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35582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승강기개론


1. 유압엘리베이터의 작동유의 적정온도의 범위는?(2013년 10월)
     1. 30℃ 이상 70℃ 이하
     2. 30℃ 이상 80℃ 이하
     3. 5℃ 이상 90℃ 이하
     4. 5℃ 이상 60℃ 이하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유압엘리베이터 작동유의 온도는 5도이상 ~ 60도이하입니다.
[해설작성자 : kbs]

2.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현수로프의 공칭 직경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16년 01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주로프의 공칭 직경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40 이상이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k]

[별표1] 전기식엘리베이터의 구조(제3조 관련)
9.2.1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현수로프의 공칭 직경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40 이상이어야 한다.

[별표4] 덤웨이터의 구조(제9조 관련)
9.2.1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현수로프의 공칭 직경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30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구월동 빅풋]

전기엘베 - 40 이상 / 단, 주거용건물 30 이상 가능
덤웨이트 - 30이상
[해설작성자 : 기사따고 기능사 심심풀이]

3. 엘리베이터의 카 바닥에 적재된 중량을 검출하여 과부하 운행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진동이 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2004년 04월)
     1. 방진고무
     2. 과부하 검출장치
     3. 맞대임고무
     4. 도어인터록

     정답 : []
     정답률 : 47%

4. 전망용 엘리베이터 카의 재료로서 한국산업규격에 정한 유리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2010년 01월)
     1. 복층유리
     2. 강화유리
     3. 접합유리
     4. 망유리

     정답 : []
     정답률 : 49%

5. 주차구획이 3층 이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출 입구가 있는 층의 모든 주차구획을 주차장치 출입구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그 주차 구획을 아래·위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자동차를 주차하도록 설계한 주차장치는?(2016년 04월)
     1. 수평순환식
     2. 다층순환식
     3. 다단식 주차장치
     4. 승강기 슬라이드식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수평에 낚이시면 안 됩니다. 3층 이상은 다단식
[해설작성자 : 포철공고 전자 정기흔]

2단 → 2단식 주차장치
3층 → 다단식 주차장치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6. 엘리베이터용 주로프는 일반 와이어로프에서 볼수 없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이에 해당되는 것은?(2008년 10월)
     1. 스트랜드(소선을 꼰 밧줄가닥)의 꼬는 방향과 로프의 꼬는 방향이 반대인 것
     2. 스트랜드의 꼬는 방향과 로프의 꼬는 방향이 같은 것
     3. 스트랜드의 꼬는 방향과 로프의 꼬는 방향이 일정구간 같았다가 반대이었다가 하는 것
     4. 스트랜드의 꼬는 방향과 로프의 꼬는 방향이 전체길이의 반은 같고, 반은 반대인 것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 신고로 해당되지 않는것은에서 해당되는 것은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7. 교류엘리베이터용 유도전동기의 극수가 4 이고 슬립이 0.03일 때 이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는 약 몇 rpm 인가?(2002년 01월)
     1. 1656
     2. 1712
     3. 1746
     4. 1856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극은 1800rpm 입니다 고로 1800*0.03 = 54    1800-54 =1746
[해설작성자 : 낼모래칠십]

8. 트랙션 권상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기어식과 무기어식 권상기가 있다.
     2. 행정거리의 제한이 없다.
     3. 소요동력이 크다.
     4. 지나치게 감기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소요동력은 트렉션(권상식)보다는 권동식이 크다.
[해설작성자 : mook]

9. 스프링 완충기는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몇 m/min 인 경우에 사용하는가?(2007년 04월)
     1. 60m/min 이하
     2. 60m/min~120m/min
     3. 120m/min~300m/min
     4. 300m/min 이상

     정답 : []
     정답률 : 57%

10. 조속기의 종류를 분류할 때 일반적인 분류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2월)
     1. 플라이 볼형 조속기
     2. 롤 세이프티형 조속기
     3. 웨지형 조속기
     4. 디스크형 조속기

     정답 : []
     정답률 : 69%

11. 트랙션식 권상기에서 로프와 도르래의 마찰계수를 높이기 위해서 도르래 홈의 밑을 도려낸 언더커트 홈을 사용한다. 이 언터커트 홈의 결점은?(2011년 10월)
     1. 지나친 되감기 발생
     2. 균형추 진동
     3. 시브의 이완
     4. 로프 마모

     정답 : []
     정답률 : 62%

12. 카가 최상층 및 최하층을 지나쳐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2005년 01월)
     1. 리미트스위치
     2. 균형추
     3. 인터록 장치
     4. 정지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79%

13. T형 가이드레일의 공칭 규격이 아닌 것은?(2014년 04월)
     1. 8K
     2. 14K
     3. 18K
     4. 24K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T형 가이드레일의 공칭규격은 8K,13K,18K,24K,30K등이 있습니당^^
[해설작성자 : 정인성]

14. 다음 중 로프의 꼬임 방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09년 01월)
     1. 보통꼬임과 랭꼬임이 있다.
     2. 보통꼬임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과 로프의 꼬임 방향이 같다.
     3. 보통꼬임은 소선과 도르래의 접촉면이 작으면 마모의 영향은 다소 많다.
     4. 보통꼬임은 잘 풀리지 않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보통꼬임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과 로프의 꼬임 방향이 다릅니다.
[해설작성자 : 현웅]

15. 수평보행기의 경사도는 12°이하로 한다. 다만, 디딤면이 고무제품 등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조의 경우에는 경사도를 몇 도 이하로 할 수 있는가?(2004년 04월)
     1. 13
     2. 15
     3. 18
     4. 20

     정답 : []
     정답률 : 71%

2과목 : 안전관리


16. 교류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어방식은?(2003년 01월)
     1. 교류 2단속도 제어방식
     2. 교류 궤환전압 제어방식
     3. 가변용량 가변전류 제어방식
     4.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

     정답 : []
     정답률 : 51%

17. 엘리베이터가 최종단층을 통과하였을 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며 상승, 하강 양방향 모두 운행이 불가능하게 하는 안전장치는?(2004년 10월)
     1. 리미트 스위치
     2. 비상정지장치
     3. 피트 정지스위치
     4.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최종단층을 통과했다는건 리미트 스위치를 넘은 상태이기 때문에 파이널리미트스위치가 맞다

