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필기 기출문제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14565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목재의 수축과 팽윤을 최소화 하는 실용적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를 사용할 장소의 평형함수율에 알맞은 함수율까지 건조하여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섬유주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만들어진 재료를 사용하면 수축과 팽윤을 증가시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3.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비중이 작고 가벼운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판목판재보다는 정목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2. 활엽수재의 환공재에 있어서는 연륜폭이 넓어지면 비중은 일반적으로 어떻게 되는가?(2012년 09월)
     1. 약간 감소된다.
     2. 많이 감소된다.
     3. 증가된다.
     4. 거의 변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81%

3. 목재의 비저항(比抵抗)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의 비저항은 함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진다.
     2. 목재의 비저항은 온도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3. 횡단면의 비저항은 섬유방향의 비저항보다 크다.
     4. 목재의 비저항은 수종에 따라 그 차이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7%

4. 목재의 수축률 표시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전수축률
     2. 함수율 1% 변화에 따른 수축률
     3. 생재상태에서 기건상태까지의 수축률
     4. 생재상태에서 섬유포화점 이상까지의 수축률

     정답 : []
     정답률 : 79%

5. 목재의 하중단면적이 A, 최대압축하중이 P이면 종압축강도는?(2018년 08월)
     1. P÷A
     2. P×A
     3. P×A2
     4. P÷A2

     정답 : []
     정답률 : 73%

6.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목리배향
     2. 옹이 유무
     3. 이상재 여부
     4. 섬유포화점 이상에서의 함수율 값

     정답 : []
     정답률 : 83%

7. 목재의 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비열은 단위질량당 열용량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균질인 물체의 열용량은 물체의 양에 비례하지 않는다.
     3. 열용량은 어떤 물체에 가해진 열을 상승한 온도차로 나눈 값으로 표현된다.,
     4. 일반적으로 물의 밀도가 목재의 전건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전건 목재에 비해 상온에서 물의 비열이 훨씬 더 큰 값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56%

8. 목재의 섬유포화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확정답안 발표시 1,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3년 09월)
     1.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 강도는 증가한다.
     2. 세포벽은 포화되어 있으나, 자유수는 공극에 존재하지 않을 때 함수율이다.
     3.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목재는 수축한다.
     4. 일반적인 함수율은 30~45% 범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9. 1변의 길이 a = 20mm 인 정사각형에서 높이 h =100mm 인 목재의 중량이 16g이다. 이 목재의 비중은?(2012년 09월)
     1. 0.2
     2. 0.3
     3. 0.4
     4. 0.5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비중=질량/부피. mm를 cm로 바꿈. 2 x 2 x 10 = 40(부피).
[해설작성자 : 고지명]

10. 다음 목재의 직류비저항(direct-current resistivity)에 영향하는 인자에 대한 설명 중 맞는 말은?(2012년 09월)
     1. 목재밀도의 영향은 함수율 영향에 비해 크다.
     2. 저항성은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3. 전기저항은 온도가 상승하면 증가한다.
     4. 방사방향 전기저항은 섬유방향 전기저항보다 적다.

     정답 : []
     정답률 : 47%

11. 목재의 탄성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2019년 04월)
     1. 옹이
     2. 함수율
     3. 변재의 색상
     4. 세포벽의 미세구조

     정답 : []
     정답률 : 88%

12. 목재의 진비중은 실질 용적의 측정에 사용하는 치환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헬륨가스 사용시의 진비중의 값은?(2013년 09월)
     1. 1.30
     2. 1.46
     3. 1.60
     4. 1.70

     정답 : []
     정답률 : 75%

13. 수분에 의한 목재의 수축과 팽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수축량은 일반적으로 세포내강에서 제거된 수분용적에 비례한다.
     2. 목재가 수축하거나 팽윤하여도 세포내강의 지름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3. 무응력 상태의 작은 목재에서 수축과 팽윤은 동일한 양으로 역전될 수 있다.
     4. 세포벽의 수축은 물 분자가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분자들에서 이탈하면 분자 간 거리가 접근되면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14. 온도 50℃일때의 전건재의 비열(cal/g·℃)은 얼마인가?(2013년 09월)
     1. 0.224 cal/g·℃
     2. 0.324 cal/g·℃
     3. 0.524 cal/g·℃
     4. 1.000 cal/g·℃

     정답 : []
     정답률 : 64%

15. Fick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비례한다.
     2.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비례한다.
     3.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반비례한다.
     4.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는?(2017년 08월)

    

     1. 이력현상
     2. 기건현상
     3. 동적 평형현상
     4. 정적 평형현상

     정답 : []
     정답률 : 74%

17. 목재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는?(2004년 08월)
     1. 함수량
     2. 비중
     3. 수축과 팽창량
     4. 해부학적 성질

     정답 : []
     정답률 : 76%

18. 형광성이 뚜렷하여 이른바 형광목재(fluorescent wood)로 불리는 과(科)는?(2012년 09월)
     1. 옥련과(科)
     2. 벼과(科)
     3. 콩과(科)
     4. 소나무과(科)

     정답 : []
     정답률 : 78%

19. 시험재의 초기중량 1500g, 추정된 함수율 50% 일 때의 전건중량은?(2003년 08월)
     1. 1000 g
     2. 800 g
     3. 750 g
     4. 600 g

     정답 : []
     정답률 : 59%

20. 전건비중이 1.0이고 진비중이 1.5인 목재의 실질율은?(2017년 08월)
     1. 0.22
     2. 0.33
     3. 0.44
     4. 0.66

     정답 : []
     정답률 : 60%

2과목 : 목재해부학


21. 활엽수재에서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세포는?(2017년 08월)
     1. 가도관
     2. 방사가도관
     3. 방사유세포
     4. 축방향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55%

22. 접선단면에서 볼 때 다열방사조직의 가장자리에 내부의 평복세포를 직립세포가 둘러싸고 있을 때 이 세포집단을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9월)
     1. 타일세포
     2. 분비세포
     3. 초상세포
     4. 거대세포

     정답 : []
     정답률 : 36%

23. 다음 설명 중 일반적인 열대재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취약심재를 갖고 있다.
     2. 교착목리가 많다.
     3. 대부분의 시장재는 환공재이다.
     4. 도관의 천공은 단일 천공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53%

24. 목재 가공과정에서 제재자의 부주의에 의해 나타나는 목리는?(2016년 10월)
     1. 통직목리
     2. 교착목리
     3. 사주목리
     4. 나선목리

     정답 : []
     정답률 : 61%

25. 천공판(perforation plate)이 특별히 발달되어 있는 세포는?(2013년 09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조직

     정답 : []
     정답률 : 59%

26. 침엽수재의 가도관벽에 벽공 배열이 대상형으로 배열되어 주위에 세포간 물질이 집적하여 눈썹모양의 비후부가 발생된 것은?(2017년 08월)
     1. 크라슐래
     2. 나선비후
     3. 수지가도관
     4. 트라베큘라

     정답 : []
     정답률 : 73%

27. 경사지에서 구부러져 자란 나무는 정상적으로 자란나무와는 달리 가도관의 벽층 중에 생기지 않은 층(層)이 있다.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4년 08월)
     1. 1차벽
     2. 2차벽 외층(S1)
     3. 2차벽 중층(S2)
     4. 2차벽 내층(S3)

