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31318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유적이 형성된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12월)

   

     1. 사람들이 이동 생활을 하며 동굴, 바위그늘, 막집에서 살았다.
     2. 농경에 의한 식량 생산 경제를 배경으로 전개되었다.
     3. 비파형 동검과 고인돌이 만들어졌다.
     4. 덩이쇠가 생산되어 여러 나라에 공급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형성된 시대: 신석기 유적
1. 동굴, 바위그늘, 막집 = 구석기
2. 농경에 의한 식량 경재 = 신석기
3. 비파형동검, 고인돌 = 청동기
4. 덩이쇠 = 철기
[해설작성자 : 이번엔붙자]

2. 다음 내용의 비석이 세워진 국가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2. 태학을 창설하여 유교를 교육하였다.
     3. 방군제를 실시하여 지방 제도를 재정비하였다.
     4. 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임신서기석'

두명의 화랑이 유교 경전을 습득하고 실행할 것을 맹서한 것을 새긴 신라 때의 비석

1) 거칠부의 「국사」편찬 - 신라 24대 진흥왕(眞興王) 6년(545년) 이찬(伊湌) 이사부(異斯夫)의 진언으로 거칠부 등에게 국사 편찬을 명하였다.
2) 태학 창설 -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에 건립, 유교의 오경을 중심으로 역사, 문학, 무술을 교육.
3) 방군제 실시 - 백제 성왕, 이전의 22담로제를 방군성체제(방군제)로 대체 실시.
4) 담로에 왕족 파견 - 백제 무령왕, 관리를 직접 파견하는 22담로의 설치.
[해설작성자 : 2311]

3. 고대 국가의 고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5월)
     1. 고구려의 고분 벽화는 초기에 주로 사신도와 같은 상징적인 그림이 많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무덤 주인의 생활을 표현한 그림이 많아졌다.
     2. 백제는 한강 유역에 있던 초기 한성 시기에 벽돌무덤을 만들었는데, 이는 백제 건국의 주도세력이 고구려와 같은 계통이라는 건국이야기의 내용을 뒷받침하고 있다.
     3. 통일 신라 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이 유행하였고, 고분 양식도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점차 규모가 작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바뀌었다.
     4. 발해의 정효 공주 묘는 굴식 돌방무덤으로 모줄임 천장 구조가 고구려 고분과 닮았으며, 이곳에서 나온 돌사자상은 매우 힘차고 생동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초기 생활벽화 -> 후기 상징벽화
2.웅진시대 벽돌무덤 무령왕릉
4.정효공주묘는 벽돌무덤 정혜공주묘가 굴식돌방무덤

4. 신라와 가야 연맹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실들을 오래된 것부터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지증왕 이사부 우산국 512
법흥왕 율령반포 520
대가야와 결혼동맹 522
이차돈 순교 528
금관가야 멸 532
연호 건원 536
대가야 멸 562
[해설작성자 : 꼭합격]

ㄷ. 우산국 복속 (지증왕, 512년)
ㄹ.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 동맹 (법흥왕, 522년)
ㄱ. 이차돈의 순교 (법흥왕, 527년)
ㄴ. 금관가야 병합 (법흥왕, 532년)
[해설작성자 : 3706]

5.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통일신라 이후에도 전쟁 포로로, 혹은 진 빚을 갚지 못하여 노비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2. 골품제도는 가옥의 규모와 장식물은 물론, 복색이나 수레 등 일상생활까지 규제하는 기준으로서 유지되었다.
     3. 백제의 지배층은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으로 이루어졌다.
     4. 관등제와 관직체계의 운영은 신분제에 의해서 크게 제약을 받았다.

     정답 : []
     정답률 : 68%

6. 고려의 지방행정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전국을 크게 5도와 양계, 경기로 나누고, 그 안에 3경, 4도호부, 8목을 비롯하여 군·현·진을 설치하였다.
     2. 경은 중앙과 지방의 군현을 잇는 중간 역할을 담당한 기구의 하나로, 서경(평양), 동경(경주), 남경(양주, 지금의 서울)이 설치되었다.
     3. 지방 출신 고급 관리를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향리를 견제하도록 한 한편, 상수리제도를 실시하여 향리 자제를 개경에 강제로 이주시켜 지방 일의 자문에 응하게 했다.
     4. 북방의 국경 지대에는 동계·북계의 양계를 설치하여 병마사를 파견하고, 국방상의 요충지에는 진을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군사적인 특수 지역이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상수리제도 - 신라시대 지방호족 자녀를 인질로.
기인제도 - 고려시대 지방호족 자녀를 인질로.

