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056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형설계


1. 고정식 스트리퍼의 형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3면 개방형은 소재와 틈새가 커 제품으로 사용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2. 문형 스트리퍼는 재료의 폭 방향 가이드가 있다.
     3. 펀치 가이드 스트리퍼는 담금질한 부시로 펀치를 안내 한다.
     4. 스프링식 가이드는 상하평형으로 균형있게 움직인다.

     정답 : []
     정답률 : 74%

2. 성형품에 구멍이 뚫려 있는 보스가 있거나 가늘고 긴 코어가 있는 성형품의 밀어내기에 적합한 방법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3년 05월)
     1. 원형 이젝터 핀
     2. 슬리브 이젝터핀
     3. 스트리퍼 플레이트
     4. 에어 이젝션

     정답 : []
     정답률 : 86%

3. 다음 사출금형 중 특수금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3단 금형
     2. 분할 금형
     3. 나사 금형
     4. 슬라이드 코어 금형

     정답 : []
     정답률 : 93%

4. 러너레스 금형의 단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4년 05월)
     1. 금형원가가 비싸다.
     2.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다.
     3. 시스템에따라 컬러의 변경이 힘들다.
     4. 게이트 후가공이 불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5. 금형캐비티 내의 평균압력이 100 kgf/cm2 이고, 캐비티의 투영면적이 314cm2 이라면, 이때 형체력은 얼마인가?(2010년 05월)
     1. 100 ton
     2. 3.14 ton
     3. 31.4 ton
     4. 314 ton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 형체력    F = P × A × 10^-3(tf) ( P : 금형내 평균 압력, A : 투영면적)
                                = 100×314×10-3 = 31.4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6. 수지의 수축률이 큼으로 수축현상(Sink mark)이 발생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개선방법은?(2003년 05월)
     1. 사출압력을 높인다.
     2. 수지온도를 높인다.
     3. 냉각시간을 줄인다.
     4. 이형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77%

7. 다음 중 사출금형 부품의 사용 재질로써 부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슬라이드용 가이드 : STC3 ~ STC5
     2. 앵귤러 핀 : SACM3 ~ SACM5
     3. 앵귤러 캠 : SM50C ~ SM55C
     4. 슬라이드 홀더 : SM50C ~ SM55C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앵귤러핀은 STC3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중 열경화성 수지는?(2005년 05월)
     1. 페놀수지
     2. ABS 수지
     3. 폴리아세탈
     4. PMMA 수지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① 열가소성 수지 : 열을 가할 때 마다 녹거나 유연하게 되지만, 냉각되면 다시 딱딱하게 굳어지는 플라스틱
ⓐ 종류 : 아크릴(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염화비닐, 불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PA), 초산비닐, 메틸아크릴, 스티롤, 아세탈(Acetal), ABS
② 열경화성 수지 : 열에 의해 한번 굳어지면 열을 가해도 녹거나 유동성이 있는 물질로 되돌아 가지 않는 플라스틱
ⓐ 종류 : 페놀(PE), 멜라민, 실리콘(SI), 요소, 에폭시(EP), 아미노, 폴리에스테르, 프란

9. 다음 중 앵귤러 핀의 각도가 20°일 때 적절한 로킹블록의 각도는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4°
     2. 16°
     3. 19°
     4. 22°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로킹 블록의 경사각(β)과 경사핀의 경사각(α)의 관계
    
    β = α + ( 2° ~ 3° )

10. 몰드 베이스의 체결용 Bolt가 허용인장응력 3000 ㎏f/cm2인 연강재인 경우, Bolt가 1000 ㎏f의 하중을 받고 있다면 볼트의 직경은 얼마로 설계해야 하는가? (단, 안전율은 2를 적용 한다.)(2004년 05월)
     1. 3 mm
     2. 9.2 mm
     3. 4.6 mm
     4. 13 mm

     정답 : []
     정답률 : 63%

11. 드로잉 금형에서 주름살을 방지하거나 리스트라이킹시 블랭크홀더가 플랜지를 강하게 눌러 다이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채용하는 것은?(2005년 05월)
     1. 드로비드
     2. 가이드 핀
     3. 드로잉 펀치
     4. 핑거 가이드

     정답 : []
     정답률 : 79%

12. 전단(Blanking)한 제품에 만곡(Dish Deformation)현상이 발생했다.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맞는 것끼리 짝 지워진 것은?(2004년 05월)
     1. PAD설치, Punch 식입량을 증가,보조 Guide Pin설치
     2. PAD설치, Shear Angle을 준다, 윤활유를 사용
     3. PAD설치, Stripping력을 증가, 이물질을 제거
     4. PAD설치, Guide 판을 정확하게 한다, Press 기계용량을 증가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3%

13. 두께 1.8mm의 연강판을 사용하여 지름 38㎜의 구멍을 피어싱 가공할 경우 소요되는 전단력(kgf)은 약 얼마인가? (단, 전단하중은 40kgf/mm2 이다.)(2016년 05월)
     1. 4798.5
     2. 8595.4
     3. 12893.6
     4. 17691.2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P = Kㆍℓㆍtㆍτ (K : 보정계수,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Dㆍπ)ㆍtㆍτ = 38ㆍ3.141592ㆍ1.8ㆍ40 = 8595.395712

14. 다음 보기에 제시하는 금형설계의 플로차트는 어느 제품의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나타내는가?(2003년 05월)

    

     1. 드로잉
     2. 피어싱
     3. 블랭킹
     4. 포밍

     정답 : []
     정답률 : 78%

15. 프레스의 하사점 위 몇 mm의 위치에서 호칭압력의 발생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6월)
     1. 압력능력
     2. 일능력
     3. 토크능력
     4. S.P.M

     정답 : []
     정답률 : 70%

16. 두께가 3㎜인 스테인리스 강판에서 전개길이 300㎜로 이루어진 제품을 블랭킹 하는데 필요한 힘은 몇 ton 인가? (단, 전단강도는 50kgf/mm2 이다.)(2014년 05월)
     1. 42
     2. 43
     3. 44
     4. 45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전단력    P = ℓ × t × τ(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300 × 3 × 50 = 45000(45ton)

17. 프레스 램을 하사점까지 내린 상태에서 프레스 램 밑면과 볼스터 윗면 사이의 직선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0년 05월)
     1. 슬라이드 조절량
     2. 하중 능력
     3. 스트로크 수
     4. 다이하이트

     정답 : []
     정답률 : 88%

18. 다음의 도면은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편침한 구멍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이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명칭은??(2013년 06월)

    

     1. 정밀피어싱장치
     2. 미스피드검출장치
     3. 자동이송전자장치
     4. 자동피어싱장치

     정답 : []
     정답률 : 74%

19. 직경 12㎜ 의 피어싱 펀치로 두께 2㎜ 소재를 가공하고자 할 때 파일럿 핀의 직경은 약 몇 ㎜ 인가?(2014년 05월)
     1. 10.92
     2. 11.92
     3. 12.92
     4. 13.92

     정답 : []
     정답률 : 83%

20. 다음 그림과 같이 드로잉(drawing)한 원통형 용기의 표면적(A)으로 가장 가까운 값은?(2004년 05월)

    

     1. A = 22320 mm2
     2. A = 31420 mm2
     3. A = 46320 mm2
     4. A = 56120 mm2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원통용기의 단면적    A = π.d.2 / 4 + π.d.h
     A = {(3.141592 ×100×100)/4} + (3.141592×100×75) ≒ 7853.9 + 23561.2 ≒ 31415.8

2과목 : 기계제작법


21. 비교적 대형 공작물의 평면가공에 사용하는 것은?(2008년 05월)
     1. 플레이너
     2. 셰이퍼
     3. 슬로터
     4. 브로치

     정답 : []
     정답률 : 86%

22. 대형공작물이나 용접지그에 적당한 구조로 분할잠금핀을 이용하여 가공물의 등분 및 회전이 가능한 지그는?(2003년 05월)
     1. 채널지그
     2. 트러니언지그
     3. 리프지그
     4. 멀티스테이션지그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지그의 종류
① 채널지그 : 공작물의 두면에 지그를 설치하여 제 2표면을 단순히 가공할 때 사용된다. 박스지그의 일종으로 정밀한 가공보다는 생산속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가장 단순하고도 기본적인 형태로 사용되며 지그본체는 고정식과 조립식으로 제작이 가능.
② 트러니언지그 : 일종의 샌드위치 또는 상자의 지그를 트러니언에 올려 공작물을 분할(각도)하여가며 가공하게 되는 지그로서, 주로 대형의 공작물이나 불규칙한 형상에 사용되며 로터리 지그라고도 말한다.
③ 리프지그 : 힌지핀(hinge pin)으로 연결된 리프를 열고 공작물을 장.탈착하는 지그로서, 불규칙하고 복잡한 형태의 소형공작물에 적합하며, 장.탈착이 용이하고 한번장착으로 여러면의 가공이 가능하다. 박스형 지그와 유사한 소형상자 지그라고 말할수 있으며 박스지그와 주된 차이점은 지그의 크기와 공작물의 위치결정이다.
④ 멀티스테이션지그 : 특수하게 설계된 드릴링머신의 회전테이블 위에 여러 종류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지그가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징은 공장물을 지그에 위치 결정시키는 방법으로 한 개의 공작물은 드릴링, 다른 공작물은 리밍, 또는 다른 공작물은 카운터 보링되며 최종적으로는 완성 가공된 공작물을 내리고 새로운 공작물을 창작할 수 있는 것이다.