     정답 : []
     정답률 : 64%

28. 벽공구의 폭이 벽공연의 폭보다 넓은 분야벽공은?(2017년 08월)
     1. 삼나무형벽공
     2. 소나무형벽공
     3. 측백나무형벽공
     4. 가문비나무형벽공

     정답 : []
     정답률 : 31%

29. 활엽수재에서 나타나는 방사조직이나 축방향의 목재구성세포가 층계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나타나는 무늬는?(2013년 09월)
     1. 교착목리
     2. 은문양
     3. 리플마크
     4. 조안문양

     정답 : []
     정답률 : 76%

30. 목재 세포의 목질화 현상은?(2004년 08월)
     1. 원심적으로 일어난다.
     2. 이심적(離心的)으로 일어난다.
     3. 내강면에서만 일어난다.
     4. 구심적(求心的)으로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58%

31. 다음 침엽수재의 해부학적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활엽수재에 비해 구성세포의 종류 및 형태가 단순하다.
     2. 가도관은 수분통고와 수체지지 역할을 한다.
     3. 가도관, 유세포로 이루어지나 수종에 따라 도관을 가진다.
     4. 방사방향으로 방사가도관을 가지는 수종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32. 성숙재와 비교하였을 때 미성숙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만재율이 적다.
     2. 연륜폭이 좁고 비교적 균일하다.
     3. 위연륜이나 응력재의 출현이 적다.
     4. 죽은 옹이가 나타나거나 옹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6%

33. 다음 가도관의 종류 중 활엽수에 분포하는 가도관은?(2012년 09월)
     1. 방사가도관
     2. 수지가도관
     3. 스트렌트가도관
     4. 섬유상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54%

34. 압축응력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육안적으로는 짙은 갈색을 띄고 조재와 만재의 구별이 명료하지 않다.
     2. 가도관의 횡단면은 둥근 형태를 나타내고 세포간 극이 많다.
     3. 방사방향, 접선방향의 수축율에 비해 축방향 수축율이 매우 크다.
     4. 정상재에 비해서 비중, 경도, 종압축강도는 작지만 인장강도는 현저히 크다.

     정답 : []
     정답률 : 66%

35. 벽공실 내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2차벽에서 생성된 융기물로 덮여 있는 벽공은?(2012년 09월)
     1. 베스쳐드 벽공(Vestured pit)
     2. 분기벽공(ramiform pit)
     3. 맹벽공(blind pit)
     4. 반연벽공(half borded pit)

     정답 : []
     정답률 : 81%

36. 침엽수에서 편심생장(ecentric growth)으로 형성 될 수 있는 이상재는?(2003년 08월)
     1. 압축 이상재
     2. 편심 이상재
     3. 인장 이상재
     4. 전단 이상재

     정답 : []
     정답률 : 57%

37. 활엽수재를 횡단면에 나타난 세포 배열에 따라 산공재, 환공재 등으로 나누는데 어떤 세포의 배열에 따라 분류하는 것인가?(2016년 10월)
     1. 도관
     2. 유세포
     3. 수지구
     4. 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58%

38. 수선 유세포와 관계있는 것은?(2003년 08월)
     1. 촉단 방향으로 뻗쳐 있는 세포 요소이다.
     2. 횡적으로 양분을 공급한다.
     3. 박막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4. 목재의 수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39. 목재를 생산하는 식물 중에서 그 숫자가 가장 많은 식물은?(2012년 09월)
     1. 양치식물
     2. 나자식물
     3. 쌍자엽식물
     4. 단자엽식물

     정답 : []
     정답률 : 60%

40. 다음 중 침엽수재 가도관과 방사조직 각각의 구성비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9월)
     1. 95%, 5%
     2. 85%, 15%
     3. 75%, 25%
     4. 50%, 50%

     정답 : []
     정답률 : 85%

3과목 : 목재화학


41.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측정법이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광산란법
     2. 보수도 측정법
     3. 초원심법
     4. 점도 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76%

42. 펙틴(Pecti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Polygalacturonic acid가 주 성분을 이룬다.
     2. 목재의 주 성분 중 하나이다.
     3. arabinose와 galactose를 소량 포함한다.
     4. 세포 중간층에 주로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43. 다음 중 리그닌의 화학적 기본구조를 나타낸 것은?(2017년 08월)
     1. C6 - C1
     2. C6 - C2
     3. C6 - C3
     4. C6 - C4

     정답 : []
     정답률 : 74%

44. 리그닌을 용해하여 얻는 방법 중 화학변화를 수반하는 것은?(2012년 09월)
     1. Acetone Lignin
     2. Brauns Natural Lignin(BNL)
     3. Milled Wood Lignin(MWL)
     4. Klason Lignin

     정답 : []
     정답률 : 78%

45. 다음 중 Hemicellulose를 구성하는 주요 단당류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Mannose
     2. Xylose
     3. Erythrose
     4. Glucose

     정답 : []
     정답률 : 74%

46. 다음 중 셀룰로오스를 가장 많이 팽윤시키는 물질은?(2016년 10월)
     1.
     2. 17.5% 가성소다 용액
     3. 50% 에틸알코올 용액
     4. 산동아모니아 용액

     정답 : []
     정답률 : 44%

47. 침엽수 리그닌을 구성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본 단위 구조는?(2017년 08월)
     1. Syringylpropane
     2. P-hydroxypropane
     3. Guaiacylpropane
     4. Benzylpropane

     정답 : []
     정답률 : 74%

48. 다음 헤미셀룰로오스 성분 중 Pentose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9월)
     1. D-glucose
     2. D-mannose
     3. D-galactose
     4. D-arabinose

     정답 : []
     정답률 : 64%

49. 리그난(lignan)은 두 개의 모노리그놀이 결합한 것이다. 그 결합 형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9년 04월)
     1. a-a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2. a-β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3. β-β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4. β-γ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정답 : []
     정답률 : 74%

50. 카르복시메달셀룰로오스(CMC) 제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모노클로로초산에 침적시킨 후 가성보다 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2.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염화메탈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3. 셀룰로오스를 질산과 황산의 혼합산으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4.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디아조메탄으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51. 펜토산 정량 시 1/50N 티오항산나트륨의 적정량이 35mL 이었다면 푸르푸랄(furfural)의 양은 약 몇 mg 인가?(2013년 09월)
     1. 5
     2. 15
     3. 25
     4. 35

     정답 : []
     정답률 : 27%

52. 다음 중 목재 추출성분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테르페노이드류
     2. 자이란류
     3. 지방족화합물류
     4. 탄닌류

     정답 : []
     정답률 : 41%

53. 리그닌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화학적으로는 phenylpropane C6-C3 구성단위가 탄소-탄소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구성된 물질이다.
     2. 리그닌은 72% 황산 용액에 의하여 분해된다.
     3. 리그닌의 농도는 루멘(lumen) 부근이 가장 높고 세포 외부로 이행함에 따라 감소한다.
     4. 리그린은 지방족화합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54. 다음 중 알돈산(Aldonic acid)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Gluconic acid
     2. Glucuronic acid
     3. Ribonic acid
     4. Arabinonic acid

     정답 : []
     정답률 : 37%

55.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알칼리 셀룰로우스를 모노클로로아세트산(monochloroacetic acid)에 침적시킨 후 NaOH를 첨가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의약, 화장품 및 식품의 유화 안정제 등으로 이용되는 것은?(2017년 08월)
     1. Methyl cellulose
     2. Carboxymethyl cellulose
     3. Ethyl cellulose
     4. Hydroxy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82%

