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63615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1. 다음 질문기법을 사용하는 상담이론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단기상담을 지향한다.
     2. 과거보다 현재와 미래에 초점을 맞춘다.
     3. 문제의 심층적 원인이나 근원에 주의를 기울인다.
     4. 내담자는 상담 전에 이미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5. 내담자를 전문가로 여기고 호기심 어린 자세와 가설적인 태도로 대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2. 상담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0%

3. 게슈탈트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증상을 제거하는 데 있다.
     2. 내파층은 부모나 환경의 기대에 따라 행동하며 살아가는 단계이다.
     3. 뜨거운 의자(hot seat)는 새로운 방식을 실험해 보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반전은 감각을 둔화시켜 자신 및 환경과의 접촉을 약화시키는 접촉경계장애이다.
     5. 알아차림 접촉 주기는 욕구출현-알아차림-에너지 동원-행동-접촉-물러남 과정으로 반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① 경험을 지각하는가가 중요
② 내적파열층 : 욕구를 인식하나 억압함.    ② 연기층
③ 실험기법
④ 반전 : 다른사람에게 하려는 것을 자신에게 하는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얄롬(I. Yalom)이 제시한 인간의 궁극적 관심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ㄷ, ㄹ
     2. ㄱ, ㄴ, ㄹ, ㅁ
     3. ㄴ, ㄷ, ㅁ, ㅂ
     4. ㄴ, ㄹ, ㅁ, ㅂ
     5. ㄷ, ㄹ, ㅁ, ㅂ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ㄹ. 의지
: 프랭클이 의미치료에서 중요시 하는 개념으로 의지의 자유, 의미에 대한 의지, 삶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해설작성자 : ccccar]

4가지 실존적 갈등: 죽음, 자유, 무의미, 고독
[해설작성자 : 차차]

5. 청소년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상담의 비밀보장을 위해 부모나 학교의 개입을 배제한다.
     2. 컴퓨터나 전화를 이용한 매체상담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상담한다.
     3. 내담자의 건전한 발달과 성장을 위해 예방보다는 문제 발생 후 치료에 초점을 둔다.
     4. 청소년의 성격, 환경, 호소문제가 성인과 다르지 않으므로 성인상담의 축소판으로 본다.
     5.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 때문에 대규모 집단 프로그램이나 교육은 비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6. 인간중심 상담에서 위기 상황 시 우선 할 수 있는 개입은?(2021년 10월)
     1. 즉각적으로 문제해결 개입을 한다.
     2. 위기 수준에 상관없이 지시를 한다.
     3. 행동과 태도의 부조화를 다룬다.
     4. 고통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경청한다.
     5. 신속하고 정확한 심리평가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7. 다음은 게슈탈트 상담의 주요 개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ㄱ) 내사 (ㄴ) 투사
     2. (ㄱ) 투사 (ㄴ) 내사
     3. (ㄱ) 융합 (ㄴ) 탈감각
     4. (ㄱ) 탈감각 (ㄴ) 융합
     5. (ㄱ) 융합 (ㄴ) 저항

     정답 : []
     정답률 : 81%

8. 사례개념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에 대한 잠정적인 가설이다.
     2. 내담자에 대한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수정, 보완할 수 있다.
     3. 상담자의 전문적 소견이므로 이론적, 추상적 용어를 사용한다.
     4. 사례개념화는 구체적인 상담개입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5. 사례개념화의 목적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계획을 세우는 데 있다.

     정답 : []
     정답률 : 89%

9. 다음 사례에서 상담자가 종결단계에 질문하고 있는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25년 09월)

   

     1. 상담성과 다루기
     2. 이별 감정 다루기
     3. 정보 제공하기
     4. 행동 계획하기
     5. 추수상담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호르몬의 변화로 급격한 신체적 성숙이 이루어진다.
     2. 자신의 신체나 외모에 대해 사회문화적 기준을 고려한다.
     3. 자아중심성이 두드러진다.
     4. 친구관계에서 또래 동조성이 낮아진다.
     5. 인지적 발달에 따라 형식적 조작능력이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행동분석 A-B-C에서 A가 의미하는 것은?(2021년 10월)
     1. 태도(Attitude)
     2. 활성화 사건(Activating event)
     3. 감정(Affection)
     4. 통각(Apperception)
     5. 선행사건(Antecedent)

     정답 : []
     정답률 : 85%

12.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그 친구를 떠올리면 분노가 치밀어 오르나요?” 라고 물었다. 이 질문유형의 장점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해당 질문은 폐쇄형 질문으로서 내담자의 감정에 초점을 둔 질문이다.
- 폐쇄형 질문은 내담자의 자기이해를 증진하고 대화의 방향성을 명확히 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13. 상담의 구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상담 초기를 비롯하여 모든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2. 상담자와 내담자의 공감적 탐색과 합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3. 상담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많이 이루어질수록 좋다.
     4. 내담자가 상담이나 상담자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를 갖는 경우 더욱 필요하다.
     5. 내담자 정보에 대한 상담자의 비밀보장은 예외가 있음을 확실히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4. 아들러(A. Adler)의 개인 심리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인간의 모든 행동에는 목적성이 있다고 본다.
     2. 인간 행동의 기본적인 목적은 열등감의 극복이다.
     3. 전체적 관점보다는 분석적 관점에서 인간의 개인성을 강조한다.
     4. 생활양식은 개인이 지니는 독특한 삶의 방식으로 가족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5. 출생순위는 성격형성 과정에 중요한 요인이지만 가족 내 역할과 심리적 출생순위가 더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완전함을 향해 나아가는 전체론적인 존재
[해설작성자 : .]

15. 다음 대화에서 상담자가 사용하는 기법은?(2018년 10월)

    

     1. 투사
     2. 직면
     3. 해석
     4. 재진술
     5. 감정반영

     정답 : []
     정답률 : 80%

16. 정신분석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신경증적 불안은 주로 초자아와 관련되어 있다.
     2. 훈습에는 내담자의 저항을 정교하게 탐색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3. 상담자의 해석은 내담자의 방어기제와 저항에 대한 통찰을 얻게 한다.
     4. 역전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일으키는 전이현상으로 상담의 진전을 방해할 수 있다.
     5.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불안을 야기하는 억압된 충동을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신경증적 불안은 원초아(이드)와 관련이 있다.
- 초자아와 관련이 있는 것은 도덕적 불안이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17. 상담 과정 및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상담 구조화는 중기 이후에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2. 종결단계에서는 내담자의 주요 변화 요인을 평가한다.
     3. 내담자의 호소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어야 종결할 수 있다.
     4. 직면은 공감이 배제된 상태에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해석으로 제공되는 내용은 상담자의 준거체계에 맞추어야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18. 다음 상담자의 언어반응은 어떤 상담기술에 해당하는가?(2021년 10월)

    

     1. 해석
     2. 즉시성
     3. 직면
     4. 정보제공
     5. 요약

     정답 : []
     정답률 : 86%

19. 상담시간에 계속 지각하는 고2 내담자 A에게 상담자가 사용한 상담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내담자로 하여금 다른 관점으로 문제를 볼 수 있도록 행동, 사고, 감정에 새로운 의미를 제공한다.
     2. 내담자의 경험, 행동, 사고에 대한 상담자의 경험 또는 감정을 구두로 전달하는 것이다.
     3. 내담자의 자기탐색을 촉진하고 내담자 또는 관계에 초점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4. 상담회기 중 특정 사건,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 반응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5. 상담자들은 종종 이 반응이 내담자를 화나게 만들지 않을까 걱정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 해석에 해당
[해설작성자 : Su]

20. 현실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유머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2. 의도적으로 능동태 또는 진행형 동사를 많이 사용한다.
     3. 은유적 표현을 지양하고 현실적인 표현에 귀 기울인다.
     4. 부정적인 것을 줄이기보다 긍정적인 것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춘다.
     5. 내담자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인식시켜 자신의 말과 행동에 책임지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21. 청소년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청소년의 당면한 문제 해결에만 초점을 둔다.
     2.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을 하기보다 대면상담에 주력한다.
     3. 문제의 예방은 교육적 차원이므로 상담목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4. 청소년상담과 성인상담은 목표나 방법 등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
     5. 청소년뿐만 아니라 청소년 관련인과 청소년 관련기관도 대상에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87%

22. 다음은 교류분석 상담의 주요개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ㄱ: 이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상보교류
     2. ㄱ: 이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잠재적 교류
     3. ㄱ: 상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이면교류
     4. ㄱ: 상보교류, ㄴ: 이면교류, ㄷ: 교차교류
     5. ㄱ: 상보교류, ㄴ: 잠재적 교류, ㄷ: 교차교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지역사회 청소년통합지원체계(CYS-N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이 체계는「청소년 보호법」제4장에 규정되어 있다.
     2. 필수연계기관에 지방고용노동청 및 지청이 포함되어 있다.
     3. 지역사회기반으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4. 위기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자발적인 지역주민모임이 있다.
     5. '위기청소년 발견', '상담개입', '통합서비스 제공'이라는 세 가지 운영 모듈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이 체계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4장'에 규정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길이요~진리요~]

24. 청소년 내담자 A와의 대화에서 상담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한 상담기술은?(2023년 09월)

    

     1. 반영
     2. 명료화
     3. 요약
     4. 공감
     5. 앵무새 말하기

     정답 : []
     정답률 : 80%

25. 사례에서 상담자가 사용한 기법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재진술
     2. 직면
     3. 공감
     4. 해석
     5. 즉시성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26. 연구변인을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10월)
     1. 조사연구의 타당한 측정도구를 만들기 위해
     2. 실험연구의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높이기 위해
     4. 후속연구의 발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5. 연구참여자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정답 : []
     정답률 : 64%

27. 정규분포를 가정하며 평균 100, 표준편차 15, 신뢰도 0.84인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측정의 표준오차는 6이다.
     2. 이 척도에서 100점을 얻은 사람의 진점수가 대략 94~106점 사이에 있을 가능성이 95%이다.
     3. 관찰점수 분산에 대한 오차점수의 분산비율은 0.16이다.
     4. 이 척도의 규준집단에서 약 95%는 70~130점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5. 관찰점수 분산에 대한 진점수의 분산비율은 0.84이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2. 95% 신뢰수준 : 100±1.96SE -> 100±1.96×6 / 88∼111점 사이에 있음
1. 측정의 표준오차 : 표준편차*√1-신뢰도 -> 15*0.4 = 6
3. 1−0.84=0.16
4. 평균에서 2시그마가 95%정도임 -> 2시그마=30 / 70~130 범위
5. 관찰점수 분산에 대한 진점수의 분산비율이 신뢰도에 대한 설명임 -> 0.8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연구 수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61%

29. 다음 중 비확률표집이 아닌 것은?(2022년 10월)
     1. 군집표집(cluster sampling)
     2. 할당표집(quota sampling)
     3.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4.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
     5. 판단표집(judgement sampling)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활률표집 = 단순무작위/ 게통/층화/집락(군집)/ 행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링컨과 구바(Y. Lincoln & E. Guba)가 제시한 질적연구의 진실성(trustworthiness)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10월)
     1. 포화성
     2. 전이가능성
     3. 안정성
     4. 확증가능성
     5. 신뢰성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질적연구의 진실성: 전이가능성, 안정성, 확증가능성, 신뢰성
포화성은 연구과정 중 표본의 크기를 정할 때 기분으로 연구자가 자료의 원인, 맥락, 결론 등과 관련된 질문에 대답할 수 있다면 자료는 포화된 것이다.
[해설작성자 : ???]

