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6590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일반화학


1. 다음과 같은 반응에서 압력을 증가시키면 어떻게 되는가?(2018년 03월)

   

     1. 평형이 왼쪽으로 이동
     2. 평형이 오른쪽으로 이동
     3. 평형이 이동하지 않음
     4. 평형이 양쪽으로 이동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기체가 포함된 화학 반응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 압력을 변화시키면 그 압력 변화를 줄이는 쪽으로 평형이 이동함

압력을 높임 :압력이 낮아지는 쪽(기체의 몰수가 감소하는 쪽)으로 평형 이동
압력을 낮춤 :압력이 높아지는 쪽(기체의 몰수가 증가하는 쪽)으로 평형 이동
[해설작성자 : 3기사 진희]

2. 유기화합물의 작용기 구조를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케톤:
     2. 아민:
     3. 알데히드:
     4. 에스테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민 = NH3
[해설작성자 : 진코]

3. 다음 물질의 Ka 값이 아래와 같을 때, 다음 중 염기의 세기가 가장 큰 것은?(2006년 09월)

   

     1. HSO4-
     2. SO42-
     3. F-
     4. CN-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의 세기가 작을수록 염기의 세기는 강하다. Ka(산의세기)가 가장 작은 CN-이 정답.
[해설작성자 : 킹떡만]

4. 다음 반응에서 산화된 원소는?(2017년 03월)

   

     1. Zn
     2. H
     3. S
     4. O

     정답 : []
     정답률 : 91%

5. 수소와 산소로부터 물을 만들 때, 충분한 산소가 공급된다고 가정하면, 14.4몰의 수소원자로부터 몇 몰의 물을 만들 수 있겠는가?(2012년 03월)
     1. 1.8몰
     2. 3.6몰
     3. 7.2몰
     4. 14.4몰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반응식 2H2 + O2 → 2H2O
수소 분자가 아닌 원자 14.4몰 이므로 수소분자는 7.2몰이 반응.
계수비가 1:1 이므로 물분자도 7.2몰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swcm]

6. 1.00g의 아세탈렌이 완전히 연소할 때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부피는 표준상태에서 몇 L인가? (단, 모든 기체는 이상기체라 가정한다.)(2014년 03월)
     1. 1.225L
     2. 1.725L
     3. 2.225L
     4. 2.725L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C2H2 + 5O2 > 4CO2 + 2H2O
1.00g / 26g/mol = 0.038mol
아세틸렌 : 이산화탄소 = 2mol : 4mol = 0.038mol : x
x = 0.076mol
0.076mol X 22.4L
[해설작성자 : 뮤]

7. 525℃에서 다음 반응에 대한 평형상수 K 값은 3.35 × 10-3이다. 이 때 평형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구하면 얼마인가?(2019년 03월)

   

     1. 0.84 × 10-3mol/L
     2. 1.68 × 10-3mol/L
     3. 3.35 × 10-3mol/L
     4. 6.77 × 10-3mol/L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K=[CO2][CaO]/[CaCO3]=3.35×10^-3
순수한 고체와 액체의 값은 1이므로
[CO2]=3.35×10^-3(mol/L)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8. C, H, O로 이루어진 화합물이 있다. 이 화합물 1.543g을 완전연소시켰더니 CO2 2.952g, H2O 1.812g이 생겼다. 이 화합물의 실험식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9월)
     1. CH3O
     2. CH5O
     3. C2H5O
     4. C2H6O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C : 2.952g x (12/44)g = 0.8015g
H : 1.812g x (2/18)g = 0.2013g
O : 1.543g - (0.8051 + 0.2013)g = 0.5366g
0.8051/12 : 0.2013 : 0.5366/16 = 2 : 6 : 1
[해설작성자 : 만거]

9. 35℃에서 염화칼륨의 용해도는 40g이다. 만약 35℃에서 20g의 물 속에 KCl 이 5g 녹아있다면 이 용액은 어떤 상태인가?(2012년 03월)
     1. 불포화
     2. 포화
     3. 과포화
     4. 초임계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용해도는 일반적으로 용매 100g당 녹는 용질의 양을 의미한다.
20g의 물에는 [용해도/5] 만큼의 용질이 녹게 되므로 20g의 물에는 [40/5=8g] 의 KCl이 녹는다.
5g은 8g보다 작으므로 문제의 용액은 불포화 상태이다.
[해설작성자 : 박창식]

10. 다음 중 원자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2017년 09월)
     1. K
     2. Li
     3. Na
     4. Cs

     정답 : []
     정답률 : 88%

11. 용액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휘발성 용매에 비휘발성 용질이 녹아있는 용액의 끓는점은 순수한 용매보다 높아진다.
     2. 용액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3. 몰랄농도는 용액 1kg 당 포함된 용질의 몰수를 나타낸다.
     4. 몰농도는 용액 1L당 포함된 용질의 몰수를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몰랄농도 : 용매 1Kg 당 포함된 용질의 몰수를 나타낸다

용액이 아니라 용매 기준.
[해설작성자 : neul_]

12. 노르말 알케인(normal alkane)의 일반식은?(2015년 09월)
     1. CnH2n+1
     2. CnH2n
     3. CnH2n+2
     4. CnH2n-2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CnH2n+1 : 알케인
2.CnH2n : 알킬기
3.CnH2n+2 : 알켄
4.CnH2n-2 : 알카인
[해설작성자 : 부산대화학과동인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 빼고 다 틀리게 쓰셨네요
1.CnH2n+1 : 알킬(alkyl)
2.CnH2n : 알켄(alkene)
3.CnH2n+2 : 알케인(alkane)
4.CnH2n-2 : 알킨, 알카인(alkyne)
[해설작성자 : 화분기파이팅]

13. 산, 염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Brønsted-Lowry산은 양성자 주개(Proton donor)
     2. 염기는 물에서 수산화 이온을 생성한다.
     3. 강산(Strong acid)은 물에서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이온화되는 산이다.
     4. Lewis산은 비공유 전자쌍을 줄 수 있는 물질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루이스산은 비공유 전자쌍 받을 수 있는 물질.
[해설작성자 : 만거]

산: 주개 H+ 내놓음 다 주는 방식
루이스 비공유전자쌍만 받는 형태로 암기하길.
[해설작성자 : ㅠ]

14. 이성질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동일한 분자식을 가진다.
     2. 실험식이 다른 물질이다.
     3. 구조가 다른 물질이다.
     4. 물리적 성질이 다른 물질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분자식은 같으나 결합 구조식이 다른 분자이다.

물리적, 화학적으로 다른 성질을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IS]

15. 다음 중 산ㆍ염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2009년 05월)

    

     1. ①, ③
     2. ①, ②
     3. ②, ③
     4. ①, ②, ③

     정답 : []
     정답률 : 63%

16. 몰(mol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1몰을 아보가드로 수만큼의 입자수를 의미한다.
     2. 1몰의 물질은 그램 단위의 원자량과 동일한 질량을 갖는다.
     3. 1몰 산소 기체의 질량은 그 원소의 원자량과 같다.
     4. 표준온도와 압력(STP) 상태에서 기체 1몰은 22.4L의 부피를 차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산소 원자는 O, 산소분자는 O2이기 때문에 다르다.
[해설작성자 : 만거]

17. N2 분자가 가지고 있는 3중 결합은 어떠한 결합인가?(2016년 10월)
     1. 두 개의 bonding과 한 개의 anti-bonding 시그마 결합
     2. 1개의 파이 결합과 2개의 시그마 결합
     3. 두 개의 bonding과 한 개의 anti-bonding파이 결합
     4. 1개의 시그마 결합과 2개의 파이 결합

     정답 : []
     정답률 : 76%

18. 수용액 중 H+ 이온의 농도가 0.1M 이다. H+이온의 농도를 pH 로 나타내면?(2010년 05월)
     1. 0.01
     2. 0.1
     3. 1
     4. 10

     정답 : []
     정답률 : 89%

19. 다음 각 쌍의 2개 물질 중에서 물에 더욱 잘 녹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물질을 1개씩 옳게 선택한 것은?(2019년 04월)

    

     1. CH3CH2OH, CHCl3
     2. CH3CH2OH, CCl4
     3. CH3CH2CH3, CHCl3
     4. CH3CH2CH3, CCl4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물은 극성 물질이기 때문에 극성 물질을 찾으면 된다.
그러므로 -OH기를 가진 CH3CH2OH 와 CHCl3 가 다른 물질보다 물에 잘 녹는다.

