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균(Escherichia coli) 중 출혈성 대장염과 용혈성 요독증상의 원인균으로 최소 세 가지 이상의 베로톡신을 생성하며 E.coli O157:H7이 속해 있는 종류는?
1.
Enterotoxigenic E. coli (ETEC)
2.
Enterohemorrhagic E. coli (EHEC)
3.
Enteroinvasive E. coli (EIEC)
4.
Enteropathogenic E. coli (EPEC)
정답 : [
2
] 정답률 : 66%
<문제 해설> 장관출혈성 대장균(Enterohemorrhagic E.coli; EHEC)는 인체 내에서 베로독소(Verotoxin)를 생성하여 식중독을 일으키지만 오염된 식품에서 생성되는 베로독소는 식중독을 일으키지 않는다. 심한 복통과 설사 및 발열은 없으며, 대표적인 혈청형으로는 O157:H7이며 주로 소고기나 분쇄육 등에서 분리된다. [해설작성자 : 소영이다]
2.
치즈에 대한 기준 및 규격으로 틀린 것은?
1.
자연치즈는 원유 도는 유가공품에 응고시킨 후 유청을 제거하여 제조한 것이다.
2.
모조치즈는 식용유지가공품이다.
3.
가공치즈는 모조치즈에 식품첨가물을 가해 유화시켜 가공한 것이나 모조치즈에서 유래한 유고형분이 50% 이상인 것이다.
4.
모조치즈는 식용유지와 단백질 원료를 주원료로 하여 이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유화시켜 제조한 것이다.
정답 : [
3
] 정답률 : 78%
<문제 해설> 가공치즈는 자연치즈에 식품첨가물을 가해 유화시켜 가공한 것이나 자연치즈에서 유래한 유고형분이 18% 이상인 것을 말한다. [해설작성자 : 사멸기...]
아래와 같은 오류 신고가 있었습니다. 여러분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추후 여러분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정답을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정답 변경은 오류 신고 5회 이상일 경우 수정합니다.
[오류 신고 내용] 가공치즈는 자연치즈에 식품첨가물을 가해 유화시켜 가공한 것으로, 자연치즈에서 유래한 고형분이 50% 이상이어야 한다. [해설작성자 : 소영이다]
3.
기생충 중 부적합한 쇠고기 섭취로 감염될 수 있는 것은?
1.
유구조충
2.
회충
3.
편충
4.
무구조충
정답 : [
4
] 정답률 : 86%
<문제 해설> 무구조충은 민촌충이라고 하며, 낭충은 소고기를 통하여 인체에 감염된다. 무구조충의 알이 소에게 섭취되면 장내에서 유충이 되고, 유충이 장벽을 뚫고 근육안에 들어가 무구낭충이 된다. 식육 섭취를 통해 낭충이 사람의 입을 통해 들어가면 소화관에서 탈낭하여 약 2~3개월 후 항문으로 탈출하기 시작하고 복통, 소화불량, 구토 등을 유발한다.
예방법: 소고기를 충분히 익혀서 먹고, 소가 먹는 사료나 목초가 분뇨에 무구조충이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소의 감염기회를 차단해야한다. [해설작성자 : 소영이다]
4.
PCB(polychlorinated bipheny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미강유 제조 과정에서 오염된 사례가 있다.
2.
중독 환자는 여드름 모양의 피부발진과 발한과다 증상이 나타난다.
3.
중독되면 간종양과 간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4.
수중에서는 장기간 잔류하나 토양에서는 단기간에 소멸된다.
정답 : [
4
] 정답률 : 77%
<문제 해설> 토양에서도 장기간 잔류함 [해설작성자 : comcbt.com 이용자]
5.
Enterotoxin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포도상구균이 생산하는 독소이다.
2.
비교적 내열성이 강하다.
3.
주증상은 고온 발열이다.
4.
면역하적으로 A, B, C, D, E의 5종으로 나누어진다.
정답 : [
3
] 정답률 : 57%
<문제 해설> 엔테로톡신은 황색포도상구균이 생산하는 독소로 열에 강한 내열성독소이다. 특징은 증상이 빨리 나타나고, 발열이 일어나지 않는다. [해설작성자 : 사멸기...]