31. 모집단으로부터 표본 추출 시 표본의 크기(수)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2.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69%

32. 통계적 검정력(statistical p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4%

33. 척도 (평균 10.0, 표준편차 3.0)의 예측타당도를 추정하기 위해 준거척도 (평균 3.0, 표준편차 1.0)와의 상관을 계산한 결과 =0.6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척도 A에서 타당하지 못한 점수의 분산비율은 0.4이다.
     2.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는 점수의 분산은 9.0이다.
     3.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지 않는 점수의 분산은 0.6이다.
     4.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는 점수의 분산비율은 0.36이다.
     5. 척도 A의 점수로 준거척도 의 점수를 예언할 때, 예언된 점수와 실제점수 간 차이의 표준편차는 1.0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34. '자기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서로 구분되는 독특한 구인인지 알아보기 위해 활용한 분석법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종속변수와의 단순상관이 높은 변수를 먼저 투입하는 방식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2. 두 변수의 분산이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지를 카이자승으로 검정한다.
     3. 종속변수에 대한 두 변수의 주효과가 유의한지를 분산분석으로 검정한다.
     4. 두 변수를 모두 투입했을 때 나타나는 설명량 값이 유의한지를 표준 회귀분석으로 검정한다.
     5. 두 번째 변수를 투입한 후 나타난 설명량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35. 척도의 신뢰도(reliabil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2.
     3. ㄱ, ㄹ
     4.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반분신뢰도는 문항이 두 개 이상일 때만 계산 가능
신뢰도는 대상 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크론바흐알파는 내적 일관성 측정 지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각각의 사례에 적절한 분석 방법을 옳게 짝지은 것은?(2024년 10월)

    

     1. ㄱ: 경로분석, ㄴ: 위계적 회귀분석
     2. ㄱ: 요인분석, ㄴ: 경로분석
     3. ㄱ: 군집분석, ㄴ: 메타분석
     4. ㄱ: 군집분석, ㄴ: 위계적 회귀분석
     5. ㄱ: 메타분석, ㄴ: 반복측정 분산분석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군집분석: 하위척도 점수 기반 집단 구분
위계적 회기분석: A와 B의 관계에서 c의 조절 효과 검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다음 중 연구의 패러다임이 다른 것은?(2021년 10월)
     1.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지 않음
     2. 비구조화된 질적 자료의 수집
     3. 현상학(phenomenology)적 인식론
     4. 특정 현상에 대한 해석이나 의미의 차이 이해
     5. 대표성을 갖는 크기가 큰 표본의 활용

     정답 : []
     정답률 : 79%

38.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명목척도에는 성별, 전화번호 등이 있다.
     2. 서열척도는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3. 등간척도를 이용하여 평균값, 표준편차, 상관계수를 구할 수 있다.
     4. 서스톤척도는 척도들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 하여 등간격척도라고도 한다.
     5. 거트만척도는 인종적 편견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사회적 거리척도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5. 보가더스 척도(Bogardus scale)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이번시험합격]

39.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8년 10월)
     1. 신뢰도는 관찰점수분산에서 진점수분산이 차지하는 비율로 정의된다.
     2. 동일한 자료라면 Cronbach  계수, KR-21, Hoyt 신뢰도는 동일한 값이 산출된다.
     3. KR-20은 KR-21과 달리 이분(dichotomous)문항인 경우에만 활용할 수 있다.
     4. 신뢰도가 .80이라는 것은 100번을 측정했을 때 그 중 80번은 믿을 수 있는 값이 산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5. 반분신뢰도를 추정하는 과정에는 스피어만 브라운 공식으로 교정하는 절차가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50%

40. 자료의 총체로부터 귀납적으로 이론을 개발하는 방법으로서,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에 기초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며, 분석적 귀납법이라고 부르는 과정을 통해 이론을 개발하는 연구방법은?(2024년 10월)
     1. 현상학적 연구
     2. 사례연구
     3. 문화기술지 연구
     4. 합의적 질적 연구
     5. 근거이론 연구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 현상학적 연구는 하나의 개념이나 현상에 여러 개인적 체험의 본질을 기술함
2. 사례연구는 소수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다루어 문제 종합적으로 파악함
3. 문화기술지 연구는 특정 집단원들이 사용하는 사물들을 현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기술함
4. 합의적 질적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 구성원들을 참여시켜 양적 연구 과정의 엄밀함을 도입하여 체계적인 분석과 구성원의 합의 강조함
5. 근거이론 연구는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어떤 현상에 대해 하나의 이론을 귀납적으로 끌어내는 질적연구방법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1. 유사실험설계(quasi - experimental desig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험전 상태가 동일하다.
     2. 진실험설계와 유사한 수준의 외생변수통제 효과를 갖는다.
     3. 단일집단시계열실험설계는 유사실험설계에 해당한다.
     4. 피험자를 무선배치한다.
     5. 진실험설계에 비해 내적타당도 확보가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외적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정도이다.
     2. 무선표집은 외적타당도의 저해요인이다.
     3.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표본의 대표성을 높여야한다.
     4. 연구결과의 이용을 위해 내적타당도와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5. 연구결과의 적용 대상, 시점, 환경의 확장과 관련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43. 질적 연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수행되고 밀접한 상호작용이 자료의 원천이다.
     2. 면접, 관찰, 문서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을 수집한다.
     3. 참여자의 관점ㆍ의미 또는 참여자의 다양한 주관적 견해에 초점을 맞춘다.
     4. 이론과 가설은 수집된 자료로부터 연역적 방법으로 진화하여 발견된다.
     5. 연구설계에 있어서 초기계획이 엄격하게 규정되지 않고, 연구과정이 유연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44. 단순회귀 모형 Yi = b0 + b1Xi + εi와 결정계수 R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R2 값은 X에 의해 설명되는 Y분산의 비율을 의미한다.
     2. b1은 독립변수 X가 한 단위 변화할 때 Y가 변화하는 양이다.
     3. ε의 기댓값은 0이다.
     4.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인과관계의 충분조건이 된다.
     5. b0는 X가 0일 때 Y의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할 뿐, 인과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

45.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존재하지 않은 데이터를 허위로 만들어 내는 것은 위조에 해당한다.
     2. 존재하지 않은 연구결과를 허위로 만들어 내는 것은 변조에 해당한다.
     3. 타인의 아이디어를 정당한 승인 또는 인용 없이 활용하는 것을 표절이라 한다.
     4. 연구에 기여하지 않은 사람에게 논문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부당한 저자표시이다.
     5. 이전에 출판된 자신의 연구결과를 해당 사실을 밝히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46. 다음은 또래관계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Wilks'λ 값을 보면 또래관계 유형 간 심리적 특성의 차이가 있다.
     2. 단계적 F 값은 종속변수 간 공변량 효과 검증 전에 값으로 교정을 위한 추가분석이 필요하다.
     3. η2값이 클수록 각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설명력이 증가한다.
     4. 독립변수가 외로움의 총 변화량 63%를 설명한다.
     5. 또래관계 유형에 따라 불안, 우울, 외로움, 수줍음, 충동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 .05)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47. 다음 연구사례에 해당하는 분석방법은?(2020년 10월)

    

     1. 경로분석
     2. 횡단적 경향분석
     3. 중다회귀분석
     4. 잠재성장모형
     5. 계층적 군집분석

     정답 : []
     정답률 : 43%

48. 다음은 김교사와 이교사가 학생 30명의 수행평가 결과를 각각 상, 중, 하로 평정한 결과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상 - 상 셀의 기대빈도는 4.8이다.
     2. 중 - 중 셀의 기대빈도는 4.2이다.
     3. 하 - 하 셀의 기대빈도는 3이다.
     4. 채점자간 일치율은 0.98이다.
     5. Kappa계수는 약 0.347이다.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기대빈도계산법
(행총합*열총합)/총표본수
1. (12×12)/30=144/30=4.8
2. (10×12)/30=120/30=4
3. (8×6)/30=48/30=1.6

채점자간 일치율 계산법
두 교사가 동일하게 채점한 점수들의 합/총표본수
4. 24 / 30 = 0.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명목변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적합한 집중경향(central tendency) 측정치는?(2022년 10월)
     1. 산술평균값
     2. 조화평균값
     3. 기하평균값
     4. 중앙값
     5. 최빈값

     정답 : []
     정답률 : 62%

50. 자살생각 예방프로그램이 자살생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10명의 내담자를 무선표집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이전, 중간, 마무리의 세 시점에서 자살생각을 반복 측정하였다. 효과 검증에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비모수 통계방법은?(2018년 10월)
     1. Mann-Whitney U 검정
     2. Friedman 검정
     3. Wilcoxon 검정
     4. Kruskal-Wallis 검정
     5. 반복측정 분산분석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Mann-Whitney U 검정 : 두 개의 독립적인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3. Wilcoxon 검정 : 두 개의 관련 표본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4. Kruskal-Wallis 검정 : 세 개 이상의 독립적인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5. 반복측정 분산분석 : 모수통계방법.

2. Friedman 검정 : 세 개 이상의 관련 표본(동일한 대상에 대해 3회 이상 반복 측정)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51. 다음 ( )에 들어갈 학자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5년 09월)

    

     1. ㄱ: 캐롤(J. Carroll), ㄴ: 서스톤(L. Thurstone)
     2. ㄱ: 갈톤(F. Galton), ㄴ: 가드너(H. Gardner)
     3. ㄱ: 카텔(R. Cattell), ㄴ: 서스톤(L. Thurstone)
     4. ㄱ: 캐롤(J. Carroll), ㄴ: 가드너(H. Gardner)
     5. ㄱ: 갈톤(F. Galton), ㄴ: 카텔(R. Cattel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심리검사의 개발 순서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ㄱ - ㅁ - ㄴ - ㄷ - ㄹ
     2. ㄴ - ㅁ - ㄱ - ㄷ - ㄹ
     3. ㄴ - ㅁ - ㄹ - ㄷ - ㄱ
     4. ㅁ - ㄴ - ㄱ - ㄹ - ㄷ
     5. ㅁ - ㄴ - ㄹ - ㄱ - ㄷ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Tip.
1. 신뢰도, 타당도 분석은 보통 마지막에 실시한다. 따라서 4, 5번 중에 고려한다.
2. 문항을 우선 개발하고 예비검사, 문항분석을 해서 문항을 조정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53. 심리평가의 목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적절한 라포를 형성한다.
     2. 자아 강도를 확인한다.
     3. 치료적 반응을 예상하고 치료 효과를 파악한다.
     4. 성격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
     5.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심리평가의 목적]
① 내담자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
② 문제의 명료화 및 세분화
③ 내담자에 대한 이해
④ 치료계획 및 치료전략의 제시
⑤ 치료적 관계의 유도
⑥ 치료결과 및 효과에 대한 평가

[심리검사의 목적]
① 내담자에 대한 임상적 진단을 명료화·세분화한다.
② 문제의 증상 및 심각성 정도를 구체화한다.
③ 내담자의 자아강도를 평가한다.
④ 내담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한다.
⑤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 유형을 제시한다.
⑥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 전략을 기술한다.
⑦ 내담자를 치료적 관계로 유도하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아 강도 및 문제 영역에 대해 인식하도록 돕는다.
⑧ 내담자의 치료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며, 치료 효과를 평가한다.
⑨ 내담자의 정신역동적 진단을 명료화한다.