18. 승강장 문이 카 문과의 연동에 의해 열리는 방식에서는 자동적으로 승강장의 문이 닫히는 쪽으로 힘을 작동시키는 안전장치는?(2009년 01월)
     1. 트랙 브래킷
     2. 도어 행거
     3. 도어 로크
     4. 도어 클로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문이 닫힌다고 하였으니 당연히 클로저 겠지요??
클로즈(CLOSE)는 닫다 라는 뜻이 있는 영단어 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19. 재해 발생의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은?(2014년 10월)
     1. 열량의 과잉 억제
     2. 설비의 배치 착오
     3. 과부하
     4. 작업자의 작업행동 부주의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어떤 일이든 부주의는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공고대장2203]

20. 안전 작업모를 착용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화상방지
     2. 감전의 방지
     3. 종업원의 표시
     4. 비산물로 인한 부상 방지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종업원의 표시는 안전 작업모를 착용하는 주요 목적에 적합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주)세종테크 직원]

21.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행위는?(2002년 04월)
     1. 위험 및 사용금지의 표찰이 붙어서 결함이 있는 사다리를 사용 할 때는 주의하면서 사용한다.
     2. 사다리 밑끝이 불안전하거나 3m이상의 높은 곳이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붙들게 하고 작업한다.
     3. 사다리를 문앞에 설치할 때는 문을 완전히 열어 놓거나 잠궈야 한다.
     4. 사다리 설치시에는 사다리의 밑바닥이 사다리 길이와 관련지어 어느 정도 벽에서 떨어지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결함이 있는 사다리는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언노운]

22. 작업현장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고의 원인은?(2003년 03월)
     1. 근로자의 불완전한 행동
     2. 시설장비의 결함
     3. 작업 방법
     4. 작업 환경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사고의 원인으로 가장 큰것은 근로자의 불완전한 행동, 실수 이겟지요.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23. 안전 작업모를 착용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화상방지
     2. 비산물로 인한 부상 방지
     3. 종업원의 표시
     4. 감전의 방지

     정답 : []
     정답률 : 80%

24. 사고원인에 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교육적인 원인 : 안전지식 부족
     2. 인적원인 : 불안전한 행동
     3. 간접적인 원인 : 고의에 의한 사고
     4. 직접적인 원인 : 환경 및 설비의 불량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의에의한 사고는 직접적인 원인입니다
[해설작성자 : 앙김옥찌]

25. 재해의 직접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2016년 07월)
     1. 물적 원인
     2. 교육적 원인
     3. 기술적 원인
     4. 작업관리상 원인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재해의 직접 원인에는
인적 원인, 물적 원인이 있습니다.

재해의 간접 원인에는
교육적 원인, 신체적 원인, 정신적 원인, 관리적 원인, 기술적 원인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26. 안전점검 시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7월)
     1. 여러 가지의 점검방법을 병용하여 점검한다.
     2. 과거의 재해발생 부분은 고려할 필요 없이 점검한다.
     3. 불량 부분이 발견되면 다른 동종의 설비도 점검한다.
     4. 발견된 불량 부분은 원인을 조사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안전점검 시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여러가지의 점검방법을 병용하여 점검한다.
불량 부분이 발견되면 다른 동종의 설비도 점검한다.
발견된 불량 부분은 원인을 조사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한다.

모두 생각을해보면 당연한 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석유고 계전과 6번]

과거의 어떤 재해가 발생 했고 그로 인한 대책이 확립되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안점 점검시 채워야 할테니
[해설작성자 : YT]

27.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으로서 심리적인 요인으로 생각되는 것은?(2006년 04월)
     1. 감정
     2. 극도의 피로감
     3. 신경계통의 이상
     4. 육체적인 능력 초과

     정답 : []
     정답률 : 71%

28. 다음 중 불안전한 행동이 아닌 것은?(2014년 04월)
     1. 방호조치의 결함
     2. 안전조치의 불이행
     3. 위험한 상태의 조장
     4. 안전장치의 무효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불안전한 행동(인적원인)
- 불안전한 자세
- 개인 보호구의 미착용
- 위험 장소의 접근
- 안전장치의 무효화
- 개불안전하 적재 및 배치
[해설작성자 : 123]

29.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현수로프 안전율은 몇 이상이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4년 10월)
     1. 8
     2. 9
     3. 11
     4. 12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주로프 12
조속기 8
균형로프,균형체인 5
[해설작성자 : 조커]

[2020년 개정]

조속기 로프 8
가요성호스 8
[해설작성자 : 씅깡끼]

2본 - 16
3본 - 12
체인 - 10 이상
[해설작성자 : 데헷]

30. 다음 중 기계실에서 행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치차 및 베어링 검사
     2. 조속기의 작동상태 검사
     3. 배전반 등 전원설비 검사
     4. 오버헤드(overhead) 간격(clearance) 검사

     정답 : []
     정답률 : 54%

3과목 : 승강기보수


31. 로프식 승용승강기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10월)
     1. 카 내에는 외부와 연락되는 통화장치가 있어야 한다.
     2. 카 내에는 용도, 적재하중(최대 정원) 및 비상시 조치 내용의 표찰이 있어야 한다.
     3. 카바닥 끝단과 승강로 벽사이의 거리는 150mm 초과 하여야 한다.
     4. 카바닥은 수평이 유지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카바닥 끝단과 승강로 벽사이의 거리는 125mm 이하 이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리비아조]

150이하 으로 개정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32. 조속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2월)
     1. 카의 정격속도가 미달될 때 정격속도가 되도록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장치
     2. 카의 속도를 검출하여 이상속도가 발생할 때 전기적, 기계적으로 차단시키는 장치
     3. 카 도어의 속도가 느릴 때 빠르게 해주는 장치
     4. 카에 정격용량 이상의 무게가 검출되었을 때 이것을 알리는 장치

     정답 : []
     정답률 : 70%

33. 스프링 완충기를 속도 60m/min 인 승강기에 적용할 때 최소 행정(STROKE)은 몇 [mm] 인가?(2009년 01월)
     1. 64
     2. 78
     3. 91
     4. 100

     정답 : []
     정답률 : 30%

34. 승강기의 제어반에서 점검할 수 없는 것은?(2014년 01월)
     1. 전동기 회로의 절연 상태
     2. 주접촉자의 접속 상태
     3. 결선단자의 조임 상태
     4. 조속기 스위치의 작동 상태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 는 카상부에서 점검한다.
[해설작성자 : 부평공고 전기과 재학중인 윤학생]