20. 다음 중 극성 분자가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CCl4
     2. H2O
     3. CH3OH
     4. HCl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분석화학


21. 킬레이트적정법에서 사용하는 금속지시약이 가져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금속지시약은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킬레이트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2. 금속지시약이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안정도상수는 킬레이트 표준용액이 금속지시약과 반응하여 형성하는 킬레이트화합물의 안정도상수보다 작아야 한다.
     3. 적정에 사용하는 금속지시약의 농도는 가능한 진하게 해야 하고, 금속이온의 농도는 작게 해야 한다.
     4. 금속지시약과 금속이온이 만드는 킬레이트화합물은 분명하게 특이한 색깔을 띠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금속지시약은 금속이온의 농도에 따라 색이 변한다.
금속지시약이 가져할 조건
- 지시약이 금속이온과 반응해 킬레이트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어야한다.
- 생선된 킬레이트화합물은 EDTA와 금속이온이 반응하여 생성된 킬레이트화합물보다 안정도 상수가 작아야한다.
- 킬레이트화합물은 명확히 변색되야 한다.
[해설작성자 : 만거]

22. 0.020M Na2SO4과 0.010M KBr 용액의 이온세기(Ionic Strength)는 얼마인가?(2016년 03월)
     1. 0.010
     2. 0.030
     3. 0.060
     4. 0.070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Na+ 의 농도 : 0.020 x 2 = 0.040, So4(2-) 의 농도 : 0.020, K+ 의 농도 : 0.010, Br 의농도 : 0.010
Na+ 의 이온의 세기=(0.040x1^2)=0.040, So4(2-) : (0.020x2^2)= 0.080 K와 Br의 이온의 세기 : 0.010(농도와 전하가 같음)

따라서, 1/2(0.040+0.080+0.010+0.010) = 0.070
[해설작성자 : By JJ]

일반적인 식으로 구하는 법
0.020M Na2SO4 이온세기
= 1/2[0.02 x (+1)^2 x 2 + 0.02 x (-2)^2 x 1] = 0.06
0.010M KBr 이온세기
= 1/2[0.01 x (+1)^2 + 0.01 x (-1)^2] = 0.01

0.06+0.01 = 0.07
[해설작성자 : 만거]

23. 금이 왕수에서 녹을 때 미량의 금이 산화제인 질산에 의해 이온이 되어 녹으면 염소 이온과 반응해서 제거되면서 계속 녹는다. 이 때 금 이온과 염소 이온 사이의 반응은?(2013년 03월)
     1. 산화-환원
     2. 침전
     3. 산-염기
     4. 착물형성

     정답 : []
     정답률 : 81%

24. 완충용액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완충용액은 약염기와 그 짝산으로 만들 수 있다.
     2. 완충용량을 산과 그 짝염기의 비가 같을 때 가장 크다.
     3. 완충용액의 ph는 이온세기와 온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4. 완충용량이 클수록 ph변화에 대한 용액의 저항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84%

25. 표준 수소 전극에서의 반응 및 표준 전위(E°)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단, A는 각 성분의 활동도이다.)(2013년 03월)
     1. 2H+(A=1)+2e-⇆H2(A=2) E°=0.0V
     2. 2H+(A=2)+2e-⇆H2(A=1) E°=1.0V
     3. 2H+(A=1)+2e-⇆H2(A=1) E°=0.0V
     4. 2H+(A=2)+2e-⇆H2(A=2) E°=1.0V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표준수소전극에서 수소이온의 활동도는 1이고 수소의 부분압력은 1atm이다. 또 이 전극의 전위는 모든 온도에서 0.0V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만거]

26. EDTA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EDTA 는 이온의 전하와는 상관없이 금속 이온과 강하게 1:1로 결합한다.
     2. EDTA 적정법은 물의 경도를 측정할 때 널리 사용된다.
     3. EDTA 는 Li+, Na+, K+ 와 같은 1가 양이온에만 안정한 착물을 형성한다.
     4. EDTA 적정 시 금속 지시약은 EDTA 보다는 금속이온과 약하게 결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가 이상의 금속이온과 1:1의 비율로 결합하여 안정한 구조를 가진다.
1가 금속 양이온과도 착물을 형성하나, 불안정하다.
[해설작성자 : 구운감자]

27. 성분 이온 중 한가지 이상이 용액 중에 들어있는 경우 그 염의 농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공통이온 효과라고 한다. 다음 중 공통이온 효과와 가장 관련이 있는 원리[법칙]는?(2006년 09월)
     1. 파울리(Pauli)의 배타원리
     2. 비어(Beer)의 법칙
     3. 패러데이(Faraday) 법칙
     4. 르 샤틀리에(Le Chatelier) 원리

     정답 : []
     정답률 : 84%

28. 0.1M 금속 Mn+ 용액 50ml를 0.1M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H4Y)로의 적정과정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6년 09월)
     1. 당량점 이전의 용액에는 과량의 MYn-4가 남아 있다.
     2. 당량점에서는 [Mn+]=[EDTA]로 이 용액은 MYn-4 를 녹인 용액과는 다른 상태이다.
     3. 당량점 이후에 모든 금속이온은 MYn-4 형태로 존재하며, 이 때 유리 EDTA의 농도는 적정에 첨가한 EDTA의 농도와 같다.
     4. 적정의 종말점 검출방법으로는 금속이온 지시약법, 수은 전극법, pH 전극법, 이온 선택성 전극법 등이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29. 할로겐 음이온을 0.050M Ag+ 수용액으로 적정하였다. AgCl, AgBr, Agl의 용해도곱은 각각 1.8×10-10, 5.0×10-13, 8.3×10-17이다. 당량점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는?(2019년 04월)
     1. 0.05M Cl-
     2. 0.10M Cl-
     3. 0.10M Br-
     4. 0.10M I-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용해도 곱이 작을수록 당량점에서 급변해 뚜렷하게 관찰된다.
[해설작성자 : 만거]

30. 산화ㆍ환원 적정에서 사용되는 KMnO4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진한 자주색을 띤 산화제이다.
     2. 매우 안정하여 일차표준물질로 사용된다.
     3. 강한 산성용액에서 무색의 Mn2+로 환원된다.
     4. 산성용액에서 자체지시약으로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미량의 이산화망가니즈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순수한 상태가 아니다.
일차표준물질로 못씀.
[해설작성자 : 만거]

31. 갈바니전지를 선 표시법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2010년 05월)
     1. Cd(s)║CdCl2(aq)|AgNO3(aq)║Ag(s)
     2. Cd(s)|CdCl2(aq), ║AgNO3(aq)|Ag(s)
     3. Cd(s), CdCl2(aq), AgNO3(aq), Ag(s)
     4. Cd(s), CdCl2(aq)|AgNO3(aq), Ag(s)

     정답 : []
     정답률 : 89%

32. 다음 중 산화전극(anode)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Ag+e-→Ag(s)
     2. Fe2+→Fe3++e-
     3. Fe(CN)64-→Fe(CN)63-+e-
     4. Ru(NH3)62+→Ru(NH3)63++e-

     정답 : []
     정답률 : 84%

33. HgS는 산성과 알칼리성 H2S 용액 모두에서 침전되고, ZnS는 알칼리성 H2S 용액서만 침전된다. 이로부터 용해도곱 상수의 크기에 대하여 알 수 있는 것은?(2013년 03월)
     1. HgS가 더 작다.
     2. ZnS가 더 작다.
     3. 같다.
     4. 알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용해도곱이 작을수록 침전이 잘된다.
[해설작성자 : 만거]

34. 구리이온을 전기석출하기 위하여 0.800A를 15.2분동안 유지하였다. 음극에서 석출된 구리의 질량과 양극에서 발생한 산소의 질량은? (단, 구리 원자량은 63.5g, 산소 원자량은 16.0g이다.)(2012년 03월)
     1. 구리(Cu)질량 = 2.40g, 산소(O2)질량=0.0605g
     2. 구리(Cu)질량 = 2.40g, 산소(O2)질량=0.605g
     3. 구리(Cu)질량 = 0.240g, 산소(O2)질량=0.605g
     4. 구리(Cu)질량 = 0.240g, 산소(O2)질량=0.0605g

     정답 : []
     정답률 : 61%

35. 성분이온 중 한 가지 이상인 용액 중에 들어있는 경우 그 염의 용해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공통이온 효과라고 한다. 다음 중 공통이온 효과와 가장 관련이 있는 원리 또는 법칙은?(2019년 03월)
     1. 비어(Beer)의 법칙
     2. 패러데이(Faraday) 법칙
     3. 파울리(Pauli)의 배타원리
     4. 르 샤틀리에 (Le Chatelier) 원리

     정답 : []
     정답률 : 85%

36. HClO4 와 HCl 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HClO4 와 HCl 모두 강산이다.
     2. HClO4 이 HCl 보다 더 센 산이다.
     3. 수용액에서는 평준화 효과로 HClO4 와 HCl 의 산의 세기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다.
     4. 아세트산에서 HClO4 와 HCl 의 산의 세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HClO4와 HCl의 [H+]가 다르기 때문에 명확히 구분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훈이머리]

37. 증류수에 Hg2(IO3)2로 포화시킨 용액에 KNO3 같은 염을 첨가하면 용해도가 증가한다.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3월)
     1. 가리움 효과
     2. 착물형성
     3. 르샤틀리에의 원리
     4. 이온세기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용해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이온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온세기가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김정우 보고싶어]

38. 적정(titration)에 쓰이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당량점(equivalence point)-적정 시약의 양이 분석물질과 화학량론적으로 반응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 가해졌을 때 일어난다.
     2. 종말점(end point)-용액의 물리적 성질이 갑자기 변하는 점이다.
     3. 지시약(indicator)-적정이 완결되는 부근에서 물리적 특성이 갑자기 변하는 화합물이다.
     4. 직접 적정(direct titration)-분석물질에 농도를 알고 있는 첫 번째 표준시약을 과량 가한 다음 두 번째 표준시약을 사용하여 과량의 첫 번째 표준시약을 적정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번은 역적정
[해설작성자 : 북쪽에 계신 아름다운 메리메리]

39. 순도 100%의 벤조산 20g은 약 몇 밀리몰(mmole)인가?(단, 벤조산의 몰질량은 122.1g/mol이다)(2016년 10월)
     1. 0.164
     2. 1.64
     3. 16.4
     4. 16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0g / 122.1g x 1000 = 164
[해설작성자 : 만거]

40. 초산(CH3COOH) 6g을 물에 용해하여 500mL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의 몰농도(mol/L)는 얼마인가? (단, 초산의 분자량은 60g/mol 이다.)(2017년 09월)
     1. 0.1M
     2. 0.2M
     3. 0.5M
     4. 1.0M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초산의 몰수 : 0.1mol
몰농도 : 0.1mol/0.5L = 0.2mol/L = 0.2M
[해설작성자 : 만거]