23. 다음 방전가공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가공 부분에 변질층이 남지 않는다.
     2. 가공물의 경도와 관계없이 가공이 가능하다.
     3. 전극과 공작물에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4. 복잡한 형상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8%

24. 프레스 금형에서 정밀한 펀치나 다이 제작에 가장 적합한 장비는?(2008년 05월)
     1.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
     2. 머시닝 센터
     3. 플레이너
     4. CNC 선반

     정답 : []
     정답률 : 94%

25. 기어에서 모듈과 같은 크기는?(2004년 05월)
     1. 원주 피치
     2. 이 높이
     3. 이끝 높이
     4. 직경피치

     정답 : []
     정답률 : 74%

26. 선반에서 가늘고 긴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 발생하는 미세한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속 장치는?(2008년 05월)
     1. 면판
     2. 돌림판
     3. 바이트
     4. 방진구

     정답 : []
     정답률 : 93%

27. 드릴의 치즐 포인트는 드릴의 절삭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이 길이는 짧을수록 절삭 저항이 감소하지만 너무 짧으면 추력 때문에 찌그러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강도를 유지하며 절삭성을 증가하기 위해서 날 끝의 일부를 연마해 주는 작업은?(2003년 05월)
     1. 드릴링(drilling)
     2. 씨닝(thinning)
     3. 탭핑(tapping)
     4. 리이밍(reaming)

     정답 : []
     정답률 : 91%

28. 열간 가공과 냉간 가공의 한계를 결정짓는 것은?(2013년 06월)
     1. 풀림온도
     2. 변태온도
     3. 재결정온도
     4. 결정입자의 성장온도

     정답 : []
     정답률 : 78%

29. 유동형 칩이 발생하는 일반적인 조건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연성의 재료(연강, 구리, 알루미늄 등)를 가공할 때
     2. 경사각이 클 때
     3. 절삭속도가 빠를 때
     4. 절삭깊이가 깊을 때

     정답 : []
     정답률 : 90%

30. CNC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서보기구의 위치검출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복합회로 제어방식
     2. 진공회로 제어방식
     3. 폐쇄회로 제어방식
     4. 개방회로 제어방식

     정답 : []
     정답률 : 68%

31. CNC프로그램의 중기능에서 연속 유효 G코드(modal G c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지정된 블록에서만 유효한 기능이다.
     2. 동일 그룹의 다른 G코드가 지령될 때까지 유효한 기능이다.
     3. 기계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기능이다.
     4. 반복하는 사이클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91%

32.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의 가공속도를 구하는 식은?(2013년 06월)
     1.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2.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3.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4.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정답 : []
     정답률 : 82%

33. 가공의 영향으로 생긴 스트레인이나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미세한 표준조직으로 기계적 성질을 향상 시키는 열처리법은?(2017년 05월)
     1. 소프트닝
     2. 보로나이징
     3. 하드 페이싱
     4. 노멀라이징

     정답 : []
     정답률 : 71%

34. 외경 70㎜, 길이 220㎜의 연강봉을 초경바이트로 절삭속도 80m/min, 이송량 0.2m/rev로 황삭 절삭을 1회 할 때 가공시간은 약 몇 분인가?(2008년 05월)
     1. 1분
     2. 2분
     3. 3분
     4. 4분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절삭시간 T(min) = L/nƒ = πDL/1000Vƒ ∵ n(회전수) = 1000V/πD
(L : 깍고자하는 공작물의 길이, n : 공작물의 회전수,    D : 공작물의 지름, ƒ : 공작물의 이송속도)

     t = (3.141592 × 70 × 220) / (1000×80×0.2) ≒ 48380.1 / 16000 ≒ 3.023

35. 전해연마 가공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다.
     2.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연마가 가능하다.
     3. 가공 변질층이 있고 평활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4. 연질의 알루미늄, 구리 등도 쉽게 광택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36. 주물을 제작할 때 생사형 주형의 경우, 주물 중량 500kg, 주물의 두께에 따른 계수를 2.2라 할 때 주입시간은 약 몇 초인가?(2017년 05월)
     1. 33.8
     2. 49.2
     3. 52.8
     4. 56.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주입시간 D = S√W (S : 주물계수, W : 주물 중량)
                        D = 2.2 √ 500 = 49.1934

37. 고속가공을 금형가공에 이용할 때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가공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2. 디버링이나 피니싱 시간을 감소시킨다.
     3. 열전달을 향상시켜 표면경도를 높일 수 있다.
     4. 작은 직경의 공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38. 절삭온도를 측정하는 방법들을 나열한 것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칩의 색에 의한 방법
     2. 칩의 길이에 의한 방법
     3. 칼로리메터에 의한 방법
     4. 열전대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79%

39. 다음 중 탭(TAP)이 부러지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드릴 구멍이 일정하지 않을 때
     2. 소재보다 경도가 높을 때
     3. 핸들에 과도한 힘을 주었을 때
     4. 탭이 구멍 밑바닥에 부딪쳤을 때

     정답 : []
     정답률 : 88%

40. 알루미늄 합금과 마그네슘 합금 등의 주조에 주로 사용하나, 금형의 선택 조건이 까다롭고 비싸므로 대량 생산에 주로 이용되는 주조법은?(2016년 05월)
     1. 원심 주조법
     2. 칠드 주조법
     3. 다이캐스팅법
     4. 셀 몰드 주조법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① 원심 주조법 : 원통의 주형을 300~3000rpm 으로 회전시키면서 용융금속을 주입하면 원심력에 의해 용융금속은 주형의 내면에 압착응고하게 되고, 이와 같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치밀하고 결함이 없는 주물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
② 칠드 주조법 : 사형과 열전도율이 큰 금형으로 주형을 완성하여 주조하는 것으로 특별한 기계적 성질을 가진 주철주물을 얻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금형에 의하여 급랭되는 표면부분은 탄소가 흑연으로 석출하지 못하고 탄화철이 되면서 백선조직의 백주철이 된다. 표면은 경하고 내부는 회주철의 연질조직이 된다.
③ 다이캐스팅법 : 정밀한 금형에 용융금속을 고압, 고속으로 주입하여 정밀하고 표면이 깨끗한 주물을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얻는 주조 방법이다. 주물재료는, Al 합금, Zn합금, Cu,합금, Mg 합금과 같은 저융점 함금 등이며, 자동차 부품, 전기기기, 통신기기용품, 일용품 등 소형 제품의 대량 생산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④ 셀 몰드 주조법 : 규소 모래와 열경화성의 합성수지를 배합한 분말을 가열된 금형에 뿌려 주형을 만들고 주형을 신속히 다량 생산할 수 있다.

3과목 : 금속재료학


41. 다음 중 불변강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인바
     2. 코엘린바
     3. 쾌스테르강
     4. 엘린바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불변강(고 Ni 강)의 종류 : 인바, 슈퍼인바, 엘린바, 코엘린바, 퍼멀로이, 플래티나이트

42. 다음 중 순철의 자기변태온도는 약 몇 도 인가?(2010년 05월)
     1. 210℃
     2. 768℃
     3. 910℃
     4. 1410℃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① 210℃ : 강의 자기 변태점    A0
② 768℃ : 순철의 자기 변태점 A2
③ 910℃ : 순철의 동소 변태점 A3
④ 1410℃ : 순철의 동소 변태점 A4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3. 커핑시험(Cupping test)이라고 부르며, 목적은 재료의 연성을 알기위한 것으로서 구리판,알루미늄판 및 그밖의 연성 판재를 가압 형성하여 변형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2004년 05월)
     1. 비틀림시험(Distortion test)
     2. 압축시험(Compression test)
     3. 굽힘시험(Bending test)
     4. 에릭센시험(Erichsen test)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금속박판 재료의 연성을 평가 또는 비교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시험
두께 0.1 ∼ 2.0 mm 의 금속박재료를 상, 하 다이 사이에 삽입시키고, 시험편에 펀치를 넣어 시험편 뒷면에 1개 이상의 균열이 생길 때까지 가압한 후 펀치 앞 끝이 하형 다이의 시험편에 접하는 면에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소성가공성을 평가하는시험.