4. 는 카 상부에서 점검한다. 저거 아니에여. 조속기 스위치는 기계실에서 점검합니다. 제어반이 아닌 기계실 입니다.
저분이 얘기하는건 scs라는 인터록 스위치입니다. 조속기가 물렷을때 쇄기가 물리고 2차적으로 들어가는 인터록 스위치입니다.
헷깔리지마세요. scs는 기종에 따라 카 상부, 카 하부에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승강기짬쓰]

35. 다음 중 엘리베이터 감시반에 필요하지 않은 장치는?(2015년 04월)
     1. 현재 엘리베이터의 하중 표시장치
     2.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행방향 표시장치
     3. 현재 엘리베이터의 위치 표시장치
     4.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 확인 표시장치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엘리베이터에 감시반에 현재 엘리베이터의 하중 표시장치가 필요할 것 같으시겠지만 하중 초과되면 움직이지 않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칠곡중 3-8 18번]

36. 유압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구동기간은?(2010년 10월)
     1. 상승 시에만 구동된다.
     2. 하강 시에만 구동된다.
     3. 상승 시와 하강 시 모두 구동된다.
     4. 부하의 조건에 따라 상승 시 또는 하강 시에 구동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유압 엘리베이터는 상승시에만 전동기가 작동하고 하강시에는 유압유를 탱크로 귀환시킵니다
[해설작성자 : 평마고 최현서]

37. 승강기 회로의 사용전압이 440V인 전동기 주회로의 절연저항은 몇㏁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4년 04월)
     1. 1.5
     2. 1.0
     3. 0.4
     4. 0.1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50볼트 이하 : 0.1메가옴
150~300볼트 이하 : 0.2메가옴
300~400볼트 미만 : 0.3메가옴
400볼트 초과 : 0.4메가옴

가장 근접한 답을 고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개정후
전로의 사용전압
selv 및 plev         250[v] 0.5메가옴
felv 500[v] 이하 500[v] 1.0메가옴
500[v] 초과         1000[v] 1.0메가옴

이유 저압 전로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해 ac1000[v] dc1500[v]로 변경됨
[해설작성자 : 전기과 친구 ]

38. 엘리베이터의 도어 슈의 점검을 위해 실시하여야 할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2월)
     1. 도어 슈의 마모상태 점검
     2. 가이드 롤러의 고무 탄력상태 점검
     3. 슈 고정볼트의 조임상태 점검
     4. 도어 개폐시 실과의 간섭상태 점검

     정답 : []
     정답률 : 57%

39. 트랙션 방식의 권상용 와이어 로프를 카 한대에 3본이상으로 하는 가장 큰 이유는?(2004년 02월)
     1. 시브의 마찰력을 적게 하기 위하여
     2. 위험률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3. 드럼식 승강기에 비해 로프의 마모가 적기 때문에
     4. 미관상 좋게 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50%

40. 응급조치에 따른 승강기 보수작업으로 적당한 순서는?(2006년 01월)
     1. 보수내용 청취->현장 정돈(응급처치)->안전용구 착용->자재반입 및 신호->작업 착수
     2. 보수내용 청취->안전용구 착용->자재반입 및 신호->현장 정돈(응급조치)->작업착수
     3. 안전용구 착용->보수내용 청취->현장 정돈(응급조치)->자재반입 및 신호->작업착수
     4. 현장 정돈(응급조치)->보수내용 청취->안전용구 착용->자재반입 및 신호->작업 착수

     정답 : []
     정답률 : 33%

41. 승강기용 제어반에 사용되는 릴레이의 교체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2014년 10월)
     1. 릴레이 집점표면에 부식이 심한 경우
     2. 릴레이 접점이 마모, 전이 및 열화된 경우
     3. 채터링이 발생된 경우
     4. 리미트 스위치 레버가 심하게 손상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레버가 손상되어도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계란이]

42. 벨트방식 수평보행기의 경우 내리는 부분의 천이구간(경사부에서 수평부로 변하는 구간)의 곡률 반경은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팰릿타입이 아닌 경우이다)(2007년 04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벨트는 좁고 휘니까 0.4 이상 곡률 줘야 안전하다
[해설작성자 : 진주 기공 승강기의 제왕]

43. 로프의 미끄러짐 현상을 줄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1. 권부각을 크게 한다.
     2. 가감속도를 완만하게 한다.
     3. 균형체인이나 균형로프를 설치한다.
     4. 카 자중을 가볍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44. 블리드오프회로를 사용한 제어방식의 특징 중 잘못 설명한 것은?(2003년 10월)
     1. 유량제어밸브를 파일롯회로에 의해 제어하기 때문에 작동유의 온도나 압력 변화 등의 영향을 받기 쉽다.
     2. 카의 기동시 유량 조정이 어렵다.
     3. 기동, 정지시 쇼크가 적다.
     4. 상승운전시 효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33%

45.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자체점검주기가 가장 긴 것은?(2015년 04월)
     1. 권상기의 감속기어
     2. 권상기 베어링
     3. 수동조작핸들
     4. 고정도르래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자체점검 주기
1. 권상기의 감속기어 : 3개월에 1회
2. 권상기 베어링 : 6개월에 1회
3. 수동조작핸들 : 3개월에 1회
4. 고정도르래 : 12개월에 1회
[해설작성자 : 장성준]

46. 정전시 카내의 비상램프의 밝기는 기준 거리에서 몇 룩스 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5년 04월)
     1. 0.1
     2. 1
     3. 10
     4. 1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 룩스로 개정되었습니다.