3과목 : 기기분석I


41. 비불꽃 원자화 장치인 흑연로 원자화 분광 분석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분석비용이 싸고 분석시간이 짧다.
     2. 원자화 효율이 좋아 강도가 높다.
     3. 제한된 적은 시료를 분석할 수 있다.
     4. 유기물 시료를 전처리 과정 없이 분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42. 자외선-가시선 흡수 분광계에서 자외선 영역의 연속적인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널리 쓰이는 광원은?(2018년 09월)
     1. 중수소 등
     2. 텅스텐 필라멘트 등
     3. 아르곤 레이저
     4. 크세논 아크 등

     정답 : []
     정답률 : 67%

43. 원자흡수분광법에서 바탕보정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Zeeman 효과 사용 바탕보정법
     2. 연속광원(D2 lamp)사용 바탕보정법
     3.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사용 바탕보정법
     4. 광원 자체반전(self-reversal) 사용 바탕보정법

     정답 : []
     정답률 : 73%

44. 자외선-가시광선 흡수분광법에서 흡수봉우리의 세기와 위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용매 효과(solvent effect)
     2. 입체 효과(sterc effect)
     3.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4. 콘주게이션 효과(conjugation effect)

     정답 : []
     정답률 : 74%

45. 복사선을 흡수하면 에너지 준위 사이에서 전자 전이가 일어나게 되는데 다음 전이 중 파장이 가장 짧은 복사선을 흡수하는 전자전이는?(2019년 09월)
     1. σ → σ*
     2. π → π*
     3. n → σ*
     4. n → π*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σ* > π* > n > π > σ
가장 짧은 복사선 흡수 = 에너지 차이가 가장 큰 에너지 준위 사이의 전자 전이
[해설작성자 : trinim]

4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자화방법(Atomization)이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불꽃원자화(Flame Atomization)
     2. 초음파 원자화(Ultrasonic Atomization)
     3. 유도쌍 프라스마(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4. 전열증발화(Electrothermal Vaporization)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 초음파 원자화는 원자 분광법의 시료 도입 방법.
[해설작성자 : 만거]

47. 다음은 CO2 의 기준진동을 나타낸다. 어느 진동 mode 가 IR spectrum에서는 관측이 되지 않고, Raman Spectrum 에서 관측이 되는가? (단, ○ : 산소, ● : 탄소를 나타낸다.)(2006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symmetric stretching mode (대칭신축운동)
2) asymmetric stretching mode (비대칭신축운동)
3) bending mode (굽힘진동)
4) bending mode (굽힘진동)

CO2는 선형분자이므로 3N-5 식을 사용하면, 3*3-5=4. 총 4가지의 진동 모드가 존재한다.
대칭신축운동은 적외선 불활성(IR이 측정을 못해~)
[해설작성자 : lazynanzy]

48. 기기분석에서 분석 신호는 화학적 잡음과 기기적 잡음의 영향을 받는다. 다음 중 기기적 잡음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3월)
     1. 산탄(shot) 잡음
     2. 열적(thermal) 잡음
     3. 깜박이(flicker) 잡음
     4. 열역학적(thermodynamic) 잡음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기잡음에는 열적, 존슨, 산탄, 깜빡이, 환경 잡음이 있다.
[해설작성자 : 만거]

49. 유도결합플라스마 토치에 시료를 도입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압력주입법
     2. 교차흐름 분무기법
     3. 초음파 분무기법
     4. 전열 증가화법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유도결합플라스마의 시료 도입 방법
- 액체 : 교차흐름분무기법, 집중유리 분무기법
- 고체 : 전열 증기화법
[해설작성자 : 어려웡]

50. 다음 중 Beer 법칙의 적용 한계가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겉보기 이완편차
     2. 겉보기 화학편차
     3. 다색 복사선의 기기편차
     4. 미광복사선이 존재할 때의 기기편차

     정답 : []
     정답률 : 50%

51. ㉮직경이 5.0cm이고 초점거리가 15.0인 렌즈 A의 스피드(f-number)와 ㉯직경이 30.0cm 이고 초점거리가 15.0cm인 렌즈 B의 스피드를 계산하고, ㉰이 둘의 집광력을 비교한 것은?(2019년 03월)
     1. ㉮ F=0.3 ㉯ FB=2 ㉰ A가 B보다 6.7배 집광력이 좋다.
     2. ㉮ F=0.3 ㉯ FB=2 ㉰ B가 A보다 6.7배 집광력이 좋다.
     3. ㉮ F=3.0 ㉯ FB=0.5 ㉰ A가 B보다 36배 집광력이 좋다.
     4. ㉮ F=3.0 ㉯ FB=0.5 ㉰ B가 A보다 36배 집광력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스피드 = 초점거리 / 직경 이용하면 가 : 3.0, 나 : 0.5이다. 집광력은 직경 제곱을 비교한다. 가 : 나 = 25 : 900 이므로 b가 a보다 36배 집광력이 좋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52. 13C NMR 스펙트럼은 1H NMR보다 일반적으로 약 몇 배의 ppm 차이를 두고 봉우리가 나타나는가?(2016년 03월)
     1. 5배
     2. 20배
     3. 50배
     4. 200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3C NMR 스펙트럼은 140 ~ 200 ppm
1H NNR 스펙트럼은 6~10ppm
약 20배 정도 차이 남.
[해설작성자 : 만거]

53. 1.0cm 두께의 셀(Cell)에 몰흡광계수가 5.0×103L/molㆍcm인 표준시료 2.0×10-4M 용액을 넣고 측정하였다. 이 때 투과도는 얼마인가?(2018년 03월)
     1. 0.1
     2. 0.4
     3. 0.6
     4. 1.0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흡광도 = - log 투과도
투과도 = 10 ^(-흡광도)
흡광도(A) = abc = 몰흡광계수(a) X 셀 두께(b) X 시료농도(c)

흡광도 = 5.0 X 10^3 X 2.0 X 10^(-4) X 1.0 = 1
따라서 투광도는 10^(-1) = 0.1
[해설작성자 : 카제로보이]

54. 원자 X선 분광법 중 고체 시료에 들어 있는 화합물에 대한 정성 및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고, 결정성 물질의 원자 배열과 간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방법은?(2017년 03월)
     1. X-선 형광법
     2. X-선 회절법
     3. X-선 흡수법
     4. X-선 방출법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결정성 물질의 원자 배열과 간격을 보여주는 것은 x선 화절법이다.
[해설작성자 : 은보라]

55. 레이저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레이저를 발생하게 하는데 필요한 펌핑을 레이저활성 화학종이 전기방전, 센 복사선의 쪼여줌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전자의 에너지준위를 바닥상태로 전이시키는 과정이다.
     2. 레이저발생의 바탕이 되는 유도방출은 들뜬 레이저 매질의 입자가 자발방출하는 광자와 정확하게 똑같은 에너지를 갖는 광자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경우이다.
     3. 레이저에서 빛살증폭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유도방출로 생긴 광자수가 흡수로 잃은 광자수보다 적을 필요가 있다.
     4. 3단계 또는 4단계 준위 레이저 발생계는 레이저가 발생하는 데 필요한 분포상태반전(population inversion)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빛살증폭이 일어나기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레이저 발생 메커니즘 : 펌핑-자발방출-유도방출-흡수

56. 반사식 회절발 파장선택기의 분산능과 분해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회절발의 크기가 같을 때 분산능은 복사선의 파장에 무관하다.
     2. 회절발의 크기가 같을 때 선분산능의 클수록 분해능이 크다.
     3. 회절발의 크기가 같을 때 각분산능이 클수록 분해능이 크다.
     4. 회절발의 크기가 같을 때 홈 간 거리가 클수록 분해능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3%

57. 전자전이가 일어날 때 자외선-가시광선의 흡수가 일어난다. 다음 중 몰흡광계수가 일반적으로 가장 큰 전자 전이는?(2013년 03월)
     1. n→σ*
     2. π→π*
     3. σ→σ*
     4. π→σ*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분자 내의 파이결합이 있는 경우 자외선-가시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최외각 전자의 들뜸현상이 일어남
π→π* 형 화합물에서 형광이 많이 발생하므로 양자효율이 더 큼!
[해설작성자 : 어려웡]

58. 텅스텐관구와 LiF 분광결정(d=2.01Å)을 썼을 때 어떤 순금속의 예민한 X-선 스펙트럼이 2θ=69.36°에서 관측되었다. 형광 X-선의 파장은?(2014년 03월)
     1. 1.978Å
     2. 2.153Å
     3. 2.287Å
     4. 3.762Å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nλ=2dsinθ (Bragg 법칙)
n=1 (안나와있으면 1 로), d = 2.01Å, θ= 34.68°
λ= 2x2.01Åxsin34.68
    = 2.287Å
[해설작성자 : 선넓힘 이유 압도당한 불전자]

59. 적외선 흡수 분광법에서의 시료(sampling)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고체시료의 경우는 KBr 펠렛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2. 알콜보다는 벤젠이 sampling 용매로 사용하기에 더 적합하다.
     3. KBr을 이용하여 고체 시료를 sampling할 때 시료와 KBr의 비율을 1:1~1:5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액체시료의 경우 순수한 액체시료를 두개의 암염판 사이에 도입하여 분석에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60. 적외선 분광법에 사용하기 가장 적절한 시료 용기의 재질은?(2007년 09월)
     1. 결정성 NaCl
     2. 석영
     3. 규산염 유리
     4. 용융 실리카

     정답 : []
     정답률 : 66%

61. HPLC에서 역상(reversed-phase)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2009년 05월)
     1. 정지상이 극성이고 이동상이 비극성인 시스템
     2. 이동상이 극성이고 정지상이 비극성인 시스템
     3. 분석물질이 극성이고 정지상이 비극성인 시스템
     4. 정지상이 극성이고 분석물질이 비극성인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84%