56. 다음 목재성분 분석 중 글라스 필터(Glass filter)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온수추출물
     2. 유기용매추출물
     3. 리그닌
     4. 전섬유

     정답 : []
     정답률 : 54%

57. 천연 셀룰로오스의 분자간의 결합은 무슨 결합으로 되어 있는가?(2018년 08월)
     1. 공유결합
     2. 수소결합
     3. 이온결합
     4. 배위결합

     정답 : []
     정답률 : 74%

58. 셀룰로오스의 유도체 및 그의 용도를 서로 연결시킨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Nitrocellulose - 도료, celluloid
     2. Acetylcellulose - 필름, 테이프, 담배 필터
     3. Cellulose Xanthate - Viscose rayon
     4. Carboxymethyl cellulose - 부직포 절연재료

     정답 : []
     정답률 : 62%

59. 탈지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성분은?(2004년 08월)
     1. 냉수추출물
     2. 알칼리추출물
     3. 전섬유소
     4. 회분

     정답 : []
     정답률 : 41%

60. 리그닌의 산화분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알칼리 니트로벤젠 산화
     2. 수소화분해 산화
     3. 과망간산칼륨 산화
     4. 금속 산화물을 촉매로 하는 접촉 산화

     정답 : []
     정답률 : 31%

4과목 : 임산제조학


61. 함수율이 60%인 소나무 관재의 무게가 2500g이다. 건량기준 함수율 12%가 되게 건조하려면 시험재의 무게는 몇 g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야 하는가?(2016년 10월)
     1. 1700g
     2. 1750g
     3. 1800g
     4. 1850g

     정답 : []
     정답률 : 48%

62. 다음 조건에서 섬유판의 수분흡수율은?(2018년 08월)

    

     1. 9%
     2. 10%
     3. 11%
     4. 12%

     정답 : []
     정답률 : 67%

63. 평량 80g/m2인 pulp sheet 4매를 삽입하여 tear strength tester로 인열에 필요한 값을 측정하였 더니 30이었다. 이 pulp sheet의 인열계수(tear factor)는?(2012년 09월)
     1. 37.5
     2. 75.0
     3. 15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인열계수 = 5장의 인열강도값/평량 * 320 => (((30/4)*5) / 80 ) * 320 = 150
[해설작성자 : 국민대 임산]

64. 목재 접착제의 성능에 관한 인자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농도
     2. 분자구조
     3. 표면장력
     4. 퇴적시간

     정답 : []
     정답률 : 58%

65.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탄화에 의한 탄소 결정자의 성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a축 방향에 대하여 리그닌 탄소결정자의 성장은 탄화온도와 함계 감소한다.
     2. a축 방향에 대하여 셀룰로오스 탄소결정자의 성장은 탄화온도와 함께 증가한다.
     3. c축 방향에 대하여 리그닌 탄소결정자의 성장은 탄화온도와 함께 증가하여 성장한다.
     4. c축 방향에 대하여 셀롤로오스 탄소결정자의 성장은 탄화온도와 함께 감소하여 후퇴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66. 목재의 접착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피착재 조정 → 도포 → 압착 → 제호 → 퇴적 → 후처리
     2. 피착재 조정 → 제호 → 도포 → 퇴적 → 압착 → 후처리
     3. 제호 → 피착재 조정 → 압착 → 도포 → 퇴적 → 후처리
     4. 도포 → 제호 → 피착재 조정 → 퇴적 → 압착 → 후처리

     정답 : []
     정답률 : 54%

67. 띠톱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거차
     2. 플랜지
     3. 송재차
     4. 긴장장치

     정답 : []
     정답률 : 66%

68. 다음 중 천연건조의 할열억제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2013년 09월)
     1. 가급적 박스적(box 積)을 피한다.
     2. 재간 및 잔적간격을 넓힌다.
     3. 가급적 얇은 잔목을 사용한다.
     4. 통풍을 가능한 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69. 다음 중 희산법(묽은산 가수분해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Madison법
     2. Inventa사법
     3. Peoria법
     4. 소련법

     정답 : []
     정답률 : 50%

70. 용해용 펄프에 해당되는 것은?(2017년 08월)
     1. 기계펄프
     2. 레이온펄프
     3. 크라프트펄프
     4. 에스파르토펄프

     정답 : []
     정답률 : 56%

71. 목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탄화온도가 높은 목탄일수록 착화온도가 높다.
     2. 착화온도는 휘발성분이 많으면 낮고 소량의 알칼리나 초산염을 가하면 낮아진다.
     3. 목탄의 경도는 대략 용적중(容積重)에 비례한다.
     4. 생재 목탄은 기건재 목탄보다 용적중(容積重)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62%

72. 띠톱(band saw)의 구조가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기체와 거차
     2. 긴장장치
     3. 띠톱 가이드
     4. 톱과 플랜지

     정답 : []
     정답률 : 64%

73. 신 Rheinau법에서 주가수분해시 사용되는 산(酸)과 농도(濃度)는?(2013년 09월)
     1. 황산 71~72%
     2. 인산 93~94%
     3. 질산 37~38%
     4. 염산 41~42%

     정답 : []
     정답률 : 46%

74. 다음 목판 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1. 백탄은 수피가 없어야 한다.
     2. 흑탄은 수피가 완전해야 한다.
     3. 파쇄면은 금속광택이 없어야 한다.
     4. 비중이 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75. 천연건조적월은 일일평균온도가 25℃이상인 날짜가 연속해서 며칠 이상일 때를 말하는가?(2016년 10월)
     1. 15일
     2. 20일
     3. 25일
     4. 30일

     정답 : []
     정답률 : 65%

76. 열기 건조에 의한 스케줄 작성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8월)
     1. 대기 온도
     2. 건조 시간
     3. 목재 두께
     4. 건조재 품질

     정답 : []
     정답률 : 49%

77. 비중 0.45인 소나무재의 중성 아황산 반화학펄프 수율이 80 % 일 때 이 펄프 1톤 생산에 소요되는 원목은 몇 m3인가?(2003년 08월)
     1. 2.0
     2. 2.4
     3. 2.8
     4. 3.2

     정답 : []
     정답률 : 39%

78. 압축목재의 압축 직후 두께가 2cm이고, 최대 회복 후 압축목재의 두께는 2.4cm였다. 압축 전 원래 목재의 두께가 3.0cm였다면 이 목재의 최대 영구회복율은?(2018년 08월)
     1. 20%
     2. 25%
     3. 40%
     4. 50%

     정답 : []
     정답률 : 44%

79. 다음 중 제조 후 합판 변형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구성의 부조화
     2. 가압시간이 너무 짧음
     3. 단판 함수율이 서로 다름
     4. 구성단판의 두께가 서로 다름

     정답 : []
     정답률 : 75%

80. 인장 강도가 30 kN/m, 평량이 100 g/m2인 종이의 열단장은 몇 km 인가?(2013년 09월)
     1. 10.34 km
     2. 20.31 km
     3. 30.58 km
     4. 40.67 km