47. 엘리베이터의 상승 전자접촉기와 하강 전자접촉기 상호간에 구성하여할 회로로 가장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인터록회로
     2. 병렬회로
     3. 직병렬회로
     4. 합성회로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인터록회로는 상승과 하강 전자접촉기가 동시에 동작하지못하도록 구성하는 회로이다
[해설작성자 : 시흥 전기기능장 준비생]

48. RLC 소자의 교류회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R만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은 동상이다.
     2. L만의 회로에서 저항성분은 유도리액턴스 XL이라 한다.
     3. C만의 회로에서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90°앞선다.
     4. 유도성리액턴스 XL=1/ωL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번 문제는 유도성리액턴스를 나타낸 것이 아니라 용량성리액턴스를 나타낸것입니당^^
[해설작성자 : 정인성]

유도성은 2*파이*F*L
[해설작성자 : 세상에서 최고 멋쟁이]

49. 저항 100Ω에 5A의 전류가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전압은?(2009년 09월)
     1. 220V
     2. 300V
     3. 400V
     4. 500V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V=I*R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50. 끝이 고정된 와이어로프 한쪽을 당길 때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은?(2014년 10월)
     1. 인장하중
     2. 압축하중
     3. 반복하중
     4. 충격하중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수평으로 당길때 인장하중
수직으로 누를때 압축하중
[해설작성자 : 조커]

51. 다음 중 측정계기의 눈금이 균일하고, 구동토크가 커서 강도가 좋으며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아 가장 많이 쓰이는 아날로그 계기 눈금의 구동방식은?(2006년 10월)
     1. 영구 자석과 전류에 의한 자기장 사이의 힘
     2. 두 전류에 의한 자기장 사이의 힘
     3. 자기장 내에 있는 철편에 작용하는 힘
     4. 충전된 물체사이에 작용하는 힘

     정답 : []
     정답률 : 43%

52. 승강기의 안전운행상 상승 및 하강 마그네틱(전자접촉기) 전단에는 어떤 방법으로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좋은가?(2003년 10월)
     1. 도어닫힘 확인 릴레이 a접점을 넣는다.
     2. 도어닫힘 확인 릴레이 b접점을 넣는다.
     3. 상승시에는 하강 마그네틱 보조 a접점을 넣는다.
     4. 하강시에는 상승 마그네틱 보조 b접점을 넣는다.

     정답 : []
     정답률 : 30%

53. 기어 장치에서 지름피치의 값이 커질수록 이의 크기는?(2010년 01월)
     1. 같다.
     2. 커진다.
     3. 작아진다.
     4.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모둘값이 클수록 피치가 크게 되므로 이의 크기는 크고 잇수는 적어진다.
지름피치의 값이 작을수록 이의 크기가 크고 지름피치값이 클수록 이의 크기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싷]

54.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식이 F(s) = 1/s일 때, 시간함수 f(t)의 파형은?(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55. 교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동상인 회로는?(2015년 10월)
     1. 저항만의 조합회로
     2. 저항과 콘덴서의 조합회로
     3. 저항과 코일의 조합회로
     4. 콘덴서와 콘덴서만의 조합회로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교류에서 전압,전류는 저항만에꺼얌^^
[해설작성자 : 제주저항중독]

56. 시퀀스 회로에서 일종의 기억회로라고 할 수 있는 것은?(2010년 10월)
     1. AND회로
     2. OR회로
     3. 자기유지회로
     4. NOT회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자기유지회로는 입력 값이 1에서 0으로 바뀌어도 출력은 계속 1을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 떡갈나무]

57. 발전기 및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동계전기는 어느 고장 부분을 검출하는 것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1년 02월)
     1. 내부 고장보호
     2. 권선의 층간단락
     3. 선로의 접지
     4. 권선의 온도상승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 신고로 인하여
정답을 2번에서 1번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아래는 대표 오류신고 내용들 입니다.

[오류 신고 내용]

차동계전기는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이생기면 작동하여 전원측 차단기를 차단시킨다 답은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ㅊㅈㅎ]

[추가 오류 신고]
1번으로 정답 수정 요청 변압기 내부의 보호용으로 사용 된다
[해설작성자 : YT]


[추가 오류 신고]

차동 비율차동 브흐홀쯔 변압기 내부보호용 계전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사]

58. 50㎌의 콘덴서에 200V, 60Hz의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 흐르는 전류(A)는?(2015년 04월)
     1. 약 2.56
     2. 약 3.77
     3. 약 4.56
     4. 약 5.28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콘덴서일때 I=wCV    
용량성리액턴스 Xc=1/wC=1/2πfC    
wC=2πfC 》》》I=2πfCV
=2×3.14×60×50×10^-6×200    
=3.768=3.77
[해설작성자 : 부호집어넣는거 개 힘드네ㅜㅜ]

59. 기어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동력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2. 마찰계수가 대단히 커서 부드럽게 움직인다.
     3. 기계적 강도가 커서 안정적이다.
     4. 호환성이 뛰어나고 정밀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47%

60. 250Ω 의 저항에 2A 의 전류가 1분간 흐를 때 발생하는 열량은 몇 [cal] 인가?(2007년 09월)
     1. 14400
     2. 62000
     3. 72000
     4. 8600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V=IR 에 의해 전압은 500V (250옴x2A)
열량은 전압 x 전류 x 시간(sec) x 0.24
즉, 500 x 2 x 60 x 0.24 = 14400cal
[해설작성자 : SSH]

열량 CAL은 0.24*V*I*t로 구해도 되고 0.24 I제곱*R*t로 구할 수 있음
V는 전압 I는 전류, t는 시간(초임) R은 저항임
[해설작성자 : 전기강사]


정 답 지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355823)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승강기개론


1. 유압엘리베이터의 작동유의 적정온도의 범위는?(2013년 10월)
     1. 30℃ 이상 70℃ 이하
     2. 30℃ 이상 80℃ 이하
     3. 5℃ 이상 90℃ 이하
     4. 5℃ 이상 60℃ 이하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유압엘리베이터 작동유의 온도는 5도이상 ~ 60도이하입니다.
[해설작성자 : kbs]

2.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현수로프의 공칭 직경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2016년 01월)
     1. 10
     2. 20
     3. 30
     4. 40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주로프의 공칭 직경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40 이상이여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k]

[별표1] 전기식엘리베이터의 구조(제3조 관련)
9.2.1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현수로프의 공칭 직경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40 이상이어야 한다.

