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49918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농작업과 안전보건교육


1. 다음 중 OJT(On the Job Training)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12월)
     1.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2.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3. 현장작업과 관계없이 계획적으로 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4. 작업장 설정에 맞는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현장에 데려다놓고 직접 일하면서 배우게 하는 것.
직무에 종사하면서 지도교육을 받기 때문에 업무수행이 중단되는 일이 없음

(반대말) 오프제이티(Off-JT:off-the-job training) 직무수행을 중단하고, 또는 직장배치 전에 다른 장소에서 실시되는 직장 외 교육훈련
[해설작성자 : 솔솔]

2. 외국의 농작업 안전보건제도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아일랜드는 민간보험회사에서 임의가입형태로 농업인 산업재해보험을 운영하고 있으나 한국과 달리 가입률이 매우 높다.
     2. 오스트리아는 자영농업인을 포함한 모든 농업인을 대상으로 재해보험 가입과 예방활동을 의무화하고 있다.
     3. 독일의 경우 농가 단위로 재해보험 가입이 의무화되어 있으나, 농가 경영주에게 해당 농장의 재해 예방 조치 의무는 없다.
     4. 핀란드는 국립농업안전보건센터가 농업안전보건전문가의 교육과 양성, 지역현장에서의 안전과 보건의 제반 영역을 포함한 농업보건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례법령상 농어업의 작업환경 및 작업특성에 대한 지원 사업이 아닌 것은? (단, 예산의 범위에서 진행하는 지원사업이다.)(2021년 09월)
     1. 농어촌 자연환경 개선을 위한 기술 보급
     2. 농어업 작업 안전보건기술의 개발 및 보급
     3. 농어업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 및 보급
     4. 농어업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환 및 재해예방교육의 실시

     정답 : []
     정답률 : 76%

4. 농업인 업무상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비가역적인 인적,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특성을 고려할 때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는?(2021년 09월)
     1. 감시
     2. 예방
     3. 보상
     4. 재활

     정답 : []
     정답률 : 87%

5. 농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농약 등의 안전 사용기준'이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적용대상 농작물과 병해충별로 정해진 사용방법·사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할 것
     2. 사용대상자가 정해진 농약 등은 사용대상자 외의 사람이 사용하지 말 것
     3. 사용지역이 제한되는 농약 등은 사용제한지역에서 사용하지 말 것
     4. 적용대상 농작물에 대하여 사용시기 및 사용가능횟수가 정해진 농약 등은 그 사용시기 및 사용가능횟수를 지켜 사용할 것

     정답 : []
     정답률 : 91%

6. 안전보건 교육 평가 설계모형 중 ADDIE 모형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Analysis
     2. Design
     3. Describe
     4. Evaluation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ADDIE 모형 : 다양한 교수체제 설계 모형의 기초이며 가장 널리 활용된다

5가지 : 분석( Anaiysis ), 설계( Design ),개발( Develoment ), 실행( Implementation) 평가 ( Evaluation )
[해설작성자 : 생명창고]

7. 농업기계화 촉진법 시행규칙상 검정대상 농업기계 중 안전점검 대상에 해당되는 것은?(2020년 09월)
     1. 곡물건조기
     2. 농업용 트랙터 보호구조물(ROPS)
     3. 비료살포기(승용자주형)
     4. 농업용 베일러(승용자주형)

     정답 : []
     정답률 : 74%

8.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상 농작업자 건강위해 요소의 측정 대상을 모두 나열한 것은?(2018년 12월)

   

     1.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9조의2(농어업 작업자 건강위해 요소의 측정 등)
① 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농어업 작업자 건강위해 요소의 측정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대상으로 한다.
1. 소음, 진동, 온열 환경 등 물리적 요인
2. 농약, 독성가스 등 화학적 요인
3. 유해미생물과 그 생성물질 등 생물적 요인
4.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특성
5. 그 밖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솔솔]

9. 신규농업인에게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사실적, 기본적 정보 개념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안전교육 기법은?(2021년 09월)
     1. 시범
     2. 토의법
     3. 강의법
     4. 사례연구

     정답 : []
     정답률 : 73%

10. 농작업으로 인한 유해요인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양계작업 - 이산화탄소
     2. 시설하우스 작업 - 더위
     3. 노지고추 방제작업 - 농약
     4. 콤바인 벼 수확작업 – 곡물분진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양계장에서 발견되고 있는 유해요인

가. 입자상 물질
엔도톡신, 미코톡신, 곰팡이, 그람음성세균, 일반 분진 등

나. 가스상 물질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탄올, 아세트알데하이드, 포름알데히드, 메틸아민, 일산화탄소 등
[해설작성자 : 회공시]

11. 다음 중 인간행동의 변화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가장 어려운 변화는?(2018년 12월)
     1. 개인행동의 변화
     2. 태도의 변화
     3. 지식의 변화
     4. 조직문화의 변화

     정답 : []
     정답률 : 81%

12. 다음 설명의 괄호 안에 알맞은 수치는? (단,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2020년 09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70%

1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에서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위원회’를 어느 소속으로 두도록 되어 있는가?(2018년 12월)
     1. 국무총리
     2. 해양수산부
     3. 농림축산식품부
     4. 지방자치단체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 약칭: 농어업인삶의질법 )
제10조(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위원회) ① 농어업인등의 복지증진, 농어촌의 교육여건 개선 및 지역개발에 관한 정책을 총괄ㆍ조정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위원회를 둔다.
[해설작성자 : 솔솔]

14. 농업기계 안전기준에 따라 가동부의 방호장치로부터 측방 안전거리가 그림과 같을 때 방호장치의 높이는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2020년 09월)

    

     1. 500mm
     2. 800mm
     3. 1,000mm
     4. 1,200mm

     정답 : []
     정답률 : 70%

15. 농어업 작업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2020년 09월)
     1. 농어업인안전보험이란 농어업인에게 발생한 농어업작업안전재해를 보상하기 위한 보험이다.
     2. 농업인과 가족구성원이 농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 예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업인은 자신과 그의 가족구성원을 위하여 동법상의 안전재해에 대한 예방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3.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해양수산부장관은 농어업작업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농어업작업 안전재해 예방 기본계획을 5년마다 각각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4. 농어업작업안전재해는 농어업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한 농어업인 및 농어업근로자의 부상·질병·장해 또는 사망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제16조에 따르면, 기본계획 수립 주기는 “3년마다”입니다. 즉, 5년마다가 아니라 3년마다 수립·시행해야 하므로 이 문장은 틀렸습니다
[해설작성자 : 장순한]

[오류신고 반론]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 약칭: 농어업인안전보험법 )
[시행 2024. 5. 1.] [법률 제19807호, 2023. 10. 31., 타법개정]
제16조(농어업작업안전재해의 예방을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등)
①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해양수산부장관은 농어업작업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농어업작업안전재해 예방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5년마다 각각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관리자]

16. 일반적으로 농작업과 농업인들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농작업의 비표준화
     2. 노동 집약적인 작업 특성
     3. 농업 인구의 저연령화
     4. 특정 기간에 집중되는 작업

     정답 : []
     정답률 : 93%

17. 농작업 안전보건 집단교육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평가에 교수자 뿐 아니라 학습자도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교육 대상자 수는 15명~20명 정도가 효과적이며 대상자가 많을 경우 50명 내외로 한다.
     3. 교육 대상자들이 서로 다른 성격과 문제를 가지는 집단으로 구성되어야 교육의 효과가 높다.
     4. 교육방법은 교수자와 교육 대상자가 함께 학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운영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18. 농작업 안전보건 관리를 위하여 다음의 농업인 안전감독관(TAD)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는?(2018년 12월)

    

     1. 영국
     2. 독일
     3. 미국
     4. 핀란드

     정답 : []
     정답률 : 80%

19. 농업인의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곡물 분진,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등 위험인자들이 다양하다.
     2. 농약중독이나 사고로 인한 손상이나 사망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 각종 농기계의 사용에 따른 소음, 진동 등과 같은 위험요인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4. 농작업 중 노출되는 위험요인과 실제 질병을 일으키는 인자들은 단순하고 간단하다.

     정답 : []
     정답률 : 85%

20. 다음 중 농작업 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할 때 가정 먼저 해야 할 일은?(2020년 09월)
     1. 교육요구 분석
     2. 학습자 분석
     3. 교육장소 선정
     4. 교육내용 구성

     정답 : []
     정답률 : 81%

2과목 : 농작업 안전관리


21. 이앙기의 안전사용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승용 이앙기를 타거나 내릴 때 이앙기를 등지지 않는다.
     2. 트럭 등에 적재 시 사다리의 길이는 차량 적재함 높이의 4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3. 트럭 등에 적재 시 전진으로 올라가고 후진으로 내려온다.
     4. 이앙기에 모 매트를 보급할 때는 반드시 정지한 후 보충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승용이앙기의 경우 트레일러나 차량에 실어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사다리 길이는 해당 차량적재함 높이의 4배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경사가 없는 평탄한 장소에서 2인 1조로 전후방을 주시하고
상차 시에는 후진, 하차 시에는 전진으로 천천히 상하차를 실시해야 한다.

