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공가구에 업무용 비품이었던 책상을 ₩100,000에 매각하고 대금은 1주일 후에 받기로 하였다'를 분개할 때 차변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미수금
2.
선수금
3.
미지급금
4.
외상매출금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비품의 경우 재고자산이 아닌 유형자산이므로 외상매출금이 아닌 미수금으로 처리가 된다. [해설작성자 : SSWF]
16.
다음 중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재고자산은 금융자산이 될 수 없다.
2.
선급금은 화폐를 미리 지불한 것이므로 금융자산이다.
3.
선수금은 미래에 재화나 용역을 제공해야 할 의무이므로 금융부채가 아니다.
4.
특허권은 무형자산이므로 금융자산이 아니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선급금, 선급비용은 금융자산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나다]
17.
다음 거래의 회계처리 시 차변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2015년 02월)
1.
출장비
2.
여비교통비
3.
현금
4.
가지급금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문제에서 여비개산액이라고 하였으므로 완전히 확정된 금액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 금액을 가지급금이라 합니다. 후에 출장을 다녀오고 영수증을 통해 여비교통비가 측정되고 가지급금에서 남은 현금은 회사로 돌려주고 가지급금을 초과한 금액은 출장자에게 돌려줍니다. 그리고 출장비라는 계정과목은 없고 여비교통비로 통합되어 표시됩니다.
(차) 가지급금 100,000 / 현금 100,000
18.
다음 중 상품과 관련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2월)
1.
매입자가 부담한 운반비는 매입한 자산의 최초원가에 포함시킨다.
2.
판매과정에서 발생한 운반비는 당기비용으로 처리한다.
3.
상품구입 시 매입에누리가 발생하면, 상품의 취득원가는 동 금액만큼 증가한다.
4.
기말상품재고액은 판매가능상품원가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구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상품의 취득원가는 동 금액만큼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나다]
19.
(주)서울은 영업용 건물을 구입하였던 바, 그에 따른 취득세 ₩400,000을 현금으로 납부한 경우 분개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차) 세금과공과 400,000 (대) 현금 400,000
2.
(차) 취득세 400,000 (대) 현금 400,000
3.
(차) 건물 400,000 (대) 현금 400,000
4.
(차) 수수료비용 400,000 (대) 현금 400,000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건물(자산) 취득시 취득세는 매입원가에 가산된다 따라서 (차) 건물 400,000 / (대) 현금 400,000 이 된다
20.
다음 기중 거래를 바르게 분개한 것은?(2019년 02월)
1.
차) 대손충당금 300,000 대) 외상매출금 300,000
2.
차) 대손상각비 300,000 대) 외상매출금 300,000
3.
차) 외상매출금 300,000 대) 대손충당금 300,000
4.
차) 대손충당금 300,000 대) 대손상각비 300,000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대손충당금 잔액이 외상매출금 만큼 있으므로 차) 대손충당금 300,000 대) 외상매출금 300,000 이 되고 남은 대손충당금 잔액은 50,000원이 된다. [해설작성자 : ㅇㄴ]
21.
다음은 본사 건물의 감가상각에 관한 내용이다. 2017년도 말 결산 재무제표에 보고되는 건물의 장부가액은 얼마인가?(2017년 02월)
'상공가구에 업무용 비품이었던 책상을 ₩100,000에 매각하고 대금은 1주일 후에 받기로 하였다'를 분개할 때 차변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미수금
2.
선수금
3.
미지급금
4.
외상매출금
정답 : [
1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비품의 경우 재고자산이 아닌 유형자산이므로 외상매출금이 아닌 미수금으로 처리가 된다. [해설작성자 : SSWF]
16.
다음 중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5월)
1.
재고자산은 금융자산이 될 수 없다.
2.
선급금은 화폐를 미리 지불한 것이므로 금융자산이다.
3.
선수금은 미래에 재화나 용역을 제공해야 할 의무이므로 금융부채가 아니다.
4.
특허권은 무형자산이므로 금융자산이 아니다.
정답 : [
2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선급금, 선급비용은 금융자산이 아니다 [해설작성자 : 나다]
17.
다음 거래의 회계처리 시 차변 계정과목으로 옳은 것은?(2015년 02월)
1.
출장비
2.
여비교통비
3.
현금
4.
가지급금
정답 : [
4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문제에서 여비개산액이라고 하였으므로 완전히 확정된 금액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 금액을 가지급금이라 합니다. 후에 출장을 다녀오고 영수증을 통해 여비교통비가 측정되고 가지급금에서 남은 현금은 회사로 돌려주고 가지급금을 초과한 금액은 출장자에게 돌려줍니다. 그리고 출장비라는 계정과목은 없고 여비교통비로 통합되어 표시됩니다.
(차) 가지급금 100,000 / 현금 100,000
18.
다음 중 상품과 관련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2월)
1.
매입자가 부담한 운반비는 매입한 자산의 최초원가에 포함시킨다.
2.
판매과정에서 발생한 운반비는 당기비용으로 처리한다.
3.
상품구입 시 매입에누리가 발생하면, 상품의 취득원가는 동 금액만큼 증가한다.
4.
기말상품재고액은 판매가능상품원가에서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구할 수 있다.
정답 : [
3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상품의 취득원가는 동 금액만큼 감소한다 [해설작성자 : 나다]
19.
(주)서울은 영업용 건물을 구입하였던 바, 그에 따른 취득세 ₩400,000을 현금으로 납부한 경우 분개로 옳은 것은?(2015년 10월)
1.
(차) 세금과공과 400,000 (대) 현금 400,000
2.
(차) 취득세 400,000 (대) 현금 400,000
3.
(차) 건물 400,000 (대) 현금 400,000
4.
(차) 수수료비용 400,000 (대) 현금 400,000
정답 : [
3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건물(자산) 취득시 취득세는 매입원가에 가산된다 따라서 (차) 건물 400,000 / (대) 현금 400,000 이 된다
20.
다음 기중 거래를 바르게 분개한 것은?(2019년 02월)
1.
차) 대손충당금 300,000 대) 외상매출금 300,000
2.
차) 대손상각비 300,000 대) 외상매출금 300,000
3.
차) 외상매출금 300,000 대) 대손충당금 300,000
4.
차) 대손충당금 300,000 대) 대손상각비 300,000
정답 : [
1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대손충당금 잔액이 외상매출금 만큼 있으므로 차) 대손충당금 300,000 대) 외상매출금 300,000 이 되고 남은 대손충당금 잔액은 50,000원이 된다. [해설작성자 : ㅇㄴ]
21.
다음은 본사 건물의 감가상각에 관한 내용이다. 2017년도 말 결산 재무제표에 보고되는 건물의 장부가액은 얼마인가?(2017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