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34647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진로상담


1. 홀랜드(J. Holland) 직업성격유형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기업적 유형(E)은 자료를 체계적으로 잘 처리하고 기록을 정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2. 진로선택에 있어서 성격적 특성을 중요시하며, 발달과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3. 개인의 성격특징과 직무환경 특성간 일치성(congruence)이 높을 때 직업만족, 직업성취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4. 실재적이면서 탐구적인 성격유형(RI)은 사회적이면서 관습적인 성격유형(SC)보다 일관성(consistency)이 높다.
     5. 변별성(differentiation)이 낮은 사람은 진로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2. 윌리엄슨(E. Williamson)의 특성-요인 진로상담이론에서 진로문제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내용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진로무선택
     2. 불확실한 선택
     3. 현명하지 못한 선택
     4. 성격과 가치관 간의 모순
     5. 흥미와 적성 간의 모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하렌(V. Harren)이 설명한 직관적 유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4. 수퍼(D. Super)의 진로발달 아치웨이 모형에서 자기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0월)
     1. 가족
     2. 문화
     3. 학교
     4. 또래집단
     5. 노동시장

     정답 : []
     정답률 : 24%

5. 고용노동부 워크넷(www.work.go.kr)에서 제공하는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를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ㄹ, ㅁ
     3.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25%

6. 청소년 진로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직업훈련 지도 역량
     2. 자기성찰 및 자기계발 역량
     3. 진로관련 이론에 대한 이해
     4. 개인차 및 다양성에 대한 이해
     5. 진로 프로그램 실시 및 개발 역량

     정답 : []
     정답률 : 36%

7.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무지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진로전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슬로스버그(N. Schlossberg)는 전환의 유형으로 예측된 전환, 예측하지 못한 전환, 만성적인 전환, 일어나지 않은 전환으로 나누었다.
     2. 윌리암스(D. Williams)는 자발적 전환과 비자발적인 전환으로 나누었다.
     3. 홉슨과 아담스(B. Hopson & J. Adams)는 전환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경제적 안정성, 정서적 안정성, 건강, 이전의 전환기술, 지지적 업무환경, 전환에 대한 지지를 제시하였다.
     4. 슬로스버그, 워터스와 굿맨(N. Schlossberg, E. Waters & J. Goodman)은 전환의 억제요인으로 경제적 불안정, 정서적 불안정, 건강, 적대적 업무환경, 전환관리의 부족을 제시하였다.
     5. 굿맨, 슬로스버그와 앤더슨(J. Goodman, N. Schlossberg & M. Anderson)은 진로전환이 마비-최소화-회의감-놓아주기-시험하기-의미찾기-내면화의 7단계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로(A. Roe)의 욕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직업은 인간의 욕구 충족과 관련된다.
     2.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3. 정서집중형 부모는 과보호나 과요구의 형태를 보인다.
     4. 회피형 부모는 자식을 수용하지만, 밀착되어 있지는 않다.
     5. 부모와 따뜻한 관계에서 성장한 사람은 인간지향적인 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5%

10. 장애인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내담자의 장애수용에 대한 상담은 다루지 않는다.
     2. 진로 및 직업 선택에서 고용상의 차별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3. 진로 탐색에서 장애유형에 따른 제한점이 있는지를 고려하여 상담한다.
     4. 내담자의 특성에 따라 찾아가는 상담도 할 수 있다.
     5. 진로 및 직업 상담을 위한 장애유형과 수준에 따른 인프라 구축이 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보딘(E. Bordin)이 제시한 내담자의 문제영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ㄹ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보딘 : 정신분석적 직업상담
의존성, 정보의 부족, 자아갈등, 선택불안, 문제없음 5가지가 내담자의 문제영역
[해설작성자 : 기수]

12. 다음 사례에 제시된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
     2. 자기이해를 위한 탐색
     3. 선택된 진로과정 점검
     4. 진로관련 심리검사 실시
     5. 진로관련 의사결정 연습

     정답 : []
     정답률 : 34%

13. 진로상담의 최근 동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사회학습진로이론은 진로개발과정에서 우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사회인지진로이론은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맥락을 중요시하는 관점을 수용하고 있다.
     3. 구성주의진로이론은 긴즈버그(E. Ginzberg)의 아이디어를 현대적 시각으로 통합하고 있다.
     4. 인지정보처리이론은 의사소통, 분석, 종합, 평가, 실행의 5단계로 진로의사결정을 설명한다.
     5. 구성주의진로이론에서는 내담자의 진로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진로유형면접을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구성주의진로이론은 수퍼(Super)의 아이디어를 현대적 시각으로 통합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사회학습진로이론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한 이론이다. 크롬볼츠의 이론이다. / 호기심, 인내심, 융통성, 낙관성, 위험감수 = 우연을 활용하라
2. 사회인지진로이론 역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했다. SCCT는 여성의 진로발달 선택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 진로장벽, 근접맥락, 배경맥락
3. 구성주의진로이론은 수퍼의 초기 진로발달 이론에서 출발함.
[해설작성자 : 기수]

14.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발달이론에서 제안한 진로발달단계 순서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ㄱ - ㄴ - ㄹ - ㄷ – ㅁ
     2. ㄱ - ㄹ - ㄷ - ㄴ – ㅁ
     3. ㄴ - ㄱ - ㄹ - ㄷ - ㅁ
     4. ㄴ - ㄷ - ㄱ - ㄹ – ㅁ
     5. ㄴ - ㄹ - ㄱ - ㄷ - ㅁ

     정답 : []
     정답률 : 24%

15. 진로상담에서 활용 가능한 검사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10월)

    

     1. 적성진단검사
     2. 직업선호도검사
     3. GATB 직업적성검사
     4. 영업직무 기본역량검사
     5. 직업적성검사

     정답 : []
     정답률 : 31%

16. 크럼볼츠(J. Krumboltz)의 우연학습이론(happenstance learning theory)을 토대로 한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진로결정과정에서 개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강조한다.
     2.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도 중요하지만 예기치 않은 사건이나 문제발생을 대비하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
     3. 내담자의 호기심(curiosity), 인내심(persistence), 유연성(flexibility), 낙관성(optimism), 위험감수(risk-taking) 등의 기술을 촉진시킨다.
     4. 미래는 불확실하므로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특성을 연결하는 전통적인 진로상담을 중시한다.
     5. 상담의 성공여부는 내담자가 상담실 밖에서 다양한 경험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성장하는 가에 좌우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진로상담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다위스(R. Dawis)와 롭퀴스트(L.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서 성격은 성격양식과 성격구조로 설명된다.
     2. 파슨스(F. Parsons)의 특성ㆍ요인이론은 개인과 직업 특성의 합리적인 연결을 강조한다.
     3. 홀랜드(J. Holland)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특성과 유사한 직업환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4. 사비카스(M. Savickas)의 구성주의 진로이론에서 생애주제란 진로와 관련된 각 개인의 능력, 욕구, 흥미를 의미한다.
     5. 로우(A. Roe)의 이론에서 비즈니스직은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설득하는데 초점을 둔 직업군이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생애주제란 자신의 일이나 생애역할에 의미를 부여하게하는 원동력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사비카스(M. Savickas)의 진로구성주의에 근거한 진로상담의 전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심리검사는 개인의 특성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므로 표준화검사 결과를 중시한다.
     2. 내담자로 하여금 진로나 직업선택과 관련된 본인의 이야기(storytelling)를 하도록 한다.
     3. 내담자의 진로이야기를 끌어내기 위해 진로유형면접(career style interview)을 사용한다.
     4. 진로유형면접 자료를 근거로 내담자의 생애주제(life themes)를 이끌어 낸다.
     5. 개인이 환경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개인도 환경을 만들어가는 발달의 주체임을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다음 집단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긴즈버그(E. Ginzberg)의 진로발달이론에서 잠정기(tentative phase)의 하위 단계를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다음의 사례가 보여주는 진로상담기법은?(2024년 10월)

    

     1. 진로유형면접(career style interview)
     2. 진로성숙도평가(career maturity assessment)
     3. 직업카드
     4. 표준화검사
     5. 진로가계도(career genogra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로우(A. Roe)의 욕구이론에 관한 비판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ㄷ, ㅁ
     2. ㄱ, ㄴ, ㅁ
     3. ㄱ,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7%

23. 다음과 같은 진로문제를 모두 경험하는 내담자는?(2020년 10월)

    

     1. 실업자
     2. 장애인
     3. 여성
     4. 다문화인
     5. 노인

     정답 : []
     정답률 : 50%

24. 사이버 진로상담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0%

25.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의 타협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자신에게 맞지 않는 직업을 배제하는 과정이다.
     2. 직업의 성역할, 사회적 지위, 흥미가 타협되는 과정이다.
     3. 수용 가능한 진로대안 영역을 축소하는 과정이다.
     4. 진로선택을 통해 일차적으로 심리적 자아실현을 달성하는 과정이다.
     5. 타협의 정도가 낮을 때는 성역할 적합성을 중요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 2번 : 흥미는 해당하지 않는다.(힘과 크기, 성 역할, 사회적 지휘, 내적 자아)
- 1번과 3번 : 제한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2과목 : 집단상담


26. 다음의 집단원이 말하는 얄롬(I. Yalom)의 치료적 요인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4년 10월)

    

