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8263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다음 중 순손익 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순손익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재산법과 손익법이 있다.
     2. 재무상태표는 순손익을 손익법으로 산출한다.
     3. 포괄손익계산서는 순손익을 손익법으로 산출한다.
     4. 재산법과 손익법과의 관계에 의하여 두 표에 나타나는 순손익은 대차반대로 반드시 일치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2. 다음은 주석에 대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주석은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및 현금 흐름표에 표시하는 정보에 추가하여 제공된 정보이다.
     2. 주석은 재무제표에 표시된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세분화하며, 재무제표 인식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항목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3. 주석은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표시한다.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및 현금 흐름표에 표시된 개별 항목은 주석의 관련 정보와 상호 연결시켜 표시한다.
     4. 재무제표의 개별 항목에 대한 주석 정보는 해당 개별 항목에 기호를 붙이고 별지에 동일한 기호를 표시하여 그 내용을 설명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주석은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요건에 부합되지는 않지만 기업의 특정 거래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적어 넣은 것으로서, 감가상각방법, 우발부채와 우발자산 등이 공시된다.

3. 다음 중 재무제표의 상호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각 재무제표는 동일한 거래나 사건의 다른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
     2. 재무상태표는 기업실체의 유동성과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자본변동표는 기업실체의 수익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4. 현금흐름표는 일정기간 동안의 현금유입과 유출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4. 다음 중 현금 및 현금성자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8년 05월)
     1. 취득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금융상품
     2. 통화 및 타인발행수표 등 통화대용증권
     3. 환매채(90일 환매조건)
     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현금 : 통화 및 우편환, 수표, 지급기일이 도래한 공·사채 이자표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현금성자산 : 취득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하며,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치변동이 크지 않고, 현금화 할 때 그 거래비용이 크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 다음은 '금융상품 : 표시'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에 추가하여 비금융자산이나 비금융부채도 발생시키는 계약은 금융상품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2. 금괴는 금융상품이 아니라 비금융자산이다.
     3. 선급비용 및 선급금은 금융자산이 아니다.
     4. 잠재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상대방과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를 교환하기로 한 계약상 권리는 금융자산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금융자산은 현금, 소유지분에 대한 증서 및 현금(또는 다른 금융자산)을 수취하거나 유리한 조건으로 금융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계약상의 권리이다.
따라서 선급비용, 선급금 등은 금융자산이 아닌 재화나 용역의 수취에 대한 자산이므로 비금융자산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상공은 20X1년 5월 1일에 Y회사 주식 10주를 40,000원에 취득 하고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 분류하였다. 20X1년 말 공정가치는 48,000원이고 20X2년 말의 공정가치는 52,000원이었다. ㈜상공이 20X3년 7월 5일에 보유중인 Y사 주식 전부를 56,000원에 처분하였을 경우 당기손익으로 인식될 금융자산 처분이익은 얼마인가? (단, ㈜상공은 12월 말 결산법인이이며, 처분에 따른 부대비용은 0원으로 가정한다.)(2019년 05월)
     1. ₩0
     2. ₩4,000
     3. ₩8,000
     4. ₩12,000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기타포괄손악-공정가치측정지분상품의 기타포괄손익은 당기손익이 아닌 자본의 타계정으로 이전된다
[해설작성자 : 아직 합격하지 못한다]

7. 다음 투자부동산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재화나 용역의 생산 또는 공급, 관리목적이나 일상적인 거래 에서 일어나는 판매목적의 자산은 투자부동산에 포함한다.
     2. 투자부동산은 임대수익, 시세차익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얻기 위해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다.
     3.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한다.
     4. 최초 인식시점 후에는 공정가치모형이나 원가모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8. 다음은 20X1년 말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과 20X2년 중의 거래내용이다.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회계처리할 경우 20X2년도의 당기순이익은 얼마나 감소하겠는가?(2018년 05월)

   

     1. ₩1,240
     2. ₩2,090
     3. ₩2,100
     4. ₩2,560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X2년도의 대손충당금 : 기초잔액 3,720원 - 대손발생분 3,250원 + 대손회수분 850원 = 1,320원 인데, (기중 대손상각비 발생분 없음) X2년도 말 잔액은 2,560원이 되어야 하므로 남아있는 잔액에 추가설정이 필요하다.
2,560원 - 1,320원 = 1,240원 만큼의 대손충당금이 설정되어야 하며, 이 때의 분개는
대손상각비(판매비와관리비) 1,240 / 대손충당금 1,240
이므로, 당기 비용이 1,240원만큼 추가 발생, 즉 당기순이익이 1,240원 만큼 감소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9. 다음은 당기에 발생한 각 거래에 대하여 분개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가 - (차) 선급금 100,000 (대) 현금 100,000
     2. 나 - (차) 비품 100,000 (대) 미지급금 100,000
     3. 다 - (차) 미수금 100,000 (대) 토지 100,000
     4. 라 - (차) 기계장치 100,000 (대) 미지급금 100,00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라'의 분개는 (차) 선급금 100,000 (대) 미지급금 100,000 이 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0. 다음은 ㈜상공의 12월 동안 거래내역이다. 재고자산의 원가흐름으로 선입선출법을 가정할 경우, 12월의 매출총이익은 얼마인가?(2020년 05월)

    

     1. 8,900원
     2. 9,900원
     3. 10,900원
     4. 11,900원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매출액-매출원가=매출총이익
매출액=30*200+80*200=22000
매출원가=기초5000+당기17000-기말(수량50+50-30+100-80=수량재고90*110)9900=12100
22000-12100=99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자료에 근거한 기말 재무상태표상에 기록되는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얼마인가?(2015년 10월)

    

     1. ₩9,000
     2. ₩9,900
     3. ₩10,000
     4. ₩11,000

     정답 : []
     정답률 : 64%

12. 다음은 무형자산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교환거래(사업결합과정에서 발생한 것이 아닌)로 취득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계약적 고객관계는 고객관계를 보호할 법적 권리가 없는 경우에도 무형자산의 정의를 충족한다.
     2. 내부적으로 창출한 브랜드, 제호, 출판표제, 고객 목록은 무형자산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3. 자산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기 전에 발생한 명백한 비효율로 인한 손실과 초기 영업손실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에 포함한다.
     4. 무형자산을 창출하기 위한 내부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 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자산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기 전에 발생한 명백한 비효율로 인한 손실과 초기 영업손실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3. 대한상공(주)는 20X3년 1월 1일 다음과 같은 조건의 전환사채를 ₩48,000,000에 발행하였다. 전환사채에 대하여 전환권의 가치는 얼마인가?(2019년 09월)

    

     1. ₩287,700
     2. ₩577,200
     3. ₩1,712,300
     4. ₩2,577,200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50,000,000*6%=3,000,000

3,000,000*2.57710=7,731,300
50,000,000*0.79383=39,691,500

48,000,000-39,691,500-7,731,300=577,2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14. 자본변동표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납입자본의 변동
     2.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변동
     3. 이익잉여금의 변동
     4. 제품과 재공품의 변동

     정답 : []
     정답률 : 43%

15. 재무상태표 자본항목 중 차후에 포괄손익계산서에 영향을 주는 항목은?(2015년 10월)
     1. 주식발행초과금
     2. 자기주식처분손실
     3. 감자차익
     4.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정답 : []
     정답률 : 50%

16. 당기 중에 ₩192,000의 재고자산을 매입하였다. 매출원가는 ₩180,000이고 기말재고자산은 ₩36,000이었다. 재고자산회전 율은 몇 회인가?(2017년 05월)
     1. 8회
     2. 7회
     3. 6회
     4. 5회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재고자산 회전율=매출액/재고자산
                         =매출원가/평균재고자산

평균재고자산=기초재고액+기말재고액/2

180,000=기초재고+192,000-36,000
기초재고=24,000

평균재고자산=24,000+36,000/2
재고자산회전율=180,000/30,000
[해설작성자 : 나는짱아맘]

