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36021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보기>의 밑줄 친 '이 시대'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2022년 06월)

   

     1. 고인돌
     2. 반달돌칼
     3. 민무늬 토기
     4. 슴베찌르개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농경이 더욱 발달하고, 빈부 차이와 계급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시대적 배경은 청동기 시대이다.
슴베찌르개는 구석기 시대의 유물로 이와 맞지 않다.
[해설작성자 : 9급 준비생]

2. <보기>는 대한제국 시기의 국권 피탈과 관련된 사건이다. 이를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2월)

   

     1. ㄱ→ㄷ→ㄴ→ㄹ
     2. ㄴ→ㄷ→ㄱ→ㄹ
     3. ㄷ→ㄱ→ㄹ→ㄴ
     4. ㄹ→ㄷ→ㄱ→ㄴ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ㄷ. 1904.8.22 제1차 한일 협약을 체결하여 일제는 재정고문으로 메가타, 외교고문으로 스티븐스 파견
ㄱ. 1905년 을사늑약의 체결로 일제는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 설치
ㄹ. 을사늑약 체결 이후 고중은 부당함을 세계에 알리기 위하여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하고 만국 평화 회의에 이상성 이위종 이준을 특사로 파견
ㄴ. 1907.7.24 한일 신협약을 체결한 일제는 법령 제정, 행정 처분, 고등 관리의 임명에 대한 승인을 통감으로 부터 받도록 하였다. 또한 각 부의 차관 자리에 일본인 관리를 다수 임명하는 차관 정치를 실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남북국시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발해는 일본과 교류하며 무역에도 힘썼다.
     2. 발해의 무왕은 신라와 연합해 당을 공격하였다.
     3. 발해는 신라도라는 교통로를 이용해 신라와도 무역하였다.
     4. 장보고는 청해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무역을 장악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돌궐, 일본과 언결해 당과 신라 견제
[해설작성자 : 쟁쟁]

4. 발해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주민은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으로 구성되었다.
     2. 중앙 문화는 고구려 문화를 바탕으로 당의 문화가 가미된 형태를 보였다.
     3. 당, 신라, 거란, 일본 등과 무역하였는데, 대신라 무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4. 유학 교육기관인 주자감을 설치하여 귀족 자제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3. 발해는 대당 무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해설작성자 : 여울]

5. 고려의 지방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6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고려 지방 행정 조직
- 성종 12목 설치, 지방관(외관)파견
- 현종 5도 양계 4도호부 8목 체제 완비 // 계수관 설치(큰 도시의 수령)
- 예종 속군.속현.향.부곡.소에 감무 파견 시작

5도 안찰사 파견/ 양계 병마사 파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1876년 체결된 조·일수호조규에 들어있지 않은 조항은?(2019년 02월)
     1. 조선은 자주국으로 일본과 동등권을 갖는다.
     2. 인천과 부산에 일본공관을 둔다.
     3. 일본인 거주지역 내에서의 치외법권을 인정한다.
     4. 일본선박의 조선연해 측량을 인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강화도 조약
조선은 자주국(청의 종주권 부인)
부산 원산 인천 개항
일본인의 통상을 허가
해안 측량
치외법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보기>의 ㈎, ㈏와 같은 건의를 받은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호족과의 혼인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2.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의 경제력을 약화시켰다.
     3. 양현고를 설치하고 보문각과 청연각을 세워 유학을 진흥시켰다.
     4. 연등회를 축소하고 팔관회를 폐지하여 국가적인 불교 행사를 억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사료내용:~외관을 두고자 하였으나.. ~외관을 두도록 하십시오(성종)
1.호족과 혼인정책 : 태조
2.노비안검법 : 광종
3.양현고 : 예종
4.연등회축소 팔관회 폐지 : 성종
[해설작성자 : 닥계]

8. 충선왕 대의 개혁 정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원나라 연호와 관제를 폐지하였다.
     2. 몽골풍의 의복과 변발을 폐지하였다.
     3. 왕권을 강화하고 개혁을 주도하기 위한 기구로 사림원을 두었다.
     4. 정치도감을 두어 부원 세력을 척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공민왕
2.공민왕
3.충선왕
4.충목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보기>의 밑줄 친 '이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이 사건을 진압한 청은 조선과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였다.
     2. 우정총국의 낙성 축하연을 기회로 정변을 일으켜 새로운 정부를 수립하였다.
     3. 이 사건의 주모자들은 청과 종속 관계를 청산하여 자주독립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4. 이 사건 이후 청과 일본은 텐진 조약을 체결해 향후 조선으로 군대 파견 시 상대국에게 알리도록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해당 사건은 갑신정변이다.
키워드 : 개화당에 대한 강한 반감, 임오군란 이후, 일본에 의한 사건, 허사로 돌아감