[별표4] 덤웨이터의 구조(제9조 관련)
9.2.1 권상도르래, 풀리 또는 드럼과 현수로프의 공칭 직경사이의 비는 스트랜드의 수와 관계없이 30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구월동 빅풋]

전기엘베 - 40 이상 / 단, 주거용건물 30 이상 가능
덤웨이트 - 30이상
[해설작성자 : 기사따고 기능사 심심풀이]

3. 엘리베이터의 카 바닥에 적재된 중량을 검출하여 과부하 운행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진동이 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2004년 04월)
     1. 방진고무
     2. 과부하 검출장치
     3. 맞대임고무
     4. 도어인터록

     정답 : []
     정답률 : 47%

4. 전망용 엘리베이터 카의 재료로서 한국산업규격에 정한 유리로 사용할 수 없는 것은?(2010년 01월)
     1. 복층유리
     2. 강화유리
     3. 접합유리
     4. 망유리

     정답 : []
     정답률 : 49%

5. 주차구획이 3층 이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출 입구가 있는 층의 모든 주차구획을 주차장치 출입구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그 주차 구획을 아래·위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자동차를 주차하도록 설계한 주차장치는?(2016년 04월)
     1. 수평순환식
     2. 다층순환식
     3. 다단식 주차장치
     4. 승강기 슬라이드식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수평에 낚이시면 안 됩니다. 3층 이상은 다단식
[해설작성자 : 포철공고 전자 정기흔]

2단 → 2단식 주차장치
3층 → 다단식 주차장치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6. 엘리베이터용 주로프는 일반 와이어로프에서 볼수 없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 이에 해당되는 것은?(2008년 10월)
     1. 스트랜드(소선을 꼰 밧줄가닥)의 꼬는 방향과 로프의 꼬는 방향이 반대인 것
     2. 스트랜드의 꼬는 방향과 로프의 꼬는 방향이 같은 것
     3. 스트랜드의 꼬는 방향과 로프의 꼬는 방향이 일정구간 같았다가 반대이었다가 하는 것
     4. 스트랜드의 꼬는 방향과 로프의 꼬는 방향이 전체길이의 반은 같고, 반은 반대인 것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 신고로 해당되지 않는것은에서 해당되는 것은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7. 교류엘리베이터용 유도전동기의 극수가 4 이고 슬립이 0.03일 때 이 유도전동기의 회전속도는 약 몇 rpm 인가?(2002년 01월)
     1. 1656
     2. 1712
     3. 1746
     4. 1856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극은 1800rpm 입니다 고로 1800*0.03 = 54    1800-54 =1746
[해설작성자 : 낼모래칠십]

8. 트랙션 권상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4월)
     1. 기어식과 무기어식 권상기가 있다.
     2. 행정거리의 제한이 없다.
     3. 소요동력이 크다.
     4. 지나치게 감기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소요동력은 트렉션(권상식)보다는 권동식이 크다.
[해설작성자 : mook]

9. 스프링 완충기는 엘리베이터의 정격속도가 몇 m/min 인 경우에 사용하는가?(2007년 04월)
     1. 60m/min 이하
     2. 60m/min~120m/min
     3. 120m/min~300m/min
     4. 300m/min 이상

     정답 : []
     정답률 : 57%

10. 조속기의 종류를 분류할 때 일반적인 분류방법이 아닌 것은?(2004년 02월)
     1. 플라이 볼형 조속기
     2. 롤 세이프티형 조속기
     3. 웨지형 조속기
     4. 디스크형 조속기

     정답 : []
     정답률 : 69%

11. 트랙션식 권상기에서 로프와 도르래의 마찰계수를 높이기 위해서 도르래 홈의 밑을 도려낸 언더커트 홈을 사용한다. 이 언터커트 홈의 결점은?(2011년 10월)
     1. 지나친 되감기 발생
     2. 균형추 진동
     3. 시브의 이완
     4. 로프 마모

     정답 : []
     정답률 : 62%

12. 카가 최상층 및 최하층을 지나쳐 주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2005년 01월)
     1. 리미트스위치
     2. 균형추
     3. 인터록 장치
     4. 정지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79%

13. T형 가이드레일의 공칭 규격이 아닌 것은?(2014년 04월)
     1. 8K
     2. 14K
     3. 18K
     4. 24K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T형 가이드레일의 공칭규격은 8K,13K,18K,24K,30K등이 있습니당^^
[해설작성자 : 정인성]

14. 다음 중 로프의 꼬임 방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2009년 01월)
     1. 보통꼬임과 랭꼬임이 있다.
     2. 보통꼬임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과 로프의 꼬임 방향이 같다.
     3. 보통꼬임은 소선과 도르래의 접촉면이 작으면 마모의 영향은 다소 많다.
     4. 보통꼬임은 잘 풀리지 않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보통꼬임은 스트랜드의 꼬임 방향과 로프의 꼬임 방향이 다릅니다.
[해설작성자 : 현웅]

15. 수평보행기의 경사도는 12°이하로 한다. 다만, 디딤면이 고무제품 등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조의 경우에는 경사도를 몇 도 이하로 할 수 있는가?(2004년 04월)
     1. 13
     2. 15
     3. 18
     4. 20

     정답 : []
     정답률 : 71%

2과목 : 안전관리


16. 교류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지 않는 제어방식은?(2003년 01월)
     1. 교류 2단속도 제어방식
     2. 교류 궤환전압 제어방식
     3. 가변용량 가변전류 제어방식
     4.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제어방식

     정답 : []
     정답률 : 51%

17. 엘리베이터가 최종단층을 통과하였을 때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며 상승, 하강 양방향 모두 운행이 불가능하게 하는 안전장치는?(2004년 10월)
     1. 리미트 스위치
     2. 비상정지장치
     3. 피트 정지스위치
     4.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최종단층을 통과했다는건 리미트 스위치를 넘은 상태이기 때문에 파이널리미트스위치가 맞다

18. 승강장 문이 카 문과의 연동에 의해 열리는 방식에서는 자동적으로 승강장의 문이 닫히는 쪽으로 힘을 작동시키는 안전장치는?(2009년 01월)
     1. 트랙 브래킷
     2. 도어 행거
     3. 도어 로크
     4. 도어 클로저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문이 닫힌다고 하였으니 당연히 클로저 겠지요??
클로즈(CLOSE)는 닫다 라는 뜻이 있는 영단어 입니다.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19. 재해 발생의 원인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것은?(2014년 10월)
     1. 열량의 과잉 억제
     2. 설비의 배치 착오
     3. 과부하
     4. 작업자의 작업행동 부주의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어떤 일이든 부주의는 가장 큰 원인이 됩니다
[해설작성자 : 공고대장2203]