17. 다음의 자료를 기초로 계산한 주당순이익은 얼마인가?(2020년 05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000주*12/12=1000
1000주*12/6=500
1500주/15000=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은 재무회계 전반에 관련된 설명이다. 그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은 해당 기업의 투자적정성에 대한 판단이다.
     2. 최근 회계는 사회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게 하고, 경영자의 수탁책임 보고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밖에 사회적 통제가 합리화되도록 기여하는 등의 사회적 역할을 담당한다.
     3. 재무제표의 작성책임은 재무제표를 감사한 외부감사인에게 있다.
     4. 경영자의 합리적인 내부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제공이 재무 회계의 주된 목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19. 현금흐름표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활동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다음 주요계정의 증감을 현금흐름표에 표시되는 활동별로 구분한 내용 중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미수수익, 선급비용, 미지급금, 선수금 증감 - 영업활동
     2. 대여금, 미수금, 개발비, 차입금 증감 - 투자활동
     3. 차입금, 미지급금, 사채, 자본잉여금 증감 - 재무활동
     4. 미수금, 재고자산, 미지급비용, 선수수익 증감 - 영업활동

     정답 : []
     정답률 : 42%

20. 다음은 재무제표분석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재무제표분석 기법에는 추세분석(수평적분석), 수직적분석, 재무비율분석 등이 있다.
     2. 재무비율분석은 재무제표상의 개별항목간 비율을 산출하여 기업의 재무상태나 재무성과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3. 추세분석은 재무제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재무제표항목의 상대적 크기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재무제표 각 구성 요소들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는데 유용하다.
     4. 재무제표분석이란 기업의 과거 재무성과와 현재의 재무상태를 평가하고 미래 수익 잠재력과 관련위험을 예측하기 위하여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를 기초로 회계적 분석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추세분석이란 기준연도 이후 몇 년간 재무제표 항목의 변동크기와 변동방향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기준연도를 설정하고 기준연도 이후 항목의 금액을 기준연도 금액으로 나눈 비율의 증감을 분석

2021 전산회계운용사 가이드북, 대한상공회의소,p187, 추세 및 비교분석
[해설작성자 : 작업치료사 김정구]

2과목 : 원가관리회계


21. 다음 등급별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설명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종류는 동일하나 품질 등이 다른 제품이 동일 공정에서 연속생산될 때 사용된다.
     2. 각 등급 제품의 원가부담비율을 나타내는 등가계수를 이용 하여 제조원가를 배부한다.
     3. 등급별로 직접원가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해도 배부기준에 따라 원가를 배부한다.
     4. 크기가 다른 식빵 생산 등의 원가계산에 적용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22. 정상원가계산에서는 제조간접원가를 예정배부하고 기말에 실제발생액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정상원가계산에서 제조간접원가를 예정배부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예정배부 대상이 되는 기간의 실제조업도를 측정하기 어려워서
     2. 제품원가계산을 신속히 하기 위해
     3. 월별·계절별로 제조간접원가가 크게 변동하는 경우 제품의 단위당 원가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 월별·계절별로 제조간접원가의 배부기준이 되는 조업도가 크게 변동하는 경우 제품의 단위당 원가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16%

23. 원가를 추정하는 방법 중에 한 가지 방법이 계정분류법이다. 다음 중 계정분류법의 단점이 아닌 것은?(2020년 05월)
     1. 분석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된다.
     2. 한 회계기간의 자료만 이용한다.
     3.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4. 비정상적 상황이 반영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회계 담당자의 전문적인 판단에 따라 고정 원가, 변동 원가, 혼합 원가를 결정하는 방법.
장점-
필요한 자료를 입수하기 쉽고 전문적 판단에 의존할 수 있음
원가추정 비용이 적음
단점-
주관이 개입되어 객관성이 부복
비정상적인 환경이나 비효율적인 활동이 발생할 때는 원가예측이 부정확해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은 원가의 개념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원가(cost)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생하거나 잠재적으로 발생할 경제적 희생을 화폐적으로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2. 원가 중에서 미소멸된 부분을 자산이라고 하고, 소멸된 원가 중에서 수익의 실현에 기여한 부분은 비용(expense), 수익의 실현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을 손실(loss)이라고 한다.
     3. 판매관리비는 각 기간별로 자원이 즉각적으로 사용되므로 재고가능원가(inventoriable cost)가 아닌 재고불가능원가 (non-inventoriable cost)로 분류된다.
     4.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는 원가의 행태(cost behavior)에 따른 분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상공전자는 제조간접비를 예정배부하고 있다. 제10기의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액은 ₩250,000이었다. 총원가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배부하는 비례배분법(보충율법)을 이용하여 배부차이를 조정한다. 매출원가, 기말제품, 기말재공품의 제조간접비 배부차이 조정 전 금액은 각각 ₩250,000 / ₩187,500 / ₩187,500이다. 제조간접비 배부차이를 조정한 후 매출원가는 ₩280,000이 되었다. 제10기의 실제 제조간접비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175,000
     2. ₩225,000
     3. ₩275,000
     4. ₩325,000

     정답 : []
     정답률 : 22%

26. (주)상공은 2개의 제조부문과 2개의 보조부문이 있다. 각 부문에서 당기 중에 발생한 원가와 보조부문이 제공한 용역수수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호배부법에 의할 경우 제조부문의 조립부문비 합계액은 얼마인가?(2020년 05월)

    

     1. ₩1,180,000
     2. ₩1,570,000
     3. ₩1,750,000
     4. ₩1,810,0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동력부문= x, 수선부문 = y
x=380,000+90/300y
y=300,000+4,000/20,000x

x=380,000+0.3(300,000+0.2x)
x=380,000+90,000+0.06x
0.94x=470,000
x=500,000 , y=400,000

조립부문비
동력 : 500,000*6,000/20,000=150,000
수선 : 400,000*120/300=160,000
자가발생액 : 1,500,000

1,500,000+150,000+160,000 = 1,81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27. 다음 중 제조원가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본사 전산팀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감가상각비
     2. 공장감독자에 대한 급여
     3. 생산인력에 대한 복리후생비
     4. 공장 지게차에 사용하는 연료비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본사 전산팀의 감가상각비는 판매관리비로서 비제조원가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8. (주)한국의 제품은 단위당 판매가격이 ₩200이며 단위당 변동제 조원가가 ₩80, 총 고정제조원가가 ₩6,000이다. 또한, 단위당 변동판매관리비는 ₩20이며, 총 고정판매관리비는 ₩6,000이다. (주)한국의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얼마인가?(2019년 05월)
     1. 50개
     2. 60개
     3. 100개
     4. 120개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총 고정원가가 12,000원 이므로(고정제조원가 6,000원 + 고정판매관리비 6,000원),
공헌이익이 12,000원이어야 회사입장에서는 손실금액과 이익금액이 같은 손익분기점이 된다.
판매금액은 200원, 변동원가는 100원(변동제조원가 80원 + 고정제조원가 20원)이므로 단위당 공헌이익은 100원이므로,
12,000 ÷ 100 = 120개 를 판매해야 손익분기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9. 다음 중 제조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동력부문원가를 배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9월)
     1. 수선유지 작업의 횟수
     2. 원재료의 사용량
     3. 전기사용량
     4. 수선유지 작업 시간

     정답 : []
     정답률 : 83%

30. 다음은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무비의 일정비율로 예정배부하는 ㈜상공공업 제품A와 B의 내용이며, 그 외의 다른 작업은 없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제품계정 대체액 ₩127,000
     2. 재공품 차기이월 ₩88,000
     3. 제조간접비 배부액 ₩75,000
     4. 당기총제조비용 ₩215,00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제조간접비는 직접노무비의 일정비율로 예정배부된다.
제조간접비의 총 합계 : 30,000/0.4 = 75,000
제품A의 제조간접비 : 45,000

당기총제조비용 : 60,000+50,000+75,000 = 185,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31. ㈜상공의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250,000이며, 고정비는 ₩50,000이다.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계산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공헌이익률은 20%이다.
     2. 단위당 변동비가 ₩10이라면 단위당 판매가격은 ₩12.5이다.
     3. 총 30,000단위가 판매(단위당 판매가격 ₩12.5 가정)되었을 때 안전한계는 ₩125,000이다.
     4. 매출액이 ₩400,000일 경우 안전한계율은 40%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고정비/매출액=20%=1-변동원가율
2. 변동원가율=단위당 변동비/단위당 판매가격
3. 안전한계=매출액-손익분기점 매출액=375,000-250,000
4. (400,000-250,000)/400,000=37.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주)상공은 단위당 판매가격 100원, 단위당 변동비가 60원인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회사의 연간 고정비가 320,000원 증가 시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얼마 증가하는가?(2017년 05월)
     1. 530,000원
     2. 800,000원
     3. 1,280,000원
     4. 700,000원