1번은 임오군란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영조 대에 편찬된 서적은?(2016년 06월)
     1. 『동국문헌비고』
     2. 『동국지리지』
     3. 『동사강목』
     4. 『동의보감』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770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동국문헌비고』를 만들어 오늘날 『증보문헌비고』의 골간을 이룩
[해설작성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영조(英祖))]

동국지리지 - 한백겸 (1615년 간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동사강목 - 안정복 1778년(정조 2)
동의보감 - 허준 1610년(광해군 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보기>의 ㈎, ㈏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에서는 입법 ㆍ 사법 ㆍ 행정의 모든 권력이 황제에게 있음을 천명하였다.
     2. ㈏에서는 정부의 예산과 결산을 인민에게 공표할 것을 주장하였다.
     3. ㈏를 수용한 고종은 「조칙 5조」를 반포하였다.
     4. ㈎에 따른 전제정치 선포에 반발하며 독립협회는 의회개설운동을 전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4. 1896년 독립협회.만민공동회 등이 중심이 되어 자주독립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자, 이에 정부에서는 1897년 연호를 '광무'로 정하고 같은 해 10월 국면을 '대한제국'으로 고치는 광무개혁을 실시하였다. 위 (가)의 내용은 <대한국국제> 즉 대한제국의 헌법이라 생각하면 된다. <대한국국제>는 1899년에 제정되었는데, 독립협회는 1899년 이전인 1898년 이미 해체되고 없었다.
참고로 <대한국국제>는 일본의 <대일본제국헌법> 즉 메이지헌법과 매우 유사함으로 비교 분석하며 공부하면 도움이 된다.
[해설작성자 : 그냥 지나가는 낭인]

(나)는 독립협회 관민공동회의 헌의 6조.
[해설작성자 : 운]

(가) 대한국 국제 1899년
(나) 독립협회 헌의 6조 1898년

독립협회가 헌의 6조를 발표하며 의회개설운동을 전개 -> 고종황제는 헌의 6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조칙 5조 반포 -> 보수적 관료들이 독립협회가 공화정을 목표로 한다고 누명 -> 고종황제 독립협회 해산시킨 후 전제황권을 공고히 하는 대한국 국제 선포
따라서 4번이 옳게 되려면
(나)에 따른 의회개설운동에 반발하여 고종황제는 (가)를 선포하며 전제정치를 공고히 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보기 1>의 사건이 있었던 시대의 화폐를 <보기 2>에서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6월)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해동통보는 고려 숙종 시기에 만들어졌다.

조선통보 : 조선 세종
해동중보 : 고려 숙종
십전통보 : 조선 효종
삼한통보 : 고려 숙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의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일본군이 풍도의 청군을 공격하면서 성립하였다.
     2. 법규교정소를 설치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3. 집강소 및 폐정개혁에 관한 규정이 포함되었다.
     4. 제물포 조약을 근거로 실행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가)는 전주화약
[해설작성자 : 유지애]

14. 조선 후기 지도 편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편찬하기 이전에 이미 청구도 등을 제작하였다.
     2. 정상기는 백리척을 이용하여 동국지도를 제작하였다.
     3. 모눈종이를 이용한 정밀한 지도도 제작되었다.
     4. 대동여지도가 완성되자 나라의 기밀을 누설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여 판목은 압수 소각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판목 현재 숭실대 박물관 보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김정호가 옥사를 치르고 판목을 압수 소각하였다는 내용은 1934년 일제에서 발행한 교과서인 '조선어독본'에서 나온 내용으로 이는 조선 정부를 선각자도 못 알아보는 무능한 존재로 표현하기 위한 역사왜곡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보기>의 내용이 발표된 이후의 일제 정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2. 치안유지법을 제정하였다.
     3.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제정하였다.
     4. 공업화로 인한 일본 내 식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산미증식 계획을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황국신민서사 (1937)
1. 토지조사사업 실시 (1912)
2. 치안유지법 제정 (1925)
3.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제정 (1941)
4. 산미증식 계획    (1920-1934)
[해설작성자 : 리치언니]

16. <보기> 자료의 민족 운동가들이 추진한 독립 운동에 대한 서술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신흥강습소를 만들어 민족 교육과 독립군 양성을 추진하였다.
     2. 대한광복군정부, 대한국민의회 등의 독립운동 기지를 설립하였다.
     3. 간민회를 기반으로 서전서숙과 명동학교 등 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4. 나라를 되찾은 후 고종을 복위시키려는 목표를 세우고 전국적인 의병 봉기를 준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보기) 압록강을 건너 서간도로 들어갔다는 내용을 통하여 서간도에서 독립 운동을 전개한 이회영, 이시영 형제들의 독립 운동에 대한 내용임을 알 수 있다.