7. 고려시대의 통치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중서문하성은 국가의 정책을 심의하는 재신과 정치의 잘못을 비판하는 낭사로 구성되었다.
     2. 중추원은 군사기밀을 담당하는 추밀과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승선으로 구성되었다.
     3. 대간은 왕의 잘못을 논하는 간쟁과 잘못된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 보내는 봉박, 관리의 임명과 법령의 개정이나 폐지 등에 동의하는 서경권을 가지고 있었다.
     4. 원 간섭기에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을 합쳐 첨의부로 하고, 6부는 4사로 통폐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원 간섭기에는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로, 6부는 4사로 통폐합 하고 중추원은 밀직사로 바꿔 격을 낮추었다.

8. 발해의 건국과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또는 고려 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사실에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임을 알 수 있다.
     2. 수군으로 당의 산둥지방을 공격하는 한편, 요서지역에서 당나라 군대와 격돌하기도 하였다.
     3. 선왕대에 지배체제의 정비를 위해서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기고, 신라와도 상설 교통로를 개설하여 대립관계를 해소하려 하였다.
     4. 전성기를 맞은 발해에 대해서 중국인들은 해동성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0%

9. 다음 밑줄 친 왕의 재위 시절에 있었던 과학 기술의 발달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9월)

   

     1. 중국의 수시력과 아라비아의 회회력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울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정확하게 계산한 역법서인'칠정산'을 만들었다.
     2. 주자소를 설치하고 구리로 계미자를 주조하여 종전보다 두 배 정도의 인쇄 능률을 올렸다.
     3. 우리 풍토에 알맞은 약재와 치료 방법을 개발·정리하여'향약집성방'을 편찬하고,'의방유취'라는 의학 백과사전을 간행하였다.
     4. 화약 무기의 제작과 그 사용법을 정리한'총통등록'을 편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 계미자 -태종, 갑인자 - 세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일이 있었던 시대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하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단아하고 균형 잡힌 석등이 꾸준히 만들어졌으며 법주사 쌍사자 석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2. 다포 양식 건물이 등장하여 지붕을 웅장하게 얹거나 건물을 화려하게 꾸밀 때 쓰였다.
     3. 자기 제작에 상감기법이 개발되어 무늬를 내는 데 활용되었으나 원 간섭기 이후에는 퇴조하였다.
     4. 이 시대에는 불화가 많이 그려졌는데 혜허의 관음보살도가 유명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수많은전쟁->
남자부족->
여초사회->
원나라공녀 + 일부일처제 사회에서 남편 못구한 여자들이 원나라로 인구 유출->
박유가 일부 다처제 건의->
여초사회 대폭발

고려후기.

1.법주사 쌍사자등 신라

11. 고려는 국내 상업이 안정적으로 발전하면서 대외 무역활동도 활발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예성강 입구의 벽란도는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으며, 송나라 상인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상인까지 왕래하였다.
     2. 서해안의 해로를 통해 송나라로 종이, 인삼 등 수공업품과 토산물을 수출하는 한편, 왕실과 귀족의 수요품을 수입하였다.
     3. 고려와의 무역을 추구했던 일본은 11세기 후반부터 수은, 황을 가지고 와서 식량, 인삼, 서적과 바꾸어갔다.
     4. 북방의 거란과 여진에게는 은, 모피, 말을 수출하고, 고려는 농기구, 곡식을 수입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거란은 고려에게서 농기구, 곡식을 수입
고려는 거란에게서 은 모피 말 수입.

12. 다음 글을 쓴 사람과 저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9월)

    

     1. 박제가,『북학의』
     2. 박지원,『열하일기』
     3. 이익, 『성호사설』
     4. 유형원,『반계수록』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경제를 우물에 비유 박제가 북학의

2.박지원 열하일기 : 중국유람기. 문체반정. 청나라에서 컬처쇼크받고 실학비판 북벌론주장하는 조선 사대부 비판.

