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92849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탄성처짐이 30mm인 부재의 경우 하중의 재하기간이 7년이고 압축철근비가 0.002일 때, 추가적인 장기처짐을 고려한 최종 처짐량은 약 얼마인가?(2015년 06월)
     1. 80mm
     2. 85mm
     3. 90mm
     4. 95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보기>와 같은 기둥 단면에서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은? (단, 정적조건을 기준으로 하며, D13의 공칭직경은 12.7mm, D35의 공칭직경은 34.9mm이다.)(2018년 03월)

   

     1. 500mm
     2. 555mm
     3. 609mm
     4. 75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600mm2의 PSC 강선을 단면 도심축에 배치한 단면 200mm×300mm인 프리텐션 PSC 부재가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가 1,000MPa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은? (단,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 , 긴장재의 단면적은 무시하고, 부재의 총단면적을 사용한다.)(2016년 06월)
     1. 40MPa
     2. 50MPa
     3. 60MPa
     4. 70MP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수중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경우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는 얼마인가? (단, 프리스트레스하지 않은 현장치기 콘크리트이다.)(2015년 06월)
     1. 40mm
     2. 60mm
     3. 80mm
     4. 10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기준은 부착긴장재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휨부재의 공칭 휨강도 계산에서 긴장재의 응력을

의 식을 통해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식의 사용을 위해서는 긴장재의 유효응력이 얼마 이상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긴장재의 설계기준인장강도 fpu=1,800MPa일 때, 이 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유효응력은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2015년 06월)
     1. 720MPa
     2. 810MPa
     3. 900MPa
     4. 1,080MP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보기>와 같은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의 크기는? (단, 벽면마찰각과 옹벽 연직변위는 무시한다.)(2018년 03월)

   

     1. 32.5kN/m
     2. 162.5kN/m
     3. 287.5kN/m
     4. 325kN/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서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변형률을 산정하기 위해서 개념 건조수축계수(εsho)에 건조기간에 따른 건조수축 변형률 함수(βs(t-ts))를 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개념 건조수축계수 산정 시에 고려되는 요소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외기 습도
     2. 시멘트 종류
     3. 재령 28일에서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강도
     4. 순인장변형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2방향 슬래브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근사적 방법인 직접설계법을 적용하기 위한 제한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을 적용한다.)(2019년 06월)
     1. 연속한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기둥의 어긋남은 그 방향 경간의 10% 이하이어야 한다.
     2. 모든 하중은 슬래브 판 전체에 걸쳐 등분포된 연직하중이어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하이어야 한다.
     3. 각 방향으로 연속한 받침부 중심간 경간 길이의 차이는 긴 경간의 1/3 이하이어야 한다.
     4. 슬래브 판들은 단변 경간에 대한 장변 경간의 비가 2 이상인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9.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내민보에 자중을 포함한 계수등분포하중(wu)이 100kN/m로 작용할 때, 위험단면에서 전단보강철근이 부담해야 할 최소의 전단력(Vs)을 부담한다면 전단보강철근의 최대간격은 얼마 이하여야 하는가? (단, 보통중량 콘트리트를 사용하였으며, fck=36MPa, 전단철근의 단면적 Av=400mm2, fyt=300MPa이며,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을 적용한다.)(2019년 06월)

   

     1. 125mm
     2. 200mm
     3. 250mm
     4. 300mm

     정답 : []
     정답률 : 14%

10. 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무근 콘크리트보를 사용하여 3등분점 하중법(third-point loading)에 의해서 보가 파괴될 때까지 하중을 작용시켜서 휨 강도를 측정할 때, 바닥에서의 최대 인장응력에 해당되는 파괴계수 fr은?(2016년 06월)

    