1. 이회영 이시영 6형제는 서간도로 이주하여 삼원보를 중심으로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이후 신흥강습소를 설치하여 독립군 양성 추진
1911 신흥강습소 -> 1913 신흥 중학교 -> 1919 신흥 무관학교

2. 대한 광복군 정부와 대한 국민 의회는 연해주 지역에서 조직된 독립 운동 단체
3. 간민회는 북간도에 조직된 독립 운동 단체
4. 고종을 복위시키고자하는 복벽주의를 내세움 활동한 단체는 국내에서 활동한 독립 의군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대한제국의 근대화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2. 서북철도국을 설치해 경의철도 부설사업을 추진했다.
     3. 우편학당, 전무학당, 상공업학교, 의학교, 광산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4. 고종 대에 비변사를 설치하여 근대화사업 전반을 관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4. 비변사는 19세기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던 시기에 폐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발생 시기 순서로 나열할 때 다음 빈칸에 들어갈 사건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단발령 공포
     2. 독립협회 결성
     3. 홍범 14조 반포
     4. 춘생문 사건 발발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차갑오개혁(홍범14조) - 단발령 공포(을미개혁) - 춘생문사건(실패) - 을미사변 - 을미의병 - 아관파천 - 독립협회 결성 - 관민공동회 헌의6조 - 대학제국 수립(고종 환구단)
[해설작성자 : 곽티슈]

19. <보기>와 같은 주장을 편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북학의」를 저술하여 청 문물의 수용을 역설하였다.
     2. 「양반전」, 「호질」등을 지어 놀고먹는 양반을 비판하였다.
     3. 화폐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폐전론을 주장하였다.
     4. 마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분배할 것을 제안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본문은 한전론적인 내용이다
전국 토지를 균등하게 될 것이다.+ (한민명전의)라는 제목을 통해 박지원 관련 내용임을 알 수 있다
1. 북학의 - 박제가
2. 양반전 - 박지원
3. 폐전론 - 이익
4. 마을단위 토지 공동 경작 - 이이

고로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풀고나니 65점,,,,]

4. 마을단위 토지 공동 경작 - 여전론(정약용)
[해설작성자 : 무적군수]

20.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보기>의 체제 개편을 하기 이전에 한 활동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이승만을 탄핵하고 박은식을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했다.
     2. 조소앙의 삼균주의에 기초한 건국 강령을 반포하였다.
     3. 의열 투쟁을 전개하고자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였다.
     4. 한국 국민당을 조직하여 정당정치를 운영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보기 해설 키워드 : 임시정부, 국무위원제
보기 내용은 3차개헌(1927) 국무위원제에 대한 내용이고
문제는 3차개헌 개편이전 내용을 묻고 있다.즉,1927년 이전 상황을 묻고있다.
1. 이승만 탄핵 박은식 임시대통령 취임은 1차 개헌(1925)
2. 건국강령 반포 (1941)
3. 한인애국단(1931)
4. 한국국민당 조직(1935)
추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4월 제헌국회를 시작으로
1차개헌:1919.9 대통령중심제 대통령:이승만-> 박은식 (1925)
2차개헌:1925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3차개헌:1927 국무위원 집단 지도 체재
4차개헌:1940 주석중심제 주석:김구
5차개헌:1944 주,부주석 중심제
[해설작성자 : 신사장]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360217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보기>의 밑줄 친 '이 시대'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2022년 06월)

   

     1. 고인돌
     2. 반달돌칼
     3. 민무늬 토기
     4. 슴베찌르개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농경이 더욱 발달하고, 빈부 차이와 계급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시대적 배경은 청동기 시대이다.
슴베찌르개는 구석기 시대의 유물로 이와 맞지 않다.
[해설작성자 : 9급 준비생]

2. <보기>는 대한제국 시기의 국권 피탈과 관련된 사건이다. 이를 시간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2월)

   