     1. 보편성, 대인관계 출력
     2. 희망의 고취, 대인관계 입력
     3. 대인관계 입력, 보편성
     4. 희망의 고취, 대인관계 출력
     5. 보편성, 대인관계 입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코리(G. Corey)의 '작업집단'의 주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원들이 서로 신뢰하고 기꺼이 위험을 감수한다.
     2. 가까운 집단원끼리 하위집단을 만들기 때문에 전체 집단의 응집력이 높다.
     3. 피드백이 자유롭게 오가며 거부감 없이 수용된다.
     4. 지금-여기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5. 무분별한 공격이 아닌 생산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집단상담 종결단계에서 집단상담자 역할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상담 전체과정을 평가하고 지속적 변화를 격려한다.
     2. 집단원들이 자신의 방어적 패턴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집단원들이 구체적인 개인목표를 설정하도록 돕는다.
     4. 집단상담의 일반적인 지침과 진행방법에 대해 안내한다.
     5. 집단원들이 친숙해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벡(A. Beck)의 인지치료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상호협력과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치료적 관계가 필수적이다.
     2. 집단원들이 가설을 만들고 그것을 검증하게 하는 협력적 경험주의 방식을 취한다.
     3. 집단원들이 자동적 사고와 핵심 신념을 지지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증거를 찾아보도록 한다.
     4. 안내된 발견(guided discovery)을 통해 집단원이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하는 방식의 관련성을 알게 한다.
     5. 집단원이 극단적인 신념을 내재화했듯이 삶을 바라보는 합리적 신념을 내재화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다음과 같은 청소년 집단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희망의 고취
     2. 자기개방
     3. 보편화
     4. 유머
     5. 정화

     정답 : []
     정답률 : 63%

31. 집단은 초기(시작과 탐색), 중간(작업 또는 생산), 종결(통합)단계의 순서로 발달한다. 집단상담자의 과제를 발달단계별로 옳게 연결한 것은?(2018년 10월)
     1. 구조화하기 - 문제행동에 대해 직면시키기 - 이별감정 다루기
     2. 역기능적 행동패턴 탐색하기 - 목표 설정하기 - 집단원의 성장과 변화 평가하기
     3. 자기개방과 감정정화 시키기 - 생산적인 대안행동과 실행촉진하기 - 저항 표출하게 하기
     4. 안전에 대한 신뢰감 형성하기 - 배운 것 실행하게 하기 - 문제행동 직면시키기
     5. 저항다루기 - 구조화하기 - 목표 설정하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역기능적 행동패턴 탐색하기(초기) - 목표 설정하기(초기) - 집단원의 성장과 변화 평가하기(종결)
자기개방과 감정정화 시키기(중간) - 생산적인 대안행동과 실행 촉진하기(중간) - 저항 표출하게 하기(중간)
안전에 대한 신뢰감 형성하기(초기) - 배운 것 실행하게 하기(종결) - 문제행동 직면시키기(중간)
저항다루기(중간) - 구조화하기(초기) - 목표 설정하기(초기)
[해설작성자 : 차차]

32. 해결중심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알지 못함' 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집단은?(2018년 10월)

    

     1. 치료집단
     2. 성장집단
     3. 과업집단
     4. 교육집단
     5. 처치집단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치료집단: 집단 활동을 통해 구성원의 문제 행동을 변화하거나 개선하고 기능을 회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주로 병원이나 임상장면에서 치료목적으로 장기 집단 형태로 운영하는 집단이다
- 과업집단: 과업달성과 결과의 도출을 위해, 또는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집단으로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한 집단 유형이다
- 교육집단: 구성원의 지식, 정보, 기술 향상에 목적을 둔다. 체계적 교육목표를 가지고 강의, 교수 등 구조화된 방법을 사용하는 집단 유형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34.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심리적 현상은?(2024년 10월)

    

     1. 내사
     2. 투사
     3. 융합
     4. 반전
     5. 편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교류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인간은 스스로 노력하면 변화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한다.
     2. 집단에서 이루어야 할 목표를 구체적으로 진술한 계약을 맺는다.
     3.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4. 교육적ㆍ예방적ㆍ치료적 상담이 가능하다.
     5. 정서적 접근을 지향하므로 지적 능력이 낮은 집단원에게도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여고생들을 위한 성장집단에서 상담자가 사용한 기법은?(2017년 09월)

    

     1. 차단하기
     2. 연결하기
     3. 직면하기
     4. 해석하기
     5. 유도하기

     정답 : []
     정답률 : 40%

37.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윤리에 위반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에 근거한 집단상담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소크라테스식 질문법
     2. 논박하기
     3. 수치공격 연습
     4. 상상하기
     5. 마술가게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 마술가계는 심리극(사이코드라마)의 상담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코코]

39. 집단상담자에게 전이 반응을 보이는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대처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원이 그 반응으로 어떤 잠재적 이익을 얻는지 탐색한다.
     2.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 자신의 반응을 검토해본다.
     3. 집단원이 드러내는 감정이 집단 전체의 의견인지 확인해 본다.
     4. 긍정적인 전이 감정은 집단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다루지 않는다.
     5. 집단원의 전이 감정을 연상시키는 사람을 집단에서 찾아보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코리(G. Corey)가 제시한 집단상담자의 인간적 자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3년 09월)
     1. 용기
     2. 활력
     3. 자기 돌봄
     4. 적극적 경청
     5. 창의성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4. 적극적 경청은 로저스 인간중심집단상담의 자질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코코]

41. 효율적인 집단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심리치료집단은 성격 구조 재구성이 목적이므로 상이한 진단을 받은 이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2. 심리교육집단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둔 구조화된 집단으로 진행할 때 유용하다.
     3. 성장집단은 성장 지향이 목적이므로 이질집단 구성과 비구조화된 회기가 유용하다.
     4. 지지집단은 정서적 지지가 목적이므로 동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5. 자조집단은 상호 지지가 목적이므로 특정 주제를 가진 동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인 '보라'가 보이는 문제행동은?(2020년 10월)

    

     1. 질문 공세
     2. 습관적 불평
     3. 일시적 구원
     4. 충고 일삼기
     5. 대화의 독점

     정답 : []
     정답률 : 55%

43. 침묵하는 집단원에 대한 상담자의 반응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ㄱ: 침묵의 의미탐색
ㄴ: 소극적 태도의 의미탐색 기회제공
ㄷ: 집단참여 기회 제공
ㄹ: 침묵할 권리의 수용
[해설작성자 : 청풍]

44. 청소년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청소년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이 필요하다.
     2. 상담자의 사생활 관련 질문을 할 경우 집단 규칙을 벗어나므로 주의를 준다.
     3. 비자발적으로 참여한 경우 개별 면담을 통해 참여에 대한 감정이나 생각을 탐색한다.
     4. 집단원들이 회기 밖에서 관계를 맺는 것이 집단 역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5. 비협조적인 경우 과거 상담 경험 등을 탐색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상황에 따라 상담자의 적정한 사생활 개방은 집단 분위기 형성에 도움이 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45. 비자발적 청소년에 대한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집단상담자에게 사적이거나 짓궂은 질문을 할 경우 이에 대한 탐색질문을 한다.
     2. 집단상담에 참여하지 않을 권리를 인정해준다.
     3. 청소년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매체를 적극 활용한다.
     4. 부정적인 감정표현을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이끌도록 돕는다.
     5. 비참여에 따른 불이익이 있어도 굳이 알려줄 필요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집단상담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평가의 목적은 집단원의 바람직한 변화를 조력하기 위해서이다.
     2. 평가계획은 종결시점에서 고려한다.
     3. 평가 시점에 따라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
     4. 결과평가는 집단과정 중에 이루어진다.
     5. 평가에서 심리검사 사용은 필수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47. 청소년 집단상담의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청소년기 자기중심적 사고에 도전하게 한다.
     2. 사회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준다.
     3. 안전한 환경에서 자유와 독립성을 시도할 수 있게 한다.
     4. 또래와의 차이점을 발견하여 우월감을 갖게 한다.
     5. 또래와 함께 참여하면서 성인 상담자의 권위에서 느끼는 불안감이 감소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48. 다문화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상담자의 윤리적 행동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4%

49. 집단상담 사전동의서에 포함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상담자의 자격과 이론적 지향
     2. 집단 참여에 따르는 위험과 이점
     3. 비밀보장의 한계
     4. 집단 참가 결과로 집단원이 기대할 수 있는 것
     5. 집단의 암묵적 규범

     정답 : []
     정답률 : 27%

50. 집단상담 초기단계에서 상담자의 역할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ㄱ, ㅁ
     3. ㄴ, ㄹ
     4. ㄱ, ㄷ, ㅁ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가족상담


51. 가족상담의 체계론적 사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개인이 변화해도 가족체계를 변화시킬 수는 없다.
     2. 절대적으로 옳고 그른 상황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
     3. 모든 현상이 상호연관 되어있고 상호의존 하는 것으로 본다.
     4. 내담자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존재로 보고 존중한다.
     5. 가족구성원 모두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각자의 내적 경험도 고려한다.

     정답 : []
     정답률 : 24%

52. 가족상담에서 활용되는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가족체계분화척도(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System Scales)는 가족체계 내의 연결성과 분리성 정도를 측정한다.
     2. 동적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는 개인이 가진 가족이미지를 파악하고 가족전체의 상호작용을 알 수 있는 투사적 도구이다.
     3. 합동가족화(Conjoint Family Drawing)는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가 도식으로 제시되어 세대 간에 반복되는 유형을 알 수 있는 도구이다.
     4. 결혼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는 부부간의 일치성, 결합, 애정표현, 만족도 등 결혼생활의 질과 적응 정도를 측정한다.
     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척도(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기능 정도를 파악한다.