     정답 : []
     정답률 : 50%

33. (주)상공의 당해연도 매출액은 ₩5,000, 총비용은 ₩2,500이며, 이 중 고정비는 ₩1,500이라면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800
     2. ₩1,875
     3. ₩1,975
     4. ₩3,0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총비용 = 변동비 + 고정비
2,500 = 변동비 + 1,500
변동비 = 1,000

변동비율 = 변동비/매출액 = 1,000/5,000 = 0.2
공헌이익률 = 1 - 0.2 = 0.8
손익분기점 매출액 = 고정비/공헌이익률 = 1,500/0.8 = 1,875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34. 표준원가계산제도하에서 재료비 차이에 관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사용시점에 원가차이를 분리하는 것은 원재료가 재공품계정에 투입되기 이전에 원가차이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구입시점에 가격차이를 분리하는 것은 원재료계정 이전에 원가차이를 계산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입가격차이를 계산 하는 것을 말한다.
     3. 재료비 차이가 불리하다는 것은 실제 재료비가 표준원가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불리한 차이는 차변에 기록된다.
     4. 생산부서의 생산수량 차이와 관계없이 구매부서의 성과평가는 오로지 재료비 구입가격차이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제품 단위당 판매가격은 ₩500이며, 매출량은 200개이다. 당기 중에 발생한 제조원가 및 판매관리비는 다음과 같다.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단위당 공헌이익은 ₩220이다.
     2. 손익분기점 매출량은 160개이다.
     3. 안전한계율은 20%이다.
     4. 영업레버리지도는 4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영업에버리지도=공헌이익/영업이익

영업이익=공헌이익-고정원가
                =200*220-35,200
                =8,800    

영업에버리지도=44,000/8,800
                            =5
[해설작성자 : 공부중]

36. (주)대한의 제16기 영업성과는 다음과 같다. 제16기 중 고정비는 얼마인가?(2020년 05월)

    

     1. ₩200,000
     2. ₩185,000
     3. ₩175,000
     4. ₩160,000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당기순이익/(1-법인세율) = 100,000/(1-0.2) = 125,000
총비용 = 매출액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1,500,000-125,000 = 1,375,000
고정비 = 총비용*(1-변동비율) = 1,375,000*(1-0.8) = 275,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매출액:            1,500,000
변동비(80%): 1,200,000
공헌이익(20%): 300,000
고정비 :            
영업익:            125,000(당익순이익100,000/0.8(1-법인세율))
결과:고정비: 175,000
<빠른풀이> 변동비 80% 이므로, 공헌이익률 20% 이므로 공헌이익 300,000 영업이익은 당기순이익에 법인세 차감액 이므로
300,000 - 고정비 =125,000
따라서 고벙비:175,000
[해설작성자 : 수험생]

37. 다음 설명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안전한계율이란 안전한계 매출액을 실제매출액으로 나누어 구한 것이다.
     2. 영업레버리지도는 공헌이익을 영업이익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3. 고정비가 커질수록 영업레버리지도는 작아진다.
     4. 영업레버리지도는'1/안전한계비율'로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안전한계율=영업이익/공헌이익
손익분기점까지 허용 가능한 매출액 최대감소율
영업레버리지도=공헌이익/영업이익
공헌이익=매출-변동원가
영업이익=매출-매출원가-판관비

고정비 증가 시 변동비 상대적 감소, 영업레버리지도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CVP분석의 기본가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단위당 판매가격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2. 모든 원가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구분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3. 판매량과 생산량은 일치한다고 가정한다.
     4. 단위당 변동원가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단위당 변동원가는 조업도범위내에서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9. 다음은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을 비교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2018년 05월)
     1. 개별원가계산은 제품단위별로 원가를 집계하나, 종합원가 계산은 기간별로 원가를 집계한다.
     2. 개별원가계산은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로 구분하나, 종합원가계산은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로 구분한다.
     3. 개별원가계산은 기말재공품 평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종합원가계산은 인위적인 기말재공품 평가를 요구한다.
     4. 두 가지 원가계산을 혼합한 원가계산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번 보기 : 종합원가계산은 재료비와 가공비(노무비+제조경비)로 구분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0. CVP분석을 위해서는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몇 가지 가정이 필요 하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조업도는 독립변수인 원가와 수익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2. 수익과 원가의 행태는 결정되어 있고 관련범위 내에서 선형 이라고 가정한다.
     3. 생산량과 판매량은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4. 분석기간이 화폐의 시간가치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의 단기간 이라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비거주자에 대한 분리과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비거주자의 국내원천소득(부동산, 근로, 퇴직소득, 연금소득은 제외)으로서 국내사업장과 실질적으로 관련되지 않거나 그 국내사업장에 귀속되지 않은 소득금액에 대하여는 원천징수로써 과세를 종결한다.
     2. 분리과세하는 경우 국내원천소득을 지급하는 자는 국내원천소득을 지급할 때 원천징수하여 다음달 15일까지 납부하여야 한다.
     3. 조세조약에 따라 국내원천사업으로 과세할 수 있는 소득은 분리과세에서 제외한다.
     4. 국내사업장이 없는 비거주자에게 지급하는 금액은 원천징수로써 과세를 종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2번 보기 : 원천징수의무자는 원천징수일(소득을 지급한 날)이 속하는 다음달 10일까지 과세관청에 이를 납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2. 현행 소득세법은 거주자의 경우 종합과세를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다. 다음 중 종합과세되는 소득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9,000,000
     2. ₩19,000,000
     3. ₩28,000,000
     4. ₩43,000,000

     정답 : []
     정답률 : 50%

43. 다음 중 소득세법상 소득의 구분이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가, 나
     2. 나, 다
     3. 나, 라
     4. 다, 라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대금업을 영위하는 자의 이자수익 : 사업소득
광업권의 대여로 인한 소득 : 기타소득
[해설작성자 : 다희쌤♡]

44. 소득세법의 총수입금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전년도로부터 이월된 소득금액은 총수입금액에 불산입한다.
     2.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은 부채성격이라서 총수입금액에 산입 하지 않는다.
     3. 매출액은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데 매출할인은 제외하고 매출환입액과 매출에누리는 포함한다.
     4. 필요경비로 지출된 세액의 환입액은 총수입금액에 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45. 내국법인인 (주)상공은 물품을 중국 거래처로 국제운송을 통하여 배송하고자 한다. 국제운송에서 과세거래로 인정할 수 있는 용역발생의 장소로 옳은 것은?(2019년 05월)
     1. 물품이 생산된 공장
     2. 물품이 적재된 항공기
     3. 물품이 도착한 국제공항
     4. 물품을 뜯어서 사용한 중국 현지거래처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부가가치세법 제20조(용역의 공급장소)
① 용역이 공급되는 장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곳으로 한다.
1. 역무가 제공되거나 시설물, 권리 등 재화가 사용되는 장소
2. 국내 및 국외에 걸쳐 용역이 제공되는 국제운송의 경우 사업자가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이면 여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장소
② 제1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의 용역이 공급되는 장소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영세율과 면세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영세율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납세의무자 이지만, 면세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납부세 의무자가 아니다.
     2. 영세율 적용의 목적은 소비지국 과세원칙의 구현 등에 있고, 면세의 경우는 부가가치세의 역진성 완화 등에 있다.
     3. 영세율 적용대상자와 면세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제반의무를 반드시 이행하여야 한다.
     4. 영세율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반면, 면세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면세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가 아니므로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제반의무를 이행할 필요는 없으나, 다만 사업장현황신고시 소득세법에 따라 협력의무를 제공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7. 경기도에 거주하는 김한국씨는 2016년 2월 10일 서울에서 의류 판매 사업을 시작하였다. 김한국씨가 사업자 등록과 관련하여 취했던 행동 중 부가가치세법에 위배되는 것은?(2016년 05월)
     1. 김한국씨는 사업을 개시하기 전에 사업자등록을 하지 못하고 10일 후인 2월 20일에 비로소 사업자등록을 신청할 수 있었다.
     2. 부산에 출장 중이었던 김한국씨는 사업자등록을 자신의 사업장 관할 세무서장이 아닌 부산 소재 세무서의 세무서장 에게 신청하였다.
     3. 김한국씨는 사업장 소재지 임대차계약서를 분실하여 자신의 주소지로 사업자등록을 신청하였다.
     4. 김한국씨는 사업자등록 전인 2월 10일 의류 제조업자에게 미리 의류를 구입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48. 다음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상공상사의 제10기(2016.1.1~2016.12.31) 수익항목에 관한 자료이다. 상공상사는 김상공씨가 운영하는 개인기업인 경우 사업소득의 총수입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2016년 10월)