44. 주철의 성장원인으로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가열 냉각 반복에 의한 팽창
     2. 순철의 흑연화 억제에 의한 팽창
     3. 흡수되어 있는 가스에 의한 팽창
     4. 고용원소인 Si의 산화에 의한 팽창

     정답 : []
     정답률 : 65%

4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부식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현상은?(2016년 05월)
     1. 공식 발생을 일으키는 주요 이온은 Cl-, F-, Br-이다.
     2. 고온(1000~1150℃)에서 가열 후 급냉하면 입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3. 공식 발생 대책은 재료 중에 C를 많게 하거나 Ni, Cr, Mo, I, N 등을 적게 한다.
     4. 입계부식의 방지대책은 C 와의 친화력이 Cr보다 큰 Ti, Nb, Ta을 첨가해서 안정화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4%

46. 아연(Zn)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융점은 약 420℃ 이다.
     2. 고온의 증기압이 높다.
     3. 상온에서 면심입방격자이다.
     4. 일반적으로 25℃에서 밀도는 약 7.13g/cm3 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47. 다음 중 고용체(Solid Solution)는 어느 것인가?(2005년 05월)
     1. 오스테나이트
     2. 펄라이트
     3. 시멘타이트
     4. 레데뷰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77%

48. 마텐자이트(martensite)를 400℃에서 뜨임(tempering)하면 어떻게 변하는가?(2014년 05월)
     1. 펄라이트가 된다.
     2. 트루스타이트가 된다.
     3. 솔바이트가 된다.
     4. 오스테나이트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49.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ABS수지
     2. 페놀수지
     3. 폴리에틸렌
     4. 염화비닐

     정답 : []
     정답률 : 82%

50. 노치부의 단면적 A(cm2)인 시편을 절단하는데 흡수된 에너지를 E(kgf-m)라 할 때 샤르피 충격값은 어떻게 표시되는가?(2014년 05월)
     1. E/A
     2. E∙A
     3. E
     4. A/E

     정답 : []
     정답률 : 88%

51. 다음 금속 중에서 용융점이 가장 높은 것은?(2013년 06월)
     1. V
     2. W
     3. Co
     4. Mo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각 금속의 용융점
① V : 1725℃            ② W : 3410℃         ③ Co : 1495℃            ④ Mo : 2025℃

52. Mg의 용융점은 약 몇 도 인가?(2015년 05월)
     1. 700℃
     2. 650℃
     3. 600℃
     4. 550℃

     정답 : []
     정답률 : 76%

53. 다음 금속 중에서 용융점이 가장 높은 것은?(2008년 05월)
     1. V
     2. W
     3. Co
     4. Mo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① V : 1725℃    ② W : 3410℃    ③ Co : 1495℃    ④ Mo : 2025℃

54. 표준형 고속도 공구강의 주성분을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18% W, 4% Cr, 1% V, 0.8~0.9% C
     2. 18% C, 4% Mo, 1% V, 0.8~0.9% Cu
     3. 18% W, 4% Cr, 1% Ni, 0.8~0.9% Al
     4. 18% C, 4% Mo, 1% Cr, 0.8~0.9% Mg

     정답 : []
     정답률 : 84%

55. 다음 중 주철을 접종처리하는 가장 큰 이유는?(2016년 05월)
     1. 기지조직을 조대화 하기 위해서
     2. 흑연형상의 개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주철에서 chill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4. 결정의 핵생성을 촉진하고 조직 및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66%

56. Ni 과 그 합금의 현미경 조직시험에서 부식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5년 05월)
     1. 왕수용액
     2. 피크르산 알콜용액
     3. 질산 및 초산용액
     4. 염화 제이철용액

     정답 : []
     정답률 : 78%

57. 판두께 1.25㎜, 외경 25㎜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소재를 약 50만개 이상 블랭킹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금형재는?(2005년 05월)
     1. STC3
     2. STS3
     3. SM45C
     4. 초경합금

     정답 : []
     정답률 : 80%

58. 순철의 자기변태와 동소변태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동소변태란 결정격자가 외적 조건에 의하여 변하는 변태를 말한다.
     2. 자기변태도 결정격자가 변하는 변태이다.
     3. 동소변태점은 A3점과 A4 점이 있다.
     4. 자기변태점은 약 768℃ 정도이며 일면 큐리(curie)점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자기변태(퀴리점) : A2 : 원자 배열은 변화가 없고 자성만 변하는 것 (Fe, Ni, Co)
※ 동소변태 : A3, A4 : 고체 내에서 원자 배열이 변하는 것 (Fe, Co, Ti, Sn)

59. 다음은 구상 흑연주철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용선에 마그네슘(Mg)을 첨가함으로써 구상흑연 조직을 얻는다.
     2. 세륨(Ce)을 첨가하여도 구상흑연 조직을 얻는다.
     3. 구상흑연 주철은 흑연에 의한 노치(notch)작용이 적기 때문에 강인하다.
     4. 구상흑연 주철은 편상흑연 주철보다 연성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72%

60.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C 및 Si의 양을 적게 한다.
     2. 구상흑연을 편성화시킨다.
     3. 흑연의 미세화로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4. Cr, Mo, V 등을 첨가하여 펄라이트 중의 Fe3C 분해를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54%

61. 동일 측정의 조건에서 항상 같은 크기와 같은 부호를 가지는 오차는?(2004년 05월)
     1. 간접오차
     2. 우연오차
     3. 계통오차
     4. 시차

     정답 : []
     정답률 : 83%

62. 테일러원리에 맞게 구멍을 검사하기 위한 정지측게이지로 알맞은 것은?(2003년 05월)
     1. 봉게이지
     2. 링게이지
     3. 플러그게이지
     4. 스냅게이지

     정답 : []
     정답률 : 65%

63. 수준기의 1눈금을 2mm로 하고 감도를 1'으로 하고자 할 때 기포관의 곡률반경은 약 얼마인가?(2017년 05월)
     1. 3.4m
     2. 6.9m
     3. 42m
     4. 106m

     정답 : []
     정답률 : 58%

64. 반지름법에서 중심을 구하는 방법 중 구하려는 평균원과 실측 단면과의 반지름의 차를 제곱하여 총합이 최소가 되는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의 중심에서 실측 단면까지의 최대 반지름과 최소반지름의 차로서 진원도를 정의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5월)
     1. 최소 자승중심법(LSC)
     2. 최소 영역중심법(MZC)
     3. 최소 외접중심법(MOC)
     4. 최대 내접중심법(MIC)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① 최소 자승중심법(LSC) : 구할 평균원과 실측단면과의 반경의 차를 제곱하여 그 제곱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그런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을 최소자승원이라 하고 그 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 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긁힘,먼지등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② 최소 영역중심법(MZC) : 실측단면에 동일 중심을 갖는 내접원과 외접원을 그려 그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그런 내,외접원의 중심을 구했을 때 이 내,외접원을 최소영역원이라 하고 내외접원의 반경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긁힘,먼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시간이 길다.)
③ 최소 외접중심법(MOC) : 실측단면에 외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외접원을 그렸을 때 이 외접원을 최소외접원이라 하고, 이 외접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축에 꼭 끼는 최소의 링 게이지)
④ 최대 내접중심법(MIC) : 실측단면에 내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큰 내접원을그렸을 때 이 내접원을 최대내접원이라 하고 이 내접원의 중심에서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에서 최소반경을 뺀 값으로 진원도를 정의한다.
(축에 유용한 평가법,플러그 게이지,긁힘,먼지등에 영향 받기 쉽다.)

65.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부품의 평면도 측정시 최소 측정점 수는?(2003년 05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76%

66. 그림과 같은 광 지렛대에서 x = 1㎛의 변위를 Y = 0.1㎜로 확대하려면 광원 “A”와 반사경과의 거리 L은 얼마가 되는가? (단, ℓ= 5㎜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5년 05월)

    

     1. 125㎜
     2. 375㎜
     3. 250㎜
     4. 500㎜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엇각으로 각도세타를 자리를 알아내고 tan를 이용하여    l과 x로 세타 값을 구해서
tan 배각에 넣으면 L은 250 3번이 나오는데 어떠한 이유로 2번 이 나오는 지 해설 부탁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삼각함수 공식 과 배각 공식을 이용하여 답은 3번 250mm입니다.