62. 폴라로그래피에서 작업전극으로 주로 사용하는 전극은?(2011년 03월)
     1. 적하수은 전극
     2. 백금 전극
     3. 포화카로멜 전극
     4. 흑연 전극

     정답 : []
     정답률 : 74%

63.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란 어떤 방법인가?(2019년 03월)
     1. 컬럼을 기울여 분리하는 방법
     2. 단일 용매(이동상)를 사용하는 방법
     3. 2개 이상의 용매(이동상)를 다양한 혼합비로 섞어 사용하는 방법
     4. 단일 용매(이동상)의 흐름량과 흐름속도를 점차 증가시키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단일 용매는 등용매 용리
[해설작성자 : 만거]

64. 25℃에서 0.010M Fe3+와 0.100M Fe2+의 용액에 담근 Pt 전극으로 된 반쪽전지의 전위는 몇 V 인가?(2013년 03월)

    

     1. +0. 712
     2. +0. 742
     3. +0. 801
     4. +0. 830

     정답 : []
     정답률 : 58%

65.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컬럼 중, 충진된 컬럼(Packed Column)과 열린 관 컬럼(Open Tubular Column)을 비교할 때, 열린 관 컬럼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분석 시간이 짧아진다.
     2. 고압 펌프가 필요 없다.
     3. 주입할 수 있는 시료 용량이 커진다.
     4. 분해능이 좋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충진된 칼럼은 많은 양의 시료를 취급가능하며, 사용이 편하다.
열린관 칼럼은 충진된 칼럼에 비해 시료 주입 용량이 적다.
[해설작성자 : 만거]

66. 열 분석법인 DTA(시차열법분석)와 DSC(시차주사열량법)에서 물리ㆍ화학적 변화로서 흡열 봉우리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2015년 09월)
     1. 녹음이나 용융
     2. 탈착이나 탈수
     3. 증발이나 기화
     4. 산소의 존재 하에서 중합반응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번은 흡열봉우리가 아닌 발열봉우리이다.
[해설작성자 : 만거]

67. 질량분석법에는 질량분석기가 이온발생원에서 생성된 이온을 질량/전하비에 따라 분리한다. 질량분석기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사중극 질량분석기(Quadrupole mass Spectrometer)
     2. 이중 초점 섹터분석기(Double-focusing Sector Spectrometer)
     3. 비행시간형 분석기(Time-of-flight Spectrometer)
     4. 단색화 분석기(Monochromator Spectrometer)

     정답 : []
     정답률 : 83%

68. 전기량법은 전극에서 충분히 산화 및 환원반응이 일어나게 시간을 주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 중 많은 양의 분석에 적당한 방법은?(2015년 09월)
     1. 전기무게 분석법
     2. 일정전위 전기량법
     3. 일정전류 전기량법
     4. 전기량 적정법

     정답 : []
     정답률 : 58%

69. 분광질량분광법의 이온화 방법 중 사용하기 편리하고 이온전류를 발생시키므로 매우 예민한 방법이지만 열적으로 불안정하고 분자량이 큰 바이오 물질들의 이온화원에는 부적당한 방법은?(2019년 09월)
     1. Electron Impact(EI)
     2. Electro Spray Ionization(ESI)
     3. Fast Atom Bombardment(FAB)
     4.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ization(MALDI)

     정답 : []
     정답률 : 62%

70. 표준수소전극으로 -0.121V로 측정된 전위는 포화 칼로멜 기준전극(E=0.241V)으로 측정한다면 얼마의 전위로 측정되겠는가? (단, 기준전극은 모두 산화전극으로 사용되었다.)(2016년 03월)
     1. -0.362V
     2. -0.021V
     3. 0.121V
     4. 0.362V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산화전극 - 환원전극 = -0.121V - 0.241V = - 0.362V
[해설작성자 : 만거]

71. 질량분석법을 여러 가지 성분의 시료를 기체 상태로 이온화한 다음 자기장 혹은 전기장을 통해 각 이온을 질량/전하의 비에 따라 분리하여 질량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이다. 질량분석기의 기기장치 중 진공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이온화장치
     2. 질량분리기
     3. 검출기
     4. 신호처리기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신호처리기는 출력장치라 진공으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만거]

72. 용액 중 이온들이 전극표면으로 이동하는 주요 과정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확산
     2. 전기이동
     3. 대류
     4. 화학반응성

     정답 : []
     정답률 : 66%

73. 유리전극을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측정할 때 오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2007년 09월)
     1. 접촉전위
     2. 나트륨 오차
     3. 표준 완충요액
     4. 선택계수의 실험적 보정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유리전극으로 pH 측정 시 영향 주는 오차 요인
1) 산 오차
2) 알칼리 오차
3) 탈수
4) 낮은 이온세기
5) 접촉전위의 변화
6) 온도변화에 따른 오차
[해설작성자 : lazynanzy]

74. 사중극자 질량분석관에서 고질량통과 필터로 작용하는 경우는?(2011년 03월)
     1. 양직류 전위-저주파수 교류전위
     2. 양직류 전위-고주파수 교류전위
     3. 음직류 전위-저주파수 교류전위
     4. 음직류 전위-고주파수 교류전위

     정답 : []
     정답률 : 69%

75. 질량분석법은 여러 가지 성분의 시료를 기체상태로 이온화한 다음 자기장 혹은 전기장을 통해 각 이온을 질량/전하의 비에 따라 분리하여 질량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이다. 질량분석기의 기기장치 중 진공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2019년 09월)
     1. 도입계
     2. 이온원
     3. 검출기
     4. 신호처리기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 신호처리기는 출력장치이므로 진공으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만거]

76. 전기화학 전지에서 염다리의 역할은 무엇인가?(2010년 09월)
     1. 화학적으로 두 반쪽전지를 결합시켜 준다.
     2. 전기적으로 두 반쪽전지를 연결시켜 준다.
     3. 두 반쪽전지 사이에서 양쪽 반쪽전지내 이온들과 화학반응을 한다.
     4. 아무런 화학적 물리적 반응을 하지 않고 양쪽을 분리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2%

77. 질량분석기의 이온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잔자충격이온화 방법은 토막 내기가 잘 일어나므로 분자량의 결정이 어렵다.
     2. 전자충격이온화 방법에서 분자 양이온의 생성 반응이 매우 효율적이다.
     3. 화학이온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스펙트럼은 전자충격이온화 방법에 비해 매우 단순한 편이다.
     4. 전자충격이온화 방법의 단점은 반드시 시료를 기화시켜야 하므로 분자량이 1000보다 큰 물질의 분석에는 불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해당 생성 반응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만거]

78.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GLC)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가장 흔한 형태로 이동상으로 기체를, 고정상으로는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이 때 이동상과 고정상 사이에서 분석물의 어떤 상호 작용이 분리에 기여하는가?(2010년 05월)
     1. 분배(Partition)
     2. 흡착(Adsorption)
     3. 흡수(Absorption)
     4. 이온교환(Ion Exchange)

     정답 : []
     정답률 : 66%

79.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물질 A와 B를 분리하기 위해 16cm 관을 사용하였다. A와 B의 머무름 시간은 각각 10분과 11분이고 이동상의 평균이동속도는 5cm/분이었다. A와 B의 밑변의 봉우리 나비가 1분과 1.1분일 때 이 관의 단높이는 얼마인가?(2013년 03월)
     1. 1.0×10-2cm
     2. 1.2×10-2cm
     3. 1.4×10-2cm
     4. 1.6×10-2cm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N_A=16*(10/1) = 1600
N_B=16*(11/1.1) = 1600
N_avg=1600

H=L/N = 16cm / 1600 = 1.0x10^-2
[해설작성자 : 물리]

80. C, Cl 원자를 한 개씩 함유하는 화합물에서 M. M+1, M+2, M+3 봉우리들의 상대적 크기로 가장 타당한 것은? (단, M은 분자 봉우리를 나타내며, 동위원소 존재비는 Cl35:Cl37=75:25, C12:C13=99:1이다.)(2015년 09월)
     1. M:M+1:M+2:M+3-99:1:25:21
     2. M:M+1:M+2:M+3-99:1:25:0.33
     3. M:M+1:M+2:M+3-99:1:33:1
     4. M:M+1:M+2:M+3-99:1:33:0.33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M = 75x99 = 7425
M+1 = 75x1 = 75
M+2 = 25x99 = 2475
M+3 = 25x1 = 25
존재비는 99 : 1 : 33 : 0.33
[해설작성자 : 만거]


정 답 지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65903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일반화학


1. 다음과 같은 반응에서 압력을 증가시키면 어떻게 되는가?(2018년 03월)

   

     1. 평형이 왼쪽으로 이동
     2. 평형이 오른쪽으로 이동
     3. 평형이 이동하지 않음
     4. 평형이 양쪽으로 이동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 기체가 포함된 화학 반응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 압력을 변화시키면 그 압력 변화를 줄이는 쪽으로 평형이 이동함

압력을 높임 :압력이 낮아지는 쪽(기체의 몰수가 감소하는 쪽)으로 평형 이동
압력을 낮춤 :압력이 높아지는 쪽(기체의 몰수가 증가하는 쪽)으로 평형 이동
[해설작성자 : 3기사 진희]

2. 유기화합물의 작용기 구조를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케톤:
     2. 아민:
     3. 알데히드:
     4. 에스테르: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아민 = NH3
[해설작성자 : 진코]

3. 다음 물질의 Ka 값이 아래와 같을 때, 다음 중 염기의 세기가 가장 큰 것은?(2006년 09월)

   

     1. HSO4-
     2. SO42-
     3. F-
     4. CN-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산의 세기가 작을수록 염기의 세기는 강하다. Ka(산의세기)가 가장 작은 CN-이 정답.
[해설작성자 : 킹떡만]