보기의 내용은 '심리평가'의 목적이 아니라 교재 p.319에 있는 '심리검사'의 목적으로 보이는데
심리평가와 심리검사의 목적 모두에서 4. 성격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 라는 항목을 보이지 않습니다.
1. 적절한 라포를 형성한다. 는 '치료적 관계로 유도한다'는 항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답은 4번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심리검사 실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5. 행동평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처치 후 문제행동의 변화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2. 이야기 기록법은 행동을 체크리스트나 척도 상에서 기록하는 방법이다.
     3. 간격 기록의 방법에는 시간표집과 간격표집도 있다.
     4. 사건 기록에서는 행동의 빈도, 강도, 지속기간을 기록한다.
     5. 행동평가법은 시간과 인원, 장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X / 일화, 이야기 기록법은 일어난 사건이나 행동에 대한 짧은 이야기식 기록이다. 관찰기록법에 속한다. 행동평가법은 아니다.
5. O / 행동평가방법은 행동을 평가하고 기록해야 하므로 시간, 인원, 장비 측면에서 많은 것이 요구된다. 예컨대 질문지법에 비해서는 비효율적이라 말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기수]

56. 객관적 검사와 비교하여 투사적 검사가 지니는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검사자간 채점 결과의 일치도가 더 낮다.
     2. 수검자가 반응을 왜곡하기 더 쉽다.
     3. 채점 과정에서 검사자의 주관이 더 개입된다.
     4.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더 어렵다.
     5. 상황적 요인에 의해 수검자의 반응이 더 영향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57. 다음 사례 중 심리검사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12세 남학생의 가족 구성원 간의 정서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KFD를 실시하였다.
     2. 11세 여학생의 A유형 행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MMPI-A를 실시하였다.
     3. 8세 남학생의 어휘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K-WISC-Ⅳ를 실시하였다.
     4. 16세 여학생의 내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MBTI를 실시하였다.
     5. 17세 남학생의 성취동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TAT를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 검사하려는 목적은 맞으나 연령이 틀림
> MMPI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이상의 수준이어야 함
> 본래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연령하한선이 16세이나, 일정 수준의 독해력이 인정되는 경우 12세까지 가능
[해설작성자 : 크림새우]

58.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전집의 행동을 측정한다.
     2. 개인 간 비교를 할 수 없다.
     3. 심리검사를 통해 내리는 결론은 확정적인 것이 아니라 잠정적인 것이다.
     4. 심리적 속성을 공식에 따라 수량화한다.
     5. 면접과 행동관찰에서 얻은 정보를 통합한 결과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59. 다음 로샤(Rorschach)검사의 반응에서 운동반응을 올바르게 기호화한 것은?(2016년 10월)

    

     1. ma
     2. mp
     3. Ma
     4. Mp
     5. FMa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운동반응 채점방식 : 무생물의 움직임 반응은 m 으로, 수동적인 운동반응은 p로 표현됨
인간의 움직임 M
동물의 움직임 FM
능동적, 적극적인 움직임 a
수동적, 소극적인 움직임 p
[해설작성자 : HHR]

60. 로샤(Rorschach)검사 구조적 요약에서 람다(L; Lamda) 값이 시사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경험에 대한 개방성 수준
     2. 사람에 대한 관심의 정도
     3. 최근 스트레스를 경험한 정도
     4. 정서를 조절하고 표현하는 경향
     5. 방어전략으로 주지화를 사용하는 정도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로샤 검사의 람다(L;Lamda)값
전체반응에서 순수형태반응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로샤 검사에서 람다Lamda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 지표이다.
주변 환경에 관심을 기울이는 정도와 관심의 폭을 평가한다.
람다갑이 .30~.99에 속하면 평균집단으로 분류되고 주의의초점이 넓다.
[해설작성자 : 미블리]

61. MMPI-2에서 내용척도와 보충척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척도는?(2019년 10월)
     1. 불안
     2. 억압
     3. 공포
     4. 우울
     5. 분노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보충척도 A, 내용척도 ANX = 둘 다 불안이다.
2. 억압 = 보충척도 R
3. 공포 = 내용척도 FRS
4. 우울 = 내용척도 DEP
5. 분노 = 내용척도 ANG
[해설작성자 : 기수]

62. 심리검사에서 '측정의 표준오차(SEM) 값이 클수록'이 의미하는 바를 잘못 기술한 것은?(2021년 10월)
     1. 진점수의 신뢰구간은 좁아지고 측정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2. 검사의 신뢰도가 낮아진다.
     3. 0을 중심으로 오차점수들이 더 멀리 떨어져 있다.
     4. 검사로 수집된 관찰점수들이 진점수를 중심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5. 검사를 반복시행할 때 동일한 값을 얻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진점수의 신뢰구간은 넓어지며, 측정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TAT에서 다음의 반응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진단명으로 적절한 것은?(2019년 10월)

    

     1. 조현병
     2. 양극성장애
     3. 주요우울장애
     4. 강박장애
     5. 망상장애

     정답 : []
     정답률 : 61%

64. 카텔(R. Cattell)의 결정지능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결정성 지능에는 문제해결능력, 상식, 언어능력, 산술 및 기계적 지식 등이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초등학교 3학년 C는 K-WISC-Ⅳ와 읽기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고 면담과 행동관찰을 통해 ‘특정 학습장애-읽기 손상 동반’을 진단받았다. 진단받은 C의 검사 결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10월)
     1. 전체 IQ: 62, 학업성취도 백분위: 5
     2. 전체 IQ: 62, 학업성취도 백분위: 16
     3. 전체 IQ: 71, 학업성취도 백분위: 2
     4. 전체 IQ: 102, 학업성취도 백분위: 2
     5. 전체 IQ: 109, 학업성취도 백분위: 48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여기서 전체 지능은 평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영역 즉 읽가,쓰기 또는 선수와 같은 특정학업 성취에 어려움을 겪은것을 의미하므로 문제의 학생은 평균 아이큐 100보다 낮거나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백분위는 매우 낮을 것으로 추측
[해설작성자 : 유서니 ]

66. 홀랜드(Holland) 직업적성검사에서 다음의 성격 특징을 포함하는 유형은?(2024년 10월)

    

     1. 예술적(Artistic) 유형
     2. 탐구적(Investigative) 유형
     3. 관습적(Conventional) 유형
     4. 기업적(Enterprising) 유형
     5. 사회적(Social) 유형

     정답 : []
     정답률 : 63%

67. 다음의 특성들을 모두 포함하는 MMPI-2의 해리스-링고스(Harris-Lingoes) 소척도는?(2021년 10월)

    

     1. Pd4(사회적 소외)
     2. Pd5(내적 소외)
     3. Sc1(사회적 소외)
     4. Sc2(정서적 소외)
     5. Si3(내적/외적 소외)

     정답 : []
     정답률 : 40%

68. 고등학생 A는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70점을 받았다. 이 검사를 받은 집단의 평균이 60, 표준편차가 10인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다. 고등학생 A의 점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A의 점수에 해당하는 Z 점수는 +1.5 이다.
     2. A의 점수에 해당하는 T 점수는 60이다.
     3. A의 점수에 해당하는 백분위는 75이다.
     4. A 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의 비율은 25%이다.
     5. A의 점수의 신뢰도 구간은 60 ∼ 80점이다.

     정답 : []
     정답률 : 37%

69. K-WISC-Ⅳ를 해석하는 일반적인 순서로 올바른 것은?(2016년 10월)

    

     1. ㄱ-ㄴ-ㄷ-ㄹ
     2. ㄱ-ㄴ-ㄹ-ㄷ
     3. ㄱ-ㄷ-ㄹ-ㄴ
     4. ㄴ-ㄱ-ㄷ-ㄹ
     5. ㄴ-ㄱ-ㄹ-ㄷ

     정답 : []
     정답률 : 58%

70. TCI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기질척도]
- 자극 추구: 새롭거나 신기한 자극, 잠재적인 보상 단서 등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위험 회피: 위험하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사회적 민감성: 사회적인 보상 신호에 대해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인내력: 보상이 없을 때 혹은 간헐적으로만 강화되는 경우에도 한 번 보상된 행동을 꾸준히 지속하는 경향성

[성격척도]
- 자율성: 자신이 선택한 목표와 가치를 이룰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 가는 능력으로 자기 행동에 대한 통제력, 조절력, 적응력과 관련되어 있다.
- 연대감: 자기 자신을 사회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로 타인을 수용하고 공감하는 데 있어서의 개인차를 보여준다.
- 자기 초월: 자기 자신을 우주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로 개인의 영성과도 관련되어 있다.

보기에서는 ㄴ. 인내력과 ㄷ. 자율성의 설명이 뒤바뀌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K-WISC-IV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ㄱ. 이해는 언어이해 지표의 핵심 소검사이다.
ㄷ. 선택은 처리속도 지표의 보충 소검사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로샤(Rorschach) 검사에서 결정인에 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Y, YF, FY: 통제할 수 없는 불안감
     2. T, TF, FT: 사고의 효율성
     3. C, CF, FC, Cn: 지각적 왜곡
     4. rF, Fr: 방어적 태도
     5. C', C'F, FC': 조직화 경향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음영-확산: 불안감, 무력감
2. 음영-재질: 애정 욕구
3. 유채색: 정서 표현의 조정
4. 쌍반응/반사반응: 자기초점, 자아중심성
5. 무채색: 정서 억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주제통각검사(TAT)의 실시와 해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TAT를 실시할 때 각 개인은 30장의 그림을 보게 된다.
     2. 모든 수검자에게 적용되는 공통카드는 20장이다.
     3. TAT는 40장의 컬러카드와 1장의 백지카드로 구성된다.
     4. 검사 결과의 해석은 심리적 결정론(Psychic Determinism)을 전제한다.
     5. 카드 뒷면에 “B”라고 적힌 경우는 성인 여성에게 제시되는 카드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TAT를 실시할 때 각 개인은 20장의 그림을 보게 된다.
2. 모든 수검자에게 적용되는 공통카드는 11장이다.
3. TAT는 30장의 흑백카드와 1장의 컬러카드로 구성된다.
5. 카드 뒷면에 “B”라고 적힌 경우는 성인 소년에게 제시되는 카드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초롱]

3. 주제통각검사는 30장의 흑백그림카드와 1장의 백지카드 총 31장으로 구성
[해설작성자 : 미블리]

74. 로샤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수검자가 쉽게 심리적 방어를 할 수 있다.
     2. 검사 실시에 대한 수검자의 거부감이 객관적 검사에 비해 높다.
     3. 반응영역 기호 S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4. 개인의 심리적 어려움을 상대적 백분위로 나타낸다.
     5. 자유로운 반응을 제한해서 스토리텔링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 반응영역 기호 S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WS, DS, DdS 식으로 표현된다.
1. 투사적 검사의 특징은 수검자 입장에서는 뭘 측정하는지 알 수가 없다는 거다. 잉크반점을 보고 나의 어떤 모습을 알 수 있는가
2. 뭘 측정하는지 모르니 거부감도 상대적으로 적다. 우울을 숨기려는 내담자가 mmpi 2번 척도는 낮출 수 있지만, 로샤에서는 뭘 어떻게 말해야 증상을 숨길 수 있을지 모른다.
[해설작성자 : 기수]

75. 로샤(Rorschach) 검사에서 수검자가 반점들에 대해 “닭 머리를 한 여자”라고 반응했을 때 채점 기호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DV2
     2. Afr
     3. COP
     4. INCOM2
     5. BIZ

     정답 : []
     정답률 : 49%

76. 아편유사제(Opioids)에 해당되는 물질은?(2021년 10월)
     1. 코카인(Cocaine)
     2. 헤로인(Heroin)
     3. 엘에스디(LSD)
     4. 암페타민(Amphetamine)
     5. 마리화나(Marijuana)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코카인-각성제, 엘에스디-환각제, 암페타민-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기면증, 비만증 치료제, 마리화나-환각제
[해설작성자 : 차차]