67. 측정 관련 용어의 정의가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정밀도 - 산포가 작은 정도를 말한다.
     2. 정확도 - 치우침이 작은 정도를 말한다.
     3. 오차 - 측정치에서 참값을 뺀 값을 말한다.
     4. 되돌림 오차 - 측정치에서 시료평균을 뺀 값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되돌림오차(후퇴오차) : 주위의 상황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일한 측정량에 대하여 지침의 측정량이 증가하는 상태에서 읽음값과 반대로 감소하는 상태에서 읽음값의 차

68. 전기 마이크로 미터와 같이 기계적 변위를 전기적 양으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측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응답지연 시간이 짧으므로 자동검사, 자동제어에 쓰일 수 있다.
     2. 증폭이 쉽기 때문에 감도가 좋다.
     3. 신호처리는 용이하나, 연산은 곤란하다.
     4. 원격 측정, 원격 조정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7%

69. 텔레스코핑 게이지의 주요 측정 용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03년 05월)
     1. 깊이 측정
     2. 흔들림 측정
     3.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
     4. 마이크로미터 앤빌의 평행도 측정

     정답 : []
     정답률 : 83%

70. 그림과 같은 300㎜의 게이지 블록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에어리 점(airy point) a 의 값은 약 몇 ㎜ 인가?(2016년 05월)

    

     1. 63.39
     2. 66.09
     3. 68.96
     4. 71.58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에어리점(airy point) : 눈금이 중립면에 없는 경우 및 블록게이지와 같은 단도기를 지지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고 처음 평행한 2개의 단면이 굽힘 후에도 평행하게 되는 방법으로 길이의 오차도 작다.

     a = 0.2113 × L = 0.2113 × 300 = 63.39

71. 다음 중 오토콜리메이터로 측정을 할 수 없는 것은?(2005년 05월)
     1. 기준편에 대한 경사각 및 탄성편의 휨에 대한 경사각
     2. 마이크로 미터 측정면의 평행도 및 직각도
     3. 직육면체의 직각도 및 안내면의 직각도
     4. 테이퍼 각도 측정 및 표면 거칠기 측정

     정답 : []
     정답률 : 77%

72. 미터 나사를 삼침법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최적선지름으로 선정된 지름 3.000㎜의 삼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더니 외측거리가 50.000㎜이라고 할 때 나사의 유효지름은 약 몇 ㎜ 인가?(2014년 05월)
     1. 44.785
     2. 44.950
     3. 45.200
     4. 45.500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삼침지름 dm =0.57735P → 3 = 0.57735 × P → P = 3 / 0.57735 = 5.19615

     삼침지름 공식으로 P(피치)를 구한 후

        de = M - 3dm + 0.866025 × P (단, dm : 3칭지름, P : 피치)
             = 50.000 - (3×3) + 0.866025 × 5.19615
             = 50 - 9 + 4.5
             = 45.500

73. 다음 중 3차원 측정기의 정도 평가 시 X(Y)축의 롤링(rolling) 검사에 사용되는 측정기로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전기 수준기
     2. 단색 광원장치
     3. 진원도 측정기
     4. 공기 마이크로 미터

     정답 : []
     정답률 : 55%

74. 원형부분을 측정하여 같은 중심을 공유해서 도형 내측에 접하는 원과 외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경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진원도 평가방법은?(2010년 05월)
     1. 최소자승중심법
     2. 최소영역중심법
     3. 최소외접중심법
     4. 최대내접중심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① 최소 자승중심법(LSC) : 구할 평균원과 실측단면과의 반경의 차를 제곱하여 그 제곱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그런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을 최소자승원이라 하고 그 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 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긁힘,먼지등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② 최소 영역중심법(MZC) : 실측단면에 동일 중심을 갖는 내접원과 외접원을 그려 그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그런 내,외접원의 중심을 구했을 때 이 내,외접원을 최소영역원이라 하고 내외접원의 반경차이로진원도를 정의 한다.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긁힘,먼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시간이 길다.)
③ 최소 외접중심법(MOC) : 실측단면에 외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외접원을 그렸을 때 이 외접원을 최소외접원이라 하고, 이 외접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축에 꼭 끼는 최소의 링 게이지)
④ 최대 내접중심법(MIC) : 실측단면에 내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큰 내접원을그렸을 때 이 내접원을 최대내접원이라 하고 이 내접원의 중심에서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에서 최소반경을 뺀 값으로 진원도를 정의한다.
(축에 유용한 평가법,플러그 게이지,긁힘,먼지등에 영향 받기 쉽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75. 22℃에서 길이가 200.002mm인 기준봉을 25℃에서 측정하면 몇 mm가 되는가? (단, 선팽창계수 α = 11.5× 10-6/℃ 이다.)(2004년 05월)
     1. 200.002
     2. 200.009
     3. 200.011
     4. 200.013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ℓ2-ℓ1 = △ℓ = ℓ1α(T2-T1) ( ℓ1    : 처음길이, ℓ2 = 나중길이, △ℓ = 늘어난길이, T1 : 처음온도, T2 : 나중온도)
     = 200.002 × 11.5 × 10^-6 × ( 25 - 22) = 0.0069

76. 게이지류에 사용되는 IT 기본 공차는?(2015년 05월)
     1. IT5 ~ IT10
     2. IT10 ~ IT15
     3. IT01 ~ IT4
     4. IT11 ~ IT18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IT01 ~ IT4 : 주로 게이지류( 초정밀 가공 부품)
     IT5    ~ IT10    : 주로 끼워맞춤을 하는 부품(절삭 가공 부품)
     IT11 ~ IT18    : 끼워맞춤이 아닌 경우

77. 게이지 블록 등급에서 다른 게이지 블록의 교정용으로 사용되고, 항상 교정인증서와 사용되어야 하는 게이지 블록 등급은?(2010년 05월)
     1. K
     2. 0
     3. 1
     4. 2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① K : AA급 : 참조용 : 표준용 블록 게이지의 점검, 정밀 학술 연구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항상 교정증명서와 함께 사용한다.
② 0 : A급 : 표준용 : 고 정밀 블록 게이지로서, 숙련된 검사원에 의해 관리되는 환경 내에서 사용하며, 고 정밀도 측정 장비의    설정을 위한 기준기 및 낮은 등급 블록 게이지의 교정에 주로 사용된다.
③ 1 : B급 : 검사용 : 검사용 기계부품, 공구, 게이지의 정도 체크, 교정용 기기 등에 사용되며, 플러그 및 스냅 게이지의    정도를 검증하며, 전자 측정 장치를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④ 2 : C급 : 공작용 : 공작용 또는 검사용으로 사용되며 공구의 설치 및 측정기류의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78. 다음 중 공구 현미경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항목만으로 구성된 것은?(2016년 05월)
     1. 길이, 각도, 표면거칠기
     2. 각도, 표면거칠기, 윤곽
     3. 길이, 표면거칠기, 윤곽
     4. 길이, 각도, 윤곽

     정답 : []
     정답률 : 71%

79. 대물렌즈의 집점거리가 500㎜인 오토콜리메이터에서 십자선상의 상의 이동량이 0.3㎜일 때 각도 변화는 약 몇 초(″)인가?(2016년 05월)
     1. 30.82″
     2. 40.55″
     3. 61.88″
     4. 80.58″

     정답 : []
     정답률 : 53%

80. 소형 부품의 길이, 각도 및 나사 등을 측정 할 수 있는 측정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측장기
     2. 스트레인 게이지
     3. 공구 현미경
     4. 마이크로미터

     정답 : []
     정답률 : 81%


정 답 지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05698)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금형설계


1. 고정식 스트리퍼의 형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04년 05월)
     1. 3면 개방형은 소재와 틈새가 커 제품으로 사용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2. 문형 스트리퍼는 재료의 폭 방향 가이드가 있다.
     3. 펀치 가이드 스트리퍼는 담금질한 부시로 펀치를 안내 한다.
     4. 스프링식 가이드는 상하평형으로 균형있게 움직인다.

     정답 : []
     정답률 : 74%

2. 성형품에 구멍이 뚫려 있는 보스가 있거나 가늘고 긴 코어가 있는 성형품의 밀어내기에 적합한 방법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3년 05월)
     1. 원형 이젝터 핀
     2. 슬리브 이젝터핀
     3. 스트리퍼 플레이트
     4. 에어 이젝션

     정답 : []
     정답률 : 86%

3. 다음 사출금형 중 특수금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2015년 05월)
     1. 3단 금형
     2. 분할 금형
     3. 나사 금형
     4. 슬라이드 코어 금형

     정답 : []
     정답률 : 93%

4. 러너레스 금형의 단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04년 05월)
     1. 금형원가가 비싸다.
     2. 숙련된 인력이 필요하다.
     3. 시스템에따라 컬러의 변경이 힘들다.
     4. 게이트 후가공이 불필요하다.

     정답 : []
     정답률 : 70%

5. 금형캐비티 내의 평균압력이 100 kgf/cm2 이고, 캐비티의 투영면적이 314cm2 이라면, 이때 형체력은 얼마인가?(2010년 05월)
     1. 100 ton
     2. 3.14 ton
     3. 31.4 ton
     4. 314 ton

     정답 : []
     정답률 : 87%
     <문제 해설>
-. ※ 형체력    F = P × A × 10^-3(tf) ( P : 금형내 평균 압력, A : 투영면적)
                                = 100×314×10-3 = 31.4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6. 수지의 수축률이 큼으로 수축현상(Sink mark)이 발생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개선방법은?(2003년 05월)
     1. 사출압력을 높인다.
     2. 수지온도를 높인다.
     3. 냉각시간을 줄인다.
     4. 이형제를 바른다.