상차는 후진, 하차는 전진
[해설작성자 : 마이클]

22. 다음에서 설명하는 안전보건표지는?(2021년 09월)

    

     1. 금지표지
     2. 경고표지
     3. 지시표지
     4. 안내표지

     정답 : []
     정답률 : 79%

23. 인간의 안전심리 5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2월)
     1. 지능(Intelligence)
     2. 감정(Emotion)
     3. 습관(Custom)
     4. 동기(Motive)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인간의 안전심리의 5대 요소 : 습성, 동기, 기질, 감정, 습관
[해설작성자 : 생명창고]

감정(Emotion) - 불안, 분노, 스트레스 등은 안전 사고의 중요한 유발 요인
습관(Custom) - 잘못된 작업 습관은 반복적으로 사고를 유발함
동기(Motive) - 작업 속도, 성과 중심 사고가 안전을 무시하게 만듦
주의(Attention) - 순간적인 집중력 저하가 사고로 이어짐
의지(Will) - 안전수칙을 지키려는 태도와 실천력
[해설작성자 : 쑹]

24. 동일 분자 내에 물에 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화합물로 제재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좌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2020년 09월)
     1. 계면활성제
     2. 용 제
     3. 고체희석제
     4. 고착제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두 물질을 혼합하거나 경계면을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비누, 세제,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분자 구조상 친수성(물 친화)과 소수성(기름 친화) 부분을 동시에 가지며, 미셀(micelle)을 형성해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유화 작용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25. 하인리히가 정의한 재해 구성 비율에 대한 이론으로, 중상·사망, 경상 그리고 무상해 사고의 비율은 무엇인가?(2020년 09월)
     1. 1:10:30
     2. 1:10:600
     3. 1:29:300
     4. 1:30:600

     정답 : []
     정답률 : 91%

26. 다음 설명에 적합한 농약의 분류 명칭은?(2020년 09월)

    

     1. 화학명
     2. 일반명
     3. 품목명
     4. 상품명

     정답 : []
     정답률 : 66%

27. 농기계 및 농작업의 안전점검을 위한 점검표(체크리스트) 작성 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작성할 것
     2. 내용은 구체적이고 재해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
     3. 사업장에 적합하고 쉽게 이해되도록 독자적인 내용으로 작성할 것
     4.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계속 보완하면서 활용할 것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위험도가 높은것부터 낮은것으로 순차적 작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농작업 환경에서의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공기농도와 유해가스 노출기준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산소 : 18.5 ~ 23%
     2. 이산화탄소 : 3% 미만
     3. 황화수소 : 10ppm 미만
     4. 일산화탄소 : 30ppm 미만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이산화탄소 1.5%미만
     일산화탄소 30 ppm 미만유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농작업 중 다른 작업자가 감전되었을 경우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할 사항은?(2018년 12월)
     1. 물을 붓는다.
     2. 전원을 차단한다.
     3. 소화기를 살포한다.
     4. 신속히 사고자를 잡아당긴다.

     정답 : []
     정답률 : 93%

30.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일반적 안전 수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기후조건을 고려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한다.
     2. 땀을 닦기 위해 목에 두른 수건의 끝은 작업 중 불편하지 않게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한다.
     3. 작업장 주변에 일하는 사람이 있는지 미리 확인한다.
     4. 비산물이 발생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보안경, 마스크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31. 다음 중 농기계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연료의 안전사용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용기는 적절한 것을 사용하고 전용장소에 보관한다.
     2. 보관 장소에는 소화기를 준비하고 화기를 엄금한다.
     3. 장기간 보관한 연료를 농업기계에 먼저 보급하여 사용한다.
     4. 급유를 할 때에는 반드시 농업기계의 엔진을 정지시켜 식힌 상태에서 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32. 일반적인 동력예취기 사용에 관한 안전지침으로 틀린 것은?(2018년 12월)
     1. 작업 중에는 작업작 간에 5m 거리를 유지한다.
     2. 예취기 주유 시에는 엔진 시동을 정지 후 급유한다.
     3. 엔진 시동은 지면에서 에취기 날을 띄운 상태로 시동한다.
     4. 온도가 낮은 아침의 경우 손을 충분히 따뜻하게 한 후 작업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운전 중 항상 기계의 작업범위 15m 이내 접근 금지
[해설작성자 : 생명창고]

33. 재해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다음 그림과 같이 재해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1. 파레토 분석
     2. 특성요인 분석
     3. 클로즈 분석
     4. 관리도 분석

     정답 : []
     정답률 : 80%

34. 동력 경운기 및 관리기 등을 보관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경사진 곳에 보관한다.
     2. 작업기는 내려놓은 상태로 보관한다.
     3. 열쇠를 잃어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열쇠를 꽂아놓는다.
     4. 트레일러 보관 시 기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스탠드가 있는 경우라도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평지에 보관
3. 열쇠는 별도로 분리보관
4. 스탠드가 있는 경우 반드시 스탠드를 사용하여 지지
[해설작성자 : 회공시]

35. 경사지에서 농업기계 작업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주행할 경우엔느 분담하중이 큰 쪽을 가능한 한 낮은 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2. 경사지에서 이동 시 작업기를 내려 무게중심을 낮추어 준다.
     3. 내리막길 주행 중 변속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4. 오르막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앞바퀴가 들리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36. 농기계 추락전도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농로 운행 및 작업 수행 시 회행 장소를 미리 염두에 두고 작업하도록 한다.
     2. 노면의 깊은 바퀴자국, 물웅덩이 등은 미리 평평하게 해두도록 한다.
     3. 논둑을 넘을 때는 차체가 논둑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한다.
     4.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주행할 때는 분담하중이 적은 쪽을 경사지의 높은 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37. 기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안전장치 중 성격이 다른 것은?(2020년 09월)
     1. 회전부 덮개가 열리면 작동이 멈추는 장치
     2. 플러그 모양이 일반 제품과 다른 고전압용 기계 설비
     3. 작동이 중지되어도 일정 시간 동안 고열부 차단 덮개가 열리지 않는 기계
     4. 정전이 되어도 일정시간 긴급발진을 해서 제어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장치

     정답 : []
     정답률 : 79%

38. 농업기계 사고의 빈도를 줄이기 위한 농기계 등화장치 안전기준 중 승용자주형 농업기계(농업용 동력운반차, 퇴비살포기 등)로 최고주행속도가 얼마 이상인 기계는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등을 부착하여야 하는가?(2020년 09월)
     1. 10km/h
     2. 15km/h
     3. 20km/h
     4. 25km/h

     정답 : []
     정답률 : 73%

39. 돼지의 이동 및 출하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돼지의 이동통로에는 발조심 등의 경고표시를 한다.
     2. 급하게 돼지를 몰지 않도록 작업자에게 충분한 시간을 준다.
     3. 돼지에게 밟히면 위험하므로 고무장화를 신어야 한다.
     4. 돼지를 이동시키는 몰이판은 작업자 허리 높이 이상 올라가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돼지 이동 작업시에는 급하게 돼지를 몰지 않도록 작업자에게 충분한 시간적인 여유를 주어야 하며, 고무장화 등의 신발보다 신발 끝에 보호캡이 들어간 안전화를 착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농촌진흥청 발간 양돈 농업인의 안전보건관리]
[해설작성자 : 회공시]

40.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환기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밀폐 공간 작업을 시작하기 전과 작업 중에도 계속 환기한다.
     2. 적절한 환기를 위해 급기부와 배기부를 인접하여 설치한다.
     3. 급기 시 토출구를 작업자 머리 위에 설치한다.
     4. 배기 시 유입구를 작업공간 깊숙이 위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3과목 : 농작업 보건관리


41. 농업인의 호흡기 질환과 관계가 없는 유해인자는?(2019년 09월)
     1. 무기분진
     2. 바이오에어로졸
     3. 석면
     4. 적외선

     정답 : []
     정답률 : 84%

42. 농약 노출의 특성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농작업 시 농약 노출은 노출 형태가 다양하다.
     2. 농업인 간 같은 작목을 재배 시 농약 노출 시간은 동일하다.
     3. 농약 노출 작업은 연간 일정하게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며칠 또는 몇 달에 걸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4. 농업인과 그 가족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직업적 노출 외에도 환경적 노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같은 작목이라도 지역/농가별로 다양한 농작업방식이 존재
[해설작성자 : 회공시]

농약노출은 살포기기, 작업장의 밀폐여부 바람 방향 등 환경조건과 같은 농약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따라서 노출경로와 노동가 달라질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금석]

43. 다음에서 설명하는 질환은?(2021년 09월)

    

     1. 신종 독감
     2. 브루셀라증
     3. 쯔쯔가무시증
     4. 렙토스피라증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쯔쯔가무시증 - 쥐를 매개체로 하는 진드기
렙토스피라증 - 설치류(쥐)
[해설작성자 : 회공시]

도축종사자 수의사 축산농업인 등 감염된 동물과 이들의 조직을취급하는 특정 직업인 주로 감염된 가축의 분비물 등과 접촉    및 흡입시 인수공통감염
[해설작성자 : 전금석]

44. 농약의 피부노출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비용이 저렴하고 작업자의 업무가 방해되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2018년 12월)
     1. 패치법
     2. 형광물질조사법
     3. 전신노출조사법
     4. 와쉬(Wash)법

     정답 : []
     정답률 : 79%

45. 하우스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동력기기를 사용하는 작업, 로터리 작업, 농약 방제작업, 각종 트랙터 작업 등 농업용 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노출될 수 있는 물질은?(2021년 09월)
     1. 석면
     2. 유리규산
     3. 석영분진
     4. 디젤 연소물질