     1. PL/bd
     2. PL/bd2
     3. PL/bd3
     4. PL/bd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제주도 지역에 위치하는 교량 설계 시 적용하여야 할 지진구역계수(재현주기 500년)는? (단, 「도로교설계기준(2016)」을 적용한다.)(2017년 06월)
     1. 0.07
     2. 0.10
     3. 0.11
     4. 0.1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도로교 설계기준(2012)에 규정된 용접연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용접축에 평행한 압축이나 인장에 대한 필릿용접의 설계강도는 모재의 설계강도를 사용한다.
     2. 그루브용접과 필릿용접에는 매칭 용접금속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두께가 6mm 이상인 부재의 필릿용접 치수는 계약서에 용접을 전체 목두께만큼 육성하도록 명시되지 않는 한 그 부재 두께보다 2mm 큰 값으로 한다.
     4. 필릿용접의 최소유효길이는 용접치수의 4배, 그리고 어떤 경우에도 40mm보다 길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그림과 같은 긴장재를 절곡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A-A 단면에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해 작용하는 단면력이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14. 옹벽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을 적용한다.)(2019년 06월)
     1. 옹벽은 외력에 대하여 활동, 전도 및 지반침하에 대한 안정성을 가져야 하며, 이들 안정은 계수하중에 의하여 검토한다.
     2.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3. 전도에 대한 저항 휨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 모멘트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4. 지반 침하에 대한 안정성 검토 시에 최대지반반력은 지반의 허용지지력 이하가 되도록 한다. 지반의 내부 마찰각, 점착력 등과 같은 특성으로부터 지반의 극한 지지력을 구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허용지지력 qa는 qu/3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15. 계수전단력 Vu=7.5kN이 폭 b=100mm인 직사각형 단면에 작용한다. 이때, 전단철근 없이 콘크리트만으로 견딜 수 있는 단면의 최소 유효깊이 d는? (단,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 fck=36MPa, 보통중량콘크리트이고,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을 적용한다.)(2017년 06월)

    

     1. 150mm
     2. 200mm
     3. 250mm
     4. 30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다음 그림과 같은 자중을 포함한 계수등분포하중 wu을 받고 있는 단철근 직사각형 철근콘크리트 단순보에서, 지점 A로부터 최소전단철근을 포함한 전단철근이 배근되는 점까지의 거리 x는?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fck=36MPa, 단면의 폭 b=400mm, 유효깊이 d=400mm이다.)(2016년 06월)

    

     1. 3m
     2. 4m
     3. 5m
     4. 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보기>의 그림 (가)와 같이 중앙 지점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단순보가 그림 (나)와 같이 (6×20)cm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최대 휨응력은?(2018년 03월)

    

     1. 6.25kN/cm2
     2. 12.65kN/cm2
     3. 166.75kN/cm2
     4. 833kN/cm2

     정답 : []
     정답률 : 70%

18. PS 강재의 정착 방법 중에서 쐐기식 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6월)
     1. VSL 공법
     2. CCL 공법
     3. Magnel 공법
     4. Leoba 공법

     정답 : []
     정답률 : 65%

19.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균열발생의 요인으로는 재료적 요인, 시공상의 요인, 설계상의 요인, 사용환경의 요인 등이 있다.
     2. 균열 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철근의 종류, 철근의 응력 및 피복두께 등이 있다.
     3. 구조물 내구성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미세한 균열보다 폭이 큰 몇 개의 균열이 바람직하다.
     4. 균열은 구조적인 균열과 비구조적인 균열로 구분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다음 그림과 같이 정모멘트에 의한 휨을 받는 철근콘크리트보에서 단면의 상단에서 균열 발생 이전단면(비균열 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를 x, 균열 발생 후 단면(균열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를 y라 할 때, x와 y에 대한 식이 모두 바르게 표기된 것은? (단,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 이다.)(2016년 06월)

    

     1. {bh+nAs}⋅x-{(1/2)bh2+nAsd}=0, (1/2)by2-nAs(d-y)=0
     2. {bh+(n-1)As}⋅x-{(1/2)bh2+(n-1)Asd}=0, (1/2)by2-nAs(d-y)=0
     3. {bh+nAs}⋅x-{(1/2)bh2+nAsd}=0, (1/2)by2-(n-1)As(d-y)=0
     4. {bh+nAs}⋅x-{(1/2)bh2+(n-1)Asd}=0, (1/2)by2-nAs(d-y)=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92849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탄성처짐이 30mm인 부재의 경우 하중의 재하기간이 7년이고 압축철근비가 0.002일 때, 추가적인 장기처짐을 고려한 최종 처짐량은 약 얼마인가?(2015년 06월)
     1. 80mm
     2. 85mm
     3. 90mm
     4. 95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 <보기>와 같은 기둥 단면에서 띠철근의 최대 수직간격은? (단, 정적조건을 기준으로 하며, D13의 공칭직경은 12.7mm, D35의 공칭직경은 34.9mm이다.)(2018년 03월)