    

     1. ₩110,000,000
     2. ₩111,000,000
     3. ₩150,000,000
     4. ₩161,000,000

     정답 : []
     정답률 : 22%

49. 다음 중 종합소득세 세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무조건 분리과세(3억 이하) 소득인 복권당첨 소득은 20% 원천징수 한다.
     2. 소득세는 2단계 누진세율 구조이다.
     3. 비실명 금융소득은 25% 원천징수 한다.
     4. 조건부 종합과세 시 2천만 원 초과분은 35%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019년 8월 현재
1번 보기 : 복권당첨소득은 3억 이하금액은 20%, 3억 초과금액은 30%로 원천징수하는 무조건분리과세 소득이다.
2번 보기 : 소득세는 7단계초과누진구조이다(6~42%)
3번 보기 : 비실명금융소득에 대하여서는 42% 최고세율로 원천징수하며, 금융실명제 미적용과 관련된 소득은 90%로 원천징수한다.
4번 보기 : 문제 보기가 완전하지 않습니다. 금융소득에 대하여서 조건부 종합과세대상인 소득은 2천만원까지는 기본 14%로, 2천만원 초과분에 대하여서는 7단계 초과누진세율을 적용하여 과세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0. (주)상공의 다음 거래 중 영세율매출명세서에 들어갈 영세율 과세표준은 얼마인가?(2019년 09월)

    

     1. ₩1,000,000
     2. ₩3,000,000
     3. ₩4,000,000
     4. ₩8,000,00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연탄은 면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부가가치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사업목적이 영리이든 비영리이든 관계없이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는 부가가치세 납세 의무자에 해당한다.
     2.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에 해당 하지 아니한다.
     3. 판매시설을 구비한 직매장은 사업장에 해당한다.
     4. 사업자등록 정정사유가 발생한 사업자는 지체 없이 정정신고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부가가치세법 상 영세율 적용과 면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영세율 적용 사업자와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 상 거의 동일한 의무를 이행한다.
     2. 면세 대상 재화와 영세율 적용 대상 재화의 부가가치세율은 동일하다.
     3. 부가가치세법에 영세율 포기 제도는 존재하나, 면세포기제도는 없다.
     4. 영세율 적용 사업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있으나, 면세 사업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번 보기 : 영세율적용사업자는 일반과세자로서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이므로 모든 제반의무를 이행하여야 하나,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가 아니라 소득세법/법인세법상 사업자이므로 협력의무만 지닌다.
2번 보기 : 면세 재화는 세금이 면제되는 것이고, 영세율 재화는 세금이 0%인 것이다.
3번 보기 : 면세포기제도도 존재한다(영세율을 적용받고자 할 때 수출분에 대하여서만 면세포기, 3년간 다시 면세 적용받지 못함).
[해설작성자 : 다희쌤♡]

53. 부가가치세법상 재화나 용역의 공급시기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장기할부판매의 경우 -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
     2. 현금판매의 경우 - 재화가 인도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
     3. 재화의 공급으로 보는 가공의 경우 - 가공이 완료되는 때
     4. 폐업 전에 공급한 용역의 공급시기가 폐업일 이후에 도래 하는 경우 - 폐업일

     정답 : []
     정답률 : 55%

54. 다음 중 세금계산서 교부의무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면세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다.
     2. 간이과세자도 공급받는 자가 사업자등록증을 제시하고 세금 계산서의 발급을 요구하면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3. 위탁판매의 경우 수탁자가 재화를 인도할 때에는 수탁자가 위탁자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한다.
     4. 일반과세자 중 주로 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대신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는 사업자이다. 일반과세자의 경우만 보기와 같은 경우에 세금계산서 발급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년 7월부터 간이과세자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세법 개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5. 국내에서 국외로 국제운송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사업자가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일 때 부가가치세법 상 용역의 공급 장소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화물의 운송계약이 체결되는 장소
     2. 화물이 적재되는 장소
     3. 화물이 도착하는 장소
     4. 화물 운송사업자의 본점 소재지

     정답 : []
     정답률 : 43%

56. 일반과세사업자인 (주)상공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상가건물을 임대하고, 보증금 없이 1년 임대료 ₩12,000,000을 1월 1일에 선불로 받았다. 동 임대용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1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12,000,000이다.
     2. 2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없다.
     3. 2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6,000,000이다.
     4. 1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없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부동산임대용역의 선수임대료에 대하여서는 진행기준으로 안분하여야 하기 때문에 1기에 600만원, 2기에 600만원이 신고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7. 김한국씨의 과세표준은 5,000만원이다 다음의 기본세율표를 참조하여 산출세액을 계산하시오.(2019년 09월)

    

     1. 522만원
     2. 582만원
     3. 678만원
     4. 1,200만원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200만원*6%=72만원
4600만원*15%=510만원(690-108(누진공제액)-72)
5000만원*24%=96만원(1200-522(누진공제액)-582)
=678만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다음 중 근로소득에 포함되지 않는 소득은?(2020년 10월)
     1. 주주 또는 출자자가 아닌 임원과 임원이 아닌 종업원 및 국가·지방자치단체로부터 근로소득을 지급받는 사람이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사택을 제공받는 경우
     2. 법인의 종업원이 해당 법인으로부터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해당 법인에서 근무하는 기간 중 행사함으로써 얻은 이익
     3. 보험회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 등의 종업원이 받는 집금수당과 보험가입자의 모집, 증권매매의 권유 또는 저축을 권장하여 받는 대가
     4. 계약기간 만료전 또는 만기에 종업원에게 귀속되는 단체환급부보장성보험의 환급금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주주 또는 출자자가 아닌 임원과 임원이 아닌 종업원 및 국가·지방자치단체로부터 근로소득을 지급받는 사람이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사택을 제공받는 경우
→비출자임원,종업원들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는 이익 전액 비과세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일산은 ㈜인천에게 재화를 위탁하여 판매하고 있다. 위탁판매된 재화가 소비자에게 인도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에 대해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인천은 수탁자 명의든 또는 위탁자 명의든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서는 안 된다.
     2. ㈜인천이 ㈜인천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한다.
     3. ㈜일산이 ㈜인천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한다.
     4. ㈜인천이 ㈜일산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60. 다음 중 부동산임대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과세표준 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부동산임대용역에 대한 대가를 임대보증금의 형태로 받는 경우에는 임대보증금 전액이 과세표준이 된다.
     2. 둘 이상의 과세기간에 걸쳐 부동산 임대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선불이나 후불로 받는 경우에는 해당 금액을 계약기간의 개월 수로 나눈 금액의 각 과세대상기간의 합계액을 과세표준으로 한다.
     3. 주택 및 부수토지의 임대는 부가가치세가 면세된다.
     4. 상가 및 부수토지의 임대는 부가가치세가 과세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임대보증금에 대하여서는 국세청장고시 정기이자율 × 일수 / 365(6) 만큼만 간주임대료로 과세표준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정 답 지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8263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재무회계


1. 다음 중 순손익 계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순손익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재산법과 손익법이 있다.
     2. 재무상태표는 순손익을 손익법으로 산출한다.
     3. 포괄손익계산서는 순손익을 손익법으로 산출한다.
     4. 재산법과 손익법과의 관계에 의하여 두 표에 나타나는 순손익은 대차반대로 반드시 일치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2. 다음은 주석에 대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주석은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및 현금 흐름표에 표시하는 정보에 추가하여 제공된 정보이다.
     2. 주석은 재무제표에 표시된 항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거나 세분화하며, 재무제표 인식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항목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3. 주석은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표시한다.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및 현금 흐름표에 표시된 개별 항목은 주석의 관련 정보와 상호 연결시켜 표시한다.
     4. 재무제표의 개별 항목에 대한 주석 정보는 해당 개별 항목에 기호를 붙이고 별지에 동일한 기호를 표시하여 그 내용을 설명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주석은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요건에 부합되지는 않지만 기업의 특정 거래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적어 넣은 것으로서, 감가상각방법, 우발부채와 우발자산 등이 공시된다.