     정답 : []
     정답률 : 76%

46.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매개 감염병의 예방대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
     2. 우유와 유제품을 살균하여 섭취
     3. 적합한 작업 복장으로 피부노출 최소화
     4. 작업 중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말 것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2. 유제품의 살균은 살로넬라균 처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농업인의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기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령상의 허용기준을 준용한 경우, 95dB의 소음이 발생하는 사업장에서 1일 기준 몇 시간까지 근무가 가능한가? (단, 충격 소음은 제외한다.)(2019년 09월)
     1. 1 시간
     2. 2 시간
     3. 4 시간
     4. 8 시간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90dB - 8시간
95dB - 4시간
100dB - 2시간
105dB - 1시간
110dB -    30분
115dB -    15분
[해설작성자 : 마이클]

48. 농약의 안전 사용 기준의 세부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농약 등의 안전사용기준을 적용한다.)(2020년 09월)
     1. 적용대상 농작물에만 사용할 것
     2. 적용대상 농작물과 병해충별로 정해진 사용방법, 사용량을 지켜 사용할 것
     3. 농약 별로 정해진 농약활용기자재를 통해서만 사용할 것
     4. 사용지역이 제한되는 농약은 사용제한지역에서 사용하지 말 것

     정답 : []
     정답률 : 78%

49.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9월)

    

     1. 잠복기
     2. 생존기
     3. 유사기
     4. 침체기

     정답 : []
     정답률 : 93%

5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온열질환은?(2021년 09월)

    

     1. 열사병(Heat stroke)
     2. 열탈진(Heat exhaustion)
     3. 열경련(Heat cramps)
     4. 열실신(Heat syncope)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열탈진(일사병)
-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

열경련
- 땀을 많이 흘리고 근육경련이 발생하는 질환

열실신
- 체온이 높아지면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체표면의 혈액량은 늘어나고 심부의 혈액량은 감소함. 뇌로 가는 혈액약이 부족하여 일시적으로 의식 잃음.
[해설작성자 : 회공시]

51. 선별 포장 작업, 과일 봉지 씌우기 등과 같이 손가락 및 손목 등을 사용하는 작업에 가장 적합한 인간공학적 평가 도구는?(2020년 09월)
     1. JSI
     2. NLE
     3. RULA
     4. OWAS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근골격계 평가 방법 RULA 에서의 평가부위별
1. RULA: 손목. 팔. 목. 어깨 허리 등 상지 중심/ 허리. 어깨. 팔. 손목 등의 부적절한 자세와 반복적인
중량물 작업 등이 복합적으로 문제되는 작업.
2. REBA: 손. 아래 팔. 목. 어깨. 허리. 다리부위 등 전신/허리. 어깨.팔. 다리. 손목 등의부적절한 자세의 반복성
중량물 작업 등이 복합적으로 문제되는 작업.
3. AWBA: 팔. 어깨. 허리. 다리 부위 등 전신/바닥 또는 의자에 앉거나 무릎 꿇는 작업    
4. OWAS: 허리. 어깨 다리 부위/쪼그리거나 허리를 많이 숙이거나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작업
5. JSI: 손목. 손가락부위/ 수확물 선별포장. 반복적인 전지가위 사용 등 손목. 손가락 등을
반복적 사용으로 힘을 필요로 하는 작업.
6. NLE: 허리 부위/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드는 작업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52. 농약 살포 시 작업자가 준수하여야 할 노출 관리방안으로 부적합한 것은?(2018년 12월)
     1. 농약을 살포할 때는 보안경을 착용하여 눈을 보호하여야 한다.
     2. 농약은 아침, 저녁과 같이 비교적 서늘한 시간에 살포하도록 한다.
     3. 농약 살포 시 땀을 닦는 수건은 별도의 비닐주머니에 보관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4. 살포 농약이 호흡기를 통하여 가장 많이 체내로 흡수되기 때문에 호흡용 보호구 착용을 철저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피부를 통하여
[해설작성자 : 농부]

53. 안전한 중량물 들어올리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12월)
     1. 들어 올려야 할 중량물의 수직과 수평거리를 최소화해야 한다.
     2. 가능한 한 들어 올리는 속도를 느리게 해야 한다.
     3.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허리 비틀림에 유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 다리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면이 어깨 넓이 보다 좁은 상태에서 들어 올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54. 가축과의 접촉에 의해 생길수 있는 인수공통 감염병이 아닌 것은?(2018년 12월)
     1. 탄저병
     2. 조류독감
     3. 브루셀라증
     4. 쯔쯔가무시증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탄저병 (Anthrax)
원인: Bacillus anthracis (탄저균)
전파경로: 감염된 가축과의 직접 접촉, 오염된 고기·피부 등
→ 인수공통감염병 O

2.조류독감 (Avian Influenza)
원인: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전파경로: 감염된 조류와의 접촉, 분변 등
→ 인수공통감염병 O

3. 브루셀라증 (Brucellosis)
원인: Brucella균
전파경로: 감염된 가축의 분비물, 우유 등
→ 인수공통감염병 O

4.쯔쯔가무시증 (Scrub Typhus)
원인: Orientia tsutsugamushi (리케차류)
전파경로: 털진드기 유충(좀진드기)에 물려 감염
→ 인수공통감염병 X (동물로부터 전염되는 것이 아니라, 진드기 매개 감염)
[해설작성자 : 뜽]

55. 농업인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근골격계질환의 특징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반복작업은 근골격계질환 발병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증상의 정도가 가볍고 주기적인 것부터 심각하고 만성적인 것까지 다양하다.
     3. 하나의 조직뿐만 아니라 다른 주변 조직의 변화를 동시에 가져온다.
     4. 특정된 하나의 신체 부위에 발생할 수 있고 동시에 여러 부위에서 다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56. 농기계 사용 시에 유해요인인 진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트랙터 및 콤바인의 운전자는 전신진동보다 국소진동에 주로 노출된다.
     2. 손에 대한 국소진동은 Raynaud 증후근을 발생시킬 수 있다
     3. 전신진동은 말초혈관의 확장, 혈압 저하를 유발 할 수 있다.
     4. 방진마스크를 통하여 진동에 의한 장해위험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57. 흡입된 항원입자에 대한 인체 면역반응에 의해 야기되며, 18세기 이탈리아의 라마찌니가 곡물 취급 중 발생한 분진에 노출된 근로자에게서 발견하여 최초 보고한 폐질환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천식
     2. 천식양 증후군
     3. 농부만성폐쇄성폐질환
     4. 농부과민성폐렴

     정답 : []
     정답률 : 63%

58. 트랙터 운전 시, 운전자에게 노출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쿠션을 이용해 운전석 진동을 줄여준다.
     2. 방진장갑을 착용하여 운전대 진동을 줄여준다.
     3. 트랙터 운전시간을 길게 하여 신체로 전달되는 진동략을 줄여준다.
     4. 트랙터를 주기적으로 정비하여 트랙터 자체의 진동을 줄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92%

59. 다음 설명에 적합한 근골격계 질환은?(2019년 09월)

    

     1. 요추부 염좌
     2. 요추부 건염
     3.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4. 요추부 근막통 증후군

     정답 : []
     정답률 : 84%

60. 농작업에서 문제되는 분진을 포집하여 측정한 결과값이 다음과 같을 때 분진농도는?(2018년 12월)

    

     1. 7.5mg/m3
     2. 17.5mg/m3
     3. 1.75mg/m3
     4. 0.75mg/m3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먼지농도(ug/m3)=(포집후-포집전/공기총량)*10의 3승
(4.8-4.5/400)*10의 3승=0.75ug/m3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6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전기 기계·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 방지 조치가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外函)이 있는 구조로 할 것
     2. 충전부에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방호망이나 절연덮개를 설치할 것
     3.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주요 작동부분을 제외하고 완전히 덮어 감쌀 것
     4. 전주 위 및 철탑 위 등 격리되어있는 장소로서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접근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할 것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해설작성자 : 회공시]

62. 저체온증의 응급처리 방법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21년 09월)
     1. 의식이 없는 경우 음료를 주지 않는다.
     2. 신속히 병원으로 가거나 119로 신고한다.
     3. 겨드랑이나 배 위에 핫팩이나 더운 물통을 올려놓는다.
     4. 착용중인 옷이 젖었으면 그 위에 담요를 덮어준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젖은 옷을 벗긴다.
[해설작성자 : 회공시]

63. 방독마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일시적 작업 또는 긴급용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2. 산소결핍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서는 사용하면 안 된다.
     3. 방독마스크의 정화통은 유해물질로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4. 방독마스크 필터는 압축된 면, 모, 합성섬유 등의 재질을 사용하고, 여과효율이 우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면, 모, 합성섬유 등 재질 -> 활성탄, 카본 등
[해설작성자 : 회공시]

-활성탄
-실리카겔
-소다라임
-호프카라이트
-큐프라마이트

산업안전기사, 방독마스크 흡수제 종류 5가지
[해설작성자 : 마이클]

64. 투척용 소화기 사용 순서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 → ㉡ → ㉢
     2. ㉡ → ㉠ → ㉢
     3. ㉢ → ㉠ → ㉡
     4. ㉢ → ㉡ → ㉠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① 설치된 곳으로 가서 커버를 벗긴다 → ② 소화기를 꺼낸다    → ③ 불을 향해 소화기를 던진다
투척용 소화기란: 던져서 쉽게 깨질 수 있는 유리제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강화액 소화약제 또는 침윤제가 충전되어 있어 화원에 던져 깨지면 소화약제가 불을 끄는 소화용구이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65. 누전차단기 선정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상일 것
     2. 누전차단기의 동작시간은 0.5초 이하일 것
     3. 누전차단기의 절연저항은 5MΩ 이상일 것
     4. 정격부동작전류가 정격감도전류의 50% 이하인 것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3번으로 정답이 변경되었습니다.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누전차단기 선정 시 주의사항
1.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하일 것
2. 누전차단기의 동작 시간은 0.1초 이하일 것
3. 누전차단기의 절연저항은 5MΩ 이상일 것
4. 정격부동작전류가 정격감도전류의 50% 이상일 것
이므로 ④번에서 ③번으로 정답 변경