3.이익 성호사설
-일기쓰듯 자기생각 정리하다가 80세에 조카들을 시켜서 정리한 책.
-천지 만물 인사 경사 시문 즉 모든것에 대한 백과사전. 한전론도 주장.
이후 이익제자 안정복이 다시 정리하여 성호사설유선이라는 책도 냄.

4.유형원 반계수록
중녹학파 유형원 노비세습제 비판(중국노비와 비교하며 혈통대대로 노비되는법을 비판.)
지주가 농민착취하는걸 억압하고 국가에서 경작권 분배하고 환수할 수 있는 공전제 주장.(기초생활수급)
결부법을 경무법으로 개혁 주장.
전국민 평등 공교육 공거제 주장.
왕실재정 내탕금을 모두 국가재정으로 일원화할것을 주장.

13. 다음은 17세기에 발생한 사건들이다.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2년 10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70%

14. 밑줄 친 '이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16세기 초 상설 기구로 설치되었다.
     2.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등에 의한 세도정치 시기에 기능이 크게 약화되었다.
     3. 흥선대원군 때 완전히 폐지되었다.
     4. 의정부를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모든걸 다했던 기구는 비변사.
의정부가 유명무실했던 시기는 육조직계제를 했던 태종과 세조 그리고 임란이후 모든걸 다했던 비변사 시기.

1.성종때 왜구침략대응에 지변사재상이라는 협의체 탄생.->
1510년 중종때 일어난 삼포왜란을 계기로 임시기구인 축성사를 비변사로 기구화.->
1555년 명종때 을묘왜변으로 인해 독립관청으로 상설기구화.

2.세도정치기 비변사 최고기구.

3.흥선대원군때 폐지

4.이런 기구가 있었나?...

15. 다음 관제를 발표했던 정부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경무청을 창설하였다.
     2. 건양이란 연호를 사용하였다.
     3. 지방 재판소와 고등 재판소를 개설하였다.
     4. 이민 업무를 담당하는 수민원을 설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중추원 관제-대한제국

1. 1차갑오
2. 을미개혁
3. 2차갑오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16. 밑줄 친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재정 및 외교 고문 용빙이 규정되었다.
     2. 헤이그 특사 사건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3. 베베르-고무라 각서 체결에 영향을 끼쳤다.
     4. 대한제국 황제의 서명 날인이 없이 조인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사료: 정미7조약
[해설작성자 : 부사관 전역 2년 남음]

17. 다음과 관련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8월)

    

     1. 자유 민권 운동과 국민 참정권 운동을 전개하였다.
     2. 옛것을 근본으로 삼고 새것을 참고한다는 뜻을 표방하였다.
     3. 신분 제도의 폐지와 조혼 금지 등의 악습 혁파를 주장하였다.
     4. 장교 양성을 위해 무관학교를 설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보기는 독립협회,관민공동회 헌의6조

2.구본신참 대한제국
3.동학농민운동 폐정개혁안
4.대한제국 무관학교

18. 다음 보기를 시대 순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2015년 02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정답률 : 57%

19. 다음 보기를 시대 순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2015년 02월)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ㄹ.6.25전쟁 당시 부산 정치파동(52.5.26)을 이용해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정부안 + 내각 책임제를 골자로 하는 국회안을 발췌해서 개헌통과.(52.7.4) 헌병대 야당 버스 납치.

ㄷ.53.7.27 유엔군 조선인민군 중국 인민지원군 간 체결된 협정.

-
반공포로석방사건(53.6.18). 이승만이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을 요구하기위해 벌인 도박.
-

ㄹ.53.10.1 대한민국과 미국 사이에서 체결된 군사동맹 조약.

ㄴ.1954.11월 사사오입헌법개정.대통령 연임제한건을 초대 대통령에 한해 폐지하는 조항을 넣어 이승만 56년 3선 당선

ㅁ.
1949년 상설 예비군조직인 호국군을 잠깐 운영
->61년 향토예비군설치법 제정
->북한군사도발 빈번(청와대 무장공비 남파(1.21사태),푸에블로호 납치사건(1.23),울진,삼척 대규모 무장공비 남파)
->68.3월 향토예비군설치법시행령 제정 공포.
->68.4.1 향토예비군 창설.