     정답 : []
     정답률 : 77%

7. 다음 중 사출금형 부품의 사용 재질로써 부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슬라이드용 가이드 : STC3 ~ STC5
     2. 앵귤러 핀 : SACM3 ~ SACM5
     3. 앵귤러 캠 : SM50C ~ SM55C
     4. 슬라이드 홀더 : SM50C ~ SM55C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앵귤러핀은 STC3 사용.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8. 다음 중 열경화성 수지는?(2005년 05월)
     1. 페놀수지
     2. ABS 수지
     3. 폴리아세탈
     4. PMMA 수지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① 열가소성 수지 : 열을 가할 때 마다 녹거나 유연하게 되지만, 냉각되면 다시 딱딱하게 굳어지는 플라스틱
ⓐ 종류 : 아크릴(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나일론, 염화비닐, 불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PA), 초산비닐, 메틸아크릴, 스티롤, 아세탈(Acetal), ABS
② 열경화성 수지 : 열에 의해 한번 굳어지면 열을 가해도 녹거나 유동성이 있는 물질로 되돌아 가지 않는 플라스틱
ⓐ 종류 : 페놀(PE), 멜라민, 실리콘(SI), 요소, 에폭시(EP), 아미노, 폴리에스테르, 프란

9. 다음 중 앵귤러 핀의 각도가 20°일 때 적절한 로킹블록의 각도는 얼마인가?(2017년 05월)
     1. 14°
     2. 16°
     3. 19°
     4. 22°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 로킹 블록의 경사각(β)과 경사핀의 경사각(α)의 관계
    
    β = α + ( 2° ~ 3° )

10. 몰드 베이스의 체결용 Bolt가 허용인장응력 3000 ㎏f/cm2인 연강재인 경우, Bolt가 1000 ㎏f의 하중을 받고 있다면 볼트의 직경은 얼마로 설계해야 하는가? (단, 안전율은 2를 적용 한다.)(2004년 05월)
     1. 3 mm
     2. 9.2 mm
     3. 4.6 mm
     4. 13 mm

     정답 : []
     정답률 : 63%

11. 드로잉 금형에서 주름살을 방지하거나 리스트라이킹시 블랭크홀더가 플랜지를 강하게 눌러 다이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채용하는 것은?(2005년 05월)
     1. 드로비드
     2. 가이드 핀
     3. 드로잉 펀치
     4. 핑거 가이드

     정답 : []
     정답률 : 79%

12. 전단(Blanking)한 제품에 만곡(Dish Deformation)현상이 발생했다. 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맞는 것끼리 짝 지워진 것은?(2004년 05월)
     1. PAD설치, Punch 식입량을 증가,보조 Guide Pin설치
     2. PAD설치, Shear Angle을 준다, 윤활유를 사용
     3. PAD설치, Stripping력을 증가, 이물질을 제거
     4. PAD설치, Guide 판을 정확하게 한다, Press 기계용량을 증가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73%

13. 두께 1.8mm의 연강판을 사용하여 지름 38㎜의 구멍을 피어싱 가공할 경우 소요되는 전단력(kgf)은 약 얼마인가? (단, 전단하중은 40kgf/mm2 이다.)(2016년 05월)
     1. 4798.5
     2. 8595.4
     3. 12893.6
     4. 17691.2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 P = Kㆍℓㆍtㆍτ (K : 보정계수,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Dㆍπ)ㆍtㆍτ = 38ㆍ3.141592ㆍ1.8ㆍ40 = 8595.395712

14. 다음 보기에 제시하는 금형설계의 플로차트는 어느 제품의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나타내는가?(2003년 05월)

    

     1. 드로잉
     2. 피어싱
     3. 블랭킹
     4. 포밍

     정답 : []
     정답률 : 78%

15. 프레스의 하사점 위 몇 mm의 위치에서 호칭압력의 발생을 안전하게 행할 수 있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6월)
     1. 압력능력
     2. 일능력
     3. 토크능력
     4. S.P.M

     정답 : []
     정답률 : 70%

16. 두께가 3㎜인 스테인리스 강판에서 전개길이 300㎜로 이루어진 제품을 블랭킹 하는데 필요한 힘은 몇 ton 인가? (단, 전단강도는 50kgf/mm2 이다.)(2014년 05월)
     1. 42
     2. 43
     3. 44
     4. 45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 전단력    P = ℓ × t × τ( ℓ : 전개길이, t : 소재의 두께, τ : 전단하중)
                     P = 300 × 3 × 50 = 45000(45ton)

17. 프레스 램을 하사점까지 내린 상태에서 프레스 램 밑면과 볼스터 윗면 사이의 직선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2010년 05월)
     1. 슬라이드 조절량
     2. 하중 능력
     3. 스트로크 수
     4. 다이하이트

     정답 : []
     정답률 : 88%

18. 다음의 도면은 프로그레시브금형에서 편침한 구멍 등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이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명칭은??(2013년 06월)

    

     1. 정밀피어싱장치
     2. 미스피드검출장치
     3. 자동이송전자장치
     4. 자동피어싱장치

     정답 : []
     정답률 : 74%

19. 직경 12㎜ 의 피어싱 펀치로 두께 2㎜ 소재를 가공하고자 할 때 파일럿 핀의 직경은 약 몇 ㎜ 인가?(2014년 05월)
     1. 10.92
     2. 11.92
     3. 12.92
     4. 13.92

     정답 : []
     정답률 : 83%

20. 다음 그림과 같이 드로잉(drawing)한 원통형 용기의 표면적(A)으로 가장 가까운 값은?(2004년 05월)

    

     1. A = 22320 mm2
     2. A = 31420 mm2
     3. A = 46320 mm2
     4. A = 56120 mm2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 원통용기의 단면적    A = π.d.2 / 4 + π.d.h
     A = {(3.141592 ×100×100)/4} + (3.141592×100×75) ≒ 7853.9 + 23561.2 ≒ 31415.8

2과목 : 기계제작법


21. 비교적 대형 공작물의 평면가공에 사용하는 것은?(2008년 05월)
     1. 플레이너
     2. 셰이퍼
     3. 슬로터
     4. 브로치

     정답 : []
     정답률 : 86%

22. 대형공작물이나 용접지그에 적당한 구조로 분할잠금핀을 이용하여 가공물의 등분 및 회전이 가능한 지그는?(2003년 05월)
     1. 채널지그
     2. 트러니언지그
     3. 리프지그
     4. 멀티스테이션지그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 지그의 종류
① 채널지그 : 공작물의 두면에 지그를 설치하여 제 2표면을 단순히 가공할 때 사용된다. 박스지그의 일종으로 정밀한 가공보다는 생산속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가장 단순하고도 기본적인 형태로 사용되며 지그본체는 고정식과 조립식으로 제작이 가능.
② 트러니언지그 : 일종의 샌드위치 또는 상자의 지그를 트러니언에 올려 공작물을 분할(각도)하여가며 가공하게 되는 지그로서, 주로 대형의 공작물이나 불규칙한 형상에 사용되며 로터리 지그라고도 말한다.
③ 리프지그 : 힌지핀(hinge pin)으로 연결된 리프를 열고 공작물을 장.탈착하는 지그로서, 불규칙하고 복잡한 형태의 소형공작물에 적합하며, 장.탈착이 용이하고 한번장착으로 여러면의 가공이 가능하다. 박스형 지그와 유사한 소형상자 지그라고 말할수 있으며 박스지그와 주된 차이점은 지그의 크기와 공작물의 위치결정이다.
④ 멀티스테이션지그 : 특수하게 설계된 드릴링머신의 회전테이블 위에 여러 종류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지그가 설치되어 연속적으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징은 공장물을 지그에 위치 결정시키는 방법으로 한 개의 공작물은 드릴링, 다른 공작물은 리밍, 또는 다른 공작물은 카운터 보링되며 최종적으로는 완성 가공된 공작물을 내리고 새로운 공작물을 창작할 수 있는 것이다.