77. DSM-5에 포함되지 않은 정신장애는?(2024년 10월)
     1. 지속적 비탄장애
     2. 되새김장애
     3. 유뇨증
     4. 섬망
     5. 병적방화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지속적 비탄장애(지속성 애도장애)는 DSM-5-TR에서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군에 포함됨
[해설작성자 : 박규갱]

78. 행동주의적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고전적 조건형성을 주장한 학자는 반두라(A. Bandura)이다.
     2. 이상행동은 주로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사회적 모델링의 3가지 학습원리로 설명된다.
     3. 체계적 둔감법은 뱀공포증 환자의 경우 치료 시작부터 하루종일 뱀을 목에 감고 생활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무의식적 욕구를 변화시키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표이다.
     5. 아동이 엄마의 심부름을 한 뒤 칭찬을 받는 것은 부적 강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파블로프 / 반두라는 자기효능감
3. 홍수법
4. 정신역동
5. 정적강화
[해설작성자 : 기수]

79. DSM-IV와 비교했을 때 DSM-5의 주요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다축체계를 폐기하였다.
     2. 건강염려증이 질병불안장애로 대체되었다.
     3. 물질관련 및 중독장애에 도박장애를 포함시켰다.
     4. 강박장애는 불안장애와 다른 범주로 분류하였다.
     5. '달리 명시된' 혹은 '명시되지 않는' 진단을 '달리 분류되지 않는'으로 변경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1%

80. DSM-5의 조현병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ㅁ
     2. ㄱ, ㄹ, ㅁ
     3. ㄴ, ㄷ, ㄹ
     4. ㄱ, ㄴ,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1. 신경발달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ㄹ
     2. ㄱ, ㅁ
     3. ㄱ, ㄷ,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ADHD 진단기준: 12세 이전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회상및스트레스 관련장애의 하위유형
투렛장애: 신경발달장애 하위유형인 운동장애 중 틱장애 증상 중 하나

82. 저장장애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집안의 물품을 버리지는 못하지만 그 물품을 기부는 한다.
     2. 물품을 수집하더라도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 영역에서 고통이나 손상은 없다.
     3. 값비싼 물품만 보관한다.
     4. 수집한 물품 때문에 자신이나 타인에게 안전하지 못한 환경을 초래할 수 있다.
     5. 주기적으로 물품을 스스로 정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83. DSM-5의 주요우울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9%

84. DSM-5의 불안장애 하위범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9월)
     1. 강박장애
     2. 분리불안장애
     3. 선택적 함구증
     4. 공황장애
     5. 광장공포증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불안장애 하위유형- 특정공포증/사회불안장애/광장공포증/선택적함구증/분리불안장애/공황장애/범불안장애
             제외된 것들 : 강박장애, ptsd, asd(급성스트레스장애)// 정답 1번
[해설작성자 : 청풍]

85. 다음 중 일주기 리듬 수면-각성 장애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ㄱ, ㅁ
     3. ㄴ, ㄹ
     4. ㄴ, ㅁ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일주기 리듬 수면-각성 장애의 유형
: 지연된 수면단계형, 조기 수면단계형, 불규칙한 수면-각성형, 비24시간 수면-각성형, 교대 근무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DSM-5의 불안장애에 속하는 장애는?(2020년 10월)
     1. 강박장애
     2. 질병불안장애
     3. 선택적 함구증
     4. 반응성 애착장애
     5.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정답 : []
     정답률 : 53%

87.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DSM-5의 진단명은?(2023년 09월)

    

     1.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2.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3. 광장공포증
     4. 공황장애
     5. 강박장애

     정답 : []
     정답률 : 69%

88.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18년 10월)

    

     1.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2. 적응장애
     3. 범불안장애
     4. 주요우울장애
     5. 신체변형(이형)장애

     정답 : []
     정답률 : 48%

89. 다음 사례에 대해 추가적 정보를 수집한 후 DSM-5에 근거하여 판단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감염되었다는 생각이 떠오를 때 불안하지 않으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2. 강박행동이 발견되거나 보고되지 않으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3. 감염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당연하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4. 감염되었다는 생각이나 강박행동을 하는 데 시간을 소모하지 않으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5. 감염되었다는 믿음이 사실이라고 완전히 확신하지 않으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39%

90. DSM-5의 신체증상장애 감별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공황장애와는 달리 신체증상이 더 지속적이다.
     2. 범불안장애와는 달리 신체증상이 걱정의 주요 초점이다.
     3. 망상장애보다 신체증상에 대한 믿음과 행동이 더 강력하다.
     4. 전환장애와는 달리 증상을 유발하는 고통에 초점이 더 맞추어져 있다.
     5. 신체이형장애와는 달리 신체외형 결함에 대한 공포가 주된 관심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31%

91. DSM-5의 불면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ㄷ. 클라인-레빈증후군 : 폭식과 과잉행동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수면과다증의 일종.    1년에 2~3차례씩 며칠에서 몇 주간 지속되는 수면과다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이 시기가 지나면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다. 가장 잘 알려진 형태가 클라인레빈증후군으로 수면과다증과 폭식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데, 과잉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증세는 1년에 수차례에 걸쳐서 1~2주 정도 잠이 쏟아지는 경험을 한다. 주로 10~20세 사이의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밤에 잠을 많이 자도 낮에 졸음을 견디지 못한다. 또한 평소보다 몇 배나 음식을 많이 섭취할 뿐 아니라 우울증과 기억장애 현상이 함께 일어난다. 그러나 이 시기가 지나면 정상으로 되돌아온다.
[네이버 지식백과] 클라인레빈증후군 [kleine levin syndrome, ─症候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데이지]

ㅁ. 수면 유지 불면증은 정상적으로 잠에 들지만 잠을 자더라도 몇 시간 후에 잠에서 깨어나고, 이후 다시 쉽게 잠들 수 없는 것
잠에 들지 못하는 장애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쌀새우깡]

92. DSM-5의 조현성 성격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타인의 칭찬이나 비난에 무관심하다.
     2. 대부분 혼자서 하는 활동을 선택한다.
     3. 정서적으로 냉담하고 감정표현이 제한되어 있다.
     4. 대인관계를 원하지만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여 고립된다.
     5.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외톨이, 학습부진 등의 양상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 대인관계를 원하지만 기이한 패턴을 보이며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것은 조현형 성격장애.
조현성 성격장애의 경우, 대인관계 욕구가 없고 기이한 사고나 왜곡을 보이진 않음.
[해설작성자 : 클레어]

93. 다음에 나타난 사고과정의 문제는?(2020년 10월)

    

     1. 우원증(circumstantiality)
     2. 보속증(perseveration)
     3. 말비빔(word salad)
     4. 음향연상(clang association)
     5. 연상이완(loosening of association)

     정답 : []
     정답률 : 45%

94. 질병불안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는 생각에 집착한다.
     2. 질병이 있는지 자신의 신체를 반복적으로 확인한다.
     3. 의학적 상태가 실재하면 진단할 수 없다.
     4. 건강에 대한 불안이 매우 높다.
     5. 의학적 치료를 거의 하지 않는 유형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95. DSM-5의 성별 불쾌감 장애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이성(반대 성)이 되고 싶은 강한 갈망은 있으나 자신이 이성(반대 성)이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2. 최소 6개월 기간으로 진단기준의 증상들이 나타나야 한다.
     3. 남자 아이 또는 여자 아이는이성(반대 성)의 복장을 선호하고 착장하기를 선호한다.
     4. 자신의 해부학적 성별에 대해서는 강한 혐오를 가진다.
     5. 가상 놀이 또는 환상 놀이에서 이성(반대 성)의 역할을 선호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96. 소아기호증(아동성애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보통 15세 이하를 대상으로 성적 흥분이 발생한다.
     2. 14세 청소년이 7세 아동과 성관계를 맺고 있으면 진단될 수 있다.
     3. 성적 대상이 되는 아동보다 연령이 7세 이상이어야 진단될 수 있다.
     4. 아동에 대한 성적 공상이나 충동, 행동 등이 1년 이상 지속된다.
     5. 성적으로 남녀 모두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사춘기 이전의 소아(보통 13세 이하)를 대상으로 한다.
2, 3. 개인 연령이 16세 이상이고, 피해 아동보다 5세 연상이어야 진단할 수 있다.
4. 상상과 행동이 환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DSM-5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몇 가지의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이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환경에서 존재한다.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있는 아동은 품행장애 등 공존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3. 성인기까지 지속되어 사회적ㆍ학업적ㆍ직업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4. 리탈린(Ritalin)과 같은 중추신경자극제가 치료약물로 사용된다.
     5. 학습에 필요한 준비물을 챙기지 못하는 것은 충동성 증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DSM-5에 포함된 ‘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의 상태’ 중 ‘의학적 치료 및 기타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과 관련된 문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4년 10월)
     1. 의학적 치료를 멀리함
     2. 과체중
     3. 자해의 개인력
     4. 꾀병
     5. 경계성 지적 기능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 자해의 개인력'은 "의학적 치료 접근 문제"가 아니라, "자살/자해 관련 문제" 범주에 들어갑니다.
[해설작성자 : 기쁘게받아들임]

99.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DSM-5의 성격장애는?(2024년 10월)

    

     1. 편집성 성격장애
     2. 조현성 성격장애
     3. 조현형 성격장애
     4. 회피성 성격장애
     5. 반사회성 성격장애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조현성 성격장애는 타인과의 교류를 원치도 즐기지도 않기에, 사회적 고립을 보이는 형태이고,
조현형 성격장애는 사회적 고립은 동일하나, 대인관계로부터의 철수/인지적 왜곡/사고와 행동의 혼란 -> 3가지 요소를 가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DSM-5의 '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의 상태' 중 '사회환경과 관련된 기타 문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5년 09월)
     1. 문화 적응의 어려움
     2. 사회적 배척이나 거부
     3. 부정적 차별이나 박해의 표적
     4. 의학적 치료를 멀리함
     5. 혼자살기와 관련한 문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63615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청소년 상담의 이론과 실제


1. 다음 질문기법을 사용하는 상담이론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단기상담을 지향한다.
     2. 과거보다 현재와 미래에 초점을 맞춘다.
     3. 문제의 심층적 원인이나 근원에 주의를 기울인다.
     4. 내담자는 상담 전에 이미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5. 내담자를 전문가로 여기고 호기심 어린 자세와 가설적인 태도로 대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2. 상담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80%

3. 게슈탈트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증상을 제거하는 데 있다.
     2. 내파층은 부모나 환경의 기대에 따라 행동하며 살아가는 단계이다.
     3. 뜨거운 의자(hot seat)는 새로운 방식을 실험해 보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반전은 감각을 둔화시켜 자신 및 환경과의 접촉을 약화시키는 접촉경계장애이다.
     5. 알아차림 접촉 주기는 욕구출현-알아차림-에너지 동원-행동-접촉-물러남 과정으로 반복된다.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① 경험을 지각하는가가 중요
② 내적파열층 : 욕구를 인식하나 억압함.    ② 연기층
③ 실험기법
④ 반전 : 다른사람에게 하려는 것을 자신에게 하는것.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얄롬(I. Yalom)이 제시한 인간의 궁극적 관심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ㄷ, ㄹ
     2. ㄱ, ㄴ, ㄹ, ㅁ
     3. ㄴ, ㄷ, ㅁ, ㅂ
     4. ㄴ, ㄹ, ㅁ, ㅂ
     5. ㄷ, ㄹ, ㅁ, ㅂ

     정답 : []
     정답률 : 91%
     <문제 해설>
ㄹ. 의지
: 프랭클이 의미치료에서 중요시 하는 개념으로 의지의 자유, 의미에 대한 의지, 삶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해설작성자 : ccccar]

4가지 실존적 갈등: 죽음, 자유, 무의미, 고독
[해설작성자 : 차차]

5. 청소년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상담의 비밀보장을 위해 부모나 학교의 개입을 배제한다.
     2. 컴퓨터나 전화를 이용한 매체상담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상담한다.
     3. 내담자의 건전한 발달과 성장을 위해 예방보다는 문제 발생 후 치료에 초점을 둔다.
     4. 청소년의 성격, 환경, 호소문제가 성인과 다르지 않으므로 성인상담의 축소판으로 본다.
     5. 청소년기의 자아중심성 때문에 대규모 집단 프로그램이나 교육은 비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7%

6. 인간중심 상담에서 위기 상황 시 우선 할 수 있는 개입은?(2021년 10월)
     1. 즉각적으로 문제해결 개입을 한다.
     2. 위기 수준에 상관없이 지시를 한다.
     3. 행동과 태도의 부조화를 다룬다.
     4. 고통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경청한다.
     5. 신속하고 정확한 심리평가를 한다.