   

     1. 500mm
     2. 555mm
     3. 609mm
     4. 75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600mm2의 PSC 강선을 단면 도심축에 배치한 단면 200mm×300mm인 프리텐션 PSC 부재가 있다. 초기 프리스트레스가 1,000MPa일 때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감소량은? (단,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 , 긴장재의 단면적은 무시하고, 부재의 총단면적을 사용한다.)(2016년 06월)
     1. 40MPa
     2. 50MPa
     3. 60MPa
     4. 70MP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 수중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경우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는 얼마인가? (단, 프리스트레스하지 않은 현장치기 콘크리트이다.)(2015년 06월)
     1. 40mm
     2. 60mm
     3. 80mm
     4. 10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기준은 부착긴장재를 가지는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휨부재의 공칭 휨강도 계산에서 긴장재의 응력을

의 식을 통해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식의 사용을 위해서는 긴장재의 유효응력이 얼마 이상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긴장재의 설계기준인장강도 fpu=1,800MPa일 때, 이 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리스트레스 긴장재의 유효응력은 얼마 이상이 되어야 하는가?
(2015년 06월)
     1. 720MPa
     2. 810MPa
     3. 900MPa
     4. 1,080MPa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 <보기>와 같은 옹벽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의 크기는? (단, 벽면마찰각과 옹벽 연직변위는 무시한다.)(2018년 03월)

   

     1. 32.5kN/m
     2. 162.5kN/m
     3. 287.5kN/m
     4. 325kN/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에서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변형률을 산정하기 위해서 개념 건조수축계수(εsho)에 건조기간에 따른 건조수축 변형률 함수(βs(t-ts))를 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개념 건조수축계수 산정 시에 고려되는 요소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6월)
     1. 외기 습도
     2. 시멘트 종류
     3. 재령 28일에서 콘크리트의 평균 압축강도
     4. 순인장변형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2방향 슬래브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근사적 방법인 직접설계법을 적용하기 위한 제한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을 적용한다.)(2019년 06월)
     1. 연속한 기둥 중심선을 기준으로 기둥의 어긋남은 그 방향 경간의 10% 이하이어야 한다.
     2. 모든 하중은 슬래브 판 전체에 걸쳐 등분포된 연직하중이어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하이어야 한다.
     3. 각 방향으로 연속한 받침부 중심간 경간 길이의 차이는 긴 경간의 1/3 이하이어야 한다.
     4. 슬래브 판들은 단변 경간에 대한 장변 경간의 비가 2 이상인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7%

9.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내민보에 자중을 포함한 계수등분포하중(wu)이 100kN/m로 작용할 때, 위험단면에서 전단보강철근이 부담해야 할 최소의 전단력(Vs)을 부담한다면 전단보강철근의 최대간격은 얼마 이하여야 하는가? (단, 보통중량 콘트리트를 사용하였으며, fck=36MPa, 전단철근의 단면적 Av=400mm2, fyt=300MPa이며,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을 적용한다.)(2019년 06월)

   

     1. 125mm
     2. 200mm
     3. 250mm
     4. 300mm

     정답 : []
     정답률 : 14%

10. 다음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무근 콘크리트보를 사용하여 3등분점 하중법(third-point loading)에 의해서 보가 파괴될 때까지 하중을 작용시켜서 휨 강도를 측정할 때, 바닥에서의 최대 인장응력에 해당되는 파괴계수 fr은?(2016년 06월)

    

     1. PL/bd
     2. PL/bd2
     3. PL/bd3
     4. PL/bd4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제주도 지역에 위치하는 교량 설계 시 적용하여야 할 지진구역계수(재현주기 500년)는? (단, 「도로교설계기준(2016)」을 적용한다.)(2017년 06월)
     1. 0.07
     2. 0.10
     3. 0.11
     4. 0.15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2. 도로교 설계기준(2012)에 규정된 용접연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2016년 06월)
     1. 용접축에 평행한 압축이나 인장에 대한 필릿용접의 설계강도는 모재의 설계강도를 사용한다.
     2. 그루브용접과 필릿용접에는 매칭 용접금속을 사용하여야 한다.
     3. 두께가 6mm 이상인 부재의 필릿용접 치수는 계약서에 용접을 전체 목두께만큼 육성하도록 명시되지 않는 한 그 부재 두께보다 2mm 큰 값으로 한다.
     4. 필릿용접의 최소유효길이는 용접치수의 4배, 그리고 어떤 경우에도 40mm보다 길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3. 그림과 같은 긴장재를 절곡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A-A 단면에서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해 작용하는 단면력이 옳은 것은?(2019년 06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34%

