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공열역학


1. 닫힌계에서 엔탈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단, H는 엔탈피, U는 내부에너지, P는 압력, T는 온도, V는 부피이다.)
     1. H = U + PV로 정의된다.
     2. 경로에 무관한 특성치이다.
     3. 정적과정에서는 엔탈피의 변화로 열량을 나타낸다.
     4. 압력이 일정할 땐, dH=CpdT로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 정적 과정에서는 내부 에너지 변화량을 열량으로 나타낸다.
+) 엔탈비 변화량을 열량으로 나타내는 경우는 정압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2. 27°C, 1atm의 질소 14g을 일정 체적에서 압력이 2배가 되도록 가역적으로 가열하였을 때 엔트로피 변화(△S; cal/K)는? (단, 질소를 이상기체라 가정하고 Cp는 7cal/mol·K이다.)
     1. 1.74
     2. 3.48
     3. -1.74
     4. -3.48

     정답 : []
     정답률 : 47%

3. 100atm, 40°C의 기체가 조름공정으로 1atm까지 급격하게 팽창하였을 때, 이 기체의 온도(K)는? (단, Joule-Thomson coefficient(μ; K/atm)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고 한다.)

   

     1. 426
     2. 331
     3. 294
     4. 250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줄 톰슨 계수 : 엔탈피가 일정한 과정에서 압력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계수
1) 줄 톰슨 계수를 P에 대하여 적분한다. (P1=100atm, P2=1atm)
2) 1)의 계산값 = (T2-313K)을 푼다,
3) T2=294K
+) 줄 톰슨 팽창 : 엔탈피가 일정한 팽창.
[해설작성자 : 금쪽이]

4. 압축 또는 팽창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내용은? (단, 하첨자 S는 등엔트로피를 의미한다.)
     1. 압축기의 효율은 로 나타낸다.
     2. 노즐에서 에너지수지식은 WS=-△H이다.
     3. 터빈에서 에너지수지식은 이다.
     4. 조름공정에서 에너지수지식은 dH=-udu 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 노즐의 에너지수지식 : △H + △KE = 0
3 > 터빈의 에너지수지식 : Ws = △H
4 > 조름 공정의 에너지수지식 : △H = 0
[해설작성자 : 금쪽이]

5. 엔트로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엔트로피는 혼돈도(randomness)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2. 융점에서 고체가 액화될 때의 엔트로피 변화는 로 표시할 수 있다.
     3. T = 0K에서의 엔트로피는 1이다.
     4. 엔트로피 감소는 질서도(orderliness)의 증가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 T=0K에서 엔트로피의 값은 0이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6. 과잉깁스에너지 모델 중에서 국부조성 (local composition) 개념에 기초한 모델이 아닌 것은?
     1. 윌슨(Wilson) 모델
     2. 반라르(van Laar) 모델
     3. NRTL(Non-Randm-Two-Liquid) 모델
     4. UNIQUAC(UNIversal QUAsi-Chemical) 모델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국부 조성- 윌슨모델, NTRL, UNIQUAC 모델
[해설작성자 : 취직원해요]

과잉깁스모델 : Redlich/Kister equation, Margules equation, van Laar equation (반라르가 포함)

하지만 문제는 과잉깁스에너지 모델 중 ~ 국부조선 모델(개념)을 묻는 것 이라
국부조성에는 월슨, NRTL, UNIQUAC 이 있어서 반라르 모델 2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럭키비키장박사]

7. 두 절대온도 T1, T2(T1<T2)사이에서 운전하는 엔진의 효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역과정인 경우 열효율이 최대가 된다.
     2. 가역과정인 경우 열효율은 (T2-T1)/T2 이다.
     3. 비가역 과정인 경우 열효율은 (T2-T1)/T2 보다 크다.
     4. T1이 0K인 경우 열효율은 100%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비가역과정의 열효율은 가역과정인 경우보다 작다.
[해설작성자 : 구씨]

8. 평형상수에 대한 편도함수가 로 표시되는 화학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흡열반응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K값은 커진다.
     2. 발열반응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K값은 커진다.
     3. 흡열반응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K값은 작아진다.
     4. 발열반응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K값은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dlnK/dT = 엔탈피 변화량/RT^2
[해설작성자 : 금쪽이]

9. 과잉깁스에너지(GE)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면 활동도계수(γ)에 대한 표현으로 옳은 것은? (단, R은 이상기체상수, T는 온도. B, C는 상수, χ는 액상 몰분율, 하첨자는 성분 1과 2에 대한 값임을 의미한다.)

   

     1. lnγ1 = Bχ12
     2. lnγ1 = Bχ22
     3. lnγ1 = Bχ12 + C
     4. lnγ1 = Bχ22 + C

     정답 : []
     정답률 : 58%

10. 세기성질(intensive property)이 아닌 것은?
     1. 일(work)
     2. 비용적(specific volume)
     3. 몰 열용량(molar heat capacity)
     4. 몰 내부 에너지 (molar internal energy)

     정답 : []
     정답률 : 77%

11. 액체로부터 증기로 바뀌는 정압 경로를 밟는 순수한 물질에 대한 깁스 자유에너지(G)와 절대온도(T)의 그래프를 옳게 표시된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 > 엔트로피(y축)와 절대온도(x축)의 그래프
[해설작성자 : 금쪽이]

12. 어떤 실제기체의 실제상태에서 가지는 열역학적 특성치와 이상상태에서 가지는 열역학적 특성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는?
     1. 부분성질(Partial property)
     2. 과잉성질(excess property)
     3. 시강성질(intensive property)
     4. 잔류성질(residual property)

     정답 : []
     정답률 : 68%

13. 240kPa에서 어떤 액체의 상태량이 Vr는 0.00177m3/kg, Vg는 0.105m3/kg, Hr는 181kJ/kg, Hg는 496kJ/kg일 때, 이 압력에서의 Ufg(kJ/kg)는? (단, V는 비체적, U는 내부에너지, H는 엔탈피, 하첨자 f는 포화액, g는 건포화증기를 나타내고 Ufg는 Ug - Ur를 의미한다.)
     1. 24.8
     2. 290.2
     3. 315.0
     4. 339.8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H = U + PV > U = H - PV
U(fg) = H(fg) - P * V(fg)
[해설작성자 : 금쪽이]

14. 역 카르노사이클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 사이클의 성능계수를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T1에서 열이 방출되고 T2에서 열이 흡수된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성능계수COP=Q/W=QL/(QH-QL)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액상반응의 평형상수(K)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P는 압력, vi는 성분 i의 양론 수(stoichiometric number), R은 이상기체상수, T는 온도, xi는 성분 i의 액상 몰분률, yi는 성분 i의 기상 몰분률, 는 표준상태에서의 순수한 액체 i의 퓨개시티, 는 용액 중 성분 i의 퓨개시티이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16. 실제기체가 이상기체상태에 가장 가까울 때의 압력, 온도 조건은?
     1. 고압저온
     2. 고압고온
     3. 저압저온
     4. 저압고온

     정답 : []
     정답률 : 74%

17. 열역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순수한 물질의 임계점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는 한 개의 상을 이루게 된다.
     2. 동일한 이심인자를 갖는 모든 유체는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거의 동일한 Z값을 가진다.
     3. 비리얼(Virial) 상태방정식의 순수한 물질에 대한 비리얼 계수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4.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태방정식은 기/액 평형상태에서 임계점을 제외하고 3개의 부피 해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 동일한 이심인자를 갖는 모든 유체는 같은 "환산온도", "환산압력"에서 거의 동일한 Z값을 가지며, 이상기체 거동에서 벗어나는 정도도 거의 같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18. 1atm, 90°C, 2성분계(벤젠-톨루엔) 기액평형에서 액상 벤젠의 조성은? (단, 벤젠, 톨루엔의 포화증기압은 각각 1.34, 0.53atm이다.)
     1. 1.34
     2. 0.58
     3. 0.53
     4. 0.42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 1.34 * x + 0.53 * (1-x)
[해설작성자 : 금쪽이]

19. 1540°F와 440°F 사이에서 작동하고 있는 카르노 사이클 열기관(Carnot cycle heat engine)의 효율은?
     1. 29%
     2. 35%
     3. 45%
     4. 55%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화씨 온도 - 32) * 100/180 = 섭씨 온도
[해설작성자 : 금쪽이]

(TH-TL)/TH
캘빈온도
[해설작성자 : 정졔]

20. 이상기체와 관계가 없는 것은? (단, Z는 압축인자이다.)
     1. Z = 1이다.
     2.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3. PV = RT가 성립한다.
     4. 엔탈피는 압력과 온도의 함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와 엔탈피는 온도만의 함수입니다.
이상기체의 조건이 아닐 경우, 엔탈피는 압력과 온도의 함수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2과목 : 단위조작 및 화학공업양론


21.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태 방정식의 상수 a, b와 임계온도(Tc) 및 임계압력(Pc)와의 관계를 잘못 표현한 것은? (단, R은 기체상수이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임계조건
1) Tc가 일정할 때, 압력을 부피에 대하여 미분하면 0이다.
2) Tc가 일정할 때, 압력을 부피에 대하여 두 번 미분하면 0이다.

Vc=3b, Pc=a/27b^2, Tc=8a/27bR
a=27R^2Tc^2/64Pc, b=1/3*Vc

이걸 다 외우기는 너무 복잡하고, 헷갈리면 외워도 틀리는 거니까..
반데르발스 상태방정식을 외워서 P에 대하여 정리한 다음 한 번, 두 번 미분하여 구하는 것이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아 물론, 버려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ㅎㅎ..
[해설작성자 : 금쪽이]

22. 동일한 압력에서 어떤 물질의 온도가 dew point보다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1. 포화
     2. 과열
     3. 과냉각
     4. 임계

     정답 : []
     정답률 : 72%

23. 20L/min의 물이 그림과 같은 원관에 흐를 때 ⓐ지점에서 요구되는 압력(kPa)은? (단, 마찰손실은 무시하며, D는 관의 내경, P는 압력, h는 높이를 의미한다.)

    

     1. 45
     2. 202
     3. 456
     4. 742

     정답 : []
     정답률 : 45%

24. 20wt% 메탄올 수용액에 10wt% 메탄올 수용액을 섞어 17wt% 메탄올 수용액을 만들었다. 이 때 20wt% 메탄올 수용액에 대한 17wt% 메탄올 수용액의 질량비는?
     1. 1.43
     2. 2.72
     3. 3.85
     4. 4.86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wt%=용질/용매+용질x100
20wt% 메탄올 수용액의 질량=a
10wt% 메탄올 수용액의 질량=b
17wt% 메탄올 수용액의 질량=a+b
20a+10b=17(a+b)
그러므로 3a=7b
a=7, b=3
a+b=10, a=7
a+b:a=10:7
10/7=1.42857...
반올림해서 1.43
[해설작성자 : 취직원해요]

25. 그림과 같은 공정에서 물질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측정해야 할 최소한의 변수는? (단, A, B, C는 성분을 나타내고 F와 P는 3성분계, W흐름은 2성분계이다.)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모르는 변수는 흐름량 3 + 몰분율 8.
물질수지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독립적인 식은 각 성분의 유입량=유출량 식으로 3개, 몰분율의 합은 1이라는 것에서 3개.
그러므로 3+8-3-3=5.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pkm]

26. 몰 증발잠열을 구할 수 있는 방법 중 2가지 물질의 증기압을 동일 온도에서 비교하여 대수좌표에 나타낸 것은?
     1. Cox 선도
     2. Duhring 도표
     3. Othmer 도표
     4. Watson 도표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 Cox 선도 : 액체의 증기압과 온도와의 관계를 직선상으로 나타내는 선도
2 > Duhring 도표 : 일정 농도에서 용액의 비점과 용매의 비점을 플롯하면 동일한 직선이 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27. 석유제품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중단위로 많은 석유제품이 10~70° 범위에 들도록 설계된 것은?
     1. Baume
     2. API
     3. Twaddell도
     4. 표준비중

     정답 : []
     정답률 : 74%

28. 어떤 기체혼합물의 성분 분석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기체의 평균 분자량은?

    

     1. 18.6
     2. 17.4
     3. 7.4
     4. 6.0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6×0.8 + 30×0.12 + 28×0.08 = 18.64
[해설작성자 : 랑이]

29. 표준대기압에서 압력게이지로 압력을 측정하였을 때 20psi였다면 절대압(psi)은?
     1. 14.7
     2. 34.7
     3. 55.7
     4. 65.7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절대압=대기압+게이지압
P = 14.7psi + 20psi = 34.7psi
[해설작성자 : 랑이]

30. Methyl acetate가 다음 반응식과 같이 고압촉매 반응에 의하여 합성될 때, 이 반응의 표준반응열(kcal/mol)은? (단, 표준연소열은 CO(g)가 -67.6kcal/mol, CH3COOCH3(g)는 -397.5 kcal/mol, CH3OCH3(g)는 -348.8 kcal/mol이다.)