     정답 : []
     정답률 : 45%

81. 목재를 가해하는 해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나무좀은 주로 건재를 가해한다.
     2. 바구미는 주로 습재를 가해한다.
     3. 가루나무좀은 주로 건재를 가해한다.
     4. 빗살수염벌레는 주로 건재를 가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82. 연부후균(soft rot fungi)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12년 09월)
     1. chaetomium 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2. 생육최적 온도 및 pH의 범위가 다른 균류에 비해 넓다.
     3. 대부분의 연부후균은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며, 일부분은 탄수화물의 탈메톡실화를 일으킨다.
     4. 함수율 100~200%의 범위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83. 건조한 참나무를 목재의 변재로 만든 장롱에서 주로 관찰될 수 있는 해층은?(2018년 08월)
     1. 흰개미
     2. 하늘소
     3. 개나무좀
     4. 가루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55%

84. 목재 연부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리그닌을 주로 분해한다.
     2. 부후균에 의한 목재가해 형태와 동일하지 않다.
     3. 헤미셀룰로오스보다 글루칸을 더 빨리 분해시킨다.
     4. 피해를 받은 목재는 표면이 종횡으로 할렬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42%

85. 다음 방부제 중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CCA
     2. ACC
     3. 크레오소오트유
     4. CCB

     정답 : []
     정답률 : 69%

86. 목재 재민에 발생하여 청록색이나 흑색을 띠며 균사가 목재조직 속에 침입하지 않는 것이 특징인 균은?(2018년 08월)
     1. 청병균
     2. 갈변균
     3. 자낭균류
     4. 표면오염균

     정답 : []
     정답률 : 41%

87. 갈색부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목재 세포벽을 구성하는 다당류와 리그닌 모두를 분해한다.
     2. 부후 초기에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므로 목재의 강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3. 목재 세포벽의 부후 정도에 따라 동시 분해형과 선택 분해형으로 구분한다.
     4. 고함수율 상태에서 목재가 오랫동안 있게 되는 경우 목재 표면에서 발생하는 피해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8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8월)

    

     1.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9%

89. 목재의 가소화 처리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증기처리로 가소화한 후 치구에 의하여 목재의 파단을 최소로 줄인다.
     2. 요소의 농축 용액을 주입하고 가온하면 쉽게 가소화 시킬 수 있다.
     3. 액체 암모니아 처리로 매우 적은 목재라도 쉽게 가 소화 시킬 수 있다.
     4. 보통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더 쉽게 구부러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90. 내후성이 큰 변재에 해당되는 수종은?(2016년 10월)
     1. 잎갈나우
     2. 오리나무
     3. 계수나무
     4. 박달나무

     정답 : []
     정답률 : 28%

91. 목재 세포벽 성분 중 셀룰로오스를 주로 분해하고 리그닌을 남기는 목재부후균은?(2018년 08월)
     1. 갈색부후균
     2. 백색부후균
     3. 녹색부후균
     4. 흑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69%

92. 히라다가루나무좀은 다음과 같은 가해 특징을 갖는다. 이와 관계가 적은 것은?(2004년 08월)
     1. 히라다가루나무좀은 목재내 영양분에 관계없이 아무 나무에 피해를 준다.
     2. 함수율이 30 % 이하의 건조재를 많이 가해한다.
     3. 전분량이 높은 목재에서는 유충은 잘 생육하나 전분이 없는 목재는 피해를 받지 않는다.
     4. 라왕을 비롯하여 졸참나무, 오동나무, 대나무, 느티나무 등에 피해를 많이 준다.

     정답 : []
     정답률 : 64%

93. 목재부후균이 발생할 수 없는 함수율은?(2003년 08월)
     1. 15%
     2. 30%
     3. 50%
     4. 70%

     정답 : []
     정답률 : 69%

94. 가루나무좀의 방충제로 쓰이는 약제와 관계 있는 것은?(2004년 08월)
     1. 클로르덴
     2. 클로르피리호스
     3. 아마인유
     4. IPBC

     정답 : []
     정답률 : 38%

95. 뤼핑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층세포법의 일종이다.
     2. 초기 공기압을 적용한다.
     3. 약제를 깊고 균일하게 침부시킨다.
     4. 약제회수량이 총흡수량이 약 60%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96. 목재를 방충 처리하는데 가장 적절한 화합물은?(2019년 04월)
     1. 동 화합물
     2. 붕소 화합물
     3. 아연 화합물
     4. 크롬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68%

97. 목재 방화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황산암모늄
     2. 초산암모늄
     3. 염화암모늄
     4. 제2인산암모늄

     정답 : []
     정답률 : 42%

98. 목재의 치수안정을 위해 분자구조 단위 사이에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16년 10월)
     1. 가교결합
     2. 피복처리
     3. 직교적층
     4. 열안정화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99. 셀룰로오스를 주로 분해하고 리그닌을 남기는 목재 부후균은?(2013년 09월)
     1. 갈색부후균
     2. 백색부후균
     3. 녹색부후균
     4. 흑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64%

100. 목재의 연소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온도가 상승하여 350~450℃가 되면 목재는 자연 착화된다.
     2. 목재가 연소되는 위험온도는 260℃이며 목재 방화의 기준온도가 된다.
     3. 목재에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100℃를 넘어 가면 열분해가 이루어진다.
     4. 목재가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학 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고 타는 산화현상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정 답 지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1456582)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 www.comcbt.com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로 문제를 풀고 자동으로 채점하며 모의고사, 오답 노트, 해설까지 제공하는
무료 기출문제 학습 프로그램으로 실제 상설검정에서 사용하는 OMR 형식의 CBT를 제공합니다.

최신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 : [다운로드]


1과목 : 목재이학


1. 목재의 수축과 팽윤을 최소화 하는 실용적 방법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를 사용할 장소의 평형함수율에 알맞은 함수율까지 건조하여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섬유주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만들어진 재료를 사용하면 수축과 팽윤을 증가시켜 가능하면 사용하지 않는다.
     3.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비중이 작고 가벼운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판목판재보다는 정목판재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 : []
     정답률 : 75%

2. 활엽수재의 환공재에 있어서는 연륜폭이 넓어지면 비중은 일반적으로 어떻게 되는가?(2012년 09월)
     1. 약간 감소된다.
     2. 많이 감소된다.
     3. 증가된다.
     4. 거의 변화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81%

3. 목재의 비저항(比抵抗)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3년 09월)
     1. 목재의 비저항은 함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적어진다.
     2. 목재의 비저항은 온도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3. 횡단면의 비저항은 섬유방향의 비저항보다 크다.
     4. 목재의 비저항은 수종에 따라 그 차이가 크다.

     정답 : []
     정답률 : 57%

4. 목재의 수축률 표시방법이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전수축률
     2. 함수율 1% 변화에 따른 수축률
     3. 생재상태에서 기건상태까지의 수축률
     4. 생재상태에서 섬유포화점 이상까지의 수축률

     정답 : []
     정답률 : 79%

5. 목재의 하중단면적이 A, 최대압축하중이 P이면 종압축강도는?(2018년 08월)
     1. P÷A
     2. P×A
     3. P×A2
     4. P÷A2

     정답 : []
     정답률 : 73%

6.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목리배향
     2. 옹이 유무
     3. 이상재 여부
     4. 섬유포화점 이상에서의 함수율 값

     정답 : []
     정답률 : 83%

7. 목재의 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비열은 단위질량당 열용량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균질인 물체의 열용량은 물체의 양에 비례하지 않는다.
     3. 열용량은 어떤 물체에 가해진 열을 상승한 온도차로 나눈 값으로 표현된다.,
     4. 일반적으로 물의 밀도가 목재의 전건 밀도보다 크기 때문에 전건 목재에 비해 상온에서 물의 비열이 훨씬 더 큰 값을 가진다.

