 감소시킨다.
4.
성원이 문제 상황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재정의 한다.
5.
성원이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도록 의사소통의 내용을 명확히 한다.
정답 : [
4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4번 -> 재정의 한다는 말은 행동기술에 해당한다
[추가 해설]
1. 집단과정촉진기술 • 집단성원의 참여를 촉진하기 • 집단성원의 말이나 행동에 집중하는 반응하기 • 표현기술 • 반응기술 • 집단의사소통의 초점을 유지하기 : 토론의 범위를 제한하여 집단목표와 관련 없는 의소통을 감소시키기 • 집단과정을 명확하게 하기 • 내용을 명료화하기 : 집단성원이 의견을 분명하게 표현하도록 의사소통의 내용을 명확히 하기 • 집단상호작용을 지도하기
2. 자료수집 및 사정기술 • 생각, 감정, 행동을 확인 및 묘사하기 • 정보를 요청하고 질문하고 탐색하기 • 요약 및 세분화하기 - 언어적 및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합하기 - 정보를 분석하기
<문제 해설> 2. 과업집단은 구성원의 아니고 과업집단은 집단의 과업완수를 위해 조직의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해설작성자 : 2018년 합격을 위하여 ]
2. 과업집단은 구성원의 발달과업 완수를 위해 조직을 구조화한다. [해설작성자 : 2nong]
50.
부인이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을 강요하는 아버지로 인해 대화가 단절된 가족이 의뢰되었다. 타인을 무시하고 탓하는 비난형 의사소통 유형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을 일치형으로 변화시키는 데 적합한 방법은?(2014년 01월)
1.
전략적 접근
2.
구조적 접근
3.
경험적 접근
4.
이야기치료
5.
해결중심모델
정답 : [
3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해당 지문에서 "부인이나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신의 방식을 강요하는 아버지로 인해 대화가 단절된 가족이 의뢰되었다"만 보면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의 균형깨기가 해당하지만, 이후 지문에서 비난형, 일치형과 같이 의사소통 유형에 대하여 묻고 있습니다.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내용이고 사티어는 경험적 가족치료에 해당합니다. [해설작성자 : 야로나]
51.
다음은 길버트와 스펙트(N. Gilbert & H. Specht)의 지역사회 기능 중 무엇에 해당되는가?(2023년 01월)
1.
생산ㆍ분배ㆍ소비 기능
2.
의사소통 기능
3.
사회치료 기능
4.
상부상조 기능
5.
사회통제 기능
정답 : [
5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생산,분배,소비 기능 : 일상생활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과정과 관련된 기능 상부상조의 기능 " 기본 사회제도에 의해서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경우에 강조되는 기능 사회통제 기능: 구성원들에게 사회의 규범(법,도덕,규칙 등)에 순응하게 하는 기능 [해설작성자 : 짜요]
길버트&스펙트의 지역사회 기능 생산ㆍ분배ㆍ소비 기능 -> 경제제도 의사소통 기능 -> 가족제도 사회통합 기능 -> 종교제도 사회통제 기능 -> 정치제도 상부상조 기능 -> 복지제도 [해설작성자 : 24]
52.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지역사회복지 이념은?(2023년 01월)
1.
정상화
2.
주민참여
3.
네트워크
4.
전문화
5.
탈시설화
정답 : [
2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정상화 : 탈시설화, 사회통합의 이념과 밀접한 관련 정신지체인(지적장애인)의 생활을 가능한 한 정상적인 생활에 가깝게 추구하기 위해 대두된 이념 네트워크 :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에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으로의 변화 탈시설화 " 생활시설의 폐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시설의 형태를 소규모의 다양한 형태로 변화시켜가는 것 [해설작성자 : 짜요]
1959년 정신보건법(Mental Health Act) 제정으로 지역사회보호가 법률적으로 규정되었다.
5.