14. 옹벽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을 적용한다.)(2019년 06월)
     1. 옹벽은 외력에 대하여 활동, 전도 및 지반침하에 대한 안정성을 가져야 하며, 이들 안정은 계수하중에 의하여 검토한다.
     2. 활동에 대한 저항력은 옹벽에 작용하는 수평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3. 전도에 대한 저항 휨모멘트는 횡토압에 의한 전도 모멘트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4. 지반 침하에 대한 안정성 검토 시에 최대지반반력은 지반의 허용지지력 이하가 되도록 한다. 지반의 내부 마찰각, 점착력 등과 같은 특성으로부터 지반의 극한 지지력을 구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허용지지력 qa는 qu/3이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47%

15. 계수전단력 Vu=7.5kN이 폭 b=100mm인 직사각형 단면에 작용한다. 이때, 전단철근 없이 콘크리트만으로 견딜 수 있는 단면의 최소 유효깊이 d는? (단, 콘크리트 설계기준 압축강도 fck=36MPa, 보통중량콘크리트이고, 「콘크리트구조기준(2012)」을 적용한다.)(2017년 06월)

    

     1. 150mm
     2. 200mm
     3. 250mm
     4. 300m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6. 다음 그림과 같은 자중을 포함한 계수등분포하중 wu을 받고 있는 단철근 직사각형 철근콘크리트 단순보에서, 지점 A로부터 최소전단철근을 포함한 전단철근이 배근되는 점까지의 거리 x는? (단, 보통중량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fck=36MPa, 단면의 폭 b=400mm, 유효깊이 d=400mm이다.)(2016년 06월)

    

     1. 3m
     2. 4m
     3. 5m
     4. 6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보기>의 그림 (가)와 같이 중앙 지점에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단순보가 그림 (나)와 같이 (6×20)cm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최대 휨응력은?(2018년 03월)

    

     1. 6.25kN/cm2
     2. 12.65kN/cm2
     3. 166.75kN/cm2
     4. 833kN/cm2

     정답 : []
     정답률 : 70%

18. PS 강재의 정착 방법 중에서 쐐기식 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6월)
     1. VSL 공법
     2. CCL 공법
     3. Magnel 공법
     4. Leoba 공법

     정답 : []
     정답률 : 65%

19.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하는 균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5년 06월)
     1. 균열발생의 요인으로는 재료적 요인, 시공상의 요인, 설계상의 요인, 사용환경의 요인 등이 있다.
     2. 균열 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철근의 종류, 철근의 응력 및 피복두께 등이 있다.
     3. 구조물 내구성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미세한 균열보다 폭이 큰 몇 개의 균열이 바람직하다.
     4. 균열은 구조적인 균열과 비구조적인 균열로 구분되기도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다음 그림과 같이 정모멘트에 의한 휨을 받는 철근콘크리트보에서 단면의 상단에서 균열 발생 이전단면(비균열 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를 x, 균열 발생 후 단면(균열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를 y라 할 때, x와 y에 대한 식이 모두 바르게 표기된 것은? (단,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비 이다.)(2016년 06월)

    

     1. {bh+nAs}⋅x-{(1/2)bh2+nAsd}=0, (1/2)by2-nAs(d-y)=0
     2. {bh+(n-1)As}⋅x-{(1/2)bh2+(n-1)Asd}=0, (1/2)by2-nAs(d-y)=0
     3. {bh+nAs}⋅x-{(1/2)bh2+nAsd}=0, (1/2)by2-(n-1)As(d-y)=0
     4. {bh+nAs}⋅x-{(1/2)bh2+(n-1)Asd}=0, (1/2)by2-nAs(d-y)=0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92849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196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95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9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94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9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2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92 경찰공무원(순경) 영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398068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0
6191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992849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9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8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1일)(11685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7 기계조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6 공인중개사 2차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5 미용기능사(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0월0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4 수산양식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8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3 축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10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2 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10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1 농업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5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80 임산가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9 TAT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8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8 수능(국어영역)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1월1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617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항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1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13 Next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