     정답 : []
     정답률 : 56%

8. 목재의 섬유포화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문제 오류로 확정답안 발표시 1,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2013년 09월)
     1.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 강도는 증가한다.
     2. 세포벽은 포화되어 있으나, 자유수는 공극에 존재하지 않을 때 함수율이다.
     3.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이 감소함에 따라 목재는 수축한다.
     4. 일반적인 함수율은 30~45% 범위이다.

     정답 : []
     정답률 : 83%

9. 1변의 길이 a = 20mm 인 정사각형에서 높이 h =100mm 인 목재의 중량이 16g이다. 이 목재의 비중은?(2012년 09월)
     1. 0.2
     2. 0.3
     3. 0.4
     4. 0.5

     정답 : []
     정답률 : 82%
     <문제 해설>
비중=질량/부피. mm를 cm로 바꿈. 2 x 2 x 10 = 40(부피).
[해설작성자 : 고지명]

10. 다음 목재의 직류비저항(direct-current resistivity)에 영향하는 인자에 대한 설명 중 맞는 말은?(2012년 09월)
     1. 목재밀도의 영향은 함수율 영향에 비해 크다.
     2. 저항성은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3. 전기저항은 온도가 상승하면 증가한다.
     4. 방사방향 전기저항은 섬유방향 전기저항보다 적다.

     정답 : []
     정답률 : 47%

11. 목재의 탄성에 가장 적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2019년 04월)
     1. 옹이
     2. 함수율
     3. 변재의 색상
     4. 세포벽의 미세구조

     정답 : []
     정답률 : 88%

12. 목재의 진비중은 실질 용적의 측정에 사용하는 치환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헬륨가스 사용시의 진비중의 값은?(2013년 09월)
     1. 1.30
     2. 1.46
     3. 1.60
     4. 1.70

     정답 : []
     정답률 : 75%

13. 수분에 의한 목재의 수축과 팽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수축량은 일반적으로 세포내강에서 제거된 수분용적에 비례한다.
     2. 목재가 수축하거나 팽윤하여도 세포내강의 지름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3. 무응력 상태의 작은 목재에서 수축과 팽윤은 동일한 양으로 역전될 수 있다.
     4. 세포벽의 수축은 물 분자가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 분자들에서 이탈하면 분자 간 거리가 접근되면서 발생한다.

     정답 : []
     정답률 : 46%

14. 온도 50℃일때의 전건재의 비열(cal/g·℃)은 얼마인가?(2013년 09월)
     1. 0.224 cal/g·℃
     2. 0.324 cal/g·℃
     3. 0.524 cal/g·℃
     4. 1.000 cal/g·℃

     정답 : []
     정답률 : 64%

15. Fick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비례한다.
     2.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비례한다.
     3.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반비례한다.
     4. 수분의 확산율은 단면적÷농도경사에 반비례한다.

     정답 : []
     정답률 : 59%

1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용어는?(2017년 08월)

    

     1. 이력현상
     2. 기건현상
     3. 동적 평형현상
     4. 정적 평형현상

     정답 : []
     정답률 : 74%

17. 목재의 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는?(2004년 08월)
     1. 함수량
     2. 비중
     3. 수축과 팽창량
     4. 해부학적 성질

     정답 : []
     정답률 : 76%

18. 형광성이 뚜렷하여 이른바 형광목재(fluorescent wood)로 불리는 과(科)는?(2012년 09월)
     1. 옥련과(科)
     2. 벼과(科)
     3. 콩과(科)
     4. 소나무과(科)

     정답 : []
     정답률 : 78%

19. 시험재의 초기중량 1500g, 추정된 함수율 50% 일 때의 전건중량은?(2003년 08월)
     1. 1000 g
     2. 800 g
     3. 750 g
     4. 600 g

     정답 : []
     정답률 : 59%

20. 전건비중이 1.0이고 진비중이 1.5인 목재의 실질율은?(2017년 08월)
     1. 0.22
     2. 0.33
     3. 0.44
     4. 0.66

     정답 : []
     정답률 : 60%

2과목 : 목재해부학


21. 활엽수재에서 관찰하기 가장 어려운 세포는?(2017년 08월)
     1. 가도관
     2. 방사가도관
     3. 방사유세포
     4. 축방향유조직

     정답 : []
     정답률 : 55%

22. 접선단면에서 볼 때 다열방사조직의 가장자리에 내부의 평복세포를 직립세포가 둘러싸고 있을 때 이 세포집단을 무엇이라 하는가?(2013년 09월)
     1. 타일세포
     2. 분비세포
     3. 초상세포
     4. 거대세포

     정답 : []
     정답률 : 36%

23. 다음 설명 중 일반적인 열대재의 특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취약심재를 갖고 있다.
     2. 교착목리가 많다.
     3. 대부분의 시장재는 환공재이다.
     4. 도관의 천공은 단일 천공이 많다.

     정답 : []
     정답률 : 53%

24. 목재 가공과정에서 제재자의 부주의에 의해 나타나는 목리는?(2016년 10월)
     1. 통직목리
     2. 교착목리
     3. 사주목리
     4. 나선목리

     정답 : []
     정답률 : 61%

25. 천공판(perforation plate)이 특별히 발달되어 있는 세포는?(2013년 09월)
     1. 도관
     2. 가도관
     3. 목섬유
     4. 방사조직

     정답 : []
     정답률 : 59%

26. 침엽수재의 가도관벽에 벽공 배열이 대상형으로 배열되어 주위에 세포간 물질이 집적하여 눈썹모양의 비후부가 발생된 것은?(2017년 08월)
     1. 크라슐래
     2. 나선비후
     3. 수지가도관
     4. 트라베큘라

     정답 : []
     정답률 : 73%

27. 경사지에서 구부러져 자란 나무는 정상적으로 자란나무와는 달리 가도관의 벽층 중에 생기지 않은 층(層)이 있다. 다음 중 어느 것인가?(2004년 08월)
     1. 1차벽
     2. 2차벽 외층(S1)
     3. 2차벽 중층(S2)
     4. 2차벽 내층(S3)

     정답 : []
     정답률 : 64%

28. 벽공구의 폭이 벽공연의 폭보다 넓은 분야벽공은?(2017년 08월)
     1. 삼나무형벽공
     2. 소나무형벽공
     3. 측백나무형벽공
     4. 가문비나무형벽공

     정답 : []
     정답률 : 31%

29. 활엽수재에서 나타나는 방사조직이나 축방향의 목재구성세포가 층계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나타나는 무늬는?(2013년 09월)
     1. 교착목리
     2. 은문양
     3. 리플마크
     4. 조안문양

     정답 : []
     정답률 : 76%

30. 목재 세포의 목질화 현상은?(2004년 08월)
     1. 원심적으로 일어난다.
     2. 이심적(離心的)으로 일어난다.
     3. 내강면에서만 일어난다.
     4. 구심적(求心的)으로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58%

31. 다음 침엽수재의 해부학적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활엽수재에 비해 구성세포의 종류 및 형태가 단순하다.
     2. 가도관은 수분통고와 수체지지 역할을 한다.
     3. 가도관, 유세포로 이루어지나 수종에 따라 도관을 가진다.
     4. 방사방향으로 방사가도관을 가지는 수종이 있다.

     정답 : []
     정답률 : 66%

32. 성숙재와 비교하였을 때 미성숙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9년 04월)
     1. 만재율이 적다.
     2. 연륜폭이 좁고 비교적 균일하다.
     3. 위연륜이나 응력재의 출현이 적다.
     4. 죽은 옹이가 나타나거나 옹이가 없다.

