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08933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아래 그림에서 P1 과 P2 의 크기는?(2003년 05월)

   

     1. P1 = P2 = 100 ㎏f
     2. P1 = P2 = 150 ㎏f
     3. P1 = P2 = 300 ㎏f
     4. P1 = P2 = 600 ㎏f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중앙(C)점의 횡 모멘트는?(2011년 03월)

   

     1. 8 t·m
     2. 12 t·m
     3. 14 t·m
     4. 16 t·m

     정답 : []
     정답률 : 24%

3. 다음 그림에서 지점 A의 반력의 영(零)이 되기 위해 C점에 작용시킬 집중하중의 크기(P는)?(2018년 04월)

   

     1. 12t
     2. 16t
     3. 20t
     4. 24t

     정답 : []
     정답률 : 81%

4. 단면의 주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단면의 도심을 지나는 모든 축 가운데 단면 2차 모멘트가 최대,최소인 축을 단면의 주축이라고 한다.
     2. 최대 주축과 최소 주축은 직교한다.
     3. 두 주축에 관한 단면 상승 모멘트는 0 이다.
     4. 대칭 축은 주축이다. 따라서 모든 주축 역시 대칭 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재질, 단면적, 길이가 같은 장주에서 양단활절 기둥의 좌굴하중과 양단고정 기둥의 좌굴하중과의 비는?(2016년 05월)
     1. 1 : 16
     2. 1 : 8
     3. 1 : 4
     4. 1 : 2

     정답 : []
     정답률 : 76%

6. 지간이 12m 인 단순보 AB 위를 그림과 같은 이동하중이 통과하고 있다. 이때 지간 중앙 C점에 대한 최대 휨모멘트의 크기는?(2004년 09월)

   

     1. 17.415 t·m
     2. 19.214 t·m
     3. 21.432 t·m
     4. 23.429 t·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그림과 같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의 핵 면적은?(2015년 03월)

   

     1. bh/9
     2. bh/18
     3. bh/16
     4. bh/36

     정답 : []
     정답률 : 73%

8. 그림에서 나타낸 구조물에서 A점의 휨모멘트는?(2006년 09월)

   

     1. 3 tㆍm
     2. 4.5 tㆍm
     3. 6 tㆍm
     4. 7.5 tㆍm

     정답 : []
     정답률 : 60%

9. 다음 부정정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를 구한 값은?(2018년 03월)

   

     1. 8
     2. 12
     3. 16
     4. 20

     정답 : []
     정답률 : 75%

10. 아래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도심의 위치 ()는?(2020년 08월)

    

     1. 2.21㎝
     2. 2.64㎝
     3. 2.96㎝
     4. 3.21㎝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y=Gx/A, Gx=AY,
y= 5x2x1+3x4x4/5x2+3x4 = 2.6363 cm
따라서 2.64cm 정답
[해설작성자 : 이민우41]

11. 축방향력 N, 단면적 A, 탄성계수 E일 때 축방향 변형 에너지를 나타내는 식은?(200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12. 그림과 같은 3활절 라멘(Rahmen)에서 B점의 휨모멘트 MB의 크기는?(2002년 05월)

    

     1. (-) 8.76 tonf·m
     2. (-) 13.13 tonf·m
     3. (-) 12.00 tonf·m
     4. (-) 27.14 tonf·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다음 중 변형에너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4년 03월)
     1. 하중에 의한 외력의 일
     2. 축방향력에 의한 내력의 일
     3. 휨모멘트에 의한 내력의 일
     4. 전단력에 의한 내력의 일

     정답 : []
     정답률 : 74%

14. 다음 중 힘의 3요소가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크기
     2. 방향
     3. 작용점
     4. 모멘트

     정답 : []
     정답률 : 86%

15. 반지름 r인 원형단면의 단주에서 핵반경 e는?(2011년 03월)
     1. r/2
     2. r/3
     3. r/4
     4. r/5

     정답 : []
     정답률 : 74%

16. 반지름 r원형단면 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할 때 최대 휨응력은?(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17.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도형의 도심을 지나는 X, Y 두축에 대한 최소 회전 반지름의 크기는?(2009년 05월)

    

     1. 9.48cm
     2. 13.86cm
     3. 17.32cm
     4. 27.71cm

     정답 : []
     정답률 : 50%

18. 탄성계수 E는 2,000,000kg/cm2 이고 포아슨 비 ν=0.3일 때 전단탄성계수 G는 얼마인가?(2008년 05월)
     1. 769,231kg/cm2
     2. 751,372kg/cm2
     3. 734,563kg/cm2
     4. 710,201kg/cm2

     정답 : []
     정답률 : 45%

19. 등분포하중을 받는 직사각형 단면 단순보에서 최대 처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보의 폭에 비례한다.
     2. 지간의 3제곱에 반비례한다.
     3. 탄성계수에 반비례한다.
     4. 보의 높이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20. 그림과 같은 연속보 B점의 휨모멘트 MB는?(201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2과목 : 측량학


21. 곡률반경 R=200m의 단 곡선을 설치하고 있다. 시단 현 김이 9.5m에 eoo한 편각은 얼마인가?(2007년 03월)
     1. 0° 58° 45°
     2. 1° 07° 12°
     3. 1° 15° 51°
     4. 1° 21° 39°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소재지 및 표고 값으로 옳은 것은?(2002년 05월)
     1. 국립지리원, 25.2532m
     2. 국립천문대, 26.1745m
     3. 인하대학교, 26.6871m
     4. 수원대학교, 27.7634m

     정답 : []
     정답률 : 40%

23. 노선의 길이가 2.5km인 결합트래버스 측량에서 폐합비를 1/5000로 제한할 때 허용되는 최대 폐합차는?(2008년 05월)
     1. 0.2m
     2. 0.4m
     3. 0.5m
     4. 0.6m

     정답 : []
     정답률 : 72%

24. 등고선에 대한 다음의 설명중 틀린 것은?(2004년 09월)
     1. 등고선은 능선 또는 계곡선과 직교한다.
     2. 등고선은 최대경사선 방향과 직교한다.
     3. 등고선은 지표의 경사가 급할수록 간격이 좁다.
     4. 등고선은 어떤 경우라도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3%

25. 다음 열거한 등고선의 성질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등고선은 도면 내,외에서 반드시 폐합한다.
     2. 최대 경사방향은 등고선과 직각방향으로 교차한다.
     3. 등고선은 급경사지에서는 간격이 넓어지며, 완경사지에서는 간격이 좁아진다.
     4. 등고선이 도면내에서 폐합하는 경우 산정이나 분지를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그림과 같은 삼각망에서 각방정식의 수는?(2014년 03월)

    

     1. 2
     2. 4
     3. 6
     4. 9

     정답 : []
     정답률 : 69%

27.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어느 지점의 최대경사 방향은 등고선과 평행한 방향이다.
     2. 경사가 급한 지역은 등고선 간격이 좁다.
     3. 동일 등고선 위의 지점들은 높이가 같다.
     4. 계곡선(합선)은 등고선과 직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어느 지점의 최대경사의 방향은 등고선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수치영상자료는 대개 8비트로 표현된다. pixel 값의 밝기값(grey level) 범위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0~63
     2. 1~64
     3. 0~255
     4. 1~256

     정답 : []
     정답률 : 74%

29. A,B,C,D 네 사람이 거리 10km, 8km, 6km, 4km의 구간을 왕복 수준측량하여 폐합차를 각각 20㎜,18㎜,15㎜,13㎜ 얻었을 때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은 사람은?(2002년 03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24%

30. 촬영고도 3000m인 항공사진에서 사진연직점으로부터 12㎝ 떨어진 위치에 나타난 토지의 기복변위는 얼마인가? (단, 해당토지는 기준면으로부터의 비고가 200m이다.)(2003년 08월)
     1. 800㎝
     2. 80㎝
     3. 8㎝
     4. 0.8㎝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삼변측량에서 cos A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02년 03월)

    

     1. a2+c2-b2 / 2ac
     2. b2+c2-a2 / 2bc
     3. a2+b2-c2 / 2bc
     4. a2-c2+b2 / 2ac

     정답 : []
     정답률 : 25%

32. 우리나라의 축척 1:50,000 지형도에 있어서 등고선의 주곡선 간격은?(2015년 05월)
     1. 5m
     2. 10m
     3. 20m
     4. 100m

     정답 : []
     정답률 : 78%

33. 단곡선 설치에서 I = 60°, R = 300m 일 때 곡선길이는?(2003년 08월)
     1. 314.16m
     2. 331.27m
     3. 352.36m
     4. 376.21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비행 고도 4,600m에서 초점거리 184mm 사진기로 촬영한 수직항공사진에서 길이 150m 교량은 얼마의 크기로 표현되는가?(2005년 09월)
     1. 8.5mm
     2. 8.0mm
     3. 7.5mm
     4. 6.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들고 조건식수가 많아 조정이 복잡하지만 정확도가 높은 삼각망은?(2017년 09월)
     1. 단열 삼각망
     2. 유심 삼각망
     3. 사변형 삼각망
     4. 단 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82%