    

     1. 814
     2. 28.9
     3. -614
     4. -18.9

     정답 : []
     정답률 : 71%

31. 분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종 입자의 크기가 중요하다.
     2. 최초 입자의 크기는 무관하다.
     3. 파쇄물질의 종류도 분쇄동력의 계산에 관계된다.
     4. 파쇄기 소요일량은 분쇄되어 생성되는 표면적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32. 벽의 두께가 100mm인 물질의 양 표면의 온도가 각각 t1=300°C, t2=30°C일 때, 이 벽을 통한 열손실(flux; kcal/m2·h)은? (단, 벽의 평균 열전도도는 0.02kcal/m·h·°C이다.)
     1. 29
     2. 54
     3. 81
     4. 108

     정답 : []
     정답률 : 68%

33. 추제(solvent)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선택도가 클 것
     2. 회수가 용이할 것
     3. 화학결합력이 클 것
     4. 가격이 저렴할 것

     정답 : []
     정답률 : 76%

34. 다음 무차원군 중 밀도와 관계없는 것은?
     1. 그라스호프(Grashof) 수
     2. 레이놀즈(Reynolds) 수
     3. 슈미트(Schmidt) 수
     4. 너셀(Nusselt) 수

     정답 : []
     정답률 : 70%

35. 액체와 비교한 초임계유체의 성질로서 틀린 것은?
     1. 밀도가 크다.
     2. 점도가 낮다.
     3. 고압이 필요하다.
     4. 용질의 확산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초임계 유체
1) 일정한 고압, 고온의 한계를 넘어선 상태에 도달하여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다. > 액체보다 고압이 필요하다.
2) 분자의 밀도는 액체에 가깝고, 점도는 낮아 기체에 가깝다.
3) 확산이 빨라 열전도성이 높아 화학반응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36. 흡수용액으로부터 기체를 탈거(stripping) 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좋은 조건을 위해 온도와 압력을 높여야 한다.
     2. 액체와 기체가 맞흐름을 갖는 탑에서 이루어진다.
     3. 탈거매체로는 수중기나 불활성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4. 용질의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단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37. 낮은 온도에서 증발이 가능해서 증기의 경제적 이용이 가능하고 과즙, 젤라틴 등과 같이 열에 민감한 물질을 처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다중효용 증발
     2. 고압 증발
     3. 진공 증발
     4. 압축 증발

     정답 : []
     정답률 : 73%

38. 용액의 증기압 곡선을 나타낸 도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γ는 활동도계수이다.)

    

     1. (a)는 γab=1 로서 휘발도는 정규상태이다.
     2. (b)는 γa<1, γb<1 로서 휘발도가 정규상태보다 비정상적으로 낮다.
     3. (a)는 벤젠-톨루엔계 및 메탄-에탄계와 같이 두 물질의 구조가 비슷하여 동종분자간 인력이 이종분자간 인력과 비슷할 경우에 나타난다.
     4. (b)는 물-에탄올계, 에탄올-벤젠계 및 아세톤-CS2계가 이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39. 유체가 난류(Re>30000)로 흐르고 있는 오리피스 유량계에 사염화탄소(비중 1.6) 마노미터를 설치하여 50cm의 읽음값을 얻었다. 유체비중이 0.8일 때,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은(m/s)? (단, 오리피스 계수는 0.61이다.)
     1. 1.91
     2. 4.25
     3. 12.1
     4. 15.2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N(Re)>30,0000이면
1) C(0)(= 오리피스 계수) = 0.61, 2) m(= 개구비) = 0
[해설작성자 : 금쪽이]

40. 건조특성곡선 상 정속기간이 끝나는 점은?
     1. 수축(shrink) 함수율
     2. 자유(free) 함수율
     3. 임계(critical) 함수율
     4. 평형(equilibrium) 함수율

     정답 : []
     정답률 : 69%

3과목 : 공정제어


41. 현장에서 PI제어기를 시행착오를 통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아래와 같다. 이 방법을 G(s)= 1/(s+1)3 인 공정에 적용하여 1단계 수행 결과 제어기 이득이 4일 때, 페루프가 불안정해지기 시작하는 적분상수는?

    

     1. 0.17
     2. 0.56
     3. 2
     4. 2.4

     정답 : []
     정답률 : 38%

42. 비선형계에 해당하는 것은?
     1. 0차 반응이 일어나는 혼합 반응기
     2. 1차 반응이 일어나는 혼합 반응기
     3. 2차 반응이 일어나는 혼합 반응기
     4. 화학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혼합조

     정답 : []
     정답률 : 67%

43. 사람이 차를 운전하는 경우 신호등을 보고 우회전하는 것을 공정 제어계와 비교해 볼 때 최종 조작변수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은?
     1. 사람의 손
     2. 사람의 눈
     3. 사람의 두뇌
     4. 사람의 가슴

     정답 : []
     정답률 : 74%

44. 블록선도의 전달함수( )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45. 전달함수가 (5s+1)/(2s+1) 인 장치에 크기가 2인 계단입력이 들어 왔을 때의 시간에 따른 응답은?
     1. 2-3e-t/2
     2. 2+3e-t/2
     3. 2+3e-2t
     4. 2-3e-2t

     정답 : []
     정답률 : 55%

46. 1차 공정의 Nyquist 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yquist 선도는 반원을 형성한다.
     2. 출발점 좌표의 실수값은 공정의 정상상태이득과 같다.
     3. 주파수의 증가에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진행한다.
     4. 원점에서 Nyquist선상의 각 점까지의 거리는 진폭비(Amplitude ratio)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54%

47. 에서 ω가 아주 작을 때 즉, ω→0일 때의 위상각은?
     1. -90°
     2.
     3. +90°
     4. +18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위상, 복소수의 계산 성질을 물어보는 문제.

1. 먼저, 분자 10(jw+5)의 w->0 일때 위상을 구하자면,
복소수 z = x+jy 일때 위상각 θ=tan−1(y/x) 이므로, θ=tan−1(0/5​) = 0

2. 다음으로 분모 jw(jw+1)(jw+2)의 위상을 구해자면,
jw는 w->0일때 +90' 이다.
복소평면상에서 놓고 볼 때, 실수가 0이고 w>0이기 때문에, 양의 실수축을 기준으로 양의 허수축과의 이루는 각이 +90'이기 때문.

그런데 궁금하다, 왜 w->0- 는 고려하지 않는가?
보드선도에서 주파수를 정의할 때, 관습적으로 ω ≥ 0 라고 가정한다. 그래서 w -> 0- 는 고려하지 않은 것.

3. 그다음 jw+1, jw+2는 실수부가 1, 2기 때문에 w->0 인tan-1(y/x)에 의해 0
(만약 실수부 또한 0+에 수렴하는 값이었다면 90'일 수 있다)

4. 분모의 계산을 계속하자면, 복소수 곱셈의 성질을 알아야한다. 복소수는 항상 크기 magnitude와 위상 phase를 갖는다.
크기는 곱셈, 위상은 덧셈으로 계산해야한다.
|G(jw)| 는 곱해진 항을 곱셈으로 계산해야하고
∠G(jω) 는 곱해진 항을 덧셈으로 계산해야 한다.

Thus, 분모는 ∠(jω)+∠(1/(jw+1)​+∠1/(jw+2)​ when w->0        = 90' + tan-1(0/1) + tan-1(0/2) = 90' + 0 + 0 = 90'

5. 전달함수 G(jw)는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복소함수. 따라서 w가 주어지면 복소수값을 갖는다. 평면상 벡터라고도 할 수 있는 이 값은 크기와 위상으로 나누어지고, 문제는 이 위상을 구하라는 것.

복소수의 나누기는 뺼셈으로 구하는 특징이 있다.
Thus, 1번에서 구한 0 - 2번에서 구한 90' = -90'
[해설작성자 : 페랄타]

48. 시간 상수가 1min이고 이득(gain)이 1인 1차계의 단위응답이 최종치의 10%로부터 최종치의 90%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rise time; tr, min)은?
     1. 2.20
     2. 1.01
     3. 0.83
     4. 0.21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τ=1min, K=1 이므로 G(s) = 1/(s+1)
단위응답 가했다고 했으니까 Y(s) = 1/(s+1) * 1/s = 1/s - 1/(s+1)
라플라스 정리 해주면 y(t) = 1-exp(-t)
최종치의 10% : 0.1 = 1 - exp(-t), 따라서 t = 0.105min
최종치의 90% : 0.9 = 1 - exp(-t), 따라서 t = 2.3min
걸린 시간 = 2.3-0.105 = 2.2mi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아래의 제어계와 동일한 총괄전달함수를 갖는 블록선도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제어계) 1/G * G/(1+G*1) = 1/(1+G)
1) G
2) 1/G
3) 1/(1+G)
4) 1/(1+1*(1/G)) = 1/(1+1/G)
[해설작성자 : 도비 원트 프리]

50. 전달함수 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 극점(pole)은 -1,-0.5, -1/3이다.
     2. 영점(zero)은 1/0.2, -1/0.1 이다.
     3. 전달함수는 안정하다.
     4. 전달함수의 역수 전달함수는 안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51. 물리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계는? (단, x는 입력변수, y는 출력변수이고 θ>0이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물리적으로 실현 가능한가? = 전달함수에서 분자차수 <분모차수 인가?

분자의 차수가 더 커버리면, 고주파 입력을 했을 때 출력이 무한히 커지게 된다. 낮은 주파수는 몰라도 조금만 커지면 회로 소자의 한계때문에 실현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자면, G(s) = s 식에서 w->infinite 일 때, 주파수응답의 크기 |G(jw)| = w, 무한이 된다. 현실에선 무한대의 에너지를 낼 수 없으니 불가능.
Thus, 물리적으로 실현 불가능 = 분자차수가 분모차수보다 큰 system의 전달함수

이제 선택지의 미분식을 라플라스 변환으로 바꾸어 대수식으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라플라스 기본식에서,
L{dx/dt​} = sX(s)
L{x(t-θ)}=e^−θs * X(s)

1. Y(s)=sX(s)+X(s)=(s+1)X(s), G(s)=s+1    ------- 분모차수가 낮음
2. sY(s)=e^−θs * X(s), G(s)= e^−θs / s    ----- 분모차수가 높음
3. (s+1)Y(s) = X(s), G(s)= 1/(s+1) ------------ 분모차수가 높음
4. (s^2 +1)*Y(s) = X(s), G(s)= 1/(s^2 +1) ----- 분모차수가 높음
[해설작성자 : 페랄타]

52. 2차계의 전달함수가 아래와 같을 때 시간상수(τ)와 제동계수(damping ratio; ζ)는?

    

     1. τ=1, ζ=0.4
     2. τ=1, ζ=0.6
     3. τ=3, ζ=0.4
     4. τ=3, ζ=0.6

     정답 : []
     정답률 : 60%

53. PID제어기의 작동식이 아래와 같을 때 다음 중 틀린 설명은?

    

     1. ps값은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변환되는 시점에서의 제어기 출력값이다.
     2. 적분동작에서 적분은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변환될 때 시작된다.
     3. 적분동작에서 적분은 자동모드에서 수동모드로 전환될 때 중지된다.
     4. 오차 절대값이 증가하다 감소하면 적분동작 절대값도 증가하다 감소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오차값을 누적하는 적분항에서 오차 절대값의 합산을 적분동작의 합산이 항상 같을리가 없다.
EX) 1,2,4,3,2 오차가 나왔을때, 1,3,7,10,12 적분항은 증가할것
[해설작성자 : 페랄타]

54. 아래와 같은 제어계에서 블록선도에서 T' R(s)가 1/s일 때, 서보(servo) 문제의 정상상태 잔류편차(offset)는?

    

     1. 0.133
     2. 0.167
     3. 0.189
     4. 0.213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오프셋 = 정상상태 오차 = Ess
=입력한게 목표값에 도달했을 때, 실제 출력이 목표한 값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
=시스템이 안정된 뒤에도 남아있는 오차의 값
ex) 자동차 목표속도는 100km/h 라고 쓰여있어도 실제 엔진과 시스템 한계로 인해 96km/h 정도 나와서 4km의 offset 때문 속도단속 안걸림

T'R 시스템 입력이 단위계단입력이므로, 목표값은 1

실제값은 lim s (1/s) * (1/(1+G(s)) = 1/(1+G(0)) = 1/(1+5) = 0.167
[해설작성자 : 페랄타]

55. 의 계단응답 (Step Response)에 대해 옳게 설명한 것은?
     1. 계단입력을 적용하자 곧바로 출력이 초기치에서 움직이기 시작하여 1로 진동하면서 수렴한다.
     2. 계단입력을 적용하자 곧바로 출력이 초기치에서 움직이기 시작하여 진동하지 않으면서 발산한다.
     3. 계단입력에 대해 시간이 3만큼 지난 후 진동하지 않고 발산한다.
     4. 계단입력에 대해 진동하면서 발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56. 제어 결과로 항상 cycling이 나타나는 제어기는?
     1. 비례 제어기
     2. 비례-미분 제어기
     3. 비례-적분 제어기
     4. on-off 제어기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Cycling : 오차가 기준값을 오버해서 on/off로 바뀌는 제어 방식. on/off 반복하게 하는 동작이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57. 임계진동 시 공정입력이 u(t)=sin(πt), 공정출력이 y(t)=-6sin(πt)인 어떤 PID제어계에 Ziegler-Nichols 튜닝룰을 적용할 때, 제어기의 비례이득(KC), 적분시간(τI), 미분시간(τD)은? (단, Ku와 Pu는 각각 최대이득과 최종주기를 의미하며, Ziegler-Nichols 튜닝룰에서 비례이득(KC)=0.6Ku, 적분시간(τI)=Pu/2, 미분시간(τD)=Pu/8이다.)
     1. KC=3.6, τI=1, τD=0.25
     2. KC=0.1, τI=1, τD=0.25
     3. KC=3.6, τI=π/2, τD=π/8
     4. KC=0.1, τI=π/2, τD=π/8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ZN튜닝: PID 제어기의 계수를 대충 빨리 구하는법
1. 미분적분 없이 P제어만 두고 이득을 키워 임계진동 유도
2. 이때 임계이득 Ku, 주기 Pu 적어놓고
3. 공식에 넣어서 제어기비례이득(Kc), 적분시간(tau_I), 미분시간(tau_D) 때려맞추기
*. 공식 Kc = 0.6Ku // tau_I = Pu/2 // tau_D = Pu/8