     정답 : []
     정답률 : 9%
     <문제 해설>
합동가족화: 가족성원ㅇ ㅣ함께 가족화 작업을 함으로써 가족으 ㅣ역동과 상호작용을 파악한다.
가계도: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가 도식으로 제시되어 세대간 반복되는 유형을 알 수 있는 도구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53. 가족상담자가 지켜야 할 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다음 사례에서 상담자가 부부에게 시도하고 있는 구조적 가족상담 기법은?(2019년 10월)

    

     1. 실연
     2. 재정의
     3. 과제부여
     4. 경계선 설정
     5. 균형 깨뜨리기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남편보다는 아이들에게 더 관심이 많으시군요. -> 부모하위체계보다는 모자하위체계가 더 강하다는 것을 시사. -> 역기능적 균형을 '깨뜨려야' 하겠지요?
그래서 답은 균형 깨뜨리기!
[해설작성자 : 짛니]

55. 다음 가계도 분석을 통한 가족역동에 관한 가설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IP 부는 부모의 정서적 단절로 모에 대한 충성심이 높았을 것이다.
     2. IP 친조부의 우울증이 IP 부에게 전수되었을 것이다.
     3. IP의 부계와 모계 모두 삼각관계에 맞물려 있을 것이다.
     4. IP 모는 오빠의 죽음으로 인한 불안을 아들에게 투사했을 것이다.
     5. IP 모는 여러 번의 상실로 아들과 정서적으로 더욱 융합했을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18%

56. 후기 가족상담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이론적 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ㄴ, ㄹ

     정답 : []
     정답률 : 6%

57. 가족상담에서 경험적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사티어(V. Satir)는 내담자 내면의 정서경험에 접촉하여 변화시킨다.
     2. 내면가족체계치료는 가족원 상호작용에 내재된 깊은 감정을 탐색한다.
     3. 경험적 가족상담에서는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기보다는 개인들의 집합으로 본다.
     4. 지금-여기에서의 내담자 체험을 강조하고, 가족에 대한 개인의 관여를 통해 변화를 촉진시킨다.
     5. 휘태커(C. Whitaker)는 가족의 변화를 위해 적극적이면서도 강한 지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14%

58. 다음 상담에서 구조적 가족상담자가 활용한 기법은?(2018년 10월)

    

     1. 합류하기(joining)
     2. 모방하기(mimicking)
     3. 추적하기(tracking)
     4. 균형깨기(unbalancing)
     5. 실연하기(enacting)

     정답 : []
     정답률 : 17%

59. 다음 상담자 진술은 어떤 가족상담기법의 예인가?(2023년 09월)

    

     1. 척도질문
     2. 과정질문
     3. 긴장고조
     4. 예외질문
     5. 자기입장 지키기

     정답 : []
     정답률 : 46%

60. 해결중심 단기 가족상담의 질문기법과 그 예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보람질문: “무엇이 좀 좋아지면 상담을 받은 것이 보람 있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2. 척도질문: “엄마가 여기 있다면, 엄마는 그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을 몇 점 정도라고 하실까?”
     3. 관계성질문: “어머니는 그 어려운 상황 속에서 어떻게 지금까지 견딜 수 있었습니까?”
     4. 예외질문: “지금까지 생활하면서 문제가 일어나지 않거나 덜 심각한 때는 언제였나요?”
     5. 첫 상담 전 변화에 관한 질문: “처음 상담을 약속했을 때부터 오늘 상담에 오기까지 혹시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3번은 대처질문
[해설작성자 : 유의미]

61. 해결중심 단기 가족상담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객관적인 사실과 실재를 믿는 과학적 낙관주의를 기초로 한다.
     2. 문제 상황의 정확한 분석을 중시하므로 전문가가 해결의 방향을 인도한다.
     3. 과거에 관심을 두고 구성원의 원가족 경험을 진단하는데 주력한다.
     4. 비자발적인 방문형 내담자에게는 일반적으로 관찰 과제를 부여한다.
     5. 변화는 삶의 일부로서 불가피하며 계속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
     <문제 해설>
1. 포스트 모더니즘에 기반을 둠. 즉, 객관적 사실보다는 주관적인 경험과 관점을 존중
2. 문제보다는 해결에 초점을 둠. 내담자는 전문가이면서 조력자 역할을 한다.
3. 과거보다는 현재와 미래 지향적이다.
4. 방문형 내담자는 과제를 주지 말고, 관계 형성을 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62. 가족체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체계는 일정한 규칙에 의해 유지되고 기능한다.
     2. 순환적 인과관계 속에서 증상을 이해하려고 한다.
     3. 체계가 건강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엄격한(rigid) 경계선이 필요하다.
     4. 체계가 변화나 이탈을 거부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의 피드백을 부적(negative) 피드백이라고 한다.
     5. 체계는 상호작용하는 관계에 있는 부분들의 집합으로서, 가족체계는 가족원 개개인의 특성을 합한 것 그 이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24%

63.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정서적 단절은 물리적 단절을 전제한다.
     2. 하위체계 사이의 위계를 변화시켜 재구조화한다.
     3. 분화수준이 높은 사람은 독립적이며 친밀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
     4. 자기 위치 지키기(I-positioning)는 나 전달법(I-message)과 같은 기법이다.
     5. 출생순위 또는 형제자매 위치가 가족의 정서체계 안에서 특정한 역할과 기능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64. 다음에서 적용된 가족상담 기법은?(2017년 09월)

    

     1. 추적(tracking)
     2. 실연(enactment)
     3. 재정의(reframing)
     4. 기적 질문(miracle question)
     5. 관계성 질문(relationship ques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가족상담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9%

66.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지금-여기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도록 한다.
     2. 목표는 목적지가 아니라 시작하는 첫 단계이다.
     3. 청소년기 자녀가 '학교에 덜 지각하기'를 목표로 한다.
     4. 상담자가 중요하다고 진단하는 것으로 목표를 정한다.
     5. 부모와 갈등이 많은 자녀가 '가족과 행복하게 살기'를 목표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가족상담의 실제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조적 가족상담 기법은?(2025년 09월)

    

     1. 모방하기
     2. 실연하기
     3. 추적하기
     4. 유지하기
     5. 경계선 세우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다음에서 가족상담자가 사용한 기법은?(2018년 10월)

    

     1. 행동 형성(behavior shaping)
     2. 증상 처방(symptom prescription)
     3. 긍정적 의미부여(positive connotation)
     4. 보이지 않는 충성심(invisible loyalty)
     5. 치료적 삼각관계(therapeutic triangulation)

     정답 : []
     정답률 : 0%

70. 다음 대화에서 상담자가 시도하고 있는 상담기법은?(2021년 10월)

    

     1. 척도질문
     2. 예외질문
     3. 대처질문
     4. 과정질문
     5. 관계성질문

     정답 : []
     정답률 : 36%

71. 사회구성주의 가족상담모델의 주요 기법을 나열한 것은?(2016년 10월)
     1. 모방, 은유, 정의예식
     2. 가족게임, 가족조각, 회원재구성
     3. 척도질문, 가계도, 스캐폴딩 재저작
     4. 대처질문, 공명하기, 문제의 외재화
     5. 반영팀 치료, 나의 입장 기법, 독특한 결과 입장진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대처질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내담자가 어려움과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고 생존해 왔는지 그리고 희망을 버리지 않고 유지해 올 수 있었는지에 관하여 질문하는 동시에 생존능력을 인정하고 간접적으로 칭찬하는 기법이다.
     2. 내담자들이 이미 효과적인 해결책을 사용하고 강점과 자원을 갖고 있으면서도 의식하지 못할 때 문제보다는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으로 관심을 전환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기법이다.
     3. 내담자가 인식하는 문제의 정도, 해결가능성, 상담의 진척 정도 등을 숫자로 표현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내담자와 중요한 관계에 있는 사람의 생각, 의견, 가치관, 반응 등에 관하여 질문하는 것으로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기법이다.
     5. 한국에서 해결중심모델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명명된 질문으로 상담을 통해 어떤 상태가 되면 보람 있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하는 기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 사례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족상담 모델과 개입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구조적 모델 - 힙합에 관한 순환질문
     2. 이야기치료 모델 - 가족 갈등의 외재화
     3. 경험적 모델 - 가족구성원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4. 다세대 모델 - 부모와 자녀간 정서적 삼각관계 파악
     5. 해결중심 단기 모델 - 문제가 해결된 상황에 대한 기적질문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 순환질문은 전략적 치료 모델 중 밀란 학파의 개념이다.
- 구조적 모델은 경계선을 재정의하거나 하위체계 기능, 동맹과 연합 체계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74. 다음 가계도에서 IP(Identified Patient)의 가족역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IP는 부와 정서적으로 친밀하다.
     2. IP의 모와 외조모는 갈등관계이다.
     3. IP의 부와 친조모는 밀착된 관계이다.
     4. IP의 외조부모는 정서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5. IP의 조부와 부에게 알코올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75. 우울감이 있는 영희(중1)는 어머니와 갈등이 심하다. 영희가 초등학교 3학년 때 부모가 이혼하였고, 이후 어머니와 외할머니와 함께 살았는데 6개월 전 외할머니가 돌아가셨다. 영희는 아버지와 한 달에 한 번 정도 만나 왔다. 이 가족의 사례에 대한 체계론적 가족상담 개입 계획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8%

76. 학습부진(underachiev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학업성취수준이 잠재적 능력에 미치지 못하고 현격하게 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2. 지능수준이 하위 3∼25%에 해당하고 지능지수는 약 75-90 정도에 속하는 학습자를 말한다.
     3.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4. 비효율적인 학습전략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5. 선수 학습의 누적된 결손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0%

77. 커크와 찰팬트(S. Kirk & J. Chalfant) 등의 학습장애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읽기장애는 학업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2. 기억장애는 학업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3. 수학장애는 학업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4. 주의집중 장애, 사고장애는 발달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5. 학습장애를 발달적 학습장애와 학업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로크와 라뎀(Locke & Lathem)의 목표설정이론에서 동기향상을 위한 조건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9%