36.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경사가 급한 지역은 등고선 간격이 좁다.
     2. 어느 지점의 최대경사 방향은 등고선과 평행한 방향이다.
     3. 동일 등고선 상의 지점들은 높이가 같다.
     4. 계곡선(합수선)은 등고선과 직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37. 토공작업을 수반하는 종단면도에 계획선을 넣을 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점토량과 성토량은 거의 같게 한다.
     2. 점토는 성토로 이용할 수 있도록 운반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3. 계획선은 될 수 있는 한 요구에 맞게 한다.
     4. 경사와 곡선을 병설해야 하고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많이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38. 삼각측량에서 내각을 60°에 가깝도록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2018년 09월)
     1.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베열하기 위하여
     2. 각 점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3. 측각의 오차가 변의 길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4. 선점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76%

39. 우리나라의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2018년 09월)
     1. 5m
     2. 10m
     3. 20m
     4. 25m

     정답 : []
     정답률 : 63%

40. 축척 1:50000 지도상에서 4cm2 에 대한 지상에서의 실제 면적은 얼마인가?(2008년 05월)
     1. 1km2
     2. 2km2
     3. 100km2
     4. 200km2

     정답 : []
     정답률 : 55%

3과목 : 수리학


41. 물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5월)
     1. 1기압의 물은 4℃에서 최대밀도를 가진다.
     2. 비중을 표시하는 수치와 밀도를 표시하는 수치는 항상 동일하다.
     3. 순수한 물은 4℃에서 가장 무겁고 비중은 1이다.
     4. 해수는 담수(淡水)에 비하여 비중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관수로의 마찰손실수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관의 조도에 반비례한다.
     2. 관수로의 길이에 정비례한다.
     3. 층류에서는 레이놀즈수에 반비례한다.
     4. 관내의 직경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43. 내경 600m, 두께 10mm의 강관에 100kg/cm2 의 압력수를 통과 시킬 때 발생하는 인장응력은?(2008년 05월)
     1. 1000 kg/cm2
     2. 2000 kg/cm2
     3. 3000 kg/cm2
     4. 4000 kg/cm2

     정답 : []
     정답률 : 47%

44. 지하수에서 Darcy의 법칙이 실측값과 가장 잘 일치하는 경우의 지하수 흐름은?(2016년 05월)
     1. 난류
     2. 층류
     3. 사류
     4. 한계류

     정답 : []
     정답률 : 81%

45. Thiessen의 가중평균강우량 산정방법에서 가중값은?(2005년 09월)
     1. 유역면적
     2. 강수량
     3. 관측소가 차지하는 면적을 전체 면적으로 나눈값
     4. 각 관측소의 강수량을 전체강수량으로 나눈값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질량 2kg인 물체를 스프링 저울로 달아보니 19.60 Newton 이었다. 이 지점의 중력가속도는?(2002년 03월)
     1. 9.8 × 102m/sec2
     2. 8.9m/sec2
     3. 0.98m/sec2
     4. 9.8m/sec2

     정답 : []
     정답률 : 19%

47. 기온에 관한 다음 설 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년 평균기온은 해당 년의 월 평균기온의 평균치로 정의한다.
     2. 월 평균기온은 해당 월의 일 평균기온의 평균치로 정의한다.
     3. 일 평균기온은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을 평균하여 주로 사용한다.
     4. 정상일 평균기온은 30년간의 특정일의 일 평균기온을 평균하여 정의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다음과 같이 수로폭이 3m 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 이였다. 이 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2004년 05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두 개의 수조를 연결하는 길이 3.7m의 수평관속에 모래가 가득 차 있다. 두 수조의 수위차를 2.5m, 투수계수를 0.5m/s라고 하면 모래를 통과할 때의 평균 유속은?(2016년 05월)
     1. 0.104m/s
     2. 0.207m/s
     3. 0.338m/s
     4. 0.446m/s

     정답 : []
     정답률 : 48%

50. 물이 들어 있는 원통을 밑면 원의 중심을 축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시킬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 (단, 물의 양은 변화가 없는 경우)(2009년 05월)
     1. 회전할 때의 원통 측면에 작용하는 전수압은 정지시보다 크다.
     2. 원통 측면에 작용하는 압력은 원통의 반지름이 커지면 그 크기는 증가한다.
     3. 정지 시나 회전 시의 전 밑면이 받는 수압은 동일하다.
     4. 회전 시의 원통 밑면의 외측 수압강도는 정지시와 크기가 같다.

     정답 : []
     정답률 : 6%

51. 30t의 철근 콘크리트가 물속에 있을 때의 무게는? (단, 철근콘크리트의 비중은 2.4이다)(2011년 10월)
     1. 12.5t
     2. 15.7t
     3. 17.5t
     4. 19.7t

     정답 : []
     정답률 : 13%

52. 유속이 5m/sec이고, 압력 P = 5t/m2 일 때 총수두는?(2003년 05월)
     1. 5.0m
     2. 6.28m
     3. 7.36m
     4. 8.20m

     정답 : []
     정답률 : 10%

53. 개수로의 수심을 h, 평균유속을 V, 에너지 보정계수를 α라 할 때 비에너지(He)를 옳게 표시한 식은?(2004년 05월)
     1. He = h+αV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어떠한 경우라도 전단응력 및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혀 압축되지도 않고, 마찰저항 hL=0인 유체는?(2016년 05월)
     1. 소성유체
     2. 점성유체
     3. 탄성유체
     4. 완전유체

     정답 : []
     정답률 : 73%

55. 부체의 경심(M), 부심(C), 무게중심(G)에 대하여 부체가 안정되기 위한 조건은?(2015년 03월)
     1. > 0
     2. = 0
     3. < 0
     4.

     정답 : []
     정답률 : 75%

56. 빙산이 바다 위에 떠있다. 해수면상의 부피가 900m3이면 빙산 전체의 부피는 얼마인가? (단, 빙산의 비중은 0.92, 해수의 비중은 1.025이다.)(2004년 09월)
     1. 8785.7m3
     2. 7758.7m3
     3. 6758.7m3
     4. 9785.7m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개수로의 단면이 축소되는 부분의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상류가 유입되면 수심이 감소하고 사류가 유입되면 수심이 증가한다.
     2. 상류가 유입되면 수심이 증가하고 사류가 유입되면 수심이 감소한다.
     3. 유입되는 흐름의 상태(상류 또는 사류)와 무관하게 수심이 증가한다.
     4. 유입되는 흐름의 상태(상류 또는 사류)와 무관하게 수심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58.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일반적으로 강우강도가 크면 클수록 그 강우가 계속되는 기간은 짧다.
     2. 강우강도-지속기간 관계는 도시지역 우수관계 설계 등을 위한 설계 유량의 결정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3. 강우강도-지속기간 관계는 지역적인 특성은 무시할 수 있어 시간적인 특성만을 고려한다.
     4. 강우강도-지속기간 관계의 경험식으로는 Talbot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59. 단면적이 50m2인 직사각형 단면수로에 있어서 수리상 유리한 단면은?(2004년 03월)

    

     1. B = 5m, h = 10m
     2. B = 10m, h = 5m
     3. B = 1m, h = 50m
     4. B = 50m, h = 1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수면이 부체를 절단하는 가상면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5월)
     1. 부력면
     2. 부심면
     3. 부양면
     4. 흘수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압축철근비(ρ')가 0.01인 철근콘크리트보의 장기처짐계수 λ의 값은 얼마인가? (단, 하중재하기간은 1년이다.)(2002년 09월)
     1. 0.80
     2. 0.933
     3. 2.80
     4. 1.33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단면 형상은 T형보이지만 설계 계산은 직사각형보와 같이 하는 경우는?(2016년 03월)

    

     1. bω ≤ t
     2. bω > t
     3. a ≤ t
     4. a > t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 As*fy/ (0.85f'c*b) < t 일 경우 직사각형보로
[해설작성자 : 스노우맨69]

63. 옹벽에서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최소 몇 배 이상이어야 옹벽이 안정하다고 보는가?(2004년 03월)
     1. 1.5배
     2. 1.8배
     3. 2.1배
     4. 2.4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단, As = 2382 mm2, fy = 400 MPa, fck = 28 MPa)(2019년 09월)

    

     1. 58.4mm
     2. 62.3mm
     3. 66.7mm
     4. 72.8m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s x fy / 0.85 x fck x b
[해설작성자 : easy]

65. 합성형 교량에서 콘크리트 슬래브와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를 일체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2018년 03월)
     1. 브레이싱
     2. 스티프너
     3. 전단 연결재
     4. 리벳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브래이싱(사세): 골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대각선으로 넣는 경사재
스티프너 : 철골보(H형강 등) Web 부분의 전단보강과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보강재이다.
리벳 : 판재를 영구적으로 결합시키는 연성금속핀으로 건축에선 강재와 강재를 연결할때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그림과 같은 단면의 도심에 PS 강재가 배치되어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1500kN을 작용시켰다. 20%의 손실을 가정하여 콘크리트의 하연응력이 0이 되도록 하려면 이때의 휨모멘트 값은 얼마인가? (단, 자중은 무시함)(2005년 09월)

    

     1. 120 kNㆍm
     2. 230 kNㆍm
     3. 313 kNㆍm
     4. 431 kNㆍ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경간이 12m인 캔틸레버 보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보의 최소 두께로서 옳은 것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로서 fck=28MPa, fy=400MPa이다.)(2017년 03월)
     1. 580mm
     2. 750mm
     3. 1200mm
     4. 1500mm