66. 고령 농업인에게 최근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뇌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1년 09월)
     1.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2. 치료와 재활에 재정적 부담이 크다.
     3. 비만관리도 중요한 질환 예방 대책이다.
     4. 고혈압, 당뇨병도 뇌심혈관계 질환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67. 저혈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혈액 내 포도당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2. 저혈당은 특히 뇌의 정상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위험하다.
     3.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당분 섭취를 해야 한다.
     4. 환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는 당분을 먹이지 않고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저혈당증은 혈당이 정상인보다 낮은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혈당이 50mg/dl 이하일 때를 말합니다.
저혈당증의 증상에는 기운 없음, 몸의 떨림, 창백, 식은땀, 현기증, 흥분, 불안감, 가슴 두근거림, 공복감, 두통,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저혈당증이 발생하면 빠른 시간 안에 당질을 함유한 음식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혈당 회복을 위해 섭취할 수 있는 음식으로는 주스나 콜라 반 잔, 사탕 3~4개 정도, 설탕 1 큰 술 등이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68. 다음 중 농촌지역에서의 산사태 징후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속을 때
     2. 평상시보다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많이 나올 때
     3. 갑자기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은 때
     4.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때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산사태 징후가 있는 때는-
장마철에는 어느 때 보다도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주변에서 다음과 같은 산사태 발생 징후가 보이면 빨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을 때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출 때
-갑자기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을 때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때, 산울림이나 땅울림이 들릴 때

자연재난 유형 및 단계별 행동요령
[해설작성자 : 마이클]

69. 농약의 혼합 시 착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보호 장갑은?(2018년 12월)
     1. 알루미늄 장갑
     2. 합성폴리아미드 장갑
     3. 면 장갑
     4. 네오프렌 장갑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알루미늄 장갑: 내열용(고온작업용), 화학물질 차단 없음
합성폴리아미드 장갑: 기계적 보호용(절단, 마모 방지), 화학약품에 취약
면 장갑: 일반 작업용, 농약 흡수되어 오히려 위험
네오프렌 장갑: 내화학성 우수, 농약·용제 등에 대한 우수한 차단 효과
[해설작성자 : 뚱]

70. 자외선 과다노출에 의한 인체에 유해한 영향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21년 09월)
     1. 백내장
     2. 구루병
     3. 익상편
     4. 피부 흑색종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구루병 : 칼슘과 인의 대사 장애로 인해 뼈 발육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비타민 D 결핍)
익상편 : 안구 내측 결막에서 각막 쪽으로 섬유 혈관 조직이 증식하여 침범, 진행하는 질환(자외선 등)
[해설작성자 : 회공시]

구루병 : 비타민 D부족(태양광선 활동에 의해서만 비타민 D를 만든다)
[해설작성자 : 전금석]

71. 경련환자의 응급처치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8년 12월)
     1. 환자가 과도한 경련에 의해 저혈당이 우려되므로 먹을 거나 마실 것을 제공한다.
     2. 경련하는 동안 환자의 손상이 우려되므로 움직임을 줄일 수 있도록 힘주어 잡아준다.
     3. 경련에 의해 환자의 치아 손상이 우려되므로 입안에 천이나 부드러운 물건을 넣어준다.
     4. 주변의 물건을 치워 부딪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환자가 과도한 경련에 의해 저혈당이 우려되므로 먹을 거나 마실 것을 제공한다.
 의식이 없을 수 있어 기도 흡인 위험 있음. 절대 먹이지 않음.
- 경련하는 동안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힘주어 잡는다.
 억지로 움직임 막으면 근골격계 손상 유발 가능
- 치아 손상이 우려되므로 입안에 천이나 물건을 넣는다.
 기도폐쇄, 이물질 흡인, 치아파손 위험
[해설작성자 : 뚱]

72. 통전 전류값의 분류 중 ‘불수전류’의 정의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9월)
     1. 어느 정도 고통을 느끼나, 충전부에서의 이탈이 자력으로 가능하다.
     2. 고통을 느끼지 않으면서 짜릿하게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3. 전류의 일부가 심장 부분을 흐르게 되어 심장이 불규칙적인 세동을 일으키며 마비된다.
     4. 신체 일부가 근육 수축현상을 일으키고 신경이 마비되어 생각대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62%

73. 농업인들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 관리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세끼 식사는 규칙적으로 섭취한다.
     2. 포화지방산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3.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즐겁게 섭취한다.
     4. 마가린, 버터, 팜유 등은 섭취를 제한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포화지방산은 탄소 사슬에 이중결합이 없는 지방산으로, 주로 동물성 지방(고기, 버터, 마요네즈)과 일부 식물성 기름(코코넛유, 팜유)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실온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며, 과다 섭취 시 혈중 LDL(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혈관 질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74. 개인보호구 활용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보호구는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할지라도 유해원인을 완전히 방호하지 못한다.
     2. 보호구는 유해위험의 영향이나 재해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근본적 해결책이다.
     3. 위험요인의 노출 수준이 보호구의 성능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활용하지 말아야 한다.
     4. 보호구를 직접 사용하는 사람은 보호구의 성능 및 관리방법 등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75. 농기계 점검·수리 중 발생한 손가락 절단사고의 응급처치사항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절단부위는 차게 하되 얼리지 않는다.
     2. 절단 부위는 소독된 마른 거즈나 깨끗한 천으로 감싼다.
     3. 절단 부위는 거즈 등 청결한 천으로 압박 지혈하고 심장보다 높게 올린다.
     4. 절단된 부위에 묻은 이물질은 흐르는 물에 손으로 살살 문질러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절단된 부위에 묻은 이물질은 제거하고 문지르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전금석]

76. 농업인들이 일반적으로 겪는 스트레스의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9월)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2%

77.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시행하는 가슴압박의 적절한 속도와 깊이는?(2021년 09월)
     1. 분당 60~79회, 약 3cm
     2. 분당 80~99회, 약 4cm
     3. 분당 100~120회, 약 5cm
     4. 분당 140회 이상, 약 6cm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소아의 경우(4~5CM)
1.반응확인 2.119신고 3.가슴압박30회 4.심실제세동기 사용
[해설작성자 : 전금석]

78. 전기기계의 조작 시 안전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인체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상,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을 사용한다.
     2. 전기기계를 조작함에 있어서 감전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전기기계·기구의 조작부분은 150lx 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전기기계의 조작부분에 대하여 점검 또는 보수를 할 때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기기계로부터 폭 70cm 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4. 전기적 불꽃 또는 아크에 의한 화상의 우려가 높은 600V 이상 전압의 충전전로작업에 작업자를 종사시키는 경우에는 방염처리 된 작업복 또는 난연성능을 가진 작업복을 착용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인체의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는 15mA 이하이며, 동작 시간은 0.03초(30msec) 이내입니다.

79. 폭염 발생시 농작업자의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휴게실을 설치하고 적정습도 80%를 유지한다.
     2. 낮 시간은 모자, 그늘 막을 활용한다면 문제없다.
     3. 가장 더운 낮 시간에는 작업을 중단한다.
     4. 작업할 때에는 복사열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물의 천장을 개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80.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작업 시 체온조절중추의 기능장애로 심부 온도를 상승시켜 중추신경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은?(2019년 09월)
     1. 열쇠약증
     2. 열사병
     3. 열허탈증
     4. 열경련

     정답 : []
     정답률 : 85%


정 답 지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49918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농작업과 안전보건교육


1. 다음 중 OJT(On the Job Training)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12월)
     1.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2.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3. 현장작업과 관계없이 계획적으로 훈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4. 작업장 설정에 맞는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현장에 데려다놓고 직접 일하면서 배우게 하는 것.
직무에 종사하면서 지도교육을 받기 때문에 업무수행이 중단되는 일이 없음

(반대말) 오프제이티(Off-JT:off-the-job training) 직무수행을 중단하고, 또는 직장배치 전에 다른 장소에서 실시되는 직장 외 교육훈련
[해설작성자 : 솔솔]

2. 외국의 농작업 안전보건제도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아일랜드는 민간보험회사에서 임의가입형태로 농업인 산업재해보험을 운영하고 있으나 한국과 달리 가입률이 매우 높다.
     2. 오스트리아는 자영농업인을 포함한 모든 농업인을 대상으로 재해보험 가입과 예방활동을 의무화하고 있다.
     3. 독일의 경우 농가 단위로 재해보험 가입이 의무화되어 있으나, 농가 경영주에게 해당 농장의 재해 예방 조치 의무는 없다.
     4. 핀란드는 국립농업안전보건센터가 농업안전보건전문가의 교육과 양성, 지역현장에서의 안전과 보건의 제반 영역을 포함한 농업보건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례법령상 농어업의 작업환경 및 작업특성에 대한 지원 사업이 아닌 것은? (단, 예산의 범위에서 진행하는 지원사업이다.)(2021년 09월)
     1. 농어촌 자연환경 개선을 위한 기술 보급
     2. 농어업 작업 안전보건기술의 개발 및 보급
     3. 농어업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장비의 개발 및 보급
     4. 농어업인에게 주로 발생하는 질환 및 재해예방교육의 실시