20. 다음 (가), (나)는 해방 후 두 정치인의 발언이다. 아래의 보기 중 두 정치인이 발언한 시점 사이에 일어난 사건은 모두 몇 개인가?(2014년 03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ㄱ.포츠담선언 1945.7월.6일
ㄷ.모스크바 3상회의 1945.12월 16일

------
가.이승만 정읍발언 - 1946 6월 3일.

ㅁ.1차(3월20일), 2차 미소 공동위원회 (1947년.5월 21일 시작~1947.10월21일에 결렬)
ㄹ.유엔총회에서 채택된 남북한 총선거 결의안. 1947년 11월 14일

나.김구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 1948.2월
-----
ㄴ.제주도 4.3사건 1948년 4월 3일.
ㅂ.남북 지도자회의 1948년 4월.18일


정 답 지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313189)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 다음 유적이 형성된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12월)

   

     1. 사람들이 이동 생활을 하며 동굴, 바위그늘, 막집에서 살았다.
     2. 농경에 의한 식량 생산 경제를 배경으로 전개되었다.
     3. 비파형 동검과 고인돌이 만들어졌다.
     4. 덩이쇠가 생산되어 여러 나라에 공급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형성된 시대: 신석기 유적
1. 동굴, 바위그늘, 막집 = 구석기
2. 농경에 의한 식량 경재 = 신석기
3. 비파형동검, 고인돌 = 청동기
4. 덩이쇠 = 철기
[해설작성자 : 이번엔붙자]

2. 다음 내용의 비석이 세워진 국가에서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2. 태학을 창설하여 유교를 교육하였다.
     3. 방군제를 실시하여 지방 제도를 재정비하였다.
     4. 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여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임신서기석'

두명의 화랑이 유교 경전을 습득하고 실행할 것을 맹서한 것을 새긴 신라 때의 비석

1) 거칠부의 「국사」편찬 - 신라 24대 진흥왕(眞興王) 6년(545년) 이찬(伊湌) 이사부(異斯夫)의 진언으로 거칠부 등에게 국사 편찬을 명하였다.
2) 태학 창설 -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에 건립, 유교의 오경을 중심으로 역사, 문학, 무술을 교육.
3) 방군제 실시 - 백제 성왕, 이전의 22담로제를 방군성체제(방군제)로 대체 실시.
4) 담로에 왕족 파견 - 백제 무령왕, 관리를 직접 파견하는 22담로의 설치.
[해설작성자 : 2311]

3. 고대 국가의 고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5년 05월)
     1. 고구려의 고분 벽화는 초기에 주로 사신도와 같은 상징적인 그림이 많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무덤 주인의 생활을 표현한 그림이 많아졌다.
     2. 백제는 한강 유역에 있던 초기 한성 시기에 벽돌무덤을 만들었는데, 이는 백제 건국의 주도세력이 고구려와 같은 계통이라는 건국이야기의 내용을 뒷받침하고 있다.
     3. 통일 신라 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이 유행하였고, 고분 양식도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점차 규모가 작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바뀌었다.
     4. 발해의 정효 공주 묘는 굴식 돌방무덤으로 모줄임 천장 구조가 고구려 고분과 닮았으며, 이곳에서 나온 돌사자상은 매우 힘차고 생동감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2%
     <문제 해설>
1.초기 생활벽화 -> 후기 상징벽화
2.웅진시대 벽돌무덤 무령왕릉
4.정효공주묘는 벽돌무덤 정혜공주묘가 굴식돌방무덤

4. 신라와 가야 연맹에서 일어난 역사적 사실들을 오래된 것부터 바르게 나열한 것은?(2019년 08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53%
     <문제 해설>
지증왕 이사부 우산국 512
법흥왕 율령반포 520
대가야와 결혼동맹 522
이차돈 순교 528
금관가야 멸 532
연호 건원 536
대가야 멸 562
[해설작성자 : 꼭합격]

ㄷ. 우산국 복속 (지증왕, 512년)
ㄹ. 대가야와 신라의 결혼 동맹 (법흥왕, 522년)
ㄱ. 이차돈의 순교 (법흥왕, 527년)
ㄴ. 금관가야 병합 (법흥왕, 532년)
[해설작성자 : 3706]

5.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통일신라 이후에도 전쟁 포로로, 혹은 진 빚을 갚지 못하여 노비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2. 골품제도는 가옥의 규모와 장식물은 물론, 복색이나 수레 등 일상생활까지 규제하는 기준으로서 유지되었다.
     3. 백제의 지배층은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으로 이루어졌다.
     4. 관등제와 관직체계의 운영은 신분제에 의해서 크게 제약을 받았다.