20. 안전 작업모를 착용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2016년 04월)
     1. 화상방지
     2. 감전의 방지
     3. 종업원의 표시
     4. 비산물로 인한 부상 방지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종업원의 표시는 안전 작업모를 착용하는 주요 목적에 적합하지 않음.
[해설작성자 : (주)세종테크 직원]

21. 사다리를 사용하는 작업에서 안전수칙에 어긋나는 행위는?(2002년 04월)
     1. 위험 및 사용금지의 표찰이 붙어서 결함이 있는 사다리를 사용 할 때는 주의하면서 사용한다.
     2. 사다리 밑끝이 불안전하거나 3m이상의 높은 곳이면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붙들게 하고 작업한다.
     3. 사다리를 문앞에 설치할 때는 문을 완전히 열어 놓거나 잠궈야 한다.
     4. 사다리 설치시에는 사다리의 밑바닥이 사다리 길이와 관련지어 어느 정도 벽에서 떨어지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결함이 있는 사다리는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언노운]

22. 작업현장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고의 원인은?(2003년 03월)
     1. 근로자의 불완전한 행동
     2. 시설장비의 결함
     3. 작업 방법
     4. 작업 환경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사고의 원인으로 가장 큰것은 근로자의 불완전한 행동, 실수 이겟지요.
[해설작성자 : 비전동전기남]

23. 안전 작업모를 착용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화상방지
     2. 비산물로 인한 부상 방지
     3. 종업원의 표시
     4. 감전의 방지

     정답 : []
     정답률 : 80%

24. 사고원인에 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2010년 03월)
     1. 교육적인 원인 : 안전지식 부족
     2. 인적원인 : 불안전한 행동
     3. 간접적인 원인 : 고의에 의한 사고
     4. 직접적인 원인 : 환경 및 설비의 불량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고의에의한 사고는 직접적인 원인입니다
[해설작성자 : 앙김옥찌]

25. 재해의 직접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2016년 07월)
     1. 물적 원인
     2. 교육적 원인
     3. 기술적 원인
     4. 작업관리상 원인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재해의 직접 원인에는
인적 원인, 물적 원인이 있습니다.

재해의 간접 원인에는
교육적 원인, 신체적 원인, 정신적 원인, 관리적 원인, 기술적 원인이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나주공고 박지성]

26. 안전점검 시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2016년 07월)
     1. 여러 가지의 점검방법을 병용하여 점검한다.
     2. 과거의 재해발생 부분은 고려할 필요 없이 점검한다.
     3. 불량 부분이 발견되면 다른 동종의 설비도 점검한다.
     4. 발견된 불량 부분은 원인을 조사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한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안전점검 시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여러가지의 점검방법을 병용하여 점검한다.
불량 부분이 발견되면 다른 동종의 설비도 점검한다.
발견된 불량 부분은 원인을 조사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한다.

모두 생각을해보면 당연한 것 입니다.
[해설작성자 : 석유고 계전과 6번]

과거의 어떤 재해가 발생 했고 그로 인한 대책이 확립되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안점 점검시 채워야 할테니
[해설작성자 : YT]

27.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으로서 심리적인 요인으로 생각되는 것은?(2006년 04월)
     1. 감정
     2. 극도의 피로감
     3. 신경계통의 이상
     4. 육체적인 능력 초과

     정답 : []
     정답률 : 71%

28. 다음 중 불안전한 행동이 아닌 것은?(2014년 04월)
     1. 방호조치의 결함
     2. 안전조치의 불이행
     3. 위험한 상태의 조장
     4. 안전장치의 무효화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 불안전한 행동(인적원인)
- 불안전한 자세
- 개인 보호구의 미착용
- 위험 장소의 접근
- 안전장치의 무효화
- 개불안전하 적재 및 배치
[해설작성자 : 123]

29.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현수로프 안전율은 몇 이상이여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4년 10월)
     1. 8
     2. 9
     3. 11
     4. 12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주로프 12
조속기 8
균형로프,균형체인 5
[해설작성자 : 조커]

[2020년 개정]

조속기 로프 8
가요성호스 8
[해설작성자 : 씅깡끼]

2본 - 16
3본 - 12
체인 - 10 이상
[해설작성자 : 데헷]

30. 다음 중 기계실에서 행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2009년 01월)
     1. 치차 및 베어링 검사
     2. 조속기의 작동상태 검사
     3. 배전반 등 전원설비 검사
     4. 오버헤드(overhead) 간격(clearance) 검사

     정답 : []
     정답률 : 54%

3과목 : 승강기보수


31. 로프식 승용승강기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5년 10월)
     1. 카 내에는 외부와 연락되는 통화장치가 있어야 한다.
     2. 카 내에는 용도, 적재하중(최대 정원) 및 비상시 조치 내용의 표찰이 있어야 한다.
     3. 카바닥 끝단과 승강로 벽사이의 거리는 150mm 초과 하여야 한다.
     4. 카바닥은 수평이 유지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카바닥 끝단과 승강로 벽사이의 거리는 125mm 이하 이어야 합니다.
[해설작성자 : 리비아조]

150이하 으로 개정되었습니다
[해설작성자 : ㅇㅇ]

32. 조속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2004년 02월)
     1. 카의 정격속도가 미달될 때 정격속도가 되도록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장치
     2. 카의 속도를 검출하여 이상속도가 발생할 때 전기적, 기계적으로 차단시키는 장치
     3. 카 도어의 속도가 느릴 때 빠르게 해주는 장치
     4. 카에 정격용량 이상의 무게가 검출되었을 때 이것을 알리는 장치

     정답 : []
     정답률 : 70%

33. 스프링 완충기를 속도 60m/min 인 승강기에 적용할 때 최소 행정(STROKE)은 몇 [mm] 인가?(2009년 01월)
     1. 64
     2. 78
     3. 91
     4. 100

     정답 : []
     정답률 : 30%

34. 승강기의 제어반에서 점검할 수 없는 것은?(2014년 01월)
     1. 전동기 회로의 절연 상태
     2. 주접촉자의 접속 상태
     3. 결선단자의 조임 상태
     4. 조속기 스위치의 작동 상태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4. 는 카상부에서 점검한다.
[해설작성자 : 부평공고 전기과 재학중인 윤학생]