     정답 : []
     정답률 : 76%

4. 농업인 업무상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비가역적인 인적,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특성을 고려할 때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는?(2021년 09월)
     1. 감시
     2. 예방
     3. 보상
     4. 재활

     정답 : []
     정답률 : 87%

5. 농약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농약 등의 안전 사용기준'이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적용대상 농작물과 병해충별로 정해진 사용방법·사용량을 초과하여 사용할 것
     2. 사용대상자가 정해진 농약 등은 사용대상자 외의 사람이 사용하지 말 것
     3. 사용지역이 제한되는 농약 등은 사용제한지역에서 사용하지 말 것
     4. 적용대상 농작물에 대하여 사용시기 및 사용가능횟수가 정해진 농약 등은 그 사용시기 및 사용가능횟수를 지켜 사용할 것

     정답 : []
     정답률 : 91%

6. 안전보건 교육 평가 설계모형 중 ADDIE 모형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9년 09월)
     1. Analysis
     2. Design
     3. Describe
     4. Evaluation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ADDIE 모형 : 다양한 교수체제 설계 모형의 기초이며 가장 널리 활용된다

5가지 : 분석( Anaiysis ), 설계( Design ),개발( Develoment ), 실행( Implementation) 평가 ( Evaluation )
[해설작성자 : 생명창고]

7. 농업기계화 촉진법 시행규칙상 검정대상 농업기계 중 안전점검 대상에 해당되는 것은?(2020년 09월)
     1. 곡물건조기
     2. 농업용 트랙터 보호구조물(ROPS)
     3. 비료살포기(승용자주형)
     4. 농업용 베일러(승용자주형)

     정답 : []
     정답률 : 74%

8.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상 농작업자 건강위해 요소의 측정 대상을 모두 나열한 것은?(2018년 12월)

   

     1.
     2. ㄷ, ㄹ
     3. ㄱ, ㄴ,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9조의2(농어업 작업자 건강위해 요소의 측정 등)
① 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농어업 작업자 건강위해 요소의 측정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대상으로 한다.
1. 소음, 진동, 온열 환경 등 물리적 요인
2. 농약, 독성가스 등 화학적 요인
3. 유해미생물과 그 생성물질 등 생물적 요인
4. 단순반복작업 또는 인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작업특성
5. 그 밖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또는 해양수산부장관이 정하는 사항
[해설작성자 : 솔솔]

9. 신규농업인에게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사실적, 기본적 정보 개념을 전달할 때 사용되는 안전교육 기법은?(2021년 09월)
     1. 시범
     2. 토의법
     3. 강의법
     4. 사례연구

     정답 : []
     정답률 : 73%

10. 농작업으로 인한 유해요인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양계작업 - 이산화탄소
     2. 시설하우스 작업 - 더위
     3. 노지고추 방제작업 - 농약
     4. 콤바인 벼 수확작업 – 곡물분진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양계장에서 발견되고 있는 유해요인

가. 입자상 물질
엔도톡신, 미코톡신, 곰팡이, 그람음성세균, 일반 분진 등

나. 가스상 물질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탄올, 아세트알데하이드, 포름알데히드, 메틸아민, 일산화탄소 등
[해설작성자 : 회공시]

11. 다음 중 인간행동의 변화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가장 어려운 변화는?(2018년 12월)
     1. 개인행동의 변화
     2. 태도의 변화
     3. 지식의 변화
     4. 조직문화의 변화

     정답 : []
     정답률 : 81%

12. 다음 설명의 괄호 안에 알맞은 수치는? (단,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2020년 09월)

    

     1. 1
     2. 2
     3. 3
     4. 4

     정답 : []
     정답률 : 70%

13.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에서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위원회’를 어느 소속으로 두도록 되어 있는가?(2018년 12월)
     1. 국무총리
     2. 해양수산부
     3. 농림축산식품부
     4. 지방자치단체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 약칭: 농어업인삶의질법 )
제10조(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위원회) ① 농어업인등의 복지증진, 농어촌의 교육여건 개선 및 지역개발에 관한 정책을 총괄ㆍ조정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위원회를 둔다.
[해설작성자 : 솔솔]

14. 농업기계 안전기준에 따라 가동부의 방호장치로부터 측방 안전거리가 그림과 같을 때 방호장치의 높이는 몇 mm 이상이어야 하는가?(2020년 09월)

    

     1. 500mm
     2. 800mm
     3. 1,000mm
     4. 1,200mm

     정답 : []
     정답률 : 70%

15. 농어업 작업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을 적용한다.)(2020년 09월)
     1. 농어업인안전보험이란 농어업인에게 발생한 농어업작업안전재해를 보상하기 위한 보험이다.
     2. 농업인과 가족구성원이 농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 예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업인은 자신과 그의 가족구성원을 위하여 동법상의 안전재해에 대한 예방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3.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해양수산부장관은 농어업작업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농어업작업 안전재해 예방 기본계획을 5년마다 각각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4. 농어업작업안전재해는 농어업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한 농어업인 및 농어업근로자의 부상·질병·장해 또는 사망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제16조에 따르면, 기본계획 수립 주기는 “3년마다”입니다. 즉, 5년마다가 아니라 3년마다 수립·시행해야 하므로 이 문장은 틀렸습니다
[해설작성자 : 장순한]

[오류신고 반론]
농어업인의 안전보험 및 안전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 약칭: 농어업인안전보험법 )
[시행 2024. 5. 1.] [법률 제19807호, 2023. 10. 31., 타법개정]
제16조(농어업작업안전재해의 예방을 위한 기본계획의 수립 등)
① 농림축산식품부장관과 해양수산부장관은 농어업작업안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농어업작업안전재해 예방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5년마다 각각 수립ㆍ시행하여야 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관리자]

16. 일반적으로 농작업과 농업인들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농작업의 비표준화
     2. 노동 집약적인 작업 특성
     3. 농업 인구의 저연령화
     4. 특정 기간에 집중되는 작업

     정답 : []
     정답률 : 93%

17. 농작업 안전보건 집단교육 시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평가에 교수자 뿐 아니라 학습자도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교육 대상자 수는 15명~20명 정도가 효과적이며 대상자가 많을 경우 50명 내외로 한다.
     3. 교육 대상자들이 서로 다른 성격과 문제를 가지는 집단으로 구성되어야 교육의 효과가 높다.
     4. 교육방법은 교수자와 교육 대상자가 함께 학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운영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9%

18. 농작업 안전보건 관리를 위하여 다음의 농업인 안전감독관(TAD)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는?(2018년 12월)

    

     1. 영국
     2. 독일
     3. 미국
     4. 핀란드

     정답 : []
     정답률 : 80%

19. 농업인의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곡물 분진,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등 위험인자들이 다양하다.
     2. 농약중독이나 사고로 인한 손상이나 사망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 각종 농기계의 사용에 따른 소음, 진동 등과 같은 위험요인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4. 농작업 중 노출되는 위험요인과 실제 질병을 일으키는 인자들은 단순하고 간단하다.

     정답 : []
     정답률 : 85%

20. 다음 중 농작업 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할 때 가정 먼저 해야 할 일은?(2020년 09월)
     1. 교육요구 분석
     2. 학습자 분석
     3. 교육장소 선정
     4. 교육내용 구성

     정답 : []
     정답률 : 81%

2과목 : 농작업 안전관리


21. 이앙기의 안전사용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승용 이앙기를 타거나 내릴 때 이앙기를 등지지 않는다.
     2. 트럭 등에 적재 시 사다리의 길이는 차량 적재함 높이의 4배 이상이 되도록 한다.
     3. 트럭 등에 적재 시 전진으로 올라가고 후진으로 내려온다.
     4. 이앙기에 모 매트를 보급할 때는 반드시 정지한 후 보충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승용이앙기의 경우 트레일러나 차량에 실어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사다리 길이는 해당 차량적재함 높이의 4배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경사가 없는 평탄한 장소에서 2인 1조로 전후방을 주시하고
상차 시에는 후진, 하차 시에는 전진으로 천천히 상하차를 실시해야 한다.

상차는 후진, 하차는 전진
[해설작성자 : 마이클]

22. 다음에서 설명하는 안전보건표지는?(2021년 09월)

    

     1. 금지표지
     2. 경고표지
     3. 지시표지
     4. 안내표지

     정답 : []
     정답률 : 79%

23. 인간의 안전심리 5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2월)
     1. 지능(Intelligence)
     2. 감정(Emotion)
     3. 습관(Custom)
     4. 동기(Motive)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인간의 안전심리의 5대 요소 : 습성, 동기, 기질, 감정, 습관
[해설작성자 : 생명창고]

감정(Emotion) - 불안, 분노, 스트레스 등은 안전 사고의 중요한 유발 요인
습관(Custom) - 잘못된 작업 습관은 반복적으로 사고를 유발함
동기(Motive) - 작업 속도, 성과 중심 사고가 안전을 무시하게 만듦
주의(Attention) - 순간적인 집중력 저하가 사고로 이어짐
의지(Will) - 안전수칙을 지키려는 태도와 실천력
[해설작성자 : 쑹]

24. 동일 분자 내에 물에 친수기와 소수기를 갖는 화합물로 제재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좌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2020년 09월)
     1. 계면활성제
     2. 용 제
     3. 고체희석제
     4. 고착제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계면활성제는 물과 기름처럼 섞이지 않는 두 물질을 혼합하거나 경계면을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비누, 세제,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분자 구조상 친수성(물 친화)과 소수성(기름 친화) 부분을 동시에 가지며, 미셀(micelle)을 형성해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유화 작용을 합니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25. 하인리히가 정의한 재해 구성 비율에 대한 이론으로, 중상·사망, 경상 그리고 무상해 사고의 비율은 무엇인가?(2020년 09월)
     1. 1:10:30
     2. 1:10:600
     3. 1:29:300
     4. 1:30:600