3. 다음 중 재무제표의 상호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각 재무제표는 동일한 거래나 사건의 다른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
     2. 재무상태표는 기업실체의 유동성과 재무건전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자본변동표는 기업실체의 수익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4. 현금흐름표는 일정기간 동안의 현금유입과 유출에 대해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4. 다음 중 현금 및 현금성자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2018년 05월)
     1. 취득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금융상품
     2. 통화 및 타인발행수표 등 통화대용증권
     3. 환매채(90일 환매조건)
     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단기매매금융자산)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현금 : 통화 및 우편환, 수표, 지급기일이 도래한 공·사채 이자표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현금성자산 : 취득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현금화가 가능하며, 이자율 변동에 따른 가치변동이 크지 않고, 현금화 할 때 그 거래비용이 크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 다음은 '금융상품 : 표시'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에 추가하여 비금융자산이나 비금융부채도 발생시키는 계약은 금융상품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2. 금괴는 금융상품이 아니라 비금융자산이다.
     3. 선급비용 및 선급금은 금융자산이 아니다.
     4. 잠재적으로 유리한 조건으로 거래상대방과 금융자산이나 금융부채를 교환하기로 한 계약상 권리는 금융자산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금융자산은 현금, 소유지분에 대한 증서 및 현금(또는 다른 금융자산)을 수취하거나 유리한 조건으로 금융자산을 교환할 수 있는 계약상의 권리이다.
따라서 선급비용, 선급금 등은 금융자산이 아닌 재화나 용역의 수취에 대한 자산이므로 비금융자산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상공은 20X1년 5월 1일에 Y회사 주식 10주를 40,000원에 취득 하고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 분류하였다. 20X1년 말 공정가치는 48,000원이고 20X2년 말의 공정가치는 52,000원이었다. ㈜상공이 20X3년 7월 5일에 보유중인 Y사 주식 전부를 56,000원에 처분하였을 경우 당기손익으로 인식될 금융자산 처분이익은 얼마인가? (단, ㈜상공은 12월 말 결산법인이이며, 처분에 따른 부대비용은 0원으로 가정한다.)(2019년 05월)
     1. ₩0
     2. ₩4,000
     3. ₩8,000
     4. ₩12,000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기타포괄손악-공정가치측정지분상품의 기타포괄손익은 당기손익이 아닌 자본의 타계정으로 이전된다
[해설작성자 : 아직 합격하지 못한다]

7. 다음 투자부동산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재화나 용역의 생산 또는 공급, 관리목적이나 일상적인 거래 에서 일어나는 판매목적의 자산은 투자부동산에 포함한다.
     2. 투자부동산은 임대수익, 시세차익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얻기 위해서 보유하고 있는 자산이다.
     3.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한다.
     4. 최초 인식시점 후에는 공정가치모형이나 원가모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측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8. 다음은 20X1년 말 재무상태표에 보고된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과 20X2년 중의 거래내용이다. 다음의 자료를 이용하여 회계처리할 경우 20X2년도의 당기순이익은 얼마나 감소하겠는가?(2018년 05월)

   

     1. ₩1,240
     2. ₩2,090
     3. ₩2,100
     4. ₩2,560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X2년도의 대손충당금 : 기초잔액 3,720원 - 대손발생분 3,250원 + 대손회수분 850원 = 1,320원 인데, (기중 대손상각비 발생분 없음) X2년도 말 잔액은 2,560원이 되어야 하므로 남아있는 잔액에 추가설정이 필요하다.
2,560원 - 1,320원 = 1,240원 만큼의 대손충당금이 설정되어야 하며, 이 때의 분개는
대손상각비(판매비와관리비) 1,240 / 대손충당금 1,240
이므로, 당기 비용이 1,240원만큼 추가 발생, 즉 당기순이익이 1,240원 만큼 감소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9. 다음은 당기에 발생한 각 거래에 대하여 분개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가 - (차) 선급금 100,000 (대) 현금 100,000
     2. 나 - (차) 비품 100,000 (대) 미지급금 100,000
     3. 다 - (차) 미수금 100,000 (대) 토지 100,000
     4. 라 - (차) 기계장치 100,000 (대) 미지급금 100,000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라'의 분개는 (차) 선급금 100,000 (대) 미지급금 100,000 이 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0. 다음은 ㈜상공의 12월 동안 거래내역이다. 재고자산의 원가흐름으로 선입선출법을 가정할 경우, 12월의 매출총이익은 얼마인가?(2020년 05월)

    

     1. 8,900원
     2. 9,900원
     3. 10,900원
     4. 11,900원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매출액-매출원가=매출총이익
매출액=30*200+80*200=22000
매출원가=기초5000+당기17000-기말(수량50+50-30+100-80=수량재고90*110)9900=12100
22000-12100=990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다음 자료에 근거한 기말 재무상태표상에 기록되는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얼마인가?(2015년 10월)

    

     1. ₩9,000
     2. ₩9,900
     3. ₩10,000
     4. ₩11,000

     정답 : []
     정답률 : 64%

12. 다음은 무형자산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교환거래(사업결합과정에서 발생한 것이 아닌)로 취득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비계약적 고객관계는 고객관계를 보호할 법적 권리가 없는 경우에도 무형자산의 정의를 충족한다.
     2. 내부적으로 창출한 브랜드, 제호, 출판표제, 고객 목록은 무형자산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3. 자산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기 전에 발생한 명백한 비효율로 인한 손실과 초기 영업손실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에 포함한다.
     4. 무형자산을 창출하기 위한 내부프로젝트를 연구단계와 개발 단계로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본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자산이 계획된 성과를 달성하기 전에 발생한 명백한 비효율로 인한 손실과 초기 영업손실은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에 포함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13. 대한상공(주)는 20X3년 1월 1일 다음과 같은 조건의 전환사채를 ₩48,000,000에 발행하였다. 전환사채에 대하여 전환권의 가치는 얼마인가?(2019년 09월)

    

     1. ₩287,700
     2. ₩577,200
     3. ₩1,712,300
     4. ₩2,577,200

     정답 : []
     정답률 : 23%
     <문제 해설>
50,000,000*6%=3,000,000

3,000,000*2.57710=7,731,300
50,000,000*0.79383=39,691,500

48,000,000-39,691,500-7,731,300=577,2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14. 자본변동표에 표시되는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납입자본의 변동
     2.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변동
     3. 이익잉여금의 변동
     4. 제품과 재공품의 변동

     정답 : []
     정답률 : 43%

15. 재무상태표 자본항목 중 차후에 포괄손익계산서에 영향을 주는 항목은?(2015년 10월)
     1. 주식발행초과금
     2. 자기주식처분손실
     3. 감자차익
     4.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정답 : []
     정답률 : 50%

16. 당기 중에 ₩192,000의 재고자산을 매입하였다. 매출원가는 ₩180,000이고 기말재고자산은 ₩36,000이었다. 재고자산회전 율은 몇 회인가?(2017년 05월)
     1. 8회
     2. 7회
     3. 6회
     4. 5회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재고자산 회전율=매출액/재고자산
                         =매출원가/평균재고자산

평균재고자산=기초재고액+기말재고액/2

180,000=기초재고+192,000-36,000
기초재고=24,000

평균재고자산=24,000+36,000/2
재고자산회전율=180,000/30,000
[해설작성자 : 나는짱아맘]

17. 다음의 자료를 기초로 계산한 주당순이익은 얼마인가?(2020년 05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1000주*12/12=1000
1000주*12/6=500
1500주/15000=10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다음은 재무회계 전반에 관련된 설명이다. 그 내용으로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외부감사인의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은 해당 기업의 투자적정성에 대한 판단이다.
     2. 최근 회계는 사회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게 하고, 경영자의 수탁책임 보고의 기능을 수행하며, 그밖에 사회적 통제가 합리화되도록 기여하는 등의 사회적 역할을 담당한다.
     3. 재무제표의 작성책임은 재무제표를 감사한 외부감사인에게 있다.
     4. 경영자의 합리적인 내부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제공이 재무 회계의 주된 목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45%

19. 현금흐름표는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활동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다음 주요계정의 증감을 현금흐름표에 표시되는 활동별로 구분한 내용 중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미수수익, 선급비용, 미지급금, 선수금 증감 - 영업활동
     2. 대여금, 미수금, 개발비, 차입금 증감 - 투자활동
     3. 차입금, 미지급금, 사채, 자본잉여금 증감 - 재무활동
     4. 미수금, 재고자산, 미지급비용, 선수수익 증감 - 영업활동