     1. ㄱ→ㄷ→ㄴ→ㄹ
     2. ㄴ→ㄷ→ㄱ→ㄹ
     3. ㄷ→ㄱ→ㄹ→ㄴ
     4. ㄹ→ㄷ→ㄱ→ㄴ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ㄷ. 1904.8.22 제1차 한일 협약을 체결하여 일제는 재정고문으로 메가타, 외교고문으로 스티븐스 파견
ㄱ. 1905년 을사늑약의 체결로 일제는 대한 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 설치
ㄹ. 을사늑약 체결 이후 고중은 부당함을 세계에 알리기 위하여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하고 만국 평화 회의에 이상성 이위종 이준을 특사로 파견
ㄴ. 1907.7.24 한일 신협약을 체결한 일제는 법령 제정, 행정 처분, 고등 관리의 임명에 대한 승인을 통감으로 부터 받도록 하였다. 또한 각 부의 차관 자리에 일본인 관리를 다수 임명하는 차관 정치를 실시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3. 남북국시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발해는 일본과 교류하며 무역에도 힘썼다.
     2. 발해의 무왕은 신라와 연합해 당을 공격하였다.
     3. 발해는 신라도라는 교통로를 이용해 신라와도 무역하였다.
     4. 장보고는 청해진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의 무역을 장악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돌궐, 일본과 언결해 당과 신라 견제
[해설작성자 : 쟁쟁]

4. 발해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주민은 고구려 유민과 말갈인으로 구성되었다.
     2. 중앙 문화는 고구려 문화를 바탕으로 당의 문화가 가미된 형태를 보였다.
     3. 당, 신라, 거란, 일본 등과 무역하였는데, 대신라 무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4. 유학 교육기관인 주자감을 설치하여 귀족 자제에게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3. 발해는 대당 무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해설작성자 : 여울]

5. 고려의 지방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2020년 06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고려 지방 행정 조직
- 성종 12목 설치, 지방관(외관)파견
- 현종 5도 양계 4도호부 8목 체제 완비 // 계수관 설치(큰 도시의 수령)
- 예종 속군.속현.향.부곡.소에 감무 파견 시작

5도 안찰사 파견/ 양계 병마사 파견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6. 1876년 체결된 조·일수호조규에 들어있지 않은 조항은?(2019년 02월)
     1. 조선은 자주국으로 일본과 동등권을 갖는다.
     2. 인천과 부산에 일본공관을 둔다.
     3. 일본인 거주지역 내에서의 치외법권을 인정한다.
     4. 일본선박의 조선연해 측량을 인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강화도 조약
조선은 자주국(청의 종주권 부인)
부산 원산 인천 개항
일본인의 통상을 허가
해안 측량
치외법권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7. <보기>의 ㈎, ㈏와 같은 건의를 받은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호족과의 혼인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2.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의 경제력을 약화시켰다.
     3. 양현고를 설치하고 보문각과 청연각을 세워 유학을 진흥시켰다.
     4. 연등회를 축소하고 팔관회를 폐지하여 국가적인 불교 행사를 억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사료내용:~외관을 두고자 하였으나.. ~외관을 두도록 하십시오(성종)
1.호족과 혼인정책 : 태조
2.노비안검법 : 광종
3.양현고 : 예종
4.연등회축소 팔관회 폐지 : 성종
[해설작성자 : 닥계]

8. 충선왕 대의 개혁 정책으로 옳은 것은?(2016년 06월)
     1. 원나라 연호와 관제를 폐지하였다.
     2. 몽골풍의 의복과 변발을 폐지하였다.
     3. 왕권을 강화하고 개혁을 주도하기 위한 기구로 사림원을 두었다.
     4. 정치도감을 두어 부원 세력을 척결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1.공민왕
2.공민왕
3.충선왕
4.충목왕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9. <보기>의 밑줄 친 '이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6월)

   

     1. 이 사건을 진압한 청은 조선과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였다.
     2. 우정총국의 낙성 축하연을 기회로 정변을 일으켜 새로운 정부를 수립하였다.
     3. 이 사건의 주모자들은 청과 종속 관계를 청산하여 자주독립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4. 이 사건 이후 청과 일본은 텐진 조약을 체결해 향후 조선으로 군대 파견 시 상대국에게 알리도록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해당 사건은 갑신정변이다.
키워드 : 개화당에 대한 강한 반감, 임오군란 이후, 일본에 의한 사건, 허사로 돌아감