     정답 : []
     정답률 : 91%

26. 다음 설명에 적합한 농약의 분류 명칭은?(2020년 09월)

    

     1. 화학명
     2. 일반명
     3. 품목명
     4. 상품명

     정답 : []
     정답률 : 66%

27. 농기계 및 농작업의 안전점검을 위한 점검표(체크리스트) 작성 시 유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2020년 09월)
     1. 위험도가 낮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작성할 것
     2. 내용은 구체적이고 재해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
     3. 사업장에 적합하고 쉽게 이해되도록 독자적인 내용으로 작성할 것
     4. 정기적으로 검토하여 계속 보완하면서 활용할 것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1. 위험도가 높은것부터 낮은것으로 순차적 작성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농작업 환경에서의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공기농도와 유해가스 노출기준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산소 : 18.5 ~ 23%
     2. 이산화탄소 : 3% 미만
     3. 황화수소 : 10ppm 미만
     4. 일산화탄소 : 30ppm 미만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2. 이산화탄소 1.5%미만
     일산화탄소 30 ppm 미만유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9. 농작업 중 다른 작업자가 감전되었을 경우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할 사항은?(2018년 12월)
     1. 물을 붓는다.
     2. 전원을 차단한다.
     3. 소화기를 살포한다.
     4. 신속히 사고자를 잡아당긴다.

     정답 : []
     정답률 : 93%

30. 농업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일반적 안전 수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기후조건을 고려하여 작업 계획을 수립한다.
     2. 땀을 닦기 위해 목에 두른 수건의 끝은 작업 중 불편하지 않게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한다.
     3. 작업장 주변에 일하는 사람이 있는지 미리 확인한다.
     4. 비산물이 발생하는 작업의 경우에는 보안경, 마스크 등의 보호구를 착용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7%

31. 다음 중 농기계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연료의 안전사용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0년 09월)
     1. 용기는 적절한 것을 사용하고 전용장소에 보관한다.
     2. 보관 장소에는 소화기를 준비하고 화기를 엄금한다.
     3. 장기간 보관한 연료를 농업기계에 먼저 보급하여 사용한다.
     4. 급유를 할 때에는 반드시 농업기계의 엔진을 정지시켜 식힌 상태에서 한다.

     정답 : []
     정답률 : 90%

32. 일반적인 동력예취기 사용에 관한 안전지침으로 틀린 것은?(2018년 12월)
     1. 작업 중에는 작업작 간에 5m 거리를 유지한다.
     2. 예취기 주유 시에는 엔진 시동을 정지 후 급유한다.
     3. 엔진 시동은 지면에서 에취기 날을 띄운 상태로 시동한다.
     4. 온도가 낮은 아침의 경우 손을 충분히 따뜻하게 한 후 작업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운전 중 항상 기계의 작업범위 15m 이내 접근 금지
[해설작성자 : 생명창고]

33. 재해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다음 그림과 같이 재해원인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2020년 09월)

    

     1. 파레토 분석
     2. 특성요인 분석
     3. 클로즈 분석
     4. 관리도 분석

     정답 : []
     정답률 : 80%

34. 동력 경운기 및 관리기 등을 보관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경사진 곳에 보관한다.
     2. 작업기는 내려놓은 상태로 보관한다.
     3. 열쇠를 잃어버릴 우려가 있으므로 열쇠를 꽂아놓는다.
     4. 트레일러 보관 시 기체를 안정시키기 위한 스탠드가 있는 경우라도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1. 평지에 보관
3. 열쇠는 별도로 분리보관
4. 스탠드가 있는 경우 반드시 스탠드를 사용하여 지지
[해설작성자 : 회공시]

35. 경사지에서 농업기계 작업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주행할 경우엔느 분담하중이 큰 쪽을 가능한 한 낮은 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2. 경사지에서 이동 시 작업기를 내려 무게중심을 낮추어 준다.
     3. 내리막길 주행 중 변속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한다.
     4. 오르막 방향으로 주행할 때에는 앞바퀴가 들리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정답 : []
     정답률 : 83%

36. 농기계 추락전도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농로 운행 및 작업 수행 시 회행 장소를 미리 염두에 두고 작업하도록 한다.
     2. 노면의 깊은 바퀴자국, 물웅덩이 등은 미리 평평하게 해두도록 한다.
     3. 논둑을 넘을 때는 차체가 논둑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한다.
     4. 경사지에서 등고선 방향으로 주행할 때는 분담하중이 적은 쪽을 경사지의 높은 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37. 기계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안전장치 중 성격이 다른 것은?(2020년 09월)
     1. 회전부 덮개가 열리면 작동이 멈추는 장치
     2. 플러그 모양이 일반 제품과 다른 고전압용 기계 설비
     3. 작동이 중지되어도 일정 시간 동안 고열부 차단 덮개가 열리지 않는 기계
     4. 정전이 되어도 일정시간 긴급발진을 해서 제어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장치

     정답 : []
     정답률 : 79%

38. 농업기계 사고의 빈도를 줄이기 위한 농기계 등화장치 안전기준 중 승용자주형 농업기계(농업용 동력운반차, 퇴비살포기 등)로 최고주행속도가 얼마 이상인 기계는 전조등, 후미등, 방향지시등을 부착하여야 하는가?(2020년 09월)
     1. 10km/h
     2. 15km/h
     3. 20km/h
     4. 25km/h

     정답 : []
     정답률 : 73%

39. 돼지의 이동 및 출하작업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돼지의 이동통로에는 발조심 등의 경고표시를 한다.
     2. 급하게 돼지를 몰지 않도록 작업자에게 충분한 시간을 준다.
     3. 돼지에게 밟히면 위험하므로 고무장화를 신어야 한다.
     4. 돼지를 이동시키는 몰이판은 작업자 허리 높이 이상 올라가는 것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돼지 이동 작업시에는 급하게 돼지를 몰지 않도록 작업자에게 충분한 시간적인 여유를 주어야 하며, 고무장화 등의 신발보다 신발 끝에 보호캡이 들어간 안전화를 착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농촌진흥청 발간 양돈 농업인의 안전보건관리]
[해설작성자 : 회공시]

40. 질식사고 예방을 위한 환기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밀폐 공간 작업을 시작하기 전과 작업 중에도 계속 환기한다.
     2. 적절한 환기를 위해 급기부와 배기부를 인접하여 설치한다.
     3. 급기 시 토출구를 작업자 머리 위에 설치한다.
     4. 배기 시 유입구를 작업공간 깊숙이 위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3과목 : 농작업 보건관리


41. 농업인의 호흡기 질환과 관계가 없는 유해인자는?(2019년 09월)
     1. 무기분진
     2. 바이오에어로졸
     3. 석면
     4. 적외선

     정답 : []
     정답률 : 84%

42. 농약 노출의 특성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농작업 시 농약 노출은 노출 형태가 다양하다.
     2. 농업인 간 같은 작목을 재배 시 농약 노출 시간은 동일하다.
     3. 농약 노출 작업은 연간 일정하게 계속되는 것이 아니라 며칠 또는 몇 달에 걸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
     4. 농업인과 그 가족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직업적 노출 외에도 환경적 노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같은 작목이라도 지역/농가별로 다양한 농작업방식이 존재
[해설작성자 : 회공시]

농약노출은 살포기기, 작업장의 밀폐여부 바람 방향 등 환경조건과 같은 농약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따라서 노출경로와 노동가 달라질수 있다
[해설작성자 : 전금석]

43. 다음에서 설명하는 질환은?(2021년 09월)

    

     1. 신종 독감
     2. 브루셀라증
     3. 쯔쯔가무시증
     4. 렙토스피라증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쯔쯔가무시증 - 쥐를 매개체로 하는 진드기
렙토스피라증 - 설치류(쥐)
[해설작성자 : 회공시]

도축종사자 수의사 축산농업인 등 감염된 동물과 이들의 조직을취급하는 특정 직업인 주로 감염된 가축의 분비물 등과 접촉    및 흡입시 인수공통감염
[해설작성자 : 전금석]

44. 농약의 피부노출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중 비용이 저렴하고 작업자의 업무가 방해되지 않는다는 장점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2018년 12월)
     1. 패치법
     2. 형광물질조사법
     3. 전신노출조사법
     4. 와쉬(Wash)법

     정답 : []
     정답률 : 79%

45. 하우스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동력기기를 사용하는 작업, 로터리 작업, 농약 방제작업, 각종 트랙터 작업 등 농업용 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노출될 수 있는 물질은?(2021년 09월)
     1. 석면
     2. 유리규산
     3. 석영분진
     4. 디젤 연소물질

     정답 : []
     정답률 : 76%

46.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매개 감염병의 예방대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
     2. 우유와 유제품을 살균하여 섭취
     3. 적합한 작업 복장으로 피부노출 최소화
     4. 작업 중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말 것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2. 유제품의 살균은 살로넬라균 처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7. 농업인의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기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령상의 허용기준을 준용한 경우, 95dB의 소음이 발생하는 사업장에서 1일 기준 몇 시간까지 근무가 가능한가? (단, 충격 소음은 제외한다.)(2019년 09월)
     1. 1 시간
     2. 2 시간
     3. 4 시간
     4. 8 시간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90dB - 8시간
95dB - 4시간
100dB - 2시간
105dB - 1시간
110dB -    30분
115dB -    15분
[해설작성자 : 마이클]