4. 는 카 상부에서 점검한다. 저거 아니에여. 조속기 스위치는 기계실에서 점검합니다. 제어반이 아닌 기계실 입니다.
저분이 얘기하는건 scs라는 인터록 스위치입니다. 조속기가 물렷을때 쇄기가 물리고 2차적으로 들어가는 인터록 스위치입니다.
헷깔리지마세요. scs는 기종에 따라 카 상부, 카 하부에 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승강기짬쓰]

35. 다음 중 엘리베이터 감시반에 필요하지 않은 장치는?(2015년 04월)
     1. 현재 엘리베이터의 하중 표시장치
     2.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행방향 표시장치
     3. 현재 엘리베이터의 위치 표시장치
     4. 엘리베이터의 이상 유무 확인 표시장치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엘리베이터에 감시반에 현재 엘리베이터의 하중 표시장치가 필요할 것 같으시겠지만 하중 초과되면 움직이지 않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해설작성자 : 칠곡중 3-8 18번]

36. 유압 엘리베이터의 전동기 구동기간은?(2010년 10월)
     1. 상승 시에만 구동된다.
     2. 하강 시에만 구동된다.
     3. 상승 시와 하강 시 모두 구동된다.
     4. 부하의 조건에 따라 상승 시 또는 하강 시에 구동된다.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유압 엘리베이터는 상승시에만 전동기가 작동하고 하강시에는 유압유를 탱크로 귀환시킵니다
[해설작성자 : 평마고 최현서]

37. 승강기 회로의 사용전압이 440V인 전동기 주회로의 절연저항은 몇㏁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14년 04월)
     1. 1.5
     2. 1.0
     3. 0.4
     4. 0.1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150볼트 이하 : 0.1메가옴
150~300볼트 이하 : 0.2메가옴
300~400볼트 미만 : 0.3메가옴
400볼트 초과 : 0.4메가옴

가장 근접한 답을 고르시면 됩니다.
[해설작성자 : 손인성]

개정후
전로의 사용전압
selv 및 plev         250[v] 0.5메가옴
felv 500[v] 이하 500[v] 1.0메가옴
500[v] 초과         1000[v] 1.0메가옴

이유 저압 전로 kec 규정 변경으로 인해 ac1000[v] dc1500[v]로 변경됨
[해설작성자 : 전기과 친구 ]

38. 엘리베이터의 도어 슈의 점검을 위해 실시하여야 할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2011년 02월)
     1. 도어 슈의 마모상태 점검
     2. 가이드 롤러의 고무 탄력상태 점검
     3. 슈 고정볼트의 조임상태 점검
     4. 도어 개폐시 실과의 간섭상태 점검

     정답 : []
     정답률 : 57%

39. 트랙션 방식의 권상용 와이어 로프를 카 한대에 3본이상으로 하는 가장 큰 이유는?(2004년 02월)
     1. 시브의 마찰력을 적게 하기 위하여
     2. 위험률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3. 드럼식 승강기에 비해 로프의 마모가 적기 때문에
     4. 미관상 좋게 하기 위하여

     정답 : []
     정답률 : 50%

40. 응급조치에 따른 승강기 보수작업으로 적당한 순서는?(2006년 01월)
     1. 보수내용 청취->현장 정돈(응급처치)->안전용구 착용->자재반입 및 신호->작업 착수
     2. 보수내용 청취->안전용구 착용->자재반입 및 신호->현장 정돈(응급조치)->작업착수
     3. 안전용구 착용->보수내용 청취->현장 정돈(응급조치)->자재반입 및 신호->작업착수
     4. 현장 정돈(응급조치)->보수내용 청취->안전용구 착용->자재반입 및 신호->작업 착수

     정답 : []
     정답률 : 33%

41. 승강기용 제어반에 사용되는 릴레이의 교체기준으로 부적합한 것은?(2014년 10월)
     1. 릴레이 집점표면에 부식이 심한 경우
     2. 릴레이 접점이 마모, 전이 및 열화된 경우
     3. 채터링이 발생된 경우
     4. 리미트 스위치 레버가 심하게 손상된 경우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레버가 손상되어도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하는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해설작성자 : 계란이]

42. 벨트방식 수평보행기의 경우 내리는 부분의 천이구간(경사부에서 수평부로 변하는 구간)의 곡률 반경은 몇 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팰릿타입이 아닌 경우이다)(2007년 04월)
     1. 0.1
     2. 0.2
     3. 0.3
     4. 0.4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벨트는 좁고 휘니까 0.4 이상 곡률 줘야 안전하다
[해설작성자 : 진주 기공 승강기의 제왕]

43. 로프의 미끄러짐 현상을 줄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2년 10월)
     1. 권부각을 크게 한다.
     2. 가감속도를 완만하게 한다.
     3. 균형체인이나 균형로프를 설치한다.
     4. 카 자중을 가볍게 한다.

     정답 : []
     정답률 : 62%

44. 블리드오프회로를 사용한 제어방식의 특징 중 잘못 설명한 것은?(2003년 10월)
     1. 유량제어밸브를 파일롯회로에 의해 제어하기 때문에 작동유의 온도나 압력 변화 등의 영향을 받기 쉽다.
     2. 카의 기동시 유량 조정이 어렵다.
     3. 기동, 정지시 쇼크가 적다.
     4. 상승운전시 효율이 높다.

     정답 : []
     정답률 : 33%

45. 전기식 엘리베이터에서 자체점검주기가 가장 긴 것은?(2015년 04월)
     1. 권상기의 감속기어
     2. 권상기 베어링
     3. 수동조작핸들
     4. 고정도르래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자체점검 주기
1. 권상기의 감속기어 : 3개월에 1회
2. 권상기 베어링 : 6개월에 1회
3. 수동조작핸들 : 3개월에 1회
4. 고정도르래 : 12개월에 1회
[해설작성자 : 장성준]

46. 정전시 카내의 비상램프의 밝기는 기준 거리에서 몇 룩스 이상이어야 하는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2005년 04월)
     1. 0.1
     2. 1
     3. 10
     4. 100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 룩스로 개정되었습니다.