79. 학습부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학업성취수준이 잠재적인 능력에 미치지 못하고 현격하게 뒤떨어지는 상태를 가리킨다.
     2. 정상적인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심리환경적 요인에 의해 학업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3. 뇌 기능상에 문제가 있어 정상적인 학업성취를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4. 일시적인 기간에 나타나기도 하고,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기도 한다.
     5. 해당 학년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최소 수준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를 교과학습부진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리버트와 모리스(Liebert & Morris)가 제안한 시험불안의 인지적 측면인 걱정(worry)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0월)
     1. 시험 준비 부족에 대한 염려
     2. 긴장으로 인한 일시적인 기억력 감소
     3. 시험 결과에 대한 염려
     4.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의식
     5. 시험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정답 : []
     정답률 : 10%

81. 다음과 같은 교사의 반응에서 로젠탈과 제이컵슨(Rosenthal & Jacobson)이 제시한 개념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모델링(modeling)
     2. 행동조성법(behavior shaping)
     3. 지시하기(directives)
     4. 결과기대(outcome expectation)
     5.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와이너(B. Weiner)의 귀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자신의 실패를 내부귀인 할 때보다 외부귀인 할 때 수치심을 더 강하게 느낀다.
     2. 다른 사람이 통제하는 요인에 의해 성공을 방해받을 경우 분노를 느낀다.
     3. 자신의 성공을 외부귀인 할 때 내부귀인 할 때보다 더 자긍심이 높아진다.
     4. 자신의 실패를 통제 가능한 원인으로 탓을 돌릴 때 학습된 무기력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5. 수행에 대한 기대는 안정성 차원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0%

83. 댄서로우(D. Dansereau)가 제시한 학습전략의 주전략이 아닌 것은?(2019년 10월)
     1. 이해전략
     2. 파지전략
     3. 회상전략
     4. 사용전략
     5. 동기화전략

     정답 : []
     정답률 : 0%

84. DSM-5-TR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특정학습장애 아동은 정상수준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
     2. 정신지체로 인해 학업성취도가 떨어지는 아동은 특정학습장애에 해당한다.
     3. 지적발달장애로 인해 학력이 지체된 아동은 특정학습장애로 분류된다.
     4. 특정학습장애는 장애 상태에 따라 심각도를 명시하지 않는다.
     5. 특정학습장애 아동은 중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읽기, 말하기, 수학 중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효율적인 시간관리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노트필기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코넬식 노트필기 시스템은 기록, 축약, 암송, 반성, 복습 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87. 앳킨슨과 시프린(Atkinson & Shiffrin)의 이중저장기억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감각등록기에서 받아들인 정보는 그대로 사라진다.
     2. 작업기억의 저장 용량은 7±2 단위 정도의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다.
     3. 작업기억에서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청킹(chunking) 등이 있다.
     4. 감각등록기에서 작업기억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시연 등의 인지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5. 장기기억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정보의 심층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0%

88. 영재아의 학습부진 원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인지학습전략 중 다음에 해당하는 초인지 전략은?(2024년 10월)

    

     1. 계획하기
     2. 점검하기
     3. 조절하기
     4. 조직화하기
     5. 정교화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테일러(R. Taylor)가 제시한 학습과진아와 비교한 학습부진아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학습과진아에 비해 불안을 더 가지고 있다.
     2. 학습과진아에 비해 자기비판적이고 부적절감을 가지고 있다.
     3. 학습과진아에 비해 부모 및 교사와 비교적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다.
     4. 학습과진아에 비해 의존감과 독립의 갈등을 더 겪는다.
     5. 학습과진아는 학업지향적인 반면, 학습부진아는 사회지향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0%

91. 학업 관련 표준화된 심리검사 선정 시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8%

92. 학습부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개인이 특정한 영역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기대했던 것보다 잘하지 못할 때 쓰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2. 능력과 성취의 편차, 즉 기대되는 학년 수준과 성취된 학년의 차이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학습부진아는 다수의 학습자에게 사용되는 보편적 교재나 교수방법으로는 학습하지 못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4. 학생이 정상적인 지적능력과 잠재적인 능력을 지니면서도, 수락 가능한 최저수준의 학업 성취에 도달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5. 지능검사에서 지능지수 70 이하로 전반적 지적능력이 현저히 정상 이하인 상태이면서, 적응능력에 결함이나 손상이 있고 18세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반두라(A. Bandura)가 제시한 효능감 정보원이 아닌 것은?(2019년 10월)
     1. 성공경험
     2. 생리적ㆍ정서적 상태
     3. 대리적 경험
     4. 귀인의 통제소재
     5. 언어적(사회적) 설득

     정답 : []
     정답률 : 7%

94. DSM-5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의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보유한 학습기술이 개인의 생활연령에 비추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양적으로 낮고, 학업 및 직업적 수행 또는 일상생활 활동을 현저히 방해한다.
     2.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의 어려움이 적절한 중재를 제공했음에도, 특정 증상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3.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검사에서 읽기, 수학, 쓰기능력이 개인의 생활연령, 측정된 지능 그리고 나이에 적합한 교육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낮다(표준화검사 결과와 지능지수 사이에 2 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남).
     4.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기술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하게 드러날 수도 있다.
     5. 학습의 어려움은 지적장애, 교정되지 않은 시력 및 청력의 문제, 다른 정신적 또는 신경학적 장애, 정신사회적 불행, 학습지도사가 해당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경우, 불충분한 교육적 지도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
     <문제 해설>
3번 지문은 국립특수교육원의 학습장애 선별기준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95. 캔달과 브라스웰(P. Kendall & L. Braswell)이 제시한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자기교시 훈련 단계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문제 정의 단계: 문제는 무엇인가?
     2. 문제에 대한 접근 단계: 모든 가능한 답을 살펴보자.
     3. 답의 선택 단계: 답을 하나 고르자.
     4. 답의 검토 단계: 답을 검토하자.
     5. 답의 사후관리 단계: 옳은 답인지 평가하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DSM-5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의 진단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된다.
     2. 17세 미만인 경우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과거 병력이 표준화된 평가를 대신할 수 있다.
     3.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 기술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히 드러날 수도 있다.
     4. 학습의 어려움이 지적장애나 적절한 교육 부족으로 더 잘 설명될 때에도 진단내릴 수 있다.
     5. 학습의 어려움이 최소 3개 이상의 학업기술이나 학업영역에 나타나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10%

97. 수학학습부진 학생 상담 시 ‘247 곱하기 8’과 같은 셈하기에서 다음과 같이 계산하는 내담자의 오류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7 × 8에서 오류
     2. 일의 자리 계산 후 받아올림을 하지 않음
     3. 자릿수 맞추기 실패
     4. 받아올린 수를 정확하게 더하지 못함
     5. 십의 자리의 4를 40으로 이해하지 못함

     정답 : []
     정답률 : 15%

98. 다음 사례의 시험불안 개입방법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이완훈련
     2. 자기대화하기
     3. 기대가치훈련
     4. 사전학습강화
     5. 부모의 지지

     정답 : []
     정답률 : 34%

99. 발표불안에 대한 개입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내담자의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합리적으로 변화시킨다.
     2. 자기 대화하기는 발표 전, 중, 후에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3. 부모나 교사의 칭찬과 격려를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킨다.
     4. 발표를 반복적으로 연습하게 한다.
     5. 위계적 발표불안 리스트를 작성하여 불안이 가장 높은 단계부터 체계적 둔감법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0%

100.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한 학자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에임스(C. Ames)
     2. 레닝거(K. Renninger)
     3. 드웩(C. Dweck)
     4. 화이팅(C. Whiting)
     5. 와이너(B. Weine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346474)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진로상담


1. 홀랜드(J. Holland) 직업성격유형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기업적 유형(E)은 자료를 체계적으로 잘 처리하고 기록을 정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2. 진로선택에 있어서 성격적 특성을 중요시하며, 발달과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3. 개인의 성격특징과 직무환경 특성간 일치성(congruence)이 높을 때 직업만족, 직업성취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4. 실재적이면서 탐구적인 성격유형(RI)은 사회적이면서 관습적인 성격유형(SC)보다 일관성(consistency)이 높다.
     5. 변별성(differentiation)이 낮은 사람은 진로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2. 윌리엄슨(E. Williamson)의 특성-요인 진로상담이론에서 진로문제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내용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진로무선택
     2. 불확실한 선택
     3. 현명하지 못한 선택
     4. 성격과 가치관 간의 모순
     5. 흥미와 적성 간의 모순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 하렌(V. Harren)이 설명한 직관적 유형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50%

4. 수퍼(D. Super)의 진로발달 아치웨이 모형에서 자기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0월)
     1. 가족
     2. 문화
     3. 학교
     4. 또래집단
     5. 노동시장

     정답 : []
     정답률 : 24%

5. 고용노동부 워크넷(www.work.go.kr)에서 제공하는 청소년 대상 직업심리검사를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ㄹ, ㅁ
     3. ㄷ, ㄹ,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ㅁ

     정답 : []
     정답률 : 25%

6. 청소년 진로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10월)
     1. 직업훈련 지도 역량
     2. 자기성찰 및 자기계발 역량
     3. 진로관련 이론에 대한 이해
     4. 개인차 및 다양성에 대한 이해
     5. 진로 프로그램 실시 및 개발 역량

     정답 : []
     정답률 : 36%

7.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무지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 진로전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슬로스버그(N. Schlossberg)는 전환의 유형으로 예측된 전환, 예측하지 못한 전환, 만성적인 전환, 일어나지 않은 전환으로 나누었다.
     2. 윌리암스(D. Williams)는 자발적 전환과 비자발적인 전환으로 나누었다.
     3. 홉슨과 아담스(B. Hopson & J. Adams)는 전환을 증진시키는 요인으로 경제적 안정성, 정서적 안정성, 건강, 이전의 전환기술, 지지적 업무환경, 전환에 대한 지지를 제시하였다.
     4. 슬로스버그, 워터스와 굿맨(N. Schlossberg, E. Waters & J. Goodman)은 전환의 억제요인으로 경제적 불안정, 정서적 불안정, 건강, 적대적 업무환경, 전환관리의 부족을 제시하였다.
     5. 굿맨, 슬로스버그와 앤더슨(J. Goodman, N. Schlossberg & M. Anderson)은 진로전환이 마비-최소화-회의감-놓아주기-시험하기-의미찾기-내면화의 7단계 과정을 거쳐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 로(A. Roe)의 욕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직업은 인간의 욕구 충족과 관련된다.
     2.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3. 정서집중형 부모는 과보호나 과요구의 형태를 보인다.
     4. 회피형 부모는 자식을 수용하지만, 밀착되어 있지는 않다.
     5. 부모와 따뜻한 관계에서 성장한 사람은 인간지향적인 직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35%