23. 다음 방전가공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가공 부분에 변질층이 남지 않는다.
     2. 가공물의 경도와 관계없이 가공이 가능하다.
     3. 전극과 공작물에 기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
     4. 복잡한 형상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8%

24. 프레스 금형에서 정밀한 펀치나 다이 제작에 가장 적합한 장비는?(2008년 05월)
     1.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
     2. 머시닝 센터
     3. 플레이너
     4. CNC 선반

     정답 : []
     정답률 : 94%

25. 기어에서 모듈과 같은 크기는?(2004년 05월)
     1. 원주 피치
     2. 이 높이
     3. 이끝 높이
     4. 직경피치

     정답 : []
     정답률 : 74%

26. 선반에서 가늘고 긴 공작물을 가공할 때에 발생하는 미세한 떨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속 장치는?(2008년 05월)
     1. 면판
     2. 돌림판
     3. 바이트
     4. 방진구

     정답 : []
     정답률 : 93%

27. 드릴의 치즐 포인트는 드릴의 절삭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이 길이는 짧을수록 절삭 저항이 감소하지만 너무 짧으면 추력 때문에 찌그러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강도를 유지하며 절삭성을 증가하기 위해서 날 끝의 일부를 연마해 주는 작업은?(2003년 05월)
     1. 드릴링(drilling)
     2. 씨닝(thinning)
     3. 탭핑(tapping)
     4. 리이밍(reaming)

     정답 : []
     정답률 : 91%

28. 열간 가공과 냉간 가공의 한계를 결정짓는 것은?(2013년 06월)
     1. 풀림온도
     2. 변태온도
     3. 재결정온도
     4. 결정입자의 성장온도

     정답 : []
     정답률 : 78%

29. 유동형 칩이 발생하는 일반적인 조건이 아닌 것은?(2014년 05월)
     1. 연성의 재료(연강, 구리, 알루미늄 등)를 가공할 때
     2. 경사각이 클 때
     3. 절삭속도가 빠를 때
     4. 절삭깊이가 깊을 때

     정답 : []
     정답률 : 90%

30. CNC공작기계에 사용되는 서보기구의 위치검출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2013년 06월)
     1. 복합회로 제어방식
     2. 진공회로 제어방식
     3. 폐쇄회로 제어방식
     4. 개방회로 제어방식

     정답 : []
     정답률 : 68%

31. CNC프로그램의 중기능에서 연속 유효 G코드(modal G c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4년 05월)
     1. 지정된 블록에서만 유효한 기능이다.
     2. 동일 그룹의 다른 G코드가 지령될 때까지 유효한 기능이다.
     3. 기계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기능이다.
     4. 반복하는 사이클 기능이다.

     정답 : []
     정답률 : 91%

32. 와이어 컷 방전가공기의 가공속도를 구하는 식은?(2013년 06월)
     1.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2.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3.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4. 가공속도 = 와이어 이송속도 ÷ 공작물 두께

     정답 : []
     정답률 : 82%

33. 가공의 영향으로 생긴 스트레인이나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미세한 표준조직으로 기계적 성질을 향상 시키는 열처리법은?(2017년 05월)
     1. 소프트닝
     2. 보로나이징
     3. 하드 페이싱
     4. 노멀라이징

     정답 : []
     정답률 : 71%

34. 외경 70㎜, 길이 220㎜의 연강봉을 초경바이트로 절삭속도 80m/min, 이송량 0.2m/rev로 황삭 절삭을 1회 할 때 가공시간은 약 몇 분인가?(2008년 05월)
     1. 1분
     2. 2분
     3. 3분
     4. 4분

     정답 : []
     정답률 : 88%
     <문제 해설>
※ 절삭시간 T(min) = L/nƒ = πDL/1000Vƒ ∵ n(회전수) = 1000V/πD
(L : 깍고자하는 공작물의 길이, n : 공작물의 회전수,    D : 공작물의 지름, ƒ : 공작물의 이송속도)

     t = (3.141592 × 70 × 220) / (1000×80×0.2) ≒ 48380.1 / 16000 ≒ 3.023

35. 전해연마 가공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2016년 05월)
     1. 가공면에 방향성이 없다.
     2.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연마가 가능하다.
     3. 가공 변질층이 있고 평활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4. 연질의 알루미늄, 구리 등도 쉽게 광택면을 얻을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4%

36. 주물을 제작할 때 생사형 주형의 경우, 주물 중량 500kg, 주물의 두께에 따른 계수를 2.2라 할 때 주입시간은 약 몇 초인가?(2017년 05월)
     1. 33.8
     2. 49.2
     3. 52.8
     4. 56.4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 주입시간 D = S√W (S : 주물계수, W : 주물 중량)
                        D = 2.2 √ 500 = 49.1934

37. 고속가공을 금형가공에 이용할 때 장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4년 05월)
     1. 가공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2. 디버링이나 피니싱 시간을 감소시킨다.
     3. 열전달을 향상시켜 표면경도를 높일 수 있다.
     4. 작은 직경의 공구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77%

38. 절삭온도를 측정하는 방법들을 나열한 것 중 틀린 것은?(2005년 05월)
     1. 칩의 색에 의한 방법
     2. 칩의 길이에 의한 방법
     3. 칼로리메터에 의한 방법
     4. 열전대에 의한 방법

     정답 : []
     정답률 : 79%

39. 다음 중 탭(TAP)이 부러지는 원인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2015년 05월)
     1. 드릴 구멍이 일정하지 않을 때
     2. 소재보다 경도가 높을 때
     3. 핸들에 과도한 힘을 주었을 때
     4. 탭이 구멍 밑바닥에 부딪쳤을 때

     정답 : []
     정답률 : 88%

40. 알루미늄 합금과 마그네슘 합금 등의 주조에 주로 사용하나, 금형의 선택 조건이 까다롭고 비싸므로 대량 생산에 주로 이용되는 주조법은?(2016년 05월)
     1. 원심 주조법
     2. 칠드 주조법
     3. 다이캐스팅법
     4. 셀 몰드 주조법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① 원심 주조법 : 원통의 주형을 300~3000rpm 으로 회전시키면서 용융금속을 주입하면 원심력에 의해 용융금속은 주형의 내면에 압착응고하게 되고, 이와 같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치밀하고 결함이 없는 주물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
② 칠드 주조법 : 사형과 열전도율이 큰 금형으로 주형을 완성하여 주조하는 것으로 특별한 기계적 성질을 가진 주철주물을 얻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금형에 의하여 급랭되는 표면부분은 탄소가 흑연으로 석출하지 못하고 탄화철이 되면서 백선조직의 백주철이 된다. 표면은 경하고 내부는 회주철의 연질조직이 된다.
③ 다이캐스팅법 : 정밀한 금형에 용융금속을 고압, 고속으로 주입하여 정밀하고 표면이 깨끗한 주물을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얻는 주조 방법이다. 주물재료는, Al 합금, Zn합금, Cu,합금, Mg 합금과 같은 저융점 함금 등이며, 자동차 부품, 전기기기, 통신기기용품, 일용품 등 소형 제품의 대량 생산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④ 셀 몰드 주조법 : 규소 모래와 열경화성의 합성수지를 배합한 분말을 가열된 금형에 뿌려 주형을 만들고 주형을 신속히 다량 생산할 수 있다.

3과목 : 금속재료학


41. 다음 중 불변강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5년 05월)
     1. 인바
     2. 코엘린바
     3. 쾌스테르강
     4. 엘린바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 불변강(고 Ni 강)의 종류 : 인바, 슈퍼인바, 엘린바, 코엘린바, 퍼멀로이, 플래티나이트

42. 다음 중 순철의 자기변태온도는 약 몇 도 인가?(2010년 05월)
     1. 210℃
     2. 768℃
     3. 910℃
     4. 1410℃

     정답 : []
     정답률 : 89%
     <문제 해설>
① 210℃ : 강의 자기 변태점    A0
② 768℃ : 순철의 자기 변태점 A2
③ 910℃ : 순철의 동소 변태점 A3
④ 1410℃ : 순철의 동소 변태점 A4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43. 커핑시험(Cupping test)이라고 부르며, 목적은 재료의 연성을 알기위한 것으로서 구리판,알루미늄판 및 그밖의 연성 판재를 가압 형성하여 변형 능력을 시험하는 것은?(2004년 05월)
     1. 비틀림시험(Distortion test)
     2. 압축시험(Compression test)
     3. 굽힘시험(Bending test)
     4. 에릭센시험(Erichsen test)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금속박판 재료의 연성을 평가 또는 비교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시험
두께 0.1 ∼ 2.0 mm 의 금속박재료를 상, 하 다이 사이에 삽입시키고, 시험편에 펀치를 넣어 시험편 뒷면에 1개 이상의 균열이 생길 때까지 가압한 후 펀치 앞 끝이 하형 다이의 시험편에 접하는 면에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소성가공성을 평가하는시험.

44. 주철의 성장원인으로서 틀린 것은?(2015년 05월)
     1. 가열 냉각 반복에 의한 팽창
     2. 순철의 흑연화 억제에 의한 팽창
     3. 흡수되어 있는 가스에 의한 팽창
     4. 고용원소인 Si의 산화에 의한 팽창

     정답 : []
     정답률 : 65%

4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부식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현상은?(2016년 05월)
     1. 공식 발생을 일으키는 주요 이온은 Cl-, F-, Br-이다.
     2. 고온(1000~1150℃)에서 가열 후 급냉하면 입계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3. 공식 발생 대책은 재료 중에 C를 많게 하거나 Ni, Cr, Mo, I, N 등을 적게 한다.
     4. 입계부식의 방지대책은 C 와의 친화력이 Cr보다 큰 Ti, Nb, Ta을 첨가해서 안정화 시킨다.