1번은 임오군란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중 영조 대에 편찬된 서적은?(2016년 06월)
     1. 『동국문헌비고』
     2. 『동국지리지』
     3. 『동사강목』
     4. 『동의보감』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1770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동국문헌비고』를 만들어 오늘날 『증보문헌비고』의 골간을 이룩
[해설작성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영조(英祖))]

동국지리지 - 한백겸 (1615년 간행)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동사강목 - 안정복 1778년(정조 2)
동의보감 - 허준 1610년(광해군 2)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1. <보기>의 ㈎, ㈏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21년 06월)

    

     1. ㈎에서는 입법 ㆍ 사법 ㆍ 행정의 모든 권력이 황제에게 있음을 천명하였다.
     2. ㈏에서는 정부의 예산과 결산을 인민에게 공표할 것을 주장하였다.
     3. ㈏를 수용한 고종은 「조칙 5조」를 반포하였다.
     4. ㈎에 따른 전제정치 선포에 반발하며 독립협회는 의회개설운동을 전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4. 1896년 독립협회.만민공동회 등이 중심이 되어 자주독립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하자, 이에 정부에서는 1897년 연호를 '광무'로 정하고 같은 해 10월 국면을 '대한제국'으로 고치는 광무개혁을 실시하였다. 위 (가)의 내용은 <대한국국제> 즉 대한제국의 헌법이라 생각하면 된다. <대한국국제>는 1899년에 제정되었는데, 독립협회는 1899년 이전인 1898년 이미 해체되고 없었다.
참고로 <대한국국제>는 일본의 <대일본제국헌법> 즉 메이지헌법과 매우 유사함으로 비교 분석하며 공부하면 도움이 된다.
[해설작성자 : 그냥 지나가는 낭인]

(나)는 독립협회 관민공동회의 헌의 6조.
[해설작성자 : 운]

(가) 대한국 국제 1899년
(나) 독립협회 헌의 6조 1898년

독립협회가 헌의 6조를 발표하며 의회개설운동을 전개 -> 고종황제는 헌의 6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며 조칙 5조 반포 -> 보수적 관료들이 독립협회가 공화정을 목표로 한다고 누명 -> 고종황제 독립협회 해산시킨 후 전제황권을 공고히 하는 대한국 국제 선포
따라서 4번이 옳게 되려면
(나)에 따른 의회개설운동에 반발하여 고종황제는 (가)를 선포하며 전제정치를 공고히 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2. <보기 1>의 사건이 있었던 시대의 화폐를 <보기 2>에서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6월)

    

     1. ㄱ, ㄷ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해동통보는 고려 숙종 시기에 만들어졌다.

조선통보 : 조선 세종
해동중보 : 고려 숙종
십전통보 : 조선 효종
삼한통보 : 고려 숙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3. ㈎의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7년 06월)

    

     1. 일본군이 풍도의 청군을 공격하면서 성립하였다.
     2. 법규교정소를 설치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3. 집강소 및 폐정개혁에 관한 규정이 포함되었다.
     4. 제물포 조약을 근거로 실행한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가)는 전주화약
[해설작성자 : 유지애]

14. 조선 후기 지도 편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6월)
     1.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편찬하기 이전에 이미 청구도 등을 제작하였다.
     2. 정상기는 백리척을 이용하여 동국지도를 제작하였다.
     3. 모눈종이를 이용한 정밀한 지도도 제작되었다.
     4. 대동여지도가 완성되자 나라의 기밀을 누설시킬 우려가 있다고 하여 판목은 압수 소각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판목 현재 숭실대 박물관 보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 김정호가 옥사를 치르고 판목을 압수 소각하였다는 내용은 1934년 일제에서 발행한 교과서인 '조선어독본'에서 나온 내용으로 이는 조선 정부를 선각자도 못 알아보는 무능한 존재로 표현하기 위한 역사왜곡입니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보기>의 내용이 발표된 이후의 일제 정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2. 치안유지법을 제정하였다.
     3.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제정하였다.
     4. 공업화로 인한 일본 내 식량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산미증식 계획을 실시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황국신민서사 (1937)
1. 토지조사사업 실시 (1912)
2. 치안유지법 제정 (1925)
3.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제정 (1941)
4. 산미증식 계획    (1920-1934)
[해설작성자 : 리치언니]

16. <보기> 자료의 민족 운동가들이 추진한 독립 운동에 대한 서술로 가장 옳은 것은?(2019년 02월)

    

     1. 신흥강습소를 만들어 민족 교육과 독립군 양성을 추진하였다.
     2. 대한광복군정부, 대한국민의회 등의 독립운동 기지를 설립하였다.
     3. 간민회를 기반으로 서전서숙과 명동학교 등 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4. 나라를 되찾은 후 고종을 복위시키려는 목표를 세우고 전국적인 의병 봉기를 준비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보기) 압록강을 건너 서간도로 들어갔다는 내용을 통하여 서간도에서 독립 운동을 전개한 이회영, 이시영 형제들의 독립 운동에 대한 내용임을 알 수 있다.