     정답 : []
     정답률 : 42%

68. 다음 중 용접이음을 한 겨우 용접부의 결함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2019년 09월)
     1. 필릿(fillet)
     2. 크랙(crack)
     3. 언더컷(under cut)
     4. 오버랩(over lap)

     정답 : []
     정답률 : 59%

69. 상부철근(정착길이 아래 300m를 초과되게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친 수평철근)으로 사용되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구하려고 한다. fck=21MPa, fy=300MPa을 사용한다면 상부철근으로서의 보정계수를 사용할 때 정착길이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D29 철근으로 공칭지름은 28.6mm, 공칭단면적은 642mm2이고 기타의 보정계수는 적용하지 않는다.)(2014년 05월)
     1. 1,461mm
     2. 1,123mm
     3. 987mm
     4. 865mm

     정답 : []
     정답률 : 59%

70. 강도감소계수(ø)의 사용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재료 강도와 치수가 변동할 수 있으므로 부재의 강도 저하 확률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서
     2. 초과하중 및 구조물의 용도변경에 따른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서
     3. 구조물에서 차지하는 부재의 중요도 등을 반영하기 위해서
     4. 부정확한 설계 방정식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44%

71. 다음의 프리스트레스 손실원인 중 프리스트레스 도입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정착장치의 활동
     2. PS강재의 릴랙세이션
     3. 콘크리트의 크리프
     4.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정답 : []
     정답률 : 34%

72. 강도 설계법에서 힘 부재의 등가 사각형 압축 응력 분포의 깊이(a)는 아래의 표와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fck)가 40MPa인 경우 β1의 값은?(2018년 03월)

    

     1. 0.683
     2. 0.712
     3. 0.766
     4. 0.801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fck 40보다 크거나 같으면 0.80 라고 책에 나와있어요
[해설작성자 : 123]

73. PSC에서 콘크리트의 응력해석에서 균열 발생 전 해석상의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콘크리트와 PS강재 및 보강철근을 탄성체로 본다.
     2. RC에 적용되는 강도이론을 그대로 적용한다.
     3. 콘크리트 전단면을 유효하다고 본다.
     4. 단면의 변형률은 중립축에서의 거리에 비례한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69%

74. 아래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Asʹ=1916-mm2, As=4790mm2이다. 등가 직사각형의 응력의 깊이 a는? (단, fck=28MPa, fy=400MPa이다.)(2018년 03월)

    

     1. 157mm
     2. 161mm
     3. 173mm
     4. 185mm

     정답 : []
     정답률 : 62%

75. b = 200mm, d = 500mm, As = 2000mm2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응력 4각형의 깊이 a 는? (단, fy=400MPa(=4000㎏f/cm2), fck=25MPa(=250㎏f/cm2))(2004년 03월)
     1. 223 mm
     2. 145 mm
     3. 188 mm
     4. 109 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PS콘크리트 구조물 설계시 균열발생전에 단면에 일어나는 응력해석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3월)
     1. 단면의 변형은 중립축으로 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2. 콘크리트와 PS 강재 및 보강철근은 탄성체로 본다.
     3. 콘크리트의 인장측 인장응력은 무시한다.
     4. 긴장재를 부착시키기 전의 단면 계산에서는 덕트의 단면적을 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13%

77. PS 강재에 요구되는 성질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인장강도가 클 것
     2. 릴랙세이션이 적을 것
     3. 취성이 좋을 것
     4. 응력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클 것

     정답 : []
     정답률 : 48%

78. 그림과 같은 연결에서 리벳의 강도는? (단, 허용전단응력은 130MPa, 허용지압응력은 300MPa)(2009년 03월)

    

     1. 73.7kN
     2. 85.5kN
     3. 89.4kN
     4. 92.8kN

     정답 : []
     정답률 : 15%

79. 철근 콘크리트보에서 스터럽을 배근하는 이유로 가장 중요한 것은?(2017년 03월)
     1. 보에 작용하는 사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주철근 상호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3. 콘크리트의 부착을 좋게 하기 위하여
     4. 압축을 받는 쪽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2%

80. 철근의 피복 두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주철근의 표면에서 콘크리트의 표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2. 부착응력을 확보한다.
     3. 침식이나 염해 또는 화학작용으로부터 철근을 보호한다.
     4. 철근이 산화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CBR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CBR 값은 강성포장의 두께를 결정하는데 주로 쓰이는 값이다.
     2. CBR 시험은 실내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현장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3. 다짐한 흙시료에 직경 5㎝의 강봉을 관입시켰을 때의 관입량과 하중강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값이다.
     4. CBR5.0 > CBR2.5의 경우 재시험하고 그래도 CBR5.0가 CBR2.5보다 클 때는 CBR5.0 값을 CBR 값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50t의 집중하중이 지표면에 작용할 때 3m 떨어진 점의 지하 5m 위치에서의 연직응력은 얼마인가? (단, 영향계수는 0.2214이다.)(2007년 05월)
     1. 0.392t/m2
     2. 0.443t/m2
     3. 0.526t/m2
     4. 0.610t/m2

     정답 : []
     정답률 : 20%

83. 어떤 유선망도에서 상하류의 수두차가 3m, 투수계수가 2.0×10-3cm/sec, 등수두면의 수가 9개, 유로의 수가 6개일 때 단위폭 1m당 침투량은?(2014년 05월)
     1. 0.0288m3/hr
     2. 0.1440m3/hr
     3. 0.3240m3/hr
     4. 0.3436m3/hr

     정답 : []
     정답률 : 59%

84. 어떤 점성토에 수직응력 40㎏/㎝2를 가하여 전단시켰다. 전단면상의 공극수압이 10㎏/㎝2이고 유효응력에 대한 점착력,내부마찰각이 각각 0.2㎏/㎝2, 20° 이면 전단 강도는 얼마인가?(2003년 08월)
     1. 6.4㎏/㎝2
     2. 10.4㎏/㎝2
     3. 11.1㎏/㎝2
     4. 18.4㎏/㎝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아래 그림과 같은 지반의 점토 중앙 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은?(2016년 10월)

    

     1. 3.06t/m2
     2. 3.27t/m2
     3. 3.53t/m2
     4. 3.71t/m2

     정답 : []
     정답률 : 52%

86. Terzaghi의 지지력 공식에서 고려되지 않는 것은?(2006년 09월)
     1. 흙의 내부 마찰각
     2. 기초의 근입깊이
     3. 압밀량
     4. 기초의 폭

     정답 : []
     정답률 : 24%

87. 평균 기온에 따른 동결지수가 520°C · days였다. 이 지방의 정수(C)가 4일 때 동결깊이는? (단, 데라다 공식을 이용한다.)(2020년 06월)
     1. 130.2cm
     2. 102.4cm
     3. 91.2cm
     4. 22.8cm

     정답 : []
     정답률 : 46%

88. 사질지반에 있어서 강성기초의 접지압 분포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5년 05월)
     1. 기초의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2. 기초의 중앙부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3. 기초의 밑면에서는 어느 부분이나 동일하다.
     4. 기초 밑면에서의 응력은 토질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연약지반에 말뚝을 시공한 후, 부의 주면마찰력이 발생되면 말뚝의 지지력은?(2015년 09월)
     1. 증가된다.
     2. 감소된다.
     3. 변함이 없다.
     4.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90. 점토지반에서 N치로 추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상대밀도
     2. 컨시스턴시
     3. 일축압축강도
     4.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

     정답 : []
     정답률 : 52%

91. 분사현상(quick sand action)에 관한 그림이 아래와 같을 때 수두차 h를 최호 얼마 이상으로 하면 모래시표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 (단, 모래의 비중 2.6, 공극률 50%)(2009년 03월)

    

     1. 6cm
     2. 12cm
     3. 24cm
     4. 30cm

     정답 : []
     정답률 : 54%

92. 다음 전단 시험법 가운데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유효 응력으로 정리하면 압밀배수 시험(CD-test)과 거의 같은 전단상수를 얻을 수 있는 시험법은?(2004년 05월)
     1. 비압밀 비배수시험(UU-test)
     2. 직접전단시험
     3. 압밀 비배수시험(CU-test)
     4. 일축압축시험(qu-te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사질토의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점성토의 최대 건조 단위 중량보다 크다.
     2. 점성토의 최적함수비는 사질토의 최적함수비 보다 크다.
     3. 영공기 간극곡선은 다짐곡선과 교차할 수 없고, 항상 다짐곡선의 우측에만 위치한다.
     4. 유기질 성분을 많이 포함할수록 흙의 최대 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는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영공기 간극곡선은 흙의 최적.최대의 간극이다.
사질토 : 모래
점질토 : 점토
흙의 종류에 따라 최대 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유기질 성분은 상관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들밀도 시험에서 모래를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을 알기 위해서인가?(2005년 09월)
     1.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부피
     3.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함수상태
     4. 시험구멍의 밑면의 지지력

     정답 : []
     정답률 : 10%

95.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는 Sander 의 공식은? (단, Ra : 허용지지력, S : 관입량, WH : 해머의 중량, H : 낙하고)(200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2%