     정답 : []
     정답률 : 68%

6. 고려의 지방행정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8년 03월)
     1. 전국을 크게 5도와 양계, 경기로 나누고, 그 안에 3경, 4도호부, 8목을 비롯하여 군·현·진을 설치하였다.
     2. 경은 중앙과 지방의 군현을 잇는 중간 역할을 담당한 기구의 하나로, 서경(평양), 동경(경주), 남경(양주, 지금의 서울)이 설치되었다.
     3. 지방 출신 고급 관리를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향리를 견제하도록 한 한편, 상수리제도를 실시하여 향리 자제를 개경에 강제로 이주시켜 지방 일의 자문에 응하게 했다.
     4. 북방의 국경 지대에는 동계·북계의 양계를 설치하여 병마사를 파견하고, 국방상의 요충지에는 진을 설치하였는데, 이것은 군사적인 특수 지역이었다.

     정답 : []
     정답률 : 76%
     <문제 해설>
상수리제도 - 신라시대 지방호족 자녀를 인질로.
기인제도 - 고려시대 지방호족 자녀를 인질로.

7. 고려시대의 통치 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3월)
     1. 중서문하성은 국가의 정책을 심의하는 재신과 정치의 잘못을 비판하는 낭사로 구성되었다.
     2. 중추원은 군사기밀을 담당하는 추밀과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승선으로 구성되었다.
     3. 대간은 왕의 잘못을 논하는 간쟁과 잘못된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 보내는 봉박, 관리의 임명과 법령의 개정이나 폐지 등에 동의하는 서경권을 가지고 있었다.
     4. 원 간섭기에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을 합쳐 첨의부로 하고, 6부는 4사로 통폐합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63%
     <문제 해설>
원 간섭기에는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합쳐 첨의부로, 6부는 4사로 통폐합 하고 중추원은 밀직사로 바꿔 격을 낮추었다.

8. 발해의 건국과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또는 고려 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사실에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임을 알 수 있다.
     2. 수군으로 당의 산둥지방을 공격하는 한편, 요서지역에서 당나라 군대와 격돌하기도 하였다.
     3. 선왕대에 지배체제의 정비를 위해서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기고, 신라와도 상설 교통로를 개설하여 대립관계를 해소하려 하였다.
     4. 전성기를 맞은 발해에 대해서 중국인들은 해동성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0%

9. 다음 밑줄 친 왕의 재위 시절에 있었던 과학 기술의 발달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2016년 09월)

   

     1. 중국의 수시력과 아라비아의 회회력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울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정확하게 계산한 역법서인'칠정산'을 만들었다.
     2. 주자소를 설치하고 구리로 계미자를 주조하여 종전보다 두 배 정도의 인쇄 능률을 올렸다.
     3. 우리 풍토에 알맞은 약재와 치료 방법을 개발·정리하여'향약집성방'을 편찬하고,'의방유취'라는 의학 백과사전을 간행하였다.
     4. 화약 무기의 제작과 그 사용법을 정리한'총통등록'을 편찬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81%
     <문제 해설>
2. 계미자 -태종, 갑인자 - 세종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10. 다음 일이 있었던 시대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하지 않은 것은?(2020년 05월)

    

     1. 단아하고 균형 잡힌 석등이 꾸준히 만들어졌으며 법주사 쌍사자 석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2. 다포 양식 건물이 등장하여 지붕을 웅장하게 얹거나 건물을 화려하게 꾸밀 때 쓰였다.
     3. 자기 제작에 상감기법이 개발되어 무늬를 내는 데 활용되었으나 원 간섭기 이후에는 퇴조하였다.
     4. 이 시대에는 불화가 많이 그려졌는데 혜허의 관음보살도가 유명하다.