     정답 : []
     정답률 : 42%

20. 다음은 재무제표분석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재무제표분석 기법에는 추세분석(수평적분석), 수직적분석, 재무비율분석 등이 있다.
     2. 재무비율분석은 재무제표상의 개별항목간 비율을 산출하여 기업의 재무상태나 재무성과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3. 추세분석은 재무제표를 구성하고 있는 각 재무제표항목의 상대적 크기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재무제표 각 구성 요소들이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하는데 유용하다.
     4. 재무제표분석이란 기업의 과거 재무성과와 현재의 재무상태를 평가하고 미래 수익 잠재력과 관련위험을 예측하기 위하여 기업이 작성한 재무제표를 기초로 회계적 분석을 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추세분석이란 기준연도 이후 몇 년간 재무제표 항목의 변동크기와 변동방향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기준연도를 설정하고 기준연도 이후 항목의 금액을 기준연도 금액으로 나눈 비율의 증감을 분석

2021 전산회계운용사 가이드북, 대한상공회의소,p187, 추세 및 비교분석
[해설작성자 : 작업치료사 김정구]

2과목 : 원가관리회계


21. 다음 등급별 종합원가계산에 대한 설명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5월)
     1. 종류는 동일하나 품질 등이 다른 제품이 동일 공정에서 연속생산될 때 사용된다.
     2. 각 등급 제품의 원가부담비율을 나타내는 등가계수를 이용 하여 제조원가를 배부한다.
     3. 등급별로 직접원가를 구분하는 것이 가능해도 배부기준에 따라 원가를 배부한다.
     4. 크기가 다른 식빵 생산 등의 원가계산에 적용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22. 정상원가계산에서는 제조간접원가를 예정배부하고 기말에 실제발생액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정상원가계산에서 제조간접원가를 예정배부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예정배부 대상이 되는 기간의 실제조업도를 측정하기 어려워서
     2. 제품원가계산을 신속히 하기 위해
     3. 월별·계절별로 제조간접원가가 크게 변동하는 경우 제품의 단위당 원가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4. 월별·계절별로 제조간접원가의 배부기준이 되는 조업도가 크게 변동하는 경우 제품의 단위당 원가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답 : []
     정답률 : 16%

23. 원가를 추정하는 방법 중에 한 가지 방법이 계정분류법이다. 다음 중 계정분류법의 단점이 아닌 것은?(2020년 05월)
     1. 분석 담당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된다.
     2. 한 회계기간의 자료만 이용한다.
     3.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4. 비정상적 상황이 반영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회계 담당자의 전문적인 판단에 따라 고정 원가, 변동 원가, 혼합 원가를 결정하는 방법.
장점-
필요한 자료를 입수하기 쉽고 전문적 판단에 의존할 수 있음
원가추정 비용이 적음
단점-
주관이 개입되어 객관성이 부복
비정상적인 환경이나 비효율적인 활동이 발생할 때는 원가예측이 부정확해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4. 다음은 원가의 개념과 관련된 내용들이다. 그 내용이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원가(cost)란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생하거나 잠재적으로 발생할 경제적 희생을 화폐적으로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2. 원가 중에서 미소멸된 부분을 자산이라고 하고, 소멸된 원가 중에서 수익의 실현에 기여한 부분은 비용(expense), 수익의 실현에 기여하지 못한 부분을 손실(loss)이라고 한다.
     3. 판매관리비는 각 기간별로 자원이 즉각적으로 사용되므로 재고가능원가(inventoriable cost)가 아닌 재고불가능원가 (non-inventoriable cost)로 분류된다.
     4.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는 원가의 행태(cost behavior)에 따른 분류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5. ㈜상공전자는 제조간접비를 예정배부하고 있다. 제10기의 제조간접비 예정배부액은 ₩250,000이었다. 총원가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배부하는 비례배분법(보충율법)을 이용하여 배부차이를 조정한다. 매출원가, 기말제품, 기말재공품의 제조간접비 배부차이 조정 전 금액은 각각 ₩250,000 / ₩187,500 / ₩187,500이다. 제조간접비 배부차이를 조정한 후 매출원가는 ₩280,000이 되었다. 제10기의 실제 제조간접비는 얼마인가?(2015년 05월)
     1. ₩175,000
     2. ₩225,000
     3. ₩275,000
     4. ₩325,000

     정답 : []
     정답률 : 22%

26. (주)상공은 2개의 제조부문과 2개의 보조부문이 있다. 각 부문에서 당기 중에 발생한 원가와 보조부문이 제공한 용역수수관계는 다음과 같다. 상호배부법에 의할 경우 제조부문의 조립부문비 합계액은 얼마인가?(2020년 05월)

    

     1. ₩1,180,000
     2. ₩1,570,000
     3. ₩1,750,000
     4. ₩1,810,0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동력부문= x, 수선부문 = y
x=380,000+90/300y
y=300,000+4,000/20,000x

x=380,000+0.3(300,000+0.2x)
x=380,000+90,000+0.06x
0.94x=470,000
x=500,000 , y=400,000

조립부문비
동력 : 500,000*6,000/20,000=150,000
수선 : 400,000*120/300=160,000
자가발생액 : 1,500,000

1,500,000+150,000+160,000 = 1,810,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27. 다음 중 제조원가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본사 전산팀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감가상각비
     2. 공장감독자에 대한 급여
     3. 생산인력에 대한 복리후생비
     4. 공장 지게차에 사용하는 연료비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본사 전산팀의 감가상각비는 판매관리비로서 비제조원가이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8. (주)한국의 제품은 단위당 판매가격이 ₩200이며 단위당 변동제 조원가가 ₩80, 총 고정제조원가가 ₩6,000이다. 또한, 단위당 변동판매관리비는 ₩20이며, 총 고정판매관리비는 ₩6,000이다. (주)한국의 손익분기점 판매량은 얼마인가?(2019년 05월)
     1. 50개
     2. 60개
     3. 100개
     4. 120개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총 고정원가가 12,000원 이므로(고정제조원가 6,000원 + 고정판매관리비 6,000원),
공헌이익이 12,000원이어야 회사입장에서는 손실금액과 이익금액이 같은 손익분기점이 된다.
판매금액은 200원, 변동원가는 100원(변동제조원가 80원 + 고정제조원가 20원)이므로 단위당 공헌이익은 100원이므로,
12,000 ÷ 100 = 120개 를 판매해야 손익분기점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29. 다음 중 제조활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동력부문원가를 배분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준으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2017년 09월)
     1. 수선유지 작업의 횟수
     2. 원재료의 사용량
     3. 전기사용량
     4. 수선유지 작업 시간

     정답 : []
     정답률 : 83%

30. 다음은 제조간접비를 직접노무비의 일정비율로 예정배부하는 ㈜상공공업 제품A와 B의 내용이며, 그 외의 다른 작업은 없다.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제품계정 대체액 ₩127,000
     2. 재공품 차기이월 ₩88,000
     3. 제조간접비 배부액 ₩75,000
     4. 당기총제조비용 ₩215,00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제조간접비는 직접노무비의 일정비율로 예정배부된다.
제조간접비의 총 합계 : 30,000/0.4 = 75,000
제품A의 제조간접비 : 45,000

당기총제조비용 : 60,000+50,000+75,000 = 185,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31. ㈜상공의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250,000이며, 고정비는 ₩50,000이다.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계산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공헌이익률은 20%이다.
     2. 단위당 변동비가 ₩10이라면 단위당 판매가격은 ₩12.5이다.
     3. 총 30,000단위가 판매(단위당 판매가격 ₩12.5 가정)되었을 때 안전한계는 ₩125,000이다.
     4. 매출액이 ₩400,000일 경우 안전한계율은 40%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1. 고정비/매출액=20%=1-변동원가율
2. 변동원가율=단위당 변동비/단위당 판매가격
3. 안전한계=매출액-손익분기점 매출액=375,000-250,000
4. (400,000-250,000)/400,000=37.5%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2. (주)상공은 단위당 판매가격 100원, 단위당 변동비가 60원인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다. 회사의 연간 고정비가 320,000원 증가 시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얼마 증가하는가?(2017년 05월)
     1. 530,000원
     2. 800,000원
     3. 1,280,000원
     4. 700,000원

     정답 : []
     정답률 : 50%

33. (주)상공의 당해연도 매출액은 ₩5,000, 총비용은 ₩2,500이며, 이 중 고정비는 ₩1,500이라면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800
     2. ₩1,875
     3. ₩1,975
     4. ₩3,000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총비용 = 변동비 + 고정비
2,500 = 변동비 + 1,500
변동비 = 1,000