96. 그림과 같이 2개층으로 구성된 지반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등가투수계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5년 03월)

    

     1. 3.89×10-4cm/sec
     2. 7.78×10-4cm/sec
     3. 1.57×10-3cm/sec
     4. 3.14×10-3cm/sec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1 과 k2 의 10 에 제곱을 - 로 해야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3승과 -4승 이어야하네요

97. 연약한 점토지반의 전단강도를 구하는 현장시험 방법은?(2003년 08월)
     1. 평판재하 시험
     2. 현장 CBR 시험
     3. 직접전단 시험
     4. Vane 시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해머의 낙하고 2m, 해머의 중량 4t, 말뚝의 최종 침하량이 2cm일 때 Sander공식을 이용하여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면?(2003년 08월)
     1. 50 t
     2. 100 t
     3. 80 t
     4. 160 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그림과 같은 다짐곡선을 보고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A는 일반적으로 사질토이다.
     2. B는 일반적으로 점성토이다.
     3. C는 과잉 간극 수압곡선이다.
     4. D는 최적 함수비를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71%

100. Boiling 현상은 주로 어떤 지반에 많이 생기는가?(2009년 03월)
     1. 모래지반
     2. 사질점토지반
     3. 보통토
     4. 점토질지반

     정답 : []
     정답률 : 22%

101. 계획급수인구가 5,000명이고 1인 1일 최대급수량이 200ℓ이며, 여과속도는 130m/day인 급속여과지의 면적은?(2004년 03월)
     1. 7.69m2
     2. 15.38m2
     3. 30.76m2
     4. 76.92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2. 유량이 1000m3/day이고 BOD가 100mg/L인 폐수를 유효용량 200m3인 포기조에서 처리할 경우 BOD 용적부하는?(2017년 09월)
     1. 0.5kg/m3·day
     2. 5.0kg/m3·day
     3. 10.0kg/m3·day
     4. 12.5kg/m3·day

     정답 : []
     정답률 : 39%

103. 유수지(우수조정지)설치 계획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02년 09월)
     1. 하류관거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
     2. 입구와 출구가 자연유하식으로 경제적인 곳
     3. 펌프 압송식일 경우 펌프장의 침수우려가 적은 곳
     4. 유수지의 구조는 댐식인 경우 15m이상으로 안전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어느 마을의 고지대 일부에서 상수도 수압이 너무 낮아서 물이 잘 나오지 않고 있다. 수압을 높여주기 위한 다음의 조치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5월)
     1. 근처에 배수탑을 설치한다.
     2. 주위지역의 관경을 줄여준다.
     3. 배수펌프를 설치한다.
     4. 관망을 수지형에서 격자형으로 연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5. 취수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최소수심이 2m 이상은 확보되어야 한다.
     2. 연중 수위변화의 폭이 큰 지점에는 부적합하다.
     3. 취수탑의 취수구 전면에는 스크린을 설치한다.
     4. 취수탑은 하천, 호소, 댐 내에 설치된 탑모양의 구조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36%

106. 염소살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살균력이 뛰어나다.
     2. 설비 및 주입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다.
     3. THMs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4.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107. 정수시설 중 급속여과지의 여과모래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유효경은 0.45~1.0mm 중에서 적정한 입경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2. 균등계수는 1.0 이하이어야 한다.
     3. 최대경은 2.0mm를 넘지 않아야 한다.
     4. 마모율은 3%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108. 강우강도 유입시간180초, 유역면적 4km, 유출계수 0.9, 하수관내 유속 50m/min인 경우에 길이1km의 하수관 peak 유량은? (여기서, t는 분단위)(2008년 03월)
     1. 43.7m3/sec
     2. 73.52m3/sec
     3. 95.41m3/sec
     4. 102.43m3/sec

     정답 : []
     정답률 : 46%

109. 취수시설 중 취수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큰 수위변동에 대응할 수 있다.
     2.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탑 모양의 구조물이다.
     3. 유량이 안정된 하천에서 대량으로 취수할 때 유리하다.
     4. 취수구를 상하에 설치하여 수위에 따라 좋은 수질을 선택하여 취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110. 하수관거의 유속 및 최소관경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2009년 05월)
     1.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관경은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2.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한 오수관거 최소유속은 0.6m/s로 한다.
     3. 계획우수량에 대한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 유속은 0.4m/s로 한다.
     4.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은 200mm를 표준으로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111. 하수관거 접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g(2017년 03월)
     1. 2개의 관거가 합류하는 경우 두 관의 중심교각은 가급적 60° 이하로 한다.
     2. 지표의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단차접합 또는 계단접합으로 한다.
     3. 2개의 관거가 합류하는 경우의 접합방법은 관저접합을 원칙으로 한다.
     4. 접속 관거의 계획수위를 일치시켜 접속하는 방법을 수면접합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112. 다음 중 BOD 값이 크게 나타나는 경우는?(2017년 09월)
     1. 영양염류가 풍부한 경우
     2. DO 농도가 큰 경우
     3. 유기물질이 많은 경우
     4. 미생물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51%

113. 계획우수량의 고려 사항에 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우수유출량의 산정을 위한 합리식에서 I는 관거의 동수경사를 나타낸다.
     2. 하수관거의 확률년수는 10∼30년을 원칙으로 한다.
     3. 유달시간은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을 합한 것이다.
     4. 총 유하시간은 관거 구간마다의 거리와 계획유량에 대한 유속으로부터 구한 구간 당 유하시간을 합계하여 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114. 복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얻을 수 있다.
     2. 지표수의 한 종류로 하천수보다 수질이 양호하다.
     3. 정수공정에 이용 시 침전지를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4. 조류 등의 부유 생물 농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55%

115. 인구 1인당 생활오수의 BOD오염부하 원단위를 50g/인·일 이라 할때 인구 10만 도시의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BOD부하는?(2007년 03월)
     1. 5000kg/일
     2. 500kg/일
     3. 50kg/일
     4. 50ton/일

     정답 : []
     정답률 : 55%

116. 하수처리장 2차침전지에서 슬러지 부상이 일어날 경우 관계되는 작용은?(2018년 04월)
     1. 질산화반응
     2. 탈질반응
     3. 핀플록반응
     4. 프라즈마반응

     정답 : []
     정답률 : 48%

117. 2000t/day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는 원형방사류식 침전지에서 체류시간은? (단, 평균수심 3m, 지름 8m)(2019년 04월)
     1. 1.6시간
     2. 1.7시간
     3. 1.8시간
     4. 1.9시간

     정답 : []
     정답률 : 57%

118. 유역면적 2㎞2, 유출계수 0.6인 어느 지역에서 2시간 동안에 70㎜의 호우가 내렸다. 합리식에 의한 이 지역의 우수 유출량은?(2005년 05월)
     1. 10.5m3/sec
     2. 11.7m3/sec
     3. 42.0m3/sec
     4. 70.0m3/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9. 다음 하수도의 구성에 대한 설명중 맞는 것은?(2002년 09월)
     1. 하수의 집수시설에서 펌프시설은 필요없다.
     2. 하수처리 시설은 생물학적 처리 공정시설만을 의미한다.
     3. 하수배제 방식은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4. 배수계통 형식 중 방사식이 가장 좋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0. 상수도계통에서 배수지로 가장 적당한 위치는?(2006년 09월)
     1. 충분한 수압을 가지고 취수시설에 가까운 곳
     2. 충분히 정화시킬 수 있는 정수시설에서 가까운 곳
     3. 충분한 수량을 취수할 수 있는 수원지에서 가까운 곳
     4. 급수구역에서 가깝고 적당한 수두를 얻을 수 있는 곳

     정답 : []
     정답률 : 24%


정 답 지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08933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응용역학


1. 아래 그림에서 P1 과 P2 의 크기는?(2003년 05월)

   

     1. P1 = P2 = 100 ㎏f
     2. P1 = P2 = 150 ㎏f
     3. P1 = P2 = 300 ㎏f
     4. P1 = P2 = 600 ㎏f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중앙(C)점의 횡 모멘트는?(2011년 03월)

   

     1. 8 t·m
     2. 12 t·m
     3. 14 t·m
     4. 16 t·m

     정답 : []
     정답률 : 24%

3. 다음 그림에서 지점 A의 반력의 영(零)이 되기 위해 C점에 작용시킬 집중하중의 크기(P는)?(2018년 04월)

   

     1. 12t
     2. 16t
     3. 20t
     4. 24t

     정답 : []
     정답률 : 81%

4. 단면의 주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5년 03월)
     1. 단면의 도심을 지나는 모든 축 가운데 단면 2차 모멘트가 최대,최소인 축을 단면의 주축이라고 한다.
     2. 최대 주축과 최소 주축은 직교한다.
     3. 두 주축에 관한 단면 상승 모멘트는 0 이다.
     4. 대칭 축은 주축이다. 따라서 모든 주축 역시 대칭 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재질, 단면적, 길이가 같은 장주에서 양단활절 기둥의 좌굴하중과 양단고정 기둥의 좌굴하중과의 비는?(2016년 05월)
     1. 1 : 16
     2. 1 : 8
     3. 1 : 4
     4. 1 : 2

     정답 : []
     정답률 : 76%

6. 지간이 12m 인 단순보 AB 위를 그림과 같은 이동하중이 통과하고 있다. 이때 지간 중앙 C점에 대한 최대 휨모멘트의 크기는?(2004년 09월)