48. 농약의 안전 사용 기준의 세부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농약 등의 안전사용기준을 적용한다.)(2020년 09월)
     1. 적용대상 농작물에만 사용할 것
     2. 적용대상 농작물과 병해충별로 정해진 사용방법, 사용량을 지켜 사용할 것
     3. 농약 별로 정해진 농약활용기자재를 통해서만 사용할 것
     4. 사용지역이 제한되는 농약은 사용제한지역에서 사용하지 말 것

     정답 : []
     정답률 : 78%

49.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09월)

    

     1. 잠복기
     2. 생존기
     3. 유사기
     4. 침체기

     정답 : []
     정답률 : 93%

5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온열질환은?(2021년 09월)

    

     1. 열사병(Heat stroke)
     2. 열탈진(Heat exhaustion)
     3. 열경련(Heat cramps)
     4. 열실신(Heat syncope)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열탈진(일사병)
- 땀을 많이 흘려 수분과 염분이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

열경련
- 땀을 많이 흘리고 근육경련이 발생하는 질환

열실신
- 체온이 높아지면 열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해 체표면의 혈액량은 늘어나고 심부의 혈액량은 감소함. 뇌로 가는 혈액약이 부족하여 일시적으로 의식 잃음.
[해설작성자 : 회공시]

51. 선별 포장 작업, 과일 봉지 씌우기 등과 같이 손가락 및 손목 등을 사용하는 작업에 가장 적합한 인간공학적 평가 도구는?(2020년 09월)
     1. JSI
     2. NLE
     3. RULA
     4. OWAS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근골격계 평가 방법 RULA 에서의 평가부위별
1. RULA: 손목. 팔. 목. 어깨 허리 등 상지 중심/ 허리. 어깨. 팔. 손목 등의 부적절한 자세와 반복적인
중량물 작업 등이 복합적으로 문제되는 작업.
2. REBA: 손. 아래 팔. 목. 어깨. 허리. 다리부위 등 전신/허리. 어깨.팔. 다리. 손목 등의부적절한 자세의 반복성
중량물 작업 등이 복합적으로 문제되는 작업.
3. AWBA: 팔. 어깨. 허리. 다리 부위 등 전신/바닥 또는 의자에 앉거나 무릎 꿇는 작업    
4. OWAS: 허리. 어깨 다리 부위/쪼그리거나 허리를 많이 숙이거나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작업
5. JSI: 손목. 손가락부위/ 수확물 선별포장. 반복적인 전지가위 사용 등 손목. 손가락 등을
반복적 사용으로 힘을 필요로 하는 작업.
6. NLE: 허리 부위/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드는 작업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52. 농약 살포 시 작업자가 준수하여야 할 노출 관리방안으로 부적합한 것은?(2018년 12월)
     1. 농약을 살포할 때는 보안경을 착용하여 눈을 보호하여야 한다.
     2. 농약은 아침, 저녁과 같이 비교적 서늘한 시간에 살포하도록 한다.
     3. 농약 살포 시 땀을 닦는 수건은 별도의 비닐주머니에 보관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4. 살포 농약이 호흡기를 통하여 가장 많이 체내로 흡수되기 때문에 호흡용 보호구 착용을 철저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피부를 통하여
[해설작성자 : 농부]

53. 안전한 중량물 들어올리기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12월)
     1. 들어 올려야 할 중량물의 수직과 수평거리를 최소화해야 한다.
     2. 가능한 한 들어 올리는 속도를 느리게 해야 한다.
     3. 중량물을 들어 올릴 때 허리 비틀림에 유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4. 다리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면이 어깨 넓이 보다 좁은 상태에서 들어 올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1%

54. 가축과의 접촉에 의해 생길수 있는 인수공통 감염병이 아닌 것은?(2018년 12월)
     1. 탄저병
     2. 조류독감
     3. 브루셀라증
     4. 쯔쯔가무시증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1. 탄저병 (Anthrax)
원인: Bacillus anthracis (탄저균)
전파경로: 감염된 가축과의 직접 접촉, 오염된 고기·피부 등
→ 인수공통감염병 O

2.조류독감 (Avian Influenza)
원인: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전파경로: 감염된 조류와의 접촉, 분변 등
→ 인수공통감염병 O

3. 브루셀라증 (Brucellosis)
원인: Brucella균
전파경로: 감염된 가축의 분비물, 우유 등
→ 인수공통감염병 O

4.쯔쯔가무시증 (Scrub Typhus)
원인: Orientia tsutsugamushi (리케차류)
전파경로: 털진드기 유충(좀진드기)에 물려 감염
→ 인수공통감염병 X (동물로부터 전염되는 것이 아니라, 진드기 매개 감염)
[해설작성자 : 뜽]

55. 농업인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근골격계질환의 특징이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반복작업은 근골격계질환 발병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증상의 정도가 가볍고 주기적인 것부터 심각하고 만성적인 것까지 다양하다.
     3. 하나의 조직뿐만 아니라 다른 주변 조직의 변화를 동시에 가져온다.
     4. 특정된 하나의 신체 부위에 발생할 수 있고 동시에 여러 부위에서 다발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80%

56. 농기계 사용 시에 유해요인인 진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트랙터 및 콤바인의 운전자는 전신진동보다 국소진동에 주로 노출된다.
     2. 손에 대한 국소진동은 Raynaud 증후근을 발생시킬 수 있다
     3. 전신진동은 말초혈관의 확장, 혈압 저하를 유발 할 수 있다.
     4. 방진마스크를 통하여 진동에 의한 장해위험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9%

57. 흡입된 항원입자에 대한 인체 면역반응에 의해 야기되며, 18세기 이탈리아의 라마찌니가 곡물 취급 중 발생한 분진에 노출된 근로자에게서 발견하여 최초 보고한 폐질환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2019년 09월)
     1. 천식
     2. 천식양 증후군
     3. 농부만성폐쇄성폐질환
     4. 농부과민성폐렴

     정답 : []
     정답률 : 63%

58. 트랙터 운전 시, 운전자에게 노출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쿠션을 이용해 운전석 진동을 줄여준다.
     2. 방진장갑을 착용하여 운전대 진동을 줄여준다.
     3. 트랙터 운전시간을 길게 하여 신체로 전달되는 진동략을 줄여준다.
     4. 트랙터를 주기적으로 정비하여 트랙터 자체의 진동을 줄여준다.

     정답 : []
     정답률 : 92%

59. 다음 설명에 적합한 근골격계 질환은?(2019년 09월)

    

     1. 요추부 염좌
     2. 요추부 건염
     3. 요추부 추간판 탈출증
     4. 요추부 근막통 증후군

     정답 : []
     정답률 : 84%

60. 농작업에서 문제되는 분진을 포집하여 측정한 결과값이 다음과 같을 때 분진농도는?(2018년 12월)

    

     1. 7.5mg/m3
     2. 17.5mg/m3
     3. 1.75mg/m3
     4. 0.75mg/m3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먼지농도(ug/m3)=(포집후-포집전/공기총량)*10의 3승
(4.8-4.5/400)*10의 3승=0.75ug/m3
[해설작성자 : 열공줌마]

61.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전기 기계·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 방지 조치가 아닌 것은?(2021년 09월)
     1.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형 외함(外函)이 있는 구조로 할 것
     2. 충전부에 충분한 절연효과가 있는 방호망이나 절연덮개를 설치할 것
     3.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주요 작동부분을 제외하고 완전히 덮어 감쌀 것
     4. 전주 위 및 철탑 위 등 격리되어있는 장소로서 관계자가 아닌 사람이 접근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 충전부를 설치할 것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충전부는 내구성이 있는 절연물로 완전히 덮어 감쌀 것
[해설작성자 : 회공시]

62. 저체온증의 응급처리 방법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21년 09월)
     1. 의식이 없는 경우 음료를 주지 않는다.
     2. 신속히 병원으로 가거나 119로 신고한다.
     3. 겨드랑이나 배 위에 핫팩이나 더운 물통을 올려놓는다.
     4. 착용중인 옷이 젖었으면 그 위에 담요를 덮어준다.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젖은 옷을 벗긴다.
[해설작성자 : 회공시]

63. 방독마스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9년 09월)
     1. 일시적 작업 또는 긴급용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2. 산소결핍 우려가 있는 작업장에서는 사용하면 안 된다.
     3. 방독마스크의 정화통은 유해물질로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4. 방독마스크 필터는 압축된 면, 모, 합성섬유 등의 재질을 사용하고, 여과효율이 우수하여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면, 모, 합성섬유 등 재질 -> 활성탄, 카본 등
[해설작성자 : 회공시]

-활성탄
-실리카겔
-소다라임
-호프카라이트
-큐프라마이트

산업안전기사, 방독마스크 흡수제 종류 5가지
[해설작성자 : 마이클]

64. 투척용 소화기 사용 순서로 옳은 것은?(2020년 09월)

    