10. 장애인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2025년 09월)
     1. 내담자의 장애수용에 대한 상담은 다루지 않는다.
     2. 진로 및 직업 선택에서 고용상의 차별이 있는지를 알아본다.
     3. 진로 탐색에서 장애유형에 따른 제한점이 있는지를 고려하여 상담한다.
     4. 내담자의 특성에 따라 찾아가는 상담도 할 수 있다.
     5. 진로 및 직업 상담을 위한 장애유형과 수준에 따른 인프라 구축이 되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1. 보딘(E. Bordin)이 제시한 내담자의 문제영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ㄹ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ㄴ,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보딘 : 정신분석적 직업상담
의존성, 정보의 부족, 자아갈등, 선택불안, 문제없음 5가지가 내담자의 문제영역
[해설작성자 : 기수]

12. 다음 사례에 제시된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직업세계에 대한 탐색
     2. 자기이해를 위한 탐색
     3. 선택된 진로과정 점검
     4. 진로관련 심리검사 실시
     5. 진로관련 의사결정 연습

     정답 : []
     정답률 : 34%

13. 진로상담의 최근 동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사회학습진로이론은 진로개발과정에서 우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사회인지진로이론은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맥락을 중요시하는 관점을 수용하고 있다.
     3. 구성주의진로이론은 긴즈버그(E. Ginzberg)의 아이디어를 현대적 시각으로 통합하고 있다.
     4. 인지정보처리이론은 의사소통, 분석, 종합, 평가, 실행의 5단계로 진로의사결정을 설명한다.
     5. 구성주의진로이론에서는 내담자의 진로이야기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진로유형면접을 활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25%
     <문제 해설>
구성주의진로이론은 수퍼(Super)의 아이디어를 현대적 시각으로 통합하였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 사회학습진로이론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한 이론이다. 크롬볼츠의 이론이다. / 호기심, 인내심, 융통성, 낙관성, 위험감수 = 우연을 활용하라
2. 사회인지진로이론 역시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을 적용했다. SCCT는 여성의 진로발달 선택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 진로장벽, 근접맥락, 배경맥락
3. 구성주의진로이론은 수퍼의 초기 진로발달 이론에서 출발함.
[해설작성자 : 기수]

14. 수퍼(D. Super)의 생애진로발달이론에서 제안한 진로발달단계 순서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ㄱ - ㄴ - ㄹ - ㄷ – ㅁ
     2. ㄱ - ㄹ - ㄷ - ㄴ – ㅁ
     3. ㄴ - ㄱ - ㄹ - ㄷ - ㅁ
     4. ㄴ - ㄷ - ㄱ - ㄹ – ㅁ
     5. ㄴ - ㄹ - ㄱ - ㄷ - ㅁ

     정답 : []
     정답률 : 24%

15. 진로상담에서 활용 가능한 검사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것은?(2020년 10월)

    

     1. 적성진단검사
     2. 직업선호도검사
     3. GATB 직업적성검사
     4. 영업직무 기본역량검사
     5. 직업적성검사

     정답 : []
     정답률 : 31%

16. 크럼볼츠(J. Krumboltz)의 우연학습이론(happenstance learning theory)을 토대로 한 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진로결정과정에서 개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강조한다.
     2.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도 중요하지만 예기치 않은 사건이나 문제발생을 대비하는 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중요하다.
     3. 내담자의 호기심(curiosity), 인내심(persistence), 유연성(flexibility), 낙관성(optimism), 위험감수(risk-taking) 등의 기술을 촉진시킨다.
     4. 미래는 불확실하므로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특성을 연결하는 전통적인 진로상담을 중시한다.
     5. 상담의 성공여부는 내담자가 상담실 밖에서 다양한 경험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성장하는 가에 좌우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7. 진로상담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다위스(R. Dawis)와 롭퀴스트(L. Lofquist)의 직업적응이론에서 성격은 성격양식과 성격구조로 설명된다.
     2. 파슨스(F. Parsons)의 특성ㆍ요인이론은 개인과 직업 특성의 합리적인 연결을 강조한다.
     3. 홀랜드(J. Holland)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특성과 유사한 직업환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4. 사비카스(M. Savickas)의 구성주의 진로이론에서 생애주제란 진로와 관련된 각 개인의 능력, 욕구, 흥미를 의미한다.
     5. 로우(A. Roe)의 이론에서 비즈니스직은 다른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도록 설득하는데 초점을 둔 직업군이다.

     정답 : []
     정답률 : 24%
     <문제 해설>
생애주제란 자신의 일이나 생애역할에 의미를 부여하게하는 원동력을 의미한다.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8. 사비카스(M. Savickas)의 진로구성주의에 근거한 진로상담의 전략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심리검사는 개인의 특성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므로 표준화검사 결과를 중시한다.
     2. 내담자로 하여금 진로나 직업선택과 관련된 본인의 이야기(storytelling)를 하도록 한다.
     3. 내담자의 진로이야기를 끌어내기 위해 진로유형면접(career style interview)을 사용한다.
     4. 진로유형면접 자료를 근거로 내담자의 생애주제(life themes)를 이끌어 낸다.
     5. 개인이 환경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개인도 환경을 만들어가는 발달의 주체임을 강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19. 다음 집단진로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0. 긴즈버그(E. Ginzberg)의 진로발달이론에서 잠정기(tentative phase)의 하위 단계를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1. 다음의 사례가 보여주는 진로상담기법은?(2024년 10월)

    

     1. 진로유형면접(career style interview)
     2. 진로성숙도평가(career maturity assessment)
     3. 직업카드
     4. 표준화검사
     5. 진로가계도(career genogram)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2. 로우(A. Roe)의 욕구이론에 관한 비판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7년 09월)

    

     1. ㄷ, ㅁ
     2. ㄱ, ㄴ, ㅁ
     3. ㄱ,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ㄷ, ㄹ, ㅁ

     정답 : []
     정답률 : 37%

23. 다음과 같은 진로문제를 모두 경험하는 내담자는?(2020년 10월)

    

     1. 실업자
     2. 장애인
     3. 여성
     4. 다문화인
     5. 노인

     정답 : []
     정답률 : 50%

24. 사이버 진로상담의 장점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0%

25. 갓프레드슨(L. Gottfredson)의 타협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자신에게 맞지 않는 직업을 배제하는 과정이다.
     2. 직업의 성역할, 사회적 지위, 흥미가 타협되는 과정이다.
     3. 수용 가능한 진로대안 영역을 축소하는 과정이다.
     4. 진로선택을 통해 일차적으로 심리적 자아실현을 달성하는 과정이다.
     5. 타협의 정도가 낮을 때는 성역할 적합성을 중요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 2번 : 흥미는 해당하지 않는다.(힘과 크기, 성 역할, 사회적 지휘, 내적 자아)
- 1번과 3번 : 제한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2과목 : 집단상담


26. 다음의 집단원이 말하는 얄롬(I. Yalom)의 치료적 요인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2024년 10월)

    

     1. 보편성, 대인관계 출력
     2. 희망의 고취, 대인관계 입력
     3. 대인관계 입력, 보편성
     4. 희망의 고취, 대인관계 출력
     5. 보편성, 대인관계 입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7. 코리(G. Corey)의 '작업집단'의 주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원들이 서로 신뢰하고 기꺼이 위험을 감수한다.
     2. 가까운 집단원끼리 하위집단을 만들기 때문에 전체 집단의 응집력이 높다.
     3. 피드백이 자유롭게 오가며 거부감 없이 수용된다.
     4. 지금-여기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
     5. 무분별한 공격이 아닌 생산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진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8. 집단상담 종결단계에서 집단상담자 역할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상담 전체과정을 평가하고 지속적 변화를 격려한다.
     2. 집단원들이 자신의 방어적 패턴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집단원들이 구체적인 개인목표를 설정하도록 돕는다.
     4. 집단상담의 일반적인 지침과 진행방법에 대해 안내한다.
     5. 집단원들이 친숙해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29. 벡(A. Beck)의 인지치료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상호협력과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치료적 관계가 필수적이다.
     2. 집단원들이 가설을 만들고 그것을 검증하게 하는 협력적 경험주의 방식을 취한다.
     3. 집단원들이 자동적 사고와 핵심 신념을 지지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증거를 찾아보도록 한다.
     4. 안내된 발견(guided discovery)을 통해 집단원이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하는 방식의 관련성을 알게 한다.
     5. 집단원이 극단적인 신념을 내재화했듯이 삶을 바라보는 합리적 신념을 내재화하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0. 다음과 같은 청소년 집단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은 것은?(2020년 10월)

    

     1. 희망의 고취
     2. 자기개방
     3. 보편화
     4. 유머
     5. 정화

     정답 : []
     정답률 : 63%

31. 집단은 초기(시작과 탐색), 중간(작업 또는 생산), 종결(통합)단계의 순서로 발달한다. 집단상담자의 과제를 발달단계별로 옳게 연결한 것은?(2018년 10월)
     1. 구조화하기 - 문제행동에 대해 직면시키기 - 이별감정 다루기
     2. 역기능적 행동패턴 탐색하기 - 목표 설정하기 - 집단원의 성장과 변화 평가하기
     3. 자기개방과 감정정화 시키기 - 생산적인 대안행동과 실행촉진하기 - 저항 표출하게 하기
     4. 안전에 대한 신뢰감 형성하기 - 배운 것 실행하게 하기 - 문제행동 직면시키기
     5. 저항다루기 - 구조화하기 - 목표 설정하기