1. Kc
일반적으로 이득 K = 출력/입력
문제에서,
입력 u(t)=sin(pi t) -> 출력 y(t)=-6sin(pi t)
이 말은, 진폭이 6이고 마이너스 부호로 인해 출력과 입력이 180' 차이가 나는 상황.
Thus, 임계이득 = 1/출력이득 = 1/6 = 0.167
문제 및 ZN공식에 의해 0.6 * 0.167 = around 1


2. 주기 tau
u(t) = sin(pi t) 이므로, 주기 Pu = 2pi / pi = 2
[해설작성자 : 페랄타]

58. 과소감쇠진동공정(underdamped process)의 전달함수를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1%

59. 탑상에서 고순도 제품을 생산하는 증류탑의 탑상 흐름의 조성을 온도로부터 추론(inferential) 제어하고자 한다. 이때 맨위 단보다 몇 단 아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응축기의 영향으로 맨위 단에서는 다른 단에 비하여 응축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2. 제품의 조성에 변화가 일어나도 맨위 단의 온도 변화는 다른 단에 비하여 매우 작기 때문에
     3. 맨위 단은 다른 단에 비하여 공정 유체가 넘치거나(flooding) 방울져 떨어지기(weeping) 때문에
     4. 운전 조건의 변화 등에 의하여 맨위 단은 다른 단에 비하여 온도는 변동(fluctuation)이 심하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57%

60. Bode선도를 이용한 안정성 판별법 중 틀린 것은?
     1.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Phase crossover frequency)에서 AR은 1보다 작아야 안정하다.
     2. 이득여유(Gain Margin)는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AR의 역수이다.
     3. 이득여유가 클수록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Gain crossover frequency)에서 위상각은 -180도에 접근한다.
     4.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Gain crossover frequency)에서 위상각은 -180도보다 커야 안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이득여유 GM이 크다 = 안정성이 높다.
-180'에 도달하려면 멀었다는 소리다.
Thus, 위상각은 -180'에 접근하기 보다는 -140, -120 등 더 높을것이다.
(-180'가 기준인 이유는 복소수 관점에서 보는건데, 그냥 암기가 편하다)


Bode plot
1930년대 미국에서 전화기 연구하던 Bell 연구소의 전자공학자가 개발
주파수 응답 분석 방법이 필요해서 고안해 낸 로그스케일 표현 방법
계산이 쉽고 직관적이다는 평가
그전에 개념적 기반이던 GM과 PM의 개념을 도입-정착시켰다.

의의
로그스케일이기 때문에, 저~고주파 표현 가능
기울기 변화 파악 용이
GM PM 한눈에 확인
단점으로는, 시간영역 특성, 예를들면 과도응답 등을 파악 불가

주파수가 올라갈 때, 시스템이 얼마나 증폭감쇄하고 지연되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두가지 곡선이 있다.
1. Magnitude plot : log vs log
2. Phase plot : degree vs log

***Nyquist 선도로는 안되나?***
더 직관적이라는 평가. 두가지 측면
1. 이득여유 gain margin : 위상 -180'에서 1/AR. 0기준 진폭이 얼마나 작은가?
2. 위상여유 phase margin : 0dB 지점의 주파수에서, 위상 -180'까지 얼마나 남았는가?

크로스오버 주파수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 gain crossover w : 시스템 증폭, Amplitude ration가 1일때의 주파수 (입출력 동일한 경우의 주파수를 의미)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 phase crossover w : 시스템의 위상 phase가 -180' 일때의 주파수 (출력이 입력 반대방향인 경우의 주파수를 의미)

안정하려면?
1.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위상각 phase > -180' 이면 안정
2.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시스템 증폭 Amplitude Ration < 1 이면 안정
[해설작성자 : 페랄타]

4과목 : 공업화학


61. n형 반도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Cu2O, CoO
     2. TiO2, Ag2O
     3. Ag2O, SnO2
     4. SnO2, CuO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P형 반도체 : NiO, CoO, Ag2O
N형 반도체 : ZnO, TiO2, Fe2O3, SnO2, CuO
[해설작성자 : 금쪽이]

62. 합성염산 제조 시 원료기체인 H2와 Cl2는 어떻게 제조하여 사용하는가?
     1. 공기의 액화
     2. 소금물의 전해
     3. 염화물의 치환법
     4. 공기의 아크방전법

     정답 : []
     정답률 : 73%

63. 20wt%의 HNO3 용액 1000kg을 55wt% 용액으로 농축하였을 때 증발된 수분의 양(kg)은?
     1. 334
     2. 550
     3. 636
     4. 80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0wt%=HNO3 200kg / 용액 1000kg -> 물 800kg
55wt%=HNO3 200kg / 용액 (200+x)kg -> 물 x kg
55={200/(200+x)}×100
x=163.64
증발된 수분의 양(kg)=800-163.64=636.36
[해설작성자 : 지구미 1호]

64. 레페(Reppe) 합성반응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알킬화 반응
     2. 비닐화반응
     3. 고리화 반응
     4. 카르보닐화 반응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세틸렌 > Reppe 합성반응
1. 비닐화 : 아세틸렌 + 메틸알코올
2. 에티닐화 : 아세틸렌 + 포름알데히드
3. 카르보닐화 : 아세틸렌 + 일산화탄소 + R-OH
4. 고리화(환화중합) : 4 아세틸렌
[해설작성자 : 금쪽이]

65. Nylon 6 합성 섬유의 원료는?
     1. Caprolactam
     2. Hexamethylene diamine
     3. Hexamethylene triamine
     4. Hexamethylene tetraamine

     정답 : []
     정답률 : 63%

66. 나프타를 열분해(Thermal cracking) 시킬 때 주로 생성되는 물질로 거리가 먼 것은?
     1. 에틸렌
     2. 벤젠
     3. 프로필렌
     4. 메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NCC 주생성물 : C1+C2+C3
부생성물 : 열분해유(C4 Raffinate + BT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열분해 -> single bond는 못버티고, double bonds가 생겨 버틴다

메탄은 부생성물로, 별로 없긴해도 있음

벤젠같은 aromatics는 BTX 공정이 주로 정답
BTX = Benzene, Toluene, Xylene 방향족 탄화수소 3종세트
[해설작성자 : 페랄타]

67. 페놀의 공업적 제조 방법 중에서 페놀과 부산물로 아세톤이 생성되는 합성법은?
     1. Raschig법
     2. Cumene법
     3. Dow법
     4. Toluene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Cumene = isopropylbenzene
산촉매로 분해시켜 phenol + acetone 생성되는 방법
[해설작성자 : 페랄타]

68. 요소비료 제조방법 중 카바메이트 순환방식의 제조방법으로 약 210°C, 400atm의 비교적 고온, 고압에서 반응시키는 것은?
     1. IG법
     2. Inventa법
     3. Du Pont법
     4. CCC법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요소비료 제조공정 중 순환법
1. C.C.C.법(Chemico 공정) : 모노에탄올아민으로 미반응 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고 분리된 암모니아를 압축순환시키는 방법
2. Inventa Process : 미반응 암모니아를 질산암모늄 용액에 흡수·분리하여 순환시키는 방법
3. Dupont Process
4. Pechiney 공정 : 카바민산암모늄을 분리하여 광유에 흡수시킨 후 암모늄카바메이트의 작은 입자가 현탁하는 슬러리로 만들어 반응관에 재순환시키는 방법
[해설작성자 : 금쪽이]

69. Cu | CuSO4(0.05M), HgSO4(s) | Hg 전지의 기전력은 25°C에서 0.418V이다. 이 전지의 자유에너지(kcal) 변화량은?
     1. -9.65
     2. -19.3
     3. 9.65
     4. 19.3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G = - nFE
n : 주고 받은 전자의 수 (같아야 함) > Cu 2+, Hg 2+ > 2
F = 96,500 C/mol = 96,500 J/V mol (1 cal = 4.184 J)
E = 0.418 V
△G = - n F E = -1 * 2 * (96,500 * 1/4.184) * 0.418
[해설작성자 : 금쪽이]

Electromotive force, Gibbs free E 관계식은 유명하다
ΔG=−nFE, F=페러데이 상수 23, n=이동하는 전자의 수

무슨 전자가 이동하느느냐?
Cu -> Cu2+ + 2e-
Hg2+ + 2e- -> Hg
전자가 2개 이동하고 있다

Thus, ΔG= - x 2 x 23 x 0.418 = -19.228
[해설작성자 : 페랄타]

70.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NO2가 많이 결합할수록 꿇는점이 낮아진다.
     2. 일반적으로 니트로기가 많을수록 폭발성이 강하다.
     3. 환원되어 아민이 된다.
     4. 의약품 생산에 응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71. 98wt% H2SO4 용액 중 SO3의 비율(wt%)은?
     1. 55
     2. 60
     3. 75
     4. 8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0.98×(so3분자량÷전체 분자량)= 0.98÷50×40=78.4    (약 80)
[해설작성자 : 문어]

이문제는 때려맞출 수 있지만, 논리적으로 애매르쏭하다.
H2SO4(sol) 이 '관습적으로' SO3(sol) + H2O 형태로 표현한다는 것을 알아야 이해가 간다.

SO3, sulfur trioxide는 실온에서 투명한 크리스탈로, 물에 넣으면 폭발적으로 반응하며 열을 내면서 H2SO4로 존재하게 된다.
수용액 상에서는 SO3 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모두 H2SO4로 변하는 것이지만, 조성 계산 편의상 SO3 기준으로 환산하라는 문제인 것.
[해설작성자 : 페랄타]

72. 중과린산석회의 합성반응은?
     1. Ca3(PO4)2 + 2H2SO4 + 5H2O ⇆ CaH4(PO4)2·H2O + 2[CaSO4·2H2O]
     2. Ca3(PO4)2 + 4H3PO4 + 3H2O ⇆ 3[CaH4(PO4)2·H2O]
     3. Ca3(PO4)2 + 4HCl ⇆ CaH4(PO4)2 + 2CaCl2
     4. CaH4(PO4)2 + NH3 ⇆ NH4H2PO4 + CaHPO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 인광석을 "황산"분해시켜 "과린산석회" 제조
2 > 인광석을 "인산"분해시켜 "중과린산석회" 제조
[해설작성자 : 금쪽이]

73. 암모니아 함수의 탄산화 공정에서 주로 생성되는 물질은?
     1. NaCl
     2. NaHCO3
     3. Na2CO3
     4. NH4HCO3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효율적인 solvay법의 product가 NaHCO3
구닥다리 Leblanc법의 product가 Na2SO4, Na2CO3

나트률을 두개나 쓰는 비효율적인 Leblanc법이라고 외워볼까?
[해설작성자 : 페랄타]

74.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로 구분할 때 다음 중 나머지 셋과 분류가 다른 하나는?
     1. 요소수지
     2. 폴리에틸렌
     3. 염화비닐
     4. 나일론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열경화성 수지
요소와 포름알데히드의 반응-요소수지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나일론
[해설작성자 : ㅎㅎ]

요소수지, Urea-Formaldehyde resin, U-F resin
요소는 Urea, 수지는 resin, formaldehyde는 주원료가 아니라며 생략한 표기이다.
수지 resin은 망 구조, 네트워크 구조이므로 열 경화성, Thermosetting Plastic 이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75. 에폭시 수지의 합성과 관련이 없는 물질은?
     1. Melamine
     2. Bisphenol A
     3. Epichlorohydrin
     4. Toluene diisocyanate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비스페놀 A + 에피클로로히드린 -(NaOH)-> 에폭시 수지
[해설작성자 : 금쪽이]

76. 용액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매회수, 모노머 분리 등의 설비가 필요하다.
     2. 용매가 생장라디칼을 정지시킬 수 있다.
     3. 유화중합에 비해 중합속도가 빠르고 고분자량의 폴리머가 얻어진다.
     4. 괴상 중합에 비해 반응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균일하게 반응을 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용액중합 : 단량체와 개시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상태에서 중합하는 방법
장점
1. 중화열의 제거가 용이함.
단점
1. 중합속도와 분자량이 작음.
2. 중합 후 용매의 완전 제거가 어려움.
[해설작성자 : 금쪽이]

용액중합 solution polymerization: 용매가 존재, 반응 다소 느림
유화중합 emulsion polymerization: 매우빠른 중합속도 공정. 계면활성제가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77. 소다회(Na2CO3) 제조방법 중 NH3를 회수하는 제조법은?
     1. 산화철법
     2. 가성화법
     3. Solvay법
     4. Leblanc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대표적인 Na2CO3 제조법은 Leblanc법, Solvay법
Leblanc법은 NH3랑 관련없다.
Solvay법은 NH3 회수가 가능하고

어떻게 외울까?
Leblanc법은 1791년 개발된 에너지소모가 심한 구닥다리 방법이고
Solvay는 1861년에 개발된 쉽고 NH3 재생도 되는 좋은 방법이다.
재밌는 역사를 곁들여 암기하자
[해설작성자 : 페랄타]

78. 석유류의 불순물인 황, 질소, 산소 제거에 사용되는 방법은?
     1. Coking process
     2. Visbreaking process
     3. Hydrorefining process
     4. Isomerization process

     정답 : []
     정답률 : 57%

79. 공업적 접촉개질 프로세스 중 MoO3 - Al2O3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은?
     1. Platforming
     2. Houdriforming
     3. Ultraforming
     4. Hydroforming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석유의 전화 중 개질
: 옥탄가가 낮은 가솔린, 나프타 등을 촉매를 이용하여 방향족 탄화수소나 이소파라핀을 많이 함유하는 옥탄가가 높은 가솔린으로 전환시키는 것.
1. Hydro Forming : MoO3-Al2O3
2. Plat Forming : Pt-Al2O3
3. Ultra Forming : 촉매를 재생하여 사용
4. Rheni Forming : Pt-Re_Al2O3-SiO2
[해설작성자 : 금쪽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리자님, 정답 2번 아닌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0. HCI 가스를 합성할 때 H2 가스를 이론량보다 과잉으로 넣어 반응시키는 주된 목적은?
     1. Cl2 가스의 손실 억제
     2. 장치부식 억제
     3. 반응열 조절
     4. 폭발 방지

     정답 : []
     정답률 : 68%

81. 충돌이론(collision theory)에 의한 아래 반응의 반응속도식(-rA)은? (단, C는 하첨자 물질의 농도를 의미하며, U는 빈도인자이다.)