변동비율 = 변동비/매출액 = 1,000/5,000 = 0.2
공헌이익률 = 1 - 0.2 = 0.8
손익분기점 매출액 = 고정비/공헌이익률 = 1,500/0.8 = 1,875
[해설작성자 : 합격하자]

34. 표준원가계산제도하에서 재료비 차이에 관한 내용이다.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사용시점에 원가차이를 분리하는 것은 원재료가 재공품계정에 투입되기 이전에 원가차이를 분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구입시점에 가격차이를 분리하는 것은 원재료계정 이전에 원가차이를 계산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입가격차이를 계산 하는 것을 말한다.
     3. 재료비 차이가 불리하다는 것은 실제 재료비가 표준원가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불리한 차이는 차변에 기록된다.
     4. 생산부서의 생산수량 차이와 관계없이 구매부서의 성과평가는 오로지 재료비 구입가격차이로만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제품 단위당 판매가격은 ₩500이며, 매출량은 200개이다. 당기 중에 발생한 제조원가 및 판매관리비는 다음과 같다.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단위당 공헌이익은 ₩220이다.
     2. 손익분기점 매출량은 160개이다.
     3. 안전한계율은 20%이다.
     4. 영업레버리지도는 4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영업에버리지도=공헌이익/영업이익

영업이익=공헌이익-고정원가
                =200*220-35,200
                =8,800    

영업에버리지도=44,000/8,800
                            =5
[해설작성자 : 공부중]

36. (주)대한의 제16기 영업성과는 다음과 같다. 제16기 중 고정비는 얼마인가?(2020년 05월)

    

     1. ₩200,000
     2. ₩185,000
     3. ₩175,000
     4. ₩160,000

     정답 : []
     정답률 : 26%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당기순이익/(1-법인세율) = 100,000/(1-0.2) = 125,000
총비용 = 매출액 -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 1,500,000-125,000 = 1,375,000
고정비 = 총비용*(1-변동비율) = 1,375,000*(1-0.8) = 275,000
[해설작성자 : 공부중]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3번이네요.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오류신고 반론]
매출액:            1,500,000
변동비(80%): 1,200,000
공헌이익(20%): 300,000
고정비 :            
영업익:            125,000(당익순이익100,000/0.8(1-법인세율))
결과:고정비: 175,000
<빠른풀이> 변동비 80% 이므로, 공헌이익률 20% 이므로 공헌이익 300,000 영업이익은 당기순이익에 법인세 차감액 이므로
300,000 - 고정비 =125,000
따라서 고벙비:175,000
[해설작성자 : 수험생]

37. 다음 설명 중에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안전한계율이란 안전한계 매출액을 실제매출액으로 나누어 구한 것이다.
     2. 영업레버리지도는 공헌이익을 영업이익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3. 고정비가 커질수록 영업레버리지도는 작아진다.
     4. 영업레버리지도는'1/안전한계비율'로 표시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안전한계율=영업이익/공헌이익
손익분기점까지 허용 가능한 매출액 최대감소율
영업레버리지도=공헌이익/영업이익
공헌이익=매출-변동원가
영업이익=매출-매출원가-판관비

고정비 증가 시 변동비 상대적 감소, 영업레버리지도 증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8. 다음 중 CVP분석의 기본가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단위당 판매가격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2. 모든 원가는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로 구분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3. 판매량과 생산량은 일치한다고 가정한다.
     4. 단위당 변동원가는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단위당 변동원가는 조업도범위내에서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39. 다음은 개별원가계산과 종합원가계산을 비교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2018년 05월)
     1. 개별원가계산은 제품단위별로 원가를 집계하나, 종합원가 계산은 기간별로 원가를 집계한다.
     2. 개별원가계산은 직접재료원가, 직접노무원가, 제조간접원가로 구분하나, 종합원가계산은 직접원가와 간접원가로 구분한다.
     3. 개별원가계산은 기말재공품 평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종합원가계산은 인위적인 기말재공품 평가를 요구한다.
     4. 두 가지 원가계산을 혼합한 원가계산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2번 보기 : 종합원가계산은 재료비와 가공비(노무비+제조경비)로 구분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0. CVP분석을 위해서는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몇 가지 가정이 필요 하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조업도는 독립변수인 원가와 수익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2. 수익과 원가의 행태는 결정되어 있고 관련범위 내에서 선형 이라고 가정한다.
     3. 생산량과 판매량은 일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4. 분석기간이 화폐의 시간가치가 중요하지 않을 정도의 단기간 이라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1. 비거주자에 대한 분리과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5월)
     1. 비거주자의 국내원천소득(부동산, 근로, 퇴직소득, 연금소득은 제외)으로서 국내사업장과 실질적으로 관련되지 않거나 그 국내사업장에 귀속되지 않은 소득금액에 대하여는 원천징수로써 과세를 종결한다.
     2. 분리과세하는 경우 국내원천소득을 지급하는 자는 국내원천소득을 지급할 때 원천징수하여 다음달 15일까지 납부하여야 한다.
     3. 조세조약에 따라 국내원천사업으로 과세할 수 있는 소득은 분리과세에서 제외한다.
     4. 국내사업장이 없는 비거주자에게 지급하는 금액은 원천징수로써 과세를 종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2번 보기 : 원천징수의무자는 원천징수일(소득을 지급한 날)이 속하는 다음달 10일까지 과세관청에 이를 납부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2. 현행 소득세법은 거주자의 경우 종합과세를 기본원칙으로 삼고 있다. 다음 중 종합과세되는 소득은 얼마인가?(2017년 05월)

    

     1. ₩9,000,000
     2. ₩19,000,000
     3. ₩28,000,000
     4. ₩43,000,000

     정답 : []
     정답률 : 50%

43. 다음 중 소득세법상 소득의 구분이 옳은 것은?(2018년 09월)

    

     1. 가, 나
     2. 나, 다
     3. 나, 라
     4. 다, 라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대금업을 영위하는 자의 이자수익 : 사업소득
광업권의 대여로 인한 소득 : 기타소득
[해설작성자 : 다희쌤♡]

44. 소득세법의 총수입금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5월)
     1. 전년도로부터 이월된 소득금액은 총수입금액에 불산입한다.
     2. 부가가치세 매출세액은 부채성격이라서 총수입금액에 산입 하지 않는다.
     3. 매출액은 총수입금액에 산입하는데 매출할인은 제외하고 매출환입액과 매출에누리는 포함한다.
     4. 필요경비로 지출된 세액의 환입액은 총수입금액에 산입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45. 내국법인인 (주)상공은 물품을 중국 거래처로 국제운송을 통하여 배송하고자 한다. 국제운송에서 과세거래로 인정할 수 있는 용역발생의 장소로 옳은 것은?(2019년 05월)
     1. 물품이 생산된 공장
     2. 물품이 적재된 항공기
     3. 물품이 도착한 국제공항
     4. 물품을 뜯어서 사용한 중국 현지거래처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부가가치세법 제20조(용역의 공급장소)
① 용역이 공급되는 장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곳으로 한다.
1. 역무가 제공되거나 시설물, 권리 등 재화가 사용되는 장소
2. 국내 및 국외에 걸쳐 용역이 제공되는 국제운송의 경우 사업자가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이면 여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장소
② 제1항에서 규정한 사항 외의 용역이 공급되는 장소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6.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영세율과 면세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영세율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납세의무자 이지만, 면세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납부세 의무자가 아니다.
     2. 영세율 적용의 목적은 소비지국 과세원칙의 구현 등에 있고, 면세의 경우는 부가가치세의 역진성 완화 등에 있다.
     3. 영세율 적용대상자와 면세 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제반의무를 반드시 이행하여야 한다.
     4. 영세율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있는 반면, 면세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면세적용대상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가 아니므로 부가가치세법에 따른 제반의무를 이행할 필요는 없으나, 다만 사업장현황신고시 소득세법에 따라 협력의무를 제공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47. 경기도에 거주하는 김한국씨는 2016년 2월 10일 서울에서 의류 판매 사업을 시작하였다. 김한국씨가 사업자 등록과 관련하여 취했던 행동 중 부가가치세법에 위배되는 것은?(2016년 05월)
     1. 김한국씨는 사업을 개시하기 전에 사업자등록을 하지 못하고 10일 후인 2월 20일에 비로소 사업자등록을 신청할 수 있었다.
     2. 부산에 출장 중이었던 김한국씨는 사업자등록을 자신의 사업장 관할 세무서장이 아닌 부산 소재 세무서의 세무서장 에게 신청하였다.
     3. 김한국씨는 사업장 소재지 임대차계약서를 분실하여 자신의 주소지로 사업자등록을 신청하였다.
     4. 김한국씨는 사업자등록 전인 2월 10일 의류 제조업자에게 미리 의류를 구입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48. 다음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상공상사의 제10기(2016.1.1~2016.12.31) 수익항목에 관한 자료이다. 상공상사는 김상공씨가 운영하는 개인기업인 경우 사업소득의 총수입금액을 계산하면 얼마인가?(2016년 10월)