4. 다음 반응에서 산화된 원소는?(2017년 03월)

   

     1. Zn
     2. H
     3. S
     4. O

     정답 : []
     정답률 : 91%

5. 수소와 산소로부터 물을 만들 때, 충분한 산소가 공급된다고 가정하면, 14.4몰의 수소원자로부터 몇 몰의 물을 만들 수 있겠는가?(2012년 03월)
     1. 1.8몰
     2. 3.6몰
     3. 7.2몰
     4. 14.4몰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반응식 2H2 + O2 → 2H2O
수소 분자가 아닌 원자 14.4몰 이므로 수소분자는 7.2몰이 반응.
계수비가 1:1 이므로 물분자도 7.2몰 생성된다.
[해설작성자 : swcm]

6. 1.00g의 아세탈렌이 완전히 연소할 때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부피는 표준상태에서 몇 L인가? (단, 모든 기체는 이상기체라 가정한다.)(2014년 03월)
     1. 1.225L
     2. 1.725L
     3. 2.225L
     4. 2.725L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2C2H2 + 5O2 > 4CO2 + 2H2O
1.00g / 26g/mol = 0.038mol
아세틸렌 : 이산화탄소 = 2mol : 4mol = 0.038mol : x
x = 0.076mol
0.076mol X 22.4L
[해설작성자 : 뮤]

7. 525℃에서 다음 반응에 대한 평형상수 K 값은 3.35 × 10-3이다. 이 때 평형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구하면 얼마인가?(2019년 03월)

   

     1. 0.84 × 10-3mol/L
     2. 1.68 × 10-3mol/L
     3. 3.35 × 10-3mol/L
     4. 6.77 × 10-3mol/L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K=[CO2][CaO]/[CaCO3]=3.35×10^-3
순수한 고체와 액체의 값은 1이므로
[CO2]=3.35×10^-3(mol/L)
[해설작성자 : 제이마리러버]

8. C, H, O로 이루어진 화합물이 있다. 이 화합물 1.543g을 완전연소시켰더니 CO2 2.952g, H2O 1.812g이 생겼다. 이 화합물의 실험식에 해당하는 것은?(2014년 09월)
     1. CH3O
     2. CH5O
     3. C2H5O
     4. C2H6O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C : 2.952g x (12/44)g = 0.8015g
H : 1.812g x (2/18)g = 0.2013g
O : 1.543g - (0.8051 + 0.2013)g = 0.5366g
0.8051/12 : 0.2013 : 0.5366/16 = 2 : 6 : 1
[해설작성자 : 만거]

9. 35℃에서 염화칼륨의 용해도는 40g이다. 만약 35℃에서 20g의 물 속에 KCl 이 5g 녹아있다면 이 용액은 어떤 상태인가?(2012년 03월)
     1. 불포화
     2. 포화
     3. 과포화
     4. 초임계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용해도는 일반적으로 용매 100g당 녹는 용질의 양을 의미한다.
20g의 물에는 [용해도/5] 만큼의 용질이 녹게 되므로 20g의 물에는 [40/5=8g] 의 KCl이 녹는다.
5g은 8g보다 작으므로 문제의 용액은 불포화 상태이다.
[해설작성자 : 박창식]

10. 다음 중 원자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2017년 09월)
     1. K
     2. Li
     3. Na
     4. Cs

     정답 : []
     정답률 : 88%

11. 용액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7년 03월)
     1. 휘발성 용매에 비휘발성 용질이 녹아있는 용액의 끓는점은 순수한 용매보다 높아진다.
     2. 용액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3. 몰랄농도는 용액 1kg 당 포함된 용질의 몰수를 나타낸다.
     4. 몰농도는 용액 1L당 포함된 용질의 몰수를 나타낸다.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몰랄농도 : 용매 1Kg 당 포함된 용질의 몰수를 나타낸다

용액이 아니라 용매 기준.
[해설작성자 : neul_]

12. 노르말 알케인(normal alkane)의 일반식은?(2015년 09월)
     1. CnH2n+1
     2. CnH2n
     3. CnH2n+2
     4. CnH2n-2

     정답 :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1.CnH2n+1 : 알케인
2.CnH2n : 알킬기
3.CnH2n+2 : 알켄
4.CnH2n-2 : 알카인
[해설작성자 : 부산대화학과동인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4번 빼고 다 틀리게 쓰셨네요
1.CnH2n+1 : 알킬(alkyl)
2.CnH2n : 알켄(alkene)
3.CnH2n+2 : 알케인(alkane)
4.CnH2n-2 : 알킨, 알카인(alkyne)
[해설작성자 : 화분기파이팅]

13. 산, 염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Brønsted-Lowry산은 양성자 주개(Proton donor)
     2. 염기는 물에서 수산화 이온을 생성한다.
     3. 강산(Strong acid)은 물에서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이온화되는 산이다.
     4. Lewis산은 비공유 전자쌍을 줄 수 있는 물질이다.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루이스산은 비공유 전자쌍 받을 수 있는 물질.
[해설작성자 : 만거]

산: 주개 H+ 내놓음 다 주는 방식
루이스 비공유전자쌍만 받는 형태로 암기하길.
[해설작성자 : ㅠ]

14. 이성질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6년 09월)
     1. 동일한 분자식을 가진다.
     2. 실험식이 다른 물질이다.
     3. 구조가 다른 물질이다.
     4. 물리적 성질이 다른 물질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문제 해설>
분자식은 같으나 결합 구조식이 다른 분자이다.

물리적, 화학적으로 다른 성질을 나타낸다.
[해설작성자 : IS]

15. 다음 중 산ㆍ염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나열한 것은?(2009년 05월)

    

     1. ①, ③
     2. ①, ②
     3. ②, ③
     4. ①, ②, ③

     정답 : []
     정답률 : 63%

16. 몰(mol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5년 09월)
     1. 1몰을 아보가드로 수만큼의 입자수를 의미한다.
     2. 1몰의 물질은 그램 단위의 원자량과 동일한 질량을 갖는다.
     3. 1몰 산소 기체의 질량은 그 원소의 원자량과 같다.
     4. 표준온도와 압력(STP) 상태에서 기체 1몰은 22.4L의 부피를 차지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산소 원자는 O, 산소분자는 O2이기 때문에 다르다.
[해설작성자 : 만거]

17. N2 분자가 가지고 있는 3중 결합은 어떠한 결합인가?(2016년 10월)
     1. 두 개의 bonding과 한 개의 anti-bonding 시그마 결합
     2. 1개의 파이 결합과 2개의 시그마 결합
     3. 두 개의 bonding과 한 개의 anti-bonding파이 결합
     4. 1개의 시그마 결합과 2개의 파이 결합

     정답 : []
     정답률 : 76%

18. 수용액 중 H+ 이온의 농도가 0.1M 이다. H+이온의 농도를 pH 로 나타내면?(2010년 05월)
     1. 0.01
     2. 0.1
     3. 1
     4. 10

     정답 : []
     정답률 : 89%

19. 다음 각 쌍의 2개 물질 중에서 물에 더욱 잘 녹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물질을 1개씩 옳게 선택한 것은?(2019년 04월)

    

     1. CH3CH2OH, CHCl3
     2. CH3CH2OH, CCl4
     3. CH3CH2CH3, CHCl3
     4. CH3CH2CH3, CCl4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물은 극성 물질이기 때문에 극성 물질을 찾으면 된다.
그러므로 -OH기를 가진 CH3CH2OH 와 CHCl3 가 다른 물질보다 물에 잘 녹는다.

20. 다음 중 극성 분자가 아닌 것은?(2010년 09월)
     1. CCl4
     2. H2O
     3. CH3OH
     4. HCl

     정답 : []
     정답률 : 87%

2과목 : 분석화학


21. 킬레이트적정법에서 사용하는 금속지시약이 가져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2018년 03월)
     1. 금속지시약은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킬레이트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2. 금속지시약이 금속이온과 반응하여 안정도상수는 킬레이트 표준용액이 금속지시약과 반응하여 형성하는 킬레이트화합물의 안정도상수보다 작아야 한다.
     3. 적정에 사용하는 금속지시약의 농도는 가능한 진하게 해야 하고, 금속이온의 농도는 작게 해야 한다.
     4. 금속지시약과 금속이온이 만드는 킬레이트화합물은 분명하게 특이한 색깔을 띠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금속지시약은 금속이온의 농도에 따라 색이 변한다.
금속지시약이 가져할 조건
- 지시약이 금속이온과 반응해 킬레이트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어야한다.
- 생선된 킬레이트화합물은 EDTA와 금속이온이 반응하여 생성된 킬레이트화합물보다 안정도 상수가 작아야한다.
- 킬레이트화합물은 명확히 변색되야 한다.
[해설작성자 : 만거]

22. 0.020M Na2SO4과 0.010M KBr 용액의 이온세기(Ionic Strength)는 얼마인가?(2016년 03월)
     1. 0.010
     2. 0.030
     3. 0.060
     4. 0.070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Na+ 의 농도 : 0.020 x 2 = 0.040, So4(2-) 의 농도 : 0.020, K+ 의 농도 : 0.010, Br 의농도 : 0.010
Na+ 의 이온의 세기=(0.040x1^2)=0.040, So4(2-) : (0.020x2^2)= 0.080 K와 Br의 이온의 세기 : 0.010(농도와 전하가 같음)

따라서, 1/2(0.040+0.080+0.010+0.010) = 0.070
[해설작성자 : By JJ]

일반적인 식으로 구하는 법
0.020M Na2SO4 이온세기
= 1/2[0.02 x (+1)^2 x 2 + 0.02 x (-2)^2 x 1] = 0.06
0.010M KBr 이온세기
= 1/2[0.01 x (+1)^2 + 0.01 x (-1)^2] = 0.01

0.06+0.01 = 0.07
[해설작성자 : 만거]

23. 금이 왕수에서 녹을 때 미량의 금이 산화제인 질산에 의해 이온이 되어 녹으면 염소 이온과 반응해서 제거되면서 계속 녹는다. 이 때 금 이온과 염소 이온 사이의 반응은?(2013년 03월)
     1. 산화-환원
     2. 침전
     3. 산-염기
     4. 착물형성

     정답 : []
     정답률 : 81%

24. 완충용액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9년 05월)
     1. 완충용액은 약염기와 그 짝산으로 만들 수 있다.
     2. 완충용량을 산과 그 짝염기의 비가 같을 때 가장 크다.
     3. 완충용액의 ph는 이온세기와 온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4. 완충용량이 클수록 ph변화에 대한 용액의 저항은 커진다.