    

     1. -rA=UT-1e-E/RTCACB
     2. -rA=Ue-E/RTCACB
     3. -rA=UTe-E/RTCACB
     4. -rA=T2e-E/RTCACB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반응속도에서 2분자 간 충돌이론은 아레니우스 식과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82. 액상 병렬반응을 연속 흐름 반응기에서 진행시키고자 한다. 같은 입류조건에 A의 전화율이 모두 0.9가 되도록 반응기를 설계한다면 어느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이 R로의 전환율을 가장 크게 해주겠는가?

    

     1. 플러그 흐름 반응기
     2. 혼합 흐름 반응기
     3. 환류식 플러그 흐름 반응기
     4. 다단식 혼합 흐름 반응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선택도 = 4 / CA : 선택도를 높이려면(R로의 전화율을 높이려면) CA의 농도를 낮추어야 한다.
1. 혼합흐름 반응기를 사용한다.
2. 전화율을 높게 유지한다.
3. 공급물에 불활성 물질을 첨가한다.
4. 기상계에서 압력을 감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83. 순환식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순환비는 (계를 떠난 량)/(환류량)으로 표현된다.
     2. 순환비가 무한인 경우, 반응기 설계식은 혼합 흐름식 반응기와 같게 된다.
     3. 반응기 출구에서의 전환율과 반응기 입구에서의 전환율의 비는 용적 변화율 제곱에 비례한다.
     4. 반응기 입구에서의 농도는 용적 변화율에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 순환비는 (반응기 입구로 되돌아가는 유체의 부피, 즉, 환류량) / (계를 떠나는 부피)이다.
3 > 반응기 입구의 전화율 = R / (R+1) * 반응기 출구의 전화율
4 > 반응기 입구의 전화율 = (1 - C(A1)/C(A0)) / (1 + 용적 변화율 * C(A1)/C(A0))
[해설작성자 : 금쪽이]

84. 액상 1차 반응(A→R+S)이 혼합 흐름 반응기와 플러그 흐름 반응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반응시킬 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각 반응기의 크기는 동일하다)
     1. 전환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혼합 흐름 반응기를 앞에 배치해야 한다.
     2. 전환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흐름 반응기를 앞에 배치해야 한다.
     3. 전환율을 크게 하기 위해, 낮은 전환율에서는 혼합 흐름반응기를, 높은 전환율에서는 플러그 흐름 반응기를 앞에 배치해야 한다.
     4. 반응기의 배치 순서는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n=1차 : 동일한 크기의 반응기가 최적
2) n>1차 : PFR > 작은 CSTR > 큰 CSTR 순서
3) n<1차 : 큰 CSTR > 작은 CSTR > PRR 순서
[해설작성자 : 금쪽이]

85. 어떤 반응의 속도식이 아래와 같이 주어졌을 때, 속도상수(k)의 단위와 값은?

    

     1. 20[/hr]
     2. 5×10-2[mol/L·hr]
     3. 3×10-3[L/mol·hr]
     4. 5×10-2[L/mol·hr]

     정답 : []
     정답률 : 59%

86. 반응식이 0.5A+B → R+0.5S인 어떤 반응의 속도식은 rA=-2CA0.5CB로 알려져 있다. 만약 이 반응식을 정수로 표현하기 위해 A+2B → 2R+S로 표현 하였을 때의 반응속도식으로 옳은 것은?
     1. rA=-2CACB
     2. rA=-2CACB2
     3. rA=-2CA2CB
     4. rA=-2CA0.5CB

     정답 : []
     정답률 : 56%

87. 그림과 같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상태가 주어졌을 때 반응열 관계로 옳은 것은?

    

     1. 발열반응이며, 발열량은 20cal이다.
     2. 발열반응이며, 발열량은 50cal이다.
     3. 흡열반응이며, 흡열량은 30cal이다.
     4. 흡열반응이며, 흡열량은 50cal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반응물이 가지고 있던 20cal의 에너지에서 생성물이 가진 에너지가 50cal로 증가하였으므로 흡열반응, 흡열량은 30cal입니다.
100cal은 반응의 진행을 위한 활성화 에너지이므로 물질의 에너지와 무관합니다.
[해설작성자 : 빛의전사]

88. A물질 분해반응의 반응속도상수는 0.345min-1이고 A의 초기농도는 2.4mol/L일 때, 정용 회분식 반응기에서 A의 농도가 0.9 mol/L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min)?
     1. 1.84
     2. 2.84
     3. 3.84
     4. 4.8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ln(0.9/2.4) = -kt
= -0.345 x t
t = 2.8430
[해설작성자 : ㅎㅎ]

89. A의 분해반응이 아래와 같을 때, 등온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서 얻을 수 있는 T의 최대 농도는? (단, CA0=1이다.)

    

     1. 0.051
     2. 0.114
     3. 0.235
     4. 0.391

     정답 : []
     정답률 : 35%

90. 반응기 중 체류시간_분포가 가장 좁게 나타난 것은?
     1. 완전 혼합형 반응기
     2. recycle 혼합형 반응기
     3. recycle 미분형 반응기(plug type)
     4. 미분형 반응기(plug type)

     정답 : []
     정답률 : 61%

91. A와 B가 반응하여 필요한 생성물 R과 불필요한 물질 S가 생길 때, R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취하는 조치로 적절한 것은? (단, C는 하첨자 물질의 농도를 의미하며, 각 반응은 기초반응이다.)

    

     1. CA와 CB를 같게 한다.
     2. CA를 되도록 크게 한다.
     3. CB를 되도록 크게 한다.
     4. CA를 CB의 2배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92. 반응속도식은 아래와 같은 A→R 기초반응을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서 반응시킨다. 반응기로 유입되는 A 물질의 초기농도가 10mol/L이고, 출구농도가 5mol/L일 때, 이 반응기의 공간시간(hr)은?

    

     1. 8.6
     2. 6.9
     3. 5.2
     4. 4.3

     정답 : []
     정답률 : 55%

93. n차(n>0) 단일 반응에 대한 혼합 및 플러그 흐름 반응기 성능을 비교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단, Vm은 혼합흐름반응기 부피를 VP는 플러그흐름반응기 부피를 나타낸다.)
     1. Vm은 VP보다 크다.
     2. Vm/VP는 전환율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3. Vm/VP는 반응차수에 따라 증가한다.
     4. 부피변화 분율이 증가하면 Vm/VP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 전화율이 클수록 부피비가 급격히 증가하므로 전화율이 높을 떄에는 흐름 유형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94. PSSH(Pseudo Steady State Hypothesis) 설정은 다음 중 어떤 가정을 근거로 하는가?
     1. 반응속도가 균일하다.
     2. 반응기내의 온도가 일정하다.
     3. 반응기의 물질수지식에서 축적항이 없다.
     4. 중간 생성물의 생성속도와 소멸속도가 같다.

     정답 : []
     정답률 : 60%

95. Batch reactor의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비가 적게 든다.
     2. 노동력이 많이 든다.
     3. 운전비가 작게 든다.
     4. 쉽게 작동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회분식 반응기
1) 비정상상태 : 시간에 따라 조성이 변한다.
2)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반응물, 생성물의 유입과 유출이 없다.
3) 완전혼합일 경우 반응속도 변화가 없다.
4) 높은 전화율을 얻을 수 있다.
5) 소규모 조업이나 새로운 공정의 시험, 연속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공정에 이용된다.
6) 인건비와 취급비가 비싸고, 매회 품질이 균일하지 못할 수 있어 대규모 생산이 어렵다. > 소규모 다품종에 적합하다.
7) 장치비가 적게 들고, 운전 정지가 쉽고 빠르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96. 반응물 A가 동시반응에 의하여 분해되어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생성물을 만든다. 이 때, 비목적 생성물(U)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불활성 가스의 혼합 사용
     2. 저온반응
     3. 낮은 CA
     4. CSTR 반응기 사용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r(D)/r(U) = 1/2 * e^{2000(1/300-1/T)} * 1/C(A)
D를 목적 생성물로 하는 선택도를 높이려면, e^{2000(1/300-1/T)}이 커야 한다.
즉, e^{2000(1/300-1/T)}가 크려면 1/T가 작아야 하므로 고온에서 반응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97. 균일 액상반응(A→R, -rA=kCA2)이 혼합 흐름 반응기에서 50%가 전환된다. 같은 반응을 크기가 같은 플러그 흐름 반응기로 대치시킬 때 전환율은?
     1. 0.67
     2. 0.75
     3. 0.50
     4. 0.60

     정답 : []
     정답률 : 47%

98. 비기초반응의 반응속도론을 설명하기 위해 자유라디칼, 이온과 극성물질, 분자, 전이착제의 중간체를 포함하여 반응을 크게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해석할 때, 다음과 같이 진행되는 반응은?

    

     1. Chain reaction
     2. Parallel reaction
     3. Elementary reaction
     4. Non-chain reaction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Chain reaction 연쇄반응
1) 개시단계 : 반응물 → 중간체*
2) 전파단계 : 중간체* + 반응물 → 중간체* + 생성물
3) 정지단계 : 중간체* → 생성물
[해설작성자 : 금쪽이]

99. 포스핀의 기상 분해 반응이 아래와 같을 때, 포스핀만으로 반응을 시작한 경우 이 반응계의 부피변화율은?

    

     1. εPH3 = 1.75
     2. εPH3 = 1.50
     3. εPH3 = 0.75
     4. εPH3 = 0.50

     정답 : []
     정답률 : 59%

100. 순환비가 1로 유지되고 있는 등온의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서 아래의 액상 반응이 0.5의 전환율(XA)로 진행되고 있을 때, 순환류를 폐쇄시켰을 때 전환율(XA)은?

    

     1. 5/9
     2. 4/5
     3. 2/3
     4. 3/4

     정답 : []
     정답률 : 43%


정 답 지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화공열역학


1. 닫힌계에서 엔탈피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단, H는 엔탈피, U는 내부에너지, P는 압력, T는 온도, V는 부피이다.)
     1. H = U + PV로 정의된다.
     2. 경로에 무관한 특성치이다.
     3. 정적과정에서는 엔탈피의 변화로 열량을 나타낸다.
     4. 압력이 일정할 땐, dH=CpdT로 표현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3 > 정적 과정에서는 내부 에너지 변화량을 열량으로 나타낸다.
+) 엔탈비 변화량을 열량으로 나타내는 경우는 정압 과정이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2. 27°C, 1atm의 질소 14g을 일정 체적에서 압력이 2배가 되도록 가역적으로 가열하였을 때 엔트로피 변화(△S; cal/K)는? (단, 질소를 이상기체라 가정하고 Cp는 7cal/mol·K이다.)
     1. 1.74
     2. 3.48
     3. -1.74
     4. -3.48

     정답 : []
     정답률 : 47%

3. 100atm, 40°C의 기체가 조름공정으로 1atm까지 급격하게 팽창하였을 때, 이 기체의 온도(K)는? (단, Joule-Thomson coefficient(μ; K/atm)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고 한다.)

   

     1. 426
     2. 331
     3. 294
     4. 250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줄 톰슨 계수 : 엔탈피가 일정한 과정에서 압력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계수
1) 줄 톰슨 계수를 P에 대하여 적분한다. (P1=100atm, P2=1atm)
2) 1)의 계산값 = (T2-313K)을 푼다,
3) T2=294K
+) 줄 톰슨 팽창 : 엔탈피가 일정한 팽창.
[해설작성자 : 금쪽이]

4. 압축 또는 팽창에 대해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내용은? (단, 하첨자 S는 등엔트로피를 의미한다.)
     1. 압축기의 효율은 로 나타낸다.
     2. 노즐에서 에너지수지식은 WS=-△H이다.
     3. 터빈에서 에너지수지식은 이다.
     4. 조름공정에서 에너지수지식은 dH=-udu 이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 노즐의 에너지수지식 : △H + △KE = 0
3 > 터빈의 에너지수지식 : Ws = △H
4 > 조름 공정의 에너지수지식 : △H = 0
[해설작성자 : 금쪽이]

5. 엔트로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엔트로피는 혼돈도(randomness)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2. 융점에서 고체가 액화될 때의 엔트로피 변화는 로 표시할 수 있다.
     3. T = 0K에서의 엔트로피는 1이다.
     4. 엔트로피 감소는 질서도(orderliness)의 증가를 의미한다.