     정답 : []
     정답률 : 92%

7. 다음은 게슈탈트 상담의 주요 개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ㄱ) 내사 (ㄴ) 투사
     2. (ㄱ) 투사 (ㄴ) 내사
     3. (ㄱ) 융합 (ㄴ) 탈감각
     4. (ㄱ) 탈감각 (ㄴ) 융합
     5. (ㄱ) 융합 (ㄴ) 저항

     정답 : []
     정답률 : 81%

8. 사례개념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사례개념화는 내담자에 대한 잠정적인 가설이다.
     2. 내담자에 대한 정보가 추가될 때마다 수정, 보완할 수 있다.
     3. 상담자의 전문적 소견이므로 이론적, 추상적 용어를 사용한다.
     4. 사례개념화는 구체적인 상담개입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5. 사례개념화의 목적은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계획을 세우는 데 있다.

     정답 : []
     정답률 : 89%

9. 다음 사례에서 상담자가 종결단계에 질문하고 있는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2025년 09월)

   

     1. 상담성과 다루기
     2. 이별 감정 다루기
     3. 정보 제공하기
     4. 행동 계획하기
     5. 추수상담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0. 청소년 내담자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호르몬의 변화로 급격한 신체적 성숙이 이루어진다.
     2. 자신의 신체나 외모에 대해 사회문화적 기준을 고려한다.
     3. 자아중심성이 두드러진다.
     4. 친구관계에서 또래 동조성이 낮아진다.
     5. 인지적 발달에 따라 형식적 조작능력이 형성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행동분석 A-B-C에서 A가 의미하는 것은?(2021년 10월)
     1. 태도(Attitude)
     2. 활성화 사건(Activating event)
     3. 감정(Affection)
     4. 통각(Apperception)
     5. 선행사건(Antecedent)

     정답 : []
     정답률 : 85%

12.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그 친구를 떠올리면 분노가 치밀어 오르나요?” 라고 물었다. 이 질문유형의 장점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 해당 질문은 폐쇄형 질문으로서 내담자의 감정에 초점을 둔 질문이다.
- 폐쇄형 질문은 내담자의 자기이해를 증진하고 대화의 방향성을 명확히 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13. 상담의 구조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상담 초기를 비롯하여 모든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2. 상담자와 내담자의 공감적 탐색과 합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3. 상담이 효율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많이 이루어질수록 좋다.
     4. 내담자가 상담이나 상담자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를 갖는 경우 더욱 필요하다.
     5. 내담자 정보에 대한 상담자의 비밀보장은 예외가 있음을 확실히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14. 아들러(A. Adler)의 개인 심리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인간의 모든 행동에는 목적성이 있다고 본다.
     2. 인간 행동의 기본적인 목적은 열등감의 극복이다.
     3. 전체적 관점보다는 분석적 관점에서 인간의 개인성을 강조한다.
     4. 생활양식은 개인이 지니는 독특한 삶의 방식으로 가족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5. 출생순위는 성격형성 과정에 중요한 요인이지만 가족 내 역할과 심리적 출생순위가 더 중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완전함을 향해 나아가는 전체론적인 존재
[해설작성자 : .]

15. 다음 대화에서 상담자가 사용하는 기법은?(2018년 10월)

    

     1. 투사
     2. 직면
     3. 해석
     4. 재진술
     5. 감정반영

     정답 : []
     정답률 : 80%

16. 정신분석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신경증적 불안은 주로 초자아와 관련되어 있다.
     2. 훈습에는 내담자의 저항을 정교하게 탐색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3. 상담자의 해석은 내담자의 방어기제와 저항에 대한 통찰을 얻게 한다.
     4. 역전이는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일으키는 전이현상으로 상담의 진전을 방해할 수 있다.
     5. 상담목표는 내담자의 불안을 야기하는 억압된 충동을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신경증적 불안은 원초아(이드)와 관련이 있다.
- 초자아와 관련이 있는 것은 도덕적 불안이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17. 상담 과정 및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상담 구조화는 중기 이후에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2. 종결단계에서는 내담자의 주요 변화 요인을 평가한다.
     3. 내담자의 호소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어야 종결할 수 있다.
     4. 직면은 공감이 배제된 상태에서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5. 해석으로 제공되는 내용은 상담자의 준거체계에 맞추어야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84%

18. 다음 상담자의 언어반응은 어떤 상담기술에 해당하는가?(2021년 10월)

    

     1. 해석
     2. 즉시성
     3. 직면
     4. 정보제공
     5. 요약

     정답 : []
     정답률 : 86%

19. 상담시간에 계속 지각하는 고2 내담자 A에게 상담자가 사용한 상담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내담자로 하여금 다른 관점으로 문제를 볼 수 있도록 행동, 사고, 감정에 새로운 의미를 제공한다.
     2. 내담자의 경험, 행동, 사고에 대한 상담자의 경험 또는 감정을 구두로 전달하는 것이다.
     3. 내담자의 자기탐색을 촉진하고 내담자 또는 관계에 초점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4. 상담회기 중 특정 사건,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 반응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5. 상담자들은 종종 이 반응이 내담자를 화나게 만들지 않을까 걱정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1%
     <문제 해설>
1 - 해석에 해당
[해설작성자 : Su]

20. 현실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유머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2. 의도적으로 능동태 또는 진행형 동사를 많이 사용한다.
     3. 은유적 표현을 지양하고 현실적인 표현에 귀 기울인다.
     4. 부정적인 것을 줄이기보다 긍정적인 것을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춘다.
     5. 내담자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인식시켜 자신의 말과 행동에 책임지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21. 청소년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청소년의 당면한 문제 해결에만 초점을 둔다.
     2.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상담을 하기보다 대면상담에 주력한다.
     3. 문제의 예방은 교육적 차원이므로 상담목표에 포함되지 않는다.
     4. 청소년상담과 성인상담은 목표나 방법 등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
     5. 청소년뿐만 아니라 청소년 관련인과 청소년 관련기관도 대상에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87%

22. 다음은 교류분석 상담의 주요개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ㄱ: 이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상보교류
     2. ㄱ: 이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잠재적 교류
     3. ㄱ: 상보교류, ㄴ: 교차교류, ㄷ: 이면교류
     4. ㄱ: 상보교류, ㄴ: 이면교류, ㄷ: 교차교류
     5. ㄱ: 상보교류, ㄴ: 잠재적 교류, ㄷ: 교차교류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3. 지역사회 청소년통합지원체계(CYS-Ne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이 체계는「청소년 보호법」제4장에 규정되어 있다.
     2. 필수연계기관에 지방고용노동청 및 지청이 포함되어 있다.
     3. 지역사회기반으로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4. 위기청소년을 지원하기 위한 자발적인 지역주민모임이 있다.
     5. '위기청소년 발견', '상담개입', '통합서비스 제공'이라는 세 가지 운영 모듈을 가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이 체계는 '청소년복지지원법 제4장'에 규정되어 있다
[해설작성자 : 길이요~진리요~]

24. 청소년 내담자 A와의 대화에서 상담자가 공통적으로 사용한 상담기술은?(2023년 09월)

    

     1. 반영
     2. 명료화
     3. 요약
     4. 공감
     5. 앵무새 말하기

     정답 : []
     정답률 : 80%

25. 사례에서 상담자가 사용한 기법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재진술
     2. 직면
     3. 공감
     4. 해석
     5. 즉시성

     정답 : []
     정답률 : 80%

2과목 : 상담연구방법론의 기초


26. 연구변인을 조작적으로 정의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2016년 10월)
     1. 조사연구의 타당한 측정도구를 만들기 위해
     2. 실험연구의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높이기 위해
     4. 후속연구의 발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5. 연구참여자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위해

     정답 : []
     정답률 : 64%

27. 정규분포를 가정하며 평균 100, 표준편차 15, 신뢰도 0.84인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측정의 표준오차는 6이다.
     2. 이 척도에서 100점을 얻은 사람의 진점수가 대략 94~106점 사이에 있을 가능성이 95%이다.
     3. 관찰점수 분산에 대한 오차점수의 분산비율은 0.16이다.
     4. 이 척도의 규준집단에서 약 95%는 70~130점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5. 관찰점수 분산에 대한 진점수의 분산비율은 0.84이다.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2. 95% 신뢰수준 : 100±1.96SE -> 100±1.96×6 / 88∼111점 사이에 있음
1. 측정의 표준오차 : 표준편차*√1-신뢰도 -> 15*0.4 = 6
3. 1−0.84=0.16
4. 평균에서 2시그마가 95%정도임 -> 2시그마=30 / 70~130 범위
5. 관찰점수 분산에 대한 진점수의 분산비율이 신뢰도에 대한 설명임 -> 0.84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28. 연구 수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2. ㄱ, ㄷ
     3. ㄴ,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61%

29. 다음 중 비확률표집이 아닌 것은?(2022년 10월)
     1. 군집표집(cluster sampling)
     2. 할당표집(quota sampling)
     3. 편의표집(convenience sampling)
     4.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
     5. 판단표집(judgement sampling)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활률표집 = 단순무작위/ 게통/층화/집락(군집)/ 행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0. 링컨과 구바(Y. Lincoln & E. Guba)가 제시한 질적연구의 진실성(trustworthiness)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18년 10월)
     1. 포화성
     2. 전이가능성
     3. 안정성
     4. 확증가능성
     5. 신뢰성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질적연구의 진실성: 전이가능성, 안정성, 확증가능성, 신뢰성
포화성은 연구과정 중 표본의 크기를 정할 때 기분으로 연구자가 자료의 원인, 맥락, 결론 등과 관련된 질문에 대답할 수 있다면 자료는 포화된 것이다.
[해설작성자 : ???]

31. 모집단으로부터 표본 추출 시 표본의 크기(수)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2.
     3. ㄱ, ㄷ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69%

32. 통계적 검정력(statistical pow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ㄹ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4%

33. 척도 (평균 10.0, 표준편차 3.0)의 예측타당도를 추정하기 위해 준거척도 (평균 3.0, 표준편차 1.0)와의 상관을 계산한 결과 =0.6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척도 A에서 타당하지 못한 점수의 분산비율은 0.4이다.
     2.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는 점수의 분산은 9.0이다.
     3.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지 않는 점수의 분산은 0.6이다.
     4. 척도 A에서 준거척도 와 공유하는 점수의 분산비율은 0.36이다.
     5. 척도 A의 점수로 준거척도 의 점수를 예언할 때, 예언된 점수와 실제점수 간 차이의 표준편차는 1.0이다.