     정답 : []
     정답률 : 66%

33. 다음 가도관의 종류 중 활엽수에 분포하는 가도관은?(2012년 09월)
     1. 방사가도관
     2. 수지가도관
     3. 스트렌트가도관
     4. 섬유상가도관

     정답 : []
     정답률 : 54%

34. 압축응력재의 일반적인 특징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육안적으로는 짙은 갈색을 띄고 조재와 만재의 구별이 명료하지 않다.
     2. 가도관의 횡단면은 둥근 형태를 나타내고 세포간 극이 많다.
     3. 방사방향, 접선방향의 수축율에 비해 축방향 수축율이 매우 크다.
     4. 정상재에 비해서 비중, 경도, 종압축강도는 작지만 인장강도는 현저히 크다.

     정답 : []
     정답률 : 66%

35. 벽공실 내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2차벽에서 생성된 융기물로 덮여 있는 벽공은?(2012년 09월)
     1. 베스쳐드 벽공(Vestured pit)
     2. 분기벽공(ramiform pit)
     3. 맹벽공(blind pit)
     4. 반연벽공(half borded pit)

     정답 : []
     정답률 : 81%

36. 침엽수에서 편심생장(ecentric growth)으로 형성 될 수 있는 이상재는?(2003년 08월)
     1. 압축 이상재
     2. 편심 이상재
     3. 인장 이상재
     4. 전단 이상재

     정답 : []
     정답률 : 57%

37. 활엽수재를 횡단면에 나타난 세포 배열에 따라 산공재, 환공재 등으로 나누는데 어떤 세포의 배열에 따라 분류하는 것인가?(2016년 10월)
     1. 도관
     2. 유세포
     3. 수지구
     4. 목섬유

     정답 : []
     정답률 : 58%

38. 수선 유세포와 관계있는 것은?(2003년 08월)
     1. 촉단 방향으로 뻗쳐 있는 세포 요소이다.
     2. 횡적으로 양분을 공급한다.
     3. 박막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4. 목재의 수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 : []
     정답률 : 48%

39. 목재를 생산하는 식물 중에서 그 숫자가 가장 많은 식물은?(2012년 09월)
     1. 양치식물
     2. 나자식물
     3. 쌍자엽식물
     4. 단자엽식물

     정답 : []
     정답률 : 60%

40. 다음 중 침엽수재 가도관과 방사조직 각각의 구성비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2012년 09월)
     1. 95%, 5%
     2. 85%, 15%
     3. 75%, 25%
     4. 50%, 50%

     정답 : []
     정답률 : 85%

3과목 : 목재화학


41. 셀룰로오스의 분자량 측정법이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광산란법
     2. 보수도 측정법
     3. 초원심법
     4. 점도 측정법

     정답 : []
     정답률 : 76%

42. 펙틴(Pecti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2016년 10월)
     1. Polygalacturonic acid가 주 성분을 이룬다.
     2. 목재의 주 성분 중 하나이다.
     3. arabinose와 galactose를 소량 포함한다.
     4. 세포 중간층에 주로 존재한다.

     정답 : []
     정답률 : 72%

43. 다음 중 리그닌의 화학적 기본구조를 나타낸 것은?(2017년 08월)
     1. C6 - C1
     2. C6 - C2
     3. C6 - C3
     4. C6 - C4

     정답 : []
     정답률 : 74%

44. 리그닌을 용해하여 얻는 방법 중 화학변화를 수반하는 것은?(2012년 09월)
     1. Acetone Lignin
     2. Brauns Natural Lignin(BNL)
     3. Milled Wood Lignin(MWL)
     4. Klason Lignin

     정답 : []
     정답률 : 78%

45. 다음 중 Hemicellulose를 구성하는 주요 단당류가 아닌 것은?(2019년 04월)
     1. Mannose
     2. Xylose
     3. Erythrose
     4. Glucose

     정답 : []
     정답률 : 74%

46. 다음 중 셀룰로오스를 가장 많이 팽윤시키는 물질은?(2016년 10월)
     1.
     2. 17.5% 가성소다 용액
     3. 50% 에틸알코올 용액
     4. 산동아모니아 용액

     정답 : []
     정답률 : 44%

47. 침엽수 리그닌을 구성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본 단위 구조는?(2017년 08월)
     1. Syringylpropane
     2. P-hydroxypropane
     3. Guaiacylpropane
     4. Benzylpropane

     정답 : []
     정답률 : 74%

48. 다음 헤미셀룰로오스 성분 중 Pentose에 해당하는 것은?(2012년 09월)
     1. D-glucose
     2. D-mannose
     3. D-galactose
     4. D-arabinose

     정답 : []
     정답률 : 64%

49. 리그난(lignan)은 두 개의 모노리그놀이 결합한 것이다. 그 결합 형태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2019년 04월)
     1. a-a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2. a-β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3. β-β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4. β-γ 결합을 한 diarylbutane 유도체

     정답 : []
     정답률 : 74%

50. 카르복시메달셀룰로오스(CMC) 제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모노클로로초산에 침적시킨 후 가성보다 용액을 첨가하여 제조한다.
     2.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염화메탈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3. 셀룰로오스를 질산과 황산의 혼합산으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4. 알칼리 셀룰로오스를 디아조메탄으로 반응시켜 제조한다.

     정답 : []
     정답률 : 56%

51. 펜토산 정량 시 1/50N 티오항산나트륨의 적정량이 35mL 이었다면 푸르푸랄(furfural)의 양은 약 몇 mg 인가?(2013년 09월)
     1. 5
     2. 15
     3. 25
     4. 35

     정답 : []
     정답률 : 27%

52. 다음 중 목재 추출성분이 아닌 것은?(2018년 08월)
     1. 테르페노이드류
     2. 자이란류
     3. 지방족화합물류
     4. 탄닌류

     정답 : []
     정답률 : 41%

53. 리그닌에 대한 다음 설명중 옳은 것은?(2018년 08월)
     1. 화학적으로는 phenylpropane C6-C3 구성단위가 탄소-탄소 또는 에테르 결합으로 구성된 물질이다.
     2. 리그닌은 72% 황산 용액에 의하여 분해된다.
     3. 리그닌의 농도는 루멘(lumen) 부근이 가장 높고 세포 외부로 이행함에 따라 감소한다.
     4. 리그린은 지방족화합물이다.