     정답 : []
     정답률 : 80%
     <문제 해설>
3 > T=0K에서 엔트로피의 값은 0이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6. 과잉깁스에너지 모델 중에서 국부조성 (local composition) 개념에 기초한 모델이 아닌 것은?
     1. 윌슨(Wilson) 모델
     2. 반라르(van Laar) 모델
     3. NRTL(Non-Randm-Two-Liquid) 모델
     4. UNIQUAC(UNIversal QUAsi-Chemical) 모델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국부 조성- 윌슨모델, NTRL, UNIQUAC 모델
[해설작성자 : 취직원해요]

과잉깁스모델 : Redlich/Kister equation, Margules equation, van Laar equation (반라르가 포함)

하지만 문제는 과잉깁스에너지 모델 중 ~ 국부조선 모델(개념)을 묻는 것 이라
국부조성에는 월슨, NRTL, UNIQUAC 이 있어서 반라르 모델 2번이 정답
[해설작성자 : 럭키비키장박사]

7. 두 절대온도 T1, T2(T1<T2)사이에서 운전하는 엔진의 효율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역과정인 경우 열효율이 최대가 된다.
     2. 가역과정인 경우 열효율은 (T2-T1)/T2 이다.
     3. 비가역 과정인 경우 열효율은 (T2-T1)/T2 보다 크다.
     4. T1이 0K인 경우 열효율은 100%가 된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비가역과정의 열효율은 가역과정인 경우보다 작다.
[해설작성자 : 구씨]

8. 평형상수에 대한 편도함수가 로 표시되는 화학반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흡열반응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K값은 커진다.
     2. 발열반응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K값은 커진다.
     3. 흡열반응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K값은 작아진다.
     4. 발열반응이며, 온도 상승에 따라 K값은 작아진다.

     정답 : []
     정답률 : 72%
     <문제 해설>
dlnK/dT = 엔탈피 변화량/RT^2
[해설작성자 : 금쪽이]

9. 과잉깁스에너지(GE)가 아래와 같이 표시된다면 활동도계수(γ)에 대한 표현으로 옳은 것은? (단, R은 이상기체상수, T는 온도. B, C는 상수, χ는 액상 몰분율, 하첨자는 성분 1과 2에 대한 값임을 의미한다.)

   

     1. lnγ1 = Bχ12
     2. lnγ1 = Bχ22
     3. lnγ1 = Bχ12 + C
     4. lnγ1 = Bχ22 + C

     정답 : []
     정답률 : 58%

10. 세기성질(intensive property)이 아닌 것은?
     1. 일(work)
     2. 비용적(specific volume)
     3. 몰 열용량(molar heat capacity)
     4. 몰 내부 에너지 (molar internal energy)

     정답 : []
     정답률 : 77%

11. 액체로부터 증기로 바뀌는 정압 경로를 밟는 순수한 물질에 대한 깁스 자유에너지(G)와 절대온도(T)의 그래프를 옳게 표시된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8%
     <문제 해설>
2 > 엔트로피(y축)와 절대온도(x축)의 그래프
[해설작성자 : 금쪽이]

12. 어떤 실제기체의 실제상태에서 가지는 열역학적 특성치와 이상상태에서 가지는 열역학적 특성치의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는?
     1. 부분성질(Partial property)
     2. 과잉성질(excess property)
     3. 시강성질(intensive property)
     4. 잔류성질(residual property)

     정답 : []
     정답률 : 68%

13. 240kPa에서 어떤 액체의 상태량이 Vr는 0.00177m3/kg, Vg는 0.105m3/kg, Hr는 181kJ/kg, Hg는 496kJ/kg일 때, 이 압력에서의 Ufg(kJ/kg)는? (단, V는 비체적, U는 내부에너지, H는 엔탈피, 하첨자 f는 포화액, g는 건포화증기를 나타내고 Ufg는 Ug - Ur를 의미한다.)
     1. 24.8
     2. 290.2
     3. 315.0
     4. 339.8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H = U + PV > U = H - PV
U(fg) = H(fg) - P * V(fg)
[해설작성자 : 금쪽이]

14. 역 카르노사이클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 사이클의 성능계수를 표시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T1에서 열이 방출되고 T2에서 열이 흡수된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성능계수COP=Q/W=QL/(QH-QL)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5. 액상반응의 평형상수(K)를 옳게 나타낸 것은? (단, P는 압력, vi는 성분 i의 양론 수(stoichiometric number), R은 이상기체상수, T는 온도, xi는 성분 i의 액상 몰분률, yi는 성분 i의 기상 몰분률, 는 표준상태에서의 순수한 액체 i의 퓨개시티, 는 용액 중 성분 i의 퓨개시티이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16. 실제기체가 이상기체상태에 가장 가까울 때의 압력, 온도 조건은?
     1. 고압저온
     2. 고압고온
     3. 저압저온
     4. 저압고온

     정답 : []
     정답률 : 74%

17. 열역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순수한 물질의 임계점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에서는 한 개의 상을 이루게 된다.
     2. 동일한 이심인자를 갖는 모든 유체는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거의 동일한 Z값을 가진다.
     3. 비리얼(Virial) 상태방정식의 순수한 물질에 대한 비리얼 계수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4.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태방정식은 기/액 평형상태에서 임계점을 제외하고 3개의 부피 해를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2 > 동일한 이심인자를 갖는 모든 유체는 같은 "환산온도", "환산압력"에서 거의 동일한 Z값을 가지며, 이상기체 거동에서 벗어나는 정도도 거의 같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18. 1atm, 90°C, 2성분계(벤젠-톨루엔) 기액평형에서 액상 벤젠의 조성은? (단, 벤젠, 톨루엔의 포화증기압은 각각 1.34, 0.53atm이다.)
     1. 1.34
     2. 0.58
     3. 0.53
     4. 0.42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 1.34 * x + 0.53 * (1-x)
[해설작성자 : 금쪽이]

19. 1540°F와 440°F 사이에서 작동하고 있는 카르노 사이클 열기관(Carnot cycle heat engine)의 효율은?
     1. 29%
     2. 35%
     3. 45%
     4. 55%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화씨 온도 - 32) * 100/180 = 섭씨 온도
[해설작성자 : 금쪽이]

(TH-TL)/TH
캘빈온도
[해설작성자 : 정졔]

20. 이상기체와 관계가 없는 것은? (단, Z는 압축인자이다.)
     1. Z = 1이다.
     2.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이다.
     3. PV = RT가 성립한다.
     4. 엔탈피는 압력과 온도의 함수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문제 해설>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와 엔탈피는 온도만의 함수입니다.
이상기체의 조건이 아닐 경우, 엔탈피는 압력과 온도의 함수가 맞습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2과목 : 단위조작 및 화학공업양론


21.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태 방정식의 상수 a, b와 임계온도(Tc) 및 임계압력(Pc)와의 관계를 잘못 표현한 것은? (단, R은 기체상수이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임계조건
1) Tc가 일정할 때, 압력을 부피에 대하여 미분하면 0이다.
2) Tc가 일정할 때, 압력을 부피에 대하여 두 번 미분하면 0이다.

Vc=3b, Pc=a/27b^2, Tc=8a/27bR
a=27R^2Tc^2/64Pc, b=1/3*Vc

이걸 다 외우기는 너무 복잡하고, 헷갈리면 외워도 틀리는 거니까..
반데르발스 상태방정식을 외워서 P에 대하여 정리한 다음 한 번, 두 번 미분하여 구하는 것이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아 물론, 버려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ㅎㅎ..
[해설작성자 : 금쪽이]

22. 동일한 압력에서 어떤 물질의 온도가 dew point보다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1. 포화
     2. 과열
     3. 과냉각
     4. 임계

     정답 : []
     정답률 : 72%

23. 20L/min의 물이 그림과 같은 원관에 흐를 때 ⓐ지점에서 요구되는 압력(kPa)은? (단, 마찰손실은 무시하며, D는 관의 내경, P는 압력, h는 높이를 의미한다.)

    

     1. 45
     2. 202
     3. 456
     4. 742

     정답 : []
     정답률 : 45%

24. 20wt% 메탄올 수용액에 10wt% 메탄올 수용액을 섞어 17wt% 메탄올 수용액을 만들었다. 이 때 20wt% 메탄올 수용액에 대한 17wt% 메탄올 수용액의 질량비는?
     1. 1.43
     2. 2.72
     3. 3.85
     4. 4.86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wt%=용질/용매+용질x100
20wt% 메탄올 수용액의 질량=a
10wt% 메탄올 수용액의 질량=b
17wt% 메탄올 수용액의 질량=a+b
20a+10b=17(a+b)
그러므로 3a=7b
a=7, b=3
a+b=10, a=7
a+b:a=10:7
10/7=1.42857...
반올림해서 1.43
[해설작성자 : 취직원해요]

25. 그림과 같은 공정에서 물질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측정해야 할 최소한의 변수는? (단, A, B, C는 성분을 나타내고 F와 P는 3성분계, W흐름은 2성분계이다.)

    

     1. 3
     2. 4
     3. 5
     4. 6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모르는 변수는 흐름량 3 + 몰분율 8.
물질수지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독립적인 식은 각 성분의 유입량=유출량 식으로 3개, 몰분율의 합은 1이라는 것에서 3개.
그러므로 3+8-3-3=5. 답은 3번.
[해설작성자 : pkm]

26. 몰 증발잠열을 구할 수 있는 방법 중 2가지 물질의 증기압을 동일 온도에서 비교하여 대수좌표에 나타낸 것은?
     1. Cox 선도
     2. Duhring 도표
     3. Othmer 도표
     4. Watson 도표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1 > Cox 선도 : 액체의 증기압과 온도와의 관계를 직선상으로 나타내는 선도
2 > Duhring 도표 : 일정 농도에서 용액의 비점과 용매의 비점을 플롯하면 동일한 직선이 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27. 석유제품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중단위로 많은 석유제품이 10~70° 범위에 들도록 설계된 것은?
     1. Baume
     2. API
     3. Twaddell도
     4. 표준비중

     정답 : []
     정답률 : 74%

28. 어떤 기체혼합물의 성분 분석 결과가 아래와 같을 때, 기체의 평균 분자량은?

    

     1. 18.6
     2. 17.4
     3. 7.4
     4. 6.0

     정답 : []
     정답률 : 70%
     <문제 해설>
16×0.8 + 30×0.12 + 28×0.08 = 18.64
[해설작성자 : 랑이]

29. 표준대기압에서 압력게이지로 압력을 측정하였을 때 20psi였다면 절대압(psi)은?
     1. 14.7
     2. 34.7
     3. 55.7
     4. 65.7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절대압=대기압+게이지압
P = 14.7psi + 20psi = 34.7psi
[해설작성자 : 랑이]

30. Methyl acetate가 다음 반응식과 같이 고압촉매 반응에 의하여 합성될 때, 이 반응의 표준반응열(kcal/mol)은? (단, 표준연소열은 CO(g)가 -67.6kcal/mol, CH3COOCH3(g)는 -397.5 kcal/mol, CH3OCH3(g)는 -348.8 kcal/mol이다.)

    

     1. 814
     2. 28.9
     3. -614
     4. -18.9

     정답 : []
     정답률 : 71%

31. 분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종 입자의 크기가 중요하다.
     2. 최초 입자의 크기는 무관하다.
     3. 파쇄물질의 종류도 분쇄동력의 계산에 관계된다.
     4. 파쇄기 소요일량은 분쇄되어 생성되는 표면적에 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32. 벽의 두께가 100mm인 물질의 양 표면의 온도가 각각 t1=300°C, t2=30°C일 때, 이 벽을 통한 열손실(flux; kcal/m2·h)은? (단, 벽의 평균 열전도도는 0.02kcal/m·h·°C이다.)
     1. 29
     2. 54
     3. 81
     4. 108

     정답 : []
     정답률 : 68%

33. 추제(solvent)의 성질 중 틀린 것은?
     1. 선택도가 클 것
     2. 회수가 용이할 것
     3. 화학결합력이 클 것
     4. 가격이 저렴할 것

     정답 : []
     정답률 : 76%

34. 다음 무차원군 중 밀도와 관계없는 것은?
     1. 그라스호프(Grashof) 수
     2. 레이놀즈(Reynolds) 수
     3. 슈미트(Schmidt) 수
     4. 너셀(Nusselt) 수

     정답 : []
     정답률 : 70%

35. 액체와 비교한 초임계유체의 성질로서 틀린 것은?
     1. 밀도가 크다.
     2. 점도가 낮다.
     3. 고압이 필요하다.
     4. 용질의 확산도가 높다.