     정답 : []
     정답률 : 42%

34. '자기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이 서로 구분되는 독특한 구인인지 알아보기 위해 활용한 분석법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종속변수와의 단순상관이 높은 변수를 먼저 투입하는 방식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2. 두 변수의 분산이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지를 카이자승으로 검정한다.
     3. 종속변수에 대한 두 변수의 주효과가 유의한지를 분산분석으로 검정한다.
     4. 두 변수를 모두 투입했을 때 나타나는 설명량 값이 유의한지를 표준 회귀분석으로 검정한다.
     5. 두 번째 변수를 투입한 후 나타난 설명량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35. 척도의 신뢰도(reliabil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2.
     3. ㄱ, ㄹ
     4.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반분신뢰도는 문항이 두 개 이상일 때만 계산 가능
신뢰도는 대상 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크론바흐알파는 내적 일관성 측정 지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6. 다음 각각의 사례에 적절한 분석 방법을 옳게 짝지은 것은?(2024년 10월)

    

     1. ㄱ: 경로분석, ㄴ: 위계적 회귀분석
     2. ㄱ: 요인분석, ㄴ: 경로분석
     3. ㄱ: 군집분석, ㄴ: 메타분석
     4. ㄱ: 군집분석, ㄴ: 위계적 회귀분석
     5. ㄱ: 메타분석, ㄴ: 반복측정 분산분석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군집분석: 하위척도 점수 기반 집단 구분
위계적 회기분석: A와 B의 관계에서 c의 조절 효과 검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7. 다음 중 연구의 패러다임이 다른 것은?(2021년 10월)
     1.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지 않음
     2. 비구조화된 질적 자료의 수집
     3. 현상학(phenomenology)적 인식론
     4. 특정 현상에 대한 해석이나 의미의 차이 이해
     5. 대표성을 갖는 크기가 큰 표본의 활용

     정답 : []
     정답률 : 79%

38.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명목척도에는 성별, 전화번호 등이 있다.
     2. 서열척도는 순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3. 등간척도를 이용하여 평균값, 표준편차, 상관계수를 구할 수 있다.
     4. 서스톤척도는 척도들 간의 간격이 동일하다 하여 등간격척도라고도 한다.
     5. 거트만척도는 인종적 편견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사회적 거리척도라고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5. 보가더스 척도(Bogardus scale)에 대한 설명이다.
[해설작성자 : 이번시험합격]

39.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8년 10월)
     1. 신뢰도는 관찰점수분산에서 진점수분산이 차지하는 비율로 정의된다.
     2. 동일한 자료라면 Cronbach  계수, KR-21, Hoyt 신뢰도는 동일한 값이 산출된다.
     3. KR-20은 KR-21과 달리 이분(dichotomous)문항인 경우에만 활용할 수 있다.
     4. 신뢰도가 .80이라는 것은 100번을 측정했을 때 그 중 80번은 믿을 수 있는 값이 산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5. 반분신뢰도를 추정하는 과정에는 스피어만 브라운 공식으로 교정하는 절차가 포함된다.

     정답 : []
     정답률 : 50%

40. 자료의 총체로부터 귀납적으로 이론을 개발하는 방법으로서, 연구자는 수집한 자료에 기초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며, 분석적 귀납법이라고 부르는 과정을 통해 이론을 개발하는 연구방법은?(2024년 10월)
     1. 현상학적 연구
     2. 사례연구
     3. 문화기술지 연구
     4. 합의적 질적 연구
     5. 근거이론 연구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1. 현상학적 연구는 하나의 개념이나 현상에 여러 개인적 체험의 본질을 기술함
2. 사례연구는 소수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다루어 문제 종합적으로 파악함
3. 문화기술지 연구는 특정 집단원들이 사용하는 사물들을 현지인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기술함
4. 합의적 질적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 구성원들을 참여시켜 양적 연구 과정의 엄밀함을 도입하여 체계적인 분석과 구성원의 합의 강조함
5. 근거이론 연구는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어떤 현상에 대해 하나의 이론을 귀납적으로 끌어내는 질적연구방법임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1. 유사실험설계(quasi - experimental desig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험전 상태가 동일하다.
     2. 진실험설계와 유사한 수준의 외생변수통제 효과를 갖는다.
     3. 단일집단시계열실험설계는 유사실험설계에 해당한다.
     4. 피험자를 무선배치한다.
     5. 진실험설계에 비해 내적타당도 확보가 용이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외적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정도이다.
     2. 무선표집은 외적타당도의 저해요인이다.
     3. 외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표본의 대표성을 높여야한다.
     4. 연구결과의 이용을 위해 내적타당도와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5. 연구결과의 적용 대상, 시점, 환경의 확장과 관련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43. 질적 연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수행되고 밀접한 상호작용이 자료의 원천이다.
     2. 면접, 관찰, 문서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들을 수집한다.
     3. 참여자의 관점ㆍ의미 또는 참여자의 다양한 주관적 견해에 초점을 맞춘다.
     4. 이론과 가설은 수집된 자료로부터 연역적 방법으로 진화하여 발견된다.
     5. 연구설계에 있어서 초기계획이 엄격하게 규정되지 않고, 연구과정이 유연하다.

     정답 : []
     정답률 : 57%

44. 단순회귀 모형 Yi = b0 + b1Xi + εi와 결정계수 R2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R2 값은 X에 의해 설명되는 Y분산의 비율을 의미한다.
     2. b1은 독립변수 X가 한 단위 변화할 때 Y가 변화하는 양이다.
     3. ε의 기댓값은 0이다.
     4.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인과관계의 충분조건이 된다.
     5. b0는 X가 0일 때 Y의 값이다.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1에 가까운 R2 값은 X와 Y간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할 뿐, 인과관계가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해설작성자 : .]

45.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존재하지 않은 데이터를 허위로 만들어 내는 것은 위조에 해당한다.
     2. 존재하지 않은 연구결과를 허위로 만들어 내는 것은 변조에 해당한다.
     3. 타인의 아이디어를 정당한 승인 또는 인용 없이 활용하는 것을 표절이라 한다.
     4. 연구에 기여하지 않은 사람에게 논문저자 자격을 부여하는 것은 부당한 저자표시이다.
     5. 이전에 출판된 자신의 연구결과를 해당 사실을 밝히지 않고 사용하는 것도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한다.

     정답 : []
     정답률 : 55%

46. 다음은 또래관계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Wilks'λ 값을 보면 또래관계 유형 간 심리적 특성의 차이가 있다.
     2. 단계적 F 값은 종속변수 간 공변량 효과 검증 전에 값으로 교정을 위한 추가분석이 필요하다.
     3. η2값이 클수록 각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설명력이 증가한다.
     4. 독립변수가 외로움의 총 변화량 63%를 설명한다.
     5. 또래관계 유형에 따라 불안, 우울, 외로움, 수줍음, 충동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 < .05)가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47. 다음 연구사례에 해당하는 분석방법은?(2020년 10월)

    

     1. 경로분석
     2. 횡단적 경향분석
     3. 중다회귀분석
     4. 잠재성장모형
     5. 계층적 군집분석

     정답 : []
     정답률 : 43%

48. 다음은 김교사와 이교사가 학생 30명의 수행평가 결과를 각각 상, 중, 하로 평정한 결과이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상 - 상 셀의 기대빈도는 4.8이다.
     2. 중 - 중 셀의 기대빈도는 4.2이다.
     3. 하 - 하 셀의 기대빈도는 3이다.
     4. 채점자간 일치율은 0.98이다.
     5. Kappa계수는 약 0.347이다.

     정답 : []
     정답률 : 16%
     <문제 해설>
기대빈도계산법
(행총합*열총합)/총표본수
1. (12×12)/30=144/30=4.8
2. (10×12)/30=120/30=4
3. (8×6)/30=48/30=1.6

채점자간 일치율 계산법
두 교사가 동일하게 채점한 점수들의 합/총표본수
4. 24 / 30 = 0.8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명목변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 적합한 집중경향(central tendency) 측정치는?(2022년 10월)
     1. 산술평균값
     2. 조화평균값
     3. 기하평균값
     4. 중앙값
     5. 최빈값

     정답 : []
     정답률 : 62%

50. 자살생각 예방프로그램이 자살생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10명의 내담자를 무선표집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이전, 중간, 마무리의 세 시점에서 자살생각을 반복 측정하였다. 효과 검증에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비모수 통계방법은?(2018년 10월)
     1. Mann-Whitney U 검정
     2. Friedman 검정
     3. Wilcoxon 검정
     4. Kruskal-Wallis 검정
     5. 반복측정 분산분석

     정답 : []
     정답률 : 29%
     <문제 해설>
1, Mann-Whitney U 검정 : 두 개의 독립적인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3. Wilcoxon 검정 : 두 개의 관련 표본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4. Kruskal-Wallis 검정 : 세 개 이상의 독립적인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5. 반복측정 분산분석 : 모수통계방법.

2. Friedman 검정 : 세 개 이상의 관련 표본(동일한 대상에 대해 3회 이상 반복 측정)간의 차이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비모수 검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과목 : 심리측정 평가의 활용


51. 다음 ( )에 들어갈 학자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2025년 09월)

    

     1. ㄱ: 캐롤(J. Carroll), ㄴ: 서스톤(L. Thurstone)
     2. ㄱ: 갈톤(F. Galton), ㄴ: 가드너(H. Gardner)
     3. ㄱ: 카텔(R. Cattell), ㄴ: 서스톤(L. Thurstone)
     4. ㄱ: 캐롤(J. Carroll), ㄴ: 가드너(H. Gardner)
     5. ㄱ: 갈톤(F. Galton), ㄴ: 카텔(R. Cattell)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2. 심리검사의 개발 순서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ㄱ - ㅁ - ㄴ - ㄷ - ㄹ
     2. ㄴ - ㅁ - ㄱ - ㄷ - ㄹ
     3. ㄴ - ㅁ - ㄹ - ㄷ - ㄱ
     4. ㅁ - ㄴ - ㄱ - ㄹ - ㄷ
     5. ㅁ - ㄴ - ㄹ - ㄱ - ㄷ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Tip.
1. 신뢰도, 타당도 분석은 보통 마지막에 실시한다. 따라서 4, 5번 중에 고려한다.
2. 문항을 우선 개발하고 예비검사, 문항분석을 해서 문항을 조정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기수]

53. 심리평가의 목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적절한 라포를 형성한다.
     2. 자아 강도를 확인한다.
     3. 치료적 반응을 예상하고 치료 효과를 파악한다.
     4. 성격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
     5.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심리평가의 목적]
① 내담자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이해
② 문제의 명료화 및 세분화
③ 내담자에 대한 이해
④ 치료계획 및 치료전략의 제시
⑤ 치료적 관계의 유도
⑥ 치료결과 및 효과에 대한 평가

[심리검사의 목적]
① 내담자에 대한 임상적 진단을 명료화·세분화한다.
② 문제의 증상 및 심각성 정도를 구체화한다.
③ 내담자의 자아강도를 평가한다.
④ 내담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한다.
⑤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 유형을 제시한다.
⑥ 내담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 전략을 기술한다.
⑦ 내담자를 치료적 관계로 유도하며, 내담자로 하여금 자아 강도 및 문제 영역에 대해 인식하도록 돕는다.
⑧ 내담자의 치료에 따른 반응을 검토하며, 치료 효과를 평가한다.
⑨ 내담자의 정신역동적 진단을 명료화한다.