1. 이회영 이시영 6형제는 서간도로 이주하여 삼원보를 중심으로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이후 신흥강습소를 설치하여 독립군 양성 추진
1911 신흥강습소 -> 1913 신흥 중학교 -> 1919 신흥 무관학교

2. 대한 광복군 정부와 대한 국민 의회는 연해주 지역에서 조직된 독립 운동 단체
3. 간민회는 북간도에 조직된 독립 운동 단체
4. 고종을 복위시키고자하는 복벽주의를 내세움 활동한 단체는 국내에서 활동한 독립 의군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7. 대한제국의 근대화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2월)
     1. 토지조사사업을 시행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2. 서북철도국을 설치해 경의철도 부설사업을 추진했다.
     3. 우편학당, 전무학당, 상공업학교, 의학교, 광산학교 등을 설립하였다.
     4. 고종 대에 비변사를 설치하여 근대화사업 전반을 관장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4. 비변사는 19세기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 대원군이 집권하던 시기에 폐지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발생 시기 순서로 나열할 때 다음 빈칸에 들어갈 사건으로 옳은 것은?(2015년 06월)

    

     1. 단발령 공포
     2. 독립협회 결성
     3. 홍범 14조 반포
     4. 춘생문 사건 발발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2차갑오개혁(홍범14조) - 단발령 공포(을미개혁) - 춘생문사건(실패) - 을미사변 - 을미의병 - 아관파천 - 독립협회 결성 - 관민공동회 헌의6조 - 대학제국 수립(고종 환구단)
[해설작성자 : 곽티슈]

19. <보기>와 같은 주장을 편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1년 06월)

    

     1. 「북학의」를 저술하여 청 문물의 수용을 역설하였다.
     2. 「양반전」, 「호질」등을 지어 놀고먹는 양반을 비판하였다.
     3. 화폐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폐전론을 주장하였다.
     4. 마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분배할 것을 제안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본문은 한전론적인 내용이다
전국 토지를 균등하게 될 것이다.+ (한민명전의)라는 제목을 통해 박지원 관련 내용임을 알 수 있다
1. 북학의 - 박제가
2. 양반전 - 박지원
3. 폐전론 - 이익
4. 마을단위 토지 공동 경작 - 이이

고로 답은 2번
[해설작성자 : 풀고나니 65점,,,,]

4. 마을단위 토지 공동 경작 - 여전론(정약용)
[해설작성자 : 무적군수]

20.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보기>의 체제 개편을 하기 이전에 한 활동으로 가장 옳은 것은?(2023년 06월)

    

     1. 이승만을 탄핵하고 박은식을 임시 대통령으로 추대했다.
     2. 조소앙의 삼균주의에 기초한 건국 강령을 반포하였다.
     3. 의열 투쟁을 전개하고자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였다.
     4. 한국 국민당을 조직하여 정당정치를 운영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보기 해설 키워드 : 임시정부, 국무위원제
보기 내용은 3차개헌(1927) 국무위원제에 대한 내용이고
문제는 3차개헌 개편이전 내용을 묻고 있다.즉,1927년 이전 상황을 묻고있다.
1. 이승만 탄핵 박은식 임시대통령 취임은 1차 개헌(1925)
2. 건국강령 반포 (1941)
3. 한인애국단(1931)
4. 한국국민당 조직(1935)
추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4월 제헌국회를 시작으로
1차개헌:1919.9 대통령중심제 대통령:이승만-> 박은식 (1925)
2차개헌:1925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3차개헌:1927 국무위원 집단 지도 체재
4차개헌:1940 주석중심제 주석:김구
5차개헌:1944 주,부주석 중심제
[해설작성자 : 신사장]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360217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00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360217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998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19957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997 경영지도사 1차 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5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96 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10월12일(5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95 9급 지방직 공무원 전기기기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94 타워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3월29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93 산림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211575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92 유통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4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91 금속도장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1월24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90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계획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5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89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10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88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987 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9년07월12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2
5986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1월26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85 수능(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9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8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100077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83 잠수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3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3
5982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2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5981 지적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8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02 Next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