     정답 : []
     정답률 : 45%
     <문제 해설>
수많은전쟁->
남자부족->
여초사회->
원나라공녀 + 일부일처제 사회에서 남편 못구한 여자들이 원나라로 인구 유출->
박유가 일부 다처제 건의->
여초사회 대폭발

고려후기.

1.법주사 쌍사자등 신라

11. 고려는 국내 상업이 안정적으로 발전하면서 대외 무역활동도 활발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4년 08월)
     1. 예성강 입구의 벽란도는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으며, 송나라 상인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상인까지 왕래하였다.
     2. 서해안의 해로를 통해 송나라로 종이, 인삼 등 수공업품과 토산물을 수출하는 한편, 왕실과 귀족의 수요품을 수입하였다.
     3. 고려와의 무역을 추구했던 일본은 11세기 후반부터 수은, 황을 가지고 와서 식량, 인삼, 서적과 바꾸어갔다.
     4. 북방의 거란과 여진에게는 은, 모피, 말을 수출하고, 고려는 농기구, 곡식을 수입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거란은 고려에게서 농기구, 곡식을 수입
고려는 거란에게서 은 모피 말 수입.

12. 다음 글을 쓴 사람과 저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8년 09월)

    

     1. 박제가,『북학의』
     2. 박지원,『열하일기』
     3. 이익, 『성호사설』
     4. 유형원,『반계수록』

     정답 : []
     정답률 : 69%
     <문제 해설>
1.경제를 우물에 비유 박제가 북학의

2.박지원 열하일기 : 중국유람기. 문체반정. 청나라에서 컬처쇼크받고 실학비판 북벌론주장하는 조선 사대부 비판.

3.이익 성호사설
-일기쓰듯 자기생각 정리하다가 80세에 조카들을 시켜서 정리한 책.
-천지 만물 인사 경사 시문 즉 모든것에 대한 백과사전. 한전론도 주장.
이후 이익제자 안정복이 다시 정리하여 성호사설유선이라는 책도 냄.

4.유형원 반계수록
중녹학파 유형원 노비세습제 비판(중국노비와 비교하며 혈통대대로 노비되는법을 비판.)
지주가 농민착취하는걸 억압하고 국가에서 경작권 분배하고 환수할 수 있는 공전제 주장.(기초생활수급)
결부법을 경무법으로 개혁 주장.
전국민 평등 공교육 공거제 주장.
왕실재정 내탕금을 모두 국가재정으로 일원화할것을 주장.

13. 다음은 17세기에 발생한 사건들이다.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2012년 10월)

    

     1. ㉡→㉢→㉠→㉣→㉤
     2. ㉡→㉣→㉢→㉠→㉤
     3. ㉡→㉠→㉢→㉤→㉣
     4. ㉡→㉢→㉣→㉠→㉤

     정답 : []
     정답률 : 70%

14. 밑줄 친 '이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16세기 초 상설 기구로 설치되었다.
     2.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등에 의한 세도정치 시기에 기능이 크게 약화되었다.
     3. 흥선대원군 때 완전히 폐지되었다.
     4. 의정부를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모든걸 다했던 기구는 비변사.
의정부가 유명무실했던 시기는 육조직계제를 했던 태종과 세조 그리고 임란이후 모든걸 다했던 비변사 시기.

1.성종때 왜구침략대응에 지변사재상이라는 협의체 탄생.->
1510년 중종때 일어난 삼포왜란을 계기로 임시기구인 축성사를 비변사로 기구화.->
1555년 명종때 을묘왜변으로 인해 독립관청으로 상설기구화.

2.세도정치기 비변사 최고기구.

3.흥선대원군때 폐지

4.이런 기구가 있었나?...

15. 다음 관제를 발표했던 정부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3월)

    

     1. 경무청을 창설하였다.
     2. 건양이란 연호를 사용하였다.
     3. 지방 재판소와 고등 재판소를 개설하였다.
     4. 이민 업무를 담당하는 수민원을 설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27%
     <문제 해설>
중추원 관제-대한제국

1. 1차갑오
2. 을미개혁
3. 2차갑오
[해설작성자 : AB6IX 박우진]

16. 밑줄 친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21년 08월)

    

     1. 재정 및 외교 고문 용빙이 규정되었다.
     2. 헤이그 특사 사건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3. 베베르-고무라 각서 체결에 영향을 끼쳤다.
     4. 대한제국 황제의 서명 날인이 없이 조인되었다.