보기의 내용은 '심리평가'의 목적이 아니라 교재 p.319에 있는 '심리검사'의 목적으로 보이는데
심리평가와 심리검사의 목적 모두에서 4. 성격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 라는 항목을 보이지 않습니다.
1. 적절한 라포를 형성한다. 는 '치료적 관계로 유도한다'는 항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답은 4번이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4. 심리검사 실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5. 행동평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처치 후 문제행동의 변화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2. 이야기 기록법은 행동을 체크리스트나 척도 상에서 기록하는 방법이다.
     3. 간격 기록의 방법에는 시간표집과 간격표집도 있다.
     4. 사건 기록에서는 행동의 빈도, 강도, 지속기간을 기록한다.
     5. 행동평가법은 시간과 인원, 장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2. X / 일화, 이야기 기록법은 일어난 사건이나 행동에 대한 짧은 이야기식 기록이다. 관찰기록법에 속한다. 행동평가법은 아니다.
5. O / 행동평가방법은 행동을 평가하고 기록해야 하므로 시간, 인원, 장비 측면에서 많은 것이 요구된다. 예컨대 질문지법에 비해서는 비효율적이라 말할 수 있다.
[해설작성자 : 기수]

56. 객관적 검사와 비교하여 투사적 검사가 지니는 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검사자간 채점 결과의 일치도가 더 낮다.
     2. 수검자가 반응을 왜곡하기 더 쉽다.
     3. 채점 과정에서 검사자의 주관이 더 개입된다.
     4.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더 어렵다.
     5. 상황적 요인에 의해 수검자의 반응이 더 영향 받는다.

     정답 : []
     정답률 : 69%

57. 다음 사례 중 심리검사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12세 남학생의 가족 구성원 간의 정서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KFD를 실시하였다.
     2. 11세 여학생의 A유형 행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MMPI-A를 실시하였다.
     3. 8세 남학생의 어휘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K-WISC-Ⅳ를 실시하였다.
     4. 16세 여학생의 내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MBTI를 실시하였다.
     5. 17세 남학생의 성취동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TAT를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 검사하려는 목적은 맞으나 연령이 틀림
> MMPI의 경우 초등학교 6학년 이상의 수준이어야 함
> 본래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연령하한선이 16세이나, 일정 수준의 독해력이 인정되는 경우 12세까지 가능
[해설작성자 : 크림새우]

58. 심리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전집의 행동을 측정한다.
     2. 개인 간 비교를 할 수 없다.
     3. 심리검사를 통해 내리는 결론은 확정적인 것이 아니라 잠정적인 것이다.
     4. 심리적 속성을 공식에 따라 수량화한다.
     5. 면접과 행동관찰에서 얻은 정보를 통합한 결과이다.

     정답 : []
     정답률 : 59%

59. 다음 로샤(Rorschach)검사의 반응에서 운동반응을 올바르게 기호화한 것은?(2016년 10월)

    

     1. ma
     2. mp
     3. Ma
     4. Mp
     5. FMa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운동반응 채점방식 : 무생물의 움직임 반응은 m 으로, 수동적인 운동반응은 p로 표현됨
인간의 움직임 M
동물의 움직임 FM
능동적, 적극적인 움직임 a
수동적, 소극적인 움직임 p
[해설작성자 : HHR]

60. 로샤(Rorschach)검사 구조적 요약에서 람다(L; Lamda) 값이 시사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경험에 대한 개방성 수준
     2. 사람에 대한 관심의 정도
     3. 최근 스트레스를 경험한 정도
     4. 정서를 조절하고 표현하는 경향
     5. 방어전략으로 주지화를 사용하는 정도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로샤 검사의 람다(L;Lamda)값
전체반응에서 순수형태반응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로샤 검사에서 람다Lamda는 경험에 대한 개방성 지표이다.
주변 환경에 관심을 기울이는 정도와 관심의 폭을 평가한다.
람다갑이 .30~.99에 속하면 평균집단으로 분류되고 주의의초점이 넓다.
[해설작성자 : 미블리]

61. MMPI-2에서 내용척도와 보충척도에 공통으로 포함되는 척도는?(2019년 10월)
     1. 불안
     2. 억압
     3. 공포
     4. 우울
     5. 분노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보충척도 A, 내용척도 ANX = 둘 다 불안이다.
2. 억압 = 보충척도 R
3. 공포 = 내용척도 FRS
4. 우울 = 내용척도 DEP
5. 분노 = 내용척도 ANG
[해설작성자 : 기수]

62. 심리검사에서 '측정의 표준오차(SEM) 값이 클수록'이 의미하는 바를 잘못 기술한 것은?(2021년 10월)
     1. 진점수의 신뢰구간은 좁아지고 측정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2. 검사의 신뢰도가 낮아진다.
     3. 0을 중심으로 오차점수들이 더 멀리 떨어져 있다.
     4. 검사로 수집된 관찰점수들이 진점수를 중심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5. 검사를 반복시행할 때 동일한 값을 얻을 가능성이 낮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1. 진점수의 신뢰구간은 넓어지며, 측정의 정확도가 낮아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3. TAT에서 다음의 반응 특징을 모두 포함하는 진단명으로 적절한 것은?(2019년 10월)

    

     1. 조현병
     2. 양극성장애
     3. 주요우울장애
     4. 강박장애
     5. 망상장애

     정답 : []
     정답률 : 61%

64. 카텔(R. Cattell)의 결정지능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9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결정성 지능에는 문제해결능력, 상식, 언어능력, 산술 및 기계적 지식 등이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5. 초등학교 3학년 C는 K-WISC-Ⅳ와 읽기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고 면담과 행동관찰을 통해 ‘특정 학습장애-읽기 손상 동반’을 진단받았다. 진단받은 C의 검사 결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10월)
     1. 전체 IQ: 62, 학업성취도 백분위: 5
     2. 전체 IQ: 62, 학업성취도 백분위: 16
     3. 전체 IQ: 71, 학업성취도 백분위: 2
     4. 전체 IQ: 102, 학업성취도 백분위: 2
     5. 전체 IQ: 109, 학업성취도 백분위: 48

     정답 : []
     정답률 : 30%
     <문제 해설>
여기서 전체 지능은 평균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영역 즉 읽가,쓰기 또는 선수와 같은 특정학업 성취에 어려움을 겪은것을 의미하므로 문제의 학생은 평균 아이큐 100보다 낮거나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백분위는 매우 낮을 것으로 추측
[해설작성자 : 유서니 ]

66. 홀랜드(Holland) 직업적성검사에서 다음의 성격 특징을 포함하는 유형은?(2024년 10월)

    

     1. 예술적(Artistic) 유형
     2. 탐구적(Investigative) 유형
     3. 관습적(Conventional) 유형
     4. 기업적(Enterprising) 유형
     5. 사회적(Social) 유형

     정답 : []
     정답률 : 63%

67. 다음의 특성들을 모두 포함하는 MMPI-2의 해리스-링고스(Harris-Lingoes) 소척도는?(2021년 10월)

    

     1. Pd4(사회적 소외)
     2. Pd5(내적 소외)
     3. Sc1(사회적 소외)
     4. Sc2(정서적 소외)
     5. Si3(내적/외적 소외)

     정답 : []
     정답률 : 40%

68. 고등학생 A는 자아존중감 검사에서 70점을 받았다. 이 검사를 받은 집단의 평균이 60, 표준편차가 10인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다. 고등학생 A의 점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A의 점수에 해당하는 Z 점수는 +1.5 이다.
     2. A의 점수에 해당하는 T 점수는 60이다.
     3. A의 점수에 해당하는 백분위는 75이다.
     4. A 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의 비율은 25%이다.
     5. A의 점수의 신뢰도 구간은 60 ∼ 80점이다.

     정답 : []
     정답률 : 37%

69. K-WISC-Ⅳ를 해석하는 일반적인 순서로 올바른 것은?(2016년 10월)

    

     1. ㄱ-ㄴ-ㄷ-ㄹ
     2. ㄱ-ㄴ-ㄹ-ㄷ
     3. ㄱ-ㄷ-ㄹ-ㄴ
     4. ㄴ-ㄱ-ㄷ-ㄹ
     5. ㄴ-ㄱ-ㄹ-ㄷ

     정답 : []
     정답률 : 58%

70. TCI 척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2.
     3. ㄱ, ㄴ
     4. ㄴ, ㄷ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기질척도]
- 자극 추구: 새롭거나 신기한 자극, 잠재적인 보상 단서 등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위험 회피: 위험하거나 혐오스러운 자극에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사회적 민감성: 사회적인 보상 신호에 대해 강하게 반응하는 유전적 경향성
- 인내력: 보상이 없을 때 혹은 간헐적으로만 강화되는 경우에도 한 번 보상된 행동을 꾸준히 지속하는 경향성

[성격척도]
- 자율성: 자신이 선택한 목표와 가치를 이룰 수 있도록 상황을 만들어 가는 능력으로 자기 행동에 대한 통제력, 조절력, 적응력과 관련되어 있다.
- 연대감: 자기 자신을 사회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로 타인을 수용하고 공감하는 데 있어서의 개인차를 보여준다.
- 자기 초월: 자기 자신을 우주의 통합적인 한 부분으로 지각할 수 있는 정도로 개인의 영성과도 관련되어 있다.

보기에서는 ㄴ. 인내력과 ㄷ. 자율성의 설명이 뒤바뀌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1. K-WISC-IV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8%
     <문제 해설>
ㄱ. 이해는 언어이해 지표의 핵심 소검사이다.
ㄷ. 선택은 처리속도 지표의 보충 소검사이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2. 로샤(Rorschach) 검사에서 결정인에 관한 해석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Y, YF, FY: 통제할 수 없는 불안감
     2. T, TF, FT: 사고의 효율성
     3. C, CF, FC, Cn: 지각적 왜곡
     4. rF, Fr: 방어적 태도
     5. C', C'F, FC': 조직화 경향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1. 음영-확산: 불안감, 무력감
2. 음영-재질: 애정 욕구
3. 유채색: 정서 표현의 조정
4. 쌍반응/반사반응: 자기초점, 자아중심성
5. 무채색: 정서 억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3. 주제통각검사(TAT)의 실시와 해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TAT를 실시할 때 각 개인은 30장의 그림을 보게 된다.
     2. 모든 수검자에게 적용되는 공통카드는 20장이다.
     3. TAT는 40장의 컬러카드와 1장의 백지카드로 구성된다.
     4. 검사 결과의 해석은 심리적 결정론(Psychic Determinism)을 전제한다.
     5. 카드 뒷면에 “B”라고 적힌 경우는 성인 여성에게 제시되는 카드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1. TAT를 실시할 때 각 개인은 20장의 그림을 보게 된다.
2. 모든 수검자에게 적용되는 공통카드는 11장이다.
3. TAT는 30장의 흑백카드와 1장의 컬러카드로 구성된다.
5. 카드 뒷면에 “B”라고 적힌 경우는 성인 소년에게 제시되는 카드를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초롱]

3. 주제통각검사는 30장의 흑백그림카드와 1장의 백지카드 총 31장으로 구성
[해설작성자 : 미블리]

74. 로샤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수검자가 쉽게 심리적 방어를 할 수 있다.
     2. 검사 실시에 대한 수검자의 거부감이 객관적 검사에 비해 높다.
     3. 반응영역 기호 S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4. 개인의 심리적 어려움을 상대적 백분위로 나타낸다.
     5. 자유로운 반응을 제한해서 스토리텔링하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3. 반응영역 기호 S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WS, DS, DdS 식으로 표현된다.
1. 투사적 검사의 특징은 수검자 입장에서는 뭘 측정하는지 알 수가 없다는 거다. 잉크반점을 보고 나의 어떤 모습을 알 수 있는가
2. 뭘 측정하는지 모르니 거부감도 상대적으로 적다. 우울을 숨기려는 내담자가 mmpi 2번 척도는 낮출 수 있지만, 로샤에서는 뭘 어떻게 말해야 증상을 숨길 수 있을지 모른다.
[해설작성자 : 기수]