     정답 : []
     정답률 : 55%
     <문제 해설>
초임계 유체
1) 일정한 고압, 고온의 한계를 넘어선 상태에 도달하여 액체와 기체를 구분할 수 없다. > 액체보다 고압이 필요하다.
2) 분자의 밀도는 액체에 가깝고, 점도는 낮아 기체에 가깝다.
3) 확산이 빨라 열전도성이 높아 화학반응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36. 흡수용액으로부터 기체를 탈거(stripping) 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좋은 조건을 위해 온도와 압력을 높여야 한다.
     2. 액체와 기체가 맞흐름을 갖는 탑에서 이루어진다.
     3. 탈거매체로는 수중기나 불활성기체를 이용할 수 있다.
     4. 용질의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단을 사용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37. 낮은 온도에서 증발이 가능해서 증기의 경제적 이용이 가능하고 과즙, 젤라틴 등과 같이 열에 민감한 물질을 처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다중효용 증발
     2. 고압 증발
     3. 진공 증발
     4. 압축 증발

     정답 : []
     정답률 : 73%

38. 용액의 증기압 곡선을 나타낸 도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γ는 활동도계수이다.)

    

     1. (a)는 γab=1 로서 휘발도는 정규상태이다.
     2. (b)는 γa<1, γb<1 로서 휘발도가 정규상태보다 비정상적으로 낮다.
     3. (a)는 벤젠-톨루엔계 및 메탄-에탄계와 같이 두 물질의 구조가 비슷하여 동종분자간 인력이 이종분자간 인력과 비슷할 경우에 나타난다.
     4. (b)는 물-에탄올계, 에탄올-벤젠계 및 아세톤-CS2계가 이에 속한다.

     정답 : []
     정답률 : 53%

39. 유체가 난류(Re>30000)로 흐르고 있는 오리피스 유량계에 사염화탄소(비중 1.6) 마노미터를 설치하여 50cm의 읽음값을 얻었다. 유체비중이 0.8일 때,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은(m/s)? (단, 오리피스 계수는 0.61이다.)
     1. 1.91
     2. 4.25
     3. 12.1
     4. 15.2

     정답 : []
     정답률 : 34%
     <문제 해설>
N(Re)>30,0000이면
1) C(0)(= 오리피스 계수) = 0.61, 2) m(= 개구비) = 0
[해설작성자 : 금쪽이]

40. 건조특성곡선 상 정속기간이 끝나는 점은?
     1. 수축(shrink) 함수율
     2. 자유(free) 함수율
     3. 임계(critical) 함수율
     4. 평형(equilibrium) 함수율

     정답 : []
     정답률 : 69%

3과목 : 공정제어


41. 현장에서 PI제어기를 시행착오를 통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아래와 같다. 이 방법을 G(s)= 1/(s+1)3 인 공정에 적용하여 1단계 수행 결과 제어기 이득이 4일 때, 페루프가 불안정해지기 시작하는 적분상수는?

    

     1. 0.17
     2. 0.56
     3. 2
     4. 2.4

     정답 : []
     정답률 : 38%

42. 비선형계에 해당하는 것은?
     1. 0차 반응이 일어나는 혼합 반응기
     2. 1차 반응이 일어나는 혼합 반응기
     3. 2차 반응이 일어나는 혼합 반응기
     4. 화학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혼합조

     정답 : []
     정답률 : 67%

43. 사람이 차를 운전하는 경우 신호등을 보고 우회전하는 것을 공정 제어계와 비교해 볼 때 최종 조작변수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은?
     1. 사람의 손
     2. 사람의 눈
     3. 사람의 두뇌
     4. 사람의 가슴

     정답 : []
     정답률 : 74%

44. 블록선도의 전달함수( )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58%

45. 전달함수가 (5s+1)/(2s+1) 인 장치에 크기가 2인 계단입력이 들어 왔을 때의 시간에 따른 응답은?
     1. 2-3e-t/2
     2. 2+3e-t/2
     3. 2+3e-2t
     4. 2-3e-2t

     정답 : []
     정답률 : 55%

46. 1차 공정의 Nyquist 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yquist 선도는 반원을 형성한다.
     2. 출발점 좌표의 실수값은 공정의 정상상태이득과 같다.
     3. 주파수의 증가에 따라 시계 반대방향으로 진행한다.
     4. 원점에서 Nyquist선상의 각 점까지의 거리는 진폭비(Amplitude ratio)와 같다.

     정답 : []
     정답률 : 54%

47. 에서 ω가 아주 작을 때 즉, ω→0일 때의 위상각은?
     1. -90°
     2.
     3. +90°
     4. +180°

     정답 : []
     정답률 : 42%
     <문제 해설>
위상, 복소수의 계산 성질을 물어보는 문제.

1. 먼저, 분자 10(jw+5)의 w->0 일때 위상을 구하자면,
복소수 z = x+jy 일때 위상각 θ=tan−1(y/x) 이므로, θ=tan−1(0/5​) = 0

2. 다음으로 분모 jw(jw+1)(jw+2)의 위상을 구해자면,
jw는 w->0일때 +90' 이다.
복소평면상에서 놓고 볼 때, 실수가 0이고 w>0이기 때문에, 양의 실수축을 기준으로 양의 허수축과의 이루는 각이 +90'이기 때문.

그런데 궁금하다, 왜 w->0- 는 고려하지 않는가?
보드선도에서 주파수를 정의할 때, 관습적으로 ω ≥ 0 라고 가정한다. 그래서 w -> 0- 는 고려하지 않은 것.

3. 그다음 jw+1, jw+2는 실수부가 1, 2기 때문에 w->0 인tan-1(y/x)에 의해 0
(만약 실수부 또한 0+에 수렴하는 값이었다면 90'일 수 있다)

4. 분모의 계산을 계속하자면, 복소수 곱셈의 성질을 알아야한다. 복소수는 항상 크기 magnitude와 위상 phase를 갖는다.
크기는 곱셈, 위상은 덧셈으로 계산해야한다.
|G(jw)| 는 곱해진 항을 곱셈으로 계산해야하고
∠G(jω) 는 곱해진 항을 덧셈으로 계산해야 한다.

Thus, 분모는 ∠(jω)+∠(1/(jw+1)​+∠1/(jw+2)​ when w->0        = 90' + tan-1(0/1) + tan-1(0/2) = 90' + 0 + 0 = 90'

5. 전달함수 G(jw)는 주파수 응답을 나타내는 복소함수. 따라서 w가 주어지면 복소수값을 갖는다. 평면상 벡터라고도 할 수 있는 이 값은 크기와 위상으로 나누어지고, 문제는 이 위상을 구하라는 것.

복소수의 나누기는 뺼셈으로 구하는 특징이 있다.
Thus, 1번에서 구한 0 - 2번에서 구한 90' = -90'
[해설작성자 : 페랄타]

48. 시간 상수가 1min이고 이득(gain)이 1인 1차계의 단위응답이 최종치의 10%로부터 최종치의 90%에 도달할 때까지 걸린 시간(rise time; tr, min)은?
     1. 2.20
     2. 1.01
     3. 0.83
     4. 0.21

     정답 : []
     정답률 : 32%
     <문제 해설>
τ=1min, K=1 이므로 G(s) = 1/(s+1)
단위응답 가했다고 했으니까 Y(s) = 1/(s+1) * 1/s = 1/s - 1/(s+1)
라플라스 정리 해주면 y(t) = 1-exp(-t)
최종치의 10% : 0.1 = 1 - exp(-t), 따라서 t = 0.105min
최종치의 90% : 0.9 = 1 - exp(-t), 따라서 t = 2.3min
걸린 시간 = 2.3-0.105 = 2.2min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49. 아래의 제어계와 동일한 총괄전달함수를 갖는 블록선도는?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제어계) 1/G * G/(1+G*1) = 1/(1+G)
1) G
2) 1/G
3) 1/(1+G)
4) 1/(1+1*(1/G)) = 1/(1+1/G)
[해설작성자 : 도비 원트 프리]

50. 전달함수 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 극점(pole)은 -1,-0.5, -1/3이다.
     2. 영점(zero)은 1/0.2, -1/0.1 이다.
     3. 전달함수는 안정하다.
     4. 전달함수의 역수 전달함수는 안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61%

51. 물리적으로 실현 불가능한 계는? (단, x는 입력변수, y는 출력변수이고 θ>0이다.)
     1.
     2.
     3.
     4.

     정답 : []
     정답률 : 43%
     <문제 해설>
물리적으로 실현 가능한가? = 전달함수에서 분자차수 <분모차수 인가?

분자의 차수가 더 커버리면, 고주파 입력을 했을 때 출력이 무한히 커지게 된다. 낮은 주파수는 몰라도 조금만 커지면 회로 소자의 한계때문에 실현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자면, G(s) = s 식에서 w->infinite 일 때, 주파수응답의 크기 |G(jw)| = w, 무한이 된다. 현실에선 무한대의 에너지를 낼 수 없으니 불가능.
Thus, 물리적으로 실현 불가능 = 분자차수가 분모차수보다 큰 system의 전달함수

이제 선택지의 미분식을 라플라스 변환으로 바꾸어 대수식으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라플라스 기본식에서,
L{dx/dt​} = sX(s)
L{x(t-θ)}=e^−θs * X(s)

1. Y(s)=sX(s)+X(s)=(s+1)X(s), G(s)=s+1    ------- 분모차수가 낮음
2. sY(s)=e^−θs * X(s), G(s)= e^−θs / s    ----- 분모차수가 높음
3. (s+1)Y(s) = X(s), G(s)= 1/(s+1) ------------ 분모차수가 높음
4. (s^2 +1)*Y(s) = X(s), G(s)= 1/(s^2 +1) ----- 분모차수가 높음
[해설작성자 : 페랄타]

52. 2차계의 전달함수가 아래와 같을 때 시간상수(τ)와 제동계수(damping ratio; ζ)는?

    

     1. τ=1, ζ=0.4
     2. τ=1, ζ=0.6
     3. τ=3, ζ=0.4
     4. τ=3, ζ=0.6

     정답 : []
     정답률 : 60%

53. PID제어기의 작동식이 아래와 같을 때 다음 중 틀린 설명은?

    

     1. ps값은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변환되는 시점에서의 제어기 출력값이다.
     2. 적분동작에서 적분은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변환될 때 시작된다.
     3. 적분동작에서 적분은 자동모드에서 수동모드로 전환될 때 중지된다.
     4. 오차 절대값이 증가하다 감소하면 적분동작 절대값도 증가하다 감소하게 된다.

     정답 : []
     정답률 : 46%
     <문제 해설>
오차값을 누적하는 적분항에서 오차 절대값의 합산을 적분동작의 합산이 항상 같을리가 없다.
EX) 1,2,4,3,2 오차가 나왔을때, 1,3,7,10,12 적분항은 증가할것
[해설작성자 : 페랄타]

54. 아래와 같은 제어계에서 블록선도에서 T' R(s)가 1/s일 때, 서보(servo) 문제의 정상상태 잔류편차(offset)는?

    

     1. 0.133
     2. 0.167
     3. 0.189
     4. 0.213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오프셋 = 정상상태 오차 = Ess
=입력한게 목표값에 도달했을 때, 실제 출력이 목표한 값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
=시스템이 안정된 뒤에도 남아있는 오차의 값
ex) 자동차 목표속도는 100km/h 라고 쓰여있어도 실제 엔진과 시스템 한계로 인해 96km/h 정도 나와서 4km의 offset 때문 속도단속 안걸림

T'R 시스템 입력이 단위계단입력이므로, 목표값은 1

실제값은 lim s (1/s) * (1/(1+G(s)) = 1/(1+G(0)) = 1/(1+5) = 0.167
[해설작성자 : 페랄타]

55. 의 계단응답 (Step Response)에 대해 옳게 설명한 것은?
     1. 계단입력을 적용하자 곧바로 출력이 초기치에서 움직이기 시작하여 1로 진동하면서 수렴한다.
     2. 계단입력을 적용하자 곧바로 출력이 초기치에서 움직이기 시작하여 진동하지 않으면서 발산한다.
     3. 계단입력에 대해 시간이 3만큼 지난 후 진동하지 않고 발산한다.
     4. 계단입력에 대해 진동하면서 발산한다.

     정답 : []
     정답률 : 58%

56. 제어 결과로 항상 cycling이 나타나는 제어기는?
     1. 비례 제어기
     2. 비례-미분 제어기
     3. 비례-적분 제어기
     4. on-off 제어기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Cycling : 오차가 기준값을 오버해서 on/off로 바뀌는 제어 방식. on/off 반복하게 하는 동작이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57. 임계진동 시 공정입력이 u(t)=sin(πt), 공정출력이 y(t)=-6sin(πt)인 어떤 PID제어계에 Ziegler-Nichols 튜닝룰을 적용할 때, 제어기의 비례이득(KC), 적분시간(τI), 미분시간(τD)은? (단, Ku와 Pu는 각각 최대이득과 최종주기를 의미하며, Ziegler-Nichols 튜닝룰에서 비례이득(KC)=0.6Ku, 적분시간(τI)=Pu/2, 미분시간(τD)=Pu/8이다.)
     1. KC=3.6, τI=1, τD=0.25
     2. KC=0.1, τI=1, τD=0.25
     3. KC=3.6, τI=π/2, τD=π/8
     4. KC=0.1, τI=π/2, τD=π/8

     정답 : []
     정답률 : 37%
     <문제 해설>
ZN튜닝: PID 제어기의 계수를 대충 빨리 구하는법
1. 미분적분 없이 P제어만 두고 이득을 키워 임계진동 유도
2. 이때 임계이득 Ku, 주기 Pu 적어놓고
3. 공식에 넣어서 제어기비례이득(Kc), 적분시간(tau_I), 미분시간(tau_D) 때려맞추기
*. 공식 Kc = 0.6Ku // tau_I = Pu/2 // tau_D = Pu/8

1. Kc
일반적으로 이득 K = 출력/입력
문제에서,
입력 u(t)=sin(pi t) -> 출력 y(t)=-6sin(pi t)
이 말은, 진폭이 6이고 마이너스 부호로 인해 출력과 입력이 180' 차이가 나는 상황.
Thus, 임계이득 = 1/출력이득 = 1/6 = 0.167
문제 및 ZN공식에 의해 0.6 * 0.167 = around 1


2. 주기 tau
u(t) = sin(pi t) 이므로, 주기 Pu = 2pi / pi = 2
[해설작성자 : 페랄타]

58. 과소감쇠진동공정(underdamped process)의 전달함수를 나타낸 것은?
     1.
     2.
     3.
     4.