     정답 : []
     정답률 : 47%

54. 다음 중 알돈산(Aldonic acid)의 종류가 아닌 것은?(2013년 09월)
     1. Gluconic acid
     2. Glucuronic acid
     3. Ribonic acid
     4. Arabinonic acid

     정답 : []
     정답률 : 37%

55. 셀룰로오스 유도체 중 알칼리 셀룰로우스를 모노클로로아세트산(monochloroacetic acid)에 침적시킨 후 NaOH를 첨가하여 얻을 수 있으며 의약, 화장품 및 식품의 유화 안정제 등으로 이용되는 것은?(2017년 08월)
     1. Methyl cellulose
     2. Carboxymethyl cellulose
     3. Ethyl cellulose
     4. Hydroxyethyl cellulose

     정답 : []
     정답률 : 82%

56. 다음 목재성분 분석 중 글라스 필터(Glass filter)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2012년 09월)
     1. 온수추출물
     2. 유기용매추출물
     3. 리그닌
     4. 전섬유

     정답 : []
     정답률 : 54%

57. 천연 셀룰로오스의 분자간의 결합은 무슨 결합으로 되어 있는가?(2018년 08월)
     1. 공유결합
     2. 수소결합
     3. 이온결합
     4. 배위결합

     정답 : []
     정답률 : 74%

58. 셀룰로오스의 유도체 및 그의 용도를 서로 연결시킨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Nitrocellulose - 도료, celluloid
     2. Acetylcellulose - 필름, 테이프, 담배 필터
     3. Cellulose Xanthate - Viscose rayon
     4. Carboxymethyl cellulose - 부직포 절연재료

     정답 : []
     정답률 : 62%

59. 탈지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성분은?(2004년 08월)
     1. 냉수추출물
     2. 알칼리추출물
     3. 전섬유소
     4. 회분

     정답 : []
     정답률 : 41%

60. 리그닌의 산화분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3년 09월)
     1. 알칼리 니트로벤젠 산화
     2. 수소화분해 산화
     3. 과망간산칼륨 산화
     4. 금속 산화물을 촉매로 하는 접촉 산화

     정답 : []
     정답률 : 31%

4과목 : 임산제조학


61. 함수율이 60%인 소나무 관재의 무게가 2500g이다. 건량기준 함수율 12%가 되게 건조하려면 시험재의 무게는 몇 g이 될 때까지 건조시켜야 하는가?(2016년 10월)
     1. 1700g
     2. 1750g
     3. 1800g
     4. 1850g

     정답 : []
     정답률 : 48%

62. 다음 조건에서 섬유판의 수분흡수율은?(2018년 08월)

    

     1. 9%
     2. 10%
     3. 11%
     4. 12%

     정답 : []
     정답률 : 67%

63. 평량 80g/m2인 pulp sheet 4매를 삽입하여 tear strength tester로 인열에 필요한 값을 측정하였 더니 30이었다. 이 pulp sheet의 인열계수(tear factor)는?(2012년 09월)
     1. 37.5
     2. 75.0
     3. 150.0
     4. 200.0

     정답 : []
     정답률 : 56%
     <문제 해설>
인열계수 = 5장의 인열강도값/평량 * 320 => (((30/4)*5) / 80 ) * 320 = 150
[해설작성자 : 국민대 임산]

64. 목재 접착제의 성능에 관한 인자가 아닌 것은?(2016년 10월)
     1. 농도
     2. 분자구조
     3. 표면장력
     4. 퇴적시간

     정답 : []
     정답률 : 58%

65.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탄화에 의한 탄소 결정자의 성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a축 방향에 대하여 리그닌 탄소결정자의 성장은 탄화온도와 함계 감소한다.
     2. a축 방향에 대하여 셀룰로오스 탄소결정자의 성장은 탄화온도와 함께 증가한다.
     3. c축 방향에 대하여 리그닌 탄소결정자의 성장은 탄화온도와 함께 증가하여 성장한다.
     4. c축 방향에 대하여 셀롤로오스 탄소결정자의 성장은 탄화온도와 함께 감소하여 후퇴한다.

     정답 : []
     정답률 : 45%

66. 목재의 접착공정 순서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피착재 조정 → 도포 → 압착 → 제호 → 퇴적 → 후처리
     2. 피착재 조정 → 제호 → 도포 → 퇴적 → 압착 → 후처리
     3. 제호 → 피착재 조정 → 압착 → 도포 → 퇴적 → 후처리
     4. 도포 → 제호 → 피착재 조정 → 퇴적 → 압착 → 후처리

     정답 : []
     정답률 : 54%

67. 띠톱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2017년 08월)
     1. 거차
     2. 플랜지
     3. 송재차
     4. 긴장장치

     정답 : []
     정답률 : 66%

68. 다음 중 천연건조의 할열억제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2013년 09월)
     1. 가급적 박스적(box 積)을 피한다.
     2. 재간 및 잔적간격을 넓힌다.
     3. 가급적 얇은 잔목을 사용한다.
     4. 통풍을 가능한 억제한다.

     정답 : []
     정답률 : 52%

69. 다음 중 희산법(묽은산 가수분해법)이 아닌 것은?(2003년 08월)
     1. Madison법
     2. Inventa사법
     3. Peoria법
     4. 소련법

     정답 : []
     정답률 : 50%

70. 용해용 펄프에 해당되는 것은?(2017년 08월)
     1. 기계펄프
     2. 레이온펄프
     3. 크라프트펄프
     4. 에스파르토펄프

     정답 : []
     정답률 : 56%

71. 목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2012년 09월)
     1. 탄화온도가 높은 목탄일수록 착화온도가 높다.
     2. 착화온도는 휘발성분이 많으면 낮고 소량의 알칼리나 초산염을 가하면 낮아진다.
     3. 목탄의 경도는 대략 용적중(容積重)에 비례한다.
     4. 생재 목탄은 기건재 목탄보다 용적중(容積重)이 작다.

     정답 : []
     정답률 : 62%

72. 띠톱(band saw)의 구조가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기체와 거차
     2. 긴장장치
     3. 띠톱 가이드
     4. 톱과 플랜지

     정답 : []
     정답률 : 64%

73. 신 Rheinau법에서 주가수분해시 사용되는 산(酸)과 농도(濃度)는?(2013년 09월)
     1. 황산 71~72%
     2. 인산 93~94%
     3. 질산 37~38%
     4. 염산 41~42%

     정답 : []
     정답률 : 46%

74. 다음 목판 품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2013년 09월)
     1. 백탄은 수피가 없어야 한다.
     2. 흑탄은 수피가 완전해야 한다.
     3. 파쇄면은 금속광택이 없어야 한다.
     4. 비중이 커야 한다.

     정답 : []
     정답률 : 50%

75. 천연건조적월은 일일평균온도가 25℃이상인 날짜가 연속해서 며칠 이상일 때를 말하는가?(2016년 10월)
     1. 15일
     2. 20일
     3. 25일
     4. 30일

     정답 : []
     정답률 : 65%

76. 열기 건조에 의한 스케줄 작성 시 고려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2018년 08월)
     1. 대기 온도
     2. 건조 시간
     3. 목재 두께
     4. 건조재 품질

     정답 : []
     정답률 : 49%

77. 비중 0.45인 소나무재의 중성 아황산 반화학펄프 수율이 80 % 일 때 이 펄프 1톤 생산에 소요되는 원목은 몇 m3인가?(2003년 08월)
     1. 2.0
     2. 2.4
     3. 2.8
     4. 3.2

     정답 : []
     정답률 : 39%

78. 압축목재의 압축 직후 두께가 2cm이고, 최대 회복 후 압축목재의 두께는 2.4cm였다. 압축 전 원래 목재의 두께가 3.0cm였다면 이 목재의 최대 영구회복율은?(2018년 08월)
     1. 20%
     2. 25%
     3. 40%
     4. 50%

     정답 : []
     정답률 : 44%

79. 다음 중 제조 후 합판 변형의 원인이 아닌 것은?(2012년 09월)
     1. 구성의 부조화
     2. 가압시간이 너무 짧음
     3. 단판 함수율이 서로 다름
     4. 구성단판의 두께가 서로 다름

     정답 : []
     정답률 : 75%

80. 인장 강도가 30 kN/m, 평량이 100 g/m2인 종이의 열단장은 몇 km 인가?(2013년 09월)
     1. 10.34 km
     2. 20.31 km
     3. 30.58 km
     4. 40.67 km

     정답 : []
     정답률 : 45%

81. 목재를 가해하는 해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9년 04월)
     1. 나무좀은 주로 건재를 가해한다.
     2. 바구미는 주로 습재를 가해한다.
     3. 가루나무좀은 주로 건재를 가해한다.
     4. 빗살수염벌레는 주로 건재를 가해한다.