     1. ㉠ → ㉡ → ㉢
     2. ㉡ → ㉠ → ㉢
     3. ㉢ → ㉠ → ㉡
     4. ㉢ → ㉡ → ㉠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① 설치된 곳으로 가서 커버를 벗긴다 → ② 소화기를 꺼낸다    → ③ 불을 향해 소화기를 던진다
투척용 소화기란: 던져서 쉽게 깨질 수 있는 유리제 또는 합성수지 용기에 강화액 소화약제 또는 침윤제가 충전되어 있어 화원에 던져 깨지면 소화약제가 불을 끄는 소화용구이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65. 누전차단기 선정 시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상일 것
     2. 누전차단기의 동작시간은 0.5초 이하일 것
     3. 누전차단기의 절연저항은 5MΩ 이상일 것
     4. 정격부동작전류가 정격감도전류의 50% 이하인 것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가답안 발표시 4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3번으로 정답이 변경되었습니다.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누전차단기 선정 시 주의사항
1.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하일 것
2. 누전차단기의 동작 시간은 0.1초 이하일 것
3. 누전차단기의 절연저항은 5MΩ 이상일 것
4. 정격부동작전류가 정격감도전류의 50% 이상일 것
이므로 ④번에서 ③번으로 정답 변경

66. 고령 농업인에게 최근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뇌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으나 확정답안 발표시 1, 4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21년 09월)
     1.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2. 치료와 재활에 재정적 부담이 크다.
     3. 비만관리도 중요한 질환 예방 대책이다.
     4. 고혈압, 당뇨병도 뇌심혈관계 질환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67. 저혈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혈액 내 포도당의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2. 저혈당은 특히 뇌의 정상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위험하다.
     3. 저혈당 증상이 나타나면 빠른 당분 섭취를 해야 한다.
     4. 환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는 당분을 먹이지 않고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저혈당증은 혈당이 정상인보다 낮은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혈당이 50mg/dl 이하일 때를 말합니다.
저혈당증의 증상에는 기운 없음, 몸의 떨림, 창백, 식은땀, 현기증, 흥분, 불안감, 가슴 두근거림, 공복감, 두통,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저혈당증이 발생하면 빠른 시간 안에 당질을 함유한 음식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혈당 회복을 위해 섭취할 수 있는 음식으로는 주스나 콜라 반 잔, 사탕 3~4개 정도, 설탕 1 큰 술 등이 좋습니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68. 다음 중 농촌지역에서의 산사태 징후가 아닌 것은?(2020년 09월)
     1.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속을 때
     2. 평상시보다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많이 나올 때
     3. 갑자기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은 때
     4.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때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산사태 징후가 있는 때는-
장마철에는 어느 때 보다도 산사태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주변에서 다음과 같은 산사태 발생 징후가 보이면 빨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샘솟을 때
-평소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갑자기 멈출 때
-갑자기 산허리의 일부가 금이 가거나 내려앉을 때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거나 넘어지는 때, 산울림이나 땅울림이 들릴 때

자연재난 유형 및 단계별 행동요령
[해설작성자 : 마이클]

69. 농약의 혼합 시 착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보호 장갑은?(2018년 12월)
     1. 알루미늄 장갑
     2. 합성폴리아미드 장갑
     3. 면 장갑
     4. 네오프렌 장갑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알루미늄 장갑: 내열용(고온작업용), 화학물질 차단 없음
합성폴리아미드 장갑: 기계적 보호용(절단, 마모 방지), 화학약품에 취약
면 장갑: 일반 작업용, 농약 흡수되어 오히려 위험
네오프렌 장갑: 내화학성 우수, 농약·용제 등에 대한 우수한 차단 효과
[해설작성자 : 뚱]

70. 자외선 과다노출에 의한 인체에 유해한 영향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21년 09월)
     1. 백내장
     2. 구루병
     3. 익상편
     4. 피부 흑색종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구루병 : 칼슘과 인의 대사 장애로 인해 뼈 발육에 장애가 발생하는 질환(비타민 D 결핍)
익상편 : 안구 내측 결막에서 각막 쪽으로 섬유 혈관 조직이 증식하여 침범, 진행하는 질환(자외선 등)
[해설작성자 : 회공시]

구루병 : 비타민 D부족(태양광선 활동에 의해서만 비타민 D를 만든다)
[해설작성자 : 전금석]

71. 경련환자의 응급처치 방법으로 옳은 것은?(2018년 12월)
     1. 환자가 과도한 경련에 의해 저혈당이 우려되므로 먹을 거나 마실 것을 제공한다.
     2. 경련하는 동안 환자의 손상이 우려되므로 움직임을 줄일 수 있도록 힘주어 잡아준다.
     3. 경련에 의해 환자의 치아 손상이 우려되므로 입안에 천이나 부드러운 물건을 넣어준다.
     4. 주변의 물건을 치워 부딪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 환자가 과도한 경련에 의해 저혈당이 우려되므로 먹을 거나 마실 것을 제공한다.
 의식이 없을 수 있어 기도 흡인 위험 있음. 절대 먹이지 않음.
- 경련하는 동안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힘주어 잡는다.
 억지로 움직임 막으면 근골격계 손상 유발 가능
- 치아 손상이 우려되므로 입안에 천이나 물건을 넣는다.
 기도폐쇄, 이물질 흡인, 치아파손 위험
[해설작성자 : 뚱]

72. 통전 전류값의 분류 중 ‘불수전류’의 정의에 해당하는 것은?(2019년 09월)
     1. 어느 정도 고통을 느끼나, 충전부에서의 이탈이 자력으로 가능하다.
     2. 고통을 느끼지 않으면서 짜릿하게 전기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3. 전류의 일부가 심장 부분을 흐르게 되어 심장이 불규칙적인 세동을 일으키며 마비된다.
     4. 신체 일부가 근육 수축현상을 일으키고 신경이 마비되어 생각대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62%

73. 농업인들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 관리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세끼 식사는 규칙적으로 섭취한다.
     2. 포화지방산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3. 다양한 음식을 골고루 즐겁게 섭취한다.
     4. 마가린, 버터, 팜유 등은 섭취를 제한한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포화지방산은 탄소 사슬에 이중결합이 없는 지방산으로, 주로 동물성 지방(고기, 버터, 마요네즈)과 일부 식물성 기름(코코넛유, 팜유)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실온에서 고체 상태를 유지하며, 과다 섭취 시 혈중 LDL(나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혈관 질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마이클]

74. 개인보호구 활용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20년 09월)
     1. 보호구는 아무리 좋은 것이라 할지라도 유해원인을 완전히 방호하지 못한다.
     2. 보호구는 유해위험의 영향이나 재해의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근본적 해결책이다.
     3. 위험요인의 노출 수준이 보호구의 성능범위를 넘는 경우에는 활용하지 말아야 한다.
     4. 보호구를 직접 사용하는 사람은 보호구의 성능 및 관리방법 등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6%

75. 농기계 점검·수리 중 발생한 손가락 절단사고의 응급처치사항으로 틀린 것은?(2021년 09월)
     1. 절단부위는 차게 하되 얼리지 않는다.
     2. 절단 부위는 소독된 마른 거즈나 깨끗한 천으로 감싼다.
     3. 절단 부위는 거즈 등 청결한 천으로 압박 지혈하고 심장보다 높게 올린다.
     4. 절단된 부위에 묻은 이물질은 흐르는 물에 손으로 살살 문질러 제거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절단된 부위에 묻은 이물질은 제거하고 문지르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전금석]

76. 농업인들이 일반적으로 겪는 스트레스의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09월)

    

     1. ㄱ, ㄴ, ㄷ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2%

77.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시행하는 가슴압박의 적절한 속도와 깊이는?(2021년 09월)
     1. 분당 60~79회, 약 3cm
     2. 분당 80~99회, 약 4cm
     3. 분당 100~120회, 약 5cm
     4. 분당 140회 이상, 약 6cm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소아의 경우(4~5CM)
1.반응확인 2.119신고 3.가슴압박30회 4.심실제세동기 사용
[해설작성자 : 전금석]

78. 전기기계의 조작 시 안전조치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09월)
     1. 인체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가 30mA 이상,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 동작형을 사용한다.
     2. 전기기계를 조작함에 있어서 감전 또는 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전기기계·기구의 조작부분은 150lx 이상의 조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전기기계의 조작부분에 대하여 점검 또는 보수를 할 때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전기기계로부터 폭 70cm 이상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4. 전기적 불꽃 또는 아크에 의한 화상의 우려가 높은 600V 이상 전압의 충전전로작업에 작업자를 종사시키는 경우에는 방염처리 된 작업복 또는 난연성능을 가진 작업복을 착용시켜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인체의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는 15mA 이하이며, 동작 시간은 0.03초(30msec) 이내입니다.

79. 폭염 발생시 농작업자의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2021년 09월)
     1. 휴게실을 설치하고 적정습도 80%를 유지한다.
     2. 낮 시간은 모자, 그늘 막을 활용한다면 문제없다.
     3. 가장 더운 낮 시간에는 작업을 중단한다.
     4. 작업할 때에는 복사열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물의 천장을 개방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80.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작업 시 체온조절중추의 기능장애로 심부 온도를 상승시켜 중추신경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은?(2019년 09월)
     1. 열쇠약증
     2. 열사병
     3. 열허탈증
     4. 열경련

     정답 : []
     정답률 : 85%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499188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04 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703 계리직공무원 우편 및 금융상식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702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10월0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01 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0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700 9급 지방직 공무원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274047)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699 전기공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6
» 농작업안전보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4991882)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69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안전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696 금속재료시험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2170471)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695 일반기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9월1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694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69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92 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6월07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69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통신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2
5690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689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28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5688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3월04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68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0일)(9131314) 좋은아빠되기 2025.11.20 3
5686 소방공무원(공개) 수학(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03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1
5685 청소년상담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좋은아빠되기 2025.11.20 4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294 Next
/ 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