그리피스 보고서(Griffiths report)에서 지역사회보호의 권한과 재정을 지방정부로 이양할 것을 권고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영국의 지역사회보호 중 그리피스 보고서는 지방정부의 역할을 축소하고 민간부문의 활성화를 강조하였다. [해설작성자 : 24]
55.
지역사회문제를 규명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1월)
1.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지역사회행동을 위한 어젠다(agenda)로 채택한다.
2.
해당문제와 관련된 문헌을 검토한다.
3.
지역사회 지도자, 공직자, 토착주민, 지역운동가 등 유력인사의 인식은 배제한다.
4.
해당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거의 노력을 찾아본다.
5.
해결을 위한 장애 요인과 문제의 지속 요인을 파악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지역사회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역사회 지도자, 공직자, 토착주민, 지역운동가 등 유력인사의 인식은 지역사회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력인사의 인식을 배제하는 것은 지역사회문제를 제대로 규명하는 데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갑]
56.
다음을 설명하는 지역사회복지 이론과 관계없는 것은?(2018년 01월)
1.
진화
2.
참여
3.
호혜성
4.
네트워크
5.
교환
정답 : [
1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지역사회복지는 다양한 개인 및 집단의 참여로 이루어진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교환 및 교류가 이루어진다. 즉 진화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자원개발 방법은?(2014년 01월)
1.
우편발송(DM: Direct Mail)
2.
공익연계 마케팅(CRM: Cause Related Marketing)
3.
네트워크(network)
4.
자동응답시스템(ARS: Auto Response System)
5.
공동모금(community chest)
정답 : [
2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공익연계 마케팅은 기업과 비영리 단체, 그리고 소비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입니다. [해설작성자 : 갑]
58.
인보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1월)
1.
세계 최초 인보관은 영국의 토인비홀이다.
2.
일본의 인보관은 간다(神田)의 킹스레이관에서 시작되었다.
3.
우애방문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4.
주요 이념은 자유주의, 급진주의이다.
5.
빈곤문제 해결을 위하여 환경에 관심을 갖고 접근하였다.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우애방문활동은 자선조직협회~!! [해설작성자 : 소현]
59.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옹호(advocacy)활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1년 02월)
1.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을 조정하고 연계한다.
2.
시의원 등에게 정치적 압력을 행사한다.
3.
피케팅으로 해당 기관을 난처하게 한다.
4.
행정기관에 증언 청취를 요청한다.
5.
지역주민으로부터 탄원서에 서명을 받는다.
정답 : [
1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지역사회 내 복지자원을 조정하고 연계하는 것은 중개자 활동이다. [해설작성자 : 시험열공자]
60.
사회복지사가 지역사회개발모델에 근거하여 아래와 같은 실천을 하였다. 이를 모두 충족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2015년 01월)
1.
안내자
2.
조정자
3.
사회치료자
4.
촉매자
5.
조사자
정답 : [
3
] 정답률 : 53%
61.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 단계는?(2022년 01월)
1.
문제확인 단계
2.
자원동원 단계
3.
실행 단계
4.
모니터링 단계
5.
평가 단계
정답 : [
1
] 정답률 : 74%
62.
로스만(J. Rothman)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지역사회개발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1월)
1.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분석전문가이다.
2.
수급자 역할의 개념을 소비자로 본다.
3.
변화전술과 기법은 합의와 집단토의이다.
4.
수급자 체계의 범위는 약물중독과 같은 특정 집단이다.
5.
제도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조력자,조정자,문제해결기술과 윤리적가치를 가르치는 교사로 본다. (분석가는 사회계획모델) 2. 수급자 역할을 참여자로 본다. 소비자는 사회계획 모델 3. 변화전술과 기법은 합의와 집단토의이다. 4. 수급자 체계의 범위는 시민이고 전지역사회이다. 5. 제도의 변화를 목표로 하는 것은 사회행동모델이다. 지역사회모델의 목표는 지역사회능력향상과 통합, 자조(과정중심의 목표)이다. [해설작성자 : 효곰]
63.