75. 로샤(Rorschach) 검사에서 수검자가 반점들에 대해 “닭 머리를 한 여자”라고 반응했을 때 채점 기호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DV2
     2. Afr
     3. COP
     4. INCOM2
     5. BIZ

     정답 : []
     정답률 : 49%

76. 아편유사제(Opioids)에 해당되는 물질은?(2021년 10월)
     1. 코카인(Cocaine)
     2. 헤로인(Heroin)
     3. 엘에스디(LSD)
     4. 암페타민(Amphetamine)
     5. 마리화나(Marijuana)

     정답 : []
     정답률 : 39%
     <문제 해설>
코카인-각성제, 엘에스디-환각제, 암페타민-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기면증, 비만증 치료제, 마리화나-환각제
[해설작성자 : 차차]

77. DSM-5에 포함되지 않은 정신장애는?(2024년 10월)
     1. 지속적 비탄장애
     2. 되새김장애
     3. 유뇨증
     4. 섬망
     5. 병적방화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지속적 비탄장애(지속성 애도장애)는 DSM-5-TR에서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군에 포함됨
[해설작성자 : 박규갱]

78. 행동주의적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고전적 조건형성을 주장한 학자는 반두라(A. Bandura)이다.
     2. 이상행동은 주로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사회적 모델링의 3가지 학습원리로 설명된다.
     3. 체계적 둔감법은 뱀공포증 환자의 경우 치료 시작부터 하루종일 뱀을 목에 감고 생활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무의식적 욕구를 변화시키는 것이 치료의 주된 목표이다.
     5. 아동이 엄마의 심부름을 한 뒤 칭찬을 받는 것은 부적 강화이다.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1. 파블로프 / 반두라는 자기효능감
3. 홍수법
4. 정신역동
5. 정적강화
[해설작성자 : 기수]

79. DSM-IV와 비교했을 때 DSM-5의 주요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다축체계를 폐기하였다.
     2. 건강염려증이 질병불안장애로 대체되었다.
     3. 물질관련 및 중독장애에 도박장애를 포함시켰다.
     4. 강박장애는 불안장애와 다른 범주로 분류하였다.
     5. '달리 명시된' 혹은 '명시되지 않는' 진단을 '달리 분류되지 않는'으로 변경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1%

80. DSM-5의 조현병 진단기준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ㅁ
     2. ㄱ, ㄹ, ㅁ
     3. ㄴ, ㄷ, ㄹ
     4. ㄱ, ㄴ,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1. 신경발달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ㄹ
     2. ㄱ, ㅁ
     3. ㄱ, ㄷ, ㅁ
     4. ㄴ, ㄷ, ㄹ
     5. ㄴ,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ADHD 진단기준: 12세 이전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회상및스트레스 관련장애의 하위유형
투렛장애: 신경발달장애 하위유형인 운동장애 중 틱장애 증상 중 하나

82. 저장장애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집안의 물품을 버리지는 못하지만 그 물품을 기부는 한다.
     2. 물품을 수집하더라도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 영역에서 고통이나 손상은 없다.
     3. 값비싼 물품만 보관한다.
     4. 수집한 물품 때문에 자신이나 타인에게 안전하지 못한 환경을 초래할 수 있다.
     5. 주기적으로 물품을 스스로 정리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83. DSM-5의 주요우울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9%

84. DSM-5의 불안장애 하위범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23년 09월)
     1. 강박장애
     2. 분리불안장애
     3. 선택적 함구증
     4. 공황장애
     5. 광장공포증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불안장애 하위유형- 특정공포증/사회불안장애/광장공포증/선택적함구증/분리불안장애/공황장애/범불안장애
             제외된 것들 : 강박장애, ptsd, asd(급성스트레스장애)// 정답 1번
[해설작성자 : 청풍]

85. 다음 중 일주기 리듬 수면-각성 장애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ㄱ, ㅁ
     3. ㄴ, ㄹ
     4. ㄴ, ㅁ
     5.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일주기 리듬 수면-각성 장애의 유형
: 지연된 수면단계형, 조기 수면단계형, 불규칙한 수면-각성형, 비24시간 수면-각성형, 교대 근무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6. DSM-5의 불안장애에 속하는 장애는?(2020년 10월)
     1. 강박장애
     2. 질병불안장애
     3. 선택적 함구증
     4. 반응성 애착장애
     5.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정답 : []
     정답률 : 53%

87.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DSM-5의 진단명은?(2023년 09월)

    

     1.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2.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3. 광장공포증
     4. 공황장애
     5. 강박장애

     정답 : []
     정답률 : 69%

88. 다음 사례에 적절한 진단명은?(2018년 10월)

    

     1.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2. 적응장애
     3. 범불안장애
     4. 주요우울장애
     5. 신체변형(이형)장애

     정답 : []
     정답률 : 48%

89. 다음 사례에 대해 추가적 정보를 수집한 후 DSM-5에 근거하여 판단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감염되었다는 생각이 떠오를 때 불안하지 않으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2. 강박행동이 발견되거나 보고되지 않으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3. 감염에 대해 우려하는 것은 당연하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4. 감염되었다는 생각이나 강박행동을 하는 데 시간을 소모하지 않으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5. 감염되었다는 믿음이 사실이라고 완전히 확신하지 않으므로 강박장애가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39%

90. DSM-5의 신체증상장애 감별진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공황장애와는 달리 신체증상이 더 지속적이다.
     2. 범불안장애와는 달리 신체증상이 걱정의 주요 초점이다.
     3. 망상장애보다 신체증상에 대한 믿음과 행동이 더 강력하다.
     4. 전환장애와는 달리 증상을 유발하는 고통에 초점이 더 맞추어져 있다.
     5. 신체이형장애와는 달리 신체외형 결함에 대한 공포가 주된 관심이 아니다.

     정답 : []
     정답률 : 31%

91. DSM-5의 불면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ㄹ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ㄷ. 클라인-레빈증후군 : 폭식과 과잉행동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 수면과다증의 일종.    1년에 2~3차례씩 며칠에서 몇 주간 지속되는 수면과다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이 시기가 지나면 정상적으로 생활할 수 있다. 가장 잘 알려진 형태가 클라인레빈증후군으로 수면과다증과 폭식 등의 증세가 나타나는데, 과잉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증세는 1년에 수차례에 걸쳐서 1~2주 정도 잠이 쏟아지는 경험을 한다. 주로 10~20세 사이의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밤에 잠을 많이 자도 낮에 졸음을 견디지 못한다. 또한 평소보다 몇 배나 음식을 많이 섭취할 뿐 아니라 우울증과 기억장애 현상이 함께 일어난다. 그러나 이 시기가 지나면 정상으로 되돌아온다.
[네이버 지식백과] 클라인레빈증후군 [kleine levin syndrome, ─症候群]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해설작성자 : 데이지]

ㅁ. 수면 유지 불면증은 정상적으로 잠에 들지만 잠을 자더라도 몇 시간 후에 잠에서 깨어나고, 이후 다시 쉽게 잠들 수 없는 것
잠에 들지 못하는 장애를 말한다
[해설작성자 : 쌀새우깡]

92. DSM-5의 조현성 성격장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타인의 칭찬이나 비난에 무관심하다.
     2. 대부분 혼자서 하는 활동을 선택한다.
     3. 정서적으로 냉담하고 감정표현이 제한되어 있다.
     4. 대인관계를 원하지만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여 고립된다.
     5.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외톨이, 학습부진 등의 양상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 대인관계를 원하지만 기이한 패턴을 보이며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것은 조현형 성격장애.
조현성 성격장애의 경우, 대인관계 욕구가 없고 기이한 사고나 왜곡을 보이진 않음.
[해설작성자 : 클레어]

93. 다음에 나타난 사고과정의 문제는?(2020년 10월)

    

     1. 우원증(circumstantiality)
     2. 보속증(perseveration)
     3. 말비빔(word salad)
     4. 음향연상(clang association)
     5. 연상이완(loosening of association)

     정답 : []
     정답률 : 45%

94. 질병불안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는 생각에 집착한다.
     2. 질병이 있는지 자신의 신체를 반복적으로 확인한다.
     3. 의학적 상태가 실재하면 진단할 수 없다.
     4. 건강에 대한 불안이 매우 높다.
     5. 의학적 치료를 거의 하지 않는 유형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40%

95. DSM-5의 성별 불쾌감 장애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이성(반대 성)이 되고 싶은 강한 갈망은 있으나 자신이 이성(반대 성)이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2. 최소 6개월 기간으로 진단기준의 증상들이 나타나야 한다.
     3. 남자 아이 또는 여자 아이는이성(반대 성)의 복장을 선호하고 착장하기를 선호한다.
     4. 자신의 해부학적 성별에 대해서는 강한 혐오를 가진다.
     5. 가상 놀이 또는 환상 놀이에서 이성(반대 성)의 역할을 선호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96. 소아기호증(아동성애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보통 15세 이하를 대상으로 성적 흥분이 발생한다.
     2. 14세 청소년이 7세 아동과 성관계를 맺고 있으면 진단될 수 있다.
     3. 성적 대상이 되는 아동보다 연령이 7세 이상이어야 진단될 수 있다.
     4. 아동에 대한 성적 공상이나 충동, 행동 등이 1년 이상 지속된다.
     5. 성적으로 남녀 모두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1. 사춘기 이전의 소아(보통 13세 이하)를 대상으로 한다.
2, 3. 개인 연령이 16세 이상이고, 피해 아동보다 5세 연상이어야 진단할 수 있다.
4. 상상과 행동이 환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7. DSM-5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몇 가지의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이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환경에서 존재한다.
     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가 있는 아동은 품행장애 등 공존장애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3. 성인기까지 지속되어 사회적ㆍ학업적ㆍ직업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4. 리탈린(Ritalin)과 같은 중추신경자극제가 치료약물로 사용된다.
     5. 학습에 필요한 준비물을 챙기지 못하는 것은 충동성 증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8. DSM-5에 포함된 ‘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의 상태’ 중 ‘의학적 치료 및 기타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과 관련된 문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4년 10월)
     1. 의학적 치료를 멀리함
     2. 과체중
     3. 자해의 개인력
     4. 꾀병
     5. 경계성 지적 기능

     정답 : []
     정답률 : 19%
     <문제 해설>
* 자해의 개인력'은 "의학적 치료 접근 문제"가 아니라, "자살/자해 관련 문제" 범주에 들어갑니다.
[해설작성자 : 기쁘게받아들임]

99. 다음 사례에 해당하는 DSM-5의 성격장애는?(2024년 10월)

    

     1. 편집성 성격장애
     2. 조현성 성격장애
     3. 조현형 성격장애
     4. 회피성 성격장애
     5. 반사회성 성격장애

     정답 : []
     정답률 : 31%
     <문제 해설>
조현성 성격장애는 타인과의 교류를 원치도 즐기지도 않기에, 사회적 고립을 보이는 형태이고,
조현형 성격장애는 사회적 고립은 동일하나, 대인관계로부터의 철수/인지적 왜곡/사고와 행동의 혼란 -> 3가지 요소를 가진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0. DSM-5의 '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의 상태' 중 '사회환경과 관련된 기타 문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2025년 09월)
     1. 문화 적응의 어려움
     2. 사회적 배척이나 거부
     3. 부정적 차별이나 박해의 표적
     4. 의학적 치료를 멀리함
     5. 혼자살기와 관련한 문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63615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13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912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911 소방공무원(경력)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2905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910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7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909 영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05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 청소년상담사 2급(1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463615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907 전파통신기능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2년04월07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90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수학(지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905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904 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903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902 원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4월14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5901 PC정비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810870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900 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2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9 9급 국가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8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7 9급 국가직 공무원 통계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4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6 건설기계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1월31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5 조리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76196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894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3589825)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305 Next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