     정답 : []
     정답률 : 64%

46. 아연(Zn)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6년 05월)
     1. 융점은 약 420℃ 이다.
     2. 고온의 증기압이 높다.
     3. 상온에서 면심입방격자이다.
     4. 일반적으로 25℃에서 밀도는 약 7.13g/cm3 이다.

     정답 : []
     정답률 : 74%

47. 다음 중 고용체(Solid Solution)는 어느 것인가?(2005년 05월)
     1. 오스테나이트
     2. 펄라이트
     3. 시멘타이트
     4. 레데뷰라이트

     정답 : []
     정답률 : 77%

48. 마텐자이트(martensite)를 400℃에서 뜨임(tempering)하면 어떻게 변하는가?(2014년 05월)
     1. 펄라이트가 된다.
     2. 트루스타이트가 된다.
     3. 솔바이트가 된다.
     4. 오스테나이트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82%

49. 다음 중 열가소성 수지가 아닌 것은?(2004년 05월)
     1. ABS수지
     2. 페놀수지
     3. 폴리에틸렌
     4. 염화비닐

     정답 : []
     정답률 : 82%

50. 노치부의 단면적 A(cm2)인 시편을 절단하는데 흡수된 에너지를 E(kgf-m)라 할 때 샤르피 충격값은 어떻게 표시되는가?(2014년 05월)
     1. E/A
     2. E∙A
     3. E
     4. A/E

     정답 : []
     정답률 : 88%

51. 다음 금속 중에서 용융점이 가장 높은 것은?(2013년 06월)
     1. V
     2. W
     3. Co
     4. Mo

     정답 : []
     정답률 : 74%
     <문제 해설>
※ 각 금속의 용융점
① V : 1725℃            ② W : 3410℃         ③ Co : 1495℃            ④ Mo : 2025℃

52. Mg의 용융점은 약 몇 도 인가?(2015년 05월)
     1. 700℃
     2. 650℃
     3. 600℃
     4. 550℃

     정답 : []
     정답률 : 76%

53. 다음 금속 중에서 용융점이 가장 높은 것은?(2008년 05월)
     1. V
     2. W
     3. Co
     4. Mo

     정답 : []
     정답률 : 90%
     <문제 해설>
① V : 1725℃    ② W : 3410℃    ③ Co : 1495℃    ④ Mo : 2025℃

54. 표준형 고속도 공구강의 주성분을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2015년 05월)
     1. 18% W, 4% Cr, 1% V, 0.8~0.9% C
     2. 18% C, 4% Mo, 1% V, 0.8~0.9% Cu
     3. 18% W, 4% Cr, 1% Ni, 0.8~0.9% Al
     4. 18% C, 4% Mo, 1% Cr, 0.8~0.9% Mg

     정답 : []
     정답률 : 84%

55. 다음 중 주철을 접종처리하는 가장 큰 이유는?(2016년 05월)
     1. 기지조직을 조대화 하기 위해서
     2. 흑연형상의 개량을 방지하기 위해서
     3. 주철에서 chill화를 촉진하기 위해서
     4. 결정의 핵생성을 촉진하고 조직 및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정답 : []
     정답률 : 66%

56. Ni 과 그 합금의 현미경 조직시험에서 부식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2005년 05월)
     1. 왕수용액
     2. 피크르산 알콜용액
     3. 질산 및 초산용액
     4. 염화 제이철용액

     정답 : []
     정답률 : 78%

57. 판두께 1.25㎜, 외경 25㎜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소재를 약 50만개 이상 블랭킹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금형재는?(2005년 05월)
     1. STC3
     2. STS3
     3. SM45C
     4. 초경합금

     정답 : []
     정답률 : 80%

58. 순철의 자기변태와 동소변태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2014년 05월)
     1. 동소변태란 결정격자가 외적 조건에 의하여 변하는 변태를 말한다.
     2. 자기변태도 결정격자가 변하는 변태이다.
     3. 동소변태점은 A3점과 A4 점이 있다.
     4. 자기변태점은 약 768℃ 정도이며 일면 큐리(curie)점이라 한다.

     정답 : []
     정답률 : 84%
     <문제 해설>
※ 자기변태(퀴리점) : A2 : 원자 배열은 변화가 없고 자성만 변하는 것 (Fe, Ni, Co)
※ 동소변태 : A3, A4 : 고체 내에서 원자 배열이 변하는 것 (Fe, Co, Ti, Sn)

59. 다음은 구상 흑연주철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2003년 05월)
     1. 용선에 마그네슘(Mg)을 첨가함으로써 구상흑연 조직을 얻는다.
     2. 세륨(Ce)을 첨가하여도 구상흑연 조직을 얻는다.
     3. 구상흑연 주철은 흑연에 의한 노치(notch)작용이 적기 때문에 강인하다.
     4. 구상흑연 주철은 편상흑연 주철보다 연성이 낮다.

     정답 : []
     정답률 : 72%

60. 주철의 성장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C 및 Si의 양을 적게 한다.
     2. 구상흑연을 편성화시킨다.
     3. 흑연의 미세화로 조직을 치밀하게 한다.
     4. Cr, Mo, V 등을 첨가하여 펄라이트 중의 Fe3C 분해를 막는다.

     정답 : []
     정답률 : 54%

61. 동일 측정의 조건에서 항상 같은 크기와 같은 부호를 가지는 오차는?(2004년 05월)
     1. 간접오차
     2. 우연오차
     3. 계통오차
     4. 시차

     정답 : []
     정답률 : 83%

62. 테일러원리에 맞게 구멍을 검사하기 위한 정지측게이지로 알맞은 것은?(2003년 05월)
     1. 봉게이지
     2. 링게이지
     3. 플러그게이지
     4. 스냅게이지

     정답 : []
     정답률 : 65%

63. 수준기의 1눈금을 2mm로 하고 감도를 1'으로 하고자 할 때 기포관의 곡률반경은 약 얼마인가?(2017년 05월)
     1. 3.4m
     2. 6.9m
     3. 42m
     4. 106m

     정답 : []
     정답률 : 58%

64. 반지름법에서 중심을 구하는 방법 중 구하려는 평균원과 실측 단면과의 반지름의 차를 제곱하여 총합이 최소가 되는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의 중심에서 실측 단면까지의 최대 반지름과 최소반지름의 차로서 진원도를 정의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2004년 05월)
     1. 최소 자승중심법(LSC)
     2. 최소 영역중심법(MZC)
     3. 최소 외접중심법(MOC)
     4. 최대 내접중심법(MIC)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① 최소 자승중심법(LSC) : 구할 평균원과 실측단면과의 반경의 차를 제곱하여 그 제곱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그런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을 최소자승원이라 하고 그 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 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긁힘,먼지등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② 최소 영역중심법(MZC) : 실측단면에 동일 중심을 갖는 내접원과 외접원을 그려 그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그런 내,외접원의 중심을 구했을 때 이 내,외접원을 최소영역원이라 하고 내외접원의 반경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긁힘,먼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시간이 길다.)
③ 최소 외접중심법(MOC) : 실측단면에 외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외접원을 그렸을 때 이 외접원을 최소외접원이라 하고, 이 외접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축에 꼭 끼는 최소의 링 게이지)
④ 최대 내접중심법(MIC) : 실측단면에 내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큰 내접원을그렸을 때 이 내접원을 최대내접원이라 하고 이 내접원의 중심에서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에서 최소반경을 뺀 값으로 진원도를 정의한다.
(축에 유용한 평가법,플러그 게이지,긁힘,먼지등에 영향 받기 쉽다.)

65. 3차원 측정기를 이용하여 부품의 평면도 측정시 최소 측정점 수는?(2003년 05월)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76%

66. 그림과 같은 광 지렛대에서 x = 1㎛의 변위를 Y = 0.1㎜로 확대하려면 광원 “A”와 반사경과의 거리 L은 얼마가 되는가? (단, ℓ= 5㎜이다.)(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015년 05월)

    

     1. 125㎜
     2. 375㎜
     3. 250㎜
     4. 500㎜

     정답 : []
     정답률 : 35%
     <문제 해설>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엇각으로 각도세타를 자리를 알아내고 tan를 이용하여    l과 x로 세타 값을 구해서
tan 배각에 넣으면 L은 250 3번이 나오는데 어떠한 이유로 2번 이 나오는 지 해설 부탁드립니다

[추가 오류 신고]
삼각함수 공식 과 배각 공식을 이용하여 답은 3번 250mm입니다.