   

     1. 17.415 t·m
     2. 19.214 t·m
     3. 21.432 t·m
     4. 23.429 t·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그림과 같은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의 핵 면적은?(2015년 03월)

   

     1. bh/9
     2. bh/18
     3. bh/16
     4. bh/36

     정답 : []
     정답률 : 73%

8. 그림에서 나타낸 구조물에서 A점의 휨모멘트는?(2006년 09월)

   

     1. 3 tㆍm
     2. 4.5 tㆍm
     3. 6 tㆍm
     4. 7.5 tㆍm

     정답 : []
     정답률 : 60%

9. 다음 부정정 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를 구한 값은?(2018년 03월)

   

     1. 8
     2. 12
     3. 16
     4. 20

     정답 : []
     정답률 : 75%

10. 아래 그림과 같은 단면에서 도심의 위치 ()는?(2020년 08월)

    

     1. 2.21㎝
     2. 2.64㎝
     3. 2.96㎝
     4. 3.21㎝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y=Gx/A, Gx=AY,
y= 5x2x1+3x4x4/5x2+3x4 = 2.6363 cm
따라서 2.64cm 정답
[해설작성자 : 이민우41]

11. 축방향력 N, 단면적 A, 탄성계수 E일 때 축방향 변형 에너지를 나타내는 식은?(2002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12. 그림과 같은 3활절 라멘(Rahmen)에서 B점의 휨모멘트 MB의 크기는?(2002년 05월)

    

     1. (-) 8.76 tonf·m
     2. (-) 13.13 tonf·m
     3. (-) 12.00 tonf·m
     4. (-) 27.14 tonf·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다음 중 변형에너지에 속하지 않는 것은?(2004년 03월)
     1. 하중에 의한 외력의 일
     2. 축방향력에 의한 내력의 일
     3. 휨모멘트에 의한 내력의 일
     4. 전단력에 의한 내력의 일

     정답 : []
     정답률 : 74%

14. 다음 중 힘의 3요소가 아닌 것은?(2018년 04월)
     1. 크기
     2. 방향
     3. 작용점
     4. 모멘트

     정답 : []
     정답률 : 86%

15. 반지름 r인 원형단면의 단주에서 핵반경 e는?(2011년 03월)
     1. r/2
     2. r/3
     3. r/4
     4. r/5

     정답 : []
     정답률 : 74%

16. 반지름 r원형단면 보에 휨모멘트 M이 작용할 때 최대 휨응력은?(2015년 05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73%

17.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도형의 도심을 지나는 X, Y 두축에 대한 최소 회전 반지름의 크기는?(2009년 05월)

    

     1. 9.48cm
     2. 13.86cm
     3. 17.32cm
     4. 27.71cm

     정답 : []
     정답률 : 50%

18. 탄성계수 E는 2,000,000kg/cm2 이고 포아슨 비 ν=0.3일 때 전단탄성계수 G는 얼마인가?(2008년 05월)
     1. 769,231kg/cm2
     2. 751,372kg/cm2
     3. 734,563kg/cm2
     4. 710,201kg/cm2

     정답 : []
     정답률 : 45%

19. 등분포하중을 받는 직사각형 단면 단순보에서 최대 처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3월)
     1. 보의 폭에 비례한다.
     2. 지간의 3제곱에 반비례한다.
     3. 탄성계수에 반비례한다.
     4. 보의 높이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20. 그림과 같은 연속보 B점의 휨모멘트 MB는?(2015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4%

2과목 : 측량학


21. 곡률반경 R=200m의 단 곡선을 설치하고 있다. 시단 현 김이 9.5m에 eoo한 편각은 얼마인가?(2007년 03월)
     1. 0° 58° 45°
     2. 1° 07° 12°
     3. 1° 15° 51°
     4. 1° 21° 39°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우리나라 수준원점의 소재지 및 표고 값으로 옳은 것은?(2002년 05월)
     1. 국립지리원, 25.2532m
     2. 국립천문대, 26.1745m
     3. 인하대학교, 26.6871m
     4. 수원대학교, 27.7634m

     정답 : []
     정답률 : 40%

23. 노선의 길이가 2.5km인 결합트래버스 측량에서 폐합비를 1/5000로 제한할 때 허용되는 최대 폐합차는?(2008년 05월)
     1. 0.2m
     2. 0.4m
     3. 0.5m
     4. 0.6m

     정답 : []
     정답률 : 72%

24. 등고선에 대한 다음의 설명중 틀린 것은?(2004년 09월)
     1. 등고선은 능선 또는 계곡선과 직교한다.
     2. 등고선은 최대경사선 방향과 직교한다.
     3. 등고선은 지표의 경사가 급할수록 간격이 좁다.
     4. 등고선은 어떤 경우라도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3%

25. 다음 열거한 등고선의 성질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등고선은 도면 내,외에서 반드시 폐합한다.
     2. 최대 경사방향은 등고선과 직각방향으로 교차한다.
     3. 등고선은 급경사지에서는 간격이 넓어지며, 완경사지에서는 간격이 좁아진다.
     4. 등고선이 도면내에서 폐합하는 경우 산정이나 분지를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6. 그림과 같은 삼각망에서 각방정식의 수는?(2014년 03월)

    

     1. 2
     2. 4
     3. 6
     4. 9

     정답 : []
     정답률 : 69%

27.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어느 지점의 최대경사 방향은 등고선과 평행한 방향이다.
     2. 경사가 급한 지역은 등고선 간격이 좁다.
     3. 동일 등고선 위의 지점들은 높이가 같다.
     4. 계곡선(합선)은 등고선과 직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어느 지점의 최대경사의 방향은 등고선과 직각으로 교차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수치영상자료는 대개 8비트로 표현된다. pixel 값의 밝기값(grey level) 범위로 옳은 것은?(2014년 09월)
     1. 0~63
     2. 1~64
     3. 0~255
     4. 1~256

     정답 : []
     정답률 : 74%

29. A,B,C,D 네 사람이 거리 10km, 8km, 6km, 4km의 구간을 왕복 수준측량하여 폐합차를 각각 20㎜,18㎜,15㎜,13㎜ 얻었을 때 가장 정확한 결과를 얻은 사람은?(2002년 03월)
     1. A
     2. B
     3. C
     4. D

     정답 : []
     정답률 : 24%

30. 촬영고도 3000m인 항공사진에서 사진연직점으로부터 12㎝ 떨어진 위치에 나타난 토지의 기복변위는 얼마인가? (단, 해당토지는 기준면으로부터의 비고가 200m이다.)(2003년 08월)
     1. 800㎝
     2. 80㎝
     3. 8㎝
     4. 0.8㎝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1. 삼변측량에서 cos A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2002년 03월)

    

     1. a2+c2-b2 / 2ac
     2. b2+c2-a2 / 2bc
     3. a2+b2-c2 / 2bc
     4. a2-c2+b2 / 2ac

     정답 : []
     정답률 : 25%

32. 우리나라의 축척 1:50,000 지형도에 있어서 등고선의 주곡선 간격은?(2015년 05월)
     1. 5m
     2. 10m
     3. 20m
     4. 100m

     정답 : []
     정답률 : 78%

33. 단곡선 설치에서 I = 60°, R = 300m 일 때 곡선길이는?(2003년 08월)
     1. 314.16m
     2. 331.27m
     3. 352.36m
     4. 376.21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4. 비행 고도 4,600m에서 초점거리 184mm 사진기로 촬영한 수직항공사진에서 길이 150m 교량은 얼마의 크기로 표현되는가?(2005년 09월)
     1. 8.5mm
     2. 8.0mm
     3. 7.5mm
     4. 6.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들고 조건식수가 많아 조정이 복잡하지만 정확도가 높은 삼각망은?(2017년 09월)
     1. 단열 삼각망
     2. 유심 삼각망
     3. 사변형 삼각망
     4. 단 삼각형

     정답 : []
     정답률 : 82%

36. 등고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03월)
     1. 경사가 급한 지역은 등고선 간격이 좁다.
     2. 어느 지점의 최대경사 방향은 등고선과 평행한 방향이다.
     3. 동일 등고선 상의 지점들은 높이가 같다.
     4. 계곡선(합수선)은 등고선과 직교한다.

     정답 : []
     정답률 : 63%

37. 토공작업을 수반하는 종단면도에 계획선을 넣을 때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5월)
     1. 점토량과 성토량은 거의 같게 한다.
     2. 점토는 성토로 이용할 수 있도록 운반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3. 계획선은 될 수 있는 한 요구에 맞게 한다.
     4. 경사와 곡선을 병설해야 하고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많이 설치한다.