     정답 : []
     정답률 : 84%

25. 표준 수소 전극에서의 반응 및 표준 전위(E°)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단, A는 각 성분의 활동도이다.)(2013년 03월)
     1. 2H+(A=1)+2e-⇆H2(A=2) E°=0.0V
     2. 2H+(A=2)+2e-⇆H2(A=1) E°=1.0V
     3. 2H+(A=1)+2e-⇆H2(A=1) E°=0.0V
     4. 2H+(A=2)+2e-⇆H2(A=2) E°=1.0V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표준수소전극에서 수소이온의 활동도는 1이고 수소의 부분압력은 1atm이다. 또 이 전극의 전위는 모든 온도에서 0.0V로 정한다.
[해설작성자 : 만거]

26. EDTA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06년 09월)
     1. EDTA 는 이온의 전하와는 상관없이 금속 이온과 강하게 1:1로 결합한다.
     2. EDTA 적정법은 물의 경도를 측정할 때 널리 사용된다.
     3. EDTA 는 Li+, Na+, K+ 와 같은 1가 양이온에만 안정한 착물을 형성한다.
     4. EDTA 적정 시 금속 지시약은 EDTA 보다는 금속이온과 약하게 결합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2가 이상의 금속이온과 1:1의 비율로 결합하여 안정한 구조를 가진다.
1가 금속 양이온과도 착물을 형성하나, 불안정하다.
[해설작성자 : 구운감자]

27. 성분 이온 중 한가지 이상이 용액 중에 들어있는 경우 그 염의 농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공통이온 효과라고 한다. 다음 중 공통이온 효과와 가장 관련이 있는 원리[법칙]는?(2006년 09월)
     1. 파울리(Pauli)의 배타원리
     2. 비어(Beer)의 법칙
     3. 패러데이(Faraday) 법칙
     4. 르 샤틀리에(Le Chatelier) 원리

     정답 : []
     정답률 : 84%

28. 0.1M 금속 Mn+ 용액 50ml를 0.1M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H4Y)로의 적정과정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2006년 09월)
     1. 당량점 이전의 용액에는 과량의 MYn-4가 남아 있다.
     2. 당량점에서는 [Mn+]=[EDTA]로 이 용액은 MYn-4 를 녹인 용액과는 다른 상태이다.
     3. 당량점 이후에 모든 금속이온은 MYn-4 형태로 존재하며, 이 때 유리 EDTA의 농도는 적정에 첨가한 EDTA의 농도와 같다.
     4. 적정의 종말점 검출방법으로는 금속이온 지시약법, 수은 전극법, pH 전극법, 이온 선택성 전극법 등이 이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58%

29. 할로겐 음이온을 0.050M Ag+ 수용액으로 적정하였다. AgCl, AgBr, Agl의 용해도곱은 각각 1.8×10-10, 5.0×10-13, 8.3×10-17이다. 당량점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는?(2019년 04월)
     1. 0.05M Cl-
     2. 0.10M Cl-
     3. 0.10M Br-
     4. 0.10M I-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용해도 곱이 작을수록 당량점에서 급변해 뚜렷하게 관찰된다.
[해설작성자 : 만거]

30. 산화ㆍ환원 적정에서 사용되는 KMnO4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3월)
     1. 진한 자주색을 띤 산화제이다.
     2. 매우 안정하여 일차표준물질로 사용된다.
     3. 강한 산성용액에서 무색의 Mn2+로 환원된다.
     4. 산성용액에서 자체지시약으로 작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미량의 이산화망가니즈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순수한 상태가 아니다.
일차표준물질로 못씀.
[해설작성자 : 만거]

31. 갈바니전지를 선 표시법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2010년 05월)
     1. Cd(s)║CdCl2(aq)|AgNO3(aq)║Ag(s)
     2. Cd(s)|CdCl2(aq), ║AgNO3(aq)|Ag(s)
     3. Cd(s), CdCl2(aq), AgNO3(aq), Ag(s)
     4. Cd(s), CdCl2(aq)|AgNO3(aq), Ag(s)

     정답 : []
     정답률 : 89%

32. 다음 중 산화전극(anode)에서 일어나는 반응이 아닌 것은?(2010년 05월)
     1. Ag+e-→Ag(s)
     2. Fe2+→Fe3++e-
     3. Fe(CN)64-→Fe(CN)63-+e-
     4. Ru(NH3)62+→Ru(NH3)63++e-

     정답 : []
     정답률 : 84%

33. HgS는 산성과 알칼리성 H2S 용액 모두에서 침전되고, ZnS는 알칼리성 H2S 용액서만 침전된다. 이로부터 용해도곱 상수의 크기에 대하여 알 수 있는 것은?(2013년 03월)
     1. HgS가 더 작다.
     2. ZnS가 더 작다.
     3. 같다.
     4. 알 수 없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용해도곱이 작을수록 침전이 잘된다.
[해설작성자 : 만거]

34. 구리이온을 전기석출하기 위하여 0.800A를 15.2분동안 유지하였다. 음극에서 석출된 구리의 질량과 양극에서 발생한 산소의 질량은? (단, 구리 원자량은 63.5g, 산소 원자량은 16.0g이다.)(2012년 03월)
     1. 구리(Cu)질량 = 2.40g, 산소(O2)질량=0.0605g
     2. 구리(Cu)질량 = 2.40g, 산소(O2)질량=0.605g
     3. 구리(Cu)질량 = 0.240g, 산소(O2)질량=0.605g
     4. 구리(Cu)질량 = 0.240g, 산소(O2)질량=0.0605g

     정답 : []
     정답률 : 61%

35. 성분이온 중 한 가지 이상인 용액 중에 들어있는 경우 그 염의 용해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공통이온 효과라고 한다. 다음 중 공통이온 효과와 가장 관련이 있는 원리 또는 법칙은?(2019년 03월)
     1. 비어(Beer)의 법칙
     2. 패러데이(Faraday) 법칙
     3. 파울리(Pauli)의 배타원리
     4. 르 샤틀리에 (Le Chatelier) 원리

     정답 : []
     정답률 : 85%

36. HClO4 와 HCl 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1년 03월)
     1. HClO4 와 HCl 모두 강산이다.
     2. HClO4 이 HCl 보다 더 센 산이다.
     3. 수용액에서는 평준화 효과로 HClO4 와 HCl 의 산의 세기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다.
     4. 아세트산에서 HClO4 와 HCl 의 산의 세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HClO4와 HCl의 [H+]가 다르기 때문에 명확히 구분할 수 없음
[해설작성자 : 훈이머리]

37. 증류수에 Hg2(IO3)2로 포화시킨 용액에 KNO3 같은 염을 첨가하면 용해도가 증가한다.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7년 03월)
     1. 가리움 효과
     2. 착물형성
     3. 르샤틀리에의 원리
     4. 이온세기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용해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이온간의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온세기가 정답이다.
[해설작성자 : 김정우 보고싶어]

38. 적정(titration)에 쓰이는 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당량점(equivalence point)-적정 시약의 양이 분석물질과 화학량론적으로 반응하는데 꼭 필요한 만큼 가해졌을 때 일어난다.
     2. 종말점(end point)-용액의 물리적 성질이 갑자기 변하는 점이다.
     3. 지시약(indicator)-적정이 완결되는 부근에서 물리적 특성이 갑자기 변하는 화합물이다.
     4. 직접 적정(direct titration)-분석물질에 농도를 알고 있는 첫 번째 표준시약을 과량 가한 다음 두 번째 표준시약을 사용하여 과량의 첫 번째 표준시약을 적정하는 방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4번은 역적정
[해설작성자 : 북쪽에 계신 아름다운 메리메리]

39. 순도 100%의 벤조산 20g은 약 몇 밀리몰(mmole)인가?(단, 벤조산의 몰질량은 122.1g/mol이다)(2016년 10월)
     1. 0.164
     2. 1.64
     3. 16.4
     4. 16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20g / 122.1g x 1000 = 164
[해설작성자 : 만거]

40. 초산(CH3COOH) 6g을 물에 용해하여 500mL용액을 만들었다. 이 용액의 몰농도(mol/L)는 얼마인가? (단, 초산의 분자량은 60g/mol 이다.)(2017년 09월)
     1. 0.1M
     2. 0.2M
     3. 0.5M
     4. 1.0M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초산의 몰수 : 0.1mol
몰농도 : 0.1mol/0.5L = 0.2mol/L = 0.2M
[해설작성자 : 만거]

3과목 : 기기분석I


41. 비불꽃 원자화 장치인 흑연로 원자화 분광 분석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4년 03월)
     1. 분석비용이 싸고 분석시간이 짧다.
     2. 원자화 효율이 좋아 강도가 높다.
     3. 제한된 적은 시료를 분석할 수 있다.
     4. 유기물 시료를 전처리 과정 없이 분석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0%