지역사회복지실천 과정의 순서로 옳은 것은?(2024년 01월)
1.
ㄱ→ㄴ→ㄷ→ㄹ
2.
ㄱ→ㄹ→ㄴ→ㄷ
3.
ㄹ→ㄱ→ㄴ→ㄷ
4.
ㄹ→ㄱ→ㄷ→ㄴ
5.
ㄹ→ㄴ→ㄷ→ㄱ
정답 : [
2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사정 > 계획 > 실행 > 평가 [해설작성자 : 사복1회차]
64.
다음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핵심 역할은?(2018년 01월)
1.
조직가
2.
교육자
3.
옹호자
4.
협상가
5.
자원연결자
정답 : [
5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필요한 자원을 소개(지원 가능한 급여와 서비스 등)하고 이용하도록 지원하였기에 자원연결자라 볼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민근당근민당근철]
65.
다음은 지역사회복지실천 모델 중 어떤 모델에 관한 설명인가?(2014년 01월)
1.
지역사회개발모델
2.
사회계획모델
3.
사회행동모델
4.
연합모델
5.
기능적인 지역사회모델
정답 : [
2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합의를 강조한 것은 로스만의 지역사회개발모델이고 갈등, 대결을 강조한 것은 로스만의 사회행동모델이다.
[추가해설] 문제 보기에서 문제규명, 욕구사정, 목표개발이 나오는데 규명, 사정, 개발, 실행, 평가 등의 변화를 위한 전술과 기법을 사용하는 모델이 로스만의 '사회계획'모델이다. 또한 사회계획모델은 특정 문제의 해결에만 관심을 가지고 이상주의적이며 중앙집권적인 모델이다. [해설작성자 : 웃지]
66.
지역사회보장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1월)
1.
사회보장급여의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2.
지역사회보장 수요를 측정하고, 목표 및 추진전략을 수립한다.
3.
주택, 고용, 문화를 제외한 보건과 의료영역에 초점을 둔다.
4.
시ㆍ도 및 시ㆍ군ㆍ구에서 계획을 수립한다.
5.
지역사회보장서비스의 수급조정과 안정적 공급을 도모한다.
정답 : [
3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3. 사회보장이 균형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 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표·전략, 지표 설정·목표 기반구축 방안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효곰]
67.
아른스테인(S. R. Arnstein)의 주민참여 수준 8단계 중 각종 위원회 등을 통해 주민의 참여범위는 확대되지만 최종적인 판단은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단계는?(2016년 01월)
1.
주민회유(placation)
2.
협동관계(partnership)
3.
여론조작(manipulation)
4.
주민통제(citizen control)
5.
권한위임(delegated power)
정답 : [
1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 비참여 ➀조작 ➁치료 - 형식적 참여(tokenism) ➂정보제공(일방적 제공, 환류 없음) ➃상담(공청회,집회에 형식적 참여 유도) ➄회유(위원회, 최종판단은 행정기관) - 주민권력 ➅협동관계(행정기관이 최종결정권, 협상 가능) ➆권한위임 ➇주민통제(입안,결정,집행,평가 모두 주민이 통제)
[해설작성자 : 거석]
68.
시ㆍ군ㆍ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심의ㆍ자문 사항이 아닌 것은?(2022년 01월)
1.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관한 사항
2.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
3.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 추진에 관한 사항
4.
읍ㆍ면ㆍ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5.
읍ㆍ면ㆍ동의 지역사회보장조사 및 지역사회보장지표에 관한 사항
정답 : [
5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심의ㆍ자문한다.
1.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ㆍ시행 및 평가에 관한 사항 2. 시ㆍ군ㆍ구의 지역사회보장조사 및 지역사회보장지표에 관한 사항 3.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 4.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 추진에 관한 사항 5. 읍ㆍ면ㆍ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9.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실무협의체 운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1월)
1.