     정답 : []
     정답률 : 70%

38. 삼각측량에서 내각을 60°에 가깝도록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2018년 09월)
     1.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베열하기 위하여
     2. 각 점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3. 측각의 오차가 변의 길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4. 선점 작업의 효율성을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76%

39. 우리나라의 축척 1:50000 지형도에서 주곡선의 간격은?(2018년 09월)
     1. 5m
     2. 10m
     3. 20m
     4. 25m

     정답 : []
     정답률 : 63%

40. 축척 1:50000 지도상에서 4cm2 에 대한 지상에서의 실제 면적은 얼마인가?(2008년 05월)
     1. 1km2
     2. 2km2
     3. 100km2
     4. 200km2

     정답 : []
     정답률 : 55%

3과목 : 수리학


41. 물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2년 05월)
     1. 1기압의 물은 4℃에서 최대밀도를 가진다.
     2. 비중을 표시하는 수치와 밀도를 표시하는 수치는 항상 동일하다.
     3. 순수한 물은 4℃에서 가장 무겁고 비중은 1이다.
     4. 해수는 담수(淡水)에 비하여 비중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관수로의 마찰손실수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관의 조도에 반비례한다.
     2. 관수로의 길이에 정비례한다.
     3. 층류에서는 레이놀즈수에 반비례한다.
     4. 관내의 직경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4%

43. 내경 600m, 두께 10mm의 강관에 100kg/cm2 의 압력수를 통과 시킬 때 발생하는 인장응력은?(2008년 05월)
     1. 1000 kg/cm2
     2. 2000 kg/cm2
     3. 3000 kg/cm2
     4. 4000 kg/cm2

     정답 : []
     정답률 : 47%

44. 지하수에서 Darcy의 법칙이 실측값과 가장 잘 일치하는 경우의 지하수 흐름은?(2016년 05월)
     1. 난류
     2. 층류
     3. 사류
     4. 한계류

     정답 : []
     정답률 : 81%

45. Thiessen의 가중평균강우량 산정방법에서 가중값은?(2005년 09월)
     1. 유역면적
     2. 강수량
     3. 관측소가 차지하는 면적을 전체 면적으로 나눈값
     4. 각 관측소의 강수량을 전체강수량으로 나눈값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질량 2kg인 물체를 스프링 저울로 달아보니 19.60 Newton 이었다. 이 지점의 중력가속도는?(2002년 03월)
     1. 9.8 × 102m/sec2
     2. 8.9m/sec2
     3. 0.98m/sec2
     4. 9.8m/sec2

     정답 : []
     정답률 : 19%

47. 기온에 관한 다음 설 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7년 03월)
     1. 년 평균기온은 해당 년의 월 평균기온의 평균치로 정의한다.
     2. 월 평균기온은 해당 월의 일 평균기온의 평균치로 정의한다.
     3. 일 평균기온은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을 평균하여 주로 사용한다.
     4. 정상일 평균기온은 30년간의 특정일의 일 평균기온을 평균하여 정의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8. 다음과 같이 수로폭이 3m 인 판으로 물의 흐름을 가로막았을 때 상류수심은 6m, 하류수심은 3m 이였다. 이 때 전수압의 작용점 위치(y)는?(2004년 05월)

    

     1. y = 1.50m
     2. y = 2.33m
     3. y = 3.66m
     4. y = 4.5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9. 두 개의 수조를 연결하는 길이 3.7m의 수평관속에 모래가 가득 차 있다. 두 수조의 수위차를 2.5m, 투수계수를 0.5m/s라고 하면 모래를 통과할 때의 평균 유속은?(2016년 05월)
     1. 0.104m/s
     2. 0.207m/s
     3. 0.338m/s
     4. 0.446m/s

     정답 : []
     정답률 : 48%

50. 물이 들어 있는 원통을 밑면 원의 중심을 축으로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시킬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않은 것은? (단, 물의 양은 변화가 없는 경우)(2009년 05월)
     1. 회전할 때의 원통 측면에 작용하는 전수압은 정지시보다 크다.
     2. 원통 측면에 작용하는 압력은 원통의 반지름이 커지면 그 크기는 증가한다.
     3. 정지 시나 회전 시의 전 밑면이 받는 수압은 동일하다.
     4. 회전 시의 원통 밑면의 외측 수압강도는 정지시와 크기가 같다.

     정답 : []
     정답률 : 6%

51. 30t의 철근 콘크리트가 물속에 있을 때의 무게는? (단, 철근콘크리트의 비중은 2.4이다)(2011년 10월)
     1. 12.5t
     2. 15.7t
     3. 17.5t
     4. 19.7t

     정답 : []
     정답률 : 13%

52. 유속이 5m/sec이고, 압력 P = 5t/m2 일 때 총수두는?(2003년 05월)
     1. 5.0m
     2. 6.28m
     3. 7.36m
     4. 8.20m

     정답 : []
     정답률 : 10%

53. 개수로의 수심을 h, 평균유속을 V, 에너지 보정계수를 α라 할 때 비에너지(He)를 옳게 표시한 식은?(2004년 05월)
     1. He = h+αV
     2.
     3.
     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어떠한 경우라도 전단응력 및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전혀 압축되지도 않고, 마찰저항 hL=0인 유체는?(2016년 05월)
     1. 소성유체
     2. 점성유체
     3. 탄성유체
     4. 완전유체

     정답 : []
     정답률 : 73%

55. 부체의 경심(M), 부심(C), 무게중심(G)에 대하여 부체가 안정되기 위한 조건은?(2015년 03월)
     1. > 0
     2. = 0
     3. < 0
     4.

     정답 : []
     정답률 : 75%

56. 빙산이 바다 위에 떠있다. 해수면상의 부피가 900m3이면 빙산 전체의 부피는 얼마인가? (단, 빙산의 비중은 0.92, 해수의 비중은 1.025이다.)(2004년 09월)
     1. 8785.7m3
     2. 7758.7m3
     3. 6758.7m3
     4. 9785.7m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7. 개수로의 단면이 축소되는 부분의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상류가 유입되면 수심이 감소하고 사류가 유입되면 수심이 증가한다.
     2. 상류가 유입되면 수심이 증가하고 사류가 유입되면 수심이 감소한다.
     3. 유입되는 흐름의 상태(상류 또는 사류)와 무관하게 수심이 증가한다.
     4. 유입되는 흐름의 상태(상류 또는 사류)와 무관하게 수심이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58. 강우강도와 지속기간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08년 05월)
     1. 일반적으로 강우강도가 크면 클수록 그 강우가 계속되는 기간은 짧다.
     2. 강우강도-지속기간 관계는 도시지역 우수관계 설계 등을 위한 설계 유량의 결정에 유효하게 사용된다.
     3. 강우강도-지속기간 관계는 지역적인 특성은 무시할 수 있어 시간적인 특성만을 고려한다.
     4. 강우강도-지속기간 관계의 경험식으로는 Talbot형 등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59. 단면적이 50m2인 직사각형 단면수로에 있어서 수리상 유리한 단면은?(2004년 03월)

    

     1. B = 5m, h = 10m
     2. B = 10m, h = 5m
     3. B = 1m, h = 50m
     4. B = 50m, h = 1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0. 수면이 부체를 절단하는 가상면을 무엇이라 하는가?(2005년 05월)
     1. 부력면
     2. 부심면
     3. 부양면
     4. 흘수면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과목 :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압축철근비(ρ')가 0.01인 철근콘크리트보의 장기처짐계수 λ의 값은 얼마인가? (단, 하중재하기간은 1년이다.)(2002년 09월)
     1. 0.80
     2. 0.933
     3. 2.80
     4. 1.333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2. 단면 형상은 T형보이지만 설계 계산은 직사각형보와 같이 하는 경우는?(2016년 03월)

    

     1. bω ≤ t
     2. bω > t
     3. a ≤ t
     4. a > t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a= As*fy/ (0.85f'c*b) < t 일 경우 직사각형보로
[해설작성자 : 스노우맨69]

63. 옹벽에서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최소 몇 배 이상이어야 옹벽이 안정하다고 보는가?(2004년 03월)
     1. 1.5배
     2. 1.8배
     3. 2.1배
     4. 2.4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4.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등가직사각형 응력블록의 깊이(a)는? (단, As = 2382 mm2, fy = 400 MPa, fck = 28 MPa)(2019년 09월)

    

     1. 58.4mm
     2. 62.3mm
     3. 66.7mm
     4. 72.8mm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As x fy / 0.85 x fck x b
[해설작성자 : easy]

65. 합성형 교량에서 콘크리트 슬래브와 강재 보의 상부 플랜지를 일체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2018년 03월)
     1. 브레이싱
     2. 스티프너
     3. 전단 연결재
     4. 리벳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브래이싱(사세): 골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대각선으로 넣는 경사재
스티프너 : 철골보(H형강 등) Web 부분의 전단보강과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보강재이다.
리벳 : 판재를 영구적으로 결합시키는 연성금속핀으로 건축에선 강재와 강재를 연결할때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6. 그림과 같은 단면의 도심에 PS 강재가 배치되어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 힘 1500kN을 작용시켰다. 20%의 손실을 가정하여 콘크리트의 하연응력이 0이 되도록 하려면 이때의 휨모멘트 값은 얼마인가? (단, 자중은 무시함)(2005년 09월)

    

     1. 120 kNㆍm
     2. 230 kNㆍm
     3. 313 kNㆍm
     4. 431 kNㆍ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경간이 12m인 캔틸레버 보에서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보의 최소 두께로서 옳은 것은?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한 경우로서 fck=28MPa, fy=400MPa이다.)(2017년 03월)
     1. 580mm
     2. 750mm
     3. 1200mm
     4. 1500mm