     정답 : []
     정답률 : 61%

59. 탑상에서 고순도 제품을 생산하는 증류탑의 탑상 흐름의 조성을 온도로부터 추론(inferential) 제어하고자 한다. 이때 맨위 단보다 몇 단 아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응축기의 영향으로 맨위 단에서는 다른 단에 비하여 응축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2. 제품의 조성에 변화가 일어나도 맨위 단의 온도 변화는 다른 단에 비하여 매우 작기 때문에
     3. 맨위 단은 다른 단에 비하여 공정 유체가 넘치거나(flooding) 방울져 떨어지기(weeping) 때문에
     4. 운전 조건의 변화 등에 의하여 맨위 단은 다른 단에 비하여 온도는 변동(fluctuation)이 심하기 때문에

     정답 : []
     정답률 : 57%

60. Bode선도를 이용한 안정성 판별법 중 틀린 것은?
     1.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Phase crossover frequency)에서 AR은 1보다 작아야 안정하다.
     2. 이득여유(Gain Margin)는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AR의 역수이다.
     3. 이득여유가 클수록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Gain crossover frequency)에서 위상각은 -180도에 접근한다.
     4.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Gain crossover frequency)에서 위상각은 -180도보다 커야 안정하다.

     정답 : []
     정답률 : 36%
     <문제 해설>
이득여유 GM이 크다 = 안정성이 높다.
-180'에 도달하려면 멀었다는 소리다.
Thus, 위상각은 -180'에 접근하기 보다는 -140, -120 등 더 높을것이다.
(-180'가 기준인 이유는 복소수 관점에서 보는건데, 그냥 암기가 편하다)


Bode plot
1930년대 미국에서 전화기 연구하던 Bell 연구소의 전자공학자가 개발
주파수 응답 분석 방법이 필요해서 고안해 낸 로그스케일 표현 방법
계산이 쉽고 직관적이다는 평가
그전에 개념적 기반이던 GM과 PM의 개념을 도입-정착시켰다.

의의
로그스케일이기 때문에, 저~고주파 표현 가능
기울기 변화 파악 용이
GM PM 한눈에 확인
단점으로는, 시간영역 특성, 예를들면 과도응답 등을 파악 불가

주파수가 올라갈 때, 시스템이 얼마나 증폭감쇄하고 지연되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두가지 곡선이 있다.
1. Magnitude plot : log vs log
2. Phase plot : degree vs log

***Nyquist 선도로는 안되나?***
더 직관적이라는 평가. 두가지 측면
1. 이득여유 gain margin : 위상 -180'에서 1/AR. 0기준 진폭이 얼마나 작은가?
2. 위상여유 phase margin : 0dB 지점의 주파수에서, 위상 -180'까지 얼마나 남았는가?

크로스오버 주파수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 gain crossover w : 시스템 증폭, Amplitude ration가 1일때의 주파수 (입출력 동일한 경우의 주파수를 의미)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 phase crossover w : 시스템의 위상 phase가 -180' 일때의 주파수 (출력이 입력 반대방향인 경우의 주파수를 의미)

안정하려면?
1. 이득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위상각 phase > -180' 이면 안정
2. 위상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시스템 증폭 Amplitude Ration < 1 이면 안정
[해설작성자 : 페랄타]

4과목 : 공업화학


61. n형 반도체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Cu2O, CoO
     2. TiO2, Ag2O
     3. Ag2O, SnO2
     4. SnO2, CuO

     정답 : []
     정답률 : 44%
     <문제 해설>
P형 반도체 : NiO, CoO, Ag2O
N형 반도체 : ZnO, TiO2, Fe2O3, SnO2, CuO
[해설작성자 : 금쪽이]

62. 합성염산 제조 시 원료기체인 H2와 Cl2는 어떻게 제조하여 사용하는가?
     1. 공기의 액화
     2. 소금물의 전해
     3. 염화물의 치환법
     4. 공기의 아크방전법

     정답 : []
     정답률 : 73%

63. 20wt%의 HNO3 용액 1000kg을 55wt% 용액으로 농축하였을 때 증발된 수분의 양(kg)은?
     1. 334
     2. 550
     3. 636
     4. 800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20wt%=HNO3 200kg / 용액 1000kg -> 물 800kg
55wt%=HNO3 200kg / 용액 (200+x)kg -> 물 x kg
55={200/(200+x)}×100
x=163.64
증발된 수분의 양(kg)=800-163.64=636.36
[해설작성자 : 지구미 1호]

64. 레페(Reppe) 합성반응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할 때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알킬화 반응
     2. 비닐화반응
     3. 고리화 반응
     4. 카르보닐화 반응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아세틸렌 > Reppe 합성반응
1. 비닐화 : 아세틸렌 + 메틸알코올
2. 에티닐화 : 아세틸렌 + 포름알데히드
3. 카르보닐화 : 아세틸렌 + 일산화탄소 + R-OH
4. 고리화(환화중합) : 4 아세틸렌
[해설작성자 : 금쪽이]

65. Nylon 6 합성 섬유의 원료는?
     1. Caprolactam
     2. Hexamethylene diamine
     3. Hexamethylene triamine
     4. Hexamethylene tetraamine

     정답 : []
     정답률 : 63%

66. 나프타를 열분해(Thermal cracking) 시킬 때 주로 생성되는 물질로 거리가 먼 것은?
     1. 에틸렌
     2. 벤젠
     3. 프로필렌
     4. 메탄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NCC 주생성물 : C1+C2+C3
부생성물 : 열분해유(C4 Raffinate + BTX)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열분해 -> single bond는 못버티고, double bonds가 생겨 버틴다

메탄은 부생성물로, 별로 없긴해도 있음

벤젠같은 aromatics는 BTX 공정이 주로 정답
BTX = Benzene, Toluene, Xylene 방향족 탄화수소 3종세트
[해설작성자 : 페랄타]

67. 페놀의 공업적 제조 방법 중에서 페놀과 부산물로 아세톤이 생성되는 합성법은?
     1. Raschig법
     2. Cumene법
     3. Dow법
     4. Toluene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Cumene = isopropylbenzene
산촉매로 분해시켜 phenol + acetone 생성되는 방법
[해설작성자 : 페랄타]

68. 요소비료 제조방법 중 카바메이트 순환방식의 제조방법으로 약 210°C, 400atm의 비교적 고온, 고압에서 반응시키는 것은?
     1. IG법
     2. Inventa법
     3. Du Pont법
     4. CCC법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요소비료 제조공정 중 순환법
1. C.C.C.법(Chemico 공정) : 모노에탄올아민으로 미반응 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고 분리된 암모니아를 압축순환시키는 방법
2. Inventa Process : 미반응 암모니아를 질산암모늄 용액에 흡수·분리하여 순환시키는 방법
3. Dupont Process
4. Pechiney 공정 : 카바민산암모늄을 분리하여 광유에 흡수시킨 후 암모늄카바메이트의 작은 입자가 현탁하는 슬러리로 만들어 반응관에 재순환시키는 방법
[해설작성자 : 금쪽이]

69. Cu | CuSO4(0.05M), HgSO4(s) | Hg 전지의 기전력은 25°C에서 0.418V이다. 이 전지의 자유에너지(kcal) 변화량은?
     1. -9.65
     2. -19.3
     3. 9.65
     4. 19.3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G = - nFE
n : 주고 받은 전자의 수 (같아야 함) > Cu 2+, Hg 2+ > 2
F = 96,500 C/mol = 96,500 J/V mol (1 cal = 4.184 J)
E = 0.418 V
△G = - n F E = -1 * 2 * (96,500 * 1/4.184) * 0.418
[해설작성자 : 금쪽이]

Electromotive force, Gibbs free E 관계식은 유명하다
ΔG=−nFE, F=페러데이 상수 23, n=이동하는 전자의 수

무슨 전자가 이동하느느냐?
Cu -> Cu2+ + 2e-
Hg2+ + 2e- -> Hg
전자가 2개 이동하고 있다

Thus, ΔG= - x 2 x 23 x 0.418 = -19.228
[해설작성자 : 페랄타]

70. 방향족 니트로 화합물의 특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NO2가 많이 결합할수록 꿇는점이 낮아진다.
     2. 일반적으로 니트로기가 많을수록 폭발성이 강하다.
     3. 환원되어 아민이 된다.
     4. 의약품 생산에 응용된다.

     정답 : []
     정답률 : 66%

71. 98wt% H2SO4 용액 중 SO3의 비율(wt%)은?
     1. 55
     2. 60
     3. 75
     4. 80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0.98×(so3분자량÷전체 분자량)= 0.98÷50×40=78.4    (약 80)
[해설작성자 : 문어]

이문제는 때려맞출 수 있지만, 논리적으로 애매르쏭하다.
H2SO4(sol) 이 '관습적으로' SO3(sol) + H2O 형태로 표현한다는 것을 알아야 이해가 간다.

SO3, sulfur trioxide는 실온에서 투명한 크리스탈로, 물에 넣으면 폭발적으로 반응하며 열을 내면서 H2SO4로 존재하게 된다.
수용액 상에서는 SO3 자체가 존재하지 않고, 모두 H2SO4로 변하는 것이지만, 조성 계산 편의상 SO3 기준으로 환산하라는 문제인 것.
[해설작성자 : 페랄타]

72. 중과린산석회의 합성반응은?
     1. Ca3(PO4)2 + 2H2SO4 + 5H2O ⇆ CaH4(PO4)2·H2O + 2[CaSO4·2H2O]
     2. Ca3(PO4)2 + 4H3PO4 + 3H2O ⇆ 3[CaH4(PO4)2·H2O]
     3. Ca3(PO4)2 + 4HCl ⇆ CaH4(PO4)2 + 2CaCl2
     4. CaH4(PO4)2 + NH3 ⇆ NH4H2PO4 + CaHPO4

     정답 : []
     정답률 : 60%
     <문제 해설>
1 > 인광석을 "황산"분해시켜 "과린산석회" 제조
2 > 인광석을 "인산"분해시켜 "중과린산석회" 제조
[해설작성자 : 금쪽이]

73. 암모니아 함수의 탄산화 공정에서 주로 생성되는 물질은?
     1. NaCl
     2. NaHCO3
     3. Na2CO3
     4. NH4HCO3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효율적인 solvay법의 product가 NaHCO3
구닥다리 Leblanc법의 product가 Na2SO4, Na2CO3

나트률을 두개나 쓰는 비효율적인 Leblanc법이라고 외워볼까?
[해설작성자 : 페랄타]

74.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로 구분할 때 다음 중 나머지 셋과 분류가 다른 하나는?
     1. 요소수지
     2. 폴리에틸렌
     3. 염화비닐
     4. 나일론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열경화성 수지
요소와 포름알데히드의 반응-요소수지
열가소성 수지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나일론
[해설작성자 : ㅎㅎ]

요소수지, Urea-Formaldehyde resin, U-F resin
요소는 Urea, 수지는 resin, formaldehyde는 주원료가 아니라며 생략한 표기이다.
수지 resin은 망 구조, 네트워크 구조이므로 열 경화성, Thermosetting Plastic 이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75. 에폭시 수지의 합성과 관련이 없는 물질은?
     1. Melamine
     2. Bisphenol A
     3. Epichlorohydrin
     4. Toluene diisocyanate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비스페놀 A + 에피클로로히드린 -(NaOH)-> 에폭시 수지
[해설작성자 : 금쪽이]

76. 용액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매회수, 모노머 분리 등의 설비가 필요하다.
     2. 용매가 생장라디칼을 정지시킬 수 있다.
     3. 유화중합에 비해 중합속도가 빠르고 고분자량의 폴리머가 얻어진다.
     4. 괴상 중합에 비해 반응온도 조절이 용이하고 균일하게 반응을 시킬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9%
     <문제 해설>
용액중합 : 단량체와 개시제를 용매에 용해시킨 상태에서 중합하는 방법
장점
1. 중화열의 제거가 용이함.
단점
1. 중합속도와 분자량이 작음.
2. 중합 후 용매의 완전 제거가 어려움.
[해설작성자 : 금쪽이]

용액중합 solution polymerization: 용매가 존재, 반응 다소 느림
유화중합 emulsion polymerization: 매우빠른 중합속도 공정. 계면활성제가 작용한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77. 소다회(Na2CO3) 제조방법 중 NH3를 회수하는 제조법은?
     1. 산화철법
     2. 가성화법
     3. Solvay법
     4. Leblanc법

     정답 : []
     정답률 : 67%
     <문제 해설>
대표적인 Na2CO3 제조법은 Leblanc법, Solvay법
Leblanc법은 NH3랑 관련없다.
Solvay법은 NH3 회수가 가능하고

어떻게 외울까?
Leblanc법은 1791년 개발된 에너지소모가 심한 구닥다리 방법이고
Solvay는 1861년에 개발된 쉽고 NH3 재생도 되는 좋은 방법이다.
재밌는 역사를 곁들여 암기하자
[해설작성자 : 페랄타]

78. 석유류의 불순물인 황, 질소, 산소 제거에 사용되는 방법은?
     1. Coking process
     2. Visbreaking process
     3. Hydrorefining process
     4. Isomerization process

     정답 : []
     정답률 : 57%

79. 공업적 접촉개질 프로세스 중 MoO3 - Al2O3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은?
     1. Platforming
     2. Houdriforming
     3. Ultraforming
     4. Hydroforming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석유의 전화 중 개질
: 옥탄가가 낮은 가솔린, 나프타 등을 촉매를 이용하여 방향족 탄화수소나 이소파라핀을 많이 함유하는 옥탄가가 높은 가솔린으로 전환시키는 것.
1. Hydro Forming : MoO3-Al2O3
2. Plat Forming : Pt-Al2O3
3. Ultra Forming : 촉매를 재생하여 사용
4. Rheni Forming : Pt-Re_Al2O3-SiO2
[해설작성자 : 금쪽이]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관리자님, 정답 2번 아닌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설작성자 : 페랄타]

[관리자 입니다.
문제지 사진원본 확인해 봤는데
정답은 4번이네요.
관련 규정이 개정 되었을 경우 개정된 법령집 내용 및 링크 삽입부탁 드립니다.
그외 다른 문제집 확인 가능한분 계시면 확인 부탁 드립니다.
신고시 출판사명까지 기제 부탁 드립니다.]