42. 자외선-가시선 흡수 분광계에서 자외선 영역의 연속적인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널리 쓰이는 광원은?(2018년 09월)
     1. 중수소 등
     2. 텅스텐 필라멘트 등
     3. 아르곤 레이저
     4. 크세논 아크 등

     정답 : []
     정답률 : 67%

43. 원자흡수분광법에서 바탕보정을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1년 10월)
     1. Zeeman 효과 사용 바탕보정법
     2. 연속광원(D2 lamp)사용 바탕보정법
     3. 선형회귀(linear regression) 사용 바탕보정법
     4. 광원 자체반전(self-reversal) 사용 바탕보정법

     정답 : []
     정답률 : 73%

44. 자외선-가시광선 흡수분광법에서 흡수봉우리의 세기와 위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6년 10월)
     1. 용매 효과(solvent effect)
     2. 입체 효과(sterc effect)
     3.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4. 콘주게이션 효과(conjugation effect)

     정답 : []
     정답률 : 74%

45. 복사선을 흡수하면 에너지 준위 사이에서 전자 전이가 일어나게 되는데 다음 전이 중 파장이 가장 짧은 복사선을 흡수하는 전자전이는?(2019년 09월)
     1. σ → σ*
     2. π → π*
     3. n → σ*
     4. n → π*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σ* > π* > n > π > σ
가장 짧은 복사선 흡수 = 에너지 차이가 가장 큰 에너지 준위 사이의 전자 전이
[해설작성자 : trinim]

4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원자화방법(Atomization)이 아닌 것은?(2018년 09월)
     1. 불꽃원자화(Flame Atomization)
     2. 초음파 원자화(Ultrasonic Atomization)
     3. 유도쌍 프라스마(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4. 전열증발화(Electrothermal Vaporization)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2. 초음파 원자화는 원자 분광법의 시료 도입 방법.
[해설작성자 : 만거]

47. 다음은 CO2 의 기준진동을 나타낸다. 어느 진동 mode 가 IR spectrum에서는 관측이 되지 않고, Raman Spectrum 에서 관측이 되는가? (단, ○ : 산소, ● : 탄소를 나타낸다.)(2006년 09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symmetric stretching mode (대칭신축운동)
2) asymmetric stretching mode (비대칭신축운동)
3) bending mode (굽힘진동)
4) bending mode (굽힘진동)

CO2는 선형분자이므로 3N-5 식을 사용하면, 3*3-5=4. 총 4가지의 진동 모드가 존재한다.
대칭신축운동은 적외선 불활성(IR이 측정을 못해~)
[해설작성자 : lazynanzy]

48. 기기분석에서 분석 신호는 화학적 잡음과 기기적 잡음의 영향을 받는다. 다음 중 기기적 잡음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3년 03월)
     1. 산탄(shot) 잡음
     2. 열적(thermal) 잡음
     3. 깜박이(flicker) 잡음
     4. 열역학적(thermodynamic) 잡음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기기잡음에는 열적, 존슨, 산탄, 깜빡이, 환경 잡음이 있다.
[해설작성자 : 만거]

49. 유도결합플라스마 토치에 시료를 도입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3월)
     1. 압력주입법
     2. 교차흐름 분무기법
     3. 초음파 분무기법
     4. 전열 증가화법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유도결합플라스마의 시료 도입 방법
- 액체 : 교차흐름분무기법, 집중유리 분무기법
- 고체 : 전열 증기화법
[해설작성자 : 어려웡]

50. 다음 중 Beer 법칙의 적용 한계가 아닌 것은?(2007년 09월)
     1. 겉보기 이완편차
     2. 겉보기 화학편차
     3. 다색 복사선의 기기편차
     4. 미광복사선이 존재할 때의 기기편차

     정답 : []
     정답률 : 50%

51. ㉮직경이 5.0cm이고 초점거리가 15.0인 렌즈 A의 스피드(f-number)와 ㉯직경이 30.0cm 이고 초점거리가 15.0cm인 렌즈 B의 스피드를 계산하고, ㉰이 둘의 집광력을 비교한 것은?(2019년 03월)
     1. ㉮ F=0.3 ㉯ FB=2 ㉰ A가 B보다 6.7배 집광력이 좋다.
     2. ㉮ F=0.3 ㉯ FB=2 ㉰ B가 A보다 6.7배 집광력이 좋다.
     3. ㉮ F=3.0 ㉯ FB=0.5 ㉰ A가 B보다 36배 집광력이 좋다.
     4. ㉮ F=3.0 ㉯ FB=0.5 ㉰ B가 A보다 36배 집광력이 좋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스피드 = 초점거리 / 직경 이용하면 가 : 3.0, 나 : 0.5이다. 집광력은 직경 제곱을 비교한다. 가 : 나 = 25 : 900 이므로 b가 a보다 36배 집광력이 좋다.
[해설작성자 : 신쫄이 레콜맛]

52. 13C NMR 스펙트럼은 1H NMR보다 일반적으로 약 몇 배의 ppm 차이를 두고 봉우리가 나타나는가?(2016년 03월)
     1. 5배
     2. 20배
     3. 50배
     4. 200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13C NMR 스펙트럼은 140 ~ 200 ppm
1H NNR 스펙트럼은 6~10ppm
약 20배 정도 차이 남.
[해설작성자 : 만거]

53. 1.0cm 두께의 셀(Cell)에 몰흡광계수가 5.0×103L/molㆍcm인 표준시료 2.0×10-4M 용액을 넣고 측정하였다. 이 때 투과도는 얼마인가?(2018년 03월)
     1. 0.1
     2. 0.4
     3. 0.6
     4. 1.0

     정답 : []
     정답률 : 64%
     <문제 해설>
흡광도 = - log 투과도
투과도 = 10 ^(-흡광도)
흡광도(A) = abc = 몰흡광계수(a) X 셀 두께(b) X 시료농도(c)

흡광도 = 5.0 X 10^3 X 2.0 X 10^(-4) X 1.0 = 1
따라서 투광도는 10^(-1) = 0.1
[해설작성자 : 카제로보이]

54. 원자 X선 분광법 중 고체 시료에 들어 있는 화합물에 대한 정성 및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고, 결정성 물질의 원자 배열과 간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방법은?(2017년 03월)
     1. X-선 형광법
     2. X-선 회절법
     3. X-선 흡수법
     4. X-선 방출법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결정성 물질의 원자 배열과 간격을 보여주는 것은 x선 화절법이다.
[해설작성자 : 은보라]

55. 레이저발생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2011년 03월)
     1. 레이저를 발생하게 하는데 필요한 펌핑을 레이저활성 화학종이 전기방전, 센 복사선의 쪼여줌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전자의 에너지준위를 바닥상태로 전이시키는 과정이다.
     2. 레이저발생의 바탕이 되는 유도방출은 들뜬 레이저 매질의 입자가 자발방출하는 광자와 정확하게 똑같은 에너지를 갖는 광자에 의하여 충격을 받는 경우이다.
     3. 레이저에서 빛살증폭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유도방출로 생긴 광자수가 흡수로 잃은 광자수보다 적을 필요가 있다.
     4. 3단계 또는 4단계 준위 레이저 발생계는 레이저가 발생하는 데 필요한 분포상태반전(population inversion)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빛살증폭이 일어나기 어렵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레이저 발생 메커니즘 : 펌핑-자발방출-유도방출-흡수

56. 반사식 회절발 파장선택기의 분산능과 분해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회절발의 크기가 같을 때 분산능은 복사선의 파장에 무관하다.
     2. 회절발의 크기가 같을 때 선분산능의 클수록 분해능이 크다.
     3. 회절발의 크기가 같을 때 각분산능이 클수록 분해능이 크다.
     4. 회절발의 크기가 같을 때 홈 간 거리가 클수록 분해능이 크다.

     정답 : []
     정답률 : 63%

57. 전자전이가 일어날 때 자외선-가시광선의 흡수가 일어난다. 다음 중 몰흡광계수가 일반적으로 가장 큰 전자 전이는?(2013년 03월)
     1. n→σ*
     2. π→π*
     3. σ→σ*
     4. π→σ*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분자 내의 파이결합이 있는 경우 자외선-가시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최외각 전자의 들뜸현상이 일어남
π→π* 형 화합물에서 형광이 많이 발생하므로 양자효율이 더 큼!
[해설작성자 : 어려웡]

58. 텅스텐관구와 LiF 분광결정(d=2.01Å)을 썼을 때 어떤 순금속의 예민한 X-선 스펙트럼이 2θ=69.36°에서 관측되었다. 형광 X-선의 파장은?(2014년 03월)
     1. 1.978Å
     2. 2.153Å
     3. 2.287Å
     4. 3.762Å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nλ=2dsinθ (Bragg 법칙)
n=1 (안나와있으면 1 로), d = 2.01Å, θ= 34.68°
λ= 2x2.01Åxsin34.68
    = 2.287Å
[해설작성자 : 선넓힘 이유 압도당한 불전자]

59. 적외선 흡수 분광법에서의 시료(sampling)처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9월)
     1. 고체시료의 경우는 KBr 펠렛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2. 알콜보다는 벤젠이 sampling 용매로 사용하기에 더 적합하다.
     3. KBr을 이용하여 고체 시료를 sampling할 때 시료와 KBr의 비율을 1:1~1:5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4. 액체시료의 경우 순수한 액체시료를 두개의 암염판 사이에 도입하여 분석에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60%

60. 적외선 분광법에 사용하기 가장 적절한 시료 용기의 재질은?(2007년 09월)
     1. 결정성 NaCl
     2. 석영
     3. 규산염 유리
     4. 용융 실리카