     정답 : []
     정답률 : 42%

68. 다음 중 용접이음을 한 겨우 용접부의 결함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2019년 09월)
     1. 필릿(fillet)
     2. 크랙(crack)
     3. 언더컷(under cut)
     4. 오버랩(over lap)

     정답 : []
     정답률 : 59%

69. 상부철근(정착길이 아래 300m를 초과되게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친 수평철근)으로 사용되는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구하려고 한다. fck=21MPa, fy=300MPa을 사용한다면 상부철근으로서의 보정계수를 사용할 때 정착길이는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D29 철근으로 공칭지름은 28.6mm, 공칭단면적은 642mm2이고 기타의 보정계수는 적용하지 않는다.)(2014년 05월)
     1. 1,461mm
     2. 1,123mm
     3. 987mm
     4. 865mm

     정답 : []
     정답률 : 59%

70. 강도감소계수(ø)의 사용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8년 09월)
     1. 재료 강도와 치수가 변동할 수 있으므로 부재의 강도 저하 확률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서
     2. 초과하중 및 구조물의 용도변경에 따른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서
     3. 구조물에서 차지하는 부재의 중요도 등을 반영하기 위해서
     4. 부정확한 설계 방정식에 대비한 여유를 반영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44%

71. 다음의 프리스트레스 손실원인 중 프리스트레스 도입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발생하는 손실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2008년 03월)
     1. 정착장치의 활동
     2. PS강재의 릴랙세이션
     3. 콘크리트의 크리프
     4.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정답 : []
     정답률 : 34%

72. 강도 설계법에서 힘 부재의 등가 사각형 압축 응력 분포의 깊이(a)는 아래의 표와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 압축강도(fck)가 40MPa인 경우 β1의 값은?(2018년 03월)

    

     1. 0.683
     2. 0.712
     3. 0.766
     4. 0.801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fck 40보다 크거나 같으면 0.80 라고 책에 나와있어요
[해설작성자 : 123]

73. PSC에서 콘크리트의 응력해석에서 균열 발생 전 해석상의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3월)
     1. 콘크리트와 PS강재 및 보강철근을 탄성체로 본다.
     2. RC에 적용되는 강도이론을 그대로 적용한다.
     3. 콘크리트 전단면을 유효하다고 본다.
     4. 단면의 변형률은 중립축에서의 거리에 비례한다고 본다.

     정답 : []
     정답률 : 69%

74. 아래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Asʹ=1916-mm2, As=4790mm2이다. 등가 직사각형의 응력의 깊이 a는? (단, fck=28MPa, fy=400MPa이다.)(2018년 03월)

    

     1. 157mm
     2. 161mm
     3. 173mm
     4. 185mm

     정답 : []
     정답률 : 62%

75. b = 200mm, d = 500mm, As = 2000mm2인 단철근 직사각형보의 응력 4각형의 깊이 a 는? (단, fy=400MPa(=4000㎏f/cm2), fck=25MPa(=250㎏f/cm2))(2004년 03월)
     1. 223 mm
     2. 145 mm
     3. 188 mm
     4. 109 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6. PS콘크리트 구조물 설계시 균열발생전에 단면에 일어나는 응력해석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3월)
     1. 단면의 변형은 중립축으로 부터 거리에 비례한다.
     2. 콘크리트와 PS 강재 및 보강철근은 탄성체로 본다.
     3. 콘크리트의 인장측 인장응력은 무시한다.
     4. 긴장재를 부착시키기 전의 단면 계산에서는 덕트의 단면적을 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13%

77. PS 강재에 요구되는 성질이 아닌 것은?(2016년 03월)
     1. 인장강도가 클 것
     2. 릴랙세이션이 적을 것
     3. 취성이 좋을 것
     4. 응력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클 것

     정답 : []
     정답률 : 48%

78. 그림과 같은 연결에서 리벳의 강도는? (단, 허용전단응력은 130MPa, 허용지압응력은 300MPa)(2009년 03월)

    

     1. 73.7kN
     2. 85.5kN
     3. 89.4kN
     4. 92.8kN

     정답 : []
     정답률 : 15%

79. 철근 콘크리트보에서 스터럽을 배근하는 이유로 가장 중요한 것은?(2017년 03월)
     1. 보에 작용하는 사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2. 주철근 상호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3. 콘크리트의 부착을 좋게 하기 위하여
     4. 압축을 받는 쪽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62%

80. 철근의 피복 두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주철근의 표면에서 콘크리트의 표면까지의 최단거리이다.
     2. 부착응력을 확보한다.
     3. 침식이나 염해 또는 화학작용으로부터 철근을 보호한다.
     4. 철근이 산화되지 않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5과목 : 토질 및 기초


81. CBR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2005년 05월)
     1. CBR 값은 강성포장의 두께를 결정하는데 주로 쓰이는 값이다.
     2. CBR 시험은 실내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현장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3. 다짐한 흙시료에 직경 5㎝의 강봉을 관입시켰을 때의 관입량과 하중강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값이다.
     4. CBR5.0 > CBR2.5의 경우 재시험하고 그래도 CBR5.0가 CBR2.5보다 클 때는 CBR5.0 값을 CBR 값으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50t의 집중하중이 지표면에 작용할 때 3m 떨어진 점의 지하 5m 위치에서의 연직응력은 얼마인가? (단, 영향계수는 0.2214이다.)(2007년 05월)
     1. 0.392t/m2
     2. 0.443t/m2
     3. 0.526t/m2
     4. 0.610t/m2

     정답 : []
     정답률 : 20%

83. 어떤 유선망도에서 상하류의 수두차가 3m, 투수계수가 2.0×10-3cm/sec, 등수두면의 수가 9개, 유로의 수가 6개일 때 단위폭 1m당 침투량은?(2014년 05월)
     1. 0.0288m3/hr
     2. 0.1440m3/hr
     3. 0.3240m3/hr
     4. 0.3436m3/hr

     정답 : []
     정답률 : 59%

84. 어떤 점성토에 수직응력 40㎏/㎝2를 가하여 전단시켰다. 전단면상의 공극수압이 10㎏/㎝2이고 유효응력에 대한 점착력,내부마찰각이 각각 0.2㎏/㎝2, 20° 이면 전단 강도는 얼마인가?(2003년 08월)
     1. 6.4㎏/㎝2
     2. 10.4㎏/㎝2
     3. 11.1㎏/㎝2
     4. 18.4㎏/㎝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아래 그림과 같은 지반의 점토 중앙 단면에 작용하는 유효응력은?(2016년 10월)

    

     1. 3.06t/m2
     2. 3.27t/m2
     3. 3.53t/m2
     4. 3.71t/m2

     정답 : []
     정답률 : 52%

86. Terzaghi의 지지력 공식에서 고려되지 않는 것은?(2006년 09월)
     1. 흙의 내부 마찰각
     2. 기초의 근입깊이
     3. 압밀량
     4. 기초의 폭

     정답 : []
     정답률 : 24%

87. 평균 기온에 따른 동결지수가 520°C · days였다. 이 지방의 정수(C)가 4일 때 동결깊이는? (단, 데라다 공식을 이용한다.)(2020년 06월)
     1. 130.2cm
     2. 102.4cm
     3. 91.2cm
     4. 22.8cm

     정답 : []
     정답률 : 46%

88. 사질지반에 있어서 강성기초의 접지압 분포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2005년 05월)
     1. 기초의 모서리 부분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2. 기초의 중앙부에서 최대응력이 발생한다.
     3. 기초의 밑면에서는 어느 부분이나 동일하다.
     4. 기초 밑면에서의 응력은 토질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연약지반에 말뚝을 시공한 후, 부의 주면마찰력이 발생되면 말뚝의 지지력은?(2015년 09월)
     1. 증가된다.
     2. 감소된다.
     3. 변함이 없다.
     4.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90. 점토지반에서 N치로 추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상대밀도
     2. 컨시스턴시
     3. 일축압축강도
     4. 기초지반의 허용지지력

     정답 : []
     정답률 : 52%

91. 분사현상(quick sand action)에 관한 그림이 아래와 같을 때 수두차 h를 최호 얼마 이상으로 하면 모래시표에 분사현상이 발생하겠는가? (단, 모래의 비중 2.6, 공극률 50%)(2009년 03월)

    

     1. 6cm
     2. 12cm
     3. 24cm
     4. 30cm

     정답 : []
     정답률 : 54%

92. 다음 전단 시험법 가운데 간극수압을 측정하여 유효 응력으로 정리하면 압밀배수 시험(CD-test)과 거의 같은 전단상수를 얻을 수 있는 시험법은?(2004년 05월)
     1. 비압밀 비배수시험(UU-test)
     2. 직접전단시험
     3. 압밀 비배수시험(CU-test)
     4. 일축압축시험(qu-tes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사질토의 최대 건조단위중량은 점성토의 최대 건조 단위 중량보다 크다.
     2. 점성토의 최적함수비는 사질토의 최적함수비 보다 크다.
     3. 영공기 간극곡선은 다짐곡선과 교차할 수 없고, 항상 다짐곡선의 우측에만 위치한다.
     4. 유기질 성분을 많이 포함할수록 흙의 최대 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는 감소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영공기 간극곡선은 흙의 최적.최대의 간극이다.
사질토 : 모래
점질토 : 점토
흙의 종류에 따라 최대 건조단위중량과 최적함수비가 결정된다
그러므로 유기질 성분은 상관없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4.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들밀도 시험에서 모래를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을 알기 위해서인가?(2005년 09월)
     1.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중량
     2. 시험구멍의 부피
     3. 시험구멍에서 파낸 흙의 함수상태
     4. 시험구멍의 밑면의 지지력