80. HCI 가스를 합성할 때 H2 가스를 이론량보다 과잉으로 넣어 반응시키는 주된 목적은?
     1. Cl2 가스의 손실 억제
     2. 장치부식 억제
     3. 반응열 조절
     4. 폭발 방지

     정답 : []
     정답률 : 68%

81. 충돌이론(collision theory)에 의한 아래 반응의 반응속도식(-rA)은? (단, C는 하첨자 물질의 농도를 의미하며, U는 빈도인자이다.)

    

     1. -rA=UT-1e-E/RTCACB
     2. -rA=Ue-E/RTCACB
     3. -rA=UTe-E/RTCACB
     4. -rA=T2e-E/RTCACB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반응속도에서 2분자 간 충돌이론은 아레니우스 식과 같습니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82. 액상 병렬반응을 연속 흐름 반응기에서 진행시키고자 한다. 같은 입류조건에 A의 전화율이 모두 0.9가 되도록 반응기를 설계한다면 어느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이 R로의 전환율을 가장 크게 해주겠는가?

    

     1. 플러그 흐름 반응기
     2. 혼합 흐름 반응기
     3. 환류식 플러그 흐름 반응기
     4. 다단식 혼합 흐름 반응기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선택도 = 4 / CA : 선택도를 높이려면(R로의 전화율을 높이려면) CA의 농도를 낮추어야 한다.
1. 혼합흐름 반응기를 사용한다.
2. 전화율을 높게 유지한다.
3. 공급물에 불활성 물질을 첨가한다.
4. 기상계에서 압력을 감소시킨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83. 순환식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순환비는 (계를 떠난 량)/(환류량)으로 표현된다.
     2. 순환비가 무한인 경우, 반응기 설계식은 혼합 흐름식 반응기와 같게 된다.
     3. 반응기 출구에서의 전환율과 반응기 입구에서의 전환율의 비는 용적 변화율 제곱에 비례한다.
     4. 반응기 입구에서의 농도는 용적 변화율에 무관하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1 > 순환비는 (반응기 입구로 되돌아가는 유체의 부피, 즉, 환류량) / (계를 떠나는 부피)이다.
3 > 반응기 입구의 전화율 = R / (R+1) * 반응기 출구의 전화율
4 > 반응기 입구의 전화율 = (1 - C(A1)/C(A0)) / (1 + 용적 변화율 * C(A1)/C(A0))
[해설작성자 : 금쪽이]

84. 액상 1차 반응(A→R+S)이 혼합 흐름 반응기와 플러그 흐름 반응기를 직렬로 연결하여 반응시킬 때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각 반응기의 크기는 동일하다)
     1. 전환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혼합 흐름 반응기를 앞에 배치해야 한다.
     2. 전환율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흐름 반응기를 앞에 배치해야 한다.
     3. 전환율을 크게 하기 위해, 낮은 전환율에서는 혼합 흐름반응기를, 높은 전환율에서는 플러그 흐름 반응기를 앞에 배치해야 한다.
     4. 반응기의 배치 순서는 전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 : []
     정답률 : 51%
     <문제 해설>
1) n=1차 : 동일한 크기의 반응기가 최적
2) n>1차 : PFR > 작은 CSTR > 큰 CSTR 순서
3) n<1차 : 큰 CSTR > 작은 CSTR > PRR 순서
[해설작성자 : 금쪽이]

85. 어떤 반응의 속도식이 아래와 같이 주어졌을 때, 속도상수(k)의 단위와 값은?

    

     1. 20[/hr]
     2. 5×10-2[mol/L·hr]
     3. 3×10-3[L/mol·hr]
     4. 5×10-2[L/mol·hr]

     정답 : []
     정답률 : 59%

86. 반응식이 0.5A+B → R+0.5S인 어떤 반응의 속도식은 rA=-2CA0.5CB로 알려져 있다. 만약 이 반응식을 정수로 표현하기 위해 A+2B → 2R+S로 표현 하였을 때의 반응속도식으로 옳은 것은?
     1. rA=-2CACB
     2. rA=-2CACB2
     3. rA=-2CA2CB
     4. rA=-2CA0.5CB

     정답 : []
     정답률 : 56%

87. 그림과 같은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상태가 주어졌을 때 반응열 관계로 옳은 것은?

    

     1. 발열반응이며, 발열량은 20cal이다.
     2. 발열반응이며, 발열량은 50cal이다.
     3. 흡열반응이며, 흡열량은 30cal이다.
     4. 흡열반응이며, 흡열량은 50cal이다.

     정답 : []
     정답률 : 73%
     <문제 해설>
반응물이 가지고 있던 20cal의 에너지에서 생성물이 가진 에너지가 50cal로 증가하였으므로 흡열반응, 흡열량은 30cal입니다.
100cal은 반응의 진행을 위한 활성화 에너지이므로 물질의 에너지와 무관합니다.
[해설작성자 : 빛의전사]

88. A물질 분해반응의 반응속도상수는 0.345min-1이고 A의 초기농도는 2.4mol/L일 때, 정용 회분식 반응기에서 A의 농도가 0.9 mol/L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min)?
     1. 1.84
     2. 2.84
     3. 3.84
     4. 4.84

     정답 : []
     정답률 : 49%
     <문제 해설>
ln(0.9/2.4) = -kt
= -0.345 x t
t = 2.8430
[해설작성자 : ㅎㅎ]

89. A의 분해반응이 아래와 같을 때, 등온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서 얻을 수 있는 T의 최대 농도는? (단, CA0=1이다.)

    

     1. 0.051
     2. 0.114
     3. 0.235
     4. 0.391

     정답 : []
     정답률 : 35%

90. 반응기 중 체류시간_분포가 가장 좁게 나타난 것은?
     1. 완전 혼합형 반응기
     2. recycle 혼합형 반응기
     3. recycle 미분형 반응기(plug type)
     4. 미분형 반응기(plug type)

     정답 : []
     정답률 : 61%

91. A와 B가 반응하여 필요한 생성물 R과 불필요한 물질 S가 생길 때, R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취하는 조치로 적절한 것은? (단, C는 하첨자 물질의 농도를 의미하며, 각 반응은 기초반응이다.)

    

     1. CA와 CB를 같게 한다.
     2. CA를 되도록 크게 한다.
     3. CB를 되도록 크게 한다.
     4. CA를 CB의 2배로 한다.

     정답 : []
     정답률 : 67%

92. 반응속도식은 아래와 같은 A→R 기초반응을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서 반응시킨다. 반응기로 유입되는 A 물질의 초기농도가 10mol/L이고, 출구농도가 5mol/L일 때, 이 반응기의 공간시간(hr)은?

    

     1. 8.6
     2. 6.9
     3. 5.2
     4. 4.3

     정답 : []
     정답률 : 55%

93. n차(n>0) 단일 반응에 대한 혼합 및 플러그 흐름 반응기 성능을 비교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단, Vm은 혼합흐름반응기 부피를 VP는 플러그흐름반응기 부피를 나타낸다.)
     1. Vm은 VP보다 크다.
     2. Vm/VP는 전환율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3. Vm/VP는 반응차수에 따라 증가한다.
     4. 부피변화 분율이 증가하면 Vm/VP가 증가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2 > 전화율이 클수록 부피비가 급격히 증가하므로 전화율이 높을 떄에는 흐름 유형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94. PSSH(Pseudo Steady State Hypothesis) 설정은 다음 중 어떤 가정을 근거로 하는가?
     1. 반응속도가 균일하다.
     2. 반응기내의 온도가 일정하다.
     3. 반응기의 물질수지식에서 축적항이 없다.
     4. 중간 생성물의 생성속도와 소멸속도가 같다.

     정답 : []
     정답률 : 60%

95. Batch reactor의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설비가 적게 든다.
     2. 노동력이 많이 든다.
     3. 운전비가 작게 든다.
     4. 쉽게 작동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58%
     <문제 해설>
회분식 반응기
1) 비정상상태 : 시간에 따라 조성이 변한다.
2)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반응물, 생성물의 유입과 유출이 없다.
3) 완전혼합일 경우 반응속도 변화가 없다.
4) 높은 전화율을 얻을 수 있다.
5) 소규모 조업이나 새로운 공정의 시험, 연속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공정에 이용된다.
6) 인건비와 취급비가 비싸고, 매회 품질이 균일하지 못할 수 있어 대규모 생산이 어렵다. > 소규모 다품종에 적합하다.
7) 장치비가 적게 들고, 운전 정지가 쉽고 빠르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96. 반응물 A가 동시반응에 의하여 분해되어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생성물을 만든다. 이 때, 비목적 생성물(U)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불활성 가스의 혼합 사용
     2. 저온반응
     3. 낮은 CA
     4. CSTR 반응기 사용

     정답 :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r(D)/r(U) = 1/2 * e^{2000(1/300-1/T)} * 1/C(A)
D를 목적 생성물로 하는 선택도를 높이려면, e^{2000(1/300-1/T)}이 커야 한다.
즉, e^{2000(1/300-1/T)}가 크려면 1/T가 작아야 하므로 고온에서 반응시켜야 한다!
[해설작성자 : 금쪽이]

97. 균일 액상반응(A→R, -rA=kCA2)이 혼합 흐름 반응기에서 50%가 전환된다. 같은 반응을 크기가 같은 플러그 흐름 반응기로 대치시킬 때 전환율은?
     1. 0.67
     2. 0.75
     3. 0.50
     4. 0.60

     정답 : []
     정답률 : 47%

98. 비기초반응의 반응속도론을 설명하기 위해 자유라디칼, 이온과 극성물질, 분자, 전이착제의 중간체를 포함하여 반응을 크게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해석할 때, 다음과 같이 진행되는 반응은?

    

     1. Chain reaction
     2. Parallel reaction
     3. Elementary reaction
     4. Non-chain reaction

     정답 : []
     정답률 : 54%
     <문제 해설>
1. Chain reaction 연쇄반응
1) 개시단계 : 반응물 → 중간체*
2) 전파단계 : 중간체* + 반응물 → 중간체* + 생성물
3) 정지단계 : 중간체* → 생성물
[해설작성자 : 금쪽이]

99. 포스핀의 기상 분해 반응이 아래와 같을 때, 포스핀만으로 반응을 시작한 경우 이 반응계의 부피변화율은?

    

     1. εPH3 = 1.75
     2. εPH3 = 1.50
     3. εPH3 = 0.75
     4. εPH3 = 0.50

     정답 : []
     정답률 : 59%

100. 순환비가 1로 유지되고 있는 등온의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서 아래의 액상 반응이 0.5의 전환율(XA)로 진행되고 있을 때, 순환류를 폐쇄시켰을 때 전환율(XA)은?

    

     1. 5/9
     2. 4/5
     3. 2/3
     4. 3/4

     정답 : []
     정답률 : 43%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260 콘크리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8월1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9 산업보건지도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862992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8 컨테이너크레인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7월21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7 수능(세계지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10월0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6 무선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6년03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5 운전면허 학과시험(필기) 2종 소형 이륜(2020년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000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4 수능(윤리와사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9월0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3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3월0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2 물류관리사 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1 9급 국가직 공무원 무선공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558913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5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중급(폐지)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10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49 공유압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70821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48 9급 국가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47 굴착기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7월15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 화공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1년08월1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45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한국사(유공자)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1004120)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44 9급 국가직 공무원 노동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7769718)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43 9급 지방직 공무원 과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4일)(215366)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42 자연생태복원기사(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7241 9급 국가직 공무원 공업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7월1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4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4 Next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