67. 측정 관련 용어의 정의가 틀린 것은?(2017년 05월)
     1. 정밀도 - 산포가 작은 정도를 말한다.
     2. 정확도 - 치우침이 작은 정도를 말한다.
     3. 오차 - 측정치에서 참값을 뺀 값을 말한다.
     4. 되돌림 오차 - 측정치에서 시료평균을 뺀 값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되돌림오차(후퇴오차) : 주위의 상황이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일한 측정량에 대하여 지침의 측정량이 증가하는 상태에서 읽음값과 반대로 감소하는 상태에서 읽음값의 차

68. 전기 마이크로 미터와 같이 기계적 변위를 전기적 양으로 변환하여 측정하는 측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0년 05월)
     1. 응답지연 시간이 짧으므로 자동검사, 자동제어에 쓰일 수 있다.
     2. 증폭이 쉽기 때문에 감도가 좋다.
     3. 신호처리는 용이하나, 연산은 곤란하다.
     4. 원격 측정, 원격 조정이 가능하다

     정답 : []
     정답률 : 87%

69. 텔레스코핑 게이지의 주요 측정 용도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2003년 05월)
     1. 깊이 측정
     2. 흔들림 측정
     3. 구멍 지름이나 홈의 나비 측정
     4. 마이크로미터 앤빌의 평행도 측정

     정답 : []
     정답률 : 83%

70. 그림과 같은 300㎜의 게이지 블록을 사용하여 측정할 경우 에어리 점(airy point) a 의 값은 약 몇 ㎜ 인가?(2016년 05월)

    

     1. 63.39
     2. 66.09
     3. 68.96
     4. 71.58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 에어리점(airy point) : 눈금이 중립면에 없는 경우 및 블록게이지와 같은 단도기를 지지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고 처음 평행한 2개의 단면이 굽힘 후에도 평행하게 되는 방법으로 길이의 오차도 작다.

     a = 0.2113 × L = 0.2113 × 300 = 63.39

71. 다음 중 오토콜리메이터로 측정을 할 수 없는 것은?(2005년 05월)
     1. 기준편에 대한 경사각 및 탄성편의 휨에 대한 경사각
     2. 마이크로 미터 측정면의 평행도 및 직각도
     3. 직육면체의 직각도 및 안내면의 직각도
     4. 테이퍼 각도 측정 및 표면 거칠기 측정

     정답 : []
     정답률 : 77%

72. 미터 나사를 삼침법으로 측정하고자 한다. 최적선지름으로 선정된 지름 3.000㎜의 삼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더니 외측거리가 50.000㎜이라고 할 때 나사의 유효지름은 약 몇 ㎜ 인가?(2014년 05월)
     1. 44.785
     2. 44.950
     3. 45.200
     4. 45.500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 삼침지름 dm =0.57735P → 3 = 0.57735 × P → P = 3 / 0.57735 = 5.19615

     삼침지름 공식으로 P(피치)를 구한 후

        de = M - 3dm + 0.866025 × P (단, dm : 3칭지름, P : 피치)
             = 50.000 - (3×3) + 0.866025 × 5.19615
             = 50 - 9 + 4.5
             = 45.500

73. 다음 중 3차원 측정기의 정도 평가 시 X(Y)축의 롤링(rolling) 검사에 사용되는 측정기로 적합한 것은?(2017년 05월)
     1. 전기 수준기
     2. 단색 광원장치
     3. 진원도 측정기
     4. 공기 마이크로 미터

     정답 : []
     정답률 : 55%

74. 원형부분을 측정하여 같은 중심을 공유해서 도형 내측에 접하는 원과 외측에 접하는 원과의 반경차가 최소가 되는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진원도 평가방법은?(2010년 05월)
     1. 최소자승중심법
     2. 최소영역중심법
     3. 최소외접중심법
     4. 최대내접중심법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① 최소 자승중심법(LSC) : 구할 평균원과 실측단면과의 반경의 차를 제곱하여 그 제곱의 총합이 최소가 되는 그런 평균원을 구했을 때 그 평균원을 최소자승원이라 하고 그 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 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긁힘,먼지등에 영향을 받지 않음)
② 최소 영역중심법(MZC) : 실측단면에 동일 중심을 갖는 내접원과 외접원을 그려 그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경의 차가 최소가 되는 그런 내,외접원의 중심을 구했을 때 이 내,외접원을 최소영역원이라 하고 내외접원의 반경차이로진원도를 정의 한다.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긁힘,먼지 등에 영향을 받는다. 평가시간이 길다.)
③ 최소 외접중심법(MOC) : 실측단면에 외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작은 외접원을 그렸을 때 이 외접원을 최소외접원이라 하고, 이 외접원의 중심에서 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과의 차이로 진원도를 정의 한다. (축에 꼭 끼는 최소의 링 게이지)
④ 최대 내접중심법(MIC) : 실측단면에 내접원을 끼워 넣어 이 원의 반경이 가장 큰 내접원을그렸을 때 이 내접원을 최대내접원이라 하고 이 내접원의 중심에서실측단면까지의 최대반경에서 최소반경을 뺀 값으로 진원도를 정의한다.
(축에 유용한 평가법,플러그 게이지,긁힘,먼지등에 영향 받기 쉽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75. 22℃에서 길이가 200.002mm인 기준봉을 25℃에서 측정하면 몇 mm가 되는가? (단, 선팽창계수 α = 11.5× 10-6/℃ 이다.)(2004년 05월)
     1. 200.002
     2. 200.009
     3. 200.011
     4. 200.013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 ℓ2-ℓ1 = △ℓ = ℓ1α(T2-T1) ( ℓ1    : 처음길이, ℓ2 = 나중길이, △ℓ = 늘어난길이, T1 : 처음온도, T2 : 나중온도)
     = 200.002 × 11.5 × 10^-6 × ( 25 - 22) = 0.0069

76. 게이지류에 사용되는 IT 기본 공차는?(2015년 05월)
     1. IT5 ~ IT10
     2. IT10 ~ IT15
     3. IT01 ~ IT4
     4. IT11 ~ IT18

     정답 :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 IT01 ~ IT4 : 주로 게이지류( 초정밀 가공 부품)
     IT5    ~ IT10    : 주로 끼워맞춤을 하는 부품(절삭 가공 부품)
     IT11 ~ IT18    : 끼워맞춤이 아닌 경우

77. 게이지 블록 등급에서 다른 게이지 블록의 교정용으로 사용되고, 항상 교정인증서와 사용되어야 하는 게이지 블록 등급은?(2010년 05월)
     1. K
     2. 0
     3. 1
     4. 2

     정답 : []
     정답률 : 85%
     <문제 해설>
① K : AA급 : 참조용 : 표준용 블록 게이지의 점검, 정밀 학술 연구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항상 교정증명서와 함께 사용한다.
② 0 : A급 : 표준용 : 고 정밀 블록 게이지로서, 숙련된 검사원에 의해 관리되는 환경 내에서 사용하며, 고 정밀도 측정 장비의    설정을 위한 기준기 및 낮은 등급 블록 게이지의 교정에 주로 사용된다.
③ 1 : B급 : 검사용 : 검사용 기계부품, 공구, 게이지의 정도 체크, 교정용 기기 등에 사용되며, 플러그 및 스냅 게이지의    정도를 검증하며, 전자 측정 장치를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④ 2 : C급 : 공작용 : 공작용 또는 검사용으로 사용되며 공구의 설치 및 측정기류의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이번엔 제대로 공부함]

78. 다음 중 공구 현미경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항목만으로 구성된 것은?(2016년 05월)
     1. 길이, 각도, 표면거칠기
     2. 각도, 표면거칠기, 윤곽
     3. 길이, 표면거칠기, 윤곽
     4. 길이, 각도, 윤곽

     정답 : []
     정답률 : 71%

79. 대물렌즈의 집점거리가 500㎜인 오토콜리메이터에서 십자선상의 상의 이동량이 0.3㎜일 때 각도 변화는 약 몇 초(″)인가?(2016년 05월)
     1. 30.82″
     2. 40.55″
     3. 61.88″
     4. 80.58″

     정답 : []
     정답률 : 53%

80. 소형 부품의 길이, 각도 및 나사 등을 측정 할 수 있는 측정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5년 05월)
     1. 측장기
     2. 스트레인 게이지
     3. 공구 현미경
     4. 마이크로미터

     정답 : []
     정답률 : 81%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05698)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44 워드프로세서 3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11월1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43 건축설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42 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1월22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41 자동차정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8월2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40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9 화학분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8 경비지도사 2차(경비업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1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7 전산회계운용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6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5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항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4 수질환경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3 FAT 2급(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2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소방학개론(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4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초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8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30 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4월02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29 인터넷보안전문가 2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10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2
6928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의료관계법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906457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27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26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3월0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 사출(프레스)금형설계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0569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9 Next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