     정답 : []
     정답률 : 52%
     <문제 해설>
사료: 정미7조약
[해설작성자 : 부사관 전역 2년 남음]

17. 다음과 관련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2013년 08월)

    

     1. 자유 민권 운동과 국민 참정권 운동을 전개하였다.
     2. 옛것을 근본으로 삼고 새것을 참고한다는 뜻을 표방하였다.
     3. 신분 제도의 폐지와 조혼 금지 등의 악습 혁파를 주장하였다.
     4. 장교 양성을 위해 무관학교를 설치하였다.

     정답 : []
     정답률 : 79%
     <문제 해설>
보기는 독립협회,관민공동회 헌의6조

2.구본신참 대한제국
3.동학농민운동 폐정개혁안
4.대한제국 무관학교

18. 다음 보기를 시대 순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2015년 02월)

    

     1. ㉠ -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정답 : []
     정답률 : 57%

19. 다음 보기를 시대 순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2015년 02월)

    

     1. ㉢ - ㉣ - ㉠ - ㉤ - ㉡
     2. ㉢ - ㉠ - ㉣ - ㉤ - ㉡
     3. ㉣ - ㉢ - ㉠ - ㉡ - ㉤
     4. ㉣ - ㉠ - ㉢ - ㉡ - ㉤

     정답 : []
     정답률 : 61%
     <문제 해설>
ㄹ.6.25전쟁 당시 부산 정치파동(52.5.26)을 이용해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정부안 + 내각 책임제를 골자로 하는 국회안을 발췌해서 개헌통과.(52.7.4) 헌병대 야당 버스 납치.

ㄷ.53.7.27 유엔군 조선인민군 중국 인민지원군 간 체결된 협정.

-
반공포로석방사건(53.6.18). 이승만이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을 요구하기위해 벌인 도박.
-

ㄹ.53.10.1 대한민국과 미국 사이에서 체결된 군사동맹 조약.

ㄴ.1954.11월 사사오입헌법개정.대통령 연임제한건을 초대 대통령에 한해 폐지하는 조항을 넣어 이승만 56년 3선 당선

ㅁ.
1949년 상설 예비군조직인 호국군을 잠깐 운영
->61년 향토예비군설치법 제정
->북한군사도발 빈번(청와대 무장공비 남파(1.21사태),푸에블로호 납치사건(1.23),울진,삼척 대규모 무장공비 남파)
->68.3월 향토예비군설치법시행령 제정 공포.
->68.4.1 향토예비군 창설.

20. 다음 (가), (나)는 해방 후 두 정치인의 발언이다. 아래의 보기 중 두 정치인이 발언한 시점 사이에 일어난 사건은 모두 몇 개인가?(2014년 03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 : []
     정답률 : 50%
     <문제 해설>
ㄱ.포츠담선언 1945.7월.6일
ㄷ.모스크바 3상회의 1945.12월 16일

------
가.이승만 정읍발언 - 1946 6월 3일.

ㅁ.1차(3월20일), 2차 미소 공동위원회 (1947년.5월 21일 시작~1947.10월21일에 결렬)
ㄹ.유엔총회에서 채택된 남북한 총선거 결의안. 1947년 11월 14일

나.김구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 1948.2월
-----
ㄴ.제주도 4.3사건 1948년 4월 3일.
ㅂ.남북 지도자회의 1948년 4월.18일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313189)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01 9급 국가직 공무원 전기이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03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00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99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0년09월26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298 온실가스관리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6년05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97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9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96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화학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95 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6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94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4년08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9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국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92 사회복지사 1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2년02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291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생물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 경찰공무원(순경) 한국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8313189)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89 기상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3월02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88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0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87 9급 국가직 공무원 형사소송법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4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86 수능(화학I)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8년04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85 청소년상담사 3급(2교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4년03월29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84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임업경영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6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83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토목설계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03월24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282 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9월2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68 Next
/ 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