     정답 : []
     정답률 : 10%

95.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는 Sander 의 공식은? (단, Ra : 허용지지력, S : 관입량, WH : 해머의 중량, H : 낙하고)(2009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2%

96. 그림과 같이 2개층으로 구성된 지반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등가투수계수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5년 03월)

    

     1. 3.89×10-4cm/sec
     2. 7.78×10-4cm/sec
     3. 1.57×10-3cm/sec
     4. 3.14×10-3cm/sec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k1 과 k2 의 10 에 제곱을 - 로 해야합니다

[추가 오류 신고]
-3승과 -4승 이어야하네요

97. 연약한 점토지반의 전단강도를 구하는 현장시험 방법은?(2003년 08월)
     1. 평판재하 시험
     2. 현장 CBR 시험
     3. 직접전단 시험
     4. Vane 시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해머의 낙하고 2m, 해머의 중량 4t, 말뚝의 최종 침하량이 2cm일 때 Sander공식을 이용하여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구하면?(2003년 08월)
     1. 50 t
     2. 100 t
     3. 80 t
     4. 160 t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9. 그림과 같은 다짐곡선을 보고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A는 일반적으로 사질토이다.
     2. B는 일반적으로 점성토이다.
     3. C는 과잉 간극 수압곡선이다.
     4. D는 최적 함수비를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71%

100. Boiling 현상은 주로 어떤 지반에 많이 생기는가?(2009년 03월)
     1. 모래지반
     2. 사질점토지반
     3. 보통토
     4. 점토질지반

     정답 : []
     정답률 : 22%

101. 계획급수인구가 5,000명이고 1인 1일 최대급수량이 200ℓ이며, 여과속도는 130m/day인 급속여과지의 면적은?(2004년 03월)
     1. 7.69m2
     2. 15.38m2
     3. 30.76m2
     4. 76.92m2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2. 유량이 1000m3/day이고 BOD가 100mg/L인 폐수를 유효용량 200m3인 포기조에서 처리할 경우 BOD 용적부하는?(2017년 09월)
     1. 0.5kg/m3·day
     2. 5.0kg/m3·day
     3. 10.0kg/m3·day
     4. 12.5kg/m3·day

     정답 : []
     정답률 : 39%

103. 유수지(우수조정지)설치 계획에 관한 설명중 틀린 것은?(2002년 09월)
     1. 하류관거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곳
     2. 입구와 출구가 자연유하식으로 경제적인 곳
     3. 펌프 압송식일 경우 펌프장의 침수우려가 적은 곳
     4. 유수지의 구조는 댐식인 경우 15m이상으로 안전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4. 어느 마을의 고지대 일부에서 상수도 수압이 너무 낮아서 물이 잘 나오지 않고 있다. 수압을 높여주기 위한 다음의 조치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2002년 05월)
     1. 근처에 배수탑을 설치한다.
     2. 주위지역의 관경을 줄여준다.
     3. 배수펌프를 설치한다.
     4. 관망을 수지형에서 격자형으로 연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5. 취수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9월)
     1. 최소수심이 2m 이상은 확보되어야 한다.
     2. 연중 수위변화의 폭이 큰 지점에는 부적합하다.
     3. 취수탑의 취수구 전면에는 스크린을 설치한다.
     4. 취수탑은 하천, 호소, 댐 내에 설치된 탑모양의 구조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36%

106. 염소살균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4월)
     1. 살균력이 뛰어나다.
     2. 설비 및 주입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다.
     3. THMs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4.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107. 정수시설 중 급속여과지의 여과모래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1년 10월)
     1. 유효경은 0.45~1.0mm 중에서 적정한 입경을 선정하여 사용한다.
     2. 균등계수는 1.0 이하이어야 한다.
     3. 최대경은 2.0mm를 넘지 않아야 한다.
     4. 마모율은 3% 이하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108. 강우강도 유입시간180초, 유역면적 4km, 유출계수 0.9, 하수관내 유속 50m/min인 경우에 길이1km의 하수관 peak 유량은? (여기서, t는 분단위)(2008년 03월)
     1. 43.7m3/sec
     2. 73.52m3/sec
     3. 95.41m3/sec
     4. 102.43m3/sec

     정답 : []
     정답률 : 46%

109. 취수시설 중 취수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20년 08월)
     1. 큰 수위변동에 대응할 수 있다.
     2. 지하수를 취수하기 위한 탑 모양의 구조물이다.
     3. 유량이 안정된 하천에서 대량으로 취수할 때 유리하다.
     4. 취수구를 상하에 설치하여 수위에 따라 좋은 수질을 선택하여 취수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47%

110. 하수관거의 유속 및 최소관경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2009년 05월)
     1.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관경은 250mm를 표준으로 한다.
     2.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한 오수관거 최소유속은 0.6m/s로 한다.
     3. 계획우수량에 대한 우수관거 및 합류관거의 최소 유속은 0.4m/s로 한다.
     4. 오수관거의 최소관경은 200mm를 표준으로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111. 하수관거 접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g(2017년 03월)
     1. 2개의 관거가 합류하는 경우 두 관의 중심교각은 가급적 60° 이하로 한다.
     2. 지표의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단차접합 또는 계단접합으로 한다.
     3. 2개의 관거가 합류하는 경우의 접합방법은 관저접합을 원칙으로 한다.
     4. 접속 관거의 계획수위를 일치시켜 접속하는 방법을 수면접합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112. 다음 중 BOD 값이 크게 나타나는 경우는?(2017년 09월)
     1. 영양염류가 풍부한 경우
     2. DO 농도가 큰 경우
     3. 유기물질이 많은 경우
     4. 미생물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

     정답 : []
     정답률 : 51%

113. 계획우수량의 고려 사항에 관한 설명으로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우수유출량의 산정을 위한 합리식에서 I는 관거의 동수경사를 나타낸다.
     2. 하수관거의 확률년수는 10∼30년을 원칙으로 한다.
     3. 유달시간은 유입시간과 유하시간을 합한 것이다.
     4. 총 유하시간은 관거 구간마다의 거리와 계획유량에 대한 유속으로부터 구한 구간 당 유하시간을 합계하여 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44%

114. 복류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3월)
     1. 비교적 양호한 수질을 얻을 수 있다.
     2. 지표수의 한 종류로 하천수보다 수질이 양호하다.
     3. 정수공정에 이용 시 침전지를 반드시 확보해야 한다.
     4. 조류 등의 부유 생물 농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55%

115. 인구 1인당 생활오수의 BOD오염부하 원단위를 50g/인·일 이라 할때 인구 10만 도시의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BOD부하는?(2007년 03월)
     1. 5000kg/일
     2. 500kg/일
     3. 50kg/일
     4. 50ton/일

     정답 : []
     정답률 : 55%

116. 하수처리장 2차침전지에서 슬러지 부상이 일어날 경우 관계되는 작용은?(2018년 04월)
     1. 질산화반응
     2. 탈질반응
     3. 핀플록반응
     4. 프라즈마반응

     정답 : []
     정답률 : 48%

117. 2000t/day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는 원형방사류식 침전지에서 체류시간은? (단, 평균수심 3m, 지름 8m)(2019년 04월)
     1. 1.6시간
     2. 1.7시간
     3. 1.8시간
     4. 1.9시간

     정답 : []
     정답률 : 57%

118. 유역면적 2㎞2, 유출계수 0.6인 어느 지역에서 2시간 동안에 70㎜의 호우가 내렸다. 합리식에 의한 이 지역의 우수 유출량은?(2005년 05월)
     1. 10.5m3/sec
     2. 11.7m3/sec
     3. 42.0m3/sec
     4. 70.0m3/sec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9. 다음 하수도의 구성에 대한 설명중 맞는 것은?(2002년 09월)
     1. 하수의 집수시설에서 펌프시설은 필요없다.
     2. 하수처리 시설은 생물학적 처리 공정시설만을 의미한다.
     3. 하수배제 방식은 합류식과 분류식으로 대별할 수 있다.
     4. 배수계통 형식 중 방사식이 가장 좋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0. 상수도계통에서 배수지로 가장 적당한 위치는?(2006년 09월)
     1. 충분한 수압을 가지고 취수시설에 가까운 곳
     2. 충분히 정화시킬 수 있는 정수시설에서 가까운 곳
     3. 충분한 수량을 취수할 수 있는 수원지에서 가까운 곳
     4. 급수구역에서 가깝고 적당한 수두를 얻을 수 있는 곳

     정답 : []
     정답률 : 24%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08933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96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1월31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5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76196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4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358982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5
5893 9급 지방직 공무원 정보보호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68850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92 압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1 조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890 9급 국가직 공무원 관세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9 워드프로세서 (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895495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항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87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69172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86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1110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85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7월3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4 수능(생명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883 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1월22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82 통신설비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10999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08933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80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79 영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78 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877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04 Next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