     정답 : []
     정답률 : 65%
     <문제 해설>
역기능적 행동패턴 탐색하기(초기) - 목표 설정하기(초기) - 집단원의 성장과 변화 평가하기(종결)
자기개방과 감정정화 시키기(중간) - 생산적인 대안행동과 실행 촉진하기(중간) - 저항 표출하게 하기(중간)
안전에 대한 신뢰감 형성하기(초기) - 배운 것 실행하게 하기(종결) - 문제행동 직면시키기(중간)
저항다루기(중간) - 구조화하기(초기) - 목표 설정하기(초기)
[해설작성자 : 차차]

32. 해결중심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알지 못함' 자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3. 다음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집단은?(2018년 10월)

    

     1. 치료집단
     2. 성장집단
     3. 과업집단
     4. 교육집단
     5. 처치집단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 치료집단: 집단 활동을 통해 구성원의 문제 행동을 변화하거나 개선하고 기능을 회복하는데 목적을 둔다. 주로 병원이나 임상장면에서 치료목적으로 장기 집단 형태로 운영하는 집단이다
- 과업집단: 과업달성과 결과의 도출을 위해, 또는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집단으로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위한 집단 유형이다
- 교육집단: 구성원의 지식, 정보, 기술 향상에 목적을 둔다. 체계적 교육목표를 가지고 강의, 교수 등 구조화된 방법을 사용하는 집단 유형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34.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심리적 현상은?(2024년 10월)

    

     1. 내사
     2. 투사
     3. 융합
     4. 반전
     5. 편향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5. 교류분석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인간은 스스로 노력하면 변화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제시한다.
     2. 집단에서 이루어야 할 목표를 구체적으로 진술한 계약을 맺는다.
     3.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4. 교육적ㆍ예방적ㆍ치료적 상담이 가능하다.
     5. 정서적 접근을 지향하므로 지적 능력이 낮은 집단원에게도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6. 여고생들을 위한 성장집단에서 상담자가 사용한 기법은?(2017년 09월)

    

     1. 차단하기
     2. 연결하기
     3. 직면하기
     4. 해석하기
     5. 유도하기

     정답 : []
     정답률 : 40%

37.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윤리에 위반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8.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에 근거한 집단상담 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소크라테스식 질문법
     2. 논박하기
     3. 수치공격 연습
     4. 상상하기
     5. 마술가게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5. 마술가계는 심리극(사이코드라마)의 상담기법이다.
[해설작성자 : 코코]

39. 집단상담자에게 전이 반응을 보이는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의 대처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집단원이 그 반응으로 어떤 잠재적 이익을 얻는지 탐색한다.
     2. 집단원에 대한 집단상담자 자신의 반응을 검토해본다.
     3. 집단원이 드러내는 감정이 집단 전체의 의견인지 확인해 본다.
     4. 긍정적인 전이 감정은 집단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다루지 않는다.
     5. 집단원의 전이 감정을 연상시키는 사람을 집단에서 찾아보도록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0. 코리(G. Corey)가 제시한 집단상담자의 인간적 자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2023년 09월)
     1. 용기
     2. 활력
     3. 자기 돌봄
     4. 적극적 경청
     5. 창의성

     정답 : []
     정답률 : 22%
     <문제 해설>
4. 적극적 경청은 로저스 인간중심집단상담의 자질에 해당한다.
[해설작성자 : 코코]

41. 효율적인 집단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심리치료집단은 성격 구조 재구성이 목적이므로 상이한 진단을 받은 이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2. 심리교육집단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둔 구조화된 집단으로 진행할 때 유용하다.
     3. 성장집단은 성장 지향이 목적이므로 이질집단 구성과 비구조화된 회기가 유용하다.
     4. 지지집단은 정서적 지지가 목적이므로 동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5. 자조집단은 상호 지지가 목적이므로 특정 주제를 가진 동질집단 구성이 유용하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2. 집단상담에서 집단원인 '보라'가 보이는 문제행동은?(2020년 10월)

    

     1. 질문 공세
     2. 습관적 불평
     3. 일시적 구원
     4. 충고 일삼기
     5. 대화의 독점

     정답 : []
     정답률 : 55%

43. 침묵하는 집단원에 대한 상담자의 반응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0년 10월)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47%
     <문제 해설>
ㄱ: 침묵의 의미탐색
ㄴ: 소극적 태도의 의미탐색 기회제공
ㄷ: 집단참여 기회 제공
ㄹ: 침묵할 권리의 수용
[해설작성자 : 청풍]

44. 청소년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청소년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감수성이 필요하다.
     2. 상담자의 사생활 관련 질문을 할 경우 집단 규칙을 벗어나므로 주의를 준다.
     3. 비자발적으로 참여한 경우 개별 면담을 통해 참여에 대한 감정이나 생각을 탐색한다.
     4. 집단원들이 회기 밖에서 관계를 맺는 것이 집단 역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5. 비협조적인 경우 과거 상담 경험 등을 탐색한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상황에 따라 상담자의 적정한 사생활 개방은 집단 분위기 형성에 도움이 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45. 비자발적 청소년에 대한 집단상담에서 집단상담자의 개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집단상담자에게 사적이거나 짓궂은 질문을 할 경우 이에 대한 탐색질문을 한다.
     2. 집단상담에 참여하지 않을 권리를 인정해준다.
     3. 청소년의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매체를 적극 활용한다.
     4. 부정적인 감정표현을 건설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이끌도록 돕는다.
     5. 비참여에 따른 불이익이 있어도 굳이 알려줄 필요는 없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46. 집단상담 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평가의 목적은 집단원의 바람직한 변화를 조력하기 위해서이다.
     2. 평가계획은 종결시점에서 고려한다.
     3. 평가 시점에 따라 상대평가와 절대평가로 구분할 수 있다.
     4. 결과평가는 집단과정 중에 이루어진다.
     5. 평가에서 심리검사 사용은 필수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63%

47. 청소년 집단상담의 이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10월)
     1. 청소년기 자기중심적 사고에 도전하게 한다.
     2. 사회기술을 연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준다.
     3. 안전한 환경에서 자유와 독립성을 시도할 수 있게 한다.
     4. 또래와의 차이점을 발견하여 우월감을 갖게 한다.
     5. 또래와 함께 참여하면서 성인 상담자의 권위에서 느끼는 불안감이 감소된다.

     정답 : []
     정답률 : 60%

48. 다문화 청소년 집단상담에서 상담자의 윤리적 행동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24%

49. 집단상담 사전동의서에 포함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상담자의 자격과 이론적 지향
     2. 집단 참여에 따르는 위험과 이점
     3. 비밀보장의 한계
     4. 집단 참가 결과로 집단원이 기대할 수 있는 것
     5. 집단의 암묵적 규범

     정답 : []
     정답률 : 27%

50. 집단상담 초기단계에서 상담자의 역할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ㄴ
     2. ㄱ, ㅁ
     3. ㄴ, ㄹ
     4. ㄱ, ㄷ, ㅁ
     5.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3과목 : 가족상담


51. 가족상담의 체계론적 사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개인이 변화해도 가족체계를 변화시킬 수는 없다.
     2. 절대적으로 옳고 그른 상황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
     3. 모든 현상이 상호연관 되어있고 상호의존 하는 것으로 본다.
     4. 내담자를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존재로 보고 존중한다.
     5. 가족구성원 모두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각자의 내적 경험도 고려한다.

     정답 : []
     정답률 : 24%

52. 가족상담에서 활용되는 평가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가족체계분화척도(Differentiation in the Family System Scales)는 가족체계 내의 연결성과 분리성 정도를 측정한다.
     2. 동적가족화(Kinetic Family Drawing)는 개인이 가진 가족이미지를 파악하고 가족전체의 상호작용을 알 수 있는 투사적 도구이다.
     3. 합동가족화(Conjoint Family Drawing)는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가 도식으로 제시되어 세대 간에 반복되는 유형을 알 수 있는 도구이다.
     4. 결혼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는 부부간의 일치성, 결합, 애정표현, 만족도 등 결혼생활의 질과 적응 정도를 측정한다.
     5.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척도(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기능 정도를 파악한다.

     정답 : []
     정답률 : 9%
     <문제 해설>
합동가족화: 가족성원ㅇ ㅣ함께 가족화 작업을 함으로써 가족으 ㅣ역동과 상호작용을 파악한다.
가계도: 가족성원에 관한 정보와 그들 간의 관계가 도식으로 제시되어 세대간 반복되는 유형을 알 수 있는 도구이다.
[해설작성자 : 차차]

53. 가족상담자가 지켜야 할 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54. 다음 사례에서 상담자가 부부에게 시도하고 있는 구조적 가족상담 기법은?(2019년 10월)

    

     1. 실연
     2. 재정의
     3. 과제부여
     4. 경계선 설정
     5. 균형 깨뜨리기

     정답 : []
     정답률 : 20%
     <문제 해설>
남편보다는 아이들에게 더 관심이 많으시군요. -> 부모하위체계보다는 모자하위체계가 더 강하다는 것을 시사. -> 역기능적 균형을 '깨뜨려야' 하겠지요?
그래서 답은 균형 깨뜨리기!
[해설작성자 : 짛니]

55. 다음 가계도 분석을 통한 가족역동에 관한 가설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IP 부는 부모의 정서적 단절로 모에 대한 충성심이 높았을 것이다.
     2. IP 친조부의 우울증이 IP 부에게 전수되었을 것이다.
     3. IP의 부계와 모계 모두 삼각관계에 맞물려 있을 것이다.
     4. IP 모는 오빠의 죽음으로 인한 불안을 아들에게 투사했을 것이다.
     5. IP 모는 여러 번의 상실로 아들과 정서적으로 더욱 융합했을 것이다.