47. 엘리베이터의 상승 전자접촉기와 하강 전자접촉기 상호간에 구성하여할 회로로 가장 옳은 것은?(2013년 01월)
     1. 인터록회로
     2. 병렬회로
     3. 직병렬회로
     4. 합성회로

     정답 : []
     정답률 : 48%
     <문제 해설>
인터록회로는 상승과 하강 전자접촉기가 동시에 동작하지못하도록 구성하는 회로이다
[해설작성자 : 시흥 전기기능장 준비생]

48. RLC 소자의 교류회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4월)
     1. R만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은 동상이다.
     2. L만의 회로에서 저항성분은 유도리액턴스 XL이라 한다.
     3. C만의 회로에서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90°앞선다.
     4. 유도성리액턴스 XL=1/ωL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4번 문제는 유도성리액턴스를 나타낸 것이 아니라 용량성리액턴스를 나타낸것입니당^^
[해설작성자 : 정인성]

유도성은 2*파이*F*L
[해설작성자 : 세상에서 최고 멋쟁이]

49. 저항 100Ω에 5A의 전류가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전압은?(2009년 09월)
     1. 220V
     2. 300V
     3. 400V
     4. 500V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V=I*R
[해설작성자 : 합격기원]

50. 끝이 고정된 와이어로프 한쪽을 당길 때 와이어로프에 작용하는 하중은?(2014년 10월)
     1. 인장하중
     2. 압축하중
     3. 반복하중
     4. 충격하중

     정답 : []
     정답률 : 71%
     <문제 해설>
수평으로 당길때 인장하중
수직으로 누를때 압축하중
[해설작성자 : 조커]

51. 다음 중 측정계기의 눈금이 균일하고, 구동토크가 커서 강도가 좋으며 외부의 영향을 적게 받아 가장 많이 쓰이는 아날로그 계기 눈금의 구동방식은?(2006년 10월)
     1. 영구 자석과 전류에 의한 자기장 사이의 힘
     2. 두 전류에 의한 자기장 사이의 힘
     3. 자기장 내에 있는 철편에 작용하는 힘
     4. 충전된 물체사이에 작용하는 힘

     정답 : []
     정답률 : 43%

52. 승강기의 안전운행상 상승 및 하강 마그네틱(전자접촉기) 전단에는 어떤 방법으로 회로를 구성하는 것이 좋은가?(2003년 10월)
     1. 도어닫힘 확인 릴레이 a접점을 넣는다.
     2. 도어닫힘 확인 릴레이 b접점을 넣는다.
     3. 상승시에는 하강 마그네틱 보조 a접점을 넣는다.
     4. 하강시에는 상승 마그네틱 보조 b접점을 넣는다.

     정답 : []
     정답률 : 30%

53. 기어 장치에서 지름피치의 값이 커질수록 이의 크기는?(2010년 01월)
     1. 같다.
     2. 커진다.
     3. 작아진다.
     4.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모둘값이 클수록 피치가 크게 되므로 이의 크기는 크고 잇수는 적어진다.
지름피치의 값이 작을수록 이의 크기가 크고 지름피치값이 클수록 이의 크기가 작아진다.
[해설작성자 : 싷]

54. 함수의 라플라스 변환식이 F(s) = 1/s일 때, 시간함수 f(t)의 파형은?(2008년 03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7%

55. 교류 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위상이 동상인 회로는?(2015년 10월)
     1. 저항만의 조합회로
     2. 저항과 콘덴서의 조합회로
     3. 저항과 코일의 조합회로
     4. 콘덴서와 콘덴서만의 조합회로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교류에서 전압,전류는 저항만에꺼얌^^
[해설작성자 : 제주저항중독]

56. 시퀀스 회로에서 일종의 기억회로라고 할 수 있는 것은?(2010년 10월)
     1. AND회로
     2. OR회로
     3. 자기유지회로
     4. NOT회로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자기유지회로는 입력 값이 1에서 0으로 바뀌어도 출력은 계속 1을 유지한다.
[해설작성자 : 말하는 떡갈나무]

57. 발전기 및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동계전기는 어느 고장 부분을 검출하는 것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1년 02월)
     1. 내부 고장보호
     2. 권선의 층간단락
     3. 선로의 접지
     4. 권선의 온도상승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다수의 오류 신고로 인하여
정답을 2번에서 1번으로 수정하였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아래는 대표 오류신고 내용들 입니다.

[오류 신고 내용]

차동계전기는 발전기나 변압기의 내부고장이생기면 작동하여 전원측 차단기를 차단시킨다 답은 1번입니다
[해설작성자 : ㅊㅈㅎ]

[추가 오류 신고]
1번으로 정답 수정 요청 변압기 내부의 보호용으로 사용 된다
[해설작성자 : YT]


[추가 오류 신고]

차동 비율차동 브흐홀쯔 변압기 내부보호용 계전기입니다
[해설작성자 : 전기기능사]

58. 50㎌의 콘덴서에 200V, 60Hz의 교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 흐르는 전류(A)는?(2015년 04월)
     1. 약 2.56
     2. 약 3.77
     3. 약 4.56
     4. 약 5.28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콘덴서일때 I=wCV    
용량성리액턴스 Xc=1/wC=1/2πfC    
wC=2πfC 》》》I=2πfCV
=2×3.14×60×50×10^-6×200    
=3.768=3.77
[해설작성자 : 부호집어넣는거 개 힘드네ㅜㅜ]

59. 기어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2003년 03월)
     1. 동력전달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2. 마찰계수가 대단히 커서 부드럽게 움직인다.
     3. 기계적 강도가 커서 안정적이다.
     4. 호환성이 뛰어나고 정밀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47%

60. 250Ω 의 저항에 2A 의 전류가 1분간 흐를 때 발생하는 열량은 몇 [cal] 인가?(2007년 09월)
     1. 14400
     2. 62000
     3. 72000
     4. 86000

     정답 : []
     정답률 : 40%
     <문제 해설>
V=IR 에 의해 전압은 500V (250옴x2A)
열량은 전압 x 전류 x 시간(sec) x 0.24
즉, 500 x 2 x 60 x 0.24 = 14400cal
[해설작성자 : SSH]

열량 CAL은 0.24*V*I*t로 구해도 되고 0.24 I제곱*R*t로 구할 수 있음
V는 전압 I는 전류, t는 시간(초임) R은 저항임
[해설작성자 : 전기강사]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355823)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승강기기능사, 승강기, 기능사,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8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8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1168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7 기계조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6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5 미용기능사(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4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3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2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0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1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0 임산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9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8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1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항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6 9급 국가직 공무원 정보시스템보안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선박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4 사회복지사 1급(3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1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6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 승강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535582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1 PSAT 헌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0 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6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3 Next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