     정답 : []
     정답률 : 66%

61. HPLC에서 역상(reversed-phase)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2009년 05월)
     1. 정지상이 극성이고 이동상이 비극성인 시스템
     2. 이동상이 극성이고 정지상이 비극성인 시스템
     3. 분석물질이 극성이고 정지상이 비극성인 시스템
     4. 정지상이 극성이고 분석물질이 비극성인 시스템

     정답 : []
     정답률 : 84%

62. 폴라로그래피에서 작업전극으로 주로 사용하는 전극은?(2011년 03월)
     1. 적하수은 전극
     2. 백금 전극
     3. 포화카로멜 전극
     4. 흑연 전극

     정답 : []
     정답률 : 74%

63.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기울기용리(gradient elution)란 어떤 방법인가?(2019년 03월)
     1. 컬럼을 기울여 분리하는 방법
     2. 단일 용매(이동상)를 사용하는 방법
     3. 2개 이상의 용매(이동상)를 다양한 혼합비로 섞어 사용하는 방법
     4. 단일 용매(이동상)의 흐름량과 흐름속도를 점차 증가시키는 방법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단일 용매는 등용매 용리
[해설작성자 : 만거]

64. 25℃에서 0.010M Fe3+와 0.100M Fe2+의 용액에 담근 Pt 전극으로 된 반쪽전지의 전위는 몇 V 인가?(2013년 03월)

    

     1. +0. 712
     2. +0. 742
     3. +0. 801
     4. +0. 830

     정답 : []
     정답률 : 58%

65.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컬럼 중, 충진된 컬럼(Packed Column)과 열린 관 컬럼(Open Tubular Column)을 비교할 때, 열린 관 컬럼의 장점이 아닌 것은?(2015년 03월)
     1. 분석 시간이 짧아진다.
     2. 고압 펌프가 필요 없다.
     3. 주입할 수 있는 시료 용량이 커진다.
     4. 분해능이 좋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충진된 칼럼은 많은 양의 시료를 취급가능하며, 사용이 편하다.
열린관 칼럼은 충진된 칼럼에 비해 시료 주입 용량이 적다.
[해설작성자 : 만거]

66. 열 분석법인 DTA(시차열법분석)와 DSC(시차주사열량법)에서 물리ㆍ화학적 변화로서 흡열 봉우리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2015년 09월)
     1. 녹음이나 용융
     2. 탈착이나 탈수
     3. 증발이나 기화
     4. 산소의 존재 하에서 중합반응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4번은 흡열봉우리가 아닌 발열봉우리이다.
[해설작성자 : 만거]

67. 질량분석법에는 질량분석기가 이온발생원에서 생성된 이온을 질량/전하비에 따라 분리한다. 질량분석기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2009년 05월)
     1. 사중극 질량분석기(Quadrupole mass Spectrometer)
     2. 이중 초점 섹터분석기(Double-focusing Sector Spectrometer)
     3. 비행시간형 분석기(Time-of-flight Spectrometer)
     4. 단색화 분석기(Monochromator Spectrometer)

     정답 : []
     정답률 : 83%

68. 전기량법은 전극에서 충분히 산화 및 환원반응이 일어나게 시간을 주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 중 많은 양의 분석에 적당한 방법은?(2015년 09월)
     1. 전기무게 분석법
     2. 일정전위 전기량법
     3. 일정전류 전기량법
     4. 전기량 적정법

     정답 : []
     정답률 : 58%

69. 분광질량분광법의 이온화 방법 중 사용하기 편리하고 이온전류를 발생시키므로 매우 예민한 방법이지만 열적으로 불안정하고 분자량이 큰 바이오 물질들의 이온화원에는 부적당한 방법은?(2019년 09월)
     1. Electron Impact(EI)
     2. Electro Spray Ionization(ESI)
     3. Fast Atom Bombardment(FAB)
     4.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ization(MALDI)

     정답 : []
     정답률 : 62%

70. 표준수소전극으로 -0.121V로 측정된 전위는 포화 칼로멜 기준전극(E=0.241V)으로 측정한다면 얼마의 전위로 측정되겠는가? (단, 기준전극은 모두 산화전극으로 사용되었다.)(2016년 03월)
     1. -0.362V
     2. -0.021V
     3. 0.121V
     4. 0.362V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산화전극 - 환원전극 = -0.121V - 0.241V = - 0.362V
[해설작성자 : 만거]

71. 질량분석법을 여러 가지 성분의 시료를 기체 상태로 이온화한 다음 자기장 혹은 전기장을 통해 각 이온을 질량/전하의 비에 따라 분리하여 질량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이다. 질량분석기의 기기장치 중 진공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2015년 09월)
     1. 이온화장치
     2. 질량분리기
     3. 검출기
     4. 신호처리기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신호처리기는 출력장치라 진공으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만거]

72. 용액 중 이온들이 전극표면으로 이동하는 주요 과정이 아닌 것은?(2017년 03월)
     1. 확산
     2. 전기이동
     3. 대류
     4. 화학반응성

     정답 : []
     정답률 : 66%

73. 유리전극을 사용하여 용액의 pH를 측정할 때 오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2007년 09월)
     1. 접촉전위
     2. 나트륨 오차
     3. 표준 완충요액
     4. 선택계수의 실험적 보정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유리전극으로 pH 측정 시 영향 주는 오차 요인
1) 산 오차
2) 알칼리 오차
3) 탈수
4) 낮은 이온세기
5) 접촉전위의 변화
6) 온도변화에 따른 오차
[해설작성자 : lazynanzy]

74. 사중극자 질량분석관에서 고질량통과 필터로 작용하는 경우는?(2011년 03월)
     1. 양직류 전위-저주파수 교류전위
     2. 양직류 전위-고주파수 교류전위
     3. 음직류 전위-저주파수 교류전위
     4. 음직류 전위-고주파수 교류전위

     정답 : []
     정답률 : 69%

75. 질량분석법은 여러 가지 성분의 시료를 기체상태로 이온화한 다음 자기장 혹은 전기장을 통해 각 이온을 질량/전하의 비에 따라 분리하여 질량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이다. 질량분석기의 기기장치 중 진공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2019년 09월)
     1. 도입계
     2. 이온원
     3. 검출기
     4. 신호처리기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4. 신호처리기는 출력장치이므로 진공으로 유지될 필요가 없다.
[해설작성자 : 만거]

76. 전기화학 전지에서 염다리의 역할은 무엇인가?(2010년 09월)
     1. 화학적으로 두 반쪽전지를 결합시켜 준다.
     2. 전기적으로 두 반쪽전지를 연결시켜 준다.
     3. 두 반쪽전지 사이에서 양쪽 반쪽전지내 이온들과 화학반응을 한다.
     4. 아무런 화학적 물리적 반응을 하지 않고 양쪽을 분리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2%

77. 질량분석기의 이온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4년 09월)
     1. 잔자충격이온화 방법은 토막 내기가 잘 일어나므로 분자량의 결정이 어렵다.
     2. 전자충격이온화 방법에서 분자 양이온의 생성 반응이 매우 효율적이다.
     3. 화학이온화 방법에 의해 얻어진 스펙트럼은 전자충격이온화 방법에 비해 매우 단순한 편이다.
     4. 전자충격이온화 방법의 단점은 반드시 시료를 기화시켜야 하므로 분자량이 1000보다 큰 물질의 분석에는 불리하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해당 생성 반응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만거]

78.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GLC)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가장 흔한 형태로 이동상으로 기체를, 고정상으로는 액체를 사용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이 때 이동상과 고정상 사이에서 분석물의 어떤 상호 작용이 분리에 기여하는가?(2010년 05월)
     1. 분배(Partition)
     2. 흡착(Adsorption)
     3. 흡수(Absorption)
     4. 이온교환(Ion Exchange)

     정답 : []
     정답률 : 66%

79.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물질 A와 B를 분리하기 위해 16cm 관을 사용하였다. A와 B의 머무름 시간은 각각 10분과 11분이고 이동상의 평균이동속도는 5cm/분이었다. A와 B의 밑변의 봉우리 나비가 1분과 1.1분일 때 이 관의 단높이는 얼마인가?(2013년 03월)
     1. 1.0×10-2cm
     2. 1.2×10-2cm
     3. 1.4×10-2cm
     4. 1.6×10-2cm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N_A=16*(10/1) = 1600
N_B=16*(11/1.1) = 1600
N_avg=1600

H=L/N = 16cm / 1600 = 1.0x10^-2
[해설작성자 : 물리]

80. C, Cl 원자를 한 개씩 함유하는 화합물에서 M. M+1, M+2, M+3 봉우리들의 상대적 크기로 가장 타당한 것은? (단, M은 분자 봉우리를 나타내며, 동위원소 존재비는 Cl35:Cl37=75:25, C12:C13=99:1이다.)(2015년 09월)
     1. M:M+1:M+2:M+3-99:1:25:21
     2. M:M+1:M+2:M+3-99:1:25:0.33
     3. M:M+1:M+2:M+3-99:1:33:1
     4. M:M+1:M+2:M+3-99:1:33:0.33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M = 75x99 = 7425
M+1 = 75x1 = 75
M+2 = 25x99 = 2475
M+3 = 25x1 = 25
존재비는 99 : 1 : 33 : 0.33
[해설작성자 : 만거]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65903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24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5년04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923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22 수능(물리I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21 어로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20 정밀측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19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 화학분석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65903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17 변리사 1차(3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777979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16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9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15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5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14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4월2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1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912 경비지도사 2차(경호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4621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11 9급 국가직 공무원 재난관리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910 특수용접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15127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909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08 9급 국가직 공무원 무선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4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07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동차구조원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06 임상심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2년03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05 경찰공무원(순경) 수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2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9 Next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