     정답 : []
     정답률 : 18%

56. 후기 가족상담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이론적 기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2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ㄱ, ㄹ
     4. ㄴ, ㄷ
     5. ㄴ, ㄹ

     정답 : []
     정답률 : 6%

57. 가족상담에서 경험적 접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사티어(V. Satir)는 내담자 내면의 정서경험에 접촉하여 변화시킨다.
     2. 내면가족체계치료는 가족원 상호작용에 내재된 깊은 감정을 탐색한다.
     3. 경험적 가족상담에서는 가족을 하나의 체계로 보기보다는 개인들의 집합으로 본다.
     4. 지금-여기에서의 내담자 체험을 강조하고, 가족에 대한 개인의 관여를 통해 변화를 촉진시킨다.
     5. 휘태커(C. Whitaker)는 가족의 변화를 위해 적극적이면서도 강한 지시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14%

58. 다음 상담에서 구조적 가족상담자가 활용한 기법은?(2018년 10월)

    

     1. 합류하기(joining)
     2. 모방하기(mimicking)
     3. 추적하기(tracking)
     4. 균형깨기(unbalancing)
     5. 실연하기(enacting)

     정답 : []
     정답률 : 17%

59. 다음 상담자 진술은 어떤 가족상담기법의 예인가?(2023년 09월)

    

     1. 척도질문
     2. 과정질문
     3. 긴장고조
     4. 예외질문
     5. 자기입장 지키기

     정답 : []
     정답률 : 46%

60. 해결중심 단기 가족상담의 질문기법과 그 예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보람질문: “무엇이 좀 좋아지면 상담을 받은 것이 보람 있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2. 척도질문: “엄마가 여기 있다면, 엄마는 그 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을 몇 점 정도라고 하실까?”
     3. 관계성질문: “어머니는 그 어려운 상황 속에서 어떻게 지금까지 견딜 수 있었습니까?”
     4. 예외질문: “지금까지 생활하면서 문제가 일어나지 않거나 덜 심각한 때는 언제였나요?”
     5. 첫 상담 전 변화에 관한 질문: “처음 상담을 약속했을 때부터 오늘 상담에 오기까지 혹시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3번은 대처질문
[해설작성자 : 유의미]

61. 해결중심 단기 가족상담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022년 10월)
     1. 객관적인 사실과 실재를 믿는 과학적 낙관주의를 기초로 한다.
     2. 문제 상황의 정확한 분석을 중시하므로 전문가가 해결의 방향을 인도한다.
     3. 과거에 관심을 두고 구성원의 원가족 경험을 진단하는데 주력한다.
     4. 비자발적인 방문형 내담자에게는 일반적으로 관찰 과제를 부여한다.
     5. 변화는 삶의 일부로서 불가피하며 계속적으로 일어난다고 가정한다.

     정답 : []
     정답률 : 6%
     <문제 해설>
1. 포스트 모더니즘에 기반을 둠. 즉, 객관적 사실보다는 주관적인 경험과 관점을 존중
2. 문제보다는 해결에 초점을 둠. 내담자는 전문가이면서 조력자 역할을 한다.
3. 과거보다는 현재와 미래 지향적이다.
4. 방문형 내담자는 과제를 주지 말고, 관계 형성을 하도록 한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62. 가족체계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체계는 일정한 규칙에 의해 유지되고 기능한다.
     2. 순환적 인과관계 속에서 증상을 이해하려고 한다.
     3. 체계가 건강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엄격한(rigid) 경계선이 필요하다.
     4. 체계가 변화나 이탈을 거부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의 피드백을 부적(negative) 피드백이라고 한다.
     5. 체계는 상호작용하는 관계에 있는 부분들의 집합으로서, 가족체계는 가족원 개개인의 특성을 합한 것 그 이상이다.

     정답 : []
     정답률 : 24%

63. 보웬(M. Bowen)의 가족상담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정서적 단절은 물리적 단절을 전제한다.
     2. 하위체계 사이의 위계를 변화시켜 재구조화한다.
     3. 분화수준이 높은 사람은 독립적이며 친밀한 관계를 맺지 않는다.
     4. 자기 위치 지키기(I-positioning)는 나 전달법(I-message)과 같은 기법이다.
     5. 출생순위 또는 형제자매 위치가 가족의 정서체계 안에서 특정한 역할과 기능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34%

64. 다음에서 적용된 가족상담 기법은?(2017년 09월)

    

     1. 추적(tracking)
     2. 실연(enactment)
     3. 재정의(reframing)
     4. 기적 질문(miracle question)
     5. 관계성 질문(relationship question)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5. 가족상담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1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19%

66.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목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지금-여기에서 큰 변화를 가져오도록 한다.
     2. 목표는 목적지가 아니라 시작하는 첫 단계이다.
     3. 청소년기 자녀가 '학교에 덜 지각하기'를 목표로 한다.
     4. 상담자가 중요하다고 진단하는 것으로 목표를 정한다.
     5. 부모와 갈등이 많은 자녀가 '가족과 행복하게 살기'를 목표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7. 가족상담의 실제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4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ㄱ, ㄴ,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8.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구조적 가족상담 기법은?(2025년 09월)

    

     1. 모방하기
     2. 실연하기
     3. 추적하기
     4. 유지하기
     5. 경계선 세우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69. 다음에서 가족상담자가 사용한 기법은?(2018년 10월)

    

     1. 행동 형성(behavior shaping)
     2. 증상 처방(symptom prescription)
     3. 긍정적 의미부여(positive connotation)
     4. 보이지 않는 충성심(invisible loyalty)
     5. 치료적 삼각관계(therapeutic triangulation)

     정답 : []
     정답률 : 0%

70. 다음 대화에서 상담자가 시도하고 있는 상담기법은?(2021년 10월)

    

     1. 척도질문
     2. 예외질문
     3. 대처질문
     4. 과정질문
     5. 관계성질문

     정답 : []
     정답률 : 36%

71. 사회구성주의 가족상담모델의 주요 기법을 나열한 것은?(2016년 10월)
     1. 모방, 은유, 정의예식
     2. 가족게임, 가족조각, 회원재구성
     3. 척도질문, 가계도, 스캐폴딩 재저작
     4. 대처질문, 공명하기, 문제의 외재화
     5. 반영팀 치료, 나의 입장 기법, 독특한 결과 입장진술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2. 대처질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4년 10월)
     1. 내담자가 어려움과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고 생존해 왔는지 그리고 희망을 버리지 않고 유지해 올 수 있었는지에 관하여 질문하는 동시에 생존능력을 인정하고 간접적으로 칭찬하는 기법이다.
     2. 내담자들이 이미 효과적인 해결책을 사용하고 강점과 자원을 갖고 있으면서도 의식하지 못할 때 문제보다는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으로 관심을 전환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기법이다.
     3. 내담자가 인식하는 문제의 정도, 해결가능성, 상담의 진척 정도 등을 숫자로 표현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내담자와 중요한 관계에 있는 사람의 생각, 의견, 가치관, 반응 등에 관하여 질문하는 것으로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기법이다.
     5. 한국에서 해결중심모델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명명된 질문으로 상담을 통해 어떤 상태가 되면 보람 있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하는 기법이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3. 다음 사례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족상담 모델과 개입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2020년 10월)

    

     1. 구조적 모델 - 힙합에 관한 순환질문
     2. 이야기치료 모델 - 가족 갈등의 외재화
     3. 경험적 모델 - 가족구성원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4. 다세대 모델 - 부모와 자녀간 정서적 삼각관계 파악
     5. 해결중심 단기 모델 - 문제가 해결된 상황에 대한 기적질문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 순환질문은 전략적 치료 모델 중 밀란 학파의 개념이다.
- 구조적 모델은 경계선을 재정의하거나 하위체계 기능, 동맹과 연합 체계 등이 있다.
[해설작성자 : 민준아비]

74. 다음 가계도에서 IP(Identified Patient)의 가족역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3년 09월)

    

     1. IP는 부와 정서적으로 친밀하다.
     2. IP의 모와 외조모는 갈등관계이다.
     3. IP의 부와 친조모는 밀착된 관계이다.
     4. IP의 외조부모는 정서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5. IP의 조부와 부에게 알코올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정답 : []
     정답률 : 54%

75. 우울감이 있는 영희(중1)는 어머니와 갈등이 심하다. 영희가 초등학교 3학년 때 부모가 이혼하였고, 이후 어머니와 외할머니와 함께 살았는데 6개월 전 외할머니가 돌아가셨다. 영희는 아버지와 한 달에 한 번 정도 만나 왔다. 이 가족의 사례에 대한 체계론적 가족상담 개입 계획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8년 10월)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5. ㄱ, ㄴ, ㄷ

     정답 : []
     정답률 : 8%

76. 학습부진(underachiev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1년 10월)
     1. 학업성취수준이 잠재적 능력에 미치지 못하고 현격하게 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2. 지능수준이 하위 3∼25%에 해당하고 지능지수는 약 75-90 정도에 속하는 학습자를 말한다.
     3.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4. 비효율적인 학습전략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5. 선수 학습의 누적된 결손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정답 : []
     정답률 : 0%

77. 커크와 찰팬트(S. Kirk & J. Chalfant) 등의 학습장애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4년 10월)
     1. 읽기장애는 학업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2. 기억장애는 학업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3. 수학장애는 학업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4. 주의집중 장애, 사고장애는 발달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5. 학습장애를 발달적 학습장애와 학업적 학습장애로 분류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78. 로크와 라뎀(Locke & Lathem)의 목표설정이론에서 동기향상을 위한 조건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9%