사회보장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은 제외된다.
2.
위원장 1명을 포함하여 10명 미만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3.
지역사회보장계획과 관련된 조례를 제정한다.
4.
시ㆍ군ㆍ구의 사회보장급여 제공에 관한 사항을 심의ㆍ자문한다.
5.
전문성 원칙에 따라 현장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한다.
정답 : [
5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2. 위원장 10명을 포함하여 40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문제 해설> 행정안전부장관은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자원봉사활동의 진흥을 위한 국가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나도 합격]
71.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지방분권의 부정적 측면이 아닌 것은?(2014년 01월)
1.
사회복지 행정업무와 재정을 지방에 이양함으로써 중앙정부의 사회적 책임성을 약화시킬 수 있다.
2.
지방정부가 사회개발정책에 우선을 두는 경우 지방정부의 복지예산이 감소될 수 있다.
3.
복지의 분권화를 통해 효율적인 복지집행체계의 구축이 용이해질 수 있다.
4.
지방자치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복지서비스의 지역 간 불균형이 나타날 수 있다.
5.
지방정부간의 재정력 격차로 복지수준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3. 지방분권의 장점에 관한 내용이다.
72.
사회복지공동모금회법상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01월)
1.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사회복지법인이다.
2.
특별시ㆍ광역시ㆍ특별자치시ㆍ도ㆍ특별자치도 단위 사회복지공동모금지회를 둔다.
3.
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며,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다.
4.
모금회가 아닌 자는 사회복지공동모금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5.
사회복지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복권을 발행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관한 내용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하며, 한 차례만 연임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현]
73.
지역사회복지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2월)
1.
계획되지 않은 조직적 활동이다.
2.
사회복지 전문가 중심의 활동이다.
3.
개인의 성장과 변화에 우선적인 초점을 둔다.
4.
노동자, 장애인 등 일부 주민을 대상으로 한다.
5.
복지권리ㆍ시민의식을 배양하는 사회권 확립운동이다.
정답 : [
5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1. 지역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조직 운동 2. 지역주민, 지역사회 활동가, 사회복지 전문가 등이 주체 3. 지역사회복지의 확산과 발전을 위한 생활운동 4. 일부 주민 대상이 아님. [해설작성자 : 호랑이어흥]
74.
다음 사례의 ㄱ, ㄴ과 관련한 사회복지관의 역할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9년 01월)
1.
지역사회보호, 주민조직화
2.
사례개입, 당사자 교육
3.
서비스 연계, 자원 개발 및 관리
4.
서비스 제공, 복지네트워크 구축
5.
사례관리, 주민조직화
정답 : [
5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ㄱ. 사례관리 기능 중 사례발굴(위기 개입대상자를 발굴하고 서비스제공 및 계획 수립) ㄴ. 지역조직화 기능 중 주민조직화 (주민 스스로 조직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직접 지역사회 문제에 참여함으로써 주민협력강화 및 주인의식 고취) [해설작성자 : 은수엄마]
75.
지역사회복지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1월)
1.
지역사회의 부당한 권력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2.
지역주민 참여를 위한 수요자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3.
지역사회복지운동의 주체로 사회복지 실무자도 포함된다.
4.
특정 계층에 국한된 수단지향적인 활동이다.
5.
조례제정운동과 같은 제도변화과정을 예로 들 수 있다.
정답 : [
4
] 정답률 : 7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④
⑤
③
①
③
⑤
①
③
④
③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③
③
③
③
⑤
①
①
②
①
④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⑤
③
④
⑤
①
②
①
①
①
⑤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②
①
③
④
④
④
②
③
③
④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⑤
⑤
②
④
②
⑤
①
④
②
③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⑤
②
④
③
③
①
②
③
①
③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①
③
②
⑤
②
③
①
⑤
⑤
①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③
③
⑤
⑤
④
사회복지사 1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19일)(393727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복지사, 1급, 2교시,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