     정답 : []
     정답률 : 51%

82. 연부후균(soft rot fungi)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2012년 09월)
     1. chaetomium 속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2. 생육최적 온도 및 pH의 범위가 다른 균류에 비해 넓다.
     3. 대부분의 연부후균은 리그닌을 주로 분해하며, 일부분은 탄수화물의 탈메톡실화를 일으킨다.
     4. 함수율 100~200%의 범위에서도 생육할 수 있다.

     정답 : []
     정답률 : 79%

83. 건조한 참나무를 목재의 변재로 만든 장롱에서 주로 관찰될 수 있는 해층은?(2018년 08월)
     1. 흰개미
     2. 하늘소
     3. 개나무좀
     4. 가루나무좀

     정답 : []
     정답률 : 55%

84. 목재 연부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리그닌을 주로 분해한다.
     2. 부후균에 의한 목재가해 형태와 동일하지 않다.
     3. 헤미셀룰로오스보다 글루칸을 더 빨리 분해시킨다.
     4. 피해를 받은 목재는 표면이 종횡으로 할렬이 일어난다.

     정답 : []
     정답률 : 42%

85. 다음 방부제 중 수용성 방부제가 아닌 것은?(2004년 08월)
     1. CCA
     2. ACC
     3. 크레오소오트유
     4. CCB

     정답 : []
     정답률 : 69%

86. 목재 재민에 발생하여 청록색이나 흑색을 띠며 균사가 목재조직 속에 침입하지 않는 것이 특징인 균은?(2018년 08월)
     1. 청병균
     2. 갈변균
     3. 자낭균류
     4. 표면오염균

     정답 : []
     정답률 : 41%

87. 갈색부후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2016년 10월)
     1. 목재 세포벽을 구성하는 다당류와 리그닌 모두를 분해한다.
     2. 부후 초기에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므로 목재의 강도가 급격히 감소한다.
     3. 목재 세포벽의 부후 정도에 따라 동시 분해형과 선택 분해형으로 구분한다.
     4. 고함수율 상태에서 목재가 오랫동안 있게 되는 경우 목재 표면에서 발생하는 피해이다.

     정답 : []
     정답률 : 60%

88.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용어는?(2017년 08월)

    

     1.
     2. 유충
     3. 성충
     4. 번데기

     정답 : []
     정답률 : 69%

89. 목재의 가소화 처리에 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2004년 08월)
     1. 증기처리로 가소화한 후 치구에 의하여 목재의 파단을 최소로 줄인다.
     2. 요소의 농축 용액을 주입하고 가온하면 쉽게 가소화 시킬 수 있다.
     3. 액체 암모니아 처리로 매우 적은 목재라도 쉽게 가 소화 시킬 수 있다.
     4. 보통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더 쉽게 구부러진다.

     정답 : []
     정답률 : 55%

90. 내후성이 큰 변재에 해당되는 수종은?(2016년 10월)
     1. 잎갈나우
     2. 오리나무
     3. 계수나무
     4. 박달나무

     정답 : []
     정답률 : 28%

91. 목재 세포벽 성분 중 셀룰로오스를 주로 분해하고 리그닌을 남기는 목재부후균은?(2018년 08월)
     1. 갈색부후균
     2. 백색부후균
     3. 녹색부후균
     4. 흑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69%

92. 히라다가루나무좀은 다음과 같은 가해 특징을 갖는다. 이와 관계가 적은 것은?(2004년 08월)
     1. 히라다가루나무좀은 목재내 영양분에 관계없이 아무 나무에 피해를 준다.
     2. 함수율이 30 % 이하의 건조재를 많이 가해한다.
     3. 전분량이 높은 목재에서는 유충은 잘 생육하나 전분이 없는 목재는 피해를 받지 않는다.
     4. 라왕을 비롯하여 졸참나무, 오동나무, 대나무, 느티나무 등에 피해를 많이 준다.

     정답 : []
     정답률 : 64%

93. 목재부후균이 발생할 수 없는 함수율은?(2003년 08월)
     1. 15%
     2. 30%
     3. 50%
     4. 70%

     정답 : []
     정답률 : 69%

94. 가루나무좀의 방충제로 쓰이는 약제와 관계 있는 것은?(2004년 08월)
     1. 클로르덴
     2. 클로르피리호스
     3. 아마인유
     4. IPBC

     정답 : []
     정답률 : 38%

95. 뤼핑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8년 08월)
     1. 층세포법의 일종이다.
     2. 초기 공기압을 적용한다.
     3. 약제를 깊고 균일하게 침부시킨다.
     4. 약제회수량이 총흡수량이 약 60% 정도이다.

     정답 : []
     정답률 : 40%

96. 목재를 방충 처리하는데 가장 적절한 화합물은?(2019년 04월)
     1. 동 화합물
     2. 붕소 화합물
     3. 아연 화합물
     4. 크롬 화합물

     정답 : []
     정답률 : 68%

97. 목재 방화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2018년 08월)
     1. 황산암모늄
     2. 초산암모늄
     3. 염화암모늄
     4. 제2인산암모늄

     정답 : []
     정답률 : 42%

98. 목재의 치수안정을 위해 분자구조 단위 사이에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치수안정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2016년 10월)
     1. 가교결합
     2. 피복처리
     3. 직교적층
     4. 열안정화처리

     정답 : []
     정답률 : 40%

99. 셀룰로오스를 주로 분해하고 리그닌을 남기는 목재 부후균은?(2013년 09월)
     1. 갈색부후균
     2. 백색부후균
     3. 녹색부후균
     4. 흑색부후균

     정답 : []
     정답률 : 64%

100. 목재의 연소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2016년 10월)
     1. 온도가 상승하여 350~450℃가 되면 목재는 자연 착화된다.
     2. 목재가 연소되는 위험온도는 260℃이며 목재 방화의 기준온도가 된다.
     3. 목재에 수분이 없는 상태에서 100℃를 넘어 가면 열분해가 이루어진다.
     4. 목재가 공기 중의 산소와 화학 반응하여 열과 빛을 내고 타는 산화현상을 말한다.

     정답 : []
     정답률 : 60%


정 답 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1456582)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필기,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온라인, 모의테스트, 모의고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22 정보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3년03월1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21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1년08월21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20 청소년상담사 2급(2교시)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4년10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19 정보기기운용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4월03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2
7318 비서 3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90554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7 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23년03월11일(2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6 소방공무원(경력) 소방관계법규(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8년10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5 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3년07월20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4 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0년09월0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3 9급 국가직 공무원 경제학개론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4월1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2 9급 지방직 공무원 서울시 지방세법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9년06월15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1 9급 지방직 공무원 지적측량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7년06월17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10 ERP 인사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 임산가공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1456582)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08 남성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5년07월17일(4회)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07 배관기능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342517)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06 건축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7701751)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05 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15년03월08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04 해양조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2007년05월13일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7303 토목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해설) 및 CBT 모의고사(2025년 11월 25일)(4472214) new 좋은아빠되기 2025.11.25 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1 Next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