79. 학습부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학업성취수준이 잠재적인 능력에 미치지 못하고 현격하게 뒤떨어지는 상태를 가리킨다.
     2. 정상적인 지적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심리환경적 요인에 의해 학업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3. 뇌 기능상에 문제가 있어 정상적인 학업성취를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4. 일시적인 기간에 나타나기도 하고,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기도 한다.
     5. 해당 학년 교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최소 수준의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를 교과학습부진이라고 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0. 리버트와 모리스(Liebert & Morris)가 제안한 시험불안의 인지적 측면인 걱정(worry) 요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10월)
     1. 시험 준비 부족에 대한 염려
     2. 긴장으로 인한 일시적인 기억력 감소
     3. 시험 결과에 대한 염려
     4. 다른 사람들과의 비교의식
     5. 시험에 대한 지속적인 걱정

     정답 : []
     정답률 : 10%

81. 다음과 같은 교사의 반응에서 로젠탈과 제이컵슨(Rosenthal & Jacobson)이 제시한 개념으로 옳은 것은?(2017년 09월)

    

     1. 모델링(modeling)
     2. 행동조성법(behavior shaping)
     3. 지시하기(directives)
     4. 결과기대(outcome expectation)
     5. 자기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2. 와이너(B. Weiner)의 귀인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10월)
     1. 자신의 실패를 내부귀인 할 때보다 외부귀인 할 때 수치심을 더 강하게 느낀다.
     2. 다른 사람이 통제하는 요인에 의해 성공을 방해받을 경우 분노를 느낀다.
     3. 자신의 성공을 외부귀인 할 때 내부귀인 할 때보다 더 자긍심이 높아진다.
     4. 자신의 실패를 통제 가능한 원인으로 탓을 돌릴 때 학습된 무기력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
     5. 수행에 대한 기대는 안정성 차원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0%

83. 댄서로우(D. Dansereau)가 제시한 학습전략의 주전략이 아닌 것은?(2019년 10월)
     1. 이해전략
     2. 파지전략
     3. 회상전략
     4. 사용전략
     5. 동기화전략

     정답 : []
     정답률 : 0%

84. DSM-5-TR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특정학습장애 아동은 정상수준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
     2. 정신지체로 인해 학업성취도가 떨어지는 아동은 특정학습장애에 해당한다.
     3. 지적발달장애로 인해 학력이 지체된 아동은 특정학습장애로 분류된다.
     4. 특정학습장애는 장애 상태에 따라 심각도를 명시하지 않는다.
     5. 특정학습장애 아동은 중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읽기, 말하기, 수학 중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어려움을 보인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5. 효율적인 시간관리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6. 노트필기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16년 10월)

    

     1. ㄱ, ㄴ
     2. ㄷ, ㄹ
     3. ㄱ, ㄴ, ㄷ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문제 해설>
코넬식 노트필기 시스템은 기록, 축약, 암송, 반성, 복습 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87. 앳킨슨과 시프린(Atkinson & Shiffrin)의 이중저장기억 모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감각등록기에서 받아들인 정보는 그대로 사라진다.
     2. 작업기억의 저장 용량은 7±2 단위 정도의 정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이다.
     3. 작업기억에서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청킹(chunking) 등이 있다.
     4. 감각등록기에서 작업기억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시연 등의 인지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5. 장기기억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정보의 심층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0%

88. 영재아의 학습부진 원인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5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89. 인지학습전략 중 다음에 해당하는 초인지 전략은?(2024년 10월)

    

     1. 계획하기
     2. 점검하기
     3. 조절하기
     4. 조직화하기
     5. 정교화하기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0. 테일러(R. Taylor)가 제시한 학습과진아와 비교한 학습부진아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학습과진아에 비해 불안을 더 가지고 있다.
     2. 학습과진아에 비해 자기비판적이고 부적절감을 가지고 있다.
     3. 학습과진아에 비해 부모 및 교사와 비교적 원만한 관계를 유지한다.
     4. 학습과진아에 비해 의존감과 독립의 갈등을 더 겪는다.
     5. 학습과진아는 학업지향적인 반면, 학습부진아는 사회지향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0%

91. 학업 관련 표준화된 심리검사 선정 시 유의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2023년 09월)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 : []
     정답률 : 38%

92. 학습부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개인이 특정한 영역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기대했던 것보다 잘하지 못할 때 쓰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2. 능력과 성취의 편차, 즉 기대되는 학년 수준과 성취된 학년의 차이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학습부진아는 다수의 학습자에게 사용되는 보편적 교재나 교수방법으로는 학습하지 못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4. 학생이 정상적인 지적능력과 잠재적인 능력을 지니면서도, 수락 가능한 최저수준의 학업 성취에 도달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5. 지능검사에서 지능지수 70 이하로 전반적 지적능력이 현저히 정상 이하인 상태이면서, 적응능력에 결함이나 손상이 있고 18세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3. 반두라(A. Bandura)가 제시한 효능감 정보원이 아닌 것은?(2019년 10월)
     1. 성공경험
     2. 생리적ㆍ정서적 상태
     3. 대리적 경험
     4. 귀인의 통제소재
     5. 언어적(사회적) 설득

     정답 : []
     정답률 : 7%

94. DSM-5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의 진단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7년 09월)
     1. 보유한 학습기술이 개인의 생활연령에 비추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양적으로 낮고, 학업 및 직업적 수행 또는 일상생활 활동을 현저히 방해한다.
     2.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 것의 어려움이 적절한 중재를 제공했음에도, 특정 증상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된다.
     3. 개별적으로 실시된 표준화검사에서 읽기, 수학, 쓰기능력이 개인의 생활연령, 측정된 지능 그리고 나이에 적합한 교육에 비해 기대되는 정도보다 현저히 낮다(표준화검사 결과와 지능지수 사이에 2 표준편차 이상 차이가 남).
     4.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기술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하게 드러날 수도 있다.
     5. 학습의 어려움은 지적장애, 교정되지 않은 시력 및 청력의 문제, 다른 정신적 또는 신경학적 장애, 정신사회적 불행, 학습지도사가 해당 언어에 능숙하지 못한 경우, 불충분한 교육적 지도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8%
     <문제 해설>
3번 지문은 국립특수교육원의 학습장애 선별기준이다.
[해설작성자 : 청상이]

95. 캔달과 브라스웰(P. Kendall & L. Braswell)이 제시한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자기교시 훈련 단계로 옳지 않은 것은?(2025년 09월)
     1. 문제 정의 단계: 문제는 무엇인가?
     2. 문제에 대한 접근 단계: 모든 가능한 답을 살펴보자.
     3. 답의 선택 단계: 답을 하나 고르자.
     4. 답의 검토 단계: 답을 검토하자.
     5. 답의 사후관리 단계: 옳은 답인지 평가하자.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96. DSM-5에서 제시한 특정학습장애의 진단 기준으로 옳은 것은?(2019년 10월)
     1. 학습기술을 배우고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된다.
     2. 17세 미만인 경우 학습의 어려움에 대한 과거 병력이 표준화된 평가를 대신할 수 있다.
     3. 학습의 어려움은 학령기에 시작되나 해당 학습 기술을 요구하는 정도가 개인의 능력을 넘어서는 시기가 되어야 분명히 드러날 수도 있다.
     4. 학습의 어려움이 지적장애나 적절한 교육 부족으로 더 잘 설명될 때에도 진단내릴 수 있다.
     5. 학습의 어려움이 최소 3개 이상의 학업기술이나 학업영역에 나타나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10%

97. 수학학습부진 학생 상담 시 ‘247 곱하기 8’과 같은 셈하기에서 다음과 같이 계산하는 내담자의 오류에 대한 분석으로 옳은 것은?(2018년 10월)

    

     1. 7 × 8에서 오류
     2. 일의 자리 계산 후 받아올림을 하지 않음
     3. 자릿수 맞추기 실패
     4. 받아올린 수를 정확하게 더하지 못함
     5. 십의 자리의 4를 40으로 이해하지 못함

     정답 : []
     정답률 : 15%

98. 다음 사례의 시험불안 개입방법으로 옳은 것은?(2023년 09월)

    

     1. 이완훈련
     2. 자기대화하기
     3. 기대가치훈련
     4. 사전학습강화
     5. 부모의 지지

     정답 : []
     정답률 : 34%

99. 발표불안에 대한 개입전략으로 옳지 않은 것은?(2022년 10월)
     1. 내담자의 비합리적이고 왜곡된 사고를 합리적으로 변화시킨다.
     2. 자기 대화하기는 발표 전, 중, 후에 지속적으로 실시한다.
     3. 부모나 교사의 칭찬과 격려를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킨다.
     4. 발표를 반복적으로 연습하게 한다.
     5. 위계적 발표불안 리스트를 작성하여 불안이 가장 높은 단계부터 체계적 둔감법을 실시한다.

     정답 : []
     정답률 : 0%

100.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론을 제시한 학자로 옳은 것은?(2025년 09월)

    

     1. 에임스(C. Ames)
     2. 레닝거(K. Renninger)
     3. 드웩(C. Dweck)
     4. 화이팅(C. Whiting)
     5. 와이너(B. Weiner)

     정답 : []
     정답률 : 알수없음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346474)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66 소방공무원(공개,경력) 영어(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1327703)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65 수능(한국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64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8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63 9급 국가직 공무원 화학공학일반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6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조경계획및생태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61 수능(지구과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741320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6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6월2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9 조주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2월13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8 ERP 회계 2급 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5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7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6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2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5 여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88255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4 금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1월25일(1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834647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2 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1 유통관리사 1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3일)(582999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50 굴착기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30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49 손해평가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2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6948 철도신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8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0
6947 9급 지방직 공무원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6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3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49 Next
/ 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