    

     1. ₩110,000,000
     2. ₩111,000,000
     3. ₩150,000,000
     4. ₩161,000,000

     정답 : []
     정답률 : 22%

49. 다음 중 종합소득세 세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무조건 분리과세(3억 이하) 소득인 복권당첨 소득은 20% 원천징수 한다.
     2. 소득세는 2단계 누진세율 구조이다.
     3. 비실명 금융소득은 25% 원천징수 한다.
     4. 조건부 종합과세 시 2천만 원 초과분은 35%를 적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019년 8월 현재
1번 보기 : 복권당첨소득은 3억 이하금액은 20%, 3억 초과금액은 30%로 원천징수하는 무조건분리과세 소득이다.
2번 보기 : 소득세는 7단계초과누진구조이다(6~42%)
3번 보기 : 비실명금융소득에 대하여서는 42% 최고세율로 원천징수하며, 금융실명제 미적용과 관련된 소득은 90%로 원천징수한다.
4번 보기 : 문제 보기가 완전하지 않습니다. 금융소득에 대하여서 조건부 종합과세대상인 소득은 2천만원까지는 기본 14%로, 2천만원 초과분에 대하여서는 7단계 초과누진세율을 적용하여 과세합니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0. (주)상공의 다음 거래 중 영세율매출명세서에 들어갈 영세율 과세표준은 얼마인가?(2019년 09월)

    

     1. ₩1,000,000
     2. ₩3,000,000
     3. ₩4,000,000
     4. ₩8,000,000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연탄은 면세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1. 부가가치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사업목적이 영리이든 비영리이든 관계없이 사업상 독립적으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자는 부가가치세 납세 의무자에 해당한다.
     2.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부가가치세법상 납세의무자에 해당 하지 아니한다.
     3. 판매시설을 구비한 직매장은 사업장에 해당한다.
     4. 사업자등록 정정사유가 발생한 사업자는 지체 없이 정정신고 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부가가치세법 상 영세율 적용과 면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영세율 적용 사업자와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 상 거의 동일한 의무를 이행한다.
     2. 면세 대상 재화와 영세율 적용 대상 재화의 부가가치세율은 동일하다.
     3. 부가가치세법에 영세율 포기 제도는 존재하나, 면세포기제도는 없다.
     4. 영세율 적용 사업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있으나, 면세 사업자는 매입세액을 환급받을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번 보기 : 영세율적용사업자는 일반과세자로서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이므로 모든 제반의무를 이행하여야 하나, 면세사업자는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가 아니라 소득세법/법인세법상 사업자이므로 협력의무만 지닌다.
2번 보기 : 면세 재화는 세금이 면제되는 것이고, 영세율 재화는 세금이 0%인 것이다.
3번 보기 : 면세포기제도도 존재한다(영세율을 적용받고자 할 때 수출분에 대하여서만 면세포기, 3년간 다시 면세 적용받지 못함).
[해설작성자 : 다희쌤♡]

53. 부가가치세법상 재화나 용역의 공급시기로 옳지 않은 것은?(2015년 10월)
     1. 장기할부판매의 경우 - 대가의 각 부분을 받기로 한 때
     2. 현금판매의 경우 - 재화가 인도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
     3. 재화의 공급으로 보는 가공의 경우 - 가공이 완료되는 때
     4. 폐업 전에 공급한 용역의 공급시기가 폐업일 이후에 도래 하는 경우 - 폐업일

     정답 : []
     정답률 : 55%

54. 다음 중 세금계산서 교부의무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7년 09월)
     1. 면세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다.
     2. 간이과세자도 공급받는 자가 사업자등록증을 제시하고 세금 계산서의 발급을 요구하면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다.
     3. 위탁판매의 경우 수탁자가 재화를 인도할 때에는 수탁자가 위탁자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한다.
     4. 일반과세자 중 주로 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대신 영수증을 발행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간이과세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는 사업자이다. 일반과세자의 경우만 보기와 같은 경우에 세금계산서 발급이 가능하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21년 7월부터 간이과세자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세법 개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관리자 입니다.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55. 국내에서 국외로 국제운송 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사업자가 비거주자 또는 외국법인일 때 부가가치세법 상 용역의 공급 장소로 옳은 것은?(2017년 05월)
     1. 화물의 운송계약이 체결되는 장소
     2. 화물이 적재되는 장소
     3. 화물이 도착하는 장소
     4. 화물 운송사업자의 본점 소재지

     정답 : []
     정답률 : 43%

56. 일반과세사업자인 (주)상공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상가건물을 임대하고, 보증금 없이 1년 임대료 ₩12,000,000을 1월 1일에 선불로 받았다. 동 임대용역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8년 05월)
     1. 1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12,000,000이다.
     2. 2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없다.
     3. 2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6,000,000이다.
     4. 1기에 신고할 공급가액은 없다.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부동산임대용역의 선수임대료에 대하여서는 진행기준으로 안분하여야 하기 때문에 1기에 600만원, 2기에 600만원이 신고되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57. 김한국씨의 과세표준은 5,000만원이다 다음의 기본세율표를 참조하여 산출세액을 계산하시오.(2019년 09월)

    

     1. 522만원
     2. 582만원
     3. 678만원
     4. 1,200만원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1200만원*6%=72만원
4600만원*15%=510만원(690-108(누진공제액)-72)
5000만원*24%=96만원(1200-522(누진공제액)-582)
=678만원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8. 다음 중 근로소득에 포함되지 않는 소득은?(2020년 10월)
     1. 주주 또는 출자자가 아닌 임원과 임원이 아닌 종업원 및 국가·지방자치단체로부터 근로소득을 지급받는 사람이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사택을 제공받는 경우
     2. 법인의 종업원이 해당 법인으로부터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해당 법인에서 근무하는 기간 중 행사함으로써 얻은 이익
     3. 보험회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 등의 종업원이 받는 집금수당과 보험가입자의 모집, 증권매매의 권유 또는 저축을 권장하여 받는 대가
     4. 계약기간 만료전 또는 만기에 종업원에게 귀속되는 단체환급부보장성보험의 환급금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주주 또는 출자자가 아닌 임원과 임원이 아닌 종업원 및 국가·지방자치단체로부터 근로소득을 지급받는 사람이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사택을 제공받는 경우
→비출자임원,종업원들이 사택을 제공받음으로써 얻는 이익 전액 비과세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9. ㈜일산은 ㈜인천에게 재화를 위탁하여 판매하고 있다. 위탁판매된 재화가 소비자에게 인도되는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에 대해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인천은 수탁자 명의든 또는 위탁자 명의든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서는 안 된다.
     2. ㈜인천이 ㈜인천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해야 한다.
     3. ㈜일산이 ㈜인천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한다.
     4. ㈜인천이 ㈜일산의 명의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한다.

     정답 : []
     정답률 : 38%

60. 다음 중 부동산임대용역을 제공하는 경우 과세표준 계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부동산임대용역에 대한 대가를 임대보증금의 형태로 받는 경우에는 임대보증금 전액이 과세표준이 된다.
     2. 둘 이상의 과세기간에 걸쳐 부동산 임대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선불이나 후불로 받는 경우에는 해당 금액을 계약기간의 개월 수로 나눈 금액의 각 과세대상기간의 합계액을 과세표준으로 한다.
     3. 주택 및 부수토지의 임대는 부가가치세가 면세된다.
     4. 상가 및 부수토지의 임대는 부가가치세가 과세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임대보증금에 대하여서는 국세청장고시 정기이자율 × 일수 / 365(6) 만큼만 간주임대료로 과세표준에 포함된다.
[해설작성자 : 다희쌤♡]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8263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22 위험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4월08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2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재배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620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19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9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618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17 소방공무원(공개)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788263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15 9급 지방직 공무원 환경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14 세탁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6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612 이용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4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11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610 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0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09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834352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608 수능(화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9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0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1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06 축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7월18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05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846357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04 전자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320320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03 9급 국가직 